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6991B1 - Opening and closing door for car - Google Patents

Opening and closing door for ca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6991B1
KR101256991B1 KR1020110060233A KR20110060233A KR101256991B1 KR 101256991 B1 KR101256991 B1 KR 101256991B1 KR 1020110060233 A KR1020110060233 A KR 1020110060233A KR 20110060233 A KR20110060233 A KR 20110060233A KR 101256991 B1 KR101256991 B1 KR 1012569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oupled
lever
door fram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023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140477A (en
Inventor
정배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광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광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광진
Priority to KR10201100602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6991B1/en
Publication of KR20120140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4047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69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699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6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slidable;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6Devices for limiting the opening movement of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05D5/0207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for attachment to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개폐도어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용 개폐도어에 있어서,
슬라이드 캐리지;
일측은 도어 프레임에 힌지식으로 결합되며, 타측은 상기 슬라이드 캐리지에 힌지식으로 결합되는 회전레버;
타측은 상기 슬라이드 캐리지에 힌지식으로 결합되는 구동레버;
일측은 상기 도어 프레임에 힌지식으로 결합되며 타측은 상기 구동레버의 일측에 힌지식으로 결합될 수 있는 매개레버; 및
상기 구동레버의 일측이 이동하는 이동경로 중 일정구간에서 상기 구동레버의 일측이 착탈식으로 상기 도어 프레임에 피벗식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걸림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개폐도어에 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 opening and closing door, and more particularly in a car opening and closing door,
Slide carriage;
One side is hingedly coupled to the door frame, the other side is a rotary lever hingedly coupled to the slide carriage;
The other side is a drive lever hingedly coupled to the slide carriage;
One side is hingedly coupled to the door frame and the other side is an intermediate lever that can be hinged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drive lever; And
And a locking member for allowing one side of the driving lever to be detachably pivotally coupled to the door frame in a predetermined section of the movement path in which one side of the driving lever moves. will be.

Figure R1020110060233
Figure R1020110060233

Description

자동차용 개폐도어{Opening and closing door for car}Opening and closing door for car}

본 발명은 자동차용 개폐도어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좁은 공간에서 도어의 개폐가 가능한 자동차용 개폐도어에 대한 것입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 opening and closing do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ar opening and closing door that can open and close the door in a narrow space.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도어는 스윙운동을 기반으로 하여 개폐가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있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자동차용 도어는 제조단가가 저렴하면서도 도어의 개폐를 용이하게 하여 많이 이용되고 있다.In general, the car door is designed to be opened and closed based on the swing movement. Such conventional doors for automobiles have been widely used because they are easy to open and close the doors at a low manufacturing cost.

그러나, 우리나라의 실정상 좁은 공간에서 문을 개폐해야 하는 경우가 많은데, 특히 자동차를 주차하는 경우 옆의 자동차와의 간격이 충분하지 못하여 운전자 내지는 탑승자가 자동차로부터 빠져나가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Korea, many doors need to be opened and closed in a narrow space. In particular, when parking a car, there is a problem that a driver or a passenger cannot easily get out of the car due to insufficient distance from the next car.

이에 따라서 최근 슬라이딩 방식으로 자동차용 도어를 개발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어왔다. 특히 RV 차량에서 많이 이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슬라이딩 방식은 도어가 차량의 후방으로 완전하게 밀려나가기 때문에 스윙방식의 도어에 비하여 좁은 공간에서도 탑승자가 쉽게 자동차로부터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고 있다.Accordingly, there have been attempts to develop automobile doors in a sliding manner. In particular, it is widely used in RV vehicles, and this sliding method allows the occupant to easily get out of the vehicle even in a narrow space compared to the swing-type door because the door is completely pushed to the rear of the vehicle.

또한, 이러한 슬라이딩 방식의 도어는 개방성이 스윙방식에 비하여 탁월하여 승하차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uch a sliding door has an advantage that the openness is easier to get on and off than the swing method.

