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3534A - 시각장애인용 영상인식장치 - Google Patents

시각장애인용 영상인식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3534A
KR20090103534A KR1020080029200A KR20080029200A KR20090103534A KR 20090103534 A KR20090103534 A KR 20090103534A KR 1020080029200 A KR1020080029200 A KR 1020080029200A KR 20080029200 A KR20080029200 A KR 20080029200A KR 20090103534 A KR20090103534 A KR 200901035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igital signal
electrical stimulation
color
visually impai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9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61319B1 (ko
Inventor
김도엽
Original Assignee
김도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도엽 filed Critical 김도엽
Priority to KR10200800292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1319B1/ko
Publication of KR200901035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35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13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13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8Devices or methods enabling eye-patients to replace direct visual perception by another kind of percep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84Garment electrodes worn by the patien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Image Analysi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각장애인용 영상인식장치에 관한 것으로, 컬러 카메라와 같은 영상촬영장치로부터 실시간으로 촬영한 영상을 전기자극전달장치를 통해 영상에 맞게 다양한 전기자극을 사용자 피부에 전달하여, 사용자가 시각이 아닌 전기자극을 통하여 영상의 색 또는 물체의 윤곽선을 인식할 수 있게 하는 시각장애인용 영상인식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인 시각장애인용 영상인식장치는 외부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촬영장치(100)와, 상기 영상촬영장치(100)의 촬영된 영상(110)을 디지털신호 처리하여 전기자극출력신호로 변환시키는 마이크로컨트롤러(200)와, 상기 전기자극출력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전기자극전달장치(30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200)는, 상기 영상(110)을 축소하는 영상축소부(210)와, 상기 영상축소부(210)의 축소된 영상(212)을 디지털신호처리하는 디지털신호처리부(220)와, 상기 디지털신호처리부(220)의 디지털신호를 전기자극출력신호로 변환하는 신호제어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기자극전달장치(300)는, 상기 전기자극출력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전기자극을 외부로 전달하는 전도체(310)가 외부로 형성되고, 상기 전도체(310)와 인접하여 위치하고, 외부로 형성되는 부도체(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기자극은 상기 전기자극출력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전력 값을 갖고, 상기 전기자극의 주파수는 상기 전기자극출력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주파수 값을 갖는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인 시각장애인용 영상인식장치 사용자의 피부에 전기자극을 전달하여 시각장애인이 물체를 손대지 않고도 사물을 인지할 수 있는 능력을 부여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외부의 상황과 사용자의 인지까지 시간적 지연이 발생하지 않으며, 디지털 회로를 통하여 구조가 단순화되어 소형화가 가능하고 가동시간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시각장애인용 영상인식장치{VISION RECOGNITION APPARATUS FOR THE BLIND}
