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2599A - 전단 강도 보강용 판형 구조체 - Google Patents

전단 강도 보강용 판형 구조체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2599A
KR20090102599A KR1020080095985A KR20080095985A KR20090102599A KR 20090102599 A KR20090102599 A KR 20090102599A KR 1020080095985 A KR1020080095985 A KR 1020080095985A KR 20080095985 A KR20080095985 A KR 20080095985A KR 20090102599 A KR20090102599 A KR 200901025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hear strength
concrete
base plate
coupl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59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기형
Original Assignee
엄기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기형 filed Critical 엄기형
Priority to KR10200801042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02604A/ko
Priority to KR1020090054354A priority patent/KR20100007718A/ko
Priority to KR1020090054904A priority patent/KR20100007721A/ko
Publication of KR20090102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2599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01Flat foundations
    • E02D27/08Reinforcements for flat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28Stressing the soil or the foundation structure while forming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빌딩, 아파트와 같은 건물이나 철골 구조물, 교량과 같이 큰 하중을 갖는 물체를 지층에 지지되어 안착될 수 있도록 하단부를 지지하거나, 하중을 받는 기둥의 상단을 지지하는 구조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측으로 깊이 굴토하고 바닥 콘트리트층을 두껍게 형성하여 기초 구조를 형성하거나, 슬라브와 기둥의 상단 사이에서 지지되는 슬라브, 보를 두껍게 형성하는 것 대신에, 부피가 작고, 간단하여, 굴토 깊이를 작게 하거나 또는 슬라브, 보의 두께를 얇게 형성하면서도 높은 전단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전단 강도 보강용 판형 합성 구조체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기초 바닥층 또는 슬라브 보에 인가되는 전단 하중을 고르게 분산시킬 수 있고 인장력이나 압축력에도 강한 내력을 갖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기초 구조의 부피를 작게 시공할 수 있어 터파기 면적, 깊이를 감소시키거나, 보의 두께를 얇게 형성하면서도 높은 하중을 지지할 수 있어, 시공이 용이하고 시공기간이 단축되며 시공비용이 절감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전단 강도 보강용 판형 구조체 {Reinforcement}
본 발명은 빌딩, 아파트와 같은 건물이나 철골 구조물, 타워크레인 하부, 교량과 같이 큰 하중을 갖는 물체를 지층에 지지되어 안착될 수 있도록 하단부를 지지하거나, 하중을 받는 기둥의 상단을 지지하는 구조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측으로 깊이 굴토하고 바닥 콘트리트층을 두껍게 형성하여 기초 구조를 형성하거나, 슬라브와 기둥의 상단 사이에서 지지되는 슬라브, 보를 두껍게 형성하는 것 대신에, 부피가 작고, 간단하여, 굴토 깊이를 작게 하거나 또는 슬라브, 보의 두께를 얇게 형성하면서도 높은 전단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전단 강도 보강용 판형 합성 구조체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교량, 타워크레인 등의 자중에 의해 지반이 침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건물 시공시 건물의 하부에는 건물 하중이 지반에 골고루 전달되며 지지될 수 있도록 기초 구조가 시공되는데, 종래의 기초 구조는 두꺼운 철근콘크리트 구조를 주로 사용하였다. 건물이 점점 높아지고 규모가 커짐에 따라 단위면적당 기초 구조에 인가되는 하중 역시 증가하고 있으며, 사용되고 있는 기초 구조의 경우 철근콘크리트 구조로 제작된 기초 구조의 두께를 증대시킴으로써 내력을 증가시켰다.
따라서 기초 구조의 크기나 두께가 커짐에 따라 기초 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굴토 깊이, 즉 터파기의 깊이가 깊어지게 된다. 이는 기초 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지반의 터파기 작업과 기초 구조 설치 공정이 복잡하게 되므로 공사기간이 증대되는 문제와 터파기를 위한 공사비가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를 유발하였다. 특히 건물 하부에 암반형 지반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터파기를 깊게 하는데 더욱 더 긴 공사기간과 공사비를 소요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터파기를 깊게 하는 경우 굴토된 지하층 벽면이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고, 작업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상측이 넓어지도록 경사지게 굴토하여야 하므로, 인접 건물에 피해를 주게 되거나 밀집장소에서의 공사가 곤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상측이 넓어지도록 경사지게 굴토하게 되면 그만큼 콘크리트가 타설되어야 할 공간이 커지게 되므로 콘크리트를 낭비하게 된다는 단점도 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건물의 슬라브의 자중을 지지하도록 그 저면에 보를 형성하고, 저층 바닥과 보 사이에 기둥 및 내력벽을 설치하게 되는데, 철근콘크리트조의 보 하단과 기둥 또는 내력벽의 상단이 연결되는 부분에 전단 하중이 집중되게 되는데, 건물이 점점 높아지고 규모가 커짐에 따라 단위면적당 보에 인가되는 하중 역시 증가하고 있으며, 사용되고 있는 보의 경우 철근콘크리트조로 제작된 보의 두께를 증대시킴으로써 내력을 증가시켰다.
따라서 보의 크기나 두께가 커짐에 따라 이를 형성하기 위한 설치 공정이 복잡하게 되므로 공사기간이 증대되는 문제와 공사비가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1a, 1b, 1c는 일반적인 기초 바닥 또는 슬라브, 보의 단면에 집중되는 전단 하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수직의 기둥(A)과 수평의 기초 바닥(B) 사이에는 45도 정도의 비스듬한 방향(C)으로 전단력이 형성되어 가해진다. 기초 바닥(B) 내에 이러한 전단력을 지지할만한 구성이 없는 경우에는, 전단력에 의해 건축 구조물의 변형 내지는 파손을 가져오게 된다. 이는 앙카(a)를 사용하여 건물의 부상을 방지하는 공법의 도 1b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앙카(a)는 건물을 하방으로 당기는 역할을 하므로, 전단력이 방향이 C'와 같이 하방으로 벌어지는 방향으로 나타나게 되거나 앙카 부분만 구멍이 뚫리는 펀칭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한편 건물의 자중과 구조 강도를 확보하기 위한 기둥과 보를 나타내는 도 1c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기초 바닥 내에 다중의 철근 구조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러한 철근 방식은 여러 층 복잡하게 구비하여야 함은 물론, 설치 자체의 공정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기초 바닥의 두께도 두꺼워져야 해서 콘크리트의 소모량이 상당히 늘어나고 시공 비용을 증가시키는 문제가 있으며, 철근의 선 방식으로 전단력을 해결하여야 하므로, 상대적으로 낮은 하중 지지력을 가질 수밖에 없다.
