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9716A - 자가발전 및 자기진단기능을 갖는 회전유량계 - Google Patents

자가발전 및 자기진단기능을 갖는 회전유량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9716A
KR20090089716A KR1020080015033A KR20080015033A KR20090089716A KR 20090089716 A KR20090089716 A KR 20090089716A KR 1020080015033 A KR1020080015033 A KR 1020080015033A KR 20080015033 A KR20080015033 A KR 20080015033A KR 20090089716 A KR20090089716 A KR 200900897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self
rotor
flow rate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5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오수
Original Assignee
김오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오수 filed Critical 김오수
Priority to KR1020080015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89716A/ko
Publication of KR200900897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97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07Integration to give total flow, e.g. using mechanically-operated integrating mechanism
    • G01F15/075Integration to give total flow, e.g. using mechanically-operated integrating mechanism using electrically-operated integrating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5/00Measuring speed of fluids, e.g. of air stream; Measuring speed of bodies relative to fluids, e.g. of ship, of aircraft
    • G01P5/14Measuring speed of fluids, e.g. of air stream; Measuring speed of bodies relative to fluids, e.g. of ship, of aircraft by measuring differences of pressure in the flui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2Measuring direction or magnitude of magnetic fields or magnetic flux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7/00Control of flow
    • G05D7/06Control of flow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가 발전 및 자기진단기능을 갖는 회전유량계에 관한 것으로, 회전유량계 본체(body)와; 유체의 흐름에 따라 회전하여 동력을 발생하는 회전자와; 상기 회전자의 상측에 축을 통해 연결되어 기어를 구동하는 제1기어와; 회전자가 회전할 때 발생하는 회전력을 감지하는 자기 센서와; 상기 제1기어에 연동되어 변속하는 제2기어와; 상기 제2기어에 연결되고, 상기 회전유량계 본체에 내장되어 유체의 흐름에 따른 전력을 발생하는 발전기 모듈과; 상기 발전기 모듈에서 발생하는 전기를 제어하고 유량을 조절하는 제어모듈; 및 유체의 속도와 회전자의 회전력 및 발생된 전기량을 측정 및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유체, 자가 발전, 자기 진단기능, 회전유량계, 회전자, 자기 센서

Description

자가발전 및 자기진단기능을 갖는 회전유량계{Rotation Flowmeter Which Have Non-utility Generation and Self-Diagonostic Function}
본 발명은 자가 발전 및 자기진단기능을 갖는 회전유량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체에 의한 자가 발전이 가능하고, 자기 진단기능을 갖춘 회전유량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유량계는 물, 오일 등에 사용되는 유량계에 대한 것으로 유체의 흐름에 의해 회전하는 유량계 내부의 회전자의 회전력을 발전기에 전달하여 자가 발전을 하는 구조이다. 이러한 자가 발전을 통해 얻어진 기전력을 사용하여 외부에서의 부수적인 전원의 인가 없이 유량의 표시, 유량계의 제어 및 유량의 설정범위에 대한 자가진단을 하는 제어모듈을 사용하여 유량의 표시 및 제어를 하는 자가 발전 및 자기진단기능을 갖는 회전유량계 장치를 제공한다.
반도체 제조라인 또는 반도체 장비 자체 및 기타 유체 (가스, 물 , 오일 등)의 흐름의 제어를 필요로 하는 시스템 또는 유틸리티 (유체의 공급 장치 및 부속 시설을 포함)를 사용하는 분야에 있어 다양한 종류의 유량계가 사용되고 있다. 이 러한 유량계는 사용되는 공정이 요구하는 정밀도에 따라 사양이 정해지게 된다.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유량계는 유체의 종류에 따라 세분화된다.
