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2628A - 광전식 연기 감지기 - Google Patents

광전식 연기 감지기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2628A
KR20090102628A KR1020090004705A KR20090004705A KR20090102628A KR 20090102628 A KR20090102628 A KR 20090102628A KR 1020090004705 A KR1020090004705 A KR 1020090004705A KR 20090004705 A KR20090004705 A KR 20090004705A KR 20090102628 A KR20090102628 A KR 200901026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smoke detector
photoelectric smoke
aperture
apertur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4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75086B1 (ko
Inventor
아키오 오카다
Original Assignee
노미 보사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8080686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9237720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8080348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9237697A/ja
Application filed by 노미 보사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노미 보사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1026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26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50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50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G08B17/103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using a light emitting and receiving devic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G08B17/11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using an ionisation chamber for detecting smoke or gas
    • G08B17/113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re-Detection Mechanisms (AREA)

Abstract

일정한 미광(迷光)을 제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광전식 연기 감지기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발광 소자로서의 LED(60)를 수납하는 발광 소자 수납부(45)와, 발광 소자 수납부(45)의 전방에 설치된 애퍼처(aperture)가 어둠상자(4)에 형성된 광전식 연기 감지기에 있어서, 애퍼처는 LED(60)로부터의 거리가 다른 복수의 애퍼처(61, 62)로 구성되고, 복수의 애퍼처의 폭 방향의 개구경은 LED(60)로부터의 거리에 비례하여 커지도록 형성된다.

Description

광전식 연기 감지기{PHOTOELECTRIC SMOKE DETECTOR}
본 발명은 광전식 연기 감지기에 관련되고, 특히 발광 소자의 전방에 설치된 애퍼처(aperture)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광전식 연기 감지기에 관련되고, 특히 수광 소자를 수납하는 쉴드 케이스(shield case)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광전식 연기 감지기에 있어서, 어둠상자 내에는 발광 소자로서의 발광 다이오드(이하, LED 라고도 한다)를 수납하는 발광 소자 수납부가 설치되고, 그 전방에는 LED로부터 발생되는 광의 진행 방향을 제한하기 위한 애퍼처가 설치되어 있다.
또, 광전식 연기 감지기에 있어서, 수광 소자로서의 포토 다이오드(이하, PD라고 한다)는, 연기에 의한 미약한 산란광을 수광하여 연기 감지를 함으로써, 전기적인 노이즈(noise)의 영향을 받지 않게 하기 위해서, 쉴드 케이스로 덮혀 있다. 이 PD를 포함한 광학계를 조립할 때에는, 종래 우선 PD(Photo Diode)를 광학대(光學台)에 삽입하고, 다음에 쉴드 케이스를 삽입하는 순서로 되어 있어 부품을 각각 개별적으로 실장할 필요가 있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2003-141653호
종래의 광전식 연기 감지기는, 애퍼처가 1개 밖에 설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일정한 미광(迷光)을 제거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종래의 광전식 연기 감지기의 광학계의 조립에 즈음해서는, 상기와 같이, PD 및 쉴드 케이스를 개별적으로 취하여 조립하고 있기 때문에, 조립의 공정수가 필연적으로 많아진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일정한 미광을 제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광전식 연기 감지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광학계의 조립에 즈음하여 그 공정수를 삭감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광전식 연기 감지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과 관련되는 광전식 연기 감지기는, 발광 소자로서의 발광 다이오드를 수납하는 발광 소자 수납부와, 이 발광 소자 수납부의 전방에 설치된 애퍼처가 어둠상자에 형성된 광전식 연기 감지기에 있어서, 상기 애퍼처는 상기 발광 다이오드로부터의 거리가 다른 복수의 애퍼처로 구성되고, 이 복수의 애퍼처의 폭 방향의 개구경은 상기 발광 다이오드로부터의 거리에 비례하여 커지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과 관련되는 광전식 연기 감지기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애퍼처는 상기 어둠상자를 구성하는 광학대측에 형성되고 하부측을 개구하는 것과 상부측을 개구하는 것이 서로 엇갈리게 형성되어 있다.
