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0303A - 실리콘으로 합금화된 다상 강으로부터 평판형 강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실리콘으로 합금화된 다상 강으로부터 평판형 강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0303A
KR20090090303A KR1020097007487A KR20097007487A KR20090090303A KR 20090090303 A KR20090090303 A KR 20090090303A KR 1020097007487 A KR1020097007487 A KR 1020097007487A KR 20097007487 A KR20097007487 A KR 20097007487A KR 20090090303 A KR20090090303 A KR 200900903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d strip
strip
hot
hot rolled
cold rol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7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61585B1 (ko
Inventor
브리기테 하머
토마스 헬러
요한 빌헬름 슈미츠
요헨 반스
Original Assignee
티센크루프 스틸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센크루프 스틸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티센크루프 스틸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0900903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03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15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15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4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to produce plates or strips for deep-draw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4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to produce plates or strips for deep-drawing
    • C21D8/04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to produce plates or strips for deep-drawing involving a particular fabrication or treatment of ingot or slab
    • C21D8/0415Rapid solidification; Thin strip cas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01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of specific allo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6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moulds with travelling walls, e.g. with rolls, plates, belts, caterpillar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4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to produce plates or strips for deep-drawing
    • C21D8/04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to produce plates or strips for deep-drawing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426Hot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4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to produce plates or strips for deep-drawing
    • C21D8/04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to produce plates or strips for deep-drawing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436Cold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4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to produce plates or strips for deep-drawing
    • C21D8/0447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to produce plates or strips for deep-drawing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 C21D8/0473Final recrystallisation annea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ungsten, tantalum, molybdenum, vanadium, or niob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2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molybdenum or tungste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2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obium or tantal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2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titanium or zirco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5Ferrit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8Martensi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heet Steel (AREA)
  • Solid-Phase Diffusion Into Metallic Material Surfaces (AREA)
  • Coating With Molten Metal (AREA)
  • Chemical Vapour Deposi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인장강도의 평판형 강 제품이 광범위한 형상 치수로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게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다상 미세조직을 형성하고 (중량%로) 0.10% ~ 0.15% C, 0.80% ~ 1.20% Mn, 0.030% 이하의 P, 0.004% 이하의 S, 1.10% ~ 1.30% Si, 0.0 ~ 0.05% Al, 0.0060% 이하의 N, 0.30% ~ 0.60% Cr, 0.080% ~ 0.120% Ti, 0.040% ~ 0.060% Nb, 0.150% ~ 0.250% Mo, 잔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함유하는 강을 두께 1mm ~ 4mm의 주조 스트립으로 주조하고, 주조 스트립을 인-라인 연속 공정으로 850℃부터 1000℃까지 범위의 최종 열연 온도에서 두께 0.5mm ~ 3.2mm의 열연 스트립으로 열연하되, 변형도를 20%보다 크게 하고, 열연 스트립을 450℃부터 700℃까지 범위의 권취 온도에서 권취하여, 5%의 최소 파단 연신율(A80)에서 최소 인장 강도(Rm)가 880MPa인 열연 스트립을 얻는다.
다상 강, 열연 스트립, 최종 열연 온도, 권취 온도, 인장 강도, 파단 연신율

Description

실리콘으로 합금화된 다상 강으로부터 평판형 강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FLAT STEEL PRODUCTS FROM A MULTIPHASE STEEL ALLOYED WITH SILICON}
본 발명은 고(高)-인장강도의 마르텐사이트 강으로부터 스트립 또는 시트 금속 소재와 같은 평판형 강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MS(마르텐사이트) 강은 다상(multi-phase) 강의 그룹에 속한다. 이는 통상적으로 미세조직의 상들의 형태, 양 및 배열에 의해 물성이 결정되는 강이다. 따라서, 미세조직 내에 적어도 2상(예를 들면, 페라이트, 마르텐사이트, 베이나이트)이 존재한다. 그 결과, 다상 강은 종래의 강에 비하여 강도/성형성의 조합이 우수하다.
