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3147B1 - 전자레인지 - Google Patents

전자레인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3147B1
KR100693147B1 KR1020060031005A KR20060031005A KR100693147B1 KR 100693147 B1 KR100693147 B1 KR 100693147B1 KR 1020060031005 A KR1020060031005 A KR 1020060031005A KR 20060031005 A KR20060031005 A KR 20060031005A KR 100693147 B1 KR100693147 B1 KR 1006931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avity
chamber
flow path
bas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1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310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31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31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31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8Draught shie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06Arrangements for circulation of cooling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8Foundations or supports plates; Legs or pillars; Casings; Whe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2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using microwa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레인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캐비티(50)와, 아웃케이스(67), 그리고 베이스플레이트(69)가 구비되는 전자레인지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의 상면에 구비되는 전장실에 설치되고, 내외부를 순환하는 에어플로를 형성하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팬어셈블리(63); 상기 캐비티의 일측면과 상기 아웃케이스의 일측면 내측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팬어셈블리에 인접하는 상기 캐비티의 후면 일단부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흡기구를 통하여 내부로 유입된 외부의 공기가 유동되어 상기 전장실로 전달되는 제1유로(75); 상기 제1유로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상기 캐비티의 타측면과 상기 아웃케이스의 타측면 내측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전장실의 전장부품을 냉각시킨 공기가 유동되는 제2유로(77); 상기 캐비티의 저면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면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제2유로에서 전달된 공기가 유동되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배기구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제3유로(79); 그리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면에 구비되고, 상기 제3유로를 유동하는 공기를 상기 배기구로 안내하는 에어가이드(83); 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내부를 순환하는 공기가 외부로 보다 원활하게 배출되고, 고온의 공기에 사용자가 화상을 입는 현상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전자레인지, 캐비티, 베이스플레이트, 배기구, 에어가이드

Description

전자레인지{A microwave oven}
도 1 및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전자레인지의 요부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레인지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0: 캐비티 51: 프론트플레이트
53: 백플레이트 55: 조리실
57: 도어 59: 컨트롤패널
61: 전장실 63: 팬어셈블리
65: 에어챔버 67: 아웃케이스
69: 베이스플레이트 71: 흡기구
72: 제1배기구 73: 배기구
75: 제1유로 77: 제2유로
79: 제3유로 81: 베리어
83: 에어가이드
본 발명은 전자레인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다 효율적으로 조리실과 전장부품을 냉각시키기 위한 에어플로가 형성되는 전자레인지에 관한 것이다.
도 1 및 도 2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전자레인지의 요부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레인지의 캐비티(10)의 전후면 외관을 프론트플레이트(11)와 백플레이트(13)가 각각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캐비티(10) 내부에는 음식물을 가열하는 공간인 조리실(15)이 구비된다. 상기 조리실(15)은 상기 프론트플레이트(11)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17)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상기 도어(17)의 상방에 해당되는 상기 프론트플레이트(11)의 상단에는 컨트롤패널(19)이 설치된다. 상기 컨트롤패널(19)은 전자레인지의 동작을 위한 각종 조작신호를 입력받는 동시에 전자레인지의 동작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외부로 표시한다.
상기 캐비티(10)의 상면에는 전장실(21)이 구비된다. 상기 전장실(21)에는 마이크로웨이브를 발진시키기 위한 각종 전장부품(미도시)이 설치된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전장실(21)의 전단부에는 상기 조리실(15)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다수개의 유입공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장실(21)의 일단부에는 팬어셈블리(23)가 설치된다. 상기 팬 어셈블리(23)는 전자레인지의 내외부를 순환하는 에어플로를 형성하는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팬어셈블리(23)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상기 캐비티(10)의 일측면에는 에어챔버(25)가 구비된다. 상기 에어챔버(25)의 내부는 상기 조리실(15) 및 아래에서 설명할 제3유로(39)와 연통된다. 상기 에어챔버(25)에 의하여 상기 유입공을 통하여 상기 조리실(15)의 내부로 유입되어 조리실(15) 내부의 습기와 냄새를 포함하는 공기가 제3유로(39)로 전달된다.
상기 캐비티(10)의 상부 및 양측은 전자레인지의 상면 및 양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아웃케이스(27)에 의하여 차폐된다. 그리고 상기 캐비티(10)의 하부는 전자레인지의 저면 외관을 형성하는 베이스플레이트(29)에 의하여 차폐된다.
