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4886A - 밸러스트 처리수의 공급 장치 및 밸러스트 처리수 공급 선 - Google Patents

밸러스트 처리수의 공급 장치 및 밸러스트 처리수 공급 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4886A
KR20090104886A KR1020097017651A KR20097017651A KR20090104886A KR 20090104886 A KR20090104886 A KR 20090104886A KR 1020097017651 A KR1020097017651 A KR 1020097017651A KR 20097017651 A KR20097017651 A KR 20097017651A KR 20090104886 A KR20090104886 A KR 200901048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ast
treated water
water
supply
oz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7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39164B1 (ko
Inventor
이쥬미 오니쉬
료이치 미야나베
Original Assignee
미쯔이 죠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7023546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8189071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7029727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8195114A/ja
Application filed by 미쯔이 죠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쯔이 죠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1048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48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91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91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3/00Conduits for emptying or ballasting; Self-bailing equipment; Scu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3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transfer at sea between ships or between ships and off-shore structures
    • B63B27/3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transfer at sea between ships or between ships and off-shore structures using pipe-l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r application of a germicide or by oligodynamic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3/00Conduits for emptying or ballasting; Self-bailing equipment; Scuppers
    • B63B2013/005Sea ch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4/00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J4/002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treating ballast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8Originating from marine vessels, ships and boats, e.g. bilge water or ballast wa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 Treatment Of Water By Oxidation Or Red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밸러스트수의 처리장치를 구비하지 않는 선박에 대해서 미리 수생생물이나 세균류가 소정의 값 이하가 되도록 살멸된 깨끗한 밸러스트수(밸러스트 처리수)를 시 체스트로부터 직접 공급할 수 있는 밸러스트 처리수의 공급장치 및 밸러스트 처리수 공급 선을 제공하는 것이다. 수생생물이나 세균류가 소정의 값 이하가 되도록 살멸된 밸러스트 처리수를 선박의 시 체스트에 직접 공급하기 위한 공급 장치로서, 상기 밸러스트 처리수를 공급하는 공급용 호스와, 상기 공급용 호스의 선단에 마련되어, 상기 시 체스트의 개구부를 포위하도록 밀착됨으로써, 상기 공급용 호스 내부와 상기 시 체스트 내부를 연통시키는 밀착 수단과, 상기 밀착 수단을 상기 시 체스트까지 수중 유도하는 유도 수단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밸러스트 처리수의 공급 장치 및 밸러스트 처리수 공급 선{SUPPLY APPARATUS FOR BALLAST-TREATED WATER, AND BALLAST-TREATED WATER SUPPLY SHIP}
본 발명은 밸러스트 처리수의 공급 장치 및 밸러스트 처리수 공급 선(船)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밸러스트수의 처리 장치를 구비하지 않는 선박에, 미리 수생생물이나 세균류가 소정의 값 이하가 되도록 살멸된 깨끗한 밸러스트수(밸러스트 처리수)를 선박의 시 체스트(sea chest)로부터 직접 공급할 수 있는 밸러스트 처리수의 공급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밸러스트 처리수 공급 선에 관한 것이다.
화물용 선박으로부터 배수되는 밸러스트수 중에는, 그것을 취수한 항만에 생식하는 수생생물이나 세균류가 혼입해 있다. 이러한 수생생물이나 세균류는 선박의 이동에 의해 이국에 옮겨지기 때문에, 원래 그 해역에는 생식하고 있지 않았던 생물종이, 기존 생물종을 대신한다고 하는 생태계의 파괴가 심각화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하에 국제해사기관(IMO)의 외교회의에서 선박의 밸러스트수 및 침전물의 규제 및 관리를 위한 조약(이하, 조약이라고 함)이 채택되어 밸러스트수관리의 실시의무가 2009년 이후의 건조선부터 적용될 예정이다.
특개 2004-160437호 공보, 특개 2003-200156호 공보, 미국특허 제 6125778호 명세서는 수중의 수생생물이나 세균류를 살멸 처리하기 위한 각종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선박으로부터 조약의 조건을 만족하는 깨끗한 밸러스트수를 배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이러한 처리 장치를 선박 내에 설치해, 취수시에 밸러스트수의 처리를 행하는 방법이 고려된다. 그러나, 이미 건조된 선박의 경우, 선박 내부에 새롭게 처리 장치를 설치할 스페이스를 확보하는 것은 곤란하다.
이 때문에, 본 발명자는, 수생생물이나 세균류가 소정의 값 이하가 될 때까지 살멸된 깨끗한 밸러스트 처리수를 생성할 수 있는 처리 장치를 탑재한 밸러스트 처리수 공급 선을 준비하고, 이 밸러스트 처리수 공급 선으로부터 밸러스트수의 처리 장치를 구비하지 않는 선박, 특히 이미 건조된 선박에 대해서 밸러스트 처리수를 공급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 소정의 값이란, 상기 조약의 조건을 만족하는 밸러스트수 중의 수생생물이나 세균류의 생식수의 값이다. 그러나, 이 경우, 다음과 같은 해결해야 할 새로운 문제가 있다.
공급 대상 선박에 밸러스트 처리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그 공급 대상 선박에, 밸러스트 처리수를 받아들이기 위한 수입 설비를 새롭게 탑재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는, 처리 장치를 새롭게 선박 내에 설치하는 경우에 비해 간단한 개수 공사로 끝날 것으로 예상되지만, 공급 대상 선박에 개수 공사를 요구하는 것은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 밸러스트수의 취수는 수면 아래의 배 밑바닥 부근에 설치된 시 체스트로부터 행해진다. 따라서, 공급 대상 선박에 어떠한 개수 공사를 요구하는 일 없 이, 밸러스트 처리수 공급 선으로부터 공급 대상 선박에 밸러스트 처리수를 공급하는 경우, 이 시 체스트로부터 직접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밸러스트 처리수 공급 선은, 공급 대상 선박에 밸러스트 처리수를 공급할 때, 공급 대상 선박에 계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박끼리의 계류에는, 일반적으로 계류 케이블이 사용된다. 그러나, 계류(係留) 케이블을 사용해 밸러스트 처리수 공급 선을 공급 대상 선박에 계류하는 것은 곤란이 예상된다. 왜냐하면, 밸러스트 처리수를 받아들이는 공급 대상 선박은, 밸러스트 처리수가 밸러스트 탱크에 주수(注水)됨으로써 점차 흘수가 올라가기 때문이다. 계류 케이블은, 이 흘수의 변동에 따라, 이완 또는 긴장되지 않으면 안 되며, 그때마다 윈치 조작에 의해 길이를 조정할 필요가 있다. 또한, 선체는 파랑에 의해 크게 거동하므로, 선박끼리의 위치는 상하 좌우로 크게 변동한다. 따라서, 작업은 지극히 번잡하면서 어렵다.
