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9245A -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of swing slide door - Google Patents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of swing slide do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9245A
KR20090089245A KR20080130078A KR20080130078A KR20090089245A KR 20090089245 A KR20090089245 A KR 20090089245A KR 20080130078 A KR20080130078 A KR 20080130078A KR 20080130078 A KR20080130078 A KR 20080130078A KR 20090089245 A KR20090089245 A KR 200900892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ng
rail
door
arm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8013007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999734B1 (en
Inventor
토루 아라오
토시아키 우치카타
마사아키 노다
토시오 시모자토
Original Assignee
미쯔비시 지도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가부시끼가이샤 안세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쯔비시 지도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가부시끼가이샤 안세이 filed Critical 미쯔비시 지도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89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924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97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973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6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slidable; fold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2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 E05D15/063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on wheels with fixed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54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Abstract

An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of swing slide door is provided to prevent fluctuation of rail by contact of first driven roller. An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of swing slide door includes a center of oscillation roller(Ro), a first driven roller(Rv), and a slide initial displacement allowable part. The center of oscillation roller is prepared in the shaking end of arm. The center of oscillation roller and the first driven roller are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of the rail(22). The first driven roller is located in the central line of the center of oscillation roller. When the door and arm displace, the first driven roller rotates around the center of oscillation roller. The slide initial displacement allowable part is formed in the rail.

Description

스윙 슬라이드 도어의 개폐 장치{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OF SWING SLIDE DOOR}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OF SWING SLIDE DOOR}

본 발명은, 차량의 측벽에 마련되는 승강구를 개폐하는 스윙 슬라이드 도어를 개폐 구동하는 스윙 슬라이드 도어의 개폐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a swing slide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wing slide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hatch provided on the side wall of the vehicle.

차량에 설치되어 있는 스윙 슬라이드 도어는, 승강구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로부터 후(後) 외방(外方)으로 돌출하도록 요동하고, 그 요동 위치로부터 더욱 후방으로 슬라이드 하여 승강구를 모두 개방하는 전(全)개방 위치에 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스윙 슬라이드 도어는 그 도어의 이동 위치를 규제할 수 있는 평행 링크를 이용하는 스윙 슬라이드 유닛에 의해 차체측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The swing slide door provided in the vehicle swings so as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closed position of closing the hatch, slides further backward from the swing position, and opens all the hatches. May reach an open position. Such a swing slide door is movably supported on the vehicle body side by a swing slide unit using a parallel link capable of regulating the movement position of the door.

또한, 이와 같은 스윙 슬라이드 유닛을 이용한 도어의 한 예가 일본 특개평10-175444호 공보(특허 문헌 1)나, 일본 특개2007-196925호 공보(특허 문헌 2)에 개시되어 있다.Moreover, an example of the door using such a swing slide unit is disclosed by Unexamined-Japanese-Patent No. 10-175444 (patent document 1), and Unexamined-Japanese-Patent No. 2007-196925 (patent document 2).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스윙 슬라이드 도어는 수동에 의해 개폐 조작되는 구 성을 채택하고, 특허 문헌 2에 개시된 스윙 슬라이드 도어는 모터를 구비한 개폐 구동 기구에 의해 개폐 조작되는 구성을 채택하고 있다.The swing slide door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adopts a configuration to be opened and closed manually, and the swing slide door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2 adopts a configuration to be opened and closed by an open / close drive mechanism provided with a motor.

여기서, 예를 들면,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개폐 구동 기구에 의해 개폐 조작되는 스윙 슬라이드 유닛(RU)의 경우, 평행 링크(200)와 도어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 암(201)과 이들을 요동시키는 개폐 구동 기구(203)를 구비한다. 평행 링크(200)는 차체측 브래킷(204)에 전후 추지단(樞支端)이 연결되고, 도어(204)측의 레일(205)에 끼워 장착하는 슬라이더(206)에 전후 요동단이 연결된 전후 한 쌍의 암(207, 208)을 구비한다. 개폐 구동 기구(203)는 차체측 브래킷(204)에 지지된 모터(209)와, 모터(209)에 구동되는 권취 드럼(210)과, 권취 드럼(210)에 감기, 되감기 가능하게 연결된 개방 케이블(211) 및 폐쇄 케이블(212)과, 개방 케이블(211)을 감아거는 복수의 풀리(213)와, 도어(204)측의 앞 케이블 멈춤(214)과, 도어측의 뒷 케이블 멈춤(216)과, 개폐 작동 케이블(211, 212)을 감아거는 복수의 풀리(215)를 구비한다.Here,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swing slide unit (RU) which is opened and closed by the opening / closing drive mechanism as shown in FIG. 15, the support arm 201 supporting the parallel link 200 and the door load and swinging them are made. The opening and closing drive mechanism 203 is provided. Front and rear pivot ends are connected to the vehicle body side bracket 204, and the front and rear swing ends are connected to the slider 206 fitted to the rail 205 on the door 204 side. It has a pair of arms 207 and 208. The opening and closing drive mechanism 203 is a motor 209 supported by the vehicle body side bracket 204, a winding drum 210 driven by the motor 209, and an open cable connected to the winding drum 210 so as to be wound and rewinded. 211 and the closing cable 212, the plurality of pulleys 213 winding the opening cable 211, the front cable stop 214 on the door 204 side, and the rear cable stop 216 on the door side And a plurality of pulleys 215 wound around the opening / closing operation cables 211 and 212.

여기서, 도어(204)가 폐쇄 위치(D1)에 있는 때에 권취 드럼(210)이 개방 케이블(211)을 감으면, 우선, 평행 링크상의 앞 암(207)이 복수의 풀리(213)에 가해지는 장력에 의해 돌출 위치(D2)를 향하여 요동하고, 도어(204) 내의 레일(205)에 끼워 장착하는 슬라이더(206)가 돌출 위치(D2)에 달한다. 또한, 개방 케이블(211)의 감김에 의해 앞 케이블 멈춤(214)이 개방 방향(도 15에서 좌측)으로 장력을 받음으로써, 돌출 위치(D2)에서 요동을 정지한 슬라이더(206)에 대해, 도어측의 레일(205)이 후방으로 활주하고, 도어(204)가 개방 위치(전개방 위치)(D3)로 이동한 다.Here, when the winding drum 210 winds up the opening cable 211 when the door 204 is in the closed position D1, first, the front arm 207 on the parallel link is applied to the plurality of pulleys 213. The slider 206 swings toward the protruding position D2 by the tension and is fitted to the rail 205 in the door 204 to reach the protruding position D2. Further, the front cable stop 214 is tensioned in the opening direction (left in FIG. 15) by the winding of the opening cable 211, so that the slider 206 has stopped swinging at the protruding position D2. The rail 205 on the side slides backward, and the door 204 moves to the open position (open position) D3.

역으로, 도어(204)가 전개방 위치(D3)에 있을 때에 권취 드럼(210)이 폐쇄 케이블(212)을 감으면, 뒷 케이블 멈춤(216)이 폐쇄 방향(도 15에서 우측)으로 장력을 받고, 슬라이더(206)에 대해. 도어(204) 및 레일(205)이 전방의 돌출 위치(D2)를 향하여 이동하고, 돌출 위치(D2)에서 슬라이더(206)에 대한 도어측의 레일(205)의 활주가 정지한다. 또한, 폐쇄 케이블(212)의 감김에 의해 평행 링크의 앞 암(207)상의 복수의 풀리(213)에 가해지는 장력에 의해 평행 링크가 요동하고, 돌출 위치(D2)로부터 폐쇄 위치(D1)측으로 슬라이더(206)와 함께 도어측의 레일(205)이 요동하고, 도어(204)가 폐쇄 위치(D1)에 달한다.Conversely, if the winding drum 210 winds up the closing cable 212 when the door 204 is in the deployed position D3, the rear cable stop 216 tensions in the closing direction (right in FIG. 15). To the slider 206. The door 204 and the rail 205 move toward the front protruding position D2, and the sliding of the rail 205 on the door side with respect to the slider 206 stops at the protruding position D2. In addition, the parallel link is oscillated by the tension applied to the plurality of pulleys 213 on the front arm 207 of the parallel link by winding the closing cable 212, and moves from the protruding position D2 to the closed position D1 side. The rail 205 on the door side swings with the slider 206, and the door 204 reaches the closed position D1.

이와 같이 병행 링크의 요동단에 추지축을 통하여 추지된 슬라이더(206)는 레일(205)과 함께 요동하고, 폐쇄 위치(D1)와 돌출 위치(D2) 사이에서 요동하고, 그 때에, 슬라이더(206)에 대해 도어측의 레일(205)이 상대적으로 활주 변위하면 요동 궤적으로부터 벗어난다. 이것을 막기 위해,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앞 암(207)에는 전(前) 추지축(b1)을 통하여 요동 중심 롤러(Ro)가 추지되고, 이 요동 중심 롤러(Ro)로부터 소정량 떨어진 위치에 요동 변위 롤러(Rv)가 추지된다. In this way, the slider 206, which is held at the swing end of the parallel link via the holding shaft, swings with the rail 205, swings between the closed position D1 and the protruding position D2, and at that time, the slider 206 When the rail 205 on the door side is slid relative to the door, it is released from the swing trajectory. In order to prevent this, as shown in FIG. 16, the front center | wheel 207 is oscillated by the oscillation center roller Ro through the front tracking axis b1, and is separated from the oscillation center roller Ro by predetermined amount. The swing displacement roller Rv is held at the position.

여기서, 전 추지축(b1)에 추지된 요동 중심 롤러(Ro)가 레일(205)측에 형성된 요동 중심 규제벽(wo)에 맞닿음과 함께, 요동 변위 롤러(Rv)가 요동 만곡 레일 홈(rr)에 따라 굴림대 이동함으로써, 폐쇄 위치(D1)와 돌출 위치(D2)의 사이에서의 요동시에, 도어측의 레일(205)이 차체 전후 방향(X)인 도어 폐쇄 방향이나 도어 개방 방향으로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도어측의 요동 변위시의 궤적을 규제 하도록 하고 있다.Here, the rocking center roller Ro, which is held on the front axis (b1), is in contact with the rocking center restriction wall wo formed on the rail 205 side, and the rocking displacement roller Rv is the rocking curve rail groove ( By moving the roller according to rr), at the time of swinging between the closed position D1 and the protruding position D2, the rail 205 on the door side is in the door closing direction or door opening direction in which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X of the vehicle body The shift can be prevented and the trajectory at the time of swinging displacement on the door side is regulated.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2003-320964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3-320964

특허 문헌 2 : 일본 특개2007-196925호 공보Patent Document 2: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7-196925

그런데,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폐쇄 위치(D1)와 돌출 위치(D2)의 사이에서의 요동시에 있어서, 요동 중심(中心) 롤러(Ro)를 중심(中心)으로 앞 암(207)측이 도어측의 레일(205)에 대해 상대적으로 요동하고, 그 돌출 위치(D2)에 달할 때까지는 요동 중심 롤러(Ro)를 중심으로 요동 변위 롤러(Rv)가 요동 만곡 레일(rr)에 따라 굴림대 이동한다. 그리고 돌출 위치(D2)에 달하면 요동 변위 롤러(Rv)가 요동 만곡 레일(rr)을 벗어나, 거의 90도의 방향 변환을 하여 전후 방향(X)으로 길다란 직선형상 레일 홈(sr)에 달한다. 그리고 나서 돌출 위치(D2)와 전개방 위치(D3) 사이의 활주역(域)에 달하면, 앞 암(207)을 포함하는 병행 링크의 요동단의 슬라이더(206)측이 돌출 위치(D2)에 정지하고, 상대적으로 레일측의 직선형상 레일 홈(sr)이 요동 중심 롤러(Ro) 및 요동 변위 롤러에 대해 상대적으로 활주한다.By the way, as shown in FIG. 16, at the time of rocking | fluctuation between the closed position D1 and the protrusion position D2, the front arm 207 side centering on the rocking | fluctuation center roller Ro in the center. It swings relatively with respect to the rail 205 of this door side, and rocking displacement roller Rv rolls along rocking curve rail rr centering on rocking center roller Ro until it reaches the protrusion position D2. Go. Then, when reaching the protruding position D2, the swing displacement roller Rv leaves the swing curved rail rr, converts in a direction of approximately 90 degrees, and reaches a long straight rail groove sr in the front-rear direction X. Then, when the slide range between the protruding position D2 and the deploying position D3 is reached, the slider 206 side of the swing end of the parallel link including the front arm 207 is positioned at the protruding position D2. It stops, and the linear rail groove | channel sr of the rail side relatively slides with respect to the swing center roller Ro and the swing displacement roller.

