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6944A - 휴대 단말기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6944A
KR20090106944A KR1020080032364A KR20080032364A KR20090106944A KR 20090106944 A KR20090106944 A KR 20090106944A KR 1020080032364 A KR1020080032364 A KR 1020080032364A KR 20080032364 A KR20080032364 A KR 20080032364A KR 20090106944 A KR20090106944 A KR 200901069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touch sensing
sensing unit
electrode pattern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2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80454B1 (ko
Inventor
권성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800323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0454B1/ko
Priority to TW098102877A priority patent/TWI541568B/zh
Priority to EP09002438.1A priority patent/EP2096525B1/en
Priority to US12/395,172 priority patent/US8269732B2/en
Publication of KR200901069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69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04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04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specially treated, e.g. irradi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8Interconnection of layers by mechanic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1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synthetic resin layer or on natural or synthetic rubbe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0Inorganic coating
    • B32B2255/205Metall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감지부를 갖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감지부, 터치감지부의 하측에 위치되는 디스플레이, 터치감지부와 디스플레이 사이의 에어 갭(air gap)을 소거하도록 터치감지부와 디스플레이를 접착시키는 접착층 및, 디스플레이의 하면과 디스플레이를 감싸는 케이스 사이에 배치되는 완충부재를 포함함으로써, 빛이 경계면에서의 반사되는 정도를 줄이고, 밝은 곳에서 디스플레이의 시인성을 높일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보호한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에 대하여 터치입력을 할 수 있도록 터치감지부를 갖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하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휴대 단말기는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잡한 기능들을 갖추고 있으며, 이들은 종합적으로 탑재되어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를 구현하기도 한다.
이러한 멀티 미디어 기기에는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면에서 새로운 다양한 시도들이 적용되고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이 제공되고 있다.
이를 위하여, 휴대 단말기에는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는 항목 또는 선택 가 능한 기능을 곧바로 입력 또는 동작시킬 수 있도록 터치감지수단을 갖추기도 한다. 그런데, 휴대 단말기는 어두운 장소보다는 눈부신 야외의 햇빛 아래 또는 밝은 조명 아래에서 작은 디스플레이를 보는 일이 많은 반면, 디스플레이에 이르는 동안 터치감지부의 여러 층을 거치게 되는데, 각층은 굴절률의 차이가 있으므로 경계면의 반사에 의한 디스플레이의 시인성 저하가 문제된다.
본 발명은 터치감지부을 통과하는 동안 빛이 경계면에서의 반사되는 정도를 최소화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의 시인성을 높이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경계면 반사를 줄이기 위하여 터치감지부를 디스플레이에 밀착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가 외부의 충격을 받는 것을 최소화시키는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예와 관련된 휴대 단말기는,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감지부와, 터치감지부의 하측에 위치되는 디스플레이와, 터치감지부와 디스플레이 사이의 에어 갭(air gap)을 소거하도록 터치감지부와 디스플레이를 접착시키는 접착층 및, 디스플레이의 하면과 디스플레이를 감싸는 케이스 사이에 배치되는 완충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터치감지부는 상면에 투명한 전극패턴이 형성되고, 하면에 투명한 쉴드패턴이 형성된 글래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터치감지부는 상면에 투명한 제1전극패턴이 형성된 제1필름과, 하면에 투명한 제2전극패턴이 형성되며 제1전극패턴과 제2전극패턴이 일정 갭을 두고 마주볼 수 있게 제1필름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제1필름과 제2필름의 사이에는 액상의 충전층이 채워질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터치감지부의 상면 또는 하면 중 적어도 하나에는 AR(Anti-Reflection)코팅층이 추가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완충부재는 케이스에 직접 접촉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완충부재는 케이스에 완충성이 있는 접착층에 의하여 접착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완충부재는 디스플레이에 완충성이 있는 접착층에 의하여 접착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케이스는 디스플레이를 감쌀 수 있게 측벽이 형성되고, 측벽에는 디스플레이를 상하로 가이드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디스플레이의 테두리에는 가이드홈에 구속되어 이동될 수 있게 형성되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케이스의 내벽에는 디스플레이가 일정 한도로 내려왔을 때 디스플레이의 추가적인 이동을 제한하는 이동 제한턱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터치감지부와 케이스 사이에는 터치감지부와 케이스 사이의 틈을 가리는 가림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가림부재는 러버 또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는 터치감지부가 디스플레이에 접착층에 의하여 직접 밀착되므로 굴절률의 편차가 줄어들게 되어 디스플레이의 시인성이 개선된다.