또, 본 발명과 관련되는 광전식 연기 감지기는, 어둠상자 내의 수광 소자 수납부에 수광 소자와, 이 수광 소자를 덮는 통 모양의 쉴드 케이스를 수납하는 광전식 연기 감지기에 있어서, 상기 쉴드 케이스의 배면에 내측으로 힘이 가해져 상기 수광 소자를 정면측으로 누르는 누름 스프링부(spring part)를 설치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되는 광전식 연기 감지기에 있어서, 상기 쉴드 케이스는 한 장의 판을 휨 가공하여 형성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애퍼처는 발광 다이오드로부터의 거리가 다른 복수의 애퍼처로 구성되고, 이 복수의 애퍼처의 폭 방향의 개구경은 발광 다이오드로부터의 거리에 비례하여 커지도록 형성되므로, 발광 다이오드로부터의 광은 복수의 애퍼처에 의해 좁혀져 진행됨과 아울러 일정한 미광이 제거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애퍼처는 어둠상자를 구성하는 광학대측에 형성되고, 하부측을 개구하는 것과 상부측을 개구하는 것이 서로 엇갈리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수지 성형시의 금형 구조를 이용할 수가 있어 비용을 높이는 일 없이 복수의 애퍼처를 형성할 수가 있고, 애퍼처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쉴드 케이스의 배면에, 내측으로 힘이 가해져 수광 소자를 정면측으로 누르는 누름 스프링부가 설치되어 있고, 수광 소자가 누름 스프링부에 의해 눌러져 수광 소자와 쉴드 케이스가 일체화된다. 이 때문에, 그 일체화된 수광 소자와 쉴드 케이스를 광학계의 수광 소자 수납부에 동시에 삽입할 수가 있다. 따라서 광학계를 조립할 때의 공정수를 삭감할 수가 있다. 또, 거기에 더하여 광전식 연기 감지기의 사용시에 있어서도, 수광 소자가 누름 스프링부에 의해 눌러지므로, 수광 소자가 쉴드 케이스의 내부에서 반동이 생기지 않는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쉴드 케이스는 한 장의 판을 휨 가공하여 형성된 것이고, 이 때문에 쉴드 케이스를 제조하기 위한 부품 점수가 적게 되고, 그 제조가 용이한 것으로 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광전식 연기 감지기의 외관도 및 그의 b-b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광전식 연기 감지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광전식 연기 감지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어둠상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광학대의 상세를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LED의 전방에 형성된 애퍼처의 상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c)의 LED의 주변 부분을 추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애퍼처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9는 쉴드 케이스 상세를 나타낸 도이다.
도 10은 본체에 커버를 조립한 상태의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경보기 본체를 장착판에 장착한 상태의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경보기 본체를 장착판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의 단면도(변형예)이다.
<부호의 설명>
1 : 본체 2 : 커버
3 : 장착판 4 : 어둠상자
21 : 연기 유입창 22 : 누름 버튼
23 : 개구부 24 : 경보 스피커
41 : 프린트 기판 42 : 택트 스위치(tact switch)
43 : 광학대(光學台) 44 : 광학대 커버
44a : 연기 출입구 44b : 방충망
45 : 발광 소자 수납부 46 : 수광 소자 수납부
47 : 라비린스 부재(labyrinth member)
48 : 쉴드 케이스(shield case)
49 : PD 50 : 정면판
50a : 개구부 51 : 상판
52 : 배면판 52a : 누름 스프링부
52b : 장착부 53, 54 : 측판
53a, 53b, 54a, 54b : 설편(tongue piece)
53d, 54d : 볼록부 60 : LED
61 : 제1 애퍼처(aperture) 62 : 제2 애퍼처
100 : 경보기 본체 113 : 기판
114 : 둘레벽 115, 115a, 115b : 칼날부(걸어맞춤부)
116a, 116b : 관통 구멍 119 : 나사 삽통 구멍
121 : 그릇 모양부 123 : 둘레벽
124, 124a, 124b, 125, 125a, 125b : 포위벽
129 : 나사 구멍 132 : 기판
133 : 둘레벽 134 : 내벽
135a, 135b : 칼날 수용부(피걸어맞춤부)
136a, 136b : 나사 삽통 구멍
도 1(a), 도 1(b)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광전식 연기 감지기의 외관도 및 그의 b-b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광전식 연기 감지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상방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사시도, 도 3은 하방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1(b)에 있어서 내부 부품의 일부는 생략되어 도시되어 있다.
