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7326B1 - 증기 발생기, 증기 발생기 시스템 및 가전제품 - Google Patents

증기 발생기, 증기 발생기 시스템 및 가전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7326B1
KR101997326B1 KR1020167030505A KR20167030505A KR101997326B1 KR 101997326 B1 KR101997326 B1 KR 101997326B1 KR 1020167030505 A KR1020167030505 A KR 1020167030505A KR 20167030505 A KR20167030505 A KR 20167030505A KR 101997326 B1 KR101997326 B1 KR 1019973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steam generator
wall
wate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0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6939A (ko
Inventor
후이 장
지제 장
레레 밍
차오레이 장
Original Assignee
미디어 그룹 코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1521042440.XU external-priority patent/CN205279035U/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510930659.1A external-priority patent/CN105737125B/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521042569.0U external-priority patent/CN205279037U/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510933383.2A external-priority patent/CN105716061B/zh
Application filed by 미디어 그룹 코 엘티디 filed Critical 미디어 그룹 코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170096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69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73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73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1/00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 F22B1/28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in boilers heated electric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1/00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 F22B1/28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in boilers heated electrically
    • F22B1/284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in boilers heated electrically with water in reservoi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7/00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증기 발생기(100), 증기 발생기 시스템(1000) 및 가전제품에 있어서, 증기 발생기(100)는 내부에 서로 이격되는 적어도 2개의 챔버를 한정하되, 상기 적어도 2개의 챔버 사이는 각각 연통홈(21)을 통하여 연통되고 그중 2개의 챔버는 각각 입수구(13)와 증기 출구(14)를 구비하는 케이스(1); 및 케이스(1) 내에 형성되고, 케이스(1) 내의 물을 가열하여 증기로 기화시키는 가열소자(3)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1) 내에는 유체 통로를 구비하고, 상기 유체통로는 상기 입수구(13)로부터 상기 적어도 2개의 챔버를 경유하여 상기 증기 출구(14)까지 연장된다.

Description

증기 발생기, 증기 발생기 시스템 및 가전제품{STEAM GENERATOR, STEAM GENERATOR SYSTEM AND HOUSEHOLD APPLIANCE}
본 발명은 가전제품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증기 발생기, 증기 발생기 시스템 및 가전제품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보일러식 증기 발생기는 체적이 크고 물의 추가가 편리하지 않다.
본 발명은 적어도 일정한 정도에서 관련 기술의 기술 문제 중의 하나를 해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체적이 작고 물의 추가가 편리한 증기 발생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상기 증기 발생기를 포함하는 증기 발생기 시스템을 더 개시한다.
본 발명은 상기 증기 발생기 시스템을 포함하는 가전제품을 더 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기 발생기에 있어서, 내부에 서로 이격되는 적어도 2개의 챔버를 한정하되, 상기 적어도 2개의 챔버 사이는 각각 연통홈을 통하여 연통되고 그중 2개의 챔버는 각각 입수구와 증기 출구를 구비하는 케이스; 및 케이스 내에 형성되고, 케이스 내의 물을 가열하여 증기로 기화시키는 가열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 내에는 유체 통로가 구비되고, 상기 유체 통로는 상기 입수구로부터 상기 적어도 2개의 챔버를 경유하여 상기 증기 출구까지 연장되는 유체 통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기 발생기는, 케이스 내에서 서로 이격되는 적어도 2개의 챔버가 한정되는 것을 통하여, 그중 2개의 챔버가 각각 입수구와 증기 출구와 연통되게 함으로써, 증기가 증기 출구와 연통된 챔버 내로부터 배출될 경우, 입수구를 통하여 입수구와 연통된 챔버 내로 물을 편리하게 추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증기 발생기는 기존의 보일러식 증기 발생기와 비교하여 볼 때, 비교적 작은 체적을 가지며, 증기 발생기가 증기 발생기 시스템과 더불어 가전제품에 사용될 경우, 가전제품의 소형화를 실현하는데 유리하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내에서 제1 챔버 내지 제3 챔버가 한정되고, 상기 제3 챔버와 제2 챔버는 상기 케이스 내에 나란히 배열되어 설치되며, 상기 제3 챔버와 상기 제2 챔버의 측벽과 상기 케이스의 내측벽 사이에는 상기 제1 챔버가 한정되고, 상기 제1 챔버와 상기 제3 챔버 사이는 제1 연통홈을 통하여 연통되며, 상기 제3 챔버와 상기 제2 챔버 사이는 제2 연통홈을 통하여 연통된다.
더 나아가, 상기 가열소자는 상기 제3 챔버와 상기 제2 챔버의 측벽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챔버 내지 상기 제3 챔버를 가열시킨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입수구와 상기 제1 챔버가 연통되고, 상기 증기 출구와 상기 제2 챔버가 연통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내부는 이격벽을 통하여 제1 챔버와 제2 챔버가 한정되고, 적어도 하나의 상기 연통홈이 상기 이격벽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챔버와 상기 제2 챔버 사이의 유체를 연통시키며, 상기 입수구와 상기 제1 챔버가 연통되고, 상기 증기 출구와 상기 제2 챔버가 연통되며, 상기 가열소자가 상기 이격벽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챔버와 상기 제2 챔버를 가열시킨다.
더 나아가, 상기 이격벽은 판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챔버와 상기 제2 챔버를 이격시키고, 상기 제1 챔버와 상기 제2 챔버가 좌우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어 설치되도록 한다.
더 나아가, 상기 이격벽은 링 모양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챔버가 상기 제2 챔버를 에워싸도록 한다.
더 나아가, 상기 유체통로는 유체 서브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챔버와 상기 제2 챔버 사이에 적어도 한 갈래의 상기 유체 서브통로가 한정되고, 적어도 한 갈래의 상기 유체 서브통로에 차단벽을 설치하여 유체의 유동방향을 차단하며, 상기 차단벽은 상기 연통홈과 인접되게 설치된다.
더 나아가, 상기 제1 챔버 내에는 차단벽이 설치되어 유체의 유동방향을 차단하고, 상기 차단벽은 상기 연통홈과 인접되게 설치된다.
더 나아가, 상기 입수구는 상기 차단벽의 상기 연통홈을 등진 일측에 위치한다.
더 나아가, 상기 증기 발생기는 상기 입수구와 연통되는 제1 입수관을 더 포함하고, 또한 상기 제1 입수관의 출수단은 상기 제1 챔버 내에 넣어진다.
더 나아가, 상기 입수구와 상기 연통홈은 상기 차단벽의 동일한 일측에 위치한다.
더 나아가, 상기 증기 발생기는 상기 입수구와 연통되는 제2 입수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입수관의 자유단은 상기 차단벽의 상기 연통홈과 가까운 일측에서부터 상기 이격벽의 원주방향으로 감돌아 상기 차단벽의 타측까지 연장된다.
더 나아가, 상기 제2 입수관에는 다수개의 이격 설치되는 제1 출수홀이 구비된다.
더 나아가, 상기 제2 입수관의 자유단은 출수단이다.
더 나아가, 상기 증기 발생기는 상기 입수구와 연통되는 제3 입수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입수관의 출수단은 상기 차단벽을 관통하여 상기 제1 챔버의 상기 연통홈에서 멀리 떨어진 일측까지 넣어진다.
더 나아가, 상기 증기 발생기는 상기 입수구와 연통되는 제4 입수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4 입수관의 자유단은 밀폐되고, 상기 제4 입수관은 상기 차단벽을 관통하며, 상기 이격벽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4 입수관의 길이방향에 다수개의 이격 설치되는 제2 출수홀이 형성된다.
더 나아가, 상기 제1 챔버 내에 형성된 수증기는 상기 연통홈을 통하여 상기 제2 챔버 내에 진입한 후 증기 사이클론 기류를 형성한다.
더 나아가, 상기 연통홈의 연장방향과 상기 제2 챔버의 내주벽면이 서로 접하여 상기 제1 챔버 내에 형성되는 수증기가 접선방향으로 상기 제2 챔버 내에 진입한다.
더 나아가, 상기 연통홈은 상기 이격벽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의 꼭대기벽과 인접한다.
더 나아가, 상기 가열소자는 전기 접선 단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기 접선 단자는 상기 차단벽에 삽입되고, 상기 차단벽과 대응되는 상기 케이스 측벽의 천공을 통하여 노출된다.
더 나아가, 상기 가열소자는 상기 제2 챔버와 상기 제1 챔버를 동시에 가열시킨다.
더 나아가, 상기 가열소자는 상기 이격벽 속에, 이격벽의 내벽면 또는 외벽면에 삽입된다.
더 나아가, 상기 가열소자는 나선 모양으로 상기 이격벽의 원주방향으로 감돌아 상기 이격벽 내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를 밀봉하는 커버체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입수구와 상기 증기 출구는 모두 상기 커버체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증기 발생기는 적어도 하나의 온도 조절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온도 조절기는 상기 케이스의 외표면에 설치되며, 상기 온도 조절기는 상기 케이스의 온도에 따라 상기 가열소자의 작동과 차단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퓨즈를 더 포함하고, 매 하나의 상기 퓨즈는 제2 온도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퓨즈는 상기 케이스의 외표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온도 센서가 상기 케이스의 온도를 검출하도록 하며, 상기 제2 온도 센서가 상기 케이스의 온도가 기설정값보다 높음을 검출하였을 경우, 상기 퓨즈가 상기 가열소자의 전력 차단을 제어하는 것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기 발생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의 증기 발생기, 물탱크와 펌프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물 펌프는 상기 물탱크 중의 물을 연속적으로 상기 케이스 내에 펌핑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기 발생기 시스템은, 상기 증기 발생기를 설치하는 것을 통하여, 증기 발생기 내에 물을 편리하게 추가할 뿐만 아니라, 체적이 작으며, 증기 발생기 시스템이 가전제품에 사용될 경우, 가전제품의 소형화를 실현하는데 유리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전제품은 상기 증기 발생기 시스템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전제품은, 상기 증기 발생기 시스템을 설치하는 것을 통하여 가전제품의 소형화를 실현하는데 유리하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가전제품은 흡진기, 스팀 다리미, 주방 환풍기, 커피 제조기, 세탁기, 에어컨 또는 전자 레인지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또는 부가적인 방면과 우점은 하기 도면을 결합하여 진행하는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서 더욱 분명하고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증기 발생기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증기 발생기의 부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따른 증기 발생기의 A-A 위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따른 탄성 소자와 밀봉재를 제거한 증기 발생기의 A-A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따른 증기 발생기의 B-B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증기 발생기의 분해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증기 발생기의 모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증기 발생기의 부분적 구조 모식도이다.
도 9는 도 7에 따른 증기 발생기의 부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따른 증기 발생기의 C-C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7에 따른 커버체를 떼어낸 후의 증기 발생기의 부분적 구조 모식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따른 증기 발생기의 부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체를 떼어낸 후의 증기 발생기의 부분적 구조 모식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따른 때수용 구조를 떼어낸 후의 증기 발생기의 부분적 구조 모식도이다.
도 15는 도 13에 따른 증기 발생기 내의 유체의 유동방향의 모식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증기 발생기의 부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따른 증기 발생기의 D-D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6에 따른 커버체를 떼어낸 후의 증기 발생기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기 발생기 시스템의 연결 모식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증기 발생기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증기 발생기의 구조 모식도이다.
아래에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고, 상기 실시예의 예시는 도면에 나타낸다. 아래에 도면 참조를 통하여 설명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해석하기 위함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된다.
본 발명에 대한 설명 중에서 이해해야 할 것은, "중심", "길이", "상", "하", "좌", "우", "수직", "수평", "꼭대기", "바닥", "내", "외", "반경 방향", "원주 방향" 등이 지시하는 방위나 위치관계는 도면에 기반한 방위 또는 위치관계이며, 본 발명에 대한 설명을 편리하게 하고 설명을 간략하기 위함이지, 해당 장치 또는 소자가 반드시 특정된 방위를 가지고 특정된 방위로 구성되거나 조작됨을 지시하거나 암시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본 발명을 한정한다고 이해해서는 안된다.