본 발명은 시각장애인용 영상인식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영상촬영장치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촬영된 영상을 마이크로컨트롤러를 통해 색상(hue) 또는 명도(bightness)에 의해 구분된 색(color)을 디지털신호처리하거나, 영상내 물체의 윤곽선을 추출하여 디지털신호처리한 후, 상기 디지털신호를 다양한 전기자극의 발생을 제어하는 전기자극출력신호로 변환하여, 전기자극전달장치를 통해 사용자가 시각 또는 촉각이 아닌 피부의 전기자극을 통해 영상의 색 또는 물체의 윤곽선을 인식할 수 있게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종래 기술을 살펴보면, 일반적으로 시각장애인이 물체를 탐지하기 위하여 시각장애인용 지팡이가 사용되고 있으나, 1m 이상 떨어져 있는 물체에 대하여는 감지하기가 어렵고 근접한 물체라도 접촉에 의하여서만 감지가 가능한 실정이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장애물을 감지하는 장치가 국내에서도 활발히 개발되어 오고 있으나 현재 개발되어 있는 감지장치는 보행시 전방에 있는 장애물의 존재 유무만을 감지하여 경보음 형태로 알려 주고 있는 장치가 대부분이며, 물체를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물체에 대한 방향, 거리 및 크기 등의 정보를 상세하게 전달하여 주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특허공보 등록번호 20-6426384의 "시각장애인용 물체탐지장치"에서의 시각장애인이 탐지하고자 하는 부분을 3개의 영역으로 나누어 각 영역별로 물체 탐지기를 달아 동시에 여러 물체를 탐지하는 장치로 물체의 거리, 방향, 크기 등을 감지하게 하는 방식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단순히 물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뿐 어떤 형태인지 알 수 없고 대략적인 방향만 알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공보 등록번호 10-0355659 "시각장애인용 빛방향인식기"에서는 이미지 포토센서로 외부의 빛을 수집하여 증폭, 비교, 가공하여 피부 촉각 진동자로 인체의 피부촉각을 통하여 빛의 명암을 식별하게 하는 방식이 있다. 그러나 대강의 방향에 물체의 유무를 진동자의 ON/OFF로 알려줄 뿐 정확한 형상을 알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피부 진동자가 진동하면 주변까지 진동이 전달되어 세밀하게 표현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가 있고, 진동자가 진동하여 전달하는 물리적인 구조를 가진 방식으로 시간적 지연이 발생하며 장치의 크기가 커서 휴대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컬러 카메라로부터 실시간으로 촬영한 영상을 마이크로컨트롤러를 통해 색(color)을 구분하거나 물체의 윤곽선을 추출하여 디지털신호처리된 영상으로 변환하여 전기자극전달장치를 통해 사용자 피부에 변환된 영상에 맞게 다양한 전기자극을 주어 사용자가 시각이 아닌 전기자극을 통하여 영상의 색 또는 윤곽선을 인식할 수 있게 하는 시각장애인용 영상인식장치에 관한 것으로, 다양한 전기자극을 통해 본 발명의 사용자가 실제영상에 가깝게 물체의 형상과 색상을 인식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기자극을 이용하면 영상의 촬영에서 사용자의 인지까지 시간적 지연이 발생하지 않으며, 디지털 회로를 통하여 구조가 단순화되어 소형화가 가능하고 가동시간을 연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시각장애인용 영상인식장치는, 외부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촬영장치(100)와, 상기 영상촬영장치(100)의 촬영된 영상(110)을 디지털신호처리하여 전기자극출력신호로 변환시키는 마이크로컨트롤러(200)와, 상기 전기자극출력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전기자극전달장치(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200)는, 상기 영상(110)을 축소하는 영상축소부(210)와, 상기 영상축소부(210)의 축소된 영상(212)을 디지털신호처리하는 디지털신호처리부(220)와, 상기 디지털신호처리부(220)의 디지털신호를 전기자극출력신호로 변환하는 신호제어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디지털신호처리부(220)는 상기 영상(110)의 색상(hue)에 의해 색(color)을 구분하여 디지털신호처리하는 단계; 또는 명도(brightness)에 의해 색(color)을 구분하여 디지털신호처리하는 단계; 또는 색상(hue) 및 명도(brightness)에 의해 색(color)을 구분하여 디지털신호처리하는 단계 중 어느 한 단계를 포함하는 색(color)처리부(230)를 구비한다. 상기 디지털신호처리부(220)에서는 미리 지정된 색상(hue)이외 색상(hue)은 채도 또는 명도가 잘 감지되는 색상(hue)을 추출하는 기법에 의해 상기 영상(110)의 색을 구분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디지털신호처리부(220)는 , 물체의 윤곽선을 추출하여 디지털신호처리하는 윤곽선처리부(240)를 구비할 수도 있다.
전기자극전달장치(300)는, 상기 전기자극출력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전기자극을 외부로 전달하는 전도체(310)가 외부로 형성되고, 상기 전도체(310)와 인접하여 위치하고, 외부로 형성되는 부도체(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도체(310)는 양각된 형상이고, 격자 배열되고; 상기 부도체(320)는 신축성 있는 재질로 구성된다.
