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5571A - 암을 검출하고 조절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암을 검출하고 조절하기 위한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5571A
KR20090095571A KR1020097010843A KR20097010843A KR20090095571A KR 20090095571 A KR20090095571 A KR 20090095571A KR 1020097010843 A KR1020097010843 A KR 1020097010843A KR 20097010843 A KR20097010843 A KR 20097010843A KR 20090095571 A KR20090095571 A KR 200900955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eevec
therapeutic agent
patient
avastin
tarcev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0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엠마누엘 페트리코인
마리아엘레나 피에로본
발레리 칼버트
랜스 리오타
Original Assignee
조지 매이슨 인털렉춸 프로퍼티즈, 인코퍼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지 매이슨 인털렉춸 프로퍼티즈, 인코퍼레이티드 filed Critical 조지 매이슨 인털렉춸 프로퍼티즈, 인코퍼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900955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5571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74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cancer
    • G01N33/57407Specifically defined cancers
    • G01N33/57419Specifically defined cancers of col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06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not condensed and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395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395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 A61K39/39533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against materials from animals
    • A61K39/39558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against materials from animals against tumor tissues, cells, antig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61P35/04Antineoplastic agents specific for metasta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 C07K16/22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growth factors ; against growth regula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74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cancer
    • G01N33/57407Specifically defined cancers
    • G01N33/57438Specifically defined cancers of liver, pancreas or kidne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52Predicting or monitoring the response to treatment, e.g. for selection of therapy based on assay results in personalised medicine; Prognos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On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Biophys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yc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Abstract

키나아제 기질 캐스캐이드를 표적화하는 치료 조성물을 투여하여 암 전이를 치료하는 방법이 기술되어 있다.

Description

암을 검출하고 조절하기 위한 방법 {METHOD FOR DETECTING AND CONTROLLING CANCER}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참조문헌
본 출원은 우선권으로 2006년 11월 1일에 출원된 미국가출원번호 60/855,751호를 청구하며, 이는 본원에 참고문헌으로 포함된다.
배경
암은 개발도상국에서 성인 5명 중 한명을 사망시키는 복잡하고 치명적인 그룹의 질환이다. 암은 신체 중에서 매우 다양한 세포 및 조직으로부터 발생하지만, 이러한 질환의 그룹은 공통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암은 주로 유전적 질환으로서, 비조절된 성장 및 분화를 나타내는 세포의 클론 선택을 촉진시키는 돌연변이의 축적으로부터 기인한 것이다. 이러한 종양 세포의 비조절된 성장의 결과는 정상 기관의 기능을 손상시키는 붕괴형 조직(disorganized tissue)의 형성으로서, 이는 궁극적으로 환자의 수명에 위협적이다.
암형성(carcinogenesis)의 메카니즘을 풀어내기 위해 디자인된 기본적인 연구는 종양 형성을 개시하는 유전학적 변경의 분자적 특성의 이해에 대한 급격한 변화를 가져왔다. 특히, 종양 세포에서 종종 돌연변이되는 특정 유전자들이 동정되었다. 이러한 유전자들은 예를 들어, DNA 손상 복구, 상동 재조합, 세포 주기 조절, 성장 인자 신호전달(growth factor signaling), 아폽토시스, 분화, 혈관신생, 면역 반응, 세포 이동, 및 종말체 보존(telomere maintenance)을 조정한다. 따라서, 특정 유전자에서의 돌연변이를 기초로 하여, 정상 세포로부터 암 세포를 구별할 수 있다.
그러나, 유전학적 차원의 근원적인 암세포 표현형의 이해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암을 치료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법은 풍부하게 발견되지 않고 있다. 화학치료제가 종양 세포 증식을 소멸시키거나 차단하도록 디자인되었지만, 화학치료제는 종종 정상 세포에서 필수적인 수준의 단백질 활성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종양 세포에서 특정 단백질의 상향조정된 활성을 배타적으로 억제할 수 없다. 전이된 암의 경우에 있어서, 현존하는 암 치료, 예를 들어 화학요법 및 방사선은 일반적으로 효과적이지 않다.
요약
한 양태에서, 본 발명은 간 전이를 지닌 환자에게 유효량의, 글리벡, 아바스틴, 타르세바, 벡티빅스, 및 라파티닙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료제를 투여함을 포함하여, 간 전이를 지닌 환자를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 구체예에서, 치료제는 글리벡이다. 다른 구체예에서, 치료제는 아바스틴이다. 다른 구체예에서, 치료제는 타르세바이다. 다른 구체예에서, 치료제는 라파티닙이다. 다른 구체예에서, 치료제는 벡티빅스이다. 다른 구체예에서, 치료제는 글리벡과 아바스틴이다. 다른 구체예에서, 치료제는 아바스틴과 타르세바이다. 다른 구체예에서, 치료제는 타르세바와 라파티닙이다. 다른 구체예에서, 치료제는 글리벡과 타르세바이다. 다른 구체예에서, 치료제는 글리벡과 라파티닙이다. 다른 구체예에서, 치료제는 글리벡과 벡티빅스이다. 다른 구체예에서, 치료제는 아바스틴과 라파티닙이다.
