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3309A - 개인용 비디오 레코더를 이용한 영상 비교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개인용 비디오 레코더를 이용한 영상 비교 장치 및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3309A
KR20090093309A KR1020080018764A KR20080018764A KR20090093309A KR 20090093309 A KR20090093309 A KR 20090093309A KR 1020080018764 A KR1020080018764 A KR 1020080018764A KR 20080018764 A KR20080018764 A KR 20080018764A KR 20090093309 A KR20090093309 A KR 200900933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comparison
reference image
screen
vide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8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20659B1 (ko
Inventor
임정은
임진석
황인구
김종찬
오승균
신성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187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0659B1/ko
Priority to EP09714764A priority patent/EP2250808A4/en
Priority to US12/919,935 priority patent/US9294710B2/en
Priority to CN2009801069533A priority patent/CN101960840B/zh
Priority to PCT/KR2009/000893 priority patent/WO2009107975A1/en
Publication of KR200900933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33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06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06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1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disks or dru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7PVR [Personal Video Recor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3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08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operations for analysing video streams, e.g. detecting features or characteristics in the video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인용 비디오 레코더(PVR)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에 서로 다른 영상을 비교하여 표시할 수 있는 영상 비교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개인용 비디오 레코더를 이용한 영상 비교 장치는, 기준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기준 영상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 표시되는 동안에 상기 기준 영상에 포함된 객체의 움직임을 추종하는 피사체의 현재 모습을 촬영하여 비교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및 상기 화면에 상기 기준 영상과 함께 상기 비교 영상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개인용 비디오 레코더를 이용한 영상 비교 장치 및 방법{DEVICE AND METHOD FOR COMPARING VIDEO USING PERSONAL VIDEO RECODER}
본 발명은 개인용 비디오 레코더(PVR: Personal Vidoe Recoder)를 이용한 영상 비교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PVR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에 서로 다른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영상 비교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PVR이란 방송국에서 송출되는 방송신호나 외부 에이브이(A/V: Audio/Video) 기기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디지털 정보로 변환하고, 그 디지털 정보를 내장된 대용량 저장장치인 하드 디스크 드라이버(HDD: Hard Disk Driver)에 MPEG2방식으로 부호화(압축)하여 저장시켜둔 후 저장된 녹화정보를 독출하여 복호화한 영상을 티브이(TV)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출력하는 개인용 비디오 녹화·재생 장치이다.
상기 PVR은 TV에 연결되거나 TV 내에 내장되어 사용자가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도중에 상기 PVR 내부의 대용량 저장장치인 HDD에 수 시간에서 수십 시간 분의 TV 프로그램을 저장하여 원하는 시간에 재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PVR은 사용자가 특정 방송 프로그램의 예약 녹화 기능을 설정하면, 상기 특정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시간에 맞추어 내부 HDD에 상기 특정 방송 프로그램을 녹화함으로써, 사용자는 원하는 시간에 임의의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게 된다. 이뿐만 아니라, 상기 PVR은 여러 개의 프로그램을 동시에 녹화할 수도 있으며, 생방송을 보다가 순간적으로 화면을 정지시키거나 수 초에서 수 분전의 장면부터 반복 재생할 수도 있어 방송국의 편성표에 구애됨이 없이 사용자의 필요에 맞춰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PVR은 많은 양의 방송 프로그램을 녹화하거나 재생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용자는 단순히 PVR의 HDD에 저장된 방송 프로그램을 수동적으로 시청할 수 있을 뿐, 사용자가 직접 참여하여 상기 PVR로부터 제공되는 다양한 정보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는 없다는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개인용 비디오 레코더(PVR)로부터 제공되는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가 능동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개인용 비디오 레코더(PVR)로부터 제공되는 학습 정보와 같은 다양한 기준 영상과 이를 추종하는 사용자의 모습을 비교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학습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개인용 비디오 레코더를 이용한 영상 비교 장치는, 기준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기준 영상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 표시되는 동안에 상기 기준 영상에 포함된 객체의 움직임을 추종하는 피사체의 현재 모습을 촬영하여 비교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및 상기 화면에 상기 기준 영상과 함께 상기 비교 영상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영상 비교 장치는, 상기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한 비교 영상을 MPEG 방식으로 부호화하거나, 상기 MPEG 방식으로 부호화된 데이터를 상기 MPEG 방식으로 복호하는 부호/복호화부, 및 상기 MPEG 방식으로 부호화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준 영상이 상기 화면에 표시되는 동안에 상기 카메라로 획득한 비교 영상의 녹화 시작시간, 녹화 종료시간 및 상기 비교 영상을 구성하는 개별 이미지에 대한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기준 영상에 대한 시간 정보와 매칭시켜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시간 진입점 입력부,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기준 영상 및 비교 영상의 위치를 검색하는 검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준 영상에 대한 시간 정보는 트랜스포트 스트림(Transport Stream) 정보, 프로그램 스트림(Program Stream) 정보 또는 상기 기준 영상을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 내에서 상기 기준 영상을 구성하는 각각의 정지 이미지에 해당하는 비트스트림 파일데이터의 위치에 대한 정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 비교 장치는, 상기 기준 영상과 상기 비교 영상의 차이점에 따른 분석 데이터를 생성하는 비디오 분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석 데이터가 상기 화면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 