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2385B1 - 농가보급형 작물의 광질제어장치 사용방법 - Google Patents
농가보급형 작물의 광질제어장치 사용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22385B1 KR101022385B1 KR1020080087493A KR20080087493A KR101022385B1 KR 101022385 B1 KR101022385 B1 KR 101022385B1 KR 1020080087493 A KR1020080087493 A KR 1020080087493A KR 20080087493 A KR20080087493 A KR 20080087493A KR 101022385 B1 KR101022385 B1 KR 10102238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ght emitting
- red light
- emitting diode
- light
- quality contro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4—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 A01G7/045—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with electric lighting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0—Forcing-frames; Lights, i.e. glass panels covering the forcing-fram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14—Measures for saving energy, e.g. in green hous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7/00—Plant husbandry
- Y10S47/06—Plant growth regulation by control of light there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otan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농가보급형 작물의 광질제어장치는 파장이 660nm인 적색광을 조사하여 광수용단백질인 파이토크롬(phytochrome)의 작용을 유도함으로써 작물의 생장을 조절할 수 있으며, 적색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하기 때문에 설치와 점검이 매우 안전하며 발광 특성상 좌우 방향으로 산란이 매우 적고 직진방향으로만 주로 발광하기 때문에 광 이용효율이 높고 설치된 시설 외의 장소로 광이 산란되지 않는다. 또한 전기요금을 종래에 비해 60~86% 줄여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일례로 잎들깨의 경우 광 강도를 0.177μmolm-2s-1 이상 조사할 경우 개화가 억제되고 생육이 건실해지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작물의 광질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적색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작물의 생육을 촉진하는 광질제어장치 사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광은 녹색식물의 광합성을 위한 에너지원이자 일장효과, 광주성과 광형태 형성을 위한 정보원이다. 식물에 조사되는 광 중 식물의 광형태 형성과 광합성 산물의 분배는 Red/Far-Red 비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Kasperbauer.1984), 건물 중 분배, 수용성 당, 엽의 전분 함량은 광질에 따라 파이토크롬(phytochrome)의 작용으로 달라진다고 한다(Kasperbauer 1989). 또한 일장 말미에 처리된 적색광, 초적색광에 의해 담배의 당, 유기산, 아미노산 함량에 변화를 초래한다(Kasperbauer 등 1970).
식물은 광수용단백질인 파이토크롬에 의해 적색광(660nm)과 초적색광(730nm) 변화를 감지한다. 파이토크롬은 불활성형인 Pr 형태로 존재하다가 적색광에 의해 활성형인 Pfr 형태로 전환되어 생물학적 반응을 유도하고 초적색광에 의해 다시 불활성형태인 Pr 형태로 전환된다. 이와 같이 적색광에 의해 가능한 반응이 초적색광 에 의해 무효화하고 이 반응이 반복적으로 가능한 것을 광가역성(photoreversibility)이라 한다. 광가역성 반응은 생물계에서 식물의 특정 반응에서만 나타나는 독특한 반응이다.
또한 적색광의 작물에 대한 생리작용으로는 고추의 초장 신장, 오이의 줄기 신장 촉진, 브로콜리(기내번식) 줄기의 육탄당 증가, 포도 캘러스의 안토시안 함량 감소, 튤립의 화경신장 촉진, 부추의 분얼수 증가, 사과의 안토시안 생성 감소, 접목묘(박과류)의 활착 증진, 도라지(배양묘)의 신장 촉진, 인삼의 광합성 증가 등이 알려져 있다.
