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0005A - 전통 옹기 타일을 구비한 용기 - Google Patents

전통 옹기 타일을 구비한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0005A
KR20090100005A KR1020080025347A KR20080025347A KR20090100005A KR 20090100005 A KR20090100005 A KR 20090100005A KR 1020080025347 A KR1020080025347 A KR 1020080025347A KR 20080025347 A KR20080025347 A KR 20080025347A KR 20090100005 A KR20090100005 A KR 200901000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e
container
onggi
main body
ceramic t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5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철
Original Assignee
김기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철 filed Critical 김기철
Priority to KR10200800253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00005A/ko
Publication of KR20090100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00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에 옹기의 주원료인 태토 및 부원료인 토르말린 분말로 제조된 옹기 타일을 구비함에 의하여 옹기 타일로부터의 원적외선 및 음이온의 방출과 통기성과 방수성을 갖는 옹기 타일의 미세한 통기공들에 의하여 식품의 신선도를 더욱 우수하게 유지하면서 오래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전통 옹기 타일을 구비한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본체와 뚜껑으로 구성된 용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측벽부 및 뚜껑(20)중 적어도 한 군데 이상의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통공부(11)와; 상기 통공부(11)가 밀폐되도록 고정 설치되는 옹기 타일(3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옹기 타일(30)은 상기 본체(10)의 측벽부 및 뚜껑(20) 중 적어도 한 군데 이상의 부분에 형성된 통공부(11)에 타일의 테두리를 고정하는 고정구(40)에 의한 결합에 의해서 고정 설치되거나 인서트 사출에 의하여 상기 통공부(11)에 고정되어 있다.
용기, 옹기, 옹기 타일, 원적외선, 음이온, 미세통기공

Description

전통 옹기 타일을 구비한 용기{VESSEL WITH TRADITION POTTERY TILE}
본 발명은 전통 옹기 타일을 구비한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용기에 옹기의 주원료인 태토 및 부원료인 토르말린 분말로 제조된 타일(이하, 옹기 타일이라고 함)을 구비함에 의하여 옹기 타일로부터의 원적외선 및 음이온의 방출과 통기성과 방수성을 갖는 옹기 타일의 미세한 통기공들에 의하여 식품의 신선도를 더욱 우수하게 유지하면서 오래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전통 옹기 타일을 구비한 용기에 관한 것이다.
전통적으로 한국인은 옹기를 조미료와 주식, 부식물의 저장용구, 주류 발효도구, 음료수 등의 저장용구로 사용하였다.
그러나. 상기 우리 겨레의 생활에서 중요하게 쓰였던 옹기는 잘 깨지지 않고 쓰기 편하며 대량 생산이 가능한 플라스틱, 스테인리스 그릇 등의 등장으로 1960년대 말부터 점점 쇠퇴하여 옹기 문화가 사라질 위기에 처하였으며, 또한 주거 환경 개선 및 냉장고 등의 보급으로 원형으로 생긴 항아리 대신 사각형의 플라스틱 그릇 등의 대량사용으로 인해, 우리 전통 문화의 하나인 옹기와 같은 질그릇, 오지그릇 문화가 사라질 위기에 처했다.
그런데, 다행히 요즈음 야기되고 있는 플라스틱 등의 화학물질에서 발생하는 환경호르몬 등의 문제가 생기면서 전통 옹기가 숨쉬는 그릇이라는 우수성과 과학성을 인식하는 층이 날로 두터워 지고 있다.