이 광전식 연기 감지기는 경보 스피커, 화재 등을 구동하기 위한 전자 부품(상세한 것은 도시하지 않음)이 탑재되어 있는 본체(1), 본체(1)를 덮는 커버(보호 커버)(2) 및 본체(1)의 배면에 걸려서 천정면 등에의 장착용 스프링 구멍 등을 가지는 장착판(3)을 구비하고 있고, 본체(1)와 커버(2)의 사이에는 연기 검출부로서 기능하는 부품(상세한 것은 후술한다)이 탑재된 어둠상자(4)가 수납되어 있다. 커버(2)는 그 상부에 검출 대상으로 되는 연기가 출입하기 위한 복수의 연기 유입창(21) 및 누름 버튼(22)의 일부를 돌출시키기 위한 개구부(23)를 구비하고 있다. 누름 버튼(22)은 커버(2)의 내벽에 일단이 회동 자유롭게 지지되고 타단이 걸려 있고 개구부(23)로부터 돌출된 부위가 눌러짐으로써, 후술의 택트 스위치(tact switch)(42)를 온(ON) 동작시킨다. 또 이 커버(2)의 내벽에는 경보 스위치(24)(도 3 참조)가 장착되어 있다.
본체(1)는 원판 모양의 기판(113)과, 그 외주 가장자리의 배면측에 입설된 둘레벽(114)으로 이루어지는 둘레벽(114)의 위 가장자리부(장착판(3)측)에는, 대향하여 내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설치된 걸어 맞춤부인 한 쌍의 평판 모양의 칼날부(115a, 115b)가 설치되어 있고, 기판(113)의 칼날부(115a, 115b)의 직하에는 칼날부(115a, 115b)의 언더컷부(undercut part)를 형성하기 위한 관통 구멍(116a, 116b)이 형성되어 있다.
커버(2)는 거의 산 형상의 그릇 모양부(121)와, 그 외주 가장자리에 설치한 둘레벽(123)으로 이루어지고, 둘레벽(123)의 내측에는 본체(1)의 기판(113)에 형성된 관통 구멍(116a, 116b)에 대응하여, 커버(2)를 본체(1)에 조립할 때, 그 선단부가 본체(1)의 기판(113)에 맞닿아 또는 근접하여 위치하는 높이가 거의 ??자 모양으로 통 모양의 포위벽(124a, 124b)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1)와 이 본체(1)에 복수의 나사에 의해 일체로 결합된 커버(2)에 의해, 감지기 본체로서의 경보기 본체(100)가 구성된다.
장착판(3)은 원판 모양의 기판(132), 기판(132)의 외주 가장자리의 본체(1)측에 설치된 둘레벽(133) 및 둘레벽(133)과 동심적으로 설치된 내벽(134)을 가지고, 내벽(134)의 위 가장자리부의 본체(1)에 설치한 칼날부(115a, 115b)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외주측으로 연장하여 설치되고, 둘레벽(133)과의 사이에 빈틈(g)을 두고 피걸어맞춤부인 칼날 수용부(135a, 135b)가 설치되어 있다.
어둠상자(4)는 그 하부에 프린트 기판(41)이 장착되어 있고, 그 프린트 기판(41)에는 택트 스위치(42)가 장착되어 있다. 이 택트 스위치(42)는 상기의 누름 버튼(22)의 조작에 의해 스위치 온 한다. 또한 이 누름 버튼(22)은 연기가 검출되어 경보 스피커(24)가 소리내어 동작하고, 그것을 해제할 때나 점검할 때에 조작된다. 이 어둠상자(4)의 상세를 도 4에 근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어둠상자(4)의 분해 사시도이다.
