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3469A - 홍수와 수량 조절과 소수력발전용 지하 저수장치 - Google Patents

홍수와 수량 조절과 소수력발전용 지하 저수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3469A
KR20090103469A KR1020080029100A KR20080029100A KR20090103469A KR 20090103469 A KR20090103469 A KR 20090103469A KR 1020080029100 A KR1020080029100 A KR 1020080029100A KR 20080029100 A KR20080029100 A KR 20080029100A KR 20090103469 A KR20090103469 A KR 200901034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underground
reservoir
flood
drain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9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57070B1 (ko
Inventor
이승영
Original Assignee
이승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영 filed Critical 이승영
Priority to KR10200800291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7070B1/ko
Publication of KR200901034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34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7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70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3/00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 F03B13/08Machine or engine aggregates in dams or the like; Conduits therefor, e.g. diffus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9/00Water-power plants; Layout, construction or equipment, methods of, or apparatus for, making same
    • E02B9/02Water-w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3/00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 F03B13/06Stations or aggregates of water-storage type, e.g. comprising a turbine and a pu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20/00Application
    • F05B2220/30Application in turbines
    • F05B2220/32Application in turbines in water turbi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20Hydro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6Mechanical energy storage, e.g. flywheels or pressurised flu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홍수와 수량 조절과 소수력발전용 지하 저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대부분이 건천인 하천에서 평상시에는 수량을 조절하여 생태하천에 지속적으로 유지유량을 흘려보내 생태 하천의 조성과 상수원을 확보하고, 장마나 호우 시에는 물을 지하 저수조에 가두어 홍수위의 수량 조절이 가능하며, 인근 지역 산불발생 시 소화수 확보를 위한 저류시설로 활용하고, 소수력발전에 활용 가능한 홍수와 수량 조절과 소수력발전용 지하 저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하상 바닥을 파서 성형하고 유입 방향으로 라보댐 및 가동보 등(이하 “라보댐”이라함.)을 설치한 중앙 저수조와;
상기 중앙 저수조의 양쪽으로 소정의 크기를 갖도록 성형하여 물을 저장하는 지하 저수조와;
상기 중앙 저수조의 양쪽으로 평상시에 물이 흘러 배수에서 합류하도록 하는 수로와;
상기 중앙 저수조와 지하 저수조가 홍수 시 물을 저장하여 홍수를 예방하고 건기 시 물을 방류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홍수와 수량 조절과 소수력발전용 지하 저수장치{A flood, water control and the underground storage of water apparatus for small hydropower generation}
본 발명은 홍수와 수량 조절과 소수력발전용 지하 저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대부분이 건천인 하천에서 평상시에는 수량을 조절하여 생태하천에 지속적으로 유지유량을 흘려보내 생태 하천의 조성과 상수원 확보 및 장마나 호우 시에는 물을 지하 저수조에 가두어 홍수위의 수량 조절이 가능하며, 인근 지역 산불발생 시 소화수 확보를 위한 저류시설로 활용하고, 소수력발전에 활용 가능한 홍수와 수량 조절과 소수력발전용 지하 저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의 중소하천의 상류 대부분은 상류부 구간의 표고차가 커 수로경사가 급한 관계로 건기 시 하천에 필요한 최소한의 유량인 하천 유지유량의 확보문제 및 홍수 시 순간적인 하천수의 방출로 인해 하천 범람을 초래하여 막대한 피해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하천에 수문을 형성하여 평상시에는 물을 가두어 일정한 양의 물을 가둔 상태에서 일정한 양의 물이 흐르도록 하여, 하천의 미관을 좋게 하고 호우 시에는 수문을 열어 유입되는 물이 신속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하고 있지만, 이는 단순히 하천의 미관을 위하여 물을 막은 것에 불과하기 때문에 홍수위의 수량 조절이나 하천을 흐르는 수량을 조절하지는 못했으며, 물을 미관상 단순히 가두어 놓기 때문에 수량이 없어 물이 거의 흐르지 않으면 하천의 바닥에 낙엽 등이 퇴적물이 쌓이면서 물의 흐름을 방해하며, 물이 흐르지 않아 물에 산소가 공급되지 않으면서 하천에 고인 상태에서 부패하며, 하천의 바닥에 쌓인 퇴적물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썩으면서 소하천의 물이 죽는 문제점이 발생하였으며, 모든 물의 근원인 상류의 소하천이 부패하면 하류로 유입되는 물도 깨끗하지 않기 때문에 상수도원의 사용상 문제가 발생하였다.