비교 장치는, 상기 기준 영상에 대한 포함된 객체로부터 상기 기준 영상에 대한 분석 데이터를 생성하는 비디오 분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준 영상에 대한 분석 데이터가 상기 화면에서 상기 비교 영상에 오버레이(Overlay)되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 비교 장치는, 사용자가 상기 비교 영상에 대하여 판단한 분석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상기 분석 데이터가 상기 화면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준 영상은 상기 화면의 제1 영역에 표시되고, 상기 비교 영상은 상기 제1 영역과 다른 제2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은 각각 상기 화면의 전체 영역을 1/2로 분할하여 형성되는 영역들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비교 영상은 상기 화면에 PIP(Picture In Picture)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준 영상 및 상기 비교 영상은 동영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비교 영상은 상기 피사체를 서로 다른 각도에서 촬영한 복수의 단위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개인용 비디오 레코더를 이용한 영상 비교 방법은, 기준 영상이 화면에 표시되는 동안에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기준 영상에 포함된 객체의 움직임을 추종하는 피사체의 현재 모습을 촬영한 비교 영상을 획득하는 제1 단계, 및 상기 화면에 상기 기준 영상과 함께 상기 비교 영상을 표시하는 제2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영상 비교 방법은, 상기 화면에 상기 기준 영상 및 상기 비교 영상이 표시되는 동안에, 스피커를 통하여 상기 기준 영상에 대한 음성 신호만을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PVR의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거나 튜너로부터 현재 수신되는 기준 영상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동안에 상기 기준 영상에 포함된 객체의 움직임을 추종하는 사용자의 모습을 화면에 동시에 표시하거나, 별도의 분석 데이터를 함께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는 상기 기준 영상과 비교 영상간에 차이점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기준 영상이 골프, 스키, 요가 강습 영상, 댄스 동영상과 같이 자세가 중요한 요소이거나, 또는 영어 발음 강습 영상 등과 같이 사용자의 입모양이 중요한 요소인 경우에는, 사용자는 상기 기준 영상과 자신의 모습을 비교함으로써 자세 교정 또는 발음 교정과 같은 학습효과를 얻을 수 있고, 나아가 다양한 분석 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편의 및 학습효과를 더욱 증진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개인용 비디오 레코더(PVR)를 이용한 영상 비교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부의 세부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하나의 영상을 만드는 원리를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을 획득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카메라를 이용하여 비교 영상 녹화 시 화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기준 영상과 비교 영상 간 대응하는 시간적 정보를 설정하는 원리를 설명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기준 영상과 비교 영상을 출력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 비교를 위한 화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개인용 비디오 레코더(PVR)를 이용한 영상 비교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영상 비교 장치 11: 튜너
12: 카메라부 13: 부호/복호화부
14: 디스플레이부 15: 스피커
16: 저장부 16-1: 외부 저장 매체
17: 비디오 분석부 18: 제어부
19: 사용자 입력부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개인용 비디오 레코더(PVR)를 이용한 영상 비교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비교 장치(10)는 튜너(11)와, 카메라부(12)와, 부호/복호화부(13)와, 디스플레이부(14)와, 스피커(15)와, 저장부(16)와, 비디오 분석부(17)와, 제어부(18), 및 사용자 입력부(19)를 포함한다.
튜너(11)는 원하는 채널의 방송 신호를 선택하여 부호/복호화부(13)로 제공한다. 상기 방송 신호는 안테나, 케이블, 또는 위성을 통해 수신되는 영상신호, 음성신호 및 부가 정보를 모두 포함한다.
카메라부(12)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4)의 화면에 소정의 기준 영상이 표시되는 동안에 상기 기준 영상에 포함된 객체의 움직임을 추종하는 피사체의 현재 모습 또는 움직임을 촬영 및 녹화하여 비교 영상을 생성하는 장치로서, 하나 또는 복수의 카메라로 구성된다.
여기서, 기준 영상이란 골프, 스키, 요가, 영어 발음 강습 영상, UCC(User Created Contents)와 같이 사용자가 직접 제작한 댄스 동영상, 또는 실내/실외 공간을 촬영한 영상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준 영상에 포함된 객체란 상기 강습 영상에 포함된 교육자, 댄스 동영상의 댄서, 또는 상기 실내/실외 공간에 위치한 장치 또는 물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객체의 움직임이란 상기 교육자의 자세 및 입모양의 변화, 또는 댄서의 동작과 같이 상기 기준 영상에 포함된 객체가 직접 움직이거나, 상기 실내/실외 공간에 위치한 장치 또는 물건과 같이 상기 객체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카메라가 회전 또는 이동하면서 촬영된 상기 객체의 상대적이 움직임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피사체란 본 발명에 따라 비교 영상을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카메라부(12)에 의해 촬영되는 사용자, 장치 또는 실내/실외 공간을 모두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4)의 화면에 골프, 스키, 요가, 영어 발음 교육 영상, 댄스 동영상과 같은 기준 영상이 표시되는 동안에, 사용자는 학습을 위하여 상기 화면을 보면서 상기 기준 영상에 포함된 교육자 또는 댄서의 움직임을 추종, 즉 따라하거나 흉내내게 된다. 이와 같이 기준 영상에 포함된 객체의 움직임을 추종하는 사용자의 현재 모습은 상기 카메라부(12)를 통하여 촬영되고, 상기 촬영된 영상은 본 발명에 따른 비교 영상이 될 수 있다.
부호/복호화부(13)는 상기 카메라부(12)로부터 생성된 비교 영상을 부호화하여 상기 저장부(16)로 제공하거나, 상기 저장부(16)에 저장된 영상 및 음성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각각 디스플레이부(14) 및 스피커(15)로 제공한다. 아울러, 상기 부호/복호화부(13)는 상기 튜너(11)로부터 제공되는 방송 신호로부터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복호화하여 각각 디스플레이부(14) 및 스피커(15)로 제공한다. 상기 부호/복호화부(13)는 저장부(16)의 저장 공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상기 비교 영상을 MPEG 방식으로 부호화하여 상기 저장부(16)로 제공하고, 또한 상기 저장부(16)에 저장된 데이터를 재생할 때에는 상기 부호화방식에 대응하는 MPEG 방식으로 복호화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4) 또는 스피커(15)로 제공한다.
디스플레이부(12)는 상기 부호/복호화부(13)로부터 제공되는 영상 신호를 시각적으로 표시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2)는 상기 카메라부(12)에 의해 현재 촬영되고 있는 비교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12)는 상기 카메라부(12)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스피커(15)는 상기 부호/복호화부(13)로부터 제공되는 음성 신호를 음성으로 출력한다.
저장부(16)는 종래 개인용 비디오 레코더(PVR)에 적용되는 대용량 저장 매체로서 하드 디스크(Hard Disk) 또는 플래시 램(Flash RAM)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6)는 튜너(11)를 통하여 수신되는 방송 프로그램을 저장하거나 상기 카메라부(12)로부터 입력되는 비교 영상을 저장한다. 또한, 상기 저장부(16)는 외부 메모리 카드, USB(Universal Serial Bus) 메모리, 또는 온라인으로 연결된 컨텐츠 제공 서버와 같은 외부 저장 매체(16-1)에 연결되어 상기 외부 저장 매체(16-1)로부터 직접 영상 파일을 획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저장부(16)에 미리 저장된 데이터뿐만 아니라, 상기 튜너(11)로부터 제공되는 방송 프로그램, 상기 외부 저장 매체(16-1)로부터 제공되는 영상 파일은 본 발명에 따른 기준 영상을 구성할 수 있다.
