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4276A - 타이어 코팅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타이어 코팅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4276A
KR20090104276A KR1020080029629A KR20080029629A KR20090104276A KR 20090104276 A KR20090104276 A KR 20090104276A KR 1020080029629 A KR1020080029629 A KR 1020080029629A KR 20080029629 A KR20080029629 A KR 20080029629A KR 20090104276 A KR20090104276 A KR 200901042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tire
coating composition
coating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9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34567B1 (ko
Inventor
최덕재
Original Assignee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296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4567B1/ko
Publication of KR200901042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42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45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45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16Antifouling paints; Underwater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41Organic pigments; Organic dy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47Levell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5Additives macromolecula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ires In General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이어 본래의 성능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도 타이어에 외관 심미성을 부여하기 위한 타이어 코팅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 바인더, 계면활성제, 코팅 피막 보강제, 유화분산제, 레벨링제, 조색제 및 탈포제를 사용하므로써, 외관 품질이 하락하지 않고, 타이어 고무의 왁스 및 노화방지제가 고무표면으로 블루밍(blooming)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타이어 오염을 방지하여 타이어 외관품질을 향상시키는 타이어 코팅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타이어 코팅제 조성물{COATING COMPOSITION FOR TIRE}
본 발명은 타이어 본래의 성능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도 타이어에 외관 심미성을 부여하기 위한 타이어 코팅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 바인더, 계면활성제, 코팅 피막 보강제, 유화분산제, 레벨링제, 조색제 및 탈포제를 사용하므로써, 외관 품질이 하락하지 않고, 타이어 고무의 왁스 및 노화방지제가 고무표면으로 블루밍(blooming)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타이어 오염을 방지하여 타이어 외관품질을 향상시킨 타이어 코팅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타이어를 제조한 후 장기간 창고 등에 보관시 타이어의 트레드 및 사이드부에 있어서, 왁스 및 노화방지제가 타이어 고무표면에 얇은 막 형태로 형성되어 외관 품질을 하락시킨다. 이러한 현상은 시간이 오래될수록 심하게 발생하여 외관품질이 하락하게 된다. 또한, 타이어 사이드부가 오존 및 빛에 의하여 산화되어 크랙이 발생하게 된다.
대한민국특허출원 10-2005-0054196에 기재되어 있는 기능성 아민기를 갖는 변성 실리콘을 사용한 타이어 트레드용 코팅제는 시간이 흐름에 따라 색상이 변색 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대한민국특허출원 10-2005-0094527에 기재되어 있는 타이어 사이드월부 코팅용 폴리우레탄 발광 조성물에 있어서, 폴리우레탄 수지에 촉광 및 형광안료를 넣은 조성물을 이용한 코팅제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촉광 및 형광안료의 특성이 하락함에 따라서, 미려함이 하락하고, 외부 오염물에 의하여 급격히 외관 품질이 하락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코팅제는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를 기초로 하는 바인더, 계면활성제, 코팅 피막 보강제, 유화분산제, 레벨링제, 조색제 및 탈포제를 사용함으로써, 타이어의 오염을 방지하여 외관품질을 향상시킨 타이어 코팅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타이어 코팅제 조성물은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 바인더 10~35중량%, 계면활성제 2~5중량%, 코팅 피막 보강제 1~3중량%, 유화분산제 4~8중량%, 레벨링제 3~8중량%, 조색제 5~10중량%, 탈포제 1~3중량% 및 나머지 양의 이온교환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타이어 코팅제 조성물은 도막 안정성, 부착성 및 내후성 등의 물리적 특성이 우수하여, 타이어가 장기 방치시 외관 변색된 제품에 도포시 타이어 본래 색상 유지로 외관품질이 향상되고, 타이어 보관전 사전 코팅제 도포시 왁스 및 노화방지제 등에 의한 블루밍 방지가 가능하며, 내크랙성이 우수하여 타이어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 바인더는 통상 이소시아네이트(isocyanate)와 폴리올(polyol) 및 사슬연장제(chain extender)를 반응시켜 얻어 지는 