이와 같이 돌출 위치(D2)에서, 요동 변위 롤러(Rv)는 요동 만곡 레일(rr)에 따라 굴림대 이동하고 있을 때의 방향과 직선형상 레일 홈(sr)에 따라 전개방 위치(D3)를 향하는 굴림대 이동시의 방향이 90도 전환하여, 개폐 구동 기구(203)가 받는 전개방 위치(D3)의 방향에 대한 구동 저항력(p1)은 크게 전환된다. 즉, 개폐 구동 기구(203)는 요동 후기의 구동 저항력의 급증에 대처하기 위해 전환 구동력을 비교적 크게 유지할 필요가 있다. 게다가, 요동 후기로부터 활주 초기로의 전환에 있어서의 구동 저항력의 급변에 의해 개폐 구동 기구(203)가 가하고 있는 구동력이 전환 쇼크를 생기게 하기 쉽다는 문제가 있다.In this way, in the protruding position D2, the swing displacement roller Rv is directed toward the deployed position D3 along the direction when the roller is moving along the swing curved rail rr and the linear rail groove sr. The direction at the time of a roller stand movement is switched 90 degree | times, and the drive resistance force p1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of the deployment direction position D3 which the open / close drive mechanism 203 receives is largely switched. That is, the open / close drive mechanism 203 needs to keep the switching drive force relatively large in order to cope with the sudden increase in the drive resistance force in the later swinging motion.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riving force applied by the opening / closing drive mechanism 203 tends to cause the switching shock due to the sudden change in the driving resistance force in the transition from the late swing to the initial stage of the slide.

역으로, 레일(205)측의 직선형상 레일 홈(sr)에 따라 요동 중심 롤러(Ro) 및 요동 변위 롤러(Rv)가 상대적으로 활주하여, 전개방 위치(D3)로부터 폐쇄 위치(D1)를 향한다고 한다.Conversely, the swing center roller Ro and the swing displacement roller Rv relatively slide along the straight rail groove sr on the rail 205 side, and the closed position D1 is moved from the deployed position D3. It is said to head.

이 경우, 활주 후기에 돌출 위치(D2)에 달하면 요동 중심 롤러(Ro)가 요동 중심 규제벽(wo)에 맞닿고, 동 요동 중심 롤러(Ro)를 중심으로 요동 변위 롤러(Rv)가 요동 만곡 레일(rr)에 따라 굴림대 이동하고, 앞 암(207)을 포함하는 병행 링크측이 도어측의 레일(205)에 대해 상대적으로 요동한다.In this case, when reaching the protruding position D2 at the end of the slide, the swinging center roller Ro abuts against the swinging center restricting wall wo, and the swinging displacement roller Rv is curved around the swinging centering roller Ro. The roller moves along the rail rr, and the parallel link side including the front arm 207 swings relative to the rail 205 on the door side.

이와 같이 도어측의 레일이 돌출 위치(D2)에 달하면 그 직후에 동 요동 중심 롤러(Ro)를 중심으로 요동 변위 롤러(Rv)가 이동 방향을 90도 전환하여 요동 만곡 레일(rr)에 돌입하고 동 레일에 따라 굴림대 이동하고, 즉, 앞 암(207)을 포함하는 병행 링크측이 도어측의 레일(205)에 대해 상대적으로 요동한다. 이 경우, 개폐 구동 기구(203)는 도어측의 레일(205)이 앞 암(207)에 대한 활주 종료 후에 레일(205)에 대해 암(207)측이 요동을 시작한다는 전환을 행하기 때문에, 활주 후기로부터 요동 초기로의 급격한 전환에 대처하기 위해 전환 구동력(F1)을 비교적 크게 유지할 필요가 있다. 게다가, 전환에 있어서의 구동 저항력(p1)의 급변에 의해 개폐 구동 기구(203)가 가하고 있는 구동력(F1)에 수반하는 전환 쇼크가 생기기 쉽다는 문제가 있다.In this way, when the rail on the door side reaches the protruding position D2, immediately after that, the swing displacement roller Rv shifts the moving direction by 90 degrees about the swing pivot center roller Ro and enters the swing curved rail rr. The roller moves along the copper rail, i.e., the parallel link side including the front arm 207 swings relative to the rail 205 on the door side. In this case, since the open / close drive mechanism 203 switches that the rail 205 on the door side starts swinging with respect to the rail 205 after the end of the slide with respect to the front arm 207, In order to cope with the sudden change from the late slide to the initial swing, it is necessary to keep the change driving force F1 relatively large.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a switching shock accompanying the driving force F1 applied by the opening and closing drive mechanism 203 is likely to occur due to the sudden change of the driving resistance force p1 in the switching.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과제에 의거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목적으로 하는 점은, 병행 링크측에 지지된 슬라이더와 도어측의 레일의 상대적 활주나, 도어의 레 일측에 지지된 슬라이더와 병행 링크측과의 상대적인 요동을, 도어 개폐마다 전환하는 스윙 슬라이드 도어의 개폐 장치에 있어서, 요동 후기로부터 활주 초기로의 전환에 있어서의 구동 저항력의 급변이나, 활주 후기로부터 요동 초기로의 급격한 전환에 수반하는 전환 구동력의 증가를 막아서, 쇼크의 발생을 저감할 수 있는 스윙 슬라이드 도어의 개폐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based on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lative slide between a slider supported on a parallel link side and a rail on a door side, and a slider and a parallel link side supported on a rail side of a door. In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he swing slide door for switching the relative swing for each door opening and closing, the change of the driving force accompanying the sudden change of the driving resistance force in the transition from the late swing to the beginning of the slide and the sudden change from the late swing to the swing initial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a swing slide door that can prevent an increase and reduce the occurrence of shock.

청구항 제 1항에 관한 발명은, 차체 전후 방향으로 길다란 레일을 일체적으로 부착한 스윙 슬라이드하는 도어와, 상기 차체의 고정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레일에 활주 자유롭게 끼워 장착하는 슬라이더에 요동단이 추지된 암과, 상기 암의 요동 및 상기 슬라이더에 대한 상기 레일의 활주에 의해, 상기 도어를 도어 개구를 닫는 폐쇄 위치와 동 위치로부터 차체 외측 후방으로 요동시킨 돌출 위치와 동 돌출 위치로부터 차체 후방의 전개방 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스윙 슬라이드 도어의 개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암의 요동단측에 마련되고, 상기 레일에 형성된 가이드 홈에 활주 가능하게 끼워 맞춤과 함께 상기 도어와 상기 암이 요동 변위할 때에 요동 중심이 되는 요동 중심 롤러와, 상기 암의 상기 요동 중심 롤러의 중심선에 대해 소정량 떨어진 위치에 마련되고, 상기 레일에 형성된 가이드 홈에 활주 가능하게 끼워 맞춤과 함께 상기 도어와 상기 암이 요동 변위할 때에 상기 요동 중심 롤러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 방향으로 회동하는 제 1 종동(從動) 롤러와, 상기 레일에 형성됨과 함께 상기 암 및 레일이 상기 돌출 위치 부근의 돌출 전(前) 요동 역(域)에서 요동할 때 상기 제 1 종동 롤러와 접촉함으로써 상기 레일의 전개방 위치 방향으로의 활주 변위의 증가를 서서히 허용하는 활주 초기 변위 허용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wing sliding door in which a long rail is integrally attached to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a vehicle body, and a swing end is connected to a slider connected to a fixing member of the vehicle body and slidably fitted to the rail. The front of the vehicle body from the protruding position and the protruding position in which the door is swinged from the closed position and the same position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body by the arm and the swinging of the arm and the sliding of the rail with respect to the slider. In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he swing slide door to move between the open position, the swing slide door is provided on the swing end side of the arm, and when the door and the arm swing and shift together with a slidably fit in a guide groove formed in the rail. A predetermined amount away from the pivot center roller serving as the pivot center and a centerline of the pivot center roller of the arm; A first driven roller provided at a position and slidably fitted in a guide groove formed in the rail and rotating in a rotational direction about the pivot center roller when the door and the arm swing and shift; And a slide in the deployed direction position of the rail by contacting the first driven roller when the arm and the rail are formed in the rail and the arm and the rail swing at a pre-swing swing position near the protruding position. And a slide initial displacement allowance which allows the increase of the displacement gradually.

청구항 제 2항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 제 1항에 기재된 스윙 슬라이드 도어의 개폐 장치에 있어서, 상기 활주 초기 변위 허용부는, 상기 레일의 단부에 마련되는 가이드 홈의 벽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2 is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he swing slide doo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lide initial displacement allowable portion is a wall portion of a guide groove provided at an end of the rail.

청구항 3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 제 1항 또는 제 2항에 기재된 스윙 슬라이드 도어의 개폐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한쪽의 암에 추지됨과 함께 상기 요동 중심 롤러의 중심선(中心線)에 대해 소정량 떨어져서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레일에 대해 활주 가능하게 접촉함과 함께 상기 도어와 상기 암이 요동 변위할 때에 상기 요동 중심 롤러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 방향으로 회동하는 제 2 종동 롤러와, 상기 암에 대해 레일이 상기 전개방 위치측으로부터 돌출 위치에 접근한 때에 상기 제 2 종동 롤러가 접촉함으로써 상기 암의 상기 레일에 대한 요동 변위의 증가를 서서히 가져오는 상기 레일에 형성된 요동 초기 변위 허용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3, in the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of the swing slide door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arm is detected by the one arm and rotates by a predetermined amount away from the center line of the swing center roller. A second driven roller which is provided so as to be slidably in contact with the rail and that rotates in a rotational direction about the pivot center roller when the door and the arm swing and displace, and a rail with respect to the arm. And a swing initial displacement allowance formed in the rail which gradually increases the swing displacement of the arm with respect to the rail by contacting the second driven roller when approaching the projected position from the deploying position position side. do.

청구항 제 4항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 제 3항에 기재된 스윙 슬라이드 도어의 개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요동 초기 변위 허용부는, 상기 레일의 외측면에 마련되는 측벽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four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of a swing slide door according to claim 3, the swing initial displacement allowable portion is a side wall portion provid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rail.

청구항 제 5항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 제 1항 또는 제 2항에 기재된 스윙 슬라이드 도어의 개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레일의 단부에 상기 도어와 상기 암이 요 동 변위할 때에 상기 요동 중심 롤러가 맞닿는 요동 중심 규제벽을 마련하고, 상기 요동 중심 규제벽에 요동 중심 롤러가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암이 요동할 때에 상기 레일에 형성된 개방 어긋남 만곡벽과 접촉함으로써 상기 레일의 도어 개방 방향으로 어긋남을 저지하는 요동 변위 롤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5 is the swing slid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swing center roller is in contact with an end of the rail when the door and the arm swing and displace. A swing that provides a swing center regulating wall and prevents a shift in the door opening direction of the rail by contacting an open shift curved wall formed in the rail when the arm swings while the swing center roller is in contact with the swing center regulating wall. And a displacement roller.

청구항 제 1항의 발명은, 암 및 레일이 돌출 위치 부근의 돌출 전 요동역에 있을 때 활주 초기 변위 허용부에 제 1 종동 롤러가 접촉하기 때문에, 암 및 레일의 요동 종료 바로 직전에 암에 대한 레일의 활주 시작을 허용할 수 있고, 레일의 요동으로부터 활주로의 전환을 연속적으로 스무스하게 행할 수 있어, 요동 후기로부터 활주 초기로의 전환에 수반하는 급격한 구동 저항력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고, 전환 구동력의 급변에 수반하는 쇼크의 발생도 저감할 수 있다.The invention of claim 1 is that the first driven roller contacts the sliding initial displacement allowance when the arm and the rail are in the swing zone before the protrusion near the protrusion position, so that the rail against the arm is immediately before the end of the swing of the arm and the rail. It is possible to allow the start of the run of the rail, and smoothly switch the runway from the swing of the rail to the run smoothly, and to suppress the sudden increase in the driving resistance accompanying the switch from the end of the swing to the beginning of the run, The occurrence of shock accompanying a sudden change can also be reduced.

