KR20090109330A - 잎들깨와 국화의 개화조절을 위한 광질제어장치 및 그사용방법 - Google Patents
잎들깨와 국화의 개화조절을 위한 광질제어장치 및 그사용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109330A KR20090109330A KR1020080034722A KR20080034722A KR20090109330A KR 20090109330 A KR20090109330 A KR 20090109330A KR 1020080034722 A KR1020080034722 A KR 1020080034722A KR 20080034722 A KR20080034722 A KR 20080034722A KR 20090109330 A KR20090109330 A KR 2009010933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lowering
- light emitting
- emitting diode
- control device
- red light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17260 vegetative to reproductive phase transition of meristem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9
- 235000007516 Chrysanthemum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2
- 235000004347 Perilla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0
- 238000003908 quality control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40000005250 Chrysanthemum indicum Species 0.000 title 1
- 244000124853 Perilla frutescens Species 0.000 title 1
- 241000723353 Chrysanthemum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1
- 241000229722 Perilla <angiosperm>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5265 energy consumption Methods 0.000 abstract 1
- 230000001678 irradiat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abstract 1
- 230000012010 growth Effects 0.000 description 29
- 238000011282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4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1850 repro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243 precurs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1511 Diospyro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028 Biom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1000723267 Diospyro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15 leaf growth Effects 0.000 description 2
- QSHDDOUJBYECFT-UHFFFAOYSA-N mercury Chemical compound [Hg] QSHDDOUJBYECF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53 mercur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108091008695 photoreceptors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105 vegetative growth Effects 0.000 description 2
- VZSRBBMJRBPUNF-UHFFFAOYSA-N 2-(2,3-dihydro-1H-inden-2-ylamino)-N-[3-oxo-3-(2,4,6,7-tetrahydrotriazolo[4,5-c]pyridin-5-yl)propyl]pyrimidine-5-carboxamide Chemical compound C1C(CC2=CC=CC=C12)NC1=NC=C(C=N1)C(=O)NCCC(N1CC2=C(CC1)NN=N2)=O VZSRBBMJRBPUN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YLZOPXRUQYQQID-UHFFFAOYSA-N 3-(2,4,6,7-tetrahydrotriazolo[4,5-c]pyridin-5-yl)-1-[4-[2-[[3-(trifluoromethoxy)phenyl]methylamino]pyrimidin-5-yl]piperazin-1-yl]propan-1-one Chemical compound N1N=NC=2CN(CCC=21)CCC(=O)N1CCN(CC1)C=1C=NC(=NC=1)NCC1=CC(=CC=C1)OC(F)(F)F YLZOPXRUQYQQI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4000236655 Diospyros kak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NIPNSKYNPDTRPC-UHFFFAOYSA-N N-[2-oxo-2-(2,4,6,7-tetrahydrotriazolo[4,5-c]pyridin-5-yl)ethyl]-2-[[3-(trifluoromethoxy)phenyl]methylamino]pyrimidine-5-carboxamide Chemical compound O=C(CNC(=O)C=1C=NC(=NC=1)NCC1=CC(=CC=C1)OC(F)(F)F)N1CC2=C(CC1)NN=N2 NIPNSKYNPDTRP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AFCARXCZXQIEQB-UHFFFAOYSA-N N-[3-oxo-3-(2,4,6,7-tetrahydrotriazolo[4,5-c]pyridin-5-yl)propyl]-2-[[3-(trifluoromethoxy)phenyl]methylamino]pyrimidine-5-carboxamide Chemical compound O=C(CCNC(=O)C=1C=NC(=NC=1)NCC1=CC(=CC=C1)OC(F)(F)F)N1CC2=C(CC1)NN=N2 AFCARXCZXQIEQ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1464837 Viridiplant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149 argon plasma