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5375A - 단말 장치를 이용하여 환자의 혈당을 관리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단말 장치를 이용하여 환자의 혈당을 관리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5375A
KR20190005375A KR1020170085923A KR20170085923A KR20190005375A KR 20190005375 A KR20190005375 A KR 20190005375A KR 1020170085923 A KR1020170085923 A KR 1020170085923A KR 20170085923 A KR20170085923 A KR 20170085923A KR 20190005375 A KR20190005375 A KR 201900053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od glucose
patient
feedback
management
termin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5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6845B1 (ko
Inventor
김재현
진상만
김규리
Original Assignee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filed Critical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Priority to KR1020170085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6845B1/ko
Priority to PCT/KR2018/007566 priority patent/WO2019009610A1/ko
Publication of KR201900053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53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68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68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32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for measuring glucose, e.g. by tissue impedance measurement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16H20/1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delivered via infusion or injec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nutrition control, e.g. di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04M1/72522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단말 장치에 연결된 혈당 측정 기기로부터 환자의 혈당 수치를 획득하는 혈당 측정부; 상기 혈당 수치에 기초하여 상기 환자에게 제공할 피드백 메시지를 선택하고, 상기 혈당 수치를 상기 단말 장치의 메모리에 저장된 혈당 관리 정보에 반영하는 피드백 관리부; 상기 선택된 피드백 메시지를 상기 단말 장치의 표시부에 표시하는 표시 제어부; 및 상기 혈당 관리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피드백 관리부는, 상기 환자의 분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분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피드백 메시지를 선택하는 데에 고려되는 제1 조건을 설정하는 조건 설정부; 및 상기 혈당 수치, 상기 제1 조건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혈당 관리 정보에 포함된 이전 혈당 수치를 참조하여 상기 피드백 메시지를 선택하는 피드백 생성부;를 포함하는, 환자 단말을 이용한 혈당 관리 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단말 장치를 이용하여 환자의 혈당을 관리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blood sugar of a patient using a terminal device, and computer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단말 장치를 이용하여 환자의 혈당을 관리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현재까지 당뇨병의 관리에 IT를 접목하려는 수많은 시도가 있었으나, 당뇨병의 관리를 실제로는 바꾸지 못했고, 의도했던 바와 달리 산업적 측면에서도 새로운 시장을 형성하지 못했다. 이러한 실패는 그동안의 당뇨병 관련 IT 서비스들이 환자 및 의료진의 필요에 기반한 서비스가 아닌, 기술을 가진 회사의 주도 하에 개발된 서비스였기 때문이다. 특히, 기존의 서비스는 의료진과의 연계 없이 환자 본인의 판단에만 의존하는 불완전한 셀프 케어에만 집중되어 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단말 장치를 이용하여 환자의 혈당을 관리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환자의 단말 장치를 이용하여 측정된 환자의 혈당 수치를 기반으로 환자에게 적절한 피드백 메시지를 즉각적으로 제공하는 동시에, 필요한 경우에는 의료진이 개입할 수 있도록 관리 서버와 연계하는, 혈당 관리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단말 장치에 연결된 혈당 측정 기기로부터 환자의 혈당 수치를 획득하는 혈당 측정부; 상기 혈당 수치에 기초하여 상기 환자에게 제공할 피드백 메시지를 선택하고, 상기 혈당 수치를 상기 단말 장치의 메모리에 저장된 혈당 관리 정보에 반영하는 피드백 관리부; 상기 선택된 피드백 메시지를 상기 단말 장치의 표시부에 표시하는 표시 제어부; 및 상기 혈당 관리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피드백 관리부는, 상기 환자의 분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분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피드백 메시지를 선택하는 데에 고려되는 제1 조건을 설정하는 조건 설정부; 및 상기 혈당 수치, 상기 제1 조건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혈당 관리 정보에 포함된 이전 혈당 수치를 참조하여 상기 피드백 메시지를 선택하는 피드백 생성부;를 포함하는, 환자 단말을 이용한 혈당 관리 장치를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분류 정보는 상기 환자로부터 상기 단말 장치에 직접 입력되거나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환자에게 처방된 약물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조건은, 상기 환자에게 처방된 약물이 식전 초속효성 인슐린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 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피드백 관리부는, 상기 혈당 수치에 기초하여 이벤트 발생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이벤트 발생 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혈당 