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2683A - 칠러 유닛 - Google Patents

칠러 유닛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2683A
KR20090102683A KR1020090025171A KR20090025171A KR20090102683A KR 20090102683 A KR20090102683 A KR 20090102683A KR 1020090025171 A KR1020090025171 A KR 1020090025171A KR 20090025171 A KR20090025171 A KR 20090025171A KR 20090102683 A KR20090102683 A KR 200901026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iller unit
main body
chiller
pipe
water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5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7348B1 (ko
Inventor
미찌오 후꾸시마
히데끼 후지까와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8079697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9236340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8079698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9236341A/ja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1026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26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7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73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46Component arrangements in separate out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14Heat exchangers specially adapted for separate out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6Refrigerant pip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06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for mounting refrigerating machinery compon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2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liquids, e.g. br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칠러 유닛에 있어서, 플레이트식 열교환기에 접속되는 냉매 배관 및 물 매체 배관을, 칠러 유닛 본체의 배면측으로 도출하여, 상기 배면측에서 칠러 유닛 본체의 냉매 배관과 실외기로부터의 상기 냉매 배관을 접속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상기 칠러 유닛 본체의 전방면측에 단열재가 권취된 전장 박스를 배치하고, 상기 전장 박스의 하방에 상기 칠러 유닛 본체의 상기 냉매 배관을 유동하는 냉매의 유량을 제어하는 전동 밸브를 배치하였다. 또한, 상기 칠러 유닛 본체는 상단부 및 하단부로 이루어지는 하우징과, 상기 실외기로부터의 상기 냉매 배관과 외부로부터의 상기 물 냉매 배관에 접속하여, 상기 냉매 및 상기 물 냉매를 상기 플레이트식 열교환기에 공급하는 배관군을 더 갖고, 상기 배관군은 상기 냉매 및 상기 물 매체를 분류하여 상기 플레이트식 열교환기로 공급하고, 상기 칠러 유닛 본체의 하단부에 정리하여 배치되어 있고, 상기 배관류와 상기 플레이트식 열교환기를, 상기 플레이트식 열교환기보다도 높아지지 않는 접속 배관에 의해 접속하였다.

Description

칠러 유닛 {CHILLER UNIT}
본 발명은 냉매와 물 매체 사이에서 열교환을 행하는 열교환기를 구비하는 칠러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동 사이클에 접속되는 칠러 유닛 본체를 구비한 칠러 장치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4-251486호 공보 참조). 이러한 종류의 칠러 장치는 냉매와, 물 매체 사이에서 열교환하여, 냉온수를 생성하는 플레이트식 열교환기를 구비한다. 이 칠러 장치는 내진 가대 상에 실외기와 나란히 설치되어, 내진 가대 상에서, 플레이트식 열교환기의 냉매 배관에 실외기로부터 연장된 냉매 배관을 접속하는 동시에, 플레이트식 열교환기의 물 배관에 외부로부터 연장된 물 공급관을 접속하고 있다.
상술한 칠러 장치의 구성에서는, 칠러 장치로부터 연장되는 냉매 배관이나 물 배관의 도출 방향과, 실외기로부터 연장되는 냉매 배관의 도출 방향이 통일되어 있지 않고 제각각이었으므로, 칠러 장치의 냉매 배관과, 실외기의 냉매 배관의 접속 작업이나, 칠러 장치로부터 연장되는 물 배관과, 외부로부터 연장되는 물 공급관의 접속 작업이 곤란하게 되어 있었다. 또한, 종래, 칠러 장치의 냉매 배관에는 냉매의 유량을 제어하는 전동 밸브가 접속되는 한편, 칠러 장치의 플레이트식 열교환기나, 냉매 배관에는 결로가 많이 발생하여, 이 결로수가 전동 밸브에 떨어지지 않도록 전동 밸브를 덮는 커버 부재 등이 필요하게 되어 있었다.
또한, 종래, 칠러 장치에 있어서의 전장 박스의 배치 위치와, 실외기에 있어서의 전장 박스의 배치 위치가 제각각이었으므로, 실외기와 칠러 장치를 나란히 배치한 경우 등에, 칠러 장치의 전장 박스와, 실외기의 전장 박스가 다른 방향에 면하게 되어, 칠러 장치와 실외기의 메인터넌스를 동시에 행하는 경우, 동일 방향으로부터 액세스할 수 없어, 메인터넌스성이 저해될 우려가 있었다.
또한, 이러한 종류의 칠러 장치에서는, 칠러 장치 내에 있어서 기둥문 형상으로 형성된 물 매체 배관 내에 에어가 쌓이는 경우가 있으므로, 이 에어를 빼기 위한 특별한 기구를 물 매체 배관에 설치하여, 상기 기구를 사용하여 물 매체 배관 내에 쌓인 에어를 빼는 것이 일반적이다. 에어를 빼는 경우, 작업자 등에 의해 물 매체 배관 내에 쌓인 에어를 빼는 작업이 필요해져, 메인터넌스성이 좋지 않다고 하는 문제도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의 기술이 갖는 과제를 해소하여, 실외기와 나란히 배치된 칠러 유닛의 메인터넌스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여분의 커버 부재 등을 사용하지 않고, 칠러 유닛 내의 전동 밸브에 결로수가 떨어지지 않도록 한 칠러 유닛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물 매체 배관 내의 에어를 빼는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는 구성으로, 메인터넌스성을 더욱 향상시킨 칠러 유닛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따르면, 실외기로부터 냉매 배관을 통해 공급되는 냉매와, 외부로부터 물 냉매 배관을 통해 공급되는 물 매체 사이에서 열교환하여, 냉온수를 생성하는 플레이트식 열교환기를 갖는 칠러 유닛 본체를 구비한 칠러 유닛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식 열교환기에 접속되는 상기 냉매 배관 및 상기 물 매체 배관을, 상기 칠러 유닛 본체의 배면측으로 도출하여, 상기 배면측에서 칠러 유닛 본체의 냉매 배관과 상기 실외기로부터의 상기 냉매 배관을 접속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상기 칠러 유닛 본체의 전방면측에 단열재가 권취된 전장 박스를 배치하고, 상기 전장 박스의 하방에 상기 칠러 유닛 본체의 상기 냉매 배관을 유동하는 냉매의 유량을 제어하는 전동 밸브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칠러 유닛에 있어서, 상기 실외기와 상기 칠러 유닛 본체는 나란히 배치되어 있고, 상기 칠러 유닛 본체의 안길이 방향의 폭을, 상기 실외기의 안길이 방향의 폭과 대략 동일하게 형성해도 좋다.
상기 칠러 유닛에 있어서, 상기 칠러 유닛 본체와 상기 실외기를 방진 가대 상에 배치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형태에 따르면, 실외기로부터 냉매 배관을 통해 공급되는 냉매와, 외부로부터 물 냉매 배관을 통해 공급되는 물 매체 사이에서 열교환하여, 냉온수를 생성하는 플레이트식 열교환기를 갖는 칠러 유닛 본체를 구비한 칠러 유닛에 있어서, 상기 칠러 유닛 본체는 상단부 및 하단부로 이루어지는 하우징과, 상기 실외기로부터의 상기 냉매 배관과 외부로부터의 상기 물 냉매 배관에 접속하여, 상기 냉매 및 상기 물 냉매를 상기 플레이트식 열교환기로 공급하는 배관군을 더 갖고, 상기 배관군은 상기 냉매 및 상기 물 매체를 분류(分流)하여 상기 플레이트식 열교환기로 공급하고, 상기 칠러 유닛 본체의 하단부에 통합하여 배치되어 있고, 상기 배관류와 상기 플레이트식 열교환기를, 상기 플레이트식 열교환기보다도 높아지지 않는 접속 배관에 의해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칠러 유닛에 있어서, 상기 칠러 유닛 본체가 높이 방향의 대략 중앙부에 지지 가대를 구비하여, 상기 지지 가대에 상기 플레이트식 열교환기를 적재하고, 상기 플레이트식 열교환기를 측방으로부터 지지 플레이트에 의해 상기 칠러 유닛 본체의 측부에 지지해도 좋다.
