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4135A - 흡수성 물품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4135A
KR20090094135A KR1020097014413A KR20097014413A KR20090094135A KR 20090094135 A KR20090094135 A KR 20090094135A KR 1020097014413 A KR1020097014413 A KR 1020097014413A KR 20097014413 A KR20097014413 A KR 20097014413A KR 20090094135 A KR20090094135 A KR 200900941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nwoven fabric
liquid
absorbent
thermoplastic resin
absorbent art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4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퀴예 양
고이치로 미츠이
Original Assignee
유니 참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 참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유니 참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90094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413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2013/53013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being made in fibre but being not pulp
    • A61F2013/53018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being made in fibre but being not pulp characterized by the connection between the fib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2013/53013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being made in fibre but being not pulp
    • A61F2013/530226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being made in fibre but being not pulp with polymeric fibres
    • A61F2013/53023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being made in fibre but being not pulp with polymeric fibres being thermoplastic fib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2013/53048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superabsorbent materials, i.e. highly absorbent polymer gel materials
    • A61F2013/53048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superabsorbent materials, i.e. highly absorbent polymer gel materials being randomly mixed in with other material
    • A61F2013/530496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superabsorbent materials, i.e. highly absorbent polymer gel materials being randomly mixed in with other material being fixed to fib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2013/53048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superabsorbent materials, i.e. highly absorbent polymer gel materials
    • A61F2013/530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superabsorbent materials, i.e. highly absorbent polymer gel materials being only in particular parts or specially arranged
    • A61F2013/53053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superabsorbent materials, i.e. highly absorbent polymer gel materials being only in particular parts or specially arranged the maximum being at certain depth in the thicknes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흡액성 혼합물의 형상의 무너짐이 억제된 흡수성 물품을 제공한다. 투액성 시트와 투액성 시트에 대향하는 외장 시트와의 사이에,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 및 플러프 펄프로 이루어지는 흡액성 혼합물과, 열가소성 수지의 장섬유로 구성된 부직포를 포함하는 흡수체가 개재하는 흡수성 물품에서, 부직포는, 적어도 그 한쪽 면이 흡액성 혼합물에 접하고, 또한, 장섬유끼리의 교락점에서 서로가 접합된 접합점을 가짐과 동시에, 기모 테스트 전의 두께(Ta)와, 기모 테스트 후의 두께(Tb)와의 차(Tb-Ta)로 정의되는 기모 높이가 0.5 m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Description

흡수성 물품{ABSORBING ARTICLE}
본 발명은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1회용 기저귀나 생리용 냅킨 등의 흡수성 물품에는, 고흡수성 폴리머입자 및 플러프 펄프의 혼합물이 티슈 페이퍼로 피복된 흡수체가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흡수체에서는, 고흡수성 폴리머입자 및 플러프 펄프(이하, 흡액성 혼합물이라 기재한다)가 단지 혼합되어 있는 것만으로는 착용자의 움직임에 의해 흡수체가 비틀리거나 만곡됨으로써, 흡액성 혼합물의 형상이 무너지는 경우가 있다.
특허문헌 1에는, 흡액성 패널(흡수체)이, 두께 방향으로 오목해지는 다수의 오목부를 가지고 열융착성 섬유를 함유하는 흡수 유지층(흡액성 혼합물)과, 흡수 유지층의 상면에 배치된 부직포층으로 구성되고, 흡수 유지층에 포함되는 열융착성 섬유와 부직포층이, 흡수 유지층과 부직포층과의 접촉면에서 서로 열융착되어 있는 1회용 착용물품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2002-11047호 공보(청구항 1, 도 3)
도 1은 1회용 기저귀의 부분 파단 사시도,
도 2는 도 1의 II-II선 절단면도,
도 3은 마찰시험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4는 부직포의 두께 측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5는 부직포가 보유하는 흡액성 혼합물량의 측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6은 흡액성 혼합물의 변형 촉진 테스트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7(a)는 실시예 1, 도 7(b)는 비교예 4, 도 7(c)는 비교예 1의 질량 분포 측정결과를 나타내는 도,
도 8(a)는 실시예 1∼3, 도 8(b)는 비교예 1∼3의 CD 방향의 인장시험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
도 9(a)는 실시예 1∼3, 도 9(b)는 비교예 1∼3의 MD 방향의 인장시험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저귀(흡수성 물품) 2 : 투액성 시트
3 : 외장 시트 4 : 흡수체
5 : 흡액성 혼합물 6 : 티슈 페이퍼
11 : 부직포 12 : 플러프 펄프
13 : 고흡수성 폴리머입자
특허문헌 1의 1회용 착용물품에 의하면, 흡수 유지층의 열융착성 섬유와 부직포층이 접촉면에서 서로 열융착되어 있기 때문에, 흡액성 패널이 변형되었다 하여도, 흡수 유지층이 무너지기 어렵다. 그러나, 흡수 유지층의 열융착성 섬유와 부직포층과의 열융착에 의하여 흡액성 패널(흡수체)의 유연성이 손상된다는 문제가 있어, 더욱 개량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을 감안하여, 본 발명은, 흡액성 혼합물의 유연성을 손상하지 않고, 흡액성 혼합물의 형상의 무너짐이 억제된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투액성 시트와, 투액성 시트에 대향하는 외장 시트와의 사이에, 고흡수성 폴리머입자 및 플러프 펄프로 이루어지는 흡액성 혼합물과, 열가소성 수지의 장섬유로 구성된 부직포를 포함하는 흡수체가 개재하는 흡수성 물품을 전제로 한다.
