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5073A - 인슐린투여량 조절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인슐린투여량 조절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5073A
KR20090095073A KR1020080020155A KR20080020155A KR20090095073A KR 20090095073 A KR20090095073 A KR 20090095073A KR 1020080020155 A KR1020080020155 A KR 1020080020155A KR 20080020155 A KR20080020155 A KR 20080020155A KR 20090095073 A KR20090095073 A KR 200900950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od sugar
insulin
insulin dose
value
patien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0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46712B1 (ko
Inventor
강재훈
김영민
권성아
조철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비케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비케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비케어
Priority to KR10200800201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6712B1/ko
Publication of KR20090095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50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67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67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72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electrical or electronic
    • A61M5/1723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electrical or electronic using feedback of body parameters, e.g. blood-sugar, pressu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5Communication
    • A61M2205/3507Communication with implanted devices, e.g. external control
    • A61M2205/3523Communication with implanted devices, e.g. external control using telemetr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microprocessors or computers
    • A61M2205/502User interfaces, e.g. screens or keyboar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conomics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esthesi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Diabet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환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측정된 혈당값을 분석하여 인슐린투여량을 산출하고, 산출한 인슐린투여량에 대해 의사 단말로부터 수신한 검증 결과에 따라 인슐린투여량을 최적으로 조절하여 환자 단말에 제공 함으로써, 당뇨 환자의 혈당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인슐린투여량 조절 방법 및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인슐린투여량 조절 방법은, 환자 단말에서의 혈당 측정에 연동하여 혈당 측정에 따라 생성되는 혈당값을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혈당값을 분석하여 인슐린투여량을 산출하는 단계, 산출된 인슐린투여량에 대해 검증하는 단계, 및 검증 결과에 따라 조정되는 인슐린투여량에 관한 정보를 환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인슐린, 투여량, 당뇨, 환자 단말, 의사 단말, 검증

Description

인슐린투여량 조절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DOSAGE OF INSULIN}
본 발명은 환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측정된 혈당값을 분석하여 인슐린투여량을 산출하고, 산출한 인슐린투여량에 대해 의사 단말로부터 수신한 검증 결과에 따라 인슐린투여량을 최적으로 조절하여 환자 단말에 제공 함으로써, 당뇨 환자의 혈당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인슐린투여량 조절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식생활의 서구화, 운동 부족 등으로 인해 고혈압, 뇌출혈, 당뇨병과 같은 성인병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성인병은 한 번 걸리게 되면 완치가 상당히 어려우며 지속적으로 치료와 관리를 해주어야 한다. 특히, 체내 인슐린의 분비량이 부족하거나 정상적인 기능이 이루어지지 않아 혈중 포도당 농도가 높아지는 당뇨병의 경우, 지속적으로 환자의 혈당을 측정하여 혈당 상태에 따라 인슐린을 투여해야 한다.
환자의 적합한 혈당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인슐린 용량을 조절하여 투입하는 것이 상당히 중요하지만, 환자가 매일 내원하여 진료를 받는 것은 어려우며, 또한 환자 스스로 혈당을 측정하여 적정 인슐린투여량을 조절하고자 할 경 우, 진료시간 외에는 의사가 환자의 혈당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인슐린투여량을 조절하는 것이 어렵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모바일 솔루션과 지식시스템을 통해 의사가 환자의 혈당 상태를 쉽고 빠르게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환자의 혈당 상태에 따른 인슐린투여량을 최적으로 조절하여 혈당 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술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환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측정된 혈당값을 분석하여 인슐린투여량을 산출하고, 산출한 인슐린투여량에 대해 의사 단말로부터 수신한 검증 결과에 따라 인슐린투여량을 최적으로 조절하여 환자 단말에 제공 함으로써, 환자의 혈당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인슐린투여량 조절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환자의 혈당 상태에 따라 인슐린투여량을 효과적으로 조절하고 관리 함으로써, 환자의 혈당 개선에 기여할 수 있는 인슐린투여량 조절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통신망을 통해 환자 단말과 의사 단말의 연결하여 진료 외 시간에도 환자의 혈당 상태에 적합한 인슐린투여량을 산출하여 제공 함으로써, 환자 스스로 용이하게 인슐린을 투여할 수 있게 하는 인슐린투여량 조절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환자와 의사가 진료 외 시간에도 서로 교류할 수 있도록 하여 긴밀한 질병관리가 가능하게 되는 인슐린투여량 조절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슐린투여량 조절 방법은, 환자 단말에서의 혈당 측정에 연동하여 상기 혈당 측정 에 따라 생성되는 혈당값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혈당값을 분석하여 인슐린투여량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인슐린투여량에 대해 검증하는 단계, 및 상기 검증 결과에 따라 조정되는 인슐린투여량에 관한 정보를 상기 환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슐린투여량 조절 시스템은, 환자 단말에서의 혈당 측정에 연동하여, 상기 혈당 측정에 따라 생성되는 혈당값을 수신하는 혈당값 수신 수단, 상기 수신된 혈당값을 분석하여 인슐린투여량을 산출하는 인슐린투여량 산출 수단, 상기 산출된 인슐린투여량에 대해 검증하는 인슐린투여량 검증 수단, 및 상기 검증 결과에 따라 조정되는 인슐린투여량에 관한 정보를 상기 환자 단말에 제공하는 정보 제공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환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측정된 혈당값을 분석하여 인슐린투여량을 산출하고, 산출한 인슐린투여량에 대해 의사 단말로부터 수신한 검증 결과에 따라 인슐린투여량을 최적으로 조절하여 환자 단말에 제공 함으로써, 환자의 혈당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환자의 혈당 상태에 따라 인슐린투여량을 효과적으로 조절하고 관리 함으로써, 환자의 혈당 개선에 기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통신망을 통해 환자 단말과 의사 단말의 연결하여 진료 외 시간에도 환자의 혈당 상태에 적합한 인슐린투여량을 산출하여 제공 함으로써, 환자 스스로 용이하게 인슐린을 투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환자와 의사가 진료 외 시간에도 서로 교류할 수 있도록 하여 긴밀한 질병관리가 가능하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인슐린투여량 조절 방법 및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슐린투여량 조절 시스템과, 환자 단말, 및 의사 단말의 전체적인 연결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환자 단말(110)은 환자의 혈당을 측정하여 측정된 혈당값을 통신망을 통해 인슐린투여량 조절 시스템(100)으로 전송할 수 있다(A. 혈당값 수신). 그리고, 인슐린투여량 조절 시스템(100)은 환자 단말(110)로부터 수신되는 혈당값을 수신되는 시간에 대응시켜 메모리 수단에 기록할 수 있다.