상기 칠러 유닛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식 열교환기가 상호간에 거리를 두고 배치된, 복수의 분할된 플레이트식 열교환기로 이루어지고, 당해 복수의 플레이트식 열교환기의 각각이, 칠러 유닛 전체의 중량 밸런스가 유지되도록 상기 칠러 유닛 본체의 마주보는 측부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증기 칠러 유닛에 있어서, 상기 물 매체 배관을 상기 칠러 유닛 본체로부터 도출하기 위한 관통 구멍을, 상기 칠러 유닛 본체의 배면의 하부에 형성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형태에 따르면, 실외기와 나란히 배치되어, 실외기로부터 공급되는 냉매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물 매체 사이에서 열교환하여, 냉온수를 생성하는 플레이트식 열교환기를 갖는 칠러 유닛 본체를 구비한 칠러 유닛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식 열교환기에 접속되는 냉매 배관 및 물 매체 배관을, 상기 칠러 유닛 본체의 배면측으로 도출하여, 상기 배면측에서 칠러 유닛 본체의 냉매 배관과 실외기의 냉매 배관을 접속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상기 칠러 유닛 본체의 전방면측에 단열재가 권취된 전장 박스를 배치하고, 상기 전장 박스의 하방에 냉매의 유량을 제어하는 전동 밸브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칠러 유닛 및 실외기의 배면측으로부터 냉매 배관을 도출함으로써, 칠러 유닛 및 실외기에 있어서의 냉매 배관의 도출 방향을 통일하는 동시에, 칠러 유닛의 배면측으로부터 물 매체 배관을 도출함으로써 냉매 배관과 물 매체 배관의 도출 방향도 통일하고 있다. 이에 의해, 실외기와 칠러 장치 사이의 냉매 배관의 접속 작업이 용이화되어, 메인터넌스성이 향상된다. 또한, 전장 박스라고 하는 기존의 부재가 덮개가 되어 전동 밸브에 결로수가 떨어지지 않도록 구성하였으므로, 커버 부재 등의 여분의 부재를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실외기 및 칠러 유닛이 모두 전장 박스를 전방면측에 구비하므로, 전장 박스의 각각에 대해 동일한 방향으로부터 액세스할 수 있어, 메인터넌스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칠러 유닛 내부에 있어서, 물 냉매가 흐르는 물 매체 배관의 공기 빼기를 행할 필요가 없어져, 메인터넌스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술한 종래의 기술이 갖는 과제를 해소하여, 실외기와 나란히 배치된 칠러 유닛의 메인터넌스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여분의 커버 부재 등을 사용하지 않고, 칠러 유닛 내의 전동 밸브에 결로수가 떨어지지 않도록 한 칠러 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물 매체 배관 내의 에어를 빼는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는 구성으로, 메인터넌스성을 더욱 향상시킨 칠러 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칠러 유닛을 구비하는 냉동 장치의 냉매 회로도.
도 2는 칠러 유닛 및 실외기가 나란히 배치된 모습을 전방면측에서 본 도면.
도 3은 칠러 유닛 및 실외기가 나란히 배치된 모습을 배면측에서 본 도면.
도 4는 칠러 유닛 및 실외기가 나란히 배치된 모습을 상방에서 본 도면.
도 5는 칠러 유닛을 전장 박스가 배치된 측에서 본 사시도.
도 6은 칠러 유닛을 전장 박스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측에서 본 사시도.
도 7은 플로우 스위치 근방의 유출측 물 매체 배관을 상방에서 본 도면.
도 8은 도 7에 있어서의 VIII-VIII 단면도.
도 9는 유출측 물 매체 배관에 설치된 상태의 플로우 스위치를 정면에서 본 도면.
도 10은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칠러 유닛을 구비하는 냉동 장치의 냉매 회로도.
도 11은 칠러 유닛을 전장 박스가 배치된 측에서 본 사시도.
도 12는 칠러 유닛을 전장 박스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측에서 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냉동 장치
11 : 실외기
12 : 칠러 유닛
16 : 압축기
17 : 어큐뮬레이터
18 : 4방향 밸브
19 : 실외 열교환기
20 : 실외 팬
24 : 실외 팽창 밸브
25 : 드라이 코어
26 : 냉매계 바이패스관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칠러 유닛(12)을 구비하는 냉동 장치(10)의 냉매 회로도이다.
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동 장치(10)는 실외기(11)와, 칠러 유닛(12)을 구비하고 있고, 실외기(11)의 실외 냉매 배관(14A)과 칠러 유닛(12)의 칠러측 냉매 배관(14B)이 폐쇄 밸브(52, 53)를 통해 연결되어 냉동 사이클(10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실외 냉매 배관(14A)과 칠러측 냉매 배관(14B)을 특별히 구별하지 않는 경우에는, 「냉매 배관(14)」이라고 칭한다.
실외기(11)의 실외 냉매 배관(14A)에는 압축기(16)가 배치되어 있다. 이 압축기(16)는 V 벨트(27)를 통해 가스 엔진(30)에 의해 구동되는 것으로, 흡입측에는 어큐뮬레이터(17)가, 토출측에는 오일 세퍼레이터(17A)를 통해 4방향 밸브(18)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이 4방향 밸브(18)에는 실외 열교환기(19), 실외 팽창 밸브(24), 드라이 코어(25)가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실외 팽창 밸브(24)를 바이패스하여 냉매계 바이패스관(26)이 배치되어 있고, 이 냉매계 바이패스관(26)에는 냉매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지 밸브(26A)가 설치되어 있다. 실외 열교환기(19)에 인접하여, 이 실외 열교환기(19)를 향해 송풍하는 실외 팬(20)이 배치되어 있다. 부호 29는 압축기(16)의 토출측의 냉매 압력을 압축기(16)의 흡입측으로 릴리프시키는 안전 밸브이다.
압축기(16)를 구동하는 가스 엔진(30)에는 엔진 연료 공급 장치(31)로부터 혼합기가 공급된다. 이 엔진 연료 공급 장치(31)는 연료 공급 배관(32)에 2개의 연료 차단 밸브(33), 제로 거버너(34), 연료 조정 밸브(35) 및 액추에이터(36)가 순차적으로 배치되고, 이 연료 공급 배관(32)의 액추에이터(36)의 측단부가 가스 엔진(30)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연료 공급 배관(32)에는 에어 클리너(36A)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가스 엔진(30)에는 엔진 오일 공급 장치(37)가 접속되어 있다. 이 엔진 오일 공급 장치(37)는 오일 공급 배관(38)에 오일 공급 펌프(40)가 배치된 것으로, 가스 엔진(30)으로 엔진 오일을 적절하게 공급한다. 그밖에, 엔진 오일 공급 장치(37)는 서브 오일 팬(37A) 및 오일 레벨 스위치(37B)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실외기(11)에는 가스 엔진(30)에 냉각수를 순환시켜 가스 엔진(30)의 열을 회수하기 위한 엔진 칠러 장치(41)가 설치되어 있고, 이 엔진 칠러 장치(41)에는 냉각수가 흐르는 냉각수 배관(42)에 배관 접속되는 전동 쿨러 3방향 밸브(43)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전동 쿨러 3방향 밸브(43)의 2개의 출구 중 한쪽에는 순환 펌프(44)와 배기 가스 열교환기(45)가 순차적으로 배관 접속되어 있고, 전동 쿨러 3방향 밸브(43), 순환 펌프(44) 및 배기 가스 열교환기(45)를 연결하는 배관 경로에 의해, 가스 엔진(30)을 통과한 냉각수를 가스 엔진(30)으로 복귀시키는 경로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배기 가스 열교환기(45)는 가스 엔진(30)의 배기 가스와 냉각수 사이에서 열교환을 행하는 열교환기이고, 이 배기 가스 열교환기(45)에는 배기 가스를 처리하기 위한, 배기 머플러(46), 배기 탑(exhaust top)(47)이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전동 쿨러 3방향 밸브(43)의 다른 출구에는 냉각수 전동 3방향 밸브(48)의 입구가 배관 접속되어 있다. 이 냉각수 전동 3방향 밸브(48)의 한쪽 출구에는 배열 회수 열교환기(49)의 일단부가 배관 접속되고, 또한 냉각수 전동 3방향 밸브(48)의 다른 쪽 출구에는 라디에이터(50)의 일단부가 배관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배열 회수 열교환기(49)는 실외 냉매 배관(14A) 내의 냉매와 냉각수 배관(42) 내의 냉각수 사이에서 열교환을 행하는 열교환기이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플레이트식 열교환기가 적용된다. 또한, 라디에이터(50)는 라디에이터(50)를 통과하는 냉각수를 냉각시키는 것으로, 실외 팬(20)의 송풍 공기가 공급되도록 이 실외 팬(20)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한, 부호 51은 냉각수 배관(42)에 적절하게 공급하는 냉각수를 저류하는 냉각수 저장 탱크이다.
