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5677A - 혈당측정 데이터를 이용한 건강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혈당측정 데이터를 이용한 건강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5677A
KR20130135677A KR1020120059466A KR20120059466A KR20130135677A KR 20130135677 A KR20130135677 A KR 20130135677A KR 1020120059466 A KR1020120059466 A KR 1020120059466A KR 20120059466 A KR20120059466 A KR 20120059466A KR 20130135677 A KR20130135677 A KR 201301356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od glucose
user
measurement data
glucose measurement
se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9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승욱
오충기
조동식
조춘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코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코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코웰
Priority to KR10201200594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35677A/ko
Publication of KR201301356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56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7Devices characterised by integrated means for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ath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Hemat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가 혈당측정 데이트를 이용한 건강관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에게 혈당관리 정보를 주기적으로 체크하여 건강상태의 위험성을 알리고, 이에 필요한 조기 대응과 음식조절 등과 같은 사용자별 특성에 맞는 적절한 건강관리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환자 개개인의 맞춤형 모바일 건강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자가혈당측정기와 연결된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자가혈당측정기로부터 획득된 사용자의 혈당측정 데이터 및 음식물 섭취, 운동시간, 수면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조건입력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단말기로부터 주기적으로 입력되는 해당 사용자의 혈당측정 데이터의 변화율을 연산하고, 이를 사용자별 조건부확률 및 조건입력 데이터에 따른 통계 특성에 의거한 평균치 또는 기준치와 비교분석 및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이력을 생성하며, 그 비교분석 결과에 따른 경고 메시지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단말기로 상기 혈당측정 데이터의 변화율, 비교 분석 결과 및 경고 메시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혈당측정 데이터를 이용한 건강관리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혈당측정 데이터를 이용한 건강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healthecare method utilizing a self-monitoring of blood sugar date and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자가 혈당측정 데이트를 이용한 건강관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에게 혈당관리 정보를 주기적으로 체크하여 건강상태의 위험성을 알리고, 이에 필요한 조기 대응과 음식조절 등과 같은 사용자별 특성에 맞는 적절한 건강관리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환자 개개인의 맞춤형 모바일 건강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당뇨병은 대사이상에 기인하는 대표적인 만성질환으로 급속한 경제성장과 함께 식생활의 서구화에 따른 과다한 영양섭취, 운동부족, 스트레스 등으로 인하여 유병률이 계속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당뇨병은 인슐린 분비의 절대적 또는 상대적인 부족이나 표적세포에서의 인슐린의 지속적이고 적절한 관리의 어려움과 함께 망막변증, 신부전증, 심경병증 및 죽상경화증 등과 같은 당뇨병성 합병증으로 인한 문제로 관리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즉, 당뇨병은 평생관리가 요구되는 만성질환으로 그 자체보다는 그로 인한 합병증이 중요시되며, 양질의 삶을 유지 및 당뇨병성 만성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는 유일한 길은 엄격한 혈당조절이라고 할 수 있다.
당뇨병의 치료 목표는 대사이상의 교정과 합병증 발생의 예방 또는 지연에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식이요법, 운동요법, 약물요법 등 다른 만성질환과는 확연히 구별되는 특유한 관리방안을 갖고 이에 대한 환자 자신의 실천 정도가 질병조절의 주요 관건이 되고 있다.
이러한 환자 자신의 실천 행위 중에서도 자가 혈당 검사는 가장 중요한 부분으로 강조되고 있으며, 자가 혈당 측정은 당뇨병 환자에게 개별적인 치료에 따른 반응이나 치료 후 조절 목표에 도달했는지를 알려주는 중요한 요소로 자기관리 수단인 자가혈당측정기를 이용하여 혈당 정보를 지속적으로 추적관찰하고, 혈당치의 변화에 따른 적절한 투약이나 운동 및 식이 처방이 요구된다.