여기서, 환자 단말(110)은 혈당을 측정하고, 통신망을 통해 측정된 혈당값을 전송할 수 있는 통신 기능이 탑재된 혈당 측정기(예컨대, 모바일 혈당 측정기)가 될 수 있다.
또한, 환자 단말(110)은 통신 기능이 탑재되지 않는 일반 혈당 측정기가 될 수도 있다. 이때, 일반 혈당 측정기가 케이블을 통해 통신 단말기와 통신 연결될 경우, 인슐린투여량 조절 시스템(100)은 무선 인터넷을 통해 상기 통신 단말기로부터 일반 혈당 측정기에서 측정되는 혈당값을 실시간/자동으로 입력 받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인슐린투여량 조절 시스템(100)은 일반 혈당 측정기에 의해 측정된 혈당값을, 무선 인터넷이 지원되는 통신 단말기에서의 사용자의 수동적인 입력 을 통해 전송 받을 수도 있다.
인슐린투여량 조절 시스템(100)은 환자 단말(110)로부터 수신되는 혈당값이 해당하는 기준인슐린투여량(예컨대, 수신된 혈당값 155인 경우 기준인슐린투여량은 20)을 확인하고, 또한, 삼일 이내에 환자 단말(110)로부터 수신된 혈당값들의 평균혈당값이 해당하는 증감치(예컨대, 삼일 이내 수신된 혈당값이 150, 160, 200인 경우, 평균혈당값 170이 해당하는 혈당범위에 설정되는 증감치 4)를 확인하여, 상기 확인된 기준인슐린투여량에 상기 확인된 증감치를 반영하여, 적합한 인슐린투여량을 산출할 수 있다(B. 인슐린투여량 산출).
또한, 인슐린투여량 조절 시스템(100)은 의사 단말(120)로 상기 산출한 인슐린투여량에 대한 검증을 요청하고(C. 인슐린투여량 검증 요청), 의사 단말(120)로부터 검증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D. 검증 결과 수신).
또한, 인슐린투여량 조절 시스템(100)은 검증 결과에 따라 상기 확인된 증감치를 조정하여 상기 조정된 증감치(또는 상기 조정된 증감치를 기준인슐린투여량에 반영하여 산출한 인슐린투여량)를 환자 단말(110)로 제공할 수 있다(E. 조정된 증감치 제공).
또한, 인슐린투여량 조절 시스템(100)은 검증 결과에 따라 조정되는 인슐린투여량에 관한 정보를 의사 단말(120)로부터 환자 단말(110)로 제공할 수도 있다(F. 인슐린투여량에 관한 정보 제공).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슐린투여량 조절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인슐린투여량 조절 시스템(200)은 혈당값 수신 수단(210), 인슐린투여량 산출 수단(220), 인슐린투여량 검증 수단(230), 정보 제공 수단(240), 및 메모리 수단(2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혈당값 수신 수단(210)은 환자 단말에서의 혈당 측정에 연동하여 상기 혈당 측정에 따라 생성되는 혈당값을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환자 단말(110)은 혈당을 측정하고, 통신망을 통해 혈당값을 인슐린투여량 조절 시스템(200)으로 전송하거나 인슐린투여량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모바일 혈당 측정기가 포함될 수 있다. 또는 환자 단말(110)은 일반 혈당 측정기와 연결된 통신 단말기가 될 수도 있다.
일례로, 혈당값 수신 수단(210)은 선정된 주기로 환자 단말에 측정알림요청을 전송하고, 측정알림요청에 상응하여 환자 단말에서 혈당 측정이 이루어질 경우, 상기 혈당 측정에 의해 생성되는 혈당값을 모바일 인터넷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혈당값 수신 수단(210)은 매일 오전 11시마다 환자 '김사랑'의 환자 단말에 대한 측정알림요청을 문자 메시지 형태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문자 메시지를 확인한 환자 '김사랑'이 환자 단말에서 혈당 측정을 하여 혈당값 '155'이 생성될 경우, 상기 혈당 측정에 연동하여 혈당값 수신 수단(210)은 혈당값 '155'을 모바일 인터넷을 통해 환자 단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메모리 수단(250)은 환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혈당값을, 상기 혈당값이 수신된 시간과 대응시켜 기록할 수 있다. 예컨대, 인슐린투여량 조절 시스템(200)은 환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혈당값 '155'를 수신된 시간 '2008년2월13일 11:00 AM'에 대응시켜 메모리 수단(250)에 기록할 수 있다.