청구항 제 2항의 발명은, 활주 초기 변위 허용부를 레일의 가이드 홈의 벽부로 함으로써, 비용 저감과 컴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st reduction and compactness can be achieved by using the slide initial displacement allowable portion as the wall portion of the guide groove of the rail.

청구항 3항의 발명은, 암의 요동 중심 롤러에 대해 가이드 홈을 끼워 맞춘 레일이 전개방 위치측으로부터 돌출 위치로 접근한 때에 제 2 종동 롤러가 요동 초기 변위 허용부에 접촉하기 때문에, 암에 대한 레일의 활주 종료 바로 직전에 레일에 대한 암의 요동 시작을 허용할 수 있고, 암의 요동으로의 전환을 연속적으로 스무스하게 행할 수 있어, 활주 후기로부터 요동 초기로의 전환에 수반하는 급격한 구동 저항력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고, 전환 구동력의 급변에 수반하는 쇼크의 발 생도 저감할 수 있다.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3, since the second driven roller contacts the swing initial displacement allowance when the rail in which the guide groove is fitted with respect to the swing center roller of the arm approaches the protruding position from the deployment position position side, the rail relative to the arm. Immediately before the end of the slide, the arm can be started to swing against the rail, and the arm can be smoothly changed to the swing, and the sudden increase in driving resistance accompanying the transition from the end of the swing to the beginning of the swing is achieved. Can be prevented, and the occurrence of shock accompanying a sudden change in the switching driving force can be reduced.

청구항 제 4항의 발명은, 요동 초기 변위 허용부를 레일의 외측면의 측벽부로 함으로써, 비용 저감과 컴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four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st reduction and compactness can be achieved by using the swing initial displacement allowable portion as a side wall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rail.

청구항 5항의 발명은, 요동 중심 규제벽에 요동 중심 롤러가 맞닿음으로써 레일의 도어 폐쇄 방향으로 어긋남을 저지하고, 개방 어긋남 규제벽에 요동 변위 롤러가 굴림대 접촉하여 레일의 도어 개방 방향으로의 어긋남을 저지할 수 있어, 보다 확실하게 암 및 레일이 전후 방향의 어긋남 없이 동요할 수 있고, 확실하게 폐쇄 위치에 레일측의 도어를 이동하여 도어 개구를 폐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claim 5, the swinging center roller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winging center regulating wall to prevent a shift in the door closing direction of the rail, and the swinging displacement roller is in contact with the rolling shifting restraining wall, and the rail is shifted in the door opening direction. The arm and rail can be shaken more reliably without shifting in the front-back direction, and the door on the rail side can be reliably moved to the closed position to close the door opening.

도 1에는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로서의 스윙 슬라이드 도어의 개폐 장치를 도시하였다. 이 스윙 슬라이드 도어(이후 단지 '리어 도어'라고 기재한다)(4)는 4도어의 해치백 타입의 자동차(이후 단지 '차량'이라고 기재한다)(B)의 리어 도어를 이루고 있다.1, the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of the swing slide door as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This swing slide door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rear door') 4 constitutes the rear door of a four-door hatchback type automobile (hereinafter only referred to as a 'vehicle') B. FIG.

차량(B)은 좌우의 각 전(前)승강구(1)를 개폐하는 프런트 도어(2)와, 좌우의 각 후(後)승강구(3)를 개폐한 리어 도어(4)를 구비한다. 각 프런트 도어(2)는 전단 상하 2개소(h1, h2)가 힌지 결합되고, 회동단이 센터 필러(5)의 상하 중간의 후(後) 로크부(Jf)에 도시하지 않은 래치와 스트라이커를 이용하여 이탈 가능하게 로크된다.The vehicle B is provided with the front door 2 which opens and closes the front and rear hatches 1 on the left and right sides, and the rear door 4 which opens and closes the rear hatches 3 on the left and right sides. Each of the front doors 2 is hinged at the two top and bottom ends h1 and h2, and the pivoting end is provided with a latch and a striker not shown in the rear lock part Jf in the upper and lower middle of the center pillar 5. Locks detachably.

한편, 리어 도어(4)는 후술하는 스윙 슬라이드 유닛(U)에 지지되고, 후승강 구(3)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D1)와, 폐쇄 위치(D1)로부터 차밖으로 돌출한 돌출 위치(돌출 위치)(D2)와, 돌출 위치(D2)로부터 후방으로 이동한 전(全)개방 위치(D3)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폐쇄 위치(D1)에서 리어 도어(4)는 그 전단 상하 로크부(J1, J2)가 도시하지 않은 전동 기기인 파워 래치와 스트라이커를 이용하여 센터 필러(5)에 2점 위치에서 이탈 가능하게 로크되고, 후단 상하 중간의 후단 로크부(J3)가 도시하지 않은 전동 기기인 파워 래치와 스트라이커를 이용하여 리어 필러(60)에 이탈 가능하게 로크된다.On the other hand, the rear door 4 is supported by the swing slide unit U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the closed position D1 for closing the rear lifting hole 3 and the protruding position (protrusion) protruding out of the vehicle from the closed position D1. Position) D2 and all the open positions D3 moved backward from the protruding position D2. In the closed position D1, the rear door 4 is lockably detachable from the two-point position to the center pillar 5 by using a power latch and a striker, which are electric devices whose front and bottom lock portions J1 and J2 are not shown. Then, the rear end lock portion J3 of the rear end up and down is locked to the rear pillar 60 using a power latch and a striker, which are not shown, so as to be detachable.

리어 도어(4)의 외주연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웨더 스트립이 부착되고, 이 웨더 스트립에 의해 리어 도어(4)가 폐쇄 위치(D1)에 지지된 때에, 후승강구(3)의 주연 벽면에 대해 치밀하게 압접할 수 있고, 실성(seal性)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A weather strip (not shown) is attach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rear door 4, and when the rear door 4 is supported in the closed position D1 by the weather strip, it is tight to the circumferential wall surface of the reclining steel ball 3. It can be crimped easily, and the seal is secured.

도 1, 2,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어 도어(4)의 도어 개폐 장치의 주요부를 이루는 스윙 슬라이드 유닛(U)은 차체의 후승강구(3)에 따라 배치된 리어 필러(60)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에서의 중간부 부근에 부착된다.1, 2, and 3, the swing slide unit U which forms the main part of the door opening / closing apparatus of the rear door 4 is in the rear pillar 60 arrange | positioned along the rear lifting hole 3 of a vehicle body. It is attached near the middle part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of.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어 필러(60)는 차체의 뒷 부분의 아우터 패널(쿼터 패널)(60b)의 전단부분과 그 차내측의 이너 패널(29)(도 7 참조)의 전단부분과, 도시하지 않은 보강재로 형성된다. 리어 필러(60)의 상하 방향에서의 중간부 부근에는, 평평한 종벽(縱壁)을 이루는 이너 패널(29)과 이너 패널(29)의 차외측에 접합된 아우터 패널(60b)을 서로 용착시켜서 이루어지는 후승강구(3)의 주연부인 세로 플랜지부(f1)가 형성된다.As shown in Fig. 3, the rear pillar 60 includes a front end portion of the outer panel (quarter panel) 60b of the rear portion of the vehicle body and a front end portion of the inner panel 29 (see Fig. 7) of the vehicle inner side thereof. It is formed of a reinforcing material, not shown. In the vicinity of the middle por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rear pillar 60, the inner panel 29 forming a flat vertical wall and the outer panel 60b bonded to the vehicle outer side of the inner panel 29 are welded to each other. The longitudinal flange part f1 which is the periphery of the trailing steel ball 3 is formed.

도 1, 3,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방 세로 플랜지부(f1)의 일부에 겹치도록 부착오목부(T)가 형성된다. 이 부착오목부(T)는 차외측(도 1로 앞쪽측)을 향하여 개구하도록 형성되고, 후단 로크부(J3)의 하방에 위치하고, 상술한 도어 개폐 장치의 주요부를 이루는 스윙 슬라이드 유닛(U)을 부착 가능하게 형성된다.As shown in Figs. 1, 3 and 7, the attachment recess T is formed so as to overlap a part of the rear longitudinal flange portion f1. The attachment recess T is formed to open toward the outside of the vehicle (front side in FIG. 1), is located below the rear lock portion J3, and forms the main portion of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U as described above. It is formed to be attachable.

도 3, 4,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체의 부착오목부(T)의 저벽(601)에는 스윙 슬라이드 유닛(U)의 베이스부(基部)인 베이스 부재(15)가 고착된다. 베이스 부재(15)는 차체측벽의 고정부재를 이루고 있고, 평행 링크(16)와, 도어 하중 지지 암(18)과, 리어 도어(4)의 개폐 구동원을 갖는 개폐 구동 기구(19)의 케이블 엔드(Poe, Pce)(도 3, 7 참조) 및 후술하는 복수의 중간 롤러(r)가 마련된다.As shown in FIG. 3, 4, 7, the base member 15 which is a base part of the swing slide unit U is fixed to the bottom wall 601 of the attachment recessed part T of a vehicle body. The base member 15 forms a fixing member of the vehicle body side wall, and has a cable end of the opening / closing drive mechanism 19 having a parallel link 16, a door load supporting arm 18, and an opening and closing drive source of the rear door 4. (Poe, Pce) (refer FIG. 3, 7) and the some intermediate roller r mentioned later are provided.

또한, 개폐 구동 기구(19)의 차체측부재에 연동하는 부재가 리어 도어(4)측에 배치된다. 즉,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어 도어(4)측에는 개폐 구동 기구(19)의 구동원(M)을 이루는 모터(101) 및 권취 드럼(46)과 복수의 롤러(Po1, Pc1, Po2, Pc2)(도 5, 6, 7 참조)가 배치된다.Moreover, the member which interlocks with the vehicle body side member of the opening-closing drive mechanism 19 is arrange | positioned at the rear door 4 side. That is, as shown in FIG. 1, on the rear door 4 side, the motor 101 and the winding drum 46 which comprise the drive source M of the opening-closing drive mechanism 19, the some rollers Po1, Pc1, Po2, Pc2) (see FIGS. 5, 6, and 7) are disposed.

도 3 내지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15)는 강성을 유지한 형상을 가지며, 전후 한 쌍의 평행 링크(16)를 추지하는 하부 부착부(151)와 그보다 상방으로 늘어나고 도어 하중 지지 암(18)을 추지하는 상부 종주부(縱柱部)(152)를 구비한다. 하부 부착부(151)는 전후 한 쌍의 평행 링크(16)를 추지하는 횡방향 플랜지부(15a)와 그 횡방향 플랜지부(15a)를 보강하도록 용착되고 하방으로 비스듬히 늘어나는 하방 경사부(15b)와, 하방 경사부(15b)로부터 굴곡하여 연장하여 나오고, 부착오목부(T)의 일부를 이루는 전방향 단형상부(601)에 볼트 고정되는 체결 플랜 지(15c)를 구비한다.As shown in Figs. 3 to 7, the base member 15 has a shape that maintains rigidity, and extends upwardly with the lower attachment portion 151 for deciding the front and rear pairs of parallel links 16, and supports the door load. The upper longitudinal part 152 which carries out the arm 18 is provided. The lower attachment portion 151 is welded to reinforce the transverse flange portion 15a and the transverse flange portion 15a for pulling the front and rear pair of parallel links 16, and the downward inclined portion 15b extending obliquely downward. And a fastening flange 15c which is bent and extended from the lower inclined portion 15b and bolted to the omni-directional end portion 601 forming part of the attachment recess T. As shown in FIG.

상부 종주부(152)는 도어 하중 지지 암(18)의 기단을 세로 핀(43)을 통하여 추지하는 기단 보스부(41)를 구비한다. 기단 보스부(41)의 일측에는 ㄷ자형 체결 브래킷(53)(도 3 참조)이 겹치고, 상호 간에 볼트 고정된다. 또한,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ㄷ자형 체결 브래킷(53)은 기단으로부터 떨어져서 연장하여 나오는 종벽면이 부착오목부(T)의 종벽에 겹치고, 양 부재가 도시하지 않은 볼트에 의해 고정된다.The upper longitudinal section 152 has a proximal boss portion 41 for protruding the proximal end of the door load supporting arm 18 through the longitudinal pin 43. One side of the proximal boss portion 41 overlaps the U-shaped fastening bracket 53 (see FIG. 3) and is bolted to each other. In addition, as shown in FIG. 4, in the U-shaped fastening bracket 53, the vertical wall surface extending away from the proximal end overlaps the vertical wall of the attachment recess T, and both members are fixed by bolts not shown.

