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0216A - 무선 통신 방법, 무선 기지국, 무선 단말기 및 무선 통신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방법, 무선 기지국, 무선 단말기 및 무선 통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0216A
KR20090100216A KR1020080126734A KR20080126734A KR20090100216A KR 20090100216 A KR20090100216 A KR 20090100216A KR 1020080126734 A KR1020080126734 A KR 1020080126734A KR 20080126734 A KR20080126734 A KR 20080126734A KR 20090100216 A KR20090100216 A KR 200901002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signal
radio
base station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6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0884B1 (ko
Inventor
가즈오 가와바따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1002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02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08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08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02Resource partitioning among network components, e.g. reuse partitioning
    • H04W16/12Fixed resource partitio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3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interferences
    • H04W52/244Interferences in heterogeneous networks, e.g. among macro and femto or pico cells or other sector / system interference [OS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6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transmission rate or quality of service QoS [Quality of Service]
    • H04W52/267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transmission rate or quality of service QoS [Quality of Service] taking into account the information r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user profile, e.g. mobile speed, priority or network state, e.g. standby, idle or non transmission
    • H04W52/283Power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mobi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 H04W84/045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using private Base Stations, e.g. femto Base Stations, home Node 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Abstract

서로 다른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무선 신호의 간섭을 저감한다. 제1 무선 에리어(100)를 제공하는 제1 무선 기지국(30)은, 상기 제1 무선 에리어(100)에 송신하는 제1 신호를, 제1 부호화율로 부호화하여 제1 송신 전력으로 상기 제1 무선 에리어(100)에 송신하고, 상기 제1 무선 에리어(100)에 속하며, 제2 무선 에리어(200)를 제공하는 제2 무선 기지국(10)은, 상기 제1 신호와 공통하는 제2 신호를, 제2 부호화율로 부호화하여 제2 송신 전력으로 상기 제2 무선 에리어(200)에 송신한다.
Figure P1020080126734
무선 기지국, 무선 에리어, 무선 단말기, 송신 전력, 무선 통신 시스템

Description

무선 통신 방법, 무선 기지국, 무선 단말기 및 무선 통신 시스템{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WIRELESS BASE STATION, WIRELESS TERMINAL,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무선 통신 방법, 무선 기지국, 무선 단말기 및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예를 들면, '펨토셀'이라고도 불리는 소형의 기지국을 이용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 이용되는 경우가 있다.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3GPP)에서 검토되고 있는 무선 통신 기술의 하나로 Home NodeB(Home-NB)가 있다. 이 Home-NB는, 형성 가능한 무선 에리어(셀)의 반경의 관점으로부터, '펨토 셀'이라고도 불린다.
Home-NB는, 기존의 무선 기지국에 비하여 소규모의 무선 서비스 에리어(셀)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면, 무선 서비스 에리어의 확대를 하나의 목적으로 하여, 셀룰러 시스템의 서비스 에리어 내에서, 각 가정(옥내)이나 오피스 빌딩의 플로어, 지하도 등의 전파 불감대에 설치할 수 있다. 이 Home-NB는, Local Area Network(LAN)나, 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ADSL), 광 파이버 등을 이용하여, 기존의 무선 기지국을 제어하는 장치(상위 노드) 등과 접속하는 것이 가 능하다.
또한, 무선 통신 기술에 관한 종래예로서, 하기의 문헌을 들 수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6-261722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표 제2000-513547호 공보
[특허 문헌 3] 일본 특허 공개 제2006-295643호 공보
[비특허 문헌 1] 3GPP TR 25. 820 v1. 0. 0, [online], 2007년 12월 11일,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2008년 2월 21일 검색], 인터넷 <http://www.3gpp.org/ftp/Specs/archive/25_series/25.820/25820-100.zip>
[비특허 문헌 2] 3GPP TS 25. 214 v8. 0. 0, [online], 2007년 12월 11일,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2008년 2월 21일 검색], 인터넷 <http://www.3gpp.org/ftp/Specs/archive/25_series/25.214/25214-800.zip>
전술한 바와 같은 Home-NB를 이용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Home-NB의 송신 전파(무선 신호)가 기존의 무선 기지국의 송신 전파의 간섭으로 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의 하나는, 서로 다른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무선 신호의 간섭을 저감하는 것에 있다.
또한, 상기 목적에 한하지 않고, 후술하는 실시 형태에 나타내는 각 구성에 의해 유도되는 작용 효과로서, 종래의 기술에 의해서는 얻어지지 않는 작용 효과를 발휘하는 것도 다른 목적의 하나로서 위치 지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이하의 수단을 이용한다.
(1) 제1 무선 기지국과, 제2 무선 기지국과, 상기 제1 혹은 제2 무선 기지국과 통신할 수 있는 무선 단말기를 구비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제1 무선 에리어를 제공하는 상기 제1 무선 기지국은, 상기 제1 무선 에리어에 송신하는 제1 신호를, 제1 부호화율로 부호화하여 제1 송신 전력으로 상기 제1 무선 에리어에 송신하고, 상기 제1 무선 에리어에 속하며, 제2 무선 에리어를 제공하는 상기 제2 무선 기지국은, 상기 제1 신호와 공통되는 제2 신호를, 제2 부호화율로 부호화하여 제2 송신 전력으로 상기 제2 무선 에리어에 송신하는 무선 통신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2) 또한, 제1 무선 에리어를 제공하는 제1 무선 기지국과, 상기 제1 무선 에리어에 속하며 제2 무선 에리어를 제공하는 제2 무선 기지국과, 상기 제1 혹은 제2 무선 기지국과 통신할 수 있는 무선 단말기를 구비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상기 제2 무선 기지국으로서, 상기 제1 무선 기지국이 상기 제1 무선 에리어에 송신하는 제1 신호와 공통되고, 또한, 상기 제2 무선 에리어에 송신하는 제2 신호를, 제2 부호화율로 부호화하는 부호화 처리부와, 상기 부호화 처리부에서 부호화 처리가 실시된 상기 제2 신호를, 제2 송신 전력으로 송신하는 송신 처리부를 구비한 무선 기지국을 이용할 수 있다.
(3) 또한, 제1 무선 에리어를 제공하는 제1 무선 기지국과, 상기 제1 무선 에리어에 속하며 제2 무선 에리어를 제공하는 제2 무선 기지국과, 상기 제1 혹은 제2 무선 기지국과 통신할 수 있는 무선 단말기를 구비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상기 무선 단말기로서, 상기 제1 무선 기지국이 제1 신호를 제1 부호화율로 부호화하여 제1 송신 전력으로 상기 제1 무선 에리어에 송신한 신호와, 상기 제2 무선 기지국이 상기 제1 신호와 공통되는 제2 신호를, 제2 부호화율로 부호화하여 제2 송신 전력으로 상기 제2 무선 에리어에 송신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수신부와, 상기 제1 무선 에리어에서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한 상기 제1 신호에 대해서는 상기 제1 부호화율에 따른 복호화를 행하고, 상기 제2 무선 에리어에서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한 상기 제2 신호에 대해서는 상기 제2 부호화율에 따른 복호화를 행하는 복호화 처리부를 구비한 무선 단말기를 이용할 수 있다.
(4) 또한, 제1 무선 에리어를 제공하는 제1 무선 기지국과, 상기 제1 무선 에리어에 속하며 제2 무선 에리어를 제공하는 제2 무선 기지국과, 제1 신호를, 제1 부호화율로 부호화하여 제1 송신 전력으로 상기 제1 무선 에리어에 송신하는 제1 송신 수단과, 상기 제1 신호와 공통되는 제2 신호를, 제2 부호화율로 부호화하여 제2 송신 전력으로 상기 제2 무선 에리어에 송신하는 제2 송신 수단과, 상기 제1 및 제2 신호를 수신하여, 각각의 부호화율에 따른 복호화를 행하는 무선 단말기를 구비한 무선 통신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다.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무선 단말기 앞으로 송신되는 무선 제어 신호가 다른 무선 기지국으로부터의 무선 제어 신호에 미치는 간섭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무선 단말기가 무선 기지국으로부터의 무선 제어 신호를 확실하게 수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단, 이하에 개시하는 실시 형태는, 어디까지나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이하에 개시하는 실시 형태에서 명시하지 않은 다양한 변형이나 기술의 적용을 배제할 의도는 없다. 즉, 본 실시 형태는,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형(각 실시 형태를 조합하는 등)하여 실시할 수 있다.