어둠상자(4)는 광학대(光學台)(43)와, 이 광학대(43)를 덮는 광학대 커버(44)로 구성되어 있다. 광학대(43)에는 발광 소자 수납부(45), 수광 소자 수납부(46) 및 복수의 라비린스 부재(labyrinth member)(47)가 설치되어 있다. 수광 소자 수납부(46)는 발광 소자 수납부(45)로부터의 발광이 직접 입사하지 않는 것 같은 발광 소자 수납부(45)와의 각도로 배설되어 있다. 발광 소자 수납부(45)에는 발광 소자, 예를 들면 포탄 형태의 LED(60)가 장착된다. 또 수광 소자 수납부(46)에는 쉴드 케이스(48)에 수납된 PD(49)가 장착된다. 광학대 커버(44)에는 복수의 연기 출입구(44a)가 형성되어 있고, 그리고 연기 출입구(44a)에는 방충망(44b)이 설치되어 있어 어둠상자(4) 내에 벌레 등의 이물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5는 광학대(43)의 상세를 나타낸 도이고, (a)는 정면도, (b)는 평면도, (c)는 (b)의 c-c단면도, (d)는 (a)의 d-d단면도, (e)는 측면도, (f)는 저면도이다.
도 6은 LED(60)의 전방에 형성된 애퍼처의 상세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5(c)의 단면도 중 LED(60)의 주변 부분을 추출한 단면도이다.
발광 소자 수납부(45)에는 LED(60)가 장착되지만, 그 전방에는 제1 애퍼처(61) 및 제2 애퍼처(62)가 광학대(43)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1 애퍼처(61)는 원형과 그 원형 부분의 하방 부분이 개구된 형상을 조합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 제2 애퍼처(62)는 원형과 그 원형 부분의 상방이 개구된 형상을 조합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6에는 제2 애퍼처(62)의 형상이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지만, 제1 애퍼처(61)는 도 6의 제2 애퍼처(62)의 형상을 상하 방향으로 반전시킨 것 같은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 제1 애퍼처(61) 및 제2 애퍼처(62)는 그 개구경(폭 방향)이 LED(60)로부터의 거리에 비례하여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8은 애퍼처의 동작 설명도이다.
LED(60)의 전방에 형성된 애퍼처는 LED(60)로부터 발생된 광을 좁히는 작용을 하지만, 애퍼처에 닿은 광은 산란하여 예기치 않은 방향으로 광이 진행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의 애퍼처(61, 62)는, 2중으로 구성되어 있고 LED(60)로부터 봐서 앞측에 위치하는 제1 애퍼처(61)의 주변 부재(61a)에 닿아 반사된 광은 제1 애퍼처(61)보다 LED(60)로부터 봐서 떨어진 위치에 있는 제2 애퍼처(62)의 주변 부재 애퍼처(62a)에 닿아 반사하게 되어, 제1 애퍼처(61)로 반사한 광을 좁힐 수가 있다.
또한, 제1 애퍼처(61) 및 제2 애퍼처(62)의 개구경(폭 방향)이 LED(60)로부터의 거리에 비례하여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LED(60)로부터 발생된 광은 도 7에 나타나듯이, 적절히 좁혀져 예기된 방향으로 진행되어 어둠상자(4) 내를 조사한다.
또, 제1 애퍼처(61)는 원형과 그 원형 부분의 하방 부분이 개구된 형상과 조합된 형상으로 되어 있고, 제2 애퍼처(62)는 원형과 그 원형 부분의 상방이 개구된 형상을 조합한 형상으로 되어 있고, 하방 또는 상방이 개방된 형상으로 되어 있지만, LED(60)와 PD(49)는 수평 방향으로 대응한 위치 관계에 있고, 상하 방향의 산란광이 발생하였다고 해도 그것은 무시할 수 있고, 좌우 방향(수평 방향)의 산란광을 규제하면 충분하므로, 하방 또는 상방이 개방된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에 의한 폐해는 없다.
도 9는 쉴드 케이스(48)의 상세를 나타낸 도이고, (a)는 정면도, (b)는 우측면도, (c)는 배면도, (d)는 저면도이다.
