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6791A - 볼록거울을 이용한 홍채인식 장치 - Google Patents

볼록거울을 이용한 홍채인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6791A
KR20090106791A KR1020080032144A KR20080032144A KR20090106791A KR 20090106791 A KR20090106791 A KR 20090106791A KR 1020080032144 A KR1020080032144 A KR 1020080032144A KR 20080032144 A KR20080032144 A KR 20080032144A KR 20090106791 A KR20090106791 A KR 200901067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convex
iris recognition
optical element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2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승기
이기영
Original Assignee
(주)아이리사 아이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리사 아이디 filed Critical (주)아이리사 아이디
Priority to KR10200800321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06791A/ko
Publication of KR200901067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67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2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non-spherical faces
    • G02B3/08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non-spherical faces with discontinuous faces, e.g. Fresnel le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50Depth or shape recovery
    • G06T7/55Depth or shape recovery from multiple images
    • G06T7/593Depth or shape recovery from multiple images from stereo imag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7/00Control of exposure by setting shutters, diaphragms or filters, separately or conjointly
    • G03B7/18Control of exposure by setting shutters, diaphragms or filters, separately or conjointly in accordance with light-reducing "factor" of filter or other obturator used with or on the lens of the camera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Image Inpu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면에 사용자가 자신의 모습을 볼 수 있도록 해주는 미러를 볼록형 미러로 대체함으로써 장치의 크기를 줄이고, 설계 자유도를 올릴 수 있는 홍채 인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홍채, 인식, 볼록, 거울, 배율, 허상

Description

볼록거울을 이용한 홍채인식 장치{Iris scanning device using spherical mirror}
본 발명은 홍채 인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전면에 사용자가 자신의 모습을 볼 수 있도록 해주는 미러를 볼록형 미러로 대체함으로써 장치의 크기를 줄이고, 설계 자유도를 올릴 수 있는 홍채 인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존의 열쇠, 출입카드 등의 경우 도용, 분실, 복제 등의 여지가 많아 상대적으로 보안성이 낮고, 반드시 휴대를 해야 하며 비밀번호를 외우는 등의 수고가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으므로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보다 보안성과 편리성이 높은 개인식별기술들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중 하나로서 생체인식시스템이 점차 상용화되고 있는 추세에 있는데, 생체인식이란 사람 개개인 마다 다르게 가진 생체 정보(지문, 얼굴, 홍채, 각막, 손 모양, 손등 정맥, 음성, 등)를 추출하여 판별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카메라를 이용하여 해당 생체를 촬영하여 인식을 위한 정보를 추출하게 되며, 비교적 홍채인식을 통한 개인식별시스템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생체인식 시스템의 일종으로 홍채 인식 시스템이 제안되었다.
홍채 인식 시스템이란, 출입하는 사람의 홍채를 인식함으로써 그 사람의 신원을 파악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홍채인식시스템은, 홍채의 복제나 위조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새로운 보안시스템으로서 각광받고 있다. 홍채인식시스템은 출입문이나 벽 내부, 또는 독립적으로 설치됨으로서 출입자의 신원을 파악하게 된다.
홍채인식 시스템에는 사용자가 홍채 인식 시스템으로부터 적절한 거리, 즉 작동 영역에 들어왔을 때, 이미지 센서가 동작을 개시하여 사용자의 눈을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홍채 이미지와 비교하는 등의 방식으로 홍채 인식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사용자는 홍채 인식 시스템의 동작 영역이 어디인지를 모르기 때문에, 사용자를 홍채 인식 시스템의 작동 영역에 들어오도록 가이드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종래에는 사용자를 작동 영역으로 유도하기 위해 거리 센서를 사용하여 사용자까지의 거리를 측정하고 그 거리를 표시하거나, 또는 적절한 거리에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램프 등의 표시기를 사용하여 사용자에게 작동 영역에 있는지 여부를 알려줌으로써 사용자를 작동 영역으로 유도하는 방식이 사용되었다.
도 1은 종래 방식에 따른 홍채 인식 시스템의 일 예를 나타낸다.