상기 환경호르몬이란 생물체에서 정상적으로 생성, 분비되는 물질이 아니라, 인간의 산업활동을 통해서 생성, 방출된 화학물질로 생물체에 흡수되면 내분비계의 정상적인 기능을 방해하거나 혼란케 하는 화학물질을 말한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이 많은 플라스틱이나 스테인리스 그릇보다 옹기의 과학성과 우수성을 살려 실용성을 겸비한 더욱 쓸모 있는 그릇으로 개발할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옹기란 '질그릇'과 '오지그릇'을 가리키는 말로 우리민족 고유의 생활그릇이다. 질그릇은 진흙으로 그릇을 만든 후 잿물을 바르지 않은 채 600℃∼700℃로 구워낸 것이다. 오지그릇은 질그릇에 오지 잿물을 발라 1200℃ 이상의 고온에서 구워낸 반지르르한 그릇이다. 우리가 흔히 김장독과 장독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최근 옹기를 플라스틱 및 유리와 비교한 "국립중앙과학관"의 에스이엠(SEM) 현미경 촬영 사진을 보면 플라스틱은 물결 모양의 치밀한 조직을 가졌고, 유리는 표면조직이 빈틈없이 매끄럽지만 옹기는 곳곳에 동그란 조직이 보였다고 한다.
이 숨구멍 역할을 하는 원형조직은 옹기의 주원료인 태토 안에 들어 있는 수많은 모래알갱이에 의해서 옹기에 미세한 공기구멍을 만들어 낸 것으로서, 이 미세한 통기공인 원형조직이 옹기의 안과 밖으로 수분은 통과하지 못하면서 공기만 통하게 하여(극히 미세한 통기공이므로 수분은 통과하지 못함) 식품의 변질, 부패의 원인인 미생물의 번식, 효소의 작용을 억제시켜서 식품의 신선도를 더욱 우수하게 하면서 식품을 오래 저장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옹기에서 방출하는 원적외선으로 인한 음식물의 신선한 상태로의 저장성 및 숙성효과가 증대되고, 음이온으로 인한 공기정화 및 미생물과 효소작용의 억제가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웰빙시대를 맞아 숙성 발효음식의 세계화를 타고 우리의 기업형 김치공장이나 된장공장 또는 새우젓 같은 제조공장에서도 이러한 옹기와 같은 용기를 사용함으로써 김치 등을 잘 익게 하고 오래 동안 싱싱하게 보존하여 주며 제조, 생산, 저장 단계부터 숙성된 맛의 차별화를 이루게 될 것이다.
이와 같이, 옹기는 원적외선 및 음이온의 방출은 물론, 옹기의 안과 밖으로 미세통기공을 통하여 수분은 통과하지 못하고 공기만 통과하게 됨으로써 음식물을 잘 익게 하여 오랫동안 신선한 상태로 보존해 준다. 된장, 간장, 김치, 젓갈 같은 발효 음식의 저장그릇으로 옹기가 많이 사용되어 온 것도 이러한 옹기의 특성 때문이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용기 내에 저장된 식품을 잘 익게 하면서 장기간 신선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전통 옹기 타일을 구비한 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통 옹기 타일을 구비한 용기는 본체와 뚜껑으로 구성된 용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측벽부 및 뚜껑 중 적어도 한 군데 이상의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통공부와; 상기 통공부가 밀폐되도록 고정 설치되는 옹기 타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통 옹기 타일을 구비한 용기는 상기 옹기 타일이 상기 통공부에 타일의 테두리를 고정하는 고정구에 의한 결합에 의해서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통 옹기 타일을 구비한 용기는 옹기 타일이 인서트 사출에 의하여 상기 통공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통 옹기 타일을 구비한 용기는 공기를 통과시키는 통기성과 수분을 통과시키지 않는 방수성을 갖는 수많은 미세 통기공들이 형성되어 있는 옹기 타일이 본체에 구비되어서 용기의 안과 밖으로 액체인 수분은 통과하지 못하고 기체인 공기만 통과하게 함으로써 식품을 잘 익게 하고, 식품의 변질 및 부패의 원인인 미생물의 번식, 효소의 작용을 억제하여서 식품의 신선도를 더욱 우수하게 하며, 장기간 식품이 보존되게 된다.
