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7014B1 - 가습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가습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67014B1 KR102667014B1 KR1020220057109A KR20220057109A KR102667014B1 KR 102667014 B1 KR102667014 B1 KR 102667014B1 KR 1020220057109 A KR1020220057109 A KR 1020220057109A KR 20220057109 A KR20220057109 A KR 20220057109A KR 102667014 B1 KR102667014 B1 KR 10266701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humidity
- discharge
- reservoir
- spray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18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9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7
- JEGUKCSWCFPDGT-UHFFFAOYSA-N h2o hydrate Chemical compound O.O JEGUKCSWCFPDGT-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9000008400 supply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41000700605 Viruse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97 mechanical methods and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OYPRJOBELJOOCE-UHFFFAOYSA-N Calcium Chemical compound [Ca] OYPRJOBELJOOC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736285 Sphagn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1 calc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75 calc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36 heating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452 restrai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8—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air-humidifica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6—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with water treatmen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20—Humidity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가습기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가습기는, 제1수용부, 제2수용부 및 연결통로를 형성하고, 조작패널이 구비되는 본체와, 본체의 상측면에 덮여지고, 제1수용부와 제2수용부가 개방되면서 조작패널이 노출되는 커버와, 제1수용부에 장착되어 저장된 물을 배출안내부를 통해 제1수용부로 이동하는 저장통; 저장통에 연결되어 직수 또는 정수를 공급하는 직수공급부와, 제2수용부에 바닥에 구비되고, 제1수용부에 유입된 물을 연결통로를 통해 이동하여 초음파 진동을 통해 분무를 발생하는 진동자와, 제2수용부에 구비되어 진동자에서 발생된 분무를 상측으로 안내하여 외부로 토출하는 분무토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가습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저장통에 직수공급부를 구비하여 물을 직접 공급하고, 부력재를 이용한 기계식 또는 수위센서를 이용한 전자식으로써 가습을 위해 저장통에 물을 채워야 하는 번거로움을 없애고, 전자식의 경우 습도가 높은 경우 저수위로 물을 공급 및 저장하면서 가습 토출량을 저감하고 습도가 낮은 경우 고수위로 물을 공급 및 저장하면서 가습 토출량을 증가하도록 제어함으로써 물 공급을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저장통에 물을 습도에 따라 적절한 수위로 유지시켜 저장통의 크기(부피)를 줄일 수 있으며 저장통 내부에 이물질 발생량을 줄일 수 있는 가습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의 공기를 적당한 습도로 유지함으로써 질병을 예방할 수 있고, 쾌적한 실내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다. 이러한 습도조절을 위하여 물을 입자화하여 실내로 배출시키는 가습기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가습기에는, 흡입한 물을 원심력에 의해 입자화하는 원심분무식 가습기, 전기회로에서 발생된 소정 주파수의 전기신호를 물속에 놓인 진동자로 전달하여 초음파를 발생시키면 캐비테이션 현상이 일어나는 것을 이용하여 분무하는 초음파 가습기, 히터나 전극봉으로 물을 가열시켜 증기를 발생시키는 전열식 가습기, 젖은 필터로 공기가 통하게 하여 물을 증발시키는 기화식 가습기 등 여러 종류가 있다.
한편, 초음파 가습기는 본체에 구비된 수조 또는 물통에 담겨진 물을 이동하여 본체에 설치된 진동자에서 초음파 진동을 발생하고, 토출구를 통해 토출하여 실내를 가습하도록 한다.
그런데, 초음파 가습기는 저장통에 물을 저장하여 사용하다 보면, 수시로 물을 저장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가질 뿐만 아니라, 저장통에 물을 보관하여 장시간 사용하다 보면, 저장통 내부에 물이끼등 이물질이 끼어서 수시로 청소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을 갖는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관련 배경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7-0007602호(2017.01.19, 발명의 명칭: 초음파 가습기)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저장통에 직수공급부를 구비하여 물을 직접 공급하고, 부력재를 이용한 기계식 또는 수위센서를 이용한 전자식으로써 가습을 위해 저장통에 물을 채워야 하는 번거로움을 없애고, 전자식의 경우 습도가 높은 경우 저수위로 물을 공급 및 저장하면서 가습 토출량을 저감하고 습도가 낮은 경우 고수위로 물을 공급 및 저장하면서 가습 토출량을 증가하도록 제어함으로써 물 공급을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저장통에 물을 습도에 따라 적절한 수위로 유지시켜 저장통의 크기(부피)를 줄일 수 있으며 저장통 내부에 이물질 발생량을 줄일 수 있는 가습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습기는, 제1수용부, 제2수용부 및 연결통로를 형성하고, 조작패널이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측면에 덮여지고, 상기 제1수용부와 상기 제2수용부가 개방되면서 상기 조작패널이 노출되는 커버; 상기 제1수용부에 장착되어 저장된 물을 배출안내부를 통해 상기 제1수용부로 이동하는 저장통; 상기 저장통에 연결되어 직수 또는 정수를 공급하는 직수공급부; 상기 제2수용부에 바닥에 구비되고, 상기 제1수용부에 유입된 물을 연결통로를 통해 이동하여 초음파 진동을 통해 분무를 발생하는 진동자; 및 상기 제2수용부에 구비되어 상기 진동자에서 발생된 분무를 상측으로 안내하여 외부로 토출하는 분무토출부;를 포함한다.