다른 구체예에서, 이러한 방법은 (a) 환자로부터 생검(biopsy)을 획득하고; (b) 생검을 상피세포 농축(epithelial cell enrichment)으로 처리하고; (c) 상피 세포를 용해시켜 용해물을 형성시키고; (d) 용해물을, ELISA, 역상 어레이, 서스펜션 빈 어레이(suspension bean array), 및 면역조직화학적 검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면역검정으로 분석하고; (e) 세기 수치를 높은 기준 수치 및 낮은 기준 수치와 비교하고; (f) 이러한 수치를 전문의에게 보고함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폐 전이를 지닌 환자에게 유효량의, 글리벡, 아바스틴, 타르세바, 벡티빅스, 및 라파티닙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료제를 투여함을 포함하여, 폐 전이를 지닌 환자를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 구체예에서, 치료제는 글리벡이다. 다른 구체예에서, 치료제는 아바스틴이다. 다른 구체예에서, 치료제는 타르세바이다. 다른 구체예에서, 치료제는 라파티닙이다. 다른 구체예에서, 치료제는 벡티빅스이다. 다른 구체예에서, 치료제는 글리벡과 아바스틴이다. 다른 구체예에서, 치료제는 아바스틴과 타르세바이다. 다른 구체예에서, 치료제는 타르세바와 라파티닙이다. 다른 구체예에서, 치료제는 글리벡과 타르세바이다. 다른 구체예에서, 치료제는 글리벡과 라파티닙이다. 다른 구체예에서, 치료제는 글리벡과 벡티빅스이다. 다른 구체예에서, 치료제는 아바스틴과 라파티닙이다.
한 양태에서, 본 발명은 간 전이를 지닌 환자에 유효량의 akt 억제제를 투여함을 포함하여, 간 전이를 지닌 환자를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폐 전이를 지닌 환자에 유효량의 akt 억제제를 투여함을 포함하여, 폐 전이를 지닌 환자를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간 전이를 지닌 환자에 유효량의 PI3키나아제 억제제를 투여함을 포함하여, 간 전이를 지닌 환자를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폐 전이를 지닌 환자에 유효량의 PI3키나아제 억제제를 투여함을 포함하여, 폐 전이를 지닌 환자를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간 전이를 지닌 환자에 유효량의, akt 억제제와, 글리벡, 아바스틴, 타르세바, 벡티빅스, 및 라파티닙 중 하나 이상을 투여함을 포함하여, 간 전이를 지닌 환자를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폐 전이를 지닌 환자에 유효량의, akt 억제제와, 글리벡, 아바스틴, 타르세바, 벡티빅스, 및 라파티닙 중 하나 이상을 투여함을 포함하여, 폐 전이를 지닌 환자를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들은 하기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자명하게 될 것이다. 상세한 설명 및 특정한 실시예는 단지 예시를 위해 제공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내에서의 다양한 변형예 및 변경예는 본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게 자명하게 될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원리를 기술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적용을 당업자에게 명백하게 유용한 모든 실시예로 상세하게 기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지 않는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래 결장과 비교하여 간 전이에서 차별적으로 상승된 포스포종말점(phosphoendpoint)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폐로 전이된 결장직장 암종에서 관찰된 상승된 약물 표적 및 경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pTEN 및 포스포 akt의 포스포릴화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글리벡(GLEEVEC®) 표적의 3차원 지도를 제공한 것이다.
도 5는 환자 수치의 산란 플롯을 도시한 것이다.
상세한 설명
종양 세포 단백질 네트워크의 맵핑(mapping)에서는 암 진행에서 변경된 신호전달 경로를 나타낸다. 특히, 예상되는 키나아제 기질 캐스캐이드의 네트워크 분석은 본래의 것과 전이 병소 간에 차이를 나타낸다. 더욱이, 상승된 포스포릴화 사건은 단지 수개의 중요한 신호전달 경로 (프로-생존(pro-survival), 성장 수용체 및 운동성 관련 사건에 포함되는 것으로 알려짐)로 들어간다. 관련된 키나아제의 표적화는 변종의 신호 경로를 파괴하고, 전이를 방해할 것이다. 따라서, 간 또는 폐 전이를 치료하기 위한 방법은 c-kit, PDGFr, 키나아제의 abl 패밀리, 키나아제의 VEGFr 패밀리, 키나아제의 EGFr 패밀리 및 AKT/mTOR 경로를 표적화하는 치료제를 투여함을 포함한다.
전이는 암세포가 혈류 또는 림프계를 통해 본래 종양 부위에서 신체의 다른 부분으로 이동하는 복잡한 일련의 단계들을 칭한다. 그렇게 함에 있어서, 악성 세포는 본래 종양으로부터 떨어져 나가고, 인접한 조직으로부터 종양을 분리시키는 주변 세포외 기질(ECM)을 포함하는 단백질에 결합하고, 이를 퇴화시킨다. 이러한 단백질을 퇴화시킴으로써, 암세포는 ECM을 돌파하여 이동할 수 있다.
전이가 일어나는 가장 일반적인 위치는 부신, 간, 뇌 및 뼈이다. 또한 특정 기관에서 특정 종양이 시딩(seed)되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전립선암은 대개 뼈로 전이된다. 유사하게는, 결장 암은 간으로 전이되는 경향이 있다. 위암은 종종 여성에서 난소로 전이되며, 여기서 이는 쿠르켄버그(Krukenberg) 종양을 형성시킨다.
다른 조직 또는 기관으로 이동하거나 전이하려는 이들의 능력은 암을 잠재적으로 생명-위협적인 질환으로 만든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암 전이를 치료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당업자에게 널리 공지된 용어 및 구를 사용한다. 달리 규정하지 않는 한, 본원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에 속하는 당업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본원에서 사용되는 명칭 및 본원에 기술된 세포 배양, 분자 유전학, 및 핵산 화학 및 교배(hybridization)에서의 실험적 과정은 당해 분야에 널리 공지되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재조합 핵산 방법, 폴리누클레오티드 합성, 미생물 배양, 세포 배양, 조직 배양, 변환, 이입, 형질 도입, 분석 화학, 유기합성 화학, 화학적 합성, 화학적 분석, 및 약제학적 제형 및 전달에 대한 표준 기술이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효소적 반응 및 정제 및/또는 분리 단계는 제작자의 설명서에 따라 수행된다. 이러한 기술 및 과정은 일반적으로 통상적인 방법론에 따라 수행된다 [Molecular Cloning, A Laboratory Manual, 3rd. edition, edited by Sambrook & Russel 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Press, Cold Spring Harbor, NY, 2001].