이러한 제조 공정은 특히 포정 반응으로 응고하는 조성물의 주조와 관련하여 문제를 일으킨다. 이러한 강종(steel grade)의 경우에, 연속 주조 중에 종방향 균열이 발생할 위험이 있다. 그러한 종방향 균열의 발생은 슬라브 또는 박슬라브로부터 제조된 열연 스트립의 품질을 심하게 저하시켜, 열연 스트립의 사용이 불가능할 수도 있다. 이러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증가된 화염 처리(flame treatment)와 같은 다양한 대책이 필요한데, 이는 그러한 강종의 가공(conversion)을 비경제적이 되게 할 수도 있다. Al 함량이 높은 강을 주조할 때에는 분체 플럭 스(powdered flux)와의 반응에 의하여 원치 않는 효과가 발생할 수도 있으며, 그 결과 이러한 강으로 제조된 평판형 제품의 품질은 바람직하지 않은 영향을 받기도 한다.
다상 강은 강도가 높기 때문에 한편으로는 더 작은 재료 두께의 사용을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결과적으로 차량 중량의 감소를 가능하게 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충돌 시에 차량 본체의 안전성(충돌 거동)을 향상시키므로, 이러한 특별한 특성에 의해 자동차 구조용으로 상당한 주목을 받고 있다. 따라서, 본체 전체의 강도가 적어도 동일한 다상 강은 종래의 강으로 제조된 본체에 비하여 그와 같은 다상 강으로 제조된 구성품의 시트 금속 두께의 감소를 가능하게 한다.
일반적으로, 다상 강은 전로 제강소(converter steel mill)에서 용해되고 연속 주조기에서 슬라브 또는 박슬라브(thin slab)로 주조되고, 그 후에 열연 스트립으로 열연되고 권취된다. 이 경우에, 열연 스트립의 기계적 성질은, 특정 미세조직 분율의 조정을 목적으로 하는 열연 후의 열연 스트립의 선택적인 제어 냉각(controlled cooling)에 의해 변화할 수 있다. 열연 스트립은 냉연 스트립으로 냉연되어 더 얇은 시트 금속 두께가 얻어질 수도 있다(유럽 특허공보 제EP 0 910 675 B1호, 제EP 0 966 547 B1호, 제EP 1 169 486 B1호, 제EP 1 319 725 B1호 및 유럽 공개특허공보 제EP 1 398 390 A1호).
인장강도가 800MPa를 초과하는 고-인장강도의 다상 강으로 평판형 제품을 제조함에 있어서 문제점은 그러한 강의 압연 시에 높은 압연력(rolling force)이 가해져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요건에 의하면, 논의되고 있는 유형의 강으로 제조 된 고-인장강도의 열연 스트립은,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 가능한 통상의 제조 장치로는 흔히 자동차 산업에서 오늘날 요구되는 요건을 충분히 충족하지 않는 폭과 두께로 제조될 수 있을 뿐이다. 특히, 두께가 얇고 폭이 충분한 스트립은 종래의 설비에서는 용이하게 제조될 수 없다. 또한, 종래의 방법으로는, 다상 강으로 강도가 800MPa를 초과하는 냉연 스트립을 제조하는 것은 실용적으로 곤란하다는 점이 밝혀졌다.
다상 강으로 강 스트립을 제조하는 대안적인 방법이 유럽 특허공보 제EP 1 072 689 B1호(독일 특허공보 제DE 600 09 611 T2호)에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공지 방법에 따르면, 우선, (중량%로) 0.05%와 0.25%의 C, 합계 0.5% ~ 3%의 Mn, Cu 및 Ni, 합계 0.1% ~ 4%의 Si와 Al, 합계 0.1%까지의 P, Sn, As 및 Sb, 합계 0.3% 미만의 Ti, Nb, V, Zr 및 REM과 더불어, 각각이 1% 미만인 Cr, Mo 및 V, 잔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함유하는 용강이 두께 0.5mm ~ 10mm, 특히 1mm ~ 5mm의 주조 스트립으로 주조된다. 그 후 주조 스트립은 1회 이상의 패스로 인라인으로 열연 스트립으로 열연되고, 변형도는 25% 내지 70%의 범위이다. 최종 열연 온도는 이 경우에 Ar3 온도보다 높다. 열연 종료 시에 얻어진 열연 스트립은 그 후 두 단계로 냉각된다. 이러한 냉각의 제1 단계에서, 400℃ ~ 550℃ 범위의 온도에 이를 때까지 초당 5℃ ~ 100℃의 냉각 속도가 유지된다. 그 후에 열연 스트립은 이 온도에서, 잔류 오스테나이트 양이 5%를 초과하는 강의 베이나이트 변태가 일어나게 하는 데 필요한 유지 시간 동안 유지된다. 펄라이트의 형성은 이 경우에 회피되어야 한다. 필요 한 미세조직을 얻기에 충분한 유지 시간 후에, 제2 냉각 단계의 개시에 의해 변태 공정이 중단되며, 열연 스트립은 400℃ 미만의 온도로 냉각되고 그 후에 350℃ 미만의 권취 온도에서 코일로 권취된다.
