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3486A - 전하를 갖는 미세기포를 이용한 오염 물질의 세척장치 - Google Patents

전하를 갖는 미세기포를 이용한 오염 물질의 세척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3486A
KR20090103486A KR1020080029129A KR20080029129A KR20090103486A KR 20090103486 A KR20090103486 A KR 20090103486A KR 1020080029129 A KR1020080029129 A KR 1020080029129A KR 20080029129 A KR20080029129 A KR 20080029129A KR 20090103486 A KR20090103486 A KR 200901034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bble
water
separation tank
tank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9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60554B1 (ko
Inventor
한무영
김충일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filed Critical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Priority to KR10200800291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0554B1/ko
Publication of KR20090103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34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05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05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1/00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1/02Extraction using liquids, e.g. washing, leaching, flot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oil Sciences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하를 갖는 미세기포를 이용한 오염 물질의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음이나 양으로 대전되거나 하전 중화된 미세기포를 이용하여 모래나 자갈에 묻은 기름을 씻어내고, 기름과 물 및 모래(자갈)을 분리한 후 이를 재사용할 수 있게 하는 세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전하를 갖는 미세기포를 이용한 오염 물질의 세척장치는 양단이 개방되고 내부 공간을 가지며, 외부 회전 동력장치에 의해 회전하는 교반조; 상기 교반조의 일 측에 구비되고, 상기 교반조로부터 배출되는 오염 물질이 분리된 대상물이 저장되는 유수 분리조; 및 상기 교반조 내로 음 전하 기포수, 양 전하 기포수, 또는 하전 중화된 기포수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기포 공급부;로 구성되고, 상기 교반조 내로 오염 물질을 투입하여 상기 각 기포수의 선택적인 공급 및 상기 교반조의 회전 교반을 통해 상기 대상물로부터 오염 물질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하를 갖는 미세기포를 이용한 오염 물질의 세척장치{Washing Machine Of Contaminants By Using Charged Micro Bubbles}
본 발명은 전하를 갖는 미세기포를 이용한 오염 물질의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음이나 양으로 대전되거나 하전 중화된 미세기포를 이용하여 모래나 자갈에 묻은 기름을 씻어내고, 기름과 물 및 모래(자갈)을 분리한 후 이를 재사용할 수 있게 하는 세척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유조선에 의한 기름 유출 사고는 빈번히 발생하고 있으며, 해양의 오염을 막고 생태계를 보존하기 위해 해수면에 노출된 기름을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수거하기 위한 다양한 수단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해양에 차단막을 설치하여 기름의 확산을 방지한 후, 흡착포를 이용하여 기름을 흡착 제거하거나 기름분해용 화학약품을 기름이 포함된 물에 살포하여 기름을 분해하거나 고착화하는 방법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기름 제거 방법으로 사용되었던 약품 사용 방법의 경우에는 2차 오염과 약품 사용에 따른 과다비용, 및 슬러지 발생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이러한 기름을 제거하는 수단으로 오염된 해수에 섞여있는 기름을 제거하는 방법만이 개발되어 왔으며, 기름에 오염된 연안의 모래나 자갈 등을 제거 세척하는 수단 및 장치는 개발이 거의 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바다에서 발생하는 기름의 유출에 의하여 연안의 모래나 자갈이 기름에 오염되는 일이 발생하는 경우나 토양이 기름으로 오염되는 일이 발생하는 경우에 이러한 오염된 모래나 자갈, 토양으로부터 기름을 제거하고, 기름이 제거된 모래나 자갈, 토양을 다른 적합한 용도로 재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며, 