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1059A - Safe room - Google Patents

Safe roo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1059A
KR20090101059A KR1020080109727A KR20080109727A KR20090101059A KR 20090101059 A KR20090101059 A KR 20090101059A KR 1020080109727 A KR1020080109727 A KR 1020080109727A KR 20080109727 A KR20080109727 A KR 20080109727A KR 20090101059 A KR20090101059 A KR 200901010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upply
safe room
cover
tent
supply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97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101260B1 (en
Inventor
김용석
Original Assignee
김용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석 filed Critical 김용석
Publication of KR20090101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105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12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126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5/00Installa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poisonous or injurious substances, e.g. with separate breath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1/00Containers or portable cabins for affording breathing protection with devices for reconditioning the breathing air or for ventilating, in particular those that are suitable for invalids or small childr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xicology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PURPOSE: A safe room is provided, which enables to prepare for suffocation accident by being supplied with air from the outside through an air supply pipe. CONSTITUTION: A safe room(100) is constituted as follows. The safe room has the one touch tent shape in which a frame and a cover are combined into one body. The cover is made of the heat dissipation material and blocks heat transmission between the interior and exterior of the tent. In a cover, the air supply hole(130) connected to the outside air supply pipe is formed, and the outside air is supplied to the tent interior through the air supply hole.

Description

세이프 룸{Safe room}Safe room

본 발명은 고층 아파트, 고층 호텔, 아파트형 공장 등의 고층 건물에서 화재발생시 임시로 대피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고층 건물에서 화재발생 후 이를 인지하지 못하거나 부상을 당하여 화재 현장에서 미처 대피하지 못하여, 화재 현장에서 대피할 방법이 없는 경우 임시로 대피하여 각종 유독가스 및 뜨거운 복사열로부터 생명을 지킬 수 있는 안전 공간인 세이프 룸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that can be temporarily evacuated in the event of a fire in a high-rise building, such as high-rise apartments, high-rise hotels, apartment-type factories, more specifically, after a fire in a high-rise building is not recognized or injured in the fire scene It is about a safe room which is a safety space that can be temporarily evacuated and save lives from various toxic gases and hot radiant heat when there is no way to evacuate at the fire site.

화재는 시간과 장소를 가리지 않고, 예측할 수 없으며, 특히, 고층 아파트, 고층 호텔, 빌딩, 아파트형 공장 등 고층 건물에서 화재가 발생할 시에는 불가피하게 대피하지 못하게 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Fire is unpredictable regardless of time and place, and in particular, a situation in which a high-rise building such as a high-rise apartment, a high-rise hotel, a building, an apartment-type factory, and the like may inevitably be evacuated.

이 경우 미처 대피하지 못하여 고층에서 뛰어내려 추락사고가 발생하는 등 더 위험한 사태를 맞이할 수도 있다. 그러나, 대피하지 못하고, 계속하여 건물 내에 머물게 되면, 화재로 인한 뜨거운 복사열로 인한 화상, 각종 유독가스로 인한 폐 손상, 나아가 생명의 위협을 받게 된다. In this case, you may face more dangerous situations, such as failing to evacuate and jumping from a higher floor. However, if they fail to evacuate and stay in the building, they are burned by hot radiant heat from fire, lung damage by various toxic gases, and even life threatening.

한 심리학 박사는 화재로 인한 생명의 위협이란 가장 견디기 어려운 고문 중의 하나라고 한다. 따라서, 화재 발생시에는 건물 밖으로 최대한 빠른 시간 내에 건물 밖으로 대피하고, 화재를 진압하는 것이 생명을 지킬 수 있는 최고의 방법일 것이다. One psychology doctor says that the threat of life from fire is one of the most difficult tortures. Therefore, in case of fire, evacuating out of the building as soon as possible and extinguishing the fire will be the best way to save lives.

화재 발생시, 최대한 빠른 시간 내에 화재를 진압하여야 하나, 복잡한 도로 상황 등으로 인하여 긴급구조요원의 출동이 지연되는 등 불가피하게 화재현장에 머물러야 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In the event of a fire, it is necessary to extinguish the fire as soon as possible. However, due to the complicated road situation, emergency rescue personnel may be delayed, which may inevitably lead to the situation.