아래에 도 1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기 발생기(100)를 설명한다. 증기 발생기(100)는 증기 발생기 시스템(1000)에 사용 가능하고, 또한 증기 발생기 시스템(1000)과 함께 흡진기, 스팀 다리미, 주방 환풍기, 커피 제조기, 세탁기, 에어컨 또는 전자 레인지 등 가전제품에 사용되어 증기를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기 발생기는 케이스(1)와 케이스(1) 내에 형성되는 가열소자(3)를 포함할 수 있다. 가열소자(3)는 케이스(1) 내의 물을 가열하여 증기로 기화시킬 수 있어 가전제품의 사용에 편리를 가져다 준다.
케이스(1) 내에는 밀봉된 중공 챔버가 구비되고, 구체적으로, 케이스(1)의 내부는 서로 이격되는 적어도 2개의 챔버가 한정되고, 가열소자(3)는 적어도 2개의 챔버를 가열시킬 수 있으며, 적어도 2개의 챔버 사이는 각각 연통홈(21)을 통하여 연통됨으로써 그중의 하나의 챔버 내의 증기가 연통홈(21)을 경유해 다른 챔버에 진입하도록 한다.
그중 2개의 챔버는 각각 입수구(13)와 증기 출구(14)를 구비한다. 예를 들어, 케이스(1)의 내부가 2개의 챔버가 한정될 경우, 그중 하나의 챔버는 입수구(13)와 연통되고, 다른 하나의 챔버는 증기 출구(14)와 연통된다. 이로써, 증기 발생기(100)의 사용과정에서, 가열소자(3)의 가열 하에, 수증기는 증기 출구(14)와 연통되는 챔버로부터 증기 출구(14)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는 동시에, 입수구(13)를 통하여 입수구(13)와 연통되는 챔버 내에 물을 추가할 수 있어, 기존의 보일러식 증기 발생기에 물을 추가하기 편리하지 않은 문제를 방지하였고, 기존의 비교적 큰 체적의 보일러식 증기 발생기에 비해, 본 발명의 증기 발생기는 비교적 작은 체적을 갖고, 증기 발생기(100)가 증기 발생기 시스템(1000)과 더불어 가전제품에 사용될 경우, 가열 전기제품의 소형화를 실현하는데 유리하다.
케이스(1) 내에 유체통로가 구비되고, 유체통로는 입수구(13)로부터 적어도 2개의 챔버를 경유하여 증기 출구(14)까지 연장된다. 예를 들어, 케이스(1) 내부가 2개의 챔버가 한정될 경우, 그중 하나의 챔버와 입수구(13)가 연통되고, 다른 챔버와 증기 출구(14)가 연통되며, 유체통로는 입수구로부터 입수구와 연통되는 챔버, 2개의 챔버 사이의 연통홈, 증기 출구(14)와 연통되는 챔버를 경유하여 증기 출구(14)까지 연장된다. 따라서 가열소자(3)는 입수구(13)와 연통되는 챔버 내의 물을 가열하여 수증기로 기화시킨 후, 수증기가 유체통로에서 단방향으로 유통되고, 증기 출구(14)로 흘러가며, 또한 증기 출구(14)로부터 흘러 나오도록 한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수증기가 유체통로에서 유통될 경우, 가열소자(3)가 가열하여 발생된 열량은 유체통로 중의 수증기에 대하여 가열을 더 진행할 수 있어(예를 들어, 가열소자(3)를 챔버의 측벽에 설치하여 적어도 2개의 챔버를 가열시킴), 가열소자(3)와 수증기 사이의 열교환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는 동시에 수증기의 건조도와 온도를 증가시키는데 유리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기 발생기(100)에 있어서, 케이스(1) 내에서 서로 이격되는 적어도 2개의 챔버가 한정되는 것을 통하여, 적어도 2개의 챔버 사이가 각각 연통홈(21)을 통하여 연통되게 하는 동시에, 입수구(13)와 증기 출구(14)가 각각 그중 2개의 챔버와 연통되게 함으로써, 증기가 증기 출구(14)와 연통되는 챔버 내로부터 배출될 경우, 입수구(13)를 통하여 입수구(13)와 연통되는 챔버 내로 물을 추가하도록 할 수 있고, 또한 본 발명의 증기 발생기(100)는 기존의 보일러식 증기 발생기에 비해, 비교적 작은 체적을 갖고, 증기 발생기(100)가 증기 발생기 시스템(1000)과 더불어 가전제품에 사용될 경우, 가전제품의 소형화를 실현하는데 유리하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 내부는 제1 챔버(11) 내지 제3 챔버(17)가 한정되고, 제3 챔버(17)와 제2 챔버(12)는 케이스(1) 내에 나란히 배열되어 설치되며, 또한 제3 챔버(17)와 제2 챔버(12)의 측벽과 케이스(1)의 내측벽 사이에서 제1 챔버(11)가 한정되고, 제1 챔버(11)와 제3 챔버(17) 사이는 제1 연통홈(211)을 통하여 연통되고, 제3 챔버(17)와 제2 챔버(12) 사이는 제2 연통홈(212)을 통하여 연통되는 바, 구조가 간단하다. 구체적으로, 가열소자(3)는 제3 챔버(17)와 제2 챔버(12)의 측벽에 설치되어 제1 챔버(11), 제2 챔버(12)와 제3 챔버(17)를 가열시킨다. 예를 들어, 가열소자(3)는 2개를 포함하고, 또한 각각 제3 챔버(17)와 제2 챔버(12)를 감돌며, 각각 제3 챔버(17)와 제2 챔버(12)의 측벽에 설치되어, 가열소자(3)가 제1 챔버(11), 제2 챔버(12)와 제3 챔버(17)를 가열시키도록 함으로써, 케이스(1) 내의 물을 신속히 수증기로 기화시킨다. 증기가 유체통로에서 유통될 경우, 가열소자(3)가 수증기에 대한 가열을 더 진행하게 함으로써, 증기 출구(14) 위치의 증기의 온도와 건조도를 증가시키는데 유리하다.
더 나아가, 입수구(13)와 제1 챔버(11)가 연통되고, 증기 출구(14)와 제2 챔버(12)가 연통됨으로써, 유체통로가 입수구(13), 제1 챔버(11), 제1 연통홈(211), 제3 챔버(17), 제2 연통홈(212), 제2 챔버(12)를 경유하여 증기 출구(14)까지 연장되게 한다. 따라서 유체통로의 길이를 연장시키는데 유리하고, 가열소자(3)가 유체통로에서 끊임없이 수증기를 가열시키도록 함으로써, 증기 출구(14) 위치의 증기의 건조도와 온도를 증가시킨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도 3, 도 4 및 도 6, 도 8, 도 10 내지 도 15,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 내부는 이격벽(2)을 통하여 서로 이격되는 제1 챔버(11)와 제2 챔버(12)가 한정된다. 이로써, 케이스(1) 내에 설치되는 이격벽(2)은 케이스(1)의 내표면적을 증가시키는데 유리함으로써, 보다 많은 물때가 부착되도록 하고, 일정한 정도에서 물때가 지나치게 많음으로 인해 초래되는 증기 발생기(100)의 효능 저하 심지어는 파손을 방지하고, 증기 발생기(100)의 사용수명을 연장시켰다.
이격벽(2)에는 제1 챔버(11)와 제2 챔버(12) 사이에서 유체의 유동을 진행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통홈(21)이 설치된다. 가열소자(3)는 전기 접선 단자(31)를 포함하고, 가열소자(3)의 전기 접선 단자(31)는 케이스(1)에 형성되는 천공을 관통하여 외부에 노출된다.
케이스(1)에는 입수구(13)와 증기 출구(14)가 구비되고, 그중 입수구(13)와 제1 챔버(11)가 연통되고, 증기 출구(14)와 제2 챔버(12)가 연통됨으로써, 케이스(1) 내에 서로 이격되는 제2 챔버(12)와 제1 챔버(11)를 설치하는 것을 통하여, 동시에 입수구(13)와 제1 챔버(11)가 직접 연통되고 증기 출구(14)와 제2 챔버(12)가 직접 연통되게 하며, 증기 발생기(100)의 사용 과정에서, 제2 챔버(12)와 연통되는 증기 출구(14)로부터 지속적으로 증기를 배출하는 동시에, 입수구(13)를 통하여 지속적으로 끊임없이 제1 챔버(11) 내에 물을 추가할 수 있어, 기존의 보일러식 증기 발생기에 물을 추가하기 편리하지 않은 문제점을 방지한다. 또한 기존의 비교적 큰 체적의 보일러식 증기 발생기에 비해, 본 발명의 증기 발생기(100)는 비교적 작은 체적을 가지며, 증기 발생기(100)가 증기 발생기 시스템(1000)과 더불어 가전제품에 장착될 경우, 가전제품의 소형화에 유리하다. 선택적으로, 입수구(13)는 제1 챔버(11)에 대응되는 케이스(1)의 꼭대기벽의 임의의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가열소자(3)는 이격벽(2)에 설치되어 제2 챔버(12)와 제1 챔버(11)를 가열시킨다. 구체적으로, 가열소자(3)를 이격벽(2)에 설치하여, 가열소자(3)에서 발생된 열에너지가 우선 빠르게 제2 챔버(12)와 제1 챔버(11) 중의 유체에 전도되게 함으로써, 액체상태의 유체가 열을 받은 후 빠르게 증기상태의 유체로 기화되게 하여 전기 에너지의 이용률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가열 소자(3)가 국부적으로 과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열 소자(3)는 이격벽(2) 속에, 이격벽(2)의 내벽면 또는 외벽면에 삽입되어, 제2 챔버(12)와 제1 챔버(11)를 가열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가열 소자(3)는 주입 프로세스에 기반하여 이격벽(2) 내에 일체로 성형 삽입되거나, 이격벽(2)의 내벽면 또는 외벽면에 고정 설치됨으로써 제2 챔버(12)와 제1 챔버(11)를 가열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가열소자(3)는 또한 케이스(1)의 다른 위치에 설치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제2 챔버(12) 또는 제1 챔버(11) 내에 설치될 수 있거나 또는 가열소자(3)는 주입프로세스를 통하여 케이스(1)의 임의의 부위에 일체로 성형 삽입될 수 있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케이스(1) 내에 설치된 이격벽(2)은 열전도 작용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입수구(13)로부터 제1 챔버(11) 내에 진입된 물은 가열소자(3)의 가열하에 기화된다. 제1 챔버(11) 내에 위치한 수증기 또는 물방울과 증기의 혼합 유체가 연통홈(21)을 통과하여 제2 챔버(12) 내에 진입할 경우, 가열소자(3)는 동시에 제2 챔버(12)에 작용하여, 제2 챔버(12)에 진입한 수증기를 건조한 증기로 건조시키는 동시에 증기 출구(14)를 통하여 배출한다. 여기서, 설명해야 할 것은, 가열소자(3)의 가열과정에서, 지속적으로 끊임없이 제1 챔버(11)에 물을 추가할 수 있다. 이로써, 가열소자(3)를 이격벽(2)에 설치하여 가열소자(3)가 제2 챔버(12)와 제1 챔버(11)를 가열하도록 하고, 또 지속적으로 끊임없이 입수구(13)를 통하여 제1 챔버(11) 내에 물을 추가함으로써 증기가 증기 출구(14) 위치에서 지속적으로 배출되게 하는 것을 통하여, 가열소자(3)의 이용률을 향상시켰을 뿐만 아니라, 또한 증기 발생기(100)의 예열시간을 단축시킴으로써, 증기 발생기(100)가 지속적으로 온도가 높고, 건조도가 큰 증기를 발생할 수 있도록 한다.
더 나아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격벽(2)은 판상으로 형성되어 제1 챔버(11)와 제2 챔버(12)를 이격시키며, 또한 제1 챔버(11)와 제2 챔버(12)가 좌우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어 설치되도록 한다. 물론,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격벽(2)은 링 모양으로 형성되어 제1 챔버(11)가 제2 챔버(12)를 에워싸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격벽(2)은 라운드 링 모양 또는 정사각형 링 모양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 도 3,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는 베이스(15)와 베이스(15)를 밀봉하기 위한 커버체(16)를 포함하고, 그중, 입수구(13)와 증기 출구(14)는 모두 커버체(16)에 설치된다.