현재까지 실용적으로 적색광을 작물에 조사할 수 있는 방법은 백열등, 전구식 형광등, 어업용 수은등 등의 광원에 적색광이 반사되는 적색비닐필름과 적색 색소를 첨가한 적색 차광망을 사용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한 광원들은 대부분 에너지 낭비가 커 전기소모량이 많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넓은 면적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증설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광원은 고온 다습한 환경에 항상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자주 교체해야 하는데 종래의 광원들은 교체 작업이 번거롭고 배선자재의 마모 등 감전의 위험이 상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광원의 증설 및 관리가 용이하며 적은 소비전력으로 작물의 생육을 증가시킬 수 있는 농가보급형 작물의 광질제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농가보급형 작물의 광질제어장치는 천장으로부터 매달아 설치되는 지지체와, 지지체의 둘레에 설치되는 적색 발광 다이오드 모듈을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농가보급형 작물의 광질제어장치의 지지체는 원뿔대 형상으로 마련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농가보급형 작물의 광질제어장치의 발광 다이오드 모 듈은 원뿔대 형상의 지지체 기둥면과 바닥면에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농가보급형 작물의 광질제어장치의 기둥면은 다면체로 마련되고, 각 면에 발광 다이오드 모듈이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농가보급형 작물의 광질제어장치의 지지체는 원뿔대 기둥면이 16면체로 마련되어, 바닥면과 함께 17면체를 형성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농가보급형 작물의 광질제어장치는 일면에 적색 발광 다이오드가 8개 부착된 발광다이오드 모듈이 전체 17면체에 136개 마련되어 발광하고, 200 ~ 230cm 높이에서 폭 6m 간격으로 적색광을 잎들깨에 0.215 ~ 0.331 μmol m-2s-1 강도로 조사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농가보급형 작물의 광질제어장치는 일면에 적색 발광 다이오드가 12개 부착된 발광다이오드 모듈이 전체 17면체에 204개 마련되어 발광하고, 200 ~ 230cm 높이에서 폭 6m 간격으로 적색광을 잎들깨에 0.215 ~ 0.361 μmol m-2s-1 강도로 조사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농가보급형 작물의 광질제어장치는 일면에 적색 발광 다이오드가 16개 부착된 발광다이오드 모듈이 전체 17면체에 272개 마련되어 발광하고, 200 ~ 230cm 높이에서 폭 6m 간격으로 적색광을 잎들깨에 0.277 ~ 0.466 μmol m-2s-1 강도로 조사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농가보급형 작물의 광질제어장치는 일면에 적색 발광 다이오드가 20개 부착된 발광다이오드 모듈이 전체 17면체에 340개 마련되어 발광 하고, 200 ~ 230cm 높이에서 폭 6m 간격으로 적색광을 잎들깨에 0.331 ~ 0.490 μmol m-2s-1 강도로 조사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농가보급형 작물의 광질제어장치는 일면에 적색 발광 다이오드가 24개 부착된 발광다이오드 모듈이 전체 17면체에 408개 마련되어 발광하고, 200 ~ 230cm 높이에서 폭 6m 간격으로 적색광을 잎들깨에 0.411 ~ 0.675 μmol m-2s-1 강도로 조사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농가보급형 작물의 광질제어장치의 17면체는 연직방향에 대해 35° 경사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작물의 광질제어장치는 일면에 적색 발광 다이오드가 4개 부착된 발광다이오드 모듈이 전체 17면체에 68개 마련되어 발광하고, 200 ~ 230cm 높이에서 4×2m 간격 2열로 적색광을잎들깨에 0.194 ~ 0.215 μmol m-2s-1 강도로 조사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농가보급형 작물의 광질제어장치는 일면에 적색 발광 다이오드가 8개 부착된 발광다이오드 모듈이 전체 17면체에 136개 마련되어 발광하고, 200 ~ 230cm 높이에서 4×2m 간격 2열로 적색광을잎들깨에 0.194 ~ 0.277 μmol m-2s-1 강도로 조사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농가보급형 작물의 광질제어장치는 일면에 적색 발광 다이오드가 12개 부착된 발광다이오드 모듈이 전체 17면체에 204개 마련되어 발광 하고, 200 ~ 230cm 높이에서 4×2m 간격 2열로 적색광을잎들깨에 0.215 ~ 0.361 μmol m-2s-1 강도로 조사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농가보급형 작물의 광질제어장치는 일면에 적색 발광 다이오드가 16개 부착된 발광다이오드 모듈이 전체 17면체에 272개 마련되어 발광하고, 200 ~ 230cm 높이에서 4×2m 간격 2열로 적색광을잎들깨에 0.277 ~ 0.361 μmol m-2s-1 강도로 조사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농가보급형 작물의 광질제어장치의 상기 17면체는 연직방향에 대해 45° 경사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농가보급형 작물의 광질제어장치 및 그 사용방법은 적색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하기 때문에 설치와 점검이 매우 안전하며, 발광 특성상 좌우 방향으로 산란이 매우 적고 직진방향으로만 주로 발광하기 때문에 광 이용효율이 높고 설치된 시설 외의 장소로 광이 산란되지 않는다. 또한 전기요금을 종래에 비해 60~86% 줄여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생육을 건실하다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농가보급형 작물의 광질제어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측면도이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광질제어장치는 중공을 가진 지지체(10)와, 지지체의 둘레로 설치되는 발광 다이오드 모듈(20)을 포함한다.
