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7608A - 전단 보강용 합성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전단 보강용 합성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7608A
KR20120107608A KR1020110025210A KR20110025210A KR20120107608A KR 20120107608 A KR20120107608 A KR 20120107608A KR 1020110025210 A KR1020110025210 A KR 1020110025210A KR 20110025210 A KR20110025210 A KR 20110025210A KR 20120107608 A KR20120107608 A KR 201201076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late
composite structure
plate
shear reinforcement
sh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5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필훈
정우철
엄기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정림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디엠이엔씨(주)
주식회사 선진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 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정림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디엠이엔씨(주), 주식회사 선진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 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정림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100252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07608A/ko
Publication of KR201201076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76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28Stressing the soil or the foundation structure while forming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34Foundations for sinking or earthquake territo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34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 E02D2300/0032Steel; Iron in sheet form, i.e. bent or deformed plate-material

Abstract

본 발명은 빌딩, 아파트와 같은 건물이나 철골 구조물, 타워크레인 하부, 교량과 같이 큰 하중을 갖는 물체를 지층에 지지되어 안착될 수 있도록 하단부를 지지하는 구조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측으로 깊이 굴토하고 바닥 콘트리트층을 두껍게 형성하여 기초 구조를 형성하는 것 대신에, 부피가 작고, 간단하여, 굴토 깊이를 작게 형성하면서도 높은 전단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2 이상의 판재들이 용이하게 결합되어 격자 구조를 이루는 전단 보강용 합성 구조체의 개선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판형 구조체의 변형, 파손 및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판형 구조체가 전단 하중에 의해 양단이 하측으로 좌굴되거나 파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전단 보강용 합성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Reinforcement for joining plates}
본 발명은 빌딩, 아파트와 같은 건물이나 철골 구조물, 타워크레인 하부, 교량과 같이 큰 하중을 갖는 물체를 지층에 지지되어 안착될 수 있도록 하단부를 지지하는 구조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측으로 깊이 굴토하고 바닥 콘트리트층을 두껍게 형성하여 기초 구조를 형성하는 것 대신에, 부피가 작고, 간단하여, 굴토 깊이를 작게 형성하면서도 높은 전단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2 이상의 판재들이 용이하게 결합되어 격자 구조를 이루는 전단 보강용 합성 구조체의 개선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교량, 타워크레인 등의 자중에 의해 지반이 침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건물 시공시 건물의 하부에는 건물 하중이 지반에 골고루 전달되며 지지될 수 있도록 기초 구조가 시공되는데, 종래의 기초 구조는 두꺼운 철근콘크리트 구조를 주로 사용하였다. 건물이 점점 높아지고 규모가 커짐에 따라 단위면적당 기초 구조에 인가되는 하중 역시 증가하고 있으며, 사용되고 있는 기초 구조의 경우 철근콘크리트 구조로 제작된 기초 구조의 두께를 증대시킴으로써 내력을 증가시켰다.
따라서 기초 구조의 크기나 두께가 커짐에 따라 기초 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굴토 깊이, 즉 터파기의 깊이가 깊어지게 된다. 이는 기초 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지반의 터파기 작업과 기초 구조 설치 공정이 복잡하게 되므로 공사기간이 증대되는 문제와 터파기를 위한 공사비가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를 유발하였다. 특히 건물 하부에 암반형 지반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터파기를 깊게 하는데 더욱 더 긴 공사기간과 공사비를 소요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터파기를 깊게 하는 경우 굴토된 지하층 벽면이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고, 작업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상측이 넓어지도록 경사지게 굴토하여야 하므로, 인접 건물에 피해를 주게 되거나 밀집장소에서의 공사가 곤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상측이 넓어지도록 경사지게 굴토하게 되면 그만큼 콘크리트가 타설되어야 할 공간이 커지게 되므로 콘크리트를 낭비하게 된다는 단점도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기초 바닥의 단면에 집중되는 전단 하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수직의 기둥(A)과 수평의 기초 바닥(B) 사이에는 45도 정도의 비스듬한 방향(C)으로 전단력이 형성되어 가해진다. 기초 바닥(B) 내에 이러한 전단력을 지지할만한 구성이 없는 경우에는, 전단력에 의해 건축 구조물의 변형 내지는 파손을 가져오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기초 바닥 내에 다중의 철근 구조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러한 철근 방식은 여러 층 복잡하게 구비하여야 함은 물론, 설치 자체의 공정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기초 바닥의 두께도 두꺼워져야 해서 콘크리트의 소모량이 상당히 늘어나고 시공 비용을 증가시키는 문제가 있으며, 철근의 선 방식으로 전단력을 해결하여야 하므로, 상대적으로 낮은 하중 지지력을 가질 수밖에 없다.