〔1〕일 실시 형태
도 1은,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 도 1에 예시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은, 제1 무선 서비스 에리어(셀 또는 섹터)(100)를 제공하는 Base Station(BS, 무선 기지국)(30)과, 이 BS(30)의 무선 서비스 에리어(100) 내에서 BS(30)와 무선 링크에 의해 통신할 수 있는 제1 User Equipment(UE, 무선 단말기)(20-1)를 구비한다. 또한, BS(30)의 무선 서비스 에리어(100)에는, 예시적으로, 제2 무선 서비스 에리어(셀 또는 섹터)(200)를 제공하는 Home NodeB(Home-NB)(10)가 설치되고, 이 Home-NB(10)의 무선 서비스 에리어(200) 내에서 제2 UE(20-2)는 Home-NB(10)와 무선 링크에 의해 통신할 수 있다. BS(30) 및 Home-NB(10)는, 예시적으로, BS(30) 및 Home-NB(10)를 각각 관리, 제어할 수 있는 상위 노드(40)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UE(20-1) 및 UE(20-2)는, 어느 것이나, BS(30)의 무선 서비스 에리어(100)에서는 BS(30)와 통신할 수 있으며, Home-NB(10) 의 무선 서비스 에리어(200)에서는 Home-NB(10)와 통신할 수 있다. 이하에서, UE(20-1)와 UE(20-2)를 구별하지 않는 경우에는, 간단히 'UE(20)'라고 표기한다. BS(30), Home-NB(10) 및 UE(20) 각각의 수는, 도 1에 예시하는 수에 한정되지 않는다.
BS(제1 무선 기지국)(30)는, 예를 들면, 자국(30)이 갖는 송신 안테나(도시 생략)로부터 무선 서비스 에리어(100) 내에 존재하는 UE(20)에 대하여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BS(30)의 무선 서비스 에리어(100)는, 예를 들면, 반경 수백 m~수십 ㎞이다. 이 무선 서비스 에리어(100)는, 복수의 섹터로 분할되는 경우도 있다.
UE(20)는, BS(30) 또는 Home-NB(10)가 형성하는 무선 서비스 에리어(100 또는 200)에서, BS(30) 또는 Home-NB(10)와 무선 링크에 의해 통신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무선 링크에는, BS(30) 또는 Home-NB(10)로부터 UE(20)에의 방향인 다운링크(DL)와, 그 반대 방향인 업링크(UL)가 포함되며, 각각, 제어 CH와 데이터 CH를 포함할 수 있다. UE(20)가 상기 무선 링크에서 이용하는 무선 리소스(주파수, 타이밍)는, BS(30) 또는 Home-NB(10)에서의 스케줄링에 의해 할당할(지정할) 수 있다.
또한, 상위 노드(40)는, IP망 등의 코어 네트워크의 엔터티이며, BS(30) 및 Home-NB(10)를 관리, 제어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BS(30) 및 Home-NB(10)를 통해서 UE(20)와 통신할 수 있다.
본 예의 상위 노드(40)는, 예를 들면, BS(30) 및 Home-NB(10)로부터 각종 설 정 정보 등을 수집하고, 다른 BS(30), 다른 Home-NB(10)에 상기 설정 정보를 통지할 수도 있다.
Home-NB(제2 무선 기지국)(10)는, 무선 서비스 에리어(200)에 무선 신호를 송신한다. 이 Home-NB(10)는, 예를 들면, LAN이나 ADSL, 광 파이버를 이용하여 상위 노드(40)와 접속되고, 상위 노드(40)와 제어 신호나 유저 데이터 등의 신호의 송수신을 행할 수 있다. 또한, Home-NB(10)는, 예를 들면, BS(30)로부터의 전파가 도달하지 않거나 도달하기 어려운 에리어(지하도, 옥내 등의 전파 불감대)에 배치함으로써, 무선 서비스 에리어(100)를 보완, 확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UE(20-2)가 BS(30)의 무선 서비스 에리어(100)의 전파 불감대에 위치하고 있어도, Home-NB(10)의 무선 서비스 에리어(200) 내에 위치하고 있으면, BS(30)로부터 제공되는 통신 서비스와 마찬가지의 통신 서비스를 향수할 수 있다.
그런데, 본 예의 BS(30) 및 Home-NB(10)는, DL의 공통 제어 채널의 일례로서, Broadcast Channel(BCH, 통지 채널) 및 Paging Channel(PCH, 페이징 채널)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이용하여, UE(20) 앞으로 각종 제어 정보를 동보할 수 있다.
상기 BCH는, UE(20)가 무선 서비스 에리어(100 또는 200)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나, 시스템 고유의 정보를 UE(20) 앞으로 통지하는 것에 이용되는 제어 채널이며, PCH는, 각 무선 서비스 에리어(100, 200) 내의 UE(20) 앞으로, 동일한 정보를 통지하는 것에 이용되는 제어 채널이다.
BS(30) 및 Home-NB(10)는, UE(20) 앞의 상기 공통 제어 채널의 신호(이하, ' 공통 제어 신호' 혹은 '제어 신호'라고도 함)를 소정의 부호화율로 부호화한 후, 소정의 송신 전력으로 UE(20) 앞으로 송신한다. 또한, 부호화율이란, 「부호화하기 전의 데이터의 비트수」에 대한 「부호화 후의 비트수」의 비(비율)를 말한다.
여기에서, 도 1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어떤 무선 단말기(20-1)가 BS(30)로부터 떨어진 장소이고, 또한, Home-NB(10)의 무선 서비스 에리어(200)에 가까운 장소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 그 위치에서는, BS(30)로부터의 송신 전력보다도 Home-NB(10)로부터의 송신 전력 쪽이 커지기 쉽다. 그 경우, Home-NB(10)로부터 UE(20-2) 앞으로 송신되는 공통 제어 신호가, BS(30)로부터 UE(20-1) 앞으로 송신되는 공통 제어 신호의 간섭으로 되기 쉽다. 또한, BS(30)로부터 송신되는 공통 제어 신호(BCH/PCH 신호)는 제1 신호의 일례이며, Home-NB(10)로부터 송신되는 공통 제어 신호(BCH/PCH 신호)는, 상기 제1 신호와 공통되는 제2 신호의 일례이다.
BS(30)의 무선 서비스 에리어(100) 내에 위치하는 모든 UE(20)가 Home-NB(10)의 무선 서비스 에리어(200) 내에 위치하고 있으며, 각 UE(20)가 Home-NB(10)와 통신할 수도 있지만, 드문 케이스라고 생각된다. Home-NB(10)에 동시에 접속 가능한 UE(20)의 수에도 한계가 있기 때문에, Home-NB(10)의 무선 서비스 에리어(200) 내에 위치하고 있어도 Home-NB(10)에 접속할 수 없는 UE(20)가 존재하는 것이 일반적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와 같은 경우, Home-NB(10)에 접속할 수 없는 UE(20)는, BS(30)로부터 송신되는 공통 제어 신호의 수신을 시행할 수 있지만, Home-NB(10)의 송신 전파가 간섭으로 되어, 수신 실패율이 높아지기 쉬워진다.
따라서, 본 예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BS(30)가, 무선 서비스 에리 어(100)에서 제어 신호를 제1 부호화율로 부호화하고, 제1 송신 전력으로 UE(20-1)에 송신하는 한편, Home-NB(10)는, 무선 서비스 에리어(200)에서 제어 신호를 상기 제1 부호화율보다도 작은 제2 부호화율로 부호화하고, 상기 제1 송신 전력보다도 낮은 송신 전력으로 UE(20-2)에 송신한다.
이것에 의해, Home-NB(10)로부터 송신되는 제어 신호는, BS(30)로부터 송신되는 제어 신호의 송신 전력보다도 낮은 전력으로 송신되지만, 부호화율이 BS(30)보다도 작기 때문에, 오류 내성은 향상된다. 환언하면, Home-NB(10)(무선 서비스 에리어(200))에서의 제어 신호의 부호화율을 내림(즉, 송신 레이트를 내림)으로써, UE(20)가 제어 신호를 적절하게 수신하는 것에 필요한 송신 전력을 내릴 수 있다.
따라서, Home-NB(10)의 무선 서비스 에리어(200)에서의 수신 특성의 열화를 억제하면서, Home-NB(10)로부터 송신되는 제어 신호가 BS(30)로부터 송신되는 제어 신호의 간섭으로 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BS(30)의 무선 서비스 에리어(100) 내에, 해당 BS(30)에서 이용하는 부호화율과는 상이한(작은) 부호화율을 이용하는 Home-NB(10)가 존재하는 경우, 그 Home-NB(10)의 무선 서비스 에리어(200)에 있어서 송신되는 제어 신호를 UE(20)가 바람직하게 수신, 복호하기 위해서는, Home-NB(10)에서 제어 신호의 부호화에 이용하고 있는 부호화율을 어떠한 수단에 의해 아는 것이 바람직하다.
Home-NB(10)에서 이용하는 부호화율이 어느 쪽의 Home-NB(10)에서도 동일하다고 하면, 미리 UE(20)에 그 부호화율에 관한 정보를 갖게 해 둘 수 있다. 그렇 지 않으면, BS(30)로부터 UE(20)에 대하여 Home-NB(10)의 존재와 그 Home-NB(10)에서 이용하는 부호화율을 통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Home-NB(10)의 존재와 그 Home-NB(10)에서 이용하는 부호화율을, 통지 채널 등을 이용하여, BS(30)의 무선 서비스 에리어(100)에 동보할 수 있다.
