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6271A - 자동 릴 테이프 커터를 갖는 표면실장기 - Google Patents

자동 릴 테이프 커터를 갖는 표면실장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6271A
KR20090096271A KR1020080035215A KR20080035215A KR20090096271A KR 20090096271 A KR20090096271 A KR 20090096271A KR 1020080035215 A KR1020080035215 A KR 1020080035215A KR 20080035215 A KR20080035215 A KR 20080035215A KR 20090096271 A KR20090096271 A KR 200900962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er
feeder
surface mounter
cutting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5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16838B1 (ko
Inventor
최경림
Original Assignee
최경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경림 filed Critical 최경림
Publication of KR200900962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62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68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68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2Feeding of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4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from or with transverse cutters or perforators
    • B65H35/06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from or with transverse cutters or perforators from or with blade, e.g. shear-blade, cutters or perfo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Cutting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1Cutting handled material transversally to feeding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Cutting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3Details of cutting means
    • B65H2301/51532Blade cutter, e.g. single blade cut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7Ta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부품을 인쇄회로기판에 실장하는 표면실장기로부터 인쇄회로기판에 부품을 실장한 후 피더로부터 배출되는 각종 릴 등의 피절단물(예를 들어, 비닐, 플라스틱, 종이류 등)을 절단하는 커터와, 이를 갖는 표면실장기 및 표면실장기용 일괄 피더 공급 카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릴테이프 형태로 공급되는 전자부품이 표면실장기에 의해 인쇄회로 기판에 실장된 후 피더로부터 배출되는 각종 형태의 피절단물이 작업자에 의하지 않고 자동으로 투입되고 절단된 후 분리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표면실장기용 자동 피절단물 커터와, 피절단물 커터를 갖는 표면실장기 및 표면실장기용 일괄 피더 공급 카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표면실장기용 피절단물 커터는, 전자부품을 인쇄회로기판에 실장하는 표면실장기나 부품을 일괄 공급하는 표면 실장기용 카트의 피더 하단에 마련되어 표면실장기의 피더에서 배출되는 피절단물을 절단하는 커터에 있어서, 피더의 하단에 위치되도록 표면실장기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며 피더에서 배출되는 피절단물이 투입될 수 있도록 상면에 투입구가 형성되는 몸체부와, 몸체부의 하부에 설치되며 몸체부의 투입구로 투입되는 피절단물을 절단하는 커팅부와, 피더에서 배출되는 피절단물이 몸체부의 투입구로 안내될 수 있도록 몸체부의 상면에 형성되는 유도부를 포함하며, 몸체부, 커팅부 및 유도부는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표면실장기, 피더, 커터, 커팅부, 유도부, 걸림판, 부품수거함

Description

장착형 표면실장기용 자동 릴 테이프 커터, 이를 갖는 표면실장기 및 표면실장기용 일괄 피더 공급 카트{MOUNT TYPE AUTO REEL TAPE CUTTER FOR SURFACE MOUNTER, SURFACE MOUNTER AND FEEDER SUPPLY CART FOR SURFACE MOUNT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자부품을 인쇄회로기판에 실장하고 난 후 표면실장기의 피더로부터 배출되는 피절단물을 절단하는 장착형 커터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의 커터기와는 달리 커터기의 절단부만을 분리하여 피절단물이 배출되는 피더 하단에 절단부만을 밀착시켜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피절단물을 절단부에 넣어주지 않고 자동으로 투입되도록 하는 장착형 커터에 관한 것으로 표면실장기내에 직접 장착하거나 표면실장기용 일괄 피더 공급 카트에 장착될 수 있는 커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표면실장기(Surface Mounter)는 릴테이프(Reel Tape) 형태로 공급되는 공급되는 크고 작은 여러 종류의 전자 부품을 인쇄회로기판에 실장하는 장치이다. 릴테이프는 전자부품(칩 등)의 크기나 형태 등에 따라 종이류나 합성수지류 등의 재질로 만들어지며, 그 두께나 폭 그리고 칩홈의 간격 등에 따라 다양한 종류를 갖게 되고, 칩의 소모량이나 칩홈의 간격에 따라 상이한 배출속도를 갖게 된다.
이러한 릴테이프는 권취된 상태로 릴에 장착되어 한 스텝씩 풀리면서 표면실장기에 공급되고, 표면실장기는 릴테이프로부터 칩을 흡착하여 인쇄회로기판에 실장하게 된다.
여기서, 릴테이프는 통상 약 40~80m정도의 길이를 갖게 되는데, 표면실장기의 피더(Feeder)로부터 배출된 후 이를 그대로 방치하게 되면 상당량이 적치(積置)되어 불필요한 작업공간을 차지하는 등 작업환경을 저해하기 때문에, 표면실장기의 피더로부터 배출되는 릴테이프는 절단 및 폐기하는 작업이 수시로 병행되어야 한다.