비디오 분석부(17)는 상기 튜너(11)로부터 현재 수신되거나 혹은 상기 저장부(16)에 미리 저장되어 있던 기준 영상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4)로 표시되는 동안에,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카메라부(12)를 통하여 획득되는 비교 영상을 서로 비교하고 그 차이점에 따른 분석 데이터를 생성한다.
상기 분석 데이터에는, 예를 들어, 상기 기준 영상이 골프, 스키, 요가 강습 영상 또는 댄스 동영상 등과 같이 자세가 중요한 요소인 경우에는 인체의 기본 골격을 인체 기본 모델을 이용하여 기준 영상과 비교 영상 간의 매치포인트를 검색하고, 동작의 유사도 등을 분석하여 상기 기준 영상과 비교 영상 간의 차이점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자세 교정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인체의 기본 골격은 선으로 표시되고, 인체의 관절은 선과 선이 만나는 점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체의 머리 부분을 중심으로 인체의 기본 골격을 분석하면 인체의 자세 형태에 대한 분석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석 데이터에는, 상기 기준 영상이 영어발음을 가르치기 위한 것인 경우에는 상기 기준 영상에 표시되는 객체의 입모양과 비교 영상에 표시되는 사용자의 입모양의 차이점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발음 교정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영상 데이터로부터 컬러 등으로 사람의 입에 해당하는 영역을 추출할 수 있고, 다시 상기 추출된 영역 중 특징점을 추출할 수 있다. 상기 특징점은, 예를 들어, 입술의 양끝 상하 점이 해당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특징점으로부터 입술의 상하 길이 대 좌우 길이의 비와 같이 입모양을 나타내는 입술 모양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추출된 특징점의 위치와 입술 모양 정보로부터 상기 분석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카메라부(12)를 이용하여 실내 또는 실외 공간을 미리 촬영한 기준 영상을 저장부(16)에 저장해 놓고,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 현재 시점에서 다시 동일한 실내 또는 실외 공간을 촬영한 비교 영상을 생성하여, 서로 다른 시간에 촬영된 상기 실내 또는 실외 공간의 모습을 비교함으로서 특정 위치에서 없어진 물건이나 이동한 물건에 대한 정보가 상기 분석 데이터에 포함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분석 데이터에는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 분석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19)를 이용하여 직접 비교 영상에 대한 점수, 평가 의견, 또는 중요도 등과 같이 사용자가 판단한 분석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사용자 입력부(19)는 사용자가 직접 분석 정보를 텍스트(text) 형태로 입력시킬 수 있도록 텍스트 입력 버튼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비디오 분석부(17)는 기준 영상에 포함된 객체로부터 미리 인체의 골격, 입술 모양, 실내/외 공간에 놓여진 물체의 위치 등을 분석하여 기준 영상에 대한 분석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기준 영상에 대한 분석 데이터는 향후 화면에 비교 영상이 표시될 시 상기 기준 영상에 대한 분석 데이터가 상기 비교 영상에 오버레이(Overlay)되어 표시될 수 있다.
제어부(18)는 상기 부호/복호화부(13)에 의해서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가 부호화 또는 복호화되도록 제어하며, 또한 상기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저장부(160)에 쓰거나 상기 저장부(160)로부터 읽어오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6)는 상기 비디오 분석부(17)에 의해서 생성된 분석 데이터를 상기 저장부(16)에 저장하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분석 데이터가 상기 디스플레이부(14)로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아울러, 상기 제어부(16)는 상기 외부 저장 매체(16-1)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저장부(16)에 저장하도록 제어한다.
사용자 입력부(19)는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로서, PVR 또는 TV 본체에 형성된 키버튼 또는 리모트 컨트롤러(Remote Controller)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부호/복호화부(13)와, 저장부(16), 및 제어부(18)는 PVR을 구성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4) 및 스피커(15)는 상기 PVR에 저장된 데이터를 영상 및 음성으로 출력하기 위한 영상처리장치에 해당하며, 예를 들어, TV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튜너(11)는 TV 또는 PVR 내에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PVR은 TV 내에 내장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사용자 입력부(19) 중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키버튼은 TV의 본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부의 세부 구성도이다.
먼저, 도 2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부(12)는 1개의 카메라(20)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14)의 상부에 탑재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 (a)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4)가 TV로 형성된 예를 나타낸다. 이 경우 상기 카메라(20)는 케이블(21) 또는 무선으로 상기 TV에 연결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카메라(20)는 사용자가 상기 TV에 재생되는 기준 영상을 보면서 상기 기준 영상에 포함된 객체(사람, 장치 등)의 움직임을 추종하는 모습을 촬영할 수 있도록, 상기 TV 내부에 형성되거나, 상기 TV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부(12)는 복수의 카메라(22-1 내지 22-4)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 (b)에서는 홈 씨어터 시스템과 같이 디스플레이부(14)(예를 들어, TV) 주변에 다수의 스피커(speaker1 내지 speaker4)(23-1 내지 23-4)가 배치되는 경우, 상기 각각의 스피커(speaker1 내지 speaker4)(23-1 내지 23-4) 상에 카메라(22-1 내지 22-4)가 하나씩 배열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다수의 스피커(speaker1 내지 speaker4)(23-1 내지 23-4)는 TV를 시청하는 사용자(24)를 둘러싸도록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각의 카메라(22-1 내지 22-4)는 사용자(24)가 상기 TV에 재생되는 기준 영상을 보면서 상기 기준 영상에 포함된 객체(사람, 장치 등)의 움직임을 추종하는 모습을 서로 다른 각도에서 촬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다수의 카메라(22-1 내지 22-4)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서로 다른 복수의 각도에서 촬영한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하나의 영상을 만드는 원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앞서, 도 2 (b)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복수(예를 들어, 4개)의 카메라(22-1 내지 22-4)를 이용하여 하나의 피사체(예를 들어, 사용자)에 대한 서로 다른 각도에서 4개의 영상을 획득한 경우, 상기 4개의 영상(31, 32, 33, 34)을 서로 연결하여 하나의 큰 영상(35)를 형성할 수 있다.