지지체(10)는 플라스틱 합성수지재로 마련되며, 하우스에서 재배되는 작물에 균일하게 광을 처리할 수 있도록 작물보다 높은 위치 예를 들어 천장에 매달아 작물에 광을 조사한다. 지지체(10)는 주위의 작물에 균일하게 광을 조사할 수 있도록 하향 경사진 면을 갖는 원뿔대 형상으로 마련된다.
원뿔대 형상의 지지체(10)는 실제 조립 시에는 제조 편의성을 위해 다면체로 구성된다. 예컨대, 원뿔대의 기둥면(14)을 다면체로 구성하게 되면 발광 다이오드 모듈(20) 및 PCB 기판 등의 설치가 용이해진다. 특히, 최소 16면체로 지지체(10)를 형성하게 되면, 작물 조사 시 직진성을 갖는 발광 다이오드의 단점인 조사 사각이 없어지게 된다.
지지체(10)는 몸체(11)와 뚜껑(13)으로 이루어진다. 몸체(11)는 하향 경사져 있는 기둥면(14)과 바닥면(15)을 포함하며, 뚜껑(13)은 몸체(11)의 상면을 커버한다. 방수를 위해 뚜껑(13)이 몸체(11)를 덮어씌우며, 그 사이에는 패킹(미도시)이 개재된다. 몸체(11)와 뚜껑(13)은 체결 볼트로 밑에서부터 위로 나사 체결된다.
원뿔대 형상의 지지체(10)에는 기둥면(14)과 바닥면(15)에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22)가 설치된다. 발광 다이오드(22)은 지름이 5mm이며 파장이 660nm 인 적색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하며, 실세 사용 시 작물 생장에 필요한 빛의 강도를 조절하기 용이하도록 복수개를 집적하여 모듈화한다.
한편, 본 발명의 광질제어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원공급장치(30) 를 포함한다. 전원공급장치(30)는 변압기(32)와 직류변환조절기(34)와 저항조절기(36)를 포함한다. 변압기(32)는 통상의 220V 교류 전기를 20~50V로 전압 강하하고, 직류변환조절기(34)는 2A 용량으로 교류를 직류로 변환시키며, 저항(전류)조절기(36)는 전류를 10~ 35A 까지 조절하여 발광 다이오드(22)의 광 강도를 조절한다. 또한 전원공급장치(30)는 디지털타이머(미도시)를 내장하여 발광다이오드 모듈(20)이 정해진 시간 동안 발광하게 할 수 있으며, 한 개의 전원조절기는 광질제어장치를 50 ~ 100개까지 연결하여 가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광질제어장치는 접속 커넥터(2)를 통해 인접하는 광질제어장치 및 외부전원과 쉽게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광질제어장치를 사용한 실시예로 잎들깨의 개화를 조절한 것을 예시한다. 여기서, 광질제어장치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잎들깨의 초관으로부터 200 ~ 230cm 높이에 설치하여 발광시키며, 지지체(10)는 17면체를 가지고 6m 간격으로 천장에 설치된다. 다면 지지체(10)를 6m 간격으로 설치하게 되면, 다면 지지체(10)의 기둥면은 광 조사 시 사각이 없도록 연직방향에 대해 35° 경사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17면체 표준형). 만일 다면 지지체(10)가 4×2m 간격으로 2열씩 설치되면, 광 조사 시 사각이 없도록 지지체(10)의 기둥면은 연직방향에 대해 45°경사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17면체 소형).