종래 방식의 홍채 인식 시스템에서는 사용자가 홍채 인식을 수행하기 위해 장치에 다가가고, 전면에 배치된 해프미러(11)와 프레넬 렌즈(12)로 구성된 광학소자(13)를 통해 장치 내부의 인디케이터(14)를 보면서 자신의 위치를 조절하게 된 다.
인디케이터(14)는 통상적으로 가시광원 광원, 예컨대 LED 광원이다. 인디케이터(14)는 사용자가 홍채 인식에 적절한 동작 영역, 즉 이미지 센서(미도시)의 초점 거리 영역 내에 들어왔을 때 색깔을 달리하거나, 점멸하는 등의 방법으로 동작 영역에 들어왔음을 표시하게 된다.
사용자는 광학 소자(13)를 통해 인디케이터(14)와 자기 자신의 허상(16)을 볼 수 있으며, 자신의 모습과 인디케이터(14)의 모습을 보면서 상하좌우 위치도 조절하게 된다.
도 2는 종래 홍채 인식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 홍채 인식 시스템의 광학계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측으로부터 광축(18)을 따라 해프미러(11), 프레넬 렌즈(12), 가시광선 LED 광원(14)으로 구성된다.
적외선 조명 광원(미도시)에 의해 사용자의 눈이 조명되고, 이미지 센서(미도시)에 의해 사용자의 눈이 촬영되어 홍채 인식이 수행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광학계에서, 배율을 제공할 수 있는 소자인 프레넬 렌즈(12)와 광원(14) 사이의 거리(a), 프레넬 렌즈(12)의 초점거리(15)에 따라 허상(16)이 맺히는 위치(b)가 결정되었다. 광원(14)은 사용자에게 사용자가 홍채 인식에 적절한 동작 범위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알려주는 인디케이터의 역할을 할 수 있다. 광원(14)이 인디케이터로 사용되는 경우 사용자는 실질적으로 광원(14)이 허상(16)이 맺히는 위치에 있는 것으로 인식하게 된다.
이 때, 사용자에게 인디케이터가 편안하게 인식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허상이 맺히는 위치가 적절히 확보되어야 한다. 즉, 허상이 맺히는 위치(b)가 소정값이상 커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홍채 인식 시스템에서는 허상이 맺히는 위치를 늘이기 위해서는 물리적으로 인디케이터의 위치를 사용자로부터 멀리 떨어뜨리는 방법 밖에 할 수가 없다. 이럴 경우 홍채 인식 장치의 크기가 커지게 된다.
또한, 홍채 인식 시스템에서 사용자에게 적절한 크기의 인디케이터를 표시하여 주기 위해서는 광원(14)의 크기도 소정 크기 이상 되어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홍채 인식 시스템에서 위와 같은 요구조건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물리적으로 사이즈가 크거나 광원의 개수를 늘리는 방법을 사용할 수 밖에 없었다. 이 경우에도 홍채 인식 장치의 사이즈가 커지게 된다.
또한, 종래의 홍채 인식 시스템에서는 해프 미러(11)로 평면 미러를 사용하였는데, 일정 거리에서 사람의 얼굴을 커버하려면 해프 미러(11) 역시 사람의 얼굴 폭 만큼의 크기 이상이어야만 했다.
