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3167A - 하우징 일체의 키버튼을 구비한 단말기 - Google Patents

하우징 일체의 키버튼을 구비한 단말기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3167A
KR20090103167A KR1020080028584A KR20080028584A KR20090103167A KR 20090103167 A KR20090103167 A KR 20090103167A KR 1020080028584 A KR1020080028584 A KR 1020080028584A KR 20080028584 A KR20080028584 A KR 20080028584A KR 20090103167 A KR20090103167 A KR 200901031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key button
key
terminal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8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55133B1 (ko
Inventor
김태현
지경수
임종원
Original Assignee
엘지노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노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노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285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5133B1/ko
Priority to EP09003956.1A priority patent/EP2106102B1/en
Priority to ES09003956T priority patent/ES2412430T3/es
Priority to US12/409,720 priority patent/US8053689B2/en
Priority to RU2009111189/09A priority patent/RU2434354C2/ru
Publication of KR200901031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31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51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51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1/00Actuators
    • H01H2221/008Actuators other then push button
    • H01H2221/016Lever; Rock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1/00Actuators
    • H01H2221/036Return force
    • H01H2221/044Elastic part on actuator or ca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단말기의 하우징에 키버튼이 일체로 형성된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일측단부가 단말기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에서 연장되고 상기 하우징에서의 연장부를 제외한 부분은 상기 하우징과 절개된 탄성체로 이루어진 키버튼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키버튼이 눌러지면 키입력을 인식하여 수행하는 키입력스위치를 포함하는 단말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기의 구조가 간단해지고 제조 비용 및 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하우징 일체의 키버튼을 구비한 단말기{TERMINAL HAVING KEY BUTTON INTEGRATED TO HOUSING}
본 발명은 통신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단말기의 하우징에 키버튼이 일체로 형성된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말기는 키입력부를 구비하며, 키입력부는 사용자가 원하는 숫자, 문자 등을 입력하는 수단이다. 종래의 단말기에서 키입력부는 하우징의 키버튼 케이스에 고정되는 키버튼과, 키버튼이 눌러지면 해당되는 키의 입력을 처리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구비한 인쇄회로기판과, 인쇄회로기판상에 구비되어 키버튼이 눌러진 경우 이를 인식하기 위한 키입력스위치가 구비된 키패드를 포함한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종래의 단말기의 키입력부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단말기의 키입력부의 일부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단말기의 키입력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단말기의 키입력부는 하우징(10) 내부의 인쇄회로기판(미도시)과 연결된 키패드(40)에 구비된 키입력스위치(41)와, 키입력스위치(41) 상부에 위치하여 사용자가 누르면 키입력스위치(41)와 접촉하고 누르지 않으면 키입력스위치(40)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위치되는 키버튼(30)과, 키버튼(30)이 눌러지지 않은 경우 입력스위치(41)로부터 이격되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50)과, 하우징(10)과 결합되며 각 키들을 수용하는 키버튼 케이스(20)를 포함한다.
키버튼(30) 하부에는 누름부(31)가 형성되어 키입력스위치(41)를 누르기 용이하다.
상기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키입력장치는 하우징(10)과 별도로 키버튼(30)을 고정하는 케이스(20)를 구비하여야 한다. 또한, 키버튼(30)이 원위치로 되돌아갈 수 있도록 스프링(50)과 같은 복원력 제공수단을 더 구비하여야 하므로 부품수가 많고, 구조적으로 복잡하여 제조 시간 및 비용이 높아져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우징과 키 버튼이 일체로 형성되고, 키버튼을 수용하기 위한 별도의 케이스가 필요 없으며, 키버튼 자체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어서 스프링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부품 수가 적고 구조가 단순하여 제조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는 일측단부가 단말기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에서 연장되고 상기 하우징에서의 연장부를 제외한 부분은 상기 하우징과 절개된 탄성체로 이루어진 키버튼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키버튼이 눌러지면 키입력을 인식하는 키입력스위치를 포함한다.