더 나아가, 이격벽(2)은 베이스(15) 내에 설치되어 제1 챔버(11)와 제2 챔버(12)를 한정하여, 베이스(15) 내의 가열소자(3)와 이격벽(2) 등을 설치하도록 한다. 물론,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입수구(13)와 증기 출구(14)는 케이스(1)의 다른 실시 가능한 위치에 설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입수구(13)와 증기 출구(14)는 베이스(15)에 설치되거나 또는 입수구(13)와 증기 출구(14)는 각각 베이스(15)와 커버체(16) 등의 상기 등가적 효과를 실현할 수 있는 다른 분포위치에 설치된다.
선택적으로, 커버체(16)와 베이스(15)는 예를 들면 볼트 등의 체결구를 통하여 밀봉 연결된다. 더 선택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체(16)의 밑벽에 돌출 리브(162)가 설치되고, 이격벽(2)의 꼭대기벽에 대체적으로 링형태인 오목홈(22)이 설치되며, 커버체(16)가 베이스(15)의 상부를 커버할 때, 돌출 리브(162)와 오목홈(22)이 배합되는 동시에 커버체(16)와 베이스(15)가 진일보하여 체결구를 통하여 연결됨으로써, 커버체(16)와 베이스(15) 사이 연결의 밀봉성을 더 향상시켰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케이스(1)의 꼭대기벽은 커버체(16)이고, 케이스(1)의 측벽은 베이스(15)의 측벽이며, 케이스(1)의 밑벽은 베이스(15)의 밑벽이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유체통로는 유체 서브통로를 포함하고, 제1 챔버와 제2 챔버 사이에서 적어도 한갈래의 유체 서브통로가 제한되며, 적어도 한갈래의 유체 서브통로에 차단벽을 설치하여 유체의 유동방향을 차단한다. 또한 차단벽은 연통홈과 인접되게 설치된다. 더 나아가, 제1 챔버(11) 내에는 차단벽(5)이 설치되어 제1 챔버(11) 내의 유체의 유동방향을 차단한다. 또한 차단벽(5)은 연통홈(21)과 인접되게 설치된다. 이로써 제1 챔버가 유체 서브통로에 대하여 증기의 유통을 인도하도록 하며 간단하고 신뢰도가 높다. 차단벽(5)은 제1 챔버(11) 내에 설치되어 제1 챔버(11)를 C형 형상으로 구성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증기 발생기(100)의 케이스(1)가 직방체, 원주체, 구체 또는 타원체 등 대체적으로 규칙적인 형체를 사용할 경우, 차단벽(5)은 제1 챔버(11) 내에 설치되어 제1 챔버(11)의 횡단면을 대체적으로 C형 형상으로 구성한다. 증기 발생기(100)의 케이스(1)를 불규칙적인 모양으로 설계할 경우, 차단벽(5)은 제1 챔버(11) 내에 설치되어 제1 챔버(11)의 횡단면을 대체적으로 등가적 기능의 C형 형상으로 구성한다.
선택적으로, 차단벽(5)은 케이스(1)의 측벽과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단벽(5)의 4개 단벽은 각각 케이스(1), 이격벽(2)과 연결되고 또한 일체로 성형 설치된다. 예를 들어, 케이스(1)의 측벽의 일부분이 케이스(1)의 중심을 향하여 제1 챔버(11) 내에 요입되어 차단벽(5)을 한정한다. 물론,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차단벽(5)과 케이스(1)는 또 2개의 독립적으로 성형된 구조, 예를 들면 차단벽(5)이 제1 챔버(11) 내에 용접된 것 일 수 있다.
도 5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벽(5)은 제1 단벽(51), 제2 단벽(52), 제3 단벽(53)과 제4 단벽(54)을 포함한다. 그중, 제1 단벽(51)과 케이스(1)의 바닥(베이스(15)의 바닥)은 일체로 연결되고, 제2 단벽(52)과 케이스(1)의 측벽(베이스(15)의 측벽)은 일체로 연결되며, 제3 단벽(53)과 이격벽(2)의 외측벽은 일체로 연결되고, 제4 단벽(54)은 차단벽(5)의 꼭대기벽이며, 제4 단벽(54)에는 이격벽(2)의 꼭대기부의 상기 오목홈(22)과 연통되는 밀봉홈(55)이 형성되고, 케이스(1)의 내부 꼭대기벽(커버체(16)의 밑벽)에는 상기 돌출 리브(162)와 연결되는 돌출 스트립(163)이 형성되고, 커버체(16)가 베이스(15)를 덮을 경우, 돌출 리브(162)는 오목홈(22) 내에 배합되고, 돌출 스트립(163)은 밀봉홈(55) 내에 삽입됨으로써, 차단벽(5)이 제1 챔버(11) 내의 수증기 등과 같은 유체의 유동방향을 차단하도록 한다.
더 나아가, 가열소자(3)의 전기 접선 단자(31)는 차단벽(5)에 삽입되고 또한 차단벽(5)과 대응되는 케이스(1)의 측벽 상의 천공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된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차단벽(5)이 케이스(1), 이격벽(2)과 일체로 성형되기 때문에, 이격벽(2)에 설치되는 가열소자(3)의 전기 접선 단자(31)는 차단벽(5)에 삽입 설치되고, 또한 차단벽(5)과 대응되는 위치의 케이스(1)의 측벽에 천공이 개설되며, 전기 접선 단자(31)는 천공을 관통하여 외부에 노출되고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로써, 가열소자(3)의 접선단은 교묘하게 차단벽(5)에 삽입되는 바, 구조가 간단할 뿐만 아니라 또한 케이스(1) 내의 복잡한 전선 분포를 방지한다.
선택적으로, 케이스(1)와 케이스(1) 내에 형성되는 이격벽(2), 차단벽(5)은 모두 알루미늄 주조부품일 수 있다.
더 나아가, 입수구(13)는 차단벽(5)의 연통홈(21)을 등진 일측에 위치한다. 다시 말하자면, 입수구(13)와 연통홈(21)은 각각 차단벽(5)의 양측에 위치한다. 이로써,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수구(13)로부터 제1 챔버(11) 내에 유입되는 물은 가열소자(3)의 가열작용 하에서 건조도가 낮은 수증기로 기화된다. 차단벽(5)의 작용으로 인해 수증기가 제1 챔버(11)를 따라 이격벽(2)의 외주벽의 한바퀴를 감돌아 연통홈(21)에 도착하며, 또한 연통홈(21)을 통과하여 제2 챔버(12) 내에 진입하며, 수증기가 제2 챔버(12)에 진입한 후 다시 가열과 건조되는 것을 거쳐, 수증기를 건조한 증기로 더 한층 전화시켜 증기 출구(14)를 통하여 배출시킨다. 이 과정에서, 수증기와 이격벽(2)의 내외표면 및 케이스(1)의 내표면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켰는 바, 이격벽(2)에 설치되는 가열소자(3)에 국부적 과열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이격벽(2)과 가열소자(3)의 사용수명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하고, 또한 가열소자(3)의 가열 효율을 증가시킨 동시에 증기 발생기(100)의 예열 시간을 더 감소시켰으며, 증기의 건조도를 증가시키는데도 유리하다.
구체적으로, 증기 발생기(100)는 입수구(13)와 연통되는 제1 입수관(61)을 포함하고, 또한 제1 입수관(61)의 출수단은 제1 챔버(11) 내에 연장된다. 예를 들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입수관(61)의 출수단은 아래로 제1 챔버(11) 내에 연장된다. 이로써, 제1 입수관(61)의 출수단과 연통홈(21)은 각각 단벽(5)의 양측에 위치하고, 제1 입수관(61)의 출수단으로부터 유출된 물은 제1 챔버(11) 내에서 유통하는 동시에 가열소자(3)의 가열을 거쳐 건조도가 비교적 작게 변화된 수증기는 이격벽(2)의 한바퀴를 감아 돌아야만 연통홈(21)을 통과하여 제2 챔버(12) 내에 진입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수증기와 이격벽(2)의 내외표면 및 케이스(1)의 내표면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켰는 바, 이격벽(2)에 설치되는 가열소자(3)에 국부적 과열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이격벽(2)과 가열소자(3)의 사용수명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하며, 또한 가열소자(3)의 가열 효율을 증가시킨 동시에, 증기 발생기(100)의 예열시간을 더 감소시켰으며, 증기의 건조도를 증가시키는데도 유리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입수구(13)와 연통홈(21)은 차단벽(5)의 동일한 일측에 위치한다.
구체적으로, 도 8과 도 11,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기 발생기(100)는 입수구(13)와 연통되는 제2 입수관(62)을 포함하고, 제2 입수관(62)의 자유단은 차단벽(5)의 연통홈(21)과 인접한 일측에서 이격벽(2)의 원주방향을 따라 감돌아 차단벽(5)의 타측까지 연장된다. 이로써, 제2 입수관(62)으로부터 제1 챔버(11) 내에 진입한 물은 가열소자(3)의 가열 하에서 수증기로 변화된 후, 적어도 일부 수증기는 제1 챔버(11) 내에서 이격벽(2)의 원주방향을 따라 한바퀴 감돌아야만이 연통홈(21)을 통과하여 제2 챔버(12) 내에 진입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수증기와 이격벽(2)의 내외표면 및 케이스(1)의 내표면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켰는 바, 이격벽(2)에 설치되는 가열소자(3)에 국부적 과열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이격벽(2)과 가열소자(3)의 사용수명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하고, 또한 가열소자(3)의 가열 효율을 증가시킨 동시에, 증기 발생기(100)의 예열시간을 더 감소시켰으며, 증기의 건조도를 증가시키는데도 유리하다.
물론,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입수관은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수관의 입수단과 입수구(13)가 연통되고, 입수관의 타단은 이격벽(2)의 원주방향을 따라 여러 바퀴 감돌아 설치될 수 있다. 또는, 입수관의 타단은 이격벽(2)의 원주방향을 따라 나선 모양으로 감돌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입수관(62)에 다수개의 이격 설치되는 제1 출수홀(621)이 구비됨으로써, 다수개의 제1 출수홀(621)로부터 유출되는 물이 이격벽(2)의 외주벽에 분사될 수 있어, 이격벽(2)의 외주벽에 수류 또는 수막을 형성하고, 또한 수류 또는 수막이 이격벽(2)의 외주벽을 따라 하향 유동함으로써, 액체 상태의 물과 가열소자(3) 사이에서 충분히 열교환을 진행하고, 또한 제2 입수관(62)의 연통홈(21)에서 멀리 떨어진 제1 출수홀(621)에서 분출된 물이 발생한 수증기는 이격벽(2)의 외주벽을 따라 한바퀴 감돌아야만이 연통홈(21)을 통과하여 제2 챔버(12) 내에 진입할 수 있으며, 이로써 가열소자(3)의 가열 효율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하고, 증기 발생기(100)의 예열시간을 감소시키는 동시에, 가열소자(3)에 국부적 과열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가열소자(3)의 사용수명을 연장시키는데 유리하다. 선택적으로, 다수개의 제1 출수홀(621)은 균일한 간격으로 제2 입수관(62)의 이격벽(2)에 인접한 일측에 설치됨으로써, 제1 출수홀(621)로부터 유출된 물이 최대한 많이 이격벽(2)에 분사되도록 하여 가열소자(3)가 가열을 진행하도록 한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제2 입수관(62)의 다수개의 제1 출수홀(621)이 매우 작고 또한 안개 모양의 작을 물방울을 분사할 경우, 상기 우점을 더 최적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적인 예시에 있어서, 제2 입수관(62)의 자유단은 출수단이고, 이로써 제2 입수관(62)의 출수단과 연통홈(21)은 차단벽(5)을 통하여 이격되고, 제2 입수관(62)의 출수단으로부터 유출된 물은 가열소자(3)의 가열 하에서 수증기로 변화된 후, 이격벽(2)의 외주벽을 따라 한바퀴 감돌아야만이 연통홈(21)을 통과하여 제2 챔버(12) 내에 진입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수증기와 이격벽(2)의 내외표면 및 케이스(1)의 내표면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켰는 바, 이격벽(2)에 설치되는 가열소자(3)에 국부적 과열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이격벽(2)과 가열소자(3)의 사용수명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하고, 또한 가열소자(3)의 가열 효율을 증가시킨 동시에, 증기 발생기(100)의 예열시간을 더 감소시켰으며, 증기의 건조도를 증가시키는데도 유리하다.