본 발명은 바닥콘크리트층 하측으로 터파기 깊이를 줄이거나, 터파기 과정 없이, 바닥콘크리층 내부에 비교적 단순한 형태의 구조체를 구비하고, 또는 슬라브의 보의 두께를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하고, 보의 내부에 단순한 형태의 구조체를 구비하여,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합성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건물, 교량의 기둥 기초, 타워크레인의 하부 기초 및 내력벽의 기초 등과 같이 지반에 기초를 형성할 때, 전체 하중이 기둥의 하방으로 가중되고, 바닥 슬라브에는 지반 반력이 상방으로 작용되어, 기둥 기초에 발생하는 전단파괴를 방지하도록 판 형태의 구조체를 설치하가니 슬라브 또는 보에 판 형태의 구조체를 내설하여, 두께를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하면서도 가해지는 전단 하중을 효율적으로 지지, 분산시킬수 있도록 하는 판형 합성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터파기를 깊고 크게 하지 않으면서도, 높은 하방 전단 하중을 보다 효과적으로 지지, 분산시킬 수 있도록 하는 건축물 기초 구조 및 슬라브, 보의 두께를 두껍게 형성하지 않으면서도, 전단 하중을 보다 효과적으로 지지, 분산시킬 수 있도록 하는 보의 내부에 매입되는 전단 강도 보강용 판형 합성 구조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듈형으로 콘크리트층 내에 내입되어 합성보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여, 제조 및 설치가 용이한 전단 강도 보강용 판형 합성 구조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본판재 구조를 이루는 판재에 돌출 부재 또는 유입공을 구비하여, 별도의 추가부재 없이도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상호 간에 견고하게 정착되는 전단 강도 보강용 판형 합성 구조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콘크리트구조물 내에 전단 응력이 가해지는 위치에 구비되는 구조체에 있어서, 전단 응력이 미치는 위치에 판재가 수직으로 배열되어 이루어지는 기본판재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기본판재 구조는 콘크리트구조물 내에 위치되는 철근들에 의해 관통되거나 또는 접촉되거나 또는 연결되거나 또는 철근들 사이에 위치된 상태로, 콘크리트가 경화되면서 상기 콘크리트구조물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본판재 구조는: 상기 판재가 2 이상 나란히 또는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본판재 구조는: 상기 콘크리트구조물에서 수직 하중이 가해지는 부분을 중심으로 간격을 두고 상기 판재가 2 이상 나란히 또는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본판재 구조는: 이격 배치된 상기 2 이상의 판재 사이에 연결부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본판재 구조는: 이격 배치된 상기 2 이상의 판재 사이에 연결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연결부재가 상기 판재의 사이를 연결,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판재와 용접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판재와 볼트, 너트, 와셔, 나사, 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연결구를 사용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본판재 구조는: 상기 판재의 단부측에 접합부를 구비하고, 2 이상의 상기 판재가 상기 접합부를 통해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본판재 구조는: 2 이상의 상기 판재가 서로 용접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본판재 구조는: 상기 판재를 상측에서 보았을 때, + 자 또는 井 자 또는 □ 자의 형태를 포함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본판재 구조는: 상기 판재가 상측 단부 및/또는 하측 단부에 수평 방향의 지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판재를 절곡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부는: 별도의 판형 부재를 상기 판재의 상측 및/또는 하측 및/또는 측방에 용접으로 결합시키거나, 별도의 판형 부재를 상기 판재의 상측 및/또는 하측 및/또는 측방에 결합구로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본판재 구조의 판재에는, 측 방향으로 관통되는 한 개 이상의 유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기본판재 구조가 매설되어 콘크리트 경화 시 상기 유입공으로 콘크리트가 유입되어, 상기 기본판재 구조와 콘크리트가 정착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부에는 관통되는 한 개 이상의 유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기본판재 구조가 매설되어 콘크리트 경화 시 상기 유입공으로 콘크리트가 유입되어, 상기 기본판재 구조의 하측으로도 콘크리트가 원활히 유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본판재 구조의 판재에는, 일측을 제외한 타측들이 소정 형태로 절개된 상태에서, 상기 일측을 중심으로 접혀서 상기 판재의 표면상에서 돌출되는 열림부;가 한 개 이상 형성되고, 상기 기본판재 구조가 매설되어 콘크리트 경화 시 상기 열림부가 콘크리트 사이사이에 매입되는 동시에, 상기 열림부의 절곡에 의해 형성되는 유입공으로 콘크리트가 유입되어, 상기 기본판재 구조와 콘크리트가 정착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본판재 구조의 판재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결합돌출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판재가 콘크리트층 내에서 보다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돌출부재는: 외측으로 돌출되며 결합되는 이형철근 또는 볼트부재 또는 열림부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본판재 구조는: 2 이상 나란히 판재들이 수직 배치되고, 상기 판재들의 사이에는 상기 판재들을 상호 지지, 연결하는 연결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재에 의해 하나로 연결된 상기 판재들은, 상기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된 상태로 상하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부 또는 일부 판재에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에는 상하로 겹쳐지는 다른 판재 또는 그 판재의 결합홈이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판재는 하단부가 일자형으로 수평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결합홈이 형성된 베이스 판재가 더 구비되고, 상기 판재에도 상기 결합홈에 끼워지기 위한 결합홈이 구비되고, 상기 판재는 상기 베이스 판재에 2 이상 끼워져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부의 일부에는 개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판재의 개방부가 형성된 위치에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판재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홈은: 상기 판재의 일 부분을 남겨 놓은 상태에서 다른 부분을 절개한 후, 절개되지 않은 부분을 중심으로 절개된 부분이 이격되도록 하여 절곡부를 구비하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부가 형성된 기본 판재의 수직 부분 전체 높이에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에 끼워지는 다른 기본 판재에는 결합홈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홈이 형성된 2 이상의 판재가, 상기 결합홈을 통해 상호 끼워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에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재에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홈이 형성된 2 이상의 연결부가, 상기 결합홈을 통해 상호 끼워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홈이 형성된 2 이상의 연결부재가, 상기 결합홈을 통해 상호 끼워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에는 절곡된 형상으로 구비되는 지지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재에는 절곡된 형상으로 구비되는 지지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판재에는 빈 공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판재들은 상기 공간부에 끼워지며 상하로 교차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판재가 상측 단부 및/또는 하측 단부 및/또는 측방 단부에 지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판재는: 평면형, 굽은형, 곡면형, 절곡형, 굽은형 중 어느 하나이거나, 상기 서로 다른 형태가 연결 또는 결합 또는 용접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기초 바닥층 또는 슬라브 보에 인가되는 전단 하중을 고르게 분산시킬 수 있고 인장력이나 압축력에도 강한 내력을 갖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기초 구조의 부피를 작게 시공할 수 있어 터파기 면적, 깊이를 감소시키거나, 보의 두께를 얇게 형성하면서도 높은 하중을 지지할 수 있어, 시공이 용이하고 시공기간이 단축되며 시공비용이 절감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일반적인 기초 바닥, 기둥, 보 등의 전단 하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판형 구조체가 전단 하중을 담당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판형 구조체가 배치되는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각 판형 구조체의 형상 조합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판형 구조체의 배치 조합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판형 구조체의 배치 접합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9는 본 발명의 각 판형 구조체의 다른 형상 조합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판형 구조체의 배치 조합 및 결합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기둥철근과 기본 판재 사이의 배치 구조 실시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 기본 판재의 전단력 지지 및 분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 내지 15은 기둥 부분에 기본 판재가 배치되는 실시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지지부를 갖는 기본 판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지지구조에 따른 필요 콘크리트층 두께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 도면이다.
