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2486B1 - 혈당 측정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혈당 측정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2486B1
KR101832486B1 KR1020110014424A KR20110014424A KR101832486B1 KR 101832486 B1 KR101832486 B1 KR 101832486B1 KR 1020110014424 A KR1020110014424 A KR 1020110014424A KR 20110014424 A KR20110014424 A KR 20110014424A KR 101832486 B1 KR101832486 B1 KR 1018324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od glucose
glucose level
reference blood
nfc
measuremen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4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5037A (ko
Inventor
김준형
이종효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144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2486B1/ko
Publication of KR201200950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50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2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24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7Devices characterised by integrated means for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within the blood, pH-value of blood
    • A61B5/1405Devices for taking blood samples
    • A61B5/1411Devices for taking blood samples by percutaneous method, e.g. by lance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23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reader and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selectively switching between reader and record carrier appearance, e.g. in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devices where the NFC device may function as an RFID reader or as an RFID ta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Hematology (AREA)
  • Pa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oxicolo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침습형 혈당 측정 장치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기준 혈당치 측정 장치에서 기준 혈당치를 측정하면, 헬스 게이트웨이가 상기 기준 혈당치를 비침습형 혈당 측정 장치로 제공하고, 이에 따라 비침습형 혈당 측정 장치에서 기준 혈당치를 이용하여 측정된 혈당치를 조정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이렇게 함으로써 비침습형 혈당 측정 장치에서는 기준 혈당치에 의하여 자동으로 보정(Calibration)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혈당 측정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ING ACCURACY OF BLOOD SUGAR MEASUREMENT}
본 발명은 혈당량 측정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혈당 측정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에는 개선된 생활 환경으로 인해 성인병이 증가하게 되었고, 이로 인해 사용자들은 종래에 비하여 건강에 더 높은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그 중에서도 고혈압, 당뇨병 등과 같은 성인병은 점차 환자가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만성 질환 환자의 경우 병원 방문도 필요하지만 자신이 직접 주기적으로 혈압, 혈당량을 확인함으로써 수시로 자신의 상태를 추적 검사해야 하고 그에 대한 적절한 대응을 취해야 한다. 예를 들어, 당뇨병 환자들은 혈액 중의 혈당치를 주기적으로 측정하여 적절한 혈당치로 유지 조절하기 위해 하루에 약 6번 정도의 혈당을 모니터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이들을 위한 혈압계, 혈당계, 인슐린 펌프 등의 휴대용 개인 의료 기기의 확산 속도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상기와 같은 의료 기기 및 의료 서비스에 대한 표준화 작업이 활성화되고 있고, 이에 따라 이를 활용하는 개인 의료 기기와 서비스들이 보급되고 있다.
현재 혈당을 측정하는 의료 기기 중의 하나로 침습형 혈당계가 있다. 이러한 침승형 혈당계를 이용한 방식은 바늘을 피부아래로 침투시켜 직접 피를 채취한 후 혈당량을 검사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채혈하는 과정에서 환자는 매번 바늘을 찔렀을 때의 고통을 느낄 수 있으며, 바늘을 찌른 부위에 대한 감염의 부담도 따른다. 이와 같이 침습형 혈당계는 사용자에게 불편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바늘을 이용하지 않고 피부 아래의 세포간액의 혈당량을 측정할 수 있는 비침습형 혈당계가 개발되었다. 비침습형의 경우 피를 직접 채취하지 않으므로 위에서 언급한 사용자의 불편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당뇨병 환자의 경우 하루에 보통 수 번의 혈당량을 확인해야 하는데, 침습형 혈당계는 매번 바늘을 이용하여 혈당량을 측정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불편을 초래할 수 있다. 이에 반해, 비침습형의 경우 사용자의 불편을 줄일 수 있으나 혈액에서 직접 혈당량을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세포간액이라는 매개물을 통해 혈당량을 측정하게 되므로 측정하는 시점에서의 혈당량이 실제 환자의 혈당량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환자의 신체 조건이나 날씨 그 외의 외부조건에 따라 그 차이가 유동적으로 변하게 되므로 침습형에 비해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비침습형 혈당계를 이용할 경우 침습형 혈당계와의 차이를 수정하기 위한 보정(Calibration) 절차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혈당 측정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비침습형 혈당계를 이용할 경우 침습형 혈당계와의 차이를 수정하기 위해 보정(Calibration)을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한 바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혈당 