본 발명은 바닥콘크리트층 하측으로 터파기 깊이를 줄이거나, 터파기 과정 없이, 바닥콘크리층 내부에 비교적 단순한 형태의 구조체를 구비하여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합성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건물, 교량의 기둥 기초, 타워크레인의 하부 기초 및 내력벽의 기초 등과 같이 지반에 기초를 형성할 때, 전체 하중이 기둥의 하방으로 가중되고, 기초 바닥에는 지반 반력이 상방으로 작용되어, 기둥 기초에 발생하는 전단파괴를 방지하도록 판 형태의 구조체를 설치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데, 이러한 합성 구조체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판형 구조체가 전단 하중을 담당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단력이 미치는 C부분에 가로 방향으로 판형 강재(S)가 구비된다. 이 경우 강재(100)는 판 형태이므로, 전단력에 대해 선 형태의 철근들보다 강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수직 하중이 집중되는 기둥(A)의 바로 하부에는 강재(S)를 배치시키지 않거나 상대적으로 듬성듬성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단력이 미치는 C 부분을 수직으로 세워진 판형 강재(S)가 지지하게 됨에 따라, 전단력을 선이 아닌 면으로 흡수하여 지지하므로, 콘크리트의 두께가 많이 줄어들게 된다.
본 발명은 판형 구조체의 개선 구조에 대한 것으로서, 변형, 파손 및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개선된 구조의 판형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판형 구조체가 전단 하중에 의해 양단이 하측으로 좌굴되거나 파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개선된 구조의 판형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콘크리트구조물의 바닥층에 전단 응력이 가해지는 위치에 구비되는 구조체에 있어서, 전단 응력이 미치는 위치에 직립으로 배치되는 제1기본판재; 및 상기 제1기본판재와 교차되도록 배치되는 제2기본판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2기본판재의 상부 또는 하부에는 하나 이상의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기본판재 또는 상기 제2기본판재에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단 보강용 합성 구조체를 제공한다.
상기 제1기본판재 또는 상기 제2기본판재는: 상측 단부 또는 하측 단부에 꺾인 방향으로 돌출되는 지지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기본판재 또는 상기 제2기본판재에 형성된 상기 관통홀에는, 장형부재가 관통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홈의 좌우측에는 서로 마주보는 2 이상의 판형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장형부재는 상기 걸림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형부재는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걸림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형부재의 양측 또는 일측 단부에는 판형 걸림부재가 결합되거나, 체결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콘크리트구조물의 바닥층에 전단 응력이 가해지는 위치에 구비되는 구조체를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굴토마감면을 정지하는 단계; 상기 위치에 직립으로 배치되는 제1기본판재; 및 상기 제1기본판재와 교차되도록 배치되는 제2기본판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기본판재 또는 상기 제2기본판재는 상측 단부 또는 하측 단부에 꺾인 방향으로 돌출되는 지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 2기본판재의 상부 또는 하부에는 하나 이상의 결합홈;이 형성된 전단 보강용 합성 구조체를 위치시키는 단계; 바닥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및 상기 합성 구조체가 설치된 위치의 중앙부에 수직형의 기둥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단 보강용 합성 구조체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1기본판재와 상기 제2기본판재가 상기 결합홈을 통해 교차되며 삽입된 후에, 상기 제1기본판재 또는 상기 제2기본판재에 형성된 관통홀에 장형부재를 관통시키며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단 보강용 합성 구조체는 상기 결합홈의 좌우측에는 서로 마주보는 2 이상의 판형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장형부재를 상기 걸림부와 용접하여 접합하거나, 상기 장형부재를 상기 걸림부에 체결부재를 통해 결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형부재의 양측 또는 일측 단부에 판형 걸림부재가 결합되거나, 체결부재가 결합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판형 구조체의 변형, 파손 및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판형 구조체가 전단 하중에 의해 양단이 하측으로 좌굴되거나 파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일반적인 기초 바닥의 단면에 집중되는 전단 하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판형 구조체가 전단 하중을 