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9284A - 혈액 센서와 이를 이용한 혈액 검사 장치 - Google Patents

혈액 센서와 이를 이용한 혈액 검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9284A
KR20090089284A KR1020097007887A KR20097007887A KR20090089284A KR 20090089284 A KR20090089284 A KR 20090089284A KR 1020097007887 A KR1020097007887 A KR 1020097007887A KR 20097007887 A KR20097007887 A KR 20097007887A KR 20090089284 A KR20090089284 A KR 200900892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od
sensor
sensor unit
unit
nee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7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시히로 아키야마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900892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92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within the blood, pH-value of blood
    • A61B5/1405Devices for taking blood samp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7Devices characterised by integrated means for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015Source of blood
    • A61B5/150022Source of blood for capillary blood or interstitial flu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053Details for enhanced collection of blood or interstitial fluid at the sample site, e.g. by applying compression, heat, vibration, ultrasound, suction or vacuum to tissue; for reduction of pain or discomfort; Skin piercing elements, e.g. blades, needles, lancets or canulas, with adjustable piercing speed
    • A61B5/150061Means for enhancing collection
    • A61B5/150099Means for enhancing collection by negative pressure, other than vacuum extraction into a syringe by pulling on the piston rod or into pre-evacuated tu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175Adjustment of penetration depth
    • A61B5/15019Depth adjustment mechanism using movable stops located inside the piercing device housing and limiting the travel of the drive mechani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206Construction or design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ing or production; packages; sterilisation of piercing element, piercing device or sampling device
    • A61B5/150213Ven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358Strips for collecting blood, e.g. absorb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374Details of piercing elements or protective means for preventing accidental injuries by such piercing elements
    • A61B5/150381Design of piercing elements
    • A61B5/150412Pointed piercing elements, e.g. needles, lancets for pierc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374Details of piercing elements or protective means for preventing accidental injuries by such piercing elements
    • A61B5/150381Design of piercing elements
    • A61B5/150503Single-ended needles
    • A61B5/150519Details of construction of hub, i.e. element used to attach the single-ended needle to a piercing device or sampling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847Communication to or from blood sampling device
    • A61B5/15087Communication to or from blood sampling device short range, e.g. between console and dispos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954Means for the detection of operative contact with patient, e.g. by temperature sensitive sens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1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aking samples of capillary blood, e.g. by lancets, needles or blades
    • A61B5/15101Details
    • A61B5/15103Piercing procedure
    • A61B5/15107Piercing being assisted by a triggering mechanism
    • A61B5/15113Manually triggered, i.e. the triggering requires a deliberate action by the user such as pressing a drive butt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1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aking samples of capillary blood, e.g. by lancets, needles or blades
    • A61B5/15101Details
    • A61B5/15115Driving means for propelling the piercing element to pierce the skin, e.g. comprising mechanisms based on shape memory alloys, magnetism, solenoids, piezoelectric effect, biased elements, resilient elements, vacuum or compressed fluids
    • A61B5/15117Driving means for propelling the piercing element to pierce the skin, e.g. comprising mechanisms based on shape memory alloys, magnetism, solenoids, piezoelectric effect, biased elements, resilient elements, vacuum or compressed fluids comprising biased elements, resilient elements or a spring, e.g. a helical spring, leaf spring, or elastic stra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1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aking samples of capillary blood, e.g. by lancets, needles or blades
    • A61B5/15134Bladeless capillary blood sampling devices, i.e. devices for perforating the skin in order to obtain a blood sample but not using a blade, needle, canula, or lancet, e.g. by laser perforation, suction or pressurized fluids
    • A61B5/15136Bladeless capillary blood sampling devices, i.e. devices for perforating the skin in order to obtain a blood sample but not using a blade, needle, canula, or lancet, e.g. by laser perforation, suction or pressurized fluids by use of radiation, e.g. la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1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aking samples of capillary blood, e.g. by lancets, needles or blades
    • A61B5/15186Devices loaded with a single lancet, i.e. a single lancet with or without a casing is loaded into a reusable drive device and then discarded after use; drive devices reloadable for multiple use
    • A61B5/15188Constructional features of reusable driving devices
    • A61B5/1519Constructional features of reusable driving devices comprising driving means, e.g. a spring, for propelling the piercing uni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1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aking samples of capillary blood, e.g. by lancets, needles or blades
    • A61B5/15186Devices loaded with a single lancet, i.e. a single lancet with or without a casing is loaded into a reusable drive device and then discarded after use; drive devices reloadable for multiple use
    • A61B5/15188Constructional features of reusable driving devices
    • A61B5/15192Constructional features of reusable driving devices comprising driving means, e.g. a spring, for retracting the lancet unit into the driving device housing
    • A61B5/15194Constructional features of reusable driving devices comprising driving means, e.g. a spring, for retracting the lancet unit into the driving device housing fully automatically retracted, i.e. the retraction does not require a deliberate action by the user, e.g. by terminating the contact with the patient's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mat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해, 천자침으로 천자하는 혈액 검사 장치에도, 레이저로 천자하는 혈액 검사 장치에도 사용할 수 있는 혈액 센서가 제공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홀더와 상기 홀더에 장착된 혈액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 유니트, 및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 천자침을 포함하는 바늘 유니트를 구비하고, 상기 바늘 유니트는 상기 센서 유니트의 홀더 내측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혈액 센서 블록을 제공한다. 상기 혈액 센서 블록은 바늘 천자형 혈액 검사 장치에 적용되고, 또한 바늘 유니트를 제거한 센서 유니트는 레이저 천자형 혈액 검사 장치에 적용된다.

Description

혈액 센서와 이를 이용한 혈액 검사 장치{BLOOD SENSOR AND BLOOD INSPECTION DEVICE USING IT}
본 발명은 혈액 센서와 이를 장착한 혈액 검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당뇨병 환자는 자신의 혈당치를 정기적으로 측정하고, 측정한 혈당치에 기초하여 인슐린을 주사해 혈당치를 정상적으로 유지할 필요가 있다. 혈당치를 정상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혈당치를 정기적으로 측정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혈액 검사 장치를 이용하여 환자의 손가락끝 등으로부터 소량의 혈액을 채취하고, 채취한 혈액으로부터 혈당치를 측정한다.
혈액 검사 장치는 그 천자(穿刺) 수단을 기준으로, 천자침으로 천자하는 것과 레이저광으로 천자하는 것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도 1에는 천자침으로 천자하는 혈액 검사 장치(1)를 도시하였다. 혈액 검사 장치(1)는 케이스(2)의 선단(2a)에 장착된 혈액 센서 블록(이하, 센서 블록이라고도 함)(3)과, 센서 블록(3)을 구성하는 란셋(lancet)(4a)을 파지하는 플런저(5)와, 플런저(5)를 선단(2a) 방향으로 바이어스하는 스프링(6)과, 플런저(5)에 한쪽이 장착되고 다른 쪽은 걸림부(7)에 걸리는 핸들(8)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센서 블록(3)은 도 2의 조립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천자침(4b)이 장착된 란셋(4a)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홀더(4c) 내에 설치된다. 홀더(4c)의 타단에는 혈액 센서(이하 "센서"라고 함)(4d)가 장착된다. 천자침(4b)은 위생의 관점에서 사용할 때마다 교환할 것이 요구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천자침(4b)과 센서(4d)는 일체적으로 구성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혈액 검사 장치(1)의 동작에 대해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혈액 검사 장치(1)를 오른손에 들고, 왼손의 피부(9)에 맞댄다. 그리고, 도 1에 나타낸 걸림부(7)의 걸림을 해제하면, 스프링(6)으로 바이어스된 플런저(5)는 란셋(4a)을 선단(2a) 방향으로 발사한다. 란셋(4a)의 타단에 장착된 천자침(4b)은 센서(4d)를 관통하여 피부(9)를 천자한다. 이에 따라 피부(9)로부터 혈액(10)이 유출된다. 유출된 혈액(10)은 혈액 센서(4d)에서 검지된다. 그리고, 혈액 검사 장치(1) 내에 마련된 전기 회로부(16)에서 혈액 성분량이 측정된다. 측정 후에, 사용된 센서 블록(3)은 분리해 폐기한다.
혈액 검사 장치(1)는, 후술하는 레이저광으로 천자하는 혈액 검사 장치와 비교하면, 비용면에서는 유리할 수 있다. 그러나, 여기에 사용되는 센서 블록(3)은 천자침(4b)을 포함하기 때문에, 비용면에서 불리한 경우도 있다.
레이저광으로 천자하는 혈액 검사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특허 문헌 2 등을 참조). 도 4에 레이저광으로 천자하는 혈액 검사 장치(11)를 도시한다. 예를 들면, 혈액 검사 장치(11)는 케이스(12)와, 케이스(12) 내에 설치된 레이저 발사 장치(13)와, 케이스(12)의 선단(12a)에 장착된 센서 유니트(14)와, 레이저 발사 장치(13)로부터 레이저광(13a)을 발사시키는 발사 버튼(15)과, 발사 버튼(15)과 레이 저 발사 장치(13)에 접속된 전기 회로부(16)를 갖는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센서 유니트(14)는 홀더(14a)와, 홀더(14a) 내에 장착된 센서(14b)가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센서(14b)의 교환은 센서 유니트(14)별로 행하면 되므로 용이하다.
혈액 검사 장치(11)의 동작을 설명한다. 발사 버튼(15)을 누르면, 레이저 발사 장치(13)로부터 레이저광(13a)이 센서(14b) 방향을 향해 발사된다. 레이저광(13a)은 센서(14b)를 관통하여 피부(9)(도 23 참조)를 천자한다. 천자된 피부(9)로부터 유출되는 혈액(10)은 센서(14b)에서 검지되어, 혈액 검사 장치(11) 내에 마련된 전기 회로부(16)에서 혈액 성분치가 측정된다.
혈액 검사 장치(11)는 레이저 발사 장치(13)를 포함하기 때문에 구성이 복잡하게 되어, 비용면에서는 불리하다. 한편, 센서 유니트(14)는 천자침(4b)이 필요 없기 때문에 비용면에서는 유리하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공표 2003-524496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공표 2004-533866호 공보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상기와 같이, 종래의 바늘(針) 천자형 혈액 검사 장치에 장착되는 센서 블록은, 혈액 센서와 천자침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혈액 센서는 수지로 성형되고, 천자침은 금속제이다. 따라서, 사용 후의 센서 블록을 폐기하는 경우, 혈액 센서와 천자침을 분별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바늘 천자형 혈액 검사 장치로부터 센서 블록을 분리하고, 분리한 센서 블록으로부터 천자침을 포함하는 란셋을 위험물로서 따로 폐기하고 있었다. 이 분별 작업이 사용자(환자)에게 부담이 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종래의 바늘 천자형 혈액 검사 장치나 레이저 천자형 혈액 검사 장치에서는, 각각 전용의 혈액 센서가 필요하였다. 즉, 각각의 장치에 사용할 수 있는 혈액 센서는 호환성이 없었다. 따라서, 바늘 천자형 혈액 검사 장치를 사용하던 환자가 레이저 천자형 혈액 검사 장치를 사용하려고 하면, 새로운 혈액 센서가 필요하였다.
본 발명은, 천자침으로 천자하는 혈액 검사 장치에도 레이저로 천자하는 혈액 검사 장치에도 사용할 수 있는 혈액 센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따라, 한 종류의 혈액 센서를 휴대하고 있으면 어떤 장치도 사용할 수 있어, 환자의 편리성을 높인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제1 발명은 이하에 기재하는 혈액 센서 유니트 및 혈액 센서 블록에 관한 것이다.