측정 장치와 연결되는 헬스 게이트웨이에서 혈당 측정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혈당 측정 장치에서의 측정된 혈당치의 보정에 이용되는 기준 혈당치를 인접한 기준 혈당치 측정 장치의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그로부터 읽어오는 과정과, 상기 읽어온 기준 혈당치를 상기 혈당 측정 장치로 전달하기 위해 상기 혈당 측정 장치의 NFC 태그에 라이트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혈당 측정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헬스 게이트웨이에 있어서, 혈당 보정을 위한 서비스를 시작하기 위한 NFC 구동부와, 상기 NFC 구동부로부터 CONNECT 명령이 전달됨에 따라 상기 혈당 측정 장치에서의 측정된 혈당치의 보정에 이용되는 기준 혈당치를 인접한 기준 혈당치 측정 장치의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그로부터 읽어오고, 상기 읽어온 기준 혈당치를 상기 혈당 측정 장치로 전달하기 위해 상기 혈당 측정 장치의 NFC 태그에 라이트하는 NFC 리드-라이트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비침습형 혈당 측정 장치의 정확성을 보다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비침습형 혈당 측정 장치에 대한 보정 절차를 자동으로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시키는 이점이 있다. 또한, 헬스 게이트웨이와 같은 제3기기의 도움을 얻어 추가적인 보정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조금 더 정확한 신체 측정값을 수집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혈당 보정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기준 혈당치 제공을 위한 메시지 포맷,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준 혈당치 측정 장치의 내부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스 게이트웨이의 내부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침습형 혈당 측정 장치의 내부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스 게이트웨이에서의 동작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혈당치 조정 과정을 보인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소자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소정의 변형이나 혹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후술될 상세한 설명에는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있어서 대표적인 실시 예를 제시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IEEE EMB(Engineering in Medicine and Biology society)에서 정의한 IEEE 11073 규격을 참조하여 개체들의 명칭들을 사용할 것이나, 이러한 표준 및 명칭들이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유사한 기술적 배경을 가지는 시스템에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비침습형 혈당 측정 장치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기준 혈당치 측정 장치에서 기준 혈당치를 측정하면, 헬스 게이트웨이가 상기 기준 혈당치를 비침습형 혈당 측정 장치로 제공하고, 이에 따라 비침습형 혈당 측정 장치에서 기준 혈당치를 이용하여 측정된 혈당치를 조정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이렇게 함으로써 비침습형 혈당 측정 장치에서는 기준 혈당치에 의하여 자동으로 보정(Calibration)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커넥티트(connected) 헬스 서비스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커넥티트 헬스 서비스란 소비자, 환자가 직접 병원이나 전문가를 찾아가지 않고도 댁 내에서 의료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서비스를 말한다. 이러한 커넥티트 헬스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환자의 헬스 및 웰니스(wellness) 관리, 만성질환자 관리, 노인 관리를 목표로 하는 Continua라는 표준 단체가 있다.
Continua 규격은 환자의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sensor)와 댁내에서 센서의 측정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AHD(Application Hosting Device)를 정의하였다. 또한 AHD로부터 수집한 정보를 전달받기 위한 일종의 의료 관리 서비스 사업자인 WAN 장치(device)와 의료 관리 서비스 사업자로부터 의료 데이터를 전달받는 병원, 보험사 등의 역할을 수행하는 HRN 장치를 정의하고 있다. 특히 댁 내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해 센서와 AHD간의 인터페이스로 LAN(Local Area Network) 인터페이스와 PAN(Personal Area Network) 인터페이스를 정의하였다.
Continua는 헬스 케어를 위한 센서 기기의 특성 및 기능을 표현하기 위해 IEEE EMB에서 정의한 IEEE 11073 규격을 참조한다. IEEE 11073은 헬스 센서의 정보를 표현하며, 센서가 측정한 데이터를 AHD로 전달하기 위한 데이터 모델, 그리고 데이터 교환을 위한 프로토콜을 정의하고 있다. 즉 IEEE 11073 규격내에는 혈압계, 체중계, 혈당계, 심전도계 등의 각 헬스 디바이스를 디바이스 표준(Device Specialization)으로 각각 정의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비침습형 혈당 측정 장치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혈당 보정 시스템의 구성 요소 및 그 동작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기준 혈당치 측정 장치(100)는 환자로부터 혈당 보정을 하는데 필요한 기준 혈당치를 측정한다. 이러한 기준 혈당치 측정 장치(100)는 보정 도구(Calibration Tool)로써, 기준 혈당치는 헬스 게이트웨이(110)로 전달된다. 이러한 기준 혈당치는 환자가 직접 하지 않고 별도의 의료 전문가 또는 의료 사업자에 의해 제공될 수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논외이므로 상세한 기술을 하지 않는다. 이러한 기준 혈당치 측정 장치(100)로는 침습형 혈당계가 해당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혈당 보정 시스템에 따르면, 한 번의 채혈로 획득한 기준 혈당치를 반복적인 혈당 보정 과정에 이용할 수 있으므로, 비침습형 혈당 측정 장치(120)에서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기준 혈당치 측정 장치(100)는 환자 체내의 혈액을 채혈하여 혈당량을 측정한 측정치를 그대로 기준 혈당치로써 헬스 게이트웨이(110)에 제공할 수 있으나, 다르게는 기준 혈당치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혈당량을 측정한 측정치에 대해 유효 기간과 연계하는 등의 별도의 사전 처리를 적용할 수도 있다.