sint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12 biological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835 comparative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11 delay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313 fa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306 harve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01 inhibi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835 investi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935 neut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6709 nutritio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764 nutr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7665 photoperiod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9553 photosynthesi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672 photosynthe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108090000623 proteins and ge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4169 proteins and gen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29 sup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9 sustain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25000000391 vinyl group Chemical group [H]C([*])=C([H])[H]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554 vinyl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4—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 A01G7/045—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with electric light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3—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0—Light emitting diod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88/00—Electricity: motor control systems
- Y10S388/907—Specific control circuit element or device
- Y10S388/921—Timer or time delay mea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otan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광원의 증설 및 관리가 용이하며 적은 소비전력으로 잎들깨와 국화의 생육을 건실하게 할 수 있는 잎들깨와 국화의 개화조절을 위한 광질제어장치 및 그 사용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잎들깨와 국화의 개화조절을 위한 광질제어장치는 파장이 660nm인 적색광을 조사하여 광수용단백질인 파이토크롬(phytochrome)의 작용을 유도함으로써 잎들깨와 국화의 개화를 조절할 수 있고, 적색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하기 때문에 설치와 점검이 매우 안전하며 발광 특성상 좌우 방향으로 산란이 매우 적고 직진방향으로만 주로 발광하기 때문에 광 이용효율이 높고 설치된 시설 외의 장소로 광이 산란되지 않는다. 또한 전기요금을 종래에 비해 60~86% 줄여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광 강도를 잎들깨는 0.177μmolm-2s-1 이상 국화는 적색광 강도를 0.4μmolm-2s-1 이상 조사할 경우 개화가 억제되고 생육이 건실해지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잎들깨와 국화의 개화조절을 위한 광질제어장치 및 그 사용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파장이 660㎚인 적색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잎들깨와 국화의 개화를 조절하기 위한 광질제어장치 및 그 사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광은 녹색식물의 광합성을 위한 에너지원이자 일장 효과, 광주성과 광형태 형성을 위한 정보원이다. 식물은 낮과 밤의 길이를 감지하여 개화를 유도하며 이러한 반응을 식물의 광주성(photoperiodism)이라 한다. 식물은 광주성에 따라 단일 식물, 장일식물, 중성식물 등으로 구분한다. 단일식물은 광중단(light break)하면 단야조건이 유기되어 개화하지 않고 영양생장을 지속하며 이 반응에는 적색광이 유효하다(Thomas and Vince-Prue 1997).
식물은 광수용단백질인 파이토크롬(phytochrome)에 의해 적색광(660nm)과 초적색광(730nm) 변화를 감지한다. 파이토크롬은 불활성형인 Pr 형태로 존재하다가 적색광에 의해 활성형인 Pfr 형태로 전환되어 생물학적 반응을 유도하고 초적색광에 의해 다시 불활성형태인 Pr 형태로 전환된다. 이와 같이 적색광에 의해 가능한 반응이 초적색광에 의해 무효화하고 이 반응이 반복적으로 가능한 것을 광가역성(photoreversibility)이라 한다. 광가역성 반응은 생물계에서 식물의 특정 반응에서만 나타나는 독특한 반응이다.
현재 상업적으로 재배되고 있는 대표적인 단일식물은 잎들깨와 국화를 들 수 있다. 쌈채소로 애용되는 잎들깨는 단일조건이 되면 생식생장으로 전환되어 잎 생산을 할 수 없기 때문에 하루 일장이 12시간 미만으로 짧아지는 8월 20일부터 이듬해 4월20일까지 약 8개월 동안은 일몰 후 오후 6시부터 밤 12시까지 등을 켜 주어 영양생장을 연장하도록 한다.
마찬가지로, 단일성 화훼인 국화는 출하시기를 조절하기 위해 단일조건인 10월 20일경부터 순차적으로 정식하여 정식 후 약 50일간 백열등으로 전조 처리해서 개화를 지연시킴으로써 12월말까지 정식하고 2월에서 4월 수확하여 출하하고 있다.