특개 평10-203472호 공보는, 부두에 계류할 때에 계류 케이블에 과대한 장력이 걸리는 일이 없도록, 윈치의 작동에 의한 계류 케이블을 풀거나 감는 것을 제어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또, 특개 평11-129979호 공보는, 계류 케이블에 마련한 아이 스플라이스(eye splice)를, 신축 붐의 신축 동작에 의해 부두의 걸림 포스트에 걸리게 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런 기술들은, 선박끼리를 계류시키는 계류 장치를 개시하지 않고 있다.
특표 2005-534554호 공보는, 진공 컵을 이용해 대형선을 독 또는 같은 규모의 배에 고정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 도 35, 도 38은, 계류 장치를 선박의 측면에 설치해 인접하는 선박과 연결하는 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선박의 측면에 구조물을 설치하는 것은 선폭 치수가 커져, 인가를 생각하면 피하지 않으면 안 된다.
한편, 특표 2005-534554호 공보의 도 2, 도 4는, 링크 기구를 가지는 계류 장치를 선박의 갑판 상에 설치해 독과 연결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링크 기구는, 선박끼리의 상대 변위가 발생했을 경우에, 배후의 프레임에 작용하는 힘에 견딜 수 있는 부재로 설계할 필요가 있어, 과대한 설계로 된다. 특표 2005-534554호 공보의 기술은, 대형선의 수선 시에 선체를 독 측면에 확실하게 연결시키는 기술이며, 밸러스트 처리수 공급 선과 같은 소형선에는 적용할 수 없다. 따라서, 밸러스트 처리수 공급 선과 같은 소형선인 경우, 소형으로 조작성이 좋은 계류 장치가 요구된다.
특허 문헌 1 : 특개 2004-160437호 공보
특허 문헌 2 : 특개 2003-200156호 공보
특허 문헌 3 : 미국 특허 제 6125778호 명세서
특허 문헌 4 : 특개 평10-203472호 공보
특허 문헌 5 : 특개 평11-129979호 공보
특허 문헌 6 : 특표 2005-534554호 공보
본 발명의 제 1의 과제는, 밸러스트수의 처리 장치를 구비하지 않는 선박에 대해서, 미리 수생생물이나 세균류가 소정의 값 이하가 되도록 살멸된 깨끗한 밸러스트수(밸러스트 처리수)를 시 체스트로부터 직접 공급할 수 있는 밸러스트 처리수의 공급 장치 및 밸러스트 처리수 공급 선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의 과제는, 밸러스트수의 처리 장치를 구비하지 않는 선박에 대해서, 미리 수생생물이나 세균류가 소정의 값 이하가 되도록 살멸된 깨끗한 밸러스트수(밸러스트 처리수)를 시 체스트로부터 직접 공급할 수 있음과 함께, 계류 대상이 되는 선박의 흘수의 변화나 파랑에 의한 거동에 용이하게 대응해, 나란히 선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계류 장치를 가지는 밸러스트 처리수 공급 선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이하의 기재에 의해 분명해진다.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은, 수생생물이나 세균류가 소정의 값 이하가 되도록 살멸된 밸러스트 처리수를 선박의 시 체스트에 직접 공급하기 위한 공급 장치로서, 상기 밸러스트 처리수를 공급하는 공급용 호스와, 상기 공급용 호스의 선단에 마련되어, 상기 시 체스트의 개구부를 포위하도록 밀착함으로써, 상기 공급용 호스 내부와 상기 시 체스트 내부를 연통시키는 밀착 수단과, 상기 밀착 수단을 상기 시 체스트까지 수중 유도하는 유도 수단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러스트 처리수의 공급 장치이다.
청구항 2 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밀착 수단은, 상기 공급용 호스의 선단에 상기 시 체스트의 개구부를 포위해 덮는 크기를 가지는 가요성 부재로 이루어지는 밀착 컵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밀착 컵 개구부의 주변에 자석이 매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러스트 처리수의 공급 장치이다.
청구항 3 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자석은 상기 밀착 컵 개구부의 주변을 따라 복수로 분할되어 매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러스트 처리수의 공급 장치이다.
청구항 4 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2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자석은 전자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러스트 처리수의 공급 장치이다.
청구항 5 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 수단은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며 선체 측면에 흡착하기 위한 흡착력을 생성하는 회전체와, 상기 선체 측면 상을 자주하기 위한 자주용 차륜을 가지고, 상기 공급용 호스의 선단 측에 복수기가 각도 변위 자재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러스트 처리수의 공급 장치이다.
청구항 6 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 기재의 밸러스트 처리수의 공급 장치와, 밸러스트수를 취수하는 취수 수단과, 상기 취수 수단에 의해 취수된 밸러스트수로부터 수생생물이나 세균류가 소정의 값 이하가 되도록 살멸된 밸러스트 처리수를 생성하는 처리 장치와, 상기 처리 장치에 의해 생성된 밸러스트 처리수를 상기 공급 장치에 의해 다른 선박에 공급하기 위한 공급 펌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러스트 처리수 공급 선이다.
청구항 7 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6에 있어서, 선단 측이 상하 및 좌우 방향으로 요동 가능해지도록 기대 상에 지지되어 있는 암과, 상기 암의 선단에 마련되어 다른 선박의 선체 측면에 밀착시키는 진공 컵과, 상기 진공 컵 내를 부압으로 하기 위한 흡인 펌프를 가지는 계류 장치를 선박 갑판상에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러스트 처리수 공급 선이다.
청구항 8 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암은 신축 동작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러스트 처리수 공급 선이다.
청구항 9 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6, 7 또는 8에 있어서, 상기 처리 장치는, 상기 취수 수단에 의해 취수된 밸러스트수 중에 오존을 주입해 수생생물이나 세균류를 살균하는 오존 주입 수단과, 상기 오존 주입 수단에 의해 오존이 주입된 밸러스트수 중의 잉여 오존을 탈기하는 탈기 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러스트 처리수 공급 선이다.
청구항 10 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6, 7 또는 8에 있어서, 상기 처리 장치는, 상기 취수 수단에 의해 취수된 밸러스트수를 슬릿 형상의 개구에 통과시켰을 때에 발생하는 전단력에 의해 수생생물이나 세균류를 살멸하는 슬릿판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러스트 처리수 공급 선이다.
청구항 11 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6, 7 또는 8에 있어서, 상기 처리 장치는, 상기 취수 수단에 의해 취수된 밸러스트수 중에 오존을 주입해 수생생물이나 세균류를 살균하는 오존 주입 수단과, 상기 오존 주입 수단에 의해 오존이 주입된 밸러스트수 중의 잉여 오존을 탈기하는 탈기수단과, 밸러스트수를 슬릿 형상의 개구에 통과시켰을 때에 발생하는 전단력에 의해 수생생물이나 세균류를 살멸하는 슬릿판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러스트 처리수 공급 선이다.
청구항 12 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6, 7 또는 8에 있어서, 상기 처리 장치는, 상기 취수 수단에 의해 취수된 밸러스트수 중의 수생생물이나 세균류를 여과하여 제거가능한 막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러스트 처리수 공급 선이다.