인슐린투여량 산출 수단(220)은 환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혈당값을 분석하여 인슐린투여량을 산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인슐린투여량 조절 시스템(200)은 혈당값에 따른 기준인슐린투여량에 관한 정의를, 예컨대, '혈당값이 150 내지 160일 경우 기준인슐린투여량은 20이고, 혈당값이 160 내지 170일 경우 기준인슐린투여량은 25이다'와 같이 메모리 수단(250)에 사전에 기록해둘 수 있다. 그리고, 환자 단말로부터 혈당값이 수신될 경우, 인슐린투여량 산출 수단(220)은 환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혈당값 '155'이 속하는 혈당범위 '150 내지 160'에 설정되는 기준인슐린투여량 '20'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인슐린투여량은, 각 기준인슐린투여량에 대응되는 혈당값이 측정된 환자에게 일반적으로 요구되는 인슐린투여량이 될 수 있으며, 상기 혈당값에 따른 기준인슐린투여량에 관한 정의는, 환자 단말 또는 의사 단말과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환자 단말 또는 의사 단말에서도 혈당 측정에 따라 생성되는 혈당값만으로도 상기 기준인슐린투여량을 확인할 수는 있다.
또한, 인슐린투여량 산출 수단(220)은 선정된 시간격 이내의 시간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혈당값을 메모리 수단(250)에서 추출하고, 추출된 혈당값을 평균하여 평균혈당값을 연산하고, 연산된 평균혈당값이 속하는 혈당범위에 설정되는 증감치를 확인하고, 확인된 증감치를 기준인슐린투여량에 반영하여 인슐린투여량을 산출할 수 있다.
인슐린투여량 조절 시스템(200)은 상기 연산된 평균혈당값이 속하는 혈당범 위에 설정되는 증감치에 관한 정의를, 예컨대, '혈당값이 100 내지 140일 경우 증감치는 2이고, 혈당값이 140 내지 180일 경우 증감치는 4이다'와 같이 메모리 수단(250)에 기록할 수 있다. 인슐린투여량 산출 수단(220)은 측정된 혈당값에 따라 결정된 기준인슐린투여량에, 상기 증감치를 적용시켜 환자의 상태에 보다 적합한 인슐린투여량을 산출할 수 있다.
예컨대, 환자 단말로부터 혈당값이 수신될 경우, 인슐린투여량 산출 수단(220)은 최근 삼일 이내의 시간(2008년2월10일부터 2008년2월12일)에 대응하는 혈당값 '150, 160, 200'을 메모리 수단(250)에서 추출하고, 추출된 혈당값을 평균하여([150+160+200]/3) 평균혈당값 '170'을 연산하여, 연산된 평균혈당값 '170'이 속하는 혈당범위 '140 내지 180'에 설정되는 증감치'4'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인슐린투여량 산출 수단(220)은 상기 증감치'4'를 상기 기준인슐린투여량'20'에 반영하여(20+4), 인슐린투여량'24'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기준인슐린투여량은 환자 단말과 연관된 환자에게 사전에 처방된 인슐린투여량, 또는 이전에 환자 단말에 제공되는 인슐린투여량이 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이전과 관련한 기준인슐린투여량은, 상기 환자에게 최초 처방된 인슐린투여량을, 측정된 혈당값 변화를 고려한 본 발명의 시스템에 의해 조정되는 인슐린투여량일 수 있다. 예컨대, 현재로부터 가장 최근(직전)에 본 발명의 구동에 따라 조정이 이루어져 환자에게 정보 제공된 인슐린투여량을 상기 기준인슐린튜여량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인슐린투여량 검증 수단(230)은 환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혈당값을 분석하여 산출된 인슐린투여량에 대해 검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인슐린투여량 검증 수단(230)은 환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혈당값, 평균혈당값, 또는 기준인슐린투여량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산출된 인슐린투여량과 함께, 의사 단말에 전송하여 검증을 요청하고, 상기 요청에 응답한 의사 단말로부터 검증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인슐린투여량 검증 수단(230)은 환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혈당값 '155', 평균혈당값 '170(증감치 4)', 기준인슐린투여량 '20', 및 산출된 인슐린투여량 '24'을 포함하는 문자 메시지를 작성하여 의사 단말에 전송, 검증을 요청할 수 있다. 그리고, 인슐린투여량 검증 수단(230)은 의사 단말로부터 상기 산출된 인슐린투여량 '24'의 적합성에 관한 검증 결과로서, '양호함' 또는 '조절 요구됨'과 같은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으며, 검증 결과가 '조절 요구됨'일 경우 상기 메시지에는 '증감치 2 추가'와 같이 코멘트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인슐린투여량 검증 수단(230)은 전자차트(EMR)에 이식되어 의사 단말에 검증을 요청, 검증 결과를 수신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의사 단말은 휴대폰, PCS, PDA 등의 휴대 단말기, 컴퓨터(PC) 단말 등 모니터링이 가능한 다양한 인터페이스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정보 제공 수단(240)은 검증 결과에 따라 조정되는 인슐린투여량에 관한 정보를 환자 단말에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정보 제공 수단(240)은 평균혈당값이 속하는 혈당범위에 설정되는 증감치를, 의사 단말로부터의 검증 결과에 따라 조정하고, 조정된 증감치를 환자 단말 에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평균혈당값 '170'이 속하는 혈당범위에 설정되는 증감치가 '4'인 경우, 의사 단말로부터의 검증 결과 '조절 요구됨: 증감치 2 추가'에 따라 증감치를 '6'으로 조정하고, 조정된 증감치 '6'을 포함하는 인슐린투여량에 관한 문자 메시지를 작성하여 환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정보 제공 수단(240)은 상기 검증이 이루어지는 의사 단말로부터 인슐린투여량에 관한 정보를 환자 단말에 바로 제공할 수도 있다. 