I. 종양 세포 네트워크의 맵핑
인간 게놈의 서열화는 질환 연구에서 분자 프로파일링(molecular profiling)을 촉진하는 기술의 혁명을 불어넣었다. 종양학 분야에서, 예를 들어, 어레이 기술(array technology)은 DNA, RNA 및 단백질 수준에서 종양을 프로파일링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단백질 마이크로어레이는 특히 약물 발견, 바이오마커 식별 및 세포 물질의 신호 형질 도입 프로파일링을 위한 강력한 기술을 제공한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에서 고려되는 바와 같이, 단백질 마이크로어레이는 시간에 따라, 예를 들어 특정 치료 전 및 후에, 질환 상태와 비-질환 상태 사이에, 및 반응자와 비반응자 사이에 포스포릴화의 변화를 모니터링함으로써 세포 신호전달 경로를 프로파일링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Reviewed in Wulfkuhle, J. et al. Nat Clin Pract Oncol. 3:5:256-68 (2006), 이는 전문이 본원에 참고문헌으로 포함된다]. 단백질 포스포릴화 활성을 기초로 하여, 특정 경로가 확인될 수 있고 환자-특정 치료를 계획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Liotta, L. Cancer cell 3:317-325 (2003), 이는 전문이 본원에 참고문헌으로 포함된다].
단백질 마이크로어레이는 분석물이 용액상으로부터 포획되거나 고체상에 결합되는지의 여부에 따라 분류된다. 포워드-상 어레이(FPA)에서, 포획 분자는 기저 상에 고정되고, 미끼 분자(bait molecule)로서 작용한다. 반대로, 역상 어레이 (RPA)는, 어레이가 수백개의 상이한 샘플로 이루어지도록 각 어레이 스폿(array spot)에서 개개의 시험 샘플을 고정시킨다. 인간 조직이 수백개의 상호작용하는 세포 집단을 포함하기 때문에, RPA는 세포 단백체에서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는 능력을 제공한다. 단백질 마이크로어레이를 제조하는 방법은 당해 분야에서 일반적이고 널리 알려져 있으며, 예를 들어 문헌[Nishizuka, S.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100: 14299:14234; Paweletz et al Oncogene 20:1981-1989 (2001)]에 기술되어 있다.
포스포릴화 수준의 변경을 기초로 하여, 프로-생존, 성장 수용체, 및 운동성 관련 사건에 포함되는 것으로 알려진 신호전달 경로를 식별할 수 있다. 관련된 키나아제를 표적화하는 것은 변종의 신호 경로를 파괴하고, 이에 의해 전이를 방해한다. 따라서, 간 또는 폐 전이를 치료하는 방법은 c-kit, PDGFr, 키나아제의 abl 패밀리, 키나아제의 VEGFr 패밀리, 키나아제의 EGFr 패밀리, 및 AKT/mTOR 경로를 표적화하는 치료제를 투여함을 포함한다.
II. 키나아제 경로를 표적화하기 위한 치료제
키나아제 경로를 표적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이에 의해 전이된 암, 예를 들어 간 전이 또는 폐 전이를 치료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사용될 수 있는 여러 공지되고 용이하게 이용가능한 약물이 존재한다.
이마티닙 메실레이트(Imatinib mesylate, 또한 글리벡 또는 STI571이라 칭함)는 성인 및 소아 만성 골수성 백혈병 (CML)의 몇몇 형태의 치료, 및 위장관 기질 종양 (GIST)이라 칭하는 드문 형태의 암의 치료를 위해 미국 식품의약국 (FDA)에 의해 승인된 것이다. 글리벡은 암을 야기시키는 것으로 알려진 단백질의 신호를 직접 중지시키기 위한 첫번째로 승인된 약물이다. 글리벡은 혈소판-유도 성장인자 (PDGF) 및 줄기 세포 인자 (SCF)/c-kit에 대한 수용체 티로신 키나아제; SCF/c-kit 수용체 티로신 키나아제를 억제한다. 이전에 FDA에 의해 승인된 다른 분자-표적화 약물은 다른 암과 관련된 단백질을 방해하지만, 질병을 직접 야기시키는 단백질을 방해하지는 않는다.
아바스틴(Avastin®), 또는 베바시주마브(Bevacizumab)는 신체의 다른 부분으로 분포된 결장직장 암을 치료하기 위해 다른 약물과 함께 사용하기 위해 FDA에 의해 승인된 것이다. 아바스틴은 또한 수술에 의해 제거될 수 없거나, 신체의 다른 일부로 분포되거나, 재발한 비-소세포 폐암을 치료하기 위해 다른 약물과 함께 사용하기 위해 승인된 것이다. 아바스틴은 혈관신생 유발 시토카인(pro-angiogenic cytokine)에 대해 지향된 재조합 인간 모노클론 항체이다. 아바스틴은 VEGF에 결합되고, VEGF 수용체 결합을 억제하고, 이에 의해 종양 혈관의 성장 및 유지를 방해한다.
