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3592A - 빌딩 교량 - Google Patents

빌딩 교량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3592A
KR20090103592A KR1020080029300A KR20080029300A KR20090103592A KR 20090103592 A KR20090103592 A KR 20090103592A KR 1020080029300 A KR1020080029300 A KR 1020080029300A KR 20080029300 A KR20080029300 A KR 20080029300A KR 20090103592 A KR20090103592 A KR 200901035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bridge
road
top plate
bridg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9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만엽
백승덕
진경석
강상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앤시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앤시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앤시티
Priority to KR10200800293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03592A/ko
Publication of KR200901035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3592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1/00Suspension or cable-stayed bridges
    • E01D11/04Cable-stayed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4Towers; Anchors ; Connection of cables to bridge parts; Saddle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에 상징성을 부여하는 동시에 사람을 끌어모으는 기능을 극대화하여, 단순히 구경을 하는 것이 아니라, 교량에서의 주거 및 다양한 활동이 가능하도록 빌딩과 교량이 결합된 형태의 구조물인 빌딩 교량에 관한 것이다.
그 구조는 해상이나 강의 하부 바닥에 수직으로 매설되는 교각과, 그 교각의 상측에 배치되고 차량의 통행이 가능한 도로를 갖는 상판과, 상판의 상측에 수직으로 일체화되도록 연결되어 상판의 상측으로 건설되는 빌딩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강이나 해상에 설치되는 교량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사장교와 현수교의 상판 위에 주거가 가능한 고층빌딩을 건축한 것이며, 사람 및 차량의 접근이 보다 용이하도록 적절한 진출입 설비와 주차 설비를 갖춘 빌딩 교량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빌딩 교량{Building Bridge}
본 발명은 빌딩 교량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강폭이 크고 유수량이 많은 큰 강이나 해상에 설치되는 교량의 상측에 50층 이상의 고층 빌딩을 건설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차량 접근성이 용이하고 주차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빌딩 교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시 시대에 깊은 계곡에 걸려있는 줄다리와 같은 현수교를 제외하고, 차량의 통행이 가능한 형태의 교량 중 가장 장경간이 가능한 교량으로서 현수교가 지난 150년 전부터 건설되기 시작하였으며, 현수교의 최대 단점인 바람하중에 대한 약한 저항력을 개선한 사장교의 건설은 그 역사가 아직 채 100년도 되지 않았다.
산업의 발달에 따라 장대교량의 필요성이 증대하여, 최근에는 현수교와 사장교 같은 대형 교량의 건설이 증가되고 있는데, 이에 따라 이들 교량을 활용하기 위한 여러 가지 시도들이 보이기 시작하였다.
즉 이들 교량의 주탑 상단이나, 상판 아래의 주탑에 전망대나 라운지를 만드는 교량이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1972년 준공된 체코 브라티스라바의 다뉴브 브릿지의 경우는 85.5m 높이의 주탑 위에 전망대가 설치되어 있으며, 1989년 준공된 일본의 요코하마 베이브릿지의 경우는 교량의 상판 아래 주탑에 전망대가 설치되어 있다. 다뉴브 브릿지의 경우는 교량의 끝에서 도보로 접근하여, 엘리베이터로 전망대에 올라갈 수 있으며, 요코하마 베이브릿지의 경우는 육지로부터 전망대까지의 접근 통로를 상판 아래에 설치하여 사람들이 교량의 끝에서 계단과 보도를 이용하여 접근하도록 되어 있다.
이렇게 현재까지 교량위에 건설된 건축물들은 대부분 교량의 크기가 작아, 강가로 부터의 접근이 용이한 경우가 대부분으로서, 교량위의 건축물로의 접근은 도보를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현재 대형 교량으로 널리 건설되는 현수교나 사장교의 경우에는 교량의 길이가 매우 길기 때문에 교량의 끝에서 도보로 교량의 중간부까지 접근하는 것은 매우 불편한 실정이며, 교량 중간에 대형 건축물을 건설하고자 할 때는 진출입 교통의 처리가 가장 어려운 일 중 하나이다. 따라서 교량 위에 건축물을 건설함으로써 교량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교량의 주탑 주변이나 교량 중간부에 차량이 주차할 수 있는 주차 설비 및 이 주차 설비로의 접근을 용이하게 하는 진출입 설비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현재 건설되는 대부분의 현수교나 사장교도 주탑 내부에 점검용 계단이나 엘리베이터를 갖추고 있는 경우가 많으며, 오늘날과 건설되는 대형 교량에 단순한 전망대를 제외하면, 대형 주거시설 및 상업시설이나 주차설비와 같은 건축물이 복합적으로 만들어진 예는 없는 실정이다.