종래 릴테이프의 절단작업과 관련된 것으로, 한국특허등록 제10-0512057호(2005.09.02) 칩마운트의 롤 테이프 자동절단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칩마운트의 롤 테이프 자동절단장치는, 본체의 내부 양측에 고정된 리니어샤프트와, 리니어샤프트에 설치된 제1모터와, 제1모터의 구동에 의해 좌우로 왕복이동 되는 왕복이동유니트와, 본체의 소정위치에 설치된 제1피절단물안내부와, 왕복이동유니트에 설치되어 제1모터의 구동에 의한 회전동작으로 제1피절단물안내부로 공급되는 피절단물을 제1회전칼날까지 확실히 안내하도록 하는 피전단물 안내용 기어부와, 안내되어진 피전단물을 절단하도록 하는 제1회전칼날과, 본체의 소정위치에 설치된 제2피절단물안내부와, 제2피절단물안내부로 공급되는 피절단물을 절단하도록 하는 제2회전칼날로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 칩 마운트의 롤 테이프 자동절단장치는 릴테이프의 미끄러짐이 방지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릴테이프가 절단되지 않고 찌그러지면서 배출되는 현상도 방지될 수 있는 이점은 있다.
그러나, 본체의 내부에 별도의 가이드 부재가 설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피더의 분리기로부터 분리된 릴테이프가 본체의 제1 및 제2피절단물안내부로 제대로 이송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본체 내부에서 절단된 피절단물이 절단물 수납장으로 제대로 이송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표면실장기에 부품을 탑재하고 난 후, 피더에서 배출되는 다양한 폐 테이프와 비닐이 수직으로 배출되어 하방으로 내려올 때 휘거나 꼬이고 말리는 현상으로 인해, 커터의 절단 투입구로 원활하게 투입되도록 작업자가 휘거나 꼬이고 말려 있는 테이프와 비닐을 일일이 수작업으로 넣어주어야 했으므로 불필요한 인력이 소모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피더에서 배출되는 폐 테이프에 부품이 담겨져 배출되는 경우에는 절단하는 칼날에 영향을 주어 손상을 주고 전자 부품의 재활용을 불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피절단물과 혼입되어 분리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릴테이프 형태로 공급되는 전자부품이 표면실장기에 의해 인쇄회로 기판에 실장된 후 피더로부터 배출되는 각종 형태의 피절단물이 작업자에 의하지 않고 자동으로 투입되고 절단된 후 분리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표면실장기용 자동 피절단물 커터와, 이 자동 피절단물 커터를 갖는 표면실장기 및 표면실장기용 일괄 피더 공급 카트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부품을 인쇄회로기판에 실장하는 표면실장기에 마련되어 표면실장기의 피더에서 배출되는 피절단물을 절단하는 커터에 있어서, 상기 피더의 하단에 위치되도록 상기 표면실장기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며 상기 피더에서 배출되는 피절단물이 투입될 수 있도록 상면에 투입구가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몸체부의 투입구로 투입되는 피절단물을 절단하는 커팅부와, 상기 피더에서 배출되는 피절단물이 상기 몸체부의 투입구로 안내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 형성되는 유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실장기용 피절단물 커터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몸체부, 커팅부 및 유도부는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커팅부는 상기 몸체부의 투입구 하부 일측에 고정되는 고정칼날과,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고정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는 랙기어와, 상기 랙기어와 치합되는 피니언기어와, 상기 몸체부의 투입구 하부에 상기 고정칼날과 일부 겹쳐지도록 마련되되 상기 피니언기어의 기어축과 결합되어 상기 피니언기어와 일체로 회전됨과 동시에 상기 투입구의 길이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는 회전칼날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부품을 인쇄회로기판에 실장하는 표면실장기의 피더에서 배출되는 피절단물을 절단하는 커터에 있어서, 하부에 이동수단을 가지며, 상기 표면실장기의 내측에 탈착결합될 수 있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이 상기 표면실장기의 내측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표면실장기의 피더의 하단에 위치되도록 상기 프레임의 상단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며 상면에 투입구가 형성되는 커터몸체부와, 상기 커터몸체부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커터몸체부의 투입구로 투입되는 피절단물을 절단하는 커팅부와, 상기 표면실장기의 피더에서 배출되는 피절단물이 상기 커터몸체부의 투입구로 안내될 수 있도록 상기 커터몸체부의 상면에 형성되는 유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실장기용 피절단물 커터를 제공함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부품을 인쇄회로기판에 실장하는 표면실장기에 있어서, 본체와, 상기 본 체에 설치되는 피더몸체와 상기 피더몸체의 일측에 고정되는 릴과 실장용 부품이 구속되며 상기 릴에 권취되는 롤테이프를 구비하며 상기 릴에서 풀리는 롤테이프를 상기 본체의 내측으로 이송하고 상기 롤에서 상기 테이프를 분리시킨 후 분리된 상태로 롤과 테이프를 배출하는 복수의 피더와, 상기 피더의 하단에 위치되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며 상기 피더에서 배출되는 롤테이프가 투입될 수 있도록 상면에 투입구가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몸체부의 투입구로 투입되는 롤테이프를 절단하는 커팅부와 상기 피더에서 배출되는 롤테이프가 상기 몸체부의 투입구로 