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3068U - 가습기 물통 급수구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가습기 물통 급수구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3068U
KR19980023068U KR2019960036443U KR19960036443U KR19980023068U KR 19980023068 U KR19980023068 U KR 19980023068U KR 2019960036443 U KR2019960036443 U KR 2019960036443U KR 19960036443 U KR19960036443 U KR 19960036443U KR 19980023068 U KR19980023068 U KR 1998002306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midifier
bucket
water
push rod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64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숙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20199600364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23068U/ko
Publication of KR1998002306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3068U/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습기 물통 급수구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가습기의 구조에서 가습기 본체 바닥과 물통(203)이 안착되는 담수조(200) 상부를 동시에 관통하는 본체 푸쉬로드(211)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본체 푸쉬로드(211)에는 압축스프링(212)이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있어 물통이 안착된 상태에서 가습기가 지면으로부터 떨어지면 상기 본체 푸쉬로드(211)에 설치된 스프링(212)이 압축된 상태에서 탄성력에 의해 복귀되면서 물통 푸쉬로드를 밀어올리던 힘이 사라짐으로써 자동으로 물통의 저면에 장착된 급수구(207)를 패킹(214)을 통해 잠구도록하여 물통(203)에 저장된 물이 가습기 본체(202)의 가습조(201)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되어 있다.
본 고안은 가습기가 물통이 안착된 상태에서 이동중이거나, 넘어지는 등 지면으로부터 떨어지면 자동으로 물통(203)에 저장된 물의 유입을 차단함으로써 가습조(207) 내부의 수위가 상승하는 것을 막고 가습기 외부로 물이 넘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가습기 물통 급수구 제어장치
본 고안은 가습기 물통 급수구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본체 푸쉬로드를 가습기 본체 상하를 관통하도록 설치하여 가습기가 지면으로부터 떨어지는 경우 물통 저면의 급수구를 자동으로 잠그도록 되어 있는 가습기 물통 급수구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습기는 공기에 수분을 공급하여 습도를 높이기 위한 장치를 말하며 공기 중에 수분을 공급하기 위한 방법은 크게 본체 속에 온수조를 두고 온수면에서 공기를 가습하는 방법, 직접 증기를 공기 중에 분무하는 방법, 물을 분무하는 방법 등으로 나눌 수 있다. 가정용으로는 물통내에 저장된 물을 가습조에서 소정 온도로 가열시켜 발생되는 수증기를 실내로 자연 분무시키는 히터 가습기와, 물통내에 저장된 물을 가습조에서 진동으로 인한 초음파를 발생시켜 미세화된 물입자로 바꾼 후 실내로 분무시키는 초음파 가습기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가정용 가습기 중 초음파가습기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종래의 가습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에 소정량의 물이 담수되도록 담수조(100) 및 가습조(101)가 형성된 본체(102)와 상기 담수조(100)에 안착되는 물통(103)과 상기 가습조 내부에서 본체의 진동자(104)에 의해 만들어진 미세한 가습수가 송풍기(106)에서 불어오는 바람에 의해 토출구(108)를 따라 가습기 외부로 나가는 통로 역할을 하는 무화관(105)으로 구성되어 있다.
물통(103)은 가습조(101) 내부로 물을 간헐적으로 공급시켜주기 위해서 적정한 양의 물을 저장하고 있으며 저면에 급수구(107)가 있어서 담수조에 일정한 양의 물을 공급해주고 있다. 한편 상기 급수구(107)는 가습조 내부의 수위에 따라 자동으로 개폐되어 가습조(101) 및 담수조(100)의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본체(102)는 하측 안쪽으로 전원공급 및 제어장치가 내장되어 있고 가습수가 가습기의 외부로 송출될 수 있도록 본체의 하단에 송풍기(106)가 위치해 있으며 본체의 상부에 위치한 가습조(101)에는 물을 미세한 가습수로 바꾸어주기 위해 바닥 중앙부에 진동자(104)가 위치해 있다.
무화관(105)은 진동자에 의해 만들어진 미세한 가습수가 잠시 모여 있는 곳이며 송풍기(106)에서 불어오는 바람에 의해서 토출구(108)를 통하여 가습기의 외부로 가습수를 방출한다.
가습기의 가습조에는 물이 일정한 양으로 유지되어야 하며, 만일 가습조의 물이 적정량보다 많거나 적어 적정수위로 유지되지 않으면 가습수가 충분히 발생되지 않아 가습기 외부의 습도를 제대로 조절할 수 없다.
