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2179A -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2179A
KR20090102179A KR1020080027463A KR20080027463A KR20090102179A KR 20090102179 A KR20090102179 A KR 20090102179A KR 1020080027463 A KR1020080027463 A KR 1020080027463A KR 20080027463 A KR20080027463 A KR 20080027463A KR 20090102179 A KR20090102179 A KR 200901021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camera
corrected
screen
displ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7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88795B1 (ko
Inventor
엄민영
임영규
김정한
이남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800274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8795B1/ko
Priority to EP09155283.6A priority patent/EP2106125B1/en
Priority to US12/406,913 priority patent/US8643737B2/en
Publication of KR200901021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21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87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87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 H04N23/61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where the recognised objects include parts of the human body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은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의 얼굴 영역을 감지하고, 감지된 얼굴 영역을 기준으로 촬영된 이미지를 보정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카메라를 통해 이미지 촬영 시 기 설정된 이미지 보정 정보에 따라 촬영되는 이미지를 자동으로 보정하여 화면에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카메라 촬영시마다 보정된 이미지를 바로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카메라를 통해 이미지 촬영 시, 촬영되는 이미지의 얼굴 영역을 기준으로 특정 영역만을 보정함으로써 초기 촬영된 원본 이미지 전체를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보다 효과적으로 보정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카메라를 통해 이미지 촬영 시마다 자동으로 보정된 이미지를 제공하도록 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할 수 있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그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 파일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무선 인터넷 등과 같은 복잡한 기능들을 갖추게 되었으며, 종합적인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기기의 형태로 구현된 휴대 단말기에는,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적 측면에서 새로운 시도들이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 등이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의 개성을 표현하기 위한 개인 휴대품으로 여겨지면서, 다양한 형태의 디자인 변화도 요구되고 있다.
최근에는 휴대 단말기에 고성능의 카메라를 장착하여 보다 선명한 이미지를 획득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이때, 카메라를 통해 이미지 촬영 시, 저장된 이미지를 미화시켜 보정하는 기능이 다양하게 구현되고 있다. 예를 들어, 뽀샤시 기능이 있다. 그러나, 이는 이미 저장된 상태에서만 보정이 가능하다. 또한, 저장된 이미지를 보정하는 경우에도 이미지 전체를 보정함에 따라 보정된 이미지가 초기 저장된 이미지와의 차이가 확연히 드러남에 따라 티나지 않게 보정하는 방법 또한 강구되어져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카메라를 통해 이미지 촬영 시 특정 영역만을 자동으로 보정하여 화면에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이미지 촬영 시마다 보정된 이미지의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은, 카메라 프리뷰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카메라 프리뷰 이미지에서 얼굴 영역을 감지하는 단계, 촬영버튼 조작 시, 상기 감지된 얼굴 영역에 기초하여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한 이미지를 보정하고, 상기 보정한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보정한 이미지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의 프리뷰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프리뷰 이미지에서 얼굴 영역을 감지하며, 상기 카메라를 통해 이미지 촬영 시 상기 감지된 얼굴 영역에 기초하여 상기 촬영된 이미지를 보정하고, 상기 보정한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카메라의 이미지 촬영을 위한 제어 신호를 발령하는 촬영버튼을 구비한 사용자 입력부 및 상기 카메라를 통해 이미지 촬영 시, 상기 촬영된 이미지에 대해 보정된 이미지가 저장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카메라를 통해 이미지 촬영 시 기 설정된 이미지 보정 정보에 따라 촬영되는 이미지를 자동으로 보정하여 화면에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카메라 촬영시마다 보정된 이미지를 바로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카메라를 통해 이미지 촬영 시, 촬영되는 이미지의 얼굴 영역을 기준으로 특정 영역만을 보정함으로써 초기 촬영된 원본 이미지 전체를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보다 효과적으로 보정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블럭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4 내지 도 6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순서도, 그리고
도 7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과 함께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무선 통신부 120 : A/V 입력부
130 : 사용자 입력부 140 : 센싱부
150 : 출력부 160 : 메모리
170 : 인터페이스부 180 : 제어부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휴대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블럭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겠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휴대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요소들은 실제 응용에서 구현될 때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3), 무선 인터넷 모듈(115), 근거리 통신 모듈(117), 및 GPS 모듈(119)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한다. 이때,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 방송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나,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이동통신 모듈(113)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방송수신 모듈(111)은, 이와 같은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모든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3)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5)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5)은 휴대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7)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119)은 복수 개의 GPS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3)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3)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3)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핑거 마우스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이라 부를 수 있다.
