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4943A - 전기오븐 - Google Patents

전기오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4943A
KR20090104943A KR1020080030127A KR20080030127A KR20090104943A KR 20090104943 A KR20090104943 A KR 20090104943A KR 1020080030127 A KR1020080030127 A KR 1020080030127A KR 20080030127 A KR20080030127 A KR 20080030127A KR 20090104943 A KR20090104943 A KR 200901049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electric oven
cooking chamber
flow path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0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완수
남현식
양재경
곽동성
조성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301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04943A/ko
Priority to EP09001783.1A priority patent/EP2107317B1/en
Priority to US12/390,177 priority patent/US8637793B2/en
Priority to CN200910126403XA priority patent/CN101548689B/zh
Publication of KR20090104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49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 F24C15/32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with forced circ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06Arrangements for circulation of cooling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8Foundations or supports plates; Legs or pillars; Casings; Whe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 F24C15/101Tops, e.g. hot plates; Rings provisions for circulation of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4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with heat radiated directly from the heating element
    • F24C7/043Sto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12/006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n air-to-air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07Removing cooking fumes from oven cav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Ovens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 Constitution Of High-Frequency Hea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오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구획플레이트에 의하여 조리실의 내부의 고온의 공기를 포함하는 공기가 유동되는 유로와 부품을 냉각시키기 위한 공기가 유동되는 유로가 서로 구획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전기오븐을 구성하는 부품을 보다 효율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전기오븐, 설치플레이트, 구획플레이트

Description

전기오븐{Electric oven}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부품을 보다 효율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는 전기오븐에 관한 것이다.
전기오븐이란, 전기를 사용하여 음식물을 가열하여 조리하는 가전기기이다. 이와 같은 전기오븐에는, 도어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조리실이 구비되고, 마이크로웨이브를 발진시키기 위한 전장부품 또는/및 히터열을 발생시키기 위한 히터와 같은 가열원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전장부품에서 발진되는 마이크로웨이브 또는/및 히터에서 발생되는 히터열에 의하여 상기 조리실의 내부의 음식물이 가열되어 조리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전기오븐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최근에는 상기 조리실의 용적을 최대화하기 위하여 상기 전기오븐의 부품이, 상기 조리실의 상방에 해당하는 상기 전기오븐의 상부에 설치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상기 전기오븐의 상부에 상기 전기오븐의 부품이 설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조리실에서 음식물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하여 상기 전기오븐의 부품이 손상될 우려가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효율적으로 부품을 냉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전기오븐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은 내부에 조리실이 구비되고, 상면을 어퍼플레이트가 형성하는 캐비티; 상면 외관을 형성하고, 상기 어퍼플레이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위치되는 아웃케이스; 상기 어퍼플레이트와 아웃케이스 사이에 설치되고, 그 상면에 적어도 1개의 부품이 설치되는 설치플레이트; 및 상기 어퍼플레이트와 설치플레이트 사이의 공간과 상기 아웃케이스와 설치플레이트 사이의 공간을 구획하는 구획부재;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은 조리실이 구비되는 캐비티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1유로; 상기 캐비티의 상부에 구비되고, 공기가 유동되는 방향으로 하류측 일부만 상기 제1유로와 연통되는 제2유로; 및 상기 제1 및 제2유로를 유동하는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는 팬어셈블리; 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전기오븐을 구성하는 부품을 보다 효율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전기오븐의 도어의 제1실시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기오븐의 도어의 제1실시예를 포함하는 전기오븐의 일부를 절개하여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절개하여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요부를 절개하여 보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전기오븐(1)은, 캐비티(10), 아웃케이스(20), 컨트롤패널(30) 및 도어(40)를 포함한다. 상기 캐비티(10)의 내부에는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한 조리실(11)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40)는 상기 조리실(11)을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상기 아웃케이스(20)는 상기 전기오븐(1)의 상면 및 양측면 외관을 형성한다. 상기 컨트롤패널(30)은 상기 전기오븐(1)의 동작을 위한 각종 조작신호를 입력받아서 상기 전기오븐(1)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전기오븐(1)의 동작에 관한 각종 정보를 외부로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캐비티(10)는 프론트플레이트(110), 이너캐비티(120) 및 아웃터캐비티(130)를 포함한다. 상기 프론트플레이트(110)는 상기 캐비티(1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이너캐비티(120)는 실질적으로 상기 조리실(11), 즉 상기 조리실(11)의 상하면, 양측면 및 후면을 형성한다. 상기 아웃터캐비티(130)는 상기 캐비티(10)의 상하면, 양측면 및 후면 외관을 형성한다.
상기 프론트플레이트(110)의 내부에는 상기 조리실(11)로 음식물이 출납되는 입출개구(11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입출개구(111)의 상방에 해당하는 상기 프론트플레이트(110)의 상단부에는 상기 도어(40)의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가 전달되 는 제1흡기구(113)가 구비된다.
