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1734B1 - 홍수와 수량 조절이 가능한 지하 저수조 - Google Patents

홍수와 수량 조절이 가능한 지하 저수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1734B1
KR100781734B1 KR1020060082279A KR20060082279A KR100781734B1 KR 100781734 B1 KR100781734 B1 KR 100781734B1 KR 1020060082279 A KR1020060082279 A KR 1020060082279A KR 20060082279 A KR20060082279 A KR 20060082279A KR 100781734 B1 KR100781734 B1 KR 1007817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river
wall
tank
settling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2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영
이종석
Original Assignee
이승영
이종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영, 이종석 filed Critical 이승영
Priority to KR10200600822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17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17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17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30Flood prevention; Flood or storm water management, e.g. using flood barri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상시 수량을 조절하면서 수위를 조절하며, 장마나 호우시에는 물을 가두어 홍수를 조절하는 홍수와 수량 조절이 가능한 지하 저수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홍수와 수량 조절이 가능한 지하 저수조는, 하천의 양쪽 측면에 설치되는 침전조와; 상기 침전조의 유입구에 고정되는 제1 걸름망과; 상기 제1 걸름망의 하부에 형성되어 침전조의 유입구를 개폐시키는 제1 롤링게이트와; 상기 양쪽 침전조의 사이에서 하천 바닥에 매설되며, 측면에는 집수구가 형성되고, 전에는 다수개의 수량조절배수구와 홍수조절배수구가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집수구에 고정되는 제2 걸름망과; 상기 몸체의 홍수조절배수구에 연결되어 몸체의 물을 하천으로 배출시키는 홍수조절관과; 상기 몸체의 수량조절배수구에 연결되어 물을 하천으로 배출시키는 수량조절관과; 상기 홍수조절배수구와 수량조절배수구에 형성되는 제2 롤링게이트와; 상기 수량조절관의 단부에 형성되어 배출되는 물이 머물렀다 배출되는 배수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홍수, 수량 유지, 재해방지, 친환경, 지하저수조, 홍수조절관, 수량조절관, 재해방지, 침전조

Description

홍수와 수량 조절이 가능한 지하 저수조{Underground water tank having adjustable the quantity of wat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홍수와 수량 조절이 가능한 지하 저수조가 하천에 설치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홍수와 수량 조절이 가능한 지하 저수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저수조 몸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저수조 몸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실시예 1.
도 5는 도 4의 몸체가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저수조 몸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실시예 2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저수조 몸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실시예 3.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저수조 몸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 시한 실시예 4.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하천 110 : 바닥
200 : 침전조 210 : 유입구
211 : 제1 걸름망 212 : 제1 롤링게이트
300 : 몸체 310 : 토사차단판
320 : 집수구 321 : 제2 걸름망
340 : 홍수조절배수구 350 : 수량조절배수구
360 : 상부벽 361 : 연결턱
362 : 관통공 370 : 측벽
371 : 걸림턱 380 : 하부벽
390 : 고정부재 391 : 강선
392 : 조임구 390' : 긴장봉
400 : 홍수조절관 500 : 수량조절관
600 : 배수정 700 : 라보댐