타르세바(Tarceva®, 또는 에르로티닙(erlotinib) 히드로클라로이드 또는 N-(3-에티닐페닐)-6,7-비스(2-메톡시에톡시)-4-퀴나졸린아민 모노히드로클로라이드라 칭함)는 화학요법에 잘 반응하지 않는 비-소세포 폐암의 형태를 치료하기 위해 FDA에 의해 승인된 것이다. 아데노신 트리포스페이트와 경쟁하면서, 타르세바는 표피 성장인자 수용체 (EGFR) 티로신 키나아제의 세포내 촉매 도메인에 가역적으로 결합하며, 이에 의해 EGFR 포스포릴화를 억제하고 신호 형질 도입 사건 및 EGFR 활성과 관련된 종양형성 사건을 차단한다.
라파티닙 (Lapatinib; Tykerb®)은 유방암에서 종종 발견되는 HER2 단백질의 활성을 차단하는 실험 약물이다. HER2를 과발현시키는 (HER2-포지티브) 종양은 보다 빠르게 성장하는 경향이 있고, 단백질을 과발현시키지 않는 종양 보다 더욱 회복하기 쉽다. 라파티닙은 유방암세포 내부에서 발견된 HER2 단백질의 일부에 결합한다.
여러 신호전달 경로 억제제가 알려져 있고 암 전이 치료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억제제로는 akt 억제제 및 PI3키나아제 억제제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III. 치료제 투여
각 치료 약물, 또는 약물의 조합은 여러 방법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치료 약물은 단백질, 예를 들어 항체, 및 소분자를 포함한다. 효과적인 치료를 위하여, 본 발명은 각 약물을 단독으로 또는 다른 약물과 조합하여, 국소, 경구, 항문, 안구, 협측, 비강, 근육내, 피하, 정맥내 또는 비경구 경로에 의해 투여함을 고려한다. 경로, 제형, 및 용량의 최종 선택은 담당 전문의에 의해 이루어지고, 환자의 독특한 상태를 기초로 한다.
서방출 제형의 협측 주사를 포함한 협측 주사에 의해 투여되는 경우, 투약 스케줄은 또한 약물이 매일 투여되는 연속적일 수 있거나 불연속적일 수 있다. 불연속 협측 주사 투약 스케줄은 예를 들어, 1, 2, 3, 4, 5, 6, 또는 7일, 1, 2, 3, 4, 또는 그 이상의 주,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된 온 기간(on period) (주사가 제공되는 날), 및 1, 2, 3, 4, 5, 6, 또는 7일, 1, 2, 3, 4, 또는 그 이상의 주로부터 선택된 오프 기간(off period) (주사가 제공되지 않는 날)을 포함한다.
당업자에게 자명한 바와 같이, 비강내 및 흡입 투여는 일반적으로 주사, 카테터 또는 경피 주입 디바이스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피검체에 대해 더욱 사용하기 좋다. 따라서 비강내 및 흡입된 용량은 비경구 경로에 의해 제공되는 용량 보다 적을 수 있지만, 더욱 자주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비강내 및 흡입 투약 스케줄은 "온"(on) 날짜 당 단일 투약을 포함할 수 있거나, 다중 투약(예를 들어, 일일 당 2, 3, 4, 5회 또는 그 이상의 투약)을 포함할 수 있다. 투약 스케줄은 연속적이거나 불연속적일 수 있으며, 불연속적 스케줄은 1, 2, 3, 4, 5, 6, 또는 7일, 1, 2, 3, 4주 또는 그 이상,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된 온 기간(on period) (예를 들어, 약물이 적어도 1회 투여되는 날), 및 1, 2, 3, 4, 5, 6, 또는 7일, 1, 2, 3, 4주, 또는 그 이상의 주로부터 선택된 오프 기간(off period)(예를 들어, 약물이 투여되지 않는 날)을 이용한다.
임의의 방법에 의한 연속적 및 불연속적 투여 스케줄은 또한, 예를 들어 온 기간의 개시시에, 용량이 적으며 온 기간의 마지막까지 증가시키며, 용량이 초기에 높고 온 기간 동안에 감소시키고, 용량이 초기에 적으며, 피크 수준으로 증가시킨 후 온 기간의 마지막쪽으로 감소시키고, 이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도록 투약이 "온"(on) 기간 전반에 걸쳐 조절되는 투약 스케줄을 포함한다.
약물, 또는 이의 조합은 비경구 경로, 예를 들어, 정맥내(IV), 근육내(IM), 피하(SC), 복막내(IP), 경피, 비강내, 및 흡입 경로 (이에 제한되지 않음)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IV, IM, SC, 및 IP 투여는 협측 조사 또는 협측 주입 또는 연속 주입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SC 또는 IM의 경우에, 또한 펌프, 서방출 제형 및 기계 디바이스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서방출 삽입가능한 디바이스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글리벡, 아바스틴, 타르세바, 라파티닙 중 하나 이상을 투여하는 것을 고려하며, 이러한 과정은 다양한 약물 조합을 허용한다.
일반적으로, 피하 또는 근육내 주사에 의해 투여되는 용량은 정맥내로 제공된 치료학적으로 균등한 용량 보다 많을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약물은 생리학적으로 양립가능한 담체, 예를 들어 일반적인 염수, 또는 포스페이트 완충된 염수 용액에 용해된다.
