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5763A - 바닥재 - Google Patents
바닥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105763A KR20090105763A KR1020080031409A KR20080031409A KR20090105763A KR 20090105763 A KR20090105763 A KR 20090105763A KR 1020080031409 A KR1020080031409 A KR 1020080031409A KR 20080031409 A KR20080031409 A KR 20080031409A KR 20090105763 A KR20090105763 A KR 2009010576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looring
- floor
- rigid
- plate
- projec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38—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characterised by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between neighbouring flooring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6—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metal, whether or not in combination with other material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10—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 E04F15/107—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composed of several layers, e.g. sandwich panel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2—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 E04F2290/023—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for heat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성이 강한 비유연성 재질의 바닥재로 바닥면에 절개공간을 구비하고 측면에는 돌기와 홈이 구비되어, 시공 시 바닥재와 바닥재 사이에 단차가 생기거나 틈이 벌어지지 않는 바닥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바닥재 및 바닥재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시공되는 바닥재들의 상부 표면들 사이에 단차나 틈이 벌어지지 않도록 시공할 수 있는 바닥재와 이와 같은 바닥재를 이용한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닥재는 여러 개의 바닥재를 결합하거나 접착하여 시공하게 된다. 이러한 바닥재는 먼저 비유연성의 재질로서 천연목재와, 천연목재보다 높은 경도와 탄성이 강한 합판, MDF, HDF,마그네슘보드, 섬유질 경량 시멘트, 및 무기질재 보드 등이 있다. 그리고 유연성 재질의 바닥재는 탄성이 작은 것으로 인조수지 종류로 대부분 PVC 종류이며 데코 타일, 딜럭스 타일, 우드 타일, 장판 등이 있다.
건축물의 바닥에 깔거나 붙여서 사용하는 바닥 마감재는 유연성 재질로 만들어진 종류와 비유연성재질로 만들어진 것, 그리고 소성 및 천연재로 만들어진 것으로 분류된다.
유연성 재질의 특징으로는 재질이 인조수지(PVC 류) 종류이며, 두루마리 필름 형태나 얇은 판형으로 만들고 한 면에 다양한 무늬를 인쇄하거나 종이 무늬목등 을 접착하여 바닥에 깔거나 직접 접착제로 접착할 수 있는 형태로 만들어진다. 이 유연성 재질의 바닥재는 인조수지(대부분PVC종류)로 자체 강도가 약하여 수명이 짧고 온도 등에 수축 팽창이 많고 열전도율이 떨어지며 화재 발생시 인화성 물질로 불에 잘 타며 유독가스가 방출되는 등의 단점이 있다. 장점으로는 표면 인쇄가 아주 용이하고 재질이 인조수지로써 대량생산이 용이하고 유연성이 아주 좋아 굴곡진 바닥에도 측면의 다른 바닥재와 단차가 발생하지 않게 쉽게 붙여서 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시공은 매우 용이한 것으로서 상업적 측면에서 아주 큰 장점에 해당한다.
비유연성 재질의 바닥재로는 목재 재질의 마루 형태의 바닥재가 대표적이며 합판의 한 면에 인쇄지 또는 무늬목 등을 붙이고 표면을 UV 코팅한 후 측면에 상대되는 바닥재와 끼워 맞추기 위한 홈과 돌기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시공할 때는 옆에 대응되는 바닥재의 상판과 단차가 생기지 않고 정밀하게 맞도록 홈과 돌기를 끼워 맞춘다. 또한 재료에 따라 기단의 바닥에 접착제를 발라서 부착하는 시공법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비유연성 바닥재로서 합판마루의 단점은 주재료가 목재로서 화재 발생시 인화성 물질이며 습기에 약하여 수축팽창이 있어 짜 맞춤 틈이 벌어지며 표면이 약하여 수명이 짧고 측면에 짜 맞추기 위한 홈과 돌기를 형성하기 위한 목재의 최소 두깨가 8 mm 이상으로 바닥 난방 면에 시공했을 때 열전도율이 크게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다른 비유연성 바닥재로서 강화 마루는 목재를 가루로 만든 목분을 고압으로 압축 한 판의 상면에 인쇄지 및 멜라민을 적층 고온 고압으로 함침 한 후, 측면에 기계적 결합을 위한 홈과 돌기를 형성시킨 것(유니클릭)으로 시 공이 상대적으로 용이하다. 또한 환경 문제로 나무를 베기 어렵고 합판의 가격이 올라가는 상황에서 나무의 자투리까지 모두 목분으로 만들어 효율적으로 자재를 사용함으로써 합판 마루보다 매우 저렴한 가격으로 만들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단점으로는 물과 습기에 매우 약한 단점이 있다. 물이 묻게 되면 부피가 늘어나며 파손되며 습기에 노출되면 전체적으로 길이가 늘어나는데 늘어나는 길이가 같은 조건의 합판재질보다 몇 배에 해당한다. 이 때문에 강화 마루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바닥에 붙일 수 없고 또한 벽에서도 늘어나는 길이를 감안하여 10 mm - 20 mm 정도 떼어 놓아야한다. 이렇게 바닥과 떨어져 있는 관계로 시공 후 보행 시 발걸음 소리가 퉁퉁거리며 심하게 나는 단점이 있다.