따라서, 각 가정이나 고층 건물에 비상안전장비로서 용이하게 비치할 수 있으며, 빠른 설치가 가능하여 화재현장에서 미처 대피하지 못한 경우에도 긴급구조요원의 구조가 있을 때까지 안전하게 머무를 수 있는 안전 공간이 필요하다. Therefore, it can be easily provided as emergency safety equipment in each home or high-rise building, and it is possible to install it quickly so that a safe space can be secured to stay safely until the rescue of emergency rescue personnel even if it is not possible to evacuate at the fire site. Do.

본 발명은 고층 아파트, 고층 호텔, 아파트형 공장 등 고층 건물에서 화재발생시 미처 대피하지 못하거나, 부상자가 생겨 대피가 힘든 경우 등 위급한 상황에서 긴급구조요원이 화재 진압이나 구조를 할 때까지 임시로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고, 외부로부터 계속해서 공기를 공급받을 수 있는 세이프 룸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emporarily safe until emergency rescue personnel put out a fire or rescue in emergency situations, such as high-rise apartments, high-rise hotels, apartment-type factories do not evacuate when a fire breaks out, or injuries are difficult to evacuat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afe room that can be evacuated and continuously supplied with air from the outside.

본 발명에 따른 세이프 룸은 프레임 및 덮개가 일체로 결합된 원터치 텐트 형상으로서, 상기 덮개는 방열소재로 이루어져 텐트 내부와 외부의 열전달을 차단하며, 상기 덮개에는 외부의 공기 공급관(air supply pipe)과 연결되는 공기 공급홀(air suooly hole)이 형성되어, 외부의 공기가 상기 공기 공급홀을 통하여 텐트 내부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afe roo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one-touch tent shape in which the frame and the cover are integrally combined, and the cover is made of a heat dissipating material to block heat transfer inside and outside the tent, and the cover has an external air supply pipe and an air supply pipe. An air supply hole (air suooly hole) is connected,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side air is supplied into the tent through the air supply hole.

본 발명에 따른 세이프 룸은 고층 건물에서 화재발생시 미처 대피하지 못하거나, 부상자가 생겨 대피가 힘든 경우 등 위급한 상황에서 긴급구조요원이 화재 진압이나 구조를 할 때까지 텐트 내부에 임시로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고, 원터치 텐트 형상으로 신속하게 설치 가능하고, 방열 소재의 덮개에 의해 뜨거운 복사열로부터 화상, 나아가 생명을 지킬 수 있다. The safe roo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temporarily evacuate safely inside the tent until emergency rescue personnel can put out a fire or rescue in an emergency, such as in case of a fire in a high-rise building or in case of injury or difficulty in evacuation. It can be installed quickly in the form of a one-touch tent, and it is possible to protect the image and further life from the hot radiant heat by the cover of the heat dissipation material.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세이프 룸은 텐트에 마련되는 공기 공급홀과 외부로 연결되는 공기 공급관을 통하여 불길이 닿지 않는 외부로부터 계속해서 공기를 공급받을 수 있어서 각종 유독가스 등에도 대비할 수 있으므로 질식 사고에도 충분히 대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safe roo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tinuously supplied with air from the outside of the flame through the air supply hole provided in the tent and the air supply pipe connected to the outside to prepare for various toxic gases, etc. It is effective enough to prepar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세이프 룸 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a safe roo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세이프 룸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afe roo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세이프 룸은 프레임(110) 및 덮개(120)가 일체로 결합된 텐트 형상을 가진다. 이때, 프레임(110)은 최근 원터치 텐트나 원터치 모기장의 프레임으로 많이 이용되는 복수의 고탄성 금속 와이어로 이루어져 있다. Referring to FIG. 1, the safe roo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tent shape in which the frame 110 and the cover 120 are integrally coupled to each other. At this time, the frame 110 is made of a plurality of high-elastic metal wire that is recently used as a frame of one-touch tent or one-touch mosquito net.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세이프 룸(100)은 이러한 복수의 탄성 와이어의 복원력에 의해 자동으로 텐트 형상이 되는 원터치 텐트 형상이 된다. 이러한 원터치 텐트 형상은 이미 여러 형태로 제조되고 있으며, 이들 원터치 텐트 형상 중 어느 것을 이용하여도 무방하다. Therefore, the safe room 100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becomes a one-touch tent shape which automatically becomes a tent shape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se some elastic wires. Such one-touch tent shapes are already manufactured in various forms, and any of these one-touch tent shapes may be used.