가능한 투여에 대하여, 약물의 조성물은 반고체 또는 액체 제조물, 예를 들어, 액체, 현탁액, 등일 수 있다. 생리학적으로 양립가능한 담체는, 일반적인 염수, 혈청 알부민, 5% 덱스트로즈, 및 혈장 제조물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비강내 및 흡입 투여를 위하여, 분말화된 제형, 예를 들어 냉동-건조된 분말이 유용할 수 있다. 임의적으로, 담체로는 또한 항바이러스제, 보존제, 붕해제, 또는 계면활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치료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치료될 질환, 손상 또는 질병의 불리한 상태 또는 증상의 예방 또는 경감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문맥에서, "치료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간 및 폐 조직에서의 전이를 감소시킬 것이다. 투여되는 특정 약물의 용량은 치료된 병증, 병증의 중증도, 사용되는 세포독성제 또는 방사선의 타입, 및 환자의 의학적 개인력(medical history)을 기초로 하여,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약물이 매일 투여될 때, 인간에 대한 피하 또는 근육내 용량은 일일당 체중 1kg 당 약 0.05 mg 내지 50 mg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인간에 대한 일일 피하 또는 근육내 용량은 약 0.5 mg/kg 내지 20 mg/kg이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인간에 대한 일일 피하 또는 근육내 용량은 약 0.5 mg/kg 내지 5 mg/kg이다. 피하 또는 근육내 투여에 대하여, 용량은 바람직하게는 정맥내로 제공된 치료학적으로 균등한 용량 보다 많다.
예를 들어, FDA 제안된 글리벡의 투여량은 만성기 CML의 환자에 대해 일일당 400 mg, 가속기 또는 급속기의 환자에 대해 일일당 600 mg이다. 이러한 가이드라인을 기초로 하고, 암전이의 중증도 및 환자의 건강에 따라, 투여량은 일일당 400-420, 420-440, 440-460, 460-480, 480-500, 500-520, 520-540, 540-560, 560-580, 및 580-600 mg일 수 있다. 처방된 용량은 식사와 많은 물과 함께 매일 경구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치료는 환자가 지속적으로 이익을 얻는 한 지속될 것이다. 제형, 투여 경로 및 방법, 및 투여량은 질환의 중증도를 포함한, 환자의 의학적 개인력에 따를 것이다.
치료 약물은 약제 조성물을 형성시키기 위하여 불활성 약제학적 부형제, 예를 들어, 락토즈, 오일, 만니톨, 및 전분과 함께, 다른 약물과 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조성물은 투약 형태, 예를 들어 엘릭시르(elixir), 액체, 연고, 로션, IV 유체, 알코올, 정제, 캡슐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비경구, 근육내, 피하 및 정맥내 투여를 위하여, 약물은 불활성의 비경구적으로 허용되는 비히클, 예를 들어, 물, 염수, 참기름, 에탄올 완충된 수성 매질, 프로필렌 글리콜 등과 함께 제형화될 수 있다. 국소 및 경구 투여를 위하여, 약물은 왁스, 오일, 완충된 수성 매질 등과 함께 제형화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약제학적 투약 형태는 당해 분야에서 널리 공지된 방법에 의해 배합된다.
본 발명의 약물은 또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으로서 제조될 수 있다.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펩티드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하전된 기와 하나 이상의 임의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비독성 양이온 또는 음이온 사이에 형성된 염을 의미한다. 유기 및 무기 염은 예를 들어, 산, 예를 들어 염산, 황산, 설폰산, 타르타르산, 푸마르산, 브롬화수소산, 글리콜산, 시트르산, 말레산, 인산, 숙신산, 아세트산, 질산, 벤조산, 아스코르브산, p-톨루엔설폰산, 벤젠설폰산, 나프탈렌설폰산, 프로피온산, 카르본산, 등으로부터 제조된 염을 포함한다.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또한 암모늄, 나트륨, 칼륨, 칼슘 또는 마그네슘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양이온을 함유할 수 있다.
암 전이를 조절하기 위한 특정 실시예가 하기에 기술되어 있다. 이는 대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에 대한 제한으로서 의도되지 않는다.
실시예
실시예 1. 종양 세포 네트워크 맵핑
레이저 캡쳐 마이크로해부를 이용하여, 결장직장 암 및 간 전이된 환자 (34명의 환자) 68 케이스, 및 결장으로부터의 폐 전이 15 케이스를 획득하였다. 순수한 암 세포 집단을 용해시키고, 문헌[etricoin, E. et al. J Clin Oncol, 23: 15:3614-20 (2003); 이는 이의 전문이 참고문헌으로 포함됨]에 기술된 바와 같은 역상 단백질 마이크로어레이 기술로 처리하였다.
이러한 기술을 이용하여, 70개의 키나아제 기질의 포스포릴화 상태를 측정하고, 분자 네트워크 분석을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소프트웨어(Microvigene, VigeneTech, MA)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70개의 분석된 포스포종말점 중에, 21개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으며 (스튜던트 t-테스트 p<0.05), 환자 매칭된 결장직장 기호와 간 전이 사이를 나타내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21개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포스포종말점 중에서, 14개가 본래 결장과 비교하여 간 전이에서 상승되었다. 예상치 못하게, 14개의 포스포릴화 사건은 단지 수개의 중요한 신호전달 경로에 들어갔다. 이러한 경로는 프로-생존, 성장 수용체, 및 운동성 관련 사건에 포함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들 중 다수는 특이적 표적화된 치료요법에 대한 약물 표적이다.