한편, 칠러 유닛(12)은 물 매체 배관(61) 내를 통해 칠러 유닛(12) 내로 유입된 물 매체와, 상술한 실외 냉매 배관(14A)에 접속된 칠러측 냉매 배관(14B)의 냉매 사이에서 열교환을 행하여, 냉수 또는 온수를 생성하는 것으로, 냉매와 물 매체 사이에서 열교환을 행하는 플레이트식 열교환기(62a, 62b)를 구비하고 있다.
물 매체 배관(61)은 플레이트식 열교환기(62a, 62b)로 유입되는 물 매체가 흐르는 유입측 물 매체 배관(89)과, 플레이트식 열교환기(62a, 62b)로부터 유출되는 물 매체가 흐르는 유출측 물 매체 배관(90)을 구비하고 있다. 유입측 물 매체 배관(89)은 분기점(a1)에서 분기되고, 분기된 배관 중 한쪽 배관이 접속부(a2)에 있어서 플레이트식 열교환기(62a)와 접속되고, 다른 쪽 배관이 접속부(a3)에 있어서 플레이트식 열교환기(62b)와 접속된다. 또한, 플레이트식 열교환기(62a)의 접속부(a4)에 접속된 유출측 물 매체 배관(90)과, 플레이트식 열교환기(62b)의 접속부(a5)에 접속된 유출측 물 매체 배관(90)이 합류점(a6)에 있어서 합류하여, 칠러 유닛(12)으로부터 도출되어 있다.
또한, 칠러측 냉매 배관(14B)에는 칠러측 냉매 배관(14B) 내를 흐르는 냉매의 유량을 제어하기 위한 2개의 전동 밸브(60)가 접속되어 있다. 이 전동 밸브(60)에 접속된 칠러측 냉매 배관(14B)은 분기점(b1)에서 분기된 후, 분기된 배관의 한쪽 배관이 접속부(b2)에 있어서 플레이트식 열교환기(62a)에 접속되고, 다른 쪽 배관이 접속부(b3)에 있어서 플레이트식 열교환기(62b)에 접속된다. 또한, 플레이트식 열교환기(62a)의 접속부(b4)에 접속된 칠러측 냉매 배관(14B)과, 플레이트식 열교환기(62b)의 접속부(b5)에 접속된 칠러측 냉매 배관(14B)이 접속부(b6)에 있어서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칠러 유닛(12)에서는 2개의 플레이트식 열교환기(62a, 62b)가 물 매체 배관(61)에 대해 병렬로 설치되는 동시에, 2개의 플레이트식 열교환기(62a, 62b)가 칠러측 냉매 배관(14B)에 대해 병렬로 설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2대의 플레이트식 열교환기(62a, 62b)의 각각에 유입되는 냉매의 온도를 대략 동일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 2대의 플레이트식 열교환기(62a, 62b)의 각각에 병렬로 유입되는 물 매체에 대해, 대략 동일한 온도로 냉각 또는 가열을 행할 수 있어, 냉수 또는 온수를 높은 정밀도로 원하는 온도로 생성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는 실외기(11) 및 칠러 유닛(12)이 실외에 설치되었을 때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도 2는 실외기(11) 및 칠러 유닛(12)을 정면측에서 본 도면이고, 도 3은 배면측에서 본 도면이고, 도 4는 상방에서 본 모습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실외기(11) 및 칠러 유닛(12)은 전용의 방진 가대(70)에 나란히 늘어 세워 적재, 고정된 상태로 실외에 설치된다. 이 방진 가대(7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외기(11) 및 칠러 유닛(12)이 적재, 고정되는 제1 플레이트(71)와, 이 제1 플레이트(71)의 하방에 배치된 제2 플레이트(72)를 구비하고, 이들 제1 플레이트(71)와 제2 플레이트(72) 사이에 완충재(73)가 개재되어 있어, 실외기(11)의 운전 시에 발생하는 진동을 완충재(73)가 흡수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구성으로 인해, 실외기(11)의 운전 시에 발생하는 진동에 기인하여, 실외기(11) 및 칠러 유닛(12)에 악영향이 미치는 것이 완화되어 있다.
또한, 실외기(11) 및 칠러 유닛(12)은 전용의 방진 가대(70)에 나란히 설치되는 것이므로, 작업자들은 방진 가대(70)의 소정의 위치에 실외기(11) 및 칠러 유닛(12)을 설치함으로써 용이하게 설치 작업을 행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의 향상이 도모되어 있다.
또한,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외기(11)의 실외기 본체(76)의 전방면측에, 실외기(11)의 각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 기기가 저장된 전장 박스(74)가 설치되어 있어, 전장 박스(74)의 전방에 설치된 전방면 패널(75)을 제거함으로써, 작업자가 이 전장 박스(74)에 용이하게 액세스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칠러 유닛(12)의 칠러 유닛 본체(77)의 전방면측에, 칠러 유닛(12)의 각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 기기가 저장된 전장 박스(78)가 설치되어 있어(도 5 및 도 6에 아울러 참조), 전장 박스(78)의 전방에 설치된 전방면 패널(79)(도 2)을 제거함으로써, 작업자가 이 전장 박스(78)에 용이하게 액세스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전장 박스(74)에 저장된 제어용 전자 기기와 전장 박스(78)에 저장된 제어용 전자 기기는 배선(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신호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고, 이들 제어용 전자 기기가 연계 작동하여 실외기(11) 및 칠러 유닛(12)의 각 기기를 제어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전장 박스(74, 78)는 전자 기기를 구비하고 있고 비교적 메인터넌스가 많이 발생하므로, 용이하게 액세스할 수 있는 것이 요구된다. 또한, 전장 박스(74, 78)의 제어용 전자 기기는 연계하여 작동하므로, 전장 박스(74, 78)는 동시에 메인터넌스할 수 있는 것이 요구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실외기(11) 및 칠러 유닛(12)이 방진 가대(70) 라인에 나란히 배치되는 동시에, 실외기 본체(76)의 전방면측에 전장 박스(74)가, 칠러 유닛(12)의 전방면측에 전장 박스(78)가 각각 설치되어 있으므로, 작업자는 실외기(11)의 전방면 패널(75) 및 칠러 유닛(12)의 전방면 패널(79)을 제거함으로써, 전장 박스(74, 78)에 용이하게 액세스할 수 있는 동시에, 전장 박스(74, 78)를 동시에 메인터넌스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칠러 유닛(12)의 전장 박스(78)와 실외기(11)의 전장 박스(74)의 메인터넌스를 동시에 행하는 경우, 작업자는 동일한 방향으로부터 이들 전장 박스(74, 78)에 액세스할 수 있어, 메인터넌스성의 향상이 도모되어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외기 본체(76)의 배면에 냉매 배관(14)이 관통하는 냉매 배관용 관통 구멍(80a, 80b)이 형성되는 동시에, 칠러 유닛 본체(77)의 배면의 배면 패널(82)에 냉매 배관(14)이 관통하는 냉매 배관용 관통 구멍(81a, 81b)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실외기 본체(76)로부터 냉매 배관용 관통 구멍(80a, 80b)을 통해 도출된 냉매 배관(14)이, 냉매 배관용 관통 구멍(81a, 81b)의 근방까지 연장되어, 냉매 배관용 관통 구멍(81a, 81b)을 통해 칠러 유닛 본체(77)로 도입됨으로써, 실외 냉매 배관(14A)(도 1)과 칠러측 냉매 배관(14B)(도 1)이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실외기 본체(76) 및 칠러 유닛 본체(77)의 배면측에, 외부로 노출되는 냉매 배관(14)이 위치하게 되므로, 방진 가대(70)에 설치된 상태의 실외기(11) 및 칠러 유닛(12)을 정면에서 보았을 때, 냉매 배관(14)이 잘 보이지 않아, 외관성의 향상이 도모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실외기(11) 및 칠러 유닛(12)의 각각의 배면측으로부터 냉매 배관(14)을 도출해도 좋은 구조로 되어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실외기(11)와 칠러 유닛(12)에 있어서의 냉매 배관(14)의 도출 방향이 통일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 실외기(11)와 칠러 유닛(12) 사이에 있어서의 냉매 배관(14)의 접속 작업이 용이화되어, 메인터넌스성이 향상된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동시에, 칠러 유닛(12)에 있어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면 패널(82)에 물 매체 배관용 관통 구멍(88a, 88b)이 형성되고, 이 물 매체 배관용 관통 구멍(88a, 88b)을 통해 물 매체 배관(61)이 배면측으로부터 도출되어 있어, 냉매 배관(14)과 물 매체 배관(61)의 도출 방향이 통일화되어, 물 매체 배관(61)과 외부로부터 연장되는 물 공급관의 접속 작업의 용이화가 도모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외기(11)의 안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폭(H1)과, 칠러 유닛(12)의 안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폭(H2)이 대략 동일해지도록 형성되어 있어, 실외기(11)와 칠러 유닛(12)의 통일감이 높아져, 외관성의 향상이 도모되어 있다. 또한, 냉매 배관용 관통 구멍(80a, 80b)과 냉매 배관용 관통 구멍(81a, 81b) 사이의 냉매 배관(14)을 대략 직선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어, 냉매 배관(14)의 가공의 용이성, 비용 절감이 도모되어 있다.