교량의 건설에는 대규모의 국가 자본이 투자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대부분의 경우 국가예산의 한도로 인하여 교량의 신설에 많은 제약을 받고 있다. 또한 대형 건축물을 시내에 건설할 경우 주변 지역에서 민원이 발생하는 문제와 건축비에서 땅값이 차지하는 비중이 커서 공사비의 비중이 크다는 등의 문제가 있어서 건설이 실행되는데에 오랜 시간이 걸리거나 아예 실현이 안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한다.
또한, 종래 해외에 적용된 건물 다리는 강폭이 좁은 강, 즉 유수의 흐름이 적은 강에 세워진 다리위에 주택이나 건물을 올리는 개념이므로, 강폭이 넓고 유수량이 많은 큰 강에 세워진 다리에는 하중을 견딜 수 없기 때문에 적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기존의 건물 다리는 단순히 주거지역과 교량의 합성 개념으로만 가질 뿐, 차량 접근성이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고층 건물에는 큰 하중이 작용하게 되므로 하중의 부담으로 인해 적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차량과 사람의 통행만이 주된 기능인 교량에 사람의 주거가 가능하도록 빌딩과 교량이 결합된 형태의 구조물을 만드는 방법과 구성요소들을 제시함으로써, 현대사회의 여러 가지 기능을 갖추고 있으면서도, 사람들의 접근이 보다 용이하도록 하여, 이 빌딩교량이 건설된 도시나 지역의 상징물이 되는 동시에 관광 자원이 될 수 있도록 하는 경제성이 있는 빌딩교량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유수 흐름에 대해 평행한 방향으로 유선형 구조를 갖는 복수개의 교각과,
상기 교각의 상측에 안착 지지되며 차량의 통행이 가능한 도로를 갖는 상판과,
상기 상판의 상측에 배치되는 빌딩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의 교각들중 중앙에 배치된 교각과 양외측에 배치된 교각들의 폭이 서로 다른 것이다.
또, 상기 교각은 내부에 차량의 기계식 주차설비가 배치되도록 중공을 갖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상판의 상측에 수직으로 주탑이 배치되고, 상기 주탑과 상기 빌딩이 상호 연결되어 일체화된 것이다.
본 발명은 주탑이 생략된 상태로 상판과 빌딩의 하부가 일체로 연결된 구조로 가질 수 있다.
상기 주탑과 상판 사이에 다수의 케이블이 연결된다.
상기 빌딩은 하부가 상기 상판의 도로와 이격되도록 터널 형태를 가지며,
상기 빌딩의 외벽과 상기 상판 사이에 다수의 케이블이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판의 도로와 상기 빌딩 사이에 차량 접근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이다.
상기 차량 접근수단은 상기 상판의 도로와 상기 빌딩의 하부를 연결하는 상,하부 데크부로 구성하되,
상기 상,하부 데크부는 상기 도로에 대해 높이차를 갖도록 각각 상,하 경사지게 배치된 것이다.
상기 차량 접근수단은 상기 도로와 상기 빌딩의 하부 사이에 별도의 우회 연결로를 연결한 것이다.
상기 상판은 상부에 도로가 배치되고 하부에 보도가 배치되도록 상,하부 데크의 이중구조로 구성되어 보행자의 접근이 가능하도록 된 것이다.
상기 교각의 하부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강상에 배치되는 연결구조물을 더 구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적인 요소는, 내부에 중공을 갖는 원통형의 교각과,
상기 교각의 상측에 안착 지지되며 차량의 통행이 가능한 도로를 갖는 상판과,
상기 상판의 상측에 배치되는 빌딩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고층 건물을 교량위에 건설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 접근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주차 및 다양한 부대 시설의 사용이 가능한 빌딩 교량에 관한 것인 바,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은 교량의 건설과 더불어 건물을 신축하는 빌딩교량을 건설 할 경우에는 민원이 발생할 소지가 적으며, 전체 건설비도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현수교나 사장교와 같이 주탑을 갖고 있는 교량의 주탑에 주거용이나 상업용 건축물을 합성하여 건설하던가, 주탑을 생략한 상태로 상판에 직접 빌딩을 건설하여 하중을 견딜 수 있는 보강된 기둥을 갖는 건축물을 건설하는 방법으로 건물이 합성된 교량을 건설하는 것은 여러 가지 잇점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폭이 넓은 강이나 해상에서 차량 및 보행자의 접근성이 우수하므로, 실제 차량의 소통 및 거주자의 출입이 가능한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빌딩 교량의 제1 실시예를 보인 정면도.