본 발명에 따른 세이프 룸(100)은 화재시 가장 안전한 베란다와 같은 공간에 설치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세이프 룸(100)의 사이즈는 특별한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나, 가급적 최악의 상황에 대비한다는 의미에서 베란다의 면적이 허용한다면 어른 3명 이상이 들어가서 앉을 수 있도록 충분한 크기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afe roo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st preferably installed in the same space as the safest veranda in case of fire, and the size of the safe room 10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n the sense that it is prepared for the worst possible situation. If the area of the veranda allows it, it is desirable to make it large enough to accommodate three or more adults.

세이프 룸에서 텐트 형상의 측면과 바닥면을 커버하는 덮개(120)는 방열소재로 이루어져 텐트 내부와 외부의 열전달을 차단한다. 또한, 덮개(120)에는 외부의 공기 공급관(air supply pipe, 도 2의 210)과 연결되는 공기 공급홀(air supply hole, 130)이 형성되어, 외부의 공기가 공기 공급관(210) 및 공기 공급홀(130)을 통하여 텐트 내부로 공급된다. Cover 120 covering the side and bottom surface of the tent shape in the safe room is made of a heat dissipation material to block heat transfer inside and outside the tent. In addition, the cover 120 is provided with an air supply hole 130 connected to an external air supply pipe (210 of FIG. 2), so that the external air is supplied to the air supply pipe 210 and the air supply. It is supplied into the tent through the hole 130.

따라서, 고층 아파트, 고층 호텔, 아파트형 공장 등 고층 건물에서 화재발생시 미처 대피하지 못하거나, 부상자가 생겨 대피가 힘든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세이프 룸(100)을 이용하여 위급 상황에서 긴급구조요원이 화재 진압이나 구조를 할 때까지 텐트 내부에 임시로 대피할 수 있고, 이 경우 덮개(120)에 의해 뜨거운 복사열이 90%이상 지속적으로 역반사되어 화상을 피할 수 있고, 나아가 생명을 지킬 수 있게 된다. Therefore, when a fire breaks out in a high-rise building such as a high-rise apartment, a high-rise hotel, an apartment-type factory, or an injured person is difficult to evacuate, emergency rescue personnel may fire in an emergency situation by using the safe roo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ntil the suppression or rescue can be temporarily evacuated to the inside of the tent, in this case by the cover 120, the hot radiant heat is continuously reflected back more than 90% to avoid burns, and further to save lives.

또한, 공기 공급관(210) 및 공기 공급홀(130)을 통하여 베란다 철망 밖과 같은 불길이 닿지 않는 외부로부터 계속해서 공기를 공급받을 수 있어서 각종 유독가스 등에도 대비할 수 있어 질식 사고에도 충분히 대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rough the air supply pipe 210 and the air supply hole 130, the air can be continuously supplied from the outside of the flame such as outside the porch wire mesh can be prepared for various toxic gases, etc. can be sufficiently prepared for asphyxiation accidents. .

덮개(120)는 열을 반사시킬 수 있는 이른바 방열 소재로 이루어져 있는데, 대표적인 예로, 아라미드 섬유(Aramid Fiber)를 포함하는 재질로서 외부면이 알루미늄 코팅된 것을 들 수 있다. 물론, 외부면뿐만 아니라 내부면에도 알루미늄 코팅이 되어 있을 수 있다. Cover 120 is made of a so-called heat dissipation material that can reflect heat, a representative example, a material containing an aramid fiber (Aramid Fiber) is an outer surface is an aluminum coating. Of course, the outer surface as well as the inner surface may be coated with aluminum.

