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9546A - 중앙 집중식 진공 흡입시스템의 호스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중앙 집중식 진공 흡입시스템의 호스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9546A
KR20090089546A KR1020080014776A KR20080014776A KR20090089546A KR 20090089546 A KR20090089546 A KR 20090089546A KR 1020080014776 A KR1020080014776 A KR 1020080014776A KR 20080014776 A KR20080014776 A KR 20080014776A KR 20090089546 A KR20090089546 A KR 200900895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vacuum suction
hose
suction system
adap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4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62730B1 (ko
Inventor
강흥묵
Original Assignee
강흥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흥묵 filed Critical 강흥묵
Priority to KR10200800147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2730B1/ko
Publication of KR200900895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95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27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27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4Hoses or pipes; 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2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6Hose or pipe couplings with electrical connec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38Built-in suction cleaner installations, i.e. with fixed tube system to which, at different stations, hoses can be connect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4Hoses or pipes; 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8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oses or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중앙 집중식 진공흡입 시스템의 호스연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중앙집진장치로부터 연장된 흡입배관의 단부에 구비되는 흡입구와 후렉시블 호스사이를 연결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와 결합되는 연결관을 구비하며, 상기 연결관의 선단을 외부노출시키는 함몰부를 구비하는 후방 프레임 ; 상기 연결관을 개폐하도록 상기 함몰부에 구비되는 힌지부에 회동가능하게 조립되는 덮개 ;상기 덮개를 외부노출시키는 일정크기의 개구부를 구비하여 상기 후방 프레임에 조립되는 전방 프레임 ; 상기 덮개와 마주하는 선단에 상기 덮개를 열림방향으로 회동시키면서 상기 후방 프레임에 탄력적으로 걸리는 탄성부를 갖추어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함몰부에 삽입되는 어댑터 외부관 ; 및 상기 후렉시블 호스의 단부와 연결되어 어댑터 외부관내에 조립되는 어댑터 내부관 ;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청소작업시 사용자가 한 손으로도 간편하고 신속하게 어댑터를 흡입구와 연결하는 작업을 수행하여 사용상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중앙집중, 진공흡입, 후렉시블 호스, 어댑터, 프레임, 덮개, 단자부

Description

중앙 집중식 진공 흡입시스템의 호스연결장치{A Hose Connecting Device of Centralized Type Vacuum Suction System}
본 발명은 중앙 집중식 진공흡입 시스템에 구비되어 호스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청소작업시 사용자가 한 손으로도 간편하고 신속하게 어댑터를 흡입구와 연결하는 작업을 수행하여 사용상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개선한 중앙 집중식 진공 흡입시스템의 호스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중앙 집중식 진공흡입 시스템은 24시간 사람들이 상주하거나 활동하는 아파트, 사무실, 병원 및 호텔 등에 구비되어 각 단위 공간부에 강한 흡입력을 제공하고, 이를 이용하여 단위 공간부에 바닥면의 먼지 및 이물질을 강제 흡입하여 중앙집진장치로 보내는 흡입구조를 갖추어 보다 청결한 생활환경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중앙 집중식 진공흡입 시스템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물의 어느 한 부분에 중앙집진장치(10)를 설치하고, 전원인가시 중앙집진장치(10)에서 발생한 흡입력을 각각의 단위 공간부에 제공하기 위하여 흡입배관(20)의 단부에 구비되는 흡입구(30)는 각각 공간부의 바닥체(1) 또는 벽체(2)까지 연장된다.
이러한 흡입구(30)는 흡입 인렛(50)을 매개로 후렉시블 호스(41)의 일단부에 연결된 어댑터(42)와 결합됨으로서, 상기 후렉시블 호스(41)의 타단부에 구비되는 흡입기(40)까지 전달되는 흡입력으로서 각 공간부의 바닥면을 청소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흡입 인렛(50)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벽체(2)까지 연장된 흡입구(30)와 연결되는 연결관(52)을 갖는 브라켓(51)과, 상기 브라켓(51)의 상단이 스프링 부재(미도시)를 매개로 하여 회동가능하게 조립되는 덮개(53)를 구비함으로서, 청소시 사용자가 상기 덮개(53)를 개방하여 상기 브라켓(51)의 전면을 노출시킨 다음, 상기 어댑터(42)를 삽입하여 흡입라인을 구성하였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26922호(2006.9.13. 등록일)에는 손잡이가 형성된 덮개와, 지지턱이 형성된 머리부 및 그 하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본체로 이루어져 상기 흡입구와 결합되는 흡입밸브가 개시되어 있는바, 이러한 흡입밸브는 청소시 사용자가 상기 덮개를 개방하여 상기 본체의 흡입공을 외부노출시킨 다음 이에 상기 어댑터(42)를 삽입하여 흡입라인을 구성하였다.