이 전제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특징은, 부직포는, 적어도 그 한쪽 면이 흡액성 혼합물에 접하고, 또한, 장섬유끼리의 교락점에서 서로가 접합된 접합점을 가짐과 동시에, 기모 테스트 전의 두께(Ta)와, 기모 테스트 후의 두께(Tb)와의 차(Tb-Ta)로 정의되는 기모 높이가 0.5 mm 이상인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기모 테스트」의 상세는 뒤에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서는, 부직포는 스판본드법 또는 멜트 블로우법에 의해 형성된 것이다.
또한,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부직포는, 기계방향과 직교하는 가로방향의 인장시험에서의 최대 하중이 2.0 N/25 mm 이하이다.
또한,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부직포가 파단될 때의 가로방향의 인장 신장(Eb) 및 최대 하중을 주는 인장 신장(Ep)의 비(Eb/Ep)가 6.5 이상이다.
또한,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부직포를 구성하는 장섬유는, 폴리에틸렌 및 에틸렌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한다.
또한,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부직포를 구성하는 장섬유는 코어 시스구조를 가지고, 장섬유의 시스는 폴리에틸렌 및 에틸렌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되고, 장섬유의 코어는, 시스를 형성하는 열가소성 수지보다 고융점의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여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흡수체는, 기모 테스트 전의 두께(Ta)와, 기모 테스트 후의 두께(Tb)와의 차(Tb-Ta)로 정의되는 기모 높이가 0.5 mm 이상인 장섬유로 구성되는 부직포에, 고흡수성 폴리머입자 및 플러프 펄프의 흡액성 혼합물이 접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기모 높이가 0.5 mm 이상인 부직포는, 착용자의 움직임에 의해 기모(起毛)되기 쉽고, 이른바 보풀이 생긴 상태가 되기 쉽다. 이 때문에, 장섬유로 구성되는 부직포의 섬유밀도가 저하하여 섬유 사이의 공간이 넓어진 상태가 되어, 흡액성 혼합물을 이 공간에 수용·보유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하여, 흡액성 혼합물의 형상의 무너짐이 억제된 흡수체를 구비하는 흡수성 물품이 제공된다. 또, 부직포와 흡액성 혼합물은 단지 접할 뿐이며, 열융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흡수체의 유연성이 손상되는 일은 없다.
이와 같은 장섬유로 구성되는 부직포는, 스판본드법 또는 멜트 블로우법에 의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 기계방향과 직교하는 가로방향의 인장시험에서의 최대 하중이 2.0 N/25 mm 이하인 부직포는, 착용자의 움직임에 의해 장섬유끼리의 접합점이 파단하여 기모가 생기기 쉽기 때문에, 흡액성 혼합물에 접하는 부직포로서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파단될 때의 가로방향의 인장 신장(Eb) 및 최대 하중을 주는 인장 신장(Ep)과의 비(Eb/Ep)가 6.5 이상인 부직포는, 기모가 생기기 쉬워, 흡액성 혼합물에 접하는 부직포로서 더욱 바람직하다.
부직포는 폴리에틸렌 및 에틸렌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여, 적절한 열융착 온도, 열융착 강도를 가지는 열가소성 수지를 적절하게 선택하여, 부직포의 강도·신장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부직포를 구성하는 장섬유는 코어 시스구조를 가지고, 장섬유의 시스는 폴리에틸렌 및 에틸렌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되고, 장섬유의 코어는, 시스를 형성하는 열가소성 수지보다 고융점의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장섬유를 사용하면, 열융착 중에 코어가 용융되지 않아, 열융착에 의해 부직포의 부피가 감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첨부하는 도면을 적절하게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한 흡수성 물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부분 파단 사시도로 나타낸 1회용 기저귀(1)는, 흡수성 물품의 일례이다. 기저귀(1)는 착용자의 피부에 접하는 투액성 시트(2)와, 투액성 시트(2)에 대향하는 불투액성의 외장 시트(3)와, 양 시트의 사이에 개재하는 흡수체(4)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투액성 시트(2)와 외장 시트(3)는 흡수체(4)보다 크고, 흡수체(4)를 봉지하도록 하여 서로 겹쳐져 접합되어 있다. 흡수체(4)는, 길이 방향의 중앙 부근이 안쪽으로 잘록한 모래시계 형상의 형상이다. 기저귀(1)에는, 착용자의 다리 둘레나 몸통 둘레에 피트시키기 위한 탄성부재, 또는 샘방지 커프 등의 공지의 부재(도시 생략)가 설치된다.
도 2에, 도 1의 II-II 선으로 절단한 흡수체(4)의 단면을 나타낸다. 흡수체 (4)는, 플러프 펄프(12) 및 고흡수성 폴리머입자(13)로 이루어지는 흡액성 혼합물 (5)과, 열가소성 수지의 장섬유로 구성된 부직포(11)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흡액성 혼합물(5)과 부직포(11)를 티슈 페이퍼(6)로 피복하여 형성되어 있다.
부직포(11)는, 한쪽 면이 흡액성 혼합물(5)에 접하고, 반대쪽 면은 티슈 페이퍼(6)에 접하고 있다. 또, 투액성 시트(2)와 외장 시트(3)도 각각 티슈 페이퍼(6)에 접하고 있다. 부직포(11)와 흡액성 혼합물(5)의 경계면, 부직포(11)와 티슈 페이퍼(6)의 경계면, 또는 투액성 시트(2)와 티슈 페이퍼(6)의 경계면 등의 각 경계면은, 핫멜트 접착제(도시 생략)가 간헐적으로 도포되어 접합되어 있다.