그리고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특허등록 제781734호(2007. 11. 27. 등록)는 호우 시에는 일정한 양의 물을 저장하다가 건기 시에는 하천의 수량을 조절하는 홍수와 수량 조절 가능한 지하 저수조를 제공하는 것이며, 저렴한 비용으로 환경파괴를 최소화하면서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는 홍수와 수량 조절이 가능한 지하 저수조를 제공하려는 것으로,
구체적인 구성요소가 하천의 양쪽 측면에 설치되며, 상부에는 하천의 물을 내부로 유입시키는 유입구가 형성되는 침전조와;
상기 침전조의 유입구에 고정되어 부유물이 침전조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걸름망과;
상기 제1 걸름망의 하부에 형성되어 침전조의 유입구를 개폐시키는 제1 롤링 게이트와;
상기 양쪽 침전조의 사이에서 하천 바닥에 매설되고, 내부에는 물이 유입되고 상부에는 물이 이동되는 방향으로 토사 차단판을 형성하여 토사가 침전조의 유입구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하며, 측면에는 외부의 물이 유입되는 집수구가 형성되고, 전면 하단부에는 다수개의 수량조절배수구가 형성되며, 전면 상단부에는 다수개의 홍수조절배수구가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집수구에 고정되어 부유물이 몸체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걸름망과;
상기 몸체의 홍수조절배수구에 연결되어 몸체의 물을 하천으로 배출시키는 홍수조절관과;
상기 몸체의 수량조절배수구에 연결되어 몸체의 물을 하천으로 배출시키는 수량조절관과;
상기 홍수조절배수구와 수량조절배수구에 형성되어 홍수조절배수구와 수량조절배수구를 개폐시키는 제2 롤링 게이트와;
상기 수량조절관의 끝 부분에 형성되어 수량조절관을 통해 배출되는 물이 머물렀다 배출되는 배수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토사의 유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지 못하며, 홍수조절과 수량조절 기능이 제대로 제공되지 못하고, 발생하는 수량을 이용한 발전 등을 이용하지 못하는 결점으로 인하여 그 효과가 설치 및 투자비용에 비하여 많은 장점을 제공하지 못하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하천의 중앙 한 부분에 소정의 깊이를 갖는 중앙 저수조를 설치하여 홍수 시 홍수량을 저류시킬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중앙 저수조의 양쪽으로 철골 구조의 지하 저수조를 만들어 우기 시 많은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하여 건기 시 하류로 일정량씩 배출하여 생태 하천에 지속적으로 유지유량을 공급하여 생태하천이 조성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소정의 깊이를 갖는 중앙 저수조에 물이 공급될 때 소수력발전이 가능하여 발생되는 전기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하천의 중앙 한 부분에 소정의 깊이를 갖는 중앙 저수조를 설치하여 평상시에는 중앙 저수조의 양쪽의 수로를 통하여 흘러가고 홍수 시 중앙 및 지하 저수조에서 일정량을 저류시킬 수 있도록 하여 홍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하천 바닥을 조금만 파도 암반으로 되어 있는 것에 착안하여 중앙 저수조의 양쪽으로 철골 구조의 지하 저수조를 만들어 우기 시 많은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하여 건기 시 하류로 일정량씩 배출하여 생태 하천에 지속적으로 유지유량을 공급하여 생태하천이 유지 조성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소정의 깊이를 갖는 중앙 저수조에 수량이 공급될 때 저수되는 수위에 따라서 소정의 높이에서 소수력발전이 가능하여 전기를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저수조를 하천에 중앙 