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4361A - 직류-직류 변환기 - Google Patents

직류-직류 변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4361A
KR20090104361A KR1020080029756A KR20080029756A KR20090104361A KR 20090104361 A KR20090104361 A KR 20090104361A KR 1020080029756 A KR1020080029756 A KR 1020080029756A KR 20080029756 A KR20080029756 A KR 20080029756A KR 20090104361 A KR20090104361 A KR 200901043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istor
terminal
voltage
node
gate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9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25326B1 (ko
Inventor
권오경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0297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5326B1/ko
Priority to PCT/KR2009/001623 priority patent/WO2009145440A1/ko
Priority to TW098110604A priority patent/TWI377771B/zh
Publication of KR200901043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43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53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53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0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resistors or capacitors, e.g. potential divider
    • H02M3/0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resistors or capacitors, e.g. potential divider using capacitors charged and discharged alternately by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e.g. charge pumps
    • H02M3/073Charge pumps of the Schenkel-typ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3/00Non-retroactive 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variables by using an uncontrolled element, or an uncontrolled combination of elements, such element or such combination having self-regulating properties
    • G05F3/02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3/08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 G05F3/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using uncontrolled devices with non-linear characteristics
    • G05F3/1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using uncontrolled devices with non-linear characteristic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 G05F3/2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using uncontrolled devices with non-linear characteristic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diode- transistor combinations
    • G05F3/24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using uncontrolled devices with non-linear characteristic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diode- transistor combinations wherein the transistors are of the field-effect type on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0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resistors or capacitors, e.g. potential divider
    • H02M3/0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resistors or capacitors, e.g. potential divider using capacitors charged and discharged alternately by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e.g. charge pumps
    • H02M3/073Charge pumps of the Schenkel-type
    • H02M3/077Charge pumps of the Schenkel-type with parallel connected charge pump st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형 또는 N형의 한 형태의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져 원하는 전압을 출력할 수 있도록 한 직류-직류 변환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직류-직류 변환기는 제 1단자와 제 2단자 사이에 접속되는 제 1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1단자와 상기 제 2단자 사이에 접속되며 상기 제 1트랜지스터와 교번적으로 턴-온 및 턴-오프되는 제 2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1단자와 제 2단자 사이에 접속되며 상기 제 1트랜지스터와 교번적으로 턴-온 및 턴-오프되는 제 3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2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1단자 사이에 접속되며 상기 제 3트랜지스터와 교번적으로 턴-온 및 턴-오프되는 제 4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3트랜지스터 및 제 1트랜지스터 사이의 제 1노드와 제 1클럭 입력단자 사이에 접속되는 제 1커패시터와; 상기 제 4트랜지스터 및 제 2트랜지스터 사이의 제 2노드와 제 2클럭 입력단자 사이에 접속되는 제 2커패시터와; 상기 제 1노드와 상기 제 3트랜지스터의 게이트전극 사이에 접속되며, 상기 제 1노드로부터 상기 제 3트랜지스터의 게이트전극으로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 5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2노드와 상기 제 4트랜지스터의 게이트전극 사이에 접속되며, 상기 제 2노드로부터 상기 제 4트랜지스터의 게이트전극으로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 6트랜지스터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직류-직류 변환기{DC-DC Converter}
본 발명은 직류-직류 변환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P형 또는 N형의 한 형태의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져 원하는 전압을 출력할 수 있도록 한 직류-직류 변환기에 관한 것이다.
직류-직류 변환기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전원 전압의 전압레벨을 변경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이와 같은 직류-직류 변환기는 하나의 전원 전압을 이용하여 다른 전원 전압을 생성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시스템(일례로, 평판 디스플레이)에 사용되고 있다.
직류-직류 변환기는 일반적으로 CMOS 공정(즉, N형 및 P형 트랜지스터를 동시에 사용)을 이용하여 구현된다. 하지만, CMOS 공정은 높은 제조비용이 소모되는 단점이 있다. 실제로, 직류-직류 변환기를 N형 트랜지스터 또는 P형 트랜지스터로 구성하는 경우 공정 마스크가 감소되어 제조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도 1은 하나의 트랜지스터로 구현되는 직류-직류 변환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직류-직류 변환기는 제 1단자(2)와 제 2단자(4) 사이에 접속되는 복수의 트랜지스터들(P1 내지 P4)과, 트랜지스터들(P1 내지 P4) 사이의 노드(N1, N2, N3)와 제 1클럭 입력단자(6) 또는 제 2클럭 입력단자(8) 사이에 각각 접속되는 커패시터들(C1 내지 C3)과, 제 2단자(4)와 기저전원(GND) 사이에 접속되는 로드 커패시터(C_load)를 구비한다.