즉, 정보 제공 수단(240)은 의사 단말을 경유하여 인슐린투여량에 관한 정보(조정된 증감치 '6' 또는 조정된 증감치를 기준인슐린투여량에 반영시킨 인슐린투여량 '26')를 환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슐린투여량에 관한 정보는 조정된 증감치 또는 조정된 증감치를 기준인슐린투여량에 반영시킨 인슐린투여량 외에도, 당뇨 관리에 필요한 정보와 독려의 내용이 포함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환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측정된 혈당값을 분석하여 인슐린투여량을 산출하고, 산출한 인슐린투여량에 대해 의사 단말로부터 수신한 검증 결과에 따라 인슐린투여량을 최적으로 조절하여 환자 단말에 제공 함으로써, 환자의 혈당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환자의 혈당 상태에 따라 인슐린투여량을 효과적으로 조절하고 관리 함으로써, 환자의 혈당 개선에 기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통신망을 통해 환자 단말과 의사 단말의 연결하여 진료 외 시간에도 환자의 혈당 상태에 적합한 인슐린투여량을 산출하여 제공 함으로써, 환자 스스로 용이하게 인슐린을 투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환자와 의사가 진료 외 시간에도 서로 교류할 수 있도록 하여 긴밀한 질병관리가 가능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슐린투여량 조절 시스템에서, 환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혈당값을 시간에 대응시켜 기록하는 메모리 수단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는 환자로부터 수신된 혈당값을, 상기 혈당값이 수신된 시간과 대응시켜 기록하는 메모리 수단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슐린투여량 조절 시스템은 환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혈당값 '150'를 수신된 시간 '2008년2월10일 10:00 AM'에 대응시켜 메모리 수단에 기록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인슐린투여량 조절 시스템은 환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혈당값 '160'를 수신된 시간 '2008년2월11일 12:00 PM'에 대응시켜 메모리 수단에 기록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인슐린투여량 조절 시스템은 환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혈당값 '200'를 수신된 시간 '2008년2월12일 11:00 PM'에 대응시켜 메모리 수단에 기록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슐린투여량 조절 시스템에서, 평균혈당값이 속하는 혈당범위에 설정되는 증감치의 일례를 도시한 표이다.
도 4의 표에는 환자 단말로부터 혈당값이 수신될 경우, 평균혈당값이 속하는 혈당범위에 설정되는 증감치에 관한 정의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슐린투여량 조절 시스템은 도시된 도면과 같이, 혈당값이 '100 내지 140'일 경우 기준인슐린투여량의 증감치를 '2'로 정의하 고, 혈당값이 '140 내지 180'일 경우 기준인슐린투여량의 증감치를 '4'로 정의하고, 혈당값이 '180 내지 200'일 경우 기준인슐린투여량의 증감치를 '8'로 정의하고, 혈당값이 '200 이상'일 경우 기준인슐린투여량의 증감치를 '16'으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인슐린투여량 조절 시스템은 평균혈당값이 '170'으로 연산될 경우 상기 정의에 따라 증감치는 '4'로 확인하고, 환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혈당값에 따라 결정된 기준인슐린투여량 '20'에 상기 확인된 증감치를 적용시켜 환자의 상태에 보다 적합한 인슐린투여량 '24'을 산출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슐린투여량 조절 시스템에서, 산출된 인슐린투여량에 대해 검증을 요청하는 문자 메시지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슐린투여량 조절 시스템은 환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혈당값 '155', 평균혈당값 '170(증감치 4)', 기준인슐린투여량 '20', 및 산출된 인슐린투여량 '24'을 포함하는 문자 메시지를 도 5와 같이 작성하여 의사 단말에 전송, 검증을 요청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슐린투여량 조절 시스템에서, 검증 결과로서 의사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문자 메시지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슐린투여량 조절 시스템은 상기 산출된 인슐린투여량 '24'의 적합성에 관한 검증 결과로서, '양호함' 또는 '조절 요구됨'과 같은 메시지를 의사 단말로부터 수신할 수 있으며, 검증 결과가 '조절 요구됨'일 경우 상기 메시지에는 도 6과 같이 '증감치 2 추가'와 같이 코멘트가 포함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슐린투여량 조절 시스템에서, 환자 단말에 제공되는 문자 메시지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슐린투여량 조절 시스템은 평균혈당값이 속하는 혈당범위에 설정되는 증감치를, 의사 단말로부터의 검증 결과에 따라 조정하고, 조정된 증감치를 환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인슐린투여량 조절 시스템은 의사 단말로부터의 검증 결과 '조절 요구됨: 증감치 2 추가'에 따라 증감치를 '6'으로 조정하고, 조정된 증감치 '6'을 포함하는 인슐린투여량에 관한 문자 메시지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인슐린투여량 20에 대해 증감치 6을 적용하여 적정 인슐린투여량은 26입니다' 작성하여 환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슐린투여량 조절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인슐린투여량 조절 방법은 본 발명의 인슐린투여량 조절 시스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이하 도 8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도 2를 함께 참조하여 도 8을 설명하여 발명의 이해를 도모한다.