상기 키버튼은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서 연장된 후 절곡되어 그 절곡면이 상기 하우징의 일면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키버튼의 타측단에는 키입력스위치를 향해 돌출된 누름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키버튼은 상기 하우징의 양측에서 다수개가 각각 연장되어 두 개의 키버튼 열을 이룰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우징은 양측 키버튼 사이를 가로지르는 중앙프레임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키버튼과 하우징의 절개부 표면에는 이물질방지용 시트가 코팅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키버튼이 하우징에서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키버튼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 누름 후 복원되기 때문에 키버튼 케이스가 별도로 구비될 필요가 없고, 복원을 위한 스프링 또한 필요 없어서 단말기의 구조가 간단해지고 제조 비용 및 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단말기의 키입력부의 일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단말기의 키입력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 일체형 키버튼이 구비된 단말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단말기를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5는 도 4의 단말기에서 키버튼과 키입력스위치가 접촉한 경우를 도시한 단면도,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키버튼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10, 210: 하우징 111: 중앙프레임
130, 230: 키버튼 131, 231: 누름부
141, 241: 키입력스위치 250: 이물질방지용 시트
이하,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 일체형 키버튼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 일체형 키버튼이 구비된 단말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단말기를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5는 도 4의 단말기에서 키버튼과 키입력스위치가 접촉한 경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의 측면으로부터 키버튼(130)의 일측단부가 연장되며, 하우징(110) 측면에서 중앙부로 절곡된다. 즉, 하우징(110)에서 연장된 키버튼(130)이 단말기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110)의 일면을 이루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키버튼(130)의 일측단부는 하우징(110)의 양 측면에서 연장되어 키버튼(130)이 하우징(110) 상에서 두 개의 열로 형성된다. 하우징(110)에서 연장되는 부분을 제외하고 키버튼(130)은 하우징(110)과 절개되어 그와 분리된다. 키버튼(130)은 탄성체로 이루어지며, 외력이 인가되지 않으면, 도 4와 같이 하부의 키입력스위치(141)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된다.
키버튼(130)의 타측단 하부로는 누름부(131)가 키입력스위치(141) 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사용자에 의해 키버튼(130)이 눌러질 때, 키입력스위치(141)가 쉽게 눌러질 수 있다.
사용자가 키버튼(130)을 누르면, 하우징(110)과 절개된 키버튼(130)의 누름부(131)가 하부로 이동하여 키입력스위치(141)와 접촉한다. 이에 따라 키입력이 실행된다. 사용자가 키버튼(130)의 누름을 해제하면, 키버튼(130)이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된다.
하우징(110)의 양측에서 연장된 키버튼(130)들 사이를 하우징(110)에서 연장된 중앙프레임(111)이 가로지른다. 중앙프레임(111)은 키버튼(130)의 누름부 근처가 가압되는 경우, 사용자의 손가락이 인접한 키버튼(130)에 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하나의 키버튼(130)을 누르고자 하는 경우 인접한 키버튼(130)이 동시에 함께 눌러지는 것을 중앙프레임(111)이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키버튼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키버튼은 기본적으로 도 5의 키버튼과 동일하지만, 키버튼(230)과 하우징(210)의 절개부분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키버튼(230) 상에 이물질방지용 시트(250)가 코팅된 것이다.