상기 저장통은, 물이 저장되는 저장통본체; 및 상기 저장통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배출안내부가 형성되는 분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안내부는, 상기 분리부재의 바닥에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관통공; 상기 관통공에 삽입 설치되어 상하로 승강 이동하면서 상승시 물이 배출되고, 하강시 상측걸림부에 의해 밀봉되어 물 배출이 차단되는 기둥부재; 및 상기 기둥부재에 수축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기둥부재의 하측걸림부에 의해 이탈이 방지되는 스프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저장통에는 배출안내부의 상측 둘레에 구비되어 제1수용부로 배출되는 물을 걸러주는 필터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직수공급부는, 상기 저장통에 직수 또는 정수를 공급하는 물공급부; 상기 물공급부와 상기 저장통을 연결하는 연결관; 및 상기 연결관에 구비되고, 물공급부의 물을 상기 저장통에 공급하기 위해 개폐하는 개폐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직수공급부는 상기 개폐밸브를 대체하여 상기 저장통에 구비되고, 상기 물공급부를 통해 상기 연결관으로 이송된 물을 저장하도록 물의 부력에 의해 기계식으로 개폐되어 상기 저장통에 물을 저장하는 부력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력밸브는, 상기 저장통에 형성된 설치공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관이 끼워지고, 유입되는 물이 이동하는 이동통로가 형성되면서 회동공간부가 구비되는 밸브바디부; 상기 밸브바디부를 상기 저장통에 설치하는 결합부재; 상기 저장통에 수용되는 물에 의해 부유하는 부유체; 및 상기 부유체가 연결되고, 상기 부유체의 부력 또는 부력의 제거에 의해 상기 밸브바디부에서 힌지축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부력개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력개폐부는, 상기 부유체가 일단에 구비되고, 상기 힌지축에 의해 회전하는 회동축부재; 상기 회동축부재에 구비되고, 상기 회동축부재의 회동에 의해 상기 이동통로의 출구에 삽입되어 개폐하는 개폐돌기; 및 상기 개폐돌기의 둘레에 구비되어 상기 이동통로의 출구를 밀봉하는 씰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습기는 습도감지조절부를 구비하고, 상기 습도감지조절부는 감지된 습도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상기 저장통에 저수위를 유지하고, 습도가 기준치 이하인 경우 상기 저장통을 고수위로 유지하여 상기 저장통의 내부에서 이물질 생성을 줄여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습도감지조절부는, 상기 본체에 구비되고, 실내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센서; 상기 저장통의 낮은 위치에 구비되고, 저장통에 저장된 물의 저수위를 감지하는 저수위센서; 상기 저장통의 높은 위치에 구비되고, 저장통에 저장된 물의 고수위를 감지하는 고수위센서; 및 상기 습도센서에서 감지된 습도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상기 개폐밸브를 개폐하여 상기 저수위센서에서 감지된 저장량만큼 물을 공급하여 저수위를 유지하고, 상기 습도센서에서 감지된 습도가 기준치 이하인 경우, 상기 개폐밸브를 개폐하여 상기 고수위센서에서 감지된 저장량만큼 물을 공급하여 고수위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습도가 기준치이상이므로 상기 저장통을 저수위로 유지할 때, 상기 진동자를 설정치이하로 작동하도록 제어하여 분무량을 줄여주고, 상기 습도가 기준치이하이므로 상기 저장통을 고수위로 유지할 때, 상기 진동자를 설정치이상으로 작동하도록 제어하여 분무량을 늘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무토출부는, 상기 진동자를 커버하도록 상기 제1수용부에 삽입 설치되고, 상기 커버에서상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진동자에서 무화되는 분무를 협소토출부로 이동하는 토출이동부재; 및 상기 협소토출부에 삽입 설치되어 상측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고, 토출공을 통해 상측으로 상승하는 분무 중에 물방울을 낙하시키고 순수 분무만을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봉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무토출부는 상기 토출봉부재의 상단에 구비되어 분무배출을 안내하는 분무안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습기 제어방법은, a) 본체에 구비된 습도센서를 이용하여 습도를 감지하고, 습도가 기준치 이상인 지 기준치 이하인 지 여부를 습도감지조절부에 구비된 제어부를 통해 판단하는 단계와, b) 상기 습도센서로 감지된 습도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저장통에 구비된 저수위센서의 감지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직수공급부에 구비된 개폐밸브의 개폐를 통해 상기 저장통에 저수위로 물을 저장하는 단계와, c) 상기 저장통의 저수위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로 진동자의 가습량을 설정치이하로 낮추어 작동하여 분무토출부에서 토출되는 분무량을 줄이는 단계와, d) 상기 습도센서로 감지된 습도가 기준치 이하인 경우, 상기 저장통에 구비된 고수위센서로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에 의해 개폐밸브의 개폐를 통해 상기 저장통에 고수위로 물을 저장하는 단계와, e) 상기 저장통의 고수위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로 진동자의 가습량을 설정치이상으로 높여 작동하여 분무토출부에서 토출되는 분무량을 늘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습기 및 그 제어방법은, 저장통에 직수공급부를 구비하여 물을 직접 공급하고, 부력재를 이용한 기계식 또는 수위센서를 이용한 전자식으로써 가습을 위해 저장통에 물을 채워야 하는 번거로움을 없애고, 전자식의 경우 습도가 높은 경우 저수위로 물을 공급 및 저장하면서 가습 토출량을 저감하고 습도가 낮은 경우 고수위로 물을 공급 및 저장하면서 가습 토출량을 증가하도록 제어함으로써 물 공급을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저장통에 물을 습도에 따라 적절한 수위로 유지시켜 저장통의 크기(부피)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에서, 분무토출부의 주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에서, 저장통과 습도감지조절부의 주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에서, 습도감지조절부를 통해 직수공급부를 제어하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에서, 분리결합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에서, 분리결합부의 조립 상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에서, 직수공급부에 기계식 부력밸브가 구비되어 개폐밸브를 대체하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에서, 부력밸브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에서, 부력밸브의 분해도이다.
도 1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 제어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에서, 분무토출부의 주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에서, 저장통과 습도감지조절부의 주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에서, 습도감지조절부를 통해 직수공급부를 제어하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에서, 분리결합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에서, 분리결합부의 조립 상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에서, 직수공급부에 기계식 부력밸브가 구비되어 개폐밸브를 대체하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에서, 부력밸브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에서, 부력밸브의 분해도이다.
