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2174U - 휴대용 가습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가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2174U
KR20100012174U KR2020090006926U KR20090006926U KR20100012174U KR 20100012174 U KR20100012174 U KR 20100012174U KR 2020090006926 U KR2020090006926 U KR 2020090006926U KR 20090006926 U KR20090006926 U KR 20090006926U KR 20100012174 U KR20100012174 U KR 2010001217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or
hole
receiving
opening
portable humidifi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bandoned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69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갑순
Original Assignee
박갑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갑순 filed Critical 박갑순
Priority to KR20200900069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12174U/ko
Publication of KR2010001217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2174U/ko
Abandon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1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sound waves
    • A01M29/18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sound waves using ultrasonic sign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7/00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 B05B17/04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 B05B17/06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using ultrasonic or other kinds of vibr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02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with lighting fix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6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mproving the aesthetic appear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6Modules, e.g. for an easy mounting or trans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Bird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용 가습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측으로 개방된 개구부를 갖는 수용홈이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의 상단 내주면에 제1단(段)이 구비되며, 일측에 상기 수용홈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연통홀이 구비된 수용몸체; 상기 개구부에 설치되도록 상기 개구부에 대응되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하면 외주부에는 상기 제1단에 대응되는 제2단이 구비되고, 중심부에 관통홀이 형성된 커버플레이트; 상기 제1·제2단 사이에 개재되고,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오링; 상기 관통홀에 설치되는 진동자; 상기 수용홈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연통홀에 설치되는 전원선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진동자를 작동시키는 회로부가 구비된 회로기판; 및 상기 수용몸체의 상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하측으로 복수의 기둥이 구비되어 상기 기둥에 의해 상기 수용몸체의 상면 외주부에 설치되는 덮개부;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물이 담긴 다양한 용기에 설치될 수 있도록 작고 가볍게 제작되고 분해가 용이하므로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어 어디에서든 사용할 수 있고, 특히 전기적인 구성요소들이 위치되는 방수 처리된 밀폐 공간을 확보하면서도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그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며, 이에 따라 간편하고 깨끗하게 청소하여 청결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물에 방향제나 방충액 등을 혼합함으로써 방향 성분 및 방충 성분을 미세 물방울과 함께 비산시킬 수 있으며, 발광체가 구비되어 다양한 연출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모기퇴치 주파수의 음파를 송출하는 음파송출부가 구비되어 모기를 퇴치할 수도 있다.
휴대용, 가습기, 진동자

Description

휴대용 가습기 {Portable humidifier}
본 고안은 휴대용 가습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어 어디에서든 용기에 물을 담아 사용할 수 있고, 전기적인 구성요소들이 위치되는 방수 처리된 밀폐 공간을 확보하면서도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그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며, 이에 따라 간편하고 깨끗하게 청소할 수 있는 휴대용 가습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습기는 진동자를 이용하여 실내를 가습하는 것으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형 몸체를 이루는 본체하우징(10) 내에 물통(20)과, 물통(20)의 물을 공급받아 미세 물방울을 발생시키는 진동자부(30)가 구성되어 있다. 본체하우징(10)의 상부에는 진동자부(30)에서 발생된 미세 물방울을 실내로 분출 안내하는 노즐(40)이 설치되어 있으며, 본체하우징(10)의 전면부에는 가습기의 전기능을 조작하는 제어부(12)와 이의 작동상태가 디스플레이되는 표시부(11)가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가습기는 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 제어부(12)를 통해 조작시키면 진동자부(30)가 작동되고, 진동자부(30)에서는 물통(20)에서 물을 공급받아 약 1.7MHz의 초음파를 발진함으로써 미세 물방울을 발생시키고, 이러한 미세 물방울들은 노즐(40)을 통해서 실내로 배출되어 가습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가습기는 진동자부(30)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통이 본체하우징(10)의 내부에 설치되기 때문에 그 부피가 크고 무거워 가정에서만 사용이 적당하다. 따라서 여행시에는 가습기의 휴대와 사용이 불편하며, 보관 또한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그 조립 및 분해가 난해하여, 사용자는 외부에서 진동자 표면의 일부분에 대해서만 청소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그 청결 유지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전기적인 구성요소들이 별도로 밀폐된 공간에 존재하지 않고 산재되어 있어 사용자의 부주의로 물이 전기적인 구성요소들이 있는 공간으로 유입될 경우 심각한 고장을 일으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물이 담긴 다양한 용기에 설치되어 사용될 수 있도록 작고 가볍게 제작되고, 전기적인 구성요소들이 위치되는 별도의 밀폐 공간을 확보하면서도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그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한 휴대용 가습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가습기는, 상측으로 개방된 개구부를 갖는 수용홈이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의 상단 내주면에 제1단(段)이 구비되며, 일측에 상기 수용홈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연통홀이 구비된 수용몸체; 상기 개구부에 설치되도록 상기 개구부에 대응되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하면 외주부에는 상기 제1단에 대응되는 제2단이 구비되고, 중심부에 관통홀이 형성된 커버플레이트; 상기 제1·제2단 사이에 개재되고,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오링; 상기 관통홀에 설치되는 진동자; 상기 수용홈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연통홀에 설치되는 전원선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진동자를 작동시키는 회로부가 구비된 회로기판; 및 상기 수용몸체의 상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하측으로 복수의 기둥이 구비되어 상기 기둥에 의해 상기 수용몸체의 상면 외주부에 설치되는 덮개부;를 포함한다.