도 3에서 도면번호 31은 제1 카메라(23-1)에 의해서 촬영된 영상(a)을 나타내며, 도면번호 32는 제2 카메라(23-2)에 의해서 촬영된 영상(b)을 나타내고, 도면번호 33은 제3 카메라(23-3)에 의해서 촬영된 영상(c)을 나타내며, 도면번호 34는 제4 카메라(23-4)에 의해서 촬영된 영상(d)을 나타낸다.
이에 따라, 상기 하나의 영상(35)에는 피사체를 서로 다른 4개의 각도에서 바라본 영상(31, 32, 33, 34)이 모두 포함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을 획득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에서는 본 발명에 따라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을 획득하는 과정의 순서에 따라 상기 영상 비교 장치(10)의 구성 요소를 재배열하여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부(12)를 통해 획득된 영상은 제1 영상 부호화기(13-1)에 의해 MPEG 방식으로 부호화되어 비트스트림(Bitstream) 형태로 저장부(16)에 저장된다. 아울러, 사용자가 현재 카메라부(12)에 의해 촬영되고 있는 영상을 볼 수 있도록 상기 카메라부(12)에 의해 획득된 영상은 디스플레이부(14)에 실시간으로 출력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부(14)로 현재 표시되는 기준 영상과 상기 카메라부(12)에 의해 촬영되는 비교 영상을 동시에 볼 수 있도록, 상기 비교 영상은 상기 디스플레이부(14)의 화면의 일부 영역에, 예를 들어, PIP(Picture In Picture) 형태로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후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비교 영상을 시청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 입력부(19)에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제어부(18)는 저장부(16)에 저장된 기준 영상에 대한 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각각 디스플레이부(14) 및 스피커(15)로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상기 저장부(16)에 저장된 기준 영상에 대한 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는 제2 영상 및 음성 복호화기(13-2)에 의해서 복호화된 후, 상기 복호화된 영상 데이터는 디스플레이부(14)로 제공되고, 상기 복호화된 음성 데이터는 스피커(15)로 제공된다. 이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14)에는 기준 영상과 함께 비교 영상이 표시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상기 기준 영상에 대한 음성 신호가 스피커(15)로 출력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14)의 화면에 비교 영상이 표시되는 동안에, 상기 스피커(15)로는 기준 영상에 대한 음성 신호가 출력되므로, 상기 비교 영상과 상기 기준 영상에 대한 음성 신호 간에 립싱크(Lip-Synchs)가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비교 영상에 포함된 자신의 모습을 기준 영상과 시각적으로 비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신의 움직이는 모습이 기준 영상에 대한 음성과 시간적으로 일치하는지 여부를 청각적으로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기준 영상과 비교 영상 간에 서로 대응하는 시간적 정보를 저장할 수 있도록 시간 진입점(Time Entry Point) 입력부(18-1)를 포함한다. 상기 시간 진입점 입력부(18-1)는 제어부(18)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시간 진입점 입력부(18-1)는 기준 영상이 재생되는 동안에 상기 비교 영상이 촬영되는 시점 및 촬영 종료 시점에 대한 정보와, 상기 비교 영상의 일정 단위별 시간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부(16)에 저장한다.
아울러, 상기 제1 영상 부호화기(13-1) 및 제2 영상 및 음성 복호화기(13-2)는 본 발명에 따른 부호/복호화부(13) 내에 형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카메라를 이용하여 비교 영상 녹화 시 화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기준 영상(50)에 포함된 객체의 움직임을 따라하는 동안에 사용자 자신의 모습을 볼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14)의 화면에 현재 표시되는 기준 영상(50)과 카메라부(12)에 의해 촬영되는 비교 영상(51)을 동시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준 영상(50)은 화면 전체에 걸쳐 크게 표시되고, 상기 비교 영상(51)은 화면에 작은 크기로 표시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비교 영상(51)은 상기 디스플레이부(14)의 화면의 일부 영역에, 예를 들어, PIP(Picture in Picture) 형태로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혹은 오버레이(Overlay) 형태로 표시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기준 영상과 비교 영상 간 대응하는 시간적 정보를 설정하는 원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는 기준 영상과 비교 영상 간에 시간적 동기를 맞추거나, 기준 영상 및 비교 영상 중 일정 위치에 해당하는 이미지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각각의 영상에 대한 시간 정보를 저장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저장부(16)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련의 연속된 정지 이미지(50-1 내지 50-n)의 집합(즉, 동영상)으로 이루어지는 기준 영상(50)을 저장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기준 영상(50)에 포함된 각각의 정지 이미지(50-1 내지 50-n)에 대한 시간(Time)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시간 정보로서는 트랜스포트 스트림(TS: Transport Stream) 정보, 프로그램 스트림(PS: Program Stream) 정보 또는 상기 기준 영상(50)을 저장하고 있는 상기 저장부(16) 내에서 각각의 정지 이미지(50-1 내지 50-n)에 해당하는 비트스트림 파일데이터의 위치가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저장부(16)는, 상기 기준 영상(50)이 재생되어 화면에 표시되는 동안에 카메라로 획득한 일련의 연속된 정지 이미지(51-1 내지 51-n)의 집합(즉, 동영상)으로 이루어지는 비교 영상(51)의 녹화 시작 시점에 대한 정보(즉, 비교 영상(51)의 첫 번째 이미지(51-1)에 해당하는 시간 정보)를 상기 첫 번째 이미지(51-1)에 대응하는 상기 기준 영상(50)의 특정 이미지(50-2)에 대한 시간 정보와 매칭(Matching)시켜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비교 영상(51)의 첫 번째 이미지(51-1)에 대응하는 상기 기준 영상(50) 특정 이미지(50-2)란, 상기 기준 영상(50)의 개별 이미지(50-1 내지 50-n) 중 상기 비교 영상(51)의 첫 번째 이미지(51-1)가 촬영되는 시점과 동일한 시점에 재생되거나 혹은 가장 작은 시간차를 갖고서 재생되는 이미지(50-2)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비교 영상(51)과 상기 기준 영상(50) 간에 시간 정보를 매칭시킴으로써, 향후 하나의 화면을 통하여 상기 비교 영상(51)과 기준 영상(50)을 서로 비교할 시 기준 영상(50)에 포함된 객체의 움직임과 비교 영상(51)에 포함된 피사체의 움직임을 서로 동기시킬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상기 