또한, 투액성 시트(2), 외장 시트(3), 플러프 펄프(12), 고흡수성 폴리머입자(13) 및 핫멜트 접착제에는, 흡수성 물품용으로서 공지의 재료를 적절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흡수성 물품용에 사용되는 플러프 펄프(12)는, 질량 평균 섬유길이가 3.1 mm, 평균 섬유 지름이 40 ㎛ 정도이며, 고흡수성 폴리머입자(13)는, 입자 지름이 0.1∼0.8 mm의 범위로 분포되고, 0.3∼0.5 mm 입자의 함유량이 많다.
부직포(11)에는, 열가소성 수지의 장섬유로 구성되며, 장섬유끼리의 교락점에서 서로가 접합된 접합점을 가지는 섬유 부직포를 사용한다. 스판본드법 또는 멜트 블로우법은, 장섬유의 부직포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고, 또한 장섬유의 교락점을 열융착하여 용이하게 접합할 수 있기 때문에, 부직포(11)의 제조에 적합하다.
스판본드법 또는 멜트 블로우법에 의한 경우, 부직포(11)를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는 폴리에틸렌 및 에틸렌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부직포를 구성하는 장섬유를 코어 시스구조로 하고, 시스를 폴리에틸렌 및 에틸렌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하며, 이 열가소성 수지보다 고융점의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로 코어를 형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시스에 고융점의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부직포(11)가 가열되었을 때에 두께가 감소하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폴리에틸렌 및 에틸렌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에는, 고압법의 저밀도 폴리에틸렌,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EVA), 에틸렌 아크릴산 에스테르 또는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이온 중합에 의한 직쇄 저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등이 포함된다. 또한 시스에 사용되는 고융점의 열가소성 수지로서,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등이 예시된다.
본 발명의 부직포(11)는, 이른바 보풀을 일으키게 하여, 보풀이 생긴 장섬유사이에 흡액성 혼합물(5)를 진입·보유시키는 것이다. 부직포(11)를 보풀이 생기기 쉽게 하기 위해서는, 기저귀 등의 흡수성 물품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범용품의 부직포보다, 섬유 사이의 열융착 강도가 낮아, 착용자의 움직임에 의해 용이하게 열융착점이 파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에틸렌, 에틸렌 공중합체(이하, 폴리에틸렌 등)는 열가소성 수지 중에서도 융점이 낮고, 장섬유끼리의 교락점에서 서로 열융착시켜 접합하기 쉽다. 또한 폴리에틸렌 등의 융점이나 열융착시키는 온도를 적절하게 선택함으로써 원하는 열융착 강도(히트 시일강도)를 얻기 쉽기 때문에, 부직포(11)의 원료에 적합하다. 일반적으로, 동일 열융착 온도로 비교하면, 폴리에틸렌 등의 융점이 높아지면 열융착 강도가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 또, 폴리에틸렌 등을 열융착시키는 온도에는, 융점보다 10∼30℃ 낮은 범위에 최적값이 있고, 동일한 폴리에틸렌 등으로 비교하면, 열융착시키는 온도를 최적값보다 낮게 하면 열융착 강도가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융점이 높은 폴리에틸렌 등을 사용하거나, 또는 열융착시키는 온도를 최적값보다 낮게 하면 열융착 강도를 저하시킬 수 있고, 이것에 의해 보풀이 생기기 쉬운 부직포(11)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부직포(11)에는, 이하의 측정법으로 구해지는 기모 높이가 0.5 mm 이상의 것을 사용한다. 기모 높이가 0.5 mm 미만에서는, 뒤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흡액성 혼합물(5)를 진입·보유하는 충분한 효과가 얻어지지 않는다.
기모 높이의 측정은, JIS L 0849에 준거한 테스트 산업주식회사제의 마찰시험기 AB-301를 사용하여 시료 표면을 마찰한 후, 마찰 전후의 시료의 두께를 측정하여 행한다.
<마찰조건>
도 3에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은, R2가 45 mm이고 20 × 20 mm의 마찰자를 가지고, 시험편대의 R1 = 200 mm, 고정축 중심에서 마찰자까지의 거리 L2 = 110 mm의 장치를 사용하고, 시험 하중 = 200 gf(1.96 N), 마찰자의 스트로크 L1 = 120 mm, 왕복 회수 = 30회/분의 조건으로 50회 왕복시킴으로써 마찰시험을 행하였다.
시험편은, 부직포(11)를 연속적으로 생산할 때의 가공방향과 평행한 방향인 기계방향(MD) 방향 치수가 140 mm, 기계방향과 직교하는 가로방향(CD 방향) 치수가 25 mm인 장방형으로 잘라내어 조제하고, 마찰 시험은 부직포(11)를 MD 방향으로 마찰하여 행하였다.
또한, 시험편대는 에스테르계 우레탄제, 마찰자는 스테인리스제이고, 마찰자로 직접 부직포(11)를 마찰하였다.
<시료 두께 측정방법>
측정기기에 키엔스사제 디지털 마이크로스코프 VHX-100를 사용하고, 시료를 시료 고정대에 양면 테이프에 의하여 고정하여, 시료에 하중을 인가하지 않고 측면에서 배율 75배로 관찰하고, 모니터 화면 상에서 시료 고정대에서부터 시료의 상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여 두께로 하였다. 이 때,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료의 상면으로부터 수개만큼 튀어나간 섬유(X)는 두께에 포함시키지 않고 측정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측정한 마찰없을 때의 두께(Ta)와, 마찰있을 때의 두께(Tb)의 차(Tb-Ta)를 기모 높이로 한다.