유럽 특허공보 제EP 1 072 689 B1호에 기재된 방법에서는, TRIP 특성["TRIP" = "변태 유기 소성(Transformation Induced Plasticity)"]을 가진 다상 강으로부터 간단한 방법으로 베이나이트 미세조직 분율을 가진 열연 스트립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여야 한다. 그러한 강은 비교적 강도가 높고 성형성이 양호하다. 그러나, 강도는 많은 용도에 있어서, 특히 자동차 구조의 분야에는 충분하지 못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인장강도의 평판형 강 제품이 광범위한 형상 치수로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게 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전술한 종래 기술에 기초하여, 본 발명에 따라, 다상 미세조직을 형성하고 (중량%로) 0.10% ~ 0.15% C, 0.80% ~ 1.20% Mn, 0.030% 이하의 P, 0.004% 이하의 S, 1.10% ~ 1.30% 이하의 Si, 0.0 ~ 0.05% Al, 0.0060% 이하의 N, 0.30% ~ 0.60% Cr, 0.080% ~ 0.120% Ti, 0.040% ~ 0.060% Nb, 0.150% ~ 0.250% Mo 및 잔부 Fe와 불가피한 불순물을 함유하는 강을 두께 1mm ~ 4mm의 주조 스트립으로 주조하고, 주조 스트립을 인-라인(in-line) 연속 공정으로 850℃ 내지 1000℃ 범위의 최종 열연 온도에서 두께 0.5mm 내지 3.2mm의 열연 스트립으로 열연하되, 변형도를 20%보다 크게 하고, 열연 스트립을 450℃ ~ 700℃의 범위의 권취 온도에서 권취하여, 5%의 최소 파단 연신율(A80)에서 최소 인장 강도(Rm)가 880MPa인 열연 스트립을 얻는 평판형 강 제품 제조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은 특히 인장강도가 높고 공정 응고하는 다상 강을 열연 스트립으로 가공하는 스트립 주조의 가능성을 이용한다. 주조 스트립 그 자체는 이 경우에 이미 두께가 작기 때문에, 특히 자동차 구조 분야에 요구되는 바와 같이 얇은 두께의 평판형 제품을 제조하기 위하여, 이러한 스트립의 열연 중에 비교적 낮은 변형도만이 유지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주조 스트립의 해당 초기 두께를 규정함으로써, 특성 분포가 최적이고 최대 두께가 1.5mm인 열연 스트립을 어떠한 문제도 없이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며, 열연 스트립으로부터 예를 들면 차량의 지지 구조용 구성품이 제조될 수 있다.