최근 들어 일상생활 중에서 당뇨병 환자 또는 측정 대상자로부터 혈당이나 이상 징후를 반영하는 생체 신호를 직접 측정하고 분석함과 동시에 담당 의료기관으로 측정된 정보를 전송하여 측정 대상자의 건강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관리하는 등의 다양한 환자관리 방법이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는 환자 개개인의 건강상태 및 생활 습관을 정확하게 반영하지 못하기 때문에 특히 당뇨병 환자의 경우 혈당 변화의 추이 및 이력을 유심히 관찰해야 하는 병적 특성상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관리 및 분석이 상당히 어려울 수밖에 없어 신뢰성이 떨어지는 한계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54555호(2006.12.05)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83284호(2007.12.06)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07594호(2011.01.1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03957호(2011.01.13)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32637호(2011.03.30)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40348호(2011.04.20)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59142호(2011.06.02)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제반 사항 및 문제점의 해결에 역점을 두어 자가혈당측정기를 이용하여 환자 등 사용자의 혈당측정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측정하고, 그 결과에 따라 음식조절 등과 같은 혈당 관리에 필요한 적절한 조치를 신속하게 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당뇨병에 동반되는 합병증을 효율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사용자 맞춤형 모바일 건강관리 방법 및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부단한 노력을 기울여 연구하던 중 본 발명을 창안하여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혈당 이력을 개인별 맞춤형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건강관리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 개개인의 혈당측정 데이터 변화율 및 조건 데이터를 통해 의료 전문가에게 정확하고 효과적인 진단 및 처방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건강관리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과제에 한정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양태는 (A) 자가혈당측정기와 연결된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자가혈당측정기로부터 획득된 사용자의 혈당측정 데이터 및 음식물 섭취, 운동시간, 수면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조건입력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B)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단말기로부터 주기적으로 입력되는 해당 사용자의 혈당측정 데이터의 변화율을 연산하고, 이를 사용자별 조건부확률 및 조건입력 데이터에 따른 통계 특성에 의거한 평균치 또는 기준치와 비교분석 및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이력을 생성하며, 그 비교분석 결과에 따른 경고 메시지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와, (C)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단말기로 상기 혈당측정 데이터의 변화율, 비교 분석 결과 및 경고 메시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측정 데이터를 이용한 건강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이로써 본 발명은 사용자의 혈당 이력을 개인별 맞춤형으로 관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 개개인의 혈당측정 데이터 변화율 및 조건 데이터를 통해 전문의에게 정확하고 효과적인 진단 및 처방을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양태로, 상기 (C) 단계 이후로, 상기 관리 서버가 네트워크를 통해 해당 사용자의 등록된 의료기관으로 상기 혈당측정 데이터의 변화율, 조건입력 데이터, 비교분석 결과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양태는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혈당측정 데이터를 외부로 전달하기 위한 통신모듈이 구비된 자가혈당측정기와, 상기 자가혈당측정기와 연결되어 혈당측정 데이터 및 음식물 섭취, 운동시간, 수면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조건입력 데이터, 사용자 관련 정보를 전송하는 단말기와, 상기 단말기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주기적으로 수신되는 해당 사용자의 혈당측정 데이터의 변화율을 연산하고, 이를 사용자별 조건부확률 및 통계 특성에 의거한 평균치 또는 기준치와 비교분석 및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이력을 생성하며, 그 비교분석 결과에 따른 경고 메시지 레벨을 독출하여 상기 단말기로 혈당측정 데이터의 변화율, 비교분석 결과 및 경고 메시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전송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측정 데이터를 이용한 건강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양태는 사용자의 혈당측정 데이터의 변화율이 특정 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혈당측정 데이터의 변화율 및 조건입력 데이터를 수신하고, 그에 기반하여 해당 사용자의 건강상태에 따른 적절한 진단 및 처방을 생성하여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의료기관 서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은 환자 등의 사용자가 의료기관에 직접 방문하지 않고도 원격지에서 전문의 등으로부터 신속 정확하게 진단 및 효과적인 처방을 받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의 해결 수단 및 구성을 갖춘 본 발명은 사용자의 혈당측정 데이터 및 음식물 섭취 여부 및 종류, 운동시간, 수면시간 등의 조건입력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 서버에 전송하여 사용자의 혈당치 변화를 사용자별 조건부확률 및 통계 특성에 의거한 이력 데이터의 평균치 또는 통상의 기준치와 비교분석하고, 그에 따른 혈당측정 데이터의 변화율을 실시간으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그 결과를 참조하여 음식물 조절, 운동요법 등과 같은 혈당 관리에 필요한 생활 습관을 체계적으로 변화 및 갱신시키는 등 적절한 조치를 신속하게 취할 수 있어 당뇨병성 합병증을 한층 효율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의료기관에 직접 방문하지 않고도 혈당측정 데이터의 변화율을 기반으로 하여 원격에서 전문의 등으로부터 신속 정확하게 진단 및 효과적인 처방을 받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강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강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함을 명시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강관리 시스템은 자가혈당측정기(10), 단말기(20), 관리 서버(30) 및 의료기관 서버(4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자가혈당측정기(10)는 사용자의 혈당을 주기적으로 측정하여 혈당치를 유선 또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단말기(20)에 전송한다.