도 5는 칠러 유닛 본체(77)를 상술한 전장 박스(78)가 배치된 측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6은 칠러 유닛 본체(77)를 전장 박스(78)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또한, 이들 도면에서는 칠러 유닛 본체(77)의 측면을 구성하는 측면 패널 및 상면을 구성하는 상면 패널은 제거되어 있다. 단, 배면에 설치된 패널의 일부인 배면 패널(82)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설치한 상태로 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칠러 유닛 본체(77)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칠러 유닛 본체(77)의 각 변에 대응하는 부분을 구성하는 프레임(83)을 구비하고 있다. 이 프레임(83)은 칠러 유닛 본체(77)의 높이 방향에 있어서의 대략 중앙의 위치에 설치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앙 횡프레임(84)을 구비하고, 이 중앙 횡프레임(84)에는 수평으로 연장되는 2매의 구획판(99a, 99b)(지지 가대)이 고정되어 있고, 이들 구획판(99a, 99b)에 의해 칠러 유닛 본체(77)의 내부가 상하단으로 구획되어 있다. 또한, 칠러 유닛 본체(77)의 측부에 있어서 중앙 횡프레임(84)의 상방에는 수평으로 연장되는 상방 횡프레임(85a, 85b)이 수직으로 연장되는 프레임에 걸쳐진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구획판(99a, 99b)으로 구획된 칠러 유닛 본체(77)의 상단에 형성된 상단실(86)(상단부)에는 상술한 전장 박스(78)가 설치되는 것 외에, 플레이트식 열교환기(62a, 62b)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플레이트식 열교환기(62a, 62b)는 구획판(99a, 99b)에 적재, 지지된 상태로, 측부에 설치된 상방 횡프레임(85a, 85b)에 지지 플레이트(87a, 87b)[도 5에 있어서는, 지지 플레이트(87a)는 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고정되어 있고,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 떨림이 발생하지 않는 상태로 칠러 유닛 본체(77)에 견고하게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플레이트식 열교환기(62a, 62b)라고 하는 다른 기기에 비해 무거운 기기를 상단실(86)에 설치한 경우, 플레이트식 열교환기(62a, 62b)를 하단실(92)(하단부)에 설치한 경우와 비교하여, 칠러 유닛 본체(77)의 무게 중심이 상방으로 옮겨져, 칠러 유닛 본체(77) 자체의 안정성이 손상되는 것이 고려된다. 이것을 감안하여,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플레이트식 열교환기(62a, 62b)는 칠러 유닛 본체(77) 전체의 중량 밸런스를 고려하여, 상단실(86)에 배치되어 있다. 즉, 플레이트식 열교환기(62a)를 칠러 유닛 본체(77)의 한쪽 측부에 배치된 상방 횡프레임(85a)의 전방면측에 고정하는 동시에, 이 플레이트식 열교환기(62a)에 거리를 두고 마주보게 한 상태로, 플레이트식 열교환기(62b)를 다른 쪽 측부에 배치된 상방 횡프레임(85b)의 배면측에 고정하고 있다. 이에 의해, 상단실(86)에 있어서, 플레이트식 열교환기(62a, 62b)가 치우쳐서 배치되는 것이 방지되고, 따라서 칠러 유닛 본체(77)의 무게 중심이 치우치는 것이 방지되어, 칠러 유닛 본체의 안정성이 확보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특히 칠러 유닛 본체(77)를 설치해야 할 장소로 운반할 때나, 방진 가대(70)에 설치할 때, 칠러 유닛(12)을 안정된 상태로 이동할 수 있어, 작업이 용이화된다.
이들 플레이트식 열교환기(62a, 62b)에는 물 매체 배관(61) 및 칠러측 냉매 배관(14B)이 접속되어 있으나, 우선 물 매체 배관(61)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면 패널(82)의 하부에는 물 매체 배관(61)이 관통하는 물 매체 배관용 관통 구멍(88a, 88b)이 형성되어 있고, 이들 물 매체 배관용 관통 구멍(88a, 88b)을 물 매체 배관(61)이 관통하고 있다. 관통할 때, 물 매체 배관(61)은 물 매체 배관용 관통 구멍(88a, 88b)의 테두리에 접촉하여, 이들 물 매체 배관용 관통 구멍(88a, 88b)의 테두리에 지지된 상태로 된다. 여기서, 물 매체 배관(61)은 물 매체가 흐르는 배관이고, 냉매 배관(14)과 비교하여 직경이 크고 무거운 것이 사용되어 있으나, 물 매체 배관용 관통 구멍(88a, 88b)을 배면 패널(82)의 하부에 형성함으로써, 물 매체 배관(61)으로부터 배면 패널(82)로 가해지는 부하가 경감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2개의 물 매체 배관용 관통 구멍(88a, 88b) 중, 도 6에 있어서의 좌측의 물 매체 배관용 관통 구멍(88a)에, 플레이트식 열교환기(62a, 62b)로 유입되는 물 매체가 흐르는 유입측 물 매체 배관(89)이 관통하고, 도 6에 있어서의 우측의 물 매체 배관용 관통 구멍(88b)에, 플레이트식 열교환기(62a, 62b)로부터 유출되는 물 매체가 흐르는 유출측 물 매체 배관(90)이 관통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물 매체 배관용 관통 구멍(88a)을 통해 칠러 유닛 본체(77)로 도입된 유입측 물 매체 배관(89)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거리, 칠러 유닛 본체(77)의 하면(91)을 따라서 수평으로 연장된 후, 분기점(a1)에 있어서 플레이트식 열교환기(62a)로 유입되는 물 매체가 흐르는 배관과, 플레이트식 열교환기(62b)로 유입되는 물 매체가 흐르는 배관으로 분기되고, 분기된 각각의 배관이 플레이트식 열교환기(62a, 62b)의 각각의 상부에 형성된 접속부(a2, a3)에 접속된다. 그때,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배관은 접속부(a2, a3)보다도 높은 위치로 연장되지 않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플레이트식 열교환기(62a, 62b)에 접속되는 접속 배관인 유입측 물 매체 배관(89)이 플레이트식 열교환기(62a, 62b)의 천장부보다도 높은 개소에 위치하지 않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와 같이 물 매체 배관(61)에 대해 병렬로 플레이트식 열교환기(62a, 62b)가 설치된 칠러 유닛(12)에 있어서는, 플레이트식 열교환기(62a, 62b)의 각각에 대해 동등한 유량의 물 매체가 유입되는 것이 요구된다. 그것을 위해서는, 물 매체 배관(61)에 있어서의 분기점으로부터 플레이트식 열교환기(62a, 62b)까지의 거리를 가능한 한 길게 확보하여, 각각의 플레이트식 열교환기(62a, 62b)에 동등한 유량의 물 매체가 유입되도록 조정할 필요가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플레이트식 열교환기(62a, 62b)가 상단실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하단실(92)의 분기점(a1)과, 상단실(86)에 설치된 플레이트식 열교환기(62a, 62b)의 접속부(a2, a3)의 거리를 길게 확보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하단실(92)에서 유입측 물 매체 배관(89)을 분기한 후, 긴 거리를 확보한 상태로 분기점으로부터 플레이트식 열교환기(62a, 62b)와의 접속 개소까지의 유입측 물 매체 배관(89)의 형상을 대략 직선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물 매체 배관(61)을 기둥문 형상으로 사행시킴으로써 유입측 물 매체 배관(89)의 길이를 길게 확보할 필요가 없어져, 유입측 물 매체 배관(89)의 경로에 있어서 에어가 쌓이는 개소를 배제할 수 있어, 에어를 빼기 위한 공기 빼기의 작업이 필요 없어져, 메인터넌스성이 향상된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분류에 제공하는 배관인 유입측 물 매체 배관(89)이 플레이트식 열교환기(62a, 62b)의 접속부(a2, a3)보다도 높은 위치로 연장되지 않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로 인해, 유입측 물 매체 배관(89)을 기둥문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유입측 물 매체 배관(89)을 접속부(a2, a3)에 접속할 필요가 없어져, 유입측 물 매체 배관(89) 중 기둥문 형상으로 형성된 부분에 에어가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플레이트식 열교환기(62a, 62b)가 상단실(86)에 설치됨으로써, 하단실(92)에 공간이 확보되어 있다. 그리고, 유입측 물 매체 배관(89) 등의 분류에 제공하는 배관을 하단실(92)에 통합하여 설치함으로써, 이 공간을 유효 활용할 수 있다.