더욱이, 이러한 종말점은 널리 공지된 경로로 핵을 형성시키고, 이에 의해 신호전달의 길항제인 것으로 알려진 단백질의 수준이 또한 간 전이에서 예측가능하게 하향-조절되었다. 이러한 중요한 관찰은, 전체 경로가 어지럽게 존재하는 것으로 발견되는 한에 있어서 최종 데이타에서 큰 신뢰도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다운 스트림 프로-생존 성분(Prosurvival component), pAK, pRAS, FKHRL, STAT5, pSRC를 상향-조정하고, 종양 억제제 pTEN (AKT 활성을 조절), 분열된 카스파제9 및 BAD 포스포릴화 (아폽토시스를 조절)을 하향-조정하고, PKC알파 및 제트-람다(둘모두는 AKT 활성을 조절하는 것으로 보여짐)를 하향-조정하는 것과 동시에 발생하는 성장 인자 수용체(즉, 글리벡, 아바스틴, 및 타르세바 표적)를 상향 조정하는 것이 모두 관찰되었고,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종말점내에 모두 포함되었다.
더욱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승된 약물 표적 및 경로는 또한 폐로 전이된 결장직장 암종에서 관찰되었으며, 이는 이러한 경로들이 간 전이와 폐 전이 모두에서 표적화될 수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3은 도 1로부터의 상승된 포스포종말점 중 두개를 이용한 2차원 플롯(two-way plot)을 제공한 것이다. akt, 및 포스포 akt를 조정하는 pTEN의 포스포릴화를 측정함에 있어서, 이는 캐스캐이드의 신호전달의 활성을 나타낸다. pTEN이 포스포릴화될 때, 이는 불안정하게 되고 퇴화되며, 이는 akt 포스포릴화를 촉진시킨다. 이러한 데이타로부터, 신호전달 경로가 이상조정되고, 그러한 경우, 간에서의 암세포는 선택적으로 사멸될 것이고, 이에 의해 전이를 방해한다.
도 4는 각각이 독립적으로 활성화되는 3개의 글리벡 표적에 대한 3차원 지도를 제공한 것으로서, 이에 의해 신호전달 경로의 이상조정이 세포 사멸을 활성화시킨다는 증거를 제공한다.
실시예 2. 치료를 위한 환자의 선택 및 계급화
조합된 PDGFr/c-kit 및 c-abl 포스포릴화 수준의 사전규정된 컷-수치(cut-value) (A431 +/- EGF 기준 물질과 비교되고 표준화됨) (본원에서 포스포-글리벡 약물 표적 스코어 (PGDT)라 칭함)를 글리벡 치료요법을 위한 환자를 선택하고 계급화하기 위해 획득하고 사용할 수 있다. 각 환자에 대해 c-abl, c-kit 및 PDGFr의 포스포릴화를 조합하여 PGDT를 측정하였다. 각각의 상대적 포스포릴화는 기준 표준물, 100 ng/ml EGF로 15분 동안 치료된 A431 세포를 기초로 하여 결정되었으며, 이는 모든 검정에서 프린팅되고 정량화되었다. A431 + EGF 기준 물질의 PGDT에 대한 검정간 및 검정내 CV는 5% 미만이었으며, 임상적 진단 표준 분석물 시험 분석인자 및 본 출원인의 종래 공개된 결과 [Paweletz et al, Oncogene, 2001] 내에서 양호한 것이다.
예를 들어, 파니투무마브(panitumumab) 투여 전에 글리벡만을 사용한 28일간의 치료를 이용할 수 있다. 사전 데이타를 기초로 하여, 2.3 상대적 세기 유닛 (RIU)의 PGDT 컷-포인트가 사용될 수 있는데, 이는 이러한 값이 100% 특이성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며: 하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비율은 0/34 본래 결장직장 암이 이러한 컷-포인트를 초과한 수치를 갖는다는 것이다 (P < 0.00001). 2.3 RIU의 PGDT 컷 포인트는 이론적으로 연구 세트내에서 모든 환자를 3개의 계급으로 나눌 것이다 (11/34 환자 (33%)). 본래 질환과 전이성 질환 간에 얻어진 분리의 고도의 통계학적 유의성을 기초로 하여, 등록 집단의 1/3이 본 연구의 글리벡 암(arm)에 대해 거의 적합할 것이다. 중요하게는, 2.3의 PGDT는 A431 조절 세포 수치의 5개의 레플리게이트의 평균 (2.15 +/- 0.09) 보다 약간 높은 수치에 해당한다. A431 세포는 EGF 리간드의 부재하에 이례적으로 높은 EGFR 수준 및 상당히 높은 구조적 신호전달을 갖는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러한 데이타는 2.3 컷-포인트의 이용이 전이 신호전달이 임의의 본래 결장직장 암 수준으로부터 가장 높은 신호를 초과하고, 비자극화된 A431 세포주 보다 높은 환자를 선택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는 증거를 제공한다.
실시예 3. 글리벡 + 벡티빅스 치료
글리벡 단독 또는 벡티빅스와 조합한 글리벡은 간 전이의 이미지화에 의해 종양 크기 감소로 측정된 바와 같이 전이성 결장직장 암의 치료에서 효과적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글리벡과 벡티빅스의 효능은 치료요법 전 및 후에 얻어진 간 생검 샘플을 이용하여 PDGFr (Y751), cKIT (Y703), cAbl (Y245) , AKT (S473), AKT (T308), mTOR (S2448), mTOR (S2481), 4EBP1 (S65), 4EBP1 (T37/46), 4EBP1 (T70), 전체 EGFR, 포스포 EGFR(Yl 173, Y1068, Y1045,Y845, Y992)의 포스포릴화 수준과 관련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 2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PGDT 스코어 ≥ 2.3을 갖는 환자는 28일 동안 글리벡 단일치료요법을 수용하고, 대략 28일에 제 2 생검을 수행한다. 이후에, 모든 환자는 글리벡과 벡티빅스의 조합 (6 mg/kg)을 수용한다. PGDT 스코어 <2.3을 갖는 환자에 대해, 각 환자는 케어 치료요법의 표준물 (조사자의 재량에 따라 벡티빅스를 함유한 요법)을 수용한다. 모든 단백질 결정인자는 실시예 1에 기술된 바와 같이 역상 단백질 마이크로어레이 (RPMA)를 이용하여 측정된다.