그런데 현재 전조처리에 사용되고 있는 광원으로는 백열등이 주로 사용되고 전구식 형광등, 어업용 수은등 등이 일부 사용되고 있으나 대부분 전기소모량이 많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광원들은 넓은 면적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증설이 어려우며, 고온 다습한 환경에 항상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자주 교체해야 하는데 교체 작업이 번거롭고 배선자재의 마모 등 감전의 위험이 상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게다가 수명이 다한 전구의 교체가 늦어지면 그 광원 아래에서 생육되는 식물은 꽃봉우리가 출현하기 때문에 출하 상품성을 떨어뜨리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광원의 증설 및 관리가 용이하며 적은 소비전력으로 잎들깨와 국화의 생육을 건실하게 할 수 있는 잎들깨와 국화의 개화조절을 위한 광질제어장치 및 그 사용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잎들깨와 국화의 개화조절을 위한 광질제어장치는 적색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잎들깨와 국화의 개화조절을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잎들깨와 국화의 개화조절을 위한 광질제어장치는 복수의 적색 발광 다이오드가 유닛화 되어 있는 발광 다이오드 모듈과, 발광 다이오 드 모듈을 설치하기 위한 설치 브라켓과, 전원공급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잎들깨와 국화의 개화조절을 위한 광질제어장치의 설치 브라켓은 복수개를 병렬로 연결하여 각 발광 다이오드 모듈을 구동시키기 위한 연결핀을 더 포함하며, 전원공급부는 변압기와 직류변환조절기를 포함하고 또한 발광 다이오드의 빛 강도를 조절하기 위한 저항조절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적색 발광 다이오드의 조사 시간을 조절하기 위한 타이머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적색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광질제어장치를 이용하여 잎들깨의 개화를 조절하되, 적색 발광 다이오드의 광파장은 중심파장이 660nm이고 잎들깨의 적색광 강도는 0.177μmolm-2s-1 이상인 잎들깨 개화조절용 광질제어장치의 사용방법이 개시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잎들깨의 개화조절용 광질제어장치의 사용방법은 적색 발광 다이오드의 조사 시간이, 일장이 12시간 이하인 경우, 일몰 후 6시간 동안 이루어지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적색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광질제어장치를 이용하여 국화의 개화를 조절하되, 적색 발광 다이오드의 광파장은 중심파장이 660nm이고 국화의 적색광 강도는 0.4μmolm-2s-1 이상인 국화 개화조절용 광질제어장치의 사용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잎들깨와 국화의 개화조절을 위한 광질제어장치는 적색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하기 때문에 설치와 점검이 매우 안전하며, 발광 특성상 좌우 방향으로 산란이 매우 적고 직진방향으로만 주로 발광하기 때문에 광 이용효율이 높고 설치된 시설 외의 장소로 광이 산란되지 않는다. 또한 전기요금을 종래에 비해 60~86% 줄여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생육을 건실하다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잎들깨와 국화의 개화조절을 위한 광질제어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2 내지 도 4는 광질제어장치의 일 실시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광질제어장치의 회로도이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광질제어장치는 발광 다이오드(1)와, 설치 브라켓(20)과, 전원공급부(30)를 구비한다.
발광 다이오드(1)는 지름이 5mm이며 파장이 660nm 인 적색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다. 실세 사용 시에는 작물 생장에 필요한 빛의 강도를 가지는 한편 강도를 조절하기 용이하도록 복수개를 집적하여 모듈화한다. 도 2는 설치 브라켓(20)에 20개가 집적된 발광 다이오드 모듈(10)을 설치한 것이며, 도 3은 14개, 도 4는 7개를 집적한 다이오드 모듈(12,14)을 각각 도시한 것이다. 적색광의 최대 강도는 2m 높이에서 설치 후 측정하여 20개형 발광 다이오드 모듈(10)은 0.6 μmolm-2s-1이고, 14 개형 발광 다이오드 모듈(12)은 0.5μmolm-2s-1이며, 7개형 발광 다이오드 모듈(14)은 0.4μmolm-2s-1이다. 각 다이오드 모듈의 소비 전력은 각각 8.0, 5.6, 2.8 Watt이다.
설치 브라켓(20)은 알루미늄으로 제조되며 사이즈가 200×6×1.2cm로, 10cm 간격으로 다이오드 모듈(10,12,14)을 10개씩 고정한 후 병렬로 연결하여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설치 브라켓(20)의 단부에는 연결핀(22)을 마련하여 이웃하는 설치 브라켓과 전기적 연결이 용이하도록 한다.