그런데, 플레이트식 열교환기(62a, 62b)로부터 유출되는 물 매체가 흐르는 유출측 물 매체 배관(90)은,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레이트식 열교환기(62a, 62b)의 하부에 형성된 접속부(a4)(도 5), 접속부(a5)(도 6)로부터 도출된 후, 공간이 확보되어 있는 하단실(92)의 소정의 위치에 있어서 합류점(a6)(도 5)에 있어서 합류하여, 소정의 거리만큼 물 매체 배관용 관통 구멍(88b)을 향해 하면(91)을 따라서 대략 수평으로 연장된 후, 물 매체 배관용 관통 구멍(88b)을 통해 칠러 유닛 본체(77)의 밖으로 도출된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플레이트식 열교환기(62a, 62b)가 상단실(86)에 배치됨으로써 하단실(92)에 큰 공간이 확보되어 있으므로, 유출측 물 매체 배관(90)을 합류시키기 위해 유출측 물 매체 배관(90)을 사행시켜 소정의 위치로 연장시키지 않고, 하단실(92)의 공간을 활용하여 유출측 물 매체 배관(90)을 원활하게 합류할 수 있다.
여기서, 플레이트식 열교환기(62a, 62b)에 접속되는 접속 배관인 유출측 물 매체 배관(90)도, 유입측 물 매체 배관(89)과 마찬가지로 플레이트식 열교환기(62a, 62b)보다도 높은 개소에 위치하지 않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구성으로 인해, 유입측 물 매체 배관(89)과 마찬가지로 유출측 물 매체 배관(90)을 기둥문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유출측 물 매체 배관(90)을 접속부(a4, a5)에 접속할 필요가 없어져, 유출측 물 매체 배관(90) 중 기둥문 형상으로 형성된 부분에 에어가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유출측 물 매체 배관(90)에 있어서, 물 매체 배관용 관통 구멍(88b)을 향해 하면(91)을 따라서 대략 수평으로 연장된 개소를 상방에서 본 도면이고, 도 8은 도 7에 있어서의 VIII-VIII 단면도이고, 도 9는 후술하는 플로우 스위치(93)가 유출측 물 매체 배관(90)에 설치된 모습을 정면에서 본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합류점(a6)의 근방으로부터 하류의 유출측 물 매체 배관(90)의 직경(H3)은 합류점(a6)의 상류의 유출측 물 매체 배관(90)의 직경(H4)보다도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합류점(a6)에 있어서 합류하여, 용량이 증대된 물 매체가 원활하게 유출측 물 매체 배관(90)을 흐르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경(H3)보다도 큰 직경으로 형성된 관통용 배관(90b)이 물 매체 배관용 관통 구멍(88b)에 지지된 상태로 관통하고, 이 관통용 배관(90b)에 유출측 물 매체 배관(90)의 선단부가 비틀어 넣어진 상태로 되어 있다. 이 구성으로 인해, 작업자들은 관통용 배관(90b)에 유출측 물 매체 배관(90)의 선단부를 비틀어 넣는 작업에 의해 용이하게 유출측 물 매체 배관(90)을 칠러 유닛 본체(77)의 외부로 도출할 수 있다.
도 5,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출측 물 매체 배관(90)에 있어서 하면(91)을 따라서 대략 수평으로 연장된 개소에는, 패들식 플로우 스위치(93)가 설치되어 있다. 이 플로우 스위치(93)는 유출측 물 매체 배관(90) 내를 물 매체가 흐르고 있는지 여부를 검출함으로써, 배관 내의 물 매체가 동결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스위치이고, 도 7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출측 물 매체 배관(90) 내로 연장된 패들(94)을 구비하고 있다. 유출측 물 매체 배관(90) 내를 물 매체가 흐르는 동안은, 물 매체가 이 패들(94)에 충돌함으로써, 패들(94)이 물 매체가 흐르는 측으로 변위되고, 플로우 스위치(93)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접점이 접속되어, 그 취지의 신호가 전장 박스(78)의 제어용 전자 기기로 송신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플로우 스위치(93)는 유출측 물 매체 배관(90)의 상부에 형성된 비틀어 넣기 입구(90a)에 간극 없이 비틀어 넣어져 설치되어 있어, 플로우 스위치(93)의 설치 개소로부터의 물 매체의 누설이 방지되어 있다. 또한, 패들(94)은 정면에서 볼 때 대략 직사각형(도 9)의 얇은 부재로 형성되어 있고, 이 패들(94)이 유출측 물 매체 배관(90) 내를 연직 하방으로 연장되어, 배관 내를 흐르는 물 매체에 확실하게 충돌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 9의 패들(94)의 형상은 일례이고, 용도에 따라서 적절하게 형상이나 길이를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플로우 스위치(93)를 고정밀도로 작동시키는 경우, 패들(94)이 물 매체가 흐르는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플로우 스위치(93)가 대략 수평으로 연장되는 유출측 물 매체 배관(90)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중력에 따라서 연직 하방으로 연장되는 패들(94)과 관 내를 흐르는 물 매체의 방향이 직교하게 되어, 패들식 플로우 스위치(93)를 고정밀도로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플레이트식 열교환기(62a, 62b)가 상단실(86)에 설치됨으로써, 하단실(92)에 공간이 확보되어 있는데, 이 공간이 확보된 하단실(92)에 플로우 스위치(93)가 설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공간을 활용하여 플로우 스위치(93)의 메인터넌스를 행할 수 있어, 플로우 스위치(93)의 메인터넌스성이 향상되어 있다.
또한, 플레이트식 열교환기(62a, 62b)에 의해 과도하게 냉각된 물 매체의 동결은 플레이트식 열교환기(62a, 62b)로부터 유출되는 측의 물 매체 배관(61), 즉 유출측 물 매체 배관(90)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시작되어 간다. 이것을 감안하여, 본 실시 형태에서는 물 매체 배관(61) 중, 특히 유출측 물 매체 배관(90)에 플로우 스위치(93)를 설치하여, 물 매체의 동결이 일어난 경우, 플로우 스위치(93)에 의해 신속히 그 동결을 검출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칠러 유닛(12)은 물 매체 배관(61) 내의 물 매체가 동결하여 관 내를 흐르고 있지 않아 관 내의 물 매체가 동결되어 있는 것을 플로우 스위치(93)에 의해 검출한 경우, 칠러 유닛(12)의 작동이 일시 정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구성으로 인해, 물 매체 배관(61) 내에서 물 매체가 동결한 상태 그대로, 칠러 유닛(12)이 작동하는 것이 방지되어, 물 매체 배관(61)이나 물 냉매를 유동하기 위한 펌프(도시하지 않음) 등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칠러 유닛(12)은 방진 가대(70) 상에 실외기(11)와 나란히 설치되는 것으로, 실외기(11)의 가동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진동이 칠러 유닛(12)에 다소 전해지게 된다. 여기서, 플로우 스위치(93)는 패들(94)의 변위에 의해 물 매체가 흐르고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장치로, 검출 정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패들(94)에 대해 가능한 한 진동이 전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것을 감안하여,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5,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면(91)에 지지 프레임(91a)(도 5, 도 8)을 고정하고, 이 지지 프레임(91a)에 유출측 물 매체 배관(90)과 지지 프레임(91a)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95)를 설치하고, 이 고정구(95)의 근방에 있어서의 유출측 물 매체 배관(90)에 플로우 스위치(93)를 설치하고 있다. 이에 의해, 유출측 물 매체 배관(90) 중, 고정구(95)에 의해 고정되어 가장 진동이 억제된 개소에 플로우 스위치(93)가 설치되게 되어, 플로우 스위치(93)에 진동이 전해지는 것이 억제되고, 플로우 스위치(93)의 검출 정밀도의 향상이 도모되어, 거의 정확하게 물 매체의 흐름을 검출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부호 95b는 물 매체 배관용 관통 구멍(88b) 근방에 있어서, 하면(91)에 대해 유출측 물 매체 배관(90)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이다.