저수조와 지하 저수조를 축조하여 우기에는 소정의 물을 가둘 수 있기 때문에 하류부의 홍수피해를 줄일 수 있으며, 건기 시에는 우기에 저장한 물을 흘려보내 하천의 평상시 생태하천에 지속적으로 유지유량을 흘려보내 생태하천이 조성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하천의 지하에 저수조를 매설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설치 시 용지보상이 극소화되며, 대부분은 건천으로 하상 바닥을 조금만 파도 암반으로 되어 있으므로 암반을 저수조로 그릇으로 만들어 공기단축과 시공비를 크게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수량의 저장을 위해 발생하는 낙차를 이용하여 소수력발전에 활용 가능하므로 발전을 통한 전기를 주변에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낸 설치상태 평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낸 설치상태 측면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전체 설치상태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지하 저수조에 대한 설치상태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판넬에 대한 연결 상태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판넬과 강구조물에 대한 연결상태 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차수벽과 배수 관거에 대한 설치상태 단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저수조에 대한 측면도
도 9 는 본 발명의 안전망에 대한 설치상태도
도 10 은 본 발명의 안전망에 대한 작동상태도
도 11 은 본 발명의 가압 펌프에 대한 설치상태도
도 12 는 본 발명의 소수력발전기함에 대한 설치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유입 11, 11a : 제내지 수로
12, 12a : 제방 13, 13a : 제내지
14 : 배수 15 : 라보댐
16, 16a : 평시 수문 20 : 중앙 저수조
21, 21a : 지하 저수조 22 : 암반층
23 : 토양층 24 : 강구조물
25, 47 : 기초판 26, 48 : 말뚝기초
27, 49 : 인장강봉 28 : 인장강봉 결합부
30 : 측면 판넬 31 : 상부 판넬
32 : 패킹 33, 37 : 고장력 볼트
34, 38 : 너트 35 : 고정 지지판
36 : 배근 철근 40 : 차수벽
41, 42 : 배출 수문 43, 44 : 배수관거
45, 46 : 압력 발전기 47 : 출구부
50 : 빔 51 : 실린더
52 : 안전망 53 : 가압펌프
54 : 급수관 60 : 소수력발전기함
61 : 개폐도어 62, 63, 64, 65 : 가동 발전기
이하에서 본 발명의 첨부시킨 도면을 통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제방(12, 12a) 안쪽에 형성되는 제내지(13, 13a)의 중앙 한 부분의 하상바닥을 파서 소정의 깊이와 크기로 중앙 저수조(20)를 형성한다.
상기 중앙 저수조(20)의 깊이는 대략 10m 이상의 깊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중앙 저수조(20)의 양쪽에 지하 저수조(21, 21a)를 설치한다.
상기 지하 저수조(21, 21a)는 상부에 토양층(23)을 덮어 중앙 저수조(20)의 양쪽으로 제내지 수로(11, 11a)를 갖도록 하여 유입(10)로 유입되는 물은 양쪽의 제내지 수로(11, 11a)를 통과하여 다시 합류되도록 한다.
상기 중앙 저수조(20)의 전방에는 라보댐(15)을 설치하고 유입(10)된 물을 가두고 평시 수문(16, 16a)을 개폐하여 소정의 수량이 제내지 수로(11, 11a)에 유수하도록 하여 생태하천을 이루도록 한다.
상기 라보댐(15)에 강우 등으로 인하여 하천수가 충분히 저류되어 라보댐(15)을 통과하여 중앙 저수조(20)에 유입되는 물은 중앙 저수조(20)에서 형성되는 낙차를 이용하여 소수력발전기함(60)을 중앙 저수조(20)의 한 부분에 설치하고 소수력 발전을 한다.