보다 소형의 장치를 제공하면서도, 제조 비용을 줄이고 설계 자유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보다 작은 부피를 갖는 홍채 인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부피가 작으면서도 제조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홍채 인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홍채 인식 장치는, 사용자의 눈을 향해 적외선을 조명하는 조명 광원, 사용자에게 자신의 모습을 축소 반사시키고, 사용자에게 비치는 상이 맺히는 위치를 조절하는 볼록 해프미러형 광학 소자, 상기 조명 광원에 의해 조명되는 사용자의 눈을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센서, 및 상기 이미지 센서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 데이터를 기반으로 홍채 인식을 수행하는 영상 처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홍채 인식 장치는 전면에 평면 미러 대신 볼록 거울을 사용함으로써 동일 크기로 사용자를 비출 수 있는 면적을 확대하여 홍채 인식 장치의 폭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홍채 인식 장치에 따르면 볼록 거울과 집광 렌즈를 결합함으로써 홍채 인식 장치의 두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홍채 인식 장치의 부피를 줄임으로써 비용 절감 및 조립 비용 절감을 기대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홍채 인식 장치의 분해도를 나타낸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눈을 향해 적외선을 조명하는 조명 광원(313a,313b), 사용자에게 자신의 모습을 축소 반사시키는 볼록 해프미러형 광학 소자(320), 상기 조명 광원(313a,313b)에 의해 조명되는 사용자의 눈을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센서(304a,304b), 및 상기 이미지 센서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 데이터를 기반으로 홍채 인식을 수행하는 영상 처리부(307a,307b)로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구성 요소들 전체를 둘러싸서 외부의 빛을 차단하는 밀폐형 케이스(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조명 광원(313a,313b)은 홍채 인식 장치의 개구(309)를 향해 적외선을 발광하며 사용자의 두 눈을 조명한다. 도 3에서는 이미지 센서(304a,304b)의 좌우에 두개 씩 4개가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 그 위치와 개수는 달라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조명 광원(205a,205b,205c,205d)은 적외선 LED일 수 있으며, 다수의 적외선 LED를 기판에 실장한 LED 어레이일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균일한 조명을 위해 광축(208)을 중심으로 대칭이 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3에는 사람의 눈 각각을 촬영할 수 있도록 2개의 이미지 센서(313a,313b)를 사용하였으나, 실시예에 따라 이미지 센서의 개수 및 위치는 달라질 수 있다.
볼록 해프미러형 광학 소자(320)는 사용자 쪽의 일면에는 볼록거울부(302)가 형성되어 있어서 사용자에게 자신의 모습을 축소 반사시키고, 동시에 일부 광을 투과시켜서 사용자로 하여금 홍채 인식 장치 내에 표시부(312) 등을 볼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종래와 달리 평면 미러를 사용하지 않고 볼록 해프미러형 광학소자(302)를 사용함으로써 좁은 폭의 미러로 사용자의 양 눈을 커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홍채 인식 장치의 좌우 사이즈를 줄이는 가능하다. 볼록 거울은 작은 사이즈로도 넓은 면적을 반사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볼록 해프 미러형 광학 소자(320)의 다른 면에는 집광 렌즈(303)가 부착될 수 있다. 집광 렌즈(303)는 사용자가 홍채 인식 장치 내의 표시부(312)를 바라볼 때 상이 맺히는 위치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홍채 인식 장치 내에 표시부(312)가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는 표시부(312)를 보면서 자신의 위치가 동작 영역 내에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게 되는데, 사용자가 실제로 보게 되는 표시부(312)의 상이 맺히는 위치는 집광 렌즈(303)의 초점거리에 따라 달라진다. 따라서, 집광 렌즈(303)의 초점 거리를 적절히 선택하여 설계함으로써 사용자가 실제로 보게되는 표시부(312)의 상이 맺히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집광 렌즈(303)로는 홍채 인식 장치의 두께를 줄이기 위해 프레넬 렌즈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의 눈에 편안한 상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표시부(312)의 상은 집광 렌즈(303)에서 사용자까지의 거리와 동일한 거리만큼 집광 렌즈(303)의 반대쪽에 맺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 따라, 집광 렌즈(303)를 통해 표시부(312) 이외의 다른 것이 사용자에게 보여질 수도 있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에 따른 볼록 해프미러형 광학 소자(320)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나타낸다.
도 4a와 같이 집광렌즈(303), 즉 볼록 렌즈 상에 반사 코팅층을 코팅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도 4b와 같이, 집광렌즈(303)와 해프 미러(321)를 부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도 4c와 같이 볼록거울부(302) 만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는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상의 위치를 조절할 수는 없다. 도 4d와 같이 볼록렌즈 대신 프레넬렌즈(322)와 볼록거울부(302)를 결합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미지 센서(304a,304b)는 상기 조명 광원(313a,313b)에 조명되는 사람의 양 눈의 영상을 각각 촬영한다. 이미지 센서(304a,304b)는 CMOS 센서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각 눈에 대해 복수개의 이미지 센서를 사용할 수도 있다. 각 눈에 대해 복수개의 이미지 센서를 사용하는 경우는 스테레오 카메라의 원리를 사용하여 사용자까지의 거리를 측정할 수도 있다.