한편, 헬스 게이트웨이(110)는 기준 혈당치를 혈당 측정 장치(120)로 전달한다. 이때, 헬스 게이트웨이(110)는 기준 혈당치 측정 장치(100)로부터 전달된 기준 혈당치 그대로 혈당 측정 장치(120)로 전달하거나 자신이 가지고 있는 추가 정보를 반영한 기준 혈당치를 전달할 수도 있다.
이후, 환자가 비침습형 혈당 측정 장치(120)를 이용하여 자신의 혈당을 측정하게 되면, 혈당 실측정치와 기준 혈당치를 비교한다. 구체적으로, 혈당 측정 장치(120)는 이러한 비교 과정을 통해 혈당 실측정치와 기준 혈당치 간의 차이를 계산하여 그 차이만큼의 보정을 수행함으로써 혈당치를 조정한다. 이에 따라 비침습형 혈당 측정 장치(120)를 이용하여 측정된 혈당치는 기준 혈당치에 의해 보정되어 최종 결과로 보여진다.
이렇게 조정된 혈당치는 다시 헬스 게이트웨이(110)에 전달되며, 헬스 게이트웨이(110)가 이를 관리한다. 헬스 게이트웨이(110)는 수집된 환자의 상태 정보를 다시 의료 사업자 또는 의료 전문가에게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헬스 게이트웨이(110)의 예로는 댁 내에 있는 의료 데이터 수집을 위한 PC가 해당될 수 있다.
이러한 보정의 결과는 비침습형 혈당 측정 장치(120)를 통해 사용자가 직접 확인할 수 있으며, 또한 일정 주기로 측정된 데이터들은 다시 PC로 전달되어 PC에서 사용자에게 보여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환자는 수동으로 보정값을 비침습형 혈당계에 매번 입력하지 않고도 최종 결과를 볼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2는 기준 혈당치 제공을 위한 메시지 포맷을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메시지 포맷은 크게 제어부분과 데이터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준 혈당치는 데이터 필드 부분(230)에 포함되어 전달된다. 제어 필드 부분은 방향 플래그(Direction Flag)(200), 요청/응답 플래그(Req/Res Flag)(210) 및 상태 플래그(State Flag)(220)로 구성된다. 이러한 제어 필드 부분의 각 플래그에 대한 값과 내용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면 하기 표 1과 같으며, 각 플래그에 대한 값과 내용은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Figure 112011011704863-pat00001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방향 플래그는 메시지의 전달 방향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만일 방향 플래그가 0x00 의 값을 가지면 이 메시지는 헬스 게이트웨이(110)에서 혈당 측정 장치(120)로 전송되는 메시지라는 것을 의미한다. 방향 플래그가 0x01의 값을 가지면 혈당 측정 장치(120)에서 헬스 게이트웨이(110)로 전달되는 메시지라는 것을 의미한다.
요청/응답 플래그(Req/Res Flag)가 0x00의 값을 가지면 이 메시지가 특정 동작을 요청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만일 요청/응답 플래그가 0x01의 값을 가지면 이 메시지가 특정 요청에 대한 응답의 목적으로 사용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태 플래그는 현재 기준 혈당치 측정 장치(100)의 상태정보를 알려주기 위한 것으로 0x00의 값을 가지면 현재 기준 혈당치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며, 0x01은 기준 혈당치를 가지고 있는 상태를 의미하며, 0x02는 이미 기준 혈당치를 전송하고 있는 상태임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실시 예로 설명하는 NFC (Near Field Communication)의 경우, 상기 기준 혈당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시키기 위한 Calibration Record Type Definition(RTD)를 새롭게 정의하여 NFC Data Exchange Format(NDEF)에 포함시켜 전달한다.
예를 들어, 기준 혈당치 측정 장치(100)가 기준 혈당치를 측정하지 않아 기준 혈당치가 없거나, 유효기간 내의 기준 혈당치가 없을 경우 ‘No Data’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한 채혈이 수행되면, 기준 혈당치 측정 장치(100)의 상태는‘Data Available’ 상태로 천이가 된다. 미리 설정된 유효기간 내에서 기준 혈당치 측정 장치(100)의 상태는 ‘Data Available’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헬스 게이트웨이(110)와 연결이 되면 기준 혈당치가 전송되면서 ‘Data Transmitting’ 상태로 천이되며 연결이 종료되면 다시 ‘Data Available’ 상태로 천이된다. 미리 설정된 유효시간이 지나면 기준 혈당치가 유효하지 않으므로 ‘No Data’상태로 천이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비침습형 혈당 측정 장치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침습형 혈당계와 같은 기준 혈당치 측정 장치(100)를 통해 보정에 필요한 기준 혈당치를 획득하고, 이 기준 혈당치를 비침습형 혈당 측정 장치(120)에서의 실측정치에 반영함으로써 최종 측정 결과를 얻게 된다. 이때, 비침습형 혈당 측정 장치(120) 및 기준 혈당치 측정 장치(100)는 둘 다 환자의 혈당을 측정하기 위한 휴대용 소형 센서에 해당하므로, 상호 간의 통신을 위해 헬스 게이트웨이(110)가 중간 매개체 역할을 한다. 이러한 헬스 게이트웨이(110)와 기준 혈당치 측정 장치(100) 간의 통신 및 헬스 게이트웨이(110)와 혈당 측정 장치(120) 간의 통신은 NFC 방식에 따른다. 기준 혈당치 측정 장치(100)의 경우 필요에 따라 헬스 게이트웨이(110)와 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서는 NFC 방식을 이용한 혈당 보정 방법을 예로 들어 설명하며, 이에 따라 기준 혈당치 측정 장치(100), 헬스 게이트웨이(110) 및 혈당 측정 장치(120)도 NFC 방식을 기반으로 동작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먼저, NFC 방식에 따른 기준 혈당치 측정 장치(100)의 구성 요소 및 그 동작을 살펴보기 위해 도 3을 참조한다. 도 3을 참조하면, 기준 혈당치 측정 장치(100)는 NFC 태그(Tag) 타입의 기기이다. 이에 따라 기준 혈당치 측정 장치(100)는 NFC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NFC 태그 모듈(310)과, 기준 혈당치를 획득한 후 유효 기간 등을 명시하는 등의 사전 처리를 수행하는 기준 혈당치 처리부(300), NFC 태그 모듈(310)에 데이터를 읽고 쓰거나 기준 임계치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저장부(320) 및 필요에 따라 기준 임계치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보여주기 위한 UI 처리부(330)로 구성된다.