그러나, 종래 사용자가 상기 어댑터를 흡입인렛 또는 흡입밸브와 연결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한 손으로 상기 덮개(53)의 하부단을 잡아 이를 회동시켜 개방시킨 다음, 사용자의 나머지 한 손으로 취부한 어댑터(42)를 브라켓(51)의 연결관(52)이나 본체의 흡입공으로 삽입해야만 하기 때문에, 청소기 사용시 사용자가 양손을 모두 사용해야만 하는 것에 의해서 사용상 매우 불편하고, 사용자의 업무부담을 가중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청소기 사용완료후 상기 어댑터(42)를 분리하게 되면, 상기 덮개는 내장된 복원용 스프링부재의 탄성원력에 의해서 상기 브라켓과 본체를 밀폐하도록 닫혀지는 과정에서 상기 덮개가 브라켓(51)과 본체와 과도한 충격력으로 서로 부딪히면서 수지물로 이루어진 구성부품들이 파손되어 손상됨과 더불어 파손시 제 기능을 상실하여 구성부품을 교체해야만 하고, 이로 인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후렉시블 호스(41)에 구비되는 신호선과 상기 중앙집진장치(10)간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전기 접속구조가 불안정하고, 복잡하여 접속불량을 초래하고, 제조원가를 상승시키는 주원인으로 작용하였다.
또한, 상기 흡입구(30)가 구비되는 시공영역인 벽체 또는 바닥체의 다양한 설치조건에 맞추어 흡입 인렛의 크기를 변경하는 것이 곤란하여 흡입 인렛을 설치하는데 소요되는 시공기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청소작업시 사용자가 한 손으로도 간편하고 신속하게 어댑터를 흡입구와 연결하는 작업을 수행하여 사용상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중앙 집중식 진공 청소기의 호스연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어댑터의 착탈시 발생되는 외력에 의하여 구성부품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중앙 집중식 진공흡입 시스템의 호스연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어댑터의 결합시 중앙집진장치와의 전기적인 연결을 보다 안정적이고 신뢰성 있게 구현할 수 있는 중앙집중식 진공흡입 시스템의 호스연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흡입구가 구비되는 벽체 또는 바닥체의 다양한 설치조건에 맞추어 프레임 조립체의 형상을 탄력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중앙 집중식 진공흡입 시스템의 호스 연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중앙집진장치로부터 연장된 흡입배관의 단부에 구비되는 흡입구와 후렉시블 호스사이를 연결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와 결합되는 연결관을 구비하며, 상기 연결관의 선단을 외부노출시키는 함몰부를 구비하는 후방 프레임 ; 상기 연결관을 개폐하 도록 상기 함몰부에 구비되는 힌지부에 회동가능하게 조립되는 덮개 ;상기 덮개를 외부노출시키는 일정크기의 개구부를 구비하여 상기 후방 프레임에 조립되는 전방 프레임 ; 상기 덮개와 마주하는 선단에 상기 덮개를 열림방향으로 회동시키면서 상기 후방 프레임에 탄력적으로 걸리는 탄성부를 갖추어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함몰부에 삽입되는 어댑터 외부관 ; 및 상기 후렉시블 호스의 단부와 연결되어 어댑터 외부관내에 조립되는 어댑터 내부관 ;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집중식 진공흡입 시스템의 호스연결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연결관은 상기 함몰부내에 배치되는 소경부와, 상기 흡입구와 결합되는 대경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후방 프레임은 상기 함몰부의 좌우양측에 상기 전방 프레임의 후면으로부터 일정길이 연장되는 제1탄성편이 삽입되어 상기 제1탄성편의 선단에 형성된 걸림턱이 걸려 고정되는 제1 걸림공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후방 프레임은 상기 흡입구가 설치되는 바닥체 또는 벽체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후방 프레임은 후면에 상,하부 절단선중 어느 하나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함몰부는 후면에 상기 중앙집진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좌우 한쌍의 제1 단자부를 추가 포함하며, 상기 제1 단자부는 상기 함몰부에 일체로 구비되는 보스와, 상기 보스에 체결되는 스크류부재와, 상기 보스에 삽입되어 상기 연결관의 내주면으로 선단이 노출되는 단자핀 및 상기 스크류부재와 단자핀사 이에 구비되어 상기 단자핀을 탄력지지하는 스프링부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덮개는 상단 좌우양측으로 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는 좌우날개를 구비하며, 상기 좌우날개에는 상기 힌지부에 형성된 힌지공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힌지핀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덮개는 상기 연결관 선단부의 외경보다 상대적으로 큰 내경크기를 갖는 원형링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덮개는 상기 덮개는 상기 연결관의 선단 외부면에 형성된 끼움턱에 고정단이 고정되고, 상기 고정단으로부터 일정길이 연장되다가 상기 덮개의 상단과 접하는 자유단을 구비하는 탄성체를 추가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탄성부는 상기 어댑터 외부관의 외부면에 형성된 한쌍의 절개부사이에 구비되는 제2 