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2999A - 주혈관과 분지혈관에 설치된 스텐트의 위치이동 및 카리나크러쉬용 카테터 - Google Patents

주혈관과 분지혈관에 설치된 스텐트의 위치이동 및 카리나크러쉬용 카테터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2999A
KR20090102999A KR1020080028310A KR20080028310A KR20090102999A KR 20090102999 A KR20090102999 A KR 20090102999A KR 1020080028310 A KR1020080028310 A KR 1020080028310A KR 20080028310 A KR20080028310 A KR 20080028310A KR 20090102999 A KR20090102999 A KR 200901029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heter
crush
carina
main body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8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58886B1 (ko
Inventor
장양수
백성일
안용철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안용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안용철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028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8886B1/ko
Priority to JP2011501718A priority patent/JP5524948B2/ja
Priority to US12/934,961 priority patent/US20110029061A1/en
Priority to PCT/KR2009/001535 priority patent/WO2009120021A2/en
Publication of KR200901029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29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88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88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56Single tubular stent with a side portal pass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95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 A61F2/954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for placing stents or stent-grafts in a bifurc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95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 A61F2002/9534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for repositioning of st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50/00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50/0058Additional features; Implant or prostheses propert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250/006Additional features; Implant or prostheses propert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dul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025/1043Balloon catheters with special features or adapted for special applications
    • A61M2025/1045Balloon catheters with special features or adapted for special applications for treating bifurcations, e.g. balloons in y-configuration, separate balloons or special features of the catheter for treating bifurcations

Abstract

본 발명은 분지부 혈관에 설치된 스텐트의 돌기부를 제거할 수 있는 카리나 크러쉬용 카테터에 관한 것으로서, 주혈관 및 분지혈관에 각각 설치된 스텐트의 조정이 필요한 경우, 주혈관과 분지혈관으로 간편하게 삽입되어 분지부 혈관에 삽입된 스텐트의 돌기부를 제거함으로써, 분지부 병변 부위를 완벽하게 커버하여 시술 후 혈관의 재협착을 줄일 수 있는 카테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주혈관과 분지혈관에 설치된 스텐트의 위치이동 및 카리나 크러쉬용 카테터{Catheter for carina crush and a position movement of stent installed to bifurcation vessel}
본 발명은 분지부 혈관에 설치된 스텐트의 돌기부를 제거할 수 있는 카리나 크러쉬용 카테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주혈관 및 분지되는 혈관에 각각 설치된 스텐트의 조정이 필요한 경우, 간편하게 주혈관과 분지혈관으로 삽입되어 분지부 혈관 내 스텐트의 돌기부를 제거할 수 있는 카테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협착 또는 폐색(閉塞)되어 직경이 좁아진 혈관을 확장하기 위한 치료인 경피성(經皮性) 혈관 성형술(PCI: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에는 스텐트(stent)와 풍선 카테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도 1을 보면, 주혈관(10)과 상기 주혈관(10)에서 분기되는 분지혈관(11) 사이에 협착이 발생하여 스텐트(210, 220)를 주혈관(10)과 분지혈관(11)에 각각 설치하는 경우도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협착된 혈관 부위에 통로가 형성되고, 팽창된 풍선을 수축시켜도 팽창된 스텐트는 팽창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혈관을 확장시키게 된다.