전원공급부(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압기(32)와 직류변환조절기(34)와 저항조절기(36)를 포함한다. 변압기(32)는 통상의 220V 교류 전기를 35V로 전압 강하하며, 직류변환조절기(34)는 2A 용량으로 교류를 직류로 변환시키며, 저항(전류)조절기(36)는 전류를 10~ 35A 까지 조절하여 발광 다이오드의 광 강도를 조절한다. 직류변환조절기(34) 1개는 30개의 설치 브라켓(20)을 연결하여 가동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광질제어장치를 이용하여 잎들깨와 국화의 개화를 조절한 예를 설명한다. 여기서 광질제어장치는 잎들깨와 국화의 초관으로부터 2m 높이에 설치하여 발광시킨다.
실험에 앞서 본 발명에 따른 적색 발광 다이오드의 광 파장을 측정한 결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장은 최단 620nm에서 최장 680nm까지 분포하며 중심 피 크 파장은 660nm였다.
[실시예 1-1]
잎들깨
개화의 광가역성(
Photoreversibility
)
적색광과 초적색광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하여 비닐하우스 내에서 광질별로 순차적으로 정식 직후부터 개화기까지 처리(도 7 참조)한 후의 잎들깨 개화 상태는 도 8과 같다.
도 8 및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잎들깨의 생식생장으로의 변화를 나타내는 꽃봉오리(화뢰) 형성은 적색광에 의해 억제되었고, 이어서 처리한 초적색광에 의해 다시 개화하였으며, 그에 이은 적색광에 의해 개화가 다시 감소되어 잎들깨의 파야(night break)처리에 의한 개화반응도 광수용 단백질인 파이토크롬이 작용하여 광가역성을 나타낸 것임을 알 수 있다. 이 결과는 Downs(1956)의 결과와 일치하는 것이다.
광가역성 처리 후의 잎들깨 생육과 개화 특성은 아래 표 1과 같다.
표 1. 잎들깨 생육과 개화의 광가역성(Photoreversibility)
적색광 처리 직후 조사된 초적색광 처리에 의해 잎들깨의 초장은 증가하였으나 다시 연이어 처리한 적색광으로 엽수, 엽 생체중과 엽면적은 감소되었는데 이것은 초적색광에 의해 생식생장이 유기되어 잎의 출현이 억제된 결과로 판단된다.
[실시예 1-2]
일장연장 처리
적색광
강도별
잎들깨
생육 및 개화 특성
잎들깨의 개화조절에 적정한 적색광 강도를 검토하고자 온도와 광강도가 조절되는 인공 광환경 생육실 내에서 잎들깨를 정식 직후부터 일일 일장을 오전 6시부터 오후 5시까지 11시간으로 조절하고 적색광 처리구는 일일 일장 직후인 오후 6시부터 밤 12시까지 6시간 동안 적색광을 0.046, 0.114, 0.177 μmol m-2s-1 강도로 각각 처리하여 일장을 17시간으로 조절하는 처리를 하였다. 광조사 시간은 타이머를 이용하여 조절하였다.
무처리구는 일일 일장 11시간하에 배치시켜 단일조건이 유기되도록 조처한 후의 생육과 개화상황은 도 10과 같으며, 이를 조사한 결과는 표 2와 같다.
표 2. 일장 연장처리 적색광 강도별 잎들깨 생육 및 개화특성
일장을 단일조건인 11시간으로 조절한 무처리구는 꽃봉오리가 발생되어 엽생체중과 엽면적이 적색광 처리구에 비해 감소되었고 일장연장을 위한 적색광 0.046, 0.114 μmolm-2s-1 처리구에서는 무처리보다는 수가 적었으나 꽃봉오리가 착생되었다. 적색광 0.177μmolm-2s-1 처리구에서는 잎들깨의 꽃봉오리는 발생되지 않고 영양생장을 유지하여 잎들깨 재배시 영양생장을 지속시켜 잎을 생산하기 위한 안전한 적색광 한계강도는 0.177μmolm-2s-1인 것으로 판단된다.