단계 S810에서 인슐린투여량 조절 시스템은 환자 단말에서의 혈당 측정에 연동하여 상기 혈당 측정에 따라 생성되는 혈당값을 수신한다.
여기서, 환자 단말(110)은 혈당을 측정하고, 통신망을 통해 혈당값을 인슐린투여량 조절 시스템(200)으로 전송하거나 인슐린투여량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모바일 혈당 측정기가 포함될 수 있다. 또는 환자 단말(110)은 일반 혈당 측정기와 연결된 통신 단말기가 될 수도 있다.
예컨대, 혈당값 수신 수단(210)은 매일 오전 11시마다 환자 '김사랑'의 환자 단말에 대한 측정알림요청을 문자 메시지 형태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문자 메시지를 확인한 환자 '김사랑'이 환자 단말에서 혈당 측정을 하여 혈당값 '155'이 생성될 경우, 상기 혈당 측정에 연동하여 혈당값 수신 수단(210)은 혈당값 '155'을 모바일 인터넷을 통해 환자 단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메모리 수단(250)은 환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혈당값을, 상기 혈당값이 수신된 시간과 대응시켜 기록할 수 있다. 예컨대, 인슐린투여량 조절 시스템(200)은 환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혈당값 '155'를 수신된 시간 '2008년2월13일 11:00 AM'에 대응시켜 메모리 수단(250)에 기록할 수 있다.
단계 S820에서 인슐린투여량 조절 시스템은 환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혈당값을 분석하여 인슐린투여량을 산출한다.
인슐린투여량 조절 시스템(200)은 혈당값에 따른 기준인슐린투여량에 관한 정의를, 예컨대, '혈당값이 150 내지 160일 경우 기준인슐린투여량은 20이고, 혈당값이 160 내지 170일 경우 기준인슐린투여량은 25이다'와 같이 메모리 수단(250)에 사전에 기록해둘 수 있다. 그리고, 환자 단말로부터 혈당값이 수신될 경우, 인슐린투여량 산출 수단(220)은 환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혈당값 '155'이 속하는 혈당범위 '150 내지 160'에 설정되는 기준인슐린투여량 '20'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인슐린투여량은, 각 기준인슐린투여량에 대응되는 혈당값이 측정된 환자에게 일반적으로 요구되는 인슐린투여량이 될 수 있으며, 상기 혈당값에 따른 기준인슐린투여량에 관한 정의는, 환자 단말 또는 의사 단말과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환자 단말 또는 의사 단말에서도 혈당 측정에 따라 생성되는 혈당값만으로도 상기 기준인슐린투여량을 확인할 수는 있다.
또한, 인슐린투여량 산출 수단(220)은 선정된 시간격 이내의 시간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혈당값을 메모리 수단(250)에서 추출하고, 추출된 혈당값을 평균하여 평균혈당값을 연산하고, 연산된 평균혈당값이 속하는 혈당범위에 설정되는 증감치를 확인하고, 확인된 증감치를 기준인슐린투여량에 반영하여 인슐린투여량을 산출할 수 있다.
인슐린투여량 조절 시스템(200)은 상기 연산된 평균혈당값이 속하는 혈당범위에 설정되는 증감치에 관한 정의를, 예컨대, '혈당값이 100 내지 140일 경우 증감치는 2이고, 혈당값이 140 내지 180일 경우 증감치는 4이다'와 같이 메모리 수단(250)에 기록할 수 있다. 인슐린투여량 산출 수단(220)은 측정된 혈당값에 따라 결정된 기준인슐린투여량에, 상기 증감치를 적용시켜 환자의 상태에 보다 적합한 인슐린투여량을 산출할 수 있다.
예컨대, 환자 단말로부터 혈당값이 수신될 경우, 인슐린투여량 산출 수단(220)은 최근 삼일 이내의 시간(2008년2월10일부터 2008년2월12일)에 대응하는 혈당값 '150, 160, 200'을 메모리 수단(250)에서 추출하고, 추출된 혈당값을 평균하여([150+160+200]/3) 평균혈당값 '170'을 연산하여, 연산된 평균혈당값 '170'이 속하는 혈당범위 '140 내지 180'에 설정되는 증감치'4'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인슐린투여량 산출 수단(220)은 상기 증감치'4'를 상기 기준인슐린투여량'20'에 반영하여(20+4), 인슐린투여량'24'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기준인슐린투여량은 환자 단말과 연관된 환자에게 사전에 처방된 인슐린투여량, 또는 이전에 환자 단말에 제공되는 인슐린투여량이 될 수도 있다.
단계 S830에서 인슐린투여량 조절 시스템은 환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혈당값을 분석하여 산출된 인슐린투여량에 대해 검증한다.