[1] 홀더와, 상기 홀더에 장착된 혈액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 유니트로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 천자침을 포함하는 바늘 유니트가 상기 센서 유니트의 홀더 내측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센서 유니트.
[2] 홀더와 상기 홀더에 장착된 혈액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 유니트, 및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 천자침을 포함하는 바늘 유니트를 구비하고,
상기 바늘 유니트는 상기 센서 유니트의 홀더 내측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혈액 센서 블록.
제2 발명은 상기 센서 유니트가 장착되는 레이저 천자형 혈액 검사 장치 및 천자 수단이 없는 혈액 검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3] [1]에 기재된 센서 유니트가 장착되는 삽입부를 그 일단에 갖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되고 상기 센서 유니트의 혈액 센서에 접속된 전기 회로부와,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되고 레이저광을 출사하여 피부를 천자하는 천자 수단을 구비하는 혈액 검사 장치.
[4] [1]에 기재된 센서 유니트가 장착되는 삽입부를 그 일단에 갖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되고 상기 센서 유니트의 혈액 센서에 접속된 전기 회로부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 내에 천자 수단이 없는 혈액 검사 장치.
제3 발명은 상기 혈액 센서 블록이 장착되는 바늘 천자형 혈액 검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5] [2]에 기재된 혈액 센서 블록이 장착되는 삽입부를 그 일단에 갖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되고 상기 센서 유니트의 혈액 센서에 접속되는 전기 회로부와,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되고 상기 바늘 유니트의 천자침을 구동하여 피부를 천자하는 천자 수단을 구비하는 혈액 검사 장치.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혈액 센서 유니트는, 천자침 유니트가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한편, 레이저 천자형 혈액 검사 장치나 천자 수단이 없는 혈액 검사 장치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혈액 센서 유니트에 천자침 유니트가 장착된 혈액 센서 블록은, 바늘 천자형 혈액 검사 장치에 장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혈액 센서 유니트는, 천자침으로 천자하는 혈액 검사 장치에도 레이저광으로 천자하는 혈액 검사 장치에도 공용할 수 있다.
따라서, 천자침으로 천자하는 혈액 검사 장치를 사용하던 환자가, 레이저광으로 천자하는 혈액 검사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라 하더라도, 혈액 센서를 낭비하지 않고 레이저 천자형 혈액 검사 장치에 사용할 수 있다. 즉, 미사용 혈액 센서를 낭비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경제적이다.
또한, 본 발명의 혈액 센서 블록의 센서 유니트와 천자침 유니트는 각각 개별적으로 바늘 천자형 혈액 검사 장치에 장착 또는 분리되므로, 분리 후의 센서 유니트와 천자침 유니트를 분별하는 작업이 불필요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바늘 천자형 혈액 검사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혈액 검사 장치의 혈액 센서 블록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혈액 검사 장치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종래의 레이저 천자형 혈액 검사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혈액 검사 장치의 센서 유니트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혈액 센서 블록과, 혈액 검사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각각 바늘 유니트(도 7a), 센서 유니트(도 7b), 및 혈액 센서 블록(도 7c)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혈액 센서 블록의 상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혈액 센서 블록의 센서 유니트에 대한 바늘 유니트의 삽입을 가이드하는 부재의 부분 전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혈액 검사 장치에 대한 센서 유니트의 삽입을 가이드하는 부재의 부분 전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혈액 센서 블록을 혈액 센서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12는 혈액 센서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혈액 센서의 투시 평면도이다.
도 14a 내지 도 14c는 각각 혈액 센서를 구성하는 커버의 평면도(도 14a), 스페이서의 평면도(도 14b), 기판의 평면도(도 14c)이다.
도 15는 혈액 센서의 저장부 근방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혈액 센서의 저장부 근방의 평면도이다.
도 17a 내지 도 17c는 각각 혈액 센서에 천자된 피부로부터 유출된 혈액이 유입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8은 제1 바늘 천자형 혈액 검사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9는 제1 바늘 천자형 혈액 검사 장치의 전기 회로의 블록도이다.
도 20은 제1 바늘 천자형 혈액 검사 장치의 혈액 검사의 흐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1은 제2 바늘 천자형 혈액 검사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2는 제2 바늘 천자형 혈액 검사 장치의 삽입부 근방의 단면도이다.
도 23은 제2 바늘 천자형 혈액 검사 장치의 혈액 센서 블록의 평면도이다.
도 24는 제2 바늘 천자형 혈액 검사 장치의 삽입부로부터 센서 유니트를 이탈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5는 제2 바늘 천자형 혈액 검사 장치의 삽입부로부터 바늘 유니트를 이탈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6은 레이저 천자형 혈액 검사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7은 레이저 천자형 혈액 검사 장치의 전기 회로의 블록도이다.
도 28은 레이저 천자형 혈액 검사 장치의 혈액 검사의 흐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9는 천자 수단이 없는 혈액 검사 장치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1. 혈액 센서 유니트와 혈액 센서 블록에 대해
도 6은 본 발명의 혈액 센서 블록(21)(이하, 센서 블록이라고도 함)과, 센서 블록(21)이 장착되는 혈액 검사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6에 도시되는 센서 블록(21)은, 센서 유니트(24)와, 센서 유니트(24)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 바늘 유니트(25)로 구성된다. 센서 유니트(24)는 센서(22)와, 센서(22)가 장착된 홀더(23)로 구성된다.
센서 블록(21)은, 바늘 유니트(25)의 천자침(25b)을 구동하는 천자 수단(26)을 이용한 혈액 검사 장치("바늘 천자형 혈액 검사 장치"라고도 함)(27)에 탈착 가 능하게 장착된다. 한편, 바늘 유니트(25)가 장착되지 않은 센서 유니트(24)는, 레이저 발사 장치(28)를 이용하여 레이저광으로 천자하는 혈액 검사 장치("레이저 천자형 혈액 검사 장치"라고도 함)(29)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다.
바늘 유니트(25)는 센서 유니트(24)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므로, 바늘 유니트(25)를 센서 유니트(24)에 장착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바늘 천자형 혈액 검사 장치(27) 또는 레이저 천자형 혈액 검사 장치(29) 중 어느 것에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혈액 검사 장치의 사용자(예를 들면 환자)가, 사용하는 장치를 바늘 천자형 혈액 검사 장치(27)에서 레이저 천자형 혈액 검사 장치(29)로 변경했다 하더라도, 동일한 센서 블록(21)을 레이저 천자형 혈액 검사 장치(29)에 적용할 수 있다. 즉, 센서 블록(21)의 재고가 있는 경우에도 그 센서 블록(21) 전부를 낭비하지 않고, 그 중의 센서 유니트(24)를 사용할 수 있다.
도 7a는 바늘 유니트(25), 도 7b는 센서 유니트(24), 도 7c는 센서 블록(21)의 각각의 단면도이다. 도 8은 센서 블록(21)을 도 7c의 상방에서 본 상면도이다.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 블록(21)은 센서 유니트(24)와, 도 7c의 상방으로부터 센서 유니트(24)의 내측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바늘 유니트(25)를 갖는다.
센서 유니트(24)는 홀더(23)와, 홀더(23)에 장착된 혈액 센서(22)로 구성된다. 홀더(23)와 혈액 센서(22)는 일체적으로, 즉(파괴되지 않는 한) 분리할 수 없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홀더(23)는 두 끝이 개구된 부재로서, 합성 수지 등으로 제작된다. 홀더(23)의 형상은 원통형이라도 되지만, 타원형이나 다각형 단 면을 갖는 통체라도 무방하다.
홀더(23)는 원통 상부(23a)와, 원통 상부(23a)보다 직경이 작은 원통 하부(23b)와, 원통 하부(23b)와 원통 상부(23a) 사이를 나누는 원판 형상의 받이부(23c)를 가지며, 이들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받이부(23c)의 중앙에는 구멍(23d)이 형성된다.
홀더(23)의 표면은 발수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홀더(23)의 전체 면이 발수성을 갖고 있어도 되지만, 예를 들면 피부와 접촉하는 면에 발수성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피부로부터 유출된 혈액이 홀더(23) 밖으로 누출되는 것을 억제한다.
제1 센서 유니트의 홀더(23) 상부(23a)의 내측에, 제2 센서 유니트의 홀더(23) 하부(23b)를 삽입할 수 있도록 홀더(23)의 치수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센서 유니트를 적층하여 수납할 수 있어, 제1 센서 유니트의 홀더(23)와 제2 센서 유니트의 홀더(23)가 서로 겹쳐지는 만큼 좁은 공간에 수납할 수 있다.
홀더(23)의 적어도 일부분은 투명하여, 외측에서 내부를 투시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혈액 센서(22)의 혈액의 저장부를 육안으로 볼 수 있도록, 홀더(23)를 투명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채혈 상태를 눈으로 확인하기 위함이다.
센서 유니트(24) 홀더(23)의 원통 상부(23a)의 내벽면에, 바늘 유니트(25)의 삽입을 가이드하는 제1 삽입 가이드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삽입 가이드 란, 예를 들면 가이드 홈(23e)(도 7c 및 도 8 참조)이다. 가이드 홈(23e)의 도 7b 및 도 7c에 도시하는 센서 유니트(24)를 구성하는 홀더(23)의 내측 하방에는, 위치 결정 볼록부(23f)가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홈(23e)에 유도되어 삽입된 바늘 유니트(25)는, 볼록부(23f)에 의해 위치 결정되어 장착된다.
한편, 센서 유니트(24) 홀더(23)의 원통 상부(23a)의 외벽면에는, 혈액 검사 장치(바늘 천자형(27) 또는 레이저 천자형(29))로의 삽입을 가이드하는 제2 삽입 가이드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삽입 가이드란, 예를 들면 볼록 형상의 가이드(23g)이다. 가이드(23g)의 도 7b 및 도 7c에 도시하는 센서 유니트(24)를 구성하는 홀더(23)의 외측 상방에는, 위치 결정 오목부(23h)가 형성된다. 가이드(23g)로 유도되어 혈액 검사 장치에 삽입된 센서 유니트는, 오목부(23h)에 의해 위치 결정되어 장착된다.
바늘 유니트(25)는 홀더(25a)와, 홀더(25a)의 내부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 압정 형상의 천자침(25b)과, 천자침(25b)을 도 7a 내지 도 7c의 상방으로 바이어스하는 탄성체(예를 들어 판(板) 스프링)(25c)를 갖는다. 홀더(25a)는 수지로 형성된 원통 형상의 부재이다. 천자침(25b)을 상방으로 바이어스하는 탄성체는 코일 스프링이나 용수철 스프링 등이라도 무방하다.
바늘 유니트(25)의 홀더(25a)의 외벽면에는, 복수 개의 가이드판(25d)이 등간격으로 설치된다. 가이드판(25d)은 센서 유니트(24)의 홀더(23)의 내벽면에 설치된 가이드 홈(23e)(제1 삽입 가이드)과 맞물린다. 이에 따라, 바늘 유니트(25)는 센서 유니트(24)의 홀더(23) 내측으로 가이드되어 삽입되어, 홀더(23) 내에 탈착 가능하면서도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다.
바늘 유니트(25)의 가이드판(25d)의 하방에는, 위치 결정 오목부(25f)가 마련된다. 위치 결정 오목부(25f)는 센서 유니트(24)의 홀더(23)의 내벽면에 마련된 위치 결정 볼록부(23f)에 걸어 맞춰져, 바늘 유니트(24)의 장착 위치가 결정된다.