쉴드 케이스(48)는 한 장의 판재를 절단하여 접어 구부려 통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정면판(50), 상판(51), 배면판(52), 측판(53, 54)으로 구성되어 있고, 정면판(50)과 상판(51)과 배면판(52)이 연속하고, 또 정면판(50), 측판(53)과 측판(54)이 연속하고 있다. 정면판(50)의 상부에는 개구부(50a)가 형성되어 있고, 이 개구부(50a)를 통해 산란광이 내장되어 있는 PD(49)로 공급된다. 측판(53) 및 측판(54)의 배면판측의 측부에, 그의 상하 방향에 1대의 설편(tongue piece)(53a, 53b, 54a, 54b)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설편(53b, 54b)의 양측에는 각각 노치(notch)(53c, 54c)가 형성되어 있고, 설편(53b, 54b)을 구부리기 쉽게 함과 아울러, 설편(53b, 54b)을 구부린 상태의 상면과 설편(53b, 54b)의 단부가 하나의 면이 되도록 하고 있다. 설편(53b, 54b)을 배면판측으로 접어 구부린 상태에서(접어 구부린 위치는 측판(53, 54)의 단부보다 내측의 위치), 그 위에 배면판(52)을 접어 구부린다. 그리고, 그 상태에서 설편(53a, 54a)을 접어 구부림으로써 배면판(52)을 고정한다. 즉, 배면판(52)을 설편(53a, 54a)과 설편(53b, 54b)에 의해 끼워 넣어 보유하고, 배면판(52)과 측판(53, 54)의 사이에 틈이 생기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 측판(53, 54)에는 PD(49)의 하부에 서로 닿는 위치에, 내측으로 돌출한 볼록부(53d, 54d)가 형성되어 있고, 이것은 후술하는 누름 스프링부(52a)와 함께 PD(49)를 보유한다.
쉴드 케이스(48)의 배면판(52)에는, 그 일부가 세로 길이로 3변이 잘라내지고, 정면판(50)측으로 접어 구부러진 누름 스프링부(52a)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은 PD(49)를 정면판(50)측으로 누른다. 또 배면판(52)의 하부에는, 수광 소자 수납부(46)로 삽입되어 프린트 기판(41)에 장착되기 위한 장착부(52b)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쉴드 케이스(48)의 하부로부터는 장착부(52b)와 달리, PD(49)의 단자(49a)가 하방으로 돌출하여 나타나고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구성된 쉴드 케이스(48) 및 거기에 수납된 PD(49)는, 일체로 되어 보유되고, 도 4에 나타내듯이 수광 소자 수납부(46)에 수납되고, 프린트 기판(41)에 납땜 등에 의해 고정된다.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광전식 연기 감지기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고, LED(60)를 발광시켜 화재를 감시하고 있지만, 통상시에는 LED(60)의 광은 PD(49)에 들어가지 않는다. 이상시, 즉 화재 발생시에는 연기가 연기 유입창(21)을 통해 연기 출입구(44a)로부터 어둠상자(4) 내로 유입하고, LED(60)로부터의 광과 충돌하여 산란되므로 그 광의 진로가 변경되고, 그 산란광의 일부는 PD(49)로 들어간다. PD(49)로 들어간 산란광이 소정량을 넘으면 도시하지 않는 제어에 의해 경보 스피커(24)가 소리내어 동작한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애퍼처(61, 62)는 LED(60)로부터의 거리가 다른 복수의 애퍼처로 구성되고, 복수의 애퍼처의 개구경(폭 방향)은 LED(60)로부터의 거리에 비례하여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LED(60)로부터의 광은 복수의 애퍼처(61, 62)에 의해 좁혀져 진행됨과 아울러 일정한 미광이 제거된다. 또 제1 및 제2 애퍼처(61, 62)는 어둠상자(4)를 구성하는 광학대(43)측에 형성되어 있고, 또한 하부측을 개구하는 제1 애퍼처(61)와 상부측을 개구하는 애퍼처(62)가 서로 엇갈리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면 수지 성형시의 금형 구조를 이용할 수가 있고, 2개의 금형으로 샌드위치(sandwich)하여, 복수의 애퍼처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제조하기 쉽고 비용을 높이는 일 없이 복수의 애퍼처(61, 62)를 형성할 수가 있다. 또 LED(60)로부터 발생된 광의 상하 방향을 좁히는 작용을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의 설명에 있어서, 제1 애퍼처(61)가 하부측을 개구하고, 제2 애퍼처(62)가 상부측을 개구하는 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그 역이라도 좋다. 즉, 제1 애퍼처(61)가 상부측을 개구하고, 제2 애퍼처(62)가 하부측을 개구하도록 해도 좋다. 또 본 발명의 애퍼처는 좌우 방향(수평 방향)의 미광을 규제할 수가 있으면 좋기 때문에, 애퍼처(61, 62)의 형태는 그 목적에 맞추어 적당하게 할 수 있는 것이고, 예를 들면 3중 구조로 하도록 해도 좋다.