영상 처리부(307a,307b)는 이미지 센서(304a,304b)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여 홍채 인식을 수행한다. 영상 처리(307a,307b)는 독립된 IC 모듈로 설계될 수도 있고, 홍채 인식 장치의 처리장치(미도시)에 소프트웨어를 탑재하여 그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홍채 인식 장치는, 상기 집광 렌즈(303)에 입사하는 광 중 적외선 이외의 광을 차단하는 적외선 필터(30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외선 필터(301)는 모든 광을 차단하지 않고 통과시키는 개구(309)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홍채 인식 장치는, 이미지 센서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눈까지의 거리를 산출하는 거리 측정부(3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거리 측정부(311)는 IR 거리 측정 센서 등 다양한 거리 측정 센서를 사용할 수도 있다. 거리 측정부(311)로 거리 측정 센서를 사용하는 경우는 거리 측정부(311)의 실질적인 위치는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거리 측정 센서 없이, 스테레오 카메라의 원리를 이용하여 소정 간격 이격된 최소 2개의 이미지 센서(304a,304b)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 데이터로부터 차이값을 검출하여 그 차이값을 기반으로 사용자까지의 거리를 측정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자가 상기 이미지 센서로부터 적정 거리에 있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표시부(3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312)는 발광부(306)와 패턴 형성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부(306)는 가시광선을 발산하는 광원으로서, 가시광선 LED를 사용할 수 있다. 패턴 형성부(310)는 발광부(306)에 발광된 빛을 일정부분 가려서 발광 패턴을 형성해준다. 발광부(306)가 다수의 LED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기판(314)에 LED들을 실장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표시부(312)는 사용자가 홍채 인식 장치로부터 떨어진 거리를 표시하거나, 또는 홍채 인식에 적절한 동작 영역 내에 있는지를 사용자에게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를 동작 범위 내로 거리에 자신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해준다.
도 5a 및 도 5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312)를 구성하는 발광부(306)와 패턴 형성부(310)를 나타낸다.
발광부(306)는 사용자로부터의 거리가 동작 범위보다 가까울 때 점등되는 제1 발광부(306a), 사용자로부터의 거리가 동작 범위 내에 있을 때 점등되는 제2 발광부(306b), 사용자로부터의 거리가 동작 범위보다 멀 때 점등되는 제3 발광부(306c)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1,2,3 발광부(306a,306b,306c)이 각각 발광하는 색깔도 다르게 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발광부의 구성 및 할당된 표시 동작은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패턴 형성부(310)는 빛을 차단할 수 있는 재질의 시트에 형성하고자 하는 패턴 부분이 제거되어, 제거된 부분에 해당하는 패턴이 사용자에게 보여지게 된다.
패턴 형성부(310)는, 상기 제1 발광부(306a)를 커버하는 제1 패턴(310a),상기 제2 발광부(306b)를 커버하는 제2 패턴(310b), 상기 제3 발광부(306c)를 커버하는 제3 패턴(310c)로 구성된다.
패턴 형성부(310)는 수지 재질의 시트의 실크 인쇄법으로 패턴을 인쇄하거나, 또는 사출 성형 등의 방법으로 제작할 수 있다.
패턴의 윤곽을 명확하게 표시하기 위해서는, 제1,2,3패턴(310a,310b,310c)의 폭 및 간격은 1mm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표시부(312)의 제1,2,3 발광부에 의해 사용자에게 실질적으로 표시되는 것은 제1,2,3 발광부의 실제 크기와는 다르다. 이것은 볼록 해프미러형 광학 소자(320)에 의해 표시부(312)가 실제 크기보다 확대되어 보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실질적으로 보여지는 표시부(312)의 크기를 원하는 크기로 하기 위해서는 광학소자(320)에 의한 배율도 고려하여 홍채 인식 장치를 설계하여야 한다. 광학소자(320)의 배율은 광학소자(320)를 구성하는 볼록거울부(302)의 곡률 즉, 볼록거울부(302)를 원주의 일부로 가정할 때 그 원의 반지름과, 광학소자(320)의 집광렌즈(303)에 의해 달라진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홍채 인식 장치에서 표시부(312)의 실제 크기와 사용자에게 표시되는 크기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에는 설명을 위해 필요한 구성 요소만을 도시하였으며, 각 구성 요소에 대한 식별 번호는 도 3에서와 동일하다.