도 2는 도1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 요부인 빌딩 연결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도 3의 평면도.
도 5는 도 3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차량 접근수단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도 7은 도 6의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교량 빌딩이 현수교 방식에 채택될 때의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빌딩 교량의 제 2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도 10은 도 9의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 제 2실시예의 빌딩과 교각의 연결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도 12는 본 발명 제 2실시예에서 빌딩과 상판의 결합구조를 차량의 진행방향에서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가 사장교 타입에 적용될 때의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14a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연결구조물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14b는 본 발명의 연결구조물과 교각의 연결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로서, 교각에 복수개의 상판이 안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6은 본 발명 교각들의 연결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빌딩 교량의 제 4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도 18은 본 발명 제 4실시예의 교각 형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19는 본 발명 제 4실시예의 다른 교각 형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20은 본 발명 제 4실시예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교각 20 : 상판
22 : 도로 30 : 주탑
40 : 케이블 100 : 빌딩
110 : 평면데크 210,220 : 상,하부 데크부
230 : 우회 연결로 400 : 연결구조물
상기와 같은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교량의 주탑과 빌딩을 결합하여 건설하거나, 주탑이 생략된 상태로 상판에 빌딩을 연결하는 방법과 차량이 진출입하기 위한 진출입로 및 주차설비를 갖추는 구성 및 기타 추가 시설로 구성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빌딩 교량의 제 1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강의 하부 바닥에 수직으로 매설되고 유수 흐름에 평행방향으로 유선형 구조를 갖는 교각(10)과, 그 교각(10)의 상측에 배치되고 차량의 통행이 가능한 도로(22)를 갖는 상판(20)과, 상판(20)의 상측에 수직으로 주탑(30)이 배치되고, 주탑(30)에 일체화되어 상판(20)의 상측으로 건설되는 빌딩(100)으로 구성된다.
교각(10)은 강의 유수 흐름과 평행한 방향으로 타원 형태의 유선형 구조를 가지며, 내부에 기계식 주차 설비가 배치되도록 중공(12)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또한, 교각(10)은 강의 유수 흐름에 평행한 방향인 세로 폭방향의 길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중앙에 배치된 교각(10)들이 양외측에 배치된 교각(10)보다 길이가 길게 형성된 것이다.
이는, 빌딩(100)의 하중이 많이 받는 교각(10)의 단면적을 그렇지 않은 교각(10)의 단면적보다 넓은 단면적을 갖도록 함으로써, 하중에 대해 충분한 내구성을 갖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교각(10)들은 내부에 차량의 주차 및 소통이 가능하도록 서로 연결되는 연결통로가 구비된다.
그 연결통로는 교각(10)들의 상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평상시 강의 유수흐름에 저항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현수교와 사장교의 주탑(30)의 상부 또는 하부에 타워식 주차 설비를 한다. 건축물에는 주차설비를 하는 것이 가장 필수적인 사항이 되고 있으므로, 빌딩(100)교량에 필수적인 주차설비는 교각(1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적절히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교각(10) 하부의 경우는 대개 물이 흐르거나 물과 접하고 있다고 보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교각(10)부분에 주차설비가 설치될 경우에는 이에 대비한 적절한 방수 및 홍수 대책이 필수이다.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방안은 기존 교각(10)을 크게 확대하고 내부를 비워두는 중공(12)의 형태를 가짐으로서 상부에서 오는 압축력을 견딜 수 있도록 충분한 단면적 및 단면형태를 확보하고, 비워진 교각(10)의 중공(12) 내부에 기계식 주차설비를 함으로써 대량의 주차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교량은 기존의 현수교나 사장교 방식을 채택하여 주탑(30)과 상판(20) 사이에 다수의 케이블(40)이 연결된다.
한편 빌딩(100)내로 차량의 접근이 용이하도록 교량의 도로(22)와 빌딩(100)의 하부를 상,하부 데크부(210)(220)로 연결하는 방식을 채택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상,하부 데크부(210)(220)가 도로(22)와 상,하 높낮이를 갖도록 경사지게 상,하로 각각 배치된다.