한편, 실험에 앞서 본 발명에 따른 적색 발광 다이오드의 광 파장을 측정한 결과 파장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단 620nm에서 최장 680nm까지 분포하며 중 심 피크 파장은 660nm였다.
[실시예 1]
잎들깨
개화의 광가역성(
Photoreversibility
)
잎들깨 생육과 개화에 대한 광가역성을 검토하기 위해 적색광과 초적색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하여 비닐하우스 내에서 광질별로 순차적으로 정식 직후부터 개화기까지 밤 11시부터 순차적으로 파야(night break) 처리한 후의 잎들깨 개화를 조사한 결과 잎들깨의 생식생장으로의 변화를 나타내는 꽃봉오리(화뢰)의 형성은 적색광에 의해 억제되었고 연이어 처리한 초적색광에 의해 다시 개화하였으며 그에 이은 적색광에 의해 개화가 다시 감소되어 잎들깨의 파야처리에 의한 개화반응도 광수용단백질인 파이토크롬(phytochrome)이 작용하여 광가역성을 나타낸 것으로 판단된다. 이 결과는 Downs(1956)의 결과와 일치한다.
광가역성 처리 후의 잎들깨 생육과 개화 특성은 아래 표 1과 같다.
표 1. 잎들깨 생육과 개화의 광가역성(Photoreversibility)
적색광 처리 직후 조사된 초적색광 처리에 의해 잎들깨의 초장은 증가하였으나 다시 연이어 처리한 적색광으로 엽수, 엽 생체중과 엽면적은 감소되었는데 이것은 초적색광에 의해 생식생장이 유기되어 잎의 출현이 억제된 결과로 판단된다.
[실시예 2]
일장연장 처리
적색광
강도별
잎들깨
생육 및 개화 특성
잎들깨의 개화조절에 적정한 적색광 강도를 검토하고자 온도와 광강도가 조절되는 인공 광환경 생육실 내에서 잎들깨를 정식 직후부터 일일 일장을 오전 6시부터 오후 5시까지 11시간으로 조절하고 적색광 처리구는 일일 일장 직후인 오후 6시부터 밤 12시까지 6시간 동안 적색광을 0.046, 0.114, 0.177 μmol m-2s-1 강도로 각각 처리하여 일장을 17시간으로 조절하는 처리를 하였다. 광조사 시간은 타이머를 이용하여 조절하였다.
무처리구를 일일 일장 11시간하에 배치시켜 단일조건이 유기되도록 조처한 후의 생육과 개화상황의 결과는 표 2와 같다.
표 2. 일장 연장처리 적색광 강도별 잎들깨 생육 및 개화특성
일장을 단일조건인 11시간으로 조절한 무처리구는 꽃봉오리가 발생되어 엽생체중과 엽면적이 적색광 처리구에 비해 감소되었고 일장연장을 위한 적색광 0.046, 0.114 μmolm-2s-1 처리구에서는 무처리보다는 수가 적었으나 꽃봉오리가 착생되었다. 적색광 0.177μmolm-2s-1 처리구에서는 잎들깨의 꽃봉오리는 발생되지 않고 영양생장을 유지하여 잎들깨 재배시 영양생장을 지속시켜 잎을 생산하기 위한 안전한 적색광 한계강도는 0.177μmolm-2s-1인 것으로 판단된다.
[실시예 3]
일장연장 처리
적색광
강도별
잎들깨
생육 및 개화 특성
일장(day length)을 연장하여 잎들깨의 영양생장에서 생식생장으로의 이행을 억제하고 영양생장을 지속시켜 잎 생장을 하기 위하여 현재 농가는 백열등, 전구식 형광등, 어업용 수은등 등 다양한 광원을 사용하며, 기본적으로는 모두 백색광원을 사용하고 있다. 기존의 백색광원과 660nm의 광파장만을 균일하게 발광하는 적색 발광다이오드의 일장연장 효과를 비교하고자 잎들깨를 재배하는 농가의 비닐하우스와 동일하게 환경을 조성하고 일장연장을 위한 광원을 달리하여 잎들깨의 개화와 생육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표 3과 같다.
