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1034A - Guide apparatus of emergency exit - Google Patents

Guide apparatus of emergency ex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1034A
KR20090101034A KR1020080035835A KR20080035835A KR20090101034A KR 20090101034 A KR20090101034 A KR 20090101034A KR 1020080035835 A KR1020080035835 A KR 1020080035835A KR 20080035835 A KR20080035835 A KR 20080035835A KR 20090101034 A KR20090101034 A KR 200901010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emergency exit
guide
cover member
guid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58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972793B1 (en
Inventor
김진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나아이엔씨
(주)아이티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나아이엔씨, (주)아이티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나아이엔씨
Publication of KR200901010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103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27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279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G08B7/06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guiding along a path, e.g. evacuation path lighting strip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re Alarm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PURPOSE: An emergency announcement device capable of informing fire is provided to prevent safety accident without searching exit in fire or emergency. CONSTITUTION: An emergency exit informing apparatus(10) is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 in the indoor of a building. An emergency exit informing apparatus includes a case(11) and a cover member(12). The cover member is installed in the front side of the case. The cover member has the guidance sign shaping section in which it induces to an exit. The laser diode is installed in the case. The lens unit is installed in the case of the gap of the laser diode and cover member.

Description

비상구 안내장치{GUIDE APPARATUS OF EMERGENCY EXIT}Emergency exit guidance device {GUIDE APPARATUS OF EMERGENCY EXIT}

본 발명은 비상구 안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재 또는 비상발생 시 연기속에서도 비상구를 안내할 수 있으며, 화재의 발생을 알릴 수 있는 비상구 안내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mergency exit guide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mergency exit guide device capable of guiding an emergency exit even in a smoke during a fire or an emergency, and informing the occurrence of a fire.

일반적으로 비상구 안내장치는 건물, 지하철, 지하공간의 비상구 위치를 알리기 위하여, 비상구의 상측 또는 복도에 설치되어 화재나 기타 비상상황 시 건물또는 지하철 내의 사람들이 비상구의 위치를 확인하여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한다. In general, emergency exit guide devices are installed in the upper or corridors of emergency exits to inform the location of emergency exits in buildings, subways and underground spaces so that people in buildings or subways can evacuate quickly by evaluating the location of emergency exits in case of fire or other emergencies. Make sure

이러한 안내장치는 비상구의 상측 또는 복도에 설치되는 케이스와, 케이스 내에 마련되어 발광하는 형광램프와, 케이스의 전면에 형광램프의 발광으로 인해 비상구의 글자 및 화살표와 같은 표시부가 발광되는 투광 판넬이 마련되어 있다.Such a guide device is provided with a case installed in an upper side or a corridor of an emergency exit, a fluorescent lamp provided in the case and emitting light, and a floodlight panel on which the display parts such as letters and arrows of the emergency exit emit light due to the emission of the fluorescent lamp on the front of the case. .

그러나, 이러한 일반적인 비상구 안내장치는 형광램프의 빛이 투광판넬을 투과하면서 조도가 급격히 감소되어, 화재나 기타 비상상황 발생 시 건물 내의 사람들이 비상구 안내장치를 식별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uch a general emergency exit guide device h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for people in the building to identify the emergency exit guide device in the event of a fire or other emergency situation as the intensity of the fluorescent lamp rapidly penetrates through the floodlight panel.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29023호의 비상구 안 내 등이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비상구 안내 등은 적어도 어느 일면에 비상구를 안내하는 안내표지가 조각되거나 프린팅 되어 표시되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표시판의 두께 면을 다수의 발광다이오드로 조명하여 시인성을 향상시킨 구조를 가진다. In view of this, the emergency exit plan of the Republic of 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0329023 is disclosed. The disclosed emergency exit guide and the like has a structure that improves visibility by illuminating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iodes on the thickness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of the transparent or translucent material that is displayed by engraving or printing the guide cover for guiding the exit.