혹은, BS(30)와 Home-NB(10)에서 부호화율에 따른 셀 서치(동기 검출) 방법(셀 서치에 이용하는 기지 신호 패턴이 송신되는 채널)을 각각 규정해 놓고, UE(20)에서 이 규정된 복수 종류의 셀 서치를 행한다. 이에 의해, 셀 서치의 단계에서 UE(20)에 각 무선 서비스 에리어(100, 200)에서의 DL의 제어 신호의 부호화율을 인식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혹은, 셀 서치용의 채널(기지 신호 패턴)은, BS(30) 및 Home-NB(10)에서 이용하는 부호화율에 따르지 않고 공통으로 하며, 다단계 셀 서치의 제2 단계의 처리에서 이용되는 코드 패턴에 1 비트 이상의 속성 정보(BS(30)인지 Home-NB(10)인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부여한다. 이것에 의해, UE(20)는, 다단계 셀 서치의 과정에서, BS(30)가 송신한 제어 신호(제1 부호화율)인지 Home-NB(10)가 송신한 제어 신호(제2 부호화율)인지를 식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2〕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체예에 대하여
이하, 전술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상세한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2. 1> 일 실시예
<2. 1. 1> BS(30)에 대하여
도 2는, BS(30)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 도 2에 도시한 BS(30) 는, 예시적으로, 정보 수집부(31)와, BCH 생성부(32)와, 부호화부(33, 34)와, 다중화부(35)와, 변조부(36)와, 증폭부(37) 및 송신 안테나(38)를 갖는다.
정보 수집부(31)는, BS(30)의 무선 서비스 에리어(100) 내에 위치하는 Home-NB(10)에 관한 각종 정보를 수집한다. 예를 들면, 본 예의 정보 수집부(31)는, 상위 노드(40)와 통신하여 상위 노드(40)로부터 Home-NB(10)의 위치에 관한 정보(무선 서비스 에리어(100) 내에 Home-NB(10)가 존재하는지의 여부 등의 존재 유무 정보) 및 Home-NB(10)에서의 부호화율(제2 부호화율)을 나타내는 정보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수집부(31)는, 무선 서비스 에리어(100) 내의 Home-NB(10)와 통신하여 직접적으로 Home-NB(10)로부터 상기의 정보를 수집할 수도 있다.
BCH 생성부(32)는, 정보 수집부(31)에서 수집한 상기 정보를 포함하는 BCH 신호를 생성한다.
부호화부(33)는, BCH 생성부(31)에서 생성된, 무선 서비스 에리어(100)에 송신하는 BCH 신호를 소정의 부호화 방식(예를 들면, 터보 부호화 방식, 컨볼루션 부호화 방식 등)에 의해 부호화한다. 이 부호화부(33)는, 예시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미리 규정되는 절반 고정치의 BCH용 부호화율 파라미터(제1 부호화율)로, 상기 BCH 신호를 부호화한다.
또한, 부호화부(34)는, 무선 서비스 에리어(100)에 송신하는 PCH 신호를 소정의 부호화 방식(예를 들면, 터보 부호화 방식, 컨볼루션 부호화 방식 등)에 의해 부호화한다. 이 부호화부(34)도, 예시적으로, 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미리 규정 되는 절반 고정치의 PCH용 부호화율 파라미터(제1 부호화율)로, 상기 PCH 신호를 부호화한다.
즉, 부호화부(33 및 34)는, 복수의 UE(20) 앞의 공통의 제어 신호(BCH 신호, PCH 신호 등)를, 제1 부호화율로 부호화하는 제1 부호화 처리부로서 기능한다.
다중화부(35)는, 부호화부(33, 34)에 의해 제1 부호화율로 부호화된 BCH 신호 및 PCH 신호를 다중화한다. 상기 다중화에는, 예시적으로, 시분할 다중, 주파수 분할 다중, 부호 분할 다중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이용할 수 있다.
변조부(36)는, 다중화부(35)에서 다중된 제어 신호를, 소정의 변조 방식〔예를 들면, PSK(Phase Shift Keying)나, 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등〕에 의해 변조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또한, 변조 신호를 DA 변환하는 DA 변환기나, 무선 주파수로 주파수 변환(업컨버젼)하는 주파수 변환기 등의 송신 처리에 관한 일부의 블록에 대해서는 도 2에서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증폭부(37)는, 변조부(36)에서 변조된 신호를 소정의 송신 전력(제1 송신 전력)으로 증폭한다. 또한, 상기 제1 송신 전력도,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미리 규정되는 절반 고정의 값으로 할 수 있다.
송신 안테나(38)는, 증폭부(37)에 의해 증폭된 무선 신호를 무선 서비스 에리어(100)에 송신한다.
즉, 부호화부(33, 34), 다중화부(35), 변조부(36), 증폭부 및 송신 안테나(38)는, 제1 신호를, 제1 부호화율로 부호화하여 제1 송신 전력으로 상기 제1 무 선 에리어에 송신하는 제1 송신 수단의 일례로서 기능한다.
전술한 BS(30)의 동작예에 대하여 설명하면, 도 5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정보 수집부(31)가, 자국(30)의 무선 서비스 에리어(100) 내에 위치하는 Home-NB(10)에 관한 정보를 수집한다(스텝 S1).
그리고, BCH 생성부(32)가, 스텝 S1에서 수집한 정보를 포함하는 BCH 신호를 생성한다(스텝 S2). 이 BCH 신호는, 부호화부(33)에 의해 제1 부호화율로 부호화된 후, 다중화부(35), 변조부(36) 및 증폭부(37)에서 각각 다중, 변조, 증폭 처리를 받아서, UE(20) 앞으로 상기 제1 송신 전력으로 송신된다(스텝 S3).
또한, 상기한 제1 부호화율 및 제1 송신 전력은, 시스템에서 규정되는 절반 고정의 값이면, UE(20) 및 Home-NB(10)에 대해서도 기지이다.
또한, Home-NB(10)의 부호화 처리에서 이용되는 후술의 제2 부호화율에 대해서는, BS(30)가, 상위 노드(40) 또는 Home-NB(10)로부터 정보 수집하고, BCH 신호에 의해 UE(20) 앞으로 통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UE(20)는, 상기 제2 부호화율의 값을 알 수 있다.
<2. 1. 2> Home-NB(10)에 대하여
한편, 도 3은, Home-NB(10)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 도 3에 도시한 Home-NB(10)는, 예시적으로, 부호화부(11, 12)와, 다중화부(13)와, 변조부(14)와, 증폭부(15)와, 제어부(16)와, 서비스 에리어 판정부(17)와, 설치 보고부(18) 및 송신 안테나(19)를 갖는다.
여기에서, 부호화부(11)는, 무선 서비스 에리어(200)에 송신하는 BCH 신호를 소정의 부호화 방식(예를 들면, 터보 부호화 방식, 컨볼루션 부호화 방식 등)으로 부호화한다.
부호화부(12)는, 무선 서비스 에리어(100)에 송신하는 PCH 신호를 소정의 부호화 방식(예를 들면, 터보 부호화 방식, 컨볼루션 부호화 방식 등)으로 부호화한다.
이들 부호화부(11, 12)에서의 부호화율(파라미터)은, 예를 들면, 제어부(16)로부터 부여된다. 즉, 부호화부(11)에는 BCH용 부호화율 파라미터가, 부호화부(12)에는 PCH용 부호화율 파라미터가, 각각 제어부(16)로부터 부여된다. 여기에서, 이들 각 부호화율 파라미터(제2 부호화율)는, 예를 들면, BS(30)에서의 상기 부호화율보다도 작은 값으로 설정된다.
즉, 부호화부(11 및 12)는, 복수의 UE(20) 앞의 제어 신호(BCH 신호, PCH 신호 등)를, 상기 제1 부호화율보다도 작은 제2 부호화율로 부호화하는 부호화 처리부로서 기능한다. 제2 부호화율은, 상기 제1 부호화율보다도 작은 값이므로, 제2 부호화율로 부호화 처리가 실시된 데이터는, 제1 부호화율로 부호화 처리가 실시된 데이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오류 내성을 갖게 된다.
다중화부(13)는, 각 부호화부(11, 12)에서 부호화된 제어 신호를 다중화한다. 상기 다중화에 대해서도, 예시적으로, 시분할 다중, 주파수 분할 다중, 부호 분할 다중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이용할 수 있다.