소수력발전기함(60)은 상부에 다수의 개폐도어(61)를 설치하여 유입되는 물을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개폐도어(61)의 각 칸에는 가동 발전기(62, 63, 64, 65)를 각각 설치하되, 바닥에서 높이가 서로 다르도록 설치하며,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한 가동 발전기(62)는 하천의 평시 수로인 지상에서 2.5m 정도의 깊이에 설치하고 나머지는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하여 수위에 따라 선택적으로 소수력발전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중앙 저수조(20)는 상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배수(14) 방향으로 PS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차수벽(40)을 설치하여 외부로 유입된 물이 배수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차수벽(40)의 바닥에는 양쪽에 기초판(47)과 말뚝기초(48)로 고정한 후 인장강봉(49)으로 고정하는 것이며, 차수벽(40)에는 소정의 높이에서도 기초판(25)과 말뚝기초(26)로 고정한 후 인장강봉(27)으로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중앙 저수조(20)는 상측의 사면이 개방되어 있으므로 라보댐(15)을 설치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삼면에 빔(50)을 세워 실린더(51)를 통하여 자동으로 개폐되는 안전망(52)을 설치하여 평시에는 외부에서 사람이나 짐승의 침입을 방지하고 홍수 시에는 안전망(52)을 하강시켜 시설물을 보호하는 것이다.
중앙 저수조(20)의 양쪽에 설치한 지하 저수조(21, 21a)는 중앙 저수조(20)와 같은 소정의 깊이로 형성되며, 지하 저수조(21, 21a) 내부를 강구조물(24)로 설치한다.
상기 강구조물(24)은 암반층(22) 내의 지하 저수조(21, 21a)에는 그대로 설치하며, 암반층(22)의 상측인 토양층(23)에는 기초판(25)과 말뚝기초(26)로 고정하고 기초판(25)에 고정된 인장강봉(27)이 측면 판넬(30)을 관통하여 강구조물(24)과 인장강봉 결합부(28)에 고정되며, 기초판(25)에서 지붕에 이르는 토양층(23)에 측면 판넬(30)을 설치하고, 지붕에는 상부 판넬(31)을 설치한다.
상기 측면 판넬(30)과 상부 판넬(31)은 PS 콘크리트로 제작하여 연결부분에 패킹(32)을 설치하고 고장력 볼트(33)와 너트(34)를 이용하여 고정한다,
상기 측면 판넬(30)은 강구조물(24)을 설치하는 부분에 고정 지지판(35)을 설치하여 강구조물(24)과 고장력 볼트(37)와 너트(38)로 고정하고, 고정 지지판(35)은 판넬(30, 31)에 삽입되어 고정한다.
상기 판넬(30, 31)은 소정의 간격으로 배근 철근(36)되어 있으므로 고정 지지판(35)과 견고하게 결합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차수벽(40)과 강구조물(24)에는 바닥에서 소정의 높이 2곳에 배수관거(43, 44)를 설치하여 배수(14) 부분에서 출구부(47)와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 배수관거(43, 44) 각각의 전방에 배출 수문(41, 42)을 설치하여 평시에 유지유량조절과 홍수 시에 홍수위 수량 조절을 위해 선택적으로 개방할 수 있도록 하며, 배수관거(43, 44)의 내부에는 압력 발전기(45, 46)를 설치한다.
상기 배수관거(43, 44)를 설치할 수 없는 경우에는 급수관(54)을 설치하여 가압 펌프(53)와 연결시켜 배수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우리나라 하천의 상류 대부분은 건천으로 하상바닥을 조금만 파도 암반으로 되어 있는 것에 착안하여 하천의 한 부분에 바닥을 파서 대략 10m 이상 깊이의 중앙 저수조(20)와 그 양쪽으로 지하 저수조(21, 21a)를 설치한다.
중앙 저수조(20)의 유입(10) 방향과 배수(14) 방향에는 차수벽(40)을 설치하여 물이 토양층(23)으로 침투되어 소실되는 것을 방지한다.
중앙 저수조(20)를 제외한 지하 저수조(21, 21a)는 강구조물(24)을 설치하고, 암반층(22)에는 강구조물(24)만 설치하며, 토양층(23)에는 측면에 강구조물(24)과 측면 판넬(30)을 결합시키고 지붕에 강구조물(24)과 상부 판넬(31)을 결합시켜 설치한다.