필요한 기모 높이를 가지는 부직포(11)를 얻기 위해서는, 흡수성 물품의 사용 중에 가해지는 힘에 의하여 열용착점이 파단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편, 공업적으로 흡수성 물품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부직포(11)가 제조 중에 용이하게 찢어지지 않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부직포(11)는, 인장강도에 이방성을 가지고, 일 방향에서는 저강도로 열용착점이 파단되기 쉽고, 이것과 직교하는 방향에서는, 고강도로 제조 중에 용이하게 찢어지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부직포를 제조할 때의 MD 방향의 쪽이, CD 방향보다 고강도가 되기 쉬운 것을 이용하고, 부직포(11)의 제조 조건을 적절하게 조정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흡수성 물품이 기저귀(1)인 경우, 착용자의 움직임에 의해 흡수체(4)에 가해지는 힘은 약 2.0 N/25 mm 정도이기 때문에, 부직포(11)의 CD 방향의 인장시험에 서의 최대 하중을 2.0 N/25 mm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직포(11)의 제조상 필요하게 되는 MD 방향의 인장강도는, 제조설비에 따라 다르다. 일반적으로는, 파단 강도가 4.0 N/25 mm 이상, 바람직하게는 8.0 N/25 mm 이상이 필요하다.
여기서, 인장시험은 이하와 같이 하여 행한다.
시료로부터, 폭 25 mm, 길이 140 mm의 직사각형 테스트 조각을 잘라낸다. 다음에, 인스트론사제의 5564형 인장 시험기(로드셀 용량 50 N)를 사용하여, 테스트 조각의 척 간격 100 mm, 인장속도 1OO mm/분으로, 하중을 측정한다. 인장 신장은, 인장 시험기의 척간의 거리로 한다.
실시예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예 1∼3, 및 비교예 1∼3의 부직포를 제작하여, 그 기모 높이 측정과, 인장시험을 행하였다. 또, 이들 부직포를 사용한 흡수체(4)를 구비하는 기저귀형 샘플을 제작하여, 흡액성 혼합물(5)의 형상의 무너짐의 억제효과를 확인하였다.
제작한 부직포는, 어느 것이나 폴리프로필렌(PP)을 코어로 하는 코어 시스구조의 장섬유를 스판본드법으로 부직포로 하고, 동일한 엠보스형으로 열용착한 점으로 공통하여, 장섬유의 시스에 융점이 다른 폴리에틸렌(PE)을 사용하고, 열융착시키는 온도를 변경함으로써 열융착 강도가 다르게 하여, 기모 높이를 조정하였다. 또한, 장섬유의 섬유지름은 20∼25 ㎛ 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에서는 융점이 125℃의 PE를 시스의 재료에 사용하고, 질량 3O g/㎡, 두께 O.2 mm의 부직포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2는, 실시예 1의 부직포의 질량을 절반으로 한 것으로, 열융착시키는 온도는 동일하다. 실시예 3에서는, 융점이 132℃의 PE를 시스의 재료에 사용하고 열융착시키는 온도를 실시예 1보다 10℃ 높게 하여, 질량 30 g/㎡의 부직포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1∼3에서는, 융점이 124℃인 PE를 시스의 재료에 사용하고 열융착시키는 온도를 실시예 1보다 10℃ 높게 하여, 질량 18, 20, 30 g/㎡의 부직포를 제작하였다. PE의 융점은, 시마즈제작소사제의 DSC-60형 DSC 측정장치를 사용하고, 승온속도 10℃/분으로 측정하였다.
또한, 비교예 1∼3의 부직포의 열융착시키는 온도는 실시예 1보다 10℃ 높고, 또 일반적으로 기저귀에 사용되는 범용품과 같은 품질의 것이다.
실시예 1∼3과, 비교예 1∼3의 부직포에 대하여, 상기한 방법으로 기모 높이 (Tb-Ta)를 측정하였다. 이 측정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다음에, 부직포(11)가 흡액성 혼합물(5)의 형상의 무너짐을 억제하는 효과를, 이하의 순서로 평가하였다.
<평가용 기저귀형 샘플의 제작>
실험용 소형 해섬기에 플러프 펄프(12)와 고흡수성 폴리머입자(13)를 각 50질량% 씩 공급하여 흡액성 혼합물(5)을 조제하고, 이어서 각 실시예 또는 각 비교예의 어느 하나의 부직포(11) 상에, 흡액성 혼합물(5)를 질량 440 g/㎡가 되도록 적층하고, 이것을 다시 티슈 페이퍼(6)로 싸서, 폭 270 mm, 길이 500 mm의 흡수체(4)를 제작하였다.
사용한 플러프 펄프(12)의 질량 평균 섬유길이는 3.1 mm, 섬유지름 40 ㎛이었다. 또, 고흡수성 폴리머입자(13)의 입자지름 분포는, 입자지름 150∼300 ㎛이 30 질량%, 300∼500 ㎛이 63 질량%, 500∼710 ㎛이 27 질량% 이었다. 티슈 페이퍼(6)는 실시예, 비교예 모두 동일한 것을 사용하였다.
다음에, 이 흡수체(4)를 모래시계 형상(도 1, 도 7 참조)으로 커트하여 물을 1회 스프레이하였다. 이 흡수체(4)를, 장방형의 투액성 시트(2)와 외장 시트(3)(도 1참조)의 사이에, 부직포(11)가 외장 시트(3)측에 위치하도록 하여 핫멜트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합하였다. 접합시, 유압 프레스기의 게이지압 3 kg/c㎡로 3초간 가압하였다. 이상에 의하여, 평가용 기저귀형 샘플을 제작하였다. 또한, 흡수체(4)의 형상은, 뒤에서 설명하는 길이 140 mm, 폭 65 mm의 샘플(S)이 채취 가능한 크기이면 된다. 또, 흡수체(4)와 투액성 시트(2)의 사이에 쿠션 시트를 삽입하였다.