센싱부(140)는 휴대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음향출력 모듈(153), 알람부(155)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휴대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가 통화 모드 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 인 경우, 촬영되거나 수신된 영상을 각각 혹은 동시에 표시할 수 있으며, UI, GUI를 표시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만일,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터치 스크린 패널, 터치 스크린 패널 제어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스크린 패널은 외부에 부착되는 투명한 패널로서, 휴대 단말기 내부의 버스에 연결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패널은 접촉 결과를 주시하고 있다가, 터치입력이 있는 경우 대응하는 신호들을 터치 스크린 패널 제어기로 보낸다. 터치 스크린 패널 제어기는 그 신호들을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하여, 제어부(180)가 터치입력이 있었는지 여부와 터치스크린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가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에 외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와 내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가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
음향출력 모듈(153)은 호 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출력 모듈(153)은 휴대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 예를 들어, 호 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출력 모듈(153)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5)는 휴대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휴대 단말기(100)에서 발생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5)는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진동 형태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호 신호가 수신되거나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이를 알리기 위해 알람부(155)는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또는, 키 신호가 입력된 경우, 키 신호 입력에 대한 피드백으로 알람부(155)는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진동 출력을 통해 사용자는 이벤트 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 물론, 이벤트 발생 알림을 위한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향출력 모듈(153)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력되거나 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 상에서 메모리(15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휴대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한다. 휴대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외부기기의 예로는,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UIM card 등과 같은 카드 소켓, 오디오 I/O(Input/Output) 단자, 비디오 I/O(Input/Output) 단자, 이어폰 등이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러한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할 수 있고,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상기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소프트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이상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를 외형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더욱 살펴보겠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폴더 타입, 바 타입, 스윙타입, 슬라이더 타입 등과 같은 여러 타입의 휴대 단말기들 중에서 전면 터치스크린이 구비되고, 슬라이더형 키패드가 구비되어 있는, 슬라이더 타입 휴대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슬라이더 타입의 휴대 단말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술한 타입을 포함한 모든 타입의 휴대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휴대 단말기는 제1 바디(100A), 및 제1 바디(100A)에 적어도 일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된 제2 바디(100B)를 포함한다.
제1 바디(100A)가 제2 바디(100B)와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를 닫힌 상태(closed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바디(100A)가 제2 바디(100B)의 적어도 일부분을 노출한 상태를 열린 상태(open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100)가 닫힌 상태에서 주로 대기 모드(Standby Mode)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대기 모드가 해제되기도 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가 열린 상태에서 주로 통화 모드 등으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 또는 소정 시간의 경과에 의해 대기 모드로 전환되기도 한다.
제1 바디(100A)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는, 제1 프론트 케이스(100A-1)와 제1 리어 케이스(100A-2)에 의해 형성된다. 제1 프론트 케이스(100A-1)와 제1 리어 케이스(100A-2)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제1 프론트 케이스(100A-1)와 제1 리어 케이스(100A-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바디(100A), 구체적으로 제1 프론트 케이스(100A-1)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제 1 음향출력모듈(153a) 및 제1 카메라(121a)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51)에는 터치패드가 레이어 구조로 중첩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 스크린으로 동작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제 1 음향출력 모듈(153a)은 리시버 또는 스피커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카메라(121a)은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에 적절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제2 바디(100B)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는 제2 프론트 케이스(100B-1)와 제2 리어 케이스(100B-2)에 의해 형성된다. 제2 바디(100B), 구체적으로 제2 프론트 케이스(100B-1)의 전면(front face)에는 제1 조작부(130a)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프론트 케이스(100B-1) 또는 제2 리어 케이스(100B-2))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2 사용자 입력부(130c), 마이크(123), 인터페이스부(17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사용자 입력부(130a)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는다. 제1 사용자 입력부(130a)에는 조이스틱 키, 터치 패트, 트랙볼, 포인팅 스틱, 핑거 마우스 등과 같이 마우스 기능에 대응하는 기능을 갖는 입력 키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사용자 입력부(130a, 130c)는 사용자 입력부(manipulating portion)(130)라 통칭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면에서, 제1 사용자 입력부(130a)는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 숫자 또는 문자, 심볼(symbol) 등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2 사용자 입력부(130c)는 상기 휴대단말기 내의 특수한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
마이크(123)은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받기에 적절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7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 또는 휴대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등과 같은 사용자 인증모듈,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 소켓일 수도 있다.
