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5309A - 사우치논 또는 사우치논을 함유하는 삼백초 추출물을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질환의 경감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사우치논 또는 사우치논을 함유하는 삼백초 추출물을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질환의 경감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5309A
KR20090095309A KR1020080020579A KR20080020579A KR20090095309A KR 20090095309 A KR20090095309 A KR 20090095309A KR 1020080020579 A KR1020080020579 A KR 1020080020579A KR 20080020579 A KR20080020579 A KR 20080020579A KR 20090095309 A KR20090095309 A KR 200900953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supercritical fluid
sauchinone
composition
secon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0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3037B1 (ko
Inventor
김승현
양수옥
박진호
최은정
김대현
성상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컴사이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컴사이언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컴사이언스
Priority to KR10200800205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3037B1/ko
Publication of KR200900953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53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30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30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two or more oxygen atoms in the same ring, e.g. crown ethers, guanadrel
    • A61K31/36Compounds containing methylenedioxyphenyl groups, e.g. sesam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8Saururaceae (Lizard's-tail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6Ointments; Bases therefor; Other semi-solid forms, e.g. creams, sticks, 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8Solu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7Extraction at elevated pressure or temperature, e.g. pressurized solvent extraction [PSE],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extraction or subcritical water extra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우치논, 또는 사우치논을 함유하는 삼백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질환의 경감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사우치논 또는 사우치논을 함유하는 삼백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질환의 경감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alleviation or treatment of atopic skin disease comprising Sauchinone or Saururus chinensis (Lour.) baill extract having Sauchinone}
본 발명은 사우치논, 또는 사우치논을 함유하는 삼백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질환의 경감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아토피성 피부질환은 정상인에게는 해가 되지 않는 유발인자들에 피부가 과민반응상태를 보임으로써 만성적으로 피부에 염증이 생기는 질병이다. 즉, 아토피성 피부질환은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등에 의함 감염, 꽃가루 등과 같은 특정물질, 음식물, 인공적 화학물질 등에 면역체계가 과민 반응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아토피 피부질환의 주요증상은 심한 가려움증, 피부건조, 진물, 부스럼딱지, 발진, 비늘 같은 껍질이 있는 피부(인비늘) 등이다. 그 중 무엇보다도 건조한 피부, 심한 가려움증이 특징이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경제발전과 더불어 생활환경이 변화하면서 아토피성 환자가 급등하여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다. 국민 건강보험공단의 조사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4세 이하 영 유아 3명중 1명이 아토피 피 부염에 시달리고 있고, 지난 2000년부터 2년 동안 환자 증가율이 6.7%인 가운데 10대가 30%, 20대가 22%의 높은 증가율을 보이고 있다.
현재 다양한 종류의 피부질환 치료제가 시판되고 있으나, 이러한 약제의 대부분은 그 약용성분이 인공적으로 합성된 것으로 해당 질환에는 효과가 클 수 있지만, 장기간 사용하는 경우 심각한 부작용을 초래하거나 또는 병원균의 내성을 유발하여 기대하는 치료효과를 얻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실제로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스테로이드계 아토피 치료제의 경우, 그 효과에 비해 높은 부작용 때문에 시장규모가 계속 축소되고 있다. 따라서, 현재 치료제들의 문제점들이 개선된, 안전한 치료제 개발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급증하고 있다. 아토피성 피부질환과 같은 만성 또는 난치성 질환이 날로 증가함에 따라 의약품의 안전성에 대한 관심은 필연적으로 전통의약 등 약효와 안전성이 보장된 천연물 유래 신약 개발에 대한 관심의 증대로 귀결되고 있다. 실제로 활성 천연물이 함유된 생약제의 사용량이 증가일로에 있으며, 현재 시판중인 단일성분 의약품의 1/3 이상이 천연물이거나 천연물에 기초한 합성유도체이다. 아토피와 같은 난치성 피부질환의 치료에도 천연물이 함유된 복합생약제제의 사용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외부자극에 대응하는 체내 면역반응에는 T세포가 관여하며 T세포가 분비하는 사이토카인은 통상 Th1 사이토카인 및 Th2사이토카인의 두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Th1 사이토카인은 세포매개형 면역반응에 관여하고 Th2 사이토카인은 항체면역반응을 담당하는데, 아토피성 피부질환이나 다른 알러지 질환은 모두 이러한 두 사이토카인의 균형이 파괴되어 IL-4, IL5, IL-13등과 같은 Th2사이토카인 및 PGE2와 같은 염증 매개 물질의 생성 분비가 과다 형성되어 이로 인해 길항적으로 Th1세포가 분비하는 IFN-r와 같은 Th1 사이토카인의 분비가 감소한다. 따라서 IL-4 및 IL-13과 같은 Th2 사이토카인 및 PGE2와 같은 염증 매개 물질의 생성 억제는 알러지 반응을 감소시킬 것이다.