도 18은 지지부를 갖는 기본 판재가 기둥 철근의 사이사이에 배치되는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 내지 20은 기둥 부분에 용이하게 배치될 수 있는 기본 판재의 실시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결합홈의 형성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다른 형태의 결합홈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 내지 25는 연결부 또는 연결부재에 결합홈이 형성되고,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은 기본 판재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7은 지지부를 갖는 다양한 형태의 기본 판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8은 다양한 조합의 지지부를 갖는 기본 판재들이 상호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평면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9 및 30은 다양한 형상의 기본 판재를 평면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판재 102 : 유입공
104 : 이형철근 106 : 스터드볼트
108 : 열림부 110 : 연결부
120 : 연결부재 122 : 연결구
130 : 접합부 132 : 연결구
140 : 지지부 142 : 접합구
144 : 유입공 146 : 열림부
150 : 연결부재 160 : 결합홈
170 : 공간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하며,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판형 구조체가 전단 하중을 담당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단력이 미치는 C부분에 수직으로 판형 강재(100)가 사방으로 구비된다. 이 경우 강재(100)는 판 형태이므로, 전단력에 대해 선 형태의 철근들보다 강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수직 하중이 집중되는 D부분에는 강재(100)를 배치시키지 않거나 상대적으로 듬성듬성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단력이 미치는 C 부분을 수직으로 세워진 판형 강재(100)가 지지하게 됨에 따라, 전단력을 선이 아닌 면으로 흡수하여 지지하므로, 콘크리트의 두께가 많이 줄어들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판형 구조체가 배치되는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의 (a), (b)를 참조하면, 판재(100)는 평행하게 놓이는 것은 물론, 건축물의 구조, 역학에 따라 서로 각도를 이루거나 마주보도록 배치할 수 있다. 또는 서로 접촉 또는 접합시킬 수도 있고, 홈을 파서 끼워 넣어 X 나 + 형태를 포함하도록 배치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각 판형 구조체의 형상 조합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서로 떨어져 있는 판재(100)들을 서로 연결시키거나, 접합시킬 수도 있다. (a)는 판재(100)가 일체로 연결부(110)에 의해 연결되도록 하는 실시례이며, (b)는 2개의 판재(100)를 연결부재(120)를 통해 서로 연결시키는 실시례이다. 연결부재(120)는 판재(100)와 용접으로 결합시키거나, 볼트, 너트, 나사, 핀, 와셔, 못, 쐐기 등의 연결구(122)를 사용하여 결합시킬 수 있다.
(c)는 위아래로 2개의 연결부재(120)를 구비하여 견고하게 결합시킨 예이며, (d)는 판재(100)의 측방 단부를 절곡시키고, 절곡된 접합부(130)를 서로 마주보며 접합되도록 하여, 볼트, 너트 등의 연결구(132)로 결합시키는 예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판형 구조체의 배치 조합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판형 구조체의 배치 접합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a)와 같이 판재(100)는 십자로 배치되거나, (b)와 같이 샵(# 내지는 우물 정(井)) 형태로 배치되거나, (c)와 같이 그물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판재(100)간의 결합, 접합은 용접에 의하거나, 별도의 결합구(미도시)를 사용하여 가능하게 할 수 있는데, 도 6의 (a)와 같이 어느 한 판재(100)의 측방에 다른 판재(100a)를 용접 결합하거나, (b)와 같이 각각의 판재(100a)들을 상호 단부에서 용접 결합하거나, (c)와 같이 어느 한 판재(100)의 양 측방에 다른 판재(100a)들을 용접 결합할 수 있다. 또는 앵글 등의 결합구를 사용하여, 용접없이 접합시킬 수도 있으며, 판재(100)들에 홈(미도시)을 형성하고, 홈끼리 서로 끼워지도록 접합시킬 수도 있다.
도 7 내지 9는 본 발명의 각 판형 구조체의 다른 형상 조합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판재(100)는 상단부 및 하단부 또는 상, 하단부 중 어느 일측에 수평한 지지부(140)를 구비하여, 상측 하중과 전단력을 보다 견고하게 지지함은 물론, 시공시에 배치가 이동이 용이하도록 할 수도 있다. 지지부(140)는 판재(100)의 상단 또는 하단을 절곡하거나, 각 단부에 용접 또는 결합시켜 형성하는데 제조상 절곡을 하는 것이 가장 용이하다.