그러나, 화재 시에는 발생된 연기로 인해 여전히 시인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re was a problem in that visibility is still poor due to the smoke generated during the fire.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734475호의 안내스피커 내장형 비상구 유도등이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안내스피커 내장형 비상구 유도등은 건물의 바닥에 비상구 유도등이 설치되고, 비상구의 위치를 음성으로 안내하는 음성출력부가 구비되어 시각이 아닌 청각으로 건물 내의 사람들이 비상구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비상구 유도등이 건물의 바닥에 설치되어 있어, 시인성을 위해 항상 청결을 유지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건물에 처음 방문한 사람들에게 비상구의 위치를 음성으로 안내하여 비상구의 위치를 인식시키기에는 무리가 있었다.On the other hand, there is disclosed a guide speaker built-in emergency exit induction lamp of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0734475. The disclosed speaker built-in emergency exit induction light is installed on the floor of the emergency exit induction light, and the voice output unit for guiding the location of the emergency exit with a voice so that people in the building can recognize the location of the emergency exit by hearing rather than sight. However, since the emergency exit induction light was installed on the floor of the building, there was an inconvenience of maintaining cleanliness for visibility at all times, and it was difficult to recognize the location of the emergency exit by guiding the location of the emergency exit to the first visitor to the building by voice. there was.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화재 또는 비상상황 발생 시 연기속에서도 식별이 잘 되도록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화재의 발생을 감지할 수 있는 비상구 안내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visibility to be well identified in the smoke in the event of a fire or emergency situation, and to provide an emergency exit guide device that can detect the occurrence of fire hav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화재 또는 비상상황 발생 시 비상구 측을 연속적으로 가이드하며 위급상황을 외부에 알릴 수 있는 비상구 안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mergency exit guide device for continuously guiding the emergency exit side when the fire or emergency situation occurs and to notify the outside of the emergency situa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비상구 안내장치는Emergency exit guid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건물의 실내에 비상구 측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 설치되어 비상구로 유도하는 안내표시 형성부를 가지며 케이스와 결합되는 커버부재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는 레이저 다이오드와,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와 커버부재의 사이의 케이스에 설치되는 렌즈 유니트;를 구비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It is installed in the interior of the building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oward the emergency exit side, the case; A cover member installed at the front of the case and having a guide display forming portion leading to an emergency exit; And a lens unit installed in the case between the laser diode installed in the case and the laser diode and the cover member.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또는 커버의 가장자리에 가이드 빔 형성을 위한 보조 광원이 설치되는데, 이 보조 광원은 발광다이오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n auxiliary light source for forming a guide beam is installed at the edge of the case or cover, the auxiliary light source may be made of a light emitting diode.

대안으로 상기 목적을 달서하기 위한 발명의 비상구 안내장치는 Alternatively, the emergency exit guide device of the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건물의 실내에 비상구 측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 설치되어 비상구로 유도하는 안내표시 형성부를 가지며 케이스와 결합되는 커버부재와, 상기 케이스 또는 커버부재에 설치되는 발광다이오드를 구비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It is installed in the interior of the building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oward the emergency exit side, the cas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case having a guide display forming portion to guide to the emergency exit, and a cover member coupled to the case, and a light emitting diode installed on the case or the cover member.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발광다이오드의 전면에는 집속 또는 발산렌즈가 더 구비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 focusing or diverging lens is further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light emitting diode.

대안으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비상구 안내장치는 Alternatively, the emergency exit guid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건물의 실내에 비상구 측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비상구로 유도하는 안내표시부를 가지는 커버부재와;It is installed in the interior of the building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oward the emergency exit side, the case; A cover member installed in the case and having a guide display unit leading to an emergency exit;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레이저빔 발생 수단과, 상기 레이저빔 발생 수단과 A laser beam generating means installed inside the case, the laser beam generating means,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레이저빔 발생 수단과, 상기 발광수단과 커버부재의 사이에 설치되는 렌즈 유니트와; 건물 내의 연기량을 감지하는 연기감지센서, 열감지센서 및 불꽃 감지센서와; 상기 연기감지센서, 열감지센서 및 불꽃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수신 받아 화재발생여부를 인식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화재발생 시 알람을 발생시키는 알람 발생수단를 구비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A laser beam generating means installed in the case, and a lens unit provided between the light emitting means and the cover member; A smoke sensor, a heat sensor, and a flame sensor for detecting the amount of smoke in the building; And a controller for receiving a signal detected by the smoke sensor, the heat sensor, and the flame sensor to recognize whether a fire has occurred, and an alarm generating means connected to the controller to generate an alarm in case of a fire. It is don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빔 발생수단은 복수개의 레이저 다이오드들을 구비하는데, 이 레이저 다이오드는 400 내지 700 nm의 파장대를 가진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aser beam generating means includes a plurality of laser diodes, which have a wavelength band of 400 to 700 nm.