각 노드(N1, N2, N3)와 제 1클럭 입력단자(6) 또는 제 2클럭 입력단자(8) 사이에 접속되는 커패시터들(C1 내지 C3)은 클럭신호(CLK, CLKB)에 대응하여 각 노드(N1, N2, N3)의 전압을 승압한다.
트랜지스터들(P1 내지 P4)은 제 1단자(2)로 공급되는 전류를 차단하고 제 2단자(4)로 전류를 공급할 수 있도록 다이오드 형태로 접속된다. 트랜지스터들(P1 내지 P4)이 다이오드 형태로 접속되면 커패시터들(C1 내지 C3)에 의하여 승압된 전압이 역방향으로 전달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종래의 직류-직류 변환기는 입력전압(VDD)을 원하는 전압으로 승압하여 제 2단자(4)로 공급한다. 하지만, 종래의 직류-직류 변환기는 제 1노드(N1)에서 제 2노드(N2), 제 2노드(N2)에서 제 3노드(N3), 제3노드(N3)에서 제 4노드(N4)로 전압이 전달될 때 트랜지스터들(P1 내지 P4)의 문턱전압(Vth)만큼 전압이 손실되는 문제점이 있다.
실제로, 제 2단자(4)에서 출력되는 전압은 4(VDD-Vth)로 트랜지스터들(P1 내 지 P4)의 문턱전압만큼 손실된 전압이 출력된다. 또한, 종래의 직류-직류 변환기는 클럭신호(CLK)가 High일 때만 출력전압을 공급하기 때문에 리플 전압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P형 또는 N형의 한 형태의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져 원하는 전압을 출력할 수 있도록 한 직류-직류 변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직류-직류 변환기는 제 1단자와 제 2단자 사이에 접속되는 제 1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1단자와 상기 제 2단자 사이에 접속되며 상기 제 1트랜지스터와 교번적으로 턴-온 및 턴-오프되는 제 2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1단자와 제 2단자 사이에 접속되며 상기 제 1트랜지스터와 교번적으로 턴-온 및 턴-오프되는 제 3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2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1단자 사이에 접속되며 상기 제 3트랜지스터와 교번적으로 턴-온 및 턴-오프되는 제 4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3트랜지스터 및 제 1트랜지스터 사이의 제 1노드와 제 1클럭 입력단자 사이에 접속되는 제 1커패시터와; 상기 제 4트랜지스터 및 제 2트랜지스터 사이의 제 2노드와 제 2클럭 입력단자 사이에 접속되는 제 2커패시터와; 상기 제 1노드와 상기 제 3트랜지스터의 게이트전극 사이에 접속되며, 상기 제 1노드로부터 상기 제 3트랜지스터의 게이트전극으로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 5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2노드와 상기 제 4트랜지스터의 게이트전극 사이에 접속되며, 상기 제 2노드로부터 상기 제 4트랜지스터의 게이트전극으로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 6트랜지스터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1트랜지스터는 상기 제 1노드와 상기 제 2단자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제 2노드에 인가되는 전압에 대응하여 턴-온 및 턴-오프되며; 상기 제 2트랜지스터는 상기 제 2노드와 상기 제 2단자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제 1노드에 인가되는 전압에 대응하여 턴-온 및 턴-오프된다. 상기 제 3트랜지스터는 상기 제 1단자와 상기 제 1노드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제 5트랜지스터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에 대응하여 턴-온 및 턴-오프되며, 상기 제 4트랜지스터는 상기 제 1단자와 상기 제 2노드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제 6트랜지스터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에 대응하여 턴-온 및 턴-오프된다. 상기 제 1단자는 외부로부터 전원전압을 공급받는 입력단자, 상기 제 2단자는 상기 직류-직류 변환기의 전압을 출력하는 출력단자이다. 상기 제 2단자와 기저전원 사이에 접속되는 로드 커패시터를 더 구비한다. 상기 제 2단자는 외부로부터 전원전압을 공급받는 입력단자, 상기 제 1단자는 상기 직류-직류 변환기의 전압을 출력하는 출력단자이다. 상기 제 1단자와 기저전원 사이에 접속되는 로드 커패시터를 더 구비한다. 상기 제 1클럭 입력단자는 클럭신호를 공급받고, 상기 제 2클럭 입력단자는 상기 클럭신호를 반전한 클럭바신호를 공급받는다. 상기 제 1 내지 제 6트랜지스터는 동일한 도전형(P형 또는 N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3트랜지스터의 게이트전극과 상기 제 1클럭 입력단자 사이에 접속되는 제 3커패시터와, 상기 제 4트랜지스터의 게이트전극과 상기 제 2클럭 입력단자 사이에 접속되는 제 4커패시터를 더 구비한다. 상기 제 1단자와 상기 제 3트랜지스터의 게이트전극 사이에 접속되며, 상기 제 3트랜지스터의 게이트전극으로부터 상기 제 1단자로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 7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1단 자와 상기 제 4트랜지스터의 게이트전극 사이에 접속되며, 상기 제 4트랜지스터의 게이트전극으로부터 상기 제 1단자로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 8트랜지스터를 더 구비한다.