특히 RV 차량과 같이 전체적인 형태가 사각형의 박스형태로 이루어진 차량의 경우에는 슬라이딩을 위한 레일을 설치할 공간이 충분히 나오기 때문에 슬라이딩 방식의 도어의 제작이 용이하였다. 그러나 승용차의 경우에는 최근 공기저항을 줄이고자 유선형의 형태로 제작하는 경우가 빈번하고 특히 후방의 미려함을 위하여 후방 차체를 유선형으로 제작하는 경우가 많아서 이러한 레일을 설치할 공간이 부족하다는 단점이 있다.Particularly, in the case of a vehicle in which the overall shape is a rectangular box shape such as an RV vehicle, the sliding door is easily manufactured because a space for installing a rail for sliding comes out. However, in the case of passenger cars, in recent years, in order to reduce the air resistance is often produced in a streamlined form, in particular, the rear body is often produced in a streamlined form for the beauty of the rear has a disadvantage that there is a lack of space to install these rails.

또한, 뒷자석 측의 도어는 앞자석 측의 도어에 의하여 일부 전방측이 가려지기 때문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제작하기 용이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어 왔다. In addition, the door of the rear magnet side has a disadvantage that it is not easy to manufacture in a sliding manner because some front side is covered by the door of the front magnet side.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에 쉽게 슬라이딩 방식의 도어를 설치할 수 있도록 설계하여 좁은 공간에서도 도어의 개폐가 가능한 자동차용 개폐도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more specifically, it is designed to install a sliding door easily in an automobile,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n opening / closing door for an automobile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even in a narrow space. .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동차용 개폐도어는, Automotive opening and closing door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자동차용 개폐도어에 있어서,In the car opening and closing door,

슬라이드 캐리지;Slide carriage;

일측은 도어 프레임에 힌지식으로 결합되며, 타측은 상기 슬라이드 캐리지에 힌지식으로 결합되는 회전레버;One side is hingedly coupled to the door frame, the other side is a rotary lever hingedly coupled to the slide carriage;

타측은 상기 슬라이드 캐리지에 힌지식으로 결합되는 구동레버;The other side is a drive lever hingedly coupled to the slide carriage;

일측은 상기 도어 프레임에 힌지식으로 결합되며 타측은 상기 구동레버의 일측에 힌지식으로 결합될 수 있는 매개레버; 및One side is hingedly coupled to the door frame and the other side is an intermediate lever that can be hinged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drive lever; And

상기 구동레버의 일측이 이동하는 이동경로 중 일정구간에서 상기 구동레버의 일측이 착탈식으로 상기 도어 프레임에 피벗식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걸림부재;를 포함한다.And a locking member for allowing one side of the driving lever to be detachably pivotally coupled to the door frame in a predetermined section of the movement path in which one side of the driving lever moves.

상기 자동차용 개폐도어에서,In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for the car,

상기 걸림부재는,The locking member,

구동레버의 일측이 이동하는 이동경로 상에 마련되며 상기 도어 프레임에 배치되는 걸림부; 및A catching part disposed on the moving path, wherein one side of the driving lever is moved; And

상기 구동레버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걸림부에 착탈식으로 걸어맞춰 결합될 수 있는 걸림턱;을 포함할 수 있다.It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drive lever and the locking step that can be coupled to the removable engaging portion.

상기 자동차용 개폐도어에서,In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for the car,

상기 걸림부는 소정의 내경을 가지는 홈이며,The locking portion is a groove having a predetermined inner diameter,

상기 걸림턱은 상기 걸림부 내에 삽입되어 결합되거나 걸림부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으며 탄성부재에 의하여 탄력지지되는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The locking jaw may be inserted into the locking portion to be coupled or escape from the locking portion and may include a protrusion that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elastic member.

상기 자동차용 개폐도어는,The car opening and closing door,

차체에 배치된 힌지핀; 및Hinge pins disposed on the vehicle body; And

도어가 열릴 때 상기 힌지핀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며 일정구간 이후부터는 상기 힌지핀으로부터 이탈되며, 도어가 닫힐 때 상기 힌지핀에 결합되어 도어 프레임의 일측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결합형 힌지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door is opened, it mov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long the hinge pin, and after a certain period is separated from the hinge pin, when the door is closed is coupled to the hinge pin to guide the one side of the door frame to mov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t may include a link.