본 발명은 평상시 수량을 조절하면서 수위를 조절하며, 장마나 호우시에는 물을 가두어 홍수를 조절하는 홍수와 수량 조절이 가능한 지하 저수조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의 중소하천 대부분은 상류부 구간의 표고차가 커 수로경사가 급한 관계로 건기 시 하천에 필요한 최소한의 유량인 하천유지유량의 확보문제 및 홍수 시 순간적인 하천수의 방출로 인해 하천 범람을 초래하여 막대한 피해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하천에 수문을 형성하여 평상시에는 물을 가두어 일정한 양의 물을 가둔 상태에서 일정한 양의 물이 흐르도록 하여, 하천의 미관이 좋게 하고 호우시에는 수문을 열어 유입되는 물이 신속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하고 있지만, 이는 단순히 하천의 미관을 위하여 물을 막은 것에 불과하기 때문에 홍수조절이나 하천을 흐르는 수량을 조절하지는 못했으며, 물을 미관상 단순히 가두어 놓기 때문에 수량이 없어 물이 거의 흐르지 않으면 하천의 바닥에 낙엽 등이 퇴적물이 쌓이면서 물의 흐름을 방해하며, 물이 흐르지 않아 물에 산소가 공급되지 않으면서 하천에 고인 상태에서 부패하며, 하천의 바닥에 쌓인 퇴적물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썩으면서 소하천의 물이 죽는 문제점이 발생하였으며, 모든 물의 근원이며 상류인 소하천이 부패되면 하류로 유입되는 물도 깨끗하지 않기 때문에 상수도원에 문제가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호우시에는 일정한 양의 물을 저장하다가 건기시에는 하천의 수량을 조절하는 홍수와 수량 조절이 가능한 지하 저수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저렴한 비용으로 환경파괴를 최소화하면서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는 홍수와 수량 조절이 가능한 지하 저수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홍수와 수량 조절이 가능한 지하 저수조는, 하천의 양쪽 측면에 설치되며, 상부에는 하천의 물을 내부로 유입시키는 유입구가 형성되는 침전조와;
상기 침전조의 유입구에 고정되어 부유물이 침전조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걸름망과;
상기 제1 걸름망의 하부에 형성되어 침전조의 유입구를 개폐시키는 제1 롤링게이트와;
상기 양쪽 침전조의 사이에 형성되어 하천 바닥에 매설되고, 내부에는 물이 유입되고 상부에는 물이 이동되는 방향으로 토사차단판을 형성하여 토사가 침전조의 유입구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하며, 측면에는 외부의 물이 유입되는 집수구가 형성되고, 전면 하단부에는 다수개의 수량조절배수구가 형성되며, 전면 상단부에는 다수개의 홍수조절배수구가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집수구에 고정되어 부유물이 몸체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 하는 제2 걸름망과;
상기 몸체의 홍수조절배수구에 연결되어 몸체의 물을 하천으로 배출시키는 홍수조절관과;
상기 몸체의 수량조절배수구에 연결되어 몸체의 물을 하천으로 배출시키는 수량조절관과;
상기 홍수조절배수구와 수량조절배수구에 형성되어 홍수조절배수구와 수량조절배수구를 개폐시키는 제2 롤링게이트와;
상기 수량조절관의 단부에 형성되어 수량조절관을 통해 배출되는 물이 머물렀다 배출되는 배수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홍수와 수량 조절이 가능한 지하 저수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홍수와 수량 조절이 가능한 지하 저수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하천(100)이 흐르는 방향의 바닥(110)에 다수개의 구덩이를 파고 저수조를 넣어 고정한다.
하천(100) 바닥에 고정되는 저수조는 도 2 및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하천물이 유입되어 찌꺼기가 침전되는 침전조(200)와 침전조(200)에서 침전된 물이 보관되는 몸체(300) 및 상기 몸체(300) 내부에 담겨지는 물을 배수정(600)으로 배출시켜 하천으로 흐르도록 하는 홍수조절관(400)과 수량조절관(500)으로 이루어진다.
하천물이 유입되는 침전조(200)는 하천(100)의 양쪽 측면에 형성되며, 상부에는 유입구(210)가 형성되어 하천물이 쉽게 유입되도록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하천(100)의 양쪽 측면에 형성되는 침전조(200)의 유입구(210)에는 제1 걸름망(211)을 형성하여 하천(100)을 따라 떠내려가는 부유물이 침전조(20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1 걸름망(211)이 형성되는 유입구(210)의 제1 걸름망(211) 하부에는 공지된 바와 같이 강제 원통형(鋼製圓筒形)으로 된 문짝의 본체(本體) 부분과 그 밑부분에 장치한 방패판으로 구성되어 있는 수문(水門)의 형식으로 양쪽 끝에 감은 체인 또는 와이어로프에 의해 경사진 궤도(軌道)를 따라 문짝 본체를 전동(轉動)시켜서 감아올리거나 내려 개폐하기 때문에 비교적 수심이 얕고 모래 ·자갈 등이 많은 하천을 막는 경우에 적합한 제1 롤링게이트[rolling gate](212)를 형성하여 침전조(200)의 유입구(210)를 개폐할 수 있도록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하천(100)의 양쪽에 형성되는 침전조(200)의 사이에는 하천물이 저장되는 몸체(300)를 침전조(200)와 연결되도록 형성한다.