구체적으로, 도 8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입수관(62)은 C형 파이프부분(622) 및 C형 파이프부분(622)에 수직되고 입수구(13)와 연결되는 수직 파이프부분(623)을 포함하며, 구조가 간단하다. 더 나아가, 제2 입수관(62)은 이격벽(2)의 상부 외벽면의 외측을 감돌아 설치됨으로써, 제2 입수관(62)으로부터 배출된 적어도 일부분의 물이 이격벽(2)의 상부 외벽면의 외측에 분사되고, 이격벽(2)을 따라 아래로 유동되게 함으로써, 가열소자(3)와 충분한 열교환을 진행하는데 유리하고, 가열소자(3)의 가열 효율을 향상시킨 동시에, 또한 일정한 정도에서 가열소자(3)에 국부적 과열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였다. 물론,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2 입수관(62)은 또한 이격벽(2)의 높이방향 상의 다른 위치를 감돌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입수관(62)은 이격벽(2)의 중부 외벽면의 외측 또는 하부 외벽면의 외측을 감돌아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부 구체적인 예시에 있어서, 증기 발생기(100)는 입수구(13)와 연통되는 제3 입수관(미도시)을 더 포함하고, 제3 입수관의 출수단은 차단벽(5)을 관통하여 제1 챔버(11)의 연통홈(21)에서 멀리 떨어진 일측까지 넣어짐으로써, 제3 입수관의 출수단과 연통홈(21)이 각각 차단벽(5)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하여, 제3 입수관의 출수단으로부터 유출되는 물이 제1 챔버(11) 내에 진입하고 또 가열소자(3)의 가열 하에서 수증기로 변화된 후, 적어도 일부분의 수증기가 제1 챔버(11) 내에서 이격벽(2)의 원주방향을 따라 한바퀴 감돌아야만이 연통홈(21)을 통과하여 제2 챔버(12) 내에 진입할 수 있게 한다. 이 과정에서, 수증기와 이격벽(2)의 내외표면 및 케이스(1)의 내표면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켰는 바, 이격벽(2)에 설치되는 가열소자(3)에 국부적 과열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이격벽(2)과 가열소자(3)의 사용수명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하고, 또한 가열소자(3)의 가열 효율을 증가시킨 동시에, 증기 발생기(100)의 예열시간을 더 감소시켰으며, 증기의 건조도를 증가시키는데도 유리하다.
더 나아가, 증기 발생기(100)는 입수구(13)와 연통되는 제4 입수관(미도시)을 더 포함하고, 제4 입수관의 자유단은 밀폐되고 제4 입수관은 차단벽(5)을 관통하고, 또한 이격벽(2)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제4 입수관의 길이방향에 다수개의 이격 설치되는 제2 출수홀(미도시)이 형성된다. 이로써, 다수개의 제2 출수홀로부터 유출되는 물이 이격벽(2)의 외주벽에 분사될 수 있어, 이격벽(2)의 외주벽에 수류 또는 수막을 형성하고, 또한 수류 또는 수막은 이격벽(2)의 외주벽을 따라 하향 유동함으로써, 액체 상태의 물과 가열소자(3) 사이에서 충분히 열교환을 진행하고, 또한 제4 입수관의 연통홈(21)에서 멀리 떨어진 제2 출수홀로부터 분출된 물이 발생한 수증기는 이격벽(2)의 외주벽을 따라 한바퀴 감돌아야만이 연통홈(21)을 통과하여 제2 챔버(12) 내에 진입할 수 있어, 가열소자(3)의 가열 효율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하고, 증기 발생기(100)의 예열시간을 감소시키는 동시에, 가열소자(3)에 국부적 과열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어, 가열소자(3)의 사용수명을 연장시키는데 유리하다. 선택적으로, 다수개의 제2 출수홀은 균일한 간격으로 제4 입수관의 이격벽(2)과 인접한 일측에 설치됨으로써, 제2 출수홀로부터 유출된 물이 최대한 많이 이격벽(2)에 분사되도록 한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제4 입수관의 다수개의 제2 출수홀이 매우 작고 또한 안개모양의 작은 물방울을 분사할 경우, 상기 우점을 더 최적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챔버(11) 내에 형성되는 수증기는 연통홈(21)을 통과하여 제2 챔버(12) 내에 진입한 후 증기 사이클론(cyclone) 기류를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연통홈(21)의 연장방향과 제2 챔버(12)의 내주벽면은 서로 접하여 제1 챔버(11) 내에 형성되는 수증기가 접선방향을 따라 제2 챔버(12) 내에 진입함으로써, 증기 사이클론 기류를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상기 연통홈(21) 설치방식을 통하여, 가열소자(3)의 가열 하에서, 제1 챔버(11) 내의 수증기는 연통홈(21)의 접선방향을 따라 제2 챔버(12)에 진입하고, 제2 챔버(12) 내에서 사이클론 기류를 형성함으로써, 수증기와 제2 챔버(12)의 내벽면이 접촉되는 동시에, 사이클론 기류가 사이클론 분리기와 유사한 효과를 형성하게 되어, 수증기 중의 액체상태의 물이 제2 챔버(12)의 내벽에 뿌려져 신속히 기화되거나 또는 제2 챔버(12)의 내벽을 따라 하향 유동하게 하며, 또한 가열소자(3)의 가열하에서 진일보하여 증기를 형성한다. 이로써, 한방면으로 일정한 정도에서 제2 챔버(12)의 내벽면에 국부적 과열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바, 가열소자(3)의 사용수명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한 동시에, 가열소자(3)의 가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증기 발생기(100)의 예열 시간을 단축시키고, 증기 출구(14)의 증기의 온도와 건조도를 증가시켰으며, 다른 한 방면으로는 수증기 중의 물때가 제2 챔버(12)의 내벽면에 뿌려지는 동시에, 제2 챔버(12)의 내벽면에 부착되게 함으로써, 일정한 정도에서 물때가 증기 출구(14)로부터 배출되는 가능성을 감소시켰고, 물때가 증기 출구(14)를 막아 초래되는 위험성을 방지하였다.
선택적으로, 도 6, 도 8, 도 11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통홈(21)은 이격벽(2)의 상부에 형성되고 또한 케이스(1)의 꼭대기벽(roof)과 인접한다(예를 들면 커버체(16)와 인접함). 이로써, 가열소자(3)에 의해 가열된 후 형성된 수증기가 상향 이동하여 제1 챔버(11)로부터 제2 챔버(12) 내에 진입하는데 유리하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기 출구(14) 위치에 압력 증가 스위치 장치(4)가 설치됨으로써 케이스(1)의 증기가 증기 출구(14)로부터 단방향으로 배출되게 한다. 증기 출구(14) 위치에 설치되는 압력 증가 스위치 장치(4)는 케이스(1) 내의 증기가 증기 출구(14)를 통하여 등속, 고압으로 배출되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가열소자(3)가 가열될 경우, 케이스(1) 내의 물은 끊임없이 수증기로 기화되고, 케이스(1) 내의 압력은 끊임없이 증대되며, 케이스(1) 내의 압력이 설정값보다 클 경우, 압력 증가 스위치 장치(4)를 개방하여 건조한 증기가 증기 출구(14)를 통하여 고압상태로 신속히 배출되게 한다. 케이스(1) 내의 압력이 감소되어 설정값과 같거나 작을 경우, 압력 증가 스위치 장치(4)를 닫으며, 케이스(1) 내의 압력이 재차 설정값에 도달한 후에야 압력 증가 스위치 장치(4)를 개방한다. 이로써, 증기 출구(14) 위치에 설치되는 압력 증가 스위치 장치(4)는 케이스(1) 내부가 시종 일정한 압력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케이스(1) 내의 증기의 포화 온도를 더 향상시켜 증기 출구(14) 위치의 증기의 온도와 건조도를 향상시키는데 유리할 뿐만 아니라, 또한 수증기의 배출온도를 향상시키는데도 유리하여, 수증기가 증기 출구(14) 위치에서 지속적으로 배출되도록 확보하여, 증기 출구(14)의 증기가 지속적으로 감소되는 현상을 방지하였다. 그중, 이해할 수 있는 것은, 케이스(1) 내의 압력 설정값은 압력 증가 스위치 장치(4)의 중량과 관련된다. 따라서, 압력 증가 스위치 장치(4)의 중량을 조절하는 것을 통하여 케이스(1) 내의 압력 설정값을 조절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도 3,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체(16)는 아래로 돌출 기둥(161)이 연장되고, 돌출 기둥(161) 내에는 바닥에 통로구(1611)를 구비하는 단방향 통로(1612)가 한정되고, 단방향 통로(1612)의 상단과 증기 출구(14)가 연통되며, 압력 증가 스위치 장치(4)가 단방향 통로(1612) 내에 설치된다. 이로써, 구조가 간단할 뿐만 아니라 또한 커버체(16)가 아래로 연장된 돌출 기둥(161)은 제2 챔버(12) 내의 표면적을 증가시켜, 물때가 돌출 기둥(161)의 외표면에 부착되도록 하며, 일정한 정도에서 과다한 물때로 초래되는 증기 발생기(100)의 파손을 방지하고, 증기 발생기(100)의 사용수명을 연장시켰다. 물론,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커버체(16)에 돌출 기둥(161)을 설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돌출 기둥(161)의 횡단면은 라운드 링 모양으로 형성되고, 또한 돌출 기둥(161)은 커버체(16)에서 멀리 떨어진 방향에서 그의 횡단면적은 점점 작아진다.
본 발명의 일부 더 구체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 증가 스위치 장치(4)는 밀봉재(41)와 탄성소자(42)를 포함한다. 그중, 밀봉재(41)는 탄성소자(42)의 탄성 변형 작용력 하에서 통로구(1611)를 밀봉한다. 예를 들어, 밀봉재(41)는 단방향 통로(1612) 내에 위치하고 하단은 통로구(1611)를 밀봉하며, 탄성소자(42)는 증기 출구(14)와 밀봉재(41) 사이에서 설치됨으로써 밀봉재(41)가 탄성소자(42)의 탄성 변형 작용력에 의해 통로구(1611)를 밀봉하도록 한다. 이로써, 가열소자(3)를 가열할 경우, 케이스(1) 내의 압력이 끊임없이 증대되어, 케이스(1) 내의 압력이 설정값보다 클 경우, 케이스(1) 내의 증기가 밀봉재(41)를 밀어 상향 이동시켜 탄성소자(42)가 압축 상태에 처하도록 함으로써, 수증기가 통로구(1611)를 통과하고 단방향 통로(1612)를 경유해, 마지막에 증기 출구(14)로부터 배출되도록 한다. 케이스(1) 내의 압력이 설정값과 같거나 작을 경우, 탄성소자(42)는 밀봉재(41)가 통로구(1611) 위치에 접하도록 눌러 통로구(1611)를 밀폐시킨다.