이와 같이 중앙 저수조(20)와 지하 저수조(21, 21a)를 설치한 후에는 지하 저수조(21, 21a)를 토양층(23)으로 덮어주고 중앙 저수조(20)의 전방에 라보댐(15)을 설치하게 되므로 유입(10)로 유입된 물이 평상시에는 라보댐(15)에 일시 저류되고 중앙 저수조(20)의 양쪽에 설치한 평시 수문(16, 16a)의 개폐에 따라 제내지 수로(11, 11a)를 통과한 후 배수(14)에서 합류되어 흘러가도록 한다.
이와 같이 평상시에는 유입(10)로 유입된 물이 제내지 수로(11, 11a)를 통하여 흘러가서 배수(14)에서 합류되어 흘러가지만, 우기 시 또는 홍수 시에 많은 수량이 유입되므로 라보댐(15)을 흘러넘치거나 라보댐(15)을 주저 앉혀 낙하하는 물은 소수력발전기함(60)을 통하여 중앙 저수조(20)에 유입된다.
소수력발전기함(60)에 유입되는 물은 다수의 개폐도어(61) 중 가동 발전기(65)가 가장 하측에 설치되어 있는 위치의 개폐도어(61)를 개방하고 나머지를 닫아 놓으면 유입되는 물이 개방된 개폐도어(61)를 통하여 낙하된 후 가동 발전기(65)를 가동시켜 소수력발전에 활용되도록 하는 것이다.
물의 유입량이 많아져 가장 하측에 있는 가동 발전기(65)를 수위가 오버 하는 경우에는 다음으로 하측에 설치된 가동 발전기(64)가 있는 개폐도어(61)를 개방시켜 가동 발전기(64)를 가동시키고, 물의 유입량이 더욱 많아져 수위가 가동 발전기(64)를 월류하는 경우에는 다음으로 하측에 설치된 가동 발전기(63)가 있는 개폐도어(61)를 개방시켜 가동시키며, 물의 유입량이 더욱 많아져 수위가 가동 발전기(63)를 오버 하는 경우에는 다음으로 하측에 설치된 가동 발전기(62)가 있는 개폐도어(61)를 개방시켜 가동시키는 방법으로 물이 유입되는 수위에 따라서 소수력발전기함(60)의 가동발전기(62, 63,64, 65)를 가동시켜 전기를 축전지에 저장하여 필요할 때 사용하거나 한전을 통하여 주변에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가동 발전기(62, 63, 64, 65)는 수위에 따라서 높이를 차등 설치한 것이므로 설치 개수는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호우 시 또는 홍수 시에 하천에 유량이 많아지는 경우 라보댐(15)을 월류하여 유입되는 물에 포함된 다수의 부유물질은 라보댐(15)에 걸려 저수조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며, 중앙 저수조(20)와 지하 저수조(21, 21a)에 일정량의 물을 저장할 수 있으므로 홍수를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중앙 저수조(20)와 지하 저수조(21, 21a)에 물을 저장할 때 홍수가 발생하여 물의 수위가 너무 높아 넘치는 경우에는 배수(14)측 상부의 배출 수문(41)을 개방하여 배수관거(43)를 통하여 물을 배수시키는 것이다.