기름 제거의 경우에도 모래나 자갈에 묻은 기름을 경제적이며 용도에 맞게 분리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한편으로, 기름 유출 사고에 의해 오염된 모래로부터 기름을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연적으로 기름이 묻은 상태로 있던 모래로부터 기름을 분리 제거하여 기름을 재사용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는 기름값이 상승함에 따라 분리된 기름의 재사용에 따른 경제성이 있게 되어 기름 분리 장치의 개발이 더욱 요구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한 본 발명은 모래나 자갈에 묻은 기름 방울의 정전기적 상태에 따라 양이나 음의 전하를 띤 미세기포 및 하전 중화된 미세기포를 이용하여 기름을 분리함으로써, 모래나 자갈 및 이에 사용되는 물과 분리된 기름을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전하를 갖는 미세기포를 이용한 오염 물질의 세척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하를 갖는 미세기포를 이용한 오염 물질의 세척장치는 양단이 개방되고 내부 공간을 가지며, 외부 회전 동력장치에 의해 회전하는 교반조; 상기 교반조의 일 측에 구비되고, 상기 교반조로부터 배출되는 오염 물질이 분리된 대상물이 저장되는 유수 분리조; 및 상기 교반조 내로 음 전하 기포수, 양 전하 기포수, 또는 하전 중화된 기포수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기포 공급부;로 구성되고, 상기 교반조 내로 오염 물질을 투입하여 상기 각 기포수의 선택적인 공급 및 상기 교반조의 회전 교반을 통해 상기 대상물로부터 오염 물질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세척 장치는 상기 교반조의 외 측에 피 회전 장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피 회전 장치와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피 회전 장치를 회전시키는 교반조 구동 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교반조는 상기 오염 물질이 포함된 대상물 및 상기 각 기포수가 공급되는 유입구가 일 측에 형성되고, 상기 오염 물질과 상기 오염 물질이 제거된 대상물 및 상기 선택적으로 공급된 기포수가 분리 배출되는 유출구가 타 측에 형성되며, 상기 교반조의 유입구 측이 상기 교반조의 유출구 측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있도록 하여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교반조 설치대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세척장치는 상기 교반조와 연결되고, 상기 오염 물질이 포함된 대상물을 투입하는 컨베이어 벨트 및 회전 장치를 포함하는 자동 투입 장치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수 분리조는 상기 교반조로부터 분리 배출되는 상기 오염 물질과 오염 물질이 제거된 대상물 및 기포수가 공존하여 저장되는 1차 분리조와; 상기 1차 분리조로부터 상기 오염 물질이 분리 제거된 후 상기 오염 물질이 제거된 대상물 및 기포수가 공존하여 저장되는 2차 분리조와; 상기 1차 분리조 및 2차 분리조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유수 분리조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에 설치되는 차단막과; 상기 1차 분리조에 공존하는 오염 물질을 분리 배출하는 오염 물질 배출부; 및 상기 교반조와, 상기 1차 분리조 및 2차 분리조의 저면부에 연결 설치되고, 상기 교반조로부터 상기 1차 분리조 측으로 분리 배출되는 오염 물질이 제거된 대상물을 상기 2차 분리조 측으로 운반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운반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운반 장치는 다수의 회전축과; 상기 다수의 회전축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오염 물질이 제거된 대상물을 운반하는 컨베이어 벨트와; 상기 회전축 및 컨베이어 벨트를 구동시키는 구동 모터; 및 상기 2차 분리조 측에 연결 설치되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끝단에 연결되고, 상기 오염 물질이 제거된 대상물에서 크기가 작은 대상물이 하측으로 별도로 분리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스트레이너;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수 분리조는 상기 1차 분리조의 바닥면에 구비되고, 상기 기포 공급부와 연결되어 상기 1차 분리조 내로 음 전하 기포수, 양 전하 기포수, 또는 하전 중화된 기포수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기포 공급관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상기 세척장치는 상기 유수 분리조로부터 상기 오염 물질이 제거된 분리수가 상기 기포 공급부 측으로 재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순환 공급 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순환 공급 수단은 상기 유수 분리조 및 상기 기포 공급부를 상호 연결하는 순환 배관; 및 상기 순환 배관과 연결되고, 상기 유수 분리조 내의 분리수를 상기 