상기 자동차용 개폐도어에서,In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for the car,

상기 힌지핀은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차체에 결합될 수 있다.The hinge pin may be coupled to the vehicle body so as to slid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상기 자동차용 개폐도어에서,In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for the car,

상기 슬라이드 캐리지가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드 캐리지를 수평방향으로 이동하게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The slide carriage may include a guide rail coupled to guide the slide carriage to mov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본 발명은 다절의 힌지구조를 사용하여 자동차, 특히 승용차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슬라이딩 타입의 자동차용 개폐도어를 제공하여 좁은 공간에서도 용이하게 자동차용 도어를 개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liding type opening and closing door for a vehicle, in particular a passenger car, by using a hinge structure of a plurality of hinges to easily open and close the car door in a narrow spac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개폐도어의 개념도.
도 2는 도 1에서 최초 동작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2의 Ⅲ-Ⅲ 단면도.
도 4는 도 2의 다음 동작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4의 다음 동작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5의 다음 동작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n opening and closing door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n initial operation in FIG.
3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II of FIG. 2;
4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the next operation of FIG.
5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the next operation of FIG.
6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the next operation of FIG.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개폐도어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개폐도어(10)는, 가이드 레일(20), 슬라이드 캐리지(30), 회전레버(40), 구동레버(50), 매개레버(60), 걸림부재(70), 힌지핀(80), 결합형 힌지링크(90)를 포함한다.Opening and closing door 10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uide rail 20, the slide carriage 30, the rotary lever 40, the drive lever 50, the intermediate lever 60, the locking member ( 70), the hinge pin 80, the coupling hinge link (90).

상기 가이드 레일(20)은, 차체(12)에 설치되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된 슬라이드를 위한 레일이다. 이러한 가이드 레일(20)은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앙판넬(21), 상기 중앙판넬(21)의 상단으로부터 절곡되는 상측절곡부(22), 상기 중앙판넬(21)의 하단으로부터 절곡되는 하측절곡부(23)를 포함한다. 이러한 가이드 레일(20)에는 슬라이드 캐리지(30)가 결합되어 있게 된다.The guide rail 20 is a rail for the slide installed on the vehicle body 12 and installed to exten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guide rail 20 has a central panel 21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an upper bent portion 22 that is bent from the upper end of the central panel 21, a lower bent portion that is bent from a lower end of the center panel 21. And (23). The slide carriage 30 is coupled to the guide rail 20.

상기 슬라이드 캐리지(30)는, 상기 가이드 레일(2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것이다. 이러한 슬라이드 캐리지(30)는 도어를 전체적으로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slide carriage 30 is slidably coupled to the guide rail 20. The slide carriage 30 performs a function of guiding the door to mov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s a whole.

상기 슬라이드 캐리지(30)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의 형태로 이루어지되 중앙상단에는 상기 상측절곡부(22)에 슬라이드될 수 있는 상측바퀴(31)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중앙하단에는 하측절곡부(23)에 슬라이드될 수 있는 하측바퀴(32)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The slide carriage 30 is made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as a whole, but an upper wheel 31 that can be slid to the upper bent portion 22 is rotatably installed at a central upper end, and a lower bent portion 23 at a center lower end. The lower wheel 32 which can be slid is rotatably installed.

또한, 상기 슬라이드 캐리지(30)의 일측에는 회전레버(40) 및 구동레버(50)가 힌지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레버(40) 및 구동레버(50)는 상기 슬라이드 캐리지(30)에 지지된 상태에서 회전운동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a rotation lever 40 and a driving lever 50 are hinged to one side of the slide carriage 30, and the rotation lever 40 and the driving lever 50 are supported by the slide carriage 30. You can rotate in.