이는 한방면으로는 케이스(1) 내의 수증기의 포화온도를 더 향상시켜, 증기 출구(14) 위치의 증기의 온도와 건조도를 향상시키는데 유리할 뿐만 아니라, 또한 수증기의 배출온도를 향상시키는데도 유리하며, 수증기가 증기 출구(14) 위치에서 지속적으로 배출되도록 확보하여, 증기가 지속적으로 감쇠되는 현상을 방지하였으며; 다른 한방면으로는 탄성소자(42)와 밀봉재(41)를 설치하여 수증기 중의 물때와 액체 상태의 물을 케이스(1) 내에 차단할 수 있어, 물때가 수증기를 따라 증기 출구(14)와 연결되는 파이프라인에 배출됨으로 인해 초래되는 파이프라인의 막힘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또한 증기 출구(14)를 통하여 배출되는 수증기의 건조도를 더 향상시켰다. 그중, 이해할 수 있는 것은, 케이스(1) 내의 압력의 설정값이 탄성소자(42)와 밀봉재(41)의 중량, 탄성소자(42)의 탄성계수, 변형 길이와 관련된다. 따라서, 탄성소자(42)와 밀봉재(41)의 중량, 탄성소자(42)의 탄성계수, 변형 길이를 조절하는 것을 통하여, 케이스(1) 내의 압력의 설정값을 조절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밀봉재(41)는 구체, 원주체, 원추체 또는 장방체 등 형상일 수 있다. 물론, 이해할 수 있는 것은, 밀봉재(41)는 다른 형상을 구비할 수도 있으며, 통로구(1611)를 밀폐하거나 개방할 수만 있으면 된다. 선택적으로, 밀봉재(41)는 피스톤일 수 있고 탄성소자(42)는 스프링일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다른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압력 증가 스위치 장치(4)는 증기 출구(14) 위치에 설치되는 단방향 밸브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압력 증가 스위치 장치(44)는 단방향 밸브로서, 케이스(1) 내의 증기가 증기 출구(14) 위치에서 단방향으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가열소자(3)는 제2 챔버(12)와 제1 챔버(11)를 동시에 가열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가열소자(3)의 모든 작동과정에서, 가열소자(3)는 시종 제2 챔버(12)와 제1 챔버(11)를 동시에 가열시킨다. 물론,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가열소자(3)가 금방 작동할 때, 가열소자(3)는 제2 챔버(12)와 제1 챔버(11)를 동시에 가열시키지 않으며, 일정한 시간이 지난 후, 가열소자(3)는 제2 챔버(12)와 제1 챔버(11)를 동시에 가열시킨다. 예를 들어, 가열소자(3)가 금방 작동한 일정한 시간(예를 들면 5S) 내에, 가열소자(3)는 먼저 제1 챔버(11)를 가열시켜, 제1 챔버(11) 내의 물이 가열소자(3)의 가열 하에 최대한 빨리 수증기로 변화되어 제2 챔버(12)에 진입할 수 있도록 하며, 일정한 시간(예를 들면 5S)이 지난 후, 가열소자(3)는 제2 챔버(12)와 제1 챔버(11)를 동시에 가열시켜, 가열소자(3)가 계속하여 제1 챔버(11) 내의 물 및 제2 챔버(12) 내에 진입한 수증기를 가열시키도록 하여 증기 출구(14)로부터 배출되는 수증기의 건조도를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기 발생기(100)는 적어도 하나의 게인 구조(7)를 더 포함한다. 게인 구조(7)는 제2 챔버(12) 및/또는 제1 챔버(11) 내에 수용되는 바, 예를 들면 게인 구조(7)는 제2 챔버(12) 내에만 수용되거나, 또는 게인 구조(7)는 제1 챔버(11) 내에만 수용되거나, 또는 게인 구조(7)는 다수개를 포함하고 또한 각각 제2 챔버(12)와 제1 챔버(11)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이로써, 제2 챔버(12) 및/또는 제1 챔버(11) 내에 게인 구조(7)를 설치하는 것을 통하여, 제2 챔버(12) 및/또는 제1 챔버(11) 내의 표면적을 증대시켜, 보다 많은 물때가 게인 구조(7)에 부착되도록 함으로써, 일정한 정도에서 증기 발생기(100)의 사용수명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할 뿐만 아니라, 또한 물때가 수증기를 따라 유동하는 것을 막아, 물때가 증기 출구(14)로부터 유출되는 가능성을 감소시키는데 유리하다.
게인 구조(7)는 이격벽(2)과 접촉됨으로써, 가열소자(3)에서 발생된 열량이 게인 구조(7)에 전달되도록 하여, 게인 구조(7) 및 게인 구조(7)를 경유하는 수증기 및/또는 물 사이의 열교환을 진행시켜, 열교환 면적을 증가시켰으며, 가열소자(3)의 열량의 이용률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하고, 일정한 정도에서 가열소자(3)의 작동시간을 감소시키고, 가열소자(3)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동시에 간접적으로 증기 발생기(100)의 사용수명을 연장시키고, 또한 수증기의 온도와 건조도를 향상시키는데도 유리하다.
바람직하게, 게인 구조(7)와 제1 챔버(11)의 내측벽(즉 케이스(1)의 내측벽/베이스(15)의 내측벽)은 접촉하지 않음으로써, 일정한 정도에서 게인 구조(7)와 제1 챔버(11)의 내측벽이 접촉됨으로 인해 증기 발생기(100)의 외부에 열량을 복사하는 것을 방지한다. 물론,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게인 구조(7)는 동시에 이격벽(2)의 외측벽과 제1 챔버(11)의 내측벽에 연결될 수 있다.
더 나아가, 게인 구조(7)는 이격벽(2)에 연결되며, 예를 들면 게인 구조(7)와 이격벽(2)은 일체 성형품이고, 구조가 간단하다. 물론,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게인 구조(7)는 케이스(1)의 꼭대기벽(예를 들면 커버체(16))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또한 게인 구조(7)는 아래로 제2 챔버(12) 및/또는 제1 챔버(11) 내에 넣어져 이격벽(2)과 접촉된다.
구체적으로, 게인 구조(7)의 하단과 케이스(1)의 밑벽 사이가 이격됨으로써, 케이스(1)의 바닥(커버체(16)의 바닥)의 물의 유동 및 물때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하고, 게인 구조(7)의 하단과 케이스(1)의 밑벽이 접촉됨으로 인해 물때가 해당 위치에 누적되는 것을 방지한다. 선택적으로, 게인 구조(7)의 횡단면은 대체적으로 "十"자 모양으로 형성되고, 또한 게인 구조(7)의 횡단면적은 위로부터 아래로 가면서 점차적으로 감소된다. 물론,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게인 구조(7)는 예를 들면 상하로 연장되는 판상 등의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게인 구조(7)는 다수개를 포함하고, 또한 다수개의 게인 구조(7)는 이격벽(2)의 원주방향으로 에워싸는 것으로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다수개의 게인 구조(7)는 이격벽(2)의 원주방향으로 에워싸는 것으로 이격되게 설치된다. 예를 들어, 게인 구조(7)는 4개를 포함하고, 4개의 게인 구조(7)는 제1 챔버(11) 내에 수용되고 이격벽(2)의 원주방향에서 균일한 간격으로 설치된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다수개의 게인 구조(7) 사이의 사이즈와 형상은 동일할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증기 발생기(100)는 적어도 하나의 때수용구조를 더 포함하고, 때수용구조는 제2 챔버(12) 및/또는 제1 챔버(11) 내에 설치된다. 예를 들어, 때수용구조는 제2 챔버(12) 내에만 설치되거나 또는 때수용구조는 제1 챔버(11) 내에만 설치되거나 또는 때수용구조는 다수개이고 각각 제1 챔버(11)와 제2 챔버(12) 내에 설치된다. 이로써, 때수용구조를 설치하는 것을 통하여, 제2 챔버(12) 및/또는 제1 챔버(11) 내의 표면적을 증가시켜, 보다 많은 물때가 때수용구조에 부착되도록 하여, 일정한 정도에서 증기 발생기(100)의 사용수명을 증가시키는데 유리할 뿐만 아니라, 또한 물때가 수증기를 따라 유동하는 것을 막아, 물때가 증기 출구(14)로부터 유출되는 가능성을 감소시키는데도 유리하다.
더 나아가, 도10 내지 도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때수용구조는 망상 그리드(81), 막대모양 그리드(82)와 기둥모양 그리드(83) 중의 적어도 하나이다.
예를 들어, 도13과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때수용구조는 망상 그리드(81)로써 케이스(1) 내의 표면적을 증가시켜 보다 많은 물때가 망상 그리드(81)에 부착되게 하여, 일정한 정도에서 증기 발생기(100)의 사용수명을 증가시키는데 유리할 뿐만 아니라, 망상 그리드(81) 상의 메쉬는 물때가 수증기를 따라 유동하는 것을 막아, 물때가 증기 출구(14)로부터 유출되는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도 있는 동시에, 망상 그리드(81)의 설치는 증기 출구(14) 위치에 필터를 설치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기존 기술에서 증기 출구(14) 위치에 필터를 설치함으로 인해 물때가 필터에 부착되어 초래되는 증기 출구(14)의 막힘 및 필터 위의 물때가 수증기의 충격하에서 증기 출구(14)와 연통되는 외부 파이프라인에 유동되어 파이프라인의 막힘이 초래되는 등 문제를 방지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망상 그리드(81)의 메쉬는 원형 홀 또는 6각형 홀 또는 다른 형상의 홀로 형성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망상 그리드(81)의 다수개의 메쉬의 크기는 동일할 수 있고, 물론 다를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망상 그리드(81) 상의 메쉬의 크기는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 하나의 지역의 수질과 작업상황에 따라 망상 그리드(81) 상의 메쉬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망상 그리드(81)는 다수개를 포함할 수 있고, 또한 다수개의 망상 그리드(81)는 위치한 챔버(즉, 제1 챔버(11) 및/또는 제2 챔버(12)) 내에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13과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망상 그리드(81)는 제1 챔버(11) 내에 이격되게 설치됨으로써, 보다 큰 정도에서 물때의 부착 면적을 증가시키고, 또한 더욱 큰 정도에서 물때가 수증기를 따라 유동하는 것을 막아 물때가 증기 출구(14)를 통하여 유출되는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17, 도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때수용구조는 막대모양 그리드(82)로써, 케이스(1) 내의 표면적을 증가시켜 보다 많은 물때가 막대모양 그리드(82)에 부착되게 하여, 일정한 정도에서 증기 발생기(100)의 사용수명을 증가시키는데 유리할 뿐만 아니라, 또한 물때가 수증기를 따라 유동하는 것을 막아 물때가 증기 출구(14)로부터 유출되는 가능성을 감소시키는 동시에, 막대모양 그리드(82)의 설치는 또 증기 출구(14) 위치에 필터를 설치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기존 기술에서 증기 출구(14) 위치에 필터를 설치함으로 인해 물때가 필터에 부착되어 초래되는 증기 출구(14)의 막힘 및 필터 상의 물때가 수증기의 충격하에서 증기 출구(14)와 연통되는 외부 파이프라인에 유동되어 파이프라인의 막힘이 초래되는 등의 문제를 방지하였다. 이 외에, 막대모양 그리드(82)의 매 하나의 그리드 홀이 막대모양 그리드(82)의 높이방향에서 연장되기 때문에, 막대모양 그리드(82)가 물때를 막은 후, 물때는 중력작용하에서 하향 침적되어 막대모양 그리드(82)의 보텀에 떨어져, 막대모양 그리드(82)가 물때에 의해 막힘이 발생하는 확률을 감소시키고, 막대모양 그리드(82)의 수증기가 통과 지나는 면적을 보장하며, 나아가서 수증기가 막대모양 그리드(82)를 경유할 때, 유속이 지나치게 크지 않도록 하여, 물때가 수증기와 함께 증기 출구(14)를 뚫고 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매 하나의 막대모양 그리드(82) 상의 그리드 홀의 크기와 수량은 조절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매 하나의 지역의 수질과 작업 상황에 따라 그리드 홀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막대모양 그리드(82)는 다수개를 포함할 수 있고, 또한 다수개의 막대모양 그리드(82)는 위치한 챔버(즉 제1 챔버(11) 및/또는 제2 챔버(12)) 내에 이격되게 설치된다. 예를 들면 도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막대모양 그리드(82)는 제1 챔버(11) 내에 이격되게 설치됨으로써, 더욱 큰 정도에서 물때의 부착 가능한 면적을 증가시키고, 또한 보다 큰 정도에서 물때가 수증기를 따라 유동하는 것을 막아 물때가 증기 출구(14)로부터 유출되는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더 나아가, 망상 그리드(81) 및/또는 막대모양 그리드(82)는 제1 챔버(11) 내에 설치되고, 망상 그리드(81)의 양단 및/또는 막대모양 그리드(82)의 양단은 각각 제1 챔버(11)의 내측벽, 이격벽(2)의 외측벽과 연결된다. 예를 들어, 제1 챔버(11) 내에 망상 그리드(81)만 설치될 경우, 망상 그리드(81)의 양단은 각각 제1 챔버(11)의 내측벽, 이격벽(2)의 외측벽과 연결되고, 제1 챔버(11) 내에 막대모양 그리드(82)만 설치될 경우, 막대모양 그리드(82)의 양단은 각각 제1 챔버(11)의 내측벽, 이격벽(2)의 외측벽과 연결되며, 제1 챔버(11) 내에 막대모양 그리드(82)와 망상 그리드(81)가 동시에 설치될 경우, 막대모양 그리드(82)와 망상 그리드(81) 각자의 양단은 모두 제1 챔버(11)의 내측벽, 이격벽(2)의 외측벽과 각각 연결된다. 이로써, 제1 챔버(11) 내부를 경유하는 수증기가 반드시 망상 그리드(81) 및/또는 막대모양 그리드(82)를 경유해야만이 계속하여 앞으로 유동할 수 있게 함으로써, 물때가 수증기를 따라 유동하는 것을 믿음직하게 막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14를 참조하면, 제1 챔버(11)의 내측벽과 이격벽(2)의 외측벽에 각각 제1 걸림홈(84)과 제2 걸림홈(85)이 형성되고, 망상 그리드(81)의 양단 및/또는 막대모양 그리드(82)의 양단은 모두 각각 제1 걸림홈(84)과 제2 걸림홈(85) 내에 걸림 설치된다. 이로써, 망상 그리드(81) 및/또는 막대모양 그리드(82)를 믿음직하게 제1 챔버(11) 내에 고정하여, 망상 그리드(81) 및/또는 막대모양 그리드(82)의 불확실한 고정으로 인해 망상 그리드(81) 및/또는 막대모양 그리드(82)가 제1 챔버(11) 내에서 이동하거나 흔들려 망상 그리드(81) 및/또는 막대모양 그리드(82)의 사용효과에 영향주는 것을 방지한다.