탄성편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탄성편은 선단에 상기 함몰부에 형성된 제2 걸림공에 탄력적으로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턱을 구비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탄성편은 후단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2 걸림공에 삽입되어 걸린 걸림턱의 걸림을 해제하는 누름부재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어댑터 외부관은 상기 후렉시블 호스에 구비되는 신호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단자부를 추가 포함하며, 상기 제2 단자부는 상기 어댑터 외부관의 하부 외부면에 함몰형성되는 좌우한쌍의 배치부에 배치되고, 상기 배치부에 형성된 고정공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턱을 상단에 돌출형성한 단자판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어댑터 내부관은 상기 연결관과 마주하는 선단에 호형으로 절개된 절개부를 구비하는 전방몸체와, 상기 후렉시블 호스의 단부와 결합되는 결합턱을 외부면에 돌출형성한 후방몸체를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전방몸체와 후방몸체사이에는 상기 어댑터 외부관의 내부면에 형성된 단턱에 걸리는 돌출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청소기 사용시 사용자가 어댑터 조립체를 한 손으로 취부한 상태에서 바닥체 또는 벽체에 구비되는 프레임 조립체에 간편하고 신속하게 결합하여 흡입구와 연결하는 작업을 수행함으로서 사용상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사용자의 업무부담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청소작업 완료후 어댑터 조립체와 프레임 조립체간의 분리시 흡입구와 연결된 연결관의 닫힘이 구속력이 해제된 덮개의 자중 또는 탄성력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이루어짐으로서, 과도한 외력에 의하여 구성부품이 파손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어댑터 조립체와 프레임 조립체간의 결합시 후방 프레임에 구비되는 제1 단자부와 어댑터 외부관의 제2 단자부간의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짐으로서, 중앙집진장치와의 전기적인 연결이 접속불량 없이 보다 안정적이고 신뢰성 있게 구현되어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벽체 또는 바닥체에 구비되는 후방 프레임의 크기를 흡입구가 구비되는 벽체 또는 바닥체의 다양한 설치조건에 맞추어 탄력적으로 간편하게 변경시킴으로서, 프레임 조립체를 시공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하여 작업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중앙 집중식 진공흡입 시스템의 호스연결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중앙 집중식 진공흡입 시스템의 호스연결장치를 도시한 후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중앙 집중식 진공흡입 시스템의 호스연결장치에 채용되는 덮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중앙 집중식 진공흡입 시스템의 호스연결장치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중앙 집중식 진공흡입 시스템의 호스연결장치가 분리된 상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중앙 집중식 진공흡입 시스템의 호스연결장치가 결합된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호스연결장치(100)는 건물의 어느 한 부분에 설치되는 중앙집진장치로부터 연장되어 건물의 벽체 또는 바닥체까지 연장된 흡입배관의 흡입구와 흡입기를 구비하는 후렉시블 호스와의 사이를 사용자가 한 손으로 간편하고 신속하게 연결하여 진공 청소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이는 후방 프레임(110), 덮개(120), 전방 프레임(130), 어댑터 외부관(140) 및 어댑터 내부관(150)을 포함한다.
상기 후방 프레임(110)은 도 1 과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흡입배관의 단부에 해당하는 흡입구와 결합되는 연결관(111)을 일체로 구비하는 사 각판상의 구조물이다.
이러한 후방 프레임(110)에는 상기 연결관(111)의 선단을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도록 일정깊이 함몰형성되는 함몰부(112)를 구비하며, 상기 함몰부(112)의 상,하부에는 상기 바닥체(1) 또는 벽체(2)에 간편하게 조립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체결공(113)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상기 후방 프레임(110)은 상기 흡입구(30)가 설치되어 배치되는 위치에 따라 바닥체(1) 또는 벽체(2)에 선택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후방 프레임(110)의 중앙영역에 일체로 구비되는 연결관(111)은 상기 함몰부(112)내에 배치되는 소경부(111a)와, 상기 흡입구(30)와 결합되는 대경부(111b)를 포함하며, 상기 대경부(111b)는 상기 함몰부(112)의 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일정길이 연장된다. 이에 따라, 상기 대경부(111b)내로 삽입되는 흡입구(30)의 선단은 상기 소경부(111a)와 대경부(111b)사이의 경계영역에 형성되는 단차부(111c)에 걸리도록 한다.