이 기저귀형 샘플에 사용한 재료는 이하와 같다.
투액성 시트(2) : 질량 25 g/㎡의 에어스루 부직포
외장 시트(3) : 질량 22 g/㎡의 통기성 폴리에틸렌 필름
쿠션 시트 : 질량 4O g/㎡의 에어스루 부직포
티슈 페이퍼 : 질량 18 g/㎡
핫멜트 접착제 : 도포량 5 g/㎡(스파이럴 형상으로 도포)
<부직포에 보유되는 흡액성 혼합물량의 측정>
기저귀형 샘플로부터 잘라낸 흡수체(4)를 포함하는 샘플을, 상기한 마찰 시험기로 소정 회수만큼 되접어 꺾으면서 찰과하는 마찰시험을 행하여, 부직포(11)에 보유되어 있는 흡액성 혼합물(5)의 양을 측정하였다. 상세는 이하와 같다.
상기한 기저귀형 샘플의 흡수체(4)가 개재하는 부분으로부터, 부직포(11)의 MD 방향이 샘플의 길이방향이 되도록 하여, 길이 140 mm, 폭 65 mm의 샘플(S)을 잘라내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샘플(S)의 투액성 시트(2)측을 위로 하여, 길이방향의 한쪽 끝부(7)를 마찰 시험기의 시험편대(D)에 점착 테이프(T)로 고정하고, 샘플(S) 상에 마찰자(H)를 탑재한 후, 샘플(S)의 길이방향 반대측의 끝부(8)를 마찰자(H)에 점착 테이프(T)로 고정하였다.
이어서, 하중 200 gf(1.96 N), 스트로크 120 mm로 하고, 왕복 회수 30회/분으로 길이방향으로 되접어 꺾으면서 30회 왕복시켜 찰과하였다.
마찰시험 종료 후, 실제 사용 상태에 근접하기 위하여, 샘플(S)의 마찰자(H)로 찰과된 부분의 중심 부근에 인공 소변 20 ㎤를 부었다. 1분 경과 후, 마찰자(H)로 찰과된 부분을 중심으로 길이 120 mm, 폭 35 mm의 시료를 잘라내었다. 또한 인공 소변은, 이온교환수 10 리터에 대하여 요소 200 g, 식염 80 g, 황산마그네슘 8 g, 염화칼슘 3 g, 색소 청 1호를 약숟가락 1스푼(약 1 g)첨가하여 조제하였다.
이 시료의 투액성 시트(2)와 외장 시트(3)를 각각 손가락으로 잡고, 서로 반대방향으로 잡아 당겨, 흡액성 혼합물(5)을 찢어 투액성 시트(2)측과 외장 시트(3)측으로 분리시켰다.
분리시킨 외장 시트(3)측의, 부직포(11), 흡액성 혼합물(5) 및 티슈 페이퍼(6)를 포함하는 질량(Wa)을 측정한 후, 부착하고 있는 흡액성 혼합물(5)을 탈락시켜 질량(Wb)을 측정하였다.
이 측정에서는, 외장 시트(3)에 부착되어 있는 흡액성 혼합물(5)의 질량에는, 습윤(濕潤)에 의하여 부착되어 있는 것과, 보풀이 생긴 부직포(11)에 보유되어 부착되어 있는 것의 양자가 포함되나, 습윤에 의해 부착되는 질량은 부직포(11)의 성상에 의하지 않고 대략 일정해진다. 이 때문에, 질량(Wa)과 질량(Wb)의 차를, 부직포(11)에 의한 흡액성 혼합물(5)의 겉보기 보유량으로 하고, 또한, 마찰시험을 하고 있지 않은 샘플에 대해서도, 동일한 순서로 부직포(11)에 의한 흡액성 혼합물(5)의 겉보기 보유량을 구하여, 마찰시험의 유무, 즉 부직포(11)의 보풀발생의 유무에 의한 흡액성 혼합물(5)의 겉보기 보유량의 상대비교를 행하였다.