관리 정보에 반영하고, 상기 분류 정보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혈당 관리 정보에 포함된 이벤트 발생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조건 설정부는, 상기 이벤트 발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피드백 메시지를 선택하는 데에 고려되는 제2 조건을 더 설정하고, 상기 피드백 생성부는 상기 제2 조건을 더 고려하고, 상기 제2 조건은, 상기 이벤트 발생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환자의 이벤트 발생 이력이 있는 경우 상기 제2 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피드백 관리부는, 상기 제2 조건이 만족된 상태에서 상기 혈당 수치에 기초하여 새로운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결정된 경우, 기설정된 교육자와 통신할 수 있는 기능을 상기 단말 장치에 제공하고, 상기 기능은 전화 통화, 메시지 전송, 알람 전송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피드백 관리부는, 상기 피드백 메시지에 따른 기설정된 후속 조치 이행 여부의 입력을 확인하고, 상기 기설정된 후속 조치의 이행 여부가 기설정된 시간 내에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관리 서버에 의료진 알람 요청을 전송하는 이행 확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단말 장치를 이용하여 환자의 혈당을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환자의 분류 정보를 획득하고, 분류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조건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단말 장치에 연결된 혈당 측정 기기로부터 환자의 혈당 수치를 획득하고 상기 혈당 수치를 상기 단말 장치의 메모리에 저장된 혈당 관리 정보에 반영하는 단계; 상기 혈당 수치, 상기 제1 조건 및 상기 단말 장치의 메모리에 저장된 혈당 관리 정보에 포함된 이전 혈당 수치를 참조하여 피드백 메시지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피드백 메시지를 상기 단말 장치의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혈당 관리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혈당 관리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컴퓨터를 이용하여 전술한 혈당 관리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개시한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이러한 일반적이고 구체적인 측면이 시스템,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어떠한 시스템,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의 조합을 사용하여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한 단말 장치를 이용하여 환자의 혈당을 관리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따르면, 여러가지 한계로 인해 의료시설을 직접 방문할 수 없는 환자가 단말 장치를 이용하여 셀프-케어를 수행할 수 있으며, 위험한 상황이라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관리 서버와 통신하여 의료진이 개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셀프-케어의 리스크를 최소화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당 관리 시스템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당 관리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당 관리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피드백 관리부의 세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페이지 제공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페이지 제공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 내지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당 관리 장치에 의해 단말 장치의 표시부에 화면이 표시된 예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당 관리 시스템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당 관리 시스템은, 관리 서버(100), 단말 장치(200), 교육실 단말 장치(300) 및 통신망(400)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100)는 단말 장치(200) 및 교육실 단말 장치(300)에 혈당 관리 서비스를 제공한다. 관리 서버(100)는 단말 장치(200)에 혈당 관리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단말 장치(200)로부터 혈당 관리 정보를 획득하여 저장한다. 관리 서버(100)는 혈당 관리 정보를 가공하고, 가공된 정보를 표시하는 관리 페이지를 제공한다. 관리 페이지는 웹 페이지일 수 있고, 관리 서버(100)는 교육실 단말 장치(300)에서 관리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도록 교육실 단말 장치(300) 및/또는 교육실 계정에 관리 페이지 접속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200)는 환자가 구비하는 장치이다. 단말 장치(200)는 환자의 혈당 수치를 수집하고, 수집된 혈당 수치에 기초하여 환자에게 즉각적 피드백 메시지를 제공하며, 필요한 경우에는 관리 서버(100) 및/또는 교육실 단말 장치(300)와 통신하여 환자가 의료진의 관리를 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단말 장치(200)는 스마트폰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관리 서버(100) 및/또는 교육실 단말 장치(300)와 통신할 수 있고 환자의 혈당 수치를 입력 받아 이에 기반하는 피드백을 제공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당 관리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설치된 통신 기기라면 제한 없이 차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실 단말 장치(300)는 의료진이 사용하는 장치이다. 교육실 단말 장치(300)는 관리 서버(100)에서 제공하는 관리 페이지에 접속하여 환자들의 혈당 관리와 관련된 정보들을 조회하고,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도 1에서 교육실 단말 장치(300)는 PC인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관리 서버(100) 및/또는 환자의 단말 장치(200)와 통신할 수 있고 관리 서버(100)에서 제공하는 관리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설치된 통신 기기라면 제한 없이 차용될 수 있다.