또한, 홀더(25a)에 설치되는 가이드판(25d)의 수는, 센서 유니트(24)의 혈액 센서(22)의 형상이나 혈액 센서(22)에 배치되는 접속 전극의 수에 따라 결정된다.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혈액 센서(22)가 육각형이고 정육각형 꼭짓점의 각각에 접속 전극(41a∼45a 및 43c)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6개의 가이드판(25d)(도 8 참조)을 설치하면 된다.
바늘 유니트(25)를 센서 유니트(24)에 삽입하려고 하면, 도 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바늘 유니트(25)에 마련된 가이드판(25d)이 센서 유니트(24)에 형성된 가이드홈(23e)을 따라 유도된다. 그와 동시에 바늘 유니트(25)의 회전 각도가 조정되어, 소정 위치로 유도된다. 소정 위치로 유도되면, 바늘 유니트(25)의 위치 결정 오목부(25f)에 센서 유니트(24)의 위치 결정 볼록부(23f)가 끼워져 위치 결정되어, 바늘 유니트(25)가 센서 유니트(24)에 장착된다.
바늘 유니트(25)가 센서 유니트(24)의 소정 위치에 장착되면,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센서 유니트(24)의 혈액 센서(22)의 접속 전극(41a∼45a 및 43c)이 바늘 유니트(25)의 가이드판(25d)에 덮이지 않고 노출된다. 노출된 접속 전극(41a∼45a 및 43c)에는, 혈액 검사 장치의 커넥터(후술)가, 도 8에서의 지면(紙面) 상방으로부터 접근하여 접촉한다. 이에 따라, 혈액 센서(22)의 접속 전극(41a∼45a 및 43c)과 혈액 검사 장치의 전기 회로부(후술)(52)가 접속되어, 혈액 검사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1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센서 유니트(24)의 혈액 검사 장치(바늘 천자형(27) 및 레이저 천자형(29)의 어느 쪽도 마찬가지)로의 삽입에 있어서, 혈액 검사 장치에 형성된 가이드 홈(51e)(후술)을 따라 가이드(23g)가 소정 위치로 유도된다. 소정 위치로 유도된 가이드(23g)의 위치 결정 오목부(23h)는, 가이드 홈(51e)의 위치 결정 볼록부(51f)에 끼워져 위치 결정된다. 이와 같이 하여, 센서 유니트(24)는 각도가 수정되면서 혈액 검사 장치에 장착된다. 이 때문에, 센서 유니트(24)(또는 그것을 포함하는 센서 블록(21))의 혈액 검사 장치로의 삽입이 용이하게 된다. 예를 들면, 어떠한 각도에서 센서 유니트(24)(또는 센서 블록(21))를 혈액 검사 장치에 삽입했다 하더라도, 혈액 검사 장치의 커넥터가 접속 전극(41a∼45a 및 43c)에 확실하게 접촉할 수 있다.
또한, 도 7 및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바늘 유니트(25)의 홀더(25a)의, 도 7a의 상방에는 원형공(25g)이 형성되고, 홀더(25a)의 도 7a의 하방에는 원형공(25h)이 형성된다. 천자침(25b)은 구멍(2g)을 관통해 오는 혈액 검사 장치(27)의 천자 수단(26)(후술)에 부딪히면, 도 7a의 하방을 향해 이동한다. 이동한 천자침(25b)은, 구멍(25h)과 혈액 센서(22)의 저장부(34)(후술)를 관통하여 피부(9)를 천자한다.
바늘 유니트(25)의 홀더(25a)의 직경은, 센서 유니트(24)의 받이부(23c)에 형성된 구멍(23d)의 직경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받이부(23c)가 혈액 검사 장 치(27)의 천자 수단(26)에 부딪혀 하방으로 이동한 천자침(25b)을 막아내므로, 센서(22)에 가해지는 부하가 경감된다. 이에 따라, 센서(22)의 변형이 억제된다.
도 7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센서 유니트(24)의 위치 결정 오목부(23h)와 바늘 유니트의 위치 결정 오목부(25f)는, 가능한 한 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센서 유니트(24)의 위치 결정 볼록부(23f)는 바늘 유니트(25)의 위치 결정 오목부(25f)에 걸어 맞춰지고, 또한 위치 결정 오목부(23h)는 장치의 통체 내부에 있는 위치 결정 볼록부(후술)와 걸어 맞춰진다. 이 때문에, 센서 유니트(24)를 장치로부터 이탈시키고자 하면, 장치의 통체 내부의 볼록부와 오목부(23h)의 걸림이 해제되면서, 또한 볼록부(23f)와 오목부(25f)의 걸림도 해제된다. 모든 걸림의 해제는 센서 유니트(24) 및 바늘 유니트(25)를 비틀리게 하는 응력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그 응력을 분산시키기 위해, 오목부(23h)와 오목부(25f)는 가능한 한 떨어져 있다.
센서 유니트(24)의 오목부(23h)가 상방에 있으면, 장치의 덮개부(후술)가 센서 유니트(24)를 덮을 수 있으므로, 센서 유니트(24)를 보다 안정적으로 보관할 수 있다. 한편, 바늘 유니트(25)의 오목부(25f)가 하방에 있을수록, 바늘 유니트(25)와 센서 유니트(24)의 걸림부가 센서 유니트(25)의 홀더(23)의 보다 내부에 위치하므로, 바늘 유니트(25)가 보다 안정적으로 보관된다.
가이드판(25d)의 하방에 경사부(25j)가 마련되고, 또한 홀더(23) 상부(23a)의 내측 상부에 경사부(23k)가 마련된다. 경사부(25j, 23k)는 바늘 유니트(25)의 센서 유니트(24)로의 삽입을 용이하게 한다.
마찬가지로, 홀더(23)의 상부(23a) 외측의 상부에도 경사부(23m)를 마련하 고, 혈액 검사 장치(27)에도 경사부(미도시)를 마련하여, 센서 유니트(24)의 혈액 검사 장치로의 삽입을 용이하게 해도 된다.
센서 유니트(24)의 홀더(23)의 하부(23b)에는, 피부 검지 센서(23j)가 설치되어도 된다. 피부 검지 센서(23j)는, 저비용화라는 관점에서는 도체 전극 쌍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광센서나 온도 센서 등이라도 무방하다.
도 11은, 도 7c에서의 센서 블록(21)을 도 7c의 하방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도 1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홀더(23) 하부(23b)의 하단에는, 2개의 도체 전극(전극 쌍)인 피부 검지 센서(23j)가 180도 떨어져 설치된다. 도체 전극 쌍에 피부가 접촉한 경우의 전극간의 저항값의 변화에 의해, 피부에 맞닿은 것이 검지된다. 복수의 피부 검지 센서(23j)(복수의 전극 쌍) 각각을 대칭으로 설치해도 된다. 피부 검지 센서(23j)의 수를 늘리면 피부를 검지하는 성능이 높아진다.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부 검지 센서(23j)의 도체 전극은 가이드(23g)에 형성된 위치 결정 오목부(23h)에 동선을 통해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점선 참조). 한쪽 도체 전극은 서로 이웃하는 3개의 위치 결정 오목부(23h)에 접속되는 한편, 다른 한쪽의 도체 전극은 다른 서로 이웃하는 3개의 위치 결정 오목부(23h)에 접속된다. 이에 따라 혈액 검사 장치는, 오목부(23h)를 통해 2개의 도체 전극의 신호(이 경우는 저항값의 변화)를 검출하여 피부의 접촉을 검지한다.
도 12에 센서 유니트(24)에 장착되는 혈액 센서(22)의 단면도를 도시하였다. 혈액 센서(22)는 판체 형상을 하고 있으며, 기판(31)과, 기판(31)의 상면에 접합된 스페이서(32)와, 스페이서(32)의 상면에 접합된 커버(33)로 구성된다.
기판(31)의 대략 중앙에 형성된 기판공(31a)과, 스페이서(32)의 대략 중앙에 형성된 스페이서공(32a)과, 커버(33)의 대략 중앙에 형성된 커버공(33a)이 연통하여, 혈액의 저장부(34)가 구성된다.
기판(31)의 하면을 피부에 접촉시켜, 천자된 피부로부터의 혈액을 저장부(34)에 채취한다. 이를 위해, 저장부(34)는 하방을 향해 개구되어 있다. 공급로(35)의 일단은 저장부(34)에 연결되고, 타단은 공기 구멍(38)에 연결된다. 저장부(34)에 저장된 혈액은 모세관 현상에 의해 공급로(35)로 유입되고, 공급로(35)의 내부에 배치된 검출부(37)로 유도된다.
커버(33)의 상면(33h)은 발수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한 한편, 공급로(35)의 내면은 친수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장부(34)의 천장면(34a)은 공급로(35)보다 약한 친수성을 갖거나, 또는 커버(33)의 상면(33h)보다 약한 발수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검출부(37) 위에는 시약(30)이 얹어진다. 시약(30)의 용액을, 기판(31)에 형성된 검출 전극(41) 및 검출 전극(43)(도 13 참조) 위에 적하하고 건조시킴으로써, 시약(30)을 배치할 수 있다.
도 13에는 혈액 센서(22)의 투시 평면도를 도시하였다. 혈액 센서(22)는 정육각형을 하고 있다(원형이나 다각형 등이라도 된다). 정육각형의 꼭짓점의 각각에는, 접속 전극(41a∼45a)과, 접속 전극(43a)과 통전하고 있는 기준 전극(43c)이 배치된다. 센서 유니트(24)가 혈액 검사 장치(바늘 천자형(27)이라도 레이저 천자형(29)이라도 무방함)에 장착되면, 접속 전극(41a∼45a)과 접속 전극(43a)은 각각 혈액 검사 장치의 커넥터(후술)에 접속된다.
혈액 센서(22)의 대략 중앙에 설치된 저장부(34)에, 일단이 접속된 공급로(35)가 설치된다. 검출 전극(41) 및 검출 전극(43) 위에는, 시약(30)(도 12 참조)이 얹어진다.
또한, 공급로(35)의 타단은, 공기 구멍(38)에 연결된다. 공급로(35)에는, 저장부(34)로부터 차례로, 접속 전극(44a)에 접속된 검출 전극(44), 접속 전극(45a)에 접속된 검출 전극(45), 다시, 접속 전극(44a)에 접속된 검출 전극(44), 접속 전극(43a) 및 기준 전극(43c)에 접속된 검출 전극(43), 접속 전극(41a)에 접속된 검출 전극(41), 다시, 접속 전극(43a) 및 기준 전극(43c)에 접속된 검출 전극(43), 접속 전극(42a)에 접속된 검출 전극(42)이 설치된다.
도 14a∼도 14c는 혈액 센서(22)의 분해 평면도이다. 도 14a∼도 14c에 도시되는 혈액 센서(22)는 정육각형이지만, 원형 또는 기타 정다각형이라도 된다.
도 14c는 혈액 센서(22)를 구성하는 기판(31)의 평면도이다. 기판(31)의 대략 중앙에는 기판공(31a)이 형성된다. 기판(31)은 정육각형이며, 치수(31b)는 약 9㎜이다. 기판(31)의 재질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이면 되며, 두께는 약 0.1㎜이면 된다.
기판(31)의 상면에는 검출 전극(41∼45)과, 검출 전극(41∼45)의 각각으로부터 도출된 접속 전극(41a∼45a)과 기준 전극(43c)이,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이들 전극은, 기판(31)의 상면에 형성된 도전층(금, 백금, 또는 팔라듐 등의 층)을 레이저 가공하여 형성하면 된다. 도전층의 형성은 스퍼터링법 또는 증착법 등을 이용하 여 행하면 된다.