도 1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 제어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 및 그 제어방법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의 조립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의 분해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에서, 분무토출부의 주요부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에서, 저장통과 습도감지조절부의 주요부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에서, 습도감지조절부를 통해 직수공급부를 제어하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에서, 분리결합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에서, 분리결합부의 조립 상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에서, 직수공급부에 기계식 부력밸브가 구비되어 개폐밸브를 대체하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에서, 부력밸브의 단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에서, 부력밸브의 분해도이다.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10)는, 본체(100), 커버(200), 저장통(300), 직수공급부(400), 진동자(500) 및 분무토출구(600)를 포함한다.
본체(100)는 제1수용부(110), 제2수용부(120) 및 연결통로(140)를 형성하고, 조작패널(130)이 구비되는 구성이다. 본체(100)는 설정 높이를 갖는 원통형상으로 도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다양한 다른 형상으로 변경될 수 있다.
제1수용부(110)와 제2수용부(120)는 연결통로(140)를 통해 제1수용부(110)의 물이 제1수용부(120)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연결통로(140)는 협소하게 형성되어 물이 제1수용부(110)에서 제2수용부(120)로 부드럽게 이동하도록 해준다.
커버(200)는 본체(100)의 상측면에 덮여지고, 제1수용부(110)와 제2수용부(120)가 개방되면서 조작패널(130)이 노출되는 구성이다. 커버(200)에는 일측에 후술하는 저장통(300)이 노출되는 구멍이 상하로 관통 형성된다. 커버(200)의 타측에는 후술하는 분무토출부(600)의 일부 구성이 상측으로 노출되기 위한 구멍이 상하로 관통 형성된다. 또한, 커버(200)는 본체(100)에 구비된 조작패널(130)이 상측으로 노출되는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저장통(300)은 제1수용부(110)에 장착되어 저장된 물을 배출안내부(330)를 통해 제1수용부(110)로 이동하는 구성이다.
저장통(300)은 물이 저장되는 저장통본체(310)와, 저장통본체(3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배출안내부(330)가 형성되는 분리부재(320)를 포함한다.
저장통본체(310)와 분리부재(320)는 나사결합방식 또는 끼움방식으로 분리 또는 결합될 수 있다.
배출안내부(300)는, 분리부재(320)의 바닥에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관통공(331)과, 관통공(331)에 삽입 설치되어 상하로 승강 이동하면서 상승시 물이 배출되고, 하강시 상측걸림부(333)에 의해 밀봉되어 물 배출이 차단되는 기둥부재(332)와, 기둥부재(332)에 수축 가능하게 설치되고, 기둥부재(332)의 하측걸림부(334)에 의해 이탈이 방지되는 스프링부재(335)를 포함한다.
제1수용부(110)에는 기둥부재(332)의 하측걸림부(334)에 접촉되도록 제1수용부(110)의 바닥에서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바닥돌출부(337)를 구비할 수 있다.
기둥부재(332)는 관통공(331)과 미세하게 이격되어 틈새 사이로 물이 하강할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기둥부재(332)의 상측걸림부(333)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밀봉부재가 구비되어 스프링부재(335)에 의해 하측걸림부(334)를 하측으로 미는 경우, 기둥부재(335)가 하강하고, 상측걸림부(333)가 분리부재(320)의 바닥면에 밀착되면서 밀봉부재를 통해 물 배출이 차단된다.
한편, 저장통(300)이 제1수용부(110)에 안착되는 경우에는 하측걸림부(334)가 제1수용부(110)의 구비된 바닥돌출부(337)에 닿으면서, 스프링부재(335)를 압축하면서 기둥부재(32)가 상승하여 상측걸림부(330를 상측으로 밀어올려 관통공(331)를 개방하므로 기둥부재(332)의 둘레면을 통해 물이 배출되어 제1수용부(110)에 저장된다. 이때, 저장통(300)은 제1수용부(110)에 삽입되어 있어 상측 이동이 차단되므로, 배출되는 물은 제1수용부(110)에서 바닥돌출부(337) 정도 높이만큼만 저장된다.
저장통(300)에는 배출안내부(330)의 상측 둘레에 구비되어 제1수용부(110)로 배출되는 물을 걸러주는 필터부재(336)가 구비될 수 있다.
필터부재(336)는 저장통(300)의 배출안내부(330)의 바닥에서 관통공(331)의 상측 둘레에 거름망 형태로 일체로 구비되어 저장통(300)에 수용된 물에 포함된 칼슘을 포함한 이물질을 99%이상 걸러주어 후술하는 진동자(500)를 장시간 사용하여도 이물질이 침착되지 않도록 해준다.
저장통(300)에 구비된 분리부재(320)는 위치결합부(340)에 의해 제1수용부(110)에서 위치가 조절되어 결합될 수 있다.
위치결합부(340)는, 분리부재(320)의 둘레에 함몰 형성되는 위치결합홈부(341)와, 위치결합홈부(341)에 결합되도록 제1수용부(110)의 바닥 모서리에 돌출 형성되는 위치결합돌기부(342)를 포함한다.
저장통(300)은 제1수용부(110)에 삽입하면, 분리부재(320)의 하부에 구비된 위치결합홈부(341)가 제1수용부(110)의 바닥 모서리에 상측으로 돌출된 위치결합돌기부(342)에 끼워지면서, 저장통(300)이 유동이 방지되는 상태로 견고하게 본체(100)에 장착될 수 있다.