예를 들어, 도14의 구체적인 예시에 있어서, 제1 걸림홈과 제2 걸림홈(85)은 모두 케이스(1)의 높이 방향(즉 베이스(15)의 높이 방향)에서 연장되어, 막대모양 그리드(82) 및/또는 망상 그리드(81)를 믿음직하게 제1 챔버(11)와 이격벽(2) 사이에 고정시킨다. 구체적으로, 제1 걸림홈(84)은 제1 챔버(11)의 내측벽에서 돌출되고 또한 서로 이격되는 2개의 제1 돌출 리브에 의해 한정된다. 제2 걸림홈(85)은 이격벽(2)의 외측벽에서 돌출되고 또한 서로 이격되는 2개의 제2 돌출 리브에 의해 한정되는 바며, 구조가 간단하고 믿음직하다. 선택적으로, 제2 돌출 리브와 이격벽(2) 사이 및 제1 돌출 리브와 케이스(1) 사이는 일체 성형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모양 그리드(83)는 제1 챔버(11) 및/또는 제2 챔버(12) 내에 위치하고, 또한 기둥모양 그리드(83)는 대체적으로 반경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다수개의 확장 바(831)를 포함한다. 이로써 제1 챔버(11) 및/또는 제2 챔버(12) 내의 표면적을 증가시켜 보다 많은 물때가 확장 바(831)에 부착되도록 하고, 또한 일정한 정도에서 증기 발생기(100)의 사용수명을 증가시키는데 유리할 뿐만 아니라, 또한 확장 바(831)의 설치는 또 일정한 정도에서 물때가 수증기를 따라 유동하는 것을 막아, 물때가 증기 출구(14)로부터 유출되는 가능성을 감소시키는데 유리하다.
구체적으로, 기둥모양 그리드(83)는 케이스(1)의 높이방향을 따라 분포되는 다중 서클(multi-circle)의 확장 바(831)를 포함하고, 매 서클의 확장 바(831)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분포되는(예를 들어, 이격벽(2)의 원주방향을 따라 분포) 다수개가 포함되어, 보다 큰 정도에서 제1 챔버(11) 및/또는 제2 챔버(12) 내의 표면적을 증가시켜, 보다 많은 물때를 수용하게 하는 동시에, 비교적 큰 정도에서 물때가 수증기를 따라 유동하는 것을 막아 증기 발생기(100)의 사용수명을 증가시키는데 유리하다. 더 나아가, 인접한 2개의 확장 바(831)는 높이 방향에서 서로 엇갈린다. 예를 들어, 케이스(1)의 높이 방향(예를 들면, 베이스(15)의 높이방향)에서 분포되는 다중 서클의 확장 바(831)는 서로 엇갈린다. 이로써, 물때가 수증기를 따라 유동할 때, 보다 큰 정도에서 물때가 확장 바(831)와 충돌하는 확률을 증가시켜, 물때가 수증기를 따라 유동하는 것을 막아, 물때가 수증기를 따라 증기 출구(14)를 뚫고 나아가는 것으로 인해 초래되는 증기 출구(14)의 막힘 또는 증기 출구(14)와 연결되는 파이프라인의 막힘을 더 방지하고, 증기 발생기(100)의 사용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확장 바(831)는 이격벽(2)의 외측벽 및/또는 내측벽에서 연장된다. 예를 들어, 기둥모양 그리드(83)가 제2 챔버(12) 내에 설치될 경우, 확장 바(831)는 이격벽(2)의 내측벽에서 제2 챔버(12) 내로 연장되고, 기둥모양 그리드(83)가 제1 챔버(11) 내에 설치될 경우, 확장 바(831)는 이격벽(2)의 외측벽에서 제1 챔버(11) 내로 연장되며, 기둥 모양 그리드(83)가 동시에 제1 챔버(11)와 제2 챔버(12) 내에 설치될 경우, 다수개의 확장 바(831)는 이격벽(2)의 외측벽과 내측벽에서 각각 제1 챔버(11)와 제2 챔버(12)의 내부로 연장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소자(3)는 나선모양으로 이격벽(2)의 원주방향을 따라 감돌아 이격벽(2) 내에 설치된다. 예를 들어, 가열소자(3)는 하나이고 나선모양으로 이격벽(2)의 원주방향으로 감돌아 이격벽(2) 내에 설치됨으로써, 가열소자(3)와 이격벽(2)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켜, 가열소자(3)가 이격벽(2)을 통하여 보다 많이 제2 챔버(12)와 제1 챔버(11) 내에 열량을 복사하도록 하여, 증기 발생기(100)의 예열시간을 단축시키고, 수증기의 온도와 건조도를 향상시킨다. 물론,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가열소자(3)는 다수개를 포함할 수 있고, 다수개의 가열소자(3)는 이격벽(2)의 상하방향에서 이격되게 분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증기 발생기(100)는 적어도 하나의 온도 조절기(9)를 더 포함하고, 온도 조절기(9)는 케이스(1)의 온도에 따라 가열소자(3)의 작동과 차단을 제어한다.
도 1, 도 5,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 조절기(9)는 케이스(1)의 외표면에 설치된다. 예를 들어, 온도 조절기(9)는 케이스(1)의 외부 꼭대기벽(즉 커버체(16)의 외부 꼭대기벽), 케이스(1)의 외부 밑벽(즉 베이스(15)의 외부 밑벽) 또는 케이스(1)의 외측벽면(즉 베이스(15)의 외측벽)에 설치된다. 이로써, 온도 조절기(9)를 케이스(1)의 외표면에 설치하는 것을 통하여, 온도 조절기(9)의 설치, 보수 및 교체에 편리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온도 조절기(9)의 작동환경을 최적화하였으며, 온도 조절기(9)가 가혹한 환경하에서 작동할 필요가 없어, 저원가의 온도 조절기(9)를 선택하는 등과 같은 온도 조절기(9)의 선택 가능한 범위를 확대시켰으며, 증기 발생기(100)의 원가를 감소시키는데 유리하다.
선택적으로, 그중의 일부 예시에 있어서, 온도 조절기(9)는 전자식 온도 조절기(9)이고, 또한 제1 온도 센서가 연결되어 있으며, 온도 조절기(9)는 케이스(1)의 외표면에 설치되어 제1 온도 센서가 케이스(1)의 온도를 검출하도록 하며, 온도 조절기(9)는 제1 온도 센서가 검출한 온도에 따라 가열소자(3)의 작동과 차단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온도 조절기(9)의 제1 온도 센서가 케이스(1)의 온도가 예정된 최고 온도값보다 높음을 검출하였을 경우, 온도 조절기(9)는 가열소자(3)가 가열이 정지되도록 제어하며, 제1 온도 센서가 케이스(1)의 온도가 예정된 최저 온도값보다 낮음을 검측하였을 경우, 온도 조절기(9)는 가열소자(3)가 가열되도록 제어함으로써, 가열소자(3)의 사용 상의 신뢰도를 보장하고, 증기 발생기(100)의 사용안전성을 향상시키며, 가열소자(3)의 지속적인 가열로 인해 온도가 지나치게 높아 초래되는 증기 발생기(100)가 불에 타서 망가지는 것 및 다른 안전 우환을 방지한다.
선택적으로, 온도 조절기(9)는 다수개를 포함할 수 있고, 다수개의 온도 조절기(9) 사이는 병렬 연결되며, 다수개의 온도 조절기(9)는 각각 케이스(1)의 외표면의 다른 위치에 설치되어 케이스(1)의 다른 위치의 온도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중 하나의 온도 조절기(9)의 제1 온도 센서가 해당 온도 조절기(9)가 위치한 케이스(1)의 대응되는 위치의 온도가 예정된 최고 온도값보다 높음을 검출하였을 경우, 해당 온도 조절기(9)는 가열소자(3)가 가열을 정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일정한 시간동안 가열을 정지한 후, 다른 하나의 온도 조절기(9)의 제1 온도 센서가 해당 온도 조절기(9)가 위치한 케이스(1)의 대응되는 위치의 온도가 예정된 최저 온도값보다 낮음을 검출하였을 경우, 당해 온도 조절기(9)는 가열소자(3)가 가열을 시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물론, 다른 일부 예시에 있어서, 온도 조절기(9)는 기계식 온도 조절기(9)이고 케이스(1)에 설치되며, 당해 온도 조절기(9)는 케이스(1)의 온도에 따라 차단 또는 리셋을 진행함으로써, 가열소자(3)의 작동과 차단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기 발생기(100)는 적어도 하나의 퓨즈(10)를 더 포함하고, 퓨즈(10)는 케이스(1)의 외표면에 설치된다. 예를 들어, 퓨즈(10)는 케이스(1)의 외부 꼭대기벽(즉 커버체(16)의 외부 꼭대기벽), 케이스(1)의 외부 밑벽(즉 베이스(15)의 외부 밑벽) 또는 케이스(1)의 외측벽면(즉 베이스(15)의 외측벽)에 설치된다. 이로써 퓨즈(10)의 설치, 보수, 교체에 편리를 제공한다.
매 하나의 퓨즈(10)는 제2 온도 센서를 포함하고, 퓨즈(10)는 케이스(1)의 외표면에 설치되어 제2 온도 센서가 케이스(1)의 온도를 검출하도록 하며, 제2 온도 센서가 케이스(1)의 온도가 기설정값보다 높음을 검출하였을 경우, 퓨즈(10)는 가열소자(3)가 전기를 차단하도록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퓨즈(10)의 제2 온도 센서가 케이스(1)의 온도가 비정상적으로 높고(예를 들면 증기 발생기(100)가 비정상적으로 작동하고 또한 온도 조절기(9)가 실효될 경우) 또한 기설정값보다 높음을 검출하였을 경우, 퓨즈(10)는 녹아 끊어져 가열소자(3)가 전기를 차단하여 가열소자(3)의 가열을 정지시키도록 함으로써, 증기 발생기(100)의 사용 안전성을 향상시킨다.