제2 리어 케이스(100B-2) 측에는 휴대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190)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충전 등을 위하여 제2 바디(100B)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를 참조하면, 제2 바디(100B)의 제2 리어 케이스(100B-2)의 후면에는 제2 카메라(121b)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제2 카메라(121b)는 제1 카메라(121a)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 카메라(121a)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카메라(121a)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화소를 가지며, 제2 카메라(121b)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바디(100B)의 제2 리어 케이스(100B-2)의 후면에는 제3 사용자 입력부(130d)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제3 사용자 입력부(130d)는 휠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휴대단말기 내에서 스크롤 등의 특수한 기능 키로서 작동할 수 있다.
제2 카메라(121b)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5)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플래쉬(125)는 제2 카메라(121b)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상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제2 리어 케이스(100B-2)의 일 측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05)가 배치될 수 있다. 안테나(105)는 제2 바디(100B)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1 바디(100A)의 제1 리어 케이스(100A-2) 측에는 제1 바디(100A)와 제2 바디(100B)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슬라이드 모듈(100C)의 일 부분이 배치된다. 슬라이드 모듈(100C)의 다른 부분은 제2 바디(100B)의 제2 프론트 케이스(100B-1) 측에 배치되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제2 리어 케이스(100B-2)의 일 측에는 특정 기능에 대한 선택 또는 확인 키의 역할을 하는 제4 사용자 입력부(130e)가 배치될 수 있다. 제4 사용자 입력부(130e)는 상기 휴대단말기 내의 특수한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제2 카메라(121b) 등이 제2 바디(100B)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2 카메라(121b) 등과 같이 제2 리어 케이스(100B-2)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한 구성들(105, 121b, 125)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제1 바디(100A), 주로는 제1 리어 케이스(100A-2)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경우, 닫힌 상태에서 제1 리어케이스(100A-2)에 배치되는 구성들이 제2 바디(100B)에 의해 보호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제2 카메라(121b)이 별도로 구비되지 않더라도, 제1 카메라(121a)을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2 카메라(121b)의 촬영 방향까지 촬영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에 대한 설명에 제공되는 순서도이다.
먼저,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환경을 설정하는 동작에 대한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 입력부(130)의 키 조작에 따라 카메라 환경 설정정보를 변경하기 위한 메뉴가 선택되면(S100), 제어부(180)는 카메라 환경 설정정보를 변경하도록 하는 화면이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도록 한다.
이때,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해 카메라(121)를 통해 이미지 촬영 시 촬영된 이미지를 보정하도록 하는 이미지 자동 보정모드가 선택되고(S110), 카메라(121)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를 보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보정 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S120). 여기서, 이미지 보정 정보는 이미지 보정 시점 및 색상, 명도, 채도, 선명도 등 이미지를 보정하기 위한 소정의 정보를 포함한다.
한편, 제어부(180)는 입력된 이미지 보정 정보에 기초하여 이미지 자동 보정모드를 설정하고(S130), 이미지 자동 보정모드 설정된 카메라 환경 설정정보가 메모리(160)에 저장되도록 한다(S140).
따라서, 제어부(180)는 이후에 입력되는 카메라(121) 동작 명령 수행 시, 촬영되는 이미지에 대해 입력된 이미지 보정 정보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보정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의 이미지 보정 동작에 대한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 온(on) 동작 시(S200),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해 촬영모드로의 전환 명령이 입력되면(S210), 제어부(180)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촬영모드로 전환하고 카메라(121)가 동작되도록 한다(S220). 이때, 제어부(180)는 카메라(121)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이 디스플레이부(151)의 화면에 실시간으로 표시되도록 한다(S230).