특히, 키버튼(230)과 하우징(210) 사이의 절개부를 통해 습기가 유입되면, 단말기 내부의 인쇄회로기판(미도시)에 치명적인 영향을 준다. 즉, 유입된 습기에 의해 단말기의 인쇄회로기판에서 누전, 합선 등이 발생하여 단말기의 오작동이 발생할 수 있고, 인쇄회로기판의 금속 부품들의 부식이 일어날 수 있으며, 곰팡이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이물질방지용 시트(250)는 키버튼(230)의 절개부를 모두 커버하도록 코팅된다. 이물질방지용 시트(250)는 탄성력이 있고 방수성이 있는 필름재질로 이루어지며, 키버튼(230)이 눌러지면 늘어나고 누름이 해제되면 원래의 시트(230) 크기로 복원되어 키입력에 방해되지 않는다. 이러한 이물질방지용 시트(250)는 그의 파손 또는 하우징(210)과의 접착력이 저하된 경우 교체가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Claims (6)

  1. 단말기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에 일측단이 일체로 결합되어 그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하우징과 결합한 일측단을 제외한 부분은 상기 하우징과 절개된 탄성체로 이루어진 키버튼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키버튼이 눌러지면 키입력을 인식하는 키입력스위치
    를 포함하는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버튼은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서 연장된 후 절곡되어 그 절곡면이 상기 하우징의 일면을 이루는 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키버튼의 타측단에는 키입력스위치를 향해 돌출된 누름부가 형성되는 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버튼은 상기 하우징의 양측에서 각각 복수개가 연장되어 두 개의 열을 이루는 단말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양측 키버튼 사이를 가로지르는 중앙프레임을 더 구비하는 단말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키버튼과 하우징의 절개부 표면에는 이물질방지용 시트가 코팅되는 단말기.
KR1020080028584A 2008-03-27 2008-03-27 하우징 일체의 키버튼을 구비한 단말기 KR1009551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8584A KR100955133B1 (ko) 2008-03-27 2008-03-27 하우징 일체의 키버튼을 구비한 단말기
EP09003956.1A EP2106102B1 (en) 2008-03-27 2009-03-19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housing with key buttons coupled thereto
ES09003956T ES2412430T3 (es) 2008-03-27 2009-03-19 Terminal de comunicaciones provisto de una carcasa con teclas acopladas al mismo
US12/409,720 US8053689B2 (en) 2008-03-27 2009-03-24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housing with key buttons coupled thereto
RU2009111189/09A RU2434354C2 (ru) 2008-03-27 2009-03-26 Терминал для связи, имеющий корпус с кнопочными переключателями, соединенными с ни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8584A KR100955133B1 (ko) 2008-03-27 2008-03-27 하우징 일체의 키버튼을 구비한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3167A true KR20090103167A (ko) 2009-10-01
KR100955133B1 KR100955133B1 (ko) 2010-04-28

Family

ID=40691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8584A KR100955133B1 (ko) 2008-03-27 2008-03-27 하우징 일체의 키버튼을 구비한 단말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053689B2 (ko)
EP (1) EP2106102B1 (ko)
KR (1) KR100955133B1 (ko)
ES (1) ES2412430T3 (ko)
RU (1) RU2434354C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8979A (ko) * 2013-11-21 2015-05-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94804A1 (en) * 2008-01-24 2009-08-06 Panasonic Corporation Key switch and electronic device
US20110089007A1 (en) * 2009-10-15 2011-04-21 Christopher Fruhauf Mechanical button seamlessly integrated into a smooth surface
EP2575330B1 (en) * 2011-09-27 2018-08-22 BlackBerry Limited System for securing a keypad to a housing
US8665220B2 (en) 2011-09-27 2014-03-04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for securing a keypad to a housing
US8742275B1 (en) 2011-12-16 2014-06-03 Google Inc. Cantilevered integrated function keys