계속해서, 칠러측 냉매 배관(14B)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면 패널(82)에는 칠러측 냉매 배관(14B)이 관통하기 위한 냉매 배관용 관통 구멍(81a, 81b)이 형성되어 있고, 이들 냉매 배관용 관통 구멍(81a, 81b)을 냉매 배관(14)이 관통하고 있다(도 3도 아울러 참조). 관통 시, 칠러측 냉매 배관(14B)은 냉매 배관용 관통 구멍(81a, 81b)의 테두리에 접촉하여, 이들 냉매 배관용 관통 구멍(81a, 81b)의 테두리에 지지된 상태로 된다.
냉매 배관용 관통 구멍(81a)을 관통하여, 칠러 유닛 본체(77)에 도입된 칠러측 냉매 배관(14B)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면을 따라서 대략 수평으로 연장된 후, 하단실(92)에 있어서 전방면측에 설치된 전동 밸브(60)에 접속된다. 이 전동 밸브(6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칠러측 냉매 배관(14B) 내를 흐르는 냉매의 유량을 제어하기 위한 밸브이고, 도시를 생략한 배선에 의해 전장 박스(78) 내의 제어용 전자 기기와 신호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이 제어용 전자 기기에 의해 그 개폐 상태가 제어된다.
이 전동 밸브(6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장 박스(78)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이 전장 박스(78)는 내부에 구비하는 전자 기기에 대해, 전장 박스(78)의 외부의 온도의 영향이 가능한 한 전해지지 않도록 단열재(96)가 권취되어 구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전자 기기에 대해 외부의 온도에 의한 악영향이 전해지는 것이 방지되는 동시에, 단열재(96)에 의해 전장 박스(78)의 표면의 온도가, 전장 박스(78)의 주위의 온도에 비해 극도로 낮아지는 것이 방지되어, 전장 박스(78)의 표면에 결로수가 부착되는 것이 방지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와 같이 결로수가 부착되는 것이 방지된 전장 박스(78)의 하방에 전동 밸브(60)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이 전장 박스(78)가 덮개가 되어 칠러 유닛 본체(77) 내에서 발생한 결로수가 전동 밸브(60)에 적하하는 것이 방지되어 있다. 특히, 전동 밸브(60)로의 결로수의 적하를 방지하기 위해, 결로수를 방지하기 위한 기구를 가진 덮개나, 전동 밸브(60)를 덮는 커버 부재 등을 특별히 설치하지 않고, 기존의 기기를 이용하여 상기 적하를 방지하고 있으므로, 비용 절감이 실현되어 있다.
또한, 전동 밸브(60)와, 이 전동 밸브(60)에 배선 접속되는 전장 박스(78)의 물리적인 거리가 가까워져, 전동 밸브(60)와 전장 박스(78) 사이의 배선의 거리를 짧게 할 수 있어 비용 절감이 도모되는 동시에, 배선의 느슨함, 풀림을 방지할 수 있고, 배선의 상태가 복잡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동 밸브(60)로부터 도출된 칠러측 냉매 배관(14B)은 공간이 확보되어 있는 하단실(92)에 있어서의 분기점(b1)(도 5)에 있어서 분기되고, 분기된 배관의 각각이 플레이트식 열교환기(62a, 62b)의 각각의 하부에 형성된 접속부(b2)(도 6), 접속부(b3)(도 5)에 접속된다. 즉, 냉매의 분류에 제공하는 칠러측 냉매 배관(14B)이 하단(92)에 통합하여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플레이트식 열교환기(62a, 62b)가 상단실(86)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하단실(92)에 형성된 공간을 이용하여 칠러측 냉매 배관(14B)을 흐르는 냉매의 유량을 조정 가능한 상태로 유지한 채, 칠러측 냉매 배관(14B)을 분기할 수 있다. 한편, 플레이트식 열교환기(62a, 62b)의 접속부(b4)(도 5), 접속부(b5)(도 6)에 접속된 칠러측 냉매 배관(14B)은 접속부(b6)(도 5)에 있어서 합류한 후, 냉매 배관용 관통 구멍(81b)을 향해 연장된다. 그리고, 칠러측 냉매 배관(14B)도, 물 매체 배관(61)과 마찬가지로 하단실(92)에 형성된 공간에 통합하여 배치되는 동시에, 플레이트식 열교환기(62a, 62b)의 천장부보다도 높은 위치로 연장되지 않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상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실외기(11) 및 칠러 유닛(12)이 나란히 배치되는 동시에, 실외기 본체(76)의 전방면측에 전장 박스(74)가, 칠러 유닛(12)의 전방면측에 전장 박스(78)가 각각 설치되어 있으므로, 작업자는 실외기(11)의 전방면 패널(75) 및 칠러 유닛(12)의 전방면 패널(79)을 제거함으로써, 전장 박스(74, 78)에 용이하게 액세스할 수 있는 동시에, 전장 박스(74, 78)를 동시에 메인터넌스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실외기(11)와 칠러 유닛(12)을 연계하여 원활하게 메인터넌스할 수 있어, 메인터넌스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칠러 유닛(12)의 전장 박스(78)와 실외기(11)의 전장 박스(74)의 메인터넌스를 동시에 행하는 경우, 작업자는 동일 방향으로부터 이들 전장 박스(74, 78)에 액세스할 수 있어, 메인터넌스성의 향상이 도모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실외기(11) 및 칠러 유닛(12)의 각각의 배면측으로부터 냉매 배관(14)이 도출되게 된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실외기(11)와 칠러 유닛(12)에 있어서의 냉매 배관(14)의 도출 방향이 통일되어 있다. 이로 인해, 실외기(11)와 칠러 유닛(12) 사이에 있어서의 냉매 배관(14)의 접속 작업이 용이화되어, 메인터넌스성이 향상된다. 동시에, 칠러 유닛(12)에 있어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면 패널(82)에 물 매체 배관용 관통 구멍(88a, 88b)이 형성되고, 이 물 매체 배관용 관통 구멍(88a, 88b)을 통해 물 매체 배관(61)이 배면측으로부터 도출되어 있어, 냉매 배관(14)과 물 매체 배관(61)의 도출 방향이 통일화되어, 물 매체 배관(61)과 외부로부터 연장되는 물 공급관의 접속 작업의 용이화가 도모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단열재(96)가 권취됨으로써 결로수가 부착되는 것이 방지된 전장 박스(78)의 하방에 전동 밸브(60)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이 전장 박스(78)가 덮개가 되어 칠러 유닛 본체(77) 내에서 발생한 결로수가 전동 밸브(60)에 적하되는 것이 방지된다. 특히, 전동 밸브(60)로의 결로수의 적하를 방지하기 위해, 결로수를 방지하기 위한 기구를 가진 덮개나, 전동 밸브(60)를 덮는 커버 부재 등을 특별히 설치하지 않고, 기존의 기기를 이용하여 상기 적하를 방지하고 있으므로, 비용 절감이 실현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실외기(11)의 안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폭(H1)과, 칠러 유닛(12)의 안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폭(H2)이 대략 동일해지도록 형성되어 있고, 실외기(11)와 칠러 유닛(12)의 통일감이 높아져, 외관성의 향상이 도모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칠러 유닛(12)과 실외기(11)가 방진 가대(70) 상에 나란히 배치된다. 이 구성으로 인해, 실외기(11)의 운전 시에 발생하는 진동에 기인하여, 실외기(11) 및 칠러 유닛(12)에 악영향이 미치는 것이 완화된다.