이 상,하부 데크부(210)(220)에는 주차장으로 사용할 수도 있으며, 상,하부 데크부(210)(220)와 도로면을 연결하는 진출입 램프를 설치하거나 데크간에 이동이 가능하도록 차량 이송용 엘리베이터를 설치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은 빌딩(100)의 하부와 연결되고 주탑(30) 주변에 인접한 상판(20)의 폭방향으로 추가적인 평면데크(110)가 형성된 것으로, 이 경우에는 빌딩(100)의 차량 진입공간 및 교량의 진행 교통이 진출입할 수 있는 진출입 설비와 진출입 차량을 수용할 수 있는 설비로 활용될 수 있다. 추가적인 평면데크(110)를 만들고 별도의 진출입 설비가 필요한 이유는 교량을 지나가는 본선 주행 차량의 소통에 지장을 주지 않아야 되기 때문이다.
주탑(30) 주변에 이렇게 별도의 평면데크(110)를 갖게 되면 사장교의 경우 특히 가장 큰 압축력이 작용하는 주탑(30) 주면의 단면적을 크게 키우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교량 역학적 측면에서도 크게 유리하다.
이들 진출입이 필요한 부분의 교량 상판(20)을 개조하여 그 상판(20)의 도로(22) 폭을 넓힌 우회 연결로(230)를 형성하여 빌딩(100)의 하부에 연결한 구조를 가지며, 이 경우에는 차량 접근성이 용이하다.
또한 이렇게 건물에 접근하기 위한 우회 구간과 본 교량의 주행구간과는 서로 높이 차이가 있으므로, 주탑(30) 주변에는 이들 간에 서로 차량의 소통이 가능하도록 적절한 진출입 램프(미도시)가 설치되어야 한다.
그리고, 차량 뿐만 아니라, 사람의 접근이 가능하도록 상판(20) 구조를 상부에 도로(22)가 배치되고 하부에 보도가 배치되도록 상,하부 데크(21)(23)의 이중 구조로 구성하여 사람의 접근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하부 데크(23)를 보도로 활용하여 무빙워크나 모노레일등과 연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교량의 주탑(30)을 이용하여 주탑(30) 주변에 호텔이나 사무실, 상가, 아파트와 같은 시설을 수용할 수 있는 빌딩(100)이 배치된다.
이러한 시설물들은 주탑(30)의 주변을 둘러싸는 형태로 만들어 주탑(30)과 연결시킴으로서 바람에 의한 진동을 줄일 수도 있고, 주탑(30)을 대체하는 큰 하중을 견딜 수 있는 교각(10)을 다수 건설하는 구조로 다리와 빌딩(100)을 완전히 하나의 구조체로 건설할 수도 있다.
이렇게 교량의 주탑(30)과 일체가 되는 빌딩(100)을 만들게 되면, 주탑(30)의 강성을 이용하여 빌딩(100)의 진동을 줄일 수 있으며, 반대로 빌딩(100)의 강성이 교량의 진동을 줄이는 일석이조의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고층 빌딩(100)이 되면 빌딩(100)의 높이가 주탑(30)의 높이보다 3-4배 이상되므로, 주탑(30)보다 높은 위치의 건물은 일반 건축물과 같은 역학적 거동을 가지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빌딩 교량의 제 2실시예는, 도 9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서 설명한 선 실시예와는 달리 주탑(30)이 생략된 형태로 빌딩(100)과 교각(10)이 일체화된 구조를 갖는 것이다.
그 구조는 빌딩(100)의 하부에 교각(10)이 일체로 배치되며, 빌딩(100)과 일체화된 교각(10)의 하부가 강 저면의 하부 암반층에 매설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이, 주탑(30)이 생략된 상태로 상판(20)에 빌딩(100)을 연결할 경우에는 도로(22)의 차량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빌딩(100) 하부가 도로(22)의 상부와 이격된 터널 형태를 갖는다.
그 터널의 중간에는 빌딩(100)의 하부가 상판(20)과 일체화되는 기둥(120)이 형성된다.
또, 주탑(30)이 생략되어 있으므로, 빌딩(100)의 외벽과 상판(20) 사이에 다수의 케이블(40)이 연결된다.