그리고 상기 안내표시 형성부는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와 대응되는 측에 설치되며 서로 다른 방향의 화살표 또는 안내 문구들이 형성된 회전판과 이 회전판을 소정의 각도로 정, 역회전시키는 모터를 구비한다.The guide display forming unit is provided on a side corresponding to the laser diode and includes a rotating plate on which arrows or guide phrases of different directions are formed, and a motor for rotating the rotating plate forward and backward at a predetermined angle.

본 발명의 비상구 안내장치는 화재의 발생 시 비상구를 안내하거나 대형 마트 또는 전시장에서 사람들을 가이드 할 수 있다. 특히 화재 또는 비상상황의 발생 시 발생되는 연기량, 열 불꽃 등을 감지센서를 이용하여 감지하고, 이에 근거하여 시인성이 좋은 레이저 빔이나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빔을 바닥면 또는 건물의 벽에 조사함으로써 갇힌 사람들을 비상구 측으로 유도 할 수 있으며, 나아가서는 화재 및 비상상황의 발생 시 비상구를 찾지 못하여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Emergency exit guid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guide the emergency exit in the event of a fire or guide people in a large mart or exhibition hall. In particular, the amount of smoke and thermal flames generated in the event of a fire or emergency is detected by using a sensor, and based on this, the beam is trapped by irradiating a laser beam or a beam using a light emitting diode to a floor or a wall of a building. People can be led to the emergency exit, and furtherm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safety accidents caused by not finding the emergency exit in case of fire and emergency.

본 발명에 따른 비상구 안내장치의 구조를 첨부한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 보였다. 1 to 3 show the structure of the emergency exit guid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비상구 안내장치는 비상구 안내장치(10)는 건물, 지하철, 지하공간의 천정 또는 측벽, 대형 매장, 백화점 등에 설치되는 케이스(11)와, 케이스(11)의 전면에 설치되어 비상구로 갇힌 사람들을 유도하기 위하여 기호나 문자 또는 화살표 형상을 형성하기 위한 안내표시 형성부(60)를 구비한 커버부재(12)와, 상기 케이스(11)의 내부에 설치되는 레이저빔 발생수단(20)과, 상기 레이저빔 발생수단(20)과 커버부재(12)의 사이에 설치되는 렌즈 유니트(30)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재(12)의 안내 표시 형성부(60)의 가장자리에는 가이드 빔형성을 위한 보조 광원(35)이 설치되는데, 이 보조광원은 안내표시 형성부(60)의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가이드 빔을 형성하는 발광다이오드로 형성되는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emergency exit guide device, the emergency exit guide device 10 is installed on the ceiling of the building, subway, underground space or side walls, large stores, department stores, and the case 11, the front of the case 11 emergency exit Cover member 12 having a guide display forming portion 60 for forming a symbol, letter or arrow shape to guide the people trapped in, and the laser beam generating means 20 installed inside the case 11 And a lens unit 30 provided between the laser beam generating means 20 and the cover member 12. An auxiliary light source 35 is formed at the edge of the guide display forming unit 60 of the cover member 12 to form the guide beam. The auxiliary light source is formed at the edge of the guide display forming unit 60 to guide the beam. It is formed of a light emitting diode forming a, but is not limited thereto.

한편,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구 가이드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 보였다. 여기에서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가리킨다. On the other hand, 4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emergency exit guid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in the above embodiments refer to the same components.

도면을 참조하면, 케이스(11)와, 케이스와 결합되어 갇힌 사람들을 비상구로 유도하기 위하여 기호나 문자 또는 화살표 형상을 형성하기 위한 안내표시 형성부(60)를 구비한 커버부재(12)를 구비하는데, 커버부재(12)의 안내표시 형성부(60) 또는 이와 대응되는 내측에는 빔을 형성하는 안내 표시 형성부(60)의 형상으로 빔을 형성하기 위한 빔 발생수단인 발광다이오드(36)들을 구비한다. 여기에서 상기 발광다이오드(36)의 전면에는 집속 또는 발산을 위한 소형렌즈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재(12)의 안내 표시 형성부(60)에 광의 가장자리에는 가이드 빔 형성을 위한 보조 광원(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는데, 이 보조광원은 램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a cover member 12 is provided with a case 11 and a guide display forming portion 60 for forming a symbol, a letter, or an arrow shape in order to guide people trapped in combination with the case to an emergency exit. The light emitting diodes 36, which are beam generating means for forming a beam in the shape of the guide display forming unit 60, which forms a beam, are formed in the guide display forming unit 60 of the cover member 12. Equipped. Here, a small lens for focusing or diverging may b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light emitting diode 36. In addition, an auxiliary light source (not shown) for forming a guide beam may be installed at the edge of the light in the guide display forming unit 60 of the cover member 12, and the auxiliary light source may be formed of a lamp.