담당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본판재의 형상 및 결합홈에 의한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6은 기본판재에 가해지는 하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8은 본 발명의 개선된 기본판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 내지 10은 본 발명의 기본판재가 바닥 콘크리트층 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개선된 기본판재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은 본 발명에 따른 기본판재의 형상 및 결합홈에 의한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기본판재가 바닥 콘크리트층 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 구성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 내지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본판재의 형상 및 결합홈에 의한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4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전단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S)는 제1기본판재(100), 제2기본판재(200), 지지부(400), 결합홈(H) 및 개방부(4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합성 구조체(S)는 각각의 제1기본판재(100) 및 제2기본판재(200)가 "+" 또는 "井" 또는 "□" 형태 등을 포함하여 이루도록 상호 결합되며, 결합된 상기 합성 구조체(S)는 건축물의 바닥층을 형성하기 위한 지반 등 하중 및 전단 응력이 인가되는 곳에 위치시킨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경화시켜 콘크리트와 상호 일체를 이루어, 지지력과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게된다.
제1기본판재(100)와 제2기본판재(200)는 일정길이를 갖는 판 형태로 각각 직립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1기본판재(100)는 합성 구조체(S)의 지지 강도 및 안정성을 더욱 높이기 위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로 이루어져 한 쌍이 평행을 이루거나, 2 이상의 다수 개가 상호 평행을 이루면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나란하게 배열된다.
제2기본판재(200) 또한 상기 제1기본판재(100)와 마찬가지로 2개 또는 2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기본판재(100) 및 제2기본판재(200)는 금속 또는 합금재질의 강판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기본판재(100) 및 상기 제2기본판재(200) 각각의 상, 하부에는 결합홈(H)이 형성되어 상기 제1기본판재(100)와 제2기본판재(200)가 상호 교차되도록 끼워지게 된다.
상기 결합홈(H)은 각각의 제1기본판재(100) 또는 제2기본판재(200)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그 두께에 상응하는 폭을 갖도록 상,하부 방향을 향해 절개형성된다.
이러한 결합홈(H)은 상기 제1기본판재(100) 및 제2기본판재(200)의 상,하부 중 어느 한 쪽 이상에 형성되게 되는데, 상기 제1기본판재(100)와 제2기본판재(200)가 상호 대응되게 끼워져 결합될수 있도록, 같은 방향에 형성되거나, 양쪽 방향에 골고루 형성되록 다양한 조합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1기본판재(100) 및 상기 제2기본판재(200)를 상기 결합홈(H)에 끼워 고정시키고, 필요에 따라, 상기 결합홈(H) 주위의 결합부분을 용접하여 보다 단단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제1기본판재(100) 및 제2기본판재(200)의 상, 하측 단부에는 각각 지지부(400)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부(400)는 일측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형성되어, 상방에서 인가되는 하중과 전단력을 보다 견고하게 지지함은 물론, 시공시에 배치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400)는 상기 제1, 2기본판재(100, 200)의 상단 및 하단을 절곡하거나, 각 단부에 별도의 판형 부재를 용접하여 결합시키거나 볼트, 나사 등의 결합구(미도시)로 결합시켜 형성하는데, 제조상 절곡을 하는 것이 가장 용이하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400)의 형성방향은 상단부와 하단부가 서로 동일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거나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지지부(400)가 동일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될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400)가 외측방으로 형성하거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방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400)의 일부에는 개방부(410)가 형성되는데, 개방부(410)는 상기 제1기본판재(100)와 제2기본판재(200)가 상호 교차되도록 결합홈(H)에 끼워져 결합될 때, 각각의 지지부(400)가 중첩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상기 지지부(400)의 일부를 상기 지지부(400)의 폭에 상응하는 크기로 따낸 형태로 형성된다.