상기 백플레이트(13)에는 다수개의 흡기구(31)가 형성된다. 상기 흡기구(31)는 상기 팬어셈블리(23)의 구동에 의하여 전자레인지의 내부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입구역할을 한다. 상기 흡기구(31)는 상기 팬어셈블리(23)에 인접하는 상기 백플레이트(23)의 일단부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9)에는 다수개의 배기구(33)가 형성된다. 상기 배기구(33)는 상기 팬어셈블리(23)의 구동에 의하여 전자레인지의 내부를 순환한 공기가 전자레인지의 외부로 배출되는 출구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캐비티(10)의 양측면과 상기 아웃케이스(27)의 양측면 내측 사이에는 제1유로(35)와 제2유로(37)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캐비티(10)의 저면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9)의 상면 사이에는 제3유로(39)가 구비된다.
상기 흡기구(31)를 통하여 전자레인지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제1유로(35)를 유동하여 상기 전장실(21)로 전달된다. 그리고 상기 전장실(21)을 통과하면서 전장부품을 냉각시킨 공기는 상기 제2유로(37)를 유동하여 상기 제3유로(39)로 전달된다. 또한 상기 제3유로(39)에는 상기 에어챔버(25)를 통하여 전달되는 상기 조리실(15) 내부의 습기와 냄새를 포함하는 공기와 상기 제2유로(37)를 통하여 전달되는 상기 전장부품을 냉각시킨 공기가 전달되어 이를 유동하다가 상기 배기구(33)를 통하여 전자레인지의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 제1유로(35)의 내부에 해당하는 상기 캐비티(10)의 일측면과 상기 아웃케이스(27) 사이에는 베리어(41)가 구비된다. 상기 베리어(41)는 상기 제1유로(35)와 제3유로(39) 사이를 구획하여 제1유로(35)를 유동하는 공기 또는 상기 제3유로(39)를 유동하는 공기가 제3유로(39) 또는 제1유로(35)로 유동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전자레인지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조리실(15) 내부의 습기와 냄새를 포함하는 공기와 상기 전장부품을 냉각시킨 공기는 상기 제3유로(39)로 전달되어 상기 배기구(33)를 통하여 전자레인지의 외부로 배출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공기는 상기 에어챔버(25) 및 제2유로(37)의 직하방에 해당하는 상기 제3유로(39)의 일측으로 유동되므로, 상기 에어챔버(25) 및 제2유로(37)로부터 이격될수록 상기 제3유로(39)를 유동하는 공기의 속도가 저하된다. 따라서 상기 제3유로(39)를 유동하는 공기의 일 부는 충분한 유동속도를 확보하지 못함으로써 상기 배기구(33)를 통하여 전자레인지의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되지 못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리실(15) 내부의 습기와 냄새를 포함하는 공기는 상기 전장부품을 냉각시킨 공기에 비하여 현저히 고온을 나타낸다. 그런데 상기 조리실(15) 내부의 습기와 냄새를 포함하는 공기와 상기 전장부품을 냉각시킨 공기는 상기 에어챔버(25) 또는 상기 제2유로(37)를 유동하여 상기 제3유로(39)로 각각 전달된다. 따라서 상기 조리실(15) 내부의 습기와 냄새를 포함하는 상대적으로 고온의 공기가 상기 배기구(33)를 통하여 직접 전자레인지의 외부로 각각 배출됨으로써, 이에 의하여 사용자가 화상을 입게 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를 순환한 공기가 보다 원활하게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전자레인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목적은, 고온의 공기가 외부로 직접 배출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전자레인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조리실이 내부에 구비되는 캐비티와, 상면 및 양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아웃케이스, 그리고 저면 외관을 형성하는 베이스플레이트가 구비되는 전자레인지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의 상면에 구비되는 전장실에 설치되고, 내외부를 순환하는 에어플로를 형성 하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팬어셈블리와; 상기 캐비티의 일측면과 상기 아웃케이스의 일측면 내측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팬어셈블리에 인접하는 상기 캐비티의 후면 일단부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흡기구를 통하여 내부로 유입된 외부의 공기가 유동되어 상기 전장실로 전달되는 제1유로; 상기 제1유로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상기 캐비티의 타측면과 상기 아웃케이스의 타측면 내측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전장실의 전장부품을 냉각시킨 공기가 유동되는 제2유로; 상기 캐비티의 저면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면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제2유로에서 전달된 공기가 유동되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배기구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제3유로; 그리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면에 구비되고, 상기 제3유로를 유동하는 공기를 상기 배기구로 