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0990A - 2단 분리가능한 뚜껑을 구비한 밀폐용기 - Google Patents

2단 분리가능한 뚜껑을 구비한 밀폐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0990A
KR20090090990A KR1020080099289A KR20080099289A KR20090090990A KR 20090090990 A KR20090090990 A KR 20090090990A KR 1020080099289 A KR1020080099289 A KR 1020080099289A KR 20080099289 A KR20080099289 A KR 20080099289A KR 20090090990 A KR20090090990 A KR 200900909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container
container body
fastening
inclined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9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제우
Original Assignee
유제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제우 filed Critical 유제우
Publication of KR200900909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09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65D41/0407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with integral sealing means
    • B65D41/0428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with integral sealing means formed by a collar, flange, rib or the like contacting the top rim or the top edges or the external surface of a container ne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를 이용하여 완벽하게 밀폐할 수 있도록 하는 2단 분리가능한 뚜껑을 구비한 밀폐용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2단 분리가능한 뚜껑을 구비한 밀폐용기에 관한 것으로, 입구가 개구 형성되고 상기 입구의 외주에 높이 방향을 따라 좁아지는 제1경사면이 형성된 용기본체와; 상기 제1경사면과 대응되도록 그 높이 방향을 따라 좁아지는 제2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용기본체에 안착되며 그 외주면에 지름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체결돌기가 구비된 밀폐뚜껑과; 상기 체결돌기와 대응하는 형상의 체결홈이 함몰 형성된 걸림턱을 갖고 상기 제1경사면과 상기 제2경사면이 상호 밀착되도록 상기 용기본체와 상기 밀폐뚜껑의 외주면에 체결되는 체결뚜껑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별도의 패킹링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완벽한 밀폐가 가능하여 용기 내부에 충진된 내용물이 외부로 누설되지 않으며, 내용물에 접촉되는 복잡한 구조의 요철 부분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용기 및 뚜껑을 위생적으로 세척할 수 있다.
밀폐용기, 구조탄성