그러나, 종래의 가습기는 물통이 안착된 상태에서 가습기를 옮기거나 사용중 가습기가 넘어질 때 물통으로부터 가습조로 물이 유입되어 가습조 내부의 물이 적정량을 유지하지 못하고 결과적으로 가습수가 충분히 만들어지지 않아 가습기 외부의 습도를 제대로 조절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아니라, 가습기를 옮기거나 사용중 넘어지는 경우 물통내부의 물이 담수조로 유입되어 물이 외부로 넘치는 단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가습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가습기가 이동중이거나 넘어지는 등 지면으로부터 떨어질 때 물통 저면의 급수구를 잠궈 물통으로부터 가습조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가습조의 수위가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고 물이 가습기 외부로 넘치는 것을 막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종래의 가습기에 있어서, 가습기 본체가 지면으로부터 떨어지면 물통의 급수구를 자동으로 잠그어 물통에 저장된 물이 가습조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물통 급수구 제어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종래의 가습기에 대한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가습기 물통급수구 제어장치에 대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0 : 담수조201 : 가습조
202 : 가습기 본체203 : 물통
204 : 진동자205 : 무화관
206 : 송풍기207 : 급수구
208 : 토출구209 : 물통 푸쉬로드
210 : 물통 압축스프링211 : 본체 푸쉬로드
212 : 본체 압축스프링213 : 본체푸쉬로드 본체바닥 돌출부분
214 : 패킹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습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에 소정량의 물이 담수되도록 담수조(200) 및 가습조(201)가 형성된 본체(202)와 상기 담수조에 안착되는 물통(203)과 상기 가습조(201) 내부에서 본체의 진동자(204)에 의해 만들어진 미세한 가습수가 모여 송풍기(206)에서 불어오는 바람에 의해 토출구(208)를 따라 가습기 외부로 가습수가 나가는 통로 역할을 하는 무화관(205)으로 구성된 종래의 가습기에 있어서, 가습기 본체(202) 바닥과 물통이 안착되는 담수조(200) 상부를 동시에 관통하는 본체 푸쉬로드(211)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본체 푸쉬로드에는 압축스프링(212)이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있다. 또한, 물통(203)의 저면 중앙에는 상하로 관통하는 물통 푸쉬로드(21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물통 푸쉬로드(210)중 물통내부로 돌출된 부분은 물을 배출 차단하도록 패킹(214)이 고정되어 있으며, 물통의 하면으로 돌출된 부분에는 압축스프링(210)이 장착되어 있다.
본 고안에 의한 가습기의 작용을 살펴본다.
우선 가습기가 지면에 놓여진 상태에서 지면이 본체 푸쉬로드(211)의 가습기 본체(202) 바닥으로 돌출된 부분(213)을 하부에서 상측 방향으로 수직반력에 의해 밀어올리면 본체 푸쉬로드(211)가 스프링(212)을 압축하면서 상측으로 이동하여 물통의 하면으로 돌출된 물통 푸쉬로드(210)를 패킹(214)과 함께 상측방향으로 밀어올려 물통 내부의 급수구(203)가 열리게 됨과 동시에 물통에 저장된 물이 담수조로 배출되도록 되어 있다.