상기 전기자극은 상기 전기자극출력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전력 값을 갖고, 상기 전기자극의 주파수는 상기 전기자극출력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주파수 값을 갖는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촬영된 영상을 디지털신호처리하여 전기자극출력신호의 제어로 전기자극전달장치에 전기자극을 출력하여 본 발명인 시각장애인용 영상인식장치의 사용자의 피부에 전기자극을 전달하여 시각장애인이 물체를 손대지 않고도 사물을 인지할 수 있는 능력을 부여하는 효과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사용자는 물체의 여러 색상을 다양한 전기자극으로 인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물체의 윤곽선을 다양한 전기자극을 통해 인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시각장애인이 글과 그림 등을 인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물체의 영상 또는 윤곽선에 관한 정보를 전기자극을 통해 본 발명의 사용자에게 전달하므로 영상의 촬영과 사용자의 인식 사이의 시간적 지연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시각장애인이 외부정보를 인지하고 대처하는데 보다 효율적이다.
또한, 디지털 회로를 통하여 전기자극의 출력을 제어하고 사용자에게 전달하므로 본 발명의 구조가 단순화되어 소형화가 가능하고, 가동시간을 연장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영상인식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영상인식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영상인식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영상인식장치의 영상처리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영상인식장치를 구성하는 마이크로컨트롤러의 영상처리회로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신호처리부의 영상처리회로구성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영상인식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전기자극전달장치의 사시도와 부분 확대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신호처리부의 영상처리회로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0:영상촬영장치 200:마이크로컨트롤러
220:디지털신호처리부 230:색(color)처리부
240:윤곽선처리부 250:신호제어부
300:전기자극전달장치 310:전도체
320:부도체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영상인식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영상인식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영상인식장치(1)는 HMD(Head Mount Display)형태로 구성가능하다. 상기 시각장애인용 영상인식장치(1)는 "ㄷ"자형 본체(10)를 형성하고, 상기 본체(10)에는 다리부(40)가 형성되며 , 상기 다리부(40)에 배터리(50)가 장착되어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본체(10) 전면부(20) 중앙에 영상촬영장치(100)가 위치하고, 상기 본체(10) 내측면(30)에 전기자극전달장치(300)가 부착된다.
상기 영상촬영장치(100)와 상기 전기자극전달장치(300)의 위치가 동일하여 실제 영상과 전기자극을 통해 전달되는 영상 사이에 인식의 차이가 적어지고, 정상인의 시야에서 영상을 인식하는 기능을 원할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리부(40)가 머리 또는 귀를 감싸 상기 시각장애인용 영상인식장치(1)를 고정시키고, 상기 전기자극전달장치(300)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사용자 피부에 밀착되어 전기자극을 전달한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영상인식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각장애인용 영상인식장치(1)는 상기 영상촬영장치(100)에서 촬영된 영상을 전달받아 디지털신호처리하고, 상기 디지털신호를 전기자극출력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전기자극전달장치(300)에서 전기자극을 출력시키도록 명령하는 마이크로컨트롤러(200)로 구성된다.
상기 영상촬영장치(100)는 휴대용 장비(휴대폰, 콤팩트형 디지털카메라 등)에 사용되는 소형 카메라이며, 외부 영상을 실시간으로 촬영하고 상기 촬영된 영상을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200)로 전달한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영상인식장치의 영상처리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영상인식장치를 구성하는 마이크로컨트롤러의 영상처리회로도이다.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200)는, 영상축소부(210), 디지털신호처리부(220) 및 신호제어부(25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영상축소부(210)는 상기 영상촬영장치(100)의 촬영된 영상(110)을 전달받고, 상기 전기자극전달장치(300)의 출력 해상도(가로수(X)×세로수(Y)×전기자극)에 맞게 영상을 축소하여 축소된 영상(212)을 생성한다. 상기 출력해상도는 후술하는 전도체의 수(가로수(X)×세로수(Y))와 하나의 전도체에서 표현될 수 있는 전기자극의 값을 곱한 것을 가리킨다. M, N는 1≤M≤X, 1≤N≤Y 범위내 값이며, 하나의 전도체와 후술하는 하나의 픽셀은 (M,N)픽셀로 표현한다.