본 발명의 직류-직류 변환기는 동일한 도전형(P형 또는 N형)의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기 때문에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직류-직류 변환기는 트랜지스터의 문턱전압 손실없이 원하는 전압을 출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클럭신호 및 클럭바신호의 하이구간 동안 전압을 출력하기 때문에 리플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의한 직류-직류 변환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의한 직류-직류 변환기는 제 1단자(10)와 제 2단자(12) 사이에 접속되는 제 3트랜지스터(P3) 및 제 1트랜지스터(P1)와, 제 1단자(10)와 제 2단자(12) 사이에서 제 3트랜지스터(P3) 및 제 1트랜지스터(P1)와 병렬로 접속되는 제 4트랜지스터(P4) 및 제 2트랜지스터(P2)와, 제 3트랜지스터(P3)의 게이트전극과 제 2트랜지스터(P2)의 게이트전극 사이에 접속되는 제 5트랜지스터(P5)와, 제 4트랜지스터(P4)의 게이트전극과 제 1트랜지스터(P1)의 게이트전극 사이에 접속되는 제 6트랜지스터(P6)를 구비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의한 직류-직류 변환기는 제 1노드(N1)와 제 1클럭 입력단자(14) 사이에 접속되는 제 1커패시터(C1)와, 제 2노드(N2)와 제 2클럭 입력단자(16) 사이에 접속되는 제 2커패시터(C2)와, 제 2단자(12)와 기저전원(GND) 사이에 접속되는 로드 커패시터(Cload)를 구비한다.
제 3트랜지스터(P3)의 제 1전극은 제 1단자(10)에 접속되고, 제 2전극은 제 1노드(N1)(즉, 제 1트랜지스터(P1)의 제 1전극)에 접속된다. 그리고, 제 3트랜지스터(P3)의 게이트전극은 제 3노드(N3)(즉, 제 5트랜지스터(P5)의 제 1전극 및 게이트전극)에 접속된다. 여기서, 제 1전극은 소오스전극 및 드레인전극 중 어느 하나의 전극으로 설정되고, 제 2전극은 제 1전극과 다른 전극으로 설정된다. 예를 들어, 제 1전극이 소오스전극으로 설정되면 제 2전극은 드레인전극으로 설정된다.
제 4트랜지스터(P4)의 제 1전극은 제 1단자(10)에 접속되고, 제 2전극은 제 2노드(N2)(즉, 제 2트랜지스터(P2)의 제 1전극)에 접속된다. 그리고, 제 4트랜지스터(P4)의 게이트전극은 제 4노드(N4)(즉, 제 6트랜지스터(P6)의 제 1전극 및 게이트전극)에 접속된다. 이와 같은 제 4트랜지스터(P4)는 제 3트랜지스터(P3)와 교번적으로 턴-온 및 턴-오프된다.
제 1트랜지스터(P1)의 제 1전극은 제 1노드(N1)에 접속되고, 제 2전극은 제 2단자(12)에 접속된다. 그리고, 제 1트랜지스터(P1)의 게이트전극은 제 2노드(N2)에 접속된다. 이와 같은 제 1트랜지스터(P1)는 제 3트랜지스터(P3)와 교번적으로 턴-온 및 턴-오프된다.
제 2트랜지스터(P2)의 제 1전극은 제 2노드(N2)에 접속되고, 제 2전극은 제 2단자(12)에 접속된다. 그리고, 제 2트랜지스터(P2)의 게이트전극은 제 1노드(N1)에 접속된다. 이와 같은 제 2트랜지스터(P2)는 제 1트랜지스터(P1)와 교번적으로 턴-온 및 턴-오프된다.
제 5트랜지스터(P5)의 제 1전극 및 게이트전극은 제 3노드(N3)에 접속되고, 제 2전극은 제 1노드(N1)에 접속된다. 이와 같은 제 5트랜지스터(P5)는 제 1노드(N1)로부터 제 3노드(N3)로 전류가 공급될 수 있도록 다이오드 형태로 접속된다.