직수공급부(400)는 저장통(300)에 연결되어 직수 또는 정수를 공급하는 구성이다. 직수공급부(400)는 저장통(300)에 사용자가 물을 주입하는 방식이 아닌 수도 또는 정수기에서 관로를 연결하여 물을 직접 연결하여 공급함으로써, 사용자가 수시로 저장통(300)에 물을 주입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
직수공급부(400)는 저장통(300)에 직수 또는 정수를 공급하는 물공급부(410)와, 물공급부(410)와 저장통(300)을 연결하는 연결관(420)과, 연결관(420)에 구비되고, 물공급부(410)의 물을 저장통(300)에 공급하기 위해 개폐하는 개폐밸브(430)를 포함할 수 있다.
개폐밸브(430)는 저장통(300)에 후술하는 제어부(740)를 통해 개폐되어 물을 공급하도록 자동밸브로 구성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연결관(420)에는 연결관(420)을 2개부위로 분리할 수 있는 분리결합부(550)가 구비될 수 있다.
분리결합부(550)는 분리된 어느 일측 연결관(420)에 구비되고,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둘레에 오링(561)이 설치되는 암커넥터부재(560)와, 분리된 어느 타측 연결관(420)에 구비되고, 암커넥터부재(560)에 결합되어 기밀되도록 커버부(571)를 구비하는 숫커넥터부재(570)와, 암커넥터부재(560)와 숫커넥터부재(570)를 서로 결속하는 결속부(580)를 포함한다.
암커넥터부재(560)의 둘레면에는 오링(561)이 안착되기 위한 안착홈부(562)가 구비될 수 있다. 안착홈부(562)는 반원 형태로 함몰 형성된다. 오링(561)은 암커넥터부재(560)의 둘레면과 숫커넥터부재(570)의 커버부(571)의 내측면 사이를 긴밀하게 밀봉하므로 내부를 통과하는 물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결속부(580)는 암커넥터부재(560)의 둘레에 다수 형성되는 후크부재(581)와, 후크부재(581)에 걸려지는 결속홀부(582)가 형성되고, 커버부(571)의 가장자리에서 돌출되는 걸림부재(583)를 포함한다.
분리결합부(550)는 직수공급부(400)의 일시정지, 고장 또는 저장통(300)을 세척하도록 저장통(300)을 물공급부(410)에서 분리하기 위해, 암커넥터부재(560)와 숫커넥터부재(570)를 결속부(580)의 결속 해제를 통해 상호 분리할 수 있다. 반대로 작업이 완료된 후, 결속부(580)를 통해 암커넥터부재(560)와 숫커넥터부재(570)를 다시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도 9 내지 도 11를 참조하면, 직수공급부(400)는 개폐밸브(430)를 대체하여 저장통(300)에 구비되고, 물공급부(330)를 통해 연결관(420)으로 이송된 물을 저장하도록 물의 부력에 의해 개폐되어 저장통(300)에 물을 저장하는 부력밸브(440)를 포함할 수 있다.
부력밸브(440)는 저장통(300)에 물을 공급하도록 물의 저장량에 따라 부유하여 물 공급을 개폐하는 기계식, 즉 수동식 밸브이다.
부력밸브(440)는, 저장통(300)에 형성된 설치공(441)에 설치되어 연결관(420)이 끼워지고, 유입되는 물이 이동하는 이동통로(451)가 형성되면서 회동공간부(452)가 구비되는 밸브바디부(450)와, 밸브바디부(450)를 저장통(300)에 설치하는 결합부재(460)와, 저장통(330)에 수용되는 물에 의해 부유하는 부유체(470)와, 부유체(470)가 연결되고, 부유체(470)의 부력 또는 부력의 제거에 의해 밸브바디부(450)에서 힌지축(482)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부력개폐부(480)를 포함한다.
밸브바디부(450)의 회동공간부(452)는 ㄷ자 형상으로 함몰 형성되어 후술하는 회동축부재(481)가 개폐를 위해 회동하는 공간을 제공한다.
부유체(470)는 합성수지재로 제작되거나 스테인레스스틸과 같이 부식성이 우수한 금속판재를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제작하여 물에 의해 부유하도록 구성한다.
결합부재(460)는, 밸브바디부(450)의 내측 둘레면에 형성되는 제1나사산(461)과, 제1나사산(461)과 설정 간격 이격되고, 밸브바디부(450)의 외측 둘레면에 형성되는 제2나사산(462)과, 제1나사산(461)에 체결되고, 밸브바디부(450)의 내측 둘레면을 고정하는 제1체결부재(463)와, 제2나사산(462)에 체결되고, 밸브바디부(450)의 외측 둘레면을 고정하는 제2체결부재(464)를 포함한다.
제2체결부재(464)는 밸브바디부(450)의 외측을 감싸는 형태로 걸어주면서 체결한다.
부력개폐부(480)는, 부유체(470)가 일단에 구비되고, 힌지축(482)에 의해 회전하는 회동축부재(481)와, 회동축부재(481)에 구비되고, 회동축부재(481)의 회동에 의해 이동통로(451)의 출구에 삽입되어 개폐하는 개폐돌기(483)와, 개폐돌기(483)의 둘레에 구비되어 이동통로(451)의 출구를 밀봉하는 씰링부재(484)를 포함한다.
회동축부재(481)는 단부에 구비된 저장통(30)으로 유입되는 부유체(470)의 부력에 의해 점차 승강하면서 일측에 구비된 개폐돌기(483)가 밸브바디부(450)의 이동통로(451)를 통해 유입되는 물에 의해 점차 부유하면서 개폐돌기(483)가 이동통로(451)의 출구를 차단하면서 씰링부재(484)가 기밀함으로써, 물 공급이 차단된다.
한편, 저장통(300)의 물 사용에 따라 회동축부재(481)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저장통(300)에 물이 다시 공급되고, 물 충진에 의한 부유체(470)의 부력에 의해 회동축부재(481)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물이 차단되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저장통(300)에 물을 지속적으로 공급하게 된다.