청구항 13 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처리 장치는, 상기 막 장치를 통과한 밸러스트수 중에 오존을 주입하는 오존 주입 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러스트 처리수 공급 선이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은, 밸러스트수의 처리 장치를 구비하지 않는 선박에 대해서, 미리 수생생물이나 세균류가 소정의 값 이하가 되도록 살멸된 깨끗한 밸러스트수(밸러스트 처리수)를 시 체스트로부터 직접 공급할 수 있는 밸러스트 처리수의 공급 장치 및 밸러스트 처리수 공급 선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밸러스트수의 처리 장치를 구비하지 않는 선박에 대해서, 미리 수생생물이나 세균류가 소정의 값 이하가 되도록 살멸된 깨끗한 밸러스트수(밸러스트 처리수)를 시 체스트로부터 직접 공급할 수 있음과 함께, 계류 대상이 되는 선박의 흘수의 변화나 파랑에 의한 거동에 용이하게 대응해, 나란히 서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계류 장치를 가지는 밸러스트 처리수 공급 선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밸러스트 처리수의 공급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밸러스트 처리수의 공급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밀착 수단의 단면도이다.
도 4 (a)는 밀착 컵의 개구부의 단면도이고, (b)는 복수로 분할된 자석에 의해 밀착 컵을 밀착시키는 상태를 설명하는 도이다.
도 5는 유도 수단의 저면도이다.
도 6은 유도 수단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밸러스트 처리수의 공급 장치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는 도이다.
도 8은 밸러스트 처리수 공급 선의 측면도이다.
도 9는 처리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0은 처리 라인 내의 슬릿판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xi)-(xi) 선에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슬릿판 개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슬릿판 개구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처리 라인 내에 복수의 슬릿판을 마련한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계류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계류 장치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는 도이다.
도 17은 계류 장치가 선박의 우현 및 좌현으로 이동하는 상태를 설명하는 도이다.
도 18은 선박의 뱃머리 측과 선미 측에 계류 장치를 탑재해 선박에 계류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부호의 설명
A:공급 장치 1:공급용 호스 11:호스 접속부 2:밀착 수단
21:호스 접속부 22:접속관부 23:밀착 컵 23a:개구부
23b:선단부 23c:자석 23d:기부 24:신축관 25:실린더
3:유도 수단 31:유도부 본체 31a:장착부 31b:공기실
31c:개구 31 d:스커트 32:공이음새 33:모터 34:회전체
35:자주용 차륜 36:종동용 차륜 37:자주용 모터 38:조타용 모터
4:지지 부재 41:기부 41a:공기실 42:지지 암 42a:볼부
5:수중 카메라 100:밸러스트 처리수 공급 선 100a:갑판 101:공급 펌프
102:호스 공급구 103:호스 대빗 104:선체 104a:스크루
105:시 체스트 106:처리 장치 61:필터 62:취수 펌프 63:처리 라인
64:오존 혼합 장치 65:오존 발생 장치 65a:압축기 65b:산소 발생기
65c:오존 발생기 65d:오존 공급 라인 66, 461, 66B:슬릿판
461:개구 67:탈기탱크 67a, 67b:칸막이 벽 67c:배오존실
68:배오존 분해 장치 107:저장 탱크 108:처리수 공급 라인
109:유량 조정 밸브 110:유량계 111:표시부
120, 120A, 120B:계류장치 121:기대 122:힌지 123:암
123a ~ 123c:통체 124:힌지 125:진공 컵 126:가이드 레일
127:흡인 펌프 128:흡인 호스 129:호스 릴 200:공급 대상 선박
201:선체 측면 202:시 체스트 202a:개구 203:밸러스트 펌프
204:밸러스트 라인
도 1은, 밸러스트 처리수의 공급 장치의 측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2는 평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은 밀착 수단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공급 장치(A)는, 밸러스트 처리수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용 호스(1)와, 상기 공급용 호스(1)를 선체에 밀착시키기 위한 밀착 수단(2)과, 공급용 호스(1)의 선단을 시 체스트까지 유도하기 위한 유도 수단(3)과, 유도 수단(3)을 공급용 호스(1)에 대해서 부착하여 지지하는 지지 부재(4)와, 수중 카메라(5)를 가지고 있다.
공급용 호스(1)는, 선단에 가지는 호스 접속부(11)에 의해 밀착 수단(2)과 착탈 가능하게 접속된, 플렉서블 호스이며, 후술하는 밸러스트 처리수 공급 선 내에서 생성된 밸러스트 처리수를 공급한다.
밀착 수단(2)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호스 접속부(11)와 접속 가능한 호스 접속부(21)를 가지는 접속관부(22)와, 밸러스트 처리수를 공급하는 공급 대상 선박(200)의 선체 측면(201)에 밀착 가능한 밀착 컵(23)과, 상기 밀착 컵(23)을 접속관부(22)의 단부(端部)에 신축 가능하게 접속하는 신축관(24)을 가지고 있다.
밀착 컵(23)은, 적어도 선단부(23b)가 우레탄 수지 등의 가요성 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밀착 컵(23)은, 시 체스트(202)의 개구부(202a)를 포위할 수 있는 크기의 개구부(23a)를 가지고 있다.
개구부(23a)의 주변에는 자석(23c)이 매설되어 있다. 따라서, 밀착 컵(23)은 선체 측면(201)에 자력에 의해 밀착할 수가 있다. 자석(23c)에는, 고무자석 등의 영구자석이나 전자석을 이용할 수가 있지만, 통전시에만 자력을 발생하는 전자석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석(23c)은, 하나의 고리형인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4(a)는 자석(23c)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자석(23c)은, 개구 부(23a)의 주변을 따라 복수로 분할되어 있다. 복수로 분할된 자석(23c)은,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체 측면(201)에 부착한 조개나 따개비 등의 부착물(a)을 따라 부분적으로 휨 변형할 수 있으므로, 선체 측면(201)에 양호하게 밀착해, 틈새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아코디언 형상의 신축관(24)은, 밀착 컵(23)의 기부(23d)와 접속관부(22)를 신축 가능하게 접속하고 있다. 접속관부(22)의 선단과 밀착 컵(23) 기부(23d) 사이에는 실린더(25)가 마련되어 있다. 이 실린더(25)가 신장 동작하면, 밀착 컵(23)은, 도 3의 실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체 측면(201)을 향해 돌출한다. 반대로 실린더(25)가 수축 동작하면, 밀착 컵(23)은, 도 3의 일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퇴몰하여 선체 측면(201)으로부터 멀어진다.
유도 수단(3)은, 지지 부재(4)에 의해 공급용 호스(1)의 선단에 설치되어 있다. 유도 수단(3)은, 회전체의 회전에 의해 선체 측면(201)에 흡착하기 위한 흡착력을 생성한다.
도 5, 도 6은 유도 수단(3)의 상세를 나타내고 있다.