표 3. 일장 연장처리 적색광 강도별 잎들깨 생육 및 개화특성
8월 5일 정식하여 재배하고 일장이 12시간 30분 이하로 짧아지는 8월 20일 이후 계속 생장시켜 10월 25일 조사한 무처리구(자연단일)는 일장의 단축으로 생식생장으로 이행하여 꽃봉오리가 착생하였다. 현재 재배농가가 사용중인 백열등과 적색 발광다이오드 처리구는 모두 개화하지 않고 영양생장만을 지속하며, 적색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적색광 처리는 백열등과 동일하게 잎들깨의 개화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무처리구(자연단일)의 초장, 엽수, 엽 생체중, 엽면적은 개화가 진행되어 백열등과 적색발광다이오드 처리에 비해 감소하였으며, 무처리구에서 엽령 6엽기 이후 잎을 계속 채취하면 개화 및 결실로 더 이상의 잎 생산이 불가능해졌다. 한편, 백열등과 적색광 처리구의 초장, 엽수, 엽 생체중과 엽면적은 적색광 처리구가 백열등 처리구보다 초장 3%, 엽수 12%, 엽 생체중 19%, 엽면적이 21%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종래의 백열등 처리와 적색 발광다이오드 광원 처리는 모두 정상적으로 개화하였고, 적색 발광다이오드 광원 처리구의 잎들깨의 초장, 엽수, 엽생 체중, 줄기생체중, 꽃 무게가 백열등보다 증가하였는데, 이것은 오후 6시부터 밤 12시까지 6시간 동안 일장연장 효과로 개화를 억제시킴과 함께 백열등과 적색광 하에서 광합성 작용이 진행되고 백색광보다 파장이 660nm인 적색광이 광합성 작용에 효율적이므로 적색발광다이오드 광원에 의한 적색광 처리구의 잎들깨의 생육이 백열등의 백색광 처리구보다 촉진되고 건실한 것으로 판단된다.
상기 결과를 토대로 적색 발광 다이오드를 한계강도인 0.177μmolm-2s- 1 에서 0.675μmolm-2s- 1 까지 잎들깨에 조사하였다. 강도가 0.675μmolm-2s- 1를 초과하면, 경 제성을 벗어난다.
표 4. 실험례
[실시예 4]
잎들깨
전조재배
시 광원별 소비전력 및 전기요금 비교
잎들깨 전조 재배 시 광원별 소비전력을 비교 분석한 것을 표 5에 나타내었다.
표 5. 잎들깨 전조 재배 시 백열등과 적색 발광 다이오드의 소비 전력 비교
광질제어장치는 17면체 표준형, 17면체 소형의 소비전력이 각각 4.6~13.8W 2.3~9.2W로 기존의 60Watt 백열등보다 매우 작아 전국 잎들깨 재배면적 1,270ha를 적색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광질제어장치로 대체할 경우 전력소모를 환산하면 백열등에 비해 광질제어장치는 17면체 표준형, 17면체 소형 각각 85,068천Kwh~70,861Kwh, 88,620~77,965Kwh를 절감할 수 있으며, 소비전력 절감율은 각각 92~76%, 96~84%로 추산된다.
잎들깨 전조 재배 시 광원별 전기요금을 비교 분석한 것을 표 4에 나타내었다.