상기 이너캐비티(120)는 어퍼플레이트(121), 바텀플레이트(122), 2개의 사이드플레이트 및 백플레이트(123)를 포함한다. 상기 이너캐비티(120)의 어퍼플레이트(121), 바텀플레이트(122), 사이드플레이트 및 백플레이트(123)는, 각각 상기 조리실(11)의 상면, 하면, 양측면 및 후면을 형성한다. 상기 아웃터캐비티(130)도, 상기 이너캐비티(120)와 동일하게, 어퍼플레이트(131), 바텀플레이트, 2개의 사이드플레이트 및 백플레이트(133)를 포함한다. 상기 아웃터캐비티(130)의 어퍼플레이트(131), 바텀플레이트, 사이드플레이트 및 백플레이트(133)는, 각각 상기 캐비티(10)의 상면 외관, 하면 외관, 양측면 외관 및 후면 외관을 형성한다.
상기 이너캐비티(120)의 어퍼플레이트(121), 바텀플레이트(122), 사이드플레이트 및 백플레이트(123)와 상기 아웃터캐비티(130)의 어퍼플레이트(131), 바텀플레이트, 사이드플레이트 및 백플레이트(133)는 서로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된다. 그리고 상기 이너캐비티(120)의 어퍼플레이트(121), 바텀플레이트(122), 사이드플레이트 및 백플레이트(123)와 상기 아웃터캐비티(130)의 어퍼플레이트(131), 바텀플레이트, 사이드플레이트 및 백플레이트(133) 사이에는 소정의 유로 또는 단열재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너캐비티(120)의 어퍼플레이트(121)와 상기 아웃터캐비티(130)의 어퍼플레이트(131) 사이 및 상기 이너캐비티(120)의 백플레이트(123)와 상기 아웃터캐비티(130)의 백플레이트(133) 사이에는 각각 유로가 구비된다. 상기 이너캐비티(120)의 사이드플레이트와 상기 아웃터캐비티(130)의 사이드플레이트 사이에는 단열재가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상기 이너캐비티(120)의 어퍼플레이트(121) 및 백플레이트(123)를, 각각 제1어퍼플레이트(121) 및 제1백플레이트(123)라 칭한다. 그리고 상기 아웃터캐비티(130)의 어퍼플레이트(131) 및 백플레이트(133)를, 각각 제2어퍼플레이트(131) 및 제2백플레이트(133)라 칭한다.
상기 제1어퍼플레이트(121)에는 조리실연통개구(미도시)가 구비된다. 상기 제1어퍼플레이트(121)의 조리실연통개구는 상기 조리실(11)에서 음식물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유분이나 수분을 포함하는 공기를 상기 조리실(11)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출구역할을 한다. 상기 제1어퍼플레이트(121)의 저면 및 제1백플레이트(123)의 전면에는 각각 어퍼히터(115) 및 컨백션장치(117)가 구비된다. 상기 어퍼히터(115)는 상기 조리실(11)의 내부의 음식물을 복사가열시키기 위한 것이고, 상기 컨백션장치(117)는 상기 조리실(11)의 내부의 음식물을 고온의 열풍으로 대류가열시키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제2어퍼플레이트(131)에도 조리실연통개구(135)가 구비된다. 상기 제2어퍼플레이트(131)의 조리실연통개구(135)는, 실질적으로, 상기 제1어퍼플레이트(121)의 조리실연통개구와 연통된다. 상기 제2어퍼플레이트(131)의 조리실연통개구(135)는 상기 제1어퍼플레이트(121)의 조리실연통개구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를 후술할 제1유로(P1)로 전달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제2어퍼플레이트(131)의 후단부에는 다수개의 제2연통개구(137)가 구비된다. 상기 제2연통개구(137)는 상기 제2어퍼플레이트(131)의 후단부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2연통개구(137)는 제1유로(P1)와 상기 제1백플레이 트(123)와 제2백플레이트(133) 사이의 유로, 즉 후술할 제3유로(P3)를 연통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아웃케이스(20)는, 상기 전기오븐(1)의 상면 외관을 형성하는 탑플레이트(201) 및 양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2개의 래터럴플레이트(203)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탑플레이트(201)의 저면과 상기 제2어퍼플레이트(131)의 상면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래터럴플레이트(203) 중, 본 실시예에서는, 도 1에서 도면상 우측의 래터럴플레이트(203)에 제2흡기구(205)가 구비된다. 상기 제2흡기구(205)는 후술할 제2유로(P2)를 유동하는 공기가 흡입되는 입구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제2어퍼플레이트(131)와 래터럴플레이트(203)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는 설치플레이트(140)가 구비된다. 상기 설치플레이트(140)는 상기 제2어퍼플레이트(131)와 래터럴플레이트(203)의 일부와 중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설치플레이트(140)가 상기 제2어퍼플레이트(131) 및 래터럴플레이트(203)를 전부방으로 양분한 그 전단부에 대응하는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설치플레이트(140)가 상기 제2어퍼플레이트(131)와 래터럴플레이트(203)의 사이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제2어퍼플레이트(131)의 상면과 상기 래터럴플레이트(203)의 저면 사이에 형성되는 유로는 상하로 구획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2어퍼플레이트(131)의 상면과 상기 설치플레이트(140)의 저면 사이에 형성되는 유로를 제1유로(P1), 상기 래터럴플레이트(203)와 설치플레이트(140)의 저면 사이에 형성되는 유로를 제2유로(P2)라 칭한다. 상기 제1유로(P1)의 상류측은 상기 제1흡기구(113)와 연통되고, 상기 제1유로(P1)의 하류측은 상기 제2연통 개구(137)와 연통된다. 그리고 상기 제2유로(P2)의 상류측은 상기 제2흡기구(205)와 연통된다. 따라서 상기 제1유로(P1)에는 상기 제1흡기구(113)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가 유동되고, 상기 제2유로(P2)에는 상기 제2흡기구(205)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가 유동된다.