변조부(14)는, 다중화부(13)에서 다중된 제어 신호를, 소정의 변조 방식(예를 들면, PSK나, QAM 등)에 의해 변조한다. 또한, 변조 신호를 DA 변환하는 DA 변 환기나, 무선 주파수로 주파수 변환(업커버젼)하는 주파수 변환기 등의 송신 처리에 관한 일부 블록에 대해서는 도 3에서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증폭부(송신 처리부)(15)는, 변조부(14)에서 변조된 신호를 소정의 송신 전력(제2 송신 전력)으로 증폭한다. 이 증폭부(15)의 증폭율은, 예를 들면 제어부(16)로부터 부여되는 전력 제어 파라미터에 의해 제어할 수 있다. 이 전력 제어 파라미터의 설정에 의해, 상기 제2 송신 전력은, 예를 들면, BS(30)로부터의 제어 신호의 송신 전력보다도 낮은 송신 전력으로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Home-NB(10)로부터 송신되는 제어 신호(BCH 신호, PCH 신호 등)가, BS(30)로부터 송신되는 제어 신호에 대한 간섭으로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송신 안테나(19)는, 증폭부(15)에 의해 증폭된 무선 신호를 무선 서비스 에리어(200)에 송신한다.
제어부(16)는, 전술한 바와 같이 부호화율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부호화부(11, 12)에서의 부호화율(파라미터)을 제어하는 한편,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증폭부(15)의 증폭율(즉, 제어 신호의 송신 전력)을 제어한다.
서비스 에리어 판정부(17)는, 자국(Home-NB)(10)이 BS(30)의 무선 서비스 에리어(100) 내에 위치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그 판정 방법의 일례로서는, BS(30)로부터 송신되는, BS(30)마다 서로 다른 패턴의 기지 신호의 수신 신호 강도(예를 들면,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SIR)를 측정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예시적으로, UE(20)가 갖는 후술의 셀 서치와 마찬가지로, 자국(Home-NB)(10)이 재권하는 무선 서비스 에리어를 자율적으로 검지함으로써, 상기 판정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BS(30)로부터 통지되는 기지국 정보(BS(30)의 위치 정보나 무선 서비스 에리어(100)에 관한 정보 등) 및 global positioning system(GPS)에 의해 계측 가능한 자국(10)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판정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설치 보고부(18)는, 상기 서비스 에리어 판정부(17)에서의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자국(Home-NB)(10)의 위치 정보(존재 유무 정보), 또는, 부호화부(11 및 12)에서 이용하는 상기 제2 부호화율을 나타내는 정보, 혹은 그들 쌍방을 BS(30) 또는 상위 노드(40)에 보고(통지)한다.
즉, 부호화부(11, 12), 다중화부(13), 변조부(14), 증폭부(15), 제어부(16) 및 송신 안테나(19)는, 상기 제1 신호와 공통되는 제2 신호를, 제2 부호화율로 부호화하여 제2 송신 전력으로 상기 제2 무선 에리어에 송신하는 제2 송신 수단의 일례로서 기능한다.
이것에 의해, BS(30)는, 직접, 혹은, 상위 노드(40) 경유로 Home-NB(10)로부터 보고된 자국(30)의 무선 서비스 에리어(100) 내의 Home-NB(10)의 존재와, 그 Home-NB(10)에서 이용하는 부호화율을 파악하여, 그들 정보를 무선 서비스 에리어(100)에 재권하는 UE(20)에 대하여 통지(예를 들면, 동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2. 1. 3> UE(20)에 대하여
다음으로, 도 4를 이용하여 UE(20)의 구성예를 설명한다. 이 도 4에 도시한 UE(20)는, 예시적으로, 수신 안테나(28)와, 복조부(21)와, 분리부(22)와, 셀 서치 부(23)와, 복호화부(24, 25)와, BCH/PCH 부호화율 결정부(26) 및 파라미터 절환부(27)를 갖는다.
여기에서, 수신 안테나(28)는, BS(30)로부터 송신된 무선 신호 또는 Home-NB(10)로부터 송신된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인터페이스이다.
복조부(수신부)(21)는, 수신 안테나(28)에서 수신한 BS(30) 또는 Home-NB(10)로부터의 무선 신호를, 송신측(BS(30) 또는 Home-NB(10))에서의 변조 방식에 대응한 복조 방식으로 복조한다.
분리부(22)는, 복조부(21)에 의해 복조된 무선 신호로부터 제어 신호의 일례로서의 BCH 신호 및 PCH 신호를 분리(즉, 채널 분리)한다. 본 예의 분리부(22)는, 예를 들면, BS(30)의 다중화부(35), 또는, Home-NB(10)의 다중화부(13)에서의 다중화 방식에 대응하는 분리 방식으로 신호 분리를 행함으로써, 상기 BCH 신호 및 PCH 신호를 분리한다.
셀 서치부(제1 셀 서치부)(23)는, 복조부(21)의 복조 신호를 기초로, BS(30)의 무선 서비스 에리어(100) 또는 Home-NB(10)의 무선 서비스 에리어(200)를 검색(셀 서치)하여, BS(30) 또는 Home-NB(10)로부터 수신되는 DL의 무선 신호와의 동기(프레임 동기)를 확립한다. 이 셀 서치에는, 예를 들면, BS(30) 또는 Home-NB(10)로부터 주기적으로 통지되는 기지 신호(예를 들면, 공통 파일럿 신호 등)를 이용할 수 있다.
기지 신호는, BS(30) 또는 Home-NB(10)마다 서로 다른 패턴의 신호로 할 수 있고, UE(20)는, 미리 복수 종류의 패턴 신호(레플리카)를 기억해 놓고, 이들 패턴 중 수신 품질(예를 들면, 수신 레벨)이 바람직하거나 혹은 최적인 것을 통신처의 BS(30) 또는 Home-NB(10)로서 선택할 수 있다.
여기에서, 기지 신호의 패턴을, 예를 들면, BS(30) 및 Home-NB(10)에서의 상기 부호화율의 상위에 따른 패턴으로 하여 둠으로써, 상기 셀 서치에 의해 수신 품질이 바람직하거나 혹은 최적인 통신처의 선택(검출)과 함께, 그 통신처에서 이용하는 부호화율을 식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BS(30)로부터 Home-NB(10)의 위치나 부호화율에 관한 정보를 UE(20)에 통지하지 않아도 된다. 해당 통지는, 상기 셀 서치와 더불어 행하는 것으로 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 부호화율의 식별은, 상기 셀 서치가 아니며, 상기 통지에 의해 행하는 것으로 하여도 된다.
BS(30)가 상기 통지를 행하는 경우에는, 그 통지 정보(부호화율 파라미터)는, 예를 들면, BCH 신호에 포함시킬 수 있다. 이 경우, UE(20)는, 복호화부(24)에서 복호된 BCH 신호로부터 BS(30)에서의 상기 부호화율(파라미터)을 검출할 수 있고, 검출한 부호화율 파라미터를 BCH/PCH 부호화율 결정부(26)에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BCH/PCH 부호화율 결정부(26)는, BS(30) 및 Home-NB(10)로부터의 제어 신호(BCH 신호, PCH 신호)를 복호화부(24, 25)에서 복호화할 때에 참조하는 부호화율(파라미터)을 결정(선택)한다. 여기서 결정(선택)되는 부호화율은, 예를 들면, 상기 셀 서치부(23)(또는, 복호화부(24))에 의해 검출된 부호화율(파라미터)이다.
즉, UE(20)가 BS(30)의 무선 서비스 에리어(100)에 재권하는 경우에는, BS(30)에서의 상기 제1 부호화율(BCH/PCH용 부호화율 파라미터)이 선택된다.
한편, UE(20)가 Home-NB(10)의 무선 서비스 에리어(200)에 재권하는 경우에는, Home-NB(10)에서의 상기 제2 부호화율(BCH/PCH용 부호화율 파라미터)이 선택된다.
또한, 선택된 BCH/PCH용 부호화율(파라미터)은, 파라미터 절환부(27)에 부여된다.
파라미터 절환부(27)는, 상기 BCH/PCH 부호화율 결정부(26)로부터 부여된 BCH/PCH용 부호화율 파라미터를 각각 대응하는 복호화부(24, 25)에 부여하여, 복호화부(24, 25)에서 이용하는 부호화율을 갱신한다(절환한다).
복호화부(24)는, 분리부(22)에서 분리된 BCH 신호를, 송신측(BS(30) 또는 Home-NB(10))에서의 부호화 방식에 대응하는 복호화 방식 및 파라미터 절환부(27)로부터 부여된 BCH용 부호화율 파라미터에 따른 복호화를 행한다.
또한, 복호화부(25)는, 분리부(22)에서 분리된 PCH 신호를, 송신측 (BS(30) 또는 Home-NB(10))에서의 부호화 방식에 대응하는 복호화 방식 및 파라미터 절환부(27)로부터 부여된 PCH용 부호화율 파라미터에 따른 복호화를 행한다.
즉, UE(20)가 Home-NB(10)의 무선 서비스 에리어(200)에 재권하여 상기 셀 서치에 의해 Home-NB(10)를 통신처로서 선택한 경우, 복호화부(24 및 25)는, 복조부(21)에서 복조된 수신 제어 신호(BCH 신호, PCH 신호 등)를, BS(30)에서의 상기 제1 부호화율보다도 작은 제2 부호화율에 따른 복호화를 행하는 복호화 처리부로서 기능한다.