삼백초(Saururus chinensis (Lour.) baill)는 국내 자생 식물로서 7∼9월에 지상부를 채집하여 햇빛에 말려 사용한다. 미(味)는 고신(苦辛)하고, 성(性)은 한(寒)하며, 간(肝), 폐(肺), 신경에 들어간다. 습열(濕熱), 청리(淸利), 소독(消毒), 해독의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부종, 각기(脚氣), 황달, 임질, 대하(帶下) 등을 치료하는데 이용했다.
지금까지의 삼백초와 아토피와 같은 면역과민반응으로 야기되는 질환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로는, 대한민국특허 0749675호에서 삼백초에서 분리된 (-)-소서네올[(-)-saucerneol], 소서네올 C(saucerneol C), 마나산틴 A(manassantin A), 마나산틴 B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 또는 이를 포함하는 삼백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억제용 약학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특허문헌을 살펴보면, 삼백초의 성분들중 사우치논 이외의 (-)-소서네올, 소서네올 C, 마나산틴 A 및 마나산틴 B과 같은 다른 성분들이 면역억제 효능의 유효성분으로 작용함을 개시하고 있고, 이 특허에 첨부된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사우치논의 면역억제 효능은 대조군의 효능과 유사하여, 사우치논의 면역억제 효과에 대해서는 이를 배제(teach away)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Biol. Pharm. Bull. 31(1) 51-56 (2008)에서는, 삼백초와 아토피성 피 부질환과의 상관관계를 기술하고 있으나, 상기 문헌 어디에도 사우치논과 아토피성 피부질환과의 연관성에 대해서는 개시하고 있지 않다. 이와 같이, 삼백초의 특정 성분인 사우치논이 아토피성 피부질환에 유효하다는 것을 보고한 문헌은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삼백초로부터 분리, 정제된 사우치논 및 사우치논을 다량 함유하게 특수 처리된 삼백초 추출물의 항아토피성 피부질환 활성 및 그 효능을 확인하기 위해, 인비트로(in vitro) 바이오어세이 시스템으로 쥐(rat) 비만세포(mast cell)인 RBL-2H3 세포를 사용하여, 사우치논의 아토피성 피부질환에 대한 활성을 측정하였다.