또한, 상기 함몰부(112)의 좌우양측에는 상기 전방 프레임(130)의 후면으로부터 일정길이 연장되는 제1 탄성편(134a,134b)이 삽입되어 상기 제1 탄성편(134a,134b)의 선단에 돌출형성되는 걸림턱이 걸려 고정되는 제 1걸림공(114a,114b)을 구비하며, 상기 걸림턱은 상기 연결관(111)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 걸림공(114a,114b)으로부터 삽입완료후 분리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후방 프레임(110)의 후면에는 상기 흡입구(30)가 설치되어 배치되는 위치의 크기에 따라 상기 후방 프레임(110)의 상하형성높이를 간편하고 탄 력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상,하부 절단선(C1,C2)중 어느 하나 이상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절개선(C1,C2)을 따라 후방 프레임(110)의 상부 또는 하부 몸체를 절단하여 제거함으로서 후방 프레임(110)의 크기를 벽체 또는 바닥체의 시공조건에 따라 간편하게 줄일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함몰부(112)의 후면에는 상기 중앙집진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신호선이 접속되는 좌우 한쌍의 제1 단자부(115)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단자부(115)는 상기 함몰부(112)에 일체로 구비되는 보스(115a)와, 상기 보스(115a)에 체결되는 스크류부재(115b)와, 상기 보스(115a)에 삽입되어 상기 연결관(111)의 내주면으로 선단이 노출되는 단자핀(115d) 및 상기 스크류부재(115b)와 단자핀(115d)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단자핀(115d)을 탄력지지하는 스프링부재(115c)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상기 스크류부재(115b)에 신호선이 연결됨으로서 상기 단자핀(115d)은 상기 중앙집진장치(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덮개(120)는 도 1과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후방 프레임(110)의 함몰부(112)에 구비되는 힌지부(118)에 회동가능하게 조립되어 상기 연결관(111)의 선단을 개방하거나 개폐하는 것이다.
이러한 덮개(120)는 상단 좌우양측으로 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는 좌우날개(124)를 구비하며, 상기 좌우날개(124)에는 상기 힌지부(118)에 형성된 힌지공(118a)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힌지핀(122)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상기 덮개(120)는 상기 힌지공(118a)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되면서 상기 연결관(111)의 선 단을 개방하거나 닫을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덮개(120)는 후면에 상기 연결관(111)의 선단을 완전히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연결관(111) 선단부의 외경보다 상대적으로 큰 내경크기를 갖는 원형링(125)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덮개(120)는 상기 연결관(111)의 선단외부면에 돌출형성된 끼움턱(126)에 일단인 고정단(127a)이 고정되고, 상기 고정단(127a)으로부터 수평하게 일정길이 연장되다가 대략 직각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덮개의 상단과 접하는 타단인 자유단(127b)을 구비하는 탄성체(127)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탄성체(127)의 고정단(127a)이 상기 끼움턱(126)에 고정되고, 상기 탄성체(127)의 자유단(127b)이 상기 덮개(120)의 힌지핀에 근접하는 단부와 접촉상태를 유지함으로서, 상기 어댑터 외부관(140)의 삽입시 수평상태로 전환되는 덮개(120)의 단부와 접하는 자유단(127b)은 끼움턱(126)측으로 절곡되면서 탄성복원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체(127)는 판스프링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고정단이 상기 끼움턱(126)으로 끼워져 고정되고 자유단이 상기 덮개(120)에 접하는 코일스프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반면에, 상기 어댑터 외부관(140)의 분리시 상기 탄성체(127)의 탄성복원력에 의해서 상기 덮개(120)는 수직상태로 전환되어 상기 연결관(111)의 선단입구를 닫게 된다.
여기서, 상기 덮개(120)는 상기 탄성체(127)의 탄성복원력에 의해서 닫히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어댑터 외부관(140)의 삽입시 개방된 덮개(120)는 상기 어댑터 외부관(140)의 분리시 자중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닫혀질 수도 있다.
상기 전방 프레임(130)은 도 1과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후방 프레임(110)의 전면에 조립되는 프레임 구조물이며, 이러한 전방 프레임(130)의 중앙영역에는 상기 후방 프레임(110)에 조립된 덮개(120)를 외부노출시키는 일정크기의 개구부(132)를 관통형성한다.