상기 설치플레이트(140)의 양측단부에는 지지부(141)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부(141)는, 예를 들면, 상기 설치플레이트(140)의 양측단부 일부가 하방으로 밴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41)의 하단은 상기 제2어퍼플레이트(131)의 상면 양측단부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설치플레이트(140)의 일측에는 제1연통개구(143)가 구비된다. 상기 제1연통개구(143)는, 상기 설치플레이트(140)를 중심으로 상기 제2어퍼플레이트(131)와 래터럴플레이트(203) 사이의 공간, 즉 상기 제1 및 제2유로(P1)(P2)를 연통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제2유로(P2)를 유동하는 공기는 상기 제1연통개구(143)를 통하여 상기 제1유로(P1)로 유동된다. 상기 제1연통개구(143)가 상기 제2흡기구(205)로부터 가장 이격되는 상기 설치플레이트(140)의 도면상 우측단부 일부, 즉 상기 제2유로(P2)를 공기가 유동하는 방향으로 하류측에 해당하는 상기 설치플레이트(140)의 일부가 소정의 형상으로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설치플레이트(140)의 도면상 후단부에는 구획플레이트(145)가 구비된다. 상기 구획플레이트(145)는, 상기 제1연통개구(143)를 제외한 영역에서 상기 제1 및 제2유로(P1)(P2)를 구획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구획플레이트(145)는 상기 설치플레이트(140)의 도면상 후단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구획플레이트(145)의 상단은 상기 래터럴플레이트(203)의 저면에 밀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구획플레이트(145)가 상기 설치플레이트(140)의 도면상 후단부 일부가 상방으로 밴딩되어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 구획플레이트(145)는 별개로 성형되어 상기 설치플레이트(140)의 후단부에 고정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설치플레이트(140)의 상면, 즉 상기 제2유로(P2) 상에는 다수개의 부품이 설치된다. 상기 설치플레이트(140)의 상면에 설치되는 부품은 상기 제2유로(P2)를 유동하는 공기에 의하여 냉각된다. 예를 들면, 상기 설치플레이트(140)의 상면에는 고압트랜스(147)나 릴레이기판(149) 등과 같은 부품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백플레이트(123) 및 제2백플레이트(133) 사이에는 제3유로(P3)가 구비된다. 상기 제3유로(P3)의 상단부, 즉 상기 제3유로(P3)의 상류측은 상기 제2연통개구(137)를 통하여 상기 제1유로(P1)의 하류측과 연통된다. 따라서 상기 제1유로(P1)를 유동하는 공기, 다시 말하면, 상기 제1흡기구(113)를 통하여 흡입되어 상기 제1유로(P1)를 유동하는 공기 및 상기 제2유로(P2)를 유동하다가 상기 제1연통개구(143)를 통하여 상기 제1유로(P1)로 유동된 공기는 상기 제2연통개구(137)를 통하여 상기 제3유로(P3)로 유동된다.
또한 상기 제2어퍼플레이트(131)의 후단부에는 팬어셈블리(150)가 설치된다. 상기 팬어셈블리(150)는 상기 제1 내지 제3유로(P1)(P2)(P3) 및 후술할 도어냉각유로(P4)를 유동하는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팬어셈블리(150)는 팬모터(151) 및 상기 팬모터(151)에 의하여 구동하는 팬(153)을 포함한다. 본 실 시예에서는, 상기 팬(153)의 흡기구는 전방을 향하고, 상기 팬(153)의 배기구는 상기 제2연통개구(137) 중 하나와 연통된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패널(30)은 상기 캐비티(10)의 전면 상단부에 설치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컨트롤패널(30)은, 외관을 형성하는 컨트롤케이싱(31), 상기 컨트롤케이싱(31)의 내부에 설치되는 컨트롤플레이트(33) 및 상기 컨트롤플레이트(33)에 고정되는 메인인쇄회로기판(35) 및 디스플레이인쇄회로기판(37)을 포함한다. 상기 메인인쇄회로기판(35)에는 상기 전기오븐(1)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다수개의 전장부품이 실장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인쇄회로기판(37)에는 상기 전기오븐(1)의 동작에 관한 각종 정보를 외부로 표시하기 위한 다수개의 전장부품이 실장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메인인쇄회로기판(35)과 디스플레이인쇄회로기판(37)이 상기 컨트롤플레이트(33)의 이면에 도면상 좌우측으로 나란히 설치된다. 또한 상기 메인인쇄회로기판(35) 및 디스플레이인쇄회로기판(37)은 상기 제2유로(P2) 상에 노출된다. 따라서 상기 메인인쇄회로기판(35) 및 디스플레이인쇄회로기판(37)은 상기 제2유로(P2)를 유동하는 공기에 의하여 냉각될 것이다.