전술한 UE(20)의 동작예에 대하여, 도 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단, 도 6은, Home-NB(10)의 부호화율에 관한 정보(부호화율 파라미터)가 BS(30)로부터 통지되는 케이스에 대하여 예시하고 있다.
즉, UE(20)는, BS(30)가 송신하는 제어 신호(BCH 신호, PCH 신호)를 수신, 복호할 수 있도록, 우선, 복호화부(24, 25)에서 이용하는 BCH/PCH용 부호화율을 기지의 BCH/PCH용 부호화율(제1 부호화율)로 설정한다(스텝 S4).
그 후, UE(20)는, BS(30)로부터 송신된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스텝 S5), 복호화부(24, 25)에서 수신 제어 신호를 상기 제1 부호화율에 따른 복호화를 행한다. 복호한 BCH 신호에는, 예시적으로, Home-NB(10)의 위치 정보와, Home-NB(10)에서 이용하는 BCH/PCH용 부호화율(제2 부호화율)에 관한 정보(파라미터)가 포함되어 있다. 이들 정보는, BCH/PCH 부호화율 결정부(26)에 부여된다(스텝 S6).
그리고, BCH/PCH 부호화율 결정부(26)는, 부여된 상기 Home-NB(10)의 위치 정보로부터 자국(20)이 Home-NB(10)의 무선 서비스 에리어(200)에 재권하고 있는지를 판단한다. 재권하고 있으면, BCH/PCH 부호화율 결정부(26)는, 상기 수신 BCH 신호로부터 얻어진 제2 부호화율(파라미터)을, 파라미터 절환부(27)를 통하여 복호화부(24, 25)에 설정한다. 이것에 의해, 복호화부(24, 25)의 부호화율 파라미터가 갱신되고, 이후, UE(20)는, Home-NB(10)로부터 상기 제2 부호화율로 부호화되어 송신되는 제어 신호(BCH 신호, PCH 신호)를 적절하게 복호하는 것이 가능한 상태로 된다. 또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셀 서치부(23)에 의한 셀 서치의 단계에서 Home-NB(10)에서의 제어 신호의 부호화율(파라미터)을 동정하는 경우에는, 동정한 부호화율 파라미터를 BCH/PCH 부호화율 결정부(26)에 부여하면 된다.
그 후, UE(20)는, Home-NB(10)에서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복호화부(24, 25)에서 상기 제2 부호화율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수신 제어 신호의 복호를 행한다(스텝 S7).
이상과 같이, 본 예의 UE(20)는, Home-NB(10)로부터 송신되는 제어 신호의 부호화율(제2 부호화율)을, BS(30)로부터 통지를 받음으로써 알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본 예의 UE(20)는, 제1 부호화율로 부호화된, BS(30)로부터의 제어 신호 및 제2 부호화율로 부호화된, Home-NB(10)로부터의 제어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수신하여도, 각각의 제어 신호를 적절하게 복호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2. 2>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작예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예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 의하면, BS(30)는, 무선 서비스 에리어(100)에 재권하는 UE(20-1) 앞의 제어 신호(BCH 신호, PCH 신호 등)를, 제1 부호화율로 부호화하고, 제1 송신 전력으로 UE(20-1) 앞으로 송신한다. 한편, Home-NB(10)는, 무선 서비스 에리어(200)에 재권하는 UE(20-2) 앞의 제어 신호(BCH 신호, PCH 신호 등)를, BS(30)에서의 제1 부호화율보다도 작은(즉, 오류 내성이 높은) 제2 부호화율로 부호화하고, BS(30)에서의 제1 송신 전력보다도 낮은 제2 송신 전력으로 UE(20-2) 앞으로 송신한다.
이것에 의해, Home-NB(10)로부터 송신되는 제어 신호가, BS(30)로부터 송신되는 제어 신호의 간섭으로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Home-NB(10)로부터 송신되는 제어 신호의 부호화율을, BS(30)로부터 송신되는 제어 신호의 부호화율보 다도 작게 하여 전송 레이트를 내리므로(오류 내성을 올리므로), Home-NB(10)로부터 송신되는 제어 신호의 송신 전력을 BS(30)로부터 송신되는 제어 신호의 송신 전력보다도 내리는 것으로 하여도, UE(20)에서의 수신 품질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한편, UE(20)에서는, BS(30)의 무선 서비스 에리어(100)에 재권하여 BS(30)에 접속하는 경우에는, 기지의 부호화율 파라미터를 기초로 BS(30)로부터 수신한 제어 신호의 복호를 행한다. 또한, UE(20)는, Home-NB(10)의 무선 서비스 에리어(200)에 재권하여 해당 Home-NB(10)에 접속하는 경우에는, BS(30)로부터 통지된 Home-NB(10)에서의 부호화율 파라미터를 기초로 Home-NB(10)로부터 수신한 제어 신호의 복호를 행한다. 이와 같이, UE(20)는, BS(30)로부터의 통지 정보를 기초로, 재권하는 무선 서비스 에리어(100, 200)에 바람직한 부호화율 파라미터를 적응적으로 선택하여, 제어 신호의 복호를 바람직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3〕제1 변형예
전술한 셀 서치부(23)에는, 제2 셀 서치부의 일례로서, 보다 고속의 셀 서치의 실현을 목적으로 하여, 다단계 셀 서치(예를 들면, 3단계 셀 서치)를 적용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3단계 셀 서치에서는, 이하의 처리 1 내지 3이 실시된다.
처리 1: 프라이머리 동기 채널의 검출 및 슬롯 타이밍의 동기
처리 2: 세컨더리 동기 채널의 검출 및 스크럼블링 코드의 코드 그룹의 동정
처리 3: 스크럼블링 코드의 동정
이아 같은 3단계 셀 서치에서는, 복수 종류의 코드(패턴)가 이용된다. 예를 들면, 제1 단계의 처리 1에서는, 프라이머리 동기 코드, 제2 단계의 처리 2에서는 세컨더리 동기 코드, 제3 단계의 처리 3에서는 스크럼블링 코드가 각각 이용된다.
프라이머리 동기 코드는, 무선 서비스 에리어(100, 200)에 공통인 코드 패턴을 갖는다. 이것은, 셀 서치용의 동기 채널이, 무선 서비스 에리어(100, 200)에 공통인 것으로서 설정되는 것을 의미한다. 스크럼블링 코드는, 예시적으로, 512종류 준비되고, 복수(예를 들면, 8코드씩의 64종류)의 코드 그룹으로 그룹화된다. 세컨더리 동기 코드는, 예시적으로, 16 종류 준비되고, 이 16종류의 코드의 슬롯 할당 패턴의 상위에 따라, 상기 64종류의 스크럼블링 코드의 코드 그룹을 표시할 수 있다.
즉, 제1 단계의 처리 1에서 프라이머리 동기 코드를 이용한 상관 처리에 의해 슬롯 타이밍의 동기가 검출되면, 세컨더리 동기 코드를 이용한 상관 처리를 행함으로써, 그 슬롯 타이밍에 동기하여 할당되어 있는 슬롯 할당 패턴, 즉, 코드 그룹의 동정이 가능하게 된다. 제3 단계의 처리 3에서는, 스크럼블링 코드를 이용한 상관 처리에 의해, 이와 같이 동정된 코드 그룹에 속하는 스크럼블링 코드의 검출을 행한다.
여기에서, 제2 단계의 처리 2에서 이용하는 16종류의 세컨더리 동기 코드를, BS(30)의 제어 신호의 부호화율(파라미터) 및 Home-NB(10)의 제어 신호의 부호화율(파라미터) 별로 그루핑하여 할당하는 것으로 하면, UE(20)는, 3단계 셀 서치의 제2 단계의 처리 2에서, BS(30)의 무선 서비스 에리어(100) 및 Home-NB(10)의 무선 서비스 에리어(200)에서 이용되는 제어 신호의 부호화율을 식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예시적으로, BS(30) 및 Home-NB(10)에서의 부호화율(파라미터)이 고정인 것으로 하면, 송신원(BS(30)이거나 Home-NB(10)) 별로 세컨더리 동기 코드의 할당을 그루핑함으로써, 각각이 송신하는 제어 신호의 부호화율을 식별할 수 있게 된다.
일례를 도 7에 나타낸다. 이 도 7에서는, 예시적으로, 16종류의 세컨더리 동기 코드 #0~#15 중, 코드 그룹 번호 #0~#9의 세컨더리 동기 코드는, BS(30)에, 코드 그룹 번호 #10~#15의 세컨더리 동기 코드는, Home-NB(10)에 할당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이것은, 세컨더리 동기 코드의 코드 그룹의 송신원별 그루핑에 의한 1비트 정보(속성 정보)가, 무선 서비스 에리어(100, 200)에 공통인 동기 채널에 부여되어 있는 것과 등가이다.