또한, 덮개(120) 소재로,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제 10-0629459(2006.09.28. 공고)에서 제시된 적층구조로 이루어진 방열피복을 이용할 수 있으며, 산업안전관리공단에서 화재 진압이나 용광로 작업 등에 이용하기 위한 방열복 소재로 검증된 것이라면 어느 소재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In addition, as a cover 120 material, it is possible to use a heat-dissipating coating made of a laminated structure presented in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Publication No. 10-0629459 (August 28, 2006. Announcement), for use in fire suppression or blast furnace work in the Industrial Safety Management Corporation. Any material can be used as long as it has been verified as a heat-resistant suit.

나아가, 덮개(120)는 아라미드 섬유 75~95wt%와 알루미나 섬유(Alumina Fiber) 5~25wt%가 혼합되어 이루어져 있을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ver 120 may be made of a mixture of aramid fibers 75 ~ 95wt% and 5 ~ 25wt% of alumina fiber (Alumina Fiber).

본 발명의 발명자는 아라미드 섬유 75wt%와 알루미나 섬유 25wt%를 혼합하고 외부면에 알루미늄 코팅한 결과, 최고 550℃의 온도에서 세이프 룸(100) 내부의 온도가 상온으로 유지되어 세이프 룸 외부와 내부의 열전달이 차단됨을 확인하였고, 또한 아라미드 섬유 95wt%와 알루미나 섬유 5wt%를 혼합하고 외부면에 알루미늄 코팅을 한 결과, 최고 430℃의 온도에서 세이프 룸(100) 내부의 온도가 상온으로 유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mixed 75% by weight of aramid fibers and 25% by weight of alumina fibers and aluminum coated on the outer surface, the temperature inside the safe room 100 is maintained at room temperature at a temperature of up to 550 ℃ to ensure that the temperature inside and outside the safe room It was confirmed that the heat transfer was blocked, and also mixed with 95 wt% aramid fiber and 5 wt% alumina fiber and aluminum coating on the outer surface, it was confirmed that the temperature inside the safe room 100 is maintained at room temperature at a temperature of up to 430 ℃ It was.

알루미나 섬유가 5wt% 미만으로 첨가되면 400℃ 이상의 온도에서 세이프 룸(100) 내부로 열이 전달되며, 알루미나 섬유가 25wt%를 초과하여 첨가되면 충분히 고온에서도 열전달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는 있으나, 덮개(120)의 유연성이 떨어져서 텐트가 잘 접히고, 잘 펴지지 않게 되므로, 상기 함량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If the alumina fiber is added less than 5wt% heat is transferred into the safe room 100 at a temperature of 400 ℃ or more, if the alumina fiber is added more than 25wt% has an effect that can block the heat transfer even at a sufficiently high temperature, but the cover ( Since the flexibility of 120) is difficult to fold and unfold the tent,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ent ratio.

도 2는 공기 공급홀(130)에 연결되는 공기 공급관의 예를 도시한 것으로 주름관 구조를 나타낸다. 2 shows an example of an air supply pipe connected to the air supply hole 130 and shows a corrugated pipe structure.

공기 공급관(210)은 일반적인 파이프를 이용할 수도 있으나, 도 2에 도시된 공기 공급관의 예와 같이, 불길이 닿지 않는 부분까지도 길이 조절이 가능한 주름관(자바라관) 구조를 갖도록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기 공급관(210)은 고온에서도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금속 재질일 수 있다. Although the air supply pipe 210 may use a general pipe, it is preferable that the air supply pipe 210 be manufactured to have a corrugated pipe (Java tube) structure that can adjust the length of the air supply pipe as shown in FIG. The air supply pipe 210 may be a metal material that can withstand high temperatures sufficiently.

또한, 알루미나 섬유 60~90wt%와 아라미드 섬유 10~40wt%가 혼합되고, 표면에 알루미늄 코팅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의 재질로 된 공기 공급관(210)은 800~1000℃까지의 온도에서도 관의 모양 변화가 거의 없는 특성을 나타내었다. In addition, 60 to 90 wt% of alumina fibers and 10 to 40 wt% of aramid fibers may be mixed and coated on the surface of aluminum. The air supply pipe 210 made of the above material exhibited almost no change in the shape of the tube even at a temperature of 800 to 1000 ° C.