비만세포는 동물의 결합조직 가운데 널리 분포하는 세포로서, 결합조직과 점막조직 내에 있는 호염기성 색소로 이염색성(metachromasia)을 나타내는 과립을 가진 방추형의 세포에 작은 둥근 핵을 갖고 있다. Wistar 쥐 비만세포에서 기원하는 RBL-2H3 세포를 비롯한 비만세포 및 호염기성 세포는 히스타민 뿐 아니라 TNF-α, IL-1, IL-4, IL-6, IL-8, IL-13 등 다양한 사이토카인 및 염증 매개 물질의 방출을 통해 알러지성 질환의 발병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Matsuda et al., 2007). RBL-2H3 세포의 표면에는 IgE 에 대한 수용체가 존재하며, 수용체에 결합한 IgE 분자들끼리 다가의 항원에 의해 서로 연결되면 비만세포 과립탈출 반응이 일어나, 히스타민, 세로토닌, 헤파린 등의 화학전달 물질이 방출되어, 즉시형 알레르기 반응 등의 증상을 일으킨다. 비만세포에서 분비되는 TNF-α, IL-1, IL-4, IL-6, IL-8, IL-13 등의 사이토카인들 및 프로스타글란딘의 조절을 통해 알러지성 질환에서의 전략적 치료방법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다양한 사이토카인 및 프로스타글란딘의 생성량은 ELISA kit (IL-4 and prostanglandin E2 ELISA kit from R&D systems, IL-13 ELISA kit from Biosourse)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에서는 사우치논 및 이를 다량 함유하는 삼백초의 추출물이 우수한 항아토피성 피부질환 활성을 나타냄을 놀랍게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사우치논, 또는 사우치논을 함유하는 삼백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질환의 경감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삼백초의 초임계 유체 추출물, 또는 이를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질환의 경감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면은 사우치논을 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질환의 경감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사우치논은 하기 실시예에서와 같이, 삼백초로부터 분리할 수 있으며, 또한 유기화학의 통상의 합성방법을 사용하여 이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우치논은 하기 실험예와 같이 우수한 항아토피성 활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또한 삼백초의 초임계 유체 추출물, 또는 이를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질환의 경감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초임계 유체 추출에 있어, 삼백초는 바람직하게는 삼백초의 근 또는 이의 전초를 사용할 수 있으며, 기타 다른 부위의 사용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초임계유체(Supercritical Fluid)란 액체와 기체의 중간적인 성격을 지닌 물질, 즉, 임계 온도와 압력 이상에서 있는 유체로 정의되며 기존의 용매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독특한 특징을 갖고 있다. 이 초임계 용액은 용액상이 가지는 용해력과 가스상이 가지는 확산성을 동시에 지니고 있어서 추출 시스템의 용매나 크로마토그래피에 있어서 유동상으로서 아주 이상적이다. 또, 초임계 용액은 고온, 고압에서 특히 고압일수록 더 큰 용해능력을 지니는 압력 의존적인 용해 능력을 지니고 있어서, 정제, 추출, 분별 등 다양한 재료의 재결정화 등에 응용될 수 있다.
최근 초임계유체의 장점을 이용한 연구는 급격히 증가하여 경쟁적으로 수행되어 왔으며 기존의 용매의 단점은 낮은 효율, 낮은 품질, 환경에의 악영향, 기술적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혁신기술로서 주목받고 있다. 특히, 식품공업, 화학공업, 의약품공업, 재료공업, 환경산업 등의 분야에서 고품질의 제품생산이나 효율향상은 물론 현재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환경보존이나 에너지 절약 등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어 그 응용범위는 계속 확대되고 있다.
본 발명의 초임계 유체로서 사용될 수 있는 유체로는 이산화탄소, 물, 프로판 등을 비롯하여 반응 원료가 자체로 초임계 반응 용매로 되는 것을 포함하여 매우 다양하지만, 대량 추출 매체로 주로 사용되는 유체로는 저렴하면서도 훌륭한 물리적 성능(무독성, 비착화성, 낮은 초임계점)을 지니고 있고 어떤 추출법에 비해서도 생산되는 폐기물의 양이 극히 적다는 등의 장점을 지닌 이산화탄소가 적합하다. 또한, 이는 원하는 물질만을 손상 없이 고순도로 얻을 수 있다는 뛰어난 장점을 지니고 있다.