중앙 저수조(20)와 지하 저수조(21, 21a)에 물을 저장한 상태에서 건기 시 배수(14)측 하부의 배출 수문(42)을 개방하여 배수관거(44)로 일정량의 물을 배출하는 것이며, 배출한 물은 출구부(47)를 통하여 배수(14)로 공급되어 건기를 방지하며 지속적으로 유지유량을 흘려보내 생태하천이 조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배수관거(43, 44)를 통하여 저장된 물을 공급할 때 압력 발전기(45, 46)의 발전을 통하여 전기를 얻어 축전기에 저장하거나 필요한 곳으로 보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중앙 저수조(20)는 상부면이 개방되어 있으므로 사람 또는 동물의 접근으로 익사사고를 동반할 수 있으므로 안전망(52)을 설치하여 실린더(51)의 구동을 통하여 평상시에는 승강시키고 홍수 시에는 하강시켜 필요에 따라 평상시에는 승강된 안전망(52)로 사람이나 동물의 접근을 방지하고 하천의 물이 불어날 때는 안전망(52)을 하강시켜 시설물을 보호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배수관거(43, 44)를 설치하여 홍수 시 또는 유지유량 조절이 어려운 경우에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급수관(54)을 설치하여 가압 펌프(53)로 물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하천의 상류 하상 바닥을 소정의 깊이로 파서 중앙 및 지하 저수조를 설치함으로써 우기 및 홍수 시에 소정의 수량을 저장하여 홍수를 예방하고, 건기 시에는 저장된 물을 지속적으로 흘려보내 생태하천이 조성되도록 하고, 물의 저장 시에 발생하는 낙차를 이용한 소수력발전에 활용하여 전기를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Claims (8)

  1. 하상 바닥을 파서 성형하고 유입 방향으로 라보댐을 설치한 중앙 저수조와;
    상기 중앙 저수조의 양쪽으로 소정의 크기를 갖도록 성형하여 물을 저장하는 지하 저수조와;
    상기 라보댐의 양쪽으로 평상시에 평시 수문을 개방하여 물을 흘려 배수에서 합류하도록 하는 제내지 수로와;
    상기 중앙 저수조와 지하 저수조가 홍수 시 물을 저장하여 홍수를 예방하고 건기 시 물을 방류함을 특징으로 하는 홍수와 수량 조절과 소수력발전용 지하 저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중앙 저수조는 유입 방향으로 물의 낙하를 이용하는 소수력발전기함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수와 수량 조절과 소수력발전용 지하 저수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소수력발전기함은 구분되어 개폐되는 다수의 개폐도어 하측으로 수위에 따라 가동하는 다수의 가동 발전기를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홍수와 수량 조절과 소수력발전용 지하 저수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중앙 저수조는 상부면이 개방되어 라보댐 방향을 제외한 삼면에 빔을 설치하고 실린더로 개폐되는 안전망을 삼면에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홍수와 수량 조절과 소수력발전용 지하 저수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지하 저수조는 강구조물로 조성되고 토양층에는 강구조물의 외측과 지붕에 측면 판넬과 상부 판넬이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홍수와 수량 조절과 소수력발전용 지하 저수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측면 판넬과 상부 판넬은 고정 지지판이 설치되어 각 판넬과 강구조물을 고장력 볼트와 너트로 연결시켜 일체가 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홍수와 수량 조절과 소수력발전용 지하 저수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중앙 저수조와 지하 저수조의 배수 쪽 차수벽에는 소정의 높이 두 곳에 배출 수문을 설치하여 배수에서 출구부와 연결하는 배수 관거를 설치하여 홍수 시와 유지유량 조절 시에 수문개방 시 자연 배수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홍수와 수량 조절과 소수력발전용 지하 저수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배수 쪽 차수벽의 고정은 암반층 하부에는 양 쪽의 기초판에 말뚝기초를 이용하여 암반에 고정시키고 차수벽을 관통한 인장강봉으로 양쪽을 결합시켜 암반, 양쪽 기초판 그리고 차수벽이 일체되도록 하며, 토양층 중간에 토양층 쪽으로는 기초판에 말뚝기초로 고정한 후 토양을 다지고 기초판과 인장강봉을 결합시킨 후 차수벽을 관통한 인장강봉이 중앙 또는 지하 저수조 내부의 강구조물의 인장강봉 결합부에 결합시켜 모든 구조물을 일체시켜 고정되도록 하는 홍수와 수량 조절과 소수력발전용 지하 저수장치.