통신망(400)은 단말 장치(200), 교육실 단말 장치(300), 및 관리 서버(100)를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통신망은 단말 장치(200), 교육실 단말 장치(300) 및 관리 서버(100) 중 적어도 두 장치가 서로 접속한 후 패킷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접속 경로를 제공한다. 통신망(400)은 예컨대 LANs(Local Area Networks), WANs(Wide Area Networks), MANs(Metropolitan Area Networks), ISDNs(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s) 등의 유선 네트워크나, 무선 LANs, CDMA, 블루투스, 위성 통신, 3G, 4G, 5G, LTE 등의 무선 네트워크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당 관리 장치(21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혈당 관리 장치(210)는 환자의 단말 장치(200) 내에 마련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혈당 관리 장치(210)는 본 실시예의 특징이 흐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와 관련된 구성요소들만을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혈당 관리 장치(2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processor)에 해당하거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혈당 관리 장치(21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나 범용 컴퓨터 시스템과 같은 다른 하드웨어 장치에 포함된 형태로 구동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당 관리 장치(210)는 혈당 측정부(21), 피드백 관리부(22), 표시 제어부(23), 통신부(24) 및 메모리(25)를 포함한다. 혈당 관리 장치(210)는 혈당 측정 기기(220)와 단말 장치(200)와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되어, 단말 장치(200) 내에 구비되는 혈당 관리 장치(210)와 통신할 수 있다. 메모리(25)는 환자의 혈당 관리 정보를 저장한다. 혈당 관리 정보는, 측정된 혈당 수치의 이력, 피드백 선택 이력, 및 혈당 수치에 따른 이벤트 발생 이력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혈당 측정부(21)는 혈당 측정 기기(220)로부터 환자의 혈당 정보를 획득한다. 혈당 정보는 혈당 수치 및 혈당 입력 시간 정보를 포함한다. 혈당 입력 시간 정보는, 기설정된 둘 이상의 항목 중 어느 하나의 항목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혈당 입력 시간 정보는, 아침 식전, 아침 식후, 점심 식전, 점심 식후, 저녁 식전, 저녁 식후 및 취침 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피드백 관리부(22)는 혈당 측정부(21)가 획득한 환자의 혈당 정보에 기초하여, 환자에게 제공할 피드백을 선택한다. 피드백은, 텍스트를 포함하는 피드백 메시지를 포함한다. 피드백은, 혈당 관리와 관련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드백 관리부(22)에 의해 제공되는 피드백은 교육실 단말 장치(300)와 통신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피드백 관리부(22)는 혈당 수치를 메모리(25)에 저장된 환자의 혈당 관리 정보에 반영한다. 피드백 관리부(22)는 혈당 수치에 기초하여 이벤트 발생 정보를 결정할 수 있고, 이벤트 발생 정보를 메모리(25)에 저장된 혈당 관리 정보에 반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혈당 수치가 기설정된 임계값 미만인 경우 피드백 관리부(22)는 "저혈당" 이벤트를 발생시킬 수 있고, 이벤트가 발생한 사실을 저장할 수 있다.
피드백 관리부(22)는 혈당 수치에 기초하여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결정된 경우, 기설정된 교육실 단말 장치(300)와 통신할 수 있는 기능을 환자의 단말 장치(200)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의 통신 기능은, 전화 통화, 메시지 전송 및 알람 전송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제어부(23)는 피드백 관리부(22)에 의해 선택된 피드백 메시지를 단말 장치(200)의 표시부에 표시한다. 표시 제어부(23)는 그 외에도 사용자에게 혈당 관리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24)는 관리 서버(100)와 통신하면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24)는 메모리(25)에 저장된 혈당 관리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관리 서버(100)에 전송할 수 있다.
전술한 혈당 관리 장치(210)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은, 관리 서버(100)로부터 제공되어 단말 장치(200)에 설치된 혈당 관리 프로그램에 포함된 기능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당 관리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흐름도는, 도 2에 도시된 혈당 관리 장치(21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2에서 도시된 구성들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도 3에 도시된 흐름도에도 적용됨을 알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단계 31에서 도 2의 혈당 측정부(21)는 단말 장치(200)에 연결된 혈당 측정 기기(220)로부터 환자의 혈당 수치를 획득한다.
단계 32에서 도 2의 피드백 관리부(22)는 단계 31에서 획득된 혈당 수치에 기초하여 환자에게 제공할 피드백 메시지를 선택하고, 혈당 수치를 단말 장치(200)의 메모리(25)에 저장된 환자의 혈당 관리 정보에 반영한다.
단계 33에서 도 2의 표시 제어부(23)는 단계 32에서 선택된 피드백 메시지를 단말 장치(200)의 표시부에 표시한다.