예를 들어, 표시부(312)의 패턴, 예컨대 도 5b의 제2 패턴부(310b)를 사용자에게 실제로 90mm X 24mm 크기의 직사각형으로 표시하고자 하는 경우를 살펴본다.
먼저, 볼록거울부(302)의 곡률과 광학소자(320)의 배율의 관계를 살펴본다.
널리 알려진 광학 공식에 따르면, 아래와 같은 공식이 성립한다.
Figure 112008024995573-PAT00001
(식 1)
여기서, a : 볼록거울부(302)에서 표시부까지의 거리
b : 상이 맺히는 위치
f : 볼록거울부(302)의 초점거리
볼록 해프미러형 광학소자(302)를 일부로 하는 원의 반지름을 R이라 하고, 광학소자(302)의 배율을 m이라 하면, 다음과 같이 된다.
Figure 112008024995573-PAT00002
(식 2)
Figure 112008024995573-PAT00003
(식 3)
R = 250mm이라 하고, 해프 미러(302)에서 표시부까지의 거리를 30mm이라 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눈에 보이는 표시부의 패턴의 크기를 90mm X 24 mm이라 하면, (식 1)은 다음과 같이 된다.
Figure 112008024995573-PAT00004
(식 4)
위 식으로부터 b를 계산하면 약 88.24mm가 된다.
이 때 배율(m) = b/a = 0.294가 된다.
따라서, 표시 LED의 크기 0.294 X 90mm = 26.47mm, 0.294 X 24mm = 7.06mm
위의 계산 결과는 볼록거울부(302)의 뒤쪽 88.24mm에 위치한 26.47 x 7.06mm 크기의 허상(316)은 볼록 거울로부터 300mm 이격된 사용자의 눈에는 90 x 24mm의 box로 보이게 된다.
다음으로, 집광렌즈(303)의 배율과 광학소자(320)의 배율의 관계를 살펴본다. 광학소자(320)에 집광렌즈(303)가 추가되면, 다시 한번 확대가 이루어진다. 위 설명에 이어서, 위에서 언급한 볼록거울부(302)의 뒤쪽 88.24mm에 위치한 26.47 x 7.06mm 크기의 허상을 형성하기 위해 크기가 얼마인 표시부(312)를 어느 위치에 배치하여야 하는가를 살펴본다.
집광렌즈(303)로 프레넬 렌즈를 사용하고, 프레넬 렌즈의 초점거리가 33mm라 가정한다. 집광렌즈(303)를 포함하는 광학계에서 아래 식이 성립한다.
Figure 112008024995573-PAT00005
(식 5)
(식 5)에 b=88.24mm, f=33mm를 대입하면, 표시부(312)의 위치 a = 24.33mm가 된다. 즉 88.24mm 위치에 허상을 나타내기 위한 표시부(312)의 위치는 24.33mm이다. 이때 배율(m)은 m = b/a = 88.24/24.33 = 3.67이 된다.
따라서, 26.47 x 7.06mm 크기의 허상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26.47/3.67 = 7.21mm, 7.06/3.67=1.93mm이므로, 7.21mm X 1.93mm 크기의 직사각형 형태로 표시부(12)를 집광렌즈(303)로부터 24.33mm 위치에 배치하면 된다.
결국, 7.21mm X 1.93mm 크기의 직사각형 형태 표시부는 집광렌즈(303)에 의해 26.47 x 7.06mm 크기의 허상(316)으로 표시되고, 이 허상(316)은 볼록거울부(302)에 의해 90mm X 24mm 크기의 직사각형으로 사용자에게 표시된다.