(a)와 같이 상단부와 하단부를 서로 반대방향으로(d처럼 같은 방향도 무방) 절곡하여 지지부(140)를 형성하거나, (b)와 같이 상단부, 하단부에 별도의 지지부(140)를 구비하여 용접으로 결합하거나, (c)와 같이 별도의 접합구(142)를 통해 결합시킬 수 있다. (e)와 같이 ㅗ 자형이 되도록 하거나 (f)와 같이 L자가 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a)와 같이 판재(100)의 측방으로 유입공(102)을 형성하거나, 지지부(140)에 유입공(144)을 형성할 수 있다. 이는 콘크리트 타설시에 유입공(102)(144)을 통해 원활한 콘크리트의 유입을 도모함은 물론, 콘크리트가 경화될 때 서로 견고하게 얼기설기 고정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하단 지지부(140)의 경우 유입공(144)을 통해 콘크리트가 유입되기 힘든 지지부(140)의 하방으로 콘크리트가 잘 스며들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b)와 같이, 지지부(140)에 열림부(146)를 구비할 수도 있다. 각각의 판재(100)에는 한 개 이상의 열림부(146)가 다양한 형상으로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열림부(146)는 각각의 판재(100)의 표면상에 소정 형태로 절개되어 형성되는데, 이때 열림부(146)는 절개되는 소정 형태에서 일측을 제외한 타측들만이 절개되고, 일측은 절개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상기 열림부(146)는 일측을 제외한 타측들이 절개된 상태에서, 절개된 내측면을 밀어내면, 상기 열림부(146)에서 절개되지 않은 일측이 접히면서, 상기 열림부(146)가 상기 판재(100)의 표면상으로 펼쳐지게 된다.
그에 따라, 상기 바닥콘크리트층 또는 슬라브 보 내에 상기 기본판재 구조가 매설될 때, 상기 기본판재 구조를 이루는 판재(100)들의 외측으로 콘크리트가 채워질 때, 상기 열림부(146)의 펼쳐진 부분은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사이사이에 매입되고, 상기 열림부(146)가 펼쳐질때 관통형성되는 유입공(146a)으로는 콘크리트가 유입된 상태로 경화되어, 스터드볼트 등의 별도의 추가 돌출 부재 및 추가 작업 없이도, 간단하게 상기 기본판재 구조를 이루는 판재(100)들과 콘크리트가 단단하게 밀착 고정되게 되는 효과를 갖게 된다.
이때, 상기 열림부(146)는 "━", "ㄱ", "T", "∧", "ㄷ", "□", "▷", "∩"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각각의 판재(100)의 표면상에서 양측부는 절개되지 않는 "" 형태로 절개된 상태에서, 절개된 내측을 양방으로 각각 밀어내어, 절개되지 않은 양측이 각각 접히면서, 상기 판재(100)의 표면상으로 펼쳐지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판재(100)의 표면상에서 "┼" 형태로 절개된 상태에서, 대각선 방향의 내측을 각각 밀어내어, 상기 판재(100)의 표면상으로 펼쳐지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9를 참조하면, 판재(100)의 측방으로 돌출되는 이형철근(104), 스터드볼트(106), 열림부(108) 등과 같은 결합돌출부재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콘크리트층 내에서 콘크리트와 판재(100)가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0은 본 발명의 판형 구조체의 배치 조합 및 결합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이러한 기초 보강구조는 공장에서 생산되어 현장에서 조립 설치되는 경우가 많은데, 공장에서는 설치 현장에서의 작업이나 설치공정이 최소화되도록 미리 많은 작업을 하는 동시에, 운반이 용이하도록 설계가 가능해야 한다.
따라서 현장에서는 조립이 쉬우면서도, 미리 너무 크고 완벽하게 결합되지 않도록 한 모듈 형태의 제품을 제작하는 것이 필요하다. (a)와 같이 2~4개의 판재(100)를 나란히 배치한 상태에서 상측부나 하측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재(150)를 연결한다. 도면에 연결부재(150)가 철근과 같은 선재로 표시되어 있으나, 일정 너비를 갖는 판재로 대체할 수도 있다.
판재(100)사이의 간격이 수십cm 에서 1~2m 사이이므로, 몇개 정도를 연결부재(150)에 의해 서로 결합시킨 형태에서는 최대 폭이 3, 4m 정도이므로, 트럭 등을 통해 운반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의 판재(100)는 단층으로 현장에 바로 사용될 수도 있고, (b)와 같이 서로 교차되도록 포개어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2개의 모듈형 제품을 현장에서 기중기로 상하 배치하는 것만으로 모든 작업이 신속하게 진행될 수 있다. 또한 (c)와 같이 양측 또는 일측 판재(100)에 결합홈(160)을 형성하여, 퍼즐을 끼워맞추든 서로서로 끼워넣어, 두께를 줄여 컴팩트화할 수도 있다. 도면 상에서는 결합홈(160)을 작게 하였지만, 보다 깊게 형성하는 경우, 서로 마주보는 판재(100)들의 포개진 두께가 더욱 감소하게 된다. 결합홈(160)을 판재(100) 높이의 1/2 수준까지 형성하면, 두 개의 판재(100)를 겹쳐 결합하더라도 하나의 판재(100) 높이만을 차지하게 된다.
이러한 판재 구조는 건물의 바닥콘크리트층 내의 철근들과 합성으로 설치될 수도 있고, 그 사이사이에 설치되거나 일부 연결, 관통되며 설치될 수도 있다. 이는 슬라브 보 내에서도 마찬가지이다. 판재(100)들은 교차 또는 접합된 상태로, 또는 상호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직립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판재(100)는 철판과 같이 금속제 판넬을 사용하며, 철근홈(미도시) 또는 철근홀(미도시)이 형성되어, 철근이 각각 끼워져 연결되거나 철근의 사이에 배치된 상태에서, 콘크리트가 타설, 경화되어 이루어지며, 상방으로부터의 하중에 의한 전단력 발생시 철근 구조를 견고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철근은 철근홈(미도시) 또는 철근홀(미도시)에 내입되어 안착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별도의 철사, 클램프 등의 체결부재(미도시)를 사용하여 고정시키거나, 용접을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기본판재 구조를 이루는 판재(100)들은 직립상태로 서로 평행하게 병렬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호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상, 하부철근과 견결되는 기본판재 구조를 이루는 판재(100)들이 연결된 구조체는 기본판재 구조(10)는 물론, 측방, 상,하방이 구속된 철근에 의해 다양한 방향의 여러 하중을 복합적으로 완전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각각의 판재(100)는 단면이 굴곡 또는 절곡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각각의 판재(100)는 단면상 길이방향 또는 높이방향으로 굴곡 또는 절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판재(100)들의 외측으로 콘크리트가 채워질 때, 상기 판재(100) 표면상에 형성되는 굴곡면 또는 절곡면의 사이사이에 콘크리트가 유입되고, 상기 굴곡면 또는 절곡면의 사이사이에 콘크리트가 채워진 상태로 경화되어, 스터드볼트 등의 별도의 추가 부재 및 추가 작업 없이도, 간단하게 판재(100)들과 콘크리트가 단단하게 밀착 고정되게 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판재(100)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판재(100)들이 하측에 병렬로 배치되고, 다른 하나 이상의 판재(100)들이 그 상단에 올려져 결합되어, 하측의 판재(100)들과 그 상측의 판재(100)들이 상호 교차되는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하측에 위치되는 판재(100)들이 횡 방향으로 직립되게 병렬배치되고, 그 상측에 다른 판재(100)들이 종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호 교차 또는 접합결합되어 이루어진다.