유도 수단(3)은, 공이음새(32)에 의해, 후술하는 지지 부재(4)의 지지 암(42)의 선단에, 각도 변위 자재로 마련되어 있다. 공이음새(32)는, 평면상에서 볼 때 원형의 유도부 본체(31)의 윗면에 마련된 장착부(31a)와, 지지 부재(4)의 지지 암(42)의 선단에 형성된 볼 부(42a)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FRP, 발포 우레탄, 경금속 등의 경량 재료에 의해 형성되는 유도부 본체(31)는, 내부에 공기실(31b)을 가지고 있다. 유도 수단(3)은, 이 공기실(31b)에 의해 일정한 부력을 받는다. 유도부 본체(31)는, 중앙에, 상하로 관통하는 개구(31c)를 가지고 있다. 이 개구(31c) 내에는, 모터(33)와, 이 모터(33)에 연결된 회전체(34)가 마련되어 있다.
회전체(34)는, 모터(33)에 의해 회전하고, 개구(31c) 내에 유도부 본체(31)의 저면측에서부터 상면측으로 향하는 상향류을 만들어, 유도 수단(3)을 선체 측면(201)에 흡착시키기 위한 흡착력을 발생시킨다. 여기에 예시되는 회전체(34)는 프로펠러이지만, 흡착력을 생성할 수가 있는 것이면 프로펠러에 한정되지 않는다.
개구(31c)의 저면측의 주변에는, 브러쉬나 가요성을 가지는 판시트 등에 의해 형성된 스커트(31d)가 설치되어 있다. 이 스커트(31d)는, 회전체(34)의 회전에 의해 생성되는 흡착력을 보강한다.
유도부 본체(31)는, 저면에 2개의 자주용 차륜(35)과 하나의 종동용 차륜(36)을 가지고 있다. 자주용 차륜(35)은, 모터(37)에 의해 선체 측면(201)을 자주하기 위한 구동력을 받는다. 또, 종동용 차륜(36)은, 자주용 차륜(35)에 의해 유도 수단(3)이 자주 할 때에 종동해 회전한다. 유도 수단(3)은, 조타용 모터(38)에 의해 종동용 차륜(36)의 방향을 바꿈으로써, 주행 방향을 바꿀 수 있다. 이러한 자주용 모터(37) 및 조타용 모터(38)는, 도시하지 않는 케이블을 통해 밸러스트 처리수 공급 선 상의 작업자에 의해 조작된다.
지지 부재(4)는, 밀착 컵(23)의 기부(23d)측과 신축관(24)의 주위를 포위하도록 마련된 기부(41)와, 상기 기부(41)의 주위로부터 측방을 향해 돌설된 복수의 지지 암(42)를 가지고 있다.
FRP, 발포 우레탄, 경금속 등의 경량 재료에 의해 형성되는 기부(41)는, 밀착 수단(2)에 일정한 부력을 주는 공기실(41a)을 가지고 있다. 공기실(41a)의 크기는, 공급용 호스(1)의 사이즈, 밀착 컵(23)의 크기 등에 따라 적당히 결정된다. 기부(41)는, 그 주위에, 공기의 주입량을 조절함으로써 밀착 수단(2)의 부력을 조절 가능한, 도시하지 않는 부낭을 가지는 것도 바람직하다.
FRP, 발포 우레탄, 경금속 등의 경량 재료에 의해 형성되는 지지 암(42)은, 기부(41)의 주위로부터 방사상으로 돌설되어 있다. 각 지지 암(42)은 L자형으로 굴곡하고, 그 선단에는 공이음새(32)에 의해 유도 수단(3)이 연결되어 있다.
또한, 이 공급 장치(A)는 4개의 유도 수단(3)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유도 수단(3)의 개수는, 공급용 호스(1)의 사이즈, 밀착부(23)의 크기 등에 따라 적당히 증감할 수가 있다. 또, 도시하지 않지만, 각 지지 암(42)의 선단에 연결된 유도 수단(3)에, 다른 복수의 유도 수단(3)을 연결 수단에 의해 연결하는 형태도 바람직하다.
수중 카메라(5)는, 기부(41)의 측면에 각도 조절 가능하게 장착된, 방수 기능을 가지는 예를 들어 CCD 카메라이다. 수중 카메라(5)는, 공급 장치(A)를 시 체스트(202)까지 유도하기 위해 선체 측면(201)을 촬영한다. 촬영 화상은 도시하지 않는 케이블을 통해 밸러스트 처리수 공급 선에 보내진다. 작업자는 수중 카메라(5)의 촬영 화상을 보면서 유도 수단(3)을 조작해 공급 장치(A)를 시 체스트(202)의 위치까지 유도할 수 있다. 공급 장치(A)는, 도시하지 않는 조명 장치를 부가할 수도 있다. 수중 카메라(5) 및 조명 장치는, 필요에 따라 밀착 컵(23)의 내 부에 가질 수도 있다.
도 7은, 밸러스트 처리수 공급 선(100)으로부터, 공급 장치(A)를 이용해 밸러스트 처리수를 공급 대상 선박(200)에 공급하는 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공급 장치(A)의 공급용 호스(1)는, 밸러스트 처리수를 이송하기 위한 공급 펌프(101)를 가지는 밸러스트 처리수 공급 선(100)의 공급구(102)에 접속되어 갑판(100a) 상의 호스 대빗(103)에 매달려 지지된다. 밸러스트 처리수 공급 선(100)은, 수생생물이나 세균류가, 조약의 조건을 만족하는 소정의 값 이하가 되도록 살멸 처리된 밸러스트 처리수를 생성하기 위한 처리 장치를 가지고 있다.
밸러스트 처리수 공급 선(100)은, 밸러스트 처리수를 필요로 하고 있는 공급 대상 선박(200)에 나란히 한 후, 공급 장치(A)를 수중에 투입해, 유도 수단(3)의 회전체(34)를 회전시킨다. 공급 장치(A)는, 수중을 서서히 추진해 선체 측면(201)에 도달한 후, 회전체(34)에 의해 발생하는 흡착력에 의해, 유도 수단(3)을 선체 측면(201)에 흡착시킨다.
그 다음에, 밸러스트 처리수 공급 선(100) 상의 작업자는, 수중 카메라(5)의 촬영 화상을 확인하면서 유도 수단(3)의 자주용 모터(37) 및 조타용 모터(38)를 조작해, 선체 측면(201)에 흡착한 유도 수단(3)을 자주시키면서, 밀착 컵(23)을 시 체스트(202)의 개구부(200a)의 위치까지 유도한다. 유도 수단(3)은, 공이음새(32)에 의해 지지 암(42)에 각도 변위 자재로 지지되어 있으므로, 선체 측면(201)이 만곡면이어도, 만곡면을 따라 원활하게 자주(自走)할 수 있다. 또 만일, 유도 수단(3)은, 자주 중에 공급 장치(A)가 선체 측면(201)으로부터 떨어지는 일이 있어 도, 회전체(34)의 흡착력에 의해 신속하게 선체 측면(201)까지 복귀할 수 있다.