안내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 형성되는 유도부를 구비하는 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절단물 커터를 갖는 표면실장기를 제공함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커터는 상기 본체에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커터에 고정되는 평판과, 일단이 상기 평판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판을 구비하여, 상기 커터가 상기 본체에 설치되도록 하되 설치각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브라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피더에서 배출되는 롤테이프가 일방향으로 이탈되지 않고 상기 커터의 유도부로 안내될 수 있도록 상기 피더의 하단에 마련되는 걸림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걸림판은 "ㄱ" 형상의 단 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본체에 설치되되 상기 피더에서 상기 커터의 유도부로 투입되는 피절단물에 잔류하는 실장용 부품이 자유낙하하여 수거될 수 있도록 상기 커터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부가 개구된 부품수거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부품을 인쇄회로기판에 실장하는 표면실장기에 있어서,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피더몸체와 상기 피더몸체의 일측에 고정되는 릴과 실장용 부품이 구속되며 상기 릴에 권취되는 롤테이프를 구비하며 상기 릴에서 풀리는 롤테이프를 상기 본체의 내측으로 이송하고 상기 롤에서 상기 테이프를 분리시킨 후 분리된 상태로 롤테이프를 배출하는 복수의 피더와, 상기 피더의 하단에 위치되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며 상기 피더에서 배출되는 피절단물이 제1피절단물과 제2피절단물로 분리하여 유입되도록 하는 분리가이드부와, 상기 분리가이드부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며 상기 분리가이드부를 통해 유입되는 제1피절단물이 투입될 수 있도록 상면에 투입구가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몸체부의 투입구로 투입되는 제1피절단물을 절단하는 커팅부와 상기 분리가이드를 통해 유입되는 제1피절단물이 상기 몸체부의 투입구로 안내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 형성되는 유도부를 구비하는 커터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되 일단이 상기 커터의 유도부 의 외측에 부착되고 타측이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상기 분리가이드부에 의해 분리되는 제2피절단물을 안내하는 제2피절단물 가이드부와, 상기 커터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되 상기 커터에 의해 절단되는 제1피절단물이 낙하하여 보관되는 제1피절단물 보관부와 상기 제2피절단물 가이드부에 의해 안내되는 제2피절단물이 보관되는 제2피절단물 보관부로 구획되는 보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절단물 커터를 갖는 표면실장기를 제공함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표면실장기에 부품을 공급하기 위해 마련되는 카트에 있어서, 하부에 이동수단을 가지며 상기 표면실장기에 탈착결합될 수 있는 카트몸체와, 상기 카트몸체의 상단에 설치되는 피더몸체와 상기 피더몸체의 일측에 고정되는 릴과 실장용 부품이 구속되며 상기 릴에 권취되는 롤테이프를 구비하며 상기 릴에서 풀리는 롤테이프를 상기 카트몸체의 내측으로 이송하고 상기 롤에서 상기 테이프를 분리시킨 후 분리된 상태로 롤테이프를 배출하는 복수의 피더와, 상기 피더의 하단에 위치되도록 상기 카트몸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며 상기 피더에서 배출되는 롤테이프가 투입될 수 있도록 상면에 투입구가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몸체부의 투입구로 투입되는 롤테이프를 절단하는 커팅부와 상기 피더에서 배출되는 롤테이프가 상기 몸체부의 투입구로 안내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 형성되는 유도부를 구비하는 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절단물 커터를 갖는 표면실장기용 일괄 피더 공급 카트를 제공함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커터는 상기 카트몸체에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커터에 고정되는 평판과, 일단이 상기 평판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판을 구비하여, 상기 커터가 상기 카트몸체에 설치되도록 하되 설치각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브라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카트몸체에 설치되되 상기 피더에서 상기 커터로 투입되는 피절단물에 잔류한 실장용 부품이 자유낙하하여 수거될 수 있도록 상기 커터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부가 개구된 부품수거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표면실장기용 피절단물 커터와 피절단물 커터를 갖는 표면실장기에 의하면, 피더에서 배출되는 피절단물이 경사지게 설치되는 커터의 유도부와 피더의 하부에 마련되는 걸림판에 의해 커터로 자동으로 투입될 수 있기 때문에, 휘거나 꼬이고 말리는 피절단물을 수작업으로 투입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어 불필요한 인력소모가 절감될 수 있다.
또한, 피절단물이 피더에서 배출되어 커터로 투입되기 전 경사를 유지하여 피절단물내에 잔류한 실장용 부품이 자동으로 낙하될 수 있기 때문에, 실장용 부품의 분리수거로 재활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커터의 칼날 손상을 방지하여 커터의 수명이 연장될 수 있다.