상기 휴대용 가습기는, 상기 관통홀의 하단 내주면에 형성된 제3단과 상기 진동자의 하면 사이에 개재되고,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실링체; 및 고리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진동자를 하측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관통홀의 상부에 설치되는 고리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용 가습기는, 상기 복수의 기둥 중 어느 하나의 내부에 측부가 개방된 관로가 형성되고, 상기 전원선이 개방된 측부를 통해 상기 관로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덮개부의 상측으로 인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진동자의 하면에 가압 접촉되어 상기 진동자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상면에 설치되는 압축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가습기는, 상기 전원선을 따라 상기 연통홀을 통해 상기 회로부 에 연결되고, 상기 관로가 구비된 기둥의 하측에 설치되어 물의 전기저항을 통한 전위차의 변화로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회로부는 상기 수위감지부를 통해 수위가 감지됨을 확인하여 상기 진동자를 작동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휴대용 가습기는, 상기 커버플레이트의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설치홀에 설치되고 상기 회로부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아 상측으로 빛을 방출하는 발광체; 및 상기 수용홈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회로부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아 모기퇴치 주파수인 200 ∼ 900 Hz의 음파를 송출하는 음파송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휴대용 가습기에 의하면, 물이 담긴 다양한 용기에 설치될 수 있도록 진동자 및 회로부 등이 수용몸체의 수용홈 내부에 모두 구비되어 작고 가볍게 제작됨으로써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다. 또한, 덮개부는 수용몸체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하여 부피를 더 작게할 수 있고 간편하게 재조립될 수 있도록 구비됨으로써 휴대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용홈은 커버플레이트의 오링과 실링체에 의해 밀폐됨으로써 물이 유입됨에 따라 그 내부의 전기적인 구성요소들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삽입홈을 통해 고리체를 회전시켜 관통홀에서 분리시킴으로써 진동자 표면 전면(全面)에 대해 청소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청결을 유지할 수 있고, 그 재조립도 용이 간편하다.
뿐만 아니라, 용기 내부에 담긴 물에 방향제나 방충액 등을 소량 혼합함으로써 방향 성분 및 방충 성분을 미세 물방울과 함께 비산시킬 수 있어 방향 기능 및 방충 기능을 겸할 수 있고, 발광체가 구비되어 수면등, 장식등의 용도로 다양한 연출이 가능하며, 모기퇴치 주파수의 음파를 송출하는 음파송출부가 구비되어 모기의 접근을 차단할 수도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그 범위가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가습기는, 물이 담긴 다양한 용기의 내부에 그 일부가 잠수되도록 설치되어 진동자를 이용하여 용기에 담긴 물을 미세 물방울로 비산시켜 가습하는 장치이다.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가습기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가습기는 수용몸체(100), 회로기판(200), 커버플레이트(300), 오링(400), 실링체(330), 진동자(500), 고리체(340), 덮개부(600), 수위감지부(700), 발광체(800) 및 음파송출부(900)를 포함한다.