이동통로(451)는 ㄹ자 형상으로 이중으로 굴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폐돌기(483)는 회동시 걸림을 방지하도록 양단면이 평평하고, 일측에서 타측 단부로 갈수록 점차 협소해지는 원뿔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가습기(10)는 습도감지조절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습도감지조절부(700)는 감지된 습도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저장통(300)에 저수위를 유지하고, 습도가 기준치 이하인 경우 저장통(300)을 고수위로 유지하여 저장통(300)의 내부에서 이물질 생성을 줄여줄 수 있다.
습도감지조절부(700)에 의해 가습기(10)에서 감지된 습도가 기준치 이하인 경우, 즉 습도가 낮은 경우에는 저장통(300)에 물을 고수위로 가득 채워 사용해도 된다. 즉, 날씨가 건조하면 많은 가습이 필요하므로 저장통(300)에 물이 잔류하는 시간이 짧고 빨리 순환되어 저장통(300) 내부에 이물질 발생 자체가 적어 고수위를 유지해도 된다.
하지만, 습도감지조절부(700)에 의해 가습기(10)에서 감지된 습도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즉 습도가 높은 경우에는 주변의 습기가 높아 가습을 거의 하지 않거나 가습하더라도 조금 수행해야 하므로 저장통(300)에서 습기로 인해 세균 발생이 증가함을 감안하여 저장통(300)에서 물을 저수위로 유지시켜 저장통(300)의 대부분의 저장공간을 비워둠으로써, 습기로 인해 저장통(300)의 내부에서 세균, 바이러스를 포함한 이물질 발생을 최대한 줄이도록 제어할 필요성이 있다.
습도감지조절부(700)는, 본체(100)에 구비되고, 실내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센서(710)와, 저장통(300)의 낮은 위치에 구비되고, 저장통(300)에 저장된 물의 저수위를 감지하는 저수위센서(720)와, 저장통(300)의 높은 위치에 구비되고, 저장통(300)에 저장된 물의 고수위를 감지하는 고수위센서(730)와, 습도센서(710)에서 감지된 습도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개폐밸브(430)를 개폐하여 저수위센서(720)에서 감지된 저장량만큼 물을 공급하여 저수위를 유지하고, 습도센서(710)에서 감지된 습도가 기준치 이하인 경우, 개폐밸브(430)를 개폐하여 고수위센서(730)에서 감지된 저장량만큼 물을 공급하여 고수위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740)를 포함한다.
습도센서(710)의 기준치는 습도 55~65%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습도센서(710)의 기준치는 습도 60%가 적절하다.
진동자(500)의 가습량 설정치는 250~350ml/h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진동자(500)의 가습량 설정치는 300ml/h가 적절하다.
제어부(740)는, 습도가 기준치이상이므로 저장통(330)을 저수위로 유지할 때, 진동자(500)를 설정치이하로 작동하도록 제어하여 분무량을 줄여주고, 습도가 기준치이하이므로 저장통(300)을 고수위로 유지할 때, 진동자(500)를 설정치이상으로 작동하도록 제어하여 분무량을 늘려주도록 제어할 수 있다.
분무토출부(600)는 제2수용부(120)에 구비되어 진동자(500)에서 발생된 분무를 상측으로 안내하여 외부로 토출하는 구성이다.
분무토출부(600)는, 진동자(300)를 커버하도록 제2수용부(120)에 삽입 설치되고, 커버(200)에서 상측으로 노출되어 진동자(500)에서 무화되는 분무를 협소토출부(611)로 이동하는 토출이동부재(610)와, 협소토출부(611)에 삽입 설치되어 상측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고, 토출공(621)을 통해 상측으로 상승하는 분무 중에 물방울을 낙하시키고 순수 분무만을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봉부재(620)를 포함한다.
토출봉부재(620)는 80~100cm의 길이를 갖도록 구성하여 상승하는 분무 중에 물방울로 맺히는 것은 상승하는 과정에서 최대한 잡아주고 순수한 미세 분무만을 외부로 배출하므로 상승하는 분무가 천정 근처까지 이동하여 실내로 넓게 퍼지도록 안내 해준다.
분무토출부(600)에 구비된 토출이동부재(610)는 위치구속부(630)에 의해 제2수용부(120)에 결합된다.
위치구속부(630)는, 토출이동부재(610)의 하측에 함몰 형성되는 위치구속홈부(631)와, 위치구속홈부(631)에 구속되도록 제2수용부(120)의 바닥 모서리에 돌출 형성되는 위치구속돌기부(632)를 포함한다.
토출이동부재(610)를 본체(100)의 제2수용부(120)에 장착하게 되면, 토출이동부재(610)의 위치구속홈부(631)가 제2수용부(120)의 바닥 모서리에 돌출되는 위치구속돌기부(632)에 끼워짐으로써, 분무토출부(600)의 흔들림이나 유동을 방지할수 있다.
분무토출부(600)는 토출봉부재(620)의 상단에 구비되어 분무배출을 안내하는 분무안내부(6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분무안내부(640)는, 토출봉부재(620)의 상단에 삽입되어 끼워져서 걸림 장착되는 안내부재(641)와, 안내부재(641)에서 상하로 관통 형성되고, 토출공(621)에 대응하여 상측으로 갈수록 점차 협소해지는 경사안내공(642)과, 경사안내공(642)의 상측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협소토출공(643)을 포함한다.
분무안내부(640)는 협소토출공(643)의 상측에 구비되고, 안내부재(641)의 상측에 함몰 형성되는 배출유도홈부(644)를 더 포함한다.
배출유도홈부(644)는 협소토출공(643)이 상단에서 상부로 갈수록 굴곡지게 확장 형성되어 외부로 토출되는 분무가 안내부재(641)의 내측 모서리에 맺혀서 물방울로 전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굴곡지게 유도하여 분무하는 구성이다.