또한, 표면실장기나 표면실장기용 일괄 피더 공급 카트에 커터가 경사지게 설치됨으로써, 피절단물의 절단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표면실장기나 표면실장기용 일괄 피더 공급 카트의 커터의 상측에 분리가이드부가 마련되어 절단물이 제1피절단물과 제2피절단물로 분리되어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제1피절단물과 제2피절단물의 편리한 분리 수거가 가능하며, 특히 제2피절단물 가이드부가 마련됨으로써 제2피절단물을 보관부로 효율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피절단물 커터가 표면실장기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a는 도 1의 A-A부 단면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 및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착형 표면실장기용 자동 피절단물 커터(300)는 표면실장기의 내부에 설치되어 표면실장기의 피더에서 배출되는 피절단물을 절단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몸체부(310), 커팅부(320), 유도부(3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몸체부(310)는 표면실장기의 본체(100)에 설치되는 피더(200)의 하단에 위치되도록 표면실장기의 본체(100)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설치된다. 그리고, 몸체 부(310)의 상면에는 투입구(312)가 형성되는데, 이 투입구(312)로 피더(200)에서 배출되는 피절단물이 투입된다. 따라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표면실장기의 본체(100)에 복수개의 피더(200)가 나열되도록 설치되므로, 그에 대응되도록 투입구(312)도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팅부(320)는 몸체부(310)의 하부에 설치되며 몸체부(310)의 투입구(312)로 투입되는 피절단물을 절단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커팅부(320)로 일반적인 표면실장기의 피절단물 절단장치의 커팅수단이 이용될 수 있으며, 특히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칼날(도시되지 않음), 구동모터(322), 랙기어(323), 피니언기어(324), 회전칼날(325)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몸체부(310)의 투입구(312) 하부 일측에 고정칼날이 고정되도록 하고, 몸체부(310)의 투입구(312) 하부에 고정칼날과 칼날이 일부 겹쳐지는 회전칼날(325)이 설치되도록 하여, 회전칼날(325)이 투입구(312)가 형성되는 길이방향으로 왕복이동함과 동시에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피절단물이 고정칼날과 회전칼날(325)에 의해 절단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회전칼날(325)의 수평이동과 회전을 위해 랙기어(323)와 피니언기어(324)가 마련된다. 랙기어(323)는 몸체부(31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설치고정되고, 피니언기어(324)는 랙기어(323)와 치합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회전칼날(325)은 피니언기어(324)의 기어축(도면부호 표시되지 않음)과 결합된다. 따라서, 구동모터(322)에 의해 구동력이 제공되면, 몸체부(310)가 전후로 이동되고 몸체부(310)에 고정된 랙기어(323)도 함께 전후 이동된다. 이때, 랙기어(323)와 치합 되어 있는 피니언기어(324)가 회전을 하게 되며 피니언기어(324)와 결합되는 회전칼날(325)도 회전을 하게 된다. 이에 따라, 피니언기어(324)가 랙기어(323) 상에서 왕복으로 수평이동될 수 있으며, 이때 회전칼날(325)이 피니언기어(324)와 일체로 회전됨과 동시에 수평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고정칼날과 회전칼날(325)을 이용하게 되면, 가벼운 피절단물의 밀림현상이나 쏠림현상이 발생됨이 없이 피절단물을 절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유도부(330)는 휘거나 꼬이고 말린 상태로 피더(200)에서 배출되는 피절단물을 몸체부(310)의 투입구로 자동으로 투입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몸체부(310)의 상면, 구체적으로 투입구(312)의 상측에 형성된다. 이 유도부(330)는 대략 사각형의 관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 외에도 중공의 부재이기만 하면 제한없이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으며, 이로써 피절단물의 안내통로(331)를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유도부(330)는 몸체부(310)의 상면에서 피더(200)의 피절단물(230) 배출구(도면부호 표시되지 않음)에 근접하는 정도의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더(200)에서 배출되는 휘어진 상태의 피절단물이 유도부(330)를 통해 몸체부(310)의 투입구(312)로 자동으로 투입될 수 있어 별도로 피절단물 투입을 위한 인력이 불필요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몸체부(310), 커팅부(320), 유도부(330)는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것은 피절단물(230)이 용이하게 투입되도록 함과 동시에, 피절단물(230)이 용이하게 절단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하방으로 배출되는 피절 단물(230)의 면에 대해 커팅부(320)의 고정칼날과 회전칼날(325)을 경사를 이루게 되면 피절단물(230)의 면에 대해 직각을 이루는 경우보다 용이하게 절단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면실장기용 자동 피절단물 커터의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면실장기용 자동 피절단물 커터는 표면실장기의 내측에 탈착결합될 수 있는 프레임(340), 프레임(340)의 상단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며 상면에 투입구가 형성되는 커터몸체부(350), 커터몸체부(350)의 하부에 설치되며 커터몸체부(350)의 투입구로 투입되는 피절단물을 절단하는 커팅부, 유도부(3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커팅부, 유도부(370)는 전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표면실장기용 피절단물 커터의 커팅부, 유도부(370)와 기술적 특징이 동일하며,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서의 피전단물 커터는 전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는 달리 표면실장기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표면실장기에 탈착결합이 가능하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이를 위해, 하부에 이동수단(342)을 갖고 표면실장기에 탈착결합이 가능한 프레임(340)이 마련되는 것이다. 한편, 이 경우 표면실장기에는 피더가 미리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그리고, 프레임(340)이 표면실장기에 결합되는 경우 커터몸체부(350)는 표면실장기의 피더 하단에 위치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1 및 도 2에는 자동 피전달물 커터가 설치된 표면실장기가 도시되어 있다. 이를 참조하여 자동 피전달물 커터를 갖는 표면실장기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실장기는 본체(100), 피더(200), 커터(300)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브라켓(400), 걸림판(500), 부품수거함(60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피더(200)는 본체(100)에 설치되어 본체(100) 내부로 롤테이프(230)로 이루어지는 표면실장용 부품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본체(100)에 설치되는 피더몸체(210), 피더몸체(210)의 일측에 고정되는 릴(220), 실장용 부품이 구속되며 릴에 권취되는 롤테이프(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피더(200)는 릴(220)에서 풀리는 롤테이프(230)를 본체(100)의 내측으로 이송공급하고 롤(232)에서 테이프(234)를 분리시킨 후 분리된 상태로 롤(232)과 테이프(234)를 배출하게 된다.