상기 전방 프레임(130)의 후면에는 후방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좌우한쌍의 제1 탄성편(134a,134b)을 구비하며,상기 제1 탄성편(134a,134b)의 각 선단에는 상기 후방 프레임(110)의 함몰부(112) 좌우양측에 형성된 제1 걸림공(114a,114b)으로 삽입되어 이에 탄력적으로 걸리는 걸림턱을 구비한다.
상기 어댑터 외부관(140)은 도 1과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방 프레임(130)의 개구부(132)를 통해 상기 후방 프레임(110)의 함몰부(112)로 삽입되는 관부재이며, 이러한 어댑터 외부관(140)은 상기 덮개(120)와 마주하는 선단에 상기 덮개(120)와 접촉시 상기 힌지공(118a)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어댑터 외부관(140)의 삽입력에 의해서 상기 덮개(120)를 열림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탄성부(142)를 구비한다.
이러한 탄성부(142)는 상기 어댑터 외부관(140)의 외부면에 형성된 한쌍의 절개부(142a)사이에 구비되는 제2탄성편(142b)을 구비하고, 상기 제2 탄성편(142b)의 자유단인 선단에는 상기 함몰부(112)에 형성된 제2 걸림공(117)에 탄력적으로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턱(142c)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제2 탄성편(142b)의 후단에는 상기 제2 걸림공(117)에 삽입되어 걸린 걸림턱(142c)의 걸림을 해제할 수 있도록 누름부재(142d)를 돌출형성한다.
이에 따라, 상기 어댑터 외부관(140)이 상기 전방 프레임(130)의 개구부(132)를 통해 삽입되면, 상기 어댑터 외부관(140)의 선단에 구비된 탄성부(142)는 상기 후방 프레임(110)의 힌지부(118)에 회동가능하게 조립된 덮개(120)의 상단에 접하게 되고, 상기 어댑터 외부관(140)의 삽입력에 의해서 상기 덮개(120)는 상기 힌지부(118)의 힌지공(118a)을 중심으로 하여 열림방향(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젖혀짐으로서 상기 후방 프레임(110)의 연결관(111) 선단부를 개방하게 된다.
이때, 상기 덮개(120)의 단부와 접하는 탄성체(127)의 자유단(127b)은 끼움턱(126)으로 절곡되면서 탄성복원력을 갖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2 탄성편(142b)의 선단에 형성된 걸림턱(142c)은 상기 후방 프레임(110)의 함몰부(112)에 형성된 제2 걸림공(117)에 탄력적으로 삽입되어 걸림으로서 상기 어댑터 외부관(140)은 후방 프레임(110)에 결합고정되는 한편 상기 어댑터 외부관(140)의 선단 외부면은 상기 함몰부(112)의 내부면과 연결관(111)의 외부면 사이의 간격으로 삽입되어 진공흡입력이 외부누설되지 않도록 밀착되는 것이다.
반대로, 상기 어댑터 외부관(140)를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제2 탄성편(142b)의 후단에 돌출형성된 누름부재(142d)를 가압하여 누르게 되면 상기 제2 탄성편(142b)의 선단이 하부로 하강되면서 상기 제2 걸림공(117)과의 걸림이 간편하게 해제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어댑터 외부관(140)을 외측으로 당기어 후방 프레임(130)과 서로 분리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연결관(111)의 선단을 개방하도록 젖혀져 있던 덮개(120)는 상기 어댑터 외부관(140)에 의한 구속력에 해제되어 자유로워짐으로서 상기 탄성체(127)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상기 힌지공(118a)을 중심으로 하여 원상태로 복귀회전(도면상 반시계방향)되어 수직상태로 전환됨으로서 상기 연결관(111)의 선단을 차단하게 된다.
한편, 상기 어댑터 외부관(140)은 상기 후렉시블 호스(41)에 구비되는 신호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제2 단자부(145)를 구비하며,이러한 제2 단자부(145)는 상기 어댑터 외부관(140)과 후방 프레임(110)간의 결합시 상기 함몰부(112)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 단자부(115)와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기 제2 단자부(145)는 상기 어댑터 외부관(140)의 하부 외부면에 함몰형성되는 좌우한쌍의 배치부(147)에 배치되는 단자판(145a)과, 상기 배치부(147)에 형성된 고정공(147a)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단자판(145a)의 상단에 돌출형성되는 고정턱(145b)을 구비한다.