터치감지부에 일체화된 디스플레이는 완충부재에 의하여 외부의 충격을 완화시키므로 디스플레이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1에 의하면, 휴대 단말기(1)는 단말기바디(10)를 구비하고 있으며, 단말기바디(10)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들(11,12,13)을 구비하고 있다. 다만, 단말기 바디(10)의 형태는 도 1에 개시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케이스들(11,12,13)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프론트 케이스(11)에는 터치감지부(30), 음향 출력부(15), 제1영상입력부(16) 및 제1조작부(17)가 배치될 수 있다.
터치감지부(30)는 입력을 위한 터치를 감지한다. 터치감지부(30) 상의 어느 한 곳에 대하여 터치가 있으면 그 터치된 위치에 대응하는 키값이 입력된다. 터치 감지부(30)를 통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문자 또는 숫자이거나, 각종 모드에서의 지시 또는 지정 가능한 메뉴항목 등일 수 있다. 터치감지부(30)는 내부의 디스플레이(40)가 보일 수 있도록 투광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40)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모듈, 이페이퍼(e-paper) 등을 포함한다.
음향 출력부(15)는 리시버(Receiver) 또는 스피커(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조작부(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7)는 터치감지부(30)와 구별되어 전용 입력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제1조작부(17)는 푸시 방식의 키 또는 버튼 형태로 형성되거나, 터치감지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1영상입력부(16)는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말기바디(10)의 측면에는 제2조작부(18), 음향입력부(14)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조작부(18)는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라 통칭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작부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면에서, 제1조작부(17)는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고, 제2조작부(18)는 조절가능한 상태량(볼륨, 밝기, 메뉴의 탐색 등)의 조절, 제1영상입력부(16)의 활성화 등과 같은 특수한 기능을 수행하는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
음향입력부(14)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받기 위해,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Microphone)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말기바디(10)의 일측에는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9)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안테나(19)는 동작대역에 맞는 충분한 길이를 확보하기 위하여 단말기바디(10)로부터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거나, 단말기바디(10)의 내부에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리어 케이스(13)의 후면에는 제2영상입력부(23)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제2영상입력부(23)는 제1영상입력부(16)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영상입력부(16)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영상입력부(16)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화소를 가지며, 제2영상입력부(23)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영상입력부(23)에 인접하게는 플래쉬(24)와 거울부(25)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플래쉬(24)는 제2영상입력부(23)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부(25)는 사용자가 제2영상입력부(23)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단말기바디(10)의 측면에는 외부 인터페이스(22)가 배치될 수 있다. 외부 인터페이스(22)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외부 인터페이스(22)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등}, 또는 휴대 단말기(1)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외부 인터페이스(22)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소켓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3)에는 음향출력수단이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추가된 음향출력수단은 프론트 케이스(11)에 설치된 음향 출력부(15)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폰 모드로 통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미들 케이스(12)의 위쪽 장착면에는 디스플레이(40)를 지지하기 위한 측벽(27)이 형성되어 있다.