도 3, 도 6,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평행 링크(16)는 요동하는 리어 도어(4)의 개폐 이동 궤적이나 각 위치를 위치 결정하는 기능을 구비한다.As shown in FIG. 3, FIG. 6, and FIG. 7, the parallel link 16 has a function which positions the opening / closing movement trace of each swinging rear door 4, and each position.

평행 링크(16)의 앞 암(31) 및 뒷 암(32)의 전후연결 핀(246, 245)은 슬라이더(24)의 전후단 근방과 각각 핀 결합된다. 앞 암(31) 및 뒷 암(32)은 전후 및 상하에 소정 간격을 유지한 채로 요동할 수 있고, 양 암 상호의 간섭을 방지하도록 형성된다.Front and rear connecting pins 246 and 245 of the front arm 31 and rear arm 32 of the parallel link 16 are respectively pinned with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slider 24. The front arm 31 and the rear arm 32 can swing while maintaining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front and rear and up and down, and are formed to prevent interference between both arms.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어 도어(4)의 이너 패널(402)에는 도어 지지 레일(22)이 부착 브래킷(35)을 통하여 일체 결합되어 있고, 이 도어 지지 레일(22)의 레일 홈(33)에 슬라이더(24)가 끼워 장착된다. 또한, 부착 브래킷(35)은 이너 패널(402)의 내벽의 중앙 주요부를 덮는 형상의 굴곡 판재이고, 도어 중심(重心) 위치 부근에 후술하는 도어측 추지부(37)를 일체적으로 부착하고 있다.As shown in FIG. 3, the door support rail 22 is integrally coupled to the inner panel 402 of the rear door 4 via an attachment bracket 35, and the rail groove ( The slider 24 is fitted to 33. Moreover, the attachment bracket 35 is a curved board | plate material of the shape which covers the center main part of the inner wall of the inner panel 402, and integrally attaches the door side detection part 37 mentioned later near the door center position. .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어 도어(4)의 아우터 패널(401)과 도어 내 공간을 통하여 배치되는 이너 패널(402)은 서로의 전후 및 하부의 외주연부가 상호 일체 접합 처리되고, 또한, 양 패널의 상방 주연부 사이에는 개구가 형성된다. 이 개구는, 도시하지 않은 도어 유리의 승강 작동역 및 그 지지 부재의 새시(55)를 장착 가능하도록 형성된다.As shown in FIG. 3, the outer panel 401 of the rear door 4 and the inner panel 402 disposed through the space inside the door are integrally bonded to each other at the front and rear ends of each other, An opening is formed between the upper peripheral edges of both panels. This opening is formed so that the lifting operation area | region of the door glass which is not shown in figure and the chassis 55 of the support member can be mountable.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어 도어(4)의 이너 패널(402)의 차내측면은 트림(80)에 의해 덮인다. 트림(80)은 평행 링크(16)의 앞뒤 암(31, 32)을 끼워 삽입하는(嵌揷) 슬릿(81)이 형성되고, 전체는 이너 패널(402)에 도시하지 않은 계지 수단으로 계지된다.As shown in FIG. 2, the vehicle interior side surface of the inner panel 402 of the rear door 4 is covered by the trim 80. The trim 80 is formed with slits 81 into which the front and rear arms 31 and 32 of the parallel link 16 are inserted, and the whole is latched by the locking means not shown in the inner panel 402. .

도 1, 3, 4,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평행 링크(16)의 상방에는 도어 하중 지지 암(18)이 마련된다. 도어 하중 지지 암(18)은 차체측에 추지된 베이스 부재(15)의 상부의 상부 종주부(152)에 형성된 기단 보스부(41)에 제 1 세로 핀(43)을 통하여 제 1 지지 암(44)의 기단부(441)가 추지된다. 제 1 지지 암(44)의 회동단에는 제 2 세로 핀(62)을 통하여 제 2 지지 암(61)의 기단부(611)가 추지되고, 그 타단인 요동단(612)이 리어 도어(4)의 중심(重心) 위치 부근의 도어측 추지부(37)를 제 3 세로 핀(36)을 통하여 추지하고 있다.As shown in FIG. 1, 3, 4, 6, the door load support arm 18 is provided above the parallel link 16. As shown in FIG. The door load supporting arm 18 is connected to the base end boss portion 41 formed on the upper vertical circumferential portion 152 of the base member 15 held on the vehicle body side via the first support pin 43. A proximal end 441 of 44 is detected. The proximal end 611 of the second support arm 61 is held at the rotational end of the first support arm 44 via the second longitudinal pin 62, and the swing end 612, the other end thereof, is the rear door 4. The door-side detecting portion 37 near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center is detected via the third vertical pin 36.

이와 같은 도어 하중 지지 암(18)을 이루는 제 1 지지 암(44)과 제 2 지지 암(61)은 세로로 길다란 단면(斷面)의 바형상 부재로서 강성재(剛性材)로 형성된다. 이로써, 도어 하중 지지 암(18)은 상하 방향의 도어 하중을 받아도 변형을 억제하고, 리어 도어(4)의 중심부(重心部)의 하중을 항상 베이스 부재(15)에 전달할 수 있다. 이 때,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어 하중 지지 암(18)은 리어 도어(4)가 폐쇄 위치(D1)로부터 돌출 위치(D2), 전개방 위치(D3)로 도어 개폐 궤적에 따라 이동하는 어느 위치에서도 리어 도어(4)의 도어 하중을 확실하게 지지하고, 리어 도어(4)의 기울어짐을 규제할 수 있다.The 1st support arm 44 and the 2nd support arm 61 which comprise such a door load support arm 18 are formed of a rigid material as a bar-shaped member of a longitudinally long cross section. Thereby, the door load support arm 18 can suppress deformation even when receiving the door load in the up-down direction, and can always transmit the load of the central part of the rear door 4 to the base member 15. At this time, as shown in FIGS. 9 to 11, the door load supporting arm 18 has a door opening / closing trajectory from the rear door 4 to the protruding position D2 and the deployment direction position D3 from the closed position D1. The door load of the rear door 4 can be reliably supported, and the inclination of the rear door 4 can be regulated at any position which moves according to this.

이와 같은 도어 하중 지지 암(18)에는, 와이어 하네스(20)의 주요부가 지지된다. 즉, 도 9에 2점쇄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와이어 하네스(20)는 리어 도어(4) 내의 전장 기기, 예를 들면, 개폐 구동 기구(19)의 구동원(M)을 이루는 모터(101), 도시하지 않은 전동 윈도우 레귤레이터, 전, 후단 로크부(J1, J2, J3)의 파워 래치(6, 8)나, 도시하지 않은 래치 센서 및 컨트롤러(30) 등의 각 배선을 묶어서 와이어 하네스(20)를 형성하고, 그 와이어 하네스(20)를 차체측의 전원(도시 생략) 및 메인 컨트롤러(300)에 연결한다. 와이어 하네스(20)는 차체측으로부터 연장하여 나와, 도어 하중 지지 암(18)의 기단부(441), 제 1 지지 암(44), 제 2 지지 암(61), 요동단(612), 도어측 추지부(37)의 각 측벽에 도시하지 않은 수지 등으로 형성된 클립을 이용하여 순차로 체결되고, 리어 도어(4)의 내부 공간측에 달하여, 제어 기기인 컨트롤러(30) 등에 접속되어 있다.The main part of the wire harness 20 is supported by such a door load supporting arm 18. That is, as shown by the dashed-dotted line in FIG. 9, the wire harness 20 comprises the motor 101 which forms the drive source M of the electric equipment in the rear door 4, for example, the opening-closing drive mechanism 19. As shown in FIG. Wire harness (20) such as the electric window regulator (not shown), the power latches (6, 8) of the front and rear lock parts (J1, J2, J3), the latch sensor and controller (30) (not shown), and the like. ), And the wire harness 20 is connected to a power source (not shown) and the main controller 300 on the vehicle body side. The wire harness 20 extends from the vehicle body side, and the base end 441, the first support arm 44, the second support arm 61, the swing end 612, and the door side of the door load support arm 18. It is fastened sequentially using the clip formed by resin etc. which are not shown in each side wall of the holding part 37, and it reaches the inner space side of the rear door 4, and is connected to the controller 30 etc. which are control devices.

도 3,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어 지지 레일(22)은 그 내부에 하향 주(主), 종(從) 레일 홈(33u1, 33u2)이 형성되고, 또한, 도 4,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부에는 하(下) 레일 홈(3311)이 전후 방향(X)으로 길게 형성되고, 도어 지지 레일(22)의 내부에 전후 외(外) 롤러(r1, r2), 복수의 롤러(r)를 통하여 슬라이더(24)가 끼워 삽입된다.As shown in FIGS. 3 and 9, the door support rails 22 are provided with downward main and longitudinal rail grooves 33u1 and 33u2 therein, and shown in FIGS. 4 and 5. As shown below, the lower rail groove 3311 is formed lo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X, and the front and rear outer rollers r1 and r2 and the plurality of rollers ( The slider 24 is inserted through r).

도 3, 6,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24)는 전후 방향(X)으로 길다란 상(上) 기판(241) 및 동 상 기판(241)의 일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하여 나오는 블 록형상의 하(下) 기판(244)과, 상 기판(241)의 윗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전후 방향(X)으로 길다란 한 쌍의 병렬형상의 종장벽(縱長壁)(242, 243)과, 상 기판(241)의 앞부분에 뒷 암(32)의 요동단을 요동 가능하게 핀 결합하는 뒷 연결 핀(245)(도 3, 6 참조)과, 하 기판(244)의 앞 측으로부터(도 6에서 우측) 하방으로 늘어나 앞 암(31)의 요동단을 요동 가능하게 핀 결합하는 앞 연결 핀(246)을 구비한다.As shown in FIGS. 3, 6, and 7, the slider 24 has a block shape extending downward from a part of the upper substrate 241 and the upper substrate 241 elongat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X. FIG. The lower substrate 244, a pair of parallel longitudinal barriers 242 and 243 in the front-rear direction X project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substrate 241, and the upper substrate ( Rear connecting pin 245 (see FIGS. 3 and 6) to pivotally couple the swing end of rear arm 32 to the front of 241, and from the front side of the lower substrate 244 (right in FIG. 6). It is provided with a front connecting pin 246 which extends downward to couple the swing end of the front arm 31 so as to be able to swing.

종장벽(242)(도 3 참조)의 주요부에는 후(後) 외 롤러(r1)를 유동가능하게 끼우는 노치구멍이 형성되고, 후 외 롤러(r1)는 세로 방향의 후(後)추지 핀을 통하여 종장벽(242)에 추지된다. 이 후 외 롤러(r1)는 뒷 연결 핀(245)과 공통의 후(後) 요동 중심선(Lrr)상에 배치된다.The main part of the vertical barrier 242 (refer FIG. 3) is formed with the notch hole which makes the outer outer roller r1 flowable, and the outer outer roller r1 has a rear post pin in the vertical direction. Through the vertical barrier 242 through. Thereafter, the outer roller r1 is disposed on the rear swing center line Lrr in common with the rear connecting pin 245.

하 기판(244)의 앞에 가까운 앞 연결 핀(246)과 공통의 전(前) 요동 중심선(Lrf)상에 전 외 롤러(r2)의 세로 방향의 전(前) 추지 핀이 배치되고, 동 전 추지 핀이 앞 암(31)의 분기(分岐) 요동단(b)에 전 외 롤러(r2)를 추지한다.On the front pivot centerline Lrf in common with the front connecting pin 246 near the lower substrate 244, the longitudinal front pins of the outer and outer rollers r2 are disposed, The holding pin picks up the outer roller r2 at the branch swinging end b of the front arm 31.