상기 어댑터 내부관(150)은 도 1과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후렉시블 호스(41)의 단부와 연결되어 어댑터 외부관(140)내에 조립되는 관부재로 구비되며, 이러한 어댑터 내부관(150)은 상기 연결관과 마주하는 선단에 호형으로 절개된 절개부(153)를 구비하는 전방몸체(151)와, 상기 후렉시블 호스의 단부와 결합되는 결합턱(154)을 외부면에 돌출형성한 후방몸체(152)를 갖추어 구성한다.
상기 전방몸체(151)와 후방몸체(152)사이에는 상기 어댑터 외부관(140)의 내부면에 형성되는 단턱(149)에 걸리는 환고리형 돌출부(155)를 일체로 구비하며 상기 돌출부(155)에는 상기 어댑터 외부관(140)의 외부면에 형성된 체결공(148)과 일치되어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체결공(155a)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상기 어댑터 외부관(140)의 내부로 삽입된 어댑터 내부관(150)은 상기 돌출부(155)의 체결공(155a)과 상기 어댑터 외부관(140)의 체결공(148)으로 체결되는 체결부재에 의해서 일체로 조립된다.
또한, 상기 돌출부(155)에는 상기 후방몸체(152)에 결합되는 후렉시블 호스(41)에 구비되는 신호선이 인출되는 인출홈(155b)을 구비하며, 상기 전방몸체(151)의 외부면에는 상기 인출홈(155b)을 통해 인출된 신호선이 배치되는 배치홈(156)을 구비함으로서, 상기 배치홈(156)에 배치되는 신호선의 단부는 상기 어댑터 외부관(140)에 구비되는 제2 단자부(145)의 단자판(145a)에 형성된 고정턱(145b)과 전기적으로 접속연결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호스연결장치(100)를 이용하여 청소작업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도 5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후방 프레임(110)의 전면에 전방 프레임(130)이 결합된 프레임 조립체는 중앙집진장치(10)로부터 연장된 흡입배 관(20)의 흡입구(30)가 배치되는 바닥체(1) 또는 벽체(2)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후방방 프레임(110)에 구비되는 연결관(111)의 선단은 덮개(120)에 의해서 닫혀져 있고, 상기 연결관(111)의 후단은 상기 흡입구(30)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후렉시블 호스(41)와 연결된 어댑터 내부관(150)은 상기 어댑터 외부관(140)의 내부에 결합되어 어댑터 조립체를 구성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어댑터 조립체를 한 손으로 취부하고서 상기 어댑터 외부관(140)을 상기 전방 프레임(130)의 개구부(132)를 통하여 상기 전방 프레임(110)의 함몰부(112)로 삽입하게 되면, 상기 어댑터 외부관(140)의 선단에 구비된 탄성부(142)의 제2 탄성편(142b)은 덮개(120)와 접촉하면서 힌지공(118a)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어댑터 외부관(140)의 삽입력에 의해서 상기 덮개(130)를 열림방향(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킴으로서 수직상태에서 수평상태로 전환됨과 동시에 상기 흡입구(30)와 연결된 연결관(111)의 선단을 개방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덮개(120)의 단부와 접하는 자유단(127b)이 접하는 탄성체(127)을 구비하는 경우, 상기 탄성체(127)의 자유단은 끼움턱(126)측으로 절곡되면서 탄성복원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연속하여, 상기 제2 탄성편(142b)의 선단에 형성된 걸림턱(142d)은 상기 함몰부(112)에 형성된 제2 걸림공(117)에 탄력적으로 삽입되어 걸림으로서 상기 프레임 조립체에 결합된 어댑터 외부관(140)의 걸림력을 청소 완료시 까지 유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후방 프레임(110)에 구비되는 제1 단자부(115)의 단자핀(115d)은 상기 함몰부(112)의 내부면으로 돌출되고, 상기 어댑터 외부관(140)에 구비되는 제2 단자부(145)의 단자판(145a)은 상기 외부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어댑터 외부관(140)과 프레임 조립체간의 결합시 상기 제1단자부(115)와 제2단자부(145)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2단자부(115,145)의 접속시 상기 중앙집진장치(10)에 인가되는 신호에 의해서 진공흡입력을 발생시킴과 동시에 상기 후렉시블 호스(41)의 신호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조절스위치를 이용하여 중앙집진장치(10)에서 제공되는 흡입력의 세기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청소작업이 모두 종료되어 상기 어댑터 외부관(140)을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한 손으로 제2 탄성편(142b)의 후단에 돌출형성된 누름부재(142d)를 가압하여 누르게 되면 상기 제2 탄성편(142b)의 선단이 하부로 하강되면서 상기 후방 프레임(110)에 구비된 제2 걸림공(117)과의 걸림이 해제됨으로서,상기 어댑터 외부관(140)을 삽입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당기어 어댑터 조립체를 프레임 조립체(110)와 서로 분리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연결관(111)의 선단을 개방하도록 수평상태로 전환되어 있던 덮개(120)는 상기 어댑터 외부관(140)의 분리시 구속력이 해제되기 때문에, 상기 덮개(120)의 자중 또는 상기 탄성체(127)의 탄성복원력에 의해서 상기 힌지공(118a)을 중심으로 하여 원상태로 복귀회전(도면상 시계방향)되어 수직상태로 전환됨으로서 상기 연결관(111)의 선단을 차단하게 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 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중앙 집중식 진공흡입 시스템의 호스연결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중앙 집중식 진공흡입 시스템의 호스연결장치를 도시한 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중앙 집중식 진공흡입 시스템의 호스연결장치에 채용되는 덮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중앙 집중식 진공흡입 시스템의 호스연결장치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중앙 집중식 진공흡입 시스템의 호스연결장치가 분리된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중앙 집중식 진공흡입 시스템의 호스연결장치가 결합된 상태도이다.
