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6001A - 고정급수 및 자동급수로 서로 변경이 용이한 결합수단을가지는 가습기 - Google Patents

고정급수 및 자동급수로 서로 변경이 용이한 결합수단을가지는 가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6001A
KR20090096001A KR1020080021312A KR20080021312A KR20090096001A KR 20090096001 A KR20090096001 A KR 20090096001A KR 1020080021312 A KR1020080021312 A KR 1020080021312A KR 20080021312 A KR20080021312 A KR 20080021312A KR 20090096001 A KR20090096001 A KR 200900960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supply
coupling means
humidifie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1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44375B1 (ko
Inventor
최창섭
지승표
Original Assignee
(주)엔드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엔드테크 filed Critical (주)엔드테크
Priority to KR10200800213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4375B1/ko
Publication of KR20090096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60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43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43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동자의 초음파발진에 의해 공급된 물을 무화시켜 외부로 토출함으로써 실내를 가습시키는 가습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전원공급기, 송풍팬, 네브라이저와 송수관 및 PCB기판 등을 수용하여 안착 될 수 있는 공간을 지니도록 구성된 본체 및 소정의 물을 수용하게 형성된 공간부로서 상기 본체 내부에 구성된 진동자의 초음파발진에 의해 무화작용이 일어나는 저수실과 상기 저수실로 물을 공급하기 위해 외부로부터 공급받은 물이 저장되는 물통에 상기 저수실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로 구성되되 상기 급수부에서 상기 송수관으로 유입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는 급수조절장치를 간편하게 본체에 고정 및 분리할 수 있는 결합수단으로 구성하여 상기 결합수단에 의해 고정급수 및 자동급수로 서로 변경이 용이한 결합수단을 가지는 가습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정급수 및 자동급수로 서로 변경이 용이한 결합수단을 가지는 가습기{Humidifier with coupling means easy to change from regular watering to self-watering each other}
본 발명은 내부에 전원공급기, 송풍팬, 네브라이저와 송수관 및 PCB기판 등을 수용하여 안착 될 수 있는 공간을 지니도록 구성된 본체 및 소정의 물을 수용하게 형성된 공간부로서 상기 본체 내부에 구성된 진동자의 초음파발진에 의해 무화작용이 일어나는 저수실과 상기 저수실로 물을 공급하기 위해 외부로부터 공급받은 물이 저장되는 물통에 상기 저수실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로 구성되되 상기 급수부에서 상기 송수관으로 유입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는 급수조절장치를 간편하게 본체에 고정 및 분리할 수 있는 결합수단으로 구성하여 상기 결합수단에 의해 고정급수 및 자동급수로 서로 변경이 용이한 결합수단을 가지는 가습기.
일반적으로 가습기라 함은 실내의 습도를 조절하도록 구성된 가전제품으로 물을 끓여 발생하는 증기를 공기에 혼합시키는 훈증방식과, 젖은 필터에 공기를 통과시켜 물을 증기로 증발시키는 필터기화식, 흡입한 물을 원심력으로 날려 부딪히 게 하여 물입자를 생성하는 원심분무식, 초음파로 물을 진동시켜 분자상태의 물 입자를 공기 중에 방산하는 초음파 방식 등이 있다.
이러한 방식의 가습기 중 근래에는 사용이 간편하고 자동급수조절장치를 설치하기 용이한 초음파 방식의 가습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초음파 방식의 급수조절장치는 본체에서 분리 가능한 물통의 하부측에 위치한 덮개의 중앙부에 하부로 물이 흐르는 유로관과 스프링에 의해 상기 유로관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지지 된 니들밸브로 구성되고, 상기 니들밸브를 개폐하기 위한 방식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급수조절장치는 가습기의 본체에 결합 되는 물통의 형태에 따라 수동 및 자동의 급수방식이 정해져 있기 때문에 모델의 형태에 따라 매번 생산라인 및 금형을 따로 제작하여야 하며 이에 따라 급수조절장치의 형태도 매번 바뀌어야 하기 때문에 생산라인 변경에 따른 제조공정의 효율성이 매우 떨어지는 실정이었다.