한편, 제어부(180)는 카메라(121)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이 디스플레이부(151)의 화면에 실시간으로 표시되는 동안, 디스플레이부(151)의 화면에 표시된 영상으로부터 얼굴 영역을 감지한다(S240). 이때, 얼굴 영역은 디스플레이부(151)의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으로부터 눈과 입의 구도에 기초하여 감지된 영역의 에지(Edge) 영역인 것으로 한다. 여기서, 얼굴 영역을 감지하는 방법은 일반적으로 카메라가 장착된 장치에서 사용되는 얼굴 감지 방법이라면 모두 적용 가능하다.
만일, 촬영 버튼이 조작됨에 따라 카메라(121)로 촬영 명령이 인가되면(S250), 카메라(121)는 입력되는 영상 중 어느 하나의 이미지를 촬영한다(S260). 이때, 제어부(180)는 카메라(121)를 통해 이미지가 촬영되면,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보정 정보를 검출하고(S270),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보정 정보에 기초하여 촬영된 이미지를 보정한다(S280).
이렇게 보정된 이미지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화면에 표시되고(S290),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해 저장명령이 인가되면(S300), 제어부(180)는 보정된 이미지가 메모리(160)에 저장되도록 한다(S310). 물론, 보정된 이미지를 저장하지 않고자 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종료 명령이 인가되지 않는 한, 'S220' 과정으로 돌아가 이후 과정을 재수행하도록 한다. 마찬가지로, 보정된 이미지를 저장한 후에도 별도의 종료 명령이 인가되지 않는 한, 'S220' 과정으로 다시 돌아가 이후 과정을 재수행하도록 한다.
한편,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해 별도의 종료 명령이 인가되면(S320), 제어부(180)는 촬영모드를 종료하고 일반모드로 전환되어 동작되도록 한다(S330).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의 이미지 보정 동작에 대한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로서, 메모리(160)에 저장된 이미지를 호출하여 호출된 이미지를 보정하는 동작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 온(on) 동작 시(S400),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해 사진첩 모드로의 전환 명령이 입력되면(S410), 제어부(180)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사진첩 모드로 전환하고 메모리(16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호출하여 디스플레이부(151)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한다(S420).
또한, 제어부(180)는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중 사용자 입력부(130)의 키 조작에 따라 어느 하나의 이미지가 선택되면, 선택된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부(151)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한다(S430). 이때,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화면에 표시된 이미지를 보정하기 위한 이미지 보정 메뉴가 함께 제공되도록 한다.
만일, 제공된 이미지 보정 메뉴가 선택되면(S440),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화면에 표시된 이미지의 얼굴 영역을 감지하고(S450), 감지된 얼굴 영역을 기준으로 하여 디스플레이부(151)의 화면에 표시된 이미지를 보정한다(S470). 이때, 제어부(180)는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보정 정보를 검출하고(S460),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보정 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151)의 화면에 표시된 이미지를 보정하도록 한다.
이렇게 보정된 이미지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화면에 표시되고(S480),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해 저장명령이 인가되면(S490), 제어부(180)는 보정된 이미지가 메모리(160)에 저장되도록 한다(S500). 여기서, 보정된 이미지는 메모리(160)에 별도의 파일로 저장될 수 있으며, 보정되기 이전의 이미지 파일에 덮어씌워 저장되도록 할 수도 있다.
물론, 보정된 이미지를 저장하지 않고자 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종료 명령이 인가되지 않는 한, 'S420' 과정으로 돌아가 이후 과정을 재수행하도록 한다. 마찬가지로, 보정된 이미지를 저장한 후에도 별도의 종료 명령이 인가되지 않는 한, 'S420' 과정으로 다시 돌아가 이후 과정을 재수행하도록 한다.
한편,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해 별도의 종료 명령이 인가되면(S510), 제어부(180)는 사진첩 모드를 종료하고 일반모드로 전환되어 동작되도록 한다(S520).