한편,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구 가이드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 보였다.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가리킨다. On the other hand, Figure 5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emergency exit guid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e above embodiment indicate the same components.

도면을 참조하면, 상술한 일 실시예와 같이 비상구 안내장치(10)는 건물, 지하철, 지하공간의 천정 또는 측벽, 대형 매장, 백화점 등에 설치되는 케이스(11)와, 케이스(11)의 전면에 설치되어 비상구로 갇힌 사람들을 유도하기 위하여 기호나 문자 또는 화살표 형상을 형성하기 위한 안내표시 형성부(60)를 구비한 커버부재(12)와, 상기 케이스(11)의 내부의 회로기판에 설치되며 안내표시 형성부(60)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레이저 다이오드(22)들과, 이 레이저 다이오드와 커버부재(12)의 사이에 설치되는 사이에 설치되는 렌즈 유니트(30)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재(12)의 안내 표시 형성부(60)의 가장자리에는 가이드 빔형성을 위한 보조 광원이 설치되는데, 이 보조광원은 안내표시 형성부(60)의 가장자리의 회로기판에 형성되어 가이드 빔을 형성하는 발광다이오드(35)로 형성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emergency exit guide device 10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case 11 is installed on the ceiling or sidewalls of buildings, subways, underground spaces, large stores, department stores, and the front of the case 11 Installed on the cover member 12 having a guide display forming portion 60 for forming a symbol, letter or arrow shape to guide the people trapped in the emergency exit, and the circuit board inside the case 11 A plurality of laser diodes 22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guide display forming portion 60 and a lens unit 30 provided between the laser diode and the cover member 12 are provided. An auxiliary light source is formed at the edge of the guide display forming part 60 of the cover member 12 to form a guide beam. The auxiliary light source is formed on a circuit board at the edge of the guide display forming part 60 to guide the beam. It is formed of a light emitting diode 35 to form a.

한편,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건축물 내의 연기량을 감지하는 연기감지센서(41), 열기감지센서(42) 및 불꽃 감지센서(43)와; 상기 센서들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수신 받아 화재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40)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화재발생 시 알람을 발생시키는 알람 발생수단(50)을 구비한다.On the other hand, the inside of the case smoke detection sensor 41 for detecting the amount of smoke in the building, the heat detection sensor 42 and the flame detection sensor 43 and; The controller 40 receives the signals sensed by the sensors to determine whether a fire has occurred, and an alarm generating means 50 connected to the controller to generate an alarm when a fire occurs.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비상구 안내장치를 구성요소별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emergency exit guide devic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y component.

상기 케이스(11)는 내연성 재질로 제작함이 바람직하며 건축물의 측벽 또는 천정에 설치될 수 있는데, 건축물의 측벽에 설치되는 경우 천정과 인접되는 측에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The case 11 is preferably made of a flame retardant material and may be installed on the side wall or the ceiling of the building. When the case 11 is installed on the side wall of the building, the case 11 is preferably installed on the side adjacent to the ceiling.

상기 케이스(11)의 내부에 설치되는 레이저빔 발생수단(20)은 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되는 회로기판(21) 상에 설치되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레이저 다이오드(22)들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 레이저 다이오드(22)의 파장대는 400 내지 700nm 의 것을 사용함이 바람직한데, 레이저 다이오드(22)는 상대적으로 파장대가 긴 장파장의 레이저빔을 방출하는 것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레이더 다이오드(22)의 주위에는 레이저 다이오드(22)의 주변에 별도의 상을 형성하기 위한 발광다이오드(25)가 더 구비될 수 있다.The laser beam generating means 20 installed inside the case 11 may include one or a plurality of laser diodes 22 installed on the circuit board 21 mounted inside the case. The wavelength band of the diode 22 is preferably 400 to 700nm, the laser diode 22 is preferably used to emit a long-wavelength laser beam. In addition, a light emitting diode 25 may be further provided around the radar diode 22 to form a separate image around the laser diode 22.