지금까지 삼백초의 초임계 유체 추출 방법의 일예는 찾아볼 수 없어 본 발명이 시발점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예컨대, 삼백초의 근 및/또는 전초를 조말(세절)화한 것을 초 임계유체로서 CO2를 사용하고 온도 40~80℃, 압력 10~30MPa로 하여 초임계 유체 추출을 실시하여, 삼백초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보조용매 (Modifier)로 추가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5%~10%의 에탄올(EtOH)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삼백초의 초임계 유체 추출물에 있어서, 그 사우치논의 함량은 통상의 에탄올 열탕추출방법에 비해 사우치논의 함량이 많은 삼백초 추출물을 얻을 수 있으며, 예컨대, 하기 실시예와 같이, 통상의 에탄올 열탕추출방법에 의해 사우치논이 약 0.03 중량% 이하의 삼백초 추출물을 얻을 수 있는데 비하여, 본 발명의 삼백초의 초임계 유체 추출물에에 있어서는, 사우치논이 약 1 내지 2.5 중량%를 함유하는 삼백초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우치논을 다량 함유하는 삼백초 추출물을 또한 제공한다. 상기 사우치논을 다량 함유하는 삼백초 추출물은 예컨대, 약 0.05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0.05-3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10중량%, 매우 바람직하게는 0.1-5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0.8-3중량%, 보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0.9-2.5중량%의 사우치논을 함유한다.
본 발명의 삼백초의 추출물에 있어서, 상기 삼백초의 추출물 뿐만 아니라, 이를 여과등의 처리수단으로 가공한 여과물, 추출물을 분획화한 분획물, 이들을 농축하거나, 동결건조한 분말등도 본 발명의 삼백초의 초임계 유체 추출물로 사용할 수 있음은 명백하다.
본 발명의 삼백초의 초임계 유체 추출물은 하기 실험예에서와 같이 우수한 항아토피성 활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아토피 피부질환의 경감 또는 치료 효과를 나타내며, 아토피 피부질환의 주요증상인 가려움증, 피부건조, 진물, 부스럼딱지, 발진, 비늘 같은 껍질이 있는 피부(인비늘) 등의 경감 및 치료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제학적 또는 식품학적 분야에서 공지의 방법의 의해 제제화될 수 있고, 그 자체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등과 혼합하여 약제학적 또는 식품학적으로 통상으로 허용되는 제제, 예를 들면 액제, 시럽제, 캡슐제 등으로 제제화될 수 있으며, 이들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액제, 캡슐제 등은 건강보조식품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건강보조식품"이라 함은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정제, 캅셀제, 분말제, 과립제, 액상제, 연고 등의 형태로 제조 가공한 건강식품 또는 음료, 요구르트, 치즈 등의 기능성 식품을 말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체내에서 활성성분의 흡수도, 배설속도, 환자의 연령 및 체중, 성별 및 상태, 치료할 질병의 중증정도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되나, 일반적으로 성인에게 1일 0.01∼500mg/kg, 바람직하게는 0.1∼200mg/kg으로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제형화된 단위투여형 제제는 필요에 따라 일정시간 간격으로 수회 투여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 는 본 발명의 예시 목적을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사우치논의 제조
삼백초로부터 하기와 같이 사우치논을 분리, 정제하고 분광학적 방법으로 확인하여 시료로 사용하였다.
1) 삼백초의 추출 및 분획
음건한 삼백초 10kg을 클로로포름과 메탄올 (1:1)의 혼합용매로 3회, 2시간 동안 열탕 추출하였고, 감압농축하여 총 추출물 1.8kg을 얻었다. 삼백초 추출물(1.8kg)을 증류수에 현탁시킨 다음, 염소화 탄화수소로 분획하고 감압농축하여 염소화 탄화수소 분획과 물 분획을 얻었다. 농축한 염소화 탄화수소 분획물을 다시 90% 메탄올에 현탁시킨 다음, n-헥산으로 분획하여 90% 메탄올 분획물(120g)과 n-헥산 분획물(60g)을 얻었다.