도 7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과 함께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이미지 촬영 시 얼굴 영역을 감지하는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카메라(121)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10)을 디스플레이부(151)의 화면에 표시하고 이때 화면에 표시된 영상(10)으로부터 두눈과 입의 위치 인 P1, P2, P3을 검출하고, 이때 P1, P2, P3의 구도에 기초하여 얼굴임을 인식한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도 7에서 인식된 얼굴 위치에 기초하여 에지(edge) 영역을 검출함으로써 이를 얼굴 영역(E)으로 인식한다. 따라서, 제어부(180)는 상기한 방법을 통해 디스플레이부(151)의 화면에 표시된 영상(10)으로부터 얼굴 영역을 감지한다.
한편, 도 9a는 종래의 휴대 단말기를 통해 보정된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고, 도 9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통해 보정된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즉, 종래에는 이미지를 보정하고자 하는 경우, 도 9a와 같이 메모리(160)에 저장된 이미지를 호출하여 이중 선택된 이미지(10)를 화면에 표시하고, 이때 '편집' 메뉴(20)가 선택됨에 따라 이미지 보정 명령이 인가되면, 디스플레이부(151)의 화면에 표시된 이미지(10)의 전체에 대해 보정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보정된 이미지(12)는 인물과 배경이 전체적으로 뭉개지게 되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121)를 통해 이미지를 촬영함과 동시에 이미지를 보정함으로써, 이미지 저장 후 다시 저장된 이미지를 호출하여 보정하는 과정을 거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카메라(121)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10)이 디스플레이부(151)의 화면에 표시되는 동안 '촬영' 메뉴(30)가 선택되면,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화면에 표시된 이미지의 전체 영역이 아니라 도 7 및 도 8에서와 같이 얼굴 영역을 감지하고, 감지된 얼굴 영역을 기준으로 보정된 이미지(14)가 디스플레이부(151)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한다.
즉, 보정된 이미지(14)는 전체가 아니라 얼굴 영역만이 기 설정된 이미지 보정 정보에 따라 보정된 것으로, 얼굴 영역 외의 이미지는 보정 전의 이미지와 동일한 이미지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카메라(121)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10) 전체를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보다 효과적으로 보정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보정된 이미지(14)에 대한 '저장' 메뉴(40)가 선택되면, 제어부(180)는 보정된 이미지(14)가 메모리(160)에 저장되도록 한다.
물론, 카메라(121)를 통해 이미지 촬영 시, 촬영된 이미지를 보정하는 것은 이미지 자동 보정 설정 시 입력된 이미지 보정 정보에 기초하여 수행되며, 이는 설정에 따라 이미지 촬영시마다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해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촬영된 이미지를 수정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도 10a 및 도 10b는, 도 9b에서와 같이 보정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 표시하는 방법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다시 말해, 도 9b에서는 카메라(121)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 보정 시, 보정된 이미지 만이 디스플레이부(151)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였으나, 도 10a에서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의 화면에 표시된 보정된 이미지(14) 상의 소정 영역에 이미지 보정 전 감지된 얼굴 영역의 이미지(10a)를 함께 표시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또한, 도 10b에서와 같이, 제어부(180)는 이미지 보정 시 디스플레이부(151)의 화면을 적어도 두개의 화면으로 분할할 수 있으며, 이때 분할된 화면에 보정전 이미지의 일부 이미지(10b)와 보정된 이미지의 일부 이미지(14a)가 각각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물론, 보정전 이미지와 보정된 이미지의 일부 이미지가 아닌 전체 이미지를 표시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이때, '저장' 메뉴(40)가 선택되면, 제어부(180)는 보정된 이미지(14)를 저장할 뿐만 아니라, 보정 전의 이미지가 함께 저장되도록 할 수 있으며, 도 10a 및 도 10b에서 디스플레이부(151)의 화면에 표시된 이미지 그대로 저장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은 도 7 및 도 8에서와 같이 감지된 얼굴 영역 내부의 이미지를 보정한 실시예를 나타내었으나, 도 11은 감지된 얼굴 영역을 제외한 이미지를 보정한 실시예를 나타내었다.