양쪽 측면이 침전조(200)와 연결되는 몸체(300)의 측면 상부에는 침전조(200)로 유입된 하천수를 몸체(300)의 내부로 이동시키는 집수구(320)를 형성하여 침전조(200)에서 몸체(300)의 내부로 쉽게 하천수가 이동되도록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침전조(200)와 연결되는 몸체(300)의 집수구(320)에는 침전조(200)에 유입된 부유물이 몸체(3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2 걸름망(321)을 형성한다.
양쪽에 제2 걸름망(321)이 고정되는 집수구(320)가 침전조(200)와 연결되는 몸체(300)의 상부에는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양쪽 상단부에 토사차단판(310)을 형성하여 하천(100)의 양쪽에 형성되는 침전조(200)로 하천(100)의 토사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단부에 침전조(200)로 토사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토사차단판(310)이 형성되는 몸체(300)의 전면 상부에는 다수개의 홍수조절배수구(340)를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몸체(300)의 전면 상부에 형성되는 홍수조절배수구(340)는 도 2 및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다단으로 형성하여 몸체(300)의 내부에 집수되는 하천수의 수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하며, 홍수조절배수구(340)에는 홍수조절관(400)을 연결하여 하천(100)으로 몸체(300)의 내부에 집수된 하천수가 배수되도록 형성한다.
홍수조절관(400)이 연결되어 하천(100)으로 몸체(300)의 내부에 집수된 물이 배출되도록 형성되는 홍수조절배수구(340)가 형성되는 몸체(300)의 전면 하부에는 다수개의 수량조절배수구(350)를 형성한다.
몸체(300)의 전면 하부에 형성되는 수량조절배수구(350)에는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수량조절관(500)을 연결하여 몸체(300)에 집수된 하천수를 하천(100)으로 배수되도록 형성하며, 수량조절관(500)의 단부에는 배수정(600)을 형성하여 수량조절관(500)으로 배수된 하천수가 머물렀다 하천을 따라 이동되게 형성하며, 침전조(200)의 측면과 몸체(300)의 전면 상부에는 라보댐(700)을 형성하여 하천수를 가두어 둘 수 있도록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몸체(300)의 전면 상부와 하부에 형성되는 홍수조절배수구(340)와 수량조절배수구(350)에는 제2 롤링게이트(341)를 형성하여 홍수조절배수구(340)와 수량조절배수구(350)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형성한다.
상부에 토사차단판(310)이 형성되고 전면에는 홍수조절배수구(340)와 수량조절배수구(350)가 형성되는 몸체(300)는 상부벽(360)과 하부벽(380) 및 상기 상부벽(360)과 하부벽(380)을 연결하는 측벽(370)으로 형성한다.
측벽(370)이 연결되는 상부벽(360)은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가 개구되며, 하단부에는 연결턱(361)이 형성되고, 연결턱(361)의 중간부분에는 다수개의 관통공(362)을 형성하며, 측벽(370)은 내부가 중공되게 형성하며,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상부벽(360)의 연결턱(361)과 대응되는 모양의 걸림턱(371)을 형성하고, 걸림턱(371)의 중간부분에는 상부벽(360)의 연결턱(361)에 형성되는 관통공(362)과 대응되는 위치에 동일한 관통공(362)을 형성하며, 하부벽(380)은 상부가 개구되며, 상단부에는 측벽(370)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걸림턱(371)과 대응되는 연결턱(361)을 형성하고, 연결턱(361)의 중간부분에는 관통공(362)을 형성하여 상부벽(360)과 측벽(370) 및 하부벽(380)의 관통공(362)이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몸체(300)의 상부벽(360)과 측벽(370) 및 하부벽(380)은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턱(371)과 연결턱(361)이 서로 맞물리도록 연결한다.