상기 도어(40)는, 상기 조리실(11)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동시에 상기 조리실(11)에서 음식물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열이 상기 조리실(11)의 외부로 전달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도어(40)는, 도어패널도어패널(410), 프론트글래스(420), 도어프레임(430), 리어글래스(440), 이너글래스(450), 제1 및 제2단열플레이트(460)(470), 및 도어핸들(480)을 포함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도어패널(410)은 상기 도어(40)의 전면, 상 면 및 양측면 외관을 형성한다. 상기 도어패널(410)의 내부에는 투시개구(411)가 형성된다. 상기 도어패널(410)의 투시개구(411)는 사용자가 상기 조리실(11)의 내부에서의 음식물이 조리되는 상태를 육안으로 식별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글래스(420)는 상기 도어패널(410)의 투시개구(411)에 대응하는 상기 도어패널(410)의 이면에 위치된다. 상기 프론트글래스(420)는 상기 도어패널(410)의 투시개구(411)를 차폐함으로써, 실질적으로 상기 도어(40)의 전면 외관 일부를 형성한다.
한편 상기 도어프레임(430)은 상기 도어(40)의 이면 외관을 형성한다. 상기 도어프레임(430)의 내부에는, 상기 도어패널(410)의 투시개구(411)에 대응하는 투시개구(431)가 형성된다. 상기 도어프레임(430)의 투시개구(431)도, 상기 도어패널(410)의 투시개구(411)와 동일하게, 상기 조리실(11)의 내부에서 음식물이 조리되는 상태를 사용자가 육안으로 식별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도어프레임(430)의 상단부에는 도어배기구(43)가 구비된다. 상기 도어배기구(43)는 상기 도어(40)의 내부를 유동한 공기가 배출되는 출구역할을 한다. 상기 도어배기구(43)는, 상기 도어(40)가 상기 조리실(11)을 차폐한 상태에서, 상기 제1흡기구(113)와 연통된다.
한편 상기 리어글래스(440)는 상기 도어프레임(430)의 투시개구(431)를 차폐하는 동시에 상기 도어(40)의 이면 외관 일부를 형성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리어글래스(440)는 상기 도어프레임(430)의 투시개구(431)에 대응하는 상기 도어프레임(430)의 전면에 구비된다.
상기 이너글래스(450)는 상기 프론트글래스(420)와 리어글래스(440)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도어(40)의 내부에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프론트글래스(420)와 리어글래스(440)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도어(40)의 내부는 상기 이너글래스(450)에 의하여 전후방으로 구획된다.
상기 제1단열플레이트(460)는 상기 리어글래스(440)와 이너글래스(450)의 사이의 공간의 테두리에 해당하는 상기 도어(40)의 내부에 구비된다. 상기 제2단열플레이트(470)는 상기 도어패널(410)과 제1단열플레이트(460)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제1 및 제2단열플레이트(460)(470)는 후술할 제1 및 제2단열층(47)(49)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단열플레이트(460)는, 2개의 밀착부(461) 및 1개의 단열부(463)를 포함한다. 상기 제1단열플레이트(460)의 밀착부(461)는 상기 도어프레임(430)의 전면에 각각 밀착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단열플레이트(460)의 밀착부(461)는 상기 도어프레임(430)의 투시개구(431)의 외측에 해당하는 상기 도어프레임(430)의 전면 테두리에 밀착된다. 상기 제1단열플레이트(460)의 단열부(463)는, 상기 제1단열플레이트(460)의 밀착부(461) 사이를 연결한다. 상기 제1단열플레이트(460)의 단열부(463)의 후면은 상기 도어프레임(430)의 전면으로부터 이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단열플레이트(460)의 단열부(463)가 대략 ㄷ자형상으로 형성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도어프레임(430)의 투시개구(431)에 인접하는 상기 제1단열플레이트(460)의 단열부(463)의 일측에는 한쌍의 삽입홈(465)이 구비된다. 상기 삽입홈(465)에는 상기 리어글래스(440) 및 이너글래스(450)의 테두리부분이 삽입된다.