공기 공급홀(130)은 테두리가 금속 링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공기 공급관(210)과 금속 링이 나사 결합하도록 공기 공급관(210)의 끝단의 외측 표면과 공기 공급홀(130) 테두리의 금속 링 내측 표면에 서로 대응되는 나사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The air supply hole 130 may have a rim formed of a metal ring. In this case, a screw corresponding to each other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end of the air supply pipe 21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metal ring of the edge of the air supply hole 130 so that the air supply pipe 210 and the metal ring are screwed.

공기 공급홀(130)과 연결되는 공기 공급관(210)을 통하여 세이프 룸 내로 공기 공급이 가능하다. 이러한 공기 공급의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텐트 내부에는 공기 공급홀(130)과 착탈식으로 연결될 수 있는 공기 흡입기(310)가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It is possible to supply air into the safe room through an air supply pipe 210 connected to the air supply hole 130. In order to increase the effect of such an air supply, an air inhaler 310 that may be detachably connected to the air supply hole 130 may be disposed in the tent.

도 3은 공기 흡입기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3 shows an example of an air inhaler.

공기 흡입기(310)는 팬(fan, 311)의 구동에 의해 외부 공기가 흡입된다. 이러한 팬은 배터리에 의해 전기식으로 구동될 수 있고,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동회전 레버(312)를 세이프 룸 내부에 있는 사람이 회전시킴으로써 수동으로 구동될 수 있다. In the air inhaler 310, the outside air is sucked by the fan 311. Such a fan may be electrically driven by a battery and may also be manually driven by rotating the manual rotation lever 312 by a person in the safe room as shown in FIG. 3.

팬(311)은 금속 재질의 평기어로도 불리는 스퍼 기어(spur gear)와 피니언 기어(pinion gear)와 연결되어, 상기 기어들의 기어비(gear ratio)를 조절하여 그 회전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The fan 311 is connected to a spur gear and a pinion gear, which are also referred to as spur gears made of metal, to increase the rotation speed by adjusting a gear ratio of the gears.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세이프 룸(100)은 일시에 펼쳐지고, 사용 후 손쉽게 접을 수 있는 원터치 텐트 형상이므로 가정이나 건물 내에 비상안전용품으로 손쉽게 비치될 수 있다. The safe roo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unfolded at a time, and can be easily provided as an emergency safety article in a home or building because it is a one-touch tent shape that can be easily folded after use.

또한, 세이프 룸(100)은 원터치 텐트 형상으로 덮개가 뜨거운 열을 90% 이상 지속적으로 역반사시킬 수 있는 아라미드 섬유에 알루미늄이 코팅된 소재 등의 방 열소재로 되어 있어 내부와 외부의 열전달을 차단하므로, 화재 현장에서 미처 대피하지 못하였을 때 원터치 텐트를 설치하듯 짧은 시간에 간단한 방법으로 임시 대피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afe room 100 is a one-touch tent shape, the cover is made of a heat-resistant material such as aluminum coated material on the aramid fiber that can continuously reflect the hot heat more than 90% back to block the heat transfer inside and outside As a result, when evacuation is not possible at the fire sit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temporary evacuation space in a simple manner in a short time as a one-touch tent is installed.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세이프 룸(100)은 부상자가 있어 대피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덮개가 방열 소재이므로 한번 사용 후에도 다시 사용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In particular, the safe roo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fully used when a situation in which there is an injured and unable to evacuate. In addition, since the cover is a heat radiation material,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used again after one us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이나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이러한 변경과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 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at the level of those skilled in the art. Such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lo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termined by the claims described below.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세이프 룸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afe roo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공기 공급관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2 shows an example of an air supply pipe.

도 3은 공기 흡입기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3 shows an example of an air inhaler.