것으로, 상기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는 파단 신도가 100% 이상이고, 중량평균분자량이 300,000~1,000,000인 지방족 폴리에테르 또는 폴리에스테르를 주쇄로 하는 폴리올로부터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는 10~35중량%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35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고형분 함량이 증가하여 스프레이 작업성이 하락하고, 피막두께가 두꺼워져서 내크랙성면에서 불리하며, 10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각 조성물의 레벨링 및 노화를 억제하는 기능이 하락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계면활성제로는 그 종류에 제한이 없으나, 양이온 계면활성제가 바람직하며, 구체적인 예로는 에토퀴드 C-25를 들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2~5중량%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5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내수성이 하락하여 바람직하지 않고, 2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유화상태가 하락하여 용액의 저장안정성(층분리) 및 피막 유지가 하락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코팅 피막 보강제로는 중량평균분자량이 4,000~15,000인 폴리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1~3중량%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팅 피막 보강제의 사용량이 3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유동성이 하락하여 코팅제 도포시 균일한 피막형성이 어려우며, 1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코팅제 성분간 표면장력 차이를 유발시켜 코팅제 피막의 견고함이 하락하여 들뜸 문제가 발생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화분산제로서는 에멀젼 용액의 균일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중량평균분자량이 약 8,000~20,000정도의 수용성의 폴리옥시에틸렌글리콜을 4~8중량%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사용량이 8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내수성 및 피막 견고성 및 부착성이 하락하여 바람직하지 않고, 4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유화상태가 하락하여 용액의 저장안정성 및 피막 견고성이 하락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레벨링제로는 코팅제 도막의 흐름성과 레벨링의 개선(오렌지필 감소, 크랙 방지, 광택의 개선), 내긁힘성과 내마모성, 발수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중량평균분자량이 약 1,000~15,000인 유기-변성 실록산 화합물 3~8중량%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사용량이 8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코팅제 도포시 도막 불균일로 인하여 크랙 발생 및 부착성 하락으로 인하여 바람직하지 않고, 3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코팅제 용액의 점도 불균일로 저장안정성이 나빠져서 바람직하지 않다.
바람직한 레벨링제의 예로서는 폴리아크릴레이트가 주성분인 TEGO Flow300(대구사(Degussa)사 제품)과 변성 실록산이 주성분인 TEGO Flow ZFS460(대구사(Degussa)사 제품)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조색제는 유기안료 또는 무기안료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아니면 유기안료와 무기안료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조색제의 사용량은 5~10중량%인 것이 바람직한데, 사용량이 1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코팅제 상용성이 하락하여 코팅제 저장중에 침전과 코팅제 도포시 흐름불량을 유발할 수 있으며, 5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코팅제 색상 유지 및 광택유지가 어렵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탈포제로는 폴리에테르 및 폴리아크릴레이트로부터 선택되는 유기 고분자계 탈포제, 폴리디메틸실록산계 탈포제, 알킬-아릴 등으로 변성된 폴리실록산계 탈포제 및 불소화합물로 변성된 실리콘계 폴리머 탈포제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탈포제의 사용량은 1~3중량%인 것이 바람직한데, 3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코팅제 제조시 기포막으로 이동하지 않고 코팅제와 혼합하여 탈포효과가 감소할 수 있으며, 1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코팅제 성분간의 상용성이 하락하여 혼탁(Haze) 혹은 분화구 현상(Caters) 등 코팅제의 도막불량을 일으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비교예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코팅제 조성물의 조성비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고, 제조방법은 아래와 같다.
스팀 자켓이 부착된 혼합교반기에 물을 넣고 유화분산제와 코팅 피막 보강제 및 조색제를 투입하여 혼합하였다. 그리고 60℃의 온도에서 가열하면서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를 넣고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교반하였다. 그 후에 계면활성제 및 레벨링제 그리고 탈포제를 순서대로 투입하고, 80℃의 온도에서 1시간 정도 교반 후 40℃ 이하로 될 때까지 냉각하면서 2시간 교반하였다.