단계 34에서 도 2의 통신부(24)는 혈당 관리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관리 서버(100)에 전송한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피드백 관리부(22)의 세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피드백 관리부(22)는 조건 설정부(41), 추가정보 획득부(42), 피드백 생성부(43) 및 이행 확인부(44)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조건 설정부(41)는 환자의 분류 정보를 획득하고, 분류 정보에 기초하여, 피드백 생성부(43)가 피드백 메시지를 선택하는 데에 고려되는 제1 조건을 설정한다. 분류 정보는 환자로부터 단말 장치(200)에 직접 입력되거나, 관리 서버(100)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분류 정보는 환자에게 처방된 약물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조건은 환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요소에 관한 것일 수 있다. 제1 조건은 환자의 신체적 조건에 관한 것이거나, 환자에게 처방된 약물에 관한 것이거나, 환자의 치료 목적에 관한 것일 수 있다. 제1 조건은 환자에게 처방된 약물 정보를 포함하는 분류 정보에 기초하여, 환자에게 처방된 약물이 식전 초속효성 인슐린을 포함하는지 여부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자에게 처방된 약물이 식전 초속효성 인슐린을 포함하는 경우 제1 조건을 만족하는 것일 수 있다. 이에 따르면, 피드백 생성부(43)는 환자가 식전 초속효성 인슐린을 사용하는 환자인지 여부에 따라 다른 매커니즘을 이용하여 피드백 메시지를 선택하거나 이벤트 발생을 결정할 수 있다.
조건 설정부(42)는 메모리(25)에 저장된 환자의 혈당 관리 정보에 포함된 이벤트 발생 정보에 기초하여, 피드백 생성부(43)가 피드백 메시지를 선택하는 데에 고려되는 제2 조건을 더 설정할 수 있다. 이벤트 발생 정보는 이벤트 발생 이력, 및 발생된 각 이벤트의 상세 정보, 예컨대 이벤트의 종류, 발생 시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조건은 환자에게 기설정된 이벤트 발생 이력이 있는지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자에게 기설정된 이벤트 발생 이력이 있는 경우 제2 조건을 만족하는 것일 수 있다.
이에 따르면, 피드백 생성부(43)는 환자가 과거 특정 이벤트 발생 이력을 가지고 있는 환자인지에 따라 다른 매커니즘을 이용하여 피드백 메시지를 선택하거나 이벤트 발생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드백 생성부(43)는
일 실시예에 따른 추가 정보 획득부(42)는 환자의 혈당 관리의 변수로 사용될 수 있는 추가 정보를 획득한다. 예를 들어, 추가 정보 획득부(42)는 환자로부터 환자의 식단을 입력받을 수 있다. 추가 정보 획득부(42)는 환자의 신체 정보, 예를 들어 몸무게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추가 정보 획득부(42)는 환자의 외래 방문 기록 및 외래 결과 정보, 처방전 등을 관리 서버(100)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피드백 생성부(43)는 혈당 측정 기기(220)에 의해 측정된 혈당 수치, 조건 설정부(41)에 의해 설정된 제1 조건 및 메모리(25)에 저장된 혈당 관리 정보에 포함된 이전 혈당 수치 중 적어도 하나를 참조하여, 피드백 메시지를 선택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피드백 생성부(43)는 혈당 측정 기기(220)에 의해 측정된 혈당 수치, 조건 설정부(41)에 의해 설정된 제1 조건 및 메모리(25)에 저장된 혈당 관리 정보에 포함된 이전 혈당 수치 중 적어도 하나를 참조하여, 이벤트 발생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이행 확인부(44)는 피드백 메시지에 따른 기설정된 후속 조치의 이행 여부의 입력을 확인하고, 기설정된 후속 조치의 이행 여부가 기설정된 시간 내에 입력되지 않으면, 관리 서버(100)에 알람을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피드백 생성부(43)는 혈당 수치가 70mg/dL 미만인 경우 기설정된 저혈당 피드백을 제공하고 저혈당 이벤트를 발생시킨다. 기설정된 저혈당 피드백은, 저혈당 관련 안내 메시지, 예컨대 "혈당이 70mg/dL 이하이면 저혈당입니다. 우선 사탕 3개 또는 주스 반 잔을 드신 후 식사 직후 전날 주사용량보다 줄여 주사하세요. "일 수 있다.
피드백 생성부(43)는 조건 설정부(41)에 의해 설정된 제2 조건을 참조하여, 과거 저혈당 이벤트 발생 이력이 존재하고 동시에 현재 측정된 혈당 수치가 70mg/dL 미만인 경우 기설정된 저혈당 위험 피드백을 제공하고, 저혈당 이벤트를 재차 발생시킬 수 있다. 저혈당 위험 피드백은, 저혈당이 2회 이상 발생하였음을 안내하는 관련 메시지, 및 교육실과 통신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교육실로 전화할 수 있는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으며, 환자는 아이콘을 선택하여 교육실에 전화할 수 있다.