보통 상기 개방부(410)는 상기 제1기본판재(100)와 제2기본판재(200)가 교차될때, 각각의 지지부(400)가 중첩되는 것을 방지하게 위함으로, 상기 제1기본판재(100)와 제2기본판재(200) 중 어느 한 쪽에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양쪽 모두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5 내지 6은 기본판재에 가해지는 하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6을 참조하면, 결합홈(H)과 개방부(410)는 판재를 절개한 형상이기 때문에, 이 부분을 중심으로 응력이 집중되면서, 화살표의 방향과 같이, 벌어지는 하중이 가해질 수 있다. 이 경우 결합홈(H) 부분을 중심으로 좌우로 벌어지거나, 비틀리거나, 변형되며 얇아지는 현상은 물론, 파괴되거나 좌굴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결합홈(H)을 중심으로 좌우측으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좌우측을 지지해주기 위한 개선 구조가 필요하다.
도 7 내지 8은 본 발명의 개선된 기본판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8을 참조하면, 기본판재(100)의 상측에는 지지부(400)와 만나는 사이 공간에, 수직으로 판재 형상의 걸림부(10)가 양단에 형성되어 있다.
걸림부(10)는 판 형태이고, 기본판재(100) 및 지지부(400)가 만나는 부분에 용접으로 형성되며, 설치 위치는 도면과 같이 양 단부에 형성되거나, 또는 결합홈(H)에 인접하여, 좌, 우측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한 쌍이 아닌, 3개 이상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2개 이상의 걸림부(10)의 사이는 연결부재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데, 긴 형상의 장형부재(20)와 이를 걸림부(10)의 걸림홀(12)에 삽입된 상태에서 체결시키는 너트부재(30)를 체결부재로 사용할 수 있다. 체결부재로는 너트, 핀, 클립, 키 등의 다양한 공지의 구성을 적절히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장형부재(20)는 한쪽에 볼트머리가 형성된 볼트부재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중공형 봉이나, 나사가 형성된 철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장형부재(20)는 양측의 걸림부(10)를 잡아주며 지지하므로, 양측 하방으로 처지는 하중을 잡아주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해 철근과 같은 금속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장형부재(20)와 걸림부(10)는 상호 용접되어 결합될 수도 있다.
이 때 개방부(410)와 결합홈(H)으로 삽입된 교차되는 다른 기본판재(미도시)에는 관통홀(미도시)을 형성하고, 이 관통홀을 통해 장형부재(20)가 관통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하며, 기본판재들이 교차되어 삽입된 후에, 장형부재(20)를 관통홀에 삽입시키면서, 걸림부(10)에 결합시키는 순으로 시공하여야 한다.
도 9 내지 10은 본 발명의 기본판재가 바닥 콘크리트층 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굴토마감면(D) 위에 버림콘크리트층(E)을 타설, 형성하고, 기둥철근(1)의 주위로 합성 구조체(S)를 이루는 기본판재들을 교차시켜 배치한다. 그 후에, 걸림부(10)와 기본판재의 관통홀(미도시)을 관통하는 장형부재(20)를 결합시킨 후, 너트부재(30)로 상호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이 후에 바닥콘크리트(B)를 타설하고, 기둥(A)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도 10과 같이, 버림콘크리트층(E) 위에 하부철근(2)을 설치하고, 그 상측에 합성 구조체(S)를 전술한 바와 같이 배치시키고, 그 상측에 상부철근(3)을 배치시킨 후에, 전술한 공정과 동일하게 바닥층을 형성한다.