이상의 설명에 있어 유연성 재질의 바닥재는 모두 바닥의 기단에 홈이나 돌기 없이 직접 접착제로 붙여서 시공하는 방식의 바닥재를 의미한다. 그리고 비유연성 바닥재는 자체 탄성력이 있어 바닥 기단에 접착제만으로 시공이 어려워 측면에 모두 홈과 돌기가 있어서 끼워 맞추는 방식을 이용하는 바닥재를 의미한다. 이는 유연성 재질의 바닥재는 굴곡이 있는 기단이라도 약간의 접착력으로 유연하게 휘어져 바닥에 밀착하여 붙게 되어 단차가 발생하지 않지만, 비유연성 재질의 바닥재는 기단이 약간만 굴곡져도 바닥재 상면들 사이에 단차가 발생해서 사용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탄성이 강한 비유연성 재질의 바닥재는 상면을 단차 없이 정밀하게 맞추기 위하여, CNC와 같은 정밀 가공기계로 정밀하게 측면에 홈과 돌기를 가공하여야만 한다. 또한 측면에 형성된 돌기가 100 kg 이상의 사람이 발로 밟았을 때 견디기 위하여, 일정 두께 이상 되어야 하는데 합판 마루는 8 mm 이상 강화 마루는 7 mm 정도 이상을 사용하고 있다. 이런 한계 상황의 두께로 인하여 비유연성 재질의 나무 재질이 바닥재를 난방하는 장소의 바닥에 시공하였을 때, 열전도율이 떨어져 방안의 난방이 잘 되지 않아 에너지가 많이 소모되는 단점이 있게 된다. 또 단차가 0.2 mm 이상 되면 사람의 피부가 접촉되어 다칠 수 있어 못쓰게 되므로 정밀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고가의 CNC 장비로 홈과 돌기를 만들고 많은 공정을 거쳐야한다.
도1은 종래의 바닥재의 시공 방식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1a는 유연성 바닥재의 시공 단면도이고, 도1b는 합판 마루의 시공방식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그리고 도1c는 강화 마루의 시공방식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1a에서, 바닥재(10a)는 유연하게 휨이 잘 발생하여 굴곡진 기단의 형상에 따라 잘 휘어져 바닥 기단(20)에 그대로 접착제(30)를 이용하여 접착시공하는 것이다. 도1b에서, 바닥재(10b)는 합판 마루로서 유연성이 약하고 대신 탄성이 강하여 접착제로서 바닥재(10b) 간에 단차를 맞추기 어려워 돌기(12)와 홈(11)을 이용하여 단차를 맞추고 접착제(30)를 이용하여 기단(20) 위에 시공한다. 도1c에서, 바닥재(10c)는 강화 마루로서 유연성이 약하고 대신 탄성이 강하여 접착제로서 바닥재(10c) 간에 단차를 맞추기 어려워 돌기(12)와 홈(11)을 이용하여 단차를 맞추어 접착제 없이 기단(20) 위에 시공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CNC로 정밀하게 가공된 홈과 돌 기가 없이 상판의 단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뛰어난 기술자가 건축물의 시멘트 바닥 기단을 만들어도 완전한 평탄면을 만들기 어려워 굴곡은 모두 존재한다고 보아야 한다. 또한 아무리 잘 만든 마루용 바닥재도 상용적으로 쓰이는 크기(60 ×300 ~ 400 × 1200 mm)로 재단해서 자유상태로 바닥에 놓았을 때, 1 mm - 10 mm 정도의 휘어짐은 발생할 수밖에 없다. 바닥재가 1 mm - 10 mm 휘어지거나 틀어지면 측면의 바닥재와의 단차가 1 mm - 10 mm 발생하게 된다. 그런데 바닥재와 바닥재 사이의 단차가 0.2-0.5 mm 이상 생기게 되면 사람의 피부가 접촉되어 스치게 되면 상처를 입게 되기 때문에 바닥재로 사용할 수 없게 된다. 그래서 지금까지 홈과 돌기가 없는 비유연성 바닥재를 만들 수 없었던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단차 및 틈이 벌어지지 않는 새로운 바닥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시공 바닥재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시공이 가능한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는 마그네슘 보드, 무기질 재료를 포함하여 취성으로 인하여 휨에 의해 파손되는 강성체 재질의 판재; 상기 강성체 재질의 판재 상면에 적층되는 인쇄지, 무늬목, 또는 나무 계열 의 판재를 포함하는 기능성 판재, 또는 자체 유연성에 의해 기단의 굴곡에 따라 구부러지거나 휘는 유연성 재질의 판재;를 포함하며