이때, 걸림턱(371)과 연결턱(361)의 사이에는 패킹(330)을 삽입하여 연결되는 부분으로 수압에 의해 누수가 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상부벽(360)과 측벽(370) 및 하부벽(380)이 연결턱(361)과 걸림턱(371)으로 맞물리면서 쌓이면 관통공(362)으로 고정부재(390)를 삽입하여 상부벽(360)과 측벽(370) 및 하부벽(380)을 고정한다.
상부벽(360)과 측벽(370) 및 하부벽(380)을 고정하여 몸체(300)로 이루는 고정부재(390)는 강선(391)과 조임구(392)로 형성하여 강선(391)을 상부벽(360)과 측벽(370) 및 하부벽(380)에 형성되는 관통공(362)에 삽입한 상태에서 공지된 바와 같이 조임구(392)를 통해 강선(391)을 당겨 상부벽(360)과 측벽(370) 및 하부벽(380)이 서로 밀착되면서 고정되도록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형성되는 몸체(300)는 토압이 많이 발생하지 않는 암반구조에서 용이하게 사용되지만 토압이 많이 발생되는 부분에 매설되는 몸체(300)는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벽(360)의 하부와 하부벽(380)의 상부에 삽입홈(363)을 형성하고, 삽입홈에는 내부가 중공되는 측벽(370)의 단부를 끼워 몸체(300)를 형성하도 록 하며, 하부벽(380)와 측벽(370) 및 상부벽(360)과 측벽(370)의 모서리부분에는 다수개의 긴장봉(390')을 고정하여 토압에 의해서 측벽(370)이 파손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도 7과 도 8은 몸체(300)의 또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도 7은 도 6에서 도시된 몸체(300)를 가로로 확장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8은 몸체(300)를 세로로 확장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평상시에는 사용자에 의해서 하천수가 침전조(200)를 통해 몸체(300)로 유입되거나 차단되며 하천수는 몸체(300)의 상부에 형성된 토사차단판(310)에 의해서 하천에서 이동되는 토사가 침전조(200) 쪽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우천시 홍수가 염려되면 몸체(300)의 전면에 형성되는 홍수조절배수구(340)와 수량조절배수구(350)에 형성된 제2 롤링게이트(341)를 차단시켜 몸체(300)의 내부로 집수되는 하천수가 배출되지 못하도록 설정한 상태에서 바닥(110)에 형성된 제1 롤링게이트(212)를 열어 하천수가 유입구(210)를 통해 침전조(20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한다.
하천수가 유입구(210)를 통해 침전조(200)의 내부로 유입될 때 하천수에 섞여있는 부유물은 침전조(200)의 유입구(210)에 고정된 제2 걸름망(321)에 걸리기 때문에 침전조(200)로 불순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이 제2 걸름망(321)에 의해서 걸러진 하천수는 침전조(200)로 유입되며, 침전조(200)로 유입된 하천수는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300)에 형성된 집수구(320)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침전조(200)로 유입된 하천수가 몸체(300)의 내부에 모아지기 때문에 일정량의 하천수를 가둬둘 수 있어 저류효과를 가져와 홍수를 조절할 수 있다.
몸체(300)의 내부에 다량의 하천수를 저장하여 홍수부담을 저감시키는 몸체(300)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하천(100)을 따라 곳곳에 여러개를 설치하기 때문에 충분히 홍수를 조절할 수 있으며, 몸체(300)의 전면 상부에 형성되는 홍수조절배수구(340)의 제2 롤링게이트(341)를 개폐시키면서 하천의 수위를 조절한다.