셀 서치부(제2 셀 서치부)(23)는, 상기의 프라이머리 동기 코드, 세컨더리 동기 코드, 스크럼블링 코드를 보유하고, 제2 단계의 처리 2에서, 세컨더리 동기 코드를 이용한 상관 처리를 행함으로써, 코드 그룹의 동정과 함께, 통신처가 BS(30)인지 Home-NB(10)인지를 식별하여 각각의 제어 신호의 부호화율(파라미터)을 식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식별된 부호화율 파라미터는, BCH/PCH 부호화율 결정부(26)에 부여되고, BCH/PCH 부호화율 결정부(26)는, 파라미터 절환부(27)를 통하여, 부여된 부호화율 파라미터를 복호화부(24, 25)에 설정한다.
이것에 의해, UE(20)는, 통신처(BS(30)이거나 Home-NB(10))에 따른 부호화율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해당 통신처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적절하게 수신, 복호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UE(20)는, 전술한 실시 형태에 비하여, 보다 고속의 부호화율(파라미터)의 식별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전술한 예에서는, 세컨더리 동기 코드의 코드 그룹을 제어 신호의 송신원별로 그루핑하여 할당하는 것으로 하고 있지만, 제어 신호의 부호화율별로 그루핑하여 할당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속성 정보로서 세컨더리 동기 코드(코드 그룹)에 부여되는 것은 2비트 이상의 정보인 경우도 있다.
〔4〕제2 변형예
전술한 바와 같이 Home-NB(10)로부터 송신하는 제어 신호의 부호화율을 BS(30)로부터 송신하는 제어 신호의 부호화율보다도 내리는(저레이트화하는) 경우, Home-NB(10)로부터 송신하는 제어 신호쪽이 BS(30)로부터 송신하는 제어 신호보다도 정보량(비트수)이 증가한다. Home-NB(10)에서는, 이 비트수가 증가한 제어 신호를 도 3에 예시한 변조부(14)에서 변조 신호로서 맵핑하게 된다.
그 때문에, 변조부(14)에서는, 단위 시간당 맵핑할 수 있는 비트수를 증가시키고자 한다. 그것을 위해서는, 다치 변조 방식의 다치도를 높이는 것이 고려되지만, 높은 Signal to Interference Ratio(SIR, 신호 대 잡음비)가 요구되게 된다. 그 경우, UE(20)에서의 수신 품질 보증을 위해서, Home-NB(10)는, 송신 전력을 증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 송신 전력의 증가는, Home-NB(10)의 송신 전력을 줄여서 간섭을 억제한다고 하는 본래의 목적에 반하게 된다.
따라서, 부호화부(11, 12)에 의한 부호화 전의 제어 신호의 정보 비트수를 줄이는 것도 생각된다. Home-NB(10)는, 어떤 의미에서는 고립한 셀이기 때문에, 예를 들면 BCH 신호에 포함시키는 주변 셀 정보 등을 삭제함으로써, BCH 신호의 정보 비트수를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혹은, 단위 시간을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이용하는 기본 프레임 시간보다도 길게 함(예를 들면, 정수배로 함)으로써, 변조 신호로서 맵핑 가능한 비트수를 증가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위 시간을 1프레임 시간으로부터 4프레임 시간으로 늘리면, 1프레임당 10비트의 정보를 변조 신호에 맵핑할 수 있는 경우, 4배의 40비트를 변조 신호에 맵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Home-NB(10)는, BS(30)에서의 제어 신호의 부호화율보다도 낮은 부호화율로 제어 신호를 부호화함에 따른 비트수의 증가분을, 변조 방식의 다치도나 기본 프레임의 포맷을 변경하지 않고, 또한, 송신 전력을 증가하지 않고, UE(20) 앞으로 송신할 수 있다.
이 경우, UE(20)에서 적절한 복조 처리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단위 시간이 기본 프레임과는 다른 것을 UE(20)에 통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프레임 길이에 관한 정보를 Home-NB(10)로부터 무선 서비스 에리어(200)에 재권하는 UE(20)에 통지할 수 있다. 그 통지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BS(30)로부터 Home-NB(10)로 통지하는 정보(부호화율 등)의 부수 정보로서, 혹은 개별 정보로서, 통지할 수 있다.
또한, 이미 설명한 셀 서치의 과정에서 부호화율을 동정한 것과 마찬가지로 하여 프레임 길이에 관한 정보를 동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BS(30)와 Home-NB(10)에서 송신 프레임 길이에 따른 셀 서치(동기 검출) 방법(셀 서치에 이용하는 기지 신호 패턴이 송신되는 채널)을 각각 규정해 놓고, UE(20)에서 이 규정된 복수 종류의 셀 서치를 행함으로써, 상기 프레임 길이의 동정이 가능하다. 또한, 3단계 셀 서치의 제2 단계의 처리에 이용되는 세컨더리 동기 코드의 코드 그룹을, BS(30) 및 Home-NB(10)의 프레임 길이별로 그루핑하여 할당함으로써, 3단계 셀 서치의 제2 단계의 처리에서 프레임 길이를 동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5〕기타
또한, 전술한 Home-NB(10), UE(20) 및 BS(30)의 각 처리는, 필요에 따라서 취사 선택하여도 되고, 적절히 조합하여도 된다.
또한, 전술한 예 외에도, 제1 및 제2 부호화율을 바꾸지 않고 제2 송신 전력을 제1 송신 전력보다도 낮게 하도록 하여도 된다. 이 때, 제1 및 제2 부호화율이 동일하여도 된다.
또한, 제1 및 제2 송신 전력을 바꾸지 않고 제1 부호화율을 제2 부호화율보다도 작게 하도록 하여도 된다. 이 때, 제1 및 제2 송신 전력이 동일하여도 된다.
또한, 전술한 예에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1대의 BS(30) 및 1대의 Home-NB(10)에 주목하고 있지만, 복수의 BS(30)의 일부 또는 전부, 복수의 Home-NB(10)의 일부 또는 전부에서, 제어 신호의 부호화율, 송신 전력을 바꾸어도 된다.
또한, Home-NB(10)는, 제1 부호화율보다도 작은 복수의 부호화율로부터 소정의 부호화율을 선택함과 함께, 제1 송신 전력보다도 낮은 복수의 송신 전력값으로부터 소정의 송신 전력을 선택하도록 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Home-NB(10)는, BS(30)와 UE(20-1) 사이의 거리 및 Home-NB(10)와 UE(20-1)의 거리 등에 따라서, 부호화율 및 송신 전력을 적응적으로 제어(예를 들면, 거리가 짧을수록 작아지는 방향으로 제어)하여도 된다. 또한, UE(20)에서의 수신 전파 강도에 따라서, 부호화율 및 송신 전력을 적응적으로 제어(예를 들면, 수신 전파 강도가 클수록 작아지는 방향으로 제어)하여도 된다.
이상의 실시예 및 변형예를 포함하는 실시 형태에 관하여, 이하의 부기를 더 개시한다.
〔6〕부기
<부기 1>
제1 무선 기지국과, 제2 무선 기지국과, 상기 제1 혹은 제2 무선 기지국과 통신할 수 있는 무선 단말기를 구비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제1 무선 에리어를 제공하는 상기 제1 무선 기지국은, 상기 제1 무선 에리어에 송신하는 제1 신호를, 제1 부호화율로 부호화하여 제1 송신 전력으로 상기 제1 무선 에리어에 송신하고, 상기 제1 무선 에리어에 속하며, 제2 무선 에리어를 제공하는 상기 제2 무선 기지국은, 상기 제1 신호와 공통되는 제2 신호를, 제2 부호화율로 부호화하여 제2 송신 전력으로 상기 제2 무선 에리어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부기 2>
상기 제2 부호화율은 상기 제1 부호화율보다 작고, 상기 제2 송신 전력은 상기 제1 송신 전력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에 기재된 무선 통신 방법.
<부기 3>
상기 제1 무선 기지국은, 상기 제1 무선 에리어에 속하는 상기 제2 무선 기지국에서 이용하는 상기 제2 부호화율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제1 무선 에리어 내의 무선 단말기에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 또는 부기 2에 기재된 무선 통신 방법.
<부기 4>
상기 통지는, 동보 채널을 이용하여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3에 기재된 무선 통신 방법.
<부기 5>
상기 제1 무선 기지국은, 상기 제1 부호화율에 따른 셀 서치용의 코드 패턴을 상기 제1 무선 에리어에 송신하고, 상기 제2 무선 기지국은, 상기 제2 부호화율에 따른 셀 서치용의 코드 패턴을 상기 제2 무선 에리어에 송신하며, 상기 무선 단말기는, 셀 서치 처리의 과정에서 상기 코드 패턴 중 어느 하나를 검출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 부호화율을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 또는 부기 2에 기재된 무선 통신 방법.