비교 영상(51)의 시간 정보로서, 비교 영상(51)의 녹화 시작시간 정보뿐만 아니라, 비교 영상(51)의 끝에 해당하는 마지막 이미지(51-n)에 해당하는 녹화 종료시간 정보와, 비교 영상(51)이 촬영되는 동안에 일정 시간 단위별 개별 이미지(51-1 내지 51-n)에 대한 시간 정보를 저장부(16)에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기준 영상(50)에 대하여 상기 비교 영상(51)에 대한 촬영 시작 시점, 종료 시점, 및 일정 촬영 시간 단위에 대한 시간 정보를 매칭시킴으로써, 향후 하나의 화면을 통하여 상기 비교 영상(51)과 기준 영상(50)을 서로 비교할 시 기준 영상(50)에 포함된 객체의 움직임과 비교 영상(51)에 포함된 피사체의 움직임을 일정 동작 단위 혹은 일정 시간 단위로 비교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기준 영상과 비교 영상을 출력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에서는 본 발명에 따라 기준 영상과 비교 영상을 출력하는 과정의 순서에 따라 상기 영상 비교 장치(10)의 구성 요소를 재배열하여 설명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사용자 입력부(19)를 통하여 영상 비교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8) 내에 구성된 비트스트림 검색기(Bitstream Seeker)(18-2)가 저장부(16)에 저장된 기준 영상의 특정 위치와, 상기 기준 영상에 대응하는 비교 영상의 위치를 검색하고, 검색된 기준 영상 및 비교 영상이 복호화부(13)로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그러면, 제2 영상 및 음성 복호화기(13-2)는 상기 저장부(16)에 저장된 기준 영상에 대한 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복호화한 후, 상기 복호화된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14)로 제공하고, 상기 복호화된 음성 데이터는 스피커(15)로 제공한다. 이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14)에는 기준 영상이 표시되고, 상기 기준 영상에 대한 음성 신호가 스피커(15)로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3 영상 복호화기(13-3)는 상기 저장부(16)에 저장된 비교 영상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복호화한 후, 상기 복호화된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14)로 제공한다. 이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14)에는 기준 영상과 함께 비교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3 영상 복호화기(13-3)은 본 발명에 따른 부호/복호화부(13) 내에 형성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 비교를 위한 화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기준 영상(50)과 상기 기준 영상(50)에 포함된 객체의 움직임을 추종하는 모습을 서로 비교할 수 있도록, 하나의 디스플레이부(14)의 화면에 상기 기준 영상(50)과 비교 영상(51)을 동시에 표시한다.
이를 위하여, 도 8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4)에 의해서 형성되는 하나의 화면을 반분하여 상기 화면의 좌측 1/2에 해당하는 제1 영역에 기준 영상(50)을 표시하고, 상기 화면 중 상기 제1 영역과는 겹치지 않는 우측 제2 영역에 비교 영상(51)을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기준 영상(50)에 포함된 객체의 움직임과, 상기 비교 영상(51)에 포함된 상기 객체의 움직임을 추종하는 자신의 모습을 서로 대등한 크기로 비교함으로써, 자신의 움직임 중 잘못된 부분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8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다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각도에서 피사체에 대한 복수의 단위 비교 영상(a, b, c, d)을 획득한 경우에는, 상기 화면의 우측 1/2에 해당하는 상기 제2 영역을 다시 균등하게 분할하여 각각의 분할 영역에 각각의 단위 비교 영상(a, b, c, d)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위 비교 영상(a, b, c, d)은 전체 비교 영상(51)의 일부분을 구성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기준 영상(50)에 포함된 객체의 움직임과, 상기 비교 영상(51)에 포함된 상기 객체의 움직임을 추종하는 자신의 모습을 서로 다른 각도에서 촬영한 비교 영상(a, b, c, d)을 비교함으로써, 자신의 움직임 중 잘못된 부분을 다양한 측면에서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개인용 비디오 레코더(PVR)를 이용한 영상 비교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비교 장치(10)는 사용자 입력부(19)로 입력되는 명령이 비교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촬영 명령인지 또는 기준 영상과 비교 영상을 비교하기 위한 재생 명령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901).
상기 단계(S901)에서의 판단 결과, 사용자로부터 촬영 명령이 입력된 경우에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입력부(19)를 통해 저장부(16)에 저장되어 있는 기준 영상을 선택하거나, 혹은 현재 튜너(11)를 통해 수신되고 있는 방송 프로그램을 기준 영상으로 선택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는다(S902).
그러면, 제어부(18)는 시스템을 초기화하고 사용자가 촬영 준비를 할 수 있도록 수 초간의 대기 상태를 진행한다(S903).
이어서, 사용자가 촬영 준비가 된 상태에서 사용자 입력부(19)를 통해 촬영 명령을 입력하면, 제어부(18)는 기준 영상이 재생되는 동안에 상기 기준 영상에 포함된 객체의 움직임을 추종하는 사용자의 모습을 촬영하고, 촬영된 비교 영상을 MPEG 방식으로 부호화하여 저장부(16)에 저장한다(S904). 이와 같은 비교 영상의 촬영 과정은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부(19)를 통하여 촬영 중단 명령을 입력하거나, 상기 기준 영상의 재생이 종료될 시 상기 촬영 과정이 종료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단계(S901)에서의 판단 결과, 사용자로부터 재생 명령이 입력된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18)는 사용자로부터 분석 데이터를 동시에 재생하기 위한 명령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905)
상기 단계(S905)에서 판단한 결과, 사용자로부터 분석 데이터를 동시에 재생하기 위한 명령이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18)는 기준 영상 및 비교 영상의 재생 시작 위치를 검색하고(S906), 상기 기준 영상과 비교 영상을 MPEG 방식으로 복호화한 후 상기 기준 영상과 비교 영상을 서로 동기시켜 재생한다(S907). 이때, 상기 기준 영상의 영상 신호 및 음성신호는 각각 디스플레이부(14) 및 스피커(15)를 통해 출력되고, 상기 비교 영상의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4)를 통해 출력된다.
한편, 상기 단계(S905)에서 판단한 결과, 사용자로부터 분석 데이터를 동시에 재생하기 위한 명령이 입력된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18)는 저장부(16) 내에 상기 기준 영상과 비교 영상 간에 차이점에 기초한 분석 데이터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908).