도 7은 일반적인 중앙집중식 진공흡입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8은 일반적인 중앙집중식 진공흡입 시스템에 채용되는 흡입인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중앙집진장치 20 : 흡입배관
30 : 흡입구 41 : 후렉시블 호스
110 : 후방 프레임 111 : 연결관
112 : 함몰부 114a,114b : 제1 걸림공
115 : 제1 단자부 118 : 힌지부
120 : 덮개 122 : 힌지핀
130 : 전방 프레임 132 : 개구부
134a,134b : 제1 탄성편 140 : 어댑터 외부관
142 : 탄성부 142b : 제2 탄성편
145 : 제2 단자부 150 : 어댑터 내부관

Claims (14)

  1. 중앙집진장치로부터 연장된 흡입배관의 단부에 구비되는 흡입구와 후렉시블 호스사이를 연결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와 결합되는 연결관을 구비하며, 상기 연결관의 선단을 외부노출시키는 함몰부를 구비하는 후방 프레임 ;
    상기 연결관을 개폐하도록 상기 함몰부에 구비되는 힌지부에 회동가능하게 조립되는 덮개 ;
    상기 덮개를 외부노출시키는 일정크기의 개구부를 구비하여 상기 후방 프레임에 조립되는 전방 프레임 ;
    상기 덮개와 마주하는 선단에 상기 덮개를 열림방향으로 회동시키면서 상기 후방 프레임에 탄력적으로 걸리는 탄성부를 갖추어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함몰부에 삽입되는 어댑터 외부관 ; 및
    상기 후렉시블 호스의 단부와 연결되어 어댑터 외부관내에 조립되는 어댑터 내부관 ;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집중식 진공흡입 시스템의 호스연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은 상기 함몰부내에 배치되는 소경부와, 상기 흡입구와 결합되는 대경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집중식 진공흡입 시스템의 호스연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프레임은 상기 함몰부의 좌우양측에 상기 전방 프레임의 후면으로부터 일정길이 연장되는 제1탄성편이 삽입되어 상기 제1탄성편의 선단에 형성된 걸림턱이 걸려 고정되는 제1 걸림공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집중식 진공흡입 시스템의 호스연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프레임은 상기 흡입구가 설치되는 바닥체 또는 벽체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집중식 진공흡입 시스템의 호스연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프레임은 후면에 상,하부절단선 중 어느 하나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집중식 진공흡입 시스템의 호스연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는 후면에 상기 중앙집진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좌우 한쌍의 제1 단자부를 추가 포함하며,
    상기 제1 단자부는 상기 함몰부에 일체로 구비되는 보스와, 상기 보스에 체결되는 스크류부재와, 상기 보스에 삽입되어 상기 연결관의 내주면으로 선단이 노출되는 단자핀 및 상기 스크류부재와 단자핀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단자핀을 탄력지지하는 스프링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집중식 진공흡입 시스템의 호스연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상단 좌우양측으로 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는 좌우날개를 구비하며, 상기 좌우날개에는 상기 힌지부에 형성된 힌지공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힌지핀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집중식 진공흡입 시스템의 호스연결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상기 연결관 선단부의 외경보다 상대적으로 큰 내경크기를 갖는 원형링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집중식 진공흡입 시스템의 호스연결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상기 연결관의 선단 외부면에 형성된 끼움턱에 고정단이 고정되고, 상기 고정단으로부터 일정길이 연장되다가 상기 덮개의 상단과 접하는 자유단을 구비하는 탄성체를 추가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집중식 진공흡입 시스템의 호스연결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어댑터 외부관의 외부면에 형성된 한쌍의 절개부사이에 구비되는 제2탄성편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탄성편은 선단에 상기 함몰부에 형성된 제2 걸림공에 탄력적으로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턱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집중식 진공흡입 시스템의 호스연결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탄성편은 후단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2 걸림공에 삽입되어 걸린 걸림턱의 걸림을 해제하는 누름부재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집중식 진공흡입 시스템의 호스연결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 외부관은 상기 후렉시블 호스에 구비되는 신호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단자부를 추가 포함하며,