도 6 은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신호처리부의 영상처리회로구성도이다.
도 6 을 참조하면, 상기 디지털신호처리부(220)는 색(color)처리부(230)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영상축소부(210)에서 상기 축소된 영상(212)을 전달받아 디지털신호처리한다. 상기 디지털신호처리부(200)는 아래와 같은 단계를 거쳐 촬영된 영상을 디지털신호처리하는바, 이하 상세하게 후술한다.
디지털신호처리 1 단계는, 상기 디지털신호처리부(220)가 상기 축소된 영상(212)을 상기 전기자극전달장치(300)의 출력해상도(가로수(X)×세로수(Y)×전기자극)에 맞게 (X×Y)행렬로 구성된 픽셀(pixel)들로 분할하는 단계이다.
디지털신호처리 2 단계는, 상기 디지털신호처리부(220)가 상기 분할된 (M,N)픽셀의 색(color)을 구분하는 단계이다. 일반적으로 색(color)은 색상(hue)·채도(saturation) ·명도(brightness)와 같은 3가지 특성에 의해 지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디지털신호처리부(220)에서 인식하는 색(color)은 색상(hue) 또는 명도(brightness)에 의해 한정된 기준으로 지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디지털신호처리 2 단계의 제 1 실시예는 색상(hue)에 의하여 색(color)을 구분하는 실시예이다. 상기 디지털신호처리부(220)는 각 색상(hue)을 구분하고, 각 색상에 (h)번의 고유번호를 할당하여 저장하는 메모리부(222)를 포함한다. 상기 h는 1≤h≤H 의 범위내 값이며, 상기 H 는 상기 메모리부(222)에 저장되어 있는 색상의 전체 수이다.
또한, 디지털신호처리 2 단계의 제 2 실시예는 명도(brightness)에 의하여 색(color)을 구분하는 실시예이다. 상기 디지털신호처리부(220)는 명도(brightness)을 밝고 또는 어두운 정도에 의해 구분하여 저장하는 메모리부(222)를 포함한다. 상기 메모리부(211)에는 상기 구분된 명도(brightness)에 의해 색(color)은 (b)번의 고유번호를 할당하여 저장되어 있다. 상기 b는 1≤b≤B 범위내의 값이며, 상기 B 는 상기 메모리부(222)에 저장되어 있는 명도의 전체 수이다.
또한, 디지털신호처리 2 단계의 제 3 실시예는 색상(hue) 과 명도(brightness)에 의해 색(color)을 구분하는 실시예이다. 상기 디지털신호처리부(220)는 (색상, 명도)의 조합에 의해 색(color)을 구분하고 (h, b)의 고유번호를 할당하여 저장하는 메모리부(222)가 형성된다.
디지털신호처리 3 단계는, 상기 메모리부(222)와 (M,N)픽셀의 색상 또는 명도를 비교하여 디지털신호처리된 고유번호를 상기 (M,N)픽셀에 부여하는 단계이다.
상기 디지털신호처리 3 단계에서 상기 디지털신호처리 2 단계의 제 1 또는 제 2 실시예에 의하는 경우, 상기 축소된 영상(212)에서 분할된 (M,N)픽셀의 색 (color)은 (h) 또는 (b)번으로 식별가능한 디지털신호로 지정되면서, 상기 축소된 영상(212)은 디지털신호처리된 영상(232)으로 변환된다. 따라서 노란 색상이 (h=1)번으로 지정되어 있는 경우, (20,30)픽셀의 색상이 노란 색상으로 상기 감지되면, (20,30)픽셀의 색은 디지털신호처리된 고유번호가 (1)이 된다.