한편, 롤테이프(2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부품이 설치되는 이형지와, 전자부품을 보호하기 위해 이형지에 부착되는 보호덮개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이형지는 종이, 수지, 플라스틱, 비닐류 등이 이용될 수 있고, 보호덮개는 비닐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터(300)는 피더(200)의 하단에 위치되도록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피더(200)에서 배출되는 피절단물(230)을 절단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본체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며 상면에 투입구가 형성되는 몸체부(310), 몸체부(310)의 하부에 설치되어 투입되는 피절단물(230)을 절단하는 커팅부(320), 피 더(200)에서 배출되는 피절단물(230)이 몸체부(310)의 투입구로 안내되도록 몸체부(310)의 상면에 형성되는 유도부(3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커터(300)의 몸체부(310), 커팅부(320) 및 유도부(330)는 전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착형 표면실장기용 자동 피절단물 커터의 몸체부(310), 커팅부(320) 및 유도부(330)와 동일한 것이며, 이에 대한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브라켓(400)은 커터(300)를 본체(100)에 결합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즉, 커터(300)가 일반적인 결합방식으로 본체(100)에 설치될 수도 있겠으나, 별도의 브라켓(400)이 마련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브라켓(400)은 커터(300)의 양단에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평판(410), 일단이 평판(410)에 고정되고 타단이 본체(100)의 내측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판(4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평판(410)과 고정판(420)은 서로 절곡형성되어 일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브라켓(400)의 타단이 본체(1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것은 커터(300)의 설치각도를 조절하기 위함이며, 커터(300)의 회전상태를 나타낸 개략도가 도 2b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브라켓(400)의 고정판(420)을 회전시키는 방식은 여러 방식이 있을 수 있으나, 도 2b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나사(도면부호 표시되지 않음)를 이용하여 고정판(420)의 일측을 본체(100)에 고정시키고, 고정판(420)의 타측에 소정의 곡률을 갖는 홀(422)을 형성하고 제2나사(424)로 홀(422)을 통과시켜 본체(100)에 고정되도록 한다. 따라서, 브라켓(400)의 고정판(420)은 홀(422)을 따라 회전이동이 가능하게 되고, 이와 더불어 브라켓(400)에 연결되는 커터(300)도 회전이동이 가능하게 되어, 커터(300)의 설치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걸림판(500)은 피더(200)에서 배출되는 피절단물(230)이 하방으로 배출될 때 일방향으로 이탈됨이 없이 커터(300)의 유도부(330)로 유입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즉, 피더(200)의 릴(220)에 감겨있다가 공급되는 피절단물(230)은 풀리기 전의 형상으로 복원되려는 탄성을 갖기 때문에, 피더(200)에서 실장용 부품(236)이 분리된 후 피더(200)의 하방으로 배출되는 피절단물(230)이 상방을 향하는 곡선형태를 이루게 되어, 커터(300)의 유도부(330)로 유입되기 전에 이탈될 수 있는 염려가 있는데, 이러한 피절단물(230)의 일방향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걸림판(500)이 마련되는 것이다.
걸림판(500)은 피더(200)의 하단, 더 상세하게는 피더(200)의 피절단물(230) 배출통로(도면부호 표시되지 않음)의 전방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대략 "ㄱ"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따라서, 피더(200)에서 경사지게 배출되는 피절단물(230)이 상방을 향하는 곡선형태를 이루게 되더라도 피절단물(230)의 상면이 걸림판(500)에 걸리게 됨으로써 일방향으로 이탈되지 않고 커터(300)의 유도부(330)로 안내가 될 수 있고, 피절단물(230)은 커터(300)의 내부에서 연속적으로 절단되어 폐기처리될 수 있다.
부품수거함(600)은 피더(200)에서 커터(300)의 유도부(330)로 투입되는 피절단물(230)에 잔류하는 실장용 부품(236)이 자유낙하할 때 수거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커터(300)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부가 개구되어 있으며, 또한 부품수거함(600)에 수거된 실장용 부품(236)의 취출이 용이하도록 부품수거함(600)은 이동이 가능하도록 레일(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본체에 결합될 수도 있다.
즉, 피더(200)에서 배출되는 피절단물(230)이 커터(300)의 유도부(330)로 경사진 방향으로 투입되기 때문에 피절단물(230)에 잔류하는 실장용 부품(236)이 용이하게 분리되어 자유낙하를 하게 되고, 또한 피절단물(230)이 경사각을 이루면서 요동될 때 걸림판(500)에 부딪혀 충격을 받게 되면 피절단물(230)에 잔류하고 있는 실장용 부품(236)이 하방으로 낙하하게 되는데, 이러한 낙하하는 실장용 부품(236)을 수거하기 위해 마련되는 것이 부품수거함(600)이다.
따라서, 커터(300)로 투입되는 피절단물(230)에는 더 이상 실장용 부품(236)이 잔류하지 않게 되어, 커터(300)의 절단공정시 실장용 부품(236)에 의해 칼날이 손상될 염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실장용 부품(236)의 재활용도 가능해진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피절단물 커터를 갖는 표면실장기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표면실장기의 측단면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피절단물 커터를 갖는 표면실장기는 본체(100'), 피더(200'), 커터(300'), 분리가이드부(700'), 제2피절단물 가이드부(800'), 보관부(9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본체(100'), 피더(2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표면실장기의 본 체(100), 피더(200)와 기술적 특징이 동일하며, 도면부호는 표시하였지만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피더(200')에는 분리기(240')가 마련되며, 이 분리기(240')로 인해 피절단물(230')이 제1피절단물(234')과 제2피절단물(232')로 분리가 된다. 이러한 분리기(240')에는 분리된 제1피절단물(234')이 커터(300')를 향하도록 안내하는 이동통로(241')가 형성되며, 분리된 제2피절단물(232')이 하방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구동릴(242')이 설치된다.