상기 렌즈 유니트(30)는 상기 레이저빔 발생수단(20)의 레이저 다이오드(22)로부터 조사되는 레이저빔들을 집속 또는 발산시킬 수 있는 집속렌즈와 발산렌즈를 구비하여 레이저 빔 밀도를 높일 수 있는 구조이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The lens unit 30 includes a focusing lens and a diverging lens for focusing or diverging the laser beams irradiated from the laser diode 22 of the laser beam generating means 20 so as to increase the laser beam density. Anything is possible.

상기 커버부재(12)는 케이스(11)와 결합되는 것으로, 레이저빔 발생수단(20)으로부터 조사되는 레이저빔과 발광다이오드로부터 조사되는 빔을 이용하여 안내화살표, 문구 등을 투사시킬 수 있는 안내표시부(60)를 구비하는데, 이 안내표시부(60)는 케이스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판(61)과, 상기 케이스(11) 또는 커버부재(12)에 설치되어 회전판(61)을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키는 모터(62)를 구비 한다. 상기 모터(62)에 의한 회전판(61)의 구동은 회전판의 외주면에 기어부를 형성하고, 상기 모터(62)의 회전축에 기어부와 결합되는 피니언이 설치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안내표시부가 형성된 회전판은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웜과 웜휠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cover member 12 is coupled to the case 11, and a guide display unit for projecting guide arrows, texts, etc. using a laser beam irradiated from the laser beam generating means 20 and a beam irradiated from the light emitting diodes. The guide display unit 60 is provided with a rotating plate 61 rotatably installed in the case and the case 11 or the cover member 12 to rotate the rotating plate 61 at a predetermined angle. It has a motor 62 to rotate. The driving of the rotating plate 61 by the motor 62 may be performed by forming a gear part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ng plate and installing a pinion coupled to the gear part on the rotating shaft of the motor 62. Here, the rotating plate formed with a guide display may be made of a worm and a worm wheel rotated by a motor.

상기 회전판(61)에는 서로 다른 방향을 나타낼 수 있는 화살표들과 안내문구가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안내표시부를 형성하기 위한 투광부는 레이저 다이오드(22) 의해 조사되는 광이 투사되는 코어 형성부(63)와, 코어 형성부(63) 주위에 발광다이오드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투과하는 광투사부(64)를 구비한다.Arrows and guide phrases that may indicate different directions may be formed on the rotating plate 61. The light transmitting part for forming the guide display part may include a core forming part 63 through which light irradiated by the laser diode 22 is projected. ) And a light projecting portion 64 through which light irradiated from the light emitting diode is transmitted around the core forming portion 63.

상기 제어부(40)는 연기감지센서(41), 열기감지센서(42) 및 불꽃감지센서(43)로부터 연기량 및 불꽃의 크기 및 변화, 열기 등에 관한 신호를 수신 받아 기 설정 된 연기량, 불꽃의 크기 및 열기와 비교하여 화재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발광수단(20)과 알람발생수단(50)을 컨트롤함과 아울러 건물주, 소방방제센터에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40)는 건물주의 휴대폰과 소방방제센터에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송신부(44)를 구비한다. The control unit 40 receives a signal regarding the amount of smoke, the size and change of the flame, the heat, and the like from the smoke detection sensor 41, the heat detection sensor 42, and the flame detection sensor 43. Compared to the size and heat of the fire to determine whether the fire, the light emitting means 20 and the alarm generating means 50 may be provided with a microprocessor that can transmit a signal to the building owner, fire control center. And the control unit 40 is provided with a transmitter 44 for transmitting a signal to the building owner's mobile phone and fire control center.

한편, 상기 비상구 안내장치의 케이스에는 인접하는 비상구 안내장치와 송수신이 가능한 RF 송신기와 RF수신기(미도시)가 각각 설치된다. 여기에서 RF 송수기와 수신기들 중 화재로 인하여 하나가 손상되거나 화재를 감지하는 경우 제어부에 의해 화재의 발생 진원지가 RF 송신기 또는 수신기가 손상된 부위 또는 화재를 감지하는 곳을 화재발원지로 인식하고 다른 비상구를 통하여 사람들을 가이드 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ase of the emergency exit guide device is provided with an RF transmitter and an RF receiver (not shown)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th the adjacent emergency exit guide device, respectively. If one of the RF transmitters and receivers is damaged or detects a fire due to a fire, the source of the fire is recognized by the control unit as a source of fire and the place where the RF transmitter or receiver is damaged or a fire is detected and other emergency exits are detected. You can guide people through it.