도 14b는 스페이서(32)의 평면도이며, 치수(32b)는 약 9㎜이다. 스페이서(32)의 재질은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이며, 두께는 약 0.05㎜이다. 스페이서(32)의 대략 중앙에는 스페이서공(32a)이 형성된다. 스페이서공(32a)은 기판공(31a)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스페이서(32)는 정육각형이며, 정육각형의 꼭짓점의 각각에는, 부채꼴 모양의 절개(notch)(32f)가 형성되어 있다. 절개(32f)는 기판(31)의 접속 전극(41a∼45a)과, 기준 전극(43c)에 대응한 위치에 있다.
스페이서공(32a)으로부터 슬릿(32c)이 형성된다. 슬릿(32c)은 혈액의 공급로(35)가 된다. 따라서, 슬릿(32c)의 벽면과, 그에 대응하는 기판(31)의 상면은 친수화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릿(32c)의 폭을 약 0.6㎜, 길이를 약 2.5㎜로 하고, 공급로(35)의 캐비티를 약 0.5μL로 한다. 검사에 필요로 하는 혈액의 채취량을 적게 할 수 있으므로, 환자에 대한 부담이나 공포심을 경감할 수 있다.
도 14a는 커버(33)의 평면도이다. 치수(33b)는 약 9㎜이다. 커버(33)의 재질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이며, 두께는 약 0.1㎜이다. 커버(33)의 중앙으로부터, 약간 편심된 위치에 커버공(33a)이 형성된다. 커버(33)는 정육각형이며, 정육각형의 꼭짓점의 각각에는 기판(31)의 접속 전극(41a∼45a), 및 기준 전극(43c)에 대응한 위치에 부채꼴 형상의 절개(33f)가 6개 형성된다.
공기 구멍(38)의 위치는 슬릿(32c)의 선단부에 대응한다. 공기 구멍(38)의 직경은 약 50㎛이다. 공기 구멍(38)의 직경을 작게 함으로써, 공기 구멍(38)으로부터의 혈액의 유출을 억제한다.
혈액 센서(22)를 구성하는 기판(31), 스페이서(32), 및 커버(33)는, 각각 정치수의 모기판을 복수로 분할하여 얻을 수 있다. 기판(31), 스페이서(32), 및 커버(33)를 모두 정육각형으로 하면, 모기판을 낭비하지 않고 효율적으로 분할하여 각각을 얻을 수 있다.
도 15는 도 12에 도시된 혈액 센서(22)의 저장부(34) 근방의 단면도이고, 도 16은 그 평면도이다.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기판공(31a)의 직경(31g)과, 스페이서공(32a)의 직경(32g)은 동일(약 2㎜)하고, 또한 기판공(31a)의 중심과 스페이서공(32a)의 중심은 동일 위치이다.
한편, 커버공(33a)의 직경(33g)은 약 1.75㎜이며, 기판공(31a)의 직경(31g)이나 스페이서공(32a)의 직경(32g)(약 2㎜)보다 작다. 또한, 커버공(33a)의 중심은 기판공(31a) 및 스페이서공(32a)의 중심보다 공급로(35)로부터 약간 떨어져 있다.
이와 같이 커버(33)는, 공급로(35)로부터 저장부(34)의 중심을 향해 돌출하는 돌출부(33c)를 가진다. 돌출부(33c)의 돌출 길이는 약 0.25㎜이며, 기판(31)의 두께와 스페이서(32) 두께의 합계(0.15㎜)보다 0.1㎜ 크다.
한편, 저장부(34)에서의 공급로(35)의 반대측(34e)에서는, 커버공(33a), 스페이서공(32a), 및 기판공(31a)이 나란히 맞춰져 있다. 즉, 저장부(34)의 중심에 기판공(31a), 스페이서공(32a)의 중심이 존재하고, 커버공(33a)의 중심은 저장부(34)의 중심보다 공급로(35)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있다.
혈액(10)이 혈액 센서(22)의 저장부(34)에 채취될 때의 모습이, 도 17a∼도 17c에 도시된다. 도 17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저장부(34)의 영역에 있는 피부(9)가 천자되면, 천자공(9a)으로부터 혈액이 유출하여 혈액 방울(10a)이 형성된다. 혈액 방울(10a)은 혈액의 유출과 함께 커져, 도 1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33c)의 선단(점선으로 나타냄)에 접촉한다. 혈액 방울(10a)이 더욱 커져, 피부(9)와 공급로(35)측의 기판(31)의 접점(31j)에 접촉하기 전에, 공급로(35)에 유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17c 참조). 공급로(35)로의 유입은, 돌출부(33c)와 피부(9)에서 형성되는 모세관력에 의해, 단번에 율속(律速) 상태로 행해진다. 공급로(35)에 유입된 혈액(10)은 검출부(37)로 유도된다.
저장부(34)의 공급로(35) 근방에서, 커버(33)와 피부(9) 사이의 틈새에 모세관력이 생긴다. 따라서 저장부(34)에 채취된 혈액(10)은, 저장부(34)를 채우기 전에, 확실하게 공급로(35)로 유입되어 검출부(37)로 유도된다. 따라서, 저장부(34)에 잔존하는 혈액량을 적게 할 수 있고 혈액(10)의 채취량도 적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환자의 부담도 경감된다.
<바늘 천자형 혈액 검사 장치(1)>
본 발명의 센서 블록(21)이 장착되는, 바늘 천자형 혈액 검사 장치(27)에 대해 설명한다. 도 18에는 혈액 검사 장치(27)의 단면도를 도시하였다. 수지로 형성된 케이스(51)의 한쪽은, 원통 형상의 통체(51a)로 되어 있다. 통체(51a)의 선단에 형성된 삽입부(51b)에 센서 블록(21)이 삽입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센서 블록(21)은 혈액 센서(22)가 장착된 원통 형상의 센 서 유니트(24)와, 센서 유니트(24)에 삽입된 바늘 유니트(25)로 구성된다.
바늘 유니트(25) 내에 장착된 천자침(25b)은 혈액 센서(22)에 대향하고 있다. 또한, 센서 유니트(24)를 구성하는 홀더(23)(도 7b 및 도 8을 참조)의 외측에 형성된 가이드(23g)가, 통체(51a)의 내측에 형성된 가이드 홈(51e)을 따라 유도됨으로써 센서 블록(21)은 통체(51a)에 삽입된다. 통체(51a)에 삽입된 센서 블록(21)의 가이드(23g)에 형성된 위치 결정 오목부(23h)가, 가이드 홈(51e)의 안쪽에 형성된 위치 결정 볼록부(51f)에 끼워짐으로써, 센서 블록(21)이 위치 결정되어 장착된다(도 10 참조).
혈액 검사 장치(27)의 바늘 천자 수단(26)(26a∼26f로 이루어짐)에 대해 설명한다. 케이스(51)의 내부에는, 핸들(26a)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다. 핸들(26a)은 탄성체(예를 들면 스프링(26e))로 센서 블록(21) 방향으로 바이어스된다. 핸들(26a)의 한쪽은 케이스(51) 밖으로 도출되어 걸림부(26b)로 걸려진다. 또한, 핸들(26a)의 다른 쪽은 천자침(25b)에 대향하는 봉(26c)에 연결되어 있다. 봉(26c)은 통체(51a)의 내부에 배치된 가이드(26d)의 내부를 슬라이딩할 수 있다.
걸림부(26b)에 의한 걸림을 해제하면, 천자 수단(26)의 봉(26c)은 스프링(26e)의 복원력에 의해 천자침(25b)을 때린다. 봉(26c)에 맞은 천자침(25b)은 센서(22)의 저장부(34)(도 12 참조)를 관통하여 피부를 천자한다.
천자 깊이 조정 노브(26f)는, 도면에서 좌우로 이동됨으로써, 핸들(26a)의 복귀량을 조절하여 천자침(25b)의 천자 깊이를 조정한다.
케이스(51)의 내부에 설치된 전기 회로부(52)는, 커넥터(53)(53a∼53f)에 접 속되어 있다. 전기 회로부(52)에는 전지(55)로부터 전력이 공급된다.
커넥터(53)(53a∼53f를 포함)의 각각은, 혈액 센서(22)에 형성된 접속 전극(41a∼45a 및 43c)(도 13 참조)에 접촉하여, 혈액 센서(22)와 전기 회로부(52)를 접속한다. 톱니바퀴(54)를 회전시키면, 커넥터(53)가, 도 18에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한다. 톱니바퀴(54)의 회전은 전기 회로부(52)에서 제어할 수 있다. 커넥터(53)를 이동시킴으로써, 혈액 센서(22)의 전극에 확실하게 커넥터(53)를 접속시킬 수 있다.
부압 수단(56)은, 센서(22)의 저장부(34)와 공기 구멍(38)을 통해 저장부(34)와 센서 유니트(24)를 구성하는 홀더(23) 하부(23b)의 내부를 부압한다.
도 19는 바늘 천자형 혈액 검사 장치(27)의 전기 회로부(52)의 블록도이다. 혈액 센서(22)의 접속 전극(41a∼45a) 및 기준 전극(43c)(도 13 참조)은, 커넥터(53a∼53f)를 통해 전환 회로(60)에 접속된다. 전환 회로(60)의 출력은, 전류/전압 변환기(61)의 입력에 접속된다. 전류/전압 변환기(61)의 출력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이후, A/D 변환기라고 함)(62)를 통해 연산부(63)의 입력에 접속된다. 연산부(63)의 출력은 표시부(64)(예를 들면 액정 표시 부재)와 통신부(67)에 접속된다. 또한, 전환 회로(60)에는 기준 전압원(65)이 접속된다. 기준 전압원(65)은 접지 전위라도 무방하다.
제어부(66)의 출력은, 전환 회로(60)의 제어 단자와, 연산부(63)와, 통신부(67)와, 부압 수단(56)과, 톱니바퀴(54)의 구동부(미도시)에 접속된다. 한편, 제어부(66)의 입력에는 피부 검지 센서(23j)와, 타이머(68)가 접속된다. 바늘 유니 트(25)에 대향하여 천자 수단(26)이 설치된다. 피부 검지 센서(23j)를 배치하는 대신에, 부압을 개시시키는 수동 버튼을 배치해도 된다.
전기 회로부(52)의 동작을 설명한다. 측정하기 전에, 장착된 센서 블록(21)의 혈액 센서(22)의 접속 전극(41a∼45a) 및 기준 전극(43c)에, 커넥터(53a∼53f)를 맞댄다. 커넥터(53a∼53f)는 톱니바퀴(54)를 구동시킴으로써 이동하여 각 전극과 맞닿는다.
혈액 센서(22)의 접속 전극(41a∼45a) 및 기준 전극(43c)이, 커넥터(53a∼53f)의 어느 것에 접속되어 있는지를 특정한다. 제어부(66)의 지령에 의해, 커넥터(53a∼53f) 중 서로 이웃하는 커넥터 간의 전기 저항이 0인 커넥터를 검출한다. 전기 저항이 0인 커넥터에 접속되어 있는 전극이, 기준 전극(43c)에 접속된 커넥터(53)라고 결정한다. 기준 전극(43c)에 접속된 커넥터(53)를 기준으로 하여, 각 커넥터(53)(커넥터(53a∼53f) 중 어느 하나로부터 시작됨)가 차례로 접속 전극(44a, 45a, 41a, 42a 및 43a)에 접속되었다고 특정한다.