안내하는 에어가이드; 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조리실이 내부에 구비되는 캐비티와, 상면 및 양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아웃케이스, 그리고 저면 외관을 형성하는 베이스플레이트가 구비되는 전자레인지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의 상면에 구비되는 전장실의 일단부에 설치되고, 내외부를 순환하는 에어플로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전장실의 타단부를 향하여 공기를 유동시키는 팬어셈블리와; 상기 팬어셈블리에 인접하는 상기 캐비티의 후면 일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캐비티의 일측면과 상기 아웃케이스의 일측면 내측 사이에 형성되는 제1유로를 유동하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입구역할을 하는 다수개의 흡기구;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구비되고, 상기 전장실에 설치되는 전장부품을 냉각시킨 공기가 상기 제1유로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상기 캐비티의 타측면과 상기 아웃케이스의 타측면 내측 사이에 형성되는 제2유로 및 상기 캐비티의 저면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면 사이에 형성되는 제3유로를 유동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출구역할을 하는 다수개의 배기구; 그리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면에 구비되고, 상기 제3유로를 유동하는 공기를 상기 배기구로 안내하는 에어가이드; 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유로의 내부에 해당하는 상기 캐비티의 일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캐비티의 상면에 구비되는 유입공을 통하여 상기 조리실의 내부로 공급되어 조리실 내부의 습기와 냄새를 포함한 공기를 상기 제3유로로 전달하는 에어챔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에어챔버와 제2유로를 통하여 상기 제3유로에 전달된 공기는 상기 에어가이드에 의하여 안내되는 과정에서 서로 섞이게 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에어가이드는 상기 에어챔버 및 제2유로의 직하방에 해당하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면 일단부에서 상기 배기구를 향하여 유동단면적이 감소되도록 연장되는 제1 및 제2에어가이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캐비티의 후면에 형성되고, 상기 에어챔버를 유동하는 공기의 일부를 외부로 배출하는 출구역할을 하는 배기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내부를 순환하는 공기가 외부로 보다 원활하게 배출되는 동시에 사용과정에서 고온의 공기에 사용자가 화상을 입는 현상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레인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및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레인지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레인지의 캐비티(50)의 전후면 외관을 프론트플레이트(51)와 백플레이트(53)가 각각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캐비티(50)의 내부에는 조리실(55)이 구비된다. 상기 조리실(55)은 음식물을 가열하기 위한 곳으로, 전면이 개구되는 육면체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조리실(55)은 상기 프론트플레이트(51)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57)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상기 프론트플레이트(51)의 상단, 즉 상기 도어(57)의 상방에는 컨트롤패널(59)이 설치된다. 상기 컨트롤패널(59)은 전자레인지의 동작을 위한 각종 조작신호를 입력받는다. 또한 상기 컨트롤패널(59)은 전자레인지의 동작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외부로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조리실(55)의 상방에 해당하는 상기 캐비티(50)의 상면에는 전장실(61)이 구비된다. 상기 전장실(61)에는 마이크로웨이브를 발진시키기 위한 마그네트론과 같은 각종 전장부품(미도시)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전장실(61)의 전단부에는 다수개의 유입공(미도시)이 형성된다. 상기 유입공은 상기 조리실(55)의 내부로 공기가 공급되는 입구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전장실(61)에는 전자레인지의 내외부를 순환하는 에어플로를 형성하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팬어셈블리(63)가 설치된다. 상기 팬어셈블리(63)는 상기 전장실(61)의 일단부, 즉 도면상 좌측단부에 전후방으로 길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팬어셈블리(63)는 그 양단으로 공기를 유입하여 상기 전장실(61)을 향하여 유동시킨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캐비티(50)의 도면상 좌측면에는 에어챔버(65)가 구비된다. 즉 상기 에어챔버(65)는 상기 팬어셈블리(63)의 반대편에 구비된다. 상기 에어챔버(65)는 상기 유입공을 통하여 상기 조리실(55)의 내부로 공급되어 조리실(55) 내부의 습기와 냄새를 포함한 공기를 아래에서 설명할 제3유로(79)로 전달한다.