상기와 같이 우기에 몸체(300)의 내부에 하천수를 저장하여 홍수를 조절하며, 건기에는 몸체(300)의 하부에 형성된 수량조절배수구(350)의 제2 롤링게이트(341)를 개폐시키면서 하천(100)의 수량을 조절하여 항상 일정한 양의 하천수가 흐르도록 하여 친환경적인 하천을 조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사용되는 바닥(110)에 다량의 토사가 쌓일 때는 제1 걸름망(211)을 제거한 상태에서 인력으로 토사를 외부로 제거하며, 몸체(300)의 내부에 쌓이는 토사는 고압의 수압으로 수량조절배수구(350)를 통해 외부로 밀어내어 사용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홍수와 수량 조절이 가능한 지하 저수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에 속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저수조를 하천에 계단식으로 축조하여 우기에는 일정한 양의 물을 가둘 수 있기 때문에 하류부의 홍수피해를 줄일 수 있으며, 건기시에는 우기에 저장한 물을 흘려보내 하천의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친환경적인 하천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하천의 지하에 저수조를 매설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설치시 용지보상이 없으며, 저수조를 조립식으로 형성하여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어 동절기에도 시공을 할 수 있어 시간과 비용을 현저하게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표고차를 이용한 자연 유하식이므로 관리 유지비가 저렴한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Claims (5)

  1. 하천의 양쪽 측면에 설치되며, 상부에는 하천의 물을 내부로 유입시키는 유입구가 형성되는 침전조와;
    상기 침전조의 유입구에 고정되어 부유물이 침전조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걸름망과;
    상기 제1 걸름망의 하부에 형성되어 침전조의 유입구를 개폐시키는 제1 롤링게이트와;
    상기 양쪽 침전조의 사이에 형성되어 하천 바닥에 매설되고, 내부에는 물이 유입되고 상부에는 물이 이동되는 방향으로 토사차단판을 형성하여 토사가 침전조의 유입구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하며, 측면에는 외부의 물이 유입되는 집수구가 형성되고, 전면 하단부에는 다수개의 수량조절배수구가 형성되며, 전면 상단부에는 다수개의 홍수조절배수구가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집수구에 고정되어 부유물이 몸체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걸름망과;
    상기 몸체의 홍수조절배수구에 연결되어 몸체의 물을 하천으로 배출시키는 홍수조절관과;
    상기 몸체의 수량조절배수구에 연결되어 몸체의 물을 하천으로 배출시키는 수량조절관과;
    상기 홍수조절배수구와 수량조절배수구에 형성되어 홍수조절배수구와 수량조절배수구를 개폐시키는 제2 롤링게이트와;
    상기 수량조절관의 단부에 형성되어 수량조절관을 통해 배출되는 물이 머물렀다 배출되는 배수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수와 수량 조절이 가능한 지하 저수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조의 바깥쪽 단부와 몸체의 전면쪽 하천에는 소형 라보댐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수와 수량 조절이 가능한 지하 저수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홍수조절배수구와 홍수조절관은 다단계로 형성하여 몸체에 채워지는 물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수와 수량 조절이 가능한 지하 저수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하부가 개구되며, 하단부에는 연결턱이 형성되고, 연결턱의 중간부분에 관통공이 다수개 형성되는 상부벽과;
    상기 상부벽의 연결턱과 대응되는 걸림턱이 상단부와 하단부에 형성되면서 내부가 중공되게 형성되며, 걸림턱의 중간부분에는 연결턱의 관통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동일한 관통공이 형성되는 측벽과;
    상기 측벽의 걸림턱과 대응되는 연결턱이 상단부에 형성되면서 상부가 개구되게 형성되며, 연결턱의 중간부분에 관통공이 다수개 형성되는 하부벽과;
    상기 상부벽과 측벽, 하부벽의 연결턱과 걸림턱이 밀착되는 부분에 놓여져 기밀을 유지시키는 패킹과;
    상기 상부벽과 측벽, 하부벽의 관통공에 삽입되는 강선과 상기 강선을 당기는 조임구로 형성되어 상부벽과 측벽, 하부벽을 밀착시키는 고정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수와 수량 조절이 가능한 지하 저수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하부로 삽입홈이 돌출되는 상부벽과;
    상기 상부벽의 삽입홈에 삽입되며, 내부가 중공되게 형성되는 측벽과;
    상기 측벽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상부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하부벽과;
    상기 상부벽과 측벽, 하부벽과 측벽의 모서리부분 고정되어 토압에 의해서 측벽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긴장봉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수와 수량 조절이 가능한 지하 저수조.