도 1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 제어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 제어방법은, a) 습도센서(710)를 이용하여 습도가 기준치보다 높은 지 낮은지를 판단하는 단계(S10)와, b) 습도가 기준치이상인 경우 저수위로 물을 저장하는 단계(S20)와, c) 고습도임을 감안하여 진동자(500)의 가습량을 낮추는 단계(S30)와, d) 습도가 기준치이하인 경우 고수위로 물을 저장하는 단계(S40)와, e) 저습도임을 감안하여 진동자(500)의 가습량을 높이는 단계(S50)를 포함한다.
a) 단계(S10)는, 본체(100)에 구비된 습도센서(710)를 이용하여 습도를 감지하고, 습도가 기준치 이상인 지 기준치 이하인 지 여부를 습도감지조절부(700)에 구비된 제어부(740)를 통해 판단하는 단계이다.
b) 단계(S20)는, 습도센서(710)로 감지된 습도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저장통(300)에 구비된 저수위센서(720)의 감지로 제어부(740)에 의해 직수공급부(400)에 구비된 개폐밸브(430)의 개폐를 통해 저장통(300)에 저수위로 물을 저장하는 단계이다.
c) 단계(S30)는, 저장통(300)의 저수위 상태에서 제어부(740)로 진동자(500)의 가습량을 설정치이하로 낮추어 작동하여 분무토출부(600)에서 토출되는 분무의 량을 줄이는 단계이다.
d) 단계(S40)는, 습도센서(710)로 감지된 습도가 기준치 이하인 경우, 저장통(300)에 구비된 고수위센서(730)로 감지하여 제어부(740)에 의해 개폐밸브(430)의 개폐를 통해 저장통(300)에 고수위로 물을 저장하는 단계이다.
e) 단계(S50)는, 저장통(300)의 고수위 상태에서 제어부(740)로 진동자(500)의 가습량을 설정치이상으로 높게 작동하여 분무토출부(600)에서 토출되는 분무의 량을 늘리는 단계이다.
상기한 가습기(10) 제어방법은 지속적으로 반복하여 이루어지면서, 저장통(300)에 저장되는 물을 습도센서(710)에서 감지된 습도에 따라 고수위 또는 저수위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도록 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습도감지조절부(700)에 의해 가습기(10)에서 감지된 습도가 기준치 이하인 경우, 즉 습도가 낮은 경우에는 저장통(300)에 물을 고수위로 가득 채워 사용해도 된다. 즉, 저장통(300)에 물이 잔류하는 시간이 짧고 빨리 순환되어 저장통(300) 내부에 이물질 발생 자체가 적기 때문이다.
하지만, 습도감지조절부(700)에 의해 가습기(10)에서 감지된 습도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즉 습도가 높은 경우에는 주변의 습기가 높아 가습을 거의 하지않거나 조금 수행하더라도 저장통(300)에서 습기로 인해 이물질 발생이 증가함을 감안하여 저장통(300)에서 아예 물을 저수위로 유지시켜 저장통(300)의 대부분의 저장공간을 비워둠으로써, 습기로 인해 저장통(300)의 내부에서 세균, 바이러스를 포함한 이물질 발생을 최대한 줄일 수 있어 가습기(10)의 저장통(300)을 깨끗하게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습도센서(710)의 기준치는 습도 55~65%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습도센서(710)의 기준치는 습도 60%가 적절하다.
진동자(500)의 가습량 설정치는 250~350ml/h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진동자(500)의 가습량 설정치는 300ml/h가 적절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 및 그 제어방법은, 저장통에 직수공급부를 구비하여 물을 직접 공급하고, 부력재를 이용한 기계식 또는 수위센서를 이용한 전자식으로써 가습을 위해 저장통에 물을 채워야 하는 번거로움을 없애고, 전자식의 경우 습도가 높은 경우 저수위로 물을 공급 및 저장하면서 가습 토출량을 저감하고 습도가 낮은 경우 고수위로 물을 공급 및 저장하면서 가습 토출량을 증가하도록 제어함으로써 물 공급을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저장통에 물을 습도에 따라 적절한 수위로 유지시켜 저장통의 크기(부피)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가습기 100: 본체
110: 제1수용부 120: 제2수용부
130: 조작패널 200: 커버
300: 저장통 310: 저장통본체
320: 분리부재 330: 배출안내부
331: 관통공 332: 기둥부재
333: 상측걸림부 334: 하측걸림부
335: 스프링부재 336: 필터부재
340: 위치결합부 341: 위치결합홈부
342: 위치결합돌기부 400: 직수공급부
410: 물공급부 420: 연결관
430: 개폐밸브 440: 부력밸브
450: 밸브바디부 451: 이동통로
460: 결합부재 461: 제1나사산
462: 제2나사산 463: 제1체결부재
464: 제2체결부재 470: 부유체
480: 부력개폐부 481: 회동축부재
482: 힌지축 483: 개폐돌기
484: 씰링부재 500: 진동자
550: 분리결합부 560: 암커넥터부재
561: 오링 562: 안착홈부
570: 숫커넥터부재 571: 커버부
580: 결속부 581: 후크부재
582: 결속홀부 583: 걸림부재
600: 분무토출부 610: 토출이동부재
611: 협소토출부 620: 토출봉부재
621: 토출공 630: 위치구속부
631: 위치구속홈부 632: 위치구속돌기부
640: 분무안내부 641: 안내부재
642: 경사안내공 643: 협소토출공
644: 배출유도홈부 700: 습도감지조절부
710: 습도센서 720: 저수위센서
730: 고수위센서 740: 제어부
S10~S50: 본 발명에 따른 가습기 제어방법의 단계들이다.