피드백 생성부(43)는 아침 식전 입력된 혈당이 아침 식전 최소 임계치보다 낮은 경우, 이에 대응하여 기설정된 "아침 저혈당" 피드백을 생성하고, "아침 저혈당" 이벤트를 발생할 수 있다. 아침 식전 최소 임계치는 환자에 따라 80~100mg/dL 범위에서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아침 저혈당" 피드백은 "공복혈당이 목표범위 보다 낮으므로 인슐린 용량의 감량이 필요합니다. 지속형 인슐린 용량조정법 교육 내용을 확인하기 바랍니다. 전날 저녁 육류, 생선, 두부 등의 섭취가 부족하지 않았는지 점검해 보세요."의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피드백 생성부(43)는 아침 식전에 입력된 혈당 수치가 140mg/dL을 초과하는 경우 고혈당 이벤트를 발생시킨다.
피드백 생성부(43)는 조건 설정부(41)에 의해 설정된 제2 조건을 참조하여, 전일 고혈당 이벤트 발생 이력이 존재하고 동시에 현재 측정된 혈당 수치가 140mg/dL을 초과하는 경우, 즉 연속하여 2회 고혈당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고혈당" 피드백을 생성할 수 있다. 고혈당 피드백은, 고혈당 관련 안내 메시지, 예컨대 "공복혈당이 목표범위 보다 높으므로 인슐린을 10% 증량해야 합니다. 지속형 인슐린 용량조정법 교육 내용을 확인하기 바랍니다. 전날 저녁 육류, 생선, 두부, 견과류, 기름진 음식 등을 과식했는지 점검해 보세요. 야간 저혈당이 있었다면 반동으로 아침 공복혈당이 높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인슐린 용량의 감량이 필요합니다."일 수 있다. "고혈당" 피드백은 교육실과 통신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교육실로 전화할 수 있는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으며, 환자는 아이콘을 선택하여 교육실에 전화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피드백 생성부(43)는 제1 조건에 따라 다른 알고리즘으로 피드백을 생성한다. 먼저 제1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즉 환자에게 처방된 약물이 초속효성 인슐린을 포함하는 경우, 피드백 생성부(43)는 기설정된 제1 알고리즘에 따라 추가적인 프로세스를 거쳐 피드백을 생성한다.
제1 알고리즘에 따르면, 피드백 생성부(43)는 점심 식전, 저녁 식전, 혹은 취침 전에 입력된 혈당이 아침 이외 식전 최소 임계치보다 낮은 경우, 이에 대응하여 기설정된 "아침 이외 저혈당" 피드백을 생성하고, "아침 이외 저혈당" 이벤트를 발생할 수 있다. 아침 이외 식전 최소 임계치는 환자에 따라 80~100mg/dL 범위에서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으나, 아침 식전 최소 임계치보다는 같거나 높게 설정된다. "아침 이외 식전 저혈당" 피드백은 "적절한 식사 후에도 점심 식전, 저녁 식전, 혹은 취침 전에 혈당이 계속 낮으면 초속효성 인슐린 용량의 감량이 필요합니다."의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알고리즘에 따르면, 피드백 생성부(43)는 아침 식전에 입력된 혈당이 환자 별로 설정된 목표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 "아침 양호한 혈당" 피드백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피드백은 "공복 혈당 목표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지속형 인슐린 용량은 전날 주사 용량과 동일하게 주사합니다."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알고리즘에 따르면, 피드백 생성부(43)는 점심 식전, 저녁 식전, 혹은 취침 전 입력된 혈당이 기설정된 아침 이외 식전 최고 임계치보다 높은 경우, 이에 대응하여 기설정된 "아침 이외 식전 고혈당" 피드백을 생성하고, "아침 이외 식전 고혈당" 이벤트를 발생할 수 있다. 아침 이외 식전 최고 임계치는 200mg/dL일 수 있다. "아침 이외 식전 고혈당" 피드백은 "이전 식사량이 많았거나 간식을 많이 먹으면 다음 식사 전의 식전 혈당이 높아집니다. 알맞은 식사량을 확인하세요. 적절한 식사 후에도 다음 식사 전 식사 혈당이 계속 높다면 초속효성 인슐린 용량 조정이 필요합니다. 초속효성 인슐린 용량조정법 교육 내용을 확인하기 바랍니다. "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알고리즘에 따르면, 피드백 생성부(43)는 아침 식후, 점심 식후, 또는 저녁 식후 입력된 혈당이 기설정된 식후 최고 임계치보다 높은 경우, 이에 대응하여 기설정된 "식후 고혈당" 피드백을 생성하고, "식후 고혈당" 이벤트를 발생할 수 있다. 식후 최고 임계치는 250mg/dL일 수 있고, 아침 이외 식전 최고 임계치보다 높게 설정된다. "식후 고혈당" 피드백은 "식사 시에 탄수화물이 포함된 음식(밥, 빵, 면류, 과자, 과일, 감자, 고구마 등)을 더 먹을 경우에는 초속효성 인슐린 용량 증량이 필요합니다. 적절한 식사 후에도 식후 혈당이 계속 목표범위 보다 높으면 초속효성 인슐린 용량의 증량이 필요합니다. 초속효성 인슐린 조정법 교육 내용을 확인하기 바랍니다."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저혈당 판단 알고리즘 및 저혈당 이벤트 발생 결정 알고리즘은 제1 조건과 무관하게 설정될 수 있다. 피드백 생성부(43)는 제1 조건과 무관한 알고리즘에 따라 먼저 피드백을 생성한 후, 제1 조건을 고려한 알고리즘에 따라 추가적 피드백을 생성할 수 있다.