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PD(49)가 쉴드 케이스(shield case)(48)의 측판(53, 54)의 볼록부(53d, 54d)와 누름 스프링부(52a)에 의해 보유되므로, 이것들을 1개의 부품으로서 취급할 수가 있어 조립시에는 그 공정수를 삭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광전식 연기 감지기의 사용시에 있어서도, PD(49)가 쉴드 케이스(48)의 누름 스프링부(52a)에 의해 눌러지므로, PD(49)가 쉴드 케이스(48)의 내부에서 반동이 생기지 않는다. 또 쉴드 케이스(48)를 한 장의 판재를 절단하여 접어 구부림으로써 형성하고 있으므로, 부품 점수의 증가를 피할 수 있고, 쉴드 케이스(48)를 제조하기 위한 부품 점수가 적게 되어 그의 제조가 용이한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의 설명에 있어서 PD(49)를 쉴드 케이스(48)의 측판(53, 54)의 볼록부(53d, 54d)와 누름 스프링부(52a)에 의해 보유하는 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거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누름 스프링부(52a)만으로 PD(49)를 보유하도록 해도 좋다.
또,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광전식 연기 감지기로서 주택용의 화재 경보기를 이용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거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화재 수신기와 신호선 등을 통해 접속되는 화재 감지기라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다음에, 포위벽(124a, 124b)에 대해서 설명한다. 포위벽(124a, 124b)은 조립 때 등에 있어서, 본체(1)에 형성된 관통 구멍(116a, 116b)으로부터 경보기 본체(100) 내로 나사 등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커버(2)에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구성한 화재 경보기의 조립 및 천정면 등에의 장착 순서의 일례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커버(2)에는 프린트 기판(41), 경보 스피커(24), 누름 버튼(22) 등이 장착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먼저, 커버(2)의 둘레벽(123)을 본체(1)의 외주에 감합하고, 본체(1)의 나사 삽통 구멍(119)에 삽통한 나사를 커버(2)의 나사 구멍(129)에 나선형으로 입력하여 양자를 일체로 결합하여 조립한다.
이때의 상태를 도 10에 나타낸다(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부호에 붙인 a, b를 생략하는 것이 있다). 도 10에 나타내듯이 본체(1)의 기판(113)에 설치한 관통 구멍(116)은 커버(2)에 설치한 포위벽(124)에 의해 폐색되고 프린트 기판(41) 등을 가지는 경보기 본체(100) 내와는 차단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조립된 경보기 본체(100)는 나사 삽통 구멍(136a, 136b)을 통해 천정면 등에 나사 고정된 장착판(3)에 본체(1)의 칼날부(115a, 115b)를 칼날 수용부(135a, 135b)로부터 둘레 방향으로 비켜 놓인 상태로 감합하고, 그 다음에 경보기 본체(100)를 둘레 방향으로 회전시켜 칼날부(115a, 115b)를 칼날 수용부(135a, 135b)에 걸고 장착판(3)에 장착한다. 이때의 상태를 도 11에 나타낸다.
경보기 본체(100)를 장착판(3)으로부터 떼낼 때는, 경보기 본체(100)를 반대 방향으로 회동하여, 칼날부(115a, 115b)를 칼날 수용부(135a, 135b)로부터 이탈시키면 좋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나사 등의 작은 물건이 본체(1)의 관통 구멍(116a, 116b)에 떨어져도 포위벽(124a, 124b) 내에 멈춰있고, 경보기 본체(100) 내로 깊숙히 들어가는 일이 없기 때문에, 이것을 제거하기 위한 쓸모없는 분해 작업이 발생하는 일이 없고, 이 때문에 조립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 경보기 본체(100) 내로의 나사 등이 떨어져 들어감에 의한 불량이 발생하는 일이 없고, 또한 주택 등에의 설치 후에도 벌레나 먼지 등이 관통 구멍(116a, 116b)으로부터 경보기 본체(100) 내로 침입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신뢰성이 높은 화재 경보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체(1)의 기판(113)에 설치된 관통 구멍(116a, 116b)을 커버(2)에 설치한 포위벽(124a, 124b)으로 폐색하는 경우를 나타냈지만, 도 12에 나타내듯이 관통 구멍(116a, 116b)을 폐색하는 포위벽(125)을 본체(1)에 설치해도 좋다.