제 6트랜지스터(P6)의 제1전극 및 게이트전극은 제 4노드(N4)에 접속되고, 제 2전극은 제 2노드(N2)에 접속된다. 이와 같은 제 6트랜지스터(P6)는 제 2노드(N2)로부터 제 4노드(N4)로 전류가 공급될 수 있도록 다이오드 형태로 접속된다.
제 1클럭 입력단자(14) 및 제 1노드(N1) 사이에 위치되는 제 1커패시터(C1)는 제 1클럭 입력단자(14)로 공급되는 클럭신호(CLK)에 대응하여 제 1노드(N1)의 전압을 제어한다.
제 2클럭 입력단자(16) 및 제 2노드(N2) 사이에 위치되는 제 2커패시터(C2)는 제 2클럭 입력단자(16)로 공급되는 클럭바신호(CLKB)에 대응하여 제 2노드(N2)의 전압을 제어한다.
제 1단자(10)는 외부로부터 전원전압(VDD)을 공급받는 입력단자로 사용되고, 제 2단자(12)는 전압을 출력하기 위한 출력단자로 사용된다.
도 3은 도 2의 직류-직류 변환기로 공급되는 클럭신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제 1노드(N1) 및 제 2노드(N2)의 전압을 전원전압(VDD)으로 가정하고 동작과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클럭신호(CLK)가 하이전압으로 설정되면 제 1커패시터(C1)에 의하여 제 1노드(N1)의 전압이 2VDD의 전압으로 상승한다.
제 1노드(N1)의 전압이 2VDD로 상승하면 게이트전극으로 VDD의 전압을 공급받는 제 1트랜지스터(P1)가 턴-온된다. 제 1트랜지스터(P1)가 턴-온되면 제 1노드(N1)의 2VDD의 전압이 제 2단자(OUT)로 공급된다. 그리고, 제 1노드(N1)의 전압이 2VDD로 상승하면 제 3노드(N3)의 전압은 2VDD-Vth(P5)로 설정되어 제 3트랜지스터(P3)가 턴-오프된다.
한편, 제 2노드(N2)의 전압이 VDD로 설정되면 제 4노드(N4)의 전압은 VDD-Vth(P6)로 설정된다. 제 4노드(N4)로 VDD-Vth(P6)의 전압이 공급되면 제 4트랜지스터(M4)가 턴-온되어 제 2노드(N2)로 VDD의 전압이 공급된다. 이 경우, 게이트전극으로 2VDD의 전압을 공급받는 제 2트랜지스터(P2)는 제 2노드(N2)로 공급되는 전압과 상관없이 턴-오프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클럭신호(CLK)가 하이전압으로 설정되는 기간 동안 제 2단자(12)로 2VDD의 전압이 안정적으로 출력된다.
클럭바신호(CLKB)가 하이전압으로 설정되면 제 2커패시터(C2)에 의하여 제 2노드(N2)의 전압이 2VDD의 전압으로 상승한다. 이 경우, 클럭신호(CLK)가 로우전압으로 설정되어 제 1노드(N1)의 전압은 VDD의 전압으로 설정된다.
제 2노드(N2)의 전압이 2VDD로 상승하면 게이트전극으로 VDD의 전압을 공급받는 제 2트랜지스터(P2)가 턴-온된다. 제 2트랜지스터(P2)가 턴-온되면 제 2노 드(N2)의 2VDD의 전압이 제 2단자(OUT)로 공급된다. 그리고, 제 2노드(N2)의 전압이 2VDD로 상승하면 제 4노드(N4)의 전압은 2VDD-Vth(P6)로 설정되어 제 4트랜지스터(P4)가 턴-오프된다.
한편, 제 1노드(N2)의 전압이 VDD로 설정되기 때문에 제 3노드(N3)의 전압은 VDD-Vth(P5)로 설정된다. 제 3노드(N3)로 VDD-Vth(P5)의 전압이 공급되면 제 3트랜지스터(P3)가 턴-온되어 제 1노드(N1)로 VDD의 전압이 공급된다. 이 경우, 게이트전극으로 2VDD의 전압을 공급받는 제 1트랜지스터(P1)는 제 1노드(N1)로 공급되는 전압과 상관없이 턴-오프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클럭바신호(CLKB)가 하이전압으로 설정되는 기간 동안 제 2단자(12)로 2VDD의 전압이 안정적으로 출력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의한 직류-직류 변환기는 P형 트랜지스터들로만 구성되어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의한 직류-직류 변환기는 트랜지스터들의 문턱전압과 무관하게 전압 손실없이 원하는 2VDD의 전압을 출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의한 직류-직류 변환기는 클럭신호 및 클럭바신호의 하이기간 동안 제 2단자(12)로 전압을 출력하기 때문에 리플전압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의한 직류-직류 변환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설명할 때 도 2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할당함과 아울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의한 직류-직류 변환기는 제 3노 드(N3)와 제 1클럭 입력단자(14) 사이에 접속되는 제 3커패시터(C3)와, 제 4노드(N4)와 제 2클럭 입력단자(16) 사이에 접속되는 제 4커패시터(C4)를 구비한다.