분리가이드부(700')는 피더(200')의 분리기(240')에서 분리된 후 배출되는 제1피절단물(234')과 제2피절단물(232')을 분리하여 커터로 유입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피더(200')의 하단에 위치되도록 본체(100')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되 본체(100')의 상측에 형성되는 홀 사이에 설치되며, 대략 하부가 개구된 "ㄷ"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터(300')는 분리가이드부(700')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본체(100')에 설치되며, 이 커터(300')에 의해 피더(200')에서 배출되는 제1피절단물(234')이 절단된다. 이러한 커터(300')의 기타 기술적 특징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표면실장기의 커터(300)와 동일하므로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2피절단물 가이드부(800')는 본체(100')의 내부에 설치되되, 일단이 커터(300')의 유도부(330')의 외측에 부착되고 타측이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분리가이드부(700')에 의해 분리되어 하방으로 배출되는 제2피절단물(232')을 보관부(900')로 안내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제2피절단물 가이드 부(800')가 부착되는 커터(300')의 반대쪽에 제1피절단물 가이드부(810')가 별도 형성될 수 있다.
보관부(900')는 낙하하는 제1피절단물(234')과 제2피절단물(232')이 수용되는 것으로서, 커터(300')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본체(100')에 설치된다. 이러한 보관부(900')는 커터(300')에 의해 절단되는 제1피절단물(234')이 낙하하여 보관되는 제1피절단물 보관부(910')와, 제2피절단물 가이드부(800')에 의해 안내되는 제2피절단물(232')이 보관되는 제2피절단물 보관부(920')로 구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1피절단물(234')과 제2피절단물(232')이 분리 보관될 수 있어 용이하게 분리 수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피절단물 커터를 갖는 표면실장기용 일괄 피더 공급 카트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표면실장기용 일괄 피더 공급 카트의 측단면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피절단물 커터를 갖는 표면실장기용 일괄 피더 공급 카트는 카트몸체(110''), 피더(200''), 커터(300'')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브라켓(400''), 부품수거함(60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카트몸체(110'')는 하부에 이동수단이 마련되며, 표면실장기의 본체(100'')의 내측에 탈착결합될 수 있다.
피더(200'')는 피더몸체(210''), 릴(220''), 롤테이프(230'')로 이루어지고, 커터(300'')는 몸체부(310''), 커팅부(320''), 유도부(330'')로 이루어지는데, 이 러한 피더(200'')와 커터(300''), 나아가 브라켓(400'') 및 부품수거함(600'')은 카트몸체(110'')에 설치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표면실장기의 피더(200), 커터(300), 브라켓(400) 및 부품수거함(600)과 그 기술적 특징이 동일하며, 여기에서는 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표면실장기용 일괄 피더 공급 카트에는 다양한 실장용 부품(236'')이 복수개의 롤(232'')에 의해 각각의 릴(220'')에 세팅되어 있기 때문에, 일반적인 표면실장기의 경우처럼 릴에서 롤을 교환할 필요없이 일괄 피더 공급 카트를 통해 다양한 부품을 일정 공정시간 동안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일괄 피더 공급 카트에 세팅된 실장용 부품(236'')이 모두 소모된 후에는 동일한 공정시간 동안 실장용 부품(236'')을 공급할 수 있는 다른 일괄 피더 공급 카트를 표면실장기 측으로 도킹시키거나 다시 실장용 부품(236'')을 종류별로 동일하게 세팅함으로써 일정 공정시간 동안 표면실장기에 실장부품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피절단물 커터가 표면실장기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a는 도 1의 A-A부 단면을 나타낸 개략도.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피절단물 커터의 회전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착형 표면실장기용 자동 피절단물 커터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피절단물 커터를 갖는 표면실장기의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표면실장기의 측단면을 나타낸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피절단물 커터를 갖는 표면실장기용 일괄 피더 공급 카트의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표면실장기용 일괄 피더 공급 카트의 측단면을 나타낸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00, 100' : 본체 100'' : 카트몸체
200, 200', 200'' : 피더 210, 210', 210'' : 피더몸체
220, 220', 220'' : 릴 230, 230', 230'' : 피절단물
300, 300', 300'' : 커터 310, 310', 310'' : 몸체부
320, 320', 320'' : 커팅부 322 : 구동모터
323 : 랙기어 324 : 피니언기어
325 : 회전칼날 330, 330', 330'' : 유도부
340 : 프레임 350 : 커터몸체부
400, 400'' : 브라켓 500 : 걸림판
600, 600'' : 부품수거함 700' : 분리가이드부
800' : 제2피절단물 가이드부 900, 900' : 보관부
910' : 제1피절단물 보관부 920' : 제2피절단물 보관부

Claims (15)

  1. 전자부품을 인쇄회로기판에 실장하는 표면실장기에 마련되어 표면실장기의 피더에서 배출되는 피절단물을 절단하는 커터에 있어서,
    상기 피더의 하단에 위치되도록 상기 표면실장기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며, 상기 피더에서 배출되는 피절단물이 투입될 수 있도록 상면에 투입구가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몸체부의 투입구로 투입되는 피절단물을 절단하는 커팅부; 및
    상기 피더에서 배출되는 피절단물이 상기 몸체부의 투입구로 안내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 형성되는 유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형 표면실장기용 자동 피절단물 커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 커팅부 및 유도부는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형 표면실장기용 자동 피절단물 커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커팅부는 상기 몸체부의 투입구 하부 일측에 고정되는 고정칼날과,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고정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설치 되는 랙기어와, 상기 랙기어와 치합되는 피니언기어와, 상기 몸체부의 투입구 하부에 상기 고정칼날과 일부 겹쳐지도록 마련되되 상기 피니언기어의 기어축과 결합되어 상기 피니언기어와 일체로 회전됨과 동시에 상기 투입구의 길이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는 회전칼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형 표면실장기용 자동 피절단물 커터.