사용자가 채혈을 통한 혈당 측정을 시작하면, 기준 혈당치 처리부(300)는 측정된 혈당치를 데이터 저장부(320)에 전달한다. 이때, 측정된 혈당치가 그대로 기준 혈당치로 사용될 수 있으며, 다르게는 별도의 처리 과정을 거쳐 기준 혈당치가 만들어질 수 있다. 데이터 저장부(320)는 기준 혈당치를 저장하고 있으며, 보정의 종류에 따라 기준 혈당치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부가적인 데이터를 함께 저장하고 있다. 데이터 저장부(320)는 NFC 태그(310)를 통해 기준 임계치를 전달할 수 있도록 NFC 태그(310)에 기준 임계치를 저장할 수 있다.
도 4는 혈당 측정 장치(120)의 상세 기능 블록도이다. 혈당 측정 장치(120)는 비침습형 혈당계로써, 기준 혈당치 측정 장치(100)에서와 유사하게 NFC 태그 타입이다. 이러한 혈당 측정 장치(120)는 NFC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NFC 태그(Tag) 모듈(420), NFC 태그(420)에 데이터를 읽고 쓰거나, 신체 측정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저장부(430), 신체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부(400), 기준 혈당치를 이용해 측정한 신체 정보를 보상하기 위한 혈당치 조정부(410), 신체 측정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의료 데이터 처리부(450) 및 사용자에게 측정값을 보여주는 UI 처리부(4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의료 데이터 처리부(450)는 IEEE 11073 규격에 따라 의료 데이터를 처리한다.
먼저, NFC 태그(420) 모듈은 헬스 게이트웨이(110)로부터 기준 혈당치를 전달받아 데이터 저장부(430)로 전송하고, 데이터 저장부(430)는 다시 기준 혈당치를 혈당치 조정부(410)로 전송한다. 이후, 사용자가 측정부(400)를 이용하여 자신의 신체 정보를 측정하면 측정된 신체 정보는 혈당치 조정부(410)로 전달된다. 그러면 혈당치 조정부(410)는 기준 혈당치를 이용해서 측정된 신체 정보에 대한 보상을 해서 정확한 측정값을 계산한다. 보상된 측정값은 의료 데이터 처리부(450)로 전달되어, IEEE 11073 규격에 따라 IEEE 11073 메시지로 만들어진다. IEEE 11073 메시지는 다시 데이터 저장부(430)로 전달되어 NFC 태그(420)를 통해 헬스 게이트웨이(110)에게 전달된다.
도 5는 헬스 게이트웨이(110)의 상세 기능 블록도이다. 헬스 게이트웨이(110)는 응용 서비스 시작을 위한 NFC 구동부(500), 혈당 측정 장치(120) 및 기준 혈당치 측정 장치(100)의 NFC 태그(310, 420)로부터 각각 기준 혈당치 및 조정된 혈당치, IEEE 11073 메시지를 읽어오거나 쓰기 위한 NFC 리드-라이트부(510), NFC 리드-라이트부(510)에 기준 혈당치 및 신체 측정값을 읽고, 쓰거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관리부(520), IEEE 11073 메시지를 해석하고 처리하기 위한 의료 데이터 처리부(550), 사용자에게 신체 측정 데이터를 보여주기 위한 UI 처리부(530), 서비스 사업자에게 측정된 신체 정보를 전달하도록 연결 설정을 위한 서비스 연결부(560)을 포함한다. 여기서, 데이터 관리부(520)는 수집된 신체 측정 데이터를 통합 관리하고, 사용자에게 보여주기 위한 형태로 가공하거나, 서비스 사업자에게 전달하도록 가공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헬스 게이트웨이(110)는 온도, 습도 등의 추가적인 정보가 기준 혈당치에 반영될 수 있도록 가공하는 기준 혈당치 가공부(540)도 포함한다. 이러한 추가적인 정보는 데이터 관리부(520)에서 관리되며, 기준 혈당치의 신뢰성을 높이는데 이용될 수 있다.