터치감지부(30)와 디스플레이(40)는 접착에 의하여 일체화된 형태로 형성되 어 있다. 터치감지부(30)의 상부에는 디스플레이(40)와 일체화된 터치감지부(30)가 터치동작 또는 충격에 의하여 상하로 이동됨에 따라 발생되는 틈을 효과적으로 가릴 수 있도록 가림부재(6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가림부재(60)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러버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미들 케이스(12)의 측벽(27)에는 터치감지부(30) 및 터치감지부(30)에 일체화된 디스플레이(4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상하로 형성된 가이드홈(28)이 형성되어 있으며, 디스플레이(40)의 테두리에는 가이드홈(28)에 구속되어 상하 이동되는 가이드돌기(41)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터치감지부(30)와 디스플레이(40)와의 틈으로 인해 터치감지부(30)에 대하여 터치시 또는 충격에 의해 디스플레이(40) 또는 터치감지부(30)가 미들 케이스(12)의 측벽(27)에 마찰되어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휴대 단말기의 단면도이다. 도 4에 의하면, 도시된 휴대 단말기(100)는 위에서부터 외부 보호층(135), 터치감지부(130), 제1접착층(136), 디스플레이(140), 완충부재(150) 및 제2접착층(151)을 포함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터치감지부(130)는 투광성의 글래스(133)를 포함하며, 글래스(133)의 상면에는 투명한 전극패턴(131)이 형성되고 하면에는 투명한 쉴드패턴(132)이 형성된다. 전극패턴(131)은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전극을 포함하고 있으며, 보호층(135)에 터치가 가해질 때 해당부위의 정전용량(capacitance)의 변화를 감지하여 이를 입력신호로 받아들인다.
제1접착층(136)은 터치감지부(130)와 디스플레이(140) 사이에 에어갭(air gap)을 소거할 수 있도록 터치감지부(130)와 디스플레이(140)를 밀착시킴으로써 터치감지부(130)와 디스플레이(140) 사이의 급격한 굴절률의 변화를 완화시킨다. 즉, 터치감지부(130)와 디스플레이(140) 사이에 굴절률이 상대적으로 낮은 에어 갭이 있는 경우, 빛이 터치감지부에서 에어 갭으로 진행하는 동안 및 에어 갭에서 디스플레이로 진행하는 동안 굴절률이 급격히 변할 수 있으므로, 굴절률이 상대적으로 높은 제1접착층(136)으로 에어갭을 대체함으로써 재질간 굴절률의 편차를 완화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100)의 주변이 밝을 때 디스플레이(140)의 시인성이 저하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줄인다.
디스플레이(140)가 터치감지부(130)에 제1접착층(136)에 의하여 일체화됨으로써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외부의 충격은 완충부재(150)에 의하여 완화된다. 즉, 디스플레이의 하부에는 완충부재(150)가 구비됨으로써 터치감지부(130)에 대하여 터치시 또는 충격이 있을 때 디스플레이(140)가 깨지는 것을 방지한다. 완충부재(150)는 다공성의 수지재질, 고무 또는 스프링 등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 의하면, 완충부재(150)와 케이스(101)에 제2접착층(151)에 의하여 부착되어 있으며, 완충부재(150)는 케이스(101)에 직접 접촉되게 배치되어 있다. 제2접착층(151)은 자체적으로 완충성이 있도록 탄성이 있는 수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예로서, 휴대 단말기의 단면도이다. 도 5에 의하면, 위의 실시예와 같이 터치감지부(230)와 디스플레이(240)는 제1접착층(236)에 의하여 일체화되고 있다. 완충부재(250)와 케이스(204)는 제2접착층(251)으로 접착되어 있으며, 완충부재(250)와 디스플레이(240)는 제3접착층(252)에 의하여 접착되어 있다. 여타의 구성은 위의 실시예 설명과 유사하며 본 실시예의 휴대 단말기(200) 또한 위의 실시예에 개시된 특징을 모두 보유할 수 있다. 제3접착층(252)은 자체적으로 완충성이 있도록 탄성이 있는 수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또 다른 예로서, 휴대 단말기의 단면도이다. 도 6에 의하면, 터치감지부(330)와 케이스(301)의 틈에 의해 터치감지부(330)에 터치시 디스플레이(34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가이드홈(328) 및 가이드돌기(341) 구조가 포함되어 있다. 디스플레이(340)의 하부에는 터치감지부(330)에 일체화된 디스플레이(340)의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완충부재(350)가 구비된다.