(단위:중량%)
성 분 실시예 1 실시예 2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 바인더 20 23
계면활성제 3.5 3.5
코팅 피막 보강제 2 2
유화분산제 6 6
레벨링제 5 5
조색제 8 8.5
탈포제 2 2
to 100 to 100
하기 표 2에는 상기 표 1의 조성에 따라 제조된 타이어 코팅제 조성물에 대한 화학적 특성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항목 실시예 1 실시예 2 비 고
비중(25℃) 1.03 1.04 ASTM D1188
pH(25℃) 7.67 7.73 ASTM D1067
회분(550*2Hr) 1.00이내 1.00이내 ASTM D2974-2.3
고형분(105*2Hr) 18.30% 21.50% ASTM D2974-2.1
점도(ZahnCup #3) 6.85초 7.12초 ASTM D4212
주) 상기 물리적 특성평가는 ASTM방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타이어 코팅제 조성물은 고형분이 18~22%이고, 점도는 약 7초 이내인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실시예의 타이어 코팅제 조성물들의 물리적 특성을 측정한 결과는 하기 표 3에 기재한 바와 같다. 코팅제를 도포한 시편을 서로 겹치게 한 후, 3kg 추를 올려 눌러서 80℃ 오븐 속에 48시간 방치후 겹쳐진 타이어 시편의 도막의 변화(도막 안정성, 계면분리)를 육안으로 관찰하였으며, 코팅제 도포 시편과 미도포 시편 각각에 10초간 물을 뿌린 후 발수상태를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또한, 상기 시편들을 50℃에서 20일 동안 방치한 후 크랙 발생여부(내크랙성)를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항 목 코팅제 미도포 코팅제 도포
도막안정성 시편 겹침 발생 시편 겹침 및 피막 벗겨짐 없음
발수성 표면이 젖음 발수성 우수
계면분리 분리 없음 분리 없음
내크랙성 미세 크랙 발생 크랙 미발생
또한, 타이어 사이드 고무를 가류한 후 코팅제를 도포하여 오존 챔버 시편 고무장치에 9.5cm 간격으로 클램프를 물린 후, 약 6% 정도 신장시켜 10cm 길이로 시편을 고정시킨 후, 오존 챔버에서 2일 간격으로 10일간 노출시켜 변화양상(내후성)을 색도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표 4에 코팅제를 도포한 시편과 미도포한 시편에 대한 내후성 시험의 결과를 나타내었다.
<코팅제 도포 시편>
0일(Blank) 2일 경과 4일 경과 6일 경과 8일 경과 10일 경과 비 고
L* 11.91 9.44 9.85 9.72 9.57 9.70 명도
a* -0.05 -0.06 -0.04 0.04 0.05 0.07 -
b* -0.56 0.34 0.52 0.58 0.71 0.56 -
C* 0.56 0.34 0.52 0.61 0.71 0.57 채도
264.55 99.73 94.00 90.71 86.01 83.26 색상
<코팅제 미도포 시편>
0일(Blank) 2일 경과 4일 경과 6일 경과 8일 경과 10일 경과 비 고
L* 12.51 12.84 12.86 13.14 13.53 14.19 명도
a* -0.06 -0.06 -0.05 -0.02 0.02 0.05 -
b* -0.59 -0.52 -0.58 0.42 0.59 0.63 -
C* 0.54 0.52 0.58 0.42 0.59 0.64 채도
258.42 91.25 79.58 74.14 69.54 69.98 색상
주) 색차계는 L*a*b*와 같은 색좌표라고 하는 단위로 값을 표시
L*:명도를 나타내고, 0~100으로 표시되며, 숫자가 클수록 명도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a*b*:일반적으로 xy좌표계와 같은 평면좌표계
가로축이 a 값, 세로축이 b 값.
+a 쪽은 red, -a 쪽은 green,
+b 쪽은 yellow, -b 쪽은 blue.
상기 평가 결과에서처럼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코팅제 조성물을 사용하면 도막 안정성, 내후성, 발수성 및 부착성 등의 물리적 특성이 우수하여 타이어 외관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코팅제를 도포한 시편상에서 시간이 경과할수록 색상차이가 적어서 외관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7)

  1.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 바인더 10~35중량%, 계면활성제 2~5중량%, 코팅 피막 보강제 1~3중량%, 유화분산제 4~8중량%, 레벨링제 3~8중량%, 조색제 5~10중량% 및 탈포제 1~3중량% 및 나머지 양의 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코팅제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양이온 계면활성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코팅제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 피막 보강제는 중량평균분자량이 4,000~15,000인 폴리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코팅제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분산제는 중량평균분자량이 8,000~20,000인 수용성 폴리옥시에틸렌글리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코팅제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링제는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15,000인 유기-변성 실록산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코팅제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색제는 유기안료, 무기안료, 및 유기안료와 무기안 료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하여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코팅제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탈포제는 폴리에테르 및 폴리아크릴레이트로부터 선택되는 유기 고분자계 탈포제, 폴리디메틸실록산계 탈포제, 알킬-아릴로 변성된 폴리실록산계 탈포제 및 불소화합물로 변성된 실리콘계 폴리머 탈포제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코팅제 조성물.