상기와 바와 같은 헬스 게이트웨이(110)의 각 구성 요소들은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먼저, 기준 혈당치 측정 장치(100)로부터 기준 혈당치를 수신하기 위해 NFC 구동부(500)가 실행된다. NFC 구동부(500)가 실행되면 NFC 리드-라이트부(510)가 구동되게 된다. 사용자가 기준 혈당치 측정 장치(100)를 헬스 게이트웨이(110)에 인접시키게 되면, NFC 리드-라이트부(510)는 NFC 태그(310) 모듈부터 기준 혈당치를 읽어와 데이터 관리부(520)에 저장한다.
이후, 사용자가 그 기준 혈당치를 혈당 측정 장치(120)에 전달하기 위해 NFC 구동부(500)를 실행시키면, 기준 혈당치 측정 장치(100)와 마찬가지로 혈당 측정 장치(120)와의 NFC 연결이 이루어진다. NFC 리드-라이트부(510)는 데이터 관리부(520)로부터 기준 혈당치를 읽어와 혈당 측정 장치(120)의 NFC 태그(420) 모듈에 전달한다. 반면, 혈당 측정 장치(120)로부터 실제 측정값을 수신하기 위해서는 마찬가지로 NFC 구동부(500)를 통해 NFC 리드-라이트부(510)를 구동시킴으로써 혈당 측정 장치(120)와의 NFC 연결을 만든다. NFC 리드-라이트부(510)가 혈당 측정 장치(120)의 NFC 태그(420) 모듈로부터 IEEE 11073 메시지를 수신하면 의료 데이터 처리부(550)로 전달되어 IEEE 11073 메시지로부터 필요한 신체 측정값을 추출하여 데이터 관리부(520)로 전달한다.
만일 기준 혈당치 측정 장치(100)를 이용해 전달받은 기준 혈당치 외에 헬스 게이트웨이(110) 자체적인 추가 보정이 필요한 경우, 기준 혈당치 가공부(540)에서의 추가적인 보정을 거쳐 보상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절차를 거쳐 데이터 관리부(520)에 저장된 측정값은 사용자에게 보여주기 위한 형태로 가공되어 UI 처리부(530)로 전달되거나, 서비스 사업자에게 전달하기 위한 형태로 다시 가공되어 서비스 연결부(560)를 통해 서비스 사업자에게 전달될 수도 있다.
이러한 헬스 게이트웨이(110)의 동작을 도 6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600단계에서 헬스 게이트웨이(110)는 조정된 혈당치를 제공받기 위한 헬스 서비스를 실행한다. 이어, 605단계에서 헬스 게이트웨이(110)의 서비스를 구동시킨 후 기준 혈당치 측정 장치(100)의 NFC 태그를 활성화시킨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기준 혈당치 측정 장치(100)를 헬스 게이트웨이(110)에 인접시키면, 헬스 게이트웨이(110)의 NFC 리드-라이트부(Reader/Writer)가 기준 혈당치 측정 장치(100)의 NFC 태그(Tag)를 자동으로 구동시킨다.
그리고나서 헬스 게이트웨이(110)는 610단계에서 기준 혈당치를 리드한다. 이에 따라 기준 혈당치 측정 장치(100)에 저장된 도 2에서와 같은 Calibration RTD를 읽어온다. 이때, 읽어온 Calibration RTD 내의 상태 플래그(220)를 확인한다. 이에 따라 615단계에서 리드 결과 데이터 이용이 가능한지를 판단한다. 만일 기준 혈당치 측정 장치(100)의 상태가 ‘Data Available’일 경우 유효한 기준 혈당치가 존재하는 것이므로 620단계로 진행한다. 만일 기준 혈당치 측정 장치(100)의 상태가 ‘No Data’ 상태일 경우 610단계로 되돌아간다.
620단계에서 헬스 게이트웨이(110)는 이미 이전에 기준 혈당치 측정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기준 혈당치가 있을 경우는 새롭게 수신한 기준 혈당치로 기존의 기준 혈당치를 갱신한다. 이어, 625단계에서 혈당 측정 장치(120)로 하여금 혈당치 보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헬스 게이트웨이(110)는 혈당 측정 장치(120)로 기준 혈당치를 전달한다. 이후, 헬스 게이트웨이(110)는 630단계에서 혈당 측정 장치(120)가 비침습형 혈당 측정을 통한 측정치를 기준 혈당치를 이용하여 보정한 측정 결과를 혈당 측정 장치(120)로부터 제공받아 이를 수집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혈당치 조정 과정을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혈당치 조정을 위해서는 기준 혈당치 측정 장치(110)에서는 700단계에서와 같이 기준 혈당치를 획득해놓아야 한다. 이후, 헬스 게이트웨이(110)의 응용 서비스가 사용자에 의해 실행되면, NFC 구동부(500)는 702단계에서 NFC 리드-라이트부(510)로 CONNECT 명령을 전달한다.