제 3커패시터(C3)는 클럭신호(CLK)가 하이전압으로 입력될 때 제 3노드(N3)의 전압을 2VDD-Vth(P5)의 전압으로 안정적으로 유지한다. 상세히 설명하면, 클럭신호(CLK)가 하이전압으로 설정되는 경우 제 1노드(N1)의 전압이 2VDD로 상승한다. 제 1노드(N1)의 전압이 2VDD로 상승하면 제 3노드(N3)의 전압은 2VDD-Vth(P5)로 상승한다.
한편, 제 1노드(N1)의 전압이 2VDD로 상승하는 기간 동안 제 1트랜지스터(P1)가 턴-온되어 제 2단자(12)로 2VDD의 전압이 공급된다. 이 경우, 제 2단자(12)에 접속되는 로드에 대응하여 소정의 전류가 제 2단자(12)로 공급된다. 제 2단자(12)로 전류가 공급되는 경우 제 3노드(N3)의 전압이 원하는 전압보다 낮은 전압으로 하강될 염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의한 직류-직류 변환기에서는 제 3커패시터(C3)를 이용하여 안정적으로 제 3노드(N3)의 전압을 원하는 전압으로 유지한다. 다시 말하여, 제 3커패시터(C3)는 클럭신호(CLK)가 공급될 때 제 3노드(N3)의 전압을 상승시킴으로써 제 3트랜지스터(P3)가 안정적으로 턴-오프되도록 한다.
제 4커패시터(C4)는 클럭바신호(CLKB)가 하이전압으로 입력될 때 제 4노드(N4)의 전압을 2VDD-Vth(P6)의 전압으로 안정적으로 유지한다. 상세히 설명하면, 클릭바신호(CLKB)가 하이전압으로 설정되는 경우 제 2노드(N2)의 전압이 2VDD로 상승한다. 제 2노드(N2)의 전압이 2VDD로 상승하면 제 4노드(N4)의 전압은 2VDD-Vth(P6)로 상승한다.
한편, 제 2노드(N2)의 전압이 2VDD로 상승하는 기간 동안 제 2트랜지스터(P2)가 턴-온되어 제 2단자(12)로 2VDD의 전압이 공급된다. 이 경우, 제 2단자(12)에 접속되는 로드에 대응하여 소정의 전류가 제 2단자(12)로 공급된다. 제 2단자(12)로 전류가 공급되는 경우 제 4노드(N4)의 전압이 원하는 전압보다 낮은 전압으로 하강 될 염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의한 직류-직류 변환기에서는 제 4커패시터(C4)를 이용하여 안정적으로 제 4노드(N4)의 전압을 원하는 전압으로 유지한다. 다시 말하여, 제 4커패시터(C4)는 클럭바신호(CLKB)가 공급될 때 제 4노드(N4)의 전압을 상승시킴으로써 제 4트랜지스터(P4)가 안정적으로 턴-오프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의한 직류-직류 변환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설명할 때 도 4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할당함과 아울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의한 직류-직류 변환기는 제 1단자(10)와 제 3노드(N3) 사이에 접속되는 제 7트랜지스터(P7)와, 제 1단자(10)와 제 4노드(N4) 사이에 접속되는 제 8트랜지스터(P8)를 구비한다.
제 7트랜지스터(P7)의 제 1전극 및 게이트전극은 제 1단자(10)에 접속되고, 제 2전극은 제 3노드(N3)에 접속된다. 즉, 제 7트랜지스터(P7)는 제 3노드(N3)로부터 제 1단자(10)로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다이오드 형태로 접속된다. 이와 같 은 제 7트랜지스터(P7)는 제 3노드(N3)가 플로팅 상태로 설정되는 것을 방지하여 구동의 안정성을 확보한다. 또한, 제 7트랜지스터(P7)는 제 3트랜지스터(P3)의 게이트전극에 필요 이상으로 전하가 축적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 8트랜지스터(P8)의 제 1전극 및 게이트전극은 제 1단자(10)에 접속되고, 제 2전극은 제 4노드(N4)에 접속된다. 즉, 제 8트랜지스터(P8)는 제 4노드(N4)로부터 제 1단자(10)로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다이오드 형태로 접속된다. 이와 같은 제 8트랜지스터(P8)는 제 4노드(N4)가 플로팅 상태로 설정되는 것을 방지하여 구동의 안정성을 확보한다. 또한, 제 8트랜지스터(M8)는 제 4트랜지스터(P4)의 게이트전극에 필요 이상으로 전하가 축적되는 것을 방지한다.