버림콘크리트층(E)의 형성 및 그 순서, 하부철근(2)/상부철근(3)의 형성 및 그 순서 등은 선택적으로 적용 가능하며, 그 순서를 현장에서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
즉, 버림콘크리트층(E) 없이 합성 구조체(S)를 바로 위치시키고, 바닥콘크리트층(B)을 형성하거나, 버림콘크리트층(E) 없이 하부철근(2)/상부철근(3)만 합성 구조체(S)의 하부, 상부에 형성하거나, 이격부재(미도시)를 통해 합성구조체(S)를 버림콘크리트층(E) 또는 굴토마감면(D)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시켜 배치한 후에, 나중에 하부철근(2) 및/또는 상부철근(3)을 설치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개선된 기본판재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걸림부(10)는 양단부 이외에, 결합홈(H) 주위에 군데군데 구비될 수 있다. 걸림부(10)는 장형부재(20)와 함께 체결되면서, 결합홈(H)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기본판재(100) 및 지지부(400)와 동시에 접합되거나, 또는 기본판재(100) 및 지지부(400) 중 어느 한 쪽에만 접합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걸림부(10) 기본판재(100) 및 지지부(400)에 접합되지 않고, 별도의 독립된 판재로 장형부재(20)에 결합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2은 본 발명에 따른 기본판재의 형상 및 결합홈에 의한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기본판재가 바닥 콘크리트층 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기본판재(100)에 형성된 관통홀(110)에 장형부재(20)가 관통된 상태로, 그 단부에 걸림부(10)가 체결되거나, 또는 너트부재(30)와 같은 체결부재가 결합되도록 배치할 수 있으며, 이 때 걸림부(10)는 기본판재(100)의 수직 부분이나, 수평형의 지지부(400)에 접합되거나, 접촉되지 않은 독립된 구성으로 할 수 있으며, 이 때의 명칭을 구분상 걸림부재(10)라 칭한다. 이러한 걸림부재(10)와 너트부재(30)는 콘크리트층의 철근에 구비되는 정착장과 같은 역할을 하게 되어, 콘크리트 타설, 경화시, 콘크리트층이 좌우 방향으로 쳐지거나 벌어지는 것을 잡아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로 인해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결합홈(H) 부분이 벌어지는 것을 간접적으로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S: 합성 구조체 100: 제1기본판재
200: 제2기본판재
400: 지지부 410: 개방부
H: 결합홈
10: 걸림부(재) 12: 걸림홀
20: 장형부재 30: 너트부재

Claims (10)

  1. 콘크리트구조물의 바닥층에 전단 응력이 가해지는 위치에 구비되는 구조체에 있어서,
    전단 응력이 미치는 위치에 직립으로 배치되는 제1기본판재; 및
    상기 제1기본판재와 교차되도록 배치되는 제2기본판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2기본판재의 상부 또는 하부에는 하나 이상의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기본판재 또는 상기 제2기본판재에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단 보강용 합성 구조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본판재 또는 상기 제2기본판재는:
    상측 단부 또는 하측 단부에 꺾인 방향으로 돌출되는 지지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단 보강용 합성 구조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본판재 또는 상기 제2기본판재에 형성된 상기 관통홀에는,
    장형부재가 관통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단 보강용 합성 구조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의 좌우측에는 서로 마주보는 2 이상의 판형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장형부재는 상기 걸림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단 보강용 합성 구조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장형부재는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걸림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단 보강용 합성 구조체.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장형부재의 양측 또는 일측 단부에는 판형 걸림부재가 결합되거나, 체결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단 보강용 합성 구조체.