판재(100)들이 상호 교차 또는 접합되어 다양한 형태로, 직립 배치될 수 있다. 판재(100)들은 십자형, 방사형, 마름모형 또는 다각형 중 어느 하나를 이루도록 직립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다양한 형태로 상호 교차 또는 접합되는 구조를 이루어, 측방, 상, 하방 등 다양한 방향의 여러 하중을 복합적으로 완전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각각의 판재(100)는 측방 단면이 "I"형, "H"형, "└┘"형, "ㄷ"형, ""형, "ㄱ"형, "ㄴ"형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형태의 강재로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도 11은 기둥철근과 기본 판재 사이의 배치 구조 실시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기본 판재(100)들은 수직 하중을 받는 기둥의 하방 또는 하단 주변에 배치되는데, 일반적으로 기둥과 같이 수직 하중을 잡기 위한 부분에는 철근 구조가 구비된다. E는 수직으로 배치되는 기둥용 철근이며, F는 기둥용 철근의 내측 또는 외측을 사방으로 감싸거나 지지하는 수평형 철근이다. 기둥에는 이러한 수직, 수평형 철근이 촘촘히 위치되는데, 도면에 표시된 것 이상으로 보다 밀하게 배치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도면과 같이, 기본 판재(100) 들은 기둥 부분의 외측에 배치될 수도 있지만, E, F와 같은 철근이 배치된 사이사이로, 즉 기둥의 바로 하방까지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철근들과 기본 판재(100)와의 상호 배치 위치가 겹치거나 설치가 불편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도 12는 본 발명 기본 판재의 전단력 지지 및 분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기본 판재(100)는 하단이 일자형이기 때문에, 기둥(A)에서 수직으로 가해지는 직접 하중이나 전단력을 받아서, I와 같이 넓은 면적에 걸쳐 분산 전달하게 된다. 기본 판재의 하단이 일(一)자형이 아닌 경우에는, 일부분으로 하중이 집중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므로, 도면과 같이 기본 판재(100)의 하단부는 들뜨는 부분 없이 일자로 구성한다. G는 콘크리트층(B) 내에 구비되는 상부철근이고, H는 하부철근이다.
도 13 내지 15은 기둥 부분에 기본 판재가 배치되는 실시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기둥 부분을 상측에서 하측으로 바라본 것으로서, 기둥 부분(A) 내에 추가로 베이스판재(200)를 구비하고, 베이스판재(200)에 다수의 기본판재(100)를 결합홈 체결 방식 등으로 체결하는 실시례를 예시한다. 베이스판재(200)가 기둥 부분(A)의 내측에 포함되도록 도시되어 있으나, 베이스판재(200)의 외곽을 확대시켜, 기둥 부분(A)의 면적보다 더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할 수도 있다. (a)와 같이 베이스판재(200)를 원통형으로 배치하고, 방사형으로 기본판재(100)를 배치할 수도 있고, (b)와 같이 중공 사강기둥형으로 배치하고, 사방으로 기본판재(100)를 배치할 수도 있다. 베이스 판재(200) 역시도 기본판재(100)와 마찬가지로 하중, 전단력을 흡수하여 분산, 지지하는 역할을 하나, 기본 판재(100)가 끼워지는 역할, 기본 판재(100)를 지지하는 역할을 추가적으로 한다는 점에서 구분할 수 있다.
도 14는 베이스 판재(200)에 기본 판재(100)가 끼워지는 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베이스 판재(200)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결합홈(260)이 형성되어 있고, 이 결합홈(260)에는 마찬가지로 결합홈(160)이 형성되어 있는 기본 판재(100)가 끼워지게 된다. 베이스 판재(200)의 결합홈(260)은 모두 상방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기본 판재(100)의 결합홈(160)은 하방으로 개발되도록 형성하여 상호 마주보며 끼워지도록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기본 판재(100)에 추가적으로 상방 개방형 결합홈(160)을 더 구비하여, 기본 판재(100)에도 추가적으로 다른 기본 판재(100)들이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5는 기본 판재(100)의 다양한 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모두 같은 방향으로 결합홈(160)이 형성되거나(a), 양쪽 방향으로 골고루 결합홈(160)이 형성(b, c)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결합홈(160)의 방향은 현장에 적합하도록 다양한 조합으로 구성할 수 있다.
도 16은 지지부를 갖는 기본 판재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7은 지지구조에 따른 필요 콘크리트층 두께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기본 판재(1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지지부(140)를 구비할 수 있는데, 지지부(140)는 (a)와 같이 상, 하단부에 같은 방향으로 향하게 하거나, (b)와 같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향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140)를 사용함에 따라 콘크리트층의 두께는 더욱 얇아지도록 할 수 있는데, 도 17을 참조하면, (a)는 종래 기술로서, 콘크리트층에는 다수의 철근(G)이 촘촘히 박혀 있고, 콘크리트층의 두께 h도 상대적으로 두껍다.
이러한 콘크리트층 내에 기본 판재(100)를 수직 배치하면, 철근(G)의 수도 상대적으로 감소될 수 있고, 두께 h도 상대적으로 얇아졌다. 그런데 기본 판재(100)를 지지부(140)가 절곡 형성된 것으로 사용하는 경우(c)에는, 콘크리트층의 두께 h는 보다 더 얇아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콘크리트층 내에 지지부(140)를 갖는 기본 판재(100)를 설치하는 것이 콘크리트나 철근의 소비를 줄이는데 가장 바람직하나, 문제는 기둥 부분에는 다수의 수직 방향 철근이 존재하기 때문에, 지지부(140)와 철근 위치가 중첩되지 않도록 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이는 도 18을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8은 지지부를 갖는 기본 판재가 기둥 철근의 사이사이에 배치되는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의 (a)는 상방에서 하방으로 바라보는 도면으로서, E는 기둥 부분에 설치되는 수직형 철근이다. (b)는 측방에서 바라보는 도면으로서, (a)와 대응되며, G는 상부 철근, H는 하부 철근을 대표한다.