상기 강성체 재질의 판재는 기단 방향 면에 절개 공간이 형성되고, 그리고 측면에 경사 기울기를 구비한 돌기 및 상기 돌기에 대응하는 수용홈을 구비한 구성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에서, 기존의 나무재질의 바닥재의 두께를 보다 얇게 약 3mm 내외 정도로 하여서 시공할 수 있다. 또한 나무재질의 바닥재는 두께가 얇을수록 탄성이 약해지면서 구부러지기 쉬워 오히려 본 시공 방법에 더 적합해진다. 그리하여 나무 재료 자체의 비용도 절감되고 자연 훼손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강성체 판재의 재질로는 무기질 재료인 섬유질 경량 시멘트 종류나 마그네슘보드 내부에 섬유질을 넣은 것도 사용이 가능하다. 경량 시멘트나 마그네슘 보드 또는 무기질 재료의 판재를 사용할 경우, 불연재로서 화재 발생시 안전하며 물이나 습기 등에 강하여 수축팽창이 적게 발생하고 썩거나 곰팡이가 나지 않고 또한 강성체 판재 상면에 인쇄지 무늬목을 붙이고 코팅을 한 경우에도, 같은 조건으로 목재류에 코팅을 한 것보다, 찍힘 현상이 현저히 적어 내구성이 좋아지는 장점이 있다.
상기 강성체 재질의 판재는 기단 방향 면에 절개 공간이 형성되어 유연성이 증가되고, 그리고 그 측면에는 경사 기울기를 갖는 돌기를 구비한다.그리고 대향 측면에는 상기 돌기 대응하는 수용홈을 구비한다. 상기 돌기는 그 단면이 삼각형, 반원형, 반타원형, 사다리꼴 등 측면의 중심부를 향해 경사지는 형태의 돌기이다. 상기 수용홈은 상기 돌기를 수용할 수 있도록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동일항 형상을 가질 필요는 없다. 왜냐하면 강성체 판재의 측면 상에서 상기 돌기는 가장 넓은 범위를 갖는데 그 부분이 상기 수용홈에 의해 상하 이동이 한정되는 것으로도 상기 바닥재의 상하 유동을 막을 수 있고 또한 단차를 없앨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강성체 판재는 취성이 강한 성질이 있어 접촉시 쉽게 부스러질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돌기가 상기 수용홈에 수용시 경사가 없이 종래와 같이 직사각형 형태라면 결합시 많이 부스러지고 또한 부스러진 가루등에 의해 정확한 결합이 어려워진다. 따라서 상기 돌기가 상기 수용홈에 수용될 때 가급적 접촉되는 것이 늦을 수록 좋다. 또한 직접 접촉하는 부분이 많을수록 돌기가 부스러질 수 있는 가능성이 커지므로 접촉부분을 최소화 하는 것도 경우에 따라서 필요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접촉부분이 작아지면 바닥재간의 결합력이 약화될 수 있으므로 상황에 따라 선정되어야 한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돌기 및 수용홈은 삼각형, 원형, 반타원형, 사다리꼴 형태가 바람직하다. 그리고 수용홈의 깊이는 돌기의 돌출 길이보다 긴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 시공 방법 및 바닥재를 사용하면 바닥재의 두께를 얇게 만들 수 있어 바닥 난방 장소에 시공했을 때 일반 온돌 마루 등의 바닥재보다 에너지 효율을 크게 향상 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닥재는 비유연성 바닥재 시공이 간편해져서 거의 데코 타일 시공 수준으로 단순화된다. 또한 돌기와 홈을 이용하여 정확하게 단차 없는 시공이 용이해진다.