2) 사우치논의 분리 및 동정
n-헥산 분획(60g)을 n-헥산 : 에틸아세테이트의 혼합용매 (100:1 ∼ 0:1)로 실라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하여 20개의 소분획(Fr. 1∼20)으로 나누었다. 이 중 6번 소분획(2g)을 n-헥산 : 염소화 탄화수소 : 메탄올 (5:1:1)의 혼합용매로 세파덱스 LH-20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여 무색 침상 결정으로 사우치논(800 mg)을 얻었다.
사우치논의 구조 결정
C20H20O6
[α]D ; +95.0°(c, 0.63 ; CHCl3),
R f ; 0.35 (n-헥산 : EtOAc = 5 : 1),
UV (CHCl3) λmax (log ε) ; 299.5 (2.55), 254.2 (2.74) nm,
IR (neat) νmax ; 2916, 1676, 1664, 1418, 1433, 1321, 1241, 1184, 1155, 979, 926, 892, 756 cm-1,
EIMS (m/z) (rel. int.) ; 356 [M+] (100), 270 (13), 257 (18), 205 (26), 175 (57), 151 (39), 138 (23),
HR EIMS ; m/z 356.1262 (calcd for C20H20O6 m/z 356.1260),
1H NMR (300 MHz, CDCl3) δ 6.82 (1 H, s, H-6), 6.38 (1 H, s, H-3), 5.90 (1 H, d, J = 1.40 Hz, aromatic -OCH 2 O-), 5.87 (1 H, d, J = 1.40 Hz, aromatic -OCH 2 O-), 5.65 (1 H, s, aliphatic -OCH 2 O-), 5.60 (1 H, s, aliphatic -OCH 2 O-), 5.57 (1 H, s, H-3'), 3.03 (1 H, d, J = 5.40 Hz, H-7), 2.52 (1 H, td, J = 11.93, 3.47 Hz, H-1'), 2.48 (1 H, d, J = 5.40 Hz, H-6'), 2.44 (1 H, m, H-8), 1.92 (1 H, m, 7'-Hax), 1.88 (1 H, m, H-8'), 1.64 (1 H, m, 7'-Heq), 1.22 (3 H, d, J = 7.26 Hz, H-9), 0.71 (3 H, d, J = 7.39 Hz, H-9'),
13C NMR (100 MHz, CDCl3) δ 199.69 (C-2'), 168.66 (C-4'), 146.72 (C-5), 145.70 (C-2), 143.26 (C-4), 115.73 (C-1), 105.54 (C-6), 101.34 (C-3'), 101.24 (aromatic -OCH2O-), 100.42 (C-5'), 99.50 (C-3), 98.19 (aliphatic -OCH2O-), 37.60 (C-6'), 37.55 (C-1'), 35.06 (C-7), 34.82 (C-8), 33.45 (C-8'), 25.27 (C-7'), 21.29 (C-9), 20.92 (C-9')
이상의 분광학적 기기 분석 결과를 문헌치(Sang Hyun Sung and Young Choong Kim, J. Nat. Prod. 63 (7), 1019-1021 (2000))와 비교, 검토하여 사우치논으로 동정하였다.
Figure 112008016286117-PAT00001
실시예 2: 사우치논을 다량 함유하는 삼백초 추출물의 제조
삼백초 근의 초임계 유체 추출물 및 삼백초 전초의 초임계 유체 추출물을 하기와 같이 제조하고 HPLC를 사용하여 사우치논의 함량을 비교하였다.
조말화한 삼백초의 근 및 전초 10mL를 추출셀에 가득 채우고 무게를 측정한 후(약 4g), 추출기에 장착하고 온도, 압력 및 유속을 달리하여 초임계 유체 추출을 실시하였다. 초임계 유체로는 CO2를 사용하였으며 조건에 따라 보조용매로 5% 에탄올을 사용하였다. BPR(추출압력) 온도는 50℃로 설정하였다.
HPLC 분석을 통한 사우치논의 함량은 하기 표와 같다.