또한, 이상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칠러 유닛 본체의 상단실(86)에 2개의 플레이트식 열교환기(62a, 62b)를 이격하여 설치하고, 플레이트식 열교환기(62a, 62b)에 칠러측 냉매 배관(14B)을 흐르는 냉매 및 물 매체 배관(61)을 흐르는 물 매체를 분류하고 있다. 또한, 공간이 확보된 하단실(92)에 있어서, 물 매체 배관(61)을 분류하는 동시에, 분류된 배관의 각각이, 플레이트식 열교환기(62a, 62b)의 천장부보다도 높은 개소에 위치하지 않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와 같이 물 매체 배관(61)에 대해 병렬로 플레이트식 열교환기(62a, 62b)가 설치된 칠러 유닛(12)에 있어서는, 플레이트식 열교환기(62a, 62b)의 각각에 대해 동등한 유량의 물 매체가 유입되는 것이 요구된다. 그것을 위해서는, 물 매체 배관(61)에 있어서의 분기점으로부터 플레이트식 열교환기(62a, 62b)까지의 거리를 가능한 한 길게 확보하여, 각각의 플레이트식 열교환기(62a, 62b)에 동등한 유량의 물 매체가 유입되도록 조정할 필요가 있다. 이것을 감안하여, 종래의 칠러 유닛(12)에서는 물 매체 배관(61)을 크게 사행시킴으로써 물 매체 배관(61)에 있어서의 분기점으로부터 플레이트식 열교환기(62a, 62b)까지의 거리를 길게 확보하고 있었다. 이 경우, 사행된 개소에 에어가 쌓여, 이 에어를 빼기 위해 공기 빼기의 작업이 필요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플레이트식 열교환기(62a, 62b)가 상단실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하단실(92)에는 큰 공간이 확보되어 있다. 그리고 이 확보된 공간에 있어서 유입측 물 매체 배관(89)을 분기하는 동시에, 분기점과 상단실(86)에 설치된 플레이트식 열교환기(62a, 62b)의 상부[물 매체 배관(61)과 플레이트식 열교환기(62a, 62b)의 접속 개소]의 거리를 길게 확보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하단실(92)에서 유입측 물 매체 배관(89)을 분기한 후, 긴 거리를 확보한 상태로, 분기점으로부터 플레이트식 열교환기(62a, 62b)와의 접속 개소까지의 유입측 물 매체 배관(89)의 형상을 대략 직선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물 매체 배관(61)을 사행시킬 필요가 없어져, 유입측 물 매체 배관(89)의 경로에 있어서 에어가 쌓이는 개소를 배제할 수 있어, 에어를 빼기 위한 공기 빼기의 작업이 필요 없어져, 메인터넌스성의 향상이 도모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플레이트식 열교환기(62a, 62b)는 구획판(99a, 99b)(지지 가대)에 적재, 지지된 상태로 상방 횡프레임(85a, 85b)에 지지 플레이트(87a, 87b)[도 5에 있어서는, 지지 플레이트(87a)는 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고정된다. 이로 인해, 플레이트식 열교환기(62a, 62b)는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 떨림이 발생하지 않는 상태로 칠러 유닛 본체(77)에 견고하게 설치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플레이트식 열교환기(62a, 62b)는 칠러 유닛 본체(77) 전체의 중량 밸런스를 고려하여, 상단실(86)에 배치되어 있다. 즉, 플레이트식 열교환기(62a)를 칠러 유닛 본체(77)의 한쪽 측부에 배치된 상방 횡프레임(85a)의 전방면측에 고정하는 동시에, 이 플레이트식 열교환기(62a)에 마주보게 한 상태로, 플레이트식 열교환기(62b)를 다른 쪽 측부에 배치된 상방 횡프레임(85b)의 배면측에 고정하고 있다. 이에 의해, 상단실(86)에 있어서, 플레이트식 열교환기(62a, 62b)가 치우쳐서 배치되는 것이 방지되고, 따라서 칠러 유닛 본체(77)의 무게 중심이 치우치는 것이 방지되어, 칠러 유닛 본체의 안정성이 확보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특히 칠러 유닛 본체(77)를 설치해야 할 장소로 운반할 때나, 방진 가대(70)에 설치할 때, 칠러 유닛(12)을 안정된 상태로 이동할 수 있어, 작업이 용이화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배면 패널(82)의 하부에 물 매체 배관(61)이 관통하는 물 매체 배관용 관통 구멍(88a, 88b)이 형성되어 있고, 이들 물 매체 배관용 관통 구멍(88a, 88b)을 물 매체 배관(61)이 관통하고 있다. 이 관통 시, 물 매체 배관(61)은 물 매체 배관용 관통 구멍(88a, 88b)의 테두리에 접촉하여, 이들 물 매체 배관용 관통 구멍(88a, 88b)의 테두리에 지지된 상태로 된다. 여기서, 물 매체 배관(61)은 물 매체가 흐르는 배관이고, 냉매 배관(14)과 비교하여 직경이 크고 무거운 것이 사용되고 있으나, 물 매체 배관용 관통 구멍(88a, 88b)을 배면 패널(82)의 하부에 형성함으로써, 물 매체 배관(61)으로부터 배면 패널(82)로 가해지는 부하가 경감되어 있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2대의 전동 밸브 및 2대의 플레이트식 열교환기를 구비하는 칠러 유닛(12)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전동 밸브 및 플레이트식 열교환기의 수는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3대 이상이라도 좋다. 이하, 3대의 전동 밸브 및 3대의 플레이트식 열교환기를 구비하는 칠러 유닛(12)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설명에 있어서,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구성 요소와 동일한 것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칠러 유닛(12)을 구비하는 냉동 장치(10)의 냉매 회로도이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칠러 유닛(12)은 3대의 전동 밸브(60)가 칠러측 냉매 배관(14B)에 대해 병렬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3대의 플레이트식 열교환기(62c, 62d, 62e)가, 칠러측 냉매 배관(14B) 및 물 매체 배관(61)에 대해 병렬로 설치되어 있어, 제1 실시 형태와 비교하여, 대용량의 냉수 또는 온수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유입측 물 매체 배관(89)이 분기점(c1)에서 분기된 후, 분기된 배관의 각각이, 플레이트식 열교환기(62c)의 접속부(c2), 플레이트식 열교환기(62d)의 접속부(c3), 플레이트식 열교환기(62e)의 접속부(c4)에 접속된다. 또한, 플레이트식 열교환기(62c)의 접속부(c5), 플레이트식 열교환기(62d)의 접속부(c6), 플레이트식 열교환기(62e)의 접속부(c7)에 접속된 유출측 물 매체 배관(90)이 합류점(c8)에 접속되어, 칠러 유닛(12)의 외부로 도출되어 있다.
또한, 전동 밸브(60)에 접속된 칠러측 냉매 배관(14B)은 분기점(d1)에서 분기된 후, 분기된 배관의 각각이, 플레이트식 열교환기(62c)의 접속부(d2), 플레이트식 열교환기(62d)의 접속부(d4)에 접속된다. 또한, 플레이트식 열교환기(62c)의 접속부(d5), 플레이트식 열교환기(62d)의 접속부(d6), 플레이트식 열교환기(62e)의 접속부(d7)에 접속된 칠러측 냉매 배관(14B)은 분기점(d8)에서 합류하여 실외 냉매 배관(14A)에 접속된다.
도 11은 칠러 유닛 본체(77)를 상술한 전장 박스(78)가 배치된 측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12는 칠러 유닛 본체(77)를 전장 박스(78)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칠러 유닛(12)은 방진 가대(70)(도 2 및 도 3 참조) 상에 실외기(11)와 나란히 배치되는 것이고, 전방면측에 전장 박스(78)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작업자는 실외기(11)의 전장 박스(74) 및 칠러 유닛(12)의 전장 박스(78)에, 동시에 또한 용이하게 액세스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플레이트식 열교환기(62a, 62b, 62c) 모두가 상단실(86)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플레이트식 열교환기(62a, 62b, 62c)는 구획판(99a)에 적재, 고정된 상태로 지지 플레이트(98)를 통해 상방 횡프레임(85a, 85b)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플로우 스위치(93)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유입측 물 매체 배관(89)의 분기점이 하단실(92)에 설치되어 있고, 분기된 유입측 물 매체 배관(89)의 각각이, 거리를 길게 확보한 상태로, 대략 직선 형상으로 플레이트식 열교환기(62c, 62d, 62e)의 상부의 접속부(c2, c3, c4)에 접속된다. 이로 인해, 플레이트식 열교환기(62c, 62d, 62e)의 각각에 동등한 유량의 물 매체가 유입되도록 조정하는 것이 가능한 상태로, 물 매체 배관(61)의 경로에 있어서 에어가 쌓이는 개소를 배제할 수 있다. 따라서, 에어를 빼기 위한 공기 빼기의 작업이 필요 없어져, 메인터넌스성의 향상이 도모되어 있다. 또한, 3개의 전동 밸브(60)가 전장 박스(78)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이 기존의 장치인 전장 박스(78)가 덮개가 되어, 전동 밸브(60)에 대해 결로수가 적하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의 일 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임의로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술한 2개의 실시 형태에서는 플레이트식 열교환기를 2개, 또는 3개 구비하는 칠러 유닛(12)을 예로 든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플레이트식 열교환기의 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생성해야 할 냉수 또는 온수의 용량에 따라서 적절한 수만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칠러 유닛 본체(77)가 구획판(99a)에 의해 상단실(86)과, 하단실(92)로 나뉘어져 있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상단실(86)과 하단실(92)로 나뉘어져 있을 필요는 없다. 즉, 플레이트식 열교환기(62)가 칠러 유닛 본체(77)에 있어서 상단에 설치되어 있으면 된다.