이로써, 병행 링크(16)에 대해 그 외측 전, 후 요동 중심선(Lrf, Lrr)을 통하여 추지된 슬라이더(24)가 병행 링크(16)에 의해 요동함과 함께 슬라이더(24)의 후 외 롤러(r1), 전 외 롤러(r2)에 대해 도어 지지 레일(22)이 전후 방향(X)으로 용이하게 활주할 수 있다. 또한, 후 요동 중심선(Lrf, Lrr)의 평면으로 보았을 때의 점을 도 7에 있어서는 전후 요동 중심점(中心點)(Prf, Prr)으로서 나타낸다.As a result, the slider 24, which is detected through the front and rear swing centerlines Lrf and Lrr outside of the parallel link 16, is rocked by the parallel link 16, and the rear outer roller of the slider 24 ( r1), the door support rail 22 can slide easily in the front-back direction X with respect to the front outer roller r2. In addition, the point seen by the plane of post-swing center line Lrf, Lrr is shown as front-back shaking center point Prf, Prr in FIG.

도 9, 10,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어 지지 레일(22)의 상부의 하향 레일 홈(33u1, 33u2)은 전후 방향(X)의 전역(全域)에 길게 형성된다. 한편, 도어 지지 레일(22)의 하부의 하레일 홈(3311)은, 도어 지지 레일(22)의 길이 방향의 거의 중간부까지 형성되고, 그 후방(도 9로 좌측)에는 형성되어 있지 않다.As shown to FIG. 9, 10, 11, the downward rail grooves 33u1 and 33u2 of the upper part of the door support rail 22 are formed long in the whole area of the front-back direction X. As shown to FIG. On the other hand, the lower rail groove 3311 of the lower part of the door support rail 22 is formed to the substantially middle part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oor support rail 22, and is not formed in the back (left side in FIG. 9).

하부의 하레일 홈(3311)은 그곳에 감합하는 앞 암(31)의 요동단의 요동 중심 롤러(Ro) 및 제 1 종동 롤러(Rv)를 끼워 삽입한다. 여기서, 도 4, 5,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어 지지 레일(22)의 하부의 하레일 홈(3311)은 그 후방측 단부에 분기부를 통하여 만곡지로(sr)가 형성된다.The lower harle groove 3311 inserts the swing center roller Ro and the first driven roller Rv of the swing end of the front arm 31 fitted therein. 4, 5, and 9, the lower rail groove 3311 of the lower part of the door support rail 22 is formed with the curved paper path sr through the branch part in the back side edge part.

도 8,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만곡지로(sr)는 하레일 홈(3311)의 단부측과 소정량 떨어져서 병렬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레일 홈(3311)의 단부는 요동 중심 규제벽(wc)으로 덮인다. 이 요동 중심 규제벽(wc)은, 이것에 요동 중심 롤러(Ro)가 맞닿은 때에 레일(22) 및 도어(4)에 대한 앞 암(31)의 요동 중심을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게다가, 이 요동 중심 규제벽(wc)에 요동 중심 롤러(Ro)가 맞닿음으로써, 돌출 위치(D2)에 도어 지지 레일(22)측이 달한 상태가 유지되고, 그리고 나서, 요동 중심 롤러(Ro)의 추지 중심선(Lrf)을 중심으로 한 돌출 위치(D2)와 폐쇄 위치(D1)의 요동 변위를 정확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As shown in FIG. 8, FIG. 9, this curved paper path sr is formed in parallel shape by the predetermined | prescribed distance from the edge part side of the harrail groove 3311, and the edge part of the harrail groove 3311 is a swing center restriction wall. covered with (wc) This swing center control wall wc is formed so that it can support the swing center of the front arm 31 with respect to the rail 22 and the door 4, when the swing center roller Ro contacts. Furthermore, when the swing center roller Ro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wing center regulating wall wc, the state in which the door support rail 22 side reaches the protruding position D2 is maintained, and then the swing center roller Ro The swinging displacement between the protruding position D2 and the closed position D1 centered on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holding center Lrf can be accurately performed.

또한,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만곡지로(灣曲枝路)(sr) 및 하레일 홈(3311)의 단부의 외측은 만곡한 개방 어긋남 만곡벽(wrs)으로 덮여 있다. 이 개방 어긋남 만곡벽(wrs)은 요동 중심 규제벽(wc)에 맞닿는 요동 중심 롤러(Ro)의 중심선(Lrf)에 대해 일정한 회전 반경(rs)의 원호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요동 중심 규제벽(wc)에 요동 중심 롤러(Ro)가 맞닿은 상태에서 앞 암(31)이 요동할 때에 레일(22)에 형성된 개방 어긋남 만곡벽과 앞 암(31)에 추지된 후술하는 요동 변위 롤러(Rk)가 굴림대 접촉함으로써, 레일(22)의 도어 개방 방향(도 9에서 좌방향) 으로의 어긋남을 저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돌출 위치(D2)와 폐쇄 위치(D1) 사이에서의 요동 변위에 있어서, 요동 중심 롤러(Ro)의 추지 중심선(Lrf)을 중심으로 하여서의 레일(22) 및 도어(4)에 대한 앞 암(31)의 요동 중심을 어긋남 없이 지지할 수 있고, 도어의 요동 궤적의 어긋남이나 편차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8, the outer side of the edge of the curved paper path sr and the harrail groove 3311 is covered with the curved open shift curved wall wrs. This open shift curved wall wrs is formed with the circular arc of fixed rotation radius rs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Lrf of the swing center roller Ro which abuts against the swing center restriction wall wc. For this reason, when the front arm 31 swings in a state where the swing center roller Ro is in contact with the swing center regulating wall wc, the opening shifted curved wall formed in the rail 22 and the front arm 31 will be described later. By making the rocking displacement roller Rk contact with the roller, the shift in the door opening direction (left direction in FIG. 9) of the rail 22 can be prevented. For this reason, in the rocking displacement between the protrusion position D2 and the closed position D1, with respect to the rail 22 and the door 4 centering on the leading centerline Lrf of the rocking center roller Ro The swing center of the front arm 31 can be supported without shift, and the shift and the deviation of the swing track of the door can be reliably prevented.

또한,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만곡지로(sr)의 하레일 홈(3311)에 합류하는 부위에서의 레일 홈 내벽은 볼록형상 만곡벽인 활주 초기 변위 허용부(wa)로서 형성된다. 이 활주 초기 변위 허용부(wa)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앞 암(31) 및 레일(22)이 돌출 위치(D2)의 부근의 돌출 전 요동역(D2bf)(도 8중의 (b) 내지 (h)의 범위에서 요동하는 영역)에서 요동할 때, 후술하는 제 1 종동 롤러(Rv)와 굴림대 접촉함으로써 레일(22)의 전개방 위치(D3)의 방향(도 3중에서 좌방향)으로의 활주 변위의 증가를 서서히 허용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도 1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과도한 구동 저항력(p1)의 발생을 미연에 막아, 구동력(F1)이 과도하게 커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8, the rail groove inner wall in the part which joins the harrail groove 3311 of the curved paper | ramp path | route sr is formed as a slide initial displacement allowance wa which is a convex curved wall. The slide initial displacement allowable wa is,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front arm 31 and the rail 22 before the protruding swing range D2bf in the vicinity of the protruding position D2 ((b) to FIG. 8). When oscillating in the range (h) in the range of (h), in the direction of the deployment direction position D3 of the rail 22 (left direction in FIG. 3) by contacting the roller with the first driven roller Rv described later. It is formed to allow an increase in the sliding displacement of the. That is, excessive generation of the driving resistance force p1 as described in FIG. 16 is prevented in advance, thereby preventing the driving force F1 from becoming excessively large.

또한,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만곡지로(sr)의 하레일 홈(3311)에 합류하는 부위에서의 레일 홈 외측벽은 오목형상 만곡벽인 요동 초기 변위 허용부(wb)로서 형성된다. 이 요동 초기 변위 허용부(wb)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앞 암(311)에 대해 레일(22)이 전개방 위치(D3)측으로부터 돌출 위치(D2)에 접근한 때에 후술하는 제 2 종동 롤러(Rc)가 굴림대 접촉함으로써 앞 암(31)의 레일(22)에 대한 요동 변위의 증가를 서서히 허용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도 1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도어측의 레일(22)에 대해 앞 암(31)이 활주 후기로부터 돌출 위치(D2)를 경 유하여 요동 초기로의 급격한 90도의 이동 방향의 전환에 의해, 구동 저항력(p1)이 급변하고, 개폐 구동 기구(203)가 가하고 있는 구동력(F1)에 수반하는 전환 쇼크가 생기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고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8, the rail groove outer side wall in the site which joins the harrail groove 3311 of the curved paper path sr is formed as the oscillation initial displacement tolerance part wb which is a concave curved wall. As described later, the swing initial displacement allowable portion wb is a second driven member to be described later when the rail 22 approaches the protruding position D2 from the deployment direction position D3 side with respect to the front arm 311. The roller Rc is formed to allow the increase in the swing displacement of the front arm 31 with respect to the rail 22 by the roller contact. That is, the front arm 31 with respect to the rail 22 on the door side, as described in FIG. 16, by the rapid change of the 90-degree moving direction to the initial swing through the protruding position D2 from the end of the slide, The driving resistance force p1 suddenly changes and prevents the switching shock accompanying the driving force F1 applied by the opening-closing drive mechanism 203 from occurring.

다음에, 리어 도어(4)에 배치되는 스윙 슬라이드 유닛(U)의 개폐 구동 기구(19)를 설명한다.Next, the opening / closing drive mechanism 19 of the swing slide unit U disposed in the rear door 4 will be described.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폐 구동 기구(19)는 리어 도어(4)의 구동원을 이루는 모터(101), 권취 드럼(46)의 회전력으로 폐쇄 위치(D1)로부터 돌출 위치(D2)를 통하여 전개방 위치(D3)로 이동하는 기능을 구비한다.As shown in FIG. 1, the opening-closing drive mechanism 19 is a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101 and the winding drum 46 which form the drive source of the rear door 4 through the protruding position D2 from the closed position D1. It has a function to move to the developed room position D3.

즉, 개폐 구동 기구(19)는, 도 1,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어 도어(4) 내부에 배설된 모터(101) 및 모터(101)에 감기 되감기 가능하게 구동되는 권취 드럼(46)으로 이루어지는 구동원(M)과, 권취 드럼(46)에 인출 자유롭게 감기는 개방 케이블(49) 및 폐쇄 케이블(51)과, 개방 케이블(49)을 감아거는 도어 지지 레일(22) 전단의 단부 풀리(Po1)와, 폐쇄 케이블(51)을 감아거는 도어 지지 레일(22) 후단의 단부 풀리(Pc1)와, 슬라이더(24)의 앞측의 제 1 풀리(23f)와, 앞 암(31)상의 제 2 풀리(Po2)(전 중간 풀리)와, 횡방향 플랜지부(15a)에 지지되고 개방 케이블(49)의 앵커부를 연결한 케이블 엔드(Poe)와, 슬라이더(24)의 후측의 제 1 풀리(23r)와, 뒷 암(32)상의 제 2 풀리(Pc2)(후 중간 풀리)와, ㄷ자형 체결 브래킷(53)(도 3 참조)의 하플랜지(53d)에 지지되고 폐쇄 케이블(51)의 앵커부를 연결한 케이블 엔드(Pce)를 구비한다.That is, the opening / closing drive mechanism 19 is wound around the motor 101 and the motor 101 disposed inside the rear door 4 so as to be rewound to be wound as shown in FIGS. 1 and 9 to 11. The drive source M which consists of the drum 46, the open cable 49 and the closed cable 51 which are pulled freely by the winding drum 46, and the front end of the door support rail 22 which winds the open cable 49. End pulley (Po1), end pulley (Pc1) at the rear end of the door support rail (22) winding the closing cable (51), the first pulley (23f) in front of the slider (24), and the front arm (31). 2nd pulley Po2 (front intermediate pulley) on the upper side, the cable end Poe supported by the lateral flange part 15a and connecting the anchor part of the open cable 49, and the rear side of the slider 24 The first pulley 23r, the second pulley Pc2 (rear middle pulley) on the rear arm 32, and the lower flange 53d of the U-shaped fastening bracket 53 (see FIG. 3) are supported and closed cable ( 51) cherry tree And a connecting portion cable end (Pce).

다음에, 리어 도어(4)의 작동을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rear door 4 will be described.