또한, 옹기 타일에서 방출되는 원적외선 및 음이온에 의해서 음식물을 잘 익게 하고, 장기간 음식물을 신선한 상태로 저장할 수 있으며, 공기정화 및 식품의 변질, 부패의 원인인 미생물과 효소작용의 억제가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용기에 옹기타일이 구비됨으로써 장식성이 우수하고 외관이 미려하며 자연 친화성이 우수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각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전통 옹기 타일을 구비한 용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의 종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의 전통 옹기 타일을 구비한 용기의 뚜껑을 열은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뚜껑을 닫은 상태의 종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의 옹기 타일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인 전통 옹기 타일을 구비한 용기(A)는 본체(10)의 측벽부 및 뚜껑(20) 중 적어도 한군데 이상의 부분에 형성되는 통공부(11)와, 상기 통공부(11)를 밀폐시키기 위해서 고정 설치되는 옹기 타일(3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통공부(11)는 본체(10)의 전, 후측의 측벽부나 좌, 우측의 측벽부 또는 뚜껑(20) 중 적어도 한군데 이상의 부분에 형성되고, 옹기 타일(30)을 고정 설치함에 의해서 밀폐된다.
도 1 및 도 2는 본체(10)의 전, 후측의 측벽부의 중앙부에 상기 통공부(11)가 각각 한군데씩 형성된 경우일 때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통공부(11)의 주변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나사공(12)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통공부(11) 및 옹기타일(30)의 형상은 삼각형이나 사각형을 비롯한 다각형 또는 원형 등 그 형상에는 구애 받지 않고 모든 형상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통공부(11)의 크기는 통공부(11)를 밀폐시키기 위해서 고정 설치되는 상기 옹기 타일(30)의 크기 보다는 약간 적은 크기로 형성되는 데, 가로 및 세로가 10mm 정도 적은 크기가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옹기 타일(30)이 통공부(11)의 테두리부에 걸려서 용기 본체(10)의 내측으로 이탈되지 않고 안정되게 정착하여 고정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옹기 타일(30)은 고정구(40)에 의해서 상기 통공부(11)가 형성된 부분의 외측부에 접하고 있는 상태로 고정 설치되어 있고, 옹기 타일(30)의 두께는 본체(10)의 측벽부 또는 뚜껑(20)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그 이상 또는 그 이하의 두께도 무방하다.
상기 고정구(4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의 사각테형상의 고정편(41)에 볼트(50)가 체결되도록 상기 본체(10)의 각 나사공(12)에 각각 대응하는 볼트공(42)이 형성되어 있고, 그 내측의 외부로 돌출하여 형성된 사각형상의 테두리부에 상기 옹기 타일(30)이 삽입되어서 고정되도록 삽입요부(43)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내측에 사각형상의 통공부(4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옹기 타일(30)과 본체(10)의 통공부(11)가 형성된 부분의 외측부와의 사이에 밀폐시키도록 상기 고정구(40)의 볼트공(42)과 본체(10)의 나사공(12)에 대응하는 볼트공(61)이 형성된 패킹(60)이 개재되어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의 전통 옹기 타일을 구비한 용기(A)가 제조되기까지의 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옹기의 주원료인 태토와 부원료인 토르말린 분말을 10:2 정도로 섞어서 반죽한 후, 상기 토르말린 분말과 함께 반죽된 태토를 호퍼(미도시 함)에 주입한다.
상기 호퍼에 주입한 반죽된 태토가 호퍼의 밑으로 배출되면서 평판체로 되어 콘베이어롤러데스크(미도시 함)로 이동되게 한 후, 5시간동안 상기 평판체를 그늘에서 수분이 20% 정도 잔류하는 상태까지 되도록 건조시킨다.
그 다음에 프레스에 의해서 상기 건조시킨 평판체를 소정의 규격으로 절단 하여서 된 습한 상태의 평판체가 뒤틀어지지 않도록 잘 쌓은 후 그늘에서 15일 정도 건조시킨다.
그 다음에 유약을 바른 후 1300℃의 열로 4일동안 밤낮으로 가마에서 소성시켜 옹기 타일(30)을 완성한다.