이에 본 출원인 진동자의 초음파발진에 의해 공급된 물을 무화시켜 외부로 토출함으로써 실내를 가습시키는 가습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전원공급기, 송풍팬, 네브라이저와 송수관 및 PCB기판 등을 수용하여 안착 될 수 있는 공간을 지니도록 구성된 본체 및 소정의 물을 수용하게 형성된 공간부로서 상기 본체 내부에 구성된 진동자의 초음파발진에 의해 무화작용이 일어나는 저수실과 상기 저수실로 물을 공급하기 위해 외부로부터 공급받은 물이 저장되는 물통에 상기 저수실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로 구성되되 상기 급수부에서 상기 송수관으로 유입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는 급수조절장치를 간편하게 본체에 고정 및 분리할 수 있는 결합수단으로 구성하여 상기 결합수단에 의해 고정급수 및 자동급수로 서로 변경이 용이한 결합수단을 가지는 가습기를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상기 결합수단은 송수관연결부의 바닥면에 상기 관통공의 정하부 하단부에 위치하도록 내경에 나사산으로 형성된 너트홀과, 상기 너트홀에 삽입하며 외경에 나사산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진 헤드부와 상기 몸체와 헤드부를 관통한 중공으로 형성된 T자형 중공볼트로 구성되거나, 송수관연결부의 바닥면에 상기 관통공의 정하부 하단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중공홀과, 상기 중공홀에 삽입가능한 중공형태의 T자형 중공볼트와, 상기 T자형 중공볼트에 결합하는 너트로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가습기는 고정급수 및 자동급수로 서로 변경이 용이한 구성의 가습기로서, 현재 생산하고 있는 모델에서 구매자의 요구에 따라 즉시 고정급수 또는 자동 급수조절장치를 가지는 가습기로 대체가 용이하며, 이에 따라 생산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목적 및 구성을 가진 가습기를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결합수단에 의해 자동급수조절장치가 결합 된 모습을 나타낸 개요도이다.
본 발명의 의한 가습기는 내부에 전원공급기, 송풍팬, 네브라이저와 송수관(11) 및 PCB기판 등을 수용하여 안착 될 수 있는 공간을 지니도록 구성된 본 체(1)에 상기 본체(1)의 상부면에 소정의 물을 수용하게 형성된 공간부로서 상기 본체 내부에 구성된 진동자(21)의 초음파발진에 의해 무화작용이 일어나는 저수실(2)이 구성되고, 상기 저수실(2)로 물을 공급하기 위해 외부로부터 공급받은 물이 저장되는 물통(3)과 상기 저수실(2)로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물통의 하부에 구성된 하부뚜껑(32)의 중앙부에 하부로 물이 흐르는 유로관(333)과 스프링(332)에 의해 상기 유로관(333)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지지 된 니들밸브(331)로 구성된 급수부(33)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에는 물통(3)의 하부에 구성된 급수부(33)가 도 1의 화살표와 같이 안착 되는 상기 급수부(33)의 니들밸브(331)가 접하는 지점에 상하로 관통된 안착공(41)이 형성되어 있는 안착부(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안착부(4)의 하부에는 상기 유로관(333)을 통해 입수된 물이 상기 송수관(11)으로 통하는 공간부 형태의 연결로인 송수관연결부(12)와 상기 급수부(33)에서 상기 송수관연결부(12)로 유입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는 급수조절장치를 간편하게 본체(1)에 고정 및 분리할 수 있는 결합수단(100)이 구성된다.
상기 급수조절장치는 자동급수조절장치(5) 및 후술할 고정급수장치(6a)를 총칭하는 말이다.
도 1에서와 같이 자동급수조절장치(5)가 구성된 가습기는 가습도중 부족한 물을 보충하기 위해 상부뚜껑(31)이 구성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 형태라 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결합수단에 의해 자동급수조절장치가 결합 되는 모습을 나타 낸 개요도이며, 도 3은 도 1의 결합수단에 의해 자동급수조절장치가 결합 된 A부분을 나타낸 일부분 확대개요도이다.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결합수단(100)은 상기 안착공(41)의 정하부 송수관연결부(12)의 바닥면에 위치하는 내경에 나사산이 형성된 너트홀(120)과, 상기 너트홀(120)에 삽입하며 외경에 나사산이 형성된 몸체(112)와 상기 몸체(112)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진 헤드부(111)와, 상기 몸체(112)와 헤드부(111)를 관통하는 중공(113)으로 형성된 T자형 중공볼트(110)로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일반적으로 자동급수조절장치(5)는 상기 니들밸브(331)를 개폐하기 위해 전동수단이 구비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솔레노이드스위치(51)의 구동에 의해 수직으로 승·하강 하는 푸쉬로드(52)가 구성되어 있다.