Claims (8)

  1. 실외기로부터 냉매 배관을 통해 공급되는 냉매와, 외부로부터 물 냉매 배관을 통해 공급되는 물 매체 사이에서 열교환하여, 냉온수를 생성하는 플레이트식 열교환기를 갖는 칠러 유닛 본체를 구비한 칠러 유닛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식 열교환기에 접속되는 상기 냉매 배관 및 상기 물 매체 배관을, 상기 칠러 유닛 본체의 배면측으로 도출하여, 상기 배면측에서 칠러 유닛 본체의 냉매 배관과 상기 실외기로부터의 상기 냉매 배관을 접속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상기 칠러 유닛 본체의 전방면측에 단열재가 권취된 전장 박스를 배치하고, 상기 전장 박스의 하방에 상기 칠러 유닛 본체의 상기 냉매 배관을 유동하는 냉매의 유량을 제어하는 전동 밸브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칠러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기와 상기 칠러 유닛 본체는 나란히 배치되어 있고, 상기 칠러 유닛 본체의 안길이 방향의 폭을, 상기 실외기의 안길이 방향의 폭과 대략 동일하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칠러 유닛.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칠러 유닛 본체와 상기 실외기를 방진 가대 상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칠러 유닛.
  4. 실외기로부터 냉매 배관을 통해 공급되는 냉매와, 외부로부터 물 냉매 배관을 통해 공급되는 물 매체 사이에서 열교환하여, 냉온수를 생성하는 플레이트식 열교환기를 갖는 칠러 유닛 본체를 구비한 칠러 유닛에 있어서, 상기 칠러 유닛 본체는 상단부 및 하단부로 이루어지는 하우징과, 상기 실외기로부터의 상기 냉매 배관과 외부로부터의 상기 물 냉매 배관에 접속하여, 상기 냉매 및 상기 물 냉매를 상기 플레이트식 열교환기로 공급하는 배관군을 더 갖고, 상기 배관군은 상기 냉매 및 상기 물 매체를 분류하여 상기 플레이트식 열교환기로 공급하고, 상기 칠러 유닛 본체의 하단부에 통합하여 배치되어 있고, 상기 배관류와 상기 플레이트식 열교환기를, 상기 플레이트식 열교환기보다도 높아지지 않는 접속 배관에 의해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칠러 유닛.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칠러 유닛 본체가 높이 방향의 대략 중앙부에 지지 가대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 가대에 상기 플레이트식 열교환기를 적재하여, 상기 플레이트식 열교환기를 측방으로부터 지지 플레이트에 의해 상기 칠러 유닛 본체의 측부에 지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칠러 유닛.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식 열교환기가 상호간에 거리를 두고 배치된, 복수의 분할된 플레이트식 열교환기로 이루어지고, 당해 복수의 플레이트식 열교환기의 각각이, 칠러 유닛 전체의 중량 밸런스가 유지되도록 상기 칠러 유닛 본체의 마주보는 측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칠러 유닛.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물 매체 배관을 상기 칠러 유닛 본체로부터 도출하기 위한 관통 구멍을, 상기 칠러 유닛 본체의 배면의 하부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칠러 유닛.
  8. 실외기와 나란히 배치되어, 실외기로부터 공급되는 냉매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물 매체 사이에서 열교환하여, 냉온수를 생성하는 플레이트식 열교환기를 갖는 칠러 유닛 본체를 구비한 칠러 유닛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식 열교환기에 접속되는 냉매 배관 및 물 매체 배관을, 상기 칠러 유닛 본체의 배면측으로 도출하여, 상기 배면측에서 칠러 유닛 본체의 냉매 배관과 실외기의 냉매 배관을 접속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상기 칠러 유닛 본체의 전방면측에 단열재가 권취된 전장 박스를 배치하고, 상기 전장 박스의 하방에 냉매의 유량을 제어하는 전동 밸브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칠러 유닛.
KR1020090025171A 2008-03-26 2009-03-25 칠러 유닛 KR1011273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079697 2008-03-26
JP2008079697A JP2009236340A (ja) 2008-03-26 2008-03-26 チラーユニット
JPJP-P-2008-079698 2008-03-26
JP2008079698A JP2009236341A (ja) 2008-03-26 2008-03-26 チラーユニッ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2683A true KR20090102683A (ko) 2009-09-30
KR101127348B1 KR101127348B1 (ko) 2012-04-12

Family

ID=40886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5171A KR101127348B1 (ko) 2008-03-26 2009-03-25 칠러 유닛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90242172A1 (ko)
EP (1) EP2110627A3 (ko)
KR (1) KR1011273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53405B2 (ja) * 2012-09-12 2016-12-27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パラレル型冷凍機の制御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10001304B2 (en) 2013-05-31 2018-06-19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Heat medium relay unit and air-conditioning apparatus including the heat medium relay unit
EP3165849B1 (en) * 2014-07-02 2023-04-26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Heat source device and heat source system provided with heat source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76809A (en) * 1933-10-30 1937-04-13 Gen Motors Corp Refrigerating apparatus
US3079994A (en) * 1956-01-30 1963-03-05 Daimler Benz Ag Heat transfer plate construction
US3289428A (en) * 1965-04-06 1966-12-06 Carrier Corp Reverse cycle refrigeration system
US3698555A (en) * 1970-11-23 1972-10-17 John R Conner Self-cleaning filter system
US5187950A (en) * 1992-02-28 1993-02-23 Weldon Mark P Door mounted cooling apparatus
AU4115096A (en) * 1995-11-07 1997-05-29 Alfa Laval Agri Ab Apparatus and method for cooling a product
DE19720842C2 (de) * 1997-05-17 1999-03-11 Bodenseewerk Geraetetech Hochtemperaturschutz-Einrichtung für ein elektronisches Gerät
US5937663A (en) * 1997-12-23 1999-08-17 Yang Fan Development Co., Ltd. Multipurpose heat pump system
DE19812042A1 (de) * 1998-03-19 1999-09-30 Harting Kgaa Gehäuse zur Aufnahme von elektrischen und/oder elektronischen Bauteilen
US6082131A (en) * 1998-10-20 2000-07-04 Hoshizaki Denki Co., Ltd. Refrigerator
US6238282B1 (en) * 1999-11-30 2001-05-29 General Electric Company Locomotive cabin ventilation apparatus and method
JP2002130743A (ja) * 2000-10-30 2002-05-09 Mitsubishi Heavy Ind Ltd 室外熱交換器ユニット構造、室外機ユニット及びガスヒートポンプ式空気調和機
JP4236477B2 (ja) 2003-02-18 2009-03-11 イノテック株式会社 チラー装置
JP4157394B2 (ja) 2003-02-18 2008-10-01 イノテック株式会社 チラー装置
JP4434821B2 (ja) 2004-04-12 2010-03-17 三洋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WO2007004460A1 (ja) * 2005-06-30 2007-01-11 Toshiba Carrier Corporation ヒートポンプ式給湯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10627A3 (en) 2017-07-12
US20090242172A1 (en) 2009-10-01
EP2110627A2 (en) 2009-10-21
KR101127348B1 (ko) 2012-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4477B1 (ko) 칠러 장치, 칠러 장치를 갖는 냉동 시스템 및 공기 조화 장치
CN108882658B (zh) 浸没式液冷和循环风冷结合的服务器机柜散热系统
CN101420839B (zh) 电子设备冷却系统以及电子设备冷却装置
US20080271878A1 (en) Heat exchanger and method for use in precision cooling systems
EP1909049A2 (en) Electronic head pressure control
JP2009236339A (ja) チラーユニット
CN103375847B (zh) 数据机房的无油离心式冷却系统
EP3113593A1 (en) Cooling system and method having micro-channel coil with countercurrent circuit
JP2010190553A (ja) 電子機器の冷却システム
WO2011099628A1 (ja) 空気調和機
JP5331012B2 (ja) 電子機器の冷却システム
KR101127348B1 (ko) 칠러 유닛
CN103453705A (zh) 空调系统
JP2009236341A (ja) チラーユニット
JP2010032071A (ja) 冷凍装置における電装品ユニットの設置構造及び設置方法
JP2009236340A (ja) チラーユニット
KR101085900B1 (ko) 압축기 균유장치 및 냉동기
CN212936542U (zh) 一种机房散热降温系统、机房
CN103649653A (zh) 具有油补偿的制冷回路
WO2018036217A1 (zh) 用于多联机空调的切换装置及具有其的多联机空调
CN219913686U (zh) 液冷温控机组
CN219717111U (zh) 一种储能柜及其储能系统
JP2014031992A (ja) 冷房システム
CN213273001U (zh) 机房散热降温设备、机房
CN217275054U (zh) 低噪音分体式冷却机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