Claims (9)

프레임 및 덮개가 일체로 결합된 원터치 텐트 형상으로서, One-touch tent shape with the frame and cover combined integrally, 상기 덮개는 방열소재로 이루어져 텐트 내부와 외부의 열전달을 차단하며,The cover is made of a heat dissipation material to block heat transfer inside and outside the tent, 상기 덮개에는 외부의 공기 공급관(air supply pipe)과 연결되는 공기 공급홀(air supply hole)이 형성되어, 외부의 공기가 상기 공기 공급홀을 통하여 텐트 내부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이프 룸. The cover is provided with an air supply hole (air supply hole)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air supply pipe (air supply pipe), the safe room,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side air is supplied into the tent through the air supply ho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ver 아라미드 섬유(Aramid Fiber)를 포함하는 재질로서, 적어도 외부면이 알루미늄 코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이프 룸. A material comprising aramid fibers (Aramid Fiber),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the outer surface is aluminum-coat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ver 아라미드 섬유 75~95wt%와 알루미나 섬유(Alumina Fiber) 5~25wt%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이프 룸. Safe room, characterized in that a mixture of aramid fibers 75 ~ 95wt% and 5-25wt% of alumina fiber (Alumina Fi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공급관은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ir supply pipe 주름관(자바라관)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이프 룸. Safe room characterized by being corrugated pipe (zabara building) structu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공급관은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ir supply pipe 알루미나 섬유 60~90wt%와 아라미드 섬유 10~40wt%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이프 룸. Safe room, characterized in that a mixture of 60 to 90 wt% of alumina fibers and 10 to 40 wt% of aramid fibers.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텐트 내부에 상기 공기 공급홀과 연결되는 공기 흡입기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이프 룸. Safe room, characterized in that the air inlet connected to the air supply hole in the ten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흡입기는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air inhaler 배터리 또는 수동회전 레버에 의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이프 룸. Safe room, characterized in that driven by a battery or manual rotation lev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공급홀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air supply hole 테두리가 금속 링(metal ring)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이프 룸. Safe room, characterized in that the edge is formed of a metal ring (metal ring).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공급관은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air supply pipe 상기 금속 링과 나사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이프 룸. Safe room, characterized in that for screwing the metal ring.
KR1020080109727A 2008-03-21 2008-11-06 Safe room KR101101260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27155 2008-03-21
KR1020080027155 2008-03-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1059A true KR20090101059A (en) 2009-09-24
KR101101260B1 KR101101260B1 (en) 2012-01-04

Family

ID=41359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9727A KR101101260B1 (en) 2008-03-21 2008-11-06 Safe roo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126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319Y1 (en) * 2008-12-17 2011-06-28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one touch prevention of fire and smoke aramid tent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9492A (en) * 2000-03-30 2000-08-05 좌동학 Movable Shelter
JP2008237704A (en) * 2007-03-28 2008-10-09 Kankyo Kiki:Kk Patient protecting and isolating te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319Y1 (en) * 2008-12-17 2011-06-28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one touch prevention of fire and smoke aramid t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1260B1 (en) 2012-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78809B2 (en) Fire shelter room
WO2012107005A1 (en) Building fire escape system and refuge chamber
TWM551933U (en) Fire-resistant elevation equipment
KR20100128779A (en) Escape room for the fire
US6327821B1 (en) Structure of a fire-proof refuge shelter
JP2016144629A (en) Building fire lifesaving system, and method for using building fire lifesaving system
KR101101260B1 (en) Safe room
KR102035835B1 (en) Ventilation and Fire spread preventing system of multi-story building
KR101578929B1 (en) Fire evacuation chamber provided in the basement.
KR101637979B1 (en) Fireproof screen shutter
KR101902153B1 (en) Apparatus for Forming Emergency Shelter by Folding
KR20200145982A (en) Fire evacuation chamber
KR20150102832A (en) The installation to evacuating from a fire
US10391737B2 (en) Lightweight flexible thermal protection system for fire protection
CN209154929U (en) A kind of blessing storehouse and wall-mounted slideway escaping device from fire disaster
KR20170082397A (en) Fire escape system using bathroom
CN108939345A (en) Bless storehouse and wall-mounted slideway escaping device from fire disaster
KR102683600B1 (en) Fireproof screen shutter
KR101790693B1 (en) Fire evacuation rooms of buildings where two neighbors can evacuate in case of fire
US20080257565A1 (en) Fire alarm system/ using fireproofing material/UL listed
CN114370194A (en) Fireproof and shockproof safety house
CN110812726A (en) Fire-proof cover
KR20190022229A (en) Air-circulating Escaping Equipment during fire in apartment and buildings
JP2016049422A (en) Evacuation curtain
KR102259133B1 (en) Emergency stairway evacuation structure of the build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