수직 방향 철근 E의 사이사이에 지지부(140)를 갖는 기본판재(100)가 배치되어야 하는데, 기본 판재(100)의 수직 부분은 점선으로 표시된다. 하중 계산상 수직 부분은 일정 간격을 유지하여야 하는데, 가장 좌측의 기본 판재(100)는 지지부(140)가 우측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그 우측의 기본 판재(100) 역시 설치되어야 하는 위치에서 지지부(140)를 J와 같이 우측을 향하도록 하려다 보니, 수직 철근들과 위치가 중첩된다. 그렇다고 해서 지지부(140)의 해당 위치에 매번 구멍을 뚫기에는 공정이 어렵고 시간이 과도하게 소요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지지부(140)가 반대방향을 향하면서도 기본 판재(100)의 설치 위치에는 변함이 없도록 K와 같은 방향으로 기본 판재(100)를 180도 회전시킨다. 이로써 기본 판재(100)는 계산된 원래의 설치 위치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지지부(140)에 아무런 손상 없이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
도 19 내지 20은 기둥 부분에 용이하게 배치될 수 있는 기본 판재의 실시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디귿 형으로 지지부(140)가 형성된 기본 판재(100)에 지지부(140)의 중간 중간이 일정 간격으로 개방되어 개방부(141)를 형성한다. 이 개방부(141)에는 결합홈(160)이 형성된다.
개방부(141)는 지지부(140)를 일부 따낸 형태이며, 개방부(141)가 존재함에 따라 도 18을 통해 설명한 것과 같은 기본 판재(100)의 회전 과정은 생략할 수 있게 된다.
수직형 기둥 철근(E)이 위치되는 간격에 맞게 개방부(141)를 사전에 형성하면, 기둥 철근(E)이 개방부(141)에 위치하면서, 지지부(140)의 사이사이에 위치되므로, 지지부(140)와 기둥 철근(E)의 위치가 중첩되거나 경로를 막는 일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지지부(140)가 기둥 철근(E)을 피해 회전되거나 이동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없다. 아울러 (b)와 같이 기본 판재(100)를 종횡으로 반복적으로 설치하는 경우에도, 결합홈(160)을 통해 서로 다른 기본 판재(100)와 만나는 부분이 상호 개방부(141)가 위치되는 부분으로서, 지지부(140)가 겹쳐지거나 중첩되는 일이 없게 되므로, 설치가 용이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개방부(143)를 보다 크게 형성하여, 양단의 지지부(140)만 남겨놓고, 하나의 큰 개방부(143) 안에 다수의 결합홈(160)이 위치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디귿형 동향의 지지부(140)를 탈피하여, 乙형으로 서로 다른 방향 지지부(140, 점선표시)를 구비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21은 결합홈의 형성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결합홈(160, 260)은 기본 판재(100), 베이스 판재(200) 들이 상호간에 서로 끼워지면서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직 부분에 일정한 깊이의 홈으로 형성된다. (a)(c)를 참조하면, 상단부터 중앙까지 하방으로 일정한 너비를 갖는 결합홈(160)이 프레스를 통해 따내어져 제거된 상태로 형성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홈의 너비만큼을 따내게 되면, 해당 면적 만큼의 하중 지지력, 전단 지지력을 상실하게 되며, 노치 등 하중 집중 현상, 단면 손실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결합홈(160)을 형성할 때 따내어진 부분을 제거하는 것이 아니라, (b)(d)와 같이 L자로 절개한 후 절개된 부분을 밀어서 일부분이 열리는 방식을 사용한다. 이 경우 버려질 부분이 절곡된 상태로 절곡부(162)를 형성하게 되며, 절곡부(162) 자체가 콘크리트층 내에 남아 있게 됨으로써, 해당 부분이 여전히 하중 지지 역할을 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22는 다른 형태의 결합홈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지지부(140)가 있는 기본 판재(100)에, 수직 부분 전체에 걸쳐 결합홈(160)을 형성하고, 이에 끼워지는 다른 기본 판재(100)에는 결합홈(160)을 전혀 형성하지 않고, 결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조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23 내지 25는 연결부 또는 연결부재에 결합홈이 형성되고,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 및 24를 참조하면, 연결부(110) 또는 연결부재(120)에도 각각 결합홈(111)(121)을 형성할 수 있다. 결합홈(111)(121)은 상방을 향한 것과 하방을 향한 것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것들이 상호 마주보면서 끼워질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연결을 통해 판재는 보다 견고하게 구성될 수 있다. 연결부(110)나 연결부재(120)의 형상이나 설치 위치는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으며, 판재의 모양도 마름모꼴, 사다리꼴, 원형 등으로 자유롭게 선택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도 25와 같이, 연결부(110) 또는 연결부재(120)에 절곡된 지지부(110a)(210a)를 구비하여, 보다 견고하게 연결 작용을 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26은 기본 판재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을 참조하면, 판재(100)의 중앙측에 상기 결합홈(160)보다는 다소 큰 형태의 홈인 빈 공간부(170)가 형성되어, u 형태로 평면을 구성하도록 할 수 있다. 공간부(170)에는 상측으로 다른 판재(100)가 배치될 수 있으며, 결합홈(160)이 끼워지거나 다른 공간부(170)가 마주보며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b)를 참조하면, 공간부(170)부분을 통해 다른 판재(100)와 결합되어, 전체적인 판재구조의 높이를 낮추는 형태의 조합을 구성할 수 있다.
도 27은 지지부를 갖는 다양한 형태의 기본 판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7을 참조하면, (a)는 공간부(170)를 구비하는 판재(100)의 상단에 수평형의 지지부(140)를 절곡 또는 용접결합하여 형성하는 것이고, (b)는 평면형 판재(100)의 하단 또는 상단에 지지부(140)를 절곡 또는 용접결합하여 형성하는 것이고, (c)는 공간부(170)를 구비하는 판재(100)의 상하단에 수평형의 지지부(140)를 절곡 또는 용접결합하여 형성하는 것이다.
(d)는 공간부(170)가 하측에 구비되고, 힘의 흐름에 따라 하측 외방으로 뻗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으며, 상하단에는 지지부(140)를 구비할 수 있다.