선택적으로, 퓨즈(10)는 다수개를 포함할 수 있고, 다수개의 퓨즈(10) 사이는 병렬 연결되며, 또한 다수개의 퓨즈(10)는 케이스(1)의 외표면의 다른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온도 조절기(9)는 케이스(1)의 외측벽면에 설치되는 바, 예를 들어 온도 조절기(9)는 베이스(15)의 외측벽면에 설치된다. 선택적으로, 퓨즈(10)와 온도 조절기(9)는 동시에 베이스(15)의 외측벽면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는 대체로 직방체, 구체, 타원체 또는 원주체 모양을 가지며 구조가 간단하다.
선택적으로, 증기 출구(14)와 제2 챔버(12)의 중심은 대응되게 설치된다. 물론,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증기 출구(14)는 제2 챔버(12)와 대응되는 케이스(1)의 꼭대기벽(즉 커버체(16))의 다른 위치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제2 챔버(12) 내의 수증기가 배출되는 것에 편리하기만 있으면 된다.
선택적으로, 이격벽(2)과 케이스(1)의 중심선은 동일한 선이다. 다시 말하면, 제2 챔버(12)와 제1 챔버(11)의 중심선은 동일한 선이다. 이로써, 수증기가 원활하게 제1 챔버(11)를 흘러 지나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열소자(3)가 균일하게 제1 챔버(11) 내의 수증기를 가열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물론, 이해할 수 있는 것은, 제2 챔버(12)와 제1 챔버(11)의 중심선은 동일한 선이 아닐 수도 있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기 발생기 시스템(1000)은 상기의 증기 발생기(100), 물탱크(200), 연화수 장치(400)와 물 펌프(300)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물 펌프(300)는 용적 펌프(displacement pump) 또는 베인 펌프이다.
구체적으로,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 펌프(300)는 물탱크(200)와 입수구(13) 사이에 연결되고, 또한 증기 발생기(100)가 작동할 때, 물 펌프(300)는 물탱크(200) 내의 물을 연속적으로 증기 발생기(100)의 케이스(1) 내에 펌핑하고, 가열소자(3)는 지속적으로 가열한다. 구체적으로, 물 펌프(300)의 유량은 V이고, 증기 발생기(100)가 작동할 때, 물 펌프(300)는 물탱크(200) 내의 물을 20ml/min≤V≤100ml/min의 유량으로 연속적으로 케이스(1) 내에 펌핑한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증기 발생기 시스템(1000)이 작동할 때, 물 펌프(300)가 물탱크(200) 내의 물을 20ml/min≤V≤100ml/min의 유량으로 연속적으로 케이스(1) 내에 펌핑하도록 하는 것을 통하여, 케이스(1) 내의 물이 가열소자(3)의 가열하에서, 신속히 수증기로 기화되는 동시에 증기 출구(14)로부터 배출되게 한다. 이는 한방면으로는 물을 추가하는데 편리를 제공하고 또한 증기 발생기(100)의 예열시간을 절약할 수 있어, 증기 출구(14)가 끊임없이 수증기를 배출하게 할 수 있어, 증기 발생기(100)의 작동효율을 향상시켰으며, 다른 한방면으로는 증기 발생기(100) 내에 수위 센서를 설치하거나 배선하는 것 등을 방지하여, 원가를 절약하는데 유리하고 생산 노동자의 장착을 편리하도록 하는 동시에 또한 증기 발생기 시스템(1000)의 안전 성능을 향상시켰다. 설명해야 할 것은, 물 펌프(300)는 연속적으로 물탱크(200) 내의 물을 20ml/분≤V≤100ml/분의 유량으로 케이스(1) 내에 펌핑하는 바, 여기서 말하는 "연속적으로"는 쉼없이 연속적인 것 즉 중단 없이 연속적인 뜻을 포함할 수 있고 또한 동일 시간간격을 두고 연속적이거나 다른 시간간격으로 연속적인 등 3가지 실시방식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가열소자(3)의 출력이 P이고, 1000W≤P≤2500W일 경우, 20ml/분≤V≤100ml/분이다. 이로써 가열 소자(3)와 물 펌프(300) 사이의 배합도를 더 최적화하고, 가열 소자(3)의 출력이 지나치게 낮고, 물 펌프(300)가 케이스(1) 내에 펌핑하는 물이 지나치게 많음으로 인해 초래되는 케이스(1) 내 물 넘쳐나는 것을 방지하고, 가열소자(3)의 출력이 지나치게 크고 물 펌프(300)가 펌핑하는 물이 지나치게 적음으로 인해 초래되는 가열소자(3)가 그저 가열되기만 하는 등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증기 발생기 시스템(1000)의 사용 안전성을 더 향상시켰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기 발생기 시스템(1000)은, 상기의 증기 발생기(100)를 설치하는 것을 통하여, 물을 추가하는데 편리하고, 체적이 작으며, 가전제품의 소형화를 실현하는데 유리하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는, 증기 발생기(100)가 작동할 때, 물 펌프(300)는 연속적으로 끊임없이 물탱크(200) 내의 물을 케이스(1) 내에 펌핑하고, 가열소자(3)는 끊임없이 가열을 진행한다. 다시 말하자면, 증기 발생기(100)가 작동을 시작하기만 하면 물 펌프(300)는 중단 없이 지속적으로 물탱크(200) 내의 물을 케이스(1) 내에 펌핑하고 또한 가열소자(3) 역시 중단 없이 지속적으로 가열을 진행한다. 물론,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일부 다른 예시에서, 증기 발생기 시스템(1000)이 작동할 때, 물 펌프(300)는 동일한 시간 간격 또는 다른 시간 간격으로 물탱크(200) 내의 물을 케이스(1) 내에 예정된 물량만큼 펌핑하고, 가열소자(3)는 끊임없이 가열을 진행한다. 예를 들어, 물 펌프(300)는 5분 간격을 두고 케이스(1) 내에 예정된 물량을 펌핑할 수 있고, 가열소자(3)는 지속적으로 가열을 진행할 수 있으며, 물 펌프(300)가 케이스(1)에 예정된 물량을 펌핑한 후에, 펌핑을 정지할 때, 가열소자(3)는 시종 가열을 진행한다. 그중, 이해할 수 있는 것은, 물 펌프(300)는 동일한 시간 간격 또는 다른 시간 간격으로 물탱크(200) 내의 물을 케이스(1) 내에 펌핑하는 시간 파라미터는 실제 수요에 따라 적응성적인 조절을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물탱크(200), 물 펌프(300)와 증기 발생기(100)의 입수구(13)가 연통되어 입수 파이프라인을 형성하며, 연화수 장치(400)는 입수 파이프라인에 직렬연결된다. 이로써, 연화수 장치(400)를 입수 파이프라인에 직렬연결시키는 것을 통하여 입수파이프라인의 물을 연화시켜, 증기 발생기(100) 내에 진입한 물이 연화수로 되게 하여, 증기 발생기(100)의 사용과정에서, 증기 발생기(100) 내의 물때를 대폭 감소시킬 수 있는 동시에, 증기 발생기(100)에 대하여 때 제거 처리를 진행하지 않아도 된다. 이는 원가를 절약하였을 뿐만 아니라 증기 발생기 시스템(1000)의 사용 안전성을 향상시켰으며, 증기 발생기 시스템(1000)의 사용수명을 연장시켰다.
선택적으로,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화수 장치(400)는 물탱크(200) 내에 설치됨으로써, 물탱크(200) 내의 물을 연화시킨다. 물론,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연화수 장치(400)는 입수파이프라인 중의 다른 위치, 예를 들면 물 펌프(300)와 증기 발생기(100) 사이에 직렬연결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연화수 장치(400)는 연화 수지 또는 역삼투막이다. 이로써 입수파이프라인 중의 물에 대한 연화효과를 향상시키고, 비교적 큰 정도에서 물 중의 물때를 제거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전제품은, 상기의 증기 발생기 시스템(10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전제품은, 상기의 증기 발생기 시스템(1000)을 설치하는 것을 통하여, 체적이 작고, 가전제품의 소형화를 실현하는데 유리하며, 또한 편리하게 입수구(13)를 통하여 케이스(1) 내에 물을 추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가전제품은 흡진기, 스팀 다리미, 주방 환풍기, 커피 제조기, 세탁기, 에어컨 또는 전자 레인지이다.
본 발명에서, 별도의 명확한 규정과 한정이 없는 한, "설치", "연결", "고정" 등 용어는 광의적으로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고정연결일 수 있고 탈착 가능한 연결일 수도 있으며 또는 일체로 될 수도 있고; 기계적 연결일 수 있고 전기적 연결일 수도 있으며 서로 통신 가능하며; 직접적인 연결일 수 있고, 중간 매개체를 통한 간접적인 연결일 수도 있으며, 2개의 소자 내부의 연통 또는 2개의 소자의 상호 작용 관계일 수도 있다. 별도의 명확한 한정이 없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구체적인 상황에 따라 상기 용어가 본 발명에서의 구체적인 함의를 이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설명에서, 참조 용어 "하나의 실시예", "일부 실시예", "예시", "구체적인 예시" 또는 "일부 예시" 등 설명은 상기 실시예 또는 예시와 결부하여 설명된 구체적인 특징, 구조, 재료 또는 특점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 또는 예시 중에 포함되는 것을 말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용어에 대한 예시적인 설명은 반드시 동일한 실시예 또는 예시를 말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설명한 구체적인 특징, 구조, 재료 또는 특점은 모든 하나 또는 복수개의 실시예 또는 예시에서 적당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밖에도 서로 모순되지 않는 상황하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다른 실시예 또는 예시 및 다른 실시예 또는 예시의 특징을 결합하고 조합할 수 있다.
위에서 이미 본 발명의 실시예를 표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해할 수 있는 것은, 상기 실시예는 예시성인 것으로, 본 발명에 대한 한정으로 이해해서는 안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상기 실시예에 대하여 변화, 수정, 교체와 변형을 진행할 수 있다.