열연 중의 낮은 변형도에 의하여 이에 필요한 압연력은 종래 방법에서의 슬라브 또는 박슬라브의 열연에 필요한 힘에 비하여 낮으므로, 종래 방식으로 주조된 동일한 강도와 두께의 열연 스트립의 폭보다도 실질적으로 큰 광폭의 열연 스트립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아무런 문제도 없이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라 규정되고 처리되는 조성의 마르텐사이트 강으로 이루어지고 1,200mm보다 큰 폭, 특히 1,600mm보다 큰 폭을 가진 고-인장강도의 열연 스트립이 신뢰적으로 제조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유형의 고-인장강도 강을 가공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 주조 공정의 적용은, 전술한 장점 이외에도, 본 방법에 특정된 공정 변수(예를 들면, 열연 최종 온도, 냉각, 권취 온도)와 특성에 의하여, 응고 거동과 관련하여 본 발명에 따라 처리되는 유형의 임계적 강 조성물을 신뢰적으로 주조하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따라서, 스트립 주조의 특징인 주조 스트립의 급속 응고에 의하여, 종래의 제조에 비하여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열연 스트립은 단면과 길이에 걸쳐서 특성 분포와 미세조직이 특히 균일하므로 중앙 용석(centre liquation)의 발생 위험이 실질적으로 감소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다른 특별한 장점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열연 스트립은, 유럽 특허공보 제EP 1 072 689 B1호에 기재된 열연 종료와 권취 사이에 냉각 중단의 필요에 의하여 유지되어야 하는 열연 스트립의 특별한 냉각 사이클 없이도, 적어도 880MPa의 고강도를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시함에 있어서, 열연은 비교적 좁은 범위로 국한된 온도 범위(temperature window) 내에서 종료되고 권취는 정밀하게 설정된 온도 범위 내에서 실시되는 것이 확보되어야 할 뿐이다. 그 사이에서는 단일-단계의 냉각이 일어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또 다른 장점에 의하면, 하나의 강 분석치(steel analysis)를 기초로 하여, 냉각 및 압연 조건을 변경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스트립의 기계적 물성 범위의 확장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열연 스트립은 냉연 스트립으로의 후속 가공에 특히 적합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용적인 한 실시 형태에서는, 열연 스트립이 자동차 본체 구성에 필요한 두께 0.5mm ~ 1.4mm 특히 0.7mm 내지 1.3mm의 냉연 스트립으로 냉연되는 구성이 제공된다. 냉연 중에 발생하는 경화를 제거하기 위하여, 냉연 스트립은 750℃ ~ 850℃의 소둔 온도에서 소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열연 스트립으로부터 이와 같이 제조된 냉연 스트립에 대해서는, 800MPa의 최소 인장 강도가 신뢰적으로 보장될 수 있다. 동시에, 냉연 스트립의 최소 파단 연신율(A50)이 5%인 것도 신뢰적으로 보장된다. 소둔 온도를 750℃ 내지 805℃ 범위로 제한함으로써, 인장 강도가 적어도 1000MPa인 냉연 스트립이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높은 강도에 불구하고, 이와 같이 소둔된 스트립에 대해서 5%의 최소 파단 연신율(A50)이 계속 보장될 수 있다. 대조적으로, 810℃ 내지 850℃의 범위로 제한된 소둔 온도에 의하여, 800MPa의 최소 인장 강도가 계속 확보되고 파단 연신율 값이 향상된 냉연 스트립이 확실히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냉연 스트립에는 본질적으로 공지된 방식으로 금속 코팅층이 제공되며, 이 경우에 예를 들면 코팅층은 아연 코팅층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열연 스트립의 강도와 연신율 값은 해당 최종 열연 온도와 권취 온도의 조정에 의하여 넓은 범위에 결쳐서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얻어진 열연 스트립의 최소 파단 연신율(A80)이 10%이고 최소 인장 강도(Rm)가 880MPa인 열연 스트립이 제조되어야 하는 경우에, 이는 850℃ ~ 1000℃의 범위에서 변화하는 최종 열연 온도와 550℃ ~ 700℃의 범위에서 변화하는 권취 온도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한편, 5%의 최소 파단 연신율(A80)에서 적어도 1000MPa의 높은 인장 강도(Rm)가 보장된 연열 스트립이 제조되어야 한다면, 이를 위하여 900℃ 내지 1000℃ 범위의 최종 열연 온도와 450℃ 내지 550℃ 범위의 권취 온도가 선정된다.
이하에서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하여 실시된 시험에서, 본 발명에 따라 표 1에 기재된 조성으로 구성된 강이 용해되고, 일반적인 2-롤(two-roll) 주조기에서 각각 1.6mm 두께의 주조 스트립으로 주조되었다.