케이스(301)의 테두리 상단에는 터치감지부(330)가 눌렸을 때 터치감지부(330)가 케이스(301)와의 틈이 보이지 않도록 가림부재(360)가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디스플레이(340)의 하부에는 디스플레이(340)가 일정 한도로 내려왔을 때 디스플레이(340)의 추가적인 이동을 제한하는 이동 제한턱(302)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340)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면서도 과도한 이동을 제한함으로써 외관이 저해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또 다른 예로서, 휴대 단말기의 단면도이다. 도 7에 의하면, 터치감지부(430)는 상면에 투명한 제1전극패턴(431)이 형성된 제1필름(433)과, 하면에 투명한 제2전극패턴(432)이 형성되며 제1전극패턴(431)과 제2전극패턴(432)이 일정 갭을 두고 마주볼 수 있게 제1필름(433)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필름(434)으로 이루어져 있다.
터치감지부(430)의 하부에는 투광성의 지지 베이스(470)가 구비되며, 지지 베이스(470)의 하부에 디스플레이(440)가 구비된다. 제1필름(433)과 베이스(470) 사이, 제2필름(434)과 보호층(435) 사이 및 베이스(470)와 디스플레이(440) 사이에는 접착층(436,437,471)에 의하여 각각 채워진다.
디스플레이(440)의 하부에는 터치감지부(430)에 일체화된 디스플레이(440)의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완충부재(450)와, 디스플레이(440)가 일정 한도로 내려왔을 때 디스플레이(440)의 추가적인 이동을 제한하는 이동 제한턱(402)이 형성되어 있다.
보호층(435)의 상부에는 AR(Anti-Reflection)코팅층(472)이 추가적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감지부(430)의 표면에서 반사되는 반사광을 줄일 수 있다. 특히, 보호층(또는 윈도우)(435)의 경우, 입사되는 빛을 반사시키는 양이 상당(대략 20%)하고, 그 결과 디스플레이(440)의 상을 식별하는데 지장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AR코팅층(472)을 통하여 이를 개선시키는 것이다.
제1필름(433) 또는 제2필름(434)은 제1전극패턴(431) 또는 제2전극패턴(431)이 증착 등에 의하여 지지되는 투광성의 부재로서, 예를 들어 굴절률이 약 1.6인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굴절률이 약 1.5인 PMMA(PolyMethylMethAcrylate)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필름(또는 시트)(433)의 상면에는 투광성의 제1전극패턴(431)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2필름(434)의 하면에는 투광성의 제2전극패턴(432)이 형성된다. 제1필름(433)과 제2필름(434)은 일정 갭(g)을 두고 이격되어 있으며, 갭(g)을 유지시키 기 위해 스페이서(spacer; 438)가 군데군데 배치된다.
제1전극패턴(431)과 제2전극패턴(432)은 터치된 위치를 감지할 수 있게 패턴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전극패턴(432)이 복수의 세로 라인 형태로 형성된다면, 제2전극패턴(432)은 복수의 가로 라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들 전극패턴(431,432)은 ITO(Indume Tin Oxide)와 같은 물질이 제1필름(433) 및 제2필름(434)에 각각 증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스페이서(438)는 볼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며, 보호층(435)에 가해진 압력에 의하여 갭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게 구현될 수 있다.
충전층(439)은 제1전극패턴(431)과 제2전극패턴(432) 사이의 갭에 채워지며, 제1 및 제2전극패턴(431)과 갭 사이의 굴절률 차이를 완화시킨다. 이러한 충전층(439)은 제1전극패턴(431)과 제2전극패턴(431) 사이에 공기로만 채워짐으로써 발생하는 급격한 굴절률의 차이를 줄여줌으로써 터치감지부(430)에 의한 디스플레이(440)의 시인성 저하를 최소화한다.
충전층(439)의 가장자리에는 충전층(439)이 새지 않도록 밀폐부가 구비될 수 있다. 밀폐부는 씰프린팅(seal printing) 방법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밀폐부의 외측에는 접착제 또는 접착테잎에 의하여 마무리된다. 이러한 접착제 또는 접착테잎은 충전층(439)이 새지 않으면서 간격을 견고하게 유지시킨다.