동작과정을 간단히 설명하면, 클럭신호(CLK)가 하이전압으로 설정되는 경우 제 3노드(N3)의 전압은 2VDD-Vth(P5)까지 상승되고, 이에 따라 제 3트랜지스터(P3)는 턴-오프된다. 한편, 제 3노드(N3)의 전압이 2VDD-Vth(P5)까지 상승하는 경우 다이오드 형태로 접속된 제 7트랜지스터(P7)가 턴-온되어 제 3노드(N3)의 전압이 VDD+Vth(P7)의 전압까지 하강할 수 있다. 하지만, 제 3노드(N3)의 전압이 하강하더라도 제 3커패시터(C3)의 전압 상승에 의하여 제3트랜지스터(P3)는 안정적으로 턴-오프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클럭신호(CLK)가 하이전압으로 설정되는 경우 제 4노드(N4)의 전압은 VDD-Vth(P6)의 전압까지 하강된다. 이때, 제 8트랜지스터(P8)는 턴-오프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제 4트랜지스터(P4)는 안정적으로 턴-온 상태를 유지한다.
클럭바신호(CLKB)가 하이전압으로 설정되는 경우 제 4노드(N4)의 전압은 2VDD-Vth(P6)까지 상승되고, 이에 따라 제 4트랜지스터(P4)는 턴-오프된다. 한편, 제 4노드(N4)의 전압이 2VDD-Vth(P6)까지 상승하는 경우 다이오드 형태로 접속된 제 8트랜지스터(P8)가 턴-온되어 제 4노드(N4)의 전압이 VDD+Vth(P8)의 전압까지 하강할 수 있다. 하지만, 제 4노드(N4)의 전압이 하강하더라도 제 4커패시터(C4)의 전압 상승에 의하여 제 4트랜지스터(P4)는 안정적으로 턴-오프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클럭바신호(CLKB)가 하이전압으로 설정되는 경우 제 3노드(N3)의 전압은 VDD-Vth(P5)의 전압까지 하강된다. 이때, 제 7트랜지스터(P7)는 턴-오프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제 3트랜지스터(P3)는 안정적으로 턴-온 상태를 유지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의한 직류-직류 변환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의한 직류-직류 변환기는 부극성의 전압을 출력하기 위하여 제 1단자(10)가 출력단자로 사용되고, 제 2단자(12)가 입력단자로 사용되는 점을 제외하고 실질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의한 직류-직류 변환기와 동일하다.
한편, 제 1단자(10)가 출력단자로 사용되기 때문에 로드 커패시터(Cload)는 제 1단자(10)와 기저전원(GND) 사이에 접속된다. 그리고, 제 2단자(12)로는 입력전압으로 기저전원(GND)의 전압을 공급받는다.
도 7은 도 6의 직류-직류 변환기로 공급되는 클럭신호 및 출력신호를 나타내 는 도면이다.
먼저, 제 1노드(N1) 및 제 2노드(N2)의 전압을 기저전원(GND)으로 가정하고 동작과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 1노드(N1)의 전압이 기저전원(GND)으로 설정되는 경우 제 3노드(N3)의 전압은 -Vth(P5)로 설정된다. 이후, 클럭신호(CLK)가 하이전압에서 로우전압으로 하강하면 제 1커패시터(C1)에 의하여 제 1노드(N1)의 전압이 -VDD의 전압으로 하강한다. 그리고, 제 3노드(N3)의 전압은 -VDD-Vth(P5)의 전압으로 하강한다.
이 경우, 제 3트랜지스터(P3)가 턴-온되어 -VDD의 전압이 제 2단자(10)로 공급된다. 한편, 제 1노드(N1)의 전압이 -VDD로 하강하면 제 2트랜지스터(P2)가 턴-온된다. 제 2트랜지스터(P2)가 턴-온되면 기저전원(GND)의 전압이 제 2노드(N2)로 공급된다. 그리고, 클럭신호(CLK)가 로우전압으로 유지되는 기간 동안 클럭바신호(CLKB)가 하이전압으로 설정되기 때문에 제 4트랜지스터(P4)는 턴-오프 상태를 유지한다.