KR1020060082279A 2006-08-29 2006-08-29 홍수와 수량 조절이 가능한 지하 저수조 KR1007817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2279A KR100781734B1 (ko) 2006-08-29 2006-08-29 홍수와 수량 조절이 가능한 지하 저수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2279A KR100781734B1 (ko) 2006-08-29 2006-08-29 홍수와 수량 조절이 가능한 지하 저수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1734B1 true KR100781734B1 (ko) 2007-12-03

Family

ID=39139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2279A KR100781734B1 (ko) 2006-08-29 2006-08-29 홍수와 수량 조절이 가능한 지하 저수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173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7070B1 (ko) 2008-03-28 2010-05-13 이승영 홍수와 수량 조절과 소수력발전용 지하 저수장치
CN110068484A (zh) * 2019-04-29 2019-07-30 中国矿业大学 一种井下淋水水样收集装置及其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5987Y1 (ko) 2002-08-27 2002-11-22 수석토건설(주) 가정용 저수조 장치
KR100582747B1 (ko) 2004-06-11 2006-05-23 평산에스아이 주식회사 파형강판 저류장치 및 파형강판 저류시설
KR200426248Y1 (ko) 2006-06-30 2006-09-12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분산형 빗물 저류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5987Y1 (ko) 2002-08-27 2002-11-22 수석토건설(주) 가정용 저수조 장치
KR100582747B1 (ko) 2004-06-11 2006-05-23 평산에스아이 주식회사 파형강판 저류장치 및 파형강판 저류시설
KR200426248Y1 (ko) 2006-06-30 2006-09-12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분산형 빗물 저류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7070B1 (ko) 2008-03-28 2010-05-13 이승영 홍수와 수량 조절과 소수력발전용 지하 저수장치
CN110068484A (zh) * 2019-04-29 2019-07-30 中国矿业大学 一种井下淋水水样收集装置及其方法
CN110068484B (zh) * 2019-04-29 2024-02-20 中国矿业大学 一种井下淋水水样收集装置及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12070C (en) System for draining land areas through siphoning from a permeable catch basin
US4919568A (en) System for draining land areas through siphoning from a permeable catch basin
KR100952192B1 (ko) 우수를 지중에 침투 저장하는 침투 관정을 이용한 워터 포켓
CN212742825U (zh) 一种用于海绵城市的排水系统
KR101142619B1 (ko) 저류조를 이용한 홍수 방지 장치
JP5737675B2 (ja) 砂防堰
KR101220901B1 (ko) 자연담수 저류시스템
KR100973158B1 (ko) 조립식 우수 저장시설
KR100781734B1 (ko) 홍수와 수량 조절이 가능한 지하 저수조
KR101267377B1 (ko) 자연담수 홍수방지 저류 시스템
KR101301042B1 (ko) 하수관거를 이용한 초기우수 저류장치
KR20080101132A (ko) 녹지대용 빗물 저류 화단
JP6739887B1 (ja) 水害時2次排水方法
KR100669228B1 (ko) 우수범람방지를 위한 건축단지내 배수로 구조물
JPH10102573A (ja) 貯留槽を兼ねる浸透桝
KR101316313B1 (ko) 저류조를 이용한 계곡수용 초기우수 보관 처리 시스템
KR101322248B1 (ko) 담수블록을 이용한 배수시스템
KR100806259B1 (ko) 우수차집장치
KR100714315B1 (ko) 화단형 빗물 침투 및 저류 시스템
KR101163130B1 (ko) 분리가능한 투수부재를 갖는 우수받이
KR100957070B1 (ko) 홍수와 수량 조절과 소수력발전용 지하 저수장치
KR100607455B1 (ko) 하천수의 원활한 이용을 위한 수중보
CN207988096U (zh) 生态排水沟
JP6034732B2 (ja) 雨水貯溜配管構造とそれに用いる堰部材
JP5695495B2 (ja) 伏越し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