또한 바닥에 직접 붙일 수 있어 강화마루의 재질로 된 바닥재를 시공시 보행 시 퉁퉁거리는 발자국 소리를 크게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닥재로서 강성체 판재가 마그네슘 보드 일때 습기와 물에 강해서 수축팽창 현상이 적고 오래 사용해도 틈이 벌어지지 않으며 또한 곰팡이나 썩는 현상이 생기지 않아 매우 위생적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바닥재로서 강성체 판재로 마그네슘보드나 섬유질 경량 시멘트를 사용하면 바닥 난방 장소에 시공했을 때 목재 질 보다 에너지 효율이 3~4 배 높아진 다.
또한 본 발명의 바닥재에서 표면재만을 따로 기능성으로 가공하여 만든 후, 강성체 판재 위에 접착제로 붙이는 방법으로 제조했을 때, 표면 강도를 획기적으로 강화 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닥재는 나무 바닥재를 최대 2~3 mm 두께로 만들 수 있어 7 mm ~ 13 mm 두께인 일반마루에 비하여 적용 범위가 훨씬 넓다.
또한 본 발명의 바닥재는 바닥 상면을 여러 가지 색상과 무늬 모양으로 재단하여 붙일 수 있어 바닥을 아름답게 꾸밀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닥재로서 강성체 판재를 무기질재로 사용했을 때, 불연재로써 화재 발생시 불이 인화되지 않고, 유독가스가 발생하지 않아 안전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시공 방법은 일반 가정과 같은 경보행용 마루나 일반 신발을 신고 사용하는 사무실이나 공장의 중보행용 실내 실외를 막론하고 모든 장소의 바닥에 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닥재로서 강성체 판재로 마그네슘 등 무기질재를 사용하고 표면재를 외부에서 가공 표면 강도를 강화한 것을 접착하면 일반 마루에 비하여 수명이 2~3 배 가량 획기적으로 늘어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닥재는 나무 계열의 바닥재의 두께를 줄일 수 있어서 세계적으로 나무소비를 줄여 환경 보호에 도움이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시공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닥재를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먼저 층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도2는 본 발명의 바닥재로서 2종 이상의 재료를 접착하여 사용하는 일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2에서 마그네슘 보드를 포함하는 강성체 판재(110) 위에 크라프트지 또는 부직포(120), 인쇄지 또는 무늬목(130), 그리고 멜라민 시트(140)를 접착제로 접착한 후 고열 고압으로 압축하여 판재로 만들어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시공할 때 사용하기 편한 크기로 재단하여 사용하면 된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바닥재로서의 단면도이다. 마그네슘 보드를 포함하는 강성체 판재(110) 위에 이미 성형되어 만들어진 표면용 기능성 판재(150) 로서 무늬목층을 먼저 고열 고압으로 성형한 후, 접착제(190)로 붙이면 표면이 아주 단단하게 강화된 마루판재를 얻을 수 있다.
도4는 도3이 기능성 판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크라프트지 또는 부직포(120), 인쇄지 또는 무늬목(130), 멜라민 시트(140), 및 무늬가 있는 금속판(170)을 프레스 판(910)위에 순서대로 적층하여 프레스(920)로 고온 고압으로 프레싱 하면 멜라민 수지층(140)에 천연 무늬목의 나이테가 입체로 나타나는 기능성 판재를 제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능성 판재를 도6과 같이 제작하면 보다 고급의 마루바닥재를 만들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판재는 두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나 마그네슘 보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2 mm ~ 6 mm 정도의 두께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그네슘 보드는 그 두께가 6 mm 이상 되는 경우, 비용이 고가가 되며 취급에 주의를 하여야 한다.