상기 알람발생수단(50)은 화재 또는 비상상황의 발생 시 화재의 발생을 알릴 수 있는 것으로, 경보발생부(51)와 비상구를 유도 안내하는 안내방송부(52)를 구비한다. 상기 경보 발생부(51)는 제어부(40)로부터 신호를 받아 경고 사이렌을 출력하는 스피커(미도시)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안내방송부(52)는 비상구의 위치를 안내하는 음성을 상기 스피커를 통하여 방송할 수 있는 것으로, 비상구를 안내 멘트가 저장된 메모리를 구비한다. The alarm generating means 50 may notify the occurrence of a fire when a fire or an emergency occurs, and includes an alarm generating unit 51 and a guide broadcasting unit 52 for guiding an emergency exit. The alarm generator 51 includes a speaker (not shown) that receives a signal from the controller 40 and outputs a warning siren. The guide broadcasting unit 52 may broadcast a voice for guiding the location of the emergency exit through the speaker, and includes a memory in which the announcement is stored.

상기 스피커의 제어는 제어부(40)에 의해 연기감지센서(41), 열감지센서(42) 및 불꽃감지센서(43)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 받고 스피커(51a)에 제어신호를 송신하여 메모리에 저장된 음성 안내 멘트가 스피커(51a)로 출력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는 상기 제어부(4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충전지 즉, 이차전지가 더 구비된다. 이 이차전지는 건물의 외부에 설치되는 태양광 발전장치에 의해 충전되거나 건물 내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충전될 수 있다. 이 태양광 발전장치는 건물의 외벽 옥상 등에 설치되는 프레임과, 프레임에 설치되는 태양광 발전 모듈을 구비 할 수 있다. The control of the speaker receives a detection signal from the smoke sensor 41, the heat sensor 42 and the flame sensor 43 by the control unit 40 and transmits a control signal to the speaker 51a and stored in the memory The voice announcement is output to the speaker 51a. In addition, a rechargeable battery, that is, a secondary battery, is further provided inside the case 10 to supply power to the controller 40. The secondary battery may be charged by a photovoltaic device installed outside the building or by a power supply supplied into the building. The photovoltaic device may include a frame installed on the roof of an outer wall of a building, and a photovoltaic module installed on the frame.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비상구 안내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emergency exit guide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건물의 내에 화재와 같은 비상 상황이 발생되면, 상기 연기감지센서(41)와 열감지센서(41), 불꽃감지센서(43)부터 송신되는 신호에 근거하여 설정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화재발생여부를 인지하게 된다. 화재의 발생이 인지되면, 상기 제어부에 의해 발광수단(20)의 레이저 다이오드로부터 레이저빔이 조사된다. 이 레이저빔은 상기 렌즈부(30)에 의해 집속 및 발산된 후 상기 커버부재를 통하여 건물의 측벽 또는 바닥면에 조사되어 갇힌 사람들을 가이드 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커버부재(12)로 투사되는 빔은 연기를 관통하여 건물의 측벽 또는 바닥면에 조사됨으로써 연기속에서도 시인성이 확보되어 비상구를 찾지 못하는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When an emergency situation such as a fire occurs in a building, it is detected whether a fire occurs by comparing with the data set based on the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smoke sensor 41, the heat sensor 41, and the flame sensor 43. Done. When the occurrence of the fire is recognized, the laser beam is irradiated from the laser diode of the light emitting means 20 by the control unit. The laser beam is focused and diverged by the lens unit 30 to guide people trapped by being irradiated to the side wall or the bottom of the building through the cover member. In this process, the beam projected onto the cover member 12 penetrates the smoke and irradiates the side wall or the bottom of the building, thereby ensuring visibility even in the smoke, thereby fundamentally solving the problem of failing to find an emergency exit.

한편, 상기 화재의 발생이 인지되면 제어부(40)의 송신부로부터 건물주의 휴대폰과 소방방제센터로 화재가 발생상황을 송신하게 되고, 건물 내에 지속적으로 안내 방송을 수행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occurrence of the fire is detected from the transmitting unit of the control unit 40 to the building owner's mobile phone and the fire control center transmits the occurrence of the fire, and continuously broadcast the announcement in the building.