<부기 6>
상기 제1 무선 기지국은, 상기 제1 및 제2 무선 에리어에 공통인 셀 서치용 동기 채널의 신호에, 상기 제1 부호화율에 따른 정보를 부여한 신호를 상기 제1 무선 에리어에 송신하고, 상기 제2 무선 기지국은, 상기 공통의 셀 서치용 동기 채널의 신호에, 상기 제2 부호화율에 따른 정보를 부여한 신호를 상기 제2 무선 에리어 에 송신하며, 상기 무선 단말기는, 상기 셀 서치용 동기 채널의 신호에 부여된 정보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부호화율을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 또는 부기 2에 기재된 무선 통신 방법.
<부기 7>
상기 제2 무선 기지국은, 상기 제2 부호화율로 부호화한 제2 신호를, 상기 제1 부호화율로 부호화한 제1 신호를 송신하는 것에 이용하는 프레임 길이보다도 긴 프레임 길이의 송신 프레임에 맵핑하여, 상기 제2 무선 에리어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 내지 부기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무선 통신 방법.
<부기 8>
제1 무선 에리어를 제공하는 제1 무선 기지국과, 상기 제1 무선 에리어에 속하며 제2 무선 에리어를 제공하는 제2 무선 기지국과, 상기 제1 혹은 제2 무선 기지국과 통신할 수 있는 무선 단말기를 구비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상기 제2 무선 기지국으로서, 상기 제1 무선 기지국이 상기 제1 무선 에리어에 송신하는 제1 신호와 공통하고, 또한, 상기 제2 무선 에리어에 송신하는 제2 신호를, 제2 부호화율로 부호화하는 부호화 처리부와, 상기 부호화 처리부에서 부호화 처리가 실시된 상기 제2 신호를, 제2 송신 전력으로 송신하는 송신 처리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기지국.
<부기 9>
상기 제2 부호화율은 상기 제1 신호에 대한 제1 부호화율보다 작고, 상기 제2 송신 전력은 상기 제1 무선 기지국이 상기 제1 신호를 상기 제1 무선 에리어에 송신하는 제1 송신 전력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8에 기재된 무선 기지국.
<부기 10>
제1 무선 에리어를 제공하는 제1 무선 기지국과, 상기 제1 무선 에리어에 속하며 제2 무선 에리어를 제공하는 제2 무선 기지국과, 상기 제1 혹은 제2 무선 기지국과 통신할 수 있는 무선 단말기를 구비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상기 무선 단말기로서, 상기 제1 무선 기지국이 제1 신호를 제1 부호화율로 부호화하여 제1 송신 전력으로 상기 제1 무선 에리어에 송신한 신호와, 상기 제2 무선 기지국이 상기 제1 신호와 공통되는 제2 신호를, 제2 부호화율로 부호화하여 제2 송신 전력으로 상기 제2 무선 에리어에 송신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수신부와, 상기 제1 무선 에리어에서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한 상기 제1 신호에 대해서는 상기 제1 부호화율에 따른 복호화를 행하고, 상기 제2 무선 에리어에서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한 상기 제2 신호에 대해서는 상기 제2 부호화율에 따른 복호화를 행하는 복호화 처리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
<부기 11>
상기 제2 부호화율은 상기 제1 부호화율보다 작고, 상기 제2 송신 전력은 상기 제1 송신 전력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0에 기재된 무선 단말기.
<부기 12>
상기 수신부는, 상기 제1 무선 기지국이 상기 제1 무선 에리어에 송신한, 상기 제1 부호화율에 따른 셀 서치용의 코드 패턴과, 상기 제2 무선 기지국이 상기 제2 무선 에리어에 송신한, 상기 제2 부호화율에 따른 셀 서치용 코드 패턴 중 어느 하나를 검출하고, 검출한 코드 패턴에 의해 식별되는 상기 제1 또는 제2 부호화율을 상기 복호화 처리부에 공급하는 제1 셀 서치부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0 또는 부기 11에 기재된 무선 단말기.
<부기 13>
상기 수신부는, 상기 제1 무선 기지국이, 상기 제1 무선 에리어에 송신한 상기 제1 및 제2 무선 에리어에 공통인 셀 서치용 동기 채널의 신호로서, 상기 제1 부호화율에 따른 정보가 부여된 신호와, 상기 제2 무선 기지국이, 상기 제2 무선 에리어에 송신한 상기 공통의 셀 서치용 동기 채널의 신호로서, 상기 제2 부호화율에 따른 정보가 부여된 신호 중 어느 하나를 검출하고, 검출한 신호에 부여된 상기 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상기 제1 또는 제2 부호화율을 상기 복호화 처리부에 공급하는 제2 셀 서치부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0 또는 부기 11에 기재된 무선 단말기.
<부기 14>
상기 제1 및 제2 신호는, 각각, 상기 무선 에리어 내의 복수의 무선 단말기 앞으로 공통으로 송신하는 공통 제어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0 내지 부기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무선 단말기.
<부기 15>
제1 무선 에리어를 제공하는 제1 무선 기지국과, 상기 제1 무선 에리어에 속하며 제2 무선 에리어를 제공하는 제2 무선 기지국과, 제1 신호를, 제1 부호화율로 부호화하여 제1 송신 전력으로 상기 제1 무선 에리어에 송신하는 제1 송신 수단과, 상기 제1 신호와 공통되는 제2 신호를, 제2 부호화율로 부호화하여 제2 송신 전력으로 상기 제2 무선 에리어에 송신하는 제2 송신 수단과, 상기 제1 및 제2 신호를 수신하여, 각각의 부호화율에 따른 복호화를 행하는 무선 단말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부기 16>
상기 제2 부호화율은 상기 제1 부호화율보다 작고, 상기 제2 송신 전력은 상기 제1 송신 전력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5에 기재된 무선 통신 시스템.
도 1은 1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BS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Home-NB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도 1에 도시한 UE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5는 도 1에 도시한 BS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1에 도시한 UE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셀 서치에 이용되는 세컨더리 동기 코드의 코드 그룹의 할당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도 1에 도시한 Home-NB의 송신 프레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Home-NB
11, 12: 부호화부
13: 다중화부
14: 변조부
15: 증폭부
16: 제어부
17: 서비스 에리어 판정부
18: 설치 보고부
20-1, 20-2: UE(무선 단말기)
21: 복조부
22: 분리부
23: 셀 서치부
24, 25: 복호화부
26: BCH/PCH 부호화율 검출부
27: 파라미터 절환부
30: BS
31: 정보 수집부
32: BCH 생성부
33, 34: 부호화부
35: 다중화부
36: 변조부
37: 증폭부
40: 상위 노드
100: 제1 무선 서비스 에리어(셀 또는 섹터)
200: 제2 무선 서비스 에리어(셀 또는 섹터)

Claims (10)

  1. 제1 무선 기지국과, 제2 무선 기지국과, 상기 제1 혹은 제2 무선 기지국과 통신 가능한 무선 단말기를 구비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제1 무선 에리어를 제공하는 상기 제1 무선 기지국은,
    상기 제1 무선 에리어에 송신하는 제1 신호를, 제1 부호화율로 부호화하여 제1 송신 전력으로 상기 제1 무선 에리어에 송신하고,
    상기 제1 무선 에리어에 속하며, 제2 무선 에리어를 제공하는 상기 제2 무선 기지국은,
    상기 제1 신호와 공통되는 제2 신호를, 제2 부호화율로 부호화하여 제2 송신 전력으로 상기 제2 무선 에리어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호화율은 상기 제1 부호화율보다 작고, 상기 제2 송신 전력은 상기 제1 송신 전력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기지국은,
    상기 제1 무선 에리어에 속하는 상기 제2 무선 기지국에서 이용하는 상기 제 2 부호화율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제1 무선 에리어 내의 무선 단말기에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는, 동보(broadcast) 채널을 이용하여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기지국은,
    상기 제1 부호화율에 따른 셀 서치용의 코드 패턴을 상기 제1 무선 에리어에 송신하고,
    상기 제2 무선 기지국은,
    상기 제2 부호화율에 따른 셀 서치용의 코드 패턴을 상기 제2 무선 에리어에 송신하고,
    상기 무선 단말기는,
    셀 서치 처리의 과정에서 상기 코드 패턴 중 어느 하나를 검출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 부호화율을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기지국은,
    상기 제1 및 제2 무선 에리어에 공통인 셀 서치용 동기 채널의 신호에, 상기 제1 부호화율에 따른 정보를 부여한 신호를 상기 제1 무선 에리어에 송신하고,
    상기 제2 무선 기지국은,
    상기 공통의 셀 서치용 동기 채널의 신호에, 상기 제2 부호화율에 따른 정보를 부여한 신호를 상기 제2 무선 에리어에 송신하며,
    상기 무선 단말기는,
    상기 셀 서치용 동기 채널의 신호에 부여된 정보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부호화율을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7. 제1 무선 에리어를 제공하는 제1 무선 기지국과, 상기 제1 무선 에리어에 속하며 제2 무선 에리어를 제공하는 제2 무선 기지국과, 상기 제1 혹은 제2 무선 기지국과 통신 가능한 무선 단말기를 구비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상기 제2 무선 기지국으로서,
    상기 제1 무선 기지국이 상기 제1 무선 에리어에 송신하는 제1 신호와 공통하고, 또한, 상기 제2 무선 에리어에 송신하는 제2 신호를, 제2 부호화율로 부호화하는 부호화 처리부와,
    상기 부호화 처리부에서 부호화 처리가 실시된 상기 제2 신호를, 제2 송신 전력으로 송신하는 송신 처리부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기지국.