도 2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서 자동급수조절장치(5)의 결합방법은 T자형 중공볼트(110)의 중공(113)부분에 푸쉬로드(52)가 삽입되고, 상기 푸쉬로드가 삽입된 T자형 중공볼트(210)는 송수관연결부(12)의 바닥면에 형성된 너트홀(120)에 결합 된다.
본 명세서의 도면에서는 송수관연결부(12)의 바닥면 두께를 얇게 표시하였기에 너트홀(120)이 송수관연결부(12)의 바닥면의 하부로 돌출되어 표시되었으나, 송수관연결부(12)의 바닥면이 두껍다면 너트홀(120)은 송수관연결부(12)의 바닥면의 하부로 돌출되지 않을 것이다.
한편, 상기 푸쉬로드(52)의 외주에는 물이 누수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푸쉬로드를 따라 수축 및 이완할 수 있는 신축성재질의 다이어프램(53)이 일체형으로 결합 되어 있으며, 상기 다이어프램(53)의 끝단부는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T자형 중공볼트(110)가 너트홀(120)에 결합 될 때, T자형 중공볼트(110)의 헤드부(111)의 하면에 의해 송수관연결부(12)의 바닥면에 고정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솔레노이드스위치(51)의 구동에 의해 푸쉬로드(52)는 T자형 중공볼트(110)의 내경에서 상하로 승·하강 하게 되며, 푸쉬로드(52)가 승강하여 최고점의 위치에 도달하면 푸쉬로드(52)의 상부측 안착부(4)의 안착공(41)에 정확히 안착되어 있는 급수부(33)의 니들밸브(331)를 상부로 밀게 되어 니들밸브(331)는 개방의 위치에 놓이게 되어 물통(3)의 물이 유로관(333)을 통해 하부의 송수관연결부(12)로 유입되게 된다.
그리고 일정한 양의 물이 유입되었다고 수위감지센서(13)에 의해 감지되면 솔레노이드스위치(51)의 구동에 의해 푸쉬로드(52)는 T자형 중공볼트(110)의 내경에서 하강하게 되고, 니들밸브(331)도 스프링(332)의 탄성에 의해 최초의 위치인 폐쇄되는 위치에 놓이게 됨으로써 물통(3)으로부터 물의 유입은 차단되게 된다.
이때, 상기 푸쉬로드(52)의 외주면에 형성된 신축성 재질의 다이어프램(53)이 T자형 중공볼트(110)의 헤드부(111)에 의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푸쉬로드(52)가 상승하여 최고점에 위치하더라도 T자형 중공볼트(110)의 내경에서 푸쉬로드(52)는 이탈되지 않게 된다.
니들밸브(331)의 구성 및 동작과정은 일반적인 가습기의 구조에서와 같은 동작과정 및 구조와 같으므로 니들밸브(331)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T자형 중공볼트(110)가 송수관연결부(12)의 바닥면에 결합시 패킹(7) 이 결합 되는 것도 일반적인 기술사항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는 도 1의 결합수단에 의해 고정급수장치가 결합 된 모습을 나타낸 개요도이며, 도 5는 도 4의 B부분을 나타낸 일부분 확대개요도이다.
고정급수장치(6a)의 일반적인 구성은 물통(3a)의 급수부(33a)가 안착 되는 본체(1a)의 안착부(4a)에 니들밸브의 정하부에 위치하며 상부로 돌출되어 항시 고정되어 있는 고정봉(61a)이 고정되어 있어서, 물통(3a)이 본체(1a)의 안착부(4a)에 결합시 상기 고정봉(61a)이 니들밸브(331a)를 항시 최고점의 위치에 놓이게 함으로써 니들밸브(331a)는 항시 개방의 위치에 놓이게 되고 급수부(33a)의 유로관(333a)을 통해 물이 하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 4의 화살표방향으로 물통(3a)과 본체(1a)의 안착부(4a)에 안착된다면 고정봉(61a)이 안착공(41a)을 관통 후 항시 안착공(41a)의 상부측으로 돌출되어 니들밸브(331a)를 항시 개방의 위치에 놓이도록 상부측으로 밀게 되는 것이다.