기포 공급부 측으로 공급하는 순환 펌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한편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포 공급부는 상기 음 전하 기포수, 양 전하 기포수, 또는 하전 중화된 기포수를 선택적으로 생성하기 위한 응집제를 공급하는 응집제 공급부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좀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오염 물질은 기름이고, 상기 대상물은 자갈 또는 모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전하를 갖는 미세기포를 이용한 오염 물질의 세척장치에 의하면, 모래나 자갈에 묻은 기름 방울의 정전기적 상태에 따라 양이나 음의 전하를 띤 미세기포 및 하전 중화된 미세기포를 이용하여 기름을 분리하고, 모래나 자갈 및 이에 사용되는 물과 분리된 기름을 재사용할 수 있도록 분리 배출함으로써, 효율적인 오염 물질 분리가 가능하며, 장치의 구성이 간단하여 저비용의 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세척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세척장치의 실시 상태도;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수 분리조 내의 적재 상태를 보여주는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세척장치 110: 교반조
110a: 유입구 110b: 유출구
111: 교반조 설치대 112: 피 회전 장치
113: 연결부 114: 교반조 구동 수단
120: 유수 분리조 121: 1차 분리조
121a: 기포 공급관 122: 2차 분리조
123: 차단막 124: 오염 물질 배출부
124a: 분리막 124b: 연결대
124c: 오염 물질 배출조 125: 운반 장치
125a: 회전축 125b, 141: 컨베이어 벨트
125c: 스트레이너 130: 기포 공급부
140: 자동 투입 장치 150: 순환 공급 수단
151: 순환 배관 152: 순환 펌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하를 갖는 미세기포를 이용한 오염 물질의 세척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첨부 도면 중,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세척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세척장치의 실시 상태도,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수 분리조 내의 적재 상태를 보여주는 상태도이다.
상기 도면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세척장치(100)는 모래나 자갈에 묻은 기름 방울의 정전기적 상태에 따라 양이나 음의 전하를 띤 미세기포 및 하전 중화된 미세기포를 이용하여 기름을 분리함으로써, 모래나 자갈 및 이에 사용되는 물과 분리된 기름을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로서, 이는 교반조(110), 유수 분리조(120), 및 기포 공급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교반조(110) 양단이 개방되고 내부 공간을 가지며, 외부 회전 동력장치(미도시)에 의해 회전하는 것으로, 이 교반조(110) 내에서는 기포수 공급에 의해 기포와 모래 등 미세입자와 교반조의 전단력을 이용하여 오염 물질인 기름 찌꺼기와 모래 등의 대상물을 분리하게 된다.
이러한 교반조(110)는 오염 물질(기름 등)이 포함된 대상물(모래 또는 자갈 등) 및 선택적인 음 전하 기포수, 양 전하 기포수, 또는 하전 중화된 기포수가 공급되는 유입구(110a)가 일 측에 형성되고, 상기 오염 물질과 오염 물질이 제거된 대상물 및 선택적으로 공급된 기포수가 분리 배출되는 유출구(110b)가 타 측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교반조(110)의 유입구(110a) 측이 유출구(110b) 측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있도록 하여 경사지게 설치되어 교반조(110) 내에서 중력에 의해 자연스럽게 유출구(110b) 측으로 대상물 등이 배출될 수 있도록 교반조 설치대(111)를 교반조(110)의 아래쪽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교반조 설치대(111)의 베어링(111a)에 의해 교반조(110)는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교반조(110)의 회전을 위해서 외 측에 피 회전 장치(112)를 구비하고, 피 회전 장치(112)와 연결부(113)에 의해 연결되어 피 회전 장치(112)를 회전시키는 교반조 구동 수단(114)을 더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교반조 구동 수단(114)에 의해 가변적인 속도 조절에 의해 교반조(110)는 회전을 하게 되고, 교반조(110) 내에 투입되는 오염 물질을 포함하는 대상물은 기포수에 의해 오염 물질이 사층 팽창됨과 아울러 교반조(110)의 회전에 의한 대상물과 교반조(110) 내 측면과의 전단력에 의해 오염 물질이 포함된 대상물로부터 오염 물질이 제거되는 것이다.
즉, 상기 교반조(110) 내에는 오염 물질(기름 등)이 포함된 대상물(모래 또는 자갈 등) 및 선택적인 음 전하 기포수, 양 전하 기포수, 또는 하전 중화된 기포수가 공급되며, 교반조(110)의 회전을 통해 교반시키게 되면 오염 물질이 부착된 대상물의 상호 마찰 및 전하가 상반된 기포수와 오염 물질의 상호 작용에 의해 오염 물질의 분리가 일어나게 된다.