[표 1] (중량%의 데이터)
C Mn P S Si Al N Cr Ti Nb Mo
0.11 1.09 0.006 0.004 1.17 0.013 0.0054 0.44 0.112 0.057 0.200
스트립이 주조된 직후에, 주조 스트립은 인-라인으로 최종 열연 온도(WET)에서 두께 1.25m의 열연 스트립으로 열연되었다. 그 후, 각 경우에 얻어진 열연 스트립은 바로 냉각 단계에서 권취 온도(HT)까지 냉각되고 권취되었다. 권취 후에, 얻어진 열연 스트립은, 제조 중에 유지된 최종 열연 온도(WET)와 권취 온도(HT)에 따라, 표 2에 기재된 인장 강도(Rm)와 파단 연신율(A80)을 가졌다.
[표 2]
WET [℃] HT [℃] Rm [MPa] A80 [%]
880 640 895 13.1
이와 같이 제조된 열연 스트립은 권취와 산세 후에 0.7mm 두께의 냉연 스트립으로 냉연되었다.
그러한 냉연 스트립 A는 스트립의 재결정을 위하여 인-라인으로 840℃의 온 도에서 소둔되었다. 이 냉연 스트립 A는 12.7%의 파단 연신율(A50)에서 인장 강도(Rm)가 851MPa이었다.
또 다른 냉연 스트립 B가 800℃의 온도에서 소둔되어 재결정되었다. 이 냉연 스트립 B는 파단 연신율(A50)이 8.6%이고 인장 강도(Rm)가 1003MPa이었다.

Claims (14)

  1. - 중량%로,
    C: 0.10% ~ 0.15%,
    Mn: 0.80% ~ 1.20%,
    P: ≤ 0.030%,
    S: ≤ 0.004%,
    Si: 1.10% ~ 1.30%,
    Al: 0.0 ~ 0.05%,
    N: ≤ 0.0060%,
    Cr: 0.30% ~ 0.60%,
    Ti: 0.080% ~ 0.120%,
    Nb: 0.040% ~ 0.060%,
    Mo: 0.150% ~ 0.250%,
    잔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진 조성의 다상 미세조직을 형성하는 강을 두께 1mm ~ 4mm의 주조 스트립으로 주조하고,
    - 주조 스트립을 인-라인 연속 공정으로 850℃ 내지 1000℃ 범위의 최종 열연 온도에서 두께 0.5mm 내지 3.2mm 범위의 열연 스트립으로 열연하되, 20%를 초과하는 변형도로 열연하고,
    - 열연 스트립을 450℃ 내지 700℃ 범위의 권취 온도에서 권취하여,
    - 5%의 최소 파단 연신율(A80)에서 최소 인장 강도(Rm)가 880MPa인 열연 스트립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강 제품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열연 스트립은 폭이 1,200mm보다 크고, 특히 1,600mm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강 제품 제조 방법.
  3. 선행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열연 스트립은 두께가 최대 1.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강 제품 제조 방법.
  4. 선행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열연 스트립을 두께 0.5mm ~ 1.4mm의 냉연 스트립으로 냉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강 제품 제조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냉연 스트립을 750℃ ~ 805℃의 소둔 온도에서 소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강 제품 제조 방법.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냉연 스트립은 최소 인장 강도가 1000MP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강 제품 제조 방법.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냉연 스트립은 최소 파단 연신율(A50)이 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강 제품 제조 방법.
  8. 제4항에 있어서,
    냉연 스트립을 810℃ ~ 850℃의 소둔 온도에서 소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강 제품 제조 방법.
  9. 제4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냉연 스트립은 인장 강도가 800MPa를 초과하는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강 제품 제조 방법.
  10. 제4항, 제8항 또는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냉연 스트립은 최소 파단 연신율(A50)이 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강
  11. 선행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열연 스트립 또는 냉연 스트립에 금속 코팅층을 코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강 제품 제조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금속 코팅층은 아연 코팅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강 제품 제조 방법.
  13. 선행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얻어진 열연 스트립의 최소 파단 연신율(A80)은 10%이고, 권취 온도는 550℃ ~ 7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강 제품 제조 방법.
  14.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얻어진 열연 스트립의 최소 인장 강도(Rm)는 1000MPa이고, 최종 열연 온도는 900℃ ~ 1000℃이고, 권취 온도는 450℃ ~ 5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강 제품 제조 방법.