인슐린투여량 검증 수단(230)은 환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혈당값, 평균혈당값, 또는 기준인슐린투여량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산출된 인슐린투여량과 함께, 의사 단말에 전송하여 검증을 요청하고, 상기 요청에 응답한 의사 단말로부터 검증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인슐린투여량 검증 수단(230)은 환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혈당값 '155', 평균혈당값 '170(증감치 4)', 기준인슐린투여량 '20', 및 산출된 인슐린투여량 '24'을 포함하는 문자 메시지를 작성하여 의사 단말에 전송, 검증을 요청할 수 있다. 그리고, 인슐린투여량 검증 수단(230)은 의사 단말로부터 상기 산출된 인슐린투여량 '24'의 적합성에 관한 검증 결과로서, '양호함' 또는 '조절 요구됨'과 같은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으며, 검증 결과가 '조절 요구됨'일 경우 상기 메시지에는 '증감치 2 추가'와 같이 코멘트가 포함될 수 있다.
단계 S840에서 인슐린투여량 조절 시스템은 검증 결과에 따라 조정되는 인슐린투여량에 관한 정보를 환자 단말에 제공한다.
즉, 정보 제공 수단(240)은 평균혈당값이 속하는 혈당범위에 설정되는 증감치를, 의사 단말로부터의 검증 결과에 따라 조정하고, 조정된 증감치를 환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평균혈당값 '170'이 속하는 혈당범위에 설정되는 증 감치가 '4'인 경우, 의사 단말로부터의 검증 결과 '조절 요구됨: 증감치 2 추가'에 따라 증감치를 '6'으로 조정하고, 조정된 증감치 '6'을 포함하는 인슐린투여량에 관한 문자 메시지를 작성하여 환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정보 제공 수단(240)은 상기 검증이 이루어지는 의사 단말로부터 인슐린투여량에 관한 정보를 환자 단말에 바로 제공할 수도 있다. 즉, 정보 제공 수단(240)은 의사 단말을 경유하여 인슐린투여량에 관한 정보(조정된 증감치 '6' 또는 조정된 증감치를 기준인슐린투여량에 반영시킨 인슐린투여량 '26')를 환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슐린투여량에 관한 정보는 조정된 증감치 또는 조정된 증감치를 기준인슐린투여량에 반영시킨 인슐린투여량 외에도, 당뇨 관리에 필요한 정보와 독려의 내용이 포함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슐린투여량 조절 시스템에서, 환자 단말로 가능한 혈당 측정기의 종류가 도시된 표이다.
본 발명에서 환자 단말은 무선통신기기 연결형, 무선통신기능 내장형, 및 유선통신기능 연결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무선통신기기 연결형은 무선통신기기에 연결하여 혈당값의 전송이 가능한 혈당측정기(예컨대, 휴대폰, PDA)로, CDMA, WCDMA, Wibro 등의 무선망을 통해 혈당값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무선통신기능 내장형은 혈당측정기에 무선통신기능이 내장되어 있는 경우로 직접 무선망을 통해 혈당값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유선통신기능 연결형은 USB 등의 유선통신기능을 통해 PC에 연결되어 혈당값의 전송이 가능한 혈당측정기로, PC 및 노트북에 연결된 인터넷망으로 혈당값이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휴대폰 등의 단말로 무선인터넷에 환자가 직접 접속하여 혈당값을 수동으로 입력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슐린투여량 조절 시스템과, 환자 단말, 및 의사 단말의 전체적인 연결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슐린투여량 조절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슐린투여량 조절 시스템에서, 환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혈당값을 시간에 대응시켜 기록하는 메모리 수단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슐린투여량 조절 시스템에서, 평균혈당값이 속하는 혈당범위에 설정되는 증감치의 일례를 도시한 표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슐린투여량 조절 시스템에서, 산출된 인슐린투여량에 대해 검증을 요청하는 문자 메시지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슐린투여량 조절 시스템에서, 검증 결과로서 의사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문자 메시지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슐린투여량 조절 시스템에서, 환자 단말에 제공되는 문자 메시지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슐린투여량 조절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슐린투여량 조절 시스템에서, 환자 단말로 가능한 혈당 측정기의 종류가 도시된 표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인슐린투여량 조절 시스템
210: 혈당값 수신 수단
220: 인슐린투여량 산출 수단
230: 인슐린투여량 검증 수단
240: 정보 제공 수단
250: 메모리 수단

Claims (15)

  1. 환자 단말에서의 혈당 측정에 연동하여, 상기 혈당 측정에 따라 생성되는 혈당값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혈당값을 분석하여 인슐린투여량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인슐린투여량에 대해 검증하는 단계; 및
    상기 검증 결과에 따라 조정되는 인슐린투여량에 관한 정보를 상기 환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슐린투여량 조절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혈당값을, 상기 혈당값이 수신된 시간과 대응시켜 메모리 수단에 기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인슐린투여량을 산출하는 상기 단계는,
    선정된 시간격 이내의 시간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혈당값을, 상기 메모리 수단에서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혈당값을 평균하여 평균혈당값을 연산하고, 상기 연산된 평균혈당값이 속하는 혈당범위에 설정되는 증감치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증감치를 기준인슐린투여량에 반영하여 상기 인슐린투여량을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슐린투여량 조절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인슐린투여량은,
    상기 환자 단말과 연관된 환자에게 사전에 처방된 인슐린투여량, 또는 이전에 상기 환자 단말에 상기 환자 단말에 정보로서 제공된 인슐린투여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슐린투여량 조절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인슐린투여량에 대해 검증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수신된 혈당값, 상기 평균혈당값, 또는 상기 기준인슐린투여량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산출된 인슐린투여량과 함께, 의사 단말에 전송하여 검증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에 응답한 상기 의사 단말로부터 검증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슐린투여량 조절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환자 단말에 제공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확인된 증감치를 상기 검증 결과에 따라 조정하고, 상기 조정된 증감치를 상기 환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슐린투여량 조절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환자 단말에 제공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검증이 이루어지는 의사 단말로부터 상기 인슐린투여량에 관한 정보가 상기 환자 단말에 제공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슐린투여량 조절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혈당값을 수신하는 상기 단계는,