도2 내지 도4에 대한 위의 설명은 층구조에 대한 설명으로 돌기와 수용홈에 대한 구성은 아래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간의 시공이 이루어진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로서, 바닥재(100a, 100b)들이 기단(400)에 접착제(300)로서 접착되어 있으며 각 바닥재(100a, 100b)는 모서리가 모따기된 바닥재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재(100a, 100b)는 상부의 모서리를 깎아내어 모따기(101)를 형성하면 미세하게 발생하는 단차를 없애줄 뿐만 아니라 사람의 맨살이 베이거나 하는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모서리를 깍아 내었을 때, 마그네슘보드와 같은 강성체 판재(110)의 상부 에 부착되는 기능성 판재(150)로서 무늬목층 등이 두께가 얇으면 마그네슘 보드 층 등이 보일 수 있는데, 이때 마그네슘 보드의 옆면 상부 부분을 나무 색, 어두운 색으로 염색하면 미감면에서도 좋게 발휘될 수 있다.
또한 강성체 판재(110)의 측면에는 각각 대응되게 돌기(113) 및 수용홈(114)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돌기(113)와 수용홈(114)에 의해 보다 견고히 결합된다.
도6은 마그네슘 보드와 같은 강성체 판재의 바닥면에 홈을 형성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6은 설명을 위하여 실제 사용되는 경우와 반대로 뒤집힌 상태로서 홈을 중심으로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6에서 마그네슘 보드를 포함하는 강성체 판재(110)는 바닥 기단에 접하는 면의 일부가 커터나 그라인더에 의해 일부 절개되어 쉽게 휘거나 구부러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가공에 의해 절단면(111)이 형성되고 이에 의해 절개 공간(112)이 또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절개 공간에 의해 여러 부분으로 조각처럼 구분이 된다. 도6에서는 절개 공간이 강성체 판재(110)의 단면에서 전부에 형성되지 않고 일부분만 형성되었으나 아래의 도7에서 처럼 전체적으로 조각이 구분되도록 가공할 수 있다. 다만 도6은 강성체 부분만 도시되었으나 기계가공시 부분 가공은 강성체 자체로 가공하여 기능성 판재 등과 부착할 수도 있고, 또한 미리 부착한 상태로 가공할 수도 있다. 도6의 강성체 판재(110)는 기능성 판재(150)와 접착 결합되어 시공시 절개 공간(112)을 기준으로 쪼개지거나 구부러지면서 유연하게 기단의 표면에 따라 부착하게 된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로서 강성체 판재가 조각난 상태로 기능성 판재 또는 유연성 판재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7은 강성체 판재(110)가 조각 조각 구분된 상태로서 기능성 판재(150)나 유연성 판재 등과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다. 상기 바닥재는 강성체 판재(110)를 조각 상태로 절개 공간(115)에 의해 조각(110a, 110b, 110c, 110d)들이 구분되어 기능성 판재(150)와 부착된 상태이다. 이와 같은 결합은 미리 전체 강성체 판재를 기능성 판재(150) 등에 부착하여 기계 가공으로 절개 공간(112)을 형성하거나 또는 미리 강성체 조각들(110a, 110b, 110c, 110d)을 만들어 조각 상태로 기능성 판재(150)에 부착할 수도 있다. 또는 도6과 같이 일부 절개 공간(112)을 형성하여 충격을 가하면 절개 공간(112)의 나머지 부분이 강성체 자체의 취성에 의해 떨어져 나갈 수도 있다.
강성체를 조각내어 전체적으로 유연성을 구비한 바닥재는 굴곡이 있는 기단에도 쉽게 붙일 수 있으며 단차가 발생하려는 힘을 줄여 단차를 보다 더 감소시킬 수 있다.
무기질 재료 등의 강성체 조각의 크기는 가로 세로 각각 5-50 mm 가 적당하다. 무기질재 조각의 크기가 5mm 이하이면 가공성이 떨어져 비용이 많이 들며 50 mm 보다 크면 미세하게 휘는 현상에 의해 바닥에 붙일 때 끼워 맞추기가 어려워진다.