그러나, 스텐트가 삽입된 환자 중 많은 경우에 스텐트(220)가 분지부위에 정확히 위치되지 않거나, 분지부 스텐트(220)가 주혈관(10)에 삽입된 스텐트(210)로 밀려나 위치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분지부 혈관(11)에 삽입된 스텐트(220)의 돌기부분을 “카리나”라고 한다. (도 1의 A부분 참조)
즉, 분지부 혈관(bifurcation)에 새로운 병변(denovo lesion)이 발생할 경우 현재의 약물 코팅된 금속망 형태의 스텐트의 시술로는 병변 부위에 효과적인 치료를 기대하기가 다소 어려운 실정이며, 시술 후에도 분지부위에 재협착(ISR: Instent- Restenosis)이 발생하여 재 치료률이 높은 점이 문제점으로 제기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주혈관과 분지 혈관에 각각 삽입된 스텐트의 위치를 재조정할 필요가 있는 경우, 즉 분지부 혈관에 삽입된 스텐트의 돌기부를 제거함과 동시에 신속하게 양측 스텐트의 위치를 동시에 조정할 수 있도록 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부재를 카테터 중심축에 삽입함으로써 카테터의 내구력이 약해지는 것을 방지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본체에 형성되고 와이어가 각각 통과하는 제 1 및 제 2 가이드부를 포함하되, 각 가이드부는 본체에 고정된 고정부 및 고정부에서 연장된 분지부로 이루어져, 상기 제 1 및 제 2 가이드부의 분지부는 본체의 선단부에서 예각을 이루며, 상기 본체의 선단부는 분지부 혈관에 삽입된 스텐트의 돌기부분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리나 크러쉬용 카테터를 제공한다.
카테터의 본체는 연질의 재료로 이루어진 케이싱; 케이싱 내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지지부재; 및 지지부재와 케이싱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가이드부와 각각 대응하는 제 1 및 제 2 차단판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는 지지부재의 선단부에 고정된 표시부를 더 포함하여, 삽입되는 카테터의 위치가 확인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제 1 및 제 2 가이드부의 고정부는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분지부 혈관 병변에 스텐팅(stenting)을 한 경우(Provisional T-stent, Crush stent, V-stent, Y-stent등) 생기는 스텐트 돌기 부분을 카테터의 본체 선단부로 가압하여 혈관 쪽으로 밀착시킴으로써 혈류를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카테터를 가이드하기 위하여 카테터의 양측에 가이드부를 만들어, 가이드 와이어의 삽입시 본체의 차단판에 의해 두 개의 와이어 간에 서로 간섭이 발생하지 않아, 가이드 와이어의 삽입이 용이하고 안정된 시술이 가능하다.
도 1은 기존의 분지부 혈관에 스텐트의 시술시 나타나는 카리나(융기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카리나 크러쉬용 카테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카테터의 가이드부를 통해 가이드 와이어가 삽입된 카테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를 통해 분지부 혈관에 생기는 카리나를 가압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를 통해 카리나 부분을 가압함으로써 융기부가 없어져 개선된 구조의 분지부 혈관 내의 스텐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리나 크러쉬용 카테터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부를 통해 가이드 와이어가 삽입된 카테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는 본체(29) 및 상기 본체(29)의 외주면에 고정되며, 와이어(30)가 각각 통과하는 제 1 및 제 2 가이드부(24, 25)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및 제 2 가이드부의 분지부(24-2, 25-2)는 본체의 선단부(60)에서 예각을 이루며, 상기 본체의 선단부(60)는 분지부 혈관에 삽입된 스텐트의 돌기부분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 및 제 2 가이드부(24, 25)는 본체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고정부(24-1, 25-1)와 본테의 선단부(60)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분지부(24-2, 25-2)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2개의 분지부(24-2, 25-2)는 본체의 선단부에서 예각을 이룬다. 상기 고정부는 고정부를 이루는 관 안에 스테인레스 메쉬가 들어가 있는 경질의 재료가 바람직하며, 상기 분지부는 분지부를 이루는 관 자체로 구성되어 연질의 재료가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성질이 다른 두 개의 관을 붙이는 방법은 웰딩기를 사용하여 두 개의 관을 연결하여 열을 가해 접합시키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24-1, 25-1)는 혈관 내에 카테터의 삽입시 소정의 지지력을 가지도록 경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본체에 지지력을 부여하기 위하여 본체(29)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지지부재(26)를 더 구비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재(26)는 코어 와이어라고 명명되며, 재질은 Ti 43.9%와 Ni 56.1%로 구성된 니티놀(nitinol)이 사용된다. 이러한 지지부재로는 0.014 인치(0.35mm) 가이드 와이어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면에 나와 있듯이 두 개의 와이어 가이드부의 고정부(24-1, 25-1)의 길이는 각각 다르게 되어 있다. (도 3의 L부분) 이처럼 다른 길이를 가진 고정부(24-1, 25-1)를 통해, 시술시 주혈관에 위치된 와이어와 분지혈관에 위치된 와이어를 구분하기 용이한 점이 있는데, 상기 가이드부의 고정부(24)의 서로 다른 길이의 차이는 7~12 cm가 바람직하고, 9~11cm가 더 바람직하다.