표 5. 잎들깨 전조 재배 시 백열등과 적색 발광 다이오드의 전기요금 비교
광질제어장치는 17면체 표준형, 17면체 소형의 소비전력이 각각 4.6~13.8W, 2.3~9.2W로 기존의 60Watt 백열등보다 매우 작아 전국 잎들깨 재배면적 1,270ha를 적색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광질제어장치로 대체할 경우 전기요금을 농사용 을로 환산하면 백열등에 비해 광질제어장치는 17면체 표준형, 17면체 소형은 전력소모를 각각 2,237~1,864백만원, 2,331~2,050백만원을 절감할 수 있으며, 전기요금 절감율은 각각 88~73%, 91~80%, 86~72%로 추산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농가보급용 작물 광질제어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농가보급용 작물 광질제어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농가보급용 작물 광질제어장치의 회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농가보급용 작물 광질제어장치의 사용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농가보급용 작물 광질제어장치에 사용되는 적색 발광 다이오드의 광파장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면의 주요 참조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포스트 10..지지체
11..몸체 12..중공
13..뚜껑 14..기둥면
20..발광 다이오드 모듈 22..발광 다이오드
30..전원공급장치
Claims (16)
- 천장으로부터 매달아 설치되며 다면체로 형성된 기둥면과 바닥면을 포함하는 원뿔대 형상의 지지체와, 상기 기둥면에 적색 발광 다이오드 모듈을 구비하는 광질제어장치를 구비하되,상기 지지체는 기둥면이 16면체로 마련되고 연직방향에 대해 35° 경사 설치되며, 바닥면과 함께 17면체를 형성하고,일면에 적색 발광 다이오드가 8개 부착된 상기 발광다이오드 모듈은 전체 17면체에 136개 마련되어 발광하고, 200 ~ 230cm 높이에서 폭 6m 간격으로 적색광을 잎들깨에 0.215 ~ 0.331 μmol m-2s-1 강도로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가보급형 작물의 광질제어장치 사용방법.
- 천장으로부터 매달아 설치되며 다면체로 형성된 기둥면과 바닥면을 포함하는 원뿔대 형상의 지지체와, 상기 기둥면에 적색 발광 다이오드 모듈을 구비하는 광질제어장치를 구비하되,상기 지지체는 기둥면이 16면체로 마련되고 연직방향에 대해 35° 경사 설치되며, 바닥면과 함께 17면체를 형성하고,일면에 적색 발광 다이오드가 12개 부착된 상기 발광다이오드 모듈은 전체 17면체에 204개 마련되어 발광하고, 200 ~ 230cm 높이에서 폭 6m 간격으로 적색광을 잎들깨에 0.215 ~ 0.361 μmol m-2s-1 강도로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가보급형 작물의 광질제어장치 사용방법.
- 천장으로부터 매달아 설치되며 다면체로 형성된 기둥면과 바닥면을 포함하는 원뿔대 형상의 지지체와, 상기 기둥면에 적색 발광 다이오드 모듈을 구비하는 광질제어장치를 구비하되,상기 지지체는 기둥면이 16면체로 마련되고 연직방향에 대해 35° 경사 설치되며, 바닥면과 함께 17면체를 형성하고,일면에 적색 발광 다이오드가 16개 부착된 상기 발광다이오드 모듈은 전체 17면체에 272개 마련되어 발광하고, 200 ~ 230cm 높이에서 폭 6m 간격으로 적색광을 잎들깨에 0.277 ~ 0.466 μmol m-2s-1 강도로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가보급형 작물의 광질제어장치 사용방법.
- 천장으로부터 매달아 설치되며 다면체로 형성된 기둥면과 바닥면을 포함하는 원뿔대 형상의 지지체와, 상기 기둥면에 적색 발광 다이오드 모듈을 구비하는 광질제어장치를 구비하되,상기 지지체는 기둥면이 16면체로 마련되고 연직방향에 대해 35° 경사 설치되며, 바닥면과 함께 17면체를 형성하고,일면에 적색 발광 다이오드가 20개 부착된 상기 발광다이오드 모듈은 전체 17면체에 340개 마련되어 발광하고, 200 ~ 230cm 높이에서 폭 6m 간격으로 적색광을 잎들깨에 0.331 ~ 0.490 μmol m-2s-1 강도로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가보급형 작물의 광질제어장치 사용방법.