무기질재 부재가 잘개 절개되어 상부 표면재에 붙어 있게 되면 상부 표면재의 유연성 만큼 바닥재 전체의 유연성이 많아져 굴곡진 기단에도 유연하게 맞추어 붙일 수 있게 된다.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조각 구분된 강성체와 기능성 판재 등이 접착된 바닥 재가 구부러진 기단에 시공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좌 우측의 바닥재(100a, 100b)는 인접하는 부분이 단차없이 접촉하게 된다. 바닥재 하부의 강성체 조각들은 기능성 판재(150) 등과 접착하는 부분까지 절개되어 있다. 따라서 기능성 판재(150) 등의 유연성에 따라 강성체 조각들은 각각 간격이 조정되면서 기단에 접착제에 의해 자연스럽게 부착시공된다. 그리하여 상기 바닥재들은(100a, 100b) 좌측 바닥재(100a)의 수용홈(114)에 우측 바닥재(100b)의 돌기(113)가 자연스럽게 수용되어 상기 바닥재들은(100a, 100b)간의 단차가 생기지 않도록 한다. 본 도8에서 기단의 휨과 강성체의 조각 구분이 많도록 도시되었는데,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취성이 강한 강성체를 구비한 바닥재가 평탄하지 않은 기단에 어떻게 작용하여 휘는 지 그리고 돌기와 수용홈이 자연스럽게 결합되는 지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의 강성체 판재 부분의 절개공간으로 접착제가 스며드는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9에서, 절개 공간(115)사이로 위에서 누르는 힘에 의해 접착제(300)가 자연스럽게 침투하게 된다. 즉, 바닥재를 시공할 때 눌러 붙이게 되면 시멘트 기단에 발라놓은 접착제는 각 강성체 조각들 사이의 절개 공간으로 침투해서 공간을 메우며 경화하게 된다. 절개 공간을 만들 때 무기질 재의 절개 공간을 화장판에 가깝게 만들거나 화장판에 의하여 한쪽의 절개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면 상면의 화장판의 탄성(휨)에 의해 맞추기가 용이해진다. 즉, 휨이 잘되는 절개 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충분히 두껍고 탄성이 있는 자재로 예를 들면 화장판과 같은 표면재 상판이 만들어져야 한다.
위의 도6 내지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의 절개공간을 설명하기 위한 것 으로서 절개공간 위주로 일부의 사시도(도6)와 단면도(도7 내지 도9)로서 설명한 것이다. 여기서 절개 공간은 도6에서는 강성체 판재가 일부 남겨진 상태로 절개 되었고 도7에서는 완전 절개되었으나 바람직하게는 강성체의 재질에 따라 절개공간의 깊이가 결정되어야 한다. 약간의 휨이 있는 강성체는 도6과 같이 조금 남겨도 되나 휨이 너무 없으면 도7과 같이 완전 조각 타입으로 하여도 된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도6과 같이 강성체 판재의 일부를 남기는 것이 좋으며, 절개 깊이는 깊을 수로 휨이 자연스럽게 발생하므로 깊게 하는 것이 좋으며, 또한 외곽에 아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돌기와 수용홈을 외측에 마련하여 하므로 도6의 예가 더 바람직하다. 도7의 경우는 절개 작업을 수행하지 않고 조각을 붙이는 경우라면 별도로 돌기와 수용홈을 구비하는 긴 조각을 따로 붙이는 것이 좋다.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가 측부에 돌기 및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예들의 정면도로서, 도5의 바닥재에서 돌기와 수용홈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돌기와 수용홈은 모두 동일한 도면 번호를 사용한다.
도10a는 도5의 돌기(113) 및 수용홈(114)과 달리 강성체 판재의 측면 전부에 형성된 것이다.
도10b는 돌기(113)는 삼각형 모양이고 및 수용홈(114)은 도5와 같이 반원형이다. 일반적으로 돌기(113)의 높이 및 돌출 길이는 수용홈(114)의 높이 및 깊이 보다 같거나 작아야 한다. 그러므로 도10b의 경우도 바닥재간의 결합시 돌기(113)의 수직 폭을 수용홈(114)의 수직 폭에서 고정하여 단차 및 상하 유동을 방지하게 된다. 즉, 상기 수용홈은 상기 돌기와 항상 동일한 형상일 필요는 없고 돌기를 수용가능한 높이와 폭을 구비하면 되는 것이다.
도10c는 돌기(113)와 수용홈(114)의 형상이 모두 사다리꼴로 형성되어 있다.
도10에서 돌기와 수용홈이 양측면에만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바닥재의 인접 두 측면에 각각 대응되게 쌍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닥재(100)에서 돌기(113)와 수용홈(114)은 모두 강성체 판재(110)의 측면 중심부를 기준으로 경사지도록 하는 것이다. 왜냐하면 강성체 판재는 일반적으로 취성이 강하므로 직사각형의 형상을 갖게 되면 돌기(113)가 수용홈(114)에 결합시 돌기의 돌출된 부분이 수용홈에 들어가면서 깨지기 쉽기 때문에 결합의 마지막 순간에 서로 접착면들이 접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바닥재에서 상기 강성체 판재의 휨이 적음에도 불구하고 돌기와 수용홈을 이용하여 결합시킬 수 있는 것은 상기 강성체 판재의 바닥면에 절개 공간이 형성됨으로써 가능한 것이다.