KR1020080029100A 2008-03-28 2008-03-28 홍수와 수량 조절과 소수력발전용 지하 저수장치 KR1009570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9100A KR100957070B1 (ko) 2008-03-28 2008-03-28 홍수와 수량 조절과 소수력발전용 지하 저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9100A KR100957070B1 (ko) 2008-03-28 2008-03-28 홍수와 수량 조절과 소수력발전용 지하 저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3469A true KR20090103469A (ko) 2009-10-01
KR100957070B1 KR100957070B1 (ko) 2010-05-13

Family

ID=41533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9100A KR100957070B1 (ko) 2008-03-28 2008-03-28 홍수와 수량 조절과 소수력발전용 지하 저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707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82731A1 (ko) * 2021-07-08 2023-01-12 해양복류발전합자회사 보 없는 수력발전 시스템
KR102493893B1 (ko) * 2022-03-30 2023-01-31 (유)한성산기 콘크리트 구조물에 직접 설치하는 수중펌프 설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5135B1 (ko) * 2018-11-28 2021-01-20 주식회사 우림토건 산불진화용 헬기의 유도장치가 구비된 소화용수 저수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10329A (ja) * 1997-02-14 1997-12-02 Shimizu Corp 水路式発電施設とその施工方法
KR100582747B1 (ko) 2004-06-11 2006-05-23 평산에스아이 주식회사 파형강판 저류장치 및 파형강판 저류시설
KR200426248Y1 (ko) 2006-06-30 2006-09-12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분산형 빗물 저류 시스템
KR100781734B1 (ko) 2006-08-29 2007-12-03 이승영 홍수와 수량 조절이 가능한 지하 저수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82731A1 (ko) * 2021-07-08 2023-01-12 해양복류발전합자회사 보 없는 수력발전 시스템
KR102493893B1 (ko) * 2022-03-30 2023-01-31 (유)한성산기 콘크리트 구조물에 직접 설치하는 수중펌프 설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7070B1 (ko) 2010-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38594B1 (en) Movable barrier wall
EA014455B1 (ru) Регулируемое водослив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лотин гидроэлектростанций
CN206681648U (zh) 一种地下通道入口挡水卷闸门
KR101522515B1 (ko) 점오염원과 비점 오염원에서 유입되는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킴과 동시에 자동 어도를 이용하여 하천생태계를 살려내면서 전기를 생산하도록 구비되는 자연친화적인 어도 겸용 친환경 발전시스템
KR100822300B1 (ko) 수위조절 및 퇴적물 배출용 가요성 보
KR100957070B1 (ko) 홍수와 수량 조절과 소수력발전용 지하 저수장치
GB2451294A (en) Self erecting flood protection device with buoyant barrier and electrical generation means
WO2021125170A1 (ja) 水害時2次排水方法
KR101267377B1 (ko) 자연담수 홍수방지 저류 시스템
CN211172272U (zh) 一种用于冲洗分流制市政污水管的系统
RU144821U1 (ru) Эксплуатационный водосброс плотины (варианты)
KR20110095430A (ko) 하층수 배출방법을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자연적으로 정화시키면서 어도가 자연적으로 형성되는 첨단 친환경 공법
KR100807404B1 (ko) 하천의 제방보다 더 높은 형태로 구성되는 대용량의 다단계저수공간을 이용하여 오염된 수질을 정화시키면서지속적으로 발전하는 방법
JP7040835B1 (ja) 地域治水システム
RU2694189C2 (ru) Водозаборное сооружение для приема воды из горных и предгорных рек для малых ГЭС
CN106988400A (zh) 一种挡潮、防堵、检修便捷、可冲砂清淤的干沟式截流系统及方法
KR102036353B1 (ko) 친환경 관로형 생태보
CN112982317A (zh) 利用雨洪资源的河口地表地下立体挡水建筑物及运行方法
KR20120094877A (ko)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한 물로 정화시켜주면서 가뭄시에 저장된 하천수가 모두 배출되어 버리는 중력의 작용을 차단 시켜주도록 구성되는 수질정화용 저층수 배출시스템을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한 물로 정화시키는 친환경 공법
CN112982319A (zh) 一种采用坝基涵洞进行导流、放空兼取水的结构及方法
KR100865872B1 (ko) 여울형 가동보 장치
US20190316310A1 (en) Modular hydropower unit
JP3251927B2 (ja) 空気溶存水を地中に浸透させることによる地盤の地震時液状化防止方法
RU2710164C1 (ru) Способ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ущерба от паводковых наводнений
CN115595942A (zh) 低水头地下式引水构筑物及其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