    선정된 주기로 상기 환자 단말에 측정알림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알림요청에 상응하여 상기 환자 단말에서 혈당 측정이 이루어지고, 상기 혈당 측정에 의해 생성되는 혈당값을 모바일 인터넷을 통해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슐린투여량 조절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9. 환자 단말에서의 혈당 측정에 연동하여, 상기 혈당 측정에 따라 생성되는 혈당값을 수신하는 혈당값 수신 수단;
    상기 수신된 혈당값을 분석하여 인슐린투여량을 산출하는 인슐린투여량 산출 수단;
    상기 산출된 인슐린투여량에 대해 검증하는 인슐린투여량 검증 수단; 및
    상기 검증 결과에 따라 조정되는 인슐린투여량에 관한 정보를 상기 환자 단말에 제공하는 정보 제공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슐린투여량 조절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혈당값을, 상기 혈당값이 수신된 시간과 대응시켜 기록하는 메모리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인슐린투여량 산출 수단은,
    선정된 시간격 이내의 시간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혈당값을, 상기 메모리 수단에서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혈당값을 평균하여 평균혈당값을 연산하며, 상기 연산된 평균혈당값이 속하는 혈당범위에 설정되는 증감치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증감치를 기준인슐린투여량에 반영하여 상기 인슐린투여량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슐린투여량 조절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인슐린투여량은,
    상기 환자 단말과 연관된 환자에게 사전에 처방된 인슐린투여량, 또는 이전에 상기 환자 단말에 정보로서 제공된 인슐린투여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슐린투여량 조절 시스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인슐린투여량 검증 수단은,
    상기 수신된 혈당값, 상기 평균혈당값, 또는 상기 기준인슐린투여량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산출된 인슐린투여량과 함께, 의사 단말에 전송하여 검증을 요청하고, 상기 요청에 응답한 상기 의사 단말로부터 검증 결과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슐린투여량 조절 시스템.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 수단은,
    상기 확인된 증감치를 상기 검증 결과에 따라 조정하고, 상기 조정된 증감치를 상기 환자 단말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슐린투여량 조절 시스템.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 수단은,
    상기 검증이 이루어지는 의사 단말로부터 상기 인슐린투여량에 관한 정보 관한 정보가 상기 환자 단말에 제공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슐린투여량 조 절 시스템.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혈당값 수신 수단은,
    선정된 주기로 상기 환자 단말에 측정알림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측정알림요청에 상응하여 상기 환자 단말에서 혈당 측정이 이루어지고, 상기 혈당 측정에 의해 생성되는 혈당값을 모바일 인터넷을 통해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슐린투여량 조절 시스템.
KR1020080020155A 2008-03-04 2008-03-04 인슐린투여량 조절 방법 및 시스템 KR1009467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0155A KR100946712B1 (ko) 2008-03-04 2008-03-04 인슐린투여량 조절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0155A KR100946712B1 (ko) 2008-03-04 2008-03-04 인슐린투여량 조절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5073A true KR20090095073A (ko) 2009-09-09
KR100946712B1 KR100946712B1 (ko) 2010-03-12

Family

ID=41295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0155A KR100946712B1 (ko) 2008-03-04 2008-03-04 인슐린투여량 조절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6712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3854A (ko) 2014-10-14 2016-04-22 서울대학교병원 당뇨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WO2016069475A1 (en) * 2014-10-27 2016-05-06 Aseko, Inc. Subcutaneous outpatient management
US9886556B2 (en) 2015-08-20 2018-02-06 Aseko, Inc. Diabetes management therapy advisor
WO2019009610A1 (ko) * 2017-07-06 2019-01-10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단말 장치를 이용한 당뇨병 환자의 혈당 관리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JP2019523482A (ja) * 2016-06-30 2019-08-22 ノボ・ノルデイスク・エー/エス グルコース測定値およびインスリンペンデータに基づくインスリン治療のための計画アドヒアランス測定
WO2020251251A2 (ko) 2019-06-12 2020-12-17 이오플로우(주) 사용자 단말 및 사용자 단말을 통한 약물을 자동으로 주입 후 상태를 관리하는 방법
KR20210079609A (ko) 2019-12-20 2021-06-30 이오플로우(주) 주입 컨트롤러, 헬스 시스템, 및 혈당 관련 알람을 발생하는 방법
US11081226B2 (en) 2014-10-27 2021-08-03 Aseko, Inc. Method and controller for administering recommended insulin dosages to a patient
WO2021194131A1 (ko) 2020-03-23 2021-09-30 이오플로우(주) 약액 주입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9400A (ko) * 2000-05-31 2001-12-10 박병배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당뇨환자 치료시스템 및 그것을이용한 치료방법