상기 수용몸체(100)는 주요 구성요소들이 설치되도록 상측으로 개방된 개구 부(111)를 갖는 수용홈(110)이 내부에 형성되어 일종의 케이스 및 지지부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수용몸체(100)는 본 고안의 휴대용 가습기 사용시에 용기 내부의 물속에 잠기게 된다.
상기 수용몸체(100)의 상단 내주면에는 후술되는 커버플레이트(300)의 하면에 형성된 제2단(310)에 대응되는 제1단(11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용몸체(100)의 일측에는 수용홈(110)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연통홀(120)이 구비되는데, 이 연통홀(120)에는 전원선(PL)과 수위감지부(700)가 수용홈(110) 내부의 회로기판(200)에 연결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회로기판(200)은 수용홈(110)의 내부에 구비되고, 연통홀(120)에 설치되는 전원선(PL)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아 진동자(500)를 작동시키는 회로부(210)가 구비된다. 여기서, 전원선(PL)은 220V의 전원을 어댑터(AD)를 통해 회로부(210)에 인가될 수 있도록 적절히 변환된 전기가 공급되는 선이다.
이러한 회로부(210)는 발광체(800) 및 음파송출부(900)를 작동시키는 전력 및 신호를 인가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상기 커버플레이트(300)는 수용홈(110)의 개구부(111)에 설치되도록 개구부(111)에 대응되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하면 외주부에 수용몸체(100)의 제1단(112)에 대응되는 제2단(310)이 구비된다. 그리고, 그 중심부에는 진동자(500)가 설치되는 관통홀(320)이 형성된다.
상기 오링(400)은 탄성을 갖는 수지 또는 고무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커버플레이트(300)가 수용홈(110)의 개구부(111)에 설치될 때 제1단(112)과 제2단 (310)의 사이에 개재되어 커버플레이트(300)와 수용몸체(100)의 사이 틈을 통해 수용홈(110)으로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수용홈(110)의 상단 외주부를 밀폐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커버플레이트(300)는 수용몸체(100)의 상면에 형성된 복수의 체결홀(140)에 설치되는 복수의 볼트(B) 머리에 의해 가압 고정되는데, 이에 따라 상기 오링(400)은 제1단(112)과 제2단(310)의 사이에 개재된 상태로 가압되어 탄성 변형을 일으키고 이에 의해 제1단(112)과 제2단(310)의 사이가 완전히 밀폐되는 것이다.
한편,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플레이트(300)의 관통홀(320) 하단 내주면에는 제3단(321)이 형성되는데, 상기 실링체(330)는 탄성을 갖는 수지 또는 고무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진동자(500)가 관통홀(320)에 설치될 때, 제3단(321)과 진동자(500)의 하면 사이에 개재되어 진동자(500)와 관통홀(320)의 사이 틈을 통해 수용홈(110)으로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수용홈(110)의 상단 중심부를 밀폐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고리체(340)는 고리 형상으로 구비되고 관통홀(320)의 상부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322)에 나사 결합되어 진동자(500)의 상면 외주부를 가압한다. 이에 따라 상기 실링체(320)가 제3단(321)과 진동자(500)의 하면 사이에 개재된 상태로 가압되어 탄성 변형을 일으키고 이에 의해 제3단(321)과 진동자(500)의 사이가 밀폐된다.
따라서, 이러한 커버플레이트(300), 제1·제2·제3단(112, 310, 321), 실링 체(330), 고리체(340) 및 오링(400)에 의해 수용홈(110)의 개구부(111)가 완전히 밀폐되므로 수용몸체(100)가 물에 잠기더라도 물이 수용홈(110) 내부에 유입되지 않는다.
상기 고리체(340)가 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은 진동자(500)가 외부의 물과 접촉하여 미세 물방울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진동자(500)와 물이 접촉되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리체(340)에는 서로 일자를 이루도록 마주보는 위치에 삽입홈(341)이 형성되는데, 사용자는 이 삽입홈(341)에 일자형 도구를 삽입하여 고리체(340)를 회전시켜 용이하게 분리함으로써, 진동자(500)를 커버플레이트(300)로부터 완전히 분리시킬 수 있다. 따라서, 진동자(500) 표면 전면에 대한 청소가 용이하고 청소 후의 재조립도 매우 간편하다.