상기 단계(S908)에서 판단한 결과 분석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단계(S906)으로 진행하여, 상기 제어부(18)는 기준 영상 및 비교 영상의 재생 시작 위치를 검색하고(S906), 상기 기준 영상과 비교 영상을 동기시켜 재생한다(S907).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부(14)를 통해 표시되는 비교 영상에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분석 데이터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단계(S908)에서 판단한 결과 분석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비디오 분석부(17)가 기준 영상과 비교 영상 간에 차이점을 비교하고 상기 차이점에 기초하여 분석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기준 영상에 포함된 객체의 움직임으로부터 상기 기준 영상에 대한 분석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저장부(16)에 저장하거나, 또는 사용자 입력부(19)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직접 분석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저장부(16)에 저장한 후(S909), 상기 단계(S906) 및 상기 단계(S907)로 진행하여, 상기 기준 영상과 비교 영상을 재생한다.
상기 분석 데이터에는, 예를 들어, 상기 기준 영상이 골프, 스키, 요가 강습 영상 또는 댄스 동영상 등과 같이 자세가 중요한 요소인 경우에는 인체의 기본 골격을 인체 기본 모델을 이용하여 기준 영상과 비교 영상 간의 매치포인트를 검색하고, 동작의 유사도 등을 분석하여 상기 기준 영상과 비교 영상 간의 차이점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자세 교정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석 데이터에는, 상기 기준 영상이 영어발음을 가르치기 위한 것인 경우에는 상기 기준 영상에 표시되는 객체의 입모양과 비교 영상에 표시되는 사용자의 입모양의 차이점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발음 교정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석 데이터에는, 본 발명에 따라 카메라부(12)를 이용하여 실내 또는 실외 공간을 미리 촬영한 기준 영상을 저장부(16)에 저장해 놓고,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 현재 시점에서 다시 동일한 실내 또는 실외 공간을 촬영한 비교 영상을 생성하여, 서로 다른 시간에 촬영된 상기 실내 또는 실외 공간의 모습을 비교함으로서 특정 위치에서 없어진 물건이나 이동한 물건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분석 데이터에는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부(19)를 이용하여 직접 입력한 비교 영상에 대한 점수, 평가 의견, 또는 중요도 등과 같이 사용자의 판단에 따른 분석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디오 분석부(17)는 기준 영상에 포함된 객체로부터 미리 인체의 골격, 입술 모양, 실내/외 공간에 놓여진 물체의 위치 등을 분석하여 기준 영상에 대한 분석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기준 영상에 대한 분석 데이터는 향후 화면에 비교 영상이 표시될 시 상기 기준 영상에 대한 분석 데이터가 상기 비교 영상에 오버레이(Overlay)되어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 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0)

  1. 기준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기준 영상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 표시되는 동안에 상기 기준 영상에 포함된 객체의 움직임을 추종하는 피사체의 현재 모습을 촬영하여 비교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및
    상기 화면에 상기 기준 영상과 함께 상기 비교 영상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용 비디오 레코더를 이용한 영상 비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한 비교 영상을 MPEG 방식으로 부호화하거나, 상기 MPEG 방식으로 부호화된 데이터를 상기 MPEG 방식으로 복호하는 부호/복호화부; 및
    상기 MPEG 방식으로 부호화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용 비디오 레코더를 이용한 영상 비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준 영상이 상기 화면에 표시되는 동안에 상기 카메라로 획득한 비교 영상의 녹화 시작시간, 녹화 종료시간 및 상기 비교 영상을 구성하는 개별 이미지에 대한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기준 영상에 대한 시간 정보와 매칭시켜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시간 진입점 입력부;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기준 영상 및 비교 영상의 위치를 검색하는 검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용 비디오 레코더를 이용한 영상 비교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영상에 대한 시간 정보는 트랜스포트 스트림(Transport Stream) 정보, 프로그램 스트림 정보(Program Stream) 정보 또는 상기 기준 영상을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 내에서 상기 기준 영상을 구성하는 각각의 정지 이미지에 해당하는 비트스트림 파일데이터의 위치에 대한 정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용 비디오 레코더를 이용한 영상 비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영상과 상기 비교 영상의 차이점에 따른 분석 데이터를 생성하는 비디오 분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석 데이터가 상기 화면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용 비디오 레코더를 이용한 영상 비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영상에 대한 포함된 객체로부터 상기 기준 영상에 대한 분석 데이터를 생성하는 비디오 분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준 영상에 대한 분석 데이터가 상기 화면에서 상기 비교 영상에 오버레이(overlay)되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용 비디오 레코더를 이용한 영상 비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비교 영상에 대하여 판단한 분석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상기 분석 데이터가 상기 화면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용 비디오 레코더를 이용한 영상 비교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영상은 상기 화면의 제1 영역에 표시되고, 상기 비교 영상은 상기 제1 영역과 다른 제2 영역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용 비디오 레코더를 이용한 영상 비교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은 각각 상기 화면의 전체 영역을 1/2로 분할하여 형성되는 영역들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용 비디오 레코더를 이용한 영상 비교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영상은 상기 화면에 PIP(Picture In Picture) 형태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용 비디오 레코더를 이용한 영상 비교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영상 및 상기 비교 영상은 동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용 비디오 레코더를 이용한 영상 비교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영상은 상기 피사체를 서로 다른 각도에서 촬영한 복수의 단위 영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용 비디오 레코더를 이용한 영상 비교 장치.