종래의 유틸리티 장치에서 사용되는 무전원 인가 방식의 유량계는 사용 환경이 전원의 인가가 어려운 경우가 많다. 이에 따라 전원의 인가가 불필요한 아날로그 형태로 유량을 표시하는 것만 가능한 구조를 갖추고 있다. 이러한 구조의 종래의 유량계는 아날로그 형태로 유량을 단순히 표시하는 것만이 가능하며, 정확한 유량의 제어 및 설정 유량 범위에 대해 정확한 유량의 흐름에 대한 관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종래의 무전원 인가 방식의 용적식 유량계의 구조 및 작동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무전원 인가 방식의 용적식 유량계 구조를 도시하는 구성도이며, 도 2는 종래의 대표적인 회전유량계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유체의 흐름에 따른 상, 하부의 압력 차를 이용하여 유량계 내부의 플루오트(측정자)(4)가 상하로 이동하게 되며, 유량계 외부의 눈금자(2)를 지시하는 측정자(4)의 높이에 의해 유량을 확인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의 유량계는 아날로그 방식으로 측정되기 때문에 정확한 유량의 확인 및 유량 조절의 어려움이 있다. 즉, 측정인의 위치에 따라 유량계의 눈금자 값을 다르게 읽게 되어 유량의 측정에 오차가 발생한다.
다음으로, 종래의 무전원 인가 방식의 회전유량계는 회전자(21)에 자성을 띤 N, S 극을 갖는 자성체(22)가 부착되어 있으며, 유량계(8)의 몸체 외측에 마그네틱 또는 호올 센서(Hall sensor)등의 자기센서(23)가 장착되어 회전자(21)의 극성 변화에 의해 전기적 신호의 발생에 의한 펄스값을 받아 이를 연산 장치에서 연산하여 유량을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조의 종래의 유량계(8)는 연산처리를 위해 외부로부터 전원의 공급이 필요하기 때문에 전원 공급이 어려운 위치에 설치될 경우에 사용시 운용이 힘든 단점이 있다.
또한, 유량계 내부에 설치되는 회전자(21)에 의한 1:1 비율의 전기적 신호의 발생에 의해 유량을 계산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 구조상의 문제로 유량계의 정밀도가 낮아진다는 문제점도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안출 된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외부에서의 별도의 전원의 인가 없이 유체의 흐름을 이용하여 회전력 증대를 위해 적용된 기어 박스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발전을 통한 기전력을 얻어 유량의 표시, 유량계의 제어 및 유량의 설정범위에 대한 자가진단을 하는 컨트롤러 부에 사용 하여 유량의 표시 및 제어를 구현 가능하며, 부가적으로 유체, 특히 물 및 오일에 대해 흐르는 유량에 대한 범위를 설정 가능하도록 하고, 이 설정 범위를 벗어날 경우 자체적으로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여 정확한 유량 제어 및 이에 대한 자가 진단의 수행이 가능하게 하는 자가 발전 및 자기진단기능을 구비한 회전 유량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량계 내부의 회전자에 의해 전기적 신호를 유도하는 방식이 아니라, 발전기 모듈의 회전력을 증대하기 위해 장착된 기어에 위치한 자성체를 이용하여 전기적 신호를 얻는 구조로 1:10 또는 그 이상의 증대된 회전수에 의해 전기적 신호를 얻는 구조를 구현하여 보다 정밀한 유량의 계측이 가능하게 되는 자가 발전 및 자기진단기능을 갖는 회전유량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발전기에 의해 유도되는 기전력을 저장할 수 있는 충전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유체의 공급이 없는 경우에 대해서도 유량계의 상태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는 자가 발전 및 자기진단기능을 갖는 회전유량계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가 발전 및 자기진단기능을 갖는 회전유량계의 구성은, 회전유량계 본체(body)와; 유체의 흐름에 따라 회전하여 동력을 발생하는 회전자와; 상기 회전자의 상측에 축을 통해 연결되어 기어를 구동하는 제1기어와; 회전자가 회전할 때 발생하는 회전력을 감지하는 자기 센서와; 상기 제1기어에 연동되어 변속하는 제2기어와; 상기 제2기어에 연결되고, 상기 회전유량계 본체에 내장되어 유체의 흐름에 따른 전력을 발생하는 발전기 모듈과; 상기 발전기 모듈에서 발생하는 전기를 제어하고 유량을 조절하는 제어모듈; 및 유체의 속도와 회전자의 회전력 및 발생된 전기량을 측정 및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자와 상기 제1기어는 회전자 축을 개재하여 연결되고, 상기 제1기어와 제2기어는 톱니 바퀴 형태의 기어를 통해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하고, 상기 발전기 모듈에 의해 전기를 발생하는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제1기어와 제2기어에서 연결되는 바퀴의 비는 1 : 10 또는 1 : 20 으로 구성되고,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기어의 비를 변경 설치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자에 설치되는 회전자 자석부와 상기 제 1기어에 설치되는 제1기어 자석부의 극성은 서로 상이하게 배치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도록 작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제1기어는 유체의 흐름에 따라 발생하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며, 유체의 양을 자동 또는 수동으로 조절 할 수 있도록 유체의 관로 상 일부에 유량 제어부를 추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가 발전 및 자기진단기능을 갖는 회전유량계의 구조에 의하면, 외부에서 별도의 전원을 공급하지 않고 유체의 흐름에서 발생하는 회전력을 이용하여 전원을 발생할 수 있는 자가 발전 및 자기진단기능을 갖는 회전유량계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구현한다.