여기서, 선택적으로 공급되는 음 전하 기포수, 양 전하 기포수, 또는 하전 중화된 기포수에 의해 사층 팽창이 발생하게 되며, 교반조(110)의 회전에 의한 교반에 의해 오염 물질인 기름과 자갈이나 모래 등의 대상물이 분리된다.
그리고, 상기 교반조(110) 내에는 원활한 오염 물질의 분리를 위해서 필요에 따라 내부 온도를 높여줄 수도 있으며, 또한 분리제나 흡착제가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교반조(110) 측에는 오염 물질이 포함된 대상물을 투입하기 위한 자동 투입 장치(140)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자동 투입 장치(140)는 컨베이어 벨트(141) 및 회전 장치(미도시)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교반조(110)를 통한 오염 물질과 대상물의 분리를 위한 전처리 공정으로, 초음파(ultra sonic) 처리 또는 원심력 필터(미도시)를 이용한 여과 처리가 행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교반조(110) 내에서의 오염 물질 분리 공정을 통해 오염 물질과 오염 물질이 제거된 대상물, 기포수 및 분리수는 후술할 유수 분리조(120) 측으로 배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수 분리조(120)는 상기 교반조(110) 내에서 분리된 오염 물질과 이 오염 물질이 제거된 대상물(모래 또는 자갈)과 기포수 및 분리수가 배출되어 저장되는 곳으로, 이는 1차 분리조(121)와, 2차 분리조(122)와, 차단막(123)과, 오염 물질 배출부(124), 및 운반 장치(1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1차 분리조(121)에는 바닥면으로부터 모래 또는 자갈로 이루어진 대상물(a)과, 분리수(b)와, 기포수(c), 및 오염 물질(d)이 순서대로 적층되어 분리 저장된다.
그리고, 1차 분리조(121)의 일 측 바닥면에는 후술할 기포 공급부(130)와 연결되어 음 전하 기포수, 양 전하 기포수, 또는 하전 중화된 기포수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기포 공급관(121a)이 더 구비된다. 이 기포 공급관(121a)을 통해 기포수를 계속 공급함으로써 1차 분리조(121) 내에서 서로 밀도차가 있는 오염 물질과 분리수가 분리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2차 분리조(122)는 1차 분리조(121)에 분리 배출된 모래 또는 자갈로 이루어진 대상물(a)과, 분리수(b)와, 기포수(c), 및 오염 물질(d)로 적층된 혼합물에서 오염 물질(d)이 제거된 후, 대상물(a)과 분리수(b) 및 기포수(c) 만이 따로 분리 저장되는 곳이다. 즉, 1차 분리조(121) 내의 상부에는 밀도가 작은 오염 물질이 부유하게 되며, 밀도가 큰 대상물은 후술할 운반 장치(125)를 통해 1차 분리조(121)로부터 2차 분리조(122)측으로 운반된다.
그리고, 상기 차단막(123)은 1차 분리조(121)와 2차 분리조(122) 사이에 구비되는 것으로, 이는 유수 분리조(120)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에 설치되며, 이는 1차 분리조(121)에 저장되는 오염 물질(d) 및 기포수(c)가 2차 분리조(122) 측으로 넘어오지 않도록 차단하게 된다.
한편, 상기 오염 물질 배출부(124)는 1차 분리조(121)에 저장되는 오염 물질(d)만을 걸러서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으로, 이는 분리막(124a)과, 이 분리막(124a)과 연결되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연결대(124b), 및 이 연결대(124b)를 통해 배출되는 오염 물질이 저장되는 오염 물질 배출조(124c)로 구성된다.
상기 운반 장치(125)는 1차 분리조(121) 및 2차 분리조(122)의 저면부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교반조(110)로부터 1차 분리조(121) 측으로 분리 배출되는 오염 물질이 제거된 대상물(a)을 2차 분리조(122) 측으로 운반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장치이다.