혈액 성분(예를 들면 글루코오스)량의 측정은, 우선, 전환 회로(60)를 전환하여 혈액 성분량을 측정하기 위한 작용극이 되는 검출 전극(41)을 전류/전압 변환기(61)에 접속한다. 또한, 혈액의 유입을 검지하기 위한 검지극이 되는 검출 전극(42)을 기준 전압원(65)에 접속한다. 그리고, 검출 전극(41)과 검출 전극(42) 사이에 일정한 전압을 인가한다. 이 상태에서 혈액이 유입되면, 검출 전극(41)과 검출 전극(42) 사이에 전류가 흐른다. 이 전류는 전류/전압 변환기(61)에 의해 전압으로 변환되고, 그 전압치는 A/D 변환기(62)에 의해 디지털값으로 변환된다. 변환 된 디지털값은 연산부(63)로 출력된다. 연산부(63)는 디지털값에 기초하여 혈액이 충분히 유입된 것을 검지한다. 혈액의 유입을 검지하면, 부압 수단(56)의 동작을 오프로 한다.
혈액의 유입을 검지하면, 제어부(66)의 지령에 의해 전환 회로(60)를 전환하여, 혈액 성분량의 측정을 위한 작용극이 되는 검출 전극(41)을 전류·전압 변환기(61)에 접속한다. 또한, 혈액 성분량의 측정을 위한 대극이 되는 검출 전극(43)을 기준 전압원(65)에 접속한다.
측정되는 혈액 성분이 글루코오스일 경우에, 혈액 중의 글루코오스와 그 산화 환원 효소를 일정 시간 반응시켜도 된다. 반응하는 동안은, 전류/전압 변환기(61) 및 기준 전압원(65)을 오프로 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정한 반응 시간 경과 후에, 제어부(66)의 지령에 의해, 검출 전극(41)과 검출 전극(43) 사이에 일정한 전압을 인가한다. 검출 전극(41)과 검출 전극(43) 사이에 흐른 전류는, 전류/전압 변환기(61)에 의해 전압으로 변환되고, 그 전압치는 A/D 변환기(62)에 의해 디지털값으로 변환되어 연산부(63)를 향해 출력된다. 연산부(63)는 디지털값에 기초하여 혈액 성분(예를 들면 글루코오스)의 양을 측정한다.
혈액 성분량의 측정 후에, Hct(헤마토크리트)값의 측정이 행해진다. 먼저, 제어부(66)로부터의 지령에 의해 전환 회로(60)를 전환하여, Hct값의 측정을 위한 작용극이 되는 검출 전극(45)을 전류/전압 변환기(61)에 접속한다. 또한, Hct값 측정을 위한 대극이 되는 검출 전극(41)을 기준 전압원(65)에 접속한다.
다음으로, 제어부(66)의 지령에 의해, 전류/전압 변환기(61) 및 기준 전압 원(65)으로부터 검출 전극(45)과 검출 전극(41) 사이에 일정한 전압을 인가한다. 검출 전극(45)과 검출 전극(41) 사이에 흐르는 전류는, 전류/전압 변환기(61)에 의해 전압으로 변환되고, 이 전압치는 A/D 변환기(62)에 의해 디지털값으로 변환된다. 디지털값은 연산부(63)를 향해 출력되고, 연산부(63)는 디지털값에 기초하여 Hct치를 계측한다.
미리 작성해 둔 검량선 또는 검량선 테이블에 기초하여, 측정된 글루코오스 성분량을 계측된 Hct값으로 보정한다. 보정 결과를 표시부(64)에 표시한다. 또한, 보정 결과를 통신부(67)로부터 인슐린을 주사하는 주사 장치에 송신해도 된다. 전파를 이용하여 송신해도 되지만, 의료 기구에 대한 방해가 없는 광통신으로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신부(67)는 검사 결과(보정 후의 검사 결과라도 무방함) 외에, 검사에 관련된 데이터(검사시의 온도, 검사 시각, 보정 데이터, 또는 센서의 기종 데이터)를 송신해도 된다.
통신부(67)로부터 송신된 보정 결과에 따라, 인슐린의 투여량이 주사 장치에 자동적으로 설정되도록 하면, 환자 자신이 인슐린의 투여량을 설정할 필요가 없어진다. 이에 따라, 설정의 번거로움이 없어져 설정 미스를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통신부(67)는 다른 기기와의 데이터 등의 통신을 행한다.
도 20을 이용하여 혈액 검사 장치(27)에 의한 검사 흐름을 설명한다. 단계 71에서는, 센서 블록(21)을 통체(51a)의 삽입부(51b)에 장착한다.
단계 72에서는, 혈액 검사 장치(27)의 전원 스위치를 누르거나, 또는 센서 블록(21)의 장착에 의해 자동적으로, 전지(55)로부터 전기 회로부(52)에 전력이 공 급된다. 전기 회로부(52)에 전력이 공급되면, 톱니바퀴(54)가 구동하여 커넥터(53a∼53f)가 접속 전극(41a∼45a) 및 기준 전극(43c)에 맞닿는다. 그 다음, 센서(22)의 기준 전극(43c)을 특정한다. 특정된 기준 전극(43c)에 기초하여, 각 커넥터가 검출 전극(41∼45) 및 기준 전극(43c)의 어느 것에 접촉했는지를 특정한다.
단계 73에서는, 혈액 센서에 천자할 피부(9)가 맞닿을 때까지 대기한다. 센서 블록(21)의 피부 검지 센서(23j)에서 피부(9)의 접촉을 검지하면, 단계 74에서 부압 수단(56)을 동작시킨다. 부압 수단(56)으로 센서(22)의 근방에 부압을 가한다. 피부 검지 센서(23j)를 배치하는 대신에, 제어부(66)에 부압 수단을 동작시키기 위한 버튼이 배치된 경우에는, 이 버튼을 수동으로 눌러 부압 수단(56)을 동작시킨다.
부압 수단(56)을 구성하는 펌프에 흐르는 전류치 등이 변화하거나, 소정의 부압 시간이 경과하면(타이머(68)로 시간을 계측함), 저장부(34) 내의 피부가 충분히 흡인되어 볼록해졌다고 판단한다.
단계 75에서는, 표시부(64)에 천자 가능하다는 취지를 표시한다. 단계 76에서는, 이 표시에 따라 환자가 걸림부(26b)에 의한 걸림을 해제하고, 천자침(25b)으로 피부(9)를 천자시킨다. 피부의 천자에 의해 혈액이 유출된다. 유출된 혈액은 센서(22)의 검출부(37)에 유도된다.
천자 가능하다는 취지의 표시부(64)에서의 표시는, 단계 77에서 꺼진다. 즉, 혈액이 검출 전극(42)에 도달하면, 혈액 성분을 측정하기(단계 78) 전에 표시를 끈다. 이때 동시에, 부압을 오프로 해도 된다.
단계 78에서는, 검출부(37)로 유입된 혈액의 성분량이 측정된다. 단계 79에서, 부압 수단(56)의 부압을 오프로 한다. 단계 80에서, 표시부(64)에 측정한 혈당치의 값을 표시한다. 단계 79와 단계 80의 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어느 단계를 먼저 행해도 되고, 동시에 행해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 따른 혈액 검사 장치는 글루코오스를 측정할 수 있지만, 글루코오스 이외의 혈액 성분(예를 들면 유산치나 콜레스테롤)의 측정에도 적용할 수 있다.
<바늘 천자형 혈액 검사 장치(2)>
이하, 바늘 천자형 혈액 검사 장치의 다른 예를 개시한다. 이 예의 혈액 검사 장치는, 센서 블록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부에 센서 유니트와 바늘 유니트를 각각 별도로, 탈착 가능하게 장착하는 장착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센서 유니트를 탈착 가능하게 장착하는 부재를 제1 장착부라 하고, 바늘 유니트를 탈착 가능하게 장착하는 부재를 제2 장착부라고 한다.
도 21에 표시되는 혈액 검사 장치(27')에 있어서, 수지로 형성된 케이스(51)의 한쪽은 원통 형상의 통체(51a)로 되어 있다. 통체(51a)의 선단에는 삽입부(51b)가 형성되어 있다.
통체(51a)의 내측에는 바늘 유니트(25)가 삽입부(51b)측으로부터 삽입된다. 바늘 유니트(25)는 걸림부(251)에서 통체(51a)에 걸려, 혈액 검사 장치(27')에 장착된다. 한편, 통체(51a)의 외측에는, 센서 유니트(24)가 삽입부(51b)측으로부터 삽입된다. 센서 유니트(24)는 걸림부(241)에서 통체(51a)에 걸려, 혈액 검사 장치(27')에 장착된다.
장착 수단(70)을 구성하는 본체부(70a)는, 통체(51a)의 외측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본체부(70a)를 구성하는 제1 장착부(73)는, 센서 유니트(24)를 탈착 가능하게 장착하고, 장착된 센서 유니트(24)를 밀어내어 이탈시킬 수 있다. 본체부(70a)를 구성하는 제2 장착부(75)는, 바늘 유니트(25)를 탈착 가능하게 장착하고, 장착된 바늘 유니트(25)를 밀어내어 이탈시킬 수 있다.
케이스(51)의 내부에 설치된 천자 수단(26)(26a∼26h를 포함함)에 대해 설명한다. 핸들(26a)은 통체(51a) 내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핸들(26a)의 일단은, 케이스(51)의 외측으로 도출되어 걸림부(26b)에서 걸린다. 핸들(26a)의 타단은 바늘 유니트(25)에 대향하는 봉(26c)과 연결된다. 봉(26c)은 통체(51a)의 거의 중심에 형성된 가이드(26d) 내(內)를 슬라이드한다. 핸들(26a)은 스프링(26e)으로 바늘 유니트(25) 방향으로 바이어스되어 있다.
천자 깊이를 조정하는 조정부(26f)는, 나사봉(26g)과 나사봉(26g)에 맞물리는 너트인 조정쇠(26h)를 갖는다. 조정쇠(26h)를 도면의 좌우 방향으로 나사 이동시킴으로써, 핸들(26a)의 복귀량(삽입부(51b)로의 이동량)을 조절하여, 천자 깊이가 조정된다.
센서 유니트(24)의 혈액 센서(22)에 접속되는 전기 회로부(52)는, 혈액 센서(22)에 채취된 혈액(10)(도 19 참조)의 혈액 성분(예를 들면 혈당치)을 측정한다. 통체(51a) 내에 부압을 가하는 부압 수단(56)은, 천자시에 피부를 흡인하여 볼록하게 함으로써 채혈을 용이하게 한다. 전지(55)는 전기 회로부(52)의 전원이다.
도 21에 나타나는 혈액 검사 장치(27')의 동작을 설명한다.
바늘 유니트(25)를 통체(51a)의 내측에 삽입하고, 통체(51a)와 걸림부(251)를 걸어 장착한다. 다음에, 센서 유니트(24)를 통체(51a)의 외측에 삽입하고, 통체(51a)와 걸림부(241)로 걸어 장착한다.
장착된 센서 유니트(24)의 혈액 센서(22)에 설치된 접속 전극은, 삽입부(51b)에 설치된 커넥터와 접촉하여 혈액 센서(22)와 전기 회로부(52)가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혈액 검사 장치(27')를, 채혈할 피부(9)(도 3 참조)에 맞댄다. 그리고, 걸림부(26b)의 걸림을 해제하면, 스프링(26e)의 복원력에 의해 봉(26c)이 바늘 유니트(25)의 천자침(25b)를 때린다. 천자침(25b)은 혈액 센서(22)의 저장부를 관통하여 피부를 천자한다. 천자된 피부로부터는 혈액이 유출한다. 유출된 혈액은 혈액 센서(22)에 유입되어 혈액 센서(22) 내에서 화학 변화를 일으킨다. 화학 변화를 일으킨 혈액 정보는, 커넥터를 통해 전기 회로부(52)에 보내져, 전기 회로부(52)에서 혈액 성분이 측정된다.