클럭바신호(CLKB)가 하이전압에서 로우전압으로 하강하면 제 2커패시터(C2)에 의하여 제 2노드(N2)의 전압이 -VDD의 전압으로 하강한다. 그리고, 제 4노드(N4)의 전압은 제 4커패시터(C4)에 의하여 -VDD-Vth(P6)의 전압으로 하강한다.
이 경우, 제 4트랜지스터(P4)가 턴-온되어 -VDD의 전압이 제 2단자(10)로 공급된다. 한편, 제 2노드(N2)의 전압이 -VDD로 하강하면 제 1트랜지스터(P1)가 턴-온된다. 제 1트랜지스터(P1)가 턴-온되면 기저전원(GND)의 전압이 제 1노드(N1)로 공급된다. 그리고, 클럭바신호(CLKB)가 로우전압으로 유지되는 기간 동안 클럭신 호(CLK)가 하이전압으로 설정되기 때문에 제 3트랜지스터(P3)는 턴-오프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는 직류-직류 변환기에 포함되는 트랜지스터들(P1 내지 P8)이 P형인 경우로 가정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의 직류-직류 변환기에 포함되는 트랜지스터들(P1 내지 P8)은 N형으로 형성되어도 동일하게 구동 가능한다.
다시 말하여, 도 5에 도시된 직류-직류 변환기에 포함되는 트랜지스터들(P1 내지 P8)을 도 8과 같이 N형 트랜지스터들(N1 내지 N8)로 변경하여도 동일하게 구동 가능하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직류-직류 변환기에 포함되는 트랜지스터들(P1 내지 P8)을 도 9와 같이 N형 트랜지스터들(N1 내지 N8)로 변경하여도 동일하게 구동 가능하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직류-직류 변환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의한 직류-직류 변환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직류-직류 변환기의 구동파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의한 직류-직류 변환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의한 직류-직류 변환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의한 직류-직류 변환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직류-직류 변환기의 구동파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5에 도시된 트랜지스터들을 N형으로 변경한 직류-직류 변환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6에 도시된 트랜지스터들을 N형으로 변경한 직류-직류 변환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4,10,12 : 단자 6,8,14,16 : 클럭 입력단자

Claims (11)

  1. 제 1단자와 제 2단자 사이에 접속되는 제 1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1단자와 상기 제 2단자 사이에 접속되며 상기 제 1트랜지스터와 교번적으로 턴-온 및 턴-오프되는 제 2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1단자와 제 2단자 사이에 접속되며 상기 제 1트랜지스터와 교번적으로 턴-온 및 턴-오프되는 제 3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2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1단자 사이에 접속되며 상기 제 3트랜지스터와 교번적으로 턴-온 및 턴-오프되는 제 4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3트랜지스터 및 제 1트랜지스터 사이의 제 1노드와 제 1클럭 입력단자 사이에 접속되는 제 1커패시터와;
    상기 제 4트랜지스터 및 제 2트랜지스터 사이의 제 2노드와 제 2클럭 입력단자 사이에 접속되는 제 2커패시터와;
    상기 제 1노드와 상기 제 3트랜지스터의 게이트전극 사이에 접속되며, 상기 제 1노드로부터 상기 제 3트랜지스터의 게이트전극으로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 5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2노드와 상기 제 4트랜지스터의 게이트전극 사이에 접속되며, 상기 제 2노드로부터 상기 제 4트랜지스터의 게이트전극으로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 6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직류 변환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트랜지스터는 상기 제 1노드와 상기 제 2단자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제 2노드에 인가되는 전압에 대응하여 턴-온 및 턴-오프되며;
    상기 제 2트랜지스터는 상기 제 2노드와 상기 제 2단자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제 1노드에 인가되는 전압에 대응하여 턴-온 및 턴-오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직류 변환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3트랜지스터는 상기 제 1단자와 상기 제 1노드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제 5트랜지스터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에 대응하여 턴-온 및 턴-오프되며,
    상기 제 4트랜지스터는 상기 제 1단자와 상기 제 2노드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제 6트랜지스터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에 대응하여 턴-온 및 턴-오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직류 변환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단자는 외부로부터 전원전압을 공급받는 입력단자, 상기 제 2단자는 상기 직류-직류 변환기의 전압을 출력하는 출력단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직류 변환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단자와 기저전원 사이에 접속되는 로드 커패시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직류 변환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단자는 외부로부터 전원전압을 공급받는 입력단자, 상기 제 1단자는 상기 직류-직류 변환기의 전압을 출력하는 출력단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직류 변환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단자와 기저전원 사이에 접속되는 로드 커패시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직류 변환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클럭 입력단자는 클럭신호를 공급받고, 상기 제 2클럭 입력단자는 상기 클럭신호를 반전한 클럭바신호를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직류 변환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6트랜지스터는 동일한 도전형(P형 또는 N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직류 변환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3트랜지스터의 게이트전극과 상기 제 1클럭 입력단자 사이에 접속되는 제 3커패시터와,
    상기 제 4트랜지스터의 게이트전극과 상기 제 2클럭 입력단자 사이에 접속되는 제 4커패시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직류 변환기.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단자와 상기 제 3트랜지스터의 게이트전극 사이에 접속되며, 상기 제 3트랜지스터의 게이트전극으로부터 상기 제 1단자로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 7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1단자와 상기 제 4트랜지스터의 게이트전극 사이에 접속되며, 상기 제 4트랜지스터의 게이트전극으로부터 상기 제 1단자로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 8트랜지스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직류 변환기.