이 운반 장치(125)는 다수의 회전축(125a)과, 상기 다수의 회전축(125a)에 의해 회전하면서 오염 물질이 제거된 대상물(a)을 운반하는 컨베이어 벨트(125b)와, 상기 회전축(125a) 및 컨베이어 벨트(125b)를 구동시키는 구동 모터(미도시), 및 상기 2차 분리조(122) 측에 연결 설치되는 컨베이어 벨트(125b)의 끝단에 연결되어 오염 물질이 제거된 대상물(a)에서 크기가 작은 대상물(모래)이 하측으로 별도로 분리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스트레이너(125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운반 장치(125)에 의해서 교반조(110)로부터 배출되는 오염 물질이 제거된 대상물(a)이 1차 분리조(121)로부터 2차 분리조(122) 측으로 운반됨과 아울러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교반조(110) 내에 투입되는 오염 물질이 포함된 대상물은 오염 물질과 대상물로 분리되고, 투입되는 기포수는 분리수가 되어 1차 분리조(121) 내로 분리 배출되며, 오염 물질은 오염 물질 배출부(124)를 통해 분리 배출됨과 동시에 2차 분리조(122) 내에 분리수와 오염 물질이 제거된 대상물이 운반된 후, 오염 물질이 제거된 대상물은 운반 장치(125)를 통해 외부로 분리 배출되어 재사용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기포 공급부(130)는 교반조(110) 내로 음 전하 기포수, 양 전하 기포수, 또는 하전 중화된 기포수를 생성하여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것으로, 이 기포 공급부(130)에는 양 전하 기포수를 발생시키기 위한 응집제를 공급하는 응집제 공급부(미도시)가 더 구비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기포수는 음 전하 기포수, 양 전하 기포수, 또는 하전 중화된 기포수 중에 선택적으로 사용되며, 음 전하 기포수는 일반적으로 발생하는 기포수의 전위로 이는 양의 전하를 갖는 오염 물질과 부착하게 되며, 양 전하 기포수는 응집제 등 금속 이온을 이용하여 생성할 수 있는 기포수로 이는 음의 전하를 갖는 오염 물질과 부착하게 된다. 또한, 하전 중화된 기포수는 응집제 등 금속 이온을 이용하여 생성할 수 있는 기포수이며 이는 중화된 오염 물질과 부착하게 된다.
상술한 세 가지의 기포수는 세 가지 모두 적절한 순서로 공급될 수 있으며, 필요한 전위의 기포수를 조합하거나 한 가지 전위의 기포수만이 공급될 수도 있다. 즉, 오염 물질의 전위 상태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기포수가 공급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세척장치(100)는 순환 공급 수단(150)이 더 구비되며, 이는 유수 분리조(120)로부터 오염 물질이 제거된 분리수가 기포 공급부(130) 측으로 재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2차 분리조(122)와 기포 공급부(130)를 상호 연결하는 순환 배관(151), 및 상기 순환 배관(151)을 통해 2차 분리조(122) 내의 분리수를 기포 공급부(130) 측으로 공급하는 순환 펌프(15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순환 공급 수단(150)을 통해 기포 공급부(130)로 재공급되는 분리수는 상술한 기포수 생성을 위해 사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전하를 갖는 미세기포를 이용한 오염 물질의 세척장치에 의하면, 교반조(110) 내에서 교반조(110)의 회전에 의한 교반과 선택적으로 공급되는 기포수에 의해 오염 물질이 대상물로부터 분리되고, 오염 물질이 제거된 대상물은 유수 분리조(120)로 분리 배출된다.
그리고, 1차 분리조(121)에서는 오염 물질 배출부(124)를 통해 오염 물질만이 분리 배출되고, 2차 분리조(122)에서는 분리수와 오염 물질이 제거된 대상물이 분리 배출된다. 특히, 오염 물질이 제거된 대상물 중에 입자가 작은 모래와 같은 대상물은 스트레이너(125c)를 통해 1차적으로 배출되고, 자갈과 같은 입자가 큰 대상물은 별도로 분리 배출하게 된다.