상기 진동자(500)는 관통홀(320)의 내부에 실링체(330)를 가압하도록 설치되고, 커버플레이트(300)가 복수의 볼트(B) 머리에 의해 가압됨에 따라 그 하면이 회로기판(200)에 설치된 압축스프링(220)에 가압 접촉되어 회로부(210)와 연결된 압축스프링(220)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으며, 이 전력을 이용하여 미세 물방울을 발생시킬 수 있는 약 1.7 MHz의 진동을 발생시킨다.
이처럼 진동자(500)가 압축스프링(220)에 의해 회로부(210)와 연결됨으로써, 청소 등을 위해 진동자(500)를 완전히 분리시킬 수 있으면서도, 동작 중에는 회로부(210)와의 전기적 연결을 견고하게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진동자(500)는 압축스프링(220) 에 의해 회로부(210)와 연결되도록 구비되었으나, 그 구비 형식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충분한 길이로 구비되는 전선으로 연결되어 진동자(500)가 분리되더라도 청소 작업을 위해 충분하게 인출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전술된 덮개부(600)는 수용몸체(100)의 상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하측으로 복수의 기둥(610)이 구비되어 이 기둥(610)에 의해 수용몸체(100)의 상면 외주부에 설치된다. 상기 덮개부(600)는 진동자(500)로부터 상측으로 물방울이 튀는 것을 차단하며, 전원선(PL)을 안전하게 상측으로 인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덮개부(600)의 기둥 중 수용몸체(100)의 연통홀(120)과 인접된 기둥 내부에는 전원선(PL)이 설치되는 관로(611)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관로(61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측부가 개방되어 있어 개방된 측부를 통해 전원선(PL)이 삽입 설치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에 따라, 회로기판(200)에 연결된 전원선(PL)은 연통홀(120)을 통해 수용홈(110)의 외부로 인출되고, 수용몸체(100)의 상면 일측에 형성된 통과홀(130) 및 관로(611)를 통해 덮개부(600)의 상측으로 인출된다. 물론 이때에 전원선(PL)이 설치된 후에 연통홀(120)은 수지재 등으로 충진되어 연통홀(120)을 통해 외부의 물이 수용홈(110)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밀폐된다.
이처럼, 전원선(PL)이 덮개부(600)의 상측으로 인출되면, 전원선(PL)이 물에 잠겨 있는 부분을 최소화함으로써,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고,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가습기를 물이 담기 용기에 위치시킬 때, 사용자가 손에 물 을 묻히지 않고 휴대용 가습기를 설치할 수 있는 일종의 손잡이 역할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덮개부(600)의 하면에는 둥글게 차단돌출부(620)가 하측으로 돌출 구비되는데, 이 차단돌출부(620)는 진동자(500)의 작동에 따라 미세 물방울이 발생될 때, 다소 큰 물방울이 발생되면서 상방, 측방으로 튀는 것을 차단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차단돌출부(620)는 덮개부(600)의 하면에 둥글게 돌출된 형태로 구비되었으나, 그 구비 위치 및 형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플레이트 형상으로 기둥 사이에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수위감지부(70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선(PL)을 따라 연통홀(120)을 통해 회로부(210)에 연결되고, 관로(611)가 구비된 기둥(610)의 하측, 즉 수용몸체(100)의 통과홀(130)에 설치되어 물의 전기저항을 통한 전위차의 변화로 수위를 감지한다.
다시 말해, 상기 수위감지부(700)가 물과 접촉되면 이를 감지하게 되는데 이때에는 수위감지부(700)의 끝단이 위치한 곳 이상으로 수위가 높은 상태이다. 이처럼 수위감지부(700)의 끝단이 위치한 곳이 진동자(500)의 위치보다 소정의 높이 이상으로 구비됨으로써 수위감지부(700)의 감지 신호에 따라 회로부(210)가 진동자(500)를 작동시키면 물이 없는 상태로 진동자(500)가 작동하여 고장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회로부(210)는 진동자(500)를 작동시키기 전에 우선적으로 수위감지부(700)의 감지 신호를 확인하여 물이 존재함을 확인한 후에 진동자(500)를 작동시 킨다.