도 1에서의 자동급수조절장치(5)를 가진 가습기에서 도 2의 고정급수장치(6a)로 변경하고자 한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봉(61a)을 상기 T자형 고정볼트(110)의 중공(113)부분에 삽입 후, 삽입된 고정봉(61a)과 함께 T자형 고정볼트(61a)를 송수관연결부(12a)의 바닥면에 형성된 너트홀(120)에 삽입하여 결합시키면 된다.
도 5에서와 같이 유입되는 물의 하부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고정봉(61a)의 외주면에 실링(62a)을 형성한다면 더욱 탁월한 누수방지효과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실링(62a)은 누수방지를 위한 것으로 고정봉(61a)의 외주면과 일체로 도 2에서의 다이어프램(53)의 신축성 재질과는 다른 비 신축성 재질을 사용해도 무방하다.
물론, 도 5 및 도 6에서의 상기 고정봉(61a)의 외주면에 형성된 실링(62a) 및 고정봉(61a)의 형태는 일시 예를 나타낸 것으로 고정봉(61a)의 형태가 상기 T자형 중공볼트(110)의 내경에 삽입되어 고정되어 있는 기본조건의 형태만 충족한다면 고정봉(61a)은 다양한 형태로도 변경가능하다.
도 6과 도 7, 그리고 도 8은 각각 본 발명의 또 다른 결합수단에 의해 자동급수조절장치가 결합 된 모습을 나타낸 가습기의 개요도 및 도 6의 결합수단에 의해 자동급수조절장치가 결합 되는 모습을 나타낸 개요도 그리고 도 6의 결합수단에 의해 자동급수조절장치가 결합 된 C부분을 나타낸 일부분 확대개요도를 나타낸 것이다.
또 다른 결합수단에 의한 본 발명의 의한 가습기는 내부에 전원공급기, 송풍팬, 네브라이저와 송수관(11b) 및 PCB기판 등을 수용하여 안착 될 수 있는 공간을 지니도록 구성된 본체(1b)에 상기 본체(1b)의 상부면에 소정의 물을 수용하게 형성된 공간부로서 상기 본체 내부에 구성된 진동자(21b)의 초음파발진에 의해 무화작용이 일어나는 저수실(2b)이 구성되고, 상기 저수실(2b)로 물을 공급하기 위해 외부로부터 공급받은 물이 저장되는 물통(3b)과 상기 저수실(2b)로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물통의 하부에 구성된 하부뚜껑(32b)의 중앙부에 하부로 물이 흐르는 유로관(333b)과 스프링(332b)에 의해 상기 유로관(333b)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지지 된 니들밸브(331b)로 구성된 급수부(33b)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b)에는 물통(3b)의 하부에 구성된 급수부(33b)가 도 1의 화살표와 같이 안착 되는 상기 급수부(33b)의 니들밸브(331b)가 접하는 지점에 상하로 관통된 안착공(41b)이 형성되어 있는 안착부(4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안착부(4b)의 하부에는 상기 유로관(333b)을 통해 입수된 물이 상기 송수관(11b)으로 통하는 공간부 형태의 연결로인 송수관연결부(12b)와 상기 급수부(33b)에서 상기 송수관연결부(12b)로 유입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는 급수조절장치를 간편하게 본체(1b)에 고정 및 분리할 수 있는 결합수단(200)이 구성된다.
상기 급수조절장치는 자동급수조절장치(5b) 및 후술할 고정급수장치(6c)를 총칭하는 말이다.
도 6에서와 같이 또 다른 실시 예의 결합수단은 송수관연결부(12b)의 바닥면에 상기 안착공(41b)의 정하부 하단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관통공(230)과, 상기 관통공(230)에 삽입하며 외경에 나사산이 형성된 몸체(212)와 상기 몸체(212)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진 헤드부(211)와 상기 몸체(212)와 헤드부(211)를 관통한 중공(213)으로 형성된 T자형 중공볼트(210)와, 상기 T자형 중공볼트(210)에 결합하는 너트(220)로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또 다른 실시 예의 결합수단의 결합방법은 T자형 중공볼트(210)의 중공(213)부분의 직경과 꼭 맞는 직경을 갖는 푸쉬로드(52b)가 삽입되고, 상기 푸쉬로드(52b)가 삽입된 T자형 중공볼트(210)는 송수관연결부(210)의 바닥면에 형성된 관통공(230)에 결합 된다.