Cited B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3854A (ko) 2014-10-14 2016-04-22 서울대학교병원 당뇨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US10403397B2 (en) 2014-10-27 2019-09-03 Aseko, Inc. Subcutaneous outpatient management
US11694785B2 (en) 2014-10-27 2023-07-04 Aseko, Inc. Method and dosing controller for subcutaneous outpatient management
US9892234B2 (en) 2014-10-27 2018-02-13 Aseko, Inc. Subcutaneous outpatient management
US10128002B2 (en) 2014-10-27 2018-11-13 Aseko, Inc. Subcutaneous outpatient management
US11081226B2 (en) 2014-10-27 2021-08-03 Aseko, Inc. Method and controller for administering recommended insulin dosages to a patient
US11678800B2 (en) 2014-10-27 2023-06-20 Aseko, Inc. Subcutaneous outpatient management
WO2016069475A1 (en) * 2014-10-27 2016-05-06 Aseko, Inc. Subcutaneous outpatient management
US11574742B2 (en) 2015-08-20 2023-02-07 Aseko, Inc. Diabetes management therapy advisor
US10380328B2 (en) 2015-08-20 2019-08-13 Aseko, Inc. Diabetes management therapy advisor
US9886556B2 (en) 2015-08-20 2018-02-06 Aseko, Inc. Diabetes management therapy advisor
JP2019523482A (ja) * 2016-06-30 2019-08-22 ノボ・ノルデイスク・エー/エス グルコース測定値およびインスリンペンデータに基づくインスリン治療のための計画アドヒアランス測定
US11464447B2 (en) 2016-06-30 2022-10-11 Novo Nordisk A/S Regimen adherence measure for insulin treatment based on glucose measurements and insulin pen data
KR20190005375A (ko) * 2017-07-06 2019-01-16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단말 장치를 이용하여 환자의 혈당을 관리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WO2019009610A1 (ko) * 2017-07-06 2019-01-10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단말 장치를 이용한 당뇨병 환자의 혈당 관리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WO2020251251A2 (ko) 2019-06-12 2020-12-17 이오플로우(주) 사용자 단말 및 사용자 단말을 통한 약물을 자동으로 주입 후 상태를 관리하는 방법
KR20220019743A (ko) 2019-06-12 2022-02-17 이오플로우(주) 사용자 단말 및 사용자 단말을 통한 약물을 자동으로 주입 후 상태를 관리하는 방법
KR20230044166A (ko) 2019-06-12 2023-04-03 이오플로우(주) 사용자 단말 및 사용자 단말을 통한 약물을 자동으로 주입 후 상태를 관리하는 방법
KR20200142380A (ko) 2019-06-12 2020-12-22 이오플로우(주) 사용자 단말 및 사용자 단말을 통한 약물을 자동으로 주입 후 상태를 관리하는 방법
KR20210079609A (ko) 2019-12-20 2021-06-30 이오플로우(주) 주입 컨트롤러, 헬스 시스템, 및 혈당 관련 알람을 발생하는 방법
KR20210118604A (ko) 2020-03-23 2021-10-01 이오플로우(주) 약액 주입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220166765A (ko) 2020-03-23 2022-12-19 이오플로우(주) 약액 주입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WO2021194131A1 (ko) 2020-03-23 2021-09-30 이오플로우(주) 약액 주입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6712B1 (ko) 2010-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6712B1 (ko) 인슐린투여량 조절 방법 및 시스템
US10940267B2 (en) Blood glucose control system with real-time glycemic control optimization
US10403397B2 (en) Subcutaneous outpatient management
RU2607289C2 (ru) Графический интерфейс пользователя для калькулятора болюсов, находящегося в портативном устройстве для управления диабетом
JP6730928B2 (ja) 治療薬剤注入器機を制御するハンドセット機との間の送受信の管理
JP2019509074A (ja) インスリン・デリバリ量の調節
US11957876B2 (en) Glucose control system with automated backup therapy protocol generation
US9218456B2 (en) Communication protocol for medical devices that supports enhanced security
KR101832486B1 (ko) 혈당 측정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130212381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uthorized access to a structured testing procedure on a medical device
US20210085225A1 (en) Method of managing biometric information using sensor usage information
KR102515618B1 (ko) 사용자 단말 및 사용자 단말을 통한 약물을 자동으로 주입 후 상태를 관리하는 방법
KR20150035680A (ko) 헬스케어 스테이션을 이용한 건강정보 관리방법 및 관리시스템
WO2021067856A1 (en) Blood glucose control system
US2009004815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Glycemic Control During Pump Disconnection
Andersen et al. Optimum bolus wizard settings in insulin pumps in children with Type 1 diabetes
RU2661715C2 (ru)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значения допустимого роста глюкозы в крови после приема пищи
US20190216336A1 (en) Blood-pressure management
Enevoldsen et al. The effects of respiratory rate and tidal volume on pulse pressure variation in healthy lungs–a generalized additive model approach may help overcome limitations
JP2011165220A (ja) 保険システムと保険方法並びに保険プログラムと当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GINIS et al. Invasive measurement of outflow facility in the living human eye
GINIS et al. [Mu] anometric measurement of the outflow facility in the human ey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1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