가이드부의 분지부(24-2, 25-2)는 주혈관과 분지혈관의 연결각도에 따라 유연하게 삽입 가능하도록 연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Y형태의 관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체의 선단부에서 예각을 이루는 분지부는 2~5 mm길이로 분지된 것이 바람직하다. 분지부의 길이가 2mm 미만인 경우에는 분지부로서의 기능을 하기 어려우며, 5mm 초과시에는 분지부의 길이가 너무 길어져 혈관의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
고정부(24-1, 25-1)와 분지부(24-2, 25-2)로 구성된 제 1 및 제 2 가이드부(24, 25)는 양 종단(21, 23)이 개방된 중공의 관형 부재로서, 가이드 와이어(30)가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양 종단(21, 23)은 가이드 와이어가 삽입되는 분지부의 종단(21)과 가이드 와이어가 가이드부를 통과하여 나오는 고정부의 종단(23)으로 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부의 직경은 가이드 와이어가 삽입하여 통과가 가능하도록 가이드 와이어 직경보다 다소 큰 직경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0.014인치의 가이드 와이어를 사용할 경우에는 가이드 와이어가 삽입되어 시술시 원할히 이동하도록 가이드부의 직경은 0.015~0.016 인치가 바람직하다. 또한 양 종단이 서로 동일 선상에 있게 되면 와이어 가이드부의 지지력이 약해져 분지부 종단에서 꺽일 염려가 있으므로, 7~13 cm의 차이가 나도록 서로 다른 높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9~12cm가 더욱 바람직하다.
본체의 선단부(60)에는 표시부(22)가 위치하고 있는데, 이러한 표시부(22)로는 금속제 또는 수지류의 라디오마커를 견고히 부착하여 혈관 내에 삽입된 카테터의 위치를 파악하기 용이하도록 한다. 라디오마커는 방사선을 불투과시키는 재료인 납 또는 금을 사용하여 시술시 카테터의 위치를 파악하는데, 이는 분지부 혈관의 스텐트 돌기부를 가압함에 앞서 매우 중요하다.
상기 라디오마커는 마커밴드라고도 명명되며, 구체적으로 실시되는 재료로는 플래티늄(platinum) 90%와 이리듐(iridium) 10%의 조합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압시 카테터 본체가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표시부인 라디오마커는 본체에서 지지부재(26)의 끝단에 위치하며, 두 개의 와이어 가이드부의 고정부(24-1, 25-1)와 분지부(24-2, 25-2)의 경계점에 접합되어 있어 가압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방사선으로 환자의 수술 부위를 투시할 경우 라디오마커를 통해 카테터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본체(29)는 연질의 재료로 이루어진 케이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케이싱 내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지지부재(26); 및 지지부재(26)와 케이싱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가이드부의 고정부(24-1, 25-1)와 각각 대응하는 제 1 및 제 2 차단판(28)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체에 와이어 가이드부의 고정부(24-1, 25-1)가 접합되며, 본체는 지지대 및 손잡이(27) 역할을 한다. 상기 손잡이(27)은 허브라고도 명명되며, 재질은 폴리카본네이트(polycarbonate)로 이루어진다.
케이싱을 구성하는 연질의 재료는 폴리아미드(polyamide)로 제조되며, 케이싱 내에 본체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 지지부재(26)가 있다. 상기 지지부재(26)는 카테터로 시술시 혈관으로 밀어 넣거나 빼내는 과정에서 와이어가 휘어져 혈관에 손상을 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 보통 경질의 재료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통상 와이어가 설치된다.