그리고나서 NFC 리드-라이트부(510)는 705단계에서 인접한 NFC 태그(310)가 구동될 수 있도록 태그 활성화(Tag activation) 전파를 전송한다. 헬스 게이트웨이 인접해 있는 기준 혈당치 측정 장치(100)의 NFC 태그(310) 모듈은 헬스 게이트웨이의 NFC 리드-라이트부(510)가 전송하는 태그 활성화 전파를 수신하면, NFC 태그(310) 모듈을 구동시킨다. 이에 따라 710단계에서 기준 혈당치 측정 장치(100)와 헬스 게이트웨이(110) 사이에는 NFC 연결이 이루어진다.
한편, 기준 혈당치 측정 장치(100)의 NFC 태그(310)가 구동되면 NFC 태그(310)는 715단계에서 기준 혈당치 처리부(300)에 NFC 연결이 이루어졌음을 알리기 위한 CONNECT Indication 명령을 전달한다. 기준 혈당치 처리부(300)는 720단계에서 NFC 태그(310)에 WRITE 명령을 통해 기준 혈당치를 저장한다.
반면, 헬스 게이트웨이(110)의 NFC 리드-라이트부(510)는 725단계에서 NFC 구동부(500)에 NFC 연결이 이루어졌음을 알리기 위한 CONNCET Indication 명령을 전달한다. 이에 따라 NFC 구동부(500)는 730단계에서 기준 혈당치 측정 장치(100)로부터 기준 혈당치를 읽어올 수 있도록 NFC 리드-라이트부(510)에게 READ 명령을 전달한다. NFC 리드-라이트부(510)는 735단계에서 기준 혈당치 측정 장치(100)의 NFC 태그(310)로부터 Calibration RTD 를 읽어오기 위해 READ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700단계 내지 735단계에서와 같이 기준 혈당치 측정 장치(100)와 헬스 게이트웨이(110) 간의 NFC 연결에 따라 헬스 게이트웨이(110)는 기준 혈당치를 수신한 상태가 된다.
한편, 혈당 측정 장치(120)에서의 실제 측정값 보정에 필요한 기준 혈당치를 혈당 측정 장치(120)에 제공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우선, 헬스 게이트웨이(110)의 NFC 구동부(500)는 740단계에서 기준 혈당치를 혈당 측정 장치(120)에 전달하기 위해 NFC 리드-라이트부(510)에 CONNECT 명령을 전송한다. 이에 따라 NFC 리드-라이트부(510)는 745단계에서 인접한 NFC 태그(420)가 구동될 수 있도록 태그 활성화 전파를 전송한다. 헬스 게이트웨이(110)에 인접해 있는 혈당 측정 장치(120)의 NFC 태그(420) 모듈은 NFC 리드-라이트부(510)가 전송하는 태그 활성화 전파를 수신함으로써 구동된다. 이후 750단계에서 혈당 측정 장치(120)와 헬스 게이트웨이(110) 간에는 NFC 연결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혈당 측정 장치(120)의 NFC 태그(420)가 구동되면, NFC 태그(420)는 755단계에서 혈당치 조정부(410)에게 NFC 연결이 이루어졌음을 알리기 위해 CONNCET Indication 명령을 전송한다.
이와 동시에 헬스 게이트웨이(110)의 NFC 리드-라이트부(510)에서도 760단계에서 NFC 연결이 이루어졌음을 알리기 위해 CONNCET Indication 명령을 NFC 구동부(500)로 전송한다. 이어, NFC 구동부(500)는 765단계에서 데이터 관리부(520)에 저장된 기준 혈당치를 혈당 측정 장치(120)의 NFC 태그(420)에 전송하기 위해 NFC 리드-라이트부(510)에게 WRITE 명령을 전송한다. 이에 대응하여 NFC 리드-라이트부(510)는 770단계에서 WRITE 명령을 통해 저장된 기준 혈당치를 혈당 측정 장치(120)의 NFC 태그(420)에 라이트한다. 그러면 혈당치 조정부(410)는 775단계에서 NFC 태그(420)로 READ 명령을 전송하여 수신한 기준 혈당치를 읽는다. 상기와 같이 740단계 내지 775단계를 통해 헬스 게이트웨이(110)로부터 혈당 측정 장치(120)로의 기준 혈당치를 전달하는 절차가 완료된다.