이러한 자가혈당측정기로(10)는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혈당측정 데이터를 시간대별 등의 특정 주기를 두고 단말기(20)로 전달하기 위한 통신모듈이 구비되어 있고, 라만분광법, 초단파 등을 이용하여 피를 뽑지 않고 전기 역삼투압 방식으로 일정시간마다 연속적으로 혈당 수치를 측정하는 비침습식 무채혈 혈당측정기를 채용할 수 있다.
여기서 혈당측정 데이터는 혈당치(blood glucose level)를 의미할 수 있으며, 통신모듈은 블루투스, USB, Wireless Lan(WLAN) 등의 단말기(20)와 상호 접속 연결을 위한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단말기(20)는 자가혈당측정기(10)에 의해 획득된 혈당측정 데이터 및 사용자의 음식물 섭취 여부, 운동시간, 수면시간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조건입력 데이터를 사용자 관련 정보와 함께 이동 통신망, Wireless Lan(WLAN) 등의 네트워크를 통해 주기적으로 관리 서버(30)로 전송한다.
여기서 사용자 관련 정보는 사용자의 식별이 가능한 고유 ID 및 혈당측정 시간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조건입력 데이터는 혈당을 변화시키는 요인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혈당 측정자)의 특성, 사용자가 음식물을 섭취한 시각, 혈당을 측정한 시각, 사용자가 섭취한 음식물의 종류 또는 성분, 사용자가 섭취한 음식물의 양, 사용자가 투약하는 인슐린 관련 정보, 사용자가 복용하는 혈당 약 관련 정보 등이 있다.
또한, 사용자의 특성은 나이, 키, 몸무게, 성별, 근육량의 보유 정도 등과 같은 개인의 신체 및 건강상태에 대한 정보와 병력, 가족력, 약 복용 또는 인슐린 투약 등의 다양한 이력 기록이나 직업, 스트레스를 받는 정도, 정기적인 운동 여부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단말기(20)로는 유선망을 통해 인터넷에 접속 가능하고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입력 및 디스플레이를 통해 처리 결과를 출력 가능한 컴퓨터나 무선망을 통해 인터넷에 접속 가능한 이동 단말기, PDA, 스마트 폰 혹은 원격 모니터링 장치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20)는 자가혈당측정 기능이 내장 또는 탑재된 혈당측정기 일체형 단말기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관리 서버(30)는 단말기(20)들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의 시간대별 혈당측정 데이터의 변화율을 연산하고, 이를 사용자별 조건부확률 및 조건입력 데이터에 따른 통계 특성에 의거하여 산출되는 평균치 또는 기준치와 비교분석하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이력을 생성 및 누적 관리하며, 그 비교분석 결과에 따른 경고 메시지 레벨을 결정하여 단말기(20)들로 해당 사용자의 혈당측정 데이터의 변화율 및 비교분석 결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전송하고, 또 현재의 혈당치가 이력 데이터에 의한 평균치 또는 기준치보다 높으면 경고 메시지를 전송한다.
여기서 사용자별 조건부확률은 사용자의 연령이나 신체 특성을 구분하여 공복시 정상 혈당 범위(80~120mg/dl)를 각기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조건입력 데이터에 따른 통계 특성(평균, 분산)에 의거하는 평균치 또는 기준치는 해당 혈당측정 데이터에 대해 평균적으로 추정된 값, 혈당의 변화 패턴을 나타내는 복수의 파라미터 각각에 대하여 추정된 값, 혈당을 변화시키는 요인이 발생한 시각과 관련된 혈당 측정시간에 따라 추정된 값, 혈당을 변화시키는 요인에 대해 장기간 수집한 데이터 값, 조건입력 데이터의 입력 항목이나 조건에 따라 분류되어 관리는 값 예를 들어, 음식물 섭취의 경우 그 종류에 따라 구분하여 생성되는 값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혈당측정 데이터와 비교하기 위한 평균치 또는 기준치는 가장 최근의 일정기간 평균값을 참조하여 새로이 갱신될 수 있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혈당측정 데이터는 하루 동안의 시간대별 변화율과 시간대별 변화율 중에서 조건입력 데이터에 따른 변화를 구분하여 저장 관리할 수 있다.