컨트롤러(30)(도 9 참조)가 도어 개방지령을 받기 전에 있어서, 리어 도어(4)가 폐쇄 위치(D1)로 유지되어 있다고 한다. 그 때, 리어 도어(4)측의 전단 상 로크부(J1)와 전단 하 로크부(J2)와 후단 로크부(J3)의 각 파워 래치(6, 8)가 로크 상태를 유지한 채로 비통전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It is assumed that the rear door 4 is held in the closed position D1 before the controller 30 (see Fig. 9) receives the door opening command. At that time, non-energization was carried out with the front lock part J1 on the rear door 4 side, the power latch 6, 8 of the front lock part J2 and the rear lock part J3 maintaining the locked state. It is kept in a state.

이 경우, 도 8(a), 도 11, 도 12(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뒷 암(32)과 앞 암(31)의 요동단은 차내측으로 인입되고, 양 암의 요동단의 슬라이더(24)와 함께 도어 지지 레일(22)이 리어 도어(4)를 폐쇄 위치(도 1 참조)(D1)에 지지한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s. 8A, 11, and 12A, the swing ends of the rear arm 32 and the front arm 31 are drawn into the vehicle inner side, and the sliders of the swing ends of both arms are inserted. Together with 24, the door support rail 22 supports the rear door 4 in the closed position (see FIG. 1) D1.

이 경우, 도 8(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요동 중심 롤러(Ro)가 요동 중심 규제벽(wc)에, 제 1 종동 롤러(Rv)가 만곡지로(sr)의 단부벽(wst)에 맞닿음으로써 레일(22)의 차체 전방(도 8(a), 도 11에서 우방향)으로의 어긋남을 규제하고, 요동 변위 롤러(Rk)가 개방 어긋남 만곡벽(wrs)에 굴림대 접촉함으로써, 레일(22)의 도어 차체 후방(도 8(a), 도 11에서 좌방향)으로의 어긋남을 규제하고 있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 8 (a), the swing center roller Ro is connected to the swing center restriction wall wc, and the first driven roller Rv is connected to the end wall wst of the curved paper path sr. By contacting, the shift | offset | difference to the front of a vehicle body (right direction in FIG. 8 (a), FIG. 11) of the rail 22 is regulated, and the rocking | displacement roller Rk makes a roll contact with the open shift curved wall wrs, The shift | offset | difference to the back of the door vehicle body (left direction in FIG. 8 (a), FIG. 11) of the rail 22 is regulated.

다음에, 컨트롤러(30)가 도어 개방지령을 받으면, 와이어 하네스(20)를 통하여 폐쇄 위치(D1)의 리어 도어(4)의 전단 상 로크부(J1)와 전단 하 로크부(J2)와 후단 로크부(J3)의 각 파워 래치(6, 8)에 로크 해제의 출력을 발한다.Next, when the controller 30 receives the door opening command, the lock part J1 on the front end of the rear door 4 in the closed position D1, the lock part J2 on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of the rear door 4 are closed via the wire harness 20. The output of unlocking is supplied to each of the power latches 6 and 8 of the lock portion J3.

또한, 컨트롤러(30)는 도어 개방지령에 의거한 도어 개방출력을 받으면, 도 1,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동원(M)측의 권취 드럼(46)을 구동하여 굵은 실선으로 도시하는 개방 케이블(49)을 감고, 폐쇄 케이블(51)의 방출을 행한다. 이 때, 도 7,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방 케이블(49)에 가해지는 장력에 의해, 케이블 엔드(Poe)(개방 케이블 고정단)와 앞 암(31)상의 제 2 풀리(Po2)(전 중간 풀 리) 사이가 좁아지고, 앞 암(31)의 요동단 및 슬라이더(24)가 일체적으로 차외측으로 요동하고, 도어가 돌출 위치(D2)측으로 요동할 수 있다. 즉, 평행 링크(16) 및 그 요동단의 슬라이더(24)를 개방 방향으로 요동하고, 이에 연동하여 도어(4)를 돌출 위치(D2)측으로 요동할 수 있다.When the controller 30 receives the door opening output based on the door opening command, as shown in Figs. 1 and 9, the controller 30 drives the winding drum 46 on the driving source M side to be shown as a thick solid line. The cable 49 is wound and the closed cable 51 is discharged. At this time, as shown in FIGS. 7 and 9, the tension applied to the open cable 49 causes the cable end Poe (open cable fixing end) and the second pulley Po2 on the front arm 31 ( The front middle pulley) is narrowed, the swing end of the front arm 31 and the slider 24 are rocked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integrally, and the door can swing to the protruding position D2 side. That is, the parallel link 16 and the slider 24 of the swing end thereof can be swung in the opening direction, and the door 4 can be swung to the protruding position D2 side in conjunction with this.

이 경우, 우선, 도 8(b), (c), 도 12(b)의 요동역에서, 요동 중심 롤러(Ro)가 요동 중심 규제벽(wc)에 맞닿은 채로, 앞 암(31)상의 제 1 종동 롤러(Rv)가 만곡지로(sr)를 떠나 있고, 요동 변위 롤러(Rk)가 개방 어긋남 만곡벽(wrs)에 따라 굴림대 이동한다. 뒤이어, 활주 초기 변위 허용부(wa)에 제 1 종동 롤러(Rv)가 맞닿음으로써 앞 암(31)에 대해 레일(22)측이 상대적으로 어긋나는 것을 막고, 이윽고, 도 8(d) 내지 (g), 도 12, 13(b), (d)의 영역에서 활주 초기 변위 허용부(wa)가 제 1 종동 롤러(Rv)의 전방 이동을 서서히 허용하고, 요동 중심 롤러(Ro)가 요동 중심 규제벽(wc)으로부터 떨어지고, 즉, 레일(22)의 전개방 위치(D3)의 방향(도 9중에서 좌방향)으로의 활주 변위의 증가를 서서히 허용한다.In this case, first, in the swinging zones of FIGS. 8 (b), (c), and 12 (b), the first step on the front arm 31 is made while the swinging center roller Ro is in contact with the swinging center restricting wall wc. One driven roller Rv leaves the curved paper path sr, and the oscillation displacement roller Rk rolls and moves along the open shift curved wall wrs. Subsequently, the first driven roller Rv abuts against the slide initial displacement allowable portion wa to prevent the rail 22 side from being relatively shifted relative to the front arm 31, and thus, FIGS. 8 (d) to ( g), the slide initial displacement allowance wa gradually permits forward movement of the first driven roller Rv in the regions of FIGS. 12, 13 (b) and (d), and the pivot center roller Ro is the pivot center It is gradually allowed to increase the slide displacement away from the restricting wall wc, i.e., in the direction of the deployment direction position D3 of the rail 22 (left direction in FIG. 9).

뒤이어, 도 8(h), (i), 도 13(e)의 요동역에서는, 요동 중심 롤러(Ro) 및 제 1 종동 롤러(Rv)가 함께 하레일 홈(3311)에 달하여 레일에 대해 상대적으로 전후 이동을 시작하고 있다. 즉, 돌출 위치(D2)에 들어가기 전의 요동 영역에서 활주 변위를 시작하고, 돌출 위치(D2) 통과 후의 활주 영역에 달할 때에도 일부 요동 변위를 허용하고 있다.Subsequently, in the swinging zones of FIGS. 8 (h), (i) and 13 (e), the swing center roller Ro and the first driven roller Rv together reach the harle groove 3311 and are relative to the rail. Is starting to move back and forth. That is, the sliding displacement starts in the swinging region before entering the protruding position D2, and even when the sliding region reaches the sliding region after passing through the protruding position D2, some swinging displacement is allowed.

즉, 요동 중심 규제벽(wc)에 요동 중심 롤러(Ro)가 맞닿음으로써 레일의 도어 폐쇄 방향으로의 어긋남을 저지할 수 있고, 또한 앞 암(31) 및 레일(22)이 돌출 위치 부근의 돌출 전 요동역에 있을 때 활주 초기 변위 허용부(wa)에 제 1 종동 롤러(Rv)가 굴림대 접촉하기 때문에, 암 및 레일의 요동 종료 바로 직전에 암에 대한 레일의 활주 시작을 허용할 수 있고, 레일의 요동으로부터 활주로의 전환을 연속적으로 스무스하게 행할 수 있고, 요동 후기로부터 활주 초기로의 전환에 수반하는 급격한 구동 저항력(F1)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고, 전환 구동력의 급변에 수반하는 쇼크의 발생도 저감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swing center roller Ro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wing center regulating wall wc,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ail from shifting in the door closing direction, and the front arm 31 and the rail 22 are located near the protruding position. Since the first driven roller Rv is in roll contact with the slide initial displacement allowance wa when in the swing zone before the protrusion, it is possible to allow the rail to start running against the arm just before the end of the swing of the arm and rail. It is possible to smoothly switch the runway from the swing of the rail to the runway, and to abruptly increase the sudden drive resistance F1 with the change from the late swing to the start of the slide, and to abruptly change the switching drive force. The occurrence of shock can also be reduced.

또한, 스윙 슬라이드 유닛(U)의 개폐 구동 기구(19)가 구동하고, 도어 지지 레일(22)측(리어 도어(4)측)이 전개방 위치(D3)를 향하여 후방으로 슬라이드하는 경우,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요동 중심 롤러(Ro) 및 제 1 종동 롤러(Rv)가 함께 하레일 홈(3311)에 따라 스무스하게 활주하고, 도어 지지 레일(22)(리어 도어(4))을 전개방 위치(D3)로 이동시킬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opening / closing drive mechanism 19 of the swing slide unit U drives, and the door support rail 22 side (rear door 4 side) slides back toward the deployment direction position D3, FIG. As shown in FIG. 10, the swinging center roller Ro and the first driven roller Rv slide smoothly along the harle groove 3311, and the door support rail 22 (rear door 4) is moved. It can be moved to the deployment direction position D3.

한편, 도어 폐쇄지령을 받으면, 컨트롤러(30)는 이에 의거하여, 도어 폐쇄출력을 모터(45)에 출력하고, 권취 드럼(46)을 구동하여 굵은 실선으로 도시하는 폐쇄 케이블(51)을 감고, 굵은 실선으로 도시하는 개방 케이블(49)의 방출을 가능하게 한다. 이 때, 폐쇄 케이블(51)을 감아거는 도어 지지 레일(22) 후단의 단부 풀리(Pc1)와, 슬라이더(24)의 후측의 제 1 풀리(23r)와의 간격이 좁아지고, 도 9에 도시하는 돌출 위치(D2)에 앞뒤 암(31, 32)은 되돌아온다.On the other hand, upon receiving the door closing instruction, the controller 30 outputs the door closing output to the motor 45 based on this, and drives the winding drum 46 to wind the closing cable 51 shown in a thick solid line, It is possible to release the open cable 49 shown in bold solid lines. At this time, the space | interval of the end pulley Pc1 of the rear end of the door support rail 22 which winds up the closing cable 51, and the 1st pulley 23r of the rear side of the slider 24 becomes narrow, and is shown in FIG. The front and rear arms 31 and 32 are returned to the protruding position D2.

이 경우, 우선, 도 8(i), 도 13(e)의 활주역으로부터, 도 8(h)의 요동역 시작역에 달한다. 이윽고, 도 8(g) 내지 (d), 도 13(d), (c)의 영역에서 요동 초기 변위 허용부(wb)가 제 2 종동 롤러(Rc)의 요동 변위를 서서히 허용하고, 도 8(c) 내지 (a), 도 12(b), (a)의 영역에서 요동 중심 롤러(Ro)가 요동 중심 규제벽(wc)에 접근한다. 그리고 나서, 요동 중심 롤러(Ro)가 요동 중심 규제벽(wc)에 맞닿은 상태에서 앞 암(31)이 요동 중심 롤러(Ro)의 추지 중심선(Lrf)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하고, 요동 변위 롤러(Rk)가 개방 어긋남 만곡벽(wrs)에 따라 굴림대 이동하여, 확실하게 전후 방향이 어긋남 없이,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앞 암(31)이 폐쇄 위치(D1)에 달한다.In this case, first, the slide station of Figs. 8 (i) and 13 (e) reaches the starting station of the swinging station of Fig. 8 (h). Then, in the regions of FIGS. 8 (g) to (d), 13 (d) and (c), the swing initial displacement allowance wb gradually allows the swing displacement of the second driven roller Rc, and FIG. 8. In the regions of (c) to (a), FIGS. 12 (b) and (a), the swing center roller Ro approaches the swing center restricting wall wc. Then, the front arm 31 oscillates around the center of gravity Lrf of the oscillation center roller Ro while the oscillation center roller Ro is in contact with the oscillation center restriction wall wc, and the oscillation displacement roller ( Rk moves along the open shift curved wall wrs, and the front arm 31 reaches the closed position D1 as shown in FIG. 11 without deviating from the front-back direction.