제1전극패턴(431)과 제2전극패턴(432)은 동일한 굴절률을 가질 수 있으며, 갭(g)에 충전되는 충전층(439)은 액상(液狀)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공기보다는 큰 굴절률이 제공되므로, 빛이 제1전극패턴(431)과 충전층(439) 사이의 경계면에서 반 사되는 정도를 낮춘다. 이러한 배치는 제2전극패턴(432)과 충전층(439) 사이의 경계면에서도 유사하게 적용된다.
특정 부위가 터치에 의하여 제1필름(433)에 압력이 전달되면 그 위치에서 제1필름(433)이 변형되면서 그 부위의 제1전극패턴(431)이 제2전극패턴(432)에 접촉하게 되고 이 전기적 신호를 저항치로 인식하여 해당 내용을 입력하게 된다.
제1전극패턴(431)과 제2전극패턴(432)은 터치시 면저항을 줄일 수 있도록 돌출된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8에 의하면, 제1전극패턴(431) 및 제2전극패턴(432)은 봉우리 형태의 단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특정 부위에 터치되어 압력이 발생시 충전층(439) 자체에 의한 저항을 적게 받으면서 용이하게 제1전극패턴(431)과 제2전극패턴(432)이 접촉(또는 단락)되도록 제1전극패턴(431)과 제2전극패턴(432)의 형상이 조정된 것이다. 따라서, 터치감지부에 대하여 터치시 응답속도가 지연되는 것을 최소화한다. 제1전극패턴(131) 및 제2전극패턴(131)은 ITO와 같은 전도성 메탈을 복수의 증착에 의해 형성시킴으로써 보다 뾰족한 형상을 얻을 수 있다.
금속 재질이 포함됨으로써 일반적으로 굴절률이 1.8 이상이 되는 제1전극패턴(431) 및 제2전극패턴(432)과 굴절률이 1인 에어 갭 사이의 차이는 0.8 정도가 되므로, 이러한 굴절률의 차이에 의하여 발생하는 경계면에서의 빛의 반사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에어갭에 충전층(439)이 채워진다. 충전층(439)으로 물이 사용되는 경우, 물의 굴절률이 1.33이므로 에어갭으로 이루어진 경우에 비해 굴절률이 차이가 그만큼 작아질 수 있고, 경계면에서의 빛의 반사는 줄어든다. 또한, 액상으로 이루어진 충전층(439)은 또한 에어갭보다 제1전극패턴(431)과 제2전극패턴(432) 사이의 간격을 복원시키는 능력이 우수하므로 사용자 또는 물체에 의하여 터치감지부(430)가 눌려짐으로써 발생하는 뉴터닝(newtoning) 현상(전극패턴과 인접 전극패턴이 눌러붙어 얼룩이 있는 것처럼 보이는 현상)을 개선시킨다.
보다 경계면 반사를 줄일 수 있도록 제1전극패턴(431) 및 제2전극패턴(432)과 충전층(439) 사이는 굴절률 차이를 0.5 이하로 함으로써 터치감지부(430)의 투과율을 높일 수 있다. 일 예로, 제1전극패턴(431) 및 제2전극패턴(432)은 굴절률이 2인 ITO(Indume Tin Oxide)이고, 충전층은 굴절률이 1.6인 액정(liquid crystal)일 수 있다. 액정은 비저항값이 크므로 ITO로 이루어진 제1전극패턴(431)와 제2전극패턴(432) 사이의 누설 전류가 작기 때문에 터치감지부(430)의 정상적인 동작을 방해하지 않는다.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터치감지부를 이루는 각 층의 굴절률을 예시한 도표이다. 만약, 제1전극패턴(431)과 제2전극패턴(432)이 에어인 경우 공기의 굴절률은 1이므로 터치감지부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층간 굴절률 차이는 최대 1이 됨에 반해, 도 8과 같이 충전층(439)을 채웠을 경우, 층간 굴절률 차이는 최대 0.4가 된다. 그만큼 터치감지부(430)의 투과율이 높아지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시된 본 발명의 일예는 무선통신 모듈(81), 조작부(17,18,30), 영상 입력부(16,23), 음향입력부(14), 디스플레이(40), 음향 출력부(15), 외부 인터페이스(22), 방송 수신부(85), 메모리(84), 전원공급부(20), 제어부(80)를 포함하여 이 루어진다.