밀착 컵(23)이 시 체스트(202)의 개구부(202a)를 포위하는 위치까지 도달하면, 작업자는 유도 수단(3)의 자주를 정지시키고, 실린더(25)를 신장시켜 밀착 컵(23)을 선체 측면(201)을 향해 돌출시킨다. 이때, 자석(23c)에 통전함으로써 자력을 발생시켜, 밀착 컵(23)을 선체 측면(201)에 자력에 의해 밀착시킨다. 이것에 의해 공급용 호스(1)의 내부와 시 체스트(202)의 내부는 연통한다.
그 후, 선박(200)측의 밸러스트 펌프(203)의 구동 개시에 연동해 밸러스트 처리수 공급 선(100)의 공급 펌프(101)를 구동시켜, 공급용 호스(1)를 통해 밸러스트 처리수를 공급한다. 공급된 밸러스트 처리수는, 선박(200)의 밸러스트 라인(204)에 의해 통상대로에 각 밸러스트 탱크(도시하지 않음)에 주수된다.
밸러스트 처리수의 공급이 종료하면, 자석(23c)에의 통전을 정지해, 실린더(25)를 수축시켜 밀착 컵(23)을 퇴몰시켜 선체 측면(201)으로부터 떼어 놓은 후, 호스 대빗(103)에 의해 공급 장치(A)를 회수한다.
이 공급 장치(A)는, 밸러스트수의 처리 장치를 구비하지 않는 선박(200)에 대해서 밸러스트 처리수를 시 체스트로부터 직접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선박(200)은, 밸러스트 처리수를 받아들이기 위한 일체의 개수 공사는 불필요하다.
도 8은, 밸러스트 처리수 공급 선(100)의 측면도이다.
밸러스트 처리수 공급 선(100)은, 선체(104) 내부에, 배 밑바닥 부근에 마련된 시 체스트(105)로부터 취수된 밸러스트수를 처리하는 처리 장치(106)와, 상기 처리 장치(106)에 의해 생성된 밸러스트 처리수를 저장하는 저장 탱크(107)를 가지 고 있다. 이 밸러스트 처리수 공급 선(100)은, 스크루(104a)를 가지고 있지만, 자립 항행하기 위한 기관을 가지지 않는 화물 운반선이어도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밸러스트수란, 선박의 밸러스트 탱크에 주수할 목적으로 취수된 물이다. 밸러스트수는 해수 또는 담수이지만, 본 발명에서는 해수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밸러스트수는, 취수한 수역에 생식하는 동물 플랑크톤, 식물 플랑크톤, 미생물 등의 수생생물이나 대장균 등의 세균류를 포함하고 있다.
처리 장치(106)는, 시 체스트(105)로부터 취수된 밸러스트수 중의 수생생물이나 세균류를 조약의 조건을 만족하기 위해, 소정의 값 이하가 되도록 살멸 가능한 장치이다. 처리 장치(106)에 의한 밸러스트수의 처리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열, 초음파, 자외선, 은이온, 전기 등을 이용한 물리적 처리법, 여과, 전단력, 캐비테이션 등을 이용한 기계적 처리법, 오존, 산소 제거, 염소 등을 이용한 화학적 처리법, 또는, 이러한 2종 이상의 처리법을 복합시킨 복합 처리법을 들 수 있다.
도 9는, 바람직한 처리 장치(106)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처리 장치(106)는 도시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61은 필터, 62는 취수 펌프, 63은 처리 라인, 64는 오존 혼합 장치, 65는 오존 발생 장치, 66은 슬릿판, 67은 탈기탱크, 68은 배오존 분해 장치이다.
취수 펌프(62)의 작동에 의해 시 체스트(105)로부터 처리 장치(106) 내에 끌어들여진 밸러스트수는, 처리 라인(43) 내를 이송되는 과정에서, 수생생물이나 세균류를 살멸하기 위해 처리된다.
필터(61)는, 취수 펌프(62)의 작동에 의해 처리 장치(106)에 도입된 밸러스 트수로부터, 쓰레기 등의 비교적 큰 협잡물을 제거한다.
오존 혼합 장치(64)는, 오존 발생 장치(65)에 의해 생성된 오존을 밸러스트수 중에 혼입시켜, 수생생물이나 세균류를 오존의 강산화 작용에 의해 화학적으로 살균함으로써 살멸한다. 이 형태에서는, 오존 혼합 장치(64)는, 처리 라인(63) 중의 밸러스트수와 오존을 기액 혼합하는 기액 혼합 장치(오존 인젝터)를 이용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오존 혼합 장치(64)는, 밸러스트수 중에 소정 농도의 오존을 혼입시킬 수 있는 것이면, 이 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오존 혼합 장치(64)는, 예를 들어, 스터틱 믹서, 라인 믹서 등이어도 좋다.
오존 발생 장치(65)는, 예를 들어 압축기(65a), 산소 발생기(65b) 및 오존 발생기(65c)를 가지고 있다. 산소 발생기(65b) 및 오존 발생기(65c)를 거쳐 생성된 오존은, 압축기(65a)에 의해 오존 공급 라인(65d)을 통해 오존 혼합 장치(64)에 공급되어 밸러스트수 중에 혼입된다.
슬릿판(66)은, 오존이 혼입된 밸러스트수를 고압으로 통과시킴으로써, 그때에 발생하는 전단력에 의해 밸러스트수 중의 수생생물이나 세균류를 기계적으로 파괴함으로써 살멸한다.
이 슬릿판(66)의 상세를 도10 ~ 도 14에 나타낸다.
도 10은, 처리 라인(63) 내의 슬릿판(66)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xi) - (xi)선 단면도이다. 상기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릿판(66)은 처리 라인(63)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슬릿판(66)은 복수의 슬릿 형상의 개구(66a)를 가지고 있다. 개구(66a)의 폭 은, 밸러스트수 중의 수생생물이나 세균류를 전단력에 의해 파괴하는 효과가 충분히 발휘될 수 있는 폭으로 설정된다. 바람직한 폭은, 200㎛ ~ 500㎛이다. 이 슬릿판(66)은, 밸러스트수를 통과시킬 때에 발생하는 전단 현상에 의해, 10㎛정도의 수생생물도 살멸 가능하다.
처리 라인(63) 내의 밸러스트수는, 취수 펌프(62)의 작동에 의해 슬릿판(66)을 향해 고압으로 보내진다. 고압의 밸러스트수가 슬릿판(66)의 개구(66a)를 통과할 때, 전단 현상이 발생해, 수중에 포함되는 수생생물이나 세균류는 파괴되어 살멸된다. 전단력에 의한 파괴, 살멸 효과를 보다 발휘시키기 위해, 슬릿판(66)은 밸러스트수의 흐름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릿판(66)은, 처리 라인(63) 내에 밀접해 장착된다. 슬릿판(66)은, 용이하게 세정 가능하게 하기 위해, 처리 라인(63)으로부터 해체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릿판(66)에 형성되는 복수의 개구(66a)의 형상은,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늘고 긴 직사각 형상이 바람직하다. 개구(66a)의 개수는 한정되지 않으며,밸러스트수의 압력 손실, 전단 현상의 발생 상황에 따라 적당히 설정된다.