그리고 관리 서버(30)는 단말기(20)들로부터 수신된 혈당측정 데이터와 유사한 혈당치에 대응하는 혈당 관리정보를 해당 단말기(2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단말기(20)를 통해 출력되는 혈당 관리정보를 참조하여 혈당 변화율 및 패턴을 조회할 수 있고, 그에 따른 식이요법, 운동 또는 혈당 약 투약 등의 혈당 관리를 위해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어떤 음식물을 섭취 시 혈당의 증가율 또는 감소율을 확인할 수 있고, 또 운동 혹은 수면 시의 혈당 변화 등을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관리 서버(30)는 다중의 사용자를 지원하기 위해 복수 개의 단말기(20)들과 유선 또는 무선망을 통해 각각 연결되어 각 사용자의 신상, 인적 사항, 병력 등의 관련 정보를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및 사용자별 계정 및 식별 기호를 이용하여 관리한다.
여기서 관리 서버(30)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는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혈당측정 데이터를 참조하여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갱신될 수 있다.
또한, 관리 서버(30)는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의 등록된 의료기관 서버(40)로 혈당측정 데이터의 변화율, 조건입력 데이터, 비교분석 결과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주기적으로 전송한다.
아울러 관리 서버(30)는 혈당측정 데이터의 변화율이 정상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의료기관 서버(40)로 진료 또는 소견을 요청한다.
또한, 관리 서버(30)는 단말기(20)의 사용자에 의해 등록된 진료 및 소견 요청에 따라 의료기관 서버(40)로부터 수신된 전문의의 소견서, 진단서, 처방전 등의 진료확인서를 저장 및 관리하고, 그 중 일부 또는 전체를 단말기(20)로 전송한다. 이때, 진료확인서는 단문 메시지, 음성 메시지 및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자영수증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생성 및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관리 서버(30)는 데이터베이스에 의료기관 서버(40)로부터 수신된 진료확인서를 작성한 해당 전문의가 근무하는 기관의 명칭 정보, 해당 전문의가 소속되어 있는 전공 의료 분야, 해당 전문의의 성명 정보, 약 또는 약물의 지급이 필요할 경우 생성되는 처방전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저장한다.
한편, 단말기(20) 및 관리 서버(30)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들은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에 해당할 수도 있으며, 각 프로세서는 다수의 논리 게이트들의 어레이로 구현될 수도 있고, 범용적인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이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의료기관 서버(40)는 관리 서버(30)로부터 혈당측정 데이터의 변화율 및 조건입력 데이터를 수신하고, 그에 기반하여 해당 사용자의 건강상태에 따른 식이요법, 운동시간, 정밀진단 시기 등의 적절한 진단 및 처방을 생성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해당 사용자의 단말기(20)로 전송한다.
또한, 의료기관 서버(40)는 사용자의 혈당측정 데이터의 변화율이 특정 값을 초과하는 경우나 관리 서버(30)로부터 진료 또는 소견 요청을 수신하면 진료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 즉, 혈당 측정값, 개인의 신상 및 신체 정보, 병력 등을 담당 주치의, 전문의 등의 의료 전문가의 단말기로 전송한다.
이 경우 의료 전문가는 해당 사용자의 정보를 토대로 자신의 의견을 진술하고 필요한 경우 처방전을 작성하여 의료기관 서버(40)로 전송하고, 이에 의료기관 서버(40)는 관리 서버(30)를 통해 해당 내용을 사용자의 단말기(20)로 전송한다.
여기서 의료기관 서버(40)와 단말기(20)는 인터넷 혹은 PSTN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또 의료기관 서버(40)는 단말기(20)를 통해 접수되는 사용자의 질의에 실시간으로 응답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의 사용자는 자가혈당측정기(10) 및 단말기(20)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획득한 혈당 수치를 관리 서버(30)에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당뇨병 환자를 지칭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혈당을 관리하기 위해 자가혈당측정기(10) 및 단말기(20)를 이용하는 건강한 일반인도 포함하며, 의료 전문가는 당뇨 전문의나 간호사를 지칭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건강을 관리하는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자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강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강관리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건강관리 시스템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1에 도시된 건강관리 시스템에 관하여 기술된 내용은 건강관리 방법에도 적용된다.