시료 추출부위 사우치논 함량 (중량%) 온도 (℃) 압력 (MPa) 보조용매 (Modifier) 유속 (mLmin -1) 추출방법
1 - 40 20 - 1.0 초임계 유체 추출
2 1.6488 80 30 - 1.0
3 1.2690 60 20 - 1.0
4 1.6531 60 30 - 1.0
5 1.1726 40 30 - 1.0
6 1.8815 80 20 - 1.0
7 1.0617 60 30 5% EtOH 1.0
8 1.2173 80 30 5% EtOH 1.0
9 전초 - 60 30 - 1.0
10 전초 2.4659 80 30 - 1.0
11 1.5771 60 10 - 3.0
12 0.9673 45 13 - 3.0
13 1.3574 75 13 - 3.0
14 1.4148 80 13 - 3.0
15 1.0720 40 20 - 3.0
16 1.1488 60 20 - 3.0
17 - 45 27 - 3.0
18 0.9454 75 27 - 3.0
19 1.0972 60 30 - 3.0
20 0.9973 60 30 5% EtOH 3.0
21 0.9420 75 30 5% EtOH 3.0
RE-1 0.0375 - - - - 80% EtOH 열탕추출
RE-2 전초 ND - - - - 80% EtOH 열탕추출
상기 분석 결과에서 보여지듯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열탕 추출보다 초임계 추출에서 고함량의 사우치논을 갖는 추출물을 획득하였으며, 특히 시료-6과 시료-10의 조건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실험예
1) 쥐 비만세포인 RBL -2 H3 의 배양
RBL-2H3 세포는 실험 전, DMEM 배지 (열-불활성화된 소태아혈청 10%, 2mM L-글루타민, 100μg/ml 스트렙토마이신, 100units/ml 페니실린을 포함하는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로 24-웰 배양 플레이트에서 37℃, 5% CO2 의 환경에서 2×105/웰(well)의 농도로 조정을 하여 배양하였다.
2) RBL -2 H3 에서 PLE701 의 다양한 사이토카인 분비 평가
사우치논 및 이를 다량 함유하는 삼백초 근의 초임계 유체 추출물(시료-6) 및 삼백초 전초의 초임계 유체 추출물(시료-10)의 항아토피 효과를 쥐 비만세포인RBL-2H3을 이용한 바이오에세이를 통해 측정하였다. 배양된 RBL-2H3 세포에 시료를 처리하기 6시간 전, 세포를 24-웰 플레이트에 2×105/웰이 되게 시딩(seeding) 하였다. 6시간 후, 사우치논 (12.5, 25, 50, 100μM) 을 세포에 처리한 후, 아토피를 유발하기 위해 30분 후 A23187 (1μM)을 처리하였다.
A23187(calcium ionophore)는 비만세포의 세포막에 있는 여러 가지 수용체를 통해서 비만세포를 활성화시키는 매체이다. 비만세포의 탈과립은 비만세포 분비 자극물질로 알려진 양전하로 하전된 일군의 물질들에 의해 촉발되는데 A23187은 가장 강력한 분비 자극물질 중의 하나인 아미노산 중합체이다. 적절한 양의 A23187 세포막을 투과하여 세포내 Ca 농도를 증가시키는데 사용되며, 농도와 시간 의존적으로 Ca이온을 유도하여 세포 사멸 아나필락시스의 기작을 연구하는데 있어 직접적이고 편리한 물질로 활용되고 있다.
사우치논의 항아토피 효과에 대한 실험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고, 삼백초 근의 초임계 유체 추출물(시료-6) 및 삼백초 전초의 초임계 유체 추출물(시료-10)의 실험결과를 표 2와 표 3에 각각 나타내었다.
하기 표에서, "NC"는 사우치논과 A23187 (1μM) 을 모두 처리하지 않은 정상군에 해당한다. 또한 "A23187(1μM)"은 대조군으로서, 상기 실시예 1 및 2에서 제조한 시료를 첨가하지 않고, 오직 A23187(1μM)만 처리하여 다양한 사이토카인을 측정하였으며, 아토피를 유발한 그룹에 해당한다. 하기 표에서, 측정값(pg/ml)=평균±S.D이고, 저해율(%) = 100 - (처리군의 평균×100 - A23187 처리군의 평균)이다.