도 28은 다양한 조합의 지지부를 갖는 기본 판재들이 상호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평면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8을 참조하면, 지지부(140)는 상, 하단 또는 측방 단부에 전체 또는 일부에 걸쳐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판재(100)는 상호 교차되거나 평행하게 배치되거나, 일정 각도로 배치될 수 있다. 판재(100)들은 교차되는 부분마다 결합홈이나, 공간부가 서로 맞물리면서 결합되거나, 2개의 판재가 접합되도록 하거나, 용접시켜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29 및 30은 다양한 형상의 기본 판재를 평면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9를 참조하면, 판재(100)는 다양한 형태의 것을 채용할 수 있는데, 일자 평면형은 물론, 예각으로 굽은형, 둔각으로 굽은형, 2 이상 굽은 형태의 것, C형, S형과 같은 곡면형, ㄷ형, M형 등으로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형태를 구성함에 있어, 하나의 판재를 절곡하여 형성하거나, 2 이상의 판재를 상호 접합, 결합 내지는 용접시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C형 판재를 2개 결합, 용접시켜 S형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도 30을 참조하면, 판재를 L, ㄷ, E 형과 같이 서로 연결, 용접, 접합시켜 구성하여, L 형의 판재(100)를 사방에 배치하거다, ㄷ 형의 판재(100)를 사방에 배치하거나, E 형의 판재(100)를 사방에 배치하는 실시예에 대해서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41)

  1. 콘크리트구조물 내에 전단 응력이 가해지는 위치에 구비되는 구조체에 있어서,
    전단 응력이 미치는 위치에 판재가 수직으로 배열되어 이루어지는 기본판재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기본판재 구조는 콘크리트구조물 내에 위치되는 철근들에 의해 관통되거나 또는 접촉되거나 또는 연결되거나 또는 철근들 사이에 위치된 상태로, 콘크리트가 경화되면서 상기 콘크리트구조물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단 강도 보강용 판형 구조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판재 구조는:
    상기 판재가 2 이상 나란히 또는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단 강도 보강용 판형 구조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판재 구조는:
    상기 콘크리트구조물에서 수직 하중이 가해지는 부분을 중심으로 간격을 두고 상기 판재가 2 이상 나란히 또는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단 강도 보강용 판형 구조체.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판재 구조는:
    이격 배치된 상기 2 이상의 판재 사이에 연결부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단 강도 보강용 판형 구조체.
  5.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판재 구조는:
    이격 배치된 상기 2 이상의 판재 사이에 연결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연결부재가 상기 판재의 사이를 연결,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단 강도 보강용 판형 구조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판재와 용접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단 강도 보강용 판형 구조체.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판재와 볼트, 너트, 와셔, 나사, 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연결구를 사용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단 강도 보강용 판형 구조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판재 구조는:
    상기 판재의 단부측에 접합부를 구비하고,
    2 이상의 상기 판재가 상기 접합부를 통해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단 강도 보강용 판형 구조체.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판재 구조는:
    2 이상의 상기 판재가 서로 용접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단 강도 보강용 판형 구조체.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판재 구조는:
    상기 판재를 상측에서 보았을 때, + 자 또는 井 자 또는 □ 자의 형태를 포함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단 강도 보강용 판형 구조체.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판재 구조는:
    상기 판재가 상측 단부 및/또는 하측 단부 및/또는 측방 단부에 수평 방향의 지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단 강도 보강용 판형 구조체.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판재를 절곡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단 강도 보강용 판형 구조체.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별도의 판형 부재를 상기 판재의 상측 및/또는 하측 및/또는 측방에 용접으로 결합시키거나,
    별도의 판형 부재를 상기 판재의 상측 및/또는 하측 및/또는 측방에 결합구로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단 강도 보강용 판형 구조체.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판재 구조의 판재에는, 측 방향으로 관통되는 한 개 이상의 유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기본판재 구조가 매설되어 콘크리트 경화 시 상기 유입공으로 콘크리트가 유입되어, 상기 기본판재 구조와 콘크리트가 정착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단 강도 보강용 판형 구조체.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는 관통되는 한 개 이상의 유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기본판재 구조가 매설되어 콘크리트 경화 시 상기 유입공으로 콘크리트가 유입되어, 상기 기본판재 구조의 하측으로도 콘크리트가 원활히 유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단 강도 보강용 판형 구조체.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판재 구조의 판재에는, 일측을 제외한 타측들이 소정 형태로 절개된 상태에서, 상기 일측을 중심으로 접혀서 상기 판재의 표면상에서 돌출되는 열림부;가 한 개 이상 형성되고,
    상기 기본판재 구조가 매설되어 콘크리트 경화 시 상기 열림부가 콘크리트 사이사이에 매입되는 동시에,
    상기 열림부의 절곡에 의해 형성되는 유입공으로 콘크리트가 유입되어, 상기 기본판재 구조와 콘크리트가 정착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단 강도 보강용 판형 구조체.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판재 구조의 판재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결합돌출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판재가 콘크리트층 내에서 보다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단 강도 보강용 판형 구조체.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출부재는:
    외측으로 돌출되며 결합되는 이형철근 또는 볼트부재 또는 열림부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단 강도 보강용 판형 구조체.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판재 구조는:
    2 이상 나란히 판재들이 수직 배치되고,
    상기 판재들의 사이에는 상기 판재들을 상호 지지, 연결하는 연결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단 강도 보강용 판형 구조체.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에 의해 하나로 연결된 상기 판재들은,
    상기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된 상태로 상하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단 강도 보강용 판형 구조체.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전부 또는 일부 판재에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에는 상하로 겹쳐지는 다른 판재 또는 그 판재의 결합홈이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단 강도 보강용 판형 구조체.
  2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재는 하단부가 일자형으로 수평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단 강도 보강형 판형 구조체.
  23. 제 1 항에 있어서,
    결합홈이 형성된 베이스 판재가 더 구비되고,
    상기 판재에도 상기 결합홈에 끼워지기 위한 결합홈이 구비되고,
    상기 판재는 상기 베이스 판재에 2 이상 끼워져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단 강도 보강형 판형 구조체.
  2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일부에는 개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단 강도 보강형 판형 구조체.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판재의 개방부가 형성된 위치에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단 강도 보강형 판형 구조체.
  2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재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단 강도 보강형 판형 구조체.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은:
    상기 판재의 일 부분을 남겨 놓은 상태에서 다른 부분을 절개한 후, 절개되지 않은 부분을 중심으로 절개된 부분이 이격되도록 하여 절곡부를 구비하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단 강도 보강형 판형 구조체.
  2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가 형성된 기본 판재의 수직 부분 전체 높이에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에 끼워지는 다른 기본 판재에는 결합홈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단 강도 보강용 판형 구조체.