각 실시예와 각 비교예의 기저귀형 샘플에 대하여, 마찰시험의 유무에 의한 흡액성 혼합물(5)의 겉보기 보유량과, 그 차를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PE 융점은 비교예 1∼3과 동등하나 열융착시키는 온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실시예 1∼2와, 열융착시키는 온도는 비교예 1∼3과 동등하나 PE 융점이 상대적으로 높은 실시예 3에서는, 기모 높이(Tb-Ta)가 0.5 mm 이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고 있다. 또, 기모 높이(Tb-Ta)가 0.5 mm 이상인 실시예 1∼3은, 흡액성 혼합물(5)의 겉보기 보유량의 차가 약 0.5 g 또는 그것 이상이다. 이것에 대하여, 기모 높이가 본 발명의 범위 밖인 비교예 1∼3은, 모두 흡액성 혼합물(5)의 겉보기 보유량의 차가 약 0.1 g 또는 그것 이하로서, 분명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다. 이상으로부터, 본 발명에 관한 흡수성 물품은, 보풀이 생기기 쉬운 부직포(11)를 구비함으로써, 흡액성 혼합물(5)의 보유성능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단위면적당 무게 코어/시스 PE융점 부직포 기모 높이 흡액성 혼합물의 겉보기 보유량(g)
Ta Tb Tb-Ta
g/㎡ mm mm mm 마찰무 마찰유
실시예 1 30 PP/PE 125 0.2 1.1 0.9 0.47 0.95 0.48
실시예 2 15 PP/PE 125 0.2 0.7 0.5 0.29 0.86 0.57
실시예 3 30 PP/PE 132 0.2 1.5 1.3 0.51 0.98 0.47
비교예 1 18 PP/PE 124 0.2 0.4 0.2 0.22 0.32 0.10
비교예 2 20 PP/PE 124 0.2 0.4 0.2 0.24 0.33 0.11
비교예 3 30 PP/PE 124 0.2 0.4 0.2 0.30 0.27 -0.30
<흡액성 혼합물(5)의 변형 촉진 테스트>
다음에, 실시예 1, 비교예 3에 관한 기저귀형 샘플, 및 흡수체(4)에 전혀 부직포를 가지지 않은 기저귀형 샘플(비교예 4)을 사용하여, 흡액성 혼합물(5)의 변형 촉진 테스트를, 이하의 순서로 행하였다. 변형 촉진 테스트는, 흡액성 혼합물(5)이 체액 등을 빨아들여 습윤상태에 있을 때 형상의 무너짐이 생기기 쉽기 때문에, 미리 소량의 인공 소변을 부어, 습윤상태로 하여 행하였다. 또한, 비교예 4는, 흡수체(4)에 부직포가 없는 점을 제외하고 각 실시예와 동일재료를 사용하여 형성하였다.
변형 촉진 테스트에 있어서, 먼저 기저귀형 샘플의 중심 부근에 인공 소변 4O ㎤를 약 10초에 걸쳐 붓고, 1분 정치하였다. 이 후,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공 소변을 부은 부분을 양손으로 잡고, 좌우의 손을 전후로 교착시키는 움직임을 10회 행하고, 이어서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의 손을 가까이 하기도 하고 멀리하기도 하는 동작을 10회 행함으로써 흡액성 혼합물(5)의 변형 촉진 테스트를 행하였다.
변형 촉진 테스트 후, 휴텍사제 엑스선식 두께계 PRF7X형에 의하여 기저귀 형 샘플의 질량 분포를 측정하였다. 측정은, 기저귀형 샘플을 측정 프레임에 평평하게 넣고, 스캔 피치 5 mm로 행하였다. 결과를 도 7(a)∼도 7(c)에 나타낸다. 도 7(a)는 실시예 1, 도 7(b)는 비교예 4, 도 7(c)는 비교예 1의 측정결과이며, 질량분포를 농담으로 나타내고 있고, 흰 부분은 질량이 35O g/㎡ 미만인 것을 의미한다. 실질적으로는, 기저귀형 샘플 내부의 흰 부분은, 흡액성 혼합물(5)이 존재하지 않는 것을 나타낸다.
이들 결과를 대비하면, 실시예 1[도 7(a)]에서는, 기저귀형 샘플의 중심 부근의 질량이 높고, 인공 소변을 흡수한 흡액성 혼합물(5)이 존재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것에 대하여, 비교예 1, 비교예 4[도7(c), 도 7(b)]에서는, 중심 부근의 질량이 거의 제로로 되어 있어, 흡액성 혼합물(5)이 거의 존재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관한 흡수성 물품은, 보풀이 생기기 쉬운 부직포(11)를 구비함으로써, 흡액성 혼합물(5)의 형상의 무너짐을 억제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에, 상기한 측정방법으로 각 실시예와 각 비교예에 관한 부직포(11)의 CD 방향과 MD 방향의 인장시험을 행하였다. 이 결과를, 표 2와 도 8, 도 9에 나타낸다. 도 8(a)는 실시예 1∼3, 도 8(b)는 비교예 1∼3의 CD 방향의 인장시험의 결과이며, 도 9(a)는 실시예 1∼3, 도 9(b)는 비교예 1∼3의 MD 방향의 인장시험의 결과이다.
단위면적당 무게 코어/시스 CD MD
Eb Ep Eb/Ep Lp Eb Ep Eb/Ep Lp
g/㎡ mm mm (-) N/25mm mm mm (-) N/25mm
실시예 1 30 PP/PE 260 40 6.5 2.0 260 30 8.3 8.0
실시예 2 15 PP/PE 235 15 16 2.0 120 15 8.0 11
실시예 3 30 PP/PE 140 8.0 18 0.5 460 5 92 4.0
비교예 1 18 PP/PE 110 68 1.6 6.0 61 60 1.0 16
비교예 2 20 PP/PE 140 65 2.1 8.0 60 55 1.1 15
비교예 3 30 PP/PE 81 80 1.0 14 55 50 1.1 21
도 8(a)와 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3의 부직포의 경우, CD 방향의 인장시험에서의 최대 하중(Lp)을 주는 인장 신장(Ep)은 40 mm 이하이고, 더욱 신장함에 따라 인장 하중은 완만하게 저하하여, 인장 신장이 140 mm 이상이 되고 나서, 하중 대략 제로에서 파단에 이른다. 또, 최대 하중(Lp)은 2.0 N/25 mm 이하 이다.
MD 방향도 동일한 경향을 나타내나, 최대 하중(Lp)은 4.0 N/25 mm 이상으로, CD 방향보다 크다.
한편, 비교예 1∼3의 범용품의 부직포에서는, CD 방향의 최대 하중(Lp)을 주는 인장 신장(Ep)은 60 mm 이상이고, 그 후 급격하게 인장 하중이 감소하여, 인장신장이 140 mm 이하에서 파단할 때의 인장 신장(Eb)에 이른다. 인장시험에서의 최대 하중(Lp)은 6.0 N/25 mm 이상이다.