US9620310B2 (en) * 2013-12-11 2017-04-11 Siemens Industry, Inc. Accessory device having integrally formed plunger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473350A (en) * 1975-02-26 1977-05-11 Plessey Co Ltd Cover for push-button controlled electrical switches
US4128744A (en) * 1977-02-22 1978-12-05 Chomerics, Inc. Keyboard with concave and convex domes
JPS57152725U (ko) * 1981-03-20 1982-09-25
SE432680B (sv) 1982-08-30 1984-04-09 Ericsson Telefon Ab L M Tangentmekanism
US5311656A (en) * 1991-03-12 1994-05-17 Mitel Corporation Keypad method of manufacture
JPH11355410A (ja) 1998-06-09 1999-12-24 Hiromi Kasuga 携帯電話機
JP3896707B2 (ja) * 1998-10-23 2007-03-2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パネルスイッチおよびその機器への装着方法
US6469256B1 (en) * 2000-02-01 2002-10-2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tructure for high speed printed wiring boards with multiple differential impedance-controlled layers
FI20011304A (fi) * 2001-06-19 2002-12-20 Nokia Corp Tiivis integroitu näppäimistö ja menetelmä sen valmistamiseksi
FI20021024A (fi) * 2002-05-30 2003-12-01 Nokia Corp Päällysrakenne näppäimistöä varten
US7151237B2 (en) * 2003-01-31 2006-12-19 Neeco-Tron, Inc. Control housing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FI115330B (fi) * 2003-06-13 2005-04-15 Nokia Corp Näppäimistö ja menetelmä sen valmistamiseksi
US7067757B1 (en) * 2004-12-17 2006-06-27 Siemens Communications Inc. Multi-tier keypad assembly
KR20060109621A (ko) * 2005-04-18 2006-10-23 (주)썬텔 케이스일체형키패드의 제조방법
KR100774611B1 (ko) * 2006-03-13 2007-11-09 주식회사 삼영테크놀로지 통신기기용 일체형 금속 전면커버
KR100761067B1 (ko) * 2006-03-13 2007-09-28 주식회사 삼영테크놀로지 휴대용 단말기의 스위치 일체형 키패드 어셈블리
RU55236U1 (ru) 2006-04-26 2006-07-27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Альт Телеком" Защитный чехол для мобильного телефона (варианты)
US7256363B1 (en) * 2006-09-18 2007-08-14 Lear Corporation Intermediate switch actuator array
US8280459B2 (en) * 2008-03-25 2012-10-02 Motorola Mobility, Inc. Integral housing and user interfa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8979A (ko) * 2013-11-21 2015-05-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5133B1 (ko) 2010-04-28
EP2106102A3 (en) 2012-02-08
EP2106102A2 (en) 2009-09-30
ES2412430T3 (es) 2013-07-11
US20090242375A1 (en) 2009-10-01
EP2106102B1 (en) 2013-05-08
RU2009111189A (ru) 2010-10-10
US8053689B2 (en) 2011-11-08
RU2434354C2 (ru) 2011-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5133B1 (ko) 하우징 일체의 키버튼을 구비한 단말기
US9852854B1 (en) Slim-type keyboard
US20100103611A1 (en) Electronic device
JP6945311B2 (ja) カバー
JP2018160025A5 (ko)
JP4610518B2 (ja) ディスプレイユニット及びこれを備える携帯端末機
KR20140110607A (ko) 키버튼 어셈블리 및 그 운용 방법
US7228111B2 (en) Keypad structure
US9715976B2 (en) Keyboard device
KR200442488Y1 (ko) 돔 스위치의 상부에 가압돌기가 형성된 시트를 구비한키패드 조립체
KR200326795Y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입력부
JPH0531243B2 (ko)
CN207518640U (zh) 一种电子设备及其带有按键功能的触摸指纹组件
KR101197285B1 (ko) 사이드 스위치 모듈
KR100434909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이드 키 장치
KR101272345B1 (ko) 신호발생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KR101452970B1 (ko) 휴대 단말기의 사이드 키 모듈
KR100863311B1 (ko) 컨트롤 패널 어셈블리
JP2000243181A (ja) 押圧型スイッチ構造
JPS6012173Y2 (ja) キ−釦スイッチ装置
KR100459772B1 (ko) 키버튼 어셈블리
KR100596302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키패드
JPH0193015A (ja) キートップ付ラバースイッチ
JP2001306218A (ja) キー入力装置
JPH0527925U (ja) ボタンスイツ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