KR1020080029629A 2008-03-31 2008-03-31 타이어 코팅제 조성물 KR1009345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9629A KR100934567B1 (ko) 2008-03-31 2008-03-31 타이어 코팅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9629A KR100934567B1 (ko) 2008-03-31 2008-03-31 타이어 코팅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4276A true KR20090104276A (ko) 2009-10-06
KR100934567B1 KR100934567B1 (ko) 2009-12-30

Family

ID=41534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9629A KR100934567B1 (ko) 2008-03-31 2008-03-31 타이어 코팅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456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7121B1 (ko) * 2010-05-24 2012-06-22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성 타이어 코팅제 조성물
KR102636963B1 (ko) * 2023-07-03 2024-02-15 주식회사 제이두홀딩스 타이어용 코팅제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0847B1 (ko) 2017-02-23 2018-12-20 주식회사 에스티원 자기복원 타이어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기복원 타이어 제조 공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18984A1 (fr) * 2000-12-29 2002-07-05 Michelin Soc Tech Pneumatique ayant une composition coloree metallisee de surface
KR100583293B1 (ko) * 2004-03-23 2006-05-24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사이드월부 코팅용 폴리우레탄 발광 조성물
KR20060115785A (ko) * 2005-05-06 2006-11-10 이만수 타이어 보호막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7121B1 (ko) * 2010-05-24 2012-06-22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성 타이어 코팅제 조성물
KR102636963B1 (ko) * 2023-07-03 2024-02-15 주식회사 제이두홀딩스 타이어용 코팅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4567B1 (ko) 2009-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4064B1 (ko) 비오염도료조성물
US7399350B2 (en) Fluorine-free disiloxane surfactant compositions for use in coatings and printing ink compositions
US20080090963A1 (en) Fluorine-free trisiloxane surfactant compositions for use in coatings and printing ink compositions
US9006307B2 (en) Direct to-metal and exterior durable non-skid coating
CN112724813B (zh) 一种皮革覆膜材料及其制备方法
CN102939342A (zh) 具有改进的润湿性能的适合用作防涂鸦涂料的配制品
JP5164436B2 (ja) 耐汚染性付与組成物及び塗料組成物
KR100934567B1 (ko) 타이어 코팅제 조성물
KR20220134540A (ko) 유기 바인더 기반 소수성 코팅 조성물
JP2008106163A (ja) 水性被覆組成物
KR20120077978A (ko) 수성 하이글로시 블랙 베이스코트 도료 조성물 및 수성 하이글로시 투명 탑코트 도료 조성물
JP2004250560A (ja) 水系塗料組成物
JP2003055611A (ja) 低汚染型水性塗料組成物
KR20210013944A (ko) 수용성 도료 조성물
KR20080093786A (ko) 자동차 철제 부품용 고내식성 방청 도료 조성물
JP2012076946A (ja) 硬化性組成物
KR20010060091A (ko) 무용제형 에폭시 중후막형 바닥재 피막조성물
JPH10219190A (ja) 多液型水性塗料組成物
WO2022048487A1 (en) A coating composition, an article made thereof and a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KR20080093787A (ko) 자동차 철제 부품용 고내식성 방청 도료 조성물
JP2001181556A (ja) 水性塗料組成物
KR101775765B1 (ko) 도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48575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오염 부식방지 및 중성화 방지용 도료 조성물
KR102279460B1 (ko) 불소수지 성분을 이용한 콘트리트 구조물 및 강재 구조물의 코팅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표면 도장 공법
JP3853554B2 (ja) 水性塗料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