  13. 기준 영상이 화면에 표시되는 동안에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기준 영상에 포함된 객체의 움직임을 추종하는 피사체의 현재 모습을 촬영한 비교 영상을 획득하는 제1 단계; 및
    상기 화면에 상기 기준 영상과 함께 상기 비교 영상을 표시하는 제2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용 비디오 레코더를 이용한 영상 비교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한 비교 영상을 MPEG 방식으로 부호화하여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비교 영상을 상기 MPEG 방식으로 복호화하여 상기 화면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개인용 비디오 레코더를 이용한 영상 비교 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영상이 상기 화면에 표시되는 동안에 상기 카메라로 획득한 비교 영상의 녹화 시작시간, 녹화 종료시간 및 상기 비교 영상을 구성하는 개별 이미지에 대한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기준 영상에 대한 시간 정보와 매칭시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준 영상에 대한 시간 정보는 트랜스포트 스트림(Transport Stream) 정보, 프로그램 스트림 정보(Program Stream) 정보 또는 상기 기준 영상을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 내에서 상기 기준 영상을 구성하는 각각의 정지 이미지에 해당하는 비트스트림 파일데이터의 위치에 대한 정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용 비디오 레코더를 이용한 영상 비교 방법.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영상과 상기 비교 영상의 차이점에 따른 분석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 데이터를 상기 화면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용 비디오 레코더를 이용한 영상 비교 방법.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영상에 포함된 객체로부터 상기 기준 영상에 대한 분석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기준 영상에 대한 분석 데이터를 상기 비교 영상에 오버레이(overlay)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용 비디오 레코더를 이용한 영상 비교 방법.
  18.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부를 통하여 사용자가 상기 비교 영상에 대하여 판단한 분석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로부터 직접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상기 분석 데이터를 상기 화면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용 비디오 레코더를 이용한 영상 비교 장치.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영상은 상기 화면의 제1 영역에 표시되고, 상기 비교 영상은 상기 제1 영역과 다른 제2 영역에 표시되며,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은 각각 상기 화면의 전체 영역을 1/2로 분할하여 형성되는 영역들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용 비디오 레코더를 이용한 영상 비교 방법.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에 상기 기준 영상 및 상기 비교 영상이 표시되는 동안에, 스피커를 통하여 상기 기준 영상에 대한 음성 신호만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용 비디오 레코더를 이용한 영상 제공 방법.
KR1020080018764A 2008-02-29 2008-02-29 개인용 비디오 레코더를 이용한 영상 비교 장치 및 방법 KR1015206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8764A KR101520659B1 (ko) 2008-02-29 2008-02-29 개인용 비디오 레코더를 이용한 영상 비교 장치 및 방법
EP09714764A EP2250808A4 (en) 2008-02-29 2009-02-25 IMAGE COMPARISON DEVICE USING PERSONAL VIDEO RECORDER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12/919,935 US9294710B2 (en) 2008-02-29 2009-02-25 Image comparison device using personal video recorder and method using the same
CN2009801069533A CN101960840B (zh) 2008-02-29 2009-02-25 使用个人视频录像机的图像比较设备以及使用该图像比较设备的方法
PCT/KR2009/000893 WO2009107975A1 (en) 2008-02-29 2009-02-25 Image comparison device using personal video recorder and method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8764A KR101520659B1 (ko) 2008-02-29 2008-02-29 개인용 비디오 레코더를 이용한 영상 비교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3309A true KR20090093309A (ko) 2009-09-02
KR101520659B1 KR101520659B1 (ko) 2015-05-15

Family

ID=41016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8764A KR101520659B1 (ko) 2008-02-29 2008-02-29 개인용 비디오 레코더를 이용한 영상 비교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294710B2 (ko)
EP (1) EP2250808A4 (ko)
KR (1) KR101520659B1 (ko)
CN (1) CN101960840B (ko)
WO (1) WO2009107975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65106A (zh) * 2011-12-19 2013-06-19 索尼公司 根据图示的实际物体的图像对电子显示设备中的图示定向
US8947488B2 (en) 2011-10-07 2015-02-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thereof
KR20190099768A (ko) * 2018-02-20 2019-08-28 구형근 상태 비교 화면 제공 장치 및 방법
WO2022055161A1 (ko) * 2020-09-14 2022-03-1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75326B2 (en) * 2008-02-29 2012-05-08 Fred Siegel Automated scoring system for athletics
WO2012044128A2 (ko) * 2010-10-01 2012-04-05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신호 처리 장치와, 그 방법들
US9350951B1 (en) * 2011-11-22 2016-05-24 Scott Dallas Rowe Method for interactive training and analysis
KR20130127338A (ko) * 2012-05-14 2013-11-2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서버 및 그 제어 방법
CN108848299B (zh) * 2012-05-23 2021-05-11 杭州阿尔法红外检测技术有限公司 热像摄影装置和热像摄影方法
KR101249279B1 (ko) * 2012-07-03 2013-04-02 알서포트 주식회사 동영상 생성 방법 및 장치
US20140118522A1 (en) * 2012-11-01 2014-05-01 Josh Heath Zuniga Dance learning system using a computer
JP5733298B2 (ja) * 2012-12-28 2015-06-10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3047882A4 (en) 2013-10-24 2016-08-31 Huawei Device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AN IMAGE
US10769446B2 (en) 2014-02-28 2020-09-08 Second Spectrum, Inc. Methods and systems of combining video content with one or more augmentations
US10713494B2 (en) 2014-02-28 2020-07-14 Second Spectrum, Inc. Data processing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nd interactive user interfaces and interactive game systems based on spatiotemporal analysis of video content
US11120271B2 (en) 2014-02-28 2021-09-14 Second Spectrum, Inc. Data processing systems and methods for enhanced augmentation of interactive video content
US11861906B2 (en) 2014-02-28 2024-01-02 Genius Sports Ss, Llc Data processing systems and methods for enhanced augmentation of interactive video content
US10521671B2 (en) 2014-02-28 2019-12-31 Second Spectrum, Inc. Methods and systems of spatiotemporal pattern recognition for video content development
CN105898133A (zh) * 2015-08-19 2016-08-24 乐视网信息技术(北京)股份有限公司 一种视频拍摄方法及装置
US20170187927A1 (en) * 2015-12-25 2017-06-29 Le Holdings (Beijing) Co., Ltd.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switching video display window