이때, 사장교 방식일 경우에는 케이블(40)의 일단부가 빌딩(100)의 외벽에 형성된 고정블럭(105)에 앵커(45)를 매개로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판(20)에 앵커(45)를 매개로 고정되는 구조를 갖는다.
한편, 현수교일 경우에는 케이블(40)이 빌딩(100)을 통과하는 별도의 층을 두거나, 빌딩(100)의 외벽 둘레에 돌출된 브라켓(미도시)을 매개로 지지하는 방식을 채택할 수도 있다.
교량에는 레스토랑이나 커피숍과 같은 단순한 접객시설이외에도, 다양한 수중 또는 수장 놀이시설을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것은 교각(10) 하부에 연결부(410)를 매개로 일체로 연장되는 연결구조물(400)을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 연결구조물(400)에는 상측에 공간이 형성되고, 하측 내부에 별도의 공간을 형성하여 수중에 수족관을 만들 수도 있다.
또 연결구조물(400)은 교량에서 적절한 거리를 두고 별도의 인공 또는 자연의 섬을 만들어 교량을 조망하며 놀이를 즐길 수 있는 전망대나 공원등의 부대시설을 조성할 수 있다.
그리고, 연결구조물(400)에는 배의 접안시설을 만들어서 빌딩교량으로의 또 다른 접근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본격적인 수상 놀이 시설을 만들고자 할 경우에는 교량 상부의 상판(20)이나 교각(10)의 상부 등의 장소에 다양한 놀이기구를 설치할 수도 있다.
한편, 연결구조물(400)에 교각(10)의 하부에 연결부(410)를 매개로 일체화된 경우에는, 도 14b에서와 같이, 연결구조물(400)로부터 빌딩(100)까지 접근이 가능하도록 교각(10)의 하부에 빌딩(100)측으로 연결되는 출입문(16)이 배치된다.
그 출입문(16)은 우기에는 교각(10)의 중간 부위까지 범람할 우려가 있으므로, 하부에 위치한 출입문(16)을 닫았을 때 방수 기능을 갖는 해치문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출입문을 통해 교각(10) 내부로 진입한 후에는 엘리베이터(18)나 별도의 계단을 통해 빌딩(100)의 내부로 진입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부(410)는 교각(10)의 하부에 일체로 연결되거나, 교각(10)과 교각(10) 사이의 공간에 일체로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교각(10)의 하부는 강 저면의 암반층에 고정되는 방식을 채택하며, 해저 터널이나 지하철등의 지하 구조물(300)과 연결되는 연계통로(310)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실시예는, 도 15에서와 같이, 교각(10)들의 상부에 하나의 상판(20) 구조가 안착되는 것이 아니라 복수의 상판(20) 구조가 안착되어 지지되며, 양측 상판(20) 구조 사이에 빌딩(100)이 배치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4실시예는 도 17 및 도 18에서와 같이, 앞서 설명한 선 실시예들과 달리 교각(10)이 복수개가 아니라, 하나의 원통형태로 구성되어 상판(20) 및 빌딩(100)이 일체화되는 구조로 된 것이다.
이는, 파고가 높고 유수 흐름이 일정하지 않은 해상에 교량이 건설될 때 적용되는 것이다.