즉, 본체(1)의 기판(113)에 설치한 칼날부(115)의 반대측의 면에, 관통 구멍(116)의 주위, 적어도 중심부측의 가장자리부 및 그 양측의 가장자리부에 본체(1)에 커버(2)를 조립할 때, 그 선단부가 커버(2)의 내벽면에 맞닿는 또는 근접하는 높이의 포위벽(125)을 설치한 것이다. 또한 도 12에 있어서, 관통 구멍(116)의 중심부측의 가장자리부와는 반대측의 가장자리부에 설치된 포위벽(125a)은 삭제해도 좋다.
이상을 통하여, 이 화재 경보기는 기판(113)의 배면에 입설된 내향의 걸어맞춤부로서의 칼날부(115a, 115b)를 가지고, 상기 기판(113)의 걸어맞춤부(115a, 115b)의 직하에 관통 구멍(116a, 116b)이 형성된 본체(1) 및 그릇 모양부(121)를 가지고, 상기 본체(1)에 일체로 결합되는 커버(2)로 이루어지는 경보기 본체(100)와, 이 경보기 본체(100)의 걸어맞춤부(115a, 115b)가 걸어맞춰지는 피걸어맞춤부로서의 칼날 수용부(135a, 135b)를 가지고, 천정면 등에 고정된 장착판(3)을 구비하고, 상기 커버(2)에 상기 본체(1)측을 향하여 내벽면에 입설되고, 상기 본체(1)의 관통 구멍(116a, 116b)을 둘러싸는 포위벽(124a, 124b)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이 화재 경보기는 상기 커버(2)에 설치한 포위벽(124a, 124b)에 대신하여, 상기 본체(1)의 기판(113)에 형성된 관통 구멍(116a, 116b)의 앞면측에 상기 커버(2)측을 향하여 입설된 포위벽(125a, 125b)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하였으므로, 나사 등의 작은 물건이 경보기 본체(100) 내에 떨어지는 일이 없기 때문에, 쓸모없는 분해 작업을 할 필요가 없고, 이 때문에 조립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 경보기 본체(100) 내로의 나사 등이 떨어짐에 의한 불량이 발생하는 일이 없고, 또한 주택 등에의 설치 후에도 벌레나 먼지 등이 관통 구멍으로부터 경보기 본체(100) 내로 침입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신뢰성이 높은 경보기를 얻을 수 있다.
상기의 설명에서는, 도시의 화재 경보기에 본 발명을 실시한 경우를 나타냈지만, 이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다른 구조의 화재 경보기에도 본 발명을 실시할 수가 있다. 또한 검출부로서 가스 검출부를 이용한 가스 누출 경보기 등, 그 외의 검출부를 이용한 그 외의 경보기에도 본 발명을 실시할 수가 있다.

Claims (4)

  1. 발광 소자로서의 발광 다이오드를 수납하는 발광 소자 수납부와, 이 발광 소자 수납부의 전방에 설치된 애퍼처가 어둠상자에 형성된 광전식 연기 감지기에 있어서,
    상기 애퍼처는 상기 발광 다이오드로부터의 거리가 다른 복수의 애퍼처로 구성되고,
    이 복수의 애퍼처의 폭 방향의 개구경은, 상기 발광 다이오드로부터의 거리에 비례하여 커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식 연기 감지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애퍼처는 상기 어둠상자를 구성하는 광학대측에 형성되고, 하부측을 개구하는 것과 상부측을 개구하는 것이 서로 엇갈리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식 연기 감지기.