한편 상기 제2단열플레이트(470)는 2개의 밀착부(471) 및 1개의 단열부(472)를 포함한다. 상기 제2단열플레이트(470)의 밀착부(471)는 상기 도어프레임(430)의 전면 및 상기 이너글래스(450)의 전면에 각각 밀착된다. 그리고 상기 제2단열플레이트(470)의 단열부(473)는 상기 제2단열플레이트(470)의 밀착부(471)를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제2단열플레이트(470)의 단열부(473)의 일부는 상기 제1단열플레이트(460)의 단열부(463)와 밀착되고, 상기 제2단열플레이트(470)의 단열부(473)의 나머지 일부는 상기 제1단열플레이트(460)의 단열부(463)로부터 이격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단열플레이트(460)(470)의 단열부(463)(473)의 일부를 밀착시키는 것은 상기 제1 및 제2단열플레이트(460)(470)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단열플레이트(460)(470)의 밀착부(463)(473)가 상기 도어프레임(430)의 전면 또는 상기 도어프레임(430)의 전면 및 상기 이너글래스(450)의 전면에 각각 밀착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 및 제2단열플레이트(460)(470)의 밀착부(463)(473)는 실질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단열플레이트(460)(470)를 상기 도어(40)의 내부에 소정의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단열플레이트(460)(470)의 밀착부(463)(473)가 각각 상기 도어프레임(430)의 전면에 밀착되는 경우, 상기 제1단열플레이트(460)의 밀착부(463)는 각각 상기 도어프레임(430)의 전면에 밀착되고 상기 제2단열플레이트(470)의 밀착부(473)는 각각 상기 도어프레임(430)의 전면 또 는 상기 제1단열플레이트(460)의 전면에 밀착되거나 상기 제1단열플레이트(460)의 전면에 밀착되는 경우도 가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핸들(480)은 상기 도어패널(410)의 투시개구(411)의 상방에 해당하는 상기 도어패널(410)의 전면 상단부에 구비된다. 상기 도어핸들(480)은 사용자가 상기 조리실(11)을 개폐, 즉 상기 도어(40)를 회동시키기 위하여 손으로 파지하는 부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도어핸들(480)이 중공의 바아형상으로 좌우로 길게 형성되어 그 양단이 상기 도어패널(410)의 전면에 고정된다.
한편 상기 도어(40)의 내부에는 도어냉각유로(P4), 메인단열층(45) 및 제1 및 제2단열층(47)(49)이 구비된다. 상기 도어냉각유로(P4)는 상기 도어패널(410) 및 프론트글래스(420)와 상기 이너글래스(450), 제2단열플레이트(470)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도어냉각유로(P4)의 하단부는 상기 도어(40)의 저면, 즉 상기 도어패널(410)의 하단과 상기 도어프레임(430)의 하단 사이에 형성되는 도어흡기구(41)와 연통되고, 상기 도어냉각유로(P4)의 상단부는 상기 도어배기구(43)와 연통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흡기구(43)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가 상기 도어냉각유로(P4)를 유동하여 상기 도어배기구(43)를 통하여 배출되는 것이다. 상기 메인단열층(45)은, 상기 리어글래스(440), 이너글래스(450) 및 제1단열플레이트(460)에 의하여 형성된다. 상기 메인단열층(45)은 실질적으로 상기 도어(40)의 내부로부터 차폐되어 그 내부의 공기층에 의하여 상기 조리실(11)의 내부의 열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단열층(47)(49)은 각각 상기 도어프레임(430)의 전면과 상기 제1단열플레이트(460) 사이 또는 상기 제1 및 제2단열 플레이트(460)(470) 사이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조리실(11)의 열이 전달되는 방향, 즉 상기 조리실(11)의 내부에서 외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및 제2단열층(47)(49)이 차례로 위치된다. 특히 상기 제1 및 제2단열층(47)(49)은, 상기 도어프레임(430)과 리어글래스(440)의 연결부분, 즉 상기 도어프레임(430)의 투시개구(431)의 테두리를 통한 상기 조리실(11)의 내부의 열의 전달을 보다 효율적으로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전기오븐의 도어의 작용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상기 컨트롤패널(30)을 조작하여 조작신호를 입력하면, 입력된 조작신호에 따라서 상기 전기오븐(1)이 구동하여 상기 조리실(11)의 내부의 음식물을 가열하여 조리한다. 즉 상기 어퍼히터(115) 또는/및 컨백션장치(117)가 구동하여 상기 조리실(11)의 내부의 음식물이 가열된다. 또한 상기 전기오븐(1)이 동작하면, 상기 팬어셈블리(150)가 구동하여 상기 전기오븐(1)의 내외부를 유동하는 공기의 흐름이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팬어셈블리(150)가 구동하면, 상기 도어흡기구(43)를 통하여 상기 도어냉각유로(P4)의 내부로 외부의 공기가 흡입된다. 이와 같이 상기 도어냉각유로(P4)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팬어셈블리(150)의 계속적인 구동에 의하여 상기 도어냉각유로(P4)를 유동하여 상기 도어배기구(43)를 통하여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배기구(43)를 통하여 배출된 공기는, 상기 도어배기구(43) 와 연통되는 상기 제1흡기구(113)를 통하여 상기 제1유로(P1)로 유입된다. 상기 제1유로(P1)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팬어셈블리(150)의 구동에 의하여 상기 제1유로(P1)를 유동하여 상기 제1연통개구(143)를 통하여 상기 제3유로(P3)로 유입된다.