피드백 생성부(43)는 제2 조건을 참고하여 동일한 이벤트가 재차 발생한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에는, 관리 서버(100)에 교육실 알람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관리 서버(100)는 교육실 알람 요청이 수신되면 즉각 교육실 단말 장치(300)에 실시간 알람을 발생시킨다. 실시간 알람은, 대상 환자의 식별 정보 및 연락처 정보를 포함하며, 관리 서버(100)는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교육실 단말 장치(300)로부터 대응 조치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관리 서버(100)는 대응 조치가 입력되지 않을 시 기저장된 의료진의 휴대폰으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페이지 제공 장치(11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된 관리 페이지 제공 장치(110)는 도 1에 도시된 관리 서버(100) 내에 마련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관리 페이지 제공 장치(110)는 본 실시예의 특징이 흐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와 관련된 구성요소들만을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관리 페이지 제공 장치(1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processor)에 해당하거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리 페이지 제공 장치(11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나 범용 컴퓨터 시스템과 같은 다른 하드웨어 장치에 포함된 형태로 구동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페이지 제공 장치(110)는 데이터 가공부(51) 및 관리 페이지 제공부(52)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가공부(51)는 환자의 단말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환자의 혈당 관리 정보를 가공한다. 예를 들어, 혈당 관리 정보를 참조하여 환자를 분류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페이지 제공부(52)는 가공된 정보를 표시하는 관리 페이지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관리 페이지 제공부(52)는 관리 페이지에서 환자를 데이터 가공부(51)에 의한 분류 결과를 기준으로 분류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료진은 교육실 단말 장치(300)를 이용하여 관리 페이지에 접속한 후, 특정 분류를 선택하고, 선택된 분류에 해당하는 환자의 혈당 관리 정보를 조회하고, 환자에게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환자에게 처방을 내릴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페이지 제공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된 흐름도는, 도 6에 도시된 관리 페이지 제공 장치(11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5에서 도시된 구성들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도 6에 도시된 흐름도에도 적용됨을 알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단계 61에서 도 5의 데이터 가공부(51)는 환자의 단말 장치(200)로부터 획득된 혈당 관리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가공한다.
단계 62에서 도 5의 관리 페이지 제공부(52)는 단계 61에서 가공된 정보를 표시하는 관리 페이지를 제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당 관리 장치(210)에 의해 단말 장치(200)의 표시부에 화면이 표시된 예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환자는 단말 장치(200)를 이용하여 관리 서버(100)에서 제공하는 혈당 관리 프로그램, 예컨대 "당뇨 수첩"이라는 프로그램을 설치한 후,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고, 화면(70)이 단말 장치(200)에 표시될 수 있다.
화면(70)은 기록하기, 기록보기, 알림확인의 메뉴를 표시한다. 도 7은 기록하기 탭이 선택된 상태의 화면(70)을 도시한다.
화면(70)은 오늘의 정보를 입력하는 영역(71) 및 과거에 입력된 정보를 표시하는 영역(72)을 표시한다.
환자는 영역(71)을 선택하여 오늘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역(71)을 선택하면 복수의 항목이 표시되어 환자가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데, 복수의 항목은 혈당 측정, 추가 정보 입력, 메모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 정보는, 환자의 식사 기록, 투약 기록을 포함할 수 있다.
영역(72)에는 어제 일자의 혈당 기록 정보, 식사 기록 정보, 투약 기록 정보, 및 환자의 메모가 표시된 예가 도시되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당 관리 장치(210)에 의해 단말 장치(200)의 표시부에 화면이 표시된 다른예이다.