이후, 사용자가 혈당 측정 장치(120)를 이용하여 자신의 상태를 측정할 때, 780단계에서와 같이 혈당치 조정이 수행된다. 구체적으로, 혈당치 조정부(410)는 기준 혈당치를 이용하여 혈당치를 조정하는 것이다. 혈당 측정 장치(120)에서의 비침습형 혈당 측정 방법에 의해 실제 측정된 혈당치를 기준 혈당치에 따라 보정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혈당치를 얻을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혈당 측정 장치(120)를 이용하여 자신의 상태를 하루에 일정 횟수 이상 측정하게 되는데, 이러한 신체 측정이 이루어질 때마다 미리 정해진 유효 기간 내에서 기준 혈당치가 반복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반복적인 채혈을 통한 보정없이 기준 혈당치를 그대로 이용하므로 사용자의 불편함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침습형 혈당 측정 방법에 의해 측정되는 혈당치의 정확도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비침습형 혈당 측정 장치(120)에서는 기준 혈당치에 의하여 자동으로 혈당 보정(Calibration)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조정된 혈당치는 785단계에서 의료 데이터 처리부(450)로 전달되어, IEEE 11073 규격에 따라 IEEE 11073 메시지로 만들어진다. 의료 데이터 처리부(450)는 790단계에서 이러한 의료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IEEE 11073 메시지를 NFC 태그(420)를 통해 헬스 게이트웨이(110)의 의료 데이터 처리부(550)로 전달한다.

Claims (15)

  1. 혈당 측정 장치와 연결되는 기준 혈당치 보정 장치에서 혈당 측정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혈당 측정 장치에서의 측정된 혈당치의 보정에 이용되는 기준 혈당치를 인접한 기준 혈당치 측정 장치의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그로부터 읽어오는 과정;
    온도 정보 및 습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기준 혈당치에 반영하여 보정된 기준 혈당치를 생성하는 과정; 및
    상기 보정된 기준 혈당치를 상기 혈당 측정 장치로 전달하기 위해 상기 혈당 측정 장치의 NFC 태그에 라이트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기준 혈당치는 미리 정해진 유효기간이 설정되고, 상기 유효기간 이내에 유효하여 상기 측정된 혈당치의 보정에 반복적으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 측정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된 혈당치는,
    비침습형 혈당 측정 방법에 의해 측정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 측정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혈당치는,
    침습형 혈당 측정 방법에 의해 획득되어 상기 기준 혈당치 측정 장치의 NFC 태그에 저장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 측정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혈당치 측정 장치의 NFC 태그로부터 읽어오는 과정은,
    상기 기준 혈당치 측정 장치의 NFC 태그로 READ 명령을 전달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 측정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혈당 측정 장치의 NFC 태그에 라이트하는 과정은,
    상기 혈당 측정 장치의 NFC 태그로 WRITE 명령을 전달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 측정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혈당 측정 장치에서 상기 기준 혈당치를 이용하여 혈당치를 조정함에 따라 상기 조정된 혈당치를 상기 혈당 측정 장치로부터 제공받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 측정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된 혈당치는,
    IEEE 11073 규격에 따라 IEEE 11073 메시지 형태로 제공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 측정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
  9. 혈당 측정 장치와 연결되는 기준 혈당치 보정 장치에 있어서,
    혈당 보정을 위한 서비스를 시작하기 위한 NFC 구동부;
    온도 정보 및 습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기준 혈당치에 반영하여 보정된 기준 혈당치를 생성하는 기준 혈당치 가공부; 및
    상기 NFC 구동부로부터 상기 혈당 측정 장치에서의 측정된 혈당치의 보정에 이용되는 상기 기준 혈당치를 인접한 기준 혈당치 측정 장치의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그로부터 읽어오고, 상기 보정된 기준 혈당치를 상기 혈당 측정 장치로 전달하기 위해 상기 혈당 측정 장치의 NFC 태그에 라이트하는 NFC 리드-라이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준 혈당치는 미리 정해진 유효기간이 설정되고, 상기 유효기간 이내에 유효하여 상기 측정된 혈당치의 보정에 반복적으로 이용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기준 혈당치 보정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된 혈당치는,
    비침습형 혈당 측정 방법에 의해 측정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기준 혈당치 보정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혈당치는,
    침습형 혈당 측정 방법에 의해 획득되어 상기 기준 혈당치 측정 장치의 NFC 태그에 저장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기준 혈당치 보정 장치.
  12. 삭제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NFC 리드-라이트부는,
    상기 기준 혈당치 측정 장치의 NFC 태그로부터 상기 기준 혈당치를 읽어오기 위해 상기 기준 혈당치 측정 장치의 NFC 태그로 READ 명령을 전달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준 혈당치 보정 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NFC 리드-라이트부는,
    상기 혈당 측정 장치의 NFC 태그에 라이트하기 위해 상기 혈당 측정 장치의 NFC 태그로 WRITE 명령을 전달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준 혈당치 보정 장치.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혈당 측정 장치에서 상기 기준 혈당치를 이용하여 혈당치를 조정함에 따라 상기 조정된 혈당치를 상기 혈당 측정 장치로부터 제공받는 의료 데이터 관리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준 혈당치 보정 장치.