또한 상기 조리실(11)에서 음식물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유분이나 수분이 발생된다. 이와 같은 유분이나 수분은, 상기 팬어셈블리(150)의 구동에 의하여, 상기 조리실(11)의 내부의 공기와 함께 상기 제1 및 제2어퍼플레이트(121)(131)의 조리실연통개구(135)를 통하여 상기 제1유로(P1)로 전달되어 상기 제1유로(P1)를 유동하는 공기와 함께 상기 제3유로(P3)로 전달된다.
한편 상기 팬어셈블리(150)가 구동하면, 상기 제2흡기구(205)를 통하여 상기 제2유로(P2)의 내부로 공기가 흡입된다. 상기 제2유로(P2)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제2유로(P2)를 유동하면서 상기 전기오븐(1)의 부품을 냉각시킨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설치플레이트(140)의 상면에 설치되는 상기 고압트랜스(147)와 릴레이기판(149) 및 상기 컨트롤패널(30)의 상기 메인인쇄회로기판(35) 및 디스플레이인쇄회로기판(37)을 냉각시킨다. 그리고 상기 전기오븐(1)의 부품을 냉각시킨 공기는 상기 제2연통개구(137)를 통하여 상기 제1유로(P1)로 전달되어 상기 제1유로(P1)를 유동하는 공기와 함께 상기 제3유로(P3)로 전달된다.
그런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유로(P1)(P2)는 상기 제2연통개구(137)를 제외한 부분에서 서로 구획된다. 특히 상기 구획플레이트(145)에 의하여 상기 제2유로(P2)를 유동하는 공기는 상기 제1유로(P1)로 전달되지 않고, 상기 전기오븐(1)의 부품을 향하여 안내된다. 따라서 상기 제2유로(P2)를 유동하 는 공기에 의하여 상기 전기오븐(1)의 부품이 보다 효율적으로 냉각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조리실(11)에서 음식물을 가열하는 과정에서는 열이 발생된다. 이와 같은 상기 조리실(11)의 내부의 열은 상기 도어(40)에 의하여 외부로 전달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그런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도어냉각유로(P4)를 유동하는 공기에 의하여 상기 도어(40)가 냉각되고, 상기 메인단열층(45)에 의하여 상기 조리실(11)의 내부의 열이 외부로 전달되는 현상이 방지되는 동시에 상기 제1 및 제2단열층(47)(49)에 의하여, 특히 상기 도어프레임(430)과 이너글래스(450)의 연결부를 통하여 상기 조리실(11)의 내부의 열이 외부로 전달되는 현상이 보다 효율적으로 방지된다. 따라서 상기 조리실(11)의 내부의 열이 외부로 전달됨으로써, 이에 의하여 사용자가 부상을 입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전기오븐의 제2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전기오븐의 제2실시예의 일부를 절개하여 보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도 1 내지 도 3의 도면부호를 원용하여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제2유로(P2)의 내부에 에어가이드(146)가 구비된다. 상기 에어가이드(146)는 제2흡기구(205)를 통하여 상기 제2유로(P2)로 흡입되는 공기를 설치플레이트(140)의 상면에 설치되는 부품, 다시 말하면, 고압트랜스(147) 및 릴레이기판(149)과 컨트롤패널(30)을 구성하는 부품, 즉 메인인 쇄회로기판(35) 및 디스플레이인쇄회로기판(37)으로 구획되어 유동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에어가이드(146)에 의하여 상기 제2흡기구(205)를 통하여 상기 제2유로(P2)로 흡입되는 공기를 구획하는 것은, 상기 설치플레이트(140)의 상면에 설치되는 부품과 상기 컨트롤패널(30)을 구성하는 부품을 보다 효율적으로 냉각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상기 에어가이드(146)는 상기 제2유로(P2)를 유동하는 공기의 방향, 즉 도 4에서 도면상 좌우로 길게 구비된다. 이때 상기 에어가이드(146)의 도면상 좌측단부는 상기 제2흡기구(205)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다. 그리고 상기 에어가이드(146)의 도면상 우측단부는 제2연통개구(143)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다. 따라서 상기 제2흡기구(205)를 통하여 상기 제2유로(P2)로 흡입되는 공기의 일부는 상기 고압트랜스(147) 및 릴레이기판(149)을 냉각시키고 상기 제2연통개구(143)를 통하여 상기 제1유로(P1)로 전달되고, 상기 제2흡기구(205)를 통하여 상기 제2유로(P2)로 흡입되는 공기의 나머지는 상기 메인인쇄회로기판(35) 및 디스플레이인쇄회로기판(37)을 냉각시키고 상기 제2연통개구(143)를 통하여 상기 제1유로(P1)로 전달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흡기구를 통하여 상기 전기오븐의 내부, 즉 상기 제1 및 제2유로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프론트플레이트와 컨트롤패널 사이의 틈새, 상기 프론트플레이트와 래터럴플레이트 사이의 틈새와 같은 상기 전기오븐의 전면 및 측면에 형성되는 틈새를 통하여 상기 제1 및 제2유로로 공기가 흡입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전기오븐에서는, 조리실에서 음식물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유분이나 수분을 포함하는 고온의 공기나 도어를 냉각시킨 고온으로 공기가 유동되는 유로와 전기오븐의 부품을 냉각시키기 위한 유로가 서로 구획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전기오븐의 부품이 보다 효율적으로 냉각됨을써, 제품의 내구성 및 동작신뢰성이 증진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기오븐의 제1실시예의 일부를 절개하여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구성하는 도어를 절개하여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구성하는 도어의 요부를 절개하여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전기오븐의 제2실시예의 일부를 절개하여 보인 사시도.