Description

2단 분리가능한 뚜껑을 구비한 밀폐용기{AIRTIGHT VESSEL HAVING THE COVER SEPARABLE INTO TWO-PART}
본 발명은 2단 분리가능한 뚜껑을 구비한 밀폐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별도의 패킹링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완벽한 밀폐가 가능하여 용기 내부에 충진된 내용물이 외부로 누설되지 않으며, 내용물에 접촉되는 복잡한 구조의 요철 부분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용기 및 뚜껑을 위생적으로 세척할 수 있는 2단 분리가능한 뚜껑을 구비한 밀폐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온병이나 스포츠 물병 등과 같은 밀폐용기는, 일회용 용기와는 달리 반복적으로 개폐하여 사용된다. 이럴 경우에 세척이 어려우면 비위생적으로 사용하게 되는데, 세척이 제대로 안 된 밀폐용기를 버리고 새로운 제품을 자꾸 구입하게 되면 폐용기가 늘어나게 되어 환경문제를 발생시키게 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도 1은 종래의 밀폐용기의 구조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밀폐용기는 소정의 내부공간을 구비하고 입구의 외주면에 나사산(11)이 형성된 용기본체(10)와, 용기본체(10)의 입구에 나 사 체결될 수 있도록 그 내주면에 나사산(미도시) 형성된 뚜껑(20)과, 용기본체(10)의 입구와 뚜껑(20) 사이에 개재되어 용기본체(10)에 담긴 내용물이 용기본체(10)의 외부로 누설됨을 방지할 수 있는 패킹(21)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사용자는 용기본체(10)의 내부에 필요한 내용물을 담고, 뚜껑(20)을 용기본체(10)의 입구에 나사 결합시키면 별도의 패킹(21)에 의하여 용기본체(10)의 밀폐가 이루어지므로 내용물의 누설없이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밀폐용기에 있어서는, 내용물이 용기본체(10)의 외부로 누설되을 방지할 수 있도록 용기본체(10)와 뚜껑(20)에 나사산을 형성하고 그 사이에 별도의 패킹(21)을 삽입하게 되는데,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나사산의 요철부분과 패킹(21)에 이물질이 남게 되며, 이러한 요철부분에 남은 이물질이 완벽하게 제거하기가 쉽지 않으므로 밀폐용기를 사용함에 있어서 위생도가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패킹링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완벽한 밀폐가 가능하여 용기 내부에 충진된 내용물이 외부로 누설되지 않으며, 내용물에 접촉되는 복잡한 구조의 요철 부분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용기 및 뚜껑을 위생적으로 세척할 수 있는 2단 분리가능한 뚜껑을 구비한 밀폐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2단 분리가능한 뚜껑을 구비한 밀폐용기는, 입구가 개구 형성되고 상기 입구의 외주에 높이 방향을 따라 좁아지는 제1경사면이 형성된 용기본체와; 상기 제1경사면과 대응되도록 그 높이 방향을 따라 좁아지는 제2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용기본체에 안착되며 그 외주면에 지름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체결돌기가 구비된 밀폐뚜껑과; 상기 체결돌기와 대응하는 형상의 체결홈이 함몰 형성된 걸림턱을 갖고 상기 제1경사면과 상기 제2경사면이 상호 밀착되도록 상기 용기본체와 상기 밀폐뚜껑의 외주면에 체결되는 체결뚜껑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2단 분리가능한 뚜껑을 구비한 밀폐용기는, 별도의 패킹링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완벽한 밀폐가 가능하여 용기 내부에 충진된 내용물이 외부로 누설되지 않으며, 내용물에 접촉되는 복잡한 구조의 요철 부분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용기 및 뚜껑을 위생적으로 세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단 분리가능한 뚜껑을 구비한 밀폐용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단 분리가능한 뚜껑을 구비한 밀폐용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종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밀폐뚜껑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체결뚜껑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단 분리가능한 뚜껑을 구비한 밀폐용기는, 입구가 개구 형성되고 상기 입구의 외주에 높이 방향을 따라 좁아지는 제1경사면(110)이 형성된 용기본체(100)와, 제1경사면(110)과 대응되도록 그 높이 방향을 따라 좁아지는 제2경사면(210)이 형성되어 용기본체(100)에 안착되며 그 외주면에 지름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체결돌기(220)가 구비된 밀폐뚜껑(200)과, 체결돌기(220)와 대응하는 형상의 체결홈(311)이 함몰 형성된 걸림턱(310)을 갖고 제1경사면(110)과 제2경사면(210)이 상호 밀착되도록 용기본체(100)와 밀폐뚜껑(200)의 외주면에 체결되는 체결뚜껑(30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용기본체(100)는 내부에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는 소정의 내구공간을 구비한 원통 형상의 부재로 그 상면이 개구된 입구가 마련되어 있으며, 입구의 외면에는 높이 방향을 따라 직경이 작아지도록 제1경사면(110)이 형성되어 있다.
밀폐뚜껑(200)은 그 내주면에 제1경사면(110)과 대응되도록 높이 방향을 따라 직경이 작아지는 제2경사면(210)이 형성되어 있으며, 외면에는 지름 방향을 따라 돌출되는 체결돌기(220)가 형성되어 있다.
체결돌기(220)는 단일개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복수로 형성될 수도 있고, 그 크기가 각각 다르게 형성될 수도 있고 동일하게 형성될 수도 있으며, 복수로 형성될 경우에 상호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고 비대칭되는 위치에 랜덤하게 형성될 수도 있지만, 체결이 용이하게 이루어 지기 위해서는 복수로 구비됨과 동시에 그 크기가 다양하며, 비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체결뚜껑(300)은 상부에 체결홈(311)이 함몰 형성된 걸림턱(310)을 갖는 환형으로 형성되며 용기본체(100)와 밀폐뚜껑(200)의 외주면에 체결되는데, 그 하부 내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용기본체(100)의 외주면에도 나사산이 형성되어 체결이 용기본체(100)와 체결이 이루어진다.
체결홈(311)은 체결돌기(2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체결돌기(220)와 동일한 형상과 크기와 개수를 갖도록 형성되며, 체결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체결돌기(220)와 마찬가지로 복수로 구비됨과 동시에 그 크기가 다양하며, 비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한 밀폐용기를 사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사용자는 용기본체(100)의 내부공간에 원하는 내용물을 담고 체결뚜껑(300)을 용기본체(100)의 입구 부분에 끼운 후, 체결뚜껑(300)의 걸림턱(310)에 형성된 체결홈(311)에 밀폐뚜껑(200)의 체결돌기(210)를 맞춰서 끼워 넣어 제2경사면(210)이 제1경사면(110) 위에 안착되도록 한다.
그 후, 체결뚜껑(300)을 회전하여 용기본체(100)에 나사결합시키면 나사결합이 진행됨에 따라 체결뚜껑(300)의 걸림턱(310)이 밀폐뚜껑(200)을 하측 방향으로 당기게 되므로 제2경사면(210)이 제1경사면(110)을 따라 내려오면서 꽉 끼워지게 되어 별도의 패킹을 구비하지 않고서도 용기본체(100)와 밀폐뚜껑(200)의 구조탄성에 의하여 완벽한 밀폐가 가능하여 용기 내부에 충진된 내용물이 외부로 누설되지 않는다.
그리고 밀폐뚜껑(200)과 체결뚜껑(300)을 용기본체(100)에서 분리하는 방법 은 상술한 과정의 역순으로 이루어지며, 종래의 밀폐용기에서 내용물에 접촉되는 복잡한 구조의 요철 부분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용기 및 뚜껑을 위생적으로 세척할 수 있다.
여기서, 출원인은 뚜껑을 2단, 즉, 밀폐뚜껑(200)과 체결뚜껑(300)으로 분리하지 않고 일체화된 구성도 구상하였으나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밀폐뚜껑(200)과 체결뚜껑(300)이 일체로 형성될 경우에는 뚜껑을 용기본체(100)에 체결시 제1경사면(110)과 제2경사면(210)이 맞물린 상태에서 회전력이 가해지므로, 제1경사면(110)과 제2경사면(210) 사이의 마찰에 의하여 소음이 발생하게 되며, 또한 마찰에 의하여 제품이 손상을 입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출원인은 뚜껑을 2단으로 분리하여 그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였음을 덧붙인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밀폐용기의 구조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단 분리가능한 뚜껑을 구비한 밀폐용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종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밀폐뚜껑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체결뚜껑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용기본체 110 : 제1경사면
200 : 밀폐뚜껑 210 : 제2경사면
220 : 체결돌기 300 : 체결뚜껑
310 : 걸림턱 311 : 체결홈