먼저, S100 단계에서 단말기(20)는 자가혈당측정기(10) 및 사용자로부터 혈당측정 데이터와 조건입력 데이터를 획득하여 수집한다. 즉, 통신모듈을 통하여 자가혈당측정기(10)로부터 수신하거나 단말기(2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직접 입력받을 수 있다. 이때, 입력되는 혈당측정 데이터는 혈당치, 혈당 측정시간 등을 포함하고, 조건입력 데이터는 음식물 섭취 여부, 종류 및 시간, 운동시간, 수면시간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조건입력 데이터는 식사 종료시간, 식사 때 섭취한 탄수화물의 양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단말기(20)는 고유의 ID 및 패스워드를 입력하여 관리 서버(30)로부터 회원인증과정을 거침으로써 사전 등록된 해당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S110 단계에서 관리 서버(30)는 사용자로부터 획득되어 주기적으로 입력되는 혈당측정 데이터의 변화율을 연산한다(S120)(S130).
이때, 혈당측정 데이터의 변화율이 평균치 또는 기준치와 차이가 나면 즉,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으면 샘플링 시간 간격을 줄이고(S125), 임계값보다 작으면 샘플링 시간 간격을 늘일 수도 있다(S135).
S140 단계에서 혈당측정 데이터에 의한 혈당치의 변화율이 사용자별 조건부확률 및 조건입력 데이터에 따른 통계 특성에 의거한 평균치 또는 기준치와 비교분석 및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이력을 생성한다.
이때, 조건입력 데이터를 참조하여 혈당을 변화시키는 요인이 발생한 시각과 관련된 혈당 측정시간에 따라 그룹별로 분류할 수 있고, 혈당측정 데이터에 포함된 혈당 측정시간 및 측정된 혈당치와 음식물의 종류, 운동시간, 수면시간 등의 상관 관계 그리고 혈당 관리기간 동안 축적된 정보 등을 이용하여 평균치 또는 기준치를 추정할 수 있다.
S150 단계에서 관리 서버(30)는 비교분석 결과 또는 추출된 혈당 정보에 대응하는 혈당 관리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즉, 해당 사용자의 단말기(20)를 통해 비교분석 결과 또는 혈당 관리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하거나, 또는 경고 메시지 형태로 단말기에 표시하게 한다. 이때, 혈당 관리정보는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혈당 정보와 유사한 혈당 정보에 대응하는 상세한 정보를 의미한다.
여기서 추정된 평균치 또는 기준치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복수의 혈당 정보들을 비교하여 유사도를 판단할 수도 있다. 이때, 유사도 판단의 동일한 파라미터에 대한 디스턴스를 계산하여 유사도를 판단한다.
그리고 판단된 유사도에 따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복수의 혈당 정보들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혈당 정보를 추출한 후 그 혈당치를 변화시키는 요인 예를 들어, 식이요법, 운동요법, 인슐린 투약 등에 따른 혈당 변화량을 예측하여 단말기(2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즉, 혈당치는 24시간 연속적 혹은 실시간으로 측정이 힘들고, 식사 시간에 따라 측정된 혈당치의 의미가 달라지고, 사용자 개개인마다 신체적 특성에 따른 인슐린 반응성 또는 탄수화물 반응성에 대한 차이를 가지므로 그룹별로 파라미터에 대한 기준값을 추정하여 유사도를 판단함으로써 유사한 혈당 정보를 정확하게 추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추출된 혈당 정보에 대한 혈당 관리정보를 참조하여 개인별 맞춤형으로 음식물 조절, 운동요법 등과 같은 혈당 관리에 필요한 적절한 조치를 신속하게 취하여 당뇨병성 합병증을 예방하는 등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은 물론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 변경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자가혈당측정기 20: 단말기
30: 관리 서버 40: 의료기관 서버

Claims (4)

  1. (A) 자가혈당측정기와 연결된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자가혈당측정기로부터 획득된 사용자의 혈당측정 데이터 및 음식물 섭취, 운동시간, 수면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조건입력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단말기들로부터 주기적으로 입력되는 해당 사용자의 혈당측정 데이터의 변화율을 연산하고, 이를 사용자별 조건부확률 및 조건입력 데이터에 따른 통계 특성에 의거한 평균치 또는 기준치와 비교분석 및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이력을 생성하며, 그 비교분석 결과에 따른 경고 메시지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
    (C)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단말기들로 해당 사용자의 상기 혈당측정 데이터의 변화율, 비교 분석 결과 및 경고 메시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혈당측정 데이터를 이용한 건강관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이후로,
    (D) 상기 관리 서버가 네트워크를 통해 해당 사용자의 등록된 의료기관 서버로 상기 혈당측정 데이터의 변화율, 조건입력 데이터, 비교분석 결과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혈당측정 데이터를 이용한 건강관리 방법.