    상기 제2 단자부는 상기 어댑터 외부관의 하부 외부면에 함몰형성되는 좌우한쌍의 배치부에 배치되고, 상기 배치부에 형성된 고정공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턱을 상단에 돌출형성한 단자판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집중식 진공흡입 시스템의 호스연결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 내부관은 상기 연결관과 마주하는 선단에 호형으로 절개된 절개부를 구비하는 전방몸체와, 상기 후렉시블 호스의 단부와 결합되는 결합턱을 외부면에 돌출형성한 후방몸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집중식 진공흡입 시스템의 호스연결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몸체와 후방몸체사이에는 상기 어댑터 외부관의 내부면에 형성된 단턱에 걸리는 돌출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집중식 진공흡입 시스템의 호스연결장치.
KR1020080014776A 2008-02-19 2008-02-19 중앙 집중식 진공 흡입시스템의 호스연결장치 KR1009627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4776A KR100962730B1 (ko) 2008-02-19 2008-02-19 중앙 집중식 진공 흡입시스템의 호스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4776A KR100962730B1 (ko) 2008-02-19 2008-02-19 중앙 집중식 진공 흡입시스템의 호스연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9546A true KR20090089546A (ko) 2009-08-24
KR100962730B1 KR100962730B1 (ko) 2010-06-10

Family

ID=41207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4776A KR100962730B1 (ko) 2008-02-19 2008-02-19 중앙 집중식 진공 흡입시스템의 호스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273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721Y1 (ko) * 2010-02-19 2010-08-03 박준형 산업용 진공청소기의 흡입구
KR101510221B1 (ko) * 2013-07-08 2015-04-13 동서씨엔씨(주) 중앙 집중식 진공청소 시스템의 커넥터용 마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0194U (ko) 2019-07-16 2021-01-26 (주)그렉스 양면 인렛이 형성된 빌트인 청소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2668Y1 (ko) * 2003-09-19 2004-02-18 강흥묵 중앙집중 진공청소 시스템의 집진호스 연결구조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721Y1 (ko) * 2010-02-19 2010-08-03 박준형 산업용 진공청소기의 흡입구
KR101510221B1 (ko) * 2013-07-08 2015-04-13 동서씨엔씨(주) 중앙 집중식 진공청소 시스템의 커넥터용 마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2730B1 (ko) 2010-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5803B1 (ko)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의 배기구조
JP2011189484A (ja) 集塵装置及び集塵装置付き電動工具
JP5432737B2 (ja) 電気掃除機
KR100962730B1 (ko) 중앙 집중식 진공 흡입시스템의 호스연결장치
GB2391797A (en) Retaining device for a steam swab
RU2272554C1 (ru) Щеточный узел пылесоса (варианты)
RU2249426C1 (ru) Стопо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длинительной трубки пылесоса
JP2020127699A (ja) 掃除機ヘッド
JPH08154742A (ja)
CN215597428U (zh) 空调室内机及空调器
JP3158026U (ja) プッシュ式レジスター
JP5349438B2 (ja) 空気調和機
JP2016043208A (ja) 携帯用掃除機
KR20120139056A (ko) 중앙 집중식 진공 흡입시스템의 호스연결장치
KR20000005734U (ko) 공기조화기의 필터 교환장치
JP2005296284A (ja) 電気掃除機
CN214804392U (zh) 一种马桶清洁工具
JPH10295600A (ja) 吸入ブラシ連結装置を有する真空掃除機
WO2021135273A1 (zh) 设有集尘袋的吸尘器
KR0177072B1 (ko) 먼지봉투가 부착된 진공청소기의 분리형 커버
CN218773847U (zh) 扫把头和扫把
KR200492852Y1 (ko) 발판 스위치
CN216569836U (zh) 一种拖把
CN209808201U (zh) 手持式清洁设备
CN211066396U (zh) 一种多用途清洁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