110: 제1수용부 120: 제2수용부
130: 조작패널 200: 커버
300: 저장통 310: 저장통본체
320: 분리부재 330: 배출안내부
331: 관통공 332: 기둥부재
333: 상측걸림부 334: 하측걸림부
335: 스프링부재 336: 필터부재
340: 위치결합부 341: 위치결합홈부
342: 위치결합돌기부 400: 직수공급부
410: 물공급부 420: 연결관
430: 개폐밸브 440: 부력밸브
450: 밸브바디부 451: 이동통로
460: 결합부재 461: 제1나사산
462: 제2나사산 463: 제1체결부재
464: 제2체결부재 470: 부유체
480: 부력개폐부 481: 회동축부재
482: 힌지축 483: 개폐돌기
484: 씰링부재 500: 진동자
550: 분리결합부 560: 암커넥터부재
561: 오링 562: 안착홈부
570: 숫커넥터부재 571: 커버부
580: 결속부 581: 후크부재
582: 결속홀부 583: 걸림부재
600: 분무토출부 610: 토출이동부재
611: 협소토출부 620: 토출봉부재
621: 토출공 630: 위치구속부
631: 위치구속홈부 632: 위치구속돌기부
640: 분무안내부 641: 안내부재
642: 경사안내공 643: 협소토출공
644: 배출유도홈부 700: 습도감지조절부
710: 습도센서 720: 저수위센서
730: 고수위센서 740: 제어부
S10~S50: 본 발명에 따른 가습기 제어방법의 단계들이다.
Claims (13)
- 제1수용부, 제2수용부 및 연결통로를 형성하고, 조작패널이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측면에 덮여지고, 상기 제1수용부와 상기 제2수용부가 개방되면서 상기 조작패널이 노출되는 커버; 상기 제1수용부에 장착되어 저장된 물을 배출안내부를 통해 상기 제1수용부로 이동하는 저장통; 상기 저장통에 연결되어 직수 또는 정수를 공급하는 직수공급부; 상기 제2수용부에 바닥에 구비되고, 상기 제1수용부에 유입된 물을 연결통로를 통해 이동하여 초음파 진동을 통해 분무를 발생하는 진동자; 및 상기 제2수용부에 구비되어 상기 진동자에서 발생된 분무를 상측으로 안내하여 외부로 토출하는 분무토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직수공급부는, 상기 저장통에 직수 또는 정수를 공급하는 물공급부; 상기 물공급부와 상기 저장통을 연결하는 연결관; 및 상기 연결관에 구비되고, 물공급부의 물을 상기 저장통에 공급하기 위해 개폐하는 개폐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관에는 연결관을 2개부위로 분리할 수 있는 분리결합부가 구비되고,
상기 분리결합부는, 분리된 어느 일측 상기 연결관에 구비되고,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둘레에 오링이 설치되는 암커넥터부재; 분리된 어느 타측 상기 연결관에 구비되고, 상기 암커넥터부재에 결합되어 기밀되도록 커버부를 구비하는 숫커넥터부재; 및 상기 암커넥터부재와 상기 숫커넥터부재를 서로 결속하는 결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통은,
물이 저장되는 저장통본체; 및
상기 저장통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배출안내부가 형성되는 분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안내부는,
상기 분리부재의 바닥에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관통공;
상기 관통공에 삽입 설치되어 상하로 승강 이동하면서 상승시 물이 배출되고, 하강시 상측걸림부에 의해 밀봉되어 물 배출이 차단되는 기둥부재; 및
상기 기둥부재에 수축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기둥부재의 하측걸림부에 의해 이탈이 방지되는 스프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통에는 배출안내부의 상측 둘레에 구비되어 제1수용부로 배출되는 물을 걸러주는 필터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직수공급부는 상기 개폐밸브를 대체하여 상기 저장통에 구비되고, 상기 물공급부를 통해 상기 연결관으로 이송된 물을 저장하도록 물의 부력에 의해 기계식으로 개폐되어 상기 저장통에 물을 저장하는 부력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밸브는,
상기 저장통에 형성된 설치공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관이 끼워지고, 유입되는 물이 이동하는 이동통로가 형성되면서 회동공간부가 구비되는 밸브바디부;
상기 밸브바디부를 상기 저장통에 설치하는 결합부재;
상기 저장통에 수용되는 물에 의해 부유하는 부유체; 및
상기 부유체가 연결되고, 상기 부유체의 부력 또는 부력의 제거에 의해 상기 밸브바디부에서 힌지축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부력개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개폐부는,
상기 부유체가 일단에 구비되고, 상기 힌지축에 의해 회전하는 회동축부재;
상기 회동축부재에 구비되고, 상기 회동축부재의 회동에 의해 상기 이동통로의 출구에 삽입되어 개폐하는 개폐돌기; 및
상기 개폐돌기의 둘레에 구비되어 상기 이동통로의 출구를 밀봉하는 씰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기는 습도감지조절부를 구비하고,
상기 습도감지조절부는 감지된 습도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상기 저장통에 저수위를 유지하고, 습도가 기준치 이하인 경우 상기 저장통을 고수위로 유지하여 상기 저장통의 내부에서 이물질 생성을 줄여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습도감지조절부는,
상기 본체에 구비되고, 실내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센서;
상기 저장통의 낮은 위치에 구비되고, 저장통에 저장된 물의 저수위를 감지하는 저수위센서;
상기 저장통의 높은 위치에 구비되고, 저장통에 저장된 물의 고수위를 감지하는 고수위센서; 및
상기 습도센서에서 감지된 습도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상기 개폐밸브를 개폐하여 상기 저수위센서에서 감지된 저장량만큼 물을 공급하여 저수위를 유지하고, 상기 습도센서에서 감지된 습도가 기준치 이하인 경우, 상기 개폐밸브를 개폐하여 상기 고수위센서에서 감지된 저장량만큼 물을 공급하여 고수위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습도가 기준치이상이므로 상기 저장통을 저수위로 유지할 때, 상기 진동자를 설정치이하로 작동하도록 제어하여 분무량을 줄여주고, 상기 습도가 기준치이하이므로 상기 저장통을 고수위로 유지할 때, 상기 진동자를 설정치이상으로 작동하도록 제어하여 분무량을 늘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무토출부는,
상기 진동자를 커버하도록 상기 제1수용부에 삽입 설치되고, 상기 커버에서상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진동자에서 무화되는 분무를 협소토출부로 이동하는 토출이동부재; 및