US10264097B2 (en) 2016-08-02 2019-04-16 Sandisk Technologies Llc Method and system for interactive aggregation and visualization of storage system operations
CN108347627A (zh) * 2017-01-23 2018-07-31 北京新唐思创教育科技有限公司 远程教学端的自检测方法、装置及在线直播系统
US10154429B1 (en) * 2017-06-13 2018-12-11 Western Digital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user experience event processing and analysis
US10503526B2 (en) * 2017-06-13 2019-12-10 Western Digital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user experience event processing and analysis
CN107948562B (zh) * 2017-11-30 2020-05-15 广州市百果园信息技术有限公司 视频录制方法和视频录制终端
CN109348276B (zh) * 2018-11-08 2019-12-17 北京微播视界科技有限公司 视频画面调整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KR20200098225A (ko) * 2019-02-12 2020-08-20 삼성전자주식회사 객체를 모니터링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11113535B2 (en) 2019-11-08 2021-09-07 Second Spectrum, Inc. Determining tactical relevance and similarity of video sequences
CN111860206B (zh) * 2020-06-29 2024-01-02 深圳市优必选科技股份有限公司 图像采集方法、装置、存储介质和智能设备
CN114339356B (zh) * 2020-09-29 2024-02-23 北京字跳网络技术有限公司 视频录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927493A4 (en) 1996-09-17 2000-04-19 Diva Systems Corp EXTENSION TERMINAL FOR INTERACTIVE INFORMATION DISTRIBUTION SYSTEM
US7095388B2 (en) * 2001-04-02 2006-08-22 3-Dac Golf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developing consistency of motion
KR100430840B1 (ko) * 2001-11-19 2004-05-10 쓰리에스휴먼 주식회사 동작비교를 통한 자세교정 운동 장치 및 동작비교 방법,이 동작비교 방법을 저장한 기록매체
KR20040039113A (ko) * 2002-11-01 2004-05-10 주식회사 엠트로닉스 동영상 색인, 검색 및 편집 가능한 개인용 디지털 비디오녹화기(pvr) 기능을 탑재한 셋탑박스시스템
KR100580245B1 (ko) * 2003-06-26 2006-05-16 삼성전자주식회사 동시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는 장치 및 방법
US20100013917A1 (en) * 2003-08-12 2010-01-21 Keith Hanna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surveillance
WO2005120353A1 (en) * 2004-06-14 2005-12-22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EP2348720B1 (en) * 2004-07-01 2015-04-01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Randomly accessible visual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and recording method, and reproducing device and reproducing method
JP4716083B2 (ja) * 2004-07-27 2011-07-06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KR100747530B1 (ko) * 2004-12-13 2007-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Pvr 시스템 및 그 방송 재생 방법
JP4594157B2 (ja) 2005-04-22 2010-12-08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運動支援システムとその利用者端末装置及び運動支援プログラム
US7586515B2 (en) * 2005-05-23 2009-09-08 Tektronix, Inc. Instrument for real-time video quality measurement
JP2007081594A (ja) * 2005-09-13 2007-03-29 Sony Corp 撮像装置、記録方法
US8208758B2 (en) * 2005-10-05 2012-06-26 Qualcomm Incorporated Video sensor-based automatic region-of-interest detection
KR100809787B1 (ko) * 2006-01-06 2008-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트레이닝 장치 및 방법
US20070236611A1 (en) * 2006-04-11 2007-10-11 Tson-Yee Lin Method of Quickly Selecting a Television Channel and Related Video Device
WO2008075359A2 (en) * 2006-12-21 2008-06-26 Yeda Research And Development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atching local self-similarities
JP4626632B2 (ja) * 2007-06-25 2011-02-0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映像監視システム
US20090083710A1 (en) * 2007-09-21 2009-03-26 Morse Best Innovation,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collaborating, and presenting software demonstrations, and methods of marketing of the same
JP2011512054A (ja) * 2007-12-21 2011-04-14 ソニー コンピュータ エンタテインメント アメリカ リミテッド ライアビリテイ カンパニー 模倣した演技をシーンに挿入し、同一性の評価を付与するスキーム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47488B2 (en) 2011-10-07 2015-02-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thereof
US9733718B2 (en) 2011-10-07 2017-08-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thereof
CN103165106A (zh) * 2011-12-19 2013-06-19 索尼公司 根据图示的实际物体的图像对电子显示设备中的图示定向
KR20190099768A (ko) * 2018-02-20 2019-08-28 구형근 상태 비교 화면 제공 장치 및 방법
WO2022055161A1 (ko) * 2020-09-14 2022-03-1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11825150B2 (en) 2020-09-14 2023-11-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107975A1 (en) 2009-09-03
US20110044602A1 (en) 2011-02-24
EP2250808A1 (en) 2010-11-17
US9294710B2 (en) 2016-03-22
EP2250808A4 (en) 2011-05-11
CN101960840A (zh) 2011-01-26
KR101520659B1 (ko) 2015-05-15
CN101960840B (zh) 2012-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0659B1 (ko) 개인용 비디오 레코더를 이용한 영상 비교 장치 및 방법
KR101270780B1 (ko) 가상 강의실 강의 방법 및 장치
JP4978324B2 (ja) 画像記録装置、画像記録システム、画像再生方法
JP3615195B2 (ja) コンテンツ記録再生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編集方法
KR101351085B1 (ko) 실물화상기
JP2009296346A (ja) 番組推薦装置、番組推薦方法及び番組推薦プログラム
KR101426241B1 (ko) 개인 맞춤형 녹화 컨텐츠 처리 방법 및 장치
CN105791883A (zh) 多媒体数据播放方法、装置和系统
KR101198091B1 (ko) 학습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8750579B2 (en) Imag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WO2017022296A1 (ja) 情報管理装置及び情報管理方法、並びに映像再生装置及び映像再生方法
JP4467017B1 (ja) 映像コンテンツのフレーム検索用データの作成手段を備えた映像装置、このフレーム検索用データの検索手段を備えた映像装置、及びこのフレーム検索用データ作成方法。
JP2009010839A (ja) 画像データ再生装置および画像データ再生方法
KR20090121791A (ko) 관람 영상 기록을 위한 장치 및 그 제공 방법
KR20140084463A (ko) 화자 정보를 표시하는 장치 및 방법 그리고, 동영상을 편집하는 서버
JP2007214708A (ja) 映像機器及びそれを用いた番組情報作成方法
JP6248314B2 (ja) 撮像装置、撮像画像の処理方法、及び撮像システム
JP2006279294A (ja) コンテンツ再生システム、コンテンツ再生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481689B1 (ko) 숫자정보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탐색방법 및 장치
JP5895921B2 (ja) 撮影映像処理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137287B2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
Fuhrhop et al. Interactive 360° Narrative for TV use
JP5509159B2 (ja) 画像処理装置
KR20150104822A (ko) 녹화된 영상 컨텐츠를 편집 및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JP5774731B2 (ja) デジタルカメラ及びデジタルカメラの合成画像表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