복수의 개구(66a)는 모두 같은 길이로 할 수 있다. 그러나, 복수의 개구(66a)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처리 라인(63)의 단면 형상에 맞추어, 중앙부를 길게, 가장자리로 갈수록 짧게 형성할 수도 있다. 개구(66a)는 직선으로 한정하지 않고,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곡선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처리 라인(63)은, 내부에 하나만의 슬릿판(66)을 가지는 형태로 한정하지 않고,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개 이상의 슬릿판(66A, 66B)을 간격을 두고 가 지는 형태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2개 이상의 슬릿판(66A, 66B)은 각각의 개구(66a)의 폭, 크기, 개수, 형상을 다르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인접하는 슬릿판(66A, 66B)의 각각의 개구(66a)의 길이 방향이 직교하도록 배치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전단 현상을 보다 한층 효과적으로 발휘시킬 수가 있어 밸러스트수 중의 수생생물이나 세균류의 파괴, 살멸 효과를 향상시킬 수가 있다.
슬릿판(66)을 통과한 후의 밸러스트수는 탈기탱크(67)에 보내져 밸러스트수 중의 미용해의 잉여 오존이 탈기 된다. 탈기탱크(67) 내에는, 저부로부터 천정부의 바로 앞에 걸쳐 입상한 칸막이 벽(67a)과, 천정부로부터 저부의 바로 앞에 걸쳐 수하(垂下)한 칸막이 벽(67b)이 교대로 병설되어 있다. 이러한 칸막이 벽(67a, 67b)에 의해, 밸러스트수의 상향 유로와 하향 유로가 탈기탱크(67) 내에 교대로 형성된다. 탈기탱크(67)는, 내부에 도입된 밸러스트수를 상향 유로와 하향 유로로 교대로 통과시키며, 그 과정에서, 밸러스트수 중에 기포상태로 혼입하는 잉여 오존을 밸러스트수 중으로부터 제거해, 탱크 상부의 배오존실(67c)에 모은다. 배오존실(67c)에 모인 배오존은, 탈기탱크(67)로부터 배오존 분해 장치(68)에 보내져 분해되며, 예를 들면 갑판(100a) 상으로부터 선외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하여, 처리 장치(106)를 거친 밸러스트수는, 수생생물이나 세균류가 소정의 값 이하가 되도록 살멸된, 깨끗한, 밸러스트 처리수가 된다.
또한 오존 혼합 장치(64)에 의해 생성된 오존을, 슬릿판(66)을 통과한 후의 밸러스트수에 대해서 혼입시킬 수도 있다. 처리 장치(106), 공급 펌프(101), 처리수 공급 라인(108)은 갑판 상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 처리 장치(106)는, 오존 발생 장치(65)에 의해 생성된 오존을, 오존 혼합 장치(64)에 의해 밸러스트수 중에 혼입시킴으로써, 밸러스트수 중의 수생생물이나 세균류를 살균할 만큼의 형태, 또는 밸러스트수를 슬릿판(66)에 통과시켜 밸러스트수 중의 수생생물이나 세균류를 살멸할 만큼의 형태여도 좋다.
또, 처리 장치(106)는, 수생생물이나 세균류를 여과함으로써 제거가능한, 예를 들어 MF막이나 UF막 등의 막 장치에 의해 구성할 수도 있다. 막 장치를 통과한 밸러스트수에 오존 발생 장치에 의해 생성된 오존을 오존 혼합 장치에 의해 혼입시키는 형태여도 좋다.
처리 장치(106)에 의해 생성된 밸러스트 처리수는 저장 탱크(107) 내에 저장된다. 밸러스트 처리수는, 탈기탱크(67)에 의해 잉여 오존이 제거되어 있기 때문에, 저장 탱크(107)나 밸러스트 탱크를 부식하는 문제는 없다.
선체(104) 내에는, 저장 탱크(107) 내의 밸러스트 처리수를 처리수 공급 라인(108)을 통해 공급 대상 선박(200)에 이송하기 위한 공급 펌프(101)가 마련되어 있다. 갑판(100a) 상에 연장된 처리수 공급 라인(108)의 일단은, 호스 공급구(102)를 가지고 있다. 이 호스 공급구(102)에 공급 장치(A)의 공급용 호스(1)가 접속된다. 따라서, 밸러스트 처리수 공급 선(100)은, 저장 탱크(107) 내의 밸러스트 처리수를 공급 장치(A)에 의해 공급 대상 선박(200)에 공급할 수 있다.
처리수 공급 라인(108)은, 유량 조정 밸브(109)와, 유량계(110)를 가지고 있다. 유량 조정 밸브(109)는 밸러스트 처리수의 공급량을 조정한다. 유량계(110)는, 공급한 밸러스트 처리수의 유량을 측정한다. 밸러스트 처리수 공급 선(100)의 예를 들어 조타실 내에는, 표시부(111)가 마련된다. 표시부(111)는, 유량계(110)의 계측 결과에 근거해 적산 유량이나 공급 완료 예상 시간 등의 정보를 표시한다. 따라서, 밸러스트 처리수 공급 선(100)은, 공급 대상 선박(200)에 대해서 필요한 양의 밸러스트 처리수를 공급할 수 있으며, 그 정보를 표시부(111)에 의해 작업자에게 알릴 수 있다. 표시부(111)는, 유량계(110)의 계측 결과에 근거해 과금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밸러스트 처리수 공급 선(100)은, 저장 탱크(107)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공급 대상 선박(200)의 기항 시간이나 하역 작업의 스케줄에 맞추어, 밸러스트 처리수를 미리 생성해 저장 탱크(107) 내에 저장해 둘 수 있어 필요할 때에 공급 대상 선박(200)에 신속하게 공급할 수 있다. 또, 저장 탱크(107)를 가지는 밸러스트 처리수 공급 선(100)은, 공급되는 밸러스트 처리수가, 조약을 만족하는 깨끗한 밸러스트 처리수이고, 저장 탱크(107) 내의 밸러스트 처리수를 샘플링 함으로써 사전에 검사하는 것이 가능하다. 밸러스트 처리수 공급 선(100)은, 조약을 만족하는, 안전하고 안심하는 밸러스트 처리수를 공급할 수 있는 것을, 샘플링 결과에 근거해 공급 대상 선박(200)에 대해서 제시할 수 있다.
그러나, 밸러스트 처리수 공급 선(100)은, 저장 탱크(107)를 사용하는 일이 없이, 처리 장치(106)에 의해 생성되는 밸러스트 처리수를 공급 장치(A)를 통해 공급 대상 선박(200)에 직접 공급하는 형태로 할 수도 있다. 이 형태에 의하면, 밸러스트 처리수 공급 선(100)은, 저장 탱크(107)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보다 소형화할 수 있다. 이 경우, 밸러스트 처리수 중의 수생생물이나 세균류의 생존수를 검사하기 위한 시스템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밸러스트 처리수 공급 선(100)은, 갑판(100a) 상에 공급 대상 선박(200)에 대해 계류하기 위한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도15 ~ 도 18은 계류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계류 장치(120)는, 기대(121) 상에 힌지(122)를 통해 하나의 암(123)을 가지고 있다. 암(123)의 선단은, 힌지(124)를 통해 진공 컵(125)을 가지고 있다.