- 천장으로부터 매달아 설치되며 다면체로 형성된 기둥면과 바닥면을 포함하는 원뿔대 형상의 지지체와, 상기 기둥면에 적색 발광 다이오드 모듈을 구비하는 광질제어장치를 구비하되,상기 지지체는 기둥면이 16면체로 마련되고 연직방향에 대해 35° 경사 설치되며, 바닥면과 함께 17면체를 형성하고,일면에 적색 발광 다이오드가 24개 부착된 상기 발광다이오드 모듈은 전체 17면체에 408개 마련되어 발광하고, 200 ~ 230cm 높이에서 폭 6m 간격으로 적색광을 잎들깨에 0.411 ~ 0.675 μmol m-2s-1 강도로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가보급형 작물의 광질제어장치 사용방법.
- 천장으로부터 매달아 설치되며 다면체로 형성된 기둥면과 바닥면을 포함하는 원뿔대 형상의 지지체와, 상기 기둥면에 적색 발광 다이오드 모듈을 구비하는 광질제어장치를 구비하되,상기 지지체는 기둥면이 16면체로 마련되고 연직방향에 대해 45° 경사 설치되며, 바닥면과 함께 17면체를 형성하고,일면에 적색 발광 다이오드가 4개 부착된 상기 발광다이오드 모듈은 전체 17면체에 68개 마련되어 발광하고, 200 ~ 230cm 높이에서 4×2m 간격 2열로 적색광을 잎들깨에 0.194 ~ 0.215 μmol m-2s-1 강도로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가보급형 작물의 광질제어장치 사용방법.
- 천장으로부터 매달아 설치되며 다면체로 형성된 기둥면과 바닥면을 포함하는 원뿔대 형상의 지지체와, 상기 기둥면에 적색 발광 다이오드 모듈을 구비하는 광질제어장치를 구비하되,상기 지지체는 기둥면이 16면체로 마련되고 연직방향에 대해 45° 경사 설치되며, 바닥면과 함께 17면체를 형성하고,일면에 적색 발광 다이오드가 8개 부착된 상기 발광다이오드 모듈은 전체 17면체에 136개 마련되어 발광하고, 200 ~ 230cm 높이에서 4×2m 간격 2열로 적색광을 잎들깨에 0.194 ~ 0.277 μmol m-2s-1 강도로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가보급형 작물의 광질제어장치 사용방법.
- 천장으로부터 매달아 설치되며 다면체로 형성된 기둥면과 바닥면을 포함하는 원뿔대 형상의 지지체와, 상기 기둥면에 적색 발광 다이오드 모듈을 구비하는 광질제어장치를 구비하되,상기 지지체는 기둥면이 16면체로 마련되고 연직방향에 대해 45° 경사 설치되며, 바닥면과 함께 17면체를 형성하고,일면에 적색 발광 다이오드가 12개 부착된 상기 발광다이오드 모듈은 전체 17면체에 204개 마련되어 발광하고, 200 ~ 230cm 높이에서 4×2m 간격 2열로 적색광을 잎들깨에 0.215 ~ 0.361 μmol m-2s-1 강도로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가보급형 작물의 광질제어장치 사용방법.