혈액 성분의 측정 후에 센서 유니트(24)와 바늘 유니트(25)는, 제1 장착부(73) 및 제2 장착부(75)를 갖는 장착 수단(70)으로부터 각각 별도로 이탈된다. 본체부(70a)를 삽입부(51b)쪽으로 이동시키면, 제1 장착부(73)가 센서 유니트(24)를 눌러, 걸림부(241)에 의한 걸림을 해제한다. 이에 따라, 센서 유니트(24)는 통체(51a)로부터 이탈된다. 다음으로, 본체부(70a)를 삽입부(51b)쪽으로 더욱 이동시키면, 제2 장착부(75)가 바늘 유니트(25)를 눌러 걸림부(251)에 의한 걸림을 해제한다. 이에 따라, 바늘 유니트(25)는 통체(51a)로부터 이탈된다.
이와 같이, 혈액 센서(22)를 가진 센서 유니트(24)와, 천자침(25b)을 가진 바늘 유니트(25)를 각각 별도로 이탈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사용이 끝난 센서 유니트(24)와, 바늘 유니트(25)를 다시 분별할 필요가 없어져, 사용이 끝난 천자침(25b)과 센서(22)의 분별 폐기가 용이해진다.
또한, 센서 유니트(24)와 바늘 유니트(25)를 별도로 이탈시킬 수 있으므로, 센서(22) 또는 천자침(25b)의 어느 하나가 불량품이라 해도 한쪽만을 교환하면 되기 때문에, 불량이 없는 부품을 낭비하지 않는다.
또한, 하나의 혈액 성분(예를 들면 글루코오스)의 측정 후에, 센서 유니트(24)만을 바꾸어 다른 혈액 성분(예를 들면 콜레스테롤이나 유산)을 측정할 수도 있다.
도 22는 바늘 유니트(25)와 센서 유니트(24)가 장착된 혈액 검사 장치(27')의 삽입부(51b) 근방의 측단면도이다. 도 23은 도 22의 상방으로부터, 삽입부(51b) 근방을 본 평면도이다.
센서 유니트(24)는, 양단이 개구된 원통형의 홀더(23)와, 홀더(23)에 장착된 혈액 센서(22)로 구성된다. 센서 유니트(24)는 수지 재료로 형성된다. 홀더(23)는 원통형의 상부(23a)와, 상부(23a)보다 지름이 작은 원통형의 하부(23b)와, 하부(23b)와 상부(23a) 사이를 구분하도록 설치되며 센서(22)를 배치하는 원판 형상의 받이부(23c)를 갖고, 이들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부(23a)의 내측에는 위치 결정 오목부(23f)가 형성된다. 한편, 통체(51a)의 삽입부(51b)의 외측에는, 장착된 센서 유니트(24)의 위치 결정 오목부(23f)와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 결정 볼록부(51f)가 형성된다. 오목부(23f)와 볼록부(51f)로 걸림부(241)를 구성한다. 한편, 받이부(23c)의 중앙에는, 구멍(23d)이 형성된다. 구멍(23d)과 하부(23b)로 규정되는 공간은 부압 수단(56)으로 부압된다.
하부(23b)의 바닥면에는 피부 검지 센서(23j)가 배치된다. 피부 검지 센서는 도체 전극 쌍이라면 낮은 비용으로 실현할 수 있지만, 광센서나 온도 센서 등이라도 무방하다. 피부 검지 센서(23j)는 하부(23b) 바닥면의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된 도체 전극 쌍이다.
피부 검지 센서(23j)는, 위치 결정 오목부(23f) 내에 형성된 전극에 동선을 통해 접속된다. 피부에 맞닿았을 때의 도체 전극 쌍 간의 저항값의 변화에 의해, 피부에 대한 접촉이 검지된다. 검지 신호는, 위치 결정 오목부(23f)의 전극을 통해 전기 회로부(52)로 전달된다.
바늘 유니트(25)는 수지로 형성된 원통형의 홀더(25a)와, 홀더(25a) 내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 압정 형상을 한 금속제 천자침(25b)과, 천자침(25b)을 상방으로 바이어스하는 탄성체로 구성된다. 탄성체는 판 스프링(25c)이나, 코일 스프링 또는 용수철 스프링 등이다. 천자침(25b)을 판 스프링(25c)으로 상방으로 바이어스하고 있으므로, 천자침(25b)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아 안전하다.
홀더(25a)의 상방에는 위치 결정 오목부(25f)가 형성된다. 오목부(25f)는 통체(51a)의 볼록부(51g)와 걸림부(251)를 구성한다.
바늘 유니트(25)의 홀더(25a)의 상방에는 원형 구멍(25g)이 형성되고, 홀더(25a)의 하방에는 원형 구멍(25h)이 형성된다. 구멍(25g)을 관통하여, 봉(26c)이 천자침(25b)을 하방을 향해 때린다. 이에 따라, 천자침(25b)은 구멍(25h)과 혈액 센서(22)의 저장부(34)를 관통하여 피부를 천자한다.
한편, 통체(51a)의 내측에는, 바늘 유니트(25)의 위치 결정 오목부(25f)와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 결정 볼록부(51g)가 형성된다. 위치 결정 볼록부(51g)는, 위치 결정 오목부(25f)와 끼워 맞춰지도록 탄성을 갖고 있다. 위치 결정 오목부(25f)와 위치 결정 볼록부(51g)로 걸림부(251)를 구성한다.
바늘 유니트(25)를 통체(51a)의 내측으로 삽입하면, 위치 결정 오목부(25f)와 위치 결정 볼록부(51g)가 끼워 맞춰져 통체(51a)의 내측에서 바늘 유니트(25)의 위치가 결정된다. 다음으로, 센서 유니트(24)를 통체(51a)의 외측으로부터 삽입하면, 위치 결정 오목부(23f)와 위치 결정 볼록부(51f)가 끼워 맞춰져, 통체(51a)에서의 센서 유니트(24)의 위치가 결정된다.
삽입부(51b)에는, 후술하는 커넥터(53)(커넥터(53a∼53f)를 포함함)가 설치되어 있다. 커넥터(53)는 센서 유니트(24)를 통체(51a)에 삽입했을 때, 혈액 센서(22)에 형성된 접속 전극(41a∼45a)(도 13 참조)에 맞닿는다. 따라서, 접속 전극(41a∼45a)의 신호는, 커넥터(53)를 통해 전기 회로부(52)에 공급된다. 위치 결정 볼록부(51f)에 설치된 전극을 통해, 피부 검지 센서(23j)의 신호가 전기 회로부(52)로 공급된다.
장착 수단(70)을 구성하는 본체부(70a)는 원통 형상의 수지제 부재이며, 통체(51a)의 외측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이동할 수 있다. 본체부(70a)의 하방에는, 센서 유니트(24)의 상단을 밀어낼 수 있는 제1 장착부(73)가 형성된다. 또한, 센서 유니트(24)의 홀더(23)의 외측을 덮는 덮개부(77)는, 제1 장착부(73)에 연결되어 형성된다. 덮개부(77)는, 센서 유니트(24)를 삽입부에 삽입하기 쉽도록 하기 위해, 하방을 향해 넓어진 테이퍼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부(70a)의 내측에는, 통체(51b)를 통해 바늘 유니트(25)를 밀어낼 수 있는 제2 장착부(75)가 설치된다. 제2 장착부(75)는, 본체부(70a)로부터 분기된 부재로서 열쇠 형상을 가진다. 본체부(70a)로부터 총 4개의 제2 장착부(75)가, 90° 간격으로(도 23 참조) 설치된다. 또한, 본체부(70a)의 내측에는 오목부(70e) 및 오목부(70f)가 형성된다. 장착 수단(70)을 삽입부(51b)쪽으로 이동시켜, 오목부(70f)가 위치 결정 볼록부(51f)와 맞물리는 위치까지 오면, 제1 장착부(73)가 센서 유니트(24)를 이탈시킨다. 장착 수단(70)을 삽입부(51b)쪽으로 더 이동시켜, 오목부(70e)가 위치 결정 볼록부(12f)와 맞물리는 위치까지 오면, 제2 장착부(75)가 바늘 유니트(25)를 이탈시킨다.
도 24를 이용하여 센서 유니트(24)의 이탈에 대해, 도 25를 이용하여 바늘 유니트(25)의 이탈에 대해 설명한다. 바늘 유니트(25)의 이탈은, 센서 유니트(24)의 이탈 후에 행한다.
도 24는, 바늘 유니트(25)를 이탈시키지 않고 센서 유니트(24)만을 이탈한 상태의 도면이다. 장착 수단(70)의 본체부(70a)를 화살표 방향(삽입부(51b)로의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혈액 센서 유니트(24)의 위치 결정 오목부(23f)와 케이스(51a)의 위치 결정 볼록부(51f)의 걸림이 해제되어, 센서 유니트(24)가 이탈된다. 또한, 장착 수단(70)의 본체부(70a)의 오목부(70f)는 위치 결정 볼록부(51f)에 걸려, 본체부(70a)가 그 위치에서 정지한다.
본체부(15a)를 화살표 방향으로 더 이동시키면, 제2 장착부(75)가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여 바늘 유니트(25)를 밀어내어 이탈시킨다. 즉, 도 2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바늘 유니트(25)의 위치 결정 오목부(25f)와 케이스(51a)의 위치 결정 볼록부(51g)의 걸림이 해제된다. 또한, 본체부(70a)의 오목부(70e)는 위치 결정 볼록부(51f)에 걸려, 본체부(70a)가 그 위치에서 정지한다.
센서 유니트(24)를 이탈시킬 때, 및 바늘 유니트(25)를 이탈시킬 때에, 본체부(70a)의 선단에 설치된 덮개부(77)도 강하한다. 강하한 덮개부(77)는 커넥터(53)(53a∼53f를 포함함)를 보호하여, 커넥터(53)에 먼지나 오염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한다.
센서 유니트(24)와 바늘 유니트(25)의 장착과 이탈은, 각각 역순으로 행해진다. 즉 장착은, 1) 바늘 유니트(25)를 통체(51a)의 내측에 삽입하고, 통체(51a)의 위치 결정 볼록부(51g)에 바늘 유니트(25)의 위치 결정 오목부(25f)를 걸어 위치를 결정한다. 다음으로, 2) 센서 유니트(24)를 통체(51a)의 외측에 삽입한다. 센서 유니트(24)의 홀더(23)의 상단은 통체(51a)의 삽입부(51b)에 맞닿아, 장착 수단(70)의 본체부(70a)를 상방으로 밀어 올린다. 통체(51a)의 외측에 설치된 위치 결정 볼록부(51f)에, 센서 유니트(24)의 위치 결정 오목부(23f)가 걸려 위치를 결정한다.
센서 유니트(24)의 홀더(23) 상부(23a)의 내측에는, 가이드(23e)(도 7 참조)가 형성된다. 한편, 센서 유니트(24)가 삽입되는 통체(51a)의 외측에는, 가이드 홈(51e)이 형성된다(도 10 참조). 원통형의 센서 유니트(24)를 아무렇게나 삽입하 더라도 가이드(23e)가 가이드 홈(51e)을 따라 유도되므로, 접속 전극(41a∼45a)을 커넥터(53a∼53f)에 확실하게 접촉시킬 수 있다.
혈액 검사 장치(27')에 있어서의 삽입부(51b)에 설치된 커넥터(53)(53a∼53f를 포함함)는, 접속 전극(41a∼45a)에 맞닿게 하기 위해 이동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전기 접속의 신뢰성이 높다.