상기 회전레버(40)는, 일측은 도어 프레임(11)에 힌지식으로 결합되며 타측은 슬라이드 캐리지(30)에 힌지식으로 결합되는 것이다. 이러한 회전레버(40)는 상기 도어 프레임(11)이 회전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회전레버(40)의 타측은 후술하는 구동레버(50)의 타측에 비하여 다소 높은 위치에서 상기 슬라이드 캐리지(30)에 힌지결합된다. 이러한 회전레버(40)는 일측과 타측이 직선형으로 연결되는 바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rotary lever 40, one side is hingedly coupled to the door frame 11 and the other side is hingedly coupled to the slide carriage (30). The rotation lever 40 performs a function of guiding the door frame 11 to rotate. On the other hand, the other side of the rotary lever 40 is hinged to the slide carriage 30 at a somewhat higher position than the other side of the drive lever 50 to be described later. The rotary lever 4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bar that is connected to one side and the other side in a straight line.

상기 구동레버(50)는, 일측은 매개레버(60)에 힌지식으로 결합되며 타측은 상기 슬라이드 캐리지(30)에 힌지식으로 결합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동레버(50)는 도어의 개방초기에는 도어 프레임(11)의 회전이동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다가 개방이 일방 진행된 후에는 도어 프레임(11)에 일측이 힌지식으로 결합됨으로서 전체적으로 도어 프레임(11)이 4절 링크 운동을 수행하게 한다.The drive lever 50, one side is hingedly coupled to the intermediate lever 60 and the other side is hingedly coupled to the slide carriage (30). The driving lever 50 does not affect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door frame 11 at the initial opening of the door, but after the opening is performed in one direction, one side of the driving lever 50 is hingedly coupled to the door frame 11. ) Perform a section 4 link exercise.

이러한 구동레버(50)는 일측과 타측이 직선형으로 연결되는 바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driving lever 5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bar in which one side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in a straight line.

상기 매개레버(60)는 일측이 상기 도어 프레임(11)에 힌지식으로 결합되며 타측은 상기 구동레버(50)의 일측에 힌지식으로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매개레버(60)는 상기 구동레버(50)와 함께 회전운동하면서 상기 구동레버(50)의 일측이 도어의 개방정도에 따라서 도어 프레임(11)의 걸림부(72)에 걸릴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도어 프레임(11)이 2절 링크 운동에서 4절 링크운동으로 전환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The intermediate lever 60 is one side is hingedly coupled to the door frame 11 and the other side can be hinged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drive lever 50. The intermediate lever 60 has a function of allowing one side of the driving lever 50 to be caught by the locking portion 72 of the door frame 11 according to the opening degree of the door while rotating with the driving lever 50. Do this. That is, the door frame 11 performs a function of inducing the switch from the 2-section link movement to the 4-section link movement.

이러한 매개래버는 상기 구동레버(50)에 비하여 길이가 비교적 짧은 바의 형태로 이루어지되, 일측과 타측이 서로 직선형태로 연결되는 바의 형태로 이루어진다.The intermediate lever is made in the form of a bar having a relatively short length compared to the driving lever 50, and is made in the form of a bar in which one side and the other side are connected in a straight line to each other.

상기 걸림부재(70)는, 상기 구동레버(50)의 일측이 이동하는 이동경로 중 일정구간에서 상기 구동레버(50)의 일측이 착탈식으로 상기 도어 프레임(11)에 피벗식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locking member 70 may be pivotally coupled to the door frame 11 in one side of the driving lever 50 in a predetermined section of the moving path in which one side of the driving lever 50 moves. It is.

이러한 걸림부재(70)는, 구동레버(50)의 일측이 이동하는 이동경로 상에 마련되며 상기 도어 프레임(11)에 배치되는 걸림부(72) 및 상기 구동레버(50)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걸림부(72)에 착탈식으로 걸어맞춤되어 결합될 수 있는 걸림턱(71)을 포함한다.The locking member 70 is provided on a moving path of which one side of the driving lever 50 moves and is disposed at one side of the locking portion 72 and the driving lever 50 disposed on the door frame 11. It includes a locking jaw 71 that can be coupled to the engaging portion 72 detachably.