그리고 T자형의 중공볼트(210)를 고정하기 위해 너트(220)를 T자형 중공볼트(210)의 몸체(212)에 형성된 나사산과 나사 결합시키면 된다.
한편, 상기 푸쉬로드(52b)의 외주에는 물이 누수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푸쉬로드를 따라 수축 및 이완할 수 있는 신축성 재질의 다이어프램(53b)이 일체형으로 결합 되어 있으며, 상기 다이어프램(53b)의 끝단부는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T자형 중공볼트(210)가 관통공(230)을 통과하여 너트(220)에 의해 결합 될 때, T자형 중공볼트(210)의 헤드부(211)의 하면에 의해 송수관연결부(12b)의 바닥면에 고정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솔레노이드스위치(51b)의 구동에 의해 푸쉬로드(52b)는 T자형 중공볼트(210)의 내경에서 상하로 승·하강 하게 되며, 푸쉬로드(52b)가 승강하여 최고점의 위치에 도달하면 푸쉬로드(52b)의 상부측 안착부(4b)의 안착공(41b)에 정확히 안착되어 있는 급수부(33b)의 니들밸브(331b)를 상부로 밀게 되어 니들밸브(331b)는 개방의 위치에 놓이게 되어 물통(3b)의 물이 유로관(333b)을 통해 하부의 송수관연결부(12b)로 유입되게 된다.
그리고 일정한 양의 물이 유입되었다고 수위감지센서(13b)에 의해 감지되면 솔레노이드스위치(51b)의 구동에 의해 푸쉬로드(52b)는 T자형 중공볼트(210)의 내경에서 하강하게 되고, 니들밸브(331b)도 스프링(332b)의 탄성에 의해 최초의 위치인 폐쇄되는 위치에 놓이게 됨으로써 물통(3b)으로부터 물의 유입은 차단되게 된다.
이때, 상기 푸쉬로드(52b)의 외주면에 형성된 신축성 재질의 다이어프 램(53b)이 T자형 중공볼트(210)의 헤드부(211)에 의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푸쉬로드(52b)가 상승하여 최고점에 위치하더라도 T자형 중공볼트(210)의 내경에서 푸쉬로드(52b)는 이탈되지 않게 된다.
T자형 중공볼트(210)가 송수관연결부(12b)의 바닥면에 결합시 패킹(7b)이 결합 되는 것은 일반적인 기술사항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에서와 같이 자동급수조절장치(5)가 구성된 가습기는 가습도중 부족한 물을 보충하기 위해 상부뚜껑(31b)이 구성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 형태라 할 수 있다.
도 9는 도 1의 결합수단에 의해 고정급수장치가 결합 된 모습을 나타낸 개요도이며, 도 10은 도 9의 D부분을 나타낸 일부분 확대개요도이다.
고정급수장치(6c)의 일반적인 구성은 물통(3c)의 급수부(33c)가 안착 되는 본체(1c)의 안착부(4c)에 니들밸브(331c)의 정하부에 위치하며 상부로 돌출되어 항시 고정되어 있는 고정봉(61c)이 고정되어 있어서, 물통(3c)이 본체(1c)의 안착부(4c)에 결합시 상기 고정봉(61c)이 니들밸브(331c)를 항시 최고점의 위치에 놓이게 함으로써 니들밸브(331c)는 항시 개방의 위치에 놓이게 되고 급수부(33c)의 유로관(333c)을 통해 물이 하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도 8의 화살표방향으로 물통(3c)과 본체(1c)의 안착부(4c)에 안착된다면 고정봉(61c)이 안착공(41c)을 관통 후 항시 안착공(41c)의 상부측으로 돌출되어 니들밸브(331c)를 항시 개방의 위치에 놓이도록 상부측으로 밀게 되는 것이다.
도 6에서의 자동급수조절장치(5b)를 가진 가습기에서 도 9의 고정급수장 치(6c)를 가진 가습기로 변경하고자 한다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봉(61c)을 상기 T자형 중공볼트(210)의 중공(213)부분에 삽입 후 고정봉(61c)과 함께 T자형 중공볼트(210)를 송수관연결부(12c)의 바닥면에 형성된 관통공(230)에 삽입 후 T자형의 중공볼트(210)의 몸체(212)에 형성된 나사산 부분에 너트(220)를 결합시키면 된다.