지지부재(26)와 케이싱 사이에는 제 1 및 제 2 가이드부의 고정부(24-1, 25-1)와 각각 대응하는 제 1 및 제 2 차단판(28)이 배치되어 있다.
가이드 와이어(도 3의 30)는 가압하는 힘에 의해 만곡이 되지만 중간의 제 1 및 제 2 차단판(28)에 의해 차단되어 양 측의 가이드 와이어 간에 서로 간섭을 받지 않고 삽입이 가능하게 되며, 적정한 지지력을 받아 분지부 혈관에 삽입된 스텐트에 발생하는 돌기부를 가압할 수 있다.
현재 관상동맥 중재적 시술시 해결되지 않는 분지부 병변에 대한 치료효과를 높이기 위함으로 다음과 같은 시술을 할 수 있다.
각각의 스텐트를 스텐트 카테터를 사용하여 분지부 병변에 삽입한 후 2개의 0.014 인치 가이드 와이어를 주혈관과 분지부 혈관에 정위치시킨다. 상기의 가이드 와이어는 이후 카리나 크러쉬용 카테터가 원하는 시술 부위까지 도달하게 하는 기능을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를 이용하여 시술시 두 개의 가이드 와이어를 각각 제 1 및 제 2 가이드부의 분지부 종단(21)에 삽입하고, 고정부 종단(23)으로 나오게 한다. 가이드 와이어(30)는 가압하는 힘에 의해 만곡이 되지만 중간의 제 1 및 제 2 차단판(28)에 의해 차단되어 양 측의 가이드 와이어 간에 서로 간섭을 받지 않고 삽입이 가능하게 되며, 적정한 지지력을 받아 분지부 혈관에 삽입된 스텐트에 발생하는 돌기부를 가압한다.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의 카테터를 이용하여 주혈관(10)과 분지부 혈관(11)에 설치된 스텐트(210, 220)의 위치를 조정하고자 하는 경우, 두 개의 가이드 와이어(30)를 가이드부의 분지부 종단(21)에 각각 삽입한 후 고정부 종단(23)으로 빼낸다.
그리고 카테터를 시술하고자 하는 주혈관(10)으로 삽입하여 분지 혈관(11)이 분기되는 위치에 고정시키고, 가이드 와이어(30)를 조절하여 제 1 가이드부의 분지부가 주혈관(10) 측으로 삽입되도록 밀어 넣고, 제 2 가이드부의 분지부는 분지 혈관측(11)으로 삽입되도록 밀어 넣는다.
이후 카테터의 본체 선단부(60), 즉 와이어 가이드부의 분지부가 시작되는 지점을 통해 가압하여 스텐트 간에 교차시 생기는 돌기부(100)를 제거한다. (도 4b 참조) 이 때 본체 선단부(60)에 존재하는 표시부(22)인 라디오마커를 통하여 정확한 카리나 부위를 가압할 수 있다.
가압은 수 차례에 걸쳐서 이루어지며, 돌기부(100)는 점점 혈관 벽쪽으로 붙여준다. (도 4c 참조) 이는 돌기부(100)로 인한 혈류의 지체로 인한 재협착을 막기 위해서인데, 돌기부(100)를 처리하여 혈류를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5는 상기와 같은 시술로 인해 분지부 혈관(11)에 스텐팅(220) 시술시 생기는 돌기부가 제거된 부분(C 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Claims (15)

  1. 본체에 형성된 각각 와이어가 통과할 수 있는 제 1 및 제 2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각 가이드부는 본체에 고정된 고정부 및 고정부에서 연장된 분지부로 이루어져, 상기 제 1 및 제 2 가이드부의 분지부는 본체의 선단부에서 분지되며, 상기 본체의 선단부는 분지부 혈관에 삽입된 스텐트의 돌기부분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리나 크러쉬용 카테터.
  2. 제 1 항에 있어서,
    각 가이드부는 본체의 외주면에 접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리나 크러쉬용 카테터.
  3. 제 1 항에 있어서,
    가이드부는 본체와 일체로 구성되며, 본체에 의해 제 1 및 제 2 가이드부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리나 크러쉬용 카테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가이드부의 고정부는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리나 크러쉬용 카테터.