  4. 전자부품을 인쇄회로기판에 실장하는 표면실장기의 피더에서 배출되는 피절단물을 절단하는 커터에 있어서,
    하부에 이동수단을 가지며, 상기 표면실장기의 내측에 탈착결합될 수 있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이 상기 표면실장기의 내측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표면실장기의 피더의 하단에 위치되도록 상기 프레임의 상단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며 상면에 투입구가 형성되는 커터몸체부;
    상기 커터몸체부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커터몸체부의 투입구로 투입되는 피절단물을 절단하는 커팅부; 및
    상기 표면실장기의 피더에서 배출되는 피절단물이 상기 커터몸체부의 투입구로 안내될 수 있도록 상기 커터몸체부의 상면에 형성되는 유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형 표면실장기용 자동 피절단물 커터.
  5. 전자부품을 인쇄회로기판에 실장하는 표면실장기에 있어서,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피더몸체와, 상기 피더몸체의 일측에 고정되는 릴과, 실장용 부품이 구속되며 상기 릴에 권취되는 롤테이프를 구비하며, 상기 릴에서 풀리는 롤테이프를 상기 본체의 내측으로 이송하고 상기 롤에서 상기 테이프를 분리시킨 후 분리된 상태로 롤과 테이프를 배출하는 복수의 피더; 및
    상기 피더의 하단에 위치되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며 상기 피더에서 배출되는 롤테이프가 투입될 수 있도록 상면에 투입구가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몸체부의 투입구로 투입되는 롤테이프를 절단하는 커팅부와, 상기 피더에서 배출되는 롤테이프가 상기 몸체부의 투입구로 안내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 형성되는 유도부를 구비하는 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피절단물 커터를 갖는 표면실장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커터는 상기 본체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피절단물 커터를 갖는 표면실장기.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커터에 고정되는 평판과, 일단이 상기 평판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판을 구비하여, 상기 커터가 상기 본체에 설치되도록 하되 설치각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피절단물 커터를 갖는 표면실장기.
  8. 청구항 5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더에서 배출되는 롤테이프가 일방향으로 이탈되지 않고 상기 커터의 유도부로 안내될 수 있도록 상기 피더의 하단에 마련되는 걸림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피절단물 커터를 갖는 표면실장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걸림판은 "ㄱ"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피절단물 커터를 갖는 표면실장기.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설치되되 상기 피더에서 상기 커터의 유도부로 투입되는 피절단물에 잔류하는 실장용 부품이 자유낙하하여 수거될 수 있도록 상기 커터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부가 개구된 부품수거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피절단물 커터를 갖는 표면실장기.
  11. 전자부품을 인쇄회로기판에 실장하는 표면실장기에 있어서,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피더몸체와, 상기 피더몸체의 일측에 고정되는 릴과, 실장용 부품이 구속되며 상기 릴에 권취되는 롤테이프를 구비하며, 상기 릴에서 풀리는 롤테이프를 상기 본체의 내측으로 이송하고 상기 롤에서 상기 테이프를 분리시킨 후 분리된 상태로 롤테이프를 배출하는 복수의 피더;
    상기 피더의 하단에 위치되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며, 상기 피더에서 배출되는 피절단물이 제1피절단물과 제2피절단물로 분리하여 유입되도록 하는 분리가이드부;
    상기 분리가이드부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며 상기 분리가이드부를 통해 유입되는 제1피절단물이 투입될 수 있도록 상면에 투입구가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몸체부의 투입구로 투입되는 제1피절단물을 절단하는 커팅부와, 상기 분리가이드를 통해 유입되는 제1피절단물이 상기 몸체부의 투입구로 안내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 형성되는 유도부를 구비하는 커터;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되, 일단이 상기 커터의 유도부의 외측에 부착되고 타측이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상기 분리가이드부에 의해 분리되는 제2피절단물을 안내하는 제2피절단물 가이드부; 및
    상기 커터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되, 상기 커터에 의해 절단되는 제1피절단물이 낙하하여 보관되는 제1피절단물 보관부와, 상기 제2피절단물 가이드부에 의해 안내되는 제2피절단물이 보관되는 제2피절단물 보관부로 구획되는 보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피절단물 커터를 갖는 표면실장기.