상기 발광체(800)는 커버플레이트(300)의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설치홀(350)에 설치되고, 회로부(210)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아 상측으로 빛을 방출한다. 이러한 발광체(800)는 LED 등의 전력 소모량 및 부피가 작은 것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광체(800)는 전원선(PL)을 통해 전력이 공급됨과 동시에, 또는 진동자(500)가 작동함과 동시에 빛을 방출하도록 구비될 수 있는데, 이러한 발광체(800)를 통해 사용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가습기를 취침등 또는 장식등 등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음파송출부(900)는 수용홈(110)의 내부, 커버플레이트(300)의 하면에 설치되고, 회로부(210)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아 모기퇴치 주파수인 200 ∼ 900 Hz의 음파를 송출한다. 이러한 주파수의 음파는 수컷 모기의 날개 소리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주로 흡혈을 하는 암컷 모기가 싫어하는 소리이다.
따라서, 상기 음파송출부(900)는 전원선(PL)을 통해 전력이 공급됨과 동시에 상기 주파수의 음파를 송출하도록 구비되어 모기를 퇴치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음파송출부(900)는 커버플레이트(300)의 하면에 설치되었으나, 그 구비 위치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회로부(210)에 내장된 형태로 회로기판(200)에 직접 설치될 수도 있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가습기의 동작 및 사용상태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전원선(PL)을 통해 회로부(210)에 전원을 공급한다(s100). 그러면 회로부(210)를 통해 발광체(800)에 전력이 공급되고 발광체(800)인 LED가 점등된다(s200).
또한, 상기 회로부(210)를 통해 음파송출부(900)에도 전력이 공급되어 음파송출부(900)에서 모기퇴기 주파수인 200 ∼ 900 Hz의 음파를 송출한다(s300).
다음, 상기 회로부(210)는 수위감지부(700)를 확인하여 수위를 점검한다(s400). 이때, 수위감지부(700)를 통해 물이 감지되지 않으면 진동자(500)를 작동시키지 않고 반복적으로 수위감지부(700)를 확인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이와 반대로, 상기 수위감지부(700)에 물이 감지되면 회로부(210)는 전력을 공급하여 진동자(500)를 작동시킨다(s500). 그러면 진동자(500)가 약 1.7 MHz의 초음파를 발생시킴으로써 물을 미세 물방울 형태로 공기 중에 비산시켜 가습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가습기를 이용하면, 물이 담긴 다양한 용기에 설치될 수 있도록 주요 구성요소들이 수용몸체(100)의 내부에 구비되어 작고 가볍게 제작되므로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어 어디에서든 사용할 수 있고, 특히 전기적인 구성요소들이 위치되는 수용홈(110)을 방수를 위해 밀폐시킬 수 있으면서도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그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므로 간편하고 깨끗하게 청소하여 청결을 유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 명백 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어 있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가습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가습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가습기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가습기의 도 2에 도시한 A-A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가습기의 주요 구성요소를 도시한 개략도,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가습기의 동작 순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수용몸체 110 : 수용홈
111 : 개구부 112 : 제1단
120 : 연통홀 130 : 통과홀
140 : 체결홀 150 : 설치홈
200 : 회로기판 210 : 회로부
220 : 압축스프링 300 : 커버플레이트
310 : 제2단 320 : 관통홀
321 : 제3단 322 : 나사산
330 : 실링체 340 : 고리체
341 : 삽입홈 350 : 설치홀
400 : 오링 500 : 진동자
600 : 덮개부 610 : 기둥
611 : 관로 612 : 삽입돌기
620 : 차단돌출부 700 : 수위감지부
800 : 발광체 900 : 음파송출부
AD : 어댑터 B : 볼트
PL : 전원선

Claims (6)

  1. 상측으로 개방된 개구부를 갖는 수용홈이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의 상단 내주면에 제1단(段)이 구비되며, 일측에 상기 수용홈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연통홀이 구비된 수용몸체;
    상기 개구부에 설치되도록 상기 개구부에 대응되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하면 외주부에는 상기 제1단에 대응되는 제2단이 구비되고, 중심부에 관통홀이 형성된 커버플레이트;
    상기 제1·제2단 사이에 개재되고,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오링;
    상기 관통홀에 설치되는 진동자;
    상기 수용홈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연통홀에 설치되는 전원선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진동자를 작동시키는 회로부가 구비된 회로기판; 및
    상기 수용몸체의 상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하측으로 복수의 기둥이 구비되어 상기 기둥에 의해 상기 수용몸체의 상면 외주부에 설치되는 덮개부;