  8. 제1 무선 에리어를 제공하는 제1 무선 기지국과, 상기 제1 무선 에리어에 속하며 제2 무선 에리어를 제공하는 제2 무선 기지국과, 상기 제1 혹은 제2 무선 기지국과 통신 가능한 무선 단말기를 구비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상기 무선 단말기로서,
    상기 제1 무선 기지국이 제1 신호를 제1 부호화율로 부호화하여 제1 송신 전력으로 상기 제1 무선 에리어에 송신한 신호와, 상기 제2 무선 기지국이 상기 제1 신호와 공통되는 제2 신호를, 제2 부호화율로 부호화하여 제2 송신 전력으로 상기 제2 무선 에리어에 송신한 신호를 수신 가능한 수신부와,
    상기 제1 무선 에리어에서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한 상기 제1 신호에 대해서는 상기 제1 부호화율에 따른 복호화를 행하고, 상기 제2 무선 에리어에서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한 상기 제2 신호에 대해서는 상기 제2 부호화율에 따른 복호화를 행하는 복호화 처리부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제1 무선 기지국이, 상기 제1 무선 에리어에 송신한 상기 제1 및 제2 무선 에리어에 공통인 셀 서치용 동기 채널의 신호로서, 상기 제1 부호화율에 따른 정보가 부여된 신호와, 상기 제2 무선 기지국이, 상기 제2 무선 에리어에 송신한 상기 공통의 셀 서치용 동기 채널의 신호로서, 상기 제2 부호화율에 따른 정보가 부여된 신호 중 어느 하나를 검출하고, 검출한 신호에 부여된 상기 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상기 제1 또는 제2 부호화율을 상기 복호화 처리부에 공급하는 셀 서치부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
  10. 제1 무선 에리어를 제공하는 제1 무선 기지국과,
    상기 제1 무선 에리어에 속하며 제2 무선 에리어를 제공하는 제2 무선 기지국과,
    제1 신호를, 제1 부호화율로 부호화하여 제1 송신 전력으로 상기 제1 무선 에리어에 송신하는 제1 송신 수단과,
    상기 제1 신호와 공통되는 제2 신호를, 제2 부호화율로 부호화하여 제2 송신 전력으로 상기 제2 무선 에리어에 송신하는 제2 송신 수단과,
    상기 제1 및 제2 신호를 수신하여, 각각의 부호화율에 따른 복호화를 행하는 무선 단말기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KR1020080126734A 2008-03-18 2008-12-12 무선 통신 방법, 무선 기지국, 무선 단말기 및 무선 통신 시스템 KR1011208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069101A JP4992777B2 (ja) 2008-03-18 2008-03-18 無線通信方法、無線基地局、無線端末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JPJP-P-2008-069101 2008-03-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0216A true KR20090100216A (ko) 2009-09-23
KR101120884B1 KR101120884B1 (ko) 2012-02-27

Family

ID=40551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6734A KR101120884B1 (ko) 2008-03-18 2008-12-12 무선 통신 방법, 무선 기지국, 무선 단말기 및 무선 통신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259685B2 (ko)
EP (1) EP2104385B1 (ko)
JP (1) JP4992777B2 (ko)
KR (1) KR101120884B1 (ko)
CN (1) CN10154110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43058B2 (en) 2009-02-24 2013-09-24 Eden Rock Communication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optimizing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s within a larger wireless network
US8694012B2 (en) 2010-02-01 2014-04-08 Intel Mobile Communications GmbH Method and apparatuses for two or more neighboring wireless network devices accessing a plurality of radio resources
CN101883365B (zh) * 2010-06-28 2012-11-0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控制用户设备的方法和装置
US8712353B2 (en) 2010-07-29 2014-04-29 Intel Mobile Communications Technology GmbH Radio communication devices, information providers, methods for controlling a radio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n information provider
US8521109B2 (en) 2010-07-29 2013-08-27 Intel Mobile Communications GmbH Radio communication devices, information providers, methods for controlling a radio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n information provider
EP3930208A1 (en) 2014-02-07 2021-12-29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Transmission device, transmission method, receiving device and receiving method
US9231749B2 (en) * 2014-04-25 2016-01-05 Collision Communications, Inc.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determining a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and coding rate for an intercell signal in a long term evolution communications network
US9735987B2 (en) 2014-04-25 2017-08-15 Collision Communications, Inc.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determining a demodulation reference sequence for an intercell interfering signal received from a mobile device in a long term evolution communication system
JP6610329B2 (ja) * 2016-02-25 2019-11-27 富士通株式会社 誤り訂正回路および光伝送システム
US20170332335A1 (en) * 2016-05-13 2017-11-16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 and method of configurable sequence usage for transmission reception points
US11070223B2 (en) * 2019-05-15 2021-07-20 Huawei Technologies Co., Ltd. Wireless receiver with decoupled encoder and decoder rates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306102B (ko) * 1993-06-14 1997-05-21 Ericsson Telefon Ab L M
JPH09327059A (ja) * 1996-06-07 1997-12-16 N T T Ido Tsushinmo Kk Cdma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セル選択方法およびその基地局装置と移動局装置
TW396686B (en) * 1997-06-06 2000-07-01 Ericsson Telefon Ab L M Modified downlink power control during macrodiversity
FI109861B (fi) * 1998-01-05 2002-10-15 Nokia Corp Menetelmä solun yleislähetyskapasiteetin tehokkaaksi hyödyntämiseksi
US6700881B1 (en) 1998-03-02 2004-03-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Rate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CDMA communication system
EP1261147A1 (en) * 2001-05-21 2002-11-27 Motorola, Inc. A method and system for simultaneous bi-directional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a user station and first and second base stations
JP4634672B2 (ja) * 2001-09-25 2011-02-16 三菱電機株式会社 サイトダイバーシチ送受信装置
JP2003163631A (ja) * 2001-11-28 2003-06-06 Sony Corp 移動通信システム、携帯端末装置および基地局装置
JP2006229318A (ja) * 2005-02-15 2006-08-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受信装置及び受信方法
JP4569330B2 (ja) 2005-03-15 2010-10-27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電話ネットワークへの超小型無線基地局の接続システム、方法、プログラム及び超小型無線基地局
JP4150014B2 (ja) * 2005-03-31 2008-09-17 株式会社東芝 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基地局装置
JP2006295643A (ja) 2005-04-12 2006-10-26 Nec Corp 移動体通信システム、移動体通信端末、および移動体通信方法
US8369859B2 (en) * 2006-05-22 2013-02-05 Alcatel Lucent Controlling transmit power of picocell base units
US8537774B2 (en) * 2007-08-16 2013-09-17 Apple Inc. Capacity optimisation in a cellular wireless net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04385B1 (en) 2012-09-26
JP2009225242A (ja) 2009-10-01
CN101541101B (zh) 2012-09-19
US20090238149A1 (en) 2009-09-24
CN101541101A (zh) 2009-09-23
EP2104385A1 (en) 2009-09-23
JP4992777B2 (ja) 2012-08-08
US8259685B2 (en) 2012-09-04
KR101120884B1 (ko) 2012-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0884B1 (ko) 무선 통신 방법, 무선 기지국, 무선 단말기 및 무선 통신 시스템
CN106572539B (zh) 用于上行链路信令的系统和方法
US7853203B2 (en)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ng a relay st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using a multihop relay scheme
EP1969882B1 (en) Communication method using relay st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N102484843B (zh) 一种下行控制信息的检测方法和装置
JP5515558B2 (ja) 通信システム、中継装置および通信装置
US956569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intercell interference
KR101923551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망 진입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021590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
US2012023183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itial rang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heterogeneous network
MXPA06004133A (es) Metodos y aparatos para mejorar transferencias intersector y/o intercelula en un sistema de comunicaciones inalambrico multiportador.
WO2004019537A2 (en) Multiple access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using a multisector configuration
CN104219767A (zh) 一种系统信息传输方法、基站及终端
CN105122905A (zh) 电信装置和方法
CN114073163A (zh) 用于随机接入过程的方法和装置
JP2009188537A (ja) 基地局及び既知信号の送信方法
EP204471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ignalling beacons in a communication system
CN105122906A (zh) 电信装置和方法
CN106851826A (zh) 一种大尺度mimo中的通信方法和装置
CN105122903A (zh) 电信装置和方法
WO2010146674A1 (ja) 基地局、中継局、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方法
CN100568753C (zh) 载波搜索方法和设备
KR101690553B1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소형 기지국의 식별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50035675A (ko) 시스템 정보 송수신 방법 및 그 장치
CN105122904A (zh) 电信装置和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