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회전자의 속도를 증대 또는 감속함으로써 유량을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자가 발전 및 자기진단기능을 갖는 회전유량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회전자에 설치되는 자석부와 회전력을 전달받은 기어에 설치되는 자석부의 극성을 상이하게 설치함으로써 자력을 발생시키고, 이를 통하여 유량의 측정이 가능한 자가 발전 및 자기진단기능을 갖는 회전유량계를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유량의 현황과 속도 및 제어 현황을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를 설치함으로써, 현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장발생시에 신속하게 파악하여 정비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한 자가 발전 및 자기진단기능을 갖는 회전유량계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개요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 예)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에에 따른 자가발전 및 자기진단기능을 갖는 회전유량계의 구성을 도시하는 수직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회전유량계의 본체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기어 모듈 및 자기 센서 부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회전유량계의 기어 모듈의 구성 및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세부구성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회전자와 기어 모듈의 연동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발전기 모듈과 자기센서부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를 각각 도시한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가 발전 및 자기진단기능을 갖는 회전유량계(100)는, 회전유량계 본체(body)(10)와; 회전자(20)와; 회전자의 상측에 축을 통해 연결되어 기어를 구동하는 제1기어(30)와; 회전자가 회전할 때 발생하는 회전력을 감지하는 자기 센서(40)와; 상기 제1기어(30)에 연동되어 변속하는 제2기어와(34); 상기 제2기어에 연결되고, 상기 회전유량계 본체에 내장되어 유체의 흐름에 따른 전력을 발생하는 발전기 모듈(50)과; 상기 발전기 모듈에서 발생하는 전기를 컨트롤 하고 유량을 제어하는 제어모듈(60); 및 유체의 속도와 회전자의 회전력 및 발생된 전기량을 측정 및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자가 발전 및 자기진단기능을 갖는 회전유량계(100)의 구성 및 작동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부수적인 전원의 인가 없이 유체의 흐름을 이용하여 도 3에 도시된 회전유량계 본체(10)의 내부에 설치한 회전자(20)가 회전할 때 발생하는 회전력을 제1기어(30)와 제2기어(34)를 통해 발전기 모듈(50)측에 전달한다.
이때, 상기 제1기어(30)에 전달된 회전력은 연동되는 제2기어(34)를 통하여 회전력을 증대하여 발전기 모듈에 전기를 발생하게 된다 (도 5 참조). 또한, 회전유량계(100) 내부의 회전자(20)의 회전에 따라 발생하는 회전력에 의한 유체의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발전기 모듈(50)을 연결하는 회전자 축(26)과 제1기어 축(38)(도 7 참조)을 분리하여 구성하였다.