기대(121)는, 갑판(22) 상에 가설된 가이드 레일(126)을 따라, 밸러스트 처리수 공급 선(100)의 우현과 좌현 사이를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기의 계류 장치(120)는, 밸러스트 처리수 공급 선(100)의 우현, 좌현의 어느 측이어도 사용 가능하다.
힌지(122)는, 암(123)의 밑부분을 지지하고, 암(123)의 선단을 상하 방향(Y) 및 좌우 방향(X)으로 자유롭게 요동시킬 수 있다. 또, 힌지(122)는, 암(123)을 기대(121) 상에서 수평 방향(Z)으로 선회시킬 수 있다. 힌지(122)는 기대(121)에 대해서 수직 방향으로 승강 동작 가능해도 좋다. 이 경우, 암(123)의 높이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힌지(122)는, 전동, 유압 또는 공기압을 이용함으로써, 수동 조작 또는 자동 조작으로 동작한다.
암(123)은, 지름이 다른, 동심 형상의 복수의 통체(123a ~ 123c)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암(123)은, 외관상, 하나이기 때문에, 계류 장치(120)를 소형화할 수 있어 소형선에도 탑재 가능하다. 통체(123a ~ 123c)는, 전동, 유압 또는 공기압에 의해 신축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신축 동작은 수동 조작이어도 자동 조작 이어도 좋다.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반구형 또는 콘형의 진공 컵(125)은, 가장 안쪽의 통체(123c)의 선단에, 힌지(124)를 통해, 자유롭게 흔들릴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갑판(100a) 상에는 흡인 펌프(127)가 설치되어 있고, 흡인 호스(128)에 의해 진공 컵(125)의 내부와 연락하고 있다. 따라서, 공급 대상 선박(200)의 선체 측면(201)에 맞닿은 진공 컵(125)은, 흡인 펌프(127)에 의해 내부가 부압으로 됨으로써, 선체 측면(201)에 밀착할 수 있다. 흡인 호스(128)는, 호스 릴(129)에 감겨져 있기때문에, 계류 장치(120)가 가이드 레일(126)을 따라 갑판(100a) 상을 우현 또는 좌현으로 이동하는데 수반해, 길이가 조절된다.
다음에, 계류 장치(120)의 사용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밸러스트수 공급 선(100)이 공급 대상 선박(200)에 나란히 한 후, 작업자는, 계류 장치(120)의 암(123)의 움직임을 수동 또는 자동으로 조작해, 진공 컵(125)을 선체 측면(201)의 적당한 위치에 맞닿게 한다. 공급 대상 선박(200)은, 밸러스트 처리수의 공급에 의해 흘수가 점차 올라 가기 (선체가 점차 가라앉는다)때문에,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진공 컵(125)은, 갑판(100a)보다 윗쪽에 맞닿게 된다. 그 후, 흡인 펌프(127)의 작동에 의해, 진공 컵(125)은 내부가 부압으로 되어 선체 측면(201)에 밀착한다. 따라서, 계류 장치(120)는 공급 대상 선박(200)에 고정되어 밸러스트 처리수 공급 선(100)은 공급 대상 선박(200)에 계류된다. 이 작업은, 계류 장치(120)를 가지는 밸러스트 처리수 공급 선(100) 측만의 작업으로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공급 대상 선박(200)은 아무런 작업이 요구되지 않는다.
이 후, 공급 대상 선박(200)의 흘수가 변동해도, 계류 장치(120)는, 힌지(122)를 지점으로 암(123)의 선단 측을 상하 방향으로 요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용이하게 추종할 수 있어 번거로운 조정 작업은 필요없다. 암(123)은, 힌지(122)를 지점으로 진공 컵(125) 측이 요동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링크 기구에 비해 요동 범위가 크다. 따라서, 밸러스트 처리수의 공급에 의해 공급 대상 선박(200)의 흘수가 크게 변동해도 문제 없이 추종할 수 있다. 또, 힌지(124)는, 진공 컵(125)의 방향을 자유롭게 바꿀 수 있으므로, 파랑에 의해 선체가 상하 좌우에 움직여도, 진공 컵(125)의 선체 측면(201)에 대한 밀착을 유지해, 선박 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가 있다.
암(123)이 공기압에 의해 신축 동작하는 경우, 선박 간의 움직임을 완충할 수 있다. 계류의 해제는, 흡인 펌프(127)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것만으로 끝나기 때문에, 지극히 간단하다.
밸러스트 처리수 공급 선(100)은,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계류 장치(120A, 120B)를 이용해 공급 대상 선박(200)에 계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계류 장치(120A, 120B)를 사용하는 경우는, 하나의 계류 장치(120A)의 밀착 위치를 변경하고 있는 동안, 다른 계류 장치(120B)에 의해 계류 상태를 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것은, 공급 대상 선박(200)의 흘수의 변동이 계류 장치(120)의 가동 범위를 초과하기 때문에, 진공 컵(125)을 밀착시키는 높이 위치의 변경이 자주 요구되는 경우에 유리하다.

Claims (13)

  1. 수생생물이나 세균류가 소정의 값 이하가 되도록 살멸된 밸러스트 처리수를 선박의 시 체스트에 직접 공급하기 위한 공급 장치로서,
    상기 밸러스트 처리수를 공급하는 공급용 호스와,
    상기 공급용 호스의 선단에 마련되어, 상기 시 체스트의 개구부를 포위하도록 밀착함으로써, 상기 공급용 호스 내부와 상기 시 체스트 내부를 연통시키는 밀착 수단과,
    상기 밀착 수단을 상기 시 체스트까지 수중 유도하는 유도 수단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러스트 처리수의 공급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 수단은, 상기 공급용 호스의 선단에, 상기 시 체스트의 개구부를 포위해 덮는 크기를 가지는 가요성 부재로 이루어지는 밀착 컵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밀착 컵의 개구부의 주변에 자석이 매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러스트 처리수의 공급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은, 상기 밀착 컵의 개구부의 주변을 따라 복수로 분할되어 매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러스트 처리수의 공급 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은 전자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러스트 처리수의 공급 장치.
  5. 제 1 내지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 수단은,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해 선체 측면에 흡착하기 위한 흡착력을 생성하는 회전체와, 상기 선체 측면 상을 자주(自走)하기 위한 자주용 차륜을 가지며, 상기 공급용 호스의 선단 측에 복수 기(基)가 각도 변위 자재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러스트 처리수의 공급 장치.
  6. 제 1 내지 5 항 중 어느 한 항 기재의 밸러스트 처리수의 공급 장치와,
    밸러스트수를 취수하는 취수 수단과,
    상기 취수 수단에 의해 취수된 밸러스트수로부터 수생생물이나 세균류가 소정의 값 이하가 되도록 살멸된 밸러스트 처리수를 생성하는 처리 장치와,
    상기 처리 장치에 의해 생성된 밸러스트 처리수를 상기 공급 장치에 의해 다른 선박에 공급하기 위한 공급 펌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러스트 처리수 공급 선.