  3.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혈당측정 데이터를 외부로 전달하기 위한 통신모듈이 구비된 자가혈당측정기;
    상기 자가혈당측정기와 연결되어 혈당측정 데이터 및 음식물 섭취, 운동시간, 수면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조건입력 데이터, 사용자 관련 정보를 전송하는 단말기;
    상기 단말기들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주기적으로 수신되는 해당 사용자의 혈당측정 데이터의 변화율을 연산하고, 이를 사용자별 조건부확률 및 조건입력 데이터에 따른 통계 특성에 의거한 평균치 또는 기준치와 비교분석 및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이력을 생성하며, 그 비교분석 결과에 따른 경고 메시지 레벨을 독출하여 상기 단말기로 혈당측정 데이터의 변화율, 비교분석 결과 및 경고 메시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전송하는 관리 서버;
    를 포함하는 혈당측정 데이터를 이용한 건강관리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혈당측정 데이터의 변화율 및 조건입력 데이터를 수신하고, 그에 기반하여 해당 사용자의 건강상태에 따른 적절한 진단 및 처방을 생성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의료기관 서버를 더 포함하는 혈당측정 데이터를 이용한 건강관리 시스템.
KR1020120059466A 2012-06-01 2012-06-01 혈당측정 데이터를 이용한 건강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301356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9466A KR20130135677A (ko) 2012-06-01 2012-06-01 혈당측정 데이터를 이용한 건강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9466A KR20130135677A (ko) 2012-06-01 2012-06-01 혈당측정 데이터를 이용한 건강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5677A true KR20130135677A (ko) 2013-12-11

Family

ID=49982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9466A KR20130135677A (ko) 2012-06-01 2012-06-01 혈당측정 데이터를 이용한 건강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35677A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16003A1 (ko) * 2015-12-30 2017-07-06 주식회사 아이센스 당뇨병 증상을 가진 사용자에 운동량을 고려한 개인화된 음식 추천 방법
KR101867983B1 (ko) * 2016-06-21 2018-06-15 송제윤 그룹 기반의 당뇨 정보 공유 지원 장치 및 방법과, 상기 방법에 관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WO2019009610A1 (ko) * 2017-07-06 2019-01-10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단말 장치를 이용한 당뇨병 환자의 혈당 관리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326690B1 (ko) * 2021-05-18 2021-11-16 주식회사 사운드바디 비침습 혈당측정기를 이용한 혈당관리 방법
KR102346233B1 (ko) * 2020-08-14 2022-01-05 주식회사 이피아이랩 생체신호 분석 기반 코골이 분석과 질병 진단 예측 서비스를 제공하는 코골이 분석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2350334B1 (ko) * 2020-11-23 2022-01-19 주식회사 엔젤 스마트 녹즙기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WO2022065569A1 (ko) * 2020-09-22 2022-03-31 큐어스트림(주) 혈당 조절 시스템 및 방법
KR102418339B1 (ko) * 2021-08-13 2022-07-08 주식회사 유투메드텍 연속혈당 데이터를 이용한 혈당 수치 추출 장치 및 그 방법
KR102418338B1 (ko) * 2021-08-13 2022-07-08 주식회사 유투메드텍 연속혈당 데이터를 이용한 공복 혈당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WO2023208139A1 (zh) * 2022-04-29 2023-11-0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健康分析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20240016650A (ko) 2022-07-29 2024-02-06 주식회사 메디컬에이아이 심전도에 기반한 혈당의 실시간 수치 및 관리 정도를 계측하는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16003A1 (ko) * 2015-12-30 2017-07-06 주식회사 아이센스 당뇨병 증상을 가진 사용자에 운동량을 고려한 개인화된 음식 추천 방법
KR101867983B1 (ko) * 2016-06-21 2018-06-15 송제윤 그룹 기반의 당뇨 정보 공유 지원 장치 및 방법과, 상기 방법에 관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WO2019009610A1 (ko) * 2017-07-06 2019-01-10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단말 장치를 이용한 당뇨병 환자의 혈당 관리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346233B1 (ko) * 2020-08-14 2022-01-05 주식회사 이피아이랩 생체신호 분석 기반 코골이 분석과 질병 진단 예측 서비스를 제공하는 코골이 분석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220021900A (ko) * 2020-08-14 2022-02-22 주식회사 이피아이랩 생체신호 분석 기반 코골이 분석과 질병 진단 예측 서비스를 제공하는 코골이 분석 서비스 시스템