또한, 상기 회전자(20)에서 발생하는 회전력을 받는 회전자 자석부(24)를 상기 본체(10)의 일측부에 실장하였다. 이와 함께, 상기 제1기어(30)의 내부에는 상기 회전자 자석부(24)와 대응하여 극성을 반대로 하는 제1기어 자석부(32m)를 설치하였다. 이렇게 함으로써 자성체인 회전자 자석부(24)와 제1기어 자석부(32m)의 극성을 상이하도록 설치함으로써, 회전력을 기계적으로 전달하는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자력의 작용에 의한 회전력의 전달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였다(도 7 참조).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회전자(20)의 회전에 따라 발생하는 회전력에 의한 유체의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구성을 구현하였다.
상술한 구조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도 5에 도시한 제1기어(30)에 제공된 회전력은 회전수를 증대시키기 위해 설치된 제2기어(34)로 전달된다. 다음으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기어(34)에 전달된 회전력은 발전기 모듈(50)로 전달되어 유체에 유속에 의한 발전이 가능한 구조를 구현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자가 발전이 가능한 회전유량계를 구현한다.
또한, 상술한 도 3에 도시한 제1기어(30)와 도 6에서 도시한 제2기어(34)의 축간 간격은 두 연결된 제1기어 및 제2기어(30, 34)간의 회전 저항을 최소화하도록 간격을 조정할 수 있도록 설정한다.
도 1 내지 도 2에서 예시 한 바와 같은 종래의 회전자형 유량계는 유량 계산 방식 및 구조와 다른 점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자가 발전 및 자기진단기능을 갖는 회전유량계(10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자(20) 내부에 자석을 삽입시켜 회전자 자석부(24)를 설치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회전자(20)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회전력을 자기센서(40)에서 발생 되는 전기적 신호와 1:1 비율로 계산하여 유량을 계산하는 방식의 구조와 차별성을 갖도록 한 것이다.
즉, 회전자(20)와 연동하여 회전하면서 회전력 증대를 위해 회전자 자석부(24)를 설치하고, 소정 비(예를 들면, 1:10, 또는 1:20 등)를 형성하도록 제2기어(34)의 상단에 위치한 자석 삽입판(36)에 삽입된 제1기어 자석부(32m) 상호간에 전달되는 회전력을 자기센서(40)에서 검출하여 전기적 신호를 받도록 구성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회전력에 비례하는 1:1 방식으로 유량을 계산하는 장치에 비하여 10배 또는 20배(이 값은 변동할 수 있는 구조임) 이상으로 증폭된 회전수(회전력)를 유량으로 변환하여 측정함으로서 보다 정밀하고 정확하게 유량을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발전기 모듈(50)에서 발생하는 전기를 사용하기 때문에 외부에서 별도로 회전자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지 않아도 구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 여기에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사용하고자 하는 유체의 용도에 따라 1:10 기어에 추가적으로 1 : 2 또는 1 : 5 등의 복수의 기어를 추가함으로서 더욱 정밀하고 특성에 맞는 장치의 유량 측정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유량의 측정 구조)
이하, 유량의 측정 구조 및 방식에 대하여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가 발전 및 자기진단기능을 갖는 회전유량계(100)에 있어서의 유량의 측정은, 회전자(20)의 회전에 의해 연동하는 제 2기어(34)에 연결된 자석 삽입판(36)의 회전수를 자기센서(40)에서 검출하고, 제어모듈(60)에서는 검출된 회전수를 펄스 값으로 변환하여 이를 유량으로 계산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회전유량계는 유체의 유속에 의해 자가 발전을 하여 유량계의 전원으로 사용 가능한 발전기 모듈을 구비한다.
또한 유량을 정확하게 산출하기 위하여 실제 측정한 유량 값과 제어모듈(60)의 계산에 의해 얻어진 유량값의 관계를 수치화하여 이를 보정해 줌으로서 산출한다.
이에 따라, 유량의 측정 및 계산과 제어를 위한 제어모듈(60)을 구비하고, 연산된 유량의 표시 및 제어 기능의 설정이 가능하도록 디스플레이부(70)를 구비한다.