또한 상기 전장실(61)과 에어챔버(65)를 포함하는 상기 캐비티(50)의 상부 및 양측은 아웃케이스(67)에 의하여 차폐된다. 그리고 상기 캐비티(50)의 하부는 베이스플레이트(69)에 의하여 차폐된다. 상기 아웃케이스(67)는 전자레인지의 상면 및 양측면 외관을 형성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69)는 전자레인지의 저면 외관을 형성한다.
한편 상기 백플레이트(53)에는 다수개의 흡기구(71)가 형성된다. 상기 흡기구(71)는 상기 팬어셈블리(63)에 인접하는 상기 백플레이트(53)의 도면상 우측단부에 형성된다. 상기 팬어셈블리(63)가 구동하면, 상기 흡기구(71)를 통하여 외부의 공기가 전자레인지의 내부로 유입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백플레이트(53)에는 다수개의 제1배기구(72)가 형성된다. 상기 제1배기구(72)는 상기 흡기구(71)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상기 백플레이트(53)의 도면상 좌측단부 하단에 형성된다. 상기 팬어셈블리(63)가 구동하면, 상기 제1배기구(72)를 통하여 상기 에어챔버(65)를 유동하는 공기의 일부가 전자레인지의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69)의 상면에는 다수개의 제2배기구(73)가 형성 된다. 상기 팬어셈블리(63)가 구동하면, 전자레인지의 내부를 순환한 공기가 상기 제2배기구(73)를 통하여 전자레인지의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제2배기구(73)는 아래에서 설명할 에어가이드(83)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69)의 상면 중앙부에 형성된다.
상기 캐비티(50)의 양측면과 상기 아웃케이스(67)의 양측면 내측 사이, 그리고 상기 캐비티(50)의 저면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69)의 상면 사이에는 제1 및 제2유로(75)(77)와 제3유로(79)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제1 내지 제3유로(75)(77)(79)는 상기 흡기구(71)를 통하여 유입되어 상기 제2배기구(73)를 통하여 배출되는 외부의 공기가 유동하는 통로가 된다.
상기 제1유로(75)는 상기 팬어셈블리(63)에 인접하는 상기 팬어셈블리(63)의 도면상 우측면과 상기 아웃케이스(67)의 도면상 우측면 내측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흡기구(71)를 통하여 전자레인지의 내부로 유입된 외부의 공기는 상기 제1유로(75)를 유동하여 상기 전장실(61)로 전달된다.
상기 제2유로(77)는 상기 제1유로(75)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상기 캐비티(50)의 도면상 좌측면과 상기 아웃케이스(67)의 도면상 좌측면 내측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팬어셈블리(63)에 의하여 유동되어 상기 전장실(61)을 통과하면서 전장부품을 냉각시킨 공기는 상기 제2유로(77)를 유동하여 상기 제3유로(79)로 전달된다.
상기 제3유로(79)는 상기 캐비티(50)의 저면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69)의 상면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에어챔버(65)에서 전달된 공기 및 상기 제2유로(77)에서 전달된 공기는 상기 제3유로(79)를 유동되어 상기 제2배기구(73)를 통하여 전 자레인지의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상기 캐비티(50)의 도면상 우측면과 상기 아웃케이스(67)의 도면상 우측면 내측 사이에는 베리어(81)가 구비된다. 즉 상기 베리어(81)는 실질적으로 상기 제1유로(75)의 내부에 구비된다. 상기 베리어(81)는 상기 제1유로(75)와 제3유로(79) 사이의 공기의 유동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69)의 상면에는 에어가이드(83)가 구비된다. 상기 에어가이드(83)는 상기 제3유로(79)를 유동하는 공기, 즉 상기 에어챔버(65)에서 전달된 상기 조리실(55) 내부의 습기와 냄새를 포함하는 공기와 상기 제2유로(77)에서 전달된 상기 전장부품을 냉각시킨 공기를 상기 제2배기구(73)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에어가이드(83)는 상기 제1에어가이드(83a)와 제2에어가이드(83b)로 구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에어가이드(83a)(83b)는 상기 에어챔버(65) 및 제2유로(77)의 직하방에 해당하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69)의 상면 일단부 전후단에서 상기 제2배기구(73)를 향하여 유동단면적이 감소되도록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제2배기구(73)가 실질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에어가이드(83a)(83b) 사이에 위치된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레인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전자레인지의 내외부로 공기가 유동되는 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상기 팬어셈블리(63)가 구동하면, 외부의 공기가 상기 흡기구(71)를 통하여 유입되어 상기 제1유로(75)를 유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유로(75)를 유 동하는 공기는 상기 팬어셈블리(63)에 의하여 상기 전장실(61)을 통과한다.