  7. 제 6 항에 있어서,
    선단 측이 상하 및 좌우 방향으로 요동 가능해지도록 기대 상에 지지되어 있 는 암과, 상기 암의 선단에 마련되어 다른 선박의 선체 측면에 밀착시키는 진공 컵과, 상기 진공 컵 내를 부압으로 하기 위한 흡인 펌프를 가지는 계류 장치를, 선박 갑판 상에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러스트 처리수 공급 선.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신축 동작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러스트 처리수 공급 선.
  9. 제 6 항, 또는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장치는, 상기 취수 수단에 의해 취수된 밸러스트수 중에 오존을 주입해 수생생물이나 세균류를 살균하는 오존 주입 수단과, 상기 오존 주입 수단에 의해 오존이 주입된 밸러스트수 중의 잉여 오존을 탈기하는 탈기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러스트 처리수 공급 선.
  10. 제 6 항, 또는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장치는, 상기 취수 수단에 의해 취수된 밸러스트수를 슬릿 형상의 개구에 통과시켰을 때에 발생하는 전단력에 의해 수생생물이나 세균류를 살멸하는 슬릿판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러스트 처리수 공급 선.
  11. 제 6 항, 또는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장치는, 상기 취수 수단에 의해 취수된 밸러스트수 중에 오존을 주입해 수생생물이나 세균류를 살균하는 오존 주입 수단과, 상기 오존 주입 수단에 의해 오존이 주입된 밸러스트수 중의 잉여 오존을 탈기하는 탈기수단과, 밸러스트수를 슬릿 형상의 개구에 통과시켰을 때에 발생하는 전단력에 의해 수생생물이나 세균류를 살멸하는 슬릿판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러스트 처리수 공급 선.
  12. 제 6 항, 또는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장치는, 상기 취수 수단에 의해 취수된 밸러스트수 중의 수생생물이나 세균류를 여과함으로써 제거가능한 막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러스트 처리수 공급 선.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장치는, 상기 막 장치를 통과한 밸러스트수 중에 오존을 주입하는 오존 주입 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러스트 처리수 공급 선.
KR1020097017651A 2007-02-01 2008-01-31 밸러스트 처리수의 공급 장치 및 밸러스트 처리수 공급 선 KR1011391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23546 2007-02-01
JP2007023546A JP2008189071A (ja) 2007-02-01 2007-02-01 バラスト処理水の供給装置及びバラスト処理水供給船
JP2007029727A JP2008195114A (ja) 2007-02-08 2007-02-08 係船装置、船及びバラスト処理水供給船
JPJP-P-2007-029727 2007-02-08
PCT/JP2008/051591 WO2008093812A1 (ja) 2007-02-01 2008-01-31 バラスト処理水の供給装置及びバラスト処理水供給船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4886A true KR20090104886A (ko) 2009-10-06
KR101139164B1 KR101139164B1 (ko) 2012-04-26

Family

ID=39674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7651A KR101139164B1 (ko) 2007-02-01 2008-01-31 밸러스트 처리수의 공급 장치 및 밸러스트 처리수 공급 선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39164B1 (ko)
WO (1) WO200809381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7558B1 (ko) * 2009-10-16 2010-03-12 우시 브라이트스카이 이렉트로닉 컴퍼니 리미티드 밸러스트수 수처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1007467D0 (en) * 2010-05-05 2010-06-16 Tamacrest Ltd Offshore replenishment system for fixed and floating offshore structures
JP5522798B2 (ja) * 2011-01-31 2014-06-18 和弘 林 バラスト水浄化方法
KR101591644B1 (ko) 2014-06-17 2016-02-05 재단법인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선박 평형수용 혼 타입 샘플링 포트 장치
KR101698186B1 (ko) 2014-06-17 2017-01-19 재단법인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선박 평형수용 방사형 다공 샘플링 포트 장치
FR3074774B1 (fr) * 2017-12-12 2020-10-02 Sofresid Eng Dispositif et procede de transfert de fluide et de connexion
KR102564217B1 (ko) * 2021-06-10 2023-08-07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수중 청소 로봇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21436B2 (ja) * 2001-10-30 2006-09-13 株式会社海洋開発技術研究所 液中微生物殺減装置
JP2005319975A (ja) * 2004-05-11 2005-11-17 Takao Ushiyama 船舶バラスト水洗浄装置の接続方法と接続装置
JP2005324120A (ja) * 2004-05-14 2005-11-24 Jfe Engineering Kk バラスト水処理方法及び装置、バラスト水処理機能を備えた浮体構造物
JP2006026545A (ja) * 2004-07-16 2006-02-02 Ryomei Eng Corp Ltd バラストタンク水中生物のオゾン処理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7558B1 (ko) * 2009-10-16 2010-03-12 우시 브라이트스카이 이렉트로닉 컴퍼니 리미티드 밸러스트수 수처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9164B1 (ko) 2012-04-26
WO2008093812A1 (ja) 2008-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9164B1 (ko) 밸러스트 처리수의 공급 장치 및 밸러스트 처리수 공급 선
US20070261629A1 (en) Romotely Controlled Apparatus for Recovering Liquid in Sunken Ship and Method Performed by the Same
US10179634B2 (en) Device and method for cleaning a submerged surface of a vessel or similar and use of such a device
CN101600621B (zh) 压载处理水供给装置及压载处理水供给船
KR101250141B1 (ko) 밸러스트 처리수 공급 선 및 밸러스트 처리수의 공급 방법
KR20110062248A (ko) 무선 조종을 이용한 선박 수중 청소 로봇
KR102221796B1 (ko) 부유식 선체 청소 플랜트
US6432304B1 (en) Remote operating ballast filter for vessels
JP2008195114A (ja) 係船装置、船及びバラスト処理水供給船
WO2010048039A2 (en) Methods and devices for cleaning subsea structures
WO2019144532A1 (en) Oxygen dissolving apparatus for ponds
CN111294492B (zh) 一种水下拍摄用辅助装置及拍摄系统
KR100442972B1 (ko) 수중 저면 오물 제거시스템
JP2000047294A (ja) 水中移動撮影装置
US20220408700A1 (en) A Submerged Observation Unit For A Fish Tank
JP3693507B2 (ja) 水中点検観測装置
JPH11310188A (ja) 船舶の摩擦抵抗低減装置
KR102395883B1 (ko) 수중클리닝로봇
CN114604372B (zh) 船载养殖试验装置及海洋养殖试验船
CN218022095U (zh) 一种快速布放围油栏的遥控艇
JP2004337157A (ja) 船底等への水生生物の着生防止装置並びに着生防止方法
JPH04110698U (ja) 水中観測装置
KR200229411Y1 (ko) 멤브레인산기관플로팅시스템
JP2023016194A (ja) 生け簀内の富酸素化装置
DK2179803T3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JECTION OF FLOCCULAT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