- 천장으로부터 매달아 설치되며 다면체로 형성된 기둥면과 바닥면을 포함하는 원뿔대 형상의 지지체와, 상기 기둥면에 적색 발광 다이오드 모듈을 구비하는 광질제어장치를 구비하되,상기 지지체는 기둥면이 16면체로 마련되고 연직방향에 대해 45° 경사 설치되며, 바닥면과 함께 17면체를 형성하고,일면에 적색 발광 다이오드가 16개 부착된 상기 발광다이오드 모듈은 전체 17면체에 272개 마련되어 발광하고, 200 ~ 230cm 높이에서 4×2m 간격 2열로 적색광을 잎들깨에 0.277 ~ 0.361 μmol m-2s-1 강도로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가보급형 작물의 광질제어장치 사용방법.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87493A KR101022385B1 (ko) | 2008-09-04 | 2008-09-04 | 농가보급형 작물의 광질제어장치 사용방법 |
CN2009101668955A CN101676604B (zh) | 2008-09-03 | 2009-09-03 | 农场规模的光线质量控制设备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87493A KR101022385B1 (ko) | 2008-09-04 | 2008-09-04 | 농가보급형 작물의 광질제어장치 사용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28446A KR20100028446A (ko) | 2010-03-12 |
KR101022385B1 true KR101022385B1 (ko) | 2011-03-22 |
Family
ID=42179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87493A KR101022385B1 (ko) | 2008-09-03 | 2008-09-04 | 농가보급형 작물의 광질제어장치 사용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22385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2577815A (zh) * | 2012-03-12 | 2012-07-18 | 谭国华 | 一种茉莉种苗快繁方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542065A (zh) * | 2014-12-25 | 2015-04-29 | 北京林业大学 | 一种装备三维程控led照明系统的植物培养箱 |
CN105918090A (zh) * | 2016-05-16 | 2016-09-07 | 句容市绿润苗木有限公司 | 北方寒冷地区葡萄无土种植方法 |
CN105972499B (zh) * | 2016-06-20 | 2018-07-20 | 中国计量大学 | 一种led植物补光装置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266703A (ja) * | 1998-03-23 | 1999-10-05 | Mitsubishi Chemical Corp | 電照栽培用ランプ |
-
2008
- 2008-09-04 KR KR1020080087493A patent/KR10102238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266703A (ja) * | 1998-03-23 | 1999-10-05 | Mitsubishi Chemical Corp | 電照栽培用ランプ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2577815A (zh) * | 2012-03-12 | 2012-07-18 | 谭国华 | 一种茉莉种苗快繁方法 |
CN102577815B (zh) * | 2012-03-12 | 2013-07-10 | 谭国华 | 一种茉莉种苗快繁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28446A (ko) | 2010-03-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172296B2 (en) | Method for enhancing the nutritional value in an edible plant part by light, and lighting device therefore | |
JP2020115880A (ja) | 光子変調管理システム | |
US11297707B2 (en) | Lighting for root growth | |
CN111182786A (zh) | 植物栽培用光源 | |
KR102285707B1 (ko) | 식물 재배용 광원을 이용한 식물 재배 장치 및 식물 재배 방법 | |
KR101022385B1 (ko) | 농가보급형 작물의 광질제어장치 사용방법 | |
JP2020528281A (ja) | 植物成長のための覚醒光の最適化 | |
CN102438373A (zh) | 色温可调节的工厂化鱼类养殖发光二极管照明系统 | |
CN202349792U (zh) | 色温可调节的工厂化鱼类养殖发光二极管照明系统 | |
JP6727496B2 (ja) | ブドウの栽培方法及びブドウ栽培用照明装置 | |
JP5282244B2 (ja) | 害虫防除具 | |
JP4928143B2 (ja) | 花きの栽培方法,植物の栽培方法,花き栽培用照明装置および植物栽培用照明装置 | |
KR101022386B1 (ko) | 작물의 광질제어장치 사용방법 | |
KR101022384B1 (ko) | 농가보급형 작물의 광질제어장치 | |
KR20090109330A (ko) | 잎들깨와 국화의 개화조절을 위한 광질제어장치 및 그사용방법 | |
CN101676604B (zh) | 农场规模的光线质量控制设备 | |
KR101775778B1 (ko) | Led를 이용한 소형 분화국화 재배 방법 | |
KR101267074B1 (ko) | 광합성 식물의 생장촉진을 위한 광강도 제어 장치 및 방법 | |
JP2014147373A (ja) | 植物栽培方法 | |
JP7236186B1 (ja) | 植物栽培方法、及び植物栽培装置 | |
JP7157489B1 (ja) | 植物栽培方法、及び植物栽培装置 | |
JPH08228599A (ja) | 短日開花性植物の電照栽培方法 | |
KR20120043983A (ko) | 포도밭용 조명등 | |
JP2007252211A (ja) | 長日開花植物の開花抑制装置およびその方法 | |
JP2023084091A (ja) | 植物栽培方法、及び植物栽培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0701 Year of fee payment: 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