따라서, 광학소자(320)로부터 24mm의 위치에 26.47 x 7.06mm 크기의 표시부를 설치하면, 88.24mm 거리에 90mm X 24mm 크기로 표시되므로 홍채 인식 장치 전체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 방식에 따른 홍채 인식 시스템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2는 종래 홍채 인식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홍채 인식 장치의 분해도를 나타낸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에 따른 볼록 해프미러형 광학 소자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나타낸다.
도 5a 및 도 5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를 구성하는 발광부와 패턴 형성부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홍채 인식 장치에서 배율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301 : 적외선 필터 302 : 볼록거울부
303 : 집광렌즈 304a,304b : 이미지 센서
306 : 발광부 307 : 패턴 형성부
308 : 광축 309 : 개구
310 : 광원 311 : 거리 측정부
312 : 표시부 313a,313b : 적외선 광원

Claims (10)

  1. 사용자의 눈을 향해 적외선을 조명하는 조명 광원;
    사용자에게 자신의 모습을 축소 반사시키고, 사용자에게 비치는 상이 맺히는 위치를 조절하는 볼록 해프미러형 광학 소자;
    상기 조명 광원에 의해 조명되는 사용자의 눈을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센서; 및
    상기 이미지 센서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 데이터를 기반으로 홍채 인식을 수행하는 영상 처리부;
    를 포함하는 홍채 인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 해프미러형 광학 소자는 볼록 렌즈와, 상기 볼록 렌즈 상에 코팅된 반사 코팅층을 포함하는 홍채 인식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 해프미러형 광학 소자는 볼록 렌즈와, 상기 볼록 렌즈와 결합된 볼록 거울을 포함하는 홍채 인식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 해프미러형 광학 소자는 볼록 거울인 홍채 인식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형 광학 소자는 프레넬 렌즈와, 상기 프레넬 렌즈와 결합된 볼록 거울을 포함하는 홍채 인식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형 광학 소자에 입사하는 광 중 적외선 이외의 광을 차단하는 적외선 필터를 더 포함하는 홍채 인식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센서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눈까지의 거리를 산출하는 거리 측정부를 더 포함하는 홍채 인식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이미지 센서로부터 적정 거리에 있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홍채 인식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가시광선을 발광하는 발광부; 및
    상기 발광부에서 발광된 빛의 패턴을 형성하는 패턴 형성부를 포함하는 홍채 인식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사용자로부터의 거리가 동작 범위보다 가까울 때 점등되는 제1 발광부;
    사용자로부터의 거리가 동작 범위 내에 있을 때 점등되는 제2 발광부;
    사용자로부터의 거리가 동작 범위보다 멀 때 점등되는 제3 발광부를 포함하는 홍채 인식 장치.
KR1020080032144A 2008-04-07 2008-04-07 볼록거울을 이용한 홍채인식 장치 KR200901067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2144A KR20090106791A (ko) 2008-04-07 2008-04-07 볼록거울을 이용한 홍채인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2144A KR20090106791A (ko) 2008-04-07 2008-04-07 볼록거울을 이용한 홍채인식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6791A true KR20090106791A (ko) 2009-10-12

Family

ID=41536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2144A KR20090106791A (ko) 2008-04-07 2008-04-07 볼록거울을 이용한 홍채인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06791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22414A1 (ko) * 2012-02-16 2013-08-22 Jung Gil-Soo 홍채 이미지 캡쳐 장치 및 이를 적용한 액세스 컨트롤용 사용자 인식 장치
WO2013109295A3 (en) * 2011-04-06 2013-10-10 Eyelock, Inc. Mobile identity platform
US8958606B2 (en) 2007-09-01 2015-02-17 Eyelock, Inc. Mirror system and method for acquiring biometric data
US9002073B2 (en) 2007-09-01 2015-04-07 Eyelock, Inc. Mobile identity platform
US9036871B2 (en) 2007-09-01 2015-05-19 Eyelock, Inc. Mobility identity platform
US9095287B2 (en) 2007-09-01 2015-08-04 Eyelock, Inc. System and method for iris data acquisition for biometric identification