즉, 모래나 자갈 등에 묻은 기름 방울의 정전기적 상태에 따라 양이나 음의 전하를 띤 미세 기포수 및 하전 중화된 미세 기포수를 이용하여 오염 물질인 기름을 분리하고, 모래나 자갈 및 이에 사용되는 물과 분리된 기름을 재사용할 수 있도록 분리 배출함으로써 효율적인 오염 물질 분리가 가능하며, 장치의 구성이 간단하여 저비용으로 오염 물질의 세척장치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1)

  1. 양단이 개방되고 내부 공간을 가지며, 외부 회전 동력장치에 의해 회전하는 교반조;
    상기 교반조의 일 측에 구비되고, 상기 교반조로부터 배출되는 오염 물질이 분리된 대상물이 저장되는 유수 분리조; 및
    상기 교반조 내로 음 전하 기포수, 양 전하 기포수, 또는 하전 중화된 기포수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기포 공급부;로 구성되고,
    상기 교반조 내로 오염 물질을 투입하여 상기 각 기포수의 선택적인 공급 및 상기 교반조의 회전 교반을 통해 상기 대상물로부터 오염 물질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하를 갖는 미세기포를 이용한 오염 물질의 세척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 장치는 상기 교반조의 외 측에 피 회전 장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피 회전 장치와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피 회전 장치를 회전시키는 교반조 구동 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하를 갖는 미세기포를 이용한 오염 물질의 세척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조는 상기 오염 물질이 포함된 대상물 및 상기 각 기포수가 공급되는 유입구가 일 측에 형성되고, 상기 오염 물질과 상기 오염 물질이 제거된 대상물 및 상기 선택적으로 공급된 기포수가 분리 배출되는 유출구가 타 측에 형성되며,
    상기 교반조의 유입구 측이 상기 교반조의 유출구 측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있도록 하여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교반조 설치대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하를 갖는 미세기포를 이용한 오염 물질의 세척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장치는 상기 교반조의 유입구 측으로 상기 오염 물질이 포함된 대상물을 투입하는 컨베이어 벨트 및 회전 장치를 포함하는 자동 투입 장치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하를 갖는 미세기포를 이용한 오염 물질의 세척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수 분리조는 상기 교반조로부터 분리 배출되는 상기 오염 물질과 오염 물질이 제거된 대상물 및 기포수가 공존하여 저장되는 1차 분리조와;
    상기 1차 분리조로부터 상기 오염 물질이 분리 제거된 후 상기 오염 물질이 제거된 대상물 및 기포수가 공존하여 저장되는 2차 분리조와;
    상기 1차 분리조 및 2차 분리조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유수 분리조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에 설치되는 차단막과;
    상기 1차 분리조에 공존하는 오염 물질을 분리 배출하는 오염 물질 배출부; 및
    상기 교반조와, 상기 1차 분리조 및 2차 분리조의 저면부에 연결 설치되고, 상기 교반조로부터 상기 1차 분리조 측으로 분리 배출되는 오염 물질이 제거된 대상물을 상기 2차 분리조 측으로 운반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운반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하를 갖는 미세기포를 이용한 오염 물질의 세척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 장치는 다수의 회전축과; 상기 다수의 회전축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오염 물질이 제거된 대상물을 운반하는 컨베이어 벨트와;
    상기 회전축 및 컨베이어 벨트를 구동시키는 구동 모터; 및
    상기 2차 분리조 측에 연결 설치되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끝단에 연결되고, 상기 오염 물질이 제거된 대상물에서 크기가 작은 대상물이 하측으로 별도로 분리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스트레이너;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하를 갖는 미세기포를 이용한 오염 물질의 세척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유수 분리조는 상기 1차 분리조의 바닥면에 구비되고, 상기 기포 공급부와 연결되어 상기 1차 분리조 내로 음 전하 기포수, 양 전하 기포수, 또는 하전 중화된 기포수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기포 공급관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하를 갖는 미세기포를 이용한 오염 물질의 세척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장치는 상기 유수 분리조로부터 상기 오염 물질이 제거된 분리수가 상기 기포 공급부 측으로 재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순환 공급 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하를 갖는 미세기포를 이용한 오염 물질의 세척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 공급 수단은 상기 유수 분리조 및 상기 기포 공급부를 상호 연결하는 순환 배관; 및
    상기 순환 배관과 연결되고, 상기 유수 분리조 내의 분리수를 상기 기포 공급부 측으로 공급하는 순환 펌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하를 갖는 미세기포를 이용한 오염 물질의 세척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포 공급부는 상기 음 전하 기포수, 양 전하 기포수, 또는 하전 중화된 기포수를 선택적으로 생성하기 위한 응집제를 공급하는 응집제 공급부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하를 갖는 미세기포를 이용한 오염 물질의 세척장치.