1000: 증기 발생기 시스템
100: 증기 발생기
1: 케이스
11: 제1 챔버
12: 제2 챔버
17: 제3 챔버
13: 입수구
14: 증기 출구
15: 베이스
16: 커버체
162: 돌출 리브
161: 돌출 기둥
1611: 통로구
1612: 단방향 통로
163: 돌출 스트립
2: 이격벽
22: 오목홈
21: 연통홈
211: 제1 연통홈
212: 제2 연통홈
3: 가열소자
31: 전기 접선단자
4: 압력 증가 스위치 장치
41: 밀봉재
42: 탄성소자
5: 차단벽
51: 제1 단벽
52: 제2 단벽
53: 제3 단벽
54: 제4 단벽
55: 밀봉홈
61: 제1 입수관
62: 제2 입수관
621: 제1 출수홀
622: C형 파이프 부분
623: 수직 파이프 부분
7: 게인 구조
81: 망상 그리드
82: 막대모양 그리드
83: 기둥모양 그리드
831: 확장 바
84: 제1 걸림홈
85: 제2 걸림홈
9: 온도 조절기
10: 퓨즈
200: 물탱크
300: 물 펌프
400: 연화수 장치

Claims (30)

  1. 내부에 서로 이격되는 적어도 2개의 챔버를 한정하되, 상기 적어도 2개의 챔버 사이는 각각 연통홈을 통하여 연통되고 그중 2개의 챔버는 각각 입수구와 증기 출구를 구비하는 케이스;
    케이스 내에 형성되고, 케이스 내의 물을 가열하여 증기로 기화시키는 가열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 내에는 유체 통로가 구비되고, 상기 유체통로는 상기 입수구로부터 상기 적어도 2개의 챔버를 경유하여 상기 증기 출구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케이스 내부는 이격벽을 통하여 제1 챔버와 제2 챔버가 한정되고, 적어도 하나의 상기 연통홈이 상기 이격벽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챔버와 상기 제2 챔버 사이의 유체를 연통시키며, 상기 입수구와 상기 제1 챔버가 연통되고, 상기 증기 출구와 상기 제2 챔버가 연통되며, 상기 가열소자가 상기 이격벽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챔버와 상기 제2 챔버를 가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유체 통로는 유체 서브 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챔버와 상기 제2 챔버 사이에 적어도 한갈래의 상기 유체 서브통로가 한정되고, 적어도 한갈래의 상기 유체 서브통로에 차단벽을 설치하여 유체의 유동 방향을 차단하며, 상기 차단벽은 상기 연통홈과 인접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발생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내에서 제1 챔버 내지 제3 챔버가 한정되고, 상기 제3 챔버와 제2 챔버는 상기 케이스 내에 나란히 배열되어 설치되며, 상기 제3 챔버와 상기 제2 챔버의 측벽과 상기 케이스의 내측벽 사이에는 상기 제1 챔버가 한정되고, 상기 제1 챔버와 상기 제3 챔버 사이는 제1 연통홈을 통하여 연통되며, 상기 제3 챔버와 상기 제2 챔버 사이는 제2 연통홈을 통하여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발생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소자는 상기 제3 챔버와 상기 제2 챔버의 측벽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챔버 내지 상기 제3 챔버를 가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발생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수구와 상기 제1 챔버가 연통되고, 상기 증기 출구와 상기 제2 챔버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발생기.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벽은 판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챔버와 상기 제2 챔버를 이격시키고, 상기 제1 챔버와 상기 제2 챔버가 좌우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어 설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발생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벽은 링 모양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챔버가 상기 제2 챔버를 에워싸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발생기.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챔버 내에는 차단벽이 설치되어 유체의 유동방향을 차단하고, 상기 차단벽은 상기 연통홈과 인접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발생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입수구는 상기 차단벽의 상기 연통홈을 등진 일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발생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 발생기는 상기 입수구와 연통되는 제1 입수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입수관의 출수단은 상기 제1 챔버 내에 넣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발생기.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입수구와 상기 연통홈은 상기 차단벽의 동일한 일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발생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 발생기는 상기 입수구와 연통되는 제2 입수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입수관의 자유단은 상기 차단벽의 상기 연통홈과 가까운 일측에서부터 상기 이격벽의 원주방향으로 감돌아 상기 차단벽의 타측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발생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입수관에는 다수개의 이격 설치되는 제1 출수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발생기.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입수관의 자유단은 출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발생기.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 발생기는 상기 입수구와 연통되는 제3 입수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입수관의 출수단은 상기 차단벽을 관통하여 상기 제1 챔버의 상기 연통홈에서 멀리 떨어진 일측까지 넣어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발생기.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 발생기는 상기 입수구와 연통되는 제4 입수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4 입수관의 자유단은 밀폐되고, 상기 제4 입수관은 상기 차단벽을 관통하며, 상기 이격벽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4 입수관의 길이방향에 다수개의 이격 설치되는 제2 출수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발생기.
  1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챔버 내에 형성된 수증기는 상기 연통홈을 통하여 상기 제2 챔버 내에 진입한 후 증기 사이클론 기류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발생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홈의 연장방향과 상기 제2 챔버의 내주벽면이 서로 접하여 상기 제1 챔버 내에 형성되는 수증기가 접선방향으로 상기 제2 챔버 내에 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발생기.
  2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홈은 상기 이격벽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의 꼭대기벽과 인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발생기.
  2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소자는 전기 접선단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기 접선단자는 상기 차단벽에 삽입되고, 상기 차단벽과 대응되는 상기 케이스 측벽의 천공을 통하여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발생기.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소자는 상기 제2 챔버와 상기 제1 챔버를 동시에 가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발생기.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소자는 상기 이격벽 속에, 이격벽의 내벽면 또는 외벽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발생기.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소자는 나선 모양으로 상기 이격벽의 원주방향으로 감돌아 상기 이격벽 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발생기.
  25. 제1항 내지 제4항, 제6항, 제7항 및 제9항 내지 제2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를 밀봉하는 커버체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입수구와 상기 증기 출구는 모두 상기 커버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발생기.
  26. 제1항 내지 제4항, 제6항, 제7항 및 제9항 내지 제2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 발생기는 적어도 하나의 온도 조절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온도 조절기는 상기 케이스의 외표면에 설치되며, 상기 온도 조절기는 상기 케이스의 온도에 따라 상기 가열소자의 작동과 차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발생기.
  27. 제1항 내지 제4항, 제6항, 제7항 및 제9항 내지 제2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퓨즈를 더 포함하고,
    매 하나의 상기 퓨즈는 제2 온도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퓨즈는 상기 케이스의 외표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온도 센서가 상기 케이스의 온도를 검출하도록 하며, 상기 제2 온도 센서가 상기 케이스의 온도가 기설정값보다 높음을 검출하였을 경우, 상기 퓨즈가 상기 가열소자의 전력 차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발생기.
  28. 물탱크;
    제1항 내지 제4항, 제6항, 제7항 및 제9항 내지 제2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증기 발생기; 및
    상기 물탱크 중의 물을 연속적으로 상기 케이스 내에 펌핑하는 물 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발생기 시스템.
  29. 제28항에 따른 증기 발생기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가전제품은 흡진기, 스팀 다리미, 주방 환풍기, 커피 제조기, 세탁기, 에어컨 또는 전자 레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KR1020167030505A 2015-12-14 2016-05-31 증기 발생기, 증기 발생기 시스템 및 가전제품 KR1019973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521042440.XU CN205279035U (zh) 2015-12-14 2015-12-14 蒸汽发生器、蒸汽发生器系统及家用电器
CN201510933383.2 2015-12-14
CN201510930659.1A CN105737125B (zh) 2015-12-14 2015-12-14 蒸汽发生器、蒸汽发生器系统及家用电器
CN201521042569.0 2015-12-14
CN201510930659.1 2015-12-14
CN201521042569.0U CN205279037U (zh) 2015-12-14 2015-12-14 蒸汽发生器、蒸汽发生器系统及家用电器
CN201510933383.2A CN105716061B (zh) 2015-12-14 2015-12-14 蒸汽发生器、蒸汽发生器系统及家用电器
CN201521042440.X 2015-12-14
PCT/CN2016/084170 WO2017101258A1 (zh) 2015-12-14 2016-05-31 蒸汽发生器、蒸汽发生器系统及家用电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6939A KR20170096939A (ko) 2017-08-25
KR101997326B1 true KR101997326B1 (ko) 2019-07-05

Family

ID=59055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0505A KR101997326B1 (ko) 2015-12-14 2016-05-31 증기 발생기, 증기 발생기 시스템 및 가전제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20180038584A1 (ko)
JP (1) JP6345804B2 (ko)
KR (1) KR101997326B1 (ko)
DE (1) DE112016005701T5 (ko)
WO (1) WO20171012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3014561A1 (en) * 2017-08-22 2019-02-22 Technologies Steamovap Inc. Steam generator
CN113531504B (zh) * 2020-04-13 2023-04-18 广东美的白色家电技术创新中心有限公司 蒸汽发生器、烹饪器具和衣物处理装置
WO2022244730A1 (ja) 2021-05-17 2022-11-24 ローレルバンクマシン株式会社 ワイヤレス給電システム及び方法並びにワイヤレス送電システ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22107A (ja) 2000-07-04 2002-01-23 Kansai Tech Corp 過熱蒸気発生装置と該装置を利用した加熱装置、炭化乾留装置、過熱蒸気噴射装置及び調理器
JP2010054172A (ja) 2008-08-29 2010-03-11 Sharp Corp 蒸気発生装置
US20150090706A1 (en) 2013-09-27 2015-04-02 Lg Electronics Inc. Steam generator and cooking appliance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97582A (en) * 1936-03-31 1937-11-02 Electric Steam Sterilizing Com Electric steam generator
CN2215660Y (zh) * 1994-11-18 1995-12-20 黑龙江无线电一厂 蒸汽发生器
WO2001074129A2 (en) * 2000-03-31 2001-10-11 De'longhi S.P.A. Disposable steam generator for domestic steam appliances
JP4143555B2 (ja) * 2004-02-13 2008-09-03 株式会社パイコーポレーション 過熱蒸気発生装置
KR100644867B1 (ko) * 2005-12-14 2006-11-10 재영솔루텍 주식회사 과열증기 발생 장치
JP2008032262A (ja) * 2006-07-26 2008-02-14 Sharp Corp 蒸気発生装置および加熱調理器
JP2010210225A (ja) * 2009-03-11 2010-09-24 Ramusa Abe:Kk 電磁誘導過熱蒸気発生器
CN201688386U (zh) * 2010-05-17 2010-12-29 鸿茂电器国际有限公司 可充分加热至汽化的蒸汽产生器
US20120328271A1 (en) * 2011-06-24 2012-12-27 Yuan Kwang-Tong Steam generator
CN202132923U (zh) * 2011-06-28 2012-02-01 梁楚亮 一种蒸汽拖把用的蒸汽发生器
JP2014054400A (ja) * 2012-09-13 2014-03-27 Panasonic Corp 衣類処理装置
CN203273837U (zh) * 2013-04-07 2013-11-06 小田(中山)实业有限公司 一种新型蒸汽发生器
CN203182698U (zh) * 2013-04-18 2013-09-11 艾鹏 一种鸡蛋冲饮器
JP5588052B2 (ja) * 2013-07-12 2014-09-10 シャープ株式会社 加熱調理器
CN203549757U (zh) * 2013-08-26 2014-04-16 江苏美的春花电器股份有限公司 蒸汽发生器和具有它的蒸汽熨斗和蒸汽地拖
US10584868B2 (en) * 2014-11-04 2020-03-10 Sharkninja Operating Llc Steam generator
CN204806356U (zh) * 2015-06-16 2015-11-25 张维林 吸油烟机或蒸汽拖把清洁器用的螺旋水流式蒸汽发生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22107A (ja) 2000-07-04 2002-01-23 Kansai Tech Corp 過熱蒸気発生装置と該装置を利用した加熱装置、炭化乾留装置、過熱蒸気噴射装置及び調理器
JP2010054172A (ja) 2008-08-29 2010-03-11 Sharp Corp 蒸気発生装置
US20150090706A1 (en) 2013-09-27 2015-04-02 Lg Electronics Inc. Steam generator and cooking applia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6939A (ko) 2017-08-25
JP2018505369A (ja) 2018-02-22
JP6345804B2 (ja) 2018-06-20
DE112016005701T5 (de) 2018-09-27
US20200224870A1 (en) 2020-07-16
US20180038584A1 (en) 2018-02-08
WO2017101258A1 (zh) 2017-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7326B1 (ko) 증기 발생기, 증기 발생기 시스템 및 가전제품
CN105716061A (zh) 蒸汽发生器、蒸汽发生器系统及家用电器
CN105737125A (zh) 蒸汽发生器、蒸汽发生器系统及家用电器
CN105716060A (zh) 蒸汽发生器、蒸汽发生器系统及家用电器
EP2313174B1 (en) Device and method for degassing a liquid
CN105716059B (zh) 蒸汽发生器系统及控制方法、家用电器
WO2017101256A1 (zh) 蒸汽发生器系统及控制方法、家用电器
CN205351267U (zh) 蒸汽发生器系统及家用电器
CN205279035U (zh) 蒸汽发生器、蒸汽发生器系统及家用电器
CN105716057A (zh) 蒸汽发生器系统及家用电器
KR100735911B1 (ko) 물공급 장치
CN205372497U (zh) 蒸汽发生器、蒸汽发生器系统及家用电器
CN205279034U (zh) 蒸汽发生器、蒸汽发生器系统及家用电器
WO2013176269A1 (ja) 温水生成装置
CN105716058A (zh) 蒸汽发生器、蒸汽发生器系统及家用电器
CN205279037U (zh) 蒸汽发生器、蒸汽发生器系统及家用电器
CN205351269U (zh) 蒸汽发生器系统及家用电器
KR100878146B1 (ko) 온수매트용 온수보일러의 물탱크
JP6086859B2 (ja) 温水生成装置
CN216644174U (zh) 加热器和家用电器
CN210921337U (zh) 一种蒸汽发生装置
CN214964517U (zh) 蒸汽发生器和烹饪器具
CN212456785U (zh) 蒸汽发生器
JP6042686B2 (ja) 温水生成装置
CN216953279U (zh) 空调室内机和具有其的空调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