도 8에 도시된 화면(80)은 도 7에 도시된 화면(70)에서 기록보기 탭을 선택하였을 때 표시되는 화면(80)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혈당 관리 장치(210)는 한정된 기간(도 8의 예에서 2016년 11월 18일부터 11월 24일까지) 동안 측정된 혈당 수치를 표시하는 그래프(81)를 제공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혈당 수치는 하루 7회 측정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당 관리 장치(210)에 의해 단말 장치(200)의 표시부에 화면이 표시된 다른 예이다.
도 9에 도시된 화면(80)은 도 7에 도시된 화면(70) 또는 도 8에 도시된 화면(80)에서 알림 확인 탭을 선택하였을 때 표시되는 화면(90)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화면(90)은 환자의 혈당 수치에 기초하여 발생된 피드백 메시지를 표시한다. 도 9를 참조하면, 2개의 피드백 메시지(91, 92)가 표시되었다. 환자가 선택하여 환자에 의해 이미 조회가 완료된 메시지(92)는 흐리게 표시될 수 있고, 환자에 의해 조회된 이력이 없는 신규 메시지(91)는 강조 처리되어 표시될 수 있다. 강조 처리는 텍스트의 서식, 예컨대 크기, 굵기, 색상 등으로 표현될 수 있다.
전술한 피드백 생성 알고리즘과 관련하여, 혈당 수치의 기준이 되는 임계값으로서의 구체적인 수치, 예를 들어 70mg/dL 등의 기재는 예시적인 것으로, 기설정된 임계값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100: 관리 서버
200: 단말 장치
300: 교육실 단말 장치
400: 통신망
210: 혈당 관리 장치
220: 혈당 측정 기기
110: 관리 페이지 제공 장치
21: 혈당 측정부
22: 피드백 관리부
23: 표시 제어부
24: 통신부
25: 메모리
41: 조건 설정부
42: 추가 정보 획득부
43: 피드백 생성부
44: 이행 확인부
51: 데이터 가공부
52: 관리 페이지 제공부

Claims (7)

  1. 단말 장치에 연결된 혈당 측정 기기로부터 환자의 혈당 수치를 획득하는 혈당 측정부;
    상기 혈당 수치에 기초하여 상기 환자에게 제공할 피드백 메시지를 선택하고, 상기 혈당 수치를 상기 단말 장치의 메모리에 저장된 혈당 관리 정보에 반영하는 피드백 관리부;
    상기 선택된 피드백 메시지를 상기 단말 장치의 표시부에 표시하는 표시 제어부; 및
    상기 혈당 관리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피드백 관리부는,
    상기 환자의 분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분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피드백 메시지를 선택하는 데에 고려되는 제1 조건을 설정하는 조건 설정부; 및
    상기 혈당 수치, 상기 제1 조건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혈당 관리 정보에 포함된 이전 혈당 수치를 참조하여 상기 피드백 메시지를 선택하는 피드백 생성부;를 포함하는, 환자 단말을 이용한 혈당 관리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 정보는 상기 환자로부터 상기 단말 장치에 직접 입력되거나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환자에게 처방된 약물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조건은, 상기 환자에게 처방된 약물이 식전 초속효성 인슐린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 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 관리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관리부는, 상기 혈당 수치에 기초하여 이벤트 발생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이벤트 발생 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혈당 관리 정보에 반영하고,
    상기 분류 정보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혈당 관리 정보에 포함된 이벤트 발생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조건 설정부는, 상기 이벤트 발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피드백 메시지를 선택하는 데에 고려되는 제2 조건을 더 설정하고,
    상기 피드백 생성부는 상기 제2 조건을 더 고려하고,
    상기 제2 조건은, 상기 이벤트 발생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환자의 이벤트 발생 이력이 있는 경우 상기 제2 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 관리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관리부는, 상기 제2 조건이 만족된 상태에서 상기 혈당 수치에 기초하여 새로운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결정된 경우, 기설정된 교육자와 통신할 수 있는 기능을 상기 단말 장치에 제공하고, 상기 기능은 전화 통화, 메시지 전송, 알람 전송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혈당 관리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관리부는, 상기 피드백 메시지에 따른 기설정된 후속 조치 이행 여부의 입력을 확인하고, 상기 기설정된 후속 조치의 이행 여부가 기설정된 시간 내에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관리 서버에 의료진 알람 요청을 전송하는 이행 확인부;를 더 포함하는, 혈당 관리 장치.