상기 전장실(61)을 통과하는 공기의 일부는 상기 유입공을 통하여 상기 조리실(55)의 내부로 공급된다. 이와 같이 상기 조리실(55)의 내부로 공급된 공기는 조리실(55) 내부의 습기와 냄새를 포함한 상태로 상기 에어챔버(65)로 전달된다. 그리고 상기 전장실(61)을 통과하는 나머지 공기는 상기 전장부품을 냉각시키고 상기 제2유로(77)로 전달된다.
상기 에어챔버(65) 및 제2유로(77)로 전달된 공기는 상기 팬어셈블리(63)의 구동에 의하여 하방으로 유동되어 상기 제3유로(79)로 전달된다. 이때 상기 에어챔버(65)를 유동하는 공기, 즉 상기 조리실(55) 내부의 습기와 냄새를 포함하는 공기의 일부는 제1배기구(72)를 통하여 전자레인지의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팬어셈블리(63)의 계속적인 구동에 의하여 상기 제3유로(79)를 유동하는 공기는 상기 제2배기구(73)를 통하여 전자레인지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제3유로(79)를 유동하는 공기는 상기 에어가이드(83)에 의하여 상기 제2배기구(73)로 안내된다. 따라서 전자레인지의 내부를 순환한 공기가 상기 제2배기구(73)를 통하여 전자레인지의 외부로 보다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에어챔버(65)와 제2유로(77)에서 각각 전달되어 상기 제3유로(79)를 유동하는 공기, 즉 상대적으로 고온인 상기 에어챔버(65)에서 전달되는 상기 조리실(55) 내부의 습기와 냄새를 포함하는 공기와 상대적으로 저온인 상기 제2유로(77)에서 전달되는 상기 전장부품을 냉각시킨 공기가 상기 에어가이드(83)에 의하여 안내되는 과정에서 서로 섞이게 된다. 따라서 상기 조리실(55) 내부의 습기 와 냄새를 포함하는 고온의 공기가 상기 제2배기구(73)를 통하여 전자레인지의 외부로 직접 배출되는 현상이 방지됨으로써, 이에 의하여 사용자가 화상 등을 입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레인지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기대된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조리실 내부의 습기와 냄새를 포함한 공기와 전장실의 전장부품을 냉각시킨 공기가 에어가이드에 의하여 안내되어 베이스플레이트의 배기구를 통하여 전자레인지의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전자레인지의 내부를 순환한 공기가 전자레인지의 외부로 보다 원활하게 배출됨으로써, 제품의 효율을 증진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조리실 내부의 습기와 냄새를 포함하는 고온의 공기와 상기 전장부품을 냉각시킨 저온의 공기가 상기 에어가이드에 의하여 안내되면서 서로 섞이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배기구를 통하여 상기 조리실 내부의 습기와 냄새를 포함하는 고온의 공기가 직접 배출됨으로써, 이에 의하여 사용자가 화상을 입는 현상이 방지되어 보다 안전하게 제품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Claims (5)

  1. 조리실이 내부에 구비되는 캐비티와, 상면 및 양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아웃케이스, 그리고 저면 외관을 형성하는 베이스플레이트가 구비되는 전자레인지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의 상면에 구비되는 전장실에 설치되고, 내외부를 순환하는 에어플로를 형성하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팬어셈블리와;
    상기 캐비티의 일측면과 상기 아웃케이스의 일측면 내측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팬어셈블리에 인접하는 상기 캐비티의 후면 일단부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흡기구를 통하여 내부로 유입된 외부의 공기가 유동되어 상기 전장실로 전달되는 제1유로;
    상기 제1유로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상기 캐비티의 타측면과 상기 아웃케이스의 타측면 내측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전장실의 전장부품을 냉각시킨 공기가 유동되는 제2유로;
    상기 캐비티의 저면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면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제2유로에서 전달된 공기가 유동되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배기구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제3유로; 그리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면에 구비되고, 상기 제3유로를 유동하는 공기를 상기 배기구로 안내하는 에어가이드; 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
  2. 조리실이 내부에 구비되는 캐비티와, 상면 및 양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아웃케이스, 그리고 저면 외관을 형성하는 베이스플레이트가 구비되는 전자레인지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의 상면에 구비되는 전장실의 일단부에 설치되고, 내외부를 순환하는 에어플로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전장실의 타단부를 향하여 공기를 유동시키는 팬어셈블리와;