표 1. 결정직장 암 및 동반된 간 전이에 의해 영향을 받은 34 매칭된 환자 및 결장직장 암으로부터의 이시성(metachronous) 폐 전이의 16 케이스의 임상적 특징분석
표 1은 연구 세트 샘플을 기술한 데이타를 제공한 것으로서, 간으로 전이된 결장직장 암에 걸린 환자에 대한 통상적인 집단 분포를 나타낸다.
표 2. 간으로 전이된 폐 암에 걸린 환자의 샘플 연구
결장암으로부터의 폐 전이 남성 여성 전체
환자의 수: 6 10 16
평균 나이: 60.7 53
출생연도(범위): 40-74 27-74
표 2는 간으로 전이된 폐 암에 걸린 환자에 대한 통상적인 집단 분포를 나타낸 연구 세트 샘플을 기술한 데이타를 제공한다.
표 3. 본래 결장직장 암과 동반된 간 전이 사이의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종말점
도 3은, 80개의 분석된 단백질로부터, 본래 결장직장 암과 동반된 간 전이 사이의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종말점을 나타낸다. 오른쪽 컬럼은 본래 암과 비교하여 존재하는 간 병소의 추세를 나타낸 것이다.

Claims (30)

  1. 간 전이를 지닌 환자에 유효량의, 글리벡(GLEEVEC), 아바스틴(AVASTIN), 타르세바(TARCEVA), 벡티빅스(Vectibix), 및 라파티닙(Lapatinib)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료제를 투여함을 포함하여, 간 전이를 지닌 환자를 치료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제가 글리벡인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제가 아바스틴인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제가 타르세바인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제가 라파티닙인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제가 벡티빅스인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제가 글리벡과 아바스틴인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제가 아바스틴과 타르세바인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제가 타르세바와 라파티닙인 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제가 글리벡과 타르세바인 방법.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제가 글리벡과 라파티닙인 방법.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제가 아바스틴과 라파티닙인 방법.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제가 글리벡과 벡티빅스인 방법.
  14. 폐 전이를 지닌 환자에 유효량의, 글리벡, 아바스틴, 타르세바, 벡티빅스, 및 라파티닙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료제를 투여함을 포함하여, 폐 전이를 지닌 환자를 치료하는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제가 글리벡인 방법.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제가 아바스틴인 방법.
  17.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제가 타르세바인 방법.
  18.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제가 라파티닙인 방법.
  19.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제가 벡티빅스인 방법.
  20.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제가 글리벡과 아바스틴인 방법.
  21.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제가 아바스틴과 타르세바인 방법.
  22.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제가 타르세바와 라파티닙인 방법.
  23.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제가 글리벡과 타르세바인 방법.
  24.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제가 글리벡과 라파티닙인 방법.
  2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제가 아바스틴과 라파티닙인 방법.
  2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제가 글리벡과 벡티빅스인 방법.
  27. 간 전이를 지닌 환자에 유효량의 akt 억제제를 투여함을 포함하여, 간 전이를 지닌 환자를 치료하는 방법.
  28. 간 전이를 지닌 환자에 유효량의 PI3키나아제 억제제를 투여함을 포함하여, 간 전이를 지닌 환자를 치료하는 방법.
  29. 간 전이를 지닌 환자에 유효량의, akt 억제제와, 글리벡, 아바스틴, 타르세바, 벡티빅스 및 라파티닙 중 하나 이상을 투여함을 포함하여, 간 전이를 지닌 환자를 치료하는 방법.
  30. 제 1항에 있어서,
    (a) 상기 환자로부터 생검(biopsy)을 획득하고;
    (b) 상기 생검을 상피 세포 농축(epithelial cell enrichment)으로 처리하고;
    (c) 상피 세포를 용해시켜 용해물(lysate)을 형성시키고;
    (d) 상기 용해물을, ELISA, 역상 어레이(reverse phase array), 서스펜션 빈 어레이(suspension bean array), 및 면역조직화학적 검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면역검정으로 분석하고;
    (e) 세기 수치를 높은 기준 수치 및 낮은 기준 수치와 비교하고;
    (f) 상기 수치를 전문의에게 보고함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KR1020097010843A 2006-11-01 2007-10-31 암을 검출하고 조절하기 위한 방법 KR2009009557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5575106P 2006-11-01 2006-11-01
US60/855,751 2006-11-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5571A true KR20090095571A (ko) 2009-09-09

Family

ID=39365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0843A KR20090095571A (ko) 2006-11-01 2007-10-31 암을 검출하고 조절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8834873B2 (ko)
EP (1) EP2089055A4 (ko)
JP (1) JP2010508277A (ko)
KR (1) KR20090095571A (ko)
AU (1) AU2007318051A1 (ko)
CA (1) CA2679859A1 (ko)
WO (1) WO2008057329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34873B2 (en) * 2006-11-01 2014-09-16 George Mason Research Foundation, Inc. Method for detecting and controlling cancer
CA2694409A1 (en) * 2007-07-26 2009-01-29 George Mason Intellectual Properties, Inc. Method for predicting response to tamoxifen
US9086414B2 (en) * 2008-07-08 2015-07-21 George Mason Research Foundation, Inc. Phosphorylated C-ErbB2 as a superior predictive theranostic marker for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cancer
WO2010017331A1 (en) * 2008-08-05 2010-02-11 George Mason Intellectual Properties, Inc. Signal pathway alterations and drug target elevations in primary metachronous metastatic colorectal cancer compared to non-metastatic disease