그 다음에 기존 용기의 본체(10)의 측벽부 및 뚜껑(2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분에 고정 설치하려는 옹기 타일(30)의 크기보다 가로 및 세로가 10mm 정도 적은 통공부(11)를 만든다.
그 다음에 상기 옹기 타일(30)의 크기에 알맞도록 제작된 고정구(40)의 삽입요부(43)에 상기 옹기 타일(30)을 삽입시킨 후, 상기 패킹(60)을 옹기 타일(30)과 상기 본체(10)의 통공부(11)가 형성된 부분의 사이에 개재시킨 상태에서 상기 고정구(40)의 볼트공(42), 패킹(60)의 볼트공(61) 및 본체(10)의 나사공(12)을 통하여 볼트(50)로 각각 체결함으로써 옹기 타일(30)이 본체(10)의 통공부(11)를 밀폐시킨 상태로 고정 설치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기존의 기성품 용기를 사용하지 않고 용기를 새로 제작할 때에는 용기공장에 금형에 의하여 본체(10) 및 뚜껑(20)중 적어도 한 군데 이상의 통공부(11)가 형성된 용기를 주문하여 상기와 같은 제조 과정에 의하여 제조된 옹기 타일(30)을 본체(10)의 통공부(11)에 고정 설치하면 된다.
상기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태토와 혼합하는 상기 토르말린은 전기석이라고도 하며 수정과 같은 결정구조를 가지는 육방정계에 속하는 광물로서 마찰에 의해 전기가 생기며, 가열하면 양끝이 양, 음으로 대전하기 때문에 이 이름이 붙여졌고 식품과 사람에게 유익한 음이온을 방출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상기 옹기 타일(30)에 공기구멍인 미세통기공을 통하여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유약은 광명단이 아닌 나무를 태운 재인 천연 유약을 사용한다.
상기 옹기 타일(30) 및 고정구(40)는 본체(10) 및 뚜껑(20)과 동일한 색상이거나 다른 색상으로도 될 수 있다.
상기 용기(A)의 본체(10), 뚜껑(20) 및 고정구(40)의 재질은 옹기를 제외한 플라스틱 또는 기타 금속재질이다.
옹기 타일(30)은 본체(10)에 고정구(40)에 의하여 볼트(50)로 체결되기 때문에 옹기 타일(30)이 견고하게 고정되고, 본체(10)에서 옹기 타일(30) 등 각 부분품들을 별 어려움 없이 분해 조립하기가 용이하게 된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용기(A)를 분해하여 각 부분품들을 세척한 후 다시 조 립할 수 있게 됨으로써 용기(A)는 항상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체(10)에 옹기 타일(30)이 고정구(40)에 의해서 고정되어 있게 됨으로써 장식성이 우수한 기능도 가질 수 있게 된다.
만일, 옹기 타일(30)이 부주의로 깨지거나 다른 부분품이 손상되었을 때에는 언제든지 새 부분품으로 교체도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인 전통 옹기 타일을 구비한 용기(B)는 옹기 타일(80)을 먼저 성형한 후에 본체(70) 및 뚜껑(90)의 사출시 이를 금형에 인서트(insert) 하여 사출함으로써 본체(70)의 측벽부 및 뚜껑(90)중 적어도 한 군데 이상의 부분에 옹기 타일(80)이 일체로 성형된다.
따라서, 옹기타일(80)과 본체(70)는 인서트 사출에 의하여 두 개의 부재가 일체화된다.
도 3 및 도 4는 상기 옹기 타일(80)이 본체(70)의 전, 후측의 측벽부의 중앙부에 각각 한군데씩 형성된 경우일 때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옹기 타일(80)에는 또한, 테두리부에 본체(70)에 몰입되는 돌기부(8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옹기 타일(80)의 두께는 본체(70)의 측벽부나 뚜껑(90)의 두께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옹기 타일(80)은 제 1실시예의 제조과정과 같이 제조되지만, 다만 테두리부에 돌기부(81)를 형성하도록 형틀에 의해서 테두리부에 돌기부(81)가 형성된 옹기 타일(80)을 제조한다.