[실시예 1-3]
일장 연장 광원별
잎들깨
생육 및 개화 특성
일장(day length)을 연장하여 잎들깨의 생식생장으로의 이행을 억제하고 영양생장을 지속시켜 잎 생산을 하기 위하여 현재 농가는 백열등, 전구식 형광등, 어업용 수은등 등 다양한 광원을 사용하나 기본적으로는 모두 백색광원을 사용하고 있다.
종래의 백색광원과 660nm의 광파장만을 균질하게 발광하는 적색 발광 다이오드의 일장연장 효과를 비교하고자 농가가 잎들깨를 재배하는 비닐하우스와 동일하게 환경을 조성하고 일장 연장을 위한 광원을 달리하여 잎들깨의 개화와 생육특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는 표 3과 같으며, 생육과 개화상황은 도 11과 같다.
표3. 일장연장 처리 광원별 잎들깨 생육 및 개화특성
8월 5일 정식하여 재배하고 일장이 12시간 30분 이하로 짧아지는 8월 20일 이후 계속 생장시켜 10월 25일 조사한 무처리구(자연단일)는 일장의 단축으로 생식생장으로 이행하여 꽃봉오리가 착생하였다(도 11의 (c))
현재 재배농가가 사용중인 백열등과 적색 발광다이오드 처리구는 개화하지 않고 영양생장만을 지속하며, 적색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적색광 처리는 백열등과 동일한 잎들깨의 개화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도 11의 (a)와 (b)).
무처리구(자연단일)의 초장, 엽수, 엽 생체중, 엽면적은 개화 유기로 백열등과 적색발광다이오드 처리에 비해 감소하였으며, 무처리구에서 엽령 6엽기 이후 잎을 계속 채취하면 도 11의 (d)와 (e)와 같이 개화 및 결실로 더 이상의 잎 생산이 불가능해졌다.
한편, 백열등과 적색광 처리구의 초장, 엽수, 엽 생체중과 엽면적은 적색광 처리구가 백열등 처리구보다 초장,엽수, 엽 생체중, 엽면적 모두 약 8 ~ 10% 정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실시예 2-1]
국화 개화의 광가역성(
photoreversibility
)
국화의 생육과 개화에 대한 광가역성을 검토하기 위해 적색광과 초적색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비닐하우스 내에서 광질별로 순차적으로 정식 직후부터 개화기까지 처리(도 12 참조)한 후의 잎들깨 개화 상태는 도 13과 같다.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난 바와 같이 국화의 생식생장으로의 변화를 나타내는 꽃봉오리의 출현은 적색광에 의해 억제되었고 연이어 처리한 초적색광에 의해 다시 개화하였으며 그에 이은 적색광에 의해 개화가 억제되어 국화의 일장의 단축에 의한 개화반응도 광수용 단백질인 파이토크롬이 작용하여 광가역성을 나타낸 것임을 알 수 있다. 이 결과는 Borthwick(1962)의 결과와 일치하는 것이다.
광가역성 처리 후의 국화의 생육과 개화특성을 정리한 것은 표 4와 같다.
표 4. 국화 생육과 개화의 광가역성(photoreversibility)
[실시예 2-2]
일장연장 처리
적색광
강도별 국화의 생육 및 개화특성
국화의 개화조절에 적정한 적색광 강도를 검토하고자 온도와 광강도가 조절되는 인공 광환경생육실 내에서 국화를 정식 직후부터 일일 일장을 오전 6시부터 오후 5시까지 11시간으로 조절하고 적색광 처리구는 일장처리 직후인 오후 6시부터 밤 12시까지 6시간 동안 적색광을 0.2, 0.4, 0.6, 0.8 μmolm-2s-1 강도로 각각 처리하여 일장을 17시간으로 조절하는 처리를 하였다. 광조사 시간은 타이머를 이용하 여 조절하였다.