반면, 가습기가 지면으로부터 떨어지거나 기울어져 가습기 본체(202) 바닥의 물통 푸쉬로드의 돌출부분(213)에 지면으로부터 가해지는 수직반력이 제거되면 본체 푸쉬로드(211)에 의해 압축되어 있던 스프링(212)이 탄성력에 의해 복귀되면서 본체 상하를 관통하는 본체 푸쉬로드(211)가 하측방향으로 이동하여 물통 저면을 상하로 관통하는 물통 푸쉬로드(210)를 밀어올리던 힘이 사라지게 된다. 물통 저면의 물통 푸쉬로드(210)를 밀어올리던 힘이 사라지면 물통 푸쉬로드는 하측방향으로 이동하며 물통 저면에 장치된 급수구(203)가 패킹(214)을 통해 잠김으로써 물이 담수조(200) 및 가습조(201)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따라서, 가습기 본체 바닥으로 돌출된 본체 푸쉬로드의 작용으로 가습기가 지면으로부터 떨어지면 자동으로 물통에 저장된 물이 가습조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가습기가 물통이 안착된 상태에서 이동중이거나 넘어지는 등 지면으로부터 떨어지면 물통에 저장되어 있던 물이 수조를 통해 가습조로 유입되는 현상을 막음으로써 가습조 내부의 수위가 상승하는 것을 막는 효과가 있다. 가습조 내부의 수위가 적정수위보다 높으면 가습수의 발생 효율이 떨어져 결과적으로 정상적인 동작을 하지 못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따라서 본 고안을 통해 가습기가 이동중이거나 넘어지는 경우 가습기의 동작이 비정상적으로 행해지는 것을 막을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또한, 가습기가 이동중이거나 넘어졌을 때 물통으로부터 가습조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물이 가습기 외부로 넘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주로 가습기의 물통에 저장된 물의 차단을 목적으로 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일실시예에 관해서만 설명하였으나 당업자라면 다른 유사한 분야에 그 응용과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3)

  1. 가습기에 있어서, 가습기 본체에는 본체(202)의 바닥과 담수조(200) 상면을 상하로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본체 푸쉬로드(211)와, 물통(203)에는 상기 가습기 본체(202)의 본체 푸쉬로드(211)와 대항해 물통(203) 저면을 상하로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물통 푸쉬로드(210)에 의해 가습기 본체(202)가 지면으로부터 떨어지면 물통에 저장된 물이 담수조(200) 및 가습조(201)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물통 급수구 제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 푸쉬로드는 패킹(214)이 부착되어 있어 패킹에 의해 물통의 급수구를 잠그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물통 급수구 제어장치
  3.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기 본체를 관통하는 본체 푸쉬로드는 가습기 본체 상면과의 사이에 압축스프링(212)이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있어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물통의 급수구를 잠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물통 급수구 제어장치
KR2019960036443U 1996-10-30 1996-10-30 가습기 물통 급수구 제어장치 KR1998002306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6443U KR19980023068U (ko) 1996-10-30 1996-10-30 가습기 물통 급수구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6443U KR19980023068U (ko) 1996-10-30 1996-10-30 가습기 물통 급수구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3068U true KR19980023068U (ko) 1998-07-25

Family

ID=53980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6443U KR19980023068U (ko) 1996-10-30 1996-10-30 가습기 물통 급수구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23068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4375B1 (ko) * 2008-03-07 2010-02-26 (주)엔드테크 고정급수 및 자동급수로 서로 변경이 용이한 결합수단을가지는 가습기
KR100947508B1 (ko) * 2008-01-11 2010-03-12 주식회사 세일사 가습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7508B1 (ko) * 2008-01-11 2010-03-12 주식회사 세일사 가습기
KR100944375B1 (ko) * 2008-03-07 2010-02-26 (주)엔드테크 고정급수 및 자동급수로 서로 변경이 용이한 결합수단을가지는 가습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21757C (en) Constant humidity evaporative wicking filter humidifier
US5768982A (en) Convection steam oven
US3442602A (en) Method and mechanism for deodorizing polluted atmospheric air
US3314080A (en) Humidifying system
KR19980023068U (ko) 가습기 물통 급수구 제어장치
CN2412159Y (zh) 水浴丝网高效除尘器
KR101997326B1 (ko) 증기 발생기, 증기 발생기 시스템 및 가전제품
CN219103210U (zh) 一种复合蒸发式加湿器
CN108566892A (zh) 一种兔舍用温湿度调节装置
KR200322898Y1 (ko) 가습기의 온수 역류 방지 장치
KR0164173B1 (ko) 가습기
KR102667014B1 (ko) 가습기 및 그 제어방법
KR0139393Y1 (ko) 냉온수기 결합형 가습기
CA2177080A1 (en) Portable and personal-sized warm air humidifiers
CN211345680U (zh) 一种冷蒸发式加湿器
CN209575791U (zh) 一种用于复杂溶液干燥的设备
CN209166151U (zh) 冷却塔
KR200185948Y1 (ko) 벽체형 가습기
JPS5833467Y2 (ja) 超音波加湿装置
KR0151559B1 (ko) 히터가습기
KR200157782Y1 (ko) 가열식 가습기
KR880003349Y1 (ko) 구멍탄용 온수 보일러
KR20230157659A (ko) 가습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207346Y1 (ko) 향분사기를 가진 벽체형 가습기
KR100276465B1 (ko) 증기가습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