상기 본체(70) 및 뚜껑(90)은 옹기를 제외한 플라스틱 또는 기타 금속재질 등으로 되어 있다.
옹기 타일(80)의 돌기부(81)가 본체(70)에 몰입되어 있기 때문에 옹기 타일(80)과 본체(70)는 아무리 장기간 사용하여도 분리되지 않는다.
상기 옹기타일(80)은 본체(70)의 전, 후측의 측벽부나 또는 뚜껑(90)중 적어도 한 군데 이상의 부분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옹기타일(80)의 형상은 삼각형이나 사각형을 비롯한 다각형 또는 원형 등 그 형상에는 구애받지 않고 모든 형상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인서트 사출에 의하여 옹기 타일(80)과 본체(70)가 일체로 되므로 서로 조립시키는 작업이 필요 없고 제조과정이 일일이 결합시키는 경우에 비하여 간단하다.
또한 금형 내에 옹기 타일(80)을 고정한 상태에서 본체(70)가 성형되므로 불량이 적게 발생하게 되며, 외관이 보다 미려하게 된다.
옹기 타일(30)은 깨져서 폐기처분 되어 지하에 묻혀도 흙으로 다시 돌아가는 무공해의 물품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전통 옹기 타일을 구비한 용기는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본 발명은 수분은 통과하지 못하고 공기만 통과할 수 있는 미세한 공기구멍인 수많은 미세통기공들이 형성되어 있는 옹기타일(30,80)이 용기(A, B)에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수많은 미세통기공을 통하여 옹기타일(30)(80)의 안과 밖으로 공기가 통하게 되어 식품이 잘 익게 함과 아울러 식품의 변질 및 부패의 원인인 미생물의 번식, 효소의 작용을 억제하여서 식품의 신선도를 더욱 우수하게 하면서 식품을 오래 저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옹기타일(30)(80)을 구성하는 태토에 의해서 원적외선이 방출되며 토르말린에 의해서 음이온이 방출됨으로써 원적외선으로 인하여 음식물이 잘 익게 됨은 물론, 장기간 음식물을 신선한 상태로 저장할 수 있게 되고, 음이온으로 인하여 공기정화 및 식품의 변질, 부패의 원인인 미생물과 효소작용의 억제가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의 옹기 타일을 구비한 용기(A, B)는 주로 발효식품인 김치, 된장, 고추장 등의 저장은 물론, 기타 식품들도 저장될 수 있으며 웰빙시대를 맞아 숙성된 맛이 우수한 특성을 가지게 된다.
[실험 예 1]
상기 본 발명의 옹기 타일(30)이 구비된 용기(A)의 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옹기 타일(30)이 구비된 용기(A)와 옹기 타일(30)이 구비되어 있지 않은 일반 플라스틱재질의 용기에 김치를 담가서 본 결과 일반 플라스틱 재질의 용기에 비해 본 발명의 옹기 타일(30)이 구비된 용기(A)가 김치가 잘 익게 되었고 신선한 상태로 장기간 보존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 예 2]
상기 본 발명의 옹기 타일(80)이 구비된 용기(B)의 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옹기 타일(80)이 구비된 용기(B)와 옹기 타일(80)이 구비되어 있지 않은 일반 플라스틱재질의 용기에 김치를 담가서 본 결과 일반 플라스틱 재질의 용기에 비해 본 발명의 옹기 타일(80)이 구비된 용기(B)가 김치가 잘 익게 되었고 신선한 상태로 장기간 보존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이나 변경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한 특허청구의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전통 옹기 타일을 구비한 용기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전통 옹기 타일을 구비한 용기의 뚜껑을 열은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뚜껑을 닫은 상태의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옹기 타일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70 : 본체 11 : 통공부
12 : 나사공 20, 90 : 뚜껑
30, 80 : 옹기타일 40 : 고정구
50 : 볼트 60 : 패킹
81 : 돌기부 A, B : 용기

Claims (3)

  1. 본체와 뚜껑으로 구성된 용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측벽부 및 뚜껑(20)중 적어도 한 군데의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통공부(11)와;
    상기 통공부(11)가 밀폐되도록 고정 설치되는 옹기 타일(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통 옹기 타일을 구비한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옹기 타일(30)은, 상기 본체(10)의 통공부(11)에 타일의 테두리를 고정하는 고정구(40)에 의한 결합에 의해서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통 옹기 타일을 구비한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옹기 타일(30)은 인서트 사출에 의하여 상기 통공부(11)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통 옹기 타일을 구비한 용기.