KR20220021899A (ko) * 2020-08-14 2022-02-22 주식회사 이피아이랩 생체신호 분석 기반 코골이 분석과 질병 진단 예측 서비스를 제공하는 코골이 분석 서비스 방법
WO2022065569A1 (ko) * 2020-09-22 2022-03-31 큐어스트림(주) 혈당 조절 시스템 및 방법
US11969114B2 (en) 2020-11-23 2024-04-30 Angel Co., Ltd. Smart juicer system for green vegetable ju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350334B1 (ko) * 2020-11-23 2022-01-19 주식회사 엔젤 스마트 녹즙기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KR102326690B1 (ko) * 2021-05-18 2021-11-16 주식회사 사운드바디 비침습 혈당측정기를 이용한 혈당관리 방법
KR102418338B1 (ko) * 2021-08-13 2022-07-08 주식회사 유투메드텍 연속혈당 데이터를 이용한 공복 혈당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WO2023017920A1 (ko) * 2021-08-13 2023-02-16 주식회사 유투메드텍 연속혈당 데이터를 이용한 혈당 수치 추출 장치 및 그 방법
KR102418339B1 (ko) * 2021-08-13 2022-07-08 주식회사 유투메드텍 연속혈당 데이터를 이용한 혈당 수치 추출 장치 및 그 방법
WO2023208139A1 (zh) * 2022-04-29 2023-11-0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健康分析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20240016650A (ko) 2022-07-29 2024-02-06 주식회사 메디컬에이아이 심전도에 기반한 혈당의 실시간 수치 및 관리 정도를 계측하는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35677A (ko) 혈당측정 데이터를 이용한 건강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US11389090B2 (en) Intermittent monitoring
JP5926517B2 (ja) 個人の健康およびウェルネスの管理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その命令を含む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非一時的コンピュータ可読記憶媒体
JP7463590B2 (ja) 生理学的パラメータ分析のための方法、デバイスおよびシステム
US20140236025A1 (en) Personal Health Monitoring System
JP2008546117A (ja) 疾患予後の動的定量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110032637A (ko) 혈당 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US20160275254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Tracking Patient Health
US2011020190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edicting Patient Health Problems and Providing Timely Intervention
US20180060518A1 (en) Electronic community medical marijuana network
KR102028674B1 (ko) 단말을 이용한 진료 예약, 접수 방법, 서버 및 프로그램
US20210361199A1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of analyte monitoring
Marian Artificial Intelligence Expert System Based on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CGM) Data for Auto-Adaptive Adjustment Therapy Protocol–How to Make Sensors and Patients to Think Forward and Work Together?
WO2021087608A1 (en) System and method for evaluating glucose homeostasis
KR102028676B1 (ko) 병원 진료 애프터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 서버 및 프로그램
US10390772B1 (en) Scale-based on-demand care system
US11322250B1 (en) Intelligent medical care path systems and methods
JP2023513805A (ja) 意思決定サポートおよび治療投与システム
US11793471B2 (e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a diabetes treatment plan
US11998322B2 (en) Intermittent monitoring
US20220230751A1 (en) Decision support system, and method in relation thereto
JP2024079874A (ja) 生理学的パラメータ分析のための方法、デバイスおよびシステム
KR20210135406A (ko) 원격 의료 상담 시스템
WO2023219847A1 (en) Cost-effective therapy recommendations
Pielmeier et al. When to measure blood glucose-Cohort-specific glycaemic contr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