다시 말해, 도 11에서는, 카메라(121)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10)이 디스플레이부(151)의 화면에 표시되는 동안 '촬영' 메뉴(30)가 선택되면,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화면에 표시된 이미지 중 얼굴 영역을 감지하고, 감지된 얼굴 영역을 제외한 외부 이미지를 보정하여 보정된 이미지(16)가 디스플레이부(151)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한다. 따라서, 카메라(121)를 통해 이미지 촬영 시,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얼굴을 강조하기 위해 얼굴을 제외한 영역의 이미지를 흐리게 보정함으로써 얼굴이 부곽되도록 보정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촬영된 이미지를 보정하는 것은 이미지 자동 보정 설정 시 입력된 이미지 보정 정보에 기초하여 수행되며, 이는 설정에 따라 이미지 촬영시마다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해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촬영된 이미지를 수정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이때, '저장' 메뉴(40)가 선택되면, 제어부(180)는 보정된 이미지(16)가 메모리(160)에 저장되도록 한다. 물론, 보정 전의 이미지(10)가 함께 저장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2 내지 도 13c는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로부터 감지된 얼굴 영역이 둘 이상인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도 12는 도 7에서와 마찬가지 방법에 의해 촬영된 전체 이미지(50) 중 두 사람에 대해 감지된 얼굴 영역(E1, E2)을 나타낸 예시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도 13a 내지 도 13c의 실시예를 설명하고자 한다.
즉, 도 13a는 카메라(121)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50)이 디스플레이부(151)의 화면에 표시되는 동안 '촬영' 메뉴(60)가 선택되면,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화면에 표시된 이미지(50) 중 얼굴 영역을 감지한다. 이때, 제어부(180)는 도 12에서 감지된 두개의 얼굴 영역(E1, E2) 중 어느 하나의 얼굴 영역(E1)에 대해서만 이미지 보정을 수행하도록 한다. 따라서, 제어부(180)는 어느 하나의 얼굴 영역(E1)만이 보정된 이미지(52)를 디스플레이부(151)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한다. 만일, '저장' 메뉴(70)가 선택되면, 제어부(180)는 보정된 이미지(52)가 메모리(160)에 저장되도록 한다. 물론, 보정 전의 이미지(50)가 함께 저장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도 13b는 도 13a와 달리 도 12에서 감지된 두개의 얼굴 영역(E1, E2) 중 다른 하나의 얼굴 영역(E2)에 대해서만 이미지 보정을 수행한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제어부(180)는 감지된 다른 하나의 얼굴 영역(E2)만이 보정된 이미지(54)를 디스플레이부(151)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한다. 이때, '저장' 메뉴(70)가 선택되면, 제어부(180)는 보정된 이미지(54)가 메모리(160)에 저장되도록 한다. 물론, 보정 전의 이미지(50)가 함께 저장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3c는 도 12에서 감지된 두개의 얼굴 영역(E1, E2) 모두에 대해 이미지 보정을 수행한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즉, 카메라(121)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50)이 디스플레이부(151)의 화면에 표시되는 동안 '촬영' 메뉴(60)가 선택되면,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화면에 표시된 이미지(50) 중 얼굴 영역을 감지한다. 이때, 제어부(180)는 도 12에서 감지된 두개의 얼굴 영역(E1, E2)에 대해 이미지 보정을 수행하도록 한다. 따라서, 제어부(180)는 감지된 전체 얼굴 영역(E1, E2)에 대해 보정된 이미지(52)를 디스플레이부(151)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한다. 한편, '저장' 메뉴(70)가 선택되면, 제어부(180)는 보정된 이미지(56)가 메모리(160)에 저장되도록 한다. 물론, 보정 전의 이미지(50)가 함께 저장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4는 메모리에 저장된 이미지를 호출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한 경우, 표시된 이미지의 얼굴 영역을 기준으로 하여 이미지를 보정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입력부(130)의 키 조작에 따라 사진첩 호출 명령이 인가되면, 제어부(180)는 메모리(16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호출하고, 이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이미지(80)가 디스플레이부(151)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한다. 이때,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화면에 표시된 이미지(80)를 보정하기 위한 메뉴가 함께 제공되도록 한다. 따라서, '메뉴' 항목(90)이 선택되고, 이때 구비된 다수의 항목 중 '2: 이미지 보정(92)' 항목에 대해 '선택' 메뉴(94)가 조작되면,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화면에 표시된 이미지(80)의 얼굴 영역을 감지하고, 이때 기 설정된 이미지 보정 정보에 따라 얼굴 영역을 기준으로 하여 이미지(80)를 보정한다. 따라서, 제어부(180)는 얼굴 영역을 기준으로 보정된 이미지(85)가 디스플레이부(151)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고, 이때 '저장' 메뉴(96)가 선택되면, 보정된 이미지(85)가 메모리(160)에 저장되도록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MSM(Mobile Station Modem)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9)

  1. 카메라 프리뷰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카메라 프리뷰 이미지에서 얼굴 영역을 감지하는 단계;