제어부(80)는 통상적으로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무선통신 모듈(81)은 안테나(86)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80)의 제어 하에 음성 데이터, 문자 데이터, 영상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의 송수신을 담당하며 이를 위해 송신할 신호를 변조하여 송신하는 송신부(82)와,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하는 수신부(83)를 포함한다.
조작부(17,18,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데이터를 제어부(80)에 제공한다.
영상 입력부(16,23)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40)에 표시 가능한 영상 데이터로 변환되어 디스플레이(40)로 출력된다.
영상 입력부(16,23)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제어부(80)의 제어에 의해 메모리(84)에 저장되거나 무선통신 모듈(81)을 통하여 외부로 전송된다.
음향 입력부(14)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무선통신 모듈(81)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무선 통신 모듈로 출력된다. 녹음 모드인 경우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메모리(84)에 저장되도록 출력된다.
음향 입력부(14)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40)는 휴대 단말기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제어부(80)의 제어에 의해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 출력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제어부(80)의 제어에 의해 촬영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 출력한다.
음향 출력부(15)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제어부(80)의 제어에 의해 무선통신 모듈(81)로부터 수신된 음향 데이터 또는 메모리(84)에 저장된 음향 데이터를 변환하여 외부로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부(15)는 휴대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5)는 스피커(speaker), 리시버(Receiver), 버저(Buzzer) 등으로 포함한다.
외부 인터페이스(22)는 휴대 단말기 이외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카드 소켓(예를 들어,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UIM card) 등을 휴대 단말기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외부 인터페이스(22)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단말기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휴대 단말기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메모리(84)는 제어부(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84)에는 제어부(80)의 제어에 의해 각종 멀티미디어 컨텐츠, 시스템 정보 또는 프로그램이 저장이 저장된다. 이러한 메모리(84)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하드 디스크,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플래시 메모리, 램, 롬 등의 개념을 포함한다.
방송 수신부(85)는 위성 또는 지상파 등을 통하여 전송된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음향 출력부(15), 디스플레이(40)에 출력 가능한 방송 데이터 형태로 변환하여 제어부(80)에 출력한다. 또한 방송 수신부(85)는 방송과 관련된 부가 데이터(예를 들면, EPG(Electric Program Guide), 채널 리스트 등)를 수신한다. 방송 수신부(85)에서 변환된 방송 데이터 및 부가 데이터는 메모리(84)에 저장될 수도 있다.
전원 공급부()는 제어부(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휴대 단말기는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정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휴대 단말기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예로서, 휴대 단말기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또 다른 일 예로서, 휴대 단말기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또 다른 일 예로서, 휴대 단말기의 단면도
도 8은 도 7의 휴대 단말기의 터치감지부의 작동 모습을 보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터치감지부를 이루는 각 층의 굴절률을 예시한 도표
도 10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

Claims (13)

  1.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감지부;
    상기 터치감지부의 하측에 위치되는 디스플레이;
    상기 터치감지부와 디스플레이 사이의 에어 갭(air gap)을 소거하도록 상기 터치감지부와 디스플레이를 접착시키는 접착층; 및
    상기 디스플레이의 하면과 상기 디스플레이를 감싸는 케이스 사이에 배치되는 완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휴대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감지부는,
    상면에 투명한 전극패턴이 형성되고, 하면에 투명한 쉴드패턴이 형성된 글래스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감지부는,
    상면에 투명한 제1전극패턴이 형성된 제1필름;
    하면에 투명한 제2전극패턴이 형성되며, 상기 제1전극패턴과 제2전극패턴이 일정 갭을 두고 마주볼 수 있게 제1필름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필름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필름과 제2필름의 사이에 채워지는 액상의 충전층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감지부의 상면 또는 하면 중 적어도 하나에는 AR(Anti-Reflection)코팅층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케이스에 직접 접촉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케이스에 완충성이 있는 접착층에 의하여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완충성이 있는 접착층에 의하여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감쌀 수 있게 측벽이 형성되고,