    상기 팬어셈블리에 인접하는 상기 캐비티의 후면 일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캐비티의 일측면과 상기 아웃케이스의 일측면 내측 사이에 형성되는 제1유로를 유동하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입구역할을 하는 다수개의 흡기구;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구비되고, 상기 전장실에 설치되는 전장부품을 냉각시킨 공기가 상기 제1유로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상기 캐비티의 타측면과 상기 아웃케이스의 타측면 내측 사이에 형성되는 제2유로 및 상기 캐비티의 저면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면 사이에 형성되는 제3유로를 유동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출구역할을 하는 다수개의 배기구; 그리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면에 구비되고, 상기 제3유로를 유동하는 공기를 상기 배기구로 안내하는 에어가이드; 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로의 내부에 해당하는 상기 캐비티의 일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캐비티의 상면에 구비되는 유입공을 통하여 상기 조리실의 내부로 공급되어 조리실 내부의 습기와 냄새를 포함한 공기를 상기 제3유로로 전달하는 에어챔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에어챔버와 제2유로를 통하여 상기 제3유로에 전달된 공기는 상기 에어가이드에 의하여 안내되는 과정에서 서로 섞이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가이드는 상기 에어챔버 및 제2유로의 직하방에 해당하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면 일단부에서 상기 배기구를 향하여 유동단면적이 감소되도록 연장되는 제1 및 제2에어가이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의 후면에 형성되고, 상기 에어챔버를 유동하는 공기의 일부를 외부로 배출하는 출구역할을 하는 배기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
KR1020060031005A 2006-04-05 2006-04-05 전자레인지 KR1006931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1005A KR100693147B1 (ko) 2006-04-05 2006-04-05 전자레인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1005A KR100693147B1 (ko) 2006-04-05 2006-04-05 전자레인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3147B1 true KR100693147B1 (ko) 2007-03-14

Family

ID=38103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1005A KR100693147B1 (ko) 2006-04-05 2006-04-05 전자레인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314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5569A (ko) * 1998-08-31 2000-03-15 윤종용 전자렌지
JP2003203754A (ja) * 2002-01-07 2003-07-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高周波加熱装置
JP2003523494A (ja) * 1999-12-27 2003-08-05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ビルトイン電子レン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5569A (ko) * 1998-08-31 2000-03-15 윤종용 전자렌지
JP2003523494A (ja) * 1999-12-27 2003-08-05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ビルトイン電子レンジ
JP2003203754A (ja) * 2002-01-07 2003-07-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高周波加熱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1513B1 (ko) 오븐
KR100419206B1 (ko) 벽걸이형 전자렌지
KR100538169B1 (ko) 벽걸이형 전자렌지
KR20180080062A (ko) 조리기기
KR100872222B1 (ko) 조리기기
KR20160011993A (ko) 오븐
KR20090104943A (ko) 전기오븐
EP3056822B1 (en) Cooking appliance
KR100745814B1 (ko) 전자레인지의 에어플로구조
US8546735B2 (en) Microwave oven
KR101450898B1 (ko) 전기오븐의 도어
KR20020050027A (ko) 전자레인지의 공기유동시스템
KR100693147B1 (ko) 전자레인지
KR100402578B1 (ko) 전자레인지의 공기유동시스템
KR100889077B1 (ko) 벽걸이형 전자레인지
KR100500726B1 (ko) 전자렌지
KR100936153B1 (ko) 전자레인지
KR101025636B1 (ko)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KR100936154B1 (ko) 전자레인지
KR100286026B1 (ko) 전자렌지
GB2401932A (en) Oven featuring superposed cooking chambers with ventilated doors
KR100938381B1 (ko) 전자레인지
KR20070054463A (ko) 전자레인지
KR20020043921A (ko) 전자레인지의 하부히터 냉각구조
KR20040061355A (ko) 후드겸용 전자레인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