  7. 콘크리트구조물의 바닥층에 전단 응력이 가해지는 위치에 구비되는 구조체를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굴토마감면을 정지하는 단계;
    상기 위치에 직립으로 배치되는 제1기본판재; 및 상기 제1기본판재와 교차되도록 배치되는 제2기본판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기본판재 또는 상기 제2기본판재는 상측 단부 또는 하측 단부에 꺾인 방향으로 돌출되는 지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 2기본판재의 상부 또는 하부에는 하나 이상의 결합홈;이 형성된 전단 보강용 합성 구조체를 위치시키는 단계;
    바닥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및
    상기 합성 구조체가 설치된 위치의 중앙부에 수직형의 기둥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단 보강용 합성 구조체의 시공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본판재와 상기 제2기본판재가 상기 결합홈을 통해 교차되며 삽입된 후에, 상기 제1기본판재 또는 상기 제2기본판재에 형성된 관통홀에 장형부재를 관통시키며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단 보강용 합성 구조체의 시공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 보강용 합성 구조체는 상기 결합홈의 좌우측에는 서로 마주보는 2 이상의 판형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장형부재를 상기 걸림부와 용접하여 접합하거나, 상기 장형부재를 상기 걸림부에 체결부재를 통해 결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단 보강용 합성 구조체의 시공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장형부재의 양측 또는 일측 단부에 판형 걸림부재가 결합되거나, 체결부재가 결합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단 보강용 합성 구조체의 시공방법.
KR1020110025210A 2011-03-22 2011-03-22 전단 보강용 합성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201201076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5210A KR20120107608A (ko) 2011-03-22 2011-03-22 전단 보강용 합성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5210A KR20120107608A (ko) 2011-03-22 2011-03-22 전단 보강용 합성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7608A true KR20120107608A (ko) 2012-10-04

Family

ID=47279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5210A KR20120107608A (ko) 2011-03-22 2011-03-22 전단 보강용 합성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0760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2458B1 (ko) 2016-05-09 2017-03-07 주식회사 형상엔지니어링 콘크리트 응력 차단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2458B1 (ko) 2016-05-09 2017-03-07 주식회사 형상엔지니어링 콘크리트 응력 차단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652671A (zh) 预制装配式混凝土外挂墙板固定装置及安装方法
KR101937680B1 (ko) 구조적 강성이 보강된 조립식 pc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JP6553442B2 (ja) 既設柱の補強構造および補強工法
KR101098693B1 (ko) 단부판을 가지는 보강 철근을 이용한 보-기둥 접합 부분에서의 내진 성능 향상 구조를 가지는 철근 콘크리트 골조 구조물
KR101140378B1 (ko) 철근 사이 배치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
KR100949828B1 (ko) 층고절감형 철골보 및 이를 이용한 철골-콘크리트 합성보
CN211690817U (zh) 一种梁柱连接件及梁柱框架
CN217151462U (zh) 一种钢管混凝土排柱式连接预制剪力墙结构
CN107023078B (zh) 装配现浇组合式叠合箱网梁楼盖及施工方法
KR20120107608A (ko) 전단 보강용 합성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20090102599A (ko) 전단 강도 보강용 판형 구조체
JP5439016B2 (ja) 埋設型枠
CN110700445A (zh) 一种带强水平连接节点的装配式剪力墙
JP6752006B2 (ja) 建物ユニットの固定構造及びユニット建物
JP3909488B2 (ja) 既存建物の耐震補強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100935305B1 (ko) 건축물 기초 바닥층의 전단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결합방법
CN219280988U (zh) 一种一体式围护墙体及其与钢管柱的连接结构
CN215330933U (zh) 一种钢骨梁结构及钢结构建筑
KR102554408B1 (ko) 접합용 수직부재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기둥의 매입형 접합부 구조
CN214364050U (zh) 一种预应力自复位钢筋混凝土干式连接梁柱节点
CN211369158U (zh) 一种带强水平连接节点的装配式剪力墙
CN109577520B (zh) 钢管混凝土键连接剪力墙柱结构及装配方法
KR101161993B1 (ko)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090098126A (ko)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
CN112323968A (zh) 一种预应力自复位钢筋混凝土干式连接梁柱节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