도1은 종래의 바닥재의 시공 방식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바닥재로서 2종 이상의 재료를 접착하여 사용하는 일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바닥재로서의 단면도이다.
도4는 도3의 기능성 판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간의 시공이 이루어진 일 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6은 강성체 바닥재에 홈을 형성하여 절개공간이 있는 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로서 강성체가 조각난 상태로 기능성 판재 또는 유연성 바닥재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8는 본 발명에 따른 조각 구분된 강성체와 기능성 판재 등이 접착된 바닥재가 구부러진 기단에 시공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의 강성체 부분의 절개 공간으로 접착제가 스며드는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가 측부에 돌기 및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예들의 정면도들이다.
Claims (5)
- 마그네슘 보드, 무기질 재료를 포함하여 휨이 적고 취성이 강한 강성체 재질의 판재; 및상기 바닥재 표면에 적층되는 인쇄지, 무늬목, 또는 나무 계열의 바닥재를 포함하는 기능성 판재, 또는 자체 유연성에 의해 기단의 굴곡에 따라 구부러지거나 휘는 유연성 재질의 판재;를 포함하며, 상기 강성체 재질의 판재가 시공될 기단 방향에 절개 공간이 형성되고 그리고 그 측면에는 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측면에는 상기 돌기에 상응하는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어 접착제에 의한 시공이 가능한 바닥재.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 공간이 부분 절개되거나 또는 적층된 타 판재 부분까지 형성되거나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공간의 폭이 수 mm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의 형상이 삼각형, 반원형, 반타원형, 사다리꼴형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수용홈을 상기 돌기를 수용할 수 있는 대응되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재의 상면의 모서리가 모따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31409A KR20090105763A (ko) | 2008-04-03 | 2008-04-03 | 바닥재 |
PCT/KR2008/002938 WO2008147088A2 (en) | 2007-05-25 | 2008-05-26 | Flo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31409A KR20090105763A (ko) | 2008-04-03 | 2008-04-03 | 바닥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105763A true KR20090105763A (ko) | 2009-10-07 |
Family
ID=41535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31409A KR20090105763A (ko) | 2007-05-25 | 2008-04-03 | 바닥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90105763A (ko) |
-
2008
- 2008-04-03 KR KR1020080031409A patent/KR20090105763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916634B2 (ja) | ラミネートされた床用製品 | |
US11781321B2 (en) | Wall or floor covering element | |
AU2010341895B2 (en) | Bright colored surface layer | |
EP4151403B1 (en) | Multi-layer floor panel with elastic core | |
US20040211144A1 (en) | Flooring panel or wall panel and use thereof | |
JP2005522605A (ja) | フローリング用フロアボード | |
KR20070072369A (ko) | 마루 판자 | |
KR20160002437A (ko) | 복합 hpl을 이용한 바닥장식재 | |
KR20090105763A (ko) | 바닥재 | |
KR100882953B1 (ko) | 바닥재 시공 방법 | |
CN109483961A (zh) | 一种多功能复合地板 | |
KR20090064604A (ko) | 바닥재 및 시공방법 | |
JP5130006B2 (ja) | 木質床材 | |
KR101277469B1 (ko) | 기능성 복합마루판 및 그 제조방법 | |
JP3378300B2 (ja) | 建築用床材 | |
CN211730557U (zh) | 无机复合板及地面总成 | |
KR102404593B1 (ko) | 유리섬유가 적층된 pvc 발포 차음 마루판 | |
WO2008147088A2 (en) | Floor | |
JP2001227147A (ja) | 床 板 | |
KR20100090859A (ko) | 강화 마루판용 마감 부재 | |
KR100967051B1 (ko) | 조립식 마루판 | |
JPH034667Y2 (ko) | ||
ITTO20070103A1 (it) | Pannello in legno per realizzare pavimenti interni di edifici | |
JP2575257Y2 (ja) | 捨貼り施工用防音床板 | |
JPH04297654A (ja) | パネル状床材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