이와 같이, 실시예 1∼3의 부직포는, 비교예 1∼3의 범용품과 비교하여, 초기의 인장 하중의 증가는 대략 동일하나, 더욱 낮은 신장으로 낮은 최대 하중(Lp)을 주고, 더욱 큰 파단할 때의 인장 신장(Eb)을 나타낸다.
이것은, 실시예 1∼3의 부직포는 장섬유의 교락점에서의 열융착 강도가 범용품보다 낮기 때문에, 인장 초기의 하중의 증가는 범용품과 대략 동일하나, 더욱 낮은 신장으로 열융착점을 파단시키는 하중에 도달하고, 그 후 줄어든 상태의 장섬유가 인장 신장되면서 서서히 절단되어, 더욱 높은 신장으로 부직포의 파단에 이르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또, 열융착점이 비교적 낮은 하중과 신장으로 파단되기 때문에 보풀이 생기기 쉬워, 보다 높은 기모 높이(Tb-Ta)를 나타낸다고 생각된다.
이것에 대하여, 비교예 1∼3의 범용품에서는, 장섬유의 교락점의 열융착 강도가 실시예 1∼3보다 높기 때문에, 더욱 높은 인장 하중까지 도달하나, 최대 하중 (Lp)에 도달한 후는 열융착점과 장섬유의 파단이 동시에 생기기 때문에, 급격하게 하중이 저하하여, 더욱 낮은 신장으로 부직포의 파단에 이른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부직포가 파단될 때의 CD 방향의 인장 신장(Eb)과, CD 방향의 최대 하중(Lp)을 주는 인장 신장(Ep)과의 비(Eb/Ep)를 실시예 1∼3과 범용품으로 비교하면, 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3에서는 6.5 이상인 데 대하여, 범용품에서는 2.1 이하이다.
MD 방향에 대해서도, 실시예 1∼3의 Eb/Ep는 8.0 이상이나, 범용품에서는 1.1 이하이다.
이와 같이, Eb/Ep가 큰 것이, 본 발명에 관한 흡수성 물품에 적합한 부직포가 가지는 특징이다.
또, 실시예 1∼3에 관한 부직포는, CD 방향의 최대 하중(Lp)이 2.0 N/25 mm 이하이고, MD 방향의 최대 하중(Lp)은 4.0 N/25 mm 이상으로 인장 강도의 이방성을 가지기 때문에, 보풀이 생기기 쉬움과 제조시에 요구되는 인장 강도를 겸비하고 있다.
이상,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가지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저귀를 예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생리용 냅킨 등의 위생용품, 또는 애완용품 등의, 고흡수성 폴리머입자와 플러프 펄프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흡수체를 사용하는 흡수성 물품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 1매의 부직포(11)의 한쪽 면을 흡액성 혼합물(5)에 접촉시키는 경우를 예로 설명하였으나, 1매의 부직포(11)를 2층의 흡액성 혼합물(5)의 사이에 끼우고, 부직포(11)의 양면이 흡액성 혼합물(5)에 접촉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또, 1매의 부직포를 2분할, 3분할할 수도 있다. 또한, 부직포(11)로 흡액성 혼합물(5)을 감싸는, 또는, 부직포(11)를 플리츠형상으로 하는 등에 의하여 흡액성 혼합물(5)과의 접촉면적을 크게 할 수도 있다.

Claims (6)

  1. 투액성 시트와, 상기 투액성 시트에 대향하는 외장 시트와의 사이에, 고흡수성 폴리머입자 및 플러프 펄프로 이루어지는 흡액성 혼합물과, 열가소성 수지의 장섬유로 구성된 부직포를 포함하는 흡수체가 개재하는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는,
    적어도 그 한쪽 면이 상기 흡액성 혼합물에 접하고, 또한, 상기 장섬유끼리의 교락점에서 서로가 접합된 접합점을 가짐과 동시에,
    기모(起毛) 테스트 전의 두께(Ta)와, 기모 테스트 후의 두께(Tb)와의 차(Tb-Ta)로 정의되는 기모 높이가 0.5 m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는 스판본드법 또는 멜트 블로우법에 의해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는, 기계방향과 직교하는 가로방향의 인장시험에서의 최대 하중이 2.0 N/25 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가 파단될 때의 상기 가로방향의 인장 신장(Eb) 및 상기 최대 하중을 주는 인장 신장(Ep)의 비(Eb/Ep)가 6.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를 구성하는 장섬유는,
    폴리에틸렌 및 에틸렌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를 구성하는 장섬유는 코어 시스구조를 가지고,
    상기 장섬유의 상기 시스는 폴리에틸렌 및 에틸렌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되며,
    상기 장섬유의 상기 코어는, 상기 시스를 형성하는 열가소성 수지보다 고융점의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KR1020097014413A 2006-12-12 2007-11-08 흡수성 물품 KR2009009413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335055A JP5080074B2 (ja) 2006-12-12 2006-12-12 吸収性物品
JPJP-P-2006-335055 2006-12-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4135A true KR20090094135A (ko) 2009-09-03

Family

ID=39511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4413A KR20090094135A (ko) 2006-12-12 2007-11-08 흡수성 물품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507747B2 (ko)
EP (1) EP2092921A4 (ko)
JP (1) JP5080074B2 (ko)
KR (1) KR20090094135A (ko)
CN (1) CN101594843B (ko)
MY (1) MY149942A (ko)
TW (1) TW200913971A (ko)
WO (1) WO200807243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53638A1 (en) * 2013-03-25 2014-10-02 Crichigno Nicola Oral appliance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13146711A1 (ja) 2012-03-30 2015-12-1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体及びこれを備えた吸収性物品
EP2660372A1 (de) 2012-05-04 2013-11-06 LANXESS Deutschland GmbH Thermoplastfasern mit reduzierter Oberflächenspannung
JP6320284B2 (ja) * 2014-12-12 2018-05-0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水解性吸収体及び吸収性物品