  3. 어둠상자 내의 수광 소자 수납부에 수광 소자와 이 수광 소자를 덮는 통 모양의 쉴드 케이스를 수납하는 광전식 연기 감지기에 있어서,
    상기 쉴드 케이스의 배면에, 내측으로 힘이 가해져 상기 수광 소자를 정면측으로 누르는 누름 스프링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식 연기 감지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쉴드 케이스는 한 장의 판을 휨 가공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식 연기 감지기.
KR1020090004705A 2008-03-26 2009-01-20 광전식 연기 감지기 KR1014750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080686A JP2009237720A (ja) 2008-03-26 2008-03-26 光電式煙感知器
JP2008080348A JP2009237697A (ja) 2008-03-26 2008-03-26 光電式煙感知器
JPJP-P-2008-080348 2008-03-26
JPJP-P-2008-080686 2008-03-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2628A true KR20090102628A (ko) 2009-09-30
KR101475086B1 KR101475086B1 (ko) 2014-12-23

Family

ID=41360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4705A KR101475086B1 (ko) 2008-03-26 2009-01-20 광전식 연기 감지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475086B1 (ko)
CN (1) CN102096979B (ko)
TW (1) TWI475519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45201A (zh) * 2021-06-24 2021-09-03 安徽火政消防科技有限公司 一种分装结构的光电感烟火灾探测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04304B2 (ja) * 2011-03-11 2016-10-0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煙感知器
CN103575658A (zh) * 2012-08-10 2014-02-12 能美防灾株式会社 光电分离型探测器
EP3742413A4 (en) * 2018-01-17 2021-03-10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SMOKE DETECTOR
JP7108918B2 (ja) * 2018-03-22 2022-07-2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煙感知器
JP7108917B2 (ja) * 2018-03-22 2022-07-2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煙感知器
CN109166268B (zh) * 2018-10-19 2020-10-27 浙江巨感物联网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感烟探测器的进烟迷宫及感烟探测器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13263A (ja) * 1998-01-30 1999-08-0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光散乱式粒子検知センサ
JP4157212B2 (ja) * 1999-02-15 2008-10-01 松下電工株式会社 光散乱式粒子検知センサ
DE60221736T2 (de) * 2001-04-03 2008-06-05 AutoNetworks Technologies, Ltd., Nagoya Optischer Stecker, Halterungsvorrichtung für optisches Element und Montageteil für einen optischen Stecker
JP2002299652A (ja) * 2001-04-04 2002-10-11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シールドケースの光素子保持構造
TWM252091U (en) * 2004-02-20 2004-12-01 Allure Height Ind Co Ltd Smoke detector
JP2006267128A (ja) * 2006-06-26 2006-10-05 Hochiki Corp 煙感知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45201A (zh) * 2021-06-24 2021-09-03 安徽火政消防科技有限公司 一种分装结构的光电感烟火灾探测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475519B (zh) 2015-03-01
CN102096979B (zh) 2014-05-07
TW200941415A (en) 2009-10-01
KR101475086B1 (ko) 2014-12-23
CN102096979A (zh) 2011-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102628A (ko) 광전식 연기 감지기
JP6899016B2 (ja) 火災警報器
US20020089426A1 (en) Smoke chamber
HU226178B1 (en) Fire detector
US20130093594A1 (en) Smoke detector
JP5660794B2 (ja) 光電式煙感知器
US10024782B2 (en) Smoke chamber and smoke detector using the same
JP2787001B2 (ja) 光電式煙感知器
TWI763774B (zh) 警報裝置
AU2008101268A4 (en) A compact smoke alarm
JPH05157690A (ja) 光電式煙感知器
JP2009237697A (ja) 光電式煙感知器
EP2233916B1 (en) Fire detector
TWI788369B (zh) 警報裝置
JP2002352347A (ja) 火災感知器
JP5210757B2 (ja) 煙感知器
GB2603305A (en) Smoke entry solution for multi wave multi angle safety device
TWI725400B (zh) 煙感測器
JP2009237720A (ja) 光電式煙感知器
CN108106978B (zh) 烟雾暗室及采用该烟雾暗室的烟雾侦测器
JPH05303697A (ja) 光電式煙感知器
JP2024027220A (ja) 煙感知器
RU2263970C1 (ru) Корпус дымового пожарного извещателя
JP2009054063A (ja) 火災報知器
JPH06124390A (ja) 光電式煙感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