상기 디지털신호처리 3 단계에서 상기 디지털신호처리 2 단계의 제 3 실시예에 의하는 경우, 상기 축소된 영상(212)에서 분할된 (M,N)픽셀의 색(color)은 (h,b)번의 디지털신호로 지정된다. 예를 들어 (20,30)픽셀의 색상이 노란 색상이고, 명도가 2번이면, 상기 (20,30)픽셀의 색은 (1,2)번으로 식별되는 디지털신호로 지정된다.
디지털신호처리 4 단계는, 상기 메모리부(222)에 지정되어 있는 색상(hue) 이외의 색상을 디지털신호처리하는 경우, 상기 메모리부(222)에 저장되어있고; 채도 또는 명도가 잘 감지되는 색상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색상을 상기 메모리부(222)에 저장되어있는 색상의 고유번호(h)를 부여하는 단계이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222)에 지정되지않은 명도는 미리 지정되어 있는 명도 값과 가까운 명도를 추출하여 고유번호를 부여하는 단계이다. 이후 디지털신호처리는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지털신호처리 2 단계의 제 1 내지 3 실시예 중 어느 한 실시예로 진행한다.
상기 신호제어부(250)는 상기 디지털신호처리부(220)의 디지털신호처리된 영상(232)에 대응하여 전기자극출력신호를 발진한다.
상기 신호제어부(250)는 상기 디지털신호처리 2 단계의 제 1 실시예에 의하는 경우, 상기 (M,N)픽셀이 (h)번으로 식별되는 디지털신호를 전기자극출력신호(주파수h) 또는 전기자극출력신호(전력h)로 변환시키거나, 전기자극출력신호(주파수h, 전력h)로 변환시킨다.
상기 전기자극출력신호(주파수h)가 출력되는 경우, 상기 출력과 무관하게 전력 값은 일정한 값으로 지정된다. 상기 전기자극출력신호는 주파수 (주파수h)값을 갖는 전기자극을 출력하도록 전기자극전달장치(300)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20,30)픽셀의 색(color)이 색상(1)번으로 지정되어 있으면, 상기 (20,30)픽셀의 색(color)을 지정하는 디지털신호는 (1)이 되고, 전기자극출력신호는 (주파수1)이 된다. 따라서 상기 (20,30)픽셀의 전기자극은 상기 전기자극출력신호(주파수1)에 지정되어 있는 주파수 (주파수1)값으로 구성된다.
상기 전기자극출력신호(전력h)가 출력되는 경우, 상기 출력과 무관하게 주파수 값은 일정한 값으로 지정된다.
상기 전기자극출력신호(주파수h, 전력h)를 출력시키는 실시예의 경우 주파수와 전력이 쌍방 제어되어 전기자극을 구성한다.
상기 신호제어부(250)는 상기 디지털신호처리 2 단계의 제 2 실시예에 의하는 경우, 상기 (M,N)픽셀이 (b)번으로 식별되는 디지털신호를 전기자극출력신호(주파수b) 또는 전기자극출력신호(전력b) 또는 전기자극출력신호(주파수b, 전력b)로 변환시킨다. 상기 전기자극출력신호는 전력(b)값 및 주파수(b)값의 어느 하나 또는 양쪽의 값으로 구성되는 전기자극을 출력하도록 전기자극전달장치(300)를 제어한다.
상기 신호제어부(250)는 상기 디지털신호처리 2 단계의 제 3 실시예에 의하는 경우, 상기 (M,N)픽셀이 (h,b)번으로 식별되는 디지털신호를 전기자극출력신호(주파수h, 전력b)로 변환시킨다. 따라서 (M,N)픽셀의 색상이 (h)이고 명도가 (b)이면 주파수 (주파수h)값 및 전력 (전력b)값으로 구성되는 전기자극을 출력하도록 전기자극전달장치(300)를 제어한다.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영상인식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전기자극전달장치의 사시도와 부분 확대도이다.
도 7 을 참조하면, 상기 디지털신호처리 2 단계의 제 1 실시예에 의하는 경우이고 전기자극출력신호가 전기자극출력신호(주파수h)이면, 전기자극전달장치(300)는 상기 전기자극출력신호(주파수h)에 의해 제어되는 전기자극을 사람의 피부에 밀착되게 장착되어 전기자극을 피부에 전달하는 장치이다.