Claims (16)

  1. 내부에 조리실이 구비되고, 상면을 어퍼플레이트가 형성하는 캐비티;
    상면 외관을 형성하고, 상기 어퍼플레이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위치되는 아웃케이스;
    상기 어퍼플레이트와 아웃케이스 사이에 설치되고, 그 상면에 적어도 1개의 부품이 설치되는 설치플레이트; 및
    상기 어퍼플레이트와 설치플레이트 사이의 공간과 상기 아웃케이스와 설치플레이트 사이의 공간을 구획하는 구획부재; 를 포함하는 전기오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플레이트에는, 상기 어퍼플레이트와 설치플레이트 사이의 공간과 상기 아웃케이스와 설치플레이트 사이의 공간을 연통시키는 연통개구가 형성되는 전기오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재는 상기 설치플레이트의 일부가 밴딩되어 형성되는 전기오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플레이트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어퍼플레이트와 설치플레이트 사이의 공간 및 상기 아웃케이스와 설치플레이트 사이의 공간을 유동하는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는 팬어셈블리를 더 포함하는 전기오븐.
  5. 제 4 항에 있어서,
    전면에 설치되고, 상기 팬어셈블리의 구동에 의하여 상기 아웃케이스와 설치플레이트 사이의 공간을 유동하는 공기에 의하여 냉각되는 컨트롤패널을 더 포함하는 전기오븐.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팬어셈블리의 구동에 의하여 흡입되는 공기가 상기 설치플레이트에 설치되는 부품과 상기 컨트롤패널을 향하여 구획되어 유동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하는 전기오븐.
  7. 조리실이 구비되는 캐비티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1유로;
    상기 캐비티의 상부에 구비되고, 공기가 유동되는 방향으로 하류측 일부만 상기 제1유로와 연통되는 제2유로; 및
    상기 제1 및 제2유로를 유동하는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는 팬어셈블리; 를 포함하는 전기오븐.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로에는, 상기 조리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를 냉각시킨 공기 및 상기 조리실의 내부의 공기 중 적어도 하나의 공기가 유동되는 전기오븐.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팬어셈블리가 구동하면, 상기 조리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의 내부에 구비되는 도어냉각유로를 유동한 공기가 흡입되어 상기 제1유로를 유동하는 전기오븐.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팬어셈블리가 구동하면, 상기 캐비티의 상면에 구비되는 조리실연통개구를 통하여 흡입되는 조리실 내부의 공기가 상기 제1유로를 유동하는 전기오븐.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로는, 상기 캐비티의 상면을 형성하는 어퍼플레이트와 상기 어퍼플레이트의 상방에 구비되는 설치플레이트 사이에 형성되는 전기오븐.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로에는, 부품을 냉각시키기 위한 공기가 유동되는 전기오븐.
  1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로는, 상면 외관을 형성하는 아웃케이스와 상기 캐비티의 상면을 형성하는 어퍼플레이트의 상방에 구비되는 설치플레이트 사이에 형성되는 전기오븐.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로를 유동하는 공기는, 상기 설치플레이트의 상면에 설치되는 부품 및 상기 캐비티의 전면에 구비되는 컨트롤패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냉각시키는 전기오븐.
  15.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유로는 상기 캐비티의 상방에 구비되는 설치플레이트에 의하여 구획되고,
    상기 설치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연통개구에 의하여 서로 연통되는 전기오븐.
  16.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팬어셈블리는 상기 제1유로를 유동하는 공기의 유동방향으로 상기 제1유로의 하류측에 설치되는 전기오븐.