이때 상기 걸림부(72)는 소정의 내경을 가지는 홈이며, 걸림턱(71)은 상기 걸림부(72) 내에 삽입되어 결합되거나 상기 걸림부(72)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으며 탄성부재(74)에 의하여 탄력지지되는 돌기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locking portion 72 is a groove having a predetermined inner diameter, and the locking jaw 71 may be inserted into the locking portion 72 to be coupled or escape from the locking portion 72. It may be a protrusion supported by elasticity.

구체적으로 상기 돌기는 구동레버(50)의 일측과 매개레버(60)의 타측을 서로 힌지결합하는 핀부재(73) 내부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핀부재(73)는 내부에 소정의 공간에 형성되어 있고 외측에는 상기 구동레버(50) 및 매개레버(60)를 접촉하고 있게 된다. 상기 힌지핀(80)의 상단 및 하단은 외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구동레버(50) 및 매개레버(60)가 상기 힌지핀(8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Specifically, the protrusion is disposed in the pin member 73 which hinges one side of the driving lever 50 and the other side of the intermediate lever 60, the pin member 73 is formed in a predetermined space therein It is in contact with the driving lever 50 and the intermediate lever 60 on the outside.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hinge pin 80 are bent outwards to prevent the driving lever 50 and the intermediate lever 6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hinge pin 80.

상기 핀부재(73)의 내부공간은 하측으로 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개구의 주변은 핀부재(73) 내부의 공간보다 좁은 폭을 가지도록 구성된다.The inner space of the pin member 73 has an opening formed downward, and the periphery of the opening is configured to have a narrower width than the space inside the pin member 73.

상기 걸림턱(71)으로 사용되는 돌기는 전체적으로 일단은 상기 개구에 걸릴 수 있도록 구성되고 타측은 대략 반구형태로 이루어지되 상기 일단과 타단은 봉형태의 구조로 연결되어 있게 된다. 이러한 돌기의 타단은 상기 걸림부(72)로 사용되는 홈의 내경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그 외경이 상기 홈의 내경보다 다소 작은 것도 가능하다.The projection used as the locking jaw 71 is configured so that one end can be caught in the opening as a whole, and the other side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hemispherical shape, the one end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in a rod-like structure. The other end of the protrusion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groove used as the engaging portion 72, the outer diameter may be somewhat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groove.

이러한 돌기는 상기 구동레버(50)가 회전이동하는 과정에서 도어 프레임(11)의 표면을 미끄러지듯이 이동하다가 상기 걸림부(72)인 홈과 만나는 경우에는 상기 홈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구동레버(50)의 힌지축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한다.Such protrusions slide on the surface of the door frame 11 during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driving lever 50 and are inserted into the groove when the driving lever 50 meets the groove which is the locking portion 72. It can act as a hinge axis of).

상기 힌지핀(80)은, 차체(12)에 배치되며 차체(12)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힌지핀(80)은 차체(12)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슬라이딩부(81)에 마련되어 있으며 후술하는 결합형 힌지링크(90)와 함께 도어 프레임(11)의 수평방향 이동을 안내한다.The hinge pin 80 is disposed on the vehicle body 12 and slidably coupled to the vehicle body 12 in a horizontal direction. Specifically, the hinge pin 80 is provided on the sliding portion 81 which is slidably movable with respect to the vehicle body 12, and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door frame 11 together with the hinge hinge link 90 to be described later. To guide.

상기 결합형 힌지링크(90)는 도어가 열릴 때 상기 힌지핀(80)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며 일정구간 이후부터는 상기 힌지핀(8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다. 또한 도어가 닫힐 때에는 상기 힌지핀(80)에 결합되어 도어 프레임(11)의 일측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것이다. 이러한 결합형 힌지링크(90)는 대략 U 형태로 이루어지며 도어 프레임(11)의 전방 측에 배치될 수 있다.The coupled hinge link 90 moves horizontally along the hinge pin 80 when the door is opened and is separated from the hinge pin 80 after a certain period. In addition, when the door is closed, it is coupled to the hinge pin 80 to guide one side of the door frame 11 to mov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coupling hinge link 90 may have a substantially U shape and may be