상기 협소토출부에 삽입 설치되어 상측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고, 토출공을 통해 상측으로 상승하는 분무 중에 물방울을 낙하시키고 순수 분무만을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봉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분무토출부는 상기 토출봉부재의 상단에 구비되어 분무배출을 안내하는 분무안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 a) 본체에 구비된 습도센서를 이용하여 습도를 감지하고, 습도가 기준치 이상인 지 기준치 이하인 지 여부를 습도감지조절부에 구비된 제어부를 통해 판단하는 단계; b) 상기 습도센서로 감지된 습도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저장통에 구비된 저수위센서의 감지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직수공급부에 구비된 개폐밸브의 개폐를 통해 상기 저장통에 저수위로 물을 저장하는 단계; c) 상기 저장통의 저수위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로 진동자의 가습량을 설정치이하로 낮추어 작동하여 분무토출부에서 토출되는 분무량을 줄이는 단계; d) 상기 습도센서로 감지된 습도가 기준치 이하인 경우, 상기 저장통에 구비된 고수위센서로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에 의해 개폐밸브의 개폐를 통해 상기 저장통에 고수위로 물을 저장하는 단계; 및 e) 상기 저장통의 고수위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로 진동자의 가습량을 설정치이상으로 높여 작동하여 분무토출부에서 토출되는 분무량을 늘리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직수공급부는, 상기 저장통에 직수 또는 정수를 공급하는 물공급부; 상기 물공급부와 상기 저장통을 연결하는 연결관; 및 상기 연결관에 구비되고, 물공급부의 물을 상기 저장통에 공급하기 위해 개폐하는 상기 개폐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관에는 연결관을 2개부위로 분리할 수 있는 분리결합부가 구비되고,
상기 분리결합부는, 분리된 어느 일측 상기 연결관에 구비되고,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둘레에 오링이 설치되는 암커넥터부재; 분리된 어느 타측 상기 연결관에 구비되고, 상기 암커넥터부재에 결합되어 기밀되도록 커버부를 구비하는 숫커넥터부재; 및 상기 암커넥터부재와 상기 숫커넥터부재를 서로 결속하는 결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제어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57109A KR102667014B1 (ko) | 2022-05-10 | 2022-05-10 | 가습기 및 그 제어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57109A KR102667014B1 (ko) | 2022-05-10 | 2022-05-10 | 가습기 및 그 제어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57659A KR20230157659A (ko) | 2023-11-17 |
KR102667014B1 true KR102667014B1 (ko) | 2024-05-22 |
Family
ID=88968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57109A KR102667014B1 (ko) | 2022-05-10 | 2022-05-10 | 가습기 및 그 제어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67014B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31976B1 (ko) * | 2016-02-12 | 2017-04-28 | (주)딘에어코리아 | 직수 연결형 가습기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126377A (ja) * | 1991-11-08 | 1993-05-21 | Matsushita Seiko Co Ltd | 外気処理ユニツト |
KR100211163B1 (ko) * | 1997-08-30 | 1999-07-15 | 전주범 | 퍼지 모드를 사용한 다단계 가습 분무량 제어 방법 |
KR20000005364U (ko) * | 1998-08-26 | 2000-03-25 | 강상근 | 가습기용 물통의 필터장치 |
KR101450057B1 (ko) * | 2013-01-17 | 2014-10-14 | 주식회사태영엠앤에프 | 네블라이저 구조를 갖는 산업용 대용량 초미립자 가습분무장치 |
KR102376181B1 (ko) * | 2020-04-22 | 2022-03-21 | 한일전기 주식회사 | 가열식 가습기 |
-
2022
- 2022-05-10 KR KR1020220057109A patent/KR10266701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31976B1 (ko) * | 2016-02-12 | 2017-04-28 | (주)딘에어코리아 | 직수 연결형 가습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57659A (ko) | 2023-11-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AU644924B2 (en) | Chemical feed apparatus | |
US3306448A (en) | Automatic skim tank and system | |
US4348281A (en) | Skimmer assembly for swimming pools | |
KR101185937B1 (ko) | 수위조절 구조를 갖는 가습기 | |
CN215982986U (zh) | 加湿装置及送风装置 | |
US20080093750A1 (en) | Dual inlet water tank for a humidifier | |
KR102667014B1 (ko) | 가습기 및 그 제어방법 | |
US5123125A (en) | Flushing tank for use with toilet bowls | |
US4448593A (en) | Water air filter | |
US3286724A (en) | Float control means | |
KR102697472B1 (ko) | 가습기 및 그 제어방법 | |
EP2857083A2 (en) | Water filtering device equipped with water level adjustment unit | |
JP4648256B2 (ja) | 給水装置 | |
JP2008020115A (ja) | 給水装置 | |
KR101630627B1 (ko) | 생수병 가습기 | |
US2699927A (en) | Humidifier | |
US7654278B2 (en) | Level control for liquid throughfeed | |
CN215832087U (zh) | 加湿器 | |
CN2182355Y (zh) | 与空调器配套的超声波加湿器 | |
KR20110114022A (ko) | 상부급수식 가습기 | |
JPH0624661Y2 (ja) | スタック用空気遮断装置 | |
KR20040021628A (ko) | 유체 처리 시스템용 밸브 | |
KR20090130230A (ko) | 부력을 이용한 가습기의 급수조절장치 | |
JP2703710B2 (ja) | 油水分離装置への廃液圧送装置 | |
KR200314430Y1 (ko) | 기화식 가습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