그리고 상기 비상구 안내장치가 연속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화재 발화지점과 인접되는 측의 비상구 안내장치에 불꽃감지신호에 의해 신호가 감지되면, 제어부(40)에 의해 상기 안표 표시부(60)의 모터(62)가 구동되어 회전판(61)을 회전시킴으로서 갇힌 사람들을 발화지점으로부터 멀어진 방향으로 안내한다. 특히 비상구 안내 장치들의 사이에 RF 송수신이 이루어진 과정에서 인접하는 비상구 안내 장치로부터 신호가 수신되지 않거나 불꽃이 감지되는 신호가 송신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안내표시부(60)가 구동되어 갇힌 사람들을 안전한 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다. When a signal is detected by the flame detection signal on the emergency exit guide device adjacent to the fire ignition point in a state where the emergency exit guide device is continuously installed, the motor of the eyepiece display unit 60 is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40. 62 is driven to rotate the rotating plate 61 to guide trapped people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point of ignition. In particular, if a signal is not received from an adjacent emergency exit guide device or a flame is transmitted during the RF transmission / reception process between emergency exit guide devices, the guide display unit 60 is driven as described above to secure the trapped people in a safe direction. I can guide you.

앞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 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only by the matters described in the claim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change and chang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various forms. Therefore, such improvements and modifications will fall within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구 안내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where an emergency exit guid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구 안내 장치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tract of the emergency exit guid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비상구 안내 장치의 단면도,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emergency exit guide device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구 안내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emergency exit guide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구 안내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 보인 분리사시도,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emergency exit guide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구 안내 장치의 단면도,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emergency exit guide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7은 도 1의 실시 예의 제어구조를 도시한 블럭도.7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trol structure of the embodiment of FIG.

Claims (7)

건물의 실내에 비상구 측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 설치되어 비상구로 유도하는 안내표시 형성부를 가지며 케이스와 결합되는 커버부재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는 레이저 다이오드와,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와 커버부재의 사이의 케이스에 설치되는 렌즈 유니트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비상구 안내장치. It is installed in the interior of the building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oward the emergency exit side, the case; And a cover member coupled to the case, a laser diode installed in the case, and a lens unit installed in the case between the laser diode and the cover member. Emergency exit guid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 1항에 있어서, 케이스 또는 커버의 가장자리에 가이드 빔형성을 위한 보조 광원이 설치되는데, 이 보조 광원은 발광다이오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구 안내장치. The emergency exit guid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 auxiliary light source for forming a guide beam is installed at an edge of the case or cover, wherein the auxiliary light source is made of a light emitting diode. 건물의 실내에 비상구 측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 설치되어 비상구로 유도하는 안내표시 형성부를 가지며 케이스와 결합되는 커버부재와, 상기 케이스 또는 커버부재에 설치되는 발광다이오드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비상구 안내장치. It is installed in the interior of the building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oward the emergency exit side, the case; Emergency guid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case having a guide display forming portion to guide to the emergency exit and a cover member coupled to the case, and the light emitting diode is installed on the case or cover member. 제 3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발광다이오드의 전면에는 집속 또는 발산렌즈가 더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구 안내장치.  An emergency exit guid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ront of the light emitting diode further comprises a focusing or diverging lens. 건물의 실내에 비상구 측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비상구로 유도하는 안내표시부를 가지는 커버부재와;It is installed in the interior of the building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oward the emergency exit side, the case; A cover member installed in the case and having a guide display unit leading to an emergency exit;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레이저빔 발생 수단과, 상기 레이저빔 발생수단과 커버부재의 사이에 설치되는 렌즈 유니트와, 건축물 내의 화재를 감지하는 연기감지센서 및 불꽃 감지센서와; 상기 연기감지센서 및 불꽃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수신 받아 화재발생여부를 인식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화재발생 시 알람을 발생시키는 알람발생수단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구안내장치.A laser beam generating means installed in the case, a lens unit installed between the laser beam generating means and the cover member, a smoke sensor and a flame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a fire in a building; Emergency exit guid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rol unit for receiving a signal detected by the smoke sensor and flame detection sensor to recognize whether a fire occurs, and an alarm generating mean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for generating an alarm in the event of a fire. . 제 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안내표시부는 케이스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안내 화살표 또는 문구의 투광부를 가지는 회전판과, 상기 케이스 또는 커버부재에 설치되어 회전판을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키는 모터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구 안내장치. The guide display part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case, the emergency exit guid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otating plate having a light guide portion of the guide arrow or phrase, and a motor installed on the case or cover member to rotate the rotating plate at a predetermined angle . 제 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케이스에는 인접하는 비상구 안내장치와 송수신할 수 있는 RF 송수신기 를 더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구 안내장치. The case is an emergency exit guid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RF transceiver that can transmit and receive with the adjacent emergency exit guide device.
KR1020080035835A 2008-03-20 2008-04-17 Guide apparatus of emergency exit KR100972793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25725 2008-03-20
KR1020080025725 2008-03-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1034A true KR20090101034A (en) 2009-09-24
KR100972793B1 KR100972793B1 (en) 2010-07-29