  12. 표면실장기에 부품을 일괄 공급하기 위해 마련되는 카트에 있어서,
    하부에 이동수단을 가지며, 상기 표면실장기에 탈착결합될 수 있는 카트몸체;
    상기 카트몸체의 상단에 설치되는 피더몸체와, 상기 피더몸체의 일측에 고정되는 릴과, 실장용 부품이 구속되며 상기 릴에 권취되는 롤테이프를 구비하며, 상기 릴에서 풀리는 롤테이프를 상기 카트몸체의 내측으로 이송하고 상기 롤에서 상기 테이프를 분리시킨 후 분리된 상태로 롤테이프를 배출하는 복수의 피더; 및
    상기 피더의 하단에 위치되도록 상기 카트몸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며 상기 피더에서 배출되는 롤테이프가 투입될 수 있도록 상면에 투입구가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몸체부의 투입구로 투입되는 롤테이프를 절단하는 커팅부와, 상기 피더에서 배출되는 롤테이프가 상기 몸체부의 투입구로 안내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 형성되는 유도부를 구비하는 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피절단물 커터를 갖는 표면실장기용 일괄 피더 공급 카트.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커터는 상기 카트몸체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피절단물 커터를 갖는 표면실장기용 일괄 피더 공급 카트.
  14. 청구항 12 또는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커터에 고정되는 평판과, 일단이 상기 평판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판을 구비하여, 상기 커터가 상기 카트몸체에 설치되도록 하되 설치각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피절단물 커터를 갖는 표면실장기용 일괄 피더 공급 카트.
  15. 청구항 12 또는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카트몸체에 설치되되 상기 피더에서 상기 커터로 투입되는 피절단물에 잔류한 실장용 부품이 자유낙하하여 수거될 수 있도록 상기 커터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부가 개구된 부품수거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피절단물 커터를 갖는 표면실장기용 일괄 피더 공급 카트.
KR1020080035215A 2008-03-07 2008-04-16 자동 릴 테이프 커터를 갖는 표면실장기 KR1009168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1724 2008-03-07
KR20080021724 2008-03-07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1598A Division KR100952963B1 (ko) 2009-08-04 2009-08-04 표면실장기용 일괄 피더 공급 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6271A true KR20090096271A (ko) 2009-09-10
KR100916838B1 KR100916838B1 (ko) 2009-09-14

Family

ID=41296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5215A KR100916838B1 (ko) 2008-03-07 2008-04-16 자동 릴 테이프 커터를 갖는 표면실장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683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6554B1 (ko) * 2017-03-09 2018-06-18 세일리코 주식회사 폐릴 자동 처리시스템
WO2019103279A1 (ko) * 2017-11-24 2019-05-31 김응남 Smd 자동 분류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15187A (ja) * 1997-05-21 1998-12-02 Tenryu Technic:Kk 電子部品実装機用外置き型テープカッター装置
KR100267844B1 (ko) * 1997-11-26 2000-10-16 조행범 자동표면실장기용 릴슬리터
KR200427505Y1 (ko) 2006-06-28 2006-09-27 이덕우 칩마운트용 릴테이프 컷팅장치
KR20090001869U (ko) * 2007-08-23 2009-02-26 최경림 전자부품 이송테이프 자동 절단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6554B1 (ko) * 2017-03-09 2018-06-18 세일리코 주식회사 폐릴 자동 처리시스템
WO2019103279A1 (ko) * 2017-11-24 2019-05-31 김응남 Smd 자동 분류 장치 및 방법
KR20190060461A (ko) * 2017-11-24 2019-06-03 김응남 Smd 자동 분류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6838B1 (ko) 2009-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48815B2 (ja) 部品実装機、リール保持装置
JP6498779B2 (ja) 部品実装機、リール保持装置
JP6204356B2 (ja) 部品実装機
JP6797829B2 (ja) テープフィーダ
JP5494424B2 (ja) 部品供給装置および部品実装装置
JP6049036B2 (ja) カセット式テープフィーダ及び部品実装機
JP3236729B2 (ja) 実装機のテープ回収装置
JP2013252964A (ja) 自動ワインダー
KR100369313B1 (ko) 전자부품 설치장치 및 설치방법
KR100916838B1 (ko) 자동 릴 테이프 커터를 갖는 표면실장기
JP6666678B2 (ja) 部品実装機、テープ廃棄タイミング報知方法
KR100952963B1 (ko) 표면실장기용 일괄 피더 공급 카트
JP2010153439A (ja) 表面実装機
CN106559976A (zh) 元件安装机及带回收方法
KR20110042729A (ko) 듀얼 픽업 타입의 부품실장기용 테이프 피더
CN107999672A (zh) 一种带式电子元件自动切脚机
KR101133789B1 (ko) 부품실장기용 테이프 자동공급장치의 테이프 가이드
KR101188343B1 (ko) 표면실장기용 릴 테이프 커팅장치
JP7084713B2 (ja) 部品廃棄ボックス自動交換システム。
KR200448473Y1 (ko) 이송테이프 자동 절단기용 유도부
US20140047966A1 (en) Discharge mechanism, substitute route member, part supply mechanis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ubstrate
JPH10224086A (ja) 電子部品装着システム
KR100952961B1 (ko) 이송테이프 자동 절단기
JP2009238821A (ja) 電子部品装着装置
KR20130088657A (ko) 부품 실장기용 캐리어 테이프 자동공급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