    촬영버튼 조작 시, 상기 감지된 얼굴 영역에 기초하여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한 이미지를 보정하고, 상기 보정한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보정한 이미지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이미지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보정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메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보정 정보는, 상기 촬영된 이미지에 대한 자동 보정 여부, 색상, 명도, 채도, 선명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한 이미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보정 정보에 기초하여 보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된 이미지의 보정 시, 상기 촬영된 이미지 중 상기 감지된 얼굴 영역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된 이미지의 보정 시, 상기 촬영된 이미지 중 상기 감지된 얼굴 영역이 제외된 영역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얼굴 영역은, 상기 프리뷰 이미지에서 눈과 입의 구도에 따라 검출된 에지(Edge) 영역에 기초하여 감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한 이미지를 화면에 표시하는 경우, 상기 촬영된 이미지 중 상기 감지된 얼굴 영역의 이미지를 상기 보정한 이미지 상의 소정 영역에 함께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한 이미지를 화면에 표시하는 경우, 상기 화면을 적어도 두개의 화면으로 분할하여, 상기 촬영된 이미지 및 상기 보정한 이미지를 상기 분할된 화면에 각각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한 이미지를 호출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경우, 상기 화면에 표시된 이미지를 보정하기 위한 이미지 보정 메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한 이미지를 호출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경우, 상기 이미지 보정 메뉴를 통해 상기 화면에 표시된 이미지로부터 감지된 얼굴 영역에 기초하여 상기 화면에 표시된 이미지를 보정하고, 상기 보정한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보정한 이미지를 재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
  12. 카메라;
    상기 카메라의 프리뷰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프리뷰 이미지에서 얼굴 영역을 감지하며, 상기 카메라를 통해 이미지 촬영 시 상기 감지된 얼굴 영역에 기초하여 상기 촬영된 이미지를 보정하고, 상기 보정한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된 이미지로부터 보정한 이미지가 저장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이미지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보정 정보가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보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촬영된 이미지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이미지 호출 시, 상기 호출된 이미지를 보정하기 위한 이미지 보정 메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얼굴 영역에 기초하여 상기 감지된 얼굴 영역 및 상기 감지된 얼굴 영역을 제외한 영역 중 어느 하나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8.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의 이미지 촬영을 위한 제어 신호를 발령하는 촬영버튼을 구비한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19.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에 어느 한 항의 제어방법을 프로세서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20080027463A 2008-03-25 2008-03-25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4887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27463A KR101488795B1 (ko) 2008-03-25 2008-03-25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EP09155283.6A EP2106125B1 (en) 2008-03-25 2009-03-16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mobile terminal
US12/406,913 US8643737B2 (en) 2008-03-25 2009-03-18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rrecting a captured im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27463A KR101488795B1 (ko) 2008-03-25 2008-03-25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2179A true KR20090102179A (ko) 2009-09-30
KR101488795B1 KR101488795B1 (ko) 2015-02-04

Family

ID=40875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27463A KR101488795B1 (ko) 2008-03-25 2008-03-25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643737B2 (ko)
EP (1) EP2106125B1 (ko)
KR (1) KR10148879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7018A (ko) * 2009-11-23 2011-05-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WO2021006389A1 (ko) * 2019-07-10 2021-0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를 구비한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8280A (ko) * 2008-11-24 2010-06-0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영상 촬영 방법 및 장치
US9386054B2 (en) * 2009-04-07 2016-07-05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coordinated sharing of media among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KR101728042B1 (ko) * 2010-10-01 2017-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JP2012129738A (ja) * 2010-12-14 2012-07-05 Nk Works Kk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方法、及び画像表示プログラム
WO2013070091A2 (en) * 2011-11-09 2013-05-16 Mark Ross Hampton Improvements in and in relation to a lens system for a camera
US9279893B2 (en) 2012-07-24 2016-03-08 Canon Kabushiki Kaisha Radiation imaging control apparatus, radiation imaging system and radiation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101818B1 (ko) * 2012-07-30 2020-04-17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기의 데이터전송 제어장치 및 방법
KR101930460B1 (ko) * 2012-11-19 2018-12-17 삼성전자주식회사 촬영 장치 및 제어 방법
JP2016015009A (ja) * 2014-07-02 2016-01-28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端末、および情報処理方法