무처리구는 일장 11시간하에 배치시켜 단일조건이 유기되도록 하였다. 이와같은 처리 후 국화의 생육과 개화상황은 도 15와 같으며, 그 조사 결과는 표 5에 나타내었다.
표 5. 일장연장 처리 적색광 수준별 국화의 생육 및 개화특성
일장을 단일조건인 11시간으로 조절한 무처리구는 꽃봉오리가 발생되어 초장, 엽수, 엽면적이 적색광 처리구에 비해 감소되었고 측지수는 증가하였고, 일장연장을 위한 적색광 강도 0.2, 0.4, 0.6, 0.8 μmolm-2s-1 처리구에서는 정단의 꽃봉오리가 출현하지 않아 국화의 개화억제에 적색 발광다이오드의 적색광이 별다른 문제없이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적색광 강도 0.2 μmolm-2s-1 처리구에서는 측지의 꽃봉오리가 1개 출현하였고, 적색광 강도 0.4, 0.6, 0.8 μmolm-2s-1 처리구에서는 국화의 꽃봉오리 가 발생되지 않았다. 따라서, 국화 재배시 개화억제를 위한 안전한 적색광 한계강도는 0.4 μmolm-2s-1 이상인 것으로 판단된다.
잎들깨
전조 재배 시 광원별 소비전력 및 전기요금 비교
잎들깨 전조 재배 시 광원별 소비전력을 비교 분석한 것을 표 6에 나타내었다.
표 6. 잎들깨 전조 재배 시 백열등과 적색 발광 다이오드의 소비 전력 비교
적색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광질제어장치는 발광 다이오드 7개형, 14개형, 20개형의 소비전력이 각각 2.8W, 5.6W, 8.0W로 매우 작아 전국의 잎들깨 재배면적 600ha를 적색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광질제어장치로 대체할 경우 환산하면 백열등에 비해 각 발광 다이오드 7개형, 14개형, 20개형은 전력을 각각 36,978천Kwh, 30,930천Kwh, 25,746천Kwh 절감할 수 있으며 소비전력 절감율은 각각 86%, 72%, 60%이다.
잎들깨 전조 재배 시 광원별 전기요금을 비교 분석한 것을 표 7에 나타내었다.
표 7. 잎들깨 전조 재배 시 백열등과 적색 발광 다이오드의 전기요금 비교
적색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광질제어장치는 발광 다이오드 7개형, 14개형, 20개형의 소비전력이 각각 2.8W, 5.6W, 8.0W로 매우 작아 전국 잎들깨 재배면적 600ha를 적색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광질제어장치로 대체할 경우 환산하면(농사용 병 적용시) 백열등에 비해 발광다이오드 7개형, 14개형, 20개형은 전기요금을 각각 1,345백만원, 1,125백만원, 937백만원을 절감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므로, 잎들깨 재배 시 생산비를 상당 부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국화 전조 재배 시 광원별 소비전력 및 전기요금 비교
국화 전조 재배 시 광원별 소비전력을 비교 분석한 것을 표 8에 나타내었다.
표 8. 국화 전조 재배 시 백열등과 적색 발광 다이오드의 소비 전력 비교
적색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광질제어장치는 발광 다이오드 7개형, 14개형, 20개형의 소비전력이 각각 2.8W, 5.6W, 8.0W로 작아 전국의 국화 전조 재배 면적 400ha를 적색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광질제어장치로 대체할 경우 환산하면 백열등에 비해 발광다이오드 7개형, 14개형, 20개형은 전력을 각각 1,260천Kwh, 2,520천Kwh, 3,600천Kwh를 절감할 수 있으며 이때의 소비전력 절감율은 각각 92%, 83%, 76%이다.
국화 전조 재배 시 광원별 전기요금을 비교 분석한 것을 표 9에 나타내었다.