Figure 112008016286117-PAT00002
Figure 112008016286117-PAT00003
Figure 112008016286117-PAT00004
표 1은 A23187에 의해 활성화된 RBL-2H3 세포에서의 사우치논에 의한 IL-4, IL-13 및 PGE2의 발현량의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사우치논은 50μM 이상의 처리 농도에서 3가지 알러지 유발 물질(IL-4, IL-13 및 PGE2)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우치논의 50, 100μM 처리에서 A23187 처리 대비 IL-4는 각각 38%, 76%, IL-13은 38%, 58%, PGE2는 각각 16%, 48%씩 발현량이 억제되었다. 특히 사우치논의 100μM의 처리는 PGE2의 생산을 자극 이전과 같은 수준으로 억제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표 2는 A23187에 의해 활성화된 RBL-2H3 세포에서의 삼백초 근의 초임계 유체 추출물(시료-6)에 의한 IL-4, IL-13 및 PGE2의 발현량의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시료-6의 처리에 따른 PGE2의 발현은 A23187 처리 대비 100μg/ml의 처리 농도에서 약 32%의 억제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A23187 처리 이전의 발현량과 거의 유사한 수준이었다.
표 3은 A23187에 의해 활성화된 RBL-2H3 세포에서 삼백초 전초의 초임계 유체 추출물(시료-10)에 의한 IL-4, IL-13 및 PGE2 발현량의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시료-10은 50μg/ml 이하의 처리 농도에서 IL-4 및 IL-13의 발현량을 농도 의존적으로 각각 35~46%, 17~28% 정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PGE2는 100μg/ml의 농도에서 약 23% 정도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사우치논 및 삼백초의 초임계 유체 추출물은 안전하고 우수한 아토피성 피부질환의 개선제 또는 치료제로서 사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조성물 실시예
조성물예 1. 캡슐제의 제조
사우치논 100mg
유당 100mg
전분 93mg
탈크 2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적량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조성물예 2. 캡슐제의 제조
삼백초 전초의 초임계 유체 추출물 (시료-6) 300mg
유당 100mg
전분 93mg
탈크 2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적량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조성물예 3. 액제의 제조
사우치논 100mg
설탕 20g
이성화당 20g
레몬향 적량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ml
상기의 성분을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혼합하고 100ml의 갈색병에 충진하고 멸균시켜서 액제를 제조한다.
조성물예 4. 액제의 제조
삼백초 근의 초임계 유체 추출물 (시료-10) 300mg
설탕 20g
이성화당 20g
레몬향 적량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ml
상기의 성분을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혼합하고 100ml의 갈색병에 충진하고 멸균시켜서 액제를 제조한다.

Claims (13)

  1. 사우치논, 또는 사우치논을 함유하는 삼백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질환의 경감 또는 치료용 조성물.
  2. 삼백초를 초임계 유체로 추출한 삼백초의 초임계 유체 추출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이 사우치논을 0.05중량% 이상 함유하는 것인 삼백초의 초임계 유체 추출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이 사우치논을 0.05-30중량% 함유하는 것인 삼백초의 초임계 유체 추출물.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이 삼백초의 근, 전초, 또는 근과 전초의 추출물인 삼백초의 초임계 유체 추출물.
  6. 제2항에 있어서, 초임계유체로서 CO2를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백초의 초임계 유체 추출물.
  7. 제6항에 있어서, 추가적으로 보조용매를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백초의 초임계 유체 추출물.
  8. 제2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삼백초의 초임계 유체 추출물을 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질환의 경감 또는 치료용 조성물.