  5. 제 4 항에 있어서,
    각각의 고정부의 길이의 차는 7~12c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리나 크러쉬용 카테터.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이드부의 직경은 0.014 ~ 0.015 인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리나 크러쉬용 카테터.
  7. 제 1 항에 있어서,
    가이드부의 고정부는 폴리아미드로 이루어진 관에 스테인레스 메쉬가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리나 크러쉬용 카테터.
  8. 제 1 항에 있어서,
    가이드부의 분지부는 폴리아미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리나 크러쉬용 카테터.
  9. 제 1 항에 있어서,
    가이드부의 분지부는 본체의 선단부에서 예각을 이루며 분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리나 크러쉬용 카테터.
  10. 제 9 항에 있어서,
    본체의 선단부에서 예각을 이루는 분지부는 2~5 mm길이로 분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리나 크러쉬용 카테터.
  11. 제 1 항에 있어서,
    본체는 연질의 재료로 이루어진 케이싱; 및
    케이싱 내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리나 크러쉬용 카테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지지부재와 케이싱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가이드부와 각각 대응하는 제 1 및 제 2 차단판을 추가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리나 크러쉬용 카테터.
  13. 제 11 항에 있어서,
    지지부재 선단부에 고정된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리나 크러쉬용 카테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방사선이 투과되지 않는 금속제 또는 수지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리나 크러쉬용 카테터.
  15. 제 14 항에 있어서,
    표시부의 재료인 금속제는 납 또는 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리나 크러쉬용 카테터.
KR1020080028310A 2008-03-27 2008-03-27 주혈관과 분지혈관에 설치된 스텐트의 위치이동 및 만성폐색병변 시술용 카테터 KR1009588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8310A KR100958886B1 (ko) 2008-03-27 2008-03-27 주혈관과 분지혈관에 설치된 스텐트의 위치이동 및 만성폐색병변 시술용 카테터
JP2011501718A JP5524948B2 (ja) 2008-03-27 2009-03-26 カリーナ改良用カテーテル
US12/934,961 US20110029061A1 (en) 2008-03-27 2009-03-26 Carina modification catheter
PCT/KR2009/001535 WO2009120021A2 (en) 2008-03-27 2009-03-26 Carina modification cathe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8310A KR100958886B1 (ko) 2008-03-27 2008-03-27 주혈관과 분지혈관에 설치된 스텐트의 위치이동 및 만성폐색병변 시술용 카테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2999A true KR20090102999A (ko) 2009-10-01
KR100958886B1 KR100958886B1 (ko) 2010-05-20

Family

ID=41114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8310A KR100958886B1 (ko) 2008-03-27 2008-03-27 주혈관과 분지혈관에 설치된 스텐트의 위치이동 및 만성폐색병변 시술용 카테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10029061A1 (ko)
JP (1) JP5524948B2 (ko)
KR (1) KR100958886B1 (ko)
WO (1) WO2009120021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2951B1 (ko) * 2021-03-19 2021-09-15 임영효 심장혈관의 입구에 빠른 스텐트 시술을 위한 카테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98252B2 (en) 2008-09-25 2022-04-12 Advanced Bifurcation Systems Inc. Stent alignment during treatment of a bifurcation
CN102215780B (zh) 2008-09-25 2015-10-14 高级分支系统股份有限公司 部分压接支架
US8769796B2 (en) 2008-09-25 2014-07-08 Advanced Bifurcation Systems, Inc. Selective stent crimping
WO2011119883A1 (en) 2010-03-24 2011-09-29 Advanced Bifurcation Systems, Inc. Stent alignment during treatment of a bifurcation
AU2011232360B2 (en) 2010-03-24 2015-10-08 Advanced Bifurcation System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treating a bifurcation with provisional side branch stenting
CN103037816B (zh) * 2010-03-24 2018-12-28 高级分支系统股份有限公司 用于处理分叉部的系统和方法
WO2012109382A2 (en) 2011-02-08 2012-08-16 Advanced Bifurcation Systems, Inc. Multi-stent and multi-balloon apparatus for treating bifurcations and methods of use