KR1020110014424A 2011-02-18 2011-02-18 혈당 측정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8324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4424A KR101832486B1 (ko) 2011-02-18 2011-02-18 혈당 측정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4424A KR101832486B1 (ko) 2011-02-18 2011-02-18 혈당 측정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5037A KR20120095037A (ko) 2012-08-28
KR101832486B1 true KR101832486B1 (ko) 2018-02-26

Family

ID=46885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4424A KR101832486B1 (ko) 2011-02-18 2011-02-18 혈당 측정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24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43724A1 (de) * 2018-08-29 2020-03-05 Pulsion Medical Systems S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korrigieren einer an einem messort vorgenommenen blutdruckmessu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8121B1 (ko) 2017-11-20 2023-02-09 삼성전자주식회사 생체정보 추정 장치 및 방법
KR102430437B1 (ko) * 2017-11-20 2022-08-09 삼성전자주식회사 혈당 측정기, 혈당 측정 시스템 및 그 혈당 측정기를 이용한 혈당의 측정 방법
KR102234894B1 (ko) * 2019-05-22 2021-04-02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머신러닝을 이용한 맞춤형 비침습적 혈당 측정장치 및 그 장치에 의한 비침습적 혈당 측정 방법
KR102636899B1 (ko) * 2023-01-17 2024-02-15 주식회사 뷰텔 압력을 반영하여 포도당을 보정하는 비침습 포도당 측정 장치 및 방법
KR102617802B1 (ko) * 2023-01-18 2023-12-27 주식회사 뷰텔 온도 및 압력을 반영하여 포도당을 보정하는 비침습 포도당 측정 장치 및 방법
KR102617811B1 (ko) * 2023-01-19 2023-12-27 주식회사 뷰텔 휴대 단말과 통신하는 비침습 포도당 측정 장치 및방법과 이를 위한 시스템
KR102651979B1 (ko) * 2023-01-19 2024-03-27 주식회사 뷰텔 소프트웨어를 업그레이드하는 비침습 포도당 측정 장치 및 방법
KR102636902B1 (ko) * 2023-01-19 2024-02-15 주식회사 뷰텔 온도와 압력을 반영하여 포도당을 측정하는 비침습포도당 측정 장치 및 방법
KR102617817B1 (ko) * 2023-01-20 2023-12-27 주식회사 뷰텔 손가락을 내부 안착부에 밀착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비침습 포도당 측정 장치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39263A (ja) * 2007-08-08 2009-02-26 Panasonic Corp 血糖測定システム
JP2010233697A (ja) * 2009-03-30 2010-10-21 Terumo Corp 医療機器データのデータ送信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39263A (ja) * 2007-08-08 2009-02-26 Panasonic Corp 血糖測定システム
JP2010233697A (ja) * 2009-03-30 2010-10-21 Terumo Corp 医療機器データのデータ送信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43724A1 (de) * 2018-08-29 2020-03-05 Pulsion Medical Systems S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korrigieren einer an einem messort vorgenommenen blutdruckmess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5037A (ko) 2012-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2486B1 (ko) 혈당 측정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11633126B2 (en) Methods, devices, and systems related to analyte monitoring
US6891936B2 (en) Remote data control system and measuring data gathering method
JP5143377B2 (ja) 制御装置、そのプログラムおよび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取り可能な記録媒体、診断システムならびに制御装置における制御方法
CN1701335B (zh) 远程医疗系统
JP6498935B2 (ja) 生理学的データの解釈改善および生理学的状態管理情報の提示改善のためのシステム
JP3775263B2 (ja) 記録媒体およびこの記録媒体を用いた血糖測定システム
US20070282186A1 (en) Blood glucose monitor with an integrated data management system
JP5738529B2 (ja) コード読み取り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データ収集システム
US20110119080A1 (en) Method and system for analyte data transmission and report generation
EP3236851B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a blood glucose level for a patient
CN102811242A (zh) 一种移动健康监控和服务网络系统
JP7405945B2 (ja) 連続血糖測定システムにおける較正情報を管理する方法
JP2009539491A (ja) 患者をモニタするためのシステム
JP4240007B2 (ja) 遠隔医療システム
KR100783284B1 (ko) 무채혈 혈당 측정 장치 및 그를 이용한 건강 관리 방법 및그 시스템
US10028686B2 (en) Methods for generating hybrid analyte level output, and devices and systems related thereto
KR20190132826A (ko) 실시간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
KR20070113014A (ko) Wpan을 기반으로 하는 홈 헬스 케어 시스템
KR102270158B1 (ko) 건강 정보 공유 방법, 장치, 및 시스템
US20120157790A1 (en) Physical examination method using mobile terminal, and gateway and mobile terminal for physical examination
EP3721790A1 (en) Continuous biometric information measuring device using sensor usage information stored in memory
CN105658135A (zh) 生物体信息管理系统以及生物体信息管理方法
KR20150057244A (ko) 생체 정보 및 활동량 정보를 활용한 건강관리 방법, 이를 이용한 건강관리 서버 및 시스템
US20200336407A1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handling wireless communications in an analyte monitoring environ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