KR1020097007487A 2006-10-30 2007-10-24 실리콘으로 합금화된 다상 강으로부터 평판형 강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 KR1014615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6123141.1 2006-10-30
EP06123141A EP1918405B1 (de) 2006-10-30 2006-10-30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Stahl-Flachprodukten aus einem mit Silizium legierten Mehrphasenstahl
PCT/EP2007/061392 WO2008052921A1 (de) 2006-10-30 2007-10-24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stahl-flachprodukten aus einem mit silizium legierten mehrphasenstah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0303A true KR20090090303A (ko) 2009-08-25
KR101461585B1 KR101461585B1 (ko) 2015-02-23

Family

ID=37781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7487A KR101461585B1 (ko) 2006-10-30 2007-10-24 실리콘으로 합금화된 다상 강으로부터 평판형 강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100065161A1 (ko)
EP (1) EP1918405B1 (ko)
JP (1) JP5350255B2 (ko)
KR (1) KR101461585B1 (ko)
CN (1) CN101528968B (ko)
AT (1) ATE432375T1 (ko)
DE (1) DE502006003833D1 (ko)
ES (1) ES2325964T3 (ko)
PL (1) PL1918405T3 (ko)
WO (1) WO20080529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71416B2 (en) * 2005-10-20 2018-09-11 Nucor Corporation High strength thin cast strip product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CA2701903C (en) * 2007-10-10 2017-02-28 Nucor Corporation Complex metallographic structured ste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20110277886A1 (en) 2010-02-20 2011-11-17 Nucor Corporation Nitriding of niobium steel and product made thereby
EP2439290B1 (de) * 2010-10-05 2013-11-27 ThyssenKrupp Steel Europe AG Mehrphasenstahl, aus einem solchen Mehrphasenstahl hergestelltes kaltgewalztes Flachprodukt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AT512399B1 (de) 2012-09-10 2013-08-15 Siemens Vai Metals Tech Gmbh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mikrolegierten Röhrenstahls in einer Gieß-Walz-Verbundanlage und mikrolegierter Röhrenstahl
GB2548049B (en) 2014-12-19 2021-12-29 Nucor Corp Hot rolled light-gauge martensitic steel sheet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IT201700010994A1 (it) * 2017-02-01 2018-08-01 Nova Ferr S R L Lama di taglio per un tagliaerba.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70529A (en) * 1994-03-08 1995-11-28 Sumitomo Metal Industries, Ltd. High tensile strength steel sheet having improved formability
EP0910675B1 (de) * 1996-07-12 2004-10-06 ThyssenKrupp Stahl AG Warmband aus stahl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DE19710125A1 (de) * 1997-03-13 1998-09-17 Krupp Ag Hoesch Krupp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Bandstahles mit hoher Festigkeit und guter Umformbarkeit
TW426742B (en) * 1997-03-17 2001-03-21 Nippon Steel Corp Dual-phase type high strength steel sheets having high impact energy absorption properties and a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FR2796966B1 (fr) * 1999-07-30 2001-09-21 Ugine Sa Procede de fabrication de bandes minces en acier de type "trip" et bandes minces ainsi obtenues
FR2798871B1 (fr) * 1999-09-24 2001-11-02 Usinor Procede de fabrication de bandes d'acier au carbone, notamment d'acier pour emballages, et bandes ainsi produites
AUPQ779900A0 (en) * 2000-05-26 2000-06-22 Bhp Steel (Jla) Pty Limited Hot rolling thin strip
EP1327697A4 (en) * 2000-10-19 2009-11-11 Jfe Steel Corp ZINC PLATED STEEL SHEET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N ARTICLE FORMED BY PRESS MACHINING
JP3927384B2 (ja) * 2001-02-23 2007-06-06 新日本製鐵株式会社 切り欠き疲労強度に優れる自動車用薄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DE10128544C2 (de) * 2001-06-13 2003-06-05 Thyssenkrupp Stahl Ag Höherfestes, kaltumformbares Stahlblech,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und Verwendung eines solchen Blechs
US6878920B2 (en) * 2002-06-28 2005-04-12 Intel Corporation Optical receiver circuit, method, and system
EP1396550A1 (de) * 2002-08-28 2004-03-10 ThyssenKrupp Stahl AG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Warmbandes
ES2256378T3 (es) * 2002-09-11 2006-07-16 Thyssenkrupp Steel Ag Acero ferritico/martensitico altamente resistente con estructura muy fina.