Family

ID=41359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5835A KR100972793B1 (en) 2008-03-20 2008-04-17 Guide apparatus of emergency ex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2793B1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6145B1 (en) * 2009-11-05 2010-10-07 윤병기 Evacuation system
KR101407929B1 (en) * 2012-08-13 2014-06-17 (주)샤다이 Lighting display for emergency exit
KR101454651B1 (en) * 2013-02-21 2014-11-03 주식회사 에스에프앤에스 Exit Dysplay Apparatus for Fire door and Evacuation door with Laser
KR101485115B1 (en) * 2013-12-18 2015-01-23 서해기술단 주식회사 Intelligence laser exit guidance light
KR20160047604A (en) * 2014-10-22 2016-05-03 (주)유비테크 self-generation type emergency exit display lamp for ship
KR20230043405A (en) * 2021-09-24 2023-03-31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Guidance light with lighting to check the number of floor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7828B1 (en) 2015-11-12 2016-01-22 주식회사 신영아이씨티 Device and system for automatically indicating location of fire extinguisher
KR101887656B1 (en) * 2018-01-24 2018-08-10 이영섭 Emergency lighting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0555A (en) * 2003-04-17 2004-10-26 손재설 continuous arrangement type passage guidance light and passage guidance method using laser
KR100699361B1 (en) * 2005-06-08 2007-03-26 이종훈 Laser exit lamp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6145B1 (en) * 2009-11-05 2010-10-07 윤병기 Evacuation system
KR101407929B1 (en) * 2012-08-13 2014-06-17 (주)샤다이 Lighting display for emergency exit
KR101454651B1 (en) * 2013-02-21 2014-11-03 주식회사 에스에프앤에스 Exit Dysplay Apparatus for Fire door and Evacuation door with Laser
KR101485115B1 (en) * 2013-12-18 2015-01-23 서해기술단 주식회사 Intelligence laser exit guidance light
KR20160047604A (en) * 2014-10-22 2016-05-03 (주)유비테크 self-generation type emergency exit display lamp for ship
KR20230043405A (en) * 2021-09-24 2023-03-31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Guidance light with lighting to check the number of floo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2793B1 (en) 2010-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2793B1 (en) Guide apparatus of emergency exit
KR20110059161A (en) Guaid apparatus of emergency exit
KR20140070940A (en) Smart Disaster Services Platform
KR101565727B1 (en) Fire detection and alarm system for the blind and the deaf
KR101485115B1 (en) Intelligence laser exit guidance light
KR20080101444A (en) Parking management system by using ultrasonic sensor
KR20090096566A (en) Control method of fire alarm system
KR20160039397A (en) Signboard guidance having emergency exit indicating function
KR20150014326A (en) Exit flee t0 leading light
KR101407929B1 (en) Lighting display for emergency exit
KR20140073612A (en) Guide system when the fire occurred
KR102102796B1 (en) Exit display apparatus of apartment house
KR102116678B1 (en) Warning apparatus for construction and industrial sites
KR101735264B1 (en) Emergency innduction and call system
KR20210157118A (en) Intelligent emergency exit indicator management system
JP2021036352A (en) Device for facilitating detecting presence of person or vehicle in dead angle
KR101566977B1 (en) Safety sliding door for vehicle using photo sensor
JP2010065402A (en) Safety system for road and alarm method
JP2018128846A (en) Warning device for work site
KR20160004745A (en) Guide apparatus of emergency exit route
JP6544682B2 (en) Guide light and evacuation guidance system using the same
KR101866493B1 (en) Safety sign board for emergency
KR20030062177A (en) Laser beam exit guidance
KR20140123876A (en) Apparatus for informing vehicle location through luminescent signal sensing and light irradiation
KR102070523B1 (en) Emergency evacuation guide system for subway of wind power genera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