상기 전기자극전달장치(300)는 양각된 형상의 전도체(310)가 (X×Y) 행렬로 구성되어 격자 배열되고, 상기 양각된 형상은 외부로 돌출한다. 상기 전도체(310)는 디지털신호처리된 영상(232)의 (M,N)픽셀의 전기자극을 외부로 전달한다.
또한 상기 전도체(310) 주위에 부도체(320)가 인접하여 위치하여, 상기 전기자극전달장치(300)가 피부와 밀착하는 면을 형성한다. 상기 부도체(320)는 신축성있는 재질로 구성되어, 사람의 이마와 같은 굴곡면에 밀착할 수 있다.
도 8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신호처리부의 영상처리회로구성도이다.
도 8 을 참조하면, 상기 디지털신호처리부(220)는 윤곽선처리부(240)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축소된 영상(212)내의 물체의 윤곽선을 추출하여 디지털신호처리한다.
상기 윤곽선처리부(240)는 상기 추출된 윤곽선을 상기 (X×Y) 행렬로 분할된 상기 축소된 영상(212)의 픽셀에 분할하여 할당하고, 윤곽선이 추출되는 (M,N)픽셀은 (M1,N1)으로 식별되는 디지털신호로 지정하고, 윤곽선이 디지털신호처리된 영상(242)을 생성한다.
윤곽선 추적 알고리즘은 4방향 윤곽선추적, Roberts, Prewitt, Sobel, Laplacian 등의 기법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신호제어부(250)는 상기 윤곽선이 추출되는 (M,N)픽셀에 부여되는 (M1,N1)으로 식별되는 디지털신호를 전기자극출력신호(주파수M,전력N)로 변환시킨다. 상기 전기자극출력신호(주파수M,전력N)에서 주파수 (주파수N)값, 전력 (전력M)값으로 구성된 전기자극을 출력하도록 상기 전기자극전달장치(300)를 제어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컬러카메라 대신 적외선 카메라를 이용가능하고, 이 경우 밤이나 어두운 곳에서도 동일하게 사용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응용예로 Video in 기능을 추가하여 TV, VTR, PC 의 영상 정보를 입력받아 처리하면, 상기 영상촬영장치(100)에 의하지 않은 상태에서 해당 장비의 영상을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당해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사상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8)

  1. 외부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촬영장치와;
    상기 영상촬영장치의 촬영된 영상을 디지털신호처리하여 전기자극출력신호로 변환시키는 마이크로컨트롤러와;
    상기 전기자극출력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전기자극전달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영상인식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는, 상기 촬영된 영상을 축소하는 영상축소부와;
    상기 영상축소부의 축소된 영상을 디지털신호처리하는 디지털신호처리부와;
    상기 디지털신호처리부의 디지털신호를 전기자극출력신호로 변환하는 신호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영상인식장치.
  3. 제 2 항에서,
    상기 디지털신호처리부는 색상(hue)에 의해 상기 촬영된 영상의 색(color)을 구분하여 디지털신호처리하는 단계; 또는 명도(brightness)에 의해 상기 촬영된 영상의 색(color)을 구분하여 디지털신호처리하는 단계; 또는 색상(hue) 및 명도(brightness)에 의해 상기 촬영된 영상의 색(color)을 구분하여 디지털신호처리하는 단계 중 어느 한 단계를 실행하는 색(color)처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영상인식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신호처리부는, 미리 지정된 색상(hue) 이외 색상은 채도 또는 명도가 잘 감지되는 색상을 추출하는 단계 또는;
    미리 지정된 명도(brightness) 이외 명도는 미리 지정된 명도 값과 가까운 명도를 추출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영상인식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신호처리부는 , 물체의 윤곽선을 추출하여 디지털신호처리하는 윤곽선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영상인식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전기자극전달장치는, 상기 전기자극출력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전기자극을 외부로 전달하는 전도체가 외부로 형성되고;
    상기 전도체와 인접하여 위치하고, 외부로 형성되는 부도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영상인식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자극은 상기 전기자극출력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전력 값을 갖고; 상기 전기자극의 주파수는 상기 전기자극출력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주파수 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영상인식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체(310)는 양각된 형상이고, 격자 배열되고;
    상기 부도체(320)는 신축성 있는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영상인식장치.