EP2672932B1 (en) 2011-02-08 2018-09-19 Advanced Bifurcation Systems, Inc. System for treating a bifurcation with a fully crimped stent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96020B2 (en) * 1996-11-04 2003-07-22 Advanced Stent Technologies, Inc. Method of delivering a stent with a side opening
US6682536B2 (en) * 2000-03-22 2004-01-27 Advanced Stent Technologies, Inc. Guidewire introducer sheath
JPH11206888A (ja) * 1998-01-20 1999-08-03 Clinical Supply:Kk 血管挿入具
US6143002A (en) * 1998-08-04 2000-11-07 Scimed Life Systems, Inc. System for delivering stents to bifurcation lesions
US6117117A (en) * 1998-08-24 2000-09-12 Advanced Cardiovascular Systems, Inc. Bifurcated catheter assembly
EP1267751A2 (en) * 2000-03-22 2003-01-02 Advanced Stent Technologies LLC Guidewire introducer sheath
AU2002246279A1 (en) * 2001-03-14 2002-09-24 E.V.R. Endo Vascular Researches Sa Vascular catheter guide wire carrier
US8425549B2 (en) * 2002-07-23 2013-04-23 Reverse Medical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removing obstructive matter from body lumens and treating vascular defects
US7261708B2 (en) * 2002-10-31 2007-08-28 Medical Components, Inc. Removable catheter hub
US7699884B2 (en) * 2006-03-22 2010-04-20 Cardiomind, Inc. Method of stenting with minimal diameter guided delivery systems
KR100818167B1 (ko) * 2006-05-03 2008-03-31 장양수 카테터
US8292900B2 (en) * 2008-06-10 2012-10-23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Side branch wiring assist sheath and method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2951B1 (ko) * 2021-03-19 2021-09-15 임영효 심장혈관의 입구에 빠른 스텐트 시술을 위한 카테터
WO2022197038A1 (ko) * 2021-03-19 2022-09-22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심장혈관의 입구에 빠른 스텐트 시술을 위한 카테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120021A2 (en) 2009-10-01
JP2011515183A (ja) 2011-05-19
US20110029061A1 (en) 2011-02-03
KR100958886B1 (ko) 2010-05-20
JP5524948B2 (ja) 2014-06-18
WO2009120021A3 (en) 2009-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102999A (ko) 주혈관과 분지혈관에 설치된 스텐트의 위치이동 및 카리나크러쉬용 카테터
JP4426849B2 (ja) フレア状ステント
JP4940386B2 (ja) 側方拡張部を有する末端部材を備えたステント
US7993389B2 (en) Guidewire system
US6416543B1 (en) Expandable stent with variable thickness
US10561509B2 (en) Braided stent with expansion ring and method of delivery
KR101746087B1 (ko) 조작 부재로의 혈관내 중재술 장치의 연결
JP3766977B2 (ja) 血管分岐部狭窄症治療用のエンドプロテーゼとそのための装着器具
US8360995B2 (en) Wire guide
US6994721B2 (en) Stent assembly
US7862601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delivering a stent into an ostium
US20070173918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locating an ostium of a vessel
CN102448534B (zh) 导线支承系统和导线
EP0832616A1 (en) Vibrating stent for opening calcified lesions
EP1985244A2 (en) Interventional medical device system having a slotted section and radiopaque marke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4630274B2 (ja) 管腔口に配置するステント
JP2011528572A (ja) 脈管内移植片のための導入器
CN104857617A (zh) 球囊导管
JP2013017835A (ja) 血管治療装置
CA2845552C (en) Distal capture device for a self-expanding stent
CN105999517B (zh) 气囊导管
WO2011036850A1 (ja) 医療用のカテーテル装置
JP2018528811A (ja) 分岐部での血管の処置のためのバルーンカテーテル
US20160143755A1 (en) Self-expandable stent
KR100818167B1 (ko) 카테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