물론, 유입되는 물의 하부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고정봉(61c)의 외주면에 도 10과 같이 실링(62c)을 형성한다면 더욱 탁월한 누수방지효과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실링(62c)은 누수방지를 위한 것으로 고정봉(61c)의 외주면과 일체로 도 2에서의 다이어프램(53b)의 신축성 재질과는 다른 비 신축성 재질을 사용해도 무방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결합수단에 의해 자동급수조절장치가 결합 된 모습을 나타낸 개요도.
도 2는 도 1의 결합수단에 의해 자동급수조절장치가 결합 되는 모습을 나타낸 개요도.
도 3은 도 1의 결합수단에 의해 자동급수조절장치가 결합 된 A부분을 나타낸 일부분 확대개요도.
도 4는 도 1의 결합수단에 의해 고정급수장치가 결합 된 모습을 나타낸 개요도.
도 5는 도 4의 B부분을 나타낸 일부분 확대개요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결합수단에 의해 자동급수조절장치가 결합 된 모습을 나타낸 가습기의 개요도.
도 7은 도 6의 결합수단에 의해 자동급수조절장치가 결합 되는 모습을 나타낸 개요도.
도 8은 도 6의 결합수단에 의해 자동급수조절장치가 결합 된 C부분을 나타낸 일부분 확대개요도.
도 9는 도 1의 결합수단에 의해 고정급수장치가 결합 된 모습을 나타낸 개요도.
도 10은 도 9의 D부분을 나타낸 일부분 확대개요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1a, 1b, 1c. 본체 2, 2a, 2b, 2c. 저수실
3, 3a, 3b, 3c. 물통 4, 4a, 4b, 4c. 안착부
5, 5b. 자동급수조절장치 6a, 6c. 고정급수장치
7, 7a, 7b, 7c. 패킹
11, 11a, 11b, 11c. 송수관 12, 12a, 12b, 12c. 송수관연결부
13, 13a, 13b, 13c. 수위감지센서 21, 21a, 21b, 21c. 진동자
31, 31c. 상부뚜껑 32, 32a, 32b, 32c. 하부뚜껑
33, 33a, 33b, 33c. 급수부 41, 41a, 41b, 41c. 안착공
51, 51b. 솔레노이드스위치 52, 52b. 푸쉬로드
53, 53b. 다이어프램
61a, 61c. 고정봉 62a, 62c. 실링
100, 200. 결합수단 110. T자형 중공볼트
120. 너트홀
210. T자형 중공볼트 220. 너트
230. 관통홀
111, 211. 헤드부 112, 212. 몸체
113, 213. 중공
331, 331a, 331b, 331c. 니들밸브 332, 332a, 332b, 332c. 스프링
333, 333a, 333b, 333c. 유로관

Claims (3)

  1. 진동자의 초음파발진에 의해 공급된 물을 무화시켜 외부로 토출함으로써 실내를 가습시키는 가습기에 있어서,
    내부에 전원공급기, 송풍팬, 네브라이저와 송수관 및 PCB기판 등을 수용하여 안착 될 수 있는 공간을 지니도록 구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면에 소정의 물을 수용하게 형성된 공간부로서 상기 본체 내부에 구성된 진동자의 초음파발진에 의해 무화작용이 일어나는 저수실과;
    상기 저수실로 물을 공급하기 위해 외부로부터 공급받은 물이 저장되는 물통과;
    상기 저수실로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물통의 하부에 구성된 뚜껑의 중앙부에 하부로 물이 흐르는 유로관과 스프링에 의해 상기 유로관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지지된 니들밸브로 구성된 급수부와;
    상기 물통의 하부에 구성된 급수부가 본체에 안착 되되, 상기 급수부의 니들밸브가 접하는 지점에 상하로 관통된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유로관을 통해 입수된 물이 상기 송수관으로 통하는 공간부 형태의 연결로인 송수관연결부와;
    상기 급수부에서 상기 송수관연결부로 유입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는 급수조절장치를 간편하게 본체에 고정 및 분리할 수 있는 결합수단으로 구성된 것이 특징인 고정급수 및 자동급수로 서로 변경이 용이한 결합수단을 가지는 가습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송수관연결부의 바닥면에 상기 관통공의 정하부 하단부에 위치하도록 내경에 나사산이 형성된 너트홀과, 상기 너트홀에 삽입가능하며 외경에 나사산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진 헤드부와 상기 몸체와 헤드부를 관통한 중공으로 형성된 T자형 중공볼트로 구성된 것이 특징인 고정급수 및 자동급수로 서로 변경이 용이한 결합수단을 가지는 가습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송수관연결부의 바닥면에 상기 관통공의 정하부 하단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중공홀과, 상기 중공홀에 삽입가능하며 외경에 나사산이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진 헤드부와 상기 몸체와 헤드부를 관통한 중공으로 형성된 T자형 중공볼트와, 상기 T자형 중공볼트에 결합가능한 너트로 구성된 것이 특징인 고정급수 및 자동급수로 서로 변경이 용이한 결합수단을 가지는 가습기.