이때, 교각(10)의 내부구조는 중앙에 통공(15)이 형성되고, 통공(15)을 중심으로 복수개의 빈 공간을 갖는 중공(12)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통공(15)에는 엘리베이터나 기계식 주차 설비의 기계요소가 배치될 수 있으며, 중공(12)에는 차량의 주차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4실시예의 다른 예로는 도 19및 도 20에서와 같이, 교각(10)의 평면 형태가 원통형 구조가 아니라 타원형 구조로 형성되며, 교각(10)의 내부에 통공(15)과 중공(12)이 형성된 구조는 앞서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Claims (12)

  1. 유수 흐름에 대해 평행한 방향으로 유선형 구조를 갖는 복수개의 교각(10)과,
    상기 교각(10)의 상측에 안착 지지되며 차량의 통행이 가능한 도로(22)를 갖는 상판(20)과,
    상기 상판(20)의 상측에 배치되는 빌딩(10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 교량.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교각(10)들중 중앙에 배치된 교각(10)과 양외측에 배치된 교각(10)들의 세로 폭 방향 길이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 교량.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교각(10)은 내부에 차량의 기계식 주차설비가 배치되도록 중공(12)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 교량.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판(20)의 상측에 수직으로 주탑(30)이 배치되고,
    상기 주탑(30)과 상기 빌딩(100)이 상호 연결되어 일체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 교량.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탑(30)과 상판(20) 사이에 다수의 케이블(40)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 교량.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빌딩(100)은 하부가 상기 상판(20)의 도로(22)와 이격되도록 터널 형태를 가지며,
    상기 빌딩(100)의 외벽과 상기 상판(20) 사이에 다수의 케이블(40)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 교량.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교각(10)의 하부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강상에 배치되는 연결구조물(400)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 교량.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20)의 도로(22)와 상기 빌딩(100) 사이에 차량 접근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 교량.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접근수단은 상기 상판(20)의 도로(22)와 상기 빌딩(100)의 하부를 연결하는 상,하부 데크부(210)(220)로 구성하되,
    상기 상,하부 데크부(210)(220)는 상기 도로(22)에 대해 높이차를 갖도록 각각 상,하 경사지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 교량.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접근수단은 상기 도로(22)와 상기 빌딩(100)의 하부 사이에 별도의 우회 연결로(230)를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 교량.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상판(20)은 상부에 도로(22)가 배치되고 하부에 보도가 배치되도록 상,하부 데크(21)(23)의 이중 구조로 구성되어 보행자의 접근이 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 교량.
  12. 내부에 중공(12)을 갖는 원통형의 교각(10)과,
    상기 교각(10)의 상측에 안착 지지되며 차량의 통행이 가능한 도로(22)를 갖는 상판(20)과,
    상기 상판(20)의 상측에 배치되는 빌딩(10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 교량.
KR1020080029300A 2008-03-28 2008-03-28 빌딩 교량 KR200901035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9300A KR20090103592A (ko) 2008-03-28 2008-03-28 빌딩 교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9300A KR20090103592A (ko) 2008-03-28 2008-03-28 빌딩 교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3592A true KR20090103592A (ko) 2009-10-01

Family

ID=41533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9300A KR20090103592A (ko) 2008-03-28 2008-03-28 빌딩 교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0359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90725A (zh) * 2011-12-05 2012-06-13 魏少康 无墩式轻型空中高速轨道运输系统
CN103375044A (zh) * 2012-04-17 2013-10-30 魏元龙 一种高层楼房与悬索斜拉桥综合建设城市空中公路的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90725A (zh) * 2011-12-05 2012-06-13 魏少康 无墩式轻型空中高速轨道运输系统
CN103375044A (zh) * 2012-04-17 2013-10-30 魏元龙 一种高层楼房与悬索斜拉桥综合建设城市空中公路的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16365A (ko) 케이블로 지지되는 장대 교량의 주탑과 건물의 복합 구조물
KR20090103592A (ko) 빌딩 교량
KR102297365B1 (ko) 유희시설을 구비한 사장교의 시공방법
KR101677190B1 (ko) 빌딩교량 복합구조물
CN103696352B (zh) 一种人车分离双通道生态休闲商业廊桥
CN113202140B (zh) 一种固定悬浮式水下观光隧道与水上观景平台
RU77876U1 (ru) Функциональный участок транспортной линии метрополитена, метромост с эстакадой (варианты)
Tang et al. San Francisco-Oakland bay bridge design concepts and alternatives
JP3185977U (ja) 自走式立体駐車場
EP0863279A2 (en) Enclosed car park immersed in water, particularly in water stretches close to the shore of lakes and seas in general
CN101768981A (zh) 水中隧桥
Siwowski et al. The circular footbridge of Rzeszów, Poland
CN101469572A (zh) 城市与小区规划
KR102313992B1 (ko) 유희시설이 설치된 사장교의 출입구조물
KR102321121B1 (ko) 유희시설이 설치된 사장교의 주탑 구조물
CN216074709U (zh) 一种空间双螺旋钢结构桥梁
RU2514075C1 (ru) Здание-мост
KR20130000636A (ko) 빌딩 통합형 교량
KR102257655B1 (ko) 체험시설이 일체형으로 마련되는 거더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WO2007098757A1 (en) Road and/or railway bridge
KR20000006907U (ko) 복층구조로 되는 고속도로
No NOTICE FOR CA
CN114960754A (zh) 一种下沉式桥下走廊结构
Carbassé Mumbrú Submerged Floating Tunnels: A review and study of their use for strait crossings
CN203613447U (zh) 人车分离双通道生态休闲商业廊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