표 9. 국화 전조 재배 시 백열등과 적색 발광 다이오드의 전기요금 비교
적색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광질제어장치는 발광다이오드 7개형, 14개형, 20개형의 소비전력이 각각 2.8W, 5.6W, 8.0W로 작아 전국의 국화 전조 재배 면적 400ha를 적색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광질제어장치로 대체할 경우 환산하면(농사용 병 적용시) 백열등에 비해 발광 다이오드 7개형, 14개형, 20개형은 전기요금을 각각 332백만원, 301백만원, 275백만원을 절감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므로, 국화 재배 시 생산비를 일정부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반도체 특성을 가지고 있는 발광 다이오드는 발열이 되지 않고 특정한 광파장만을 발광하므로 전력소모가 매우 낮으며 직류전기의 전압이 12 ~ 24 volt를 주로 사용하므로 기기의 설치와 점검이 매우 안전하다. 또한 발 광 다이오드는 발광 특성상 좌우 방향으로 산란이 매우 적고 직진방향으로만 주로 발광하기 때문에 광 이용효율이 높고 설치된 시설 외의 장소로 광이 산란되지 않는 특성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잎들깨와 국화의 개화조절을 위한 광질제어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잎들깨와 국화의 개화조절을 위한 광질제어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잎들깨와 국화의 개화조절을 위한 광질제어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잎들깨와 국화의 개화조절을 위한 광질제어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잎들깨와 국화의 개화조절을 위한 광질제어장치의 회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잎들깨와 국화의 개화조절을 위한 광질제어장치의 설치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는 잎들깨의 광가역성을 실험하기 위한 시설 및 생육 상황을 도시한 사진 및 그래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잎들깨 개화조절을 위한 광질제어장치를 이용하여 일장연장 처리를 한 잎들깨 및 무처리된 잎들깨의 생육 및 개화 상황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12 내지 도 14는 국화의 광가역성을 실험하기 위한 시설 및 생육 상황을 도시한 사진 및 그래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국화 개화조절을 위한 광질제어장치를 이용하여 일장연장 처리를 한 국화 및 무처리된 국화의 생육 및 개화 상황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면의 주요 참조에 대한 간단한 설명*
1..적색 발광 다이오드 10,12,14..발광 다이오드 모듈
20..설치 브라켓 22..연결핀
30..전원공급부 32..변압기
34..직류변환조절기 36..저항조절기
Claims (10)
- 적색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잎들깨와 국화의 개화조절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잎들깨와 국화의 개화조절용 광질제어장치.
- 제 1항에 있어서,복수의 상기 적색 발광 다이오드가 유닛화 되어 있는 발광 다이오드 모듈과,발광 다이오드 모듈을 설치하기 위한 설치 브라켓과,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잎들깨와 국화의 개화조절용 광질제어장치.
- 제 2항에 있어서,상기 설치 브라켓은 복수개를 병렬로 연결하여 각 발광 다이오드 모듈을 구동시키기 위한 연결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잎들깨와 국화의 개화조절용 광질제어장치.
- 제 2항에 있어서,상기 전원공급부는 변압기와 직류변환조절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잎들깨와 국화의 개화조절용 광질제어장치.
- 제 2항에 있어서,상기 발광 다이오드의 빛 강도를 조절하기 위한 저항조절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잎들깨와 국화의 개화조절용 광질제어장치.
- 제 2항에 있어서,상기 적색 발광 다이오드의 조사 시간을 조절하기 위한 타이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잎들깨와 국화의 개화조절용 광질제어장치.
- 적색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광질제어장치를 이용하여 잎들깨의 개화를 조절하되, 적색 발광 다이오드의 광파장은 중심파장이 660nm이고 잎들깨의 적색광 강도는 0.177μmolm-2s-1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잎들깨 개화조절용 광질제어장치의 사용방법.
- 제 7항에 있어서,상기 적색 발광 다이오드의 조사 시간은 일장이 12시간 이하인 경우 일몰 후 6시간 동안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잎들깨 개화조절용 광질제어장치의 사용방법.
- 적색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광질제어장치를 이용하여 국화의 개화를 조 절하되, 적색 발광 다이오드의 광파장은 중심파장이 660nm이고 국화의 적색광 강도는 0.4μmolm-2s-1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화 개화조절용 광질제어장치의 사용방법.