이와 같이, 요동 중심 규제벽(wc)에 요동 중심 롤러(Ro)가 맞닿음으로써 레일(22)의 도어 폐쇄 방향으로 어긋남을 저지할 수 있고, 또한 앞 암(31)의 요동 중심 롤러(Ro)에 대해 하 가이드 홈(3311)을 끼워 맞춘 레일(22)이 전개방 위치(D3)측으로부터 돌출 위치(D2)로 접근한 때에 제 2 종동 롤러(Rc)가 요동 초기 변위 허용부(wb)에 굴림대 접촉하기 때문에, 앞 암(31)에 대한 레일(22)의 활주 종료 바로 직전에 레일(22)에 대한 앞 암(31)의 요동 시작을 허용할 수 있고, 앞 암(31)의 요동으로의 전환을 연속적으로 스무스하게 행할 수 있고, 활주 후기로부터 돌출 위치(D2)를 경유하여서의 요동 초기로의 전환에 수반하는 급격한 구동 저항력(p1)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고, 전환 구동력(F1)의 급변에 수반하는 쇼크의 발생도 저감할 수 있다.In this way, when the pivoting center roller Ro abuts against the swinging center regulating wall wc, the shift in the door closing direction of the rail 22 can be prevented, and the swinging center roller Ro of the front arm 31 is prevented. The second driven roller Rc moves to the swing initial displacement allowance wb when the rail 22 fitted with the lower guide groove 3311 approaches the projected position D2 from the deployed position D3 side. Because of the roller contact, it is possible to allow the start of the swinging of the front arm 31 relative to the rail 22 just before the end of the slide of the rail 22 relative to the front arm 31 and the swinging of the front arm 31. It is possible to smoothly switch to,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udden increase in the driving resistance force p1 associated with the transition from the end of the slide to the initial swing of the swing via the protruding position D2, and the switching drive force F1. The occurrence of shock with sudden change of) can also be reduced.

이와 같이 하여, 리어 도어(4)가 후승강구(3)를 폐쇄하면, 이 후, 컨트롤러(30)는 리어 도어(4)가 폐쇄 위치(D1)에 달한 것을 도시하지 않은 위치 센서에 의해 도어 폐쇄신호를 받는다. 이에 응하여, 컨트롤러(30)는 리어 도어(4)의 전단상 로크부(J1)와 전단 하 로크부(J2)와 후단 로크부(J3)의 각 파워 래치(도시 생 략)에 와이어 하네스(20)를 통하여 로크 출력을 발하고, 리어 도어(4)를 후승강구(3)에 로크하고, 로크 신호가 컨트롤러(30)에 입력되게 된다.In this manner, when the rear door 4 closes the rear hatch 3, the controller 30 subsequently closes the door by a position sensor not shown that the rear door 4 has reached the closed position D1. Receive a signal. In response, the controller 30 connects the wire harness 20 to each power latch (not shown) of the front lock part J1, the front lock part J2, and the rear lock part J3 of the rear door 4. The lock output is issued through the < RTI ID = 0.0 >), locks the rear door 4 to the rear lifting door 3, and the lock signal is input to the controller 30.

상술한 점에 있어서, 도 1의 도어 개폐 장치가 채용하고 있던 스윙 슬라이드 유닛(U)의 개폐 구동 기구(19)에서는, 개폐 케이블(49, 51)을 감고, 방출하는 구동원(M)을 이루는 모터(101) 및 권취 드럼(46)을 도어 내에 수용하고, 개폐 구동 기구(19)의 케이블 엔드(Poe, Pce)를 차체측의 베이스 부재(15)에 부착한 구성을 취하고 있다. 그러나,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개폐 구동 기구의 개폐 케이블의 한 쌍의 케이블 엔드를 도시하지 않은 도어 내의 레일의 전후단에 연결하고, 모터 및 권취 드럼을 차체측의 기본틀에 장착한다는 역구성을 취하는 도어 개폐 장치를 채용할 수 있다. 이 경우도, 도 1의 도어 개폐 장치와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the above-mentioned point, in the opening / closing drive mechanism 19 of the swing slide unit U which the door opening / closing apparatus of FIG. 1 employ | adopted, the motor which forms the drive source M which winds up and closes the open / close cables 49 and 51, and discharges. 101 and the winding drum 46 are accommodated in the door, and the cable ends Poe and Pce of the opening-closing drive mechanism 19 are attached to the base member 15 of the vehicle body side. However, the configuration is not limited to this, but the inverse configuration of connecting a pair of cable ends of the opening / closing cable of the opening / closing drive mechanism to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rails in the door (not shown) and mounting the motor and the winding drum to the base frame on the vehicle body side A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can be adopted. Also in this case, the same effect as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of FIG. 1 can be obtained.

또한, 도 14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의 스윙 슬라이드 도어의 개폐 장치를 도시하였다. 이 개폐 장치는 도 1의 스윙 슬라이드 도어의 개폐 장치와 비교하여, 개방 어긋남 만곡벽(wrs)과 맞닿는 요동 변위 롤러(Rk)가 배제된 점이 상위하고, 그 밖의 구성은 거의 동일하여, 여기서는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14, the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of the swing slide door as another Example of this invention is shown. Compared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he swing slide door of FIG. 1,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differs in that the swing displacement roller Rk in contact with the opening shifted curved wall wrs is excluded, and the rest of the configuration is almost the same. Omit.

도 14의 도어 개폐 장치는, 도어 폐쇄 위치(D1)로부터 요동 시작까지의 도 14(1) 내지 (5)의 사이에 미리 활주량(J1)만큼 도어를 슬라이드 시켜서, 래치의 맞물림 상태로부터 확실하게 벗어나, 도어의 회동 시작시의 활주 저항을 저감시키고, 그리고 나서 요동 변위를 도 14(6) 내지 (12)의 사이에 행하고 있다. 이 영역에서는 도 1의 스윙 슬라이드 도어의 개폐 장치와 같은 거동이 행하여지고, 앞 암(31) 및 레일(22)이 돌출 위치(D2)의 부근이 돌출 전 요동역에 있을 때 활주 초기 변위 허용부(wa)에 제 1 종동 롤러(Rv)가 굴림대 접촉하기 때문에, 암 및 레일의 요동 종료 바로 직전에 암에 대한 레일의 활주 시작을 허용할 수 있고, 레일의 요동으로부터 활주로의 전환을 연속적으로 스무스하게 행할 수 있고, 요동 후기로부터 활주 초기로의 전환에 수반하는 급격한 소동 저항력(F1)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고, 전환 구동력의 급변에 수반하는 쇼크의 발생도 저감할 수 있다.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in FIG. 14 slides the door by the sliding amount J1 in advance between the door closing position D1 and the swing start from FIG. 14 (1) to (5), thereby reliably from the engaged state of the latch. Off, the sliding resistance at the start of the rotation of the door is reduced, and then the swinging displacement is performed between FIGS. 14 (6) to (12). In this area, the same behavior as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he swing slide door of FIG. 1 is performed, and the slide initial displacement allowance part is provided when the front arm 31 and the rail 22 are in the swinging zone before the protrusion position D2. Since the first driven roller Rv is in roller contact with wa, the slide start of the rail relative to the arm can be allowed just before the end of the swing of the arm and the rail, and the transition from the swing of the rail to the runway is continuously It can perform smoothly, and can suppress the sudden increase of the dynamic resistance F1 accompanying the switch from the late swing | movement to the slide initial stage, and can also generate | occur | produce the shock accompanying a sudden change of switching drive force.

마찬가지로, 도어의 폐쇄시에, 앞 암(31)의 요동 중심 롤러(Ro)에 대해 하 가이드 홈(3311)을 끼워 맞춘 레일(22)이 전개방 위치(D3)측으로부터 돌출 위치(D2)로 접근한 때에 제 2 종동 롤러(Rc)가 요동 초기 변위 허용부(wb)에 굴림대 접촉하기 때문에, 앞 암(31)에 대한 레일(22)의 활주 종료 바로 직전에 레일(22)에 대한 앞 암(31)의 요동 시작을 허용할 수 있고, 앞 암(31)의 요동으로의 전환을 연속적으로 스무스하게 행할 수 있고, 활주 후기로부터 돌출 위치(D2)를 경유하여서의 요동 초기로의 전환에 수반하는 급격한 구동 저항력(p1)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고, 전환 구동력(F1)의 급변에 수반하는 쇼크의 발생도 저감할 수 있다.Similarly, when the door is closed, the rail 22 in which the lower guide groove 3311 is fitted to the swing center roller Ro of the front arm 31 is moved from the deployment direction position D3 to the protruding position D2. Since the second driven roller Rc rolls in contact with the swing initial displacement allowance wb when approaching, the front of the rail 22 immediately before the end of the slide of the rail 22 relative to the front arm 31. It is possible to allow the arm 31 to start swinging, to smoothly switch the swinging of the front arm 31 to the swing, and to switch to the swinging initial position via the protruding position D2 from the end of the slide. Sudden increase of the driving resistance force p1 can be prevented, and generation | occurrence | production of the shock accompanying the sudden change of the switching drive force F1 can also be reduced.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로서의 스윙 슬라이드 도어의 개폐 장치를 장비하는 차량의 개략 측면도.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schematic side view of the vehicle equipped with the opening-closing apparatus of the swing slide door as one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도 2는 도 1의 리어 도어의 내측 주요부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ner main part of the rear door of FIG. 1;

도 3은 도 1의 리어 도어에 이용되는 스윙 슬라이드 유닛의 개략 정면 단면도.3 is a schematic front sectional view of a swing slide unit used for the rear door of FIG.

도 4는 도 1의 리어 도어에 이용되는 스윙 슬라이드 유닛의 주요부 절결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of a major part of the swing slide unit used in the rear door of FIG. 1;

도 5는 도 1의 리어 도어에 이용되는 스윙 슬라이드 유닛의 하부 레일의 주요부 절결 사시도.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 of the lower rail of the swing slide unit used for the rear door of Fig. 1.

도 6은 도 1의 리어 도어에 이용되는 스윙 슬라이드 유닛의 개략 측면도.FIG. 6 is a schematic side view of a swing slide unit used for the rear door of FIG. 1; FIG.

도 7은 도 1의 리어 도어에 이용되는 스윙 슬라이드 유닛의 주요부 확대 평면도.7 is an enlarged plan view of a main part of a swing slide unit used in the rear door of FIG. 1;

도 8은 도 1의 리어 도어에 이용되는 스윙 슬라이드 유닛의 하부 레일과 복수 롤러의 작동 설명도.FIG. 8 is an operation explanatory diagram of a lower rail and a plurality of rollers of a swing slide unit used in the rear door of FIG. 1. FIG.

도 9는 도 1의 리어 도어에 이용되는 스윙 슬라이드 유닛의 돌출 위치를 도시하는 작동 설명도.9 is an operatio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protruding position of a swing slide unit used for the rear door of FIG.

도 10은 도 1의 리어 도어에 이용되는 스윙 슬라이드 유닛의 전개방 위치를 도시하는 작동 설명도.FIG. 10 is an operatio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deployment direction position of a swing slide unit used for the rear door of FIG. 1. FIG.

도 11은 도 1의 리어 도어에 이용되는 스윙 슬라이드 유닛의 도어 폐쇄 위치 를 도시하는 작동 설명도.FIG. 11 is an operatio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door closing position of a swing slide unit used for the rear door of FIG. 1; FIG.

도 12는 도 1의 리어 도어에 이용되는 스윙 슬라이드 유닛의 앞 암과 하부 레일의 작동 설명도의 전단부.12 is a front end of the operation explanatory diagram of the front arm and the lower rail of the swing slide unit used for the rear door of FIG.