US9117119B2 (en) 2007-09-01 2015-08-25 Eyelock, Inc. Mobile identity platform
US9280706B2 (en) 2011-02-17 2016-03-08 Eyelock Llc Efficient method and system for the acquisition of scene imagery and iris imagery using a single sensor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92297B2 (en) 2007-09-01 2015-11-24 Eyelock Llc System and method for iris data acquisition for biometric identification
US9036871B2 (en) 2007-09-01 2015-05-19 Eyelock, Inc. Mobility identity platform
US10296791B2 (en) 2007-09-01 2019-05-21 Eyelock Llc Mobile identity platform
US9002073B2 (en) 2007-09-01 2015-04-07 Eyelock, Inc. Mobile identity platform
US9946928B2 (en) 2007-09-01 2018-04-17 Eyelock Llc System and method for iris data acquisition for biometric identification
US9055198B2 (en) 2007-09-01 2015-06-09 Eyelock, Inc. Mirror system and method for acquiring biometric data
US9095287B2 (en) 2007-09-01 2015-08-04 Eyelock, Inc. System and method for iris data acquisition for biometric identification
US9792498B2 (en) 2007-09-01 2017-10-17 Eyelock Llc Mobile identity platform
US8958606B2 (en) 2007-09-01 2015-02-17 Eyelock, Inc. Mirror system and method for acquiring biometric data
US9633260B2 (en) 2007-09-01 2017-04-25 Eyelock Llc System and method for iris data acquisition for biometric identification
US9117119B2 (en) 2007-09-01 2015-08-25 Eyelock, Inc. Mobile identity platform
US9626563B2 (en) 2007-09-01 2017-04-18 Eyelock Llc Mobile identity platform
US9280706B2 (en) 2011-02-17 2016-03-08 Eyelock Llc Efficient method and system for the acquisition of scene imagery and iris imagery using a single sensor
US10116888B2 (en) 2011-02-17 2018-10-30 Eyelock Llc Efficient method and system for the acquisition of scene imagery and iris imagery using a single sensor
WO2013109295A3 (en) * 2011-04-06 2013-10-10 Eyelock, Inc. Mobile identity platform
US9508017B2 (en) 2012-02-16 2016-11-29 Gil-Soo JUNG Device for capturing image of iris and user recognition device applying same in order to control access
WO2013122414A1 (ko) * 2012-02-16 2013-08-22 Jung Gil-Soo 홍채 이미지 캡쳐 장치 및 이를 적용한 액세스 컨트롤용 사용자 인식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106791A (ko) 볼록거울을 이용한 홍채인식 장치
KR102237479B1 (ko) 홍채 인식 단말기 및 방법
EP1341119A2 (en) Iris recognition system
JPWO2006088042A1 (ja) 生体判別装置および認証装置ならびに生体判別方法
OA11624A (en) System for contactless recognition of hand and finger lines.
TWI601074B (zh) Certification devices and certification prism body
TW201101196A (en) Optical fingerprint identification device with living body scanning function, and optical fingerprints identification method capable of recognizing living body
KR101064621B1 (ko) 홍채 인식 장치 및 방법
KR20080022202A (ko) 지정맥 패턴 입력 장치
KR101044079B1 (ko) 광각 카메라를 사용한 타인 인증용 홍채 인식 장치 및 방법
US20040120553A1 (en) Device for contactless optical acquisition of biometric characteristics of at least one body part
JP2003187235A (ja) 指静脈認識装置
JP4680100B2 (ja) 画像認証装置、撮影装置および画像認証システム
JP2022068055A (ja) 生体認証装置および生体認証方法
KR100874701B1 (ko) 비접촉식 5지 지문 영상 획득 장치
JP2003339676A (ja) 目画像撮像装置
US20060210118A1 (en) Personal identification apparatus
JP2006277730A (ja) 個人識別装置
KR100557037B1 (ko) 홍채 인식 시스템의 눈위치 표시장치
KR101040750B1 (ko) 개인 인식 장치
KR101335915B1 (ko) 얼굴인식장치
KR100362484B1 (ko) 고정초점 카메라를 이용한 홍채이미지 획득방법 및 획득장치
JP3342810B2 (ja) 虹彩画像取得装置
JP4131180B2 (ja) 顔認証装置
KR100547333B1 (ko) 홍채 시스템의 거리 표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