KR1020080021312A 2008-03-07 2008-03-07 고정급수 및 자동급수로 서로 변경이 용이한 결합수단을가지는 가습기 KR1009443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1312A KR100944375B1 (ko) 2008-03-07 2008-03-07 고정급수 및 자동급수로 서로 변경이 용이한 결합수단을가지는 가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1312A KR100944375B1 (ko) 2008-03-07 2008-03-07 고정급수 및 자동급수로 서로 변경이 용이한 결합수단을가지는 가습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6001A true KR20090096001A (ko) 2009-09-10
KR100944375B1 KR100944375B1 (ko) 2010-02-26

Family

ID=41296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1312A KR100944375B1 (ko) 2008-03-07 2008-03-07 고정급수 및 자동급수로 서로 변경이 용이한 결합수단을가지는 가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437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23231A (zh) * 2016-06-30 2016-11-16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吸水纸更换方法及装置
WO2020186391A1 (zh) * 2019-03-15 2020-09-24 璞真生活有限公司 雾化装置
WO2020186390A1 (zh) * 2019-03-15 2020-09-24 璞真生活有限公司 雾化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3068U (ko) * 1996-10-30 1998-07-25 배순훈 가습기 물통 급수구 제어장치
JP2005061758A (ja) 2003-08-19 2005-03-10 Sharp Corp 給水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加湿器
KR100766430B1 (ko) 2007-04-26 2007-10-12 주식회사 노비타 물 보충이 가능한 가습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23231A (zh) * 2016-06-30 2016-11-16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吸水纸更换方法及装置
WO2020186391A1 (zh) * 2019-03-15 2020-09-24 璞真生活有限公司 雾化装置
WO2020186390A1 (zh) * 2019-03-15 2020-09-24 璞真生活有限公司 雾化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4375B1 (ko) 2010-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67774A1 (en) Portable humidifier
US6511050B2 (en) Humidifier
JP2008039382A (ja) 上部給水式加湿器
KR100944375B1 (ko) 고정급수 및 자동급수로 서로 변경이 용이한 결합수단을가지는 가습기
RU2002135070A (ru) Распылительная головка с регулируемой плотностью распыляемого аэрозоля для распылитель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действующего на принципе сжимания емкости
KR200439635Y1 (ko) 상부 급수식 가습기
KR200429314Y1 (ko) 상부 급수식 가습기
KR102179545B1 (ko) 부유형 유도관을 갖는 가습기
KR101261157B1 (ko) 하방향 수증기 배출 방식의 초음파 가습기
KR20160061011A (ko) 초음파 가습기
KR101630627B1 (ko) 생수병 가습기
KR20100107330A (ko) 가습기용 진동자 및 이를 이용한 가습기
KR200483926Y1 (ko) 가습기의 분무노즐
KR101266318B1 (ko) 멀티 가습기
KR100803037B1 (ko) 상부 급수 기능을 가지는 가습기 및 그의 상부 급수시제어방법
KR20180072236A (ko) 수조통과 가습조가 일체형 구조를 갖는 가습기
KR200446559Y1 (ko) 휴대용 가습기
JPH08278047A (ja) 加湿器
KR200185948Y1 (ko) 벽체형 가습기
RU2338125C1 (ru) Система увлажнения воздуха
CN220958751U (zh) 一种加湿器
KR20100012174U (ko) 휴대용 가습기
KR20100004490U (ko) 가습기 제어장치
KR200207346Y1 (ko) 향분사기를 가진 벽체형 가습기
JP3148436U (ja) 振動子上のスケールの析出を防止することができる超音波加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