도 21에 도시되는 바늘 천자형 혈액 검사 장치(27')는, 센서 유니트(24)와 바늘 유니트(25)를 각각 별도로 장착할 수 있으면서, 또한 따로 이탈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센서 유니트(24) 또는 바늘 유니트(25)가 불량이라 하더라도, 다른 쪽을 사용할 수 있다. 센서 유니트(24)와 바늘 유니트(25)를 용이하게 분별하여 폐기할 수 있다.
또한, 도 21에 도시되는 바늘 천자형 혈액 검사 장치(27')의 장착 수단(70)은, 센서 유니트(24)를 이탈시킨 후에, 바늘 유니트(25)를 이탈시킬 수 있으므로, 예를 들면 혈액 센서(22)가 불량이었을 경우에 혈액 센서(22)만을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다. 또한, 천자 후에 혈액 센서(22)만을 다른 혈액 센서로 교환함으로써, 하나의 바늘 유니트(25)로 복수 종류의 혈액 성분(콜레스테롤과 유산 등)을 측정할 수 있다.
<레이저 천자형 혈액 검사 장치>
다음으로, 레이저 천자형 혈액 검사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26에는 레이저 천자형 혈액 검사 장치(29)의 단면도를 도시하였다. 혈액 검사 장치(29)는, 천자 수단으로서 바늘 유니트를 구동하는 수단 대신에 레이저 발 사 장치(28)를 갖는 점, 및 센서 블록 대신에 바늘 유니트를 갖지 않는 센서 유니트만이 장착되는 점에서, 도 18에 도시된 혈액 검사 장치(27)와 상이하다.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번호를 붙여 설명을 간략화한다.
도 26에 있어서, 수지로 형성된 케이스(81)의 한쪽은 원통 형상의 통체(81a)로 되어 있다. 통체(81a)는 센서 유니트(24)의 삽입부(81b)를 구성한다. 통체(81a)의 선단에 형성된 삽입부(81b)에, 센서 블록(21)으로부터 바늘 유니트(25)가 이탈된 센서 유니트(24)가 삽입된다.
센서 유니트(24)에 장착된 혈액 센서(22)에 대향하여, 레이저 발사 장치(28)가 배치된다. 센서 유니트(24)를 형성하는 홀더(23)의 외측에 형성된 가이드(23g)는, 통체(81a)의 내부에 형성된 가이드 홈(81e)의 내부를 따라 삽입된다(도 10에서의 가이드 홈(51e)이 가이드 홈(81e)에 대응함). 그리고, 가이드(23g)에 형성된 위치 결정 오목부(23h)가, 가이드 홈(81e)의 안쪽에 형성된 위치 결정 볼록부(81f)에 끼워져 위치 결정된다(도 5에서의 위치 결정 볼록부(51f)가 위치 결정 볼록부(81f)에 대응한다).
레이저 발사 장치(28)는, 발진 튜브(28a)와, 발진 튜브(28a)의 전방에 연결된 원통 형상의 통체(28b)를 갖는다. 발진 튜브(28a)의 내부에는, 레이저 결정(28c)과 플래시 광원(28d)이 설치된다. 레이저 결정(28c)은, 예를 들면 Er:YAG(이트륨·알루미늄·가닛)이다. 발진 튜브(28a)의 일단에는 투과율 약 1%의 부분 투과경(28e)이 장착되고, 타단에는 전체 반사경(28f)이 장착된다.
부분 투과경(28e)의 전방의 통체(28b) 내부에는, 볼록 렌즈(28g)가 장착된 다. 볼록 렌즈(28g)는 레이저광이 환자의 피부 표면에 초점을 맺도록 설정된다. 레이저광의 전압을 약 300V로 하면, 환자에게 주는 아픔을 경감할 수 있다.
레이저 발사 장치(28)의 동작을 설명한다.
플래시 광원(28d)으로부터 발사된 빛이, 레이저 결정(28c)에 조사된다. 레이저 결정(28c)에서 여기한 빛이, 전체 반사경(28f)과 부분 투과경(28e) 사이를 반사해 공진함으로써 증폭된다. 증폭된 레이저광의 일부는, 유도 방출에 의해 부분 투과경(28e)을 통과한다. 부분 투과경(28e)을 통과한 레이저광은, 렌즈(28g)를 통과해 방사되어, 혈액 센서(22)를 통과해 피부를 조사하여 천자한다. 레이저 발사 장치(28)의 레이저광에 의한 피부의 천자 깊이는, 피부의 표면으로부터 0.05㎜∼1.5㎜가 바람직하며, 예를 들면 0.5㎜이다.
레이저 발사 장치(28)를 갖는 혈액 검사 장치(29)는, 천자침(25b)을 갖는 바늘 유니트(25)나 스프링 등으로 바이어스할 필요가 있는 천자 수단(26) 등의 가동 부품을 갖지 않기 때문에 간단한 구조이며, 부품 수가 적기 때문에 부품 관리가 용이한 한편, 고장도 적어질 가능성이 높다.
또한, 혈액 검사 장치(29)는, 환자의 피부를 비접촉으로 천자할 수 있으므로 위생적이면서, 또한 레이저 발사 장치(28)를 용이하게 방수 구조로 할 수 있으므로, 장치 전체를 통째로 세척할 수 있다.
도 27에는 전기 회로부(52a)의 블록도를 도시하였다. 전기 회로부(52)는, 도 19에 도시된 전기 회로부(52)와 유사하지만, 제어부(66a)에서 레이저 발사 장치(28)를 제어하고 있는 점에서 다르다. 즉, 레이저 발사 장치(28)로부터 레이저광 발사를 지시하는 천자 버튼(28h)이 제어부(66a)에 접속되어 있다.
도 28은 혈액 검사 장치(29)에 의한 검사 플로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우선, 단계 85에서, 센서 블록(21)으로부터 바늘 유니트(25)를 이탈시켜, 센서 유니트(24)를 얻는다. 단계 86에서, 센서 유니트(24)를 통체(81a)의 삽입부(81b)에 장착한다.
단계 87∼단계 95는, 도 20에서의 단계 72∼단계 80에 대응한다. 단, 천자 수단이 레이저 발사 장치(28)이므로, 걸림부(26b)의 걸림의 해제 대신에 천자 버튼(28h)을 누른다. 즉, 천자 버튼(28h)을 누르면, 천자침(25b)이 구동하는 대신에 레이저광이 발사되어 피부(9)를 천자한다.
<천자 수단이 없는 혈액 검사 장치>
다음으로, 천자 수단이 없는 혈액 검사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29에는, 천자 수단이 없는 혈액 검사 장치(100)의 단면도를 도시하였다. 혈액 검사 장치(100)는, 바늘에 의한 천자 수단을 탑재하지 않는 점, 및 센서 블록 대신에 바늘 유니트를 갖지 않는 센서 유니트만이 장착되는 점에서, 도 18에 도시된 혈액 검사 장치(27)와 다르다. 또한, 레이저에 의한 천자 수단을 탑재하지 않는 점에서, 도 26에 도시된 혈액 검사 장치(29)와 다르다.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간략화한다.
도 29에서, 수지로 형성된 케이스(101)의 한쪽은 원통 형상의 통체(101a)로 되어 있다. 통체(101a)는 센서 유니트(24)의 삽입부(101b)를 구성한다. 통체(101a)의 선단에 형성된 삽입부(101b)에 센서 유니트(24)가 삽입된다.
센서 유니트(24)를 형성하는 홀더(23)의 외측에 형성된 가이드(23g)(도 7b 참조)는, 통체(101a)의 내부에 형성된 가이드 홈(도 10에서의 가이드 홈(51e)에 대응함)의 내부를 따라 삽입된다. 그리고, 가이드(23g)에 형성된 위치 결정 오목부(23h)가, 통체(101a)의 내부에 형성된 가이드 홈의 안쪽에 형성된 위치 결정 볼록부(도 10에서의 위치 결정 볼록부(51f)에 대응함)에 끼워져 위치 결정된다.
혈액 검사 장치(100)에는 천자 수단이 탑재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전기 회로부(52b)는 천자 수단을 위한 제어 기능을 갖지 않는다. 또한, 혈액 검사 장치(100)에는 부압 수단(56)이 있어도 되고 없어도 된다. 커넥터(53a∼53f)는 혈액 센서(22)의 접속 전극(41a∼45a 및 43c)에 접촉하여, 혈액 센서(22)와 전기 회로부(52b)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킨다. 센서 유니트(24)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 버튼(102)이다.
혈액 검사 장치(100)는 천자 수단을 갖지 않기 때문에, 피부의 천자는 별도의 천자 도구 등으로 행한다. 천자된 피부로부터 유출된 혈액을, 혈액 검사 장치(100)에 장착된 혈액 센서(22)에 넣음으로써 혈액 성분을 측정할(혈액 검사를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바늘 천자형 혈액 검사 장치에 적용되는 센서 블록은, 바늘 유니트를 이탈시킴으로써 센서 유니트만으로 하면, 레이저 천자형 혈액 검사 장치나 천자 수단을 갖지 않는 혈액 검사 장치에도 사용할 수 있다. 즉, 어떤 타입의 혈액 검사 장치에도 적용되므로, 각각에 대응하는 혈액 센서를 준비할 필요가 없어 경제적이다.
또한, 본 발명의 센서 블록은, 혈액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 유니트와 천자침을 포함하는 바늘 유니트를 각각 별도로 혈액 검사 장치에 장착하며, 또한 각각 별도로 혈액 검사 장치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으므로, 분별 폐기가 용이해진다.
본 발명의 혈액 센서 블록은, 천자침으로 천자하는 혈액 검사 장치에도 레이저광으로 천자하는 혈액 검사 장치에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양쪽의 혈액 검사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혈액 센서 블록은, 바늘 유니트를 이탈시킴으로써 센서 유니트만으로 하면, 천자 수단을 갖지 않는 혈액 검사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출원은 2006년 12월 21일에 출원된 일본 출원 번호 JP2006-344089, 및 2006년 12월 21일에 출원된 일본 출원 번호 JP2006-344090에 기초하는 우선권을 주장한다. 해당 출원 명세서 및 도면에 기재된 내용은, 모두 본 출원에 원용된다.

Claims (34)

  1. 홀더와, 상기 홀더에 장착된 혈액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 유니트로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 천자침을 포함하는 바늘 유니트가, 상기 센서 유니트의 홀더 내측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센서 유니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유니트의 홀더는, 그 단면 형상이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이고, 또한 상기 홀더의 두 개구의 지름이 상이한 센서 유니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유니트의 홀더의 적어도 일부분이 투명 부재인 센서 유니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유니트의 홀더에는, 피부와의 접촉을 검지하는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센서 유니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유니트의 홀더의, 피부와 접촉하는 표면은 발수성을 갖는 센서 유니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유니트의 혈액 센서는, 복수의 검출 전극과, 상기 복수의 검출 전극을 특정하기 위한 기준 전극을 갖는 센서 유니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유니트의 혈액 센서는, 그 대략 중앙에 설치된 혈액 저장부를 갖고,
    상기 저장부의 상방에는 혈액의 공급로측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부가 설치된 센서 유니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유니트의 혈액 센서와 홀더는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센서 유니트.