  6. 단말 장치를 이용하여 환자의 혈당을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환자의 분류 정보를 획득하고, 분류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조건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단말 장치에 연결된 혈당 측정 기기로부터 환자의 혈당 수치를 획득하고 상기 혈당 수치를 상기 단말 장치의 메모리에 저장된 혈당 관리 정보에 반영하는 단계;
    상기 혈당 수치, 상기 제1 조건 및 상기 단말 장치의 메모리에 저장된 혈당 관리 정보에 포함된 이전 혈당 수치를 참조하여 피드백 메시지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피드백 메시지를 상기 단말 장치의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혈당 관리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혈당 관리 방법.
  7. 컴퓨터를 이용하여 제6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70085923A 2017-07-06 2017-07-06 단말 장치를 이용하여 환자의 혈당을 관리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868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5923A KR102086845B1 (ko) 2017-07-06 2017-07-06 단말 장치를 이용하여 환자의 혈당을 관리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PCT/KR2018/007566 WO2019009610A1 (ko) 2017-07-06 2018-07-04 단말 장치를 이용한 당뇨병 환자의 혈당 관리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5923A KR102086845B1 (ko) 2017-07-06 2017-07-06 단말 장치를 이용하여 환자의 혈당을 관리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5375A true KR20190005375A (ko) 2019-01-16
KR102086845B1 KR102086845B1 (ko) 2020-03-09

Family

ID=64951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5923A KR102086845B1 (ko) 2017-07-06 2017-07-06 단말 장치를 이용하여 환자의 혈당을 관리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86845B1 (ko)
WO (1) WO2019009610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5073A (ko) * 2008-03-04 2009-09-09 주식회사 유비케어 인슐린투여량 조절 방법 및 시스템
KR20130021929A (ko) * 2011-08-24 2013-03-06 주식회사 디지엔스 스마트폰을 이용한 생체신호 자가진단 시스템
KR20160043854A (ko) * 2014-10-14 2016-04-22 서울대학교병원 당뇨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9705A (ko) * 2008-10-08 2010-04-16 삼성전자주식회사 환자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30135677A (ko) * 2012-06-01 2013-12-11 주식회사 오코웰 혈당측정 데이터를 이용한 건강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60054320A (ko) * 2014-11-06 2016-05-16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스마트폰을 이용한 혈당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5073A (ko) * 2008-03-04 2009-09-09 주식회사 유비케어 인슐린투여량 조절 방법 및 시스템
KR20130021929A (ko) * 2011-08-24 2013-03-06 주식회사 디지엔스 스마트폰을 이용한 생체신호 자가진단 시스템
KR20160043854A (ko) * 2014-10-14 2016-04-22 서울대학교병원 당뇨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6845B1 (ko) 2020-03-09
WO2019009610A1 (ko) 2019-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hrivastav et al. Type 2 diabetes management in primary care: the role of retrospective, professional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AU201638085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mote and host monitoring communications
Holtz et al. Diabetes management via mobile phones: a systematic review
US20180242891A1 (en) Software applications residing on handheld analyte determining devices
Nair et al. Intraoperative clinical decision support for anesthesia: a narrative review of available systems
US20130332196A1 (en) Diabetes Monitoring Using Smart Device
Ristau et al. Evaluation and evolution of diabetes mobile applications: key factors for health care professionals seeking to guide patients
US20190006040A1 (en) Cognitive diabetic regulator
Pellegrini et al. Contribution of telemedicine and information technology to hypertension control
US10719583B2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patient health
Minatodani et al. Home telehealth in high-risk dialysis patients: a 3-year study
CN103544369A (zh) 信息处理装置、方法及程序
Michaud et al. Assessing the impact of telemonitoring-facilitated lifestyle modifications on diabetes outcome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US20240136075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patient health
McArdle et al. The role of carbohydrate in diabetes management
Angelini et al.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diabetes self-management applications: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Hirsch Professional flash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as a supplement to A1C in primary care
Elliott et al. Patient-centered outcomes of a value-based insurance design program for patients with diabetes
Krošel et al. Empowering diabetes patient with mobile health technologies
KR102086845B1 (ko) 단말 장치를 이용하여 환자의 혈당을 관리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WO2020195597A1 (ja) 服薬状況管理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loyd et al. What factors influence concordance with medications? Findings from the UK Asian Diabetes study
Mihevc et al. Bottom-Up Analysis of Telemonitoring Costs: A Case Study in Slovenian Primary Care
Krakoff Confidence limits for interpretation of home blood pressure recordings
Mah et al. Racial differences in impact of coverage on diabetes self-monitoring in a health maintenance organiz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