KR1020080029200A 2008-03-28 2008-03-28 시각장애인용 영상인식장치 KR1009613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9200A KR100961319B1 (ko) 2008-03-28 2008-03-28 시각장애인용 영상인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9200A KR100961319B1 (ko) 2008-03-28 2008-03-28 시각장애인용 영상인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3534A true KR20090103534A (ko) 2009-10-01
KR100961319B1 KR100961319B1 (ko) 2010-06-04

Family

ID=41533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9200A KR100961319B1 (ko) 2008-03-28 2008-03-28 시각장애인용 영상인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131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6152B1 (ko) * 2012-12-27 2014-12-26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색과 관련된 주파수 정보를 출력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90096675A (ko) * 2018-02-09 2019-08-20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를 추적하는 캐리어 구동 시스템 및 이를 구현하는 캐리어 장치
WO2022067112A1 (en) * 2020-09-24 2022-03-31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System and method for restoring color perception to the blin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529Y1 (ko) 2010-12-08 2014-12-23 (주)건융아이비씨 시각 및 청각 장애인용 안경형 hmd를 포함한 보장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16425A1 (en) * 2005-07-12 2007-01-18 Koren Ward Device for providing perception of the physical environmen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6152B1 (ko) * 2012-12-27 2014-12-26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색과 관련된 주파수 정보를 출력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90096675A (ko) * 2018-02-09 2019-08-20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를 추적하는 캐리어 구동 시스템 및 이를 구현하는 캐리어 장치
WO2022067112A1 (en) * 2020-09-24 2022-03-31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System and method for restoring color perception to the blin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1319B1 (ko) 2010-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28815B2 (en) Method and device for visually impaired assistance
US20190070064A1 (en) Object detection, analysis, and alert system for use in providing visual information to the blind
JP3188839U (ja) 端末のカメラを制御する外部機器並びにそのシステム
KR101514061B1 (ko) 노인 관리용 무선 카메라 장치 및 이를 통한 노인 관리 시스템
KR20150021353A (ko) 영상 융합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21046B1 (ko) 안경 및 그 제어방법
JP2019118043A (ja) 撮像装置、画像処理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22030855A1 (ko) 피사체와 배경에 효과를 적용하여 이미지를 생성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CN111243105B (zh) 增强现实处理方法及装置、存储介质和电子设备
US11026762B2 (en) Medical observation device, processing method, and medical observation system
CN111880640B (zh) 屏幕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0961319B1 (ko) 시각장애인용 영상인식장치
JP2007108941A (ja) 機器制御装置、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機器、機器制御方法、機器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機器制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取り可能な記録媒体
WO2020249076A1 (zh) 一种人脸校正方法及电子设备
CN113572957B (zh) 一种拍摄对焦方法及相关设备
WO2017156021A1 (en) Object detection, analysis, and alert system for use in providing visual information to the blind
KR20150024169A (ko) 영상 융합 시스템 및 그 방법
JP7118456B2 (ja) 首掛け型装置
JP6334891B2 (ja) 端末のカメラを制御する外部機器並びにそのシステム及び方法
KR20110111563A (ko) 시각장애인용 사물인식장치
KR20020083705A (ko) 도형(패턴)인식 기술을 이용한 원격 제어
KR20240084053A (ko) 촉각자극 정보를 이용한 이미지 인식 장치 및 이미지 인식 방법
JP6695063B2 (ja) 建物画像生成装置および建物画像表示システム
WO2022209043A1 (ja) 周囲環境情報伝達装置
EP4113971A1 (en) Picture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