상술한 제어모듈(60)은 발전기모듈(50)로부터 전달되는 전력을 안정된 전원으로 변환시켜 전원을 공급하고, 남는 전력은 충전하여 발전량이 없거나 부족할 때 사용하기 위한 전원부와, 버튼 조작을 통해 한계(Limit) 값, 부가적인 설정값을 입력받는 입력부와, 자기센서(magnetic sensor)로부터 자석 삽입판의 회전 값을 펄스값으로 입력받아 계산하여 유량으로 변환하고, 설정된 값에 따라 자동적으로 유량 을 조절 장치를 제어하기 위해 조절 속도 및 정도를 연산하는 연산부, 그리고 유량 및 유량계의 상태를 LCD 혹은 LED 등의 디스플레이부로 전달하는 연산출력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상술한 디스플레이부(70)에서는 유량의 설정, High/Low limit 값 설정, 그리고 자동 제어 방식으로 사용 시 설정값 대비 유량의 자동 제어가 이루어 지는 범위의 설정, 예를 들어 10 [LPM] 의 유량 설정 시 5% 로 범위 설정시 9.5 이하 또는 10.5 [LPM] 이상의 실제 유량이 감지될 경우 자동 제어를 진행하여 유량을 설정치 10 [LPM]으로 조정하고, 그 외의 5% 이내의 유량 감지 시는 자동 제어가 이루어지지 않게 설정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한 유량 제어부(17)는 자동 제어 방식을 사용하거나 또는 수동 제어 방식이 모두 가능하도록 유량 제어부를 모듈화하여, 유량계가 사용되는 필요에 따라 유량계에 선택적으로 부착할 수 있다. 상기 유량 제어부(17)는 유체의 관로 상에 설치하며, 수동으로 유량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거나 유체의 양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조절하는 방식을 구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가 발전 및 자기진단기능을 갖는 회전유량계(100)에 의하면 외부의 부수적인 전원의 인가 없이 유체의 흐름을 이용하여 자가 발전을 통한 기전력을 얻어 유량의 표시, 유량계의 제어 및 유량의 설정범위에 대한 자가진단이 가능하게 하는 유량계의 전원으로의 사용이 가능하며, 또한 더욱 정밀한 유량의 측정이 가능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회전유량계는 다음과 같은 구조 및 작용 효과를 갖는다.
먼저, 유체의 유속에 의한 회전자의 회전력 증대를 위해 한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기어를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회전력을 증대시키고, 이를 통하여 기전력을 발생시키도록 하는 부가적인 기어 모듈을 갖는다.
또, 유량계 내부의 회전자의 회전력을 기어 모듈로 전달하기 위해 회전자 내부의 자성과 상반된 극성을 가지도록 제1기어 자석부(32m)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자기력에 의해 회전의 연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유체의 저항을 최소화시키는 장치를 구현한다.
또한, 회전력이 증대된 기어 또는 기어에 부착된 자석 삽입판에 의해 발생된 전기적 신호를 계산하도록 하는 제어모듈을 설치함으로써, 유량 계산의 정밀도 및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를 구현한다.