CN106650631A (zh) * 2016-11-24 2017-05-10 努比亚技术有限公司 基于相机预览的人脸识别方法及装置
JP6410062B2 (ja) * 2017-03-03 2018-10-2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撮像画像の表示方法
CN111435969B (zh) * 2019-01-11 2021-11-09 佳能株式会社 图像处理装置及其控制方法、记录介质和信息处理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129C (zh) * 1993-03-29 1999-09-15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个人识别装置
DE60327003D1 (de) * 2002-12-11 2009-05-14 Fujifilm Corp Bildkorrekturvorrichtung und Bildaufnahmevorrichtung
JP4277534B2 (ja) * 2003-02-12 2009-06-10 オムロン株式会社 画像編集装置および画像編集方法
US8896725B2 (en) * 2007-06-21 2014-11-25 Fotonation Limited Image capture device with contemporaneous reference image capture mechanism
US7317815B2 (en) * 2003-06-26 2008-01-08 Fotonation Vision Limited Digital image processing composition using face detection information
WO2006040761A2 (en) 2004-10-15 2006-04-20 Oren Halpern A system and a method for improving the captured images of digital still cameras
US7315631B1 (en) * 2006-08-11 2008-01-01 Fotonation Vision Limited Real-time face tracking in a digital image acquisition device
KR100703364B1 (ko) * 2005-01-10 2007-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 통화 이미지 출력 방법
US7692696B2 (en) * 2005-12-27 2010-04-06 Fotonation Vision Limited Digital image acquisition system with portrait mode
JP4577252B2 (ja) 2006-03-31 2010-11-10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カメラ、ベストショット撮影方法、プログラム
GB0606977D0 (en) * 2006-04-06 2006-05-17 Freemantle Media Ltd Interactive video medium
JP2007306259A (ja) * 2006-05-10 2007-11-22 Sony Corp 設定画面表示制御装置、サーバー装置、画像処理システム、印刷装置、撮像装置、表示装置、設定画面表示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データ構造
JP5354842B2 (ja) 2006-05-26 2013-11-2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方法および画像処理装置
JP4432054B2 (ja) * 2006-06-20 2010-03-1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方法
JP4974608B2 (ja) * 2006-08-11 2012-07-11 オリンパス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画像撮影装置
US20080231726A1 (en) * 2007-03-23 2008-09-25 Motorola,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image color correction in a portable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7018A (ko) * 2009-11-23 2011-05-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WO2021006389A1 (ko) * 2019-07-10 2021-0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를 구비한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06125A3 (en) 2013-01-23
EP2106125B1 (en) 2021-05-19
KR101488795B1 (ko) 2015-02-04
US8643737B2 (en) 2014-02-04
EP2106125A2 (en) 2009-09-30
US20090244311A1 (en) 2009-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8795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415763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이미지 표시 방법
KR100929236B1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570368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메뉴 표시 방법
KR101397080B1 (ko) 멀티 기능 실행능력을 갖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방법
US8401566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verting broadcast channel of a mobile terminal
KR20090078233A (ko) 날씨정보 표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90032559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487528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457590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포인터 제어방법
KR20090034215A (ko) 휴대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KR101595380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00087954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20110042635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20100056209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20090011709A (ko) 휴대 단말기의 일정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
KR20090076096A (ko) 휴대 단말기의 바람 인터랙션 제어방법
KR20110002367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587099B1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530554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501950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467885B1 (ko) 터치스크린의 감도를 조절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 및 그제어방법
KR101538381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476292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10056953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