KR1020080029756A 2008-03-31 2008-03-31 직류-직류 변환기 KR1009253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9756A KR100925326B1 (ko) 2008-03-31 2008-03-31 직류-직류 변환기
PCT/KR2009/001623 WO2009145440A1 (ko) 2008-03-31 2009-03-31 직류-직류 변환기
TW098110604A TWI377771B (en) 2008-03-31 2009-03-31 Dc-dc conver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9756A KR100925326B1 (ko) 2008-03-31 2008-03-31 직류-직류 변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4361A true KR20090104361A (ko) 2009-10-06
KR100925326B1 KR100925326B1 (ko) 2009-11-04

Family

ID=41377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9756A KR100925326B1 (ko) 2008-03-31 2008-03-31 직류-직류 변환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925326B1 (ko)
TW (1) TWI377771B (ko)
WO (1) WO2009145440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29992A1 (en) * 2019-08-09 2021-02-18 Intel Corporation Reverse bandgap reference circuit with bulk diode, and switch capacitor temperature sensor with duty-cycle output
US11015985B2 (en) 2018-03-30 2021-05-25 Intel IP Corporation Time-controlled switch capacitor based temperature senso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2371B1 (ko) 1998-12-29 2005-04-20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밴드갭기준전압발생장치
KR100319606B1 (ko) 1999-02-12 2002-01-05 김영환 전압 강압 회로
KR100403360B1 (ko) 2000-08-29 2003-10-30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내부전원전압 발생회로
JP2008022642A (ja) 2006-07-13 2008-01-31 Fujitsu Ltd Dc−dcコンバータ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15985B2 (en) 2018-03-30 2021-05-25 Intel IP Corporation Time-controlled switch capacitor based temperature sensor
US11609127B2 (en) 2018-03-30 2023-03-21 Intel Corporation Time-controlled switch capacitor based temperature sensor
WO2021029992A1 (en) * 2019-08-09 2021-02-18 Intel Corporation Reverse bandgap reference circuit with bulk diode, and switch capacitor temperature sensor with duty-cycle output
US11493968B2 (en) 2019-08-09 2022-11-08 Intel Corporation Reverse bandgap reference circuit with bulk diode, and switch capacitor temperature sensor with duty-cycle outpu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5326B1 (ko) 2009-11-04
TW200945748A (en) 2009-11-01
WO2009145440A1 (ko) 2009-12-03
TWI377771B (en) 2012-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81744B2 (ja) 電源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電気機器
US7514984B2 (en) Charge pumping circuit and direct current converting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1036867B1 (ko) Dc-dc 컨버터
US20020130704A1 (en) Charge pump circuit
CN104218803A (zh) 一种自举电压充电电路和电压转换电路
US20100259238A1 (en) Direct Current Converter
US20080143401A1 (en) Charge pump circuit
US10504434B2 (en) DC-DC converter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20130099846A1 (en) Driving circuit, semiconductor device having driving circuit, and switching regulator and electronic equipment using driving circuit and semiconductor device
US8508287B2 (en) Charge pumps with improved latchup characteristics
US8981836B2 (en) Charge pumps with improved latchup characteristics
JP2015144414A (ja) 発振器および電源装置
US9531259B2 (en) Power supply circuit
CN109994469B (zh) 半导体装置
WO2017086028A1 (ja) 昇降圧電源および電源回路
JP2006203747A (ja) チャージポンプ回路
JP2008253031A (ja) チャージポンプ回路
US7683699B2 (en) Charge pump
KR100925326B1 (ko) 직류-직류 변환기
US20090309650A1 (en) Booster circuit
US8143939B2 (en) Charge pump driving circuit and charge pump system
US20070103225A1 (en) Charge pump circuit
CN114696614A (zh) 自举式开关变换器及其驱动电路
CN107453602B (zh) 电荷泵和存储装置
JP2015154682A (ja) Dc/dcコンバ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