  29.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이 형성된 2 이상의 판재가, 상기 결합홈을 통해 상호 끼워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단 강도 보강용 판형 구조체.
  3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에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단 강도 보강용 판형 구조체.
  3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에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단 강도 보강용 판형 구조체.
  32.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이 형성된 2 이상의 연결부가, 상기 결합홈을 통해 상호 끼워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단 강도 보강용 판형 구조체.
  33.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이 형성된 2 이상의 연결부재가, 상기 결합홈을 통해 상호 끼워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단 강도 보강용 판형 구조체.
  34.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에는 절곡된 형상으로 구비되는 지지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단 강도 보강용 판형 구조체.
  35.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에는 절곡된 형상으로 구비되는 지지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단 강도 보강용 판형 구조체.
  3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재에는 빈 공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단 강도 보강용 판형 구조체.
  37.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판재들은 상기 공간부에 끼워지며 상하로 교차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단 강도 보강용 판형 구조체.
  38. 제 9 항 또는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판재가 상측 단부 및/또는 하측 단부 및/또는 측방 단부에 지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단 강도 보강용 판형 구조체.
  39.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판재를 절곡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단 강도 보강용 판형 구조체.
  4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재는:
    평면형, 굽은형, 곡면형, 절곡형 중 어느 하나이거나, 상기 서로 다른 형태가 연결 또는 결합 또는 용접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단 강도 보강용 판형 구조체.
  4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재는:
    평면형이고, 상기 서로 다른 판재가 연결 또는 결합 또는 용접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단 강도 보강용 판형 구조체.
KR1020080095985A 2008-03-26 2008-09-30 전단 강도 보강용 판형 구조체 KR20090102599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4282A KR20090102604A (ko) 2008-03-26 2008-10-23 전단 강도 보강용 판형 구조체
KR1020090054354A KR20100007718A (ko) 2008-03-26 2009-06-18 기둥 하부 기초의 펀칭 크랙 보강용 판형 합성 구조체
KR1020090054904A KR20100007721A (ko) 2008-03-26 2009-06-19 기둥 하부 기초의 펀칭 크랙 보강용 판형 합성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27710 2008-03-26
KR1020080027710 2008-03-26
KR20080052498 2008-06-04
KR1020080052498 2008-06-04
KR1020080067505A KR20090102596A (ko) 2008-03-26 2008-07-11 전단 강도 보강용 판형 구조체
KR1020080067505 2008-07-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2599A true KR20090102599A (ko) 2009-09-30

Family

ID=41360044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7505A KR20090102596A (ko) 2008-03-26 2008-07-11 전단 강도 보강용 판형 구조체
KR1020080095985A KR20090102599A (ko) 2008-03-26 2008-09-30 전단 강도 보강용 판형 구조체
KR1020080104282A KR20090102604A (ko) 2008-03-26 2008-10-23 전단 강도 보강용 판형 구조체
KR1020090054354A KR20100007718A (ko) 2008-03-26 2009-06-18 기둥 하부 기초의 펀칭 크랙 보강용 판형 합성 구조체
KR1020090054904A KR20100007721A (ko) 2008-03-26 2009-06-19 기둥 하부 기초의 펀칭 크랙 보강용 판형 합성 구조체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7505A KR20090102596A (ko) 2008-03-26 2008-07-11 전단 강도 보강용 판형 구조체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4282A KR20090102604A (ko) 2008-03-26 2008-10-23 전단 강도 보강용 판형 구조체
KR1020090054354A KR20100007718A (ko) 2008-03-26 2009-06-18 기둥 하부 기초의 펀칭 크랙 보강용 판형 합성 구조체
KR1020090054904A KR20100007721A (ko) 2008-03-26 2009-06-19 기둥 하부 기초의 펀칭 크랙 보강용 판형 합성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5) KR2009010259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35948A (zh) * 2017-03-01 2017-06-13 华汇工程设计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装配式组合梁桥的井式钢板剪力键构造及其施工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0378B1 (ko) * 2008-03-14 2012-05-03 극동건설주식회사 철근 사이 배치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
KR101722977B1 (ko) * 2016-04-29 2017-04-04 최두호 기초보강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35948A (zh) * 2017-03-01 2017-06-13 华汇工程设计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装配式组合梁桥的井式钢板剪力键构造及其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7721A (ko) 2010-01-22
KR20100007718A (ko) 2010-01-22
KR20090102604A (ko) 2009-09-30
KR20090102596A (ko) 2009-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8381B1 (ko) 각형강관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기둥 및 이의 제작방법
KR101937680B1 (ko) 구조적 강성이 보강된 조립식 pc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228012B1 (ko) Pc기둥 접합구조
KR101140378B1 (ko) 철근 사이 배치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
JP2005256341A (ja) 波形鋼板ウエブuコンポ橋
KR20080100740A (ko) 지하합벽의 연속시공을 위한 가설 개방형 판재를 이용한흙막이벽의 역타지지구조 및 이를 적용한 건축물 지하합벽의 연속 시공방법
KR101083762B1 (ko) Cft기둥과 플랫플레이트 바닥구조물간의 접합구조
KR20090102599A (ko) 전단 강도 보강용 판형 구조체
JP6266246B2 (ja) 鋼製柱とフーチングの接合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100628537B1 (ko) 내진성능확보가 가능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벽체시스템
KR101037502B1 (ko) 기초 바닥층 내의 기초구조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
JP6045201B2 (ja) 梁接合部構造および耐力パネル構造
KR100935305B1 (ko) 건축물 기초 바닥층의 전단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결합방법
JP4439938B2 (ja) 壁式鉄筋コンクリート構造物及びその構築工法
KR20050021611A (ko) 기둥 슬래브간 접합부 전단 보강체 및 이를 이용한 전단보강구조
CN110700445A (zh) 一种带强水平连接节点的装配式剪力墙
KR101161993B1 (ko)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090083268A (ko) 철근 연동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
KR20120107608A (ko) 전단 보강용 합성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JP6496464B2 (ja) 既製柱とフーチングの接合構造
CN211369158U (zh) 一种带强水平连接节点的装配式剪力墙
KR102452802B1 (ko) 내진보강용 pc부재를 이용한 기존 건축물의 내진보강방법
KR102638379B1 (ko) 트러스거더를 이용한 벽체 시공 구조 및 방법
JP4809399B2 (ja) 壁面パネル及びそれを用いた盛土構造物の施工方法
KR20110000720A (ko)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