도 13은 도 1의 리어 도어에 이용되는 스윙 슬라이드 유닛의 앞 암과 하부 레일의 작동 설명도의 후단부.Fig. 13 is a rear end of the operation explanatory diagram of the front arm and the lower rail of the swing slide unit used for the rear door of Fig. 1.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이용하는 스윙 슬라이드 유닛의 하부 레일과 복수 롤러의 작동 설명도.14 is an operation explanatory diagram of a lower rail and a plurality of rollers of a swing slide unit use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는 종래의 스윙 슬라이드 도어의 평행 링크와 개폐 구동 기구의 기능을 설명하는 설명도.15 is an explanatory diagram for explaining functions of a parallel link and an opening / closing drive mechanism of a conventional swing slide door.

도 16은 종래의 스윙 슬라이드 도어의 하부 레일과 앞 암의 작동 설명도.16 is an explanatory view of the operation of the lower rail and the front arm of the conventional swing slide door;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3 : 후승강구 4 : 리어 도어3: retracted hatch 4: rear door

16 : 평행 링크 17 : 도어 활주 기구16 parallel link 17 door sliding mechanism

18 : 도어 하중 지지 암 18: door load supporting arm

19 : 개폐 구동 기구(도어 개폐 장치)19: opening and closing drive mechanism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101 : 모터 102 : 드럼101: motor 102: drum

20 : 와이어 하네스 22 : 도어 지지 레일20: wire harness 22: door support rail

24 : 슬라이더 241 : 상 기판24: slider 241: phase substrate

241f : 스토퍼 벽 243 : 종장벽241f: stopper wall 243: longitudinal barrier

30 : 컨트롤러 31 : 앞 암30 controller 31 front arm

32 : 뒷 암 33 : 가이드 홈32: rear arm 33: guide groove

49 : 개방 케이블 51 : 폐쇄 케이블49: open cable 51: closed cable

wa : 활주 초기 변위 허용부 wb : 요동 초기 변위 허용부wa: slide initial displacement allowance wb: swing initial displacement allowance

wo : 요동 중심 규제벽 B : 자동차(차체)wo: Oscillating central control wall B: Car (body)

D1 : 폐쇄 위치 D2 : 돌출 위치D1: closed position D2: protruding position

D3 : 전개방 위치 Lrf : 요동 중심 롤러의 중심선D3: Deployment direction position Lrf: Center line of rocking center roller

Rv : 제 1 종동 롤러 Rc : 제 2 종동 롤러Rv: first driven roller Rc: second driven roller

Ro : 요동 중심 롤러 U : 스윙 슬라이드 유닛Ro: rocking center roller U: swing slide unit

x : 전후 방향 Y : 차폭 방향x: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Y: vehicle width direction

Claims (5)

차체 전후 방향으로 길다란 레일을 일체적으로 부착한 스윙 슬라이드하는 도어와,The swing sliding door which integrally attached the long rail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상기 차체의 고정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레일에 활주 자유롭게 끼워 장착하는 슬라이더에 요동단이 추지된 암과,An arm connected to a fixed member of the vehicle body, the arm of which oscillating end being gripped by a slider sliding freely mounted on the rail; 상기 암의 요동 및 상기 슬라이더에 대한 상기 레일의 활주에 의해, 상기 도어를 도어 개구를 닫는 폐쇄 위치와 동 위치로부터 차체 외측 후방으로 요동시킨 돌출 위치와 동 돌출 위치로부터 차체 후방의 전개방 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스윙 슬라이드 도어의 개폐 장치에 있어서,By the swinging of the arm and the sliding of the rail relative to the slider, the door is moved from the closed position to close the door opening and the projected position swinged from the same position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body, and from the projected position to the deployed position position behind the vehicle body. In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he swing slide door to move between, 상기 암의 요동단측에 마련되고, 상기 레일에 형성된 가이드 홈에 활주 가능하게 끼워 맞춤과 함께 상기 도어와 상기 암이 요동 변위할 때에 요동 중심이 되는 요동 중심 롤러와,A swing center roller provided on the swing end side of the arm and slidably fitted into a guide groove formed in the rail and serving as a swing center when the door and the arm swing and move; 상기 암의 상기 요동 중심 롤러의 중심선에 대해 소정량 떨어진 위치에 마련되고, 상기 레일에 형성된 가이드 홈에 활주 가능하게 끼워 맞춤과 함께 상기 도어와 상기 암이 요동 변위할 때에 상기 요동 중심 롤러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 방향으로 회동하는 제 1 종동 롤러와,The arm is provided at a position away from the center line of the rocking center roller of the arm by a slidable fit in a guide groove formed in the rail, and the rocking center roller when the door and the rocker are displaced. A first driven roller that rotates in a rotational direction, 상기 레일에 형성됨과 함께 상기 암 및 레일이 상기 돌출 위치 부근의 돌출 전 요동역에서 요동할 때 상기 제 1 종동 롤러와 접촉함으로써 상기 레일의 전개방 위치 방향으로의 활주 변위의 증가를 서서히 허용하는 활주 초기 변위 허용부를 구 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슬라이드 도어의 개폐 장치.A slide which is formed in the rail and which allows the arm and the rail to gradually increase the slide displacement in the deployment direction position direction of the rail by contacting the first driven roller when the arm and the rail swing in the pre-projection swing zone near the projected position. An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a swing slide door, characterized in that the initial displacement allowance provided.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활주 초기 변위 허용부는, 상기 레일의 단부에 마련되는 가이드 홈의 벽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슬라이드 도어의 개폐 장치.The sliding initial displacement allowance part is a swing slid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wall portion of the guide groove provided at the end of the rail.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한쪽의 암에 추지됨과 함께 상기 요동 중심 롤러의 중심선에 대해 소정량 떨어져서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레일에 대해 활주 가능하게 접촉함과 함께 상기 도어와 상기 암이 요동 변위할 때에 상기 요동 중심 롤러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 방향으로 회동하는 제 2 종동 롤러와,The swinging center roller is provided at the one arm and rotatably spaced apart from the centerline of the swinging center roller by a predetermined amount, and slidably contacts the rail and swings the door and the arm when the rocking displacement occurs. A second driven roller that rotates in a rotational direction with the center as the center; 상기 암에 대해 레일이 상기 전개방 위치측으로부터 돌출 위치에 접근한 때에 상기 제 2 종동 롤러가 접촉함으로써 상기 암의 상기 레일에 대한 요동 변위의 증가를 서서히 가져오는 상기 레일에 형성된 요동 초기 변위 허용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슬라이드 도어의 개폐 장치.The swing initial displacement allowance formed in the rail which gradually increases the swing displacement of the arm with respect to the rail by contacting the second driven roller when the rail approaches the projecting position from the deploying position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arm.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he swing slide door,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노동 초기 변위 허용부는, 상기 레일의 외측면에 마련되는 측벽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슬라이드 도어의 개폐 장치.The said labor initial displacement allowance part is a side wall part provided in the outer surface of the said rail, The opening-and-closing apparatus of the swing slide door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레일의 단부에 상기 도어와 상기 암의 요동 변위할 때에 상기 요동 중심 롤러가 맞닿는 요동 중심 규제벽을 마련하고,At the end of the rail, a rocking center regulating wall is provided in which the rocking center roller abuts upon rocking displacement of the door and the arm. 상기 요동 중심 규제벽에 요동 중심 롤러가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암이 요동할 때에 상기 레일에 형성된 개방 어긋남 만곡벽과 접촉함으로써 상기 레일의 도어 개방 방향으로 어긋남을 저지하는 요동 변위 롤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슬라이드 도어의 개폐 장치.And a swing displacement roller for preventing a shift in the door opening direction of the rail by contacting an open shift curved wall formed in the rail when the arm swings while the swing center roller is in contact with the swing center regulating wall. Device of the swing slide door.
KR20080130078A 2008-02-18 2008-12-19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of swing slide door KR100999734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036681A JP5020853B2 (en) 2008-02-18 2008-02-18 Swing slid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JPJP-P-2008-036681 2008-02-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9245A true KR20090089245A (en) 2009-08-21
KR100999734B1 KR100999734B1 (en) 2010-12-08

Family

ID=41038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130078A KR100999734B1 (en) 2008-02-18 2008-12-19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of swing slide door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020853B2 (en)
KR (1) KR100999734B1 (en)
CN (1) CN101513827B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1361A (en) * 2014-11-03 2016-05-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Swing locking device for vehicle sliding door
CN112848853A (en) * 2019-11-12 2021-05-28 现代自动车株式会社 Vehicl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CN112848853B (en) * 2019-11-12 2024-05-24 现代自动车株式会社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9057309A1 (en) * 2009-12-07 2011-06-09 Dura Automotive Body & Glass Systems Gmbh Vehicle with a sliding door
KR101256991B1 (en) 2011-06-21 2013-04-26 주식회사 광진 Opening and closing door for car
KR101382688B1 (en) 2012-09-17 2014-04-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Connecting structure of sliding door and swing door for vechicle
JP2018203076A (en) * 2017-06-05 2018-12-27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Guide roller unit and slide door device for vehicle
US11002054B2 (en) * 2018-11-09 2021-05-1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liding door mechanism
CN110094134A (en) * 2019-05-14 2019-08-06 清华大学 A kind of advancing slip sliding door system of big aperture of car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5060Y2 (en) * 1975-02-06 1981-04-09
JPS5515308A (en) * 1978-07-17 1980-02-02 Kanto Jidosha Kogyo Kk Sliding door holder for rolling stock
JP3443622B2 (en) 1996-12-18 2003-09-08 日野自動車株式会社 Sliding door for vehicle
JP2002266554A (en) 2001-03-12 2002-09-18 Kanto Auto Works Ltd Sliding door for automobile
US6779832B2 (en) 2002-03-19 2004-08-24 Wagon Engineering, Inc. Side door assembly
JP2003320964A (en) * 2002-05-01 2003-11-11 Mitsubishi Automob Eng Co Ltd Floor structure for swing slide door-attaching part
AT500017B8 (en) * 2003-01-21 2007-02-15 Knorr Bremse Gmbh SWIVEL SLIDING DOOR FOR VEHICLES
AT501468B8 (en) * 2005-02-17 2007-02-15 Knorr Bremse Gmbh SWING SLIDING
JP4658694B2 (en) * 2005-05-31 2011-03-23 株式会社ミツバ Vehicle door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JP4404045B2 (en) * 2005-11-21 2010-01-27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Auto swing sliding door system
JP4492550B2 (en) * 2006-01-27 2010-06-30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Swing slide door routing structur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1361A (en) * 2014-11-03 2016-05-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Swing locking device for vehicle sliding door
CN112848853A (en) * 2019-11-12 2021-05-28 现代自动车株式会社 Vehicl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CN112848853B (en) * 2019-11-12 2024-05-24 现代自动车株式会社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513827A (en) 2009-08-26
JP5020853B2 (en) 2012-09-05
JP2009190697A (en) 2009-08-27
CN101513827B (en) 2012-08-29
KR100999734B1 (en) 2010-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9734B1 (en)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of swing slide door
KR100976315B1 (en) Swinging and sliding door opening and closing system
JP4404045B2 (en) Auto swing sliding door system
CN101184652B (en) Load compartment covering for a vehicle
JP5041423B2 (en) Door lock device
JP4492550B2 (en) Swing slide door routing structure
JP2007217998A (en) Swinging sliding device
US7182569B2 (en) Auto rack deck hinge arrangement
JP2951650B1 (en) Movable home fence equipment
JP4544138B2 (en) Swing slide door
JP2009132334A (en) Cable routing structure for door
JP5144218B2 (en) Swing slid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JP4858405B2 (en) Swing slid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JP2009083666A (en) Cover structure of swing sliding door
JP2010167873A (en) Cover structure of door opening-closing device
JP2010064594A (en) Cover structure for door opening/closing device
JP2006045888A (en) Platform door locking device
JP2009184508A (en) Sealing device of door
JP5156430B2 (en) Door lock device
JP4985596B2 (en) Slide door cover structure
JP2009083669A (en) Cover structure of swing sliding door
JP2009083667A (en) Cover structure of swing sliding door
JP2007137269A (en) Swing slide unit cover
JP2010064657A (en) Cover structure for slide door
CN115593200A (en) Vehicle side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