JP4299560B2 (ja) * 2003-03-20 2009-07-22 日新製鋼株式会社 加工性に優れた高強度合金化溶融亜鉛めっき鋼板の製造方法
JP4317384B2 (ja) * 2003-04-28 2009-08-19 新日本製鐵株式会社 耐水素脆化、溶接性および穴拡げ性に優れた高強度亜鉛めっき鋼板とその製造方法
FR2855184B1 (fr) * 2003-05-19 2006-05-19 Usinor Tole laminee a froid et aluminiee en acier dual phase a tres haute resistance pour ceinture anti-implosion de televiseur, et procede de fabrication de cette tole
CA2546009A1 (en) 2004-03-31 2005-10-13 Jfe Steel Corporation High-rigidity high-strength thin steel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528968A (zh) 2009-09-09
ES2325964T3 (es) 2009-09-25
EP1918405A1 (de) 2008-05-07
JP2010508437A (ja) 2010-03-18
WO2008052921A1 (de) 2008-05-08
ATE432375T1 (de) 2009-06-15
US20100065161A1 (en) 2010-03-18
JP5350255B2 (ja) 2013-11-27
CN101528968B (zh) 2013-03-06
EP1918405B1 (de) 2009-05-27
DE502006003833D1 (de) 2009-07-09
KR101461585B1 (ko) 2015-02-23
PL1918405T3 (pl) 2009-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1583B1 (ko) 보론으로 미량 합금화된 다상 강으로부터 평판형 강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
KR101458039B1 (ko) 복상 조직을 형성하는 강으로부터 평판형 강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
KR101458577B1 (ko) 마르텐사이트 조직을 형성하는 강으로부터 평판형 강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
EP2444510B1 (en) High-strength hot-dip galvannealed steel sheet with excellent workability and fatigue characteristics and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EP1846584B1 (en) Austenitic steel having high strength and formability method of producing said steel and use thereof
EP2166121A1 (en) High strength steel she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05126733A (ja) 高温加工性にすぐれた熱間プレス用鋼板及び自動車用部材
JP2005097725A (ja) 耐水素脆化特性に優れたホットプレス用鋼板、自動車用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091294B1 (ko) 고강도 고연신 강판 및 열연강판, 냉연강판, 아연도금강판 및 아연도금합금화강판의 제조방법
CN114686777A (zh) 具有良好耐老化性的扁钢产品及其制造方法
KR101461585B1 (ko) 실리콘으로 합금화된 다상 강으로부터 평판형 강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
WO2018036918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höchstfesten stahlbandes mit verbesserten eigenschaften bei der weiterverarbeitung und ein derartiges stahlband
KR101830527B1 (ko) 내식성 및 점용접성이 우수한 열간성형용 냉연강판, 열간성형부재 및 그들의 제조방법
CN110832100B (zh) 用于拼焊板的钢材料及使用该钢材制造热冲压部件的方法
EP2309015B1 (en) Procee for the production of a HIGH-STRENGTH HOT-DIP ZINC-COATED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SURFACE APPEARANCE
KR101461584B1 (ko) 알루미늄으로 합금화된 다상 강으로부터 평판형 강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
JP3864663B2 (ja) 高強度薄鋼板の製造方法
JP2005290477A (ja) 高張力鋼板の歪時効処理方法および高強度構造部材の製造方法
JP3995822B2 (ja) 耐リジング性に優れた高純度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の製造方法
JP2005290485A (ja) 鋼板の歪時効処理方法および高強度構造部材の製造方法
JP4273646B2 (ja) 加工性に優れた高強度薄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20063194A (ko) 재질균일성이 우수한 고강도 용융도금강판 및 그 제조 방법
JPH05345953A (ja) 加工性にすぐれる極低C系の薄物熱延原板の合金化溶融Znめつき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4151443B2 (ja) 打抜き後の平坦度に優れる薄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230043353A (ko) 표면 품질이 우수하고 재질 편차가 적은 고강도 냉연강판 및 이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