- 제 9항에 있어서,상기 적색 발광 다이오드의 조사 시간은 일장이 12시간 이하인 경우 일몰 후 6시간 동안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화 개화조절용 광질제어장치의 사용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34722A KR20090109330A (ko) | 2008-04-15 | 2008-04-15 | 잎들깨와 국화의 개화조절을 위한 광질제어장치 및 그사용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34722A KR20090109330A (ko) | 2008-04-15 | 2008-04-15 | 잎들깨와 국화의 개화조절을 위한 광질제어장치 및 그사용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109330A true KR20090109330A (ko) | 2009-10-20 |
Family
ID=41552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34722A KR20090109330A (ko) | 2008-04-15 | 2008-04-15 | 잎들깨와 국화의 개화조절을 위한 광질제어장치 및 그사용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90109330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496613A (zh) * | 2018-01-24 | 2018-09-07 | 北京林业大学 | 一种控制切花菊侧枝伸长的方法 |
CN110199818A (zh) * | 2019-06-27 | 2019-09-06 | 浙江海丰花卉有限公司 | 一种基于补光技术的小菊栽培方法 |
-
2008
- 2008-04-15 KR KR1020080034722A patent/KR20090109330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496613A (zh) * | 2018-01-24 | 2018-09-07 | 北京林业大学 | 一种控制切花菊侧枝伸长的方法 |
CN110199818A (zh) * | 2019-06-27 | 2019-09-06 | 浙江海丰花卉有限公司 | 一种基于补光技术的小菊栽培方法 |
CN110199818B (zh) * | 2019-06-27 | 2021-09-03 | 浙江海丰花卉有限公司 | 一种基于补光技术的小菊栽培方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971623B2 (ja) | 光照射装置、イチゴ栽培システムおよびイチゴ栽培方法 | |
TWI590757B (zh) | Plant breeding lighting device and plant breeding method | |
JP5779678B2 (ja) | 植物栽培用ランプおよびこれを用いた植物栽培方法 | |
WO2012108365A1 (ja) | 照明装置、イチゴ栽培システムおよびイチゴ栽培方法 | |
WO2017087077A1 (en) | Photon modulation management system for stimulation of a desired response in birds | |
US11297775B1 (en) | LED grow light system with time varying light intensity | |
KR102285707B1 (ko) | 식물 재배용 광원을 이용한 식물 재배 장치 및 식물 재배 방법 | |
CN103168703A (zh) | 一种鸡舍自然光与led结合的补光方法与装置 | |
KR200467139Y1 (ko) | 유에스비 전원을 이용한 식물재배용 엘이디 램프 | |
KR101022385B1 (ko) | 농가보급형 작물의 광질제어장치 사용방법 | |
CN103557480A (zh) | 一种植物生长灯具 | |
KR101229389B1 (ko) | 식물생장조절을 위한 led 펄스조명 시스템 | |
KR20090109330A (ko) | 잎들깨와 국화의 개화조절을 위한 광질제어장치 및 그사용방법 | |
CN101676604B (zh) | 农场规模的光线质量控制设备 | |
KR101775778B1 (ko) | Led를 이용한 소형 분화국화 재배 방법 | |
CN216701355U (zh) | 一种自动养殖灯光系统 | |
JPH08228599A (ja) | 短日開花性植物の電照栽培方法 | |
KR102604933B1 (ko) | 식물생장조명장치 | |
JP6275432B2 (ja) | 胡蝶蘭栽培方法および胡蝶蘭用照明装置 | |
JP2005176798A (ja) | 植物の育成装置 | |
JP2022184664A (ja) | 日蔭用植物育成led照明装置 | |
CN203605085U (zh) | 一种植物生长灯具 | |
KR101022384B1 (ko) | 농가보급형 작물의 광질제어장치 | |
CN212936261U (zh) | 植物工厂炼苗用led光环境控制装置 | |
Yen et al. | Tissue culture of Anoectochilus Formosanus Hayata by combining fluorescent lamp and R-LEDs as light sourc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