KR1020080030127A 2008-04-01 2008-04-01 전기오븐 KR20090104943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0127A KR20090104943A (ko) 2008-04-01 2008-04-01 전기오븐
EP09001783.1A EP2107317B1 (en) 2008-04-01 2009-02-09 Electric oven
US12/390,177 US8637793B2 (en) 2008-04-01 2009-02-20 Electric oven
CN200910126403XA CN101548689B (zh) 2008-04-01 2009-02-26 电烘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0127A KR20090104943A (ko) 2008-04-01 2008-04-01 전기오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4943A true KR20090104943A (ko) 2009-10-07

Family

ID=40847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0127A KR20090104943A (ko) 2008-04-01 2008-04-01 전기오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637793B2 (ko)
EP (1) EP2107317B1 (ko)
KR (1) KR20090104943A (ko)
CN (1) CN101548689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302028A1 (en) * 2020-03-31 2021-09-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oking applian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14492B (zh) * 2013-09-10 2018-09-11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烤箱及其腔体组件
EP3137816B1 (en) * 2014-04-30 2019-01-09 Arçelik Anonim Sirketi Oven with ventilation unit and heat protective shield
KR102291276B1 (ko) * 2014-12-19 2021-08-20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븐
US11639797B2 (en) 2015-05-05 2023-05-02 Ovention, Inc. Cooking oven having an active vent
US10337745B2 (en) * 2015-06-08 2019-07-02 Alto-Shaam, Inc. Convection oven
US10024541B2 (en) * 2016-05-13 2018-07-17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Double oven appliance
CN107981741A (zh) * 2017-12-22 2018-05-0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蒸烤设备
CN111956078A (zh) * 2020-07-17 2020-11-20 华帝股份有限公司 具有散热功能的门体结构及应用其的烹饪设备
CN114176423B (zh) * 2021-12-31 2023-09-15 深圳市晨北科技有限公司 一种烤箱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106869B2 (de) * 1971-02-13 1977-08-25 Neff - Werke, Carl Neff Gmbh, 7518 Bretten Haushaltsbackofen
US3889100A (en) * 1974-07-31 1975-06-10 Gen Electric Oven ventilating system
JPS58178988A (ja) * 1982-04-14 1983-10-2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調理器ユニツト
FR2726633B1 (fr) * 1994-11-04 1996-11-29 Europ Equip Menager Procede de refroidissement de la porte d'un appareil de cuisson et appareil de cuisson mettant en oeuvre le procede
US6707019B2 (en) 2000-12-30 2004-03-16 Lg Electronics Inc. Ventilation structure of microwave oven and lamp fitting structure therefor
KR100582306B1 (ko) * 2003-11-05 2006-05-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세트 타잎 후드 겸용 전자 레인지
DE102004008465A1 (de) * 2004-02-20 2005-09-08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 und/oder Entlüften eines Garofens
FR2876781B1 (fr) * 2004-10-18 2007-01-26 Brandt Ind Sas Four de cuisson comportant un dispositif de ventilation des organes de commande
US7874289B2 (en) * 2005-03-29 2011-01-25 Maytag Corporation Door assembly for a cooking appliance
KR100815051B1 (ko) * 2005-06-22 2008-03-18 주식회사 엘지화학 탄산세륨 나노 분말의 제조방법
US20070119845A1 (en) * 2005-11-25 2007-05-31 Lg Electronics Inc. Cook-top and cooking system having the same
KR101261669B1 (ko) * 2007-01-02 2013-05-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후드 겸용 전자 레인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302028A1 (en) * 2020-03-31 2021-09-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oking appliance
WO2021201587A1 (ko) * 2020-03-31 2021-10-07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기기
US11512857B2 (en) 2020-03-31 2022-11-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oking applia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548689B (zh) 2012-12-26
EP2107317A3 (en) 2015-05-20
US8637793B2 (en) 2014-01-28
EP2107317B1 (en) 2017-08-23
US20090242542A1 (en) 2009-10-01
EP2107317A2 (en) 2009-10-07
CN101548689A (zh) 2009-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104943A (ko) 전기오븐
KR101207301B1 (ko) 오븐
KR101281513B1 (ko) 오븐
EP1586820B1 (en) Cooling apparatus of cooking appliance
KR20180080062A (ko) 조리기기
CN107850316B (zh) 烤箱
KR20130011486A (ko) 오븐 도어
CA2606955C (en) Door assembly for a cooking appliance
US10935247B2 (en) Cooking apparatus
KR100872222B1 (ko) 조리기기
KR20090104942A (ko) 전기오븐의 도어
KR20090082917A (ko) 유도가열 조리기
KR101047692B1 (ko) 오븐
US11852347B2 (en) Cooking appliance having cooling system
KR20170137488A (ko) 오븐
KR20070108298A (ko) 조리기기
KR101025659B1 (ko) 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오븐
US8546735B2 (en) Microwave oven
KR20160088608A (ko) 조리기기
KR100717437B1 (ko) 전기 오븐의 도어 냉각 구조
KR101702667B1 (ko) 조리기기
KR20210121955A (ko) 조리기기
KR100697009B1 (ko) 조리기구의 냉각구조
KR100819593B1 (ko) 조리기기
KR100693147B1 (ko) 전자레인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