  11.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 물질은 기름이고, 상기 대상물은 자갈 또는 모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하를 갖는 미세기포를 이용한 오염 물질의 세척장치.
KR1020080029129A 2008-03-28 2008-03-28 전하를 갖는 미세기포를 이용한 오염 물질의 세척장치 KR1009605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9129A KR100960554B1 (ko) 2008-03-28 2008-03-28 전하를 갖는 미세기포를 이용한 오염 물질의 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9129A KR100960554B1 (ko) 2008-03-28 2008-03-28 전하를 갖는 미세기포를 이용한 오염 물질의 세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3486A true KR20090103486A (ko) 2009-10-01
KR100960554B1 KR100960554B1 (ko) 2010-06-03

Family

ID=41533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9129A KR100960554B1 (ko) 2008-03-28 2008-03-28 전하를 갖는 미세기포를 이용한 오염 물질의 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055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56841A (zh) * 2018-09-14 2019-01-08 云南菜人家食品有限公司 一种竹笋自动清洗除杂机
CN115338244A (zh) * 2021-05-14 2022-11-15 浙江一龙环保科技有限公司 异位土壤淋洗修复系统与处理待修复土壤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26012B2 (ja) * 1999-04-02 2004-05-10 株式会社大林組 有害物質の分離除去装置
KR100355955B1 (ko) * 2000-01-24 2002-10-12 한무영 전기 분해에 의한 양의 전하를 가진 미세 기포 발생 장치
JP5075511B2 (ja) * 2006-08-02 2012-11-21 日本国土開発株式会社 揮発性物質除去方法及び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56841A (zh) * 2018-09-14 2019-01-08 云南菜人家食品有限公司 一种竹笋自动清洗除杂机
CN109156841B (zh) * 2018-09-14 2024-01-09 云南菜人家食品有限公司 一种竹笋自动清洗除杂机
CN115338244A (zh) * 2021-05-14 2022-11-15 浙江一龙环保科技有限公司 异位土壤淋洗修复系统与处理待修复土壤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0554B1 (ko) 2010-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8147B1 (ko) 미세기포를 이용한 오염토양 분리세척 방법 및 그 장치
KR101219286B1 (ko) 재활용 플라스틱용 절수형 세척장치
KR101982969B1 (ko) 복합 오염토양 정화시스템용 유수분리장치
JP2018051534A (ja) 排水処理装置および排水処理方法
JP2011000583A (ja) 廃液処理方法及び装置
KR20200088943A (ko) 각종 준설토용 정화시스템
JP2006198530A (ja) 油汚染土砂の油・土砂分離方法、及び油汚染土砂の油・土砂分離装置
JP2023063447A (ja) 含油排水のろ過装置
CA2804232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removing hydrocarbons and other adherents from sand
KR102024424B1 (ko) 미생물을 이용한 세척액 정화장치
KR100960554B1 (ko) 전하를 갖는 미세기포를 이용한 오염 물질의 세척장치
JP2011036815A (ja) 洗浄装置
KR100460629B1 (ko) 토양세척기 및 이를 이용한 토양세척장치
KR100868891B1 (ko) 오일 분리장치
JP5912524B2 (ja) 油分分離システム
KR100538347B1 (ko) 오폐수처리장치
KR101270236B1 (ko) 기포를 이용한 유분 분리장치
KR101204395B1 (ko) 하.폐수의 처리장치
JP3166826U (ja) 排水処理装置
JP2002263696A (ja) 洗浄処理装置
KR20110004139U (ko) 오토그리스트랩
CN206607098U (zh) 一种清洗hdpe回收料污水处理系统
KR200413336Y1 (ko) 개량형 오폐수처리장치
JP4421417B2 (ja) 汚染土壌の浄化処理装置
KR101181800B1 (ko) 하.폐수의 처리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