JP6400462B2 (ja) * 2014-12-19 2018-10-03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CN108697562A (zh) * 2016-03-04 2018-10-23 三井化学株式会社 吸收体及卫生用品
CN113116638B (zh) * 2021-04-26 2022-09-23 嘉兴学院 一种透湿气柔软型复合芯体及其制备方法
CN115531087B (zh) * 2022-09-30 2023-08-18 襄阳市盈乐卫生用品有限公司 防渗漏高吸水性纸尿裤生产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63333A (en) * 1929-12-10 1932-06-14 Int Cellucotton Products Absorbent pad
US3494362A (en) * 1967-05-01 1970-02-10 Johnson & Johnson Absorbent pad
US5514120A (en) * 1991-12-18 1996-05-07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Liquid management member for absorbent articles
MY124298A (en) * 1994-12-28 2006-06-30 Kao Corp Absorbent sheet,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nd absorbent article using the same
JP4075968B2 (ja) * 1997-11-14 2008-04-16 株式会社日本吸収体技術研究所 形態安定性に優れた高吸水性複合吸収体とその製造方法
JP3196933B2 (ja) * 1999-09-29 2001-08-06 株式会社日本吸収体技術研究所 繊維状化ホットメルトにより表面被覆加工された吸水性複合体、その製造法及び吸収体物品
JP4291495B2 (ja) * 2000-04-28 2009-07-08 株式会社瑞光 使い捨て着用物品およびコアの製造方法
JP3916852B2 (ja) * 2000-06-27 2007-05-2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着用物品
JP4166786B2 (ja) * 2002-12-20 2008-10-15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タフト付きラミネートウェブ
JP4324375B2 (ja) * 2002-12-27 2009-09-0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圧縮溝と可撓部とを備えた吸収性物品
JP4263576B2 (ja) * 2003-03-04 2009-05-13 大王製紙株式会社 吸水性シート
JP4171671B2 (ja) * 2003-05-27 2008-10-2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オープン型の使い捨ておむつ
US7045211B2 (en) * 2003-07-31 2006-05-1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Crimped thermoplastic multicomponent fiber and fiber webs and method of making
US20050148964A1 (en) * 2003-12-29 2005-07-07 Chambers Leon E.Jr. Absorbent structure having profiled stabilization
US20050177122A1 (en) * 2004-02-09 2005-08-11 Berba Maria L.M. Fluid management article and methods of use thereof
JP4790296B2 (ja) * 2005-03-31 2011-10-12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CN101018528B (zh) * 2004-11-30 2010-07-21 花王株式会社 吸收性片材和吸收性物品
JP4536024B2 (ja) * 2005-03-23 2010-09-01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53638A1 (en) * 2013-03-25 2014-10-02 Crichigno Nicola Oral appliance system
US11247116B2 (en) 2013-03-25 2022-02-15 Nicola Crichigno Oral appliance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057030A1 (en) 2010-03-04
CN101594843B (zh) 2013-03-13
EP2092921A4 (en) 2012-10-24
WO2008072433A1 (ja) 2008-06-19
JP2008142424A (ja) 2008-06-26
TW200913971A (en) 2009-04-01
JP5080074B2 (ja) 2012-11-21
MY149942A (en) 2013-11-15
CN101594843A (zh) 2009-12-02
EP2092921A1 (en) 2009-08-26
US8507747B2 (en) 2013-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94135A (ko) 흡수성 물품
JP2514294B2 (ja) 吸収性物品用身体側カバ―
RU2404057C2 (ru) Шов, соединяющий вместе, по меньшей мере, два рулонных материала
JP5936560B2 (ja) 吸収性物品
JPH10506967A (ja) 繊維ウェブ、及び該繊維ウェブ並びに該繊維ウェブを挿入して含む吸収製品の製法及びその装置
JP2008525153A (ja) 温度変化部材を備える吸収性物品
KR20130083460A (ko) 접합이 개선된 흡수용품
MXPA02008864A (es) Capa de material fibroso, metodo para su fabricacion, y articulo absorbente que comprende la capa de material en cuestion.
JP5386341B2 (ja) 使い捨ておむつ
MX2015006434A (es) Sistema unitario de admision de fluido para productos absorbentes y metodos para elaborar los mismos.
JP5514536B2 (ja) 使い捨ておむつ
CN108348375B (zh) 吸收性物品
WO2021107058A1 (ja) 吸収性物品
JP2019162218A (ja) 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JP6080323B2 (ja) 吸収性物品
JP3949172B2 (ja) 長繊維不織布とその製造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吸収性物品
JP2008231619A (ja) 繊維シート
JP4559782B2 (ja) 体液吸収物品
JP5593124B2 (ja) 使い捨ておむつ
JP2019162415A (ja) 吸収性物品
JP3697805B2 (ja) 長繊維不織布及びそれを用いた吸収性物品
JP2023019810A (ja) 吸収性物品用不織布及びこれを備える吸収性物品
WO2024034357A1 (ja) 吸収性物品用の不織布の製造方法及び吸収性物品
KR101227815B1 (ko) 엠보 부직포가 적용된 일회용 흡수제품
JP5058543B2 (ja) 補助吸収性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