    를 포함하는 휴대용 가습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의 하단 내주면에 형성된 제3단과 상기 진동자의 하면 사이에 개재되고,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실링체; 및
    고리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진동자를 하측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관통홀의 상부에 설치되는 고리체;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가습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기둥 중 어느 하나의 내부에 측부가 개방된 관로가 형성되고, 상기 전원선이 개방된 측부를 통해 상기 관로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덮개부의 상측으로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가습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진동자의 하면에 가압 접촉되어 상기 진동자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상면에 설치되는 압축스프링;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가습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선을 따라 상기 연통홀을 통해 상기 회로부에 연결되고, 상기 관로가 구비된 기둥의 하측에 설치되어 물의 전기저항을 통한 전위차의 변화로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회로부는 상기 수위감지부를 통해 수위가 감지됨을 확인하여 상기 진동자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가습기.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플레이트의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설치홀에 설치되고 상기 회로부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아 상측으로 빛을 방출하는 발광체; 및
    상기 수용홈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회로부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아 모기퇴치 주파수인 200 ∼ 900 Hz의 음파를 송출하는 음파송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가습기.
KR2020090006926U 2009-06-03 2009-06-03 휴대용 가습기 Abandoned KR2010001217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6926U KR20100012174U (ko) 2009-06-03 2009-06-03 휴대용 가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6926U KR20100012174U (ko) 2009-06-03 2009-06-03 휴대용 가습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2174U true KR20100012174U (ko) 2010-12-13

Family

ID=44204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6926U Abandoned KR20100012174U (ko) 2009-06-03 2009-06-03 휴대용 가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12174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03260A1 (ko) * 2012-06-28 2014-01-03 Ham Sunguk 초음파 디퓨져
KR200470848Y1 (ko) * 2013-02-18 2014-01-16 (주)어메이징그레이스 휴대용 가습기
KR101392236B1 (ko) * 2012-06-28 2014-05-19 (주)네오티즌 무선 초음파 가습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03260A1 (ko) * 2012-06-28 2014-01-03 Ham Sunguk 초음파 디퓨져
KR101392236B1 (ko) * 2012-06-28 2014-05-19 (주)네오티즌 무선 초음파 가습기
CN104428070A (zh) * 2012-06-28 2015-03-18 咸成旭 超声波喷雾器
KR200470848Y1 (ko) * 2013-02-18 2014-01-16 (주)어메이징그레이스 휴대용 가습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8851B1 (ko) 방향기능이 겸비된 세척이 간편한 초음파 가습기
JP5944538B2 (ja) 携帯型水素水製造装置
US7362037B2 (en) Ultrasonic transducer device for humidifier
KR101457537B1 (ko) 분리형 가습기
CN102274809B (zh) 雾化装置
JP2018079254A (ja) 口腔洗浄装置
JP2018079253A (ja) 口腔洗浄装置
KR20100012174U (ko) 휴대용 가습기
EP4119219A1 (en) Dual air passage intake structure, power supply device, and aerosol generating device
CN111389610A (zh) 一种喷液装置
WO2016152199A1 (ja) 超音波式ネブライザ
CN213312548U (zh) 一种便捷式雾化器
WO2016152198A1 (ja) 超音波式ネブライザ
KR200439635Y1 (ko) 상부 급수식 가습기
KR20180072236A (ko) 수조통과 가습조가 일체형 구조를 갖는 가습기
CN214128374U (zh) 一种具有香薰功能的洗手液机
JP4552932B2 (ja) 泡洗剤吐出装置の取付構造
RU183064U1 (ru) Увлажнитель воздуха
WO2021238156A1 (zh) 具有防漏液功能的洗手机
TW200420334A (en) Air cleaner
CN203797888U (zh) 水源供给装置及包含该装置的加湿空调扇
CN216798341U (zh) 一种具有液位检测功能的香薰机
JP2005237774A (ja) アレルゲン低減装置
CN218922390U (zh) 一种纸巾盒
CN220958752U (zh) 加湿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90603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406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U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