  9. 제1항 또는 제8항의 조성물을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질환의 경감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이 정제, 캅셀제, 분말제, 과립제, 액상제 및 연고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11. 삼백초를 초임계유체를 사용하여 추출하는 삼백초의 초임계 유체 추출물의 제조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온도 40~80℃ 및 압력 10~30MPa에서 추출을 수행하는 삼백초의 초임계 유체 추출물의 제조방법.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보조용매를 추가적으로 사용하는 삼백초의 초임계 유체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20080020579A 2008-03-05 2008-03-05 사우치논 또는 사우치논을 함유하는 삼백초 추출물을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질환의 경감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9730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0579A KR100973037B1 (ko) 2008-03-05 2008-03-05 사우치논 또는 사우치논을 함유하는 삼백초 추출물을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질환의 경감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0579A KR100973037B1 (ko) 2008-03-05 2008-03-05 사우치논 또는 사우치논을 함유하는 삼백초 추출물을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질환의 경감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5309A true KR20090095309A (ko) 2009-09-09
KR100973037B1 KR100973037B1 (ko) 2010-07-29

Family

ID=41295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0579A KR100973037B1 (ko) 2008-03-05 2008-03-05 사우치논 또는 사우치논을 함유하는 삼백초 추출물을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질환의 경감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30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3999B1 (ko) * 2012-06-20 2014-06-17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독성물질을 제거한 삼백초 정제물 및 분획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정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식 및 알러지성 질환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6723B1 (ko) * 2012-04-20 2013-12-03 학교법인 선목학원 삼백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함유하는 혈관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4303B1 (ko) 2007-01-10 2007-04-09 한국화학연구원 삼백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성분을 포함하는건강증진용 식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3999B1 (ko) * 2012-06-20 2014-06-17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독성물질을 제거한 삼백초 정제물 및 분획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정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식 및 알러지성 질환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3037B1 (ko) 2010-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8078B1 (ko) 계지, 지모 및 양강의 생약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염증관련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Perera et al. Perspectives on geraniin, a multifunctional natural bioactive compound
KR102013457B1 (ko) 에이엠피케이 활성화 효과를 가지는 조성물
KR20110087448A (ko) 선복화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또는 알러지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367423B1 (ko) 피부 개선용 약학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303688B1 (ko) 당귀 추출물을 함유하는 Th1- 또는 Th2-매개 면역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8202107A1 (zh) 一种用于治疗高血脂症及动脉粥样硬化的药物组合物
KR100973037B1 (ko) 사우치논 또는 사우치논을 함유하는 삼백초 추출물을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질환의 경감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670850B1 (ko) 진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과민성 피부 질환치료제
CN107496725B (zh) 以湖北海棠和竹取物为有效成分的组合物及用途
KR101188581B1 (ko) 향부자 메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패혈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4371431B2 (ja) 抗アレルギー性組成物
KR100569089B1 (ko) 뇌기능 및 인지 기능 개선 활성을 갖는 조성물
KR102119795B1 (ko) 브로콜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KR101332824B1 (ko) 민대극 추출물을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436213B1 (ko) 긴잎모시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10095765A (ko) 현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알레르기 조성물
KR20100118667A (ko) 항염증 효과를 갖는 관절염 치료를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
JPWO2005082391A1 (ja) ヒトβ3アドレナリン受容体アゴニスト剤
KR102512643B1 (ko) 바이오황 함유 여액 분획물을 포함하는 알레르기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7095872B2 (ja) インターロイキン-33産生抑制剤並びにインターロイキン-33の増加に関連するアレルギー疾患の予防、治療又は抑制用の医薬品、医薬部外品、化粧料及び飲食品組成物
KR101491492B1 (ko) 항염증 활성 증진을 위한 팔삭 과피의 추출방법
KR101884939B1 (ko) 지방축적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구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KR101892291B1 (ko) 쇠미역 추출물을 포함하는 Th2-면역 매개 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042902A (ko) 아이슬란드 모스(Cetraria islandic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 및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