EP3216874A1 (en) 2008-09-05 2017-09-13 TOMA Biosciences, Inc. Methods for stratifying and annotating cancer drug treatment options
US8540667B2 (en) * 2008-11-12 2013-09-24 Sanovas, Inc. Multi-balloon catheter for extravasated drug delivery
US8226601B2 (en) 2008-11-12 2012-07-24 Sanovas, Inc. Resector balloon system
KR20130113447A (ko) 2010-09-24 2013-10-15 더 보드 어브 트러스티스 어브 더 리랜드 스탠포드 주니어 유니버시티 고정된 프라이머들을 이용하여 표적 dna의 직접적인 캡쳐, 증폭 및 서열화
US20160074581A1 (en) 2014-09-17 2016-03-17 Lawrence J. Gerrans Modulated Drug Delivery
US8597239B2 (en) * 2011-03-01 2013-12-03 Sanovas, Inc. Abrading balloon catheter for extravasated drug delivery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29495B2 (en) 2004-06-09 2008-02-12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Mutations in KIT confer imatinib resistance in gastrointestinal stromal tumors
US7947839B2 (en) 2004-12-01 2011-05-24 Genentech, Inc. Heterocyclic-substituted bis-1,8 naphthalimide compounds, antibody drug conjugates, and methods of use
US20070166388A1 (en) * 2005-02-18 2007-07-19 Desai Neil P Combinations and modes of administration of therapeutic agents and combination therapy
US20060216288A1 (en) * 2005-03-22 2006-09-28 Amgen Inc Combinations for the treatment of cancer
CN101421625A (zh) 2005-10-18 2009-04-29 乔治梅森知识产权公司 mTOR途径治疗诊断学
WO2007106432A2 (en) 2006-03-10 2007-09-20 George Mason Intellectual Properties, Inc. Egf receptor phosphorylation status for disease treatment
CA2655997A1 (en) * 2006-06-30 2008-01-10 Schering Corporation Igfbp2 biomarker
US20100003247A1 (en) 2006-10-27 2010-01-07 George Mason Intellectual Properties, Inc. Assay for metastatic colorectal cancer
US8834873B2 (en) * 2006-11-01 2014-09-16 George Mason Research Foundation, Inc. Method for detecting and controlling cancer
CA2683625A1 (en) * 2007-04-13 2008-10-23 George Mason Intellectual Properties, Inc. Stat3 as a theranostic indic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118246A1 (en) 2015-04-30
EP2089055A2 (en) 2009-08-19
WO2008057329A2 (en) 2008-05-15
JP2010508277A (ja) 2010-03-18
US20100074895A1 (en) 2010-03-25
WO2008057329A9 (en) 2008-07-03
CA2679859A1 (en) 2008-05-15
US8834873B2 (en) 2014-09-16
AU2007318051A1 (en) 2008-05-15
WO2008057329A3 (en) 2008-09-25
EP2089055A4 (en) 2011-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95571A (ko) 암을 검출하고 조절하기 위한 방법
Xia et al. Combining lapatinib (GW572016), a small molecule inhibitor of ErbB1 and ErbB2 tyrosine kinases, with therapeutic anti-ErbB2 antibodies enhances apoptosis of ErbB2-overexpressing breast cancer cells
Goldblatt et al. From bench to bedside: the growing use of translational research in cancer medicine
Albanell et al. Pharmacodynamic studies with the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tyrosine kinase inhibitor ZD1839
US7803546B2 (en) Method of screening for sensitivity to kinase inhibitor therapy
US7829297B2 (en) Treatment of cancers expressing p95 ErbB2
Gonçalves et al. A polymorphism of EGFR extracellular domain is associated with progression free-survival in metastatic colorectal cancer patients receiving cetuximab-based treatment
CN102216331A (zh) 治疗方法
CN105074009A (zh) Egfr抑制剂的敏感性的预测方法
US9523691B2 (en) Use of the olfactomedin-4 protein (OLFM4) in colorectal cancer diagnosis
JP4609930B2 (ja) Her−2指向性治療に対する応答を予測する方法
Wang et al. Crenolanib, a PDGFR inhibitor, suppresses lung cancer cell proliferation and inhibits tumor growth in vivo
JP6675300B2 (ja) 抗egfr薬を用いた胃癌の処置のための、egfrバイオマーカーの使用
KR20200014298A (ko) Her2 양성 암의 치료
Yeh et al. Imatinib mesylate for patients with recurrent or metastatic gastrointestinal stromal tumors expressing KIT: a decade experience from Taiwan
KR20170123602A (ko) 암의 병용 치료법
Guo et al. Clinical significance of the correlation between PLCE 1 and PRKCA in esophageal inflammation and esophageal carcinoma
Navarro et al. Alteration of major vault protein in human glioblastoma and its relation with EGFR and PTEN status
Takahashi et al. Association between serum ligands and the skin toxicity of anti‐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antibody in metastatic colorectal cancer
Halder et al. Targeting the EGFR signaling pathway in cancer therapy: What’s new in 2023?
JP2022519649A (ja) がんの診断および治療方法
CN103930114A (zh) 给药和治疗方法
AU2014266278B2 (en) Therapeutic effect prediction method for colorectal cancer patient in whom expression of TK1 protein has increased
WO2015069489A1 (en) Predictive biomarker for hypoxia-activated prodrug therapy
Zhang et al. Phase I study of QLNC120, a novel EGFR and HER2 kinase inhibitor, in pre-treated patients with HER2-overexpressing advanced breast canc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