KR1020080025347A 2008-03-19 2008-03-19 전통 옹기 타일을 구비한 용기 KR200901000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5347A KR20090100005A (ko) 2008-03-19 2008-03-19 전통 옹기 타일을 구비한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5347A KR20090100005A (ko) 2008-03-19 2008-03-19 전통 옹기 타일을 구비한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0005A true KR20090100005A (ko) 2009-09-23

Family

ID=41358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5347A KR20090100005A (ko) 2008-03-19 2008-03-19 전통 옹기 타일을 구비한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0000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0346B1 (ko) * 2012-03-05 2013-11-15 이흥우 인서트 사출에 의한 통기성 식료품 보관함 제조 방법
EP2843335B1 (en) * 2013-08-30 2020-06-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Storage contain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102457103B1 (ko) * 2022-03-30 2022-10-19 민원기 다중사출 또는 인서트 사출로 제조되고 투명 소재와 불투명 소재를 포함하는 원적외선 방사 용기,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0346B1 (ko) * 2012-03-05 2013-11-15 이흥우 인서트 사출에 의한 통기성 식료품 보관함 제조 방법
EP2843335B1 (en) * 2013-08-30 2020-06-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Storage contain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102457103B1 (ko) * 2022-03-30 2022-10-19 민원기 다중사출 또는 인서트 사출로 제조되고 투명 소재와 불투명 소재를 포함하는 원적외선 방사 용기,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767931A (zh) 一种腊肉及其腌制的方法
CN203970173U (zh) 食物保温箱
KR20090100005A (ko) 전통 옹기 타일을 구비한 용기
WO2004035698A3 (en) Coatings with enhanced microbial performance
JP4566395B2 (ja) 多孔性焼成物
CN201506565U (zh) 新型月饼盒
CN104528173A (zh) 一种保温箱
CN104495077A (zh) 一种全自动控制制氮气和臭氧的多功能常温保鲜柜
CN202863859U (zh) 一种新型保鲜盒
CN203000672U (zh) 抗菌砧板
CN204467672U (zh) 银镶木茶杯
CN201094478Y (zh) 一种具有光触媒杀菌效果及自洁功能的陶瓷镀钛餐饮器具
CN205125786U (zh) 一种新型冷菜盘
KR20240010679A (ko) 발효식품 제조 용기
KR101323612B1 (ko) 김치 보관함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김치 보관함
CN217079466U (zh) 一种青竹装饰板
CN102379333A (zh) 一种腌腊制品的炕房
KR200289837Y1 (ko) 식품저장용기
JP3281356B2 (ja) 甲虫の飼育容器
CN205296665U (zh) 炫彩金属保温板
KR100916551B1 (ko) 숯 성형물이 내장된 도기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제조된 숯 성형물이 내장된 도기
CN207776370U (zh) 一种环保型三聚氰胺木线条
KR20120080351A (ko) 발효식품 제조용 발효 용기
KR200347441Y1 (ko) 황토와 대나무숯이 내장된 가구
KR20030094631A (ko) 황토가 함유된 코팅층을 갖는 식품용 펄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