다음으로, 제어모듈에서의 유량 연산을 통해 설정 범위 이내에서는 자동 제어(Auto Tuning )기능을 사용 하지 않고, 설정 범위를 벗어날 경우에만 자동적으로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어모듈은 유량의 자동 제어(Auto Tuning) 또는 수동 제어를 선택적으로 가능하도록 모듈화하여 상호 절환 및 호환이 가능하도록 구성 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무전원 인가 방식의 용적식 유량계 구조를 도시하는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대표적인 회전유량계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에에 따른 자가발전 및 자기진단기능을 갖는 회전유량계의 구성을 도시하는 수직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회전유량계의 본체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기어 모듈 및 자기 센서 부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회전유량계의 기어 모듈의 구성 및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세부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회전자와 기어 모듈의 연동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발전기부와 자기센서부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회전유량계 본체(body) 20: 회전자
24: 회전자 자석부 30: 제1기어
32: 자석삽입부 32m: 제1기어 자석부
34: 제2기어 36: 자석삽입판
38: 제1기어 축
40: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50: 발전기 모듈
60: 제어모듈 70: 디스플레이부

Claims (5)

  1. 회전유량계 본체(body)와;
    유체의 흐름에 따라 회전하여 동력을 발생하는 회전자와;
    상기 회전자의 상측에 축을 통해 연결되어 기어를 구동하는 제1기어와;
    회전자가 회전할 때 발생하는 회전력을 감지하는 자기 센서와;
    상기 제1기어에 연동되어 변속하는 제2기어와;
    상기 제2기어에 연결되고, 상기 회전유량계 본체에 내장되어 유체의 흐름에 따른 전력을 발생하는 발전기 모듈과;
    상기 발전기 모듈에서 발생하는 전기를 제어하고 유량을 조절하는 제어모듈; 및
    유체의 속도와 회전자의 회전력 및 발생된 전기량을 측정 및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발전 및 자기진단기능을 갖는 회전유량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와 상기 제1기어는 회전자 축을 개재하여 연결되고, 상기 제1기어와 제2기어는 톱니 바퀴 형태의 기어를 통해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하고, 상기 발전기 모듈에 의해 전기를 발생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발전 및 자기진단기능을 갖는 회전유량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어와 제2기어에서 연결되는 바퀴의 비는 1 : 10 또는 1 : 20 으로 구성되고,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기어의 비를 변경 설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발전 및 자기진단기능을 갖는 회전유량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에 설치되는 회전자 자석부와 상기 제 1기어에 설치되는 제1기어 자석부의 극성은 서로 상이하게 배치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도록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발전 및 자기진단기능을 갖는 회전유량계.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어는 유체의 흐름에 따라 발생하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며, 유체의 양을 자동 또는 수동으로 조절 할 수 있도록 유체의 관로 상 일부에 유량 제어부를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발전 및 자기진단기능을 갖는 회전유량계.
KR1020080015033A 2008-02-19 2008-02-19 자가발전 및 자기진단기능을 갖는 회전유량계 KR200900897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5033A KR20090089716A (ko) 2008-02-19 2008-02-19 자가발전 및 자기진단기능을 갖는 회전유량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5033A KR20090089716A (ko) 2008-02-19 2008-02-19 자가발전 및 자기진단기능을 갖는 회전유량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9716A true KR20090089716A (ko) 2009-08-24

Family

ID=41207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5033A KR20090089716A (ko) 2008-02-19 2008-02-19 자가발전 및 자기진단기능을 갖는 회전유량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8971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ood et al. Design and development of automatic water flow meter
RU2337320C1 (ru) Счетчик для учета воды
US9435676B2 (en) Counter module adaptor assembly for rotary gas meters
CN209342748U (zh) 一次风风速测量装置
JPH01191019A (ja) 流量計の器差補正方法
US8402833B2 (en) Stepper motor gauge
GB2311865A (en) Liquid metering
EP2141462A2 (en) Electronic Device For Measuring Motion Of Screw Mechanism
KR20090089716A (ko) 자가발전 및 자기진단기능을 갖는 회전유량계
JP2000162012A (ja) 容積式流量計の器差補正方法
JP3150355U7 (ko)
JP3150355U (ja) 流量計
CN207132847U (zh) 一种转动设备旋转角度的测量装置
US7007558B1 (en) Pulse transmitter
CA3004875C (en) Counter module adaptor assembly for rotary gas meters
CN114199318A (zh) 气体体积测算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3884165A (zh) 一种无磁计量模块性能检测装置及实现方法
KR20050081004A (ko) 수도계량기용 순간유량 계측장치
CN102175293A (zh) 机械式水表准确性调节系统和调节方法
KR200449378Y1 (ko) 유량 검출용 계량기
CN105466510B (zh) 带线性阻力调节器的孔口流量计
KR100959629B1 (ko) 넓은 감지 범위를 갖는 유량 적산계
CN109357639A (zh) 一种光电角度传感装置及使用其测量多圈角度的方法
CN203772892U (zh) 一种面风速探头
CN208568823U (zh) 非满管流速测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00624

Effective date: 201203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