  9. 홀더와, 상기 홀더에 장착된 혈액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 유니트와,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 천자침을 포함하는 바늘 유니트를 구비하고,
    상기 바늘 유니트는, 상기 센서 유니트의 홀더 내측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혈액 센서 블록.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유니트의 홀더의 내부에는, 제1 삽입 가이드가 마련되고,
    상기 제1 삽입 가이드를 따라, 상기 바늘 유니트는 상기 센서 유니트의 홀더 내측에 장착되는 혈액 센서 블록.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 유니트의 천자침은, 상기 혈액 센서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바이어스된 혈액 센서 블록.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유니트의 홀더의 외측에는, 제2 삽입 가이드가 마련되고,
    상기 제2 삽입 가이드를 따라, 상기 센서 유니트는 상기 혈액 센서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혈액 성분을 분석하는 혈액 검사 장치에 장착되는 혈액 센서 블록.
  13. 제1항에 기재된 센서 유니트가 장착되는 삽입부를 그 일단에 갖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되며, 상기 센서 유니트의 혈액 센서에 접속되는 전기 회로부와,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되어 레이저광을 출사하여, 피부를 천자하는 천자 수단을 구비하는 혈액 검사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센서 유니트에 포함되는 혈액 센서에 맞닿고, 또한 상기 전기 회로부와 상기 혈액 센서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커넥터를 갖는 혈액 검사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유니트의 홀더의 외측에는, 제2 삽입 가이드가 마련되고,
    상기 삽입부에는, 상기 제2 삽입 가이드에 적합한 가이드가 마련되는 혈액 검사 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회로부에 접속된 부압 수단을 갖는 혈액 검사 장치.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유니트의 홀더에는, 피부와의 접촉을 검지하는 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피부를 검지하는 수단이 피부를 검지하면, 상기 부압 수단이 부압 동작을 개시하는 혈액 검사 장치.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혈액 센서의 검출 전극에 의해, 상기 혈액 센서로의 혈액의 유입을 검지하면, 상기 부압 수단이 부압 동작을 종료하는 혈액 검사 장치.
  19. 제13항에 있어서,
    혈액 검사의 검사 결과를 외부 기기에 송신하는 통신 기능을 더 구비하는 혈액 검사 장치.
  20. 제1항에 기재된 센서 유니트가 장착되는 삽입부를 그 일단에 갖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되며, 상기 센서 유니트의 혈액 센서에 접속된 전기 회로부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 내에 천자 수단이 없는 혈액 검사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혈액 검사의 검사 결과를 외부 기기에 송신하는 통신 기능을 더 구비하는 혈액 검사 장치.
  22. 제9항에 기재된 혈액 센서 블록이 장착되는 삽입부를, 그 일단에 갖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되어 상기 센서 유니트의 혈액 센서에 접속되는 전기 회로부와,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되어 상기 바늘 유니트의 천자침을 구동하여, 피부를 천자시키는 천자 수단을 구비하는 혈액 검사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센서 유니트 및 상기 바늘 유니트의 각각을 탈착 가능하게 장착하는 제1 장착부 및 제2 장착부를 갖는 혈액 검사 장치.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장착부는, 상기 제1 장착부의 내측에 배치되는 혈액 검사 장치.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 유니트가 장착된 채, 상기 센서 유니트를 분리할 수 있는 혈액 검사 장치.
  26.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센서 유니트에 포함되는 혈액 센서에 맞닿고, 또한 상기 전기 회로부와 상기 혈액 센서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커넥터를 갖는 혈액 검사 장치.
  27.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유니트의 홀더의 외측에는, 제2 삽입 가이드가 마련되고,
    상기 삽입부에는 상기 제2 삽입 가이드에 적합한 가이드가 마련되는 혈액 검사 장치.
  28. 제22항에 있어서,
    전기 회로부에 접속된 부압 수단을 갖는 혈액 검사 장치.
  29.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유니트의 홀더에는, 피부와의 접촉을 검지하는 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검지 수단이 피부를 검지하면, 상기 부압 수단은 부압 동작을 개시하는 혈액 검사 장치.
  30.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혈액 센서의 검출 전극에 의해, 상기 혈액 센서로의 혈액의 유입을 검지하면, 상기 부압 수단은 부압 동작을 종료하는 혈액 검사 장치.
  31. 제22항에 있어서,
    혈액 검사의 검사 결과를 외부 기기에 송신하는 통신 기능을 구비한 혈액 검사 장치.
  32. 홀더와 상기 홀더에 장착된 혈액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 유니트로서,
    제13항 또는 제20항 또는 제22항에 기재된 혈액 검사 장치 중 어느 하나의 상기 삽입부에도 장착할 수 있으며,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 천자침을 포함하는 바늘 유니트가, 상기 센서 유니트의 홀더의 내측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센서 유니트.
  33. 홀더와 상기 홀더에 장착된 혈액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 유니트로서,
    상기 센서 유니트가 장착되는 삽입부를 그 일단에 갖는 케이스와, 상기 센서 유니트의 혈액 센서에 접속되는 전기 회로부와,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되어 레이저광을 출사하여, 피부를 천자하는 천자 수단을 구비하는 혈액 검사 장치와,
    상기 센서 유니트가 장착되는 삽입부를 그 일단에 갖는 케이스와, 상기 센서 유니트의 혈액 센서에 접속된 전기 회로부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 내에 천자 수단을 갖지 않는 혈액 검사 장치와,
    혈액 센서 유니트가 장착되는 삽입부를, 그 일단에 갖는 케이스와,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 천자침을 포함하는 바늘 유니트와, 상기 바늘 유니트의 천자침을 구동하여 피부를 천자시키는 천자 수단을 구비하는 혈액 검사 장치 중 어느 하나의 상기 삽입부에도 장착할 수 있는 센서 유니트.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유니트의 혈액 센서와 홀더는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센서 유 니트.
KR1020097007887A 2006-12-21 2007-12-21 혈액 센서와 이를 이용한 혈액 검사 장치 KR2009008928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344089 2006-12-21
JP2006344090 2006-12-21
JPJP-P-2006-344090 2006-12-21
JP2006344089 2006-12-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9284A true KR20090089284A (ko) 2009-08-21

Family

ID=39536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7887A KR20090089284A (ko) 2006-12-21 2007-12-21 혈액 센서와 이를 이용한 혈액 검사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00042016A1 (ko)
EP (1) EP2095767A4 (ko)
JP (1) JP5043863B2 (ko)
KR (1) KR20090089284A (ko)
WO (1) WO20080757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95200B2 (en) * 2007-07-31 2014-08-05 Panasonic Healthcare Co., Ltd. Piercing device and blood inspection device
US20100185118A1 (en) * 2007-09-04 2010-07-22 Panasonic Corporation Blood analysis device
US8529472B2 (en) 2007-09-04 2013-09-10 Panasonic Corporation Blood analysis device and blood analysis system using the same
US8755858B2 (en) * 2008-02-07 2014-06-17 Panasonic Corporation Blood sensor, blood testing device and blood analysis method
US8556812B2 (en) * 2008-03-10 2013-10-15 Panasonic Corporation Blood testing device
WO2010058796A1 (ja) * 2008-11-19 2010-05-27 株式会社根本杏林堂 漏出検出システム
WO2010067501A1 (ja) * 2008-12-09 2010-06-1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減圧機構、穿刺装置、血液分析装置及びセンサ装着機構
CN104887249A (zh) * 2014-03-03 2015-09-09 珠海柯诺医疗科技有限公司 激光采血分析仪
CN103932681B (zh) * 2014-04-13 2016-05-04 曹春杰 出血时间监测仪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27445A (en) * 1985-04-08 1986-12-09 Garid, Inc. Glucose medical monitoring system
US5636640A (en) * 1995-02-06 1997-06-10 Volunteers For Medical Engineering Liquid sampling and test apparatus
ES2121564B1 (es) * 1996-05-17 2001-02-01 Mercury Diagnostics Inc Metodos y aparatos para extraer fluido corporal desde una incision.
US6066243A (en) * 1997-07-22 2000-05-23 Diametrics Medical, Inc. Portable immediate response medical analyzer having multiple testing modules
JP3382853B2 (ja) * 1998-04-09 2003-03-0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体液検査装置
JP4166878B2 (ja) * 1998-10-15 2008-10-15 アークレイ株式会社 ランセット一体型体液測定装置に使用するバイオセンサ
JP2000232974A (ja) * 1999-02-15 2000-08-29 Arkray Inc 検体採取用具および穿刺デバイス
US6706159B2 (en) * 2000-03-02 2004-03-16 Diabetes Diagnostics Combined lancet and electrochemical analyte-testing apparatus
US6733493B2 (en) * 2000-11-16 2004-05-11 Innotech Usa, Inc. Laser skin perforator
WO2002100278A1 (en) * 2001-06-08 2002-12-19 Roche Diagnostics Gmbh Sampling devices and methods utilizing a horizontal capillary test strip
JP2003031316A (ja) * 2001-07-18 2003-01-31 Jst Mfg Co Ltd 誤嵌合防止コネクタ
CN101449978B (zh) * 2001-08-03 2010-12-01 爱科来株式会社 体液采集装置用安装体的制造方法
JP2005501591A (ja) * 2001-08-29 2005-01-20 エフ ホフマン−ラ ロッシュ アクチェン ゲゼルシャフト 体液をサンプリングする際に使用するための滲出方法および構造体
JP2003265444A (ja) * 2002-03-15 2003-09-24 Shimadzu Corp 生体計測装置
US20030223906A1 (en) * 2002-06-03 2003-12-04 Mcallister Devin Test strip container system
AU2003244015A1 (en) * 2002-07-01 2004-01-19 Terumo Kabushiki Kaisha Body fluid sampling device
WO2004004565A1 (ja) * 2002-07-02 2004-01-15 Arkray, Inc. 穿刺用ユニットおよび穿刺装置
US7833170B2 (en) * 2002-12-13 2010-11-16 Arkray, Inc. Needle-insertion device
JP2005000516A (ja) * 2003-06-13 2005-01-06 Nishitomo:Kk 採血装置および血糖値計
WO2004112613A1 (ja) * 2003-06-23 2004-12-29 Terumo Kabushiki Kaisha 体液採取具および体液採取方法
JP4425593B2 (ja) * 2003-09-26 2010-03-03 テルモ株式会社 穿刺器具および穿刺器具用光照射装置
US9101302B2 (en) * 2004-05-03 2015-08-11 Abbott Diabetes Care Inc. Analyte test device
JP2006344089A (ja) 2005-06-10 2006-12-21 Hitachi Ltd 複数san間のディスク配置の最適化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06344090A (ja) 2005-06-10 2006-12-21 Hitachi Ltd Sanディザスタリカバリシステム
JP4944802B2 (ja) * 2006-01-31 2012-06-0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血液センサとそれを有する血液検査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075768A1 (ja) 2008-06-26
JPWO2008075768A1 (ja) 2010-04-15
US20100042016A1 (en) 2010-02-18
JP5043863B2 (ja) 2012-10-10
EP2095767A4 (en) 2013-02-27
EP2095767A1 (en) 2009-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89284A (ko) 혈액 센서와 이를 이용한 혈액 검사 장치
JP4909987B2 (ja) 血液検査装置
JP5064400B2 (ja) 血液センサ、およびそれを含む血液検査装置
US8437828B2 (en) Blood inspection device
EP1328192B1 (en) Integrated sample testing meter
US8657762B2 (en) Blood test device
US20100324451A1 (en) Blood testing apparatus
JP4844251B2 (ja) 血液検査装置
JP5290973B2 (ja) 血液検査装置
JP4952078B2 (ja) 血液検査装置
JP5189161B2 (ja) 血液検査装置
CN101547642A (zh) 血液传感器以及使用该血液传感器的血液检查装置
AU2002244851A1 (en) Integrated sample testing meter
JP2009039203A (ja) 血液検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