    상기 측벽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상하로 가이드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의 테두리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구속되어 이동될 수 있게 형성되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내벽에는 상기 디스플레이가 일정 한도로 내려왔을 때 상기 디스플레이의 추가적인 이동을 제한하는 이동 제한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감지부와 상기 케이스 사이에는 상기 터치감지부와 케이스 사이의 틈을 가리는 가림부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가림부재는 러버 또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KR20080032364A 2008-02-29 2008-04-07 휴대 단말기 KR1014804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32364A KR101480454B1 (ko) 2008-04-07 2008-04-07 휴대 단말기
TW098102877A TWI541568B (zh) 2008-02-29 2009-01-23 可攜式終端機
EP09002438.1A EP2096525B1 (en) 2008-02-29 2009-02-20 Portable terminal
US12/395,172 US8269732B2 (en) 2008-02-29 2009-02-27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32364A KR101480454B1 (ko) 2008-04-07 2008-04-07 휴대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6944A true KR20090106944A (ko) 2009-10-12
KR101480454B1 KR101480454B1 (ko) 2015-01-09

Family

ID=41536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32364A KR101480454B1 (ko) 2008-02-29 2008-04-07 휴대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045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8661A (ko) * 2009-12-16 2011-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WO2011136516A2 (ko) * 2010-04-28 2011-11-03 Kim Si-Han 휴대용 표시장치
WO2018070691A1 (ko) * 2016-10-10 2018-04-19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작 방법
US11640186B2 (en) 2010-07-09 2023-05-02 Folding All Inc. Portable display device using multiple display panels as a single scre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2256B1 (ko) 2016-10-04 2023-09-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9043B1 (ko) * 2002-09-03 2007-03-23 니폰샤신인사츠가부시키가이샤 점착층 부착 터치패널
KR100622895B1 (ko) * 2004-11-23 2006-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엘씨디 고정구조
KR20070013127A (ko) * 2005-07-25 2007-01-30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디스플레이부용 쿠션부재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753797B1 (ko) * 2005-10-07 2007-08-31 (주)디지텍시스템스 선형성 확보를 위한 정전용량방식의 터치 패널의 배선구조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8661A (ko) * 2009-12-16 2011-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WO2011136516A2 (ko) * 2010-04-28 2011-11-03 Kim Si-Han 휴대용 표시장치
WO2011136516A3 (ko) * 2010-04-28 2012-02-02 Kim Si-Han 휴대용 표시장치
US11640186B2 (en) 2010-07-09 2023-05-02 Folding All Inc. Portable display device using multiple display panels as a single screen
US11740660B2 (en) 2010-07-09 2023-08-29 Sceabiq Inc. Portable display device using multiple display panels as a single screen
WO2018070691A1 (ko) * 2016-10-10 2018-04-19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작 방법
US10778819B2 (en) 2016-10-10 2020-09-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11082545B2 (en) 2016-10-10 2021-08-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with resin integrated hous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0454B1 (ko) 2015-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41568B (zh) 可攜式終端機
KR102257099B1 (ko) Lcd 디스플레이, 전자 장치, lcd 디스플레이 제조 방법
US9977539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2159999B1 (en) Mobile terminal
KR20150088084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EP3511802A2 (en) Mobile terminal
KR20150019165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90076658A (ko) 이동 단말기
US20220182476A1 (en) Mobile terminal
KR101480454B1 (ko) 휴대 단말기
KR20120021721A (ko) 휴대 단말기 및 그의 디스플레이 모듈
KR101432592B1 (ko) 휴대 단말기
KR102018228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10068661A (ko) 휴대 단말기
KR20120055006A (ko) 이동 단말기
KR20090102240A (ko) 터치 센서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20160149061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00104635A (ko) 휴대 단말기
KR20120134934A (ko)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KR20100106158A (ko) 이동 단말기
KR20110064276A (ko) 이동 단말기
KR102018551B1 (ko) 이동 단말기
KR20160061822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용 윈도우 제조 방법
KR101474443B1 (ko) 휴대 단말기
KR20140024530A (ko) 이동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