Claims (5)

  1. 입구가 개구 형성되고 상기 입구의 외주에 높이 방향을 따라 좁아지는 제1경사면이 형성된 용기본체와;
    상기 제1경사면과 대응되도록 그 높이 방향을 따라 좁아지는 제2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용기본체에 안착되며 그 외주면에 지름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체결돌기가 구비된 밀폐뚜껑과;
    상기 체결돌기와 대응하는 형상의 체결홈이 함몰 형성된 걸림턱을 갖고 상기 제1경사면과 상기 제2경사면이 상호 밀착되도록 상기 용기본체와 상기 밀폐뚜껑의 외주면에 체결되는 체결뚜껑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 분리가능한 뚜껑을 구비한 밀폐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돌기와 상기 체결홈은 복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 분리가능한 뚜껑을 구비한 밀폐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호 대응하지 않는 상기 체결돌기와 상기 체결홈은 그 크기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 분리가능한 뚜껑을 구비한 밀폐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돌기와 상기 체결홈은 각각 상호 대칭되거나 혹은 비대칭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 분리가능한 뚜껑을 구비한 밀폐용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와 상기 체결뚜껑의 상호 접촉면에는 나사산이 각각 형성되어 상호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 분리가능한 뚜껑을 구비한 밀폐용기.
KR1020080099289A 2008-02-21 2008-10-09 2단 분리가능한 뚜껑을 구비한 밀폐용기 KR2009009099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5638 2008-02-21
KR20080015638 2008-02-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0990A true KR20090090990A (ko) 2009-08-26

Family

ID=41208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9289A KR20090090990A (ko) 2008-02-21 2008-10-09 2단 분리가능한 뚜껑을 구비한 밀폐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9099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339771A (en) Infant feeding container and cap assembly
JP5194170B2 (ja) 飲料容器用のプッシュ・プル式閉鎖具
US10562696B2 (en) Container for storing and individually discharging capsules
US10159628B2 (en) Closure and feeding bottle incorporating it
WO2011082246A2 (en) Quick access closure apparatus and methods of use
RU2222314C2 (ru) Детский рожок
KR101221795B1 (ko) 측면 가압식 안전캡
KR101602166B1 (ko) 캡슐형 내용물이 하나씩 배출되는 포장용기
KR200425701Y1 (ko) 원터치식 밀폐용기
JP2006500092A (ja) 乳児用及び幼児用の哺乳瓶及び飲料瓶
JP2005280750A5 (ko)
KR101745364B1 (ko) 용기뚜껑에 돌출리브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KR20090090990A (ko) 2단 분리가능한 뚜껑을 구비한 밀폐용기
JP3916229B2 (ja) 密閉式重ね容器
RU2004131508A (ru) Предохраняющее закупорив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бутылки
KR100944718B1 (ko) 숄더 캡 결합 구조체
KR20140011901A (ko) 밀폐용기 및 밀폐용기용 커버
KR101894158B1 (ko) 병의 속마개
KR101908285B1 (ko) 캡슐형 내용물이 낱개로 배출되는 포장용기
KR200487519Y1 (ko) 개폐 가능한 용기
KR20190010330A (ko) 패킹 일체형 뚜껑 구조를 갖는 밀폐용기
CN210455769U (zh) 改良型密封盖
KR200352234Y1 (ko) 다용도 병마개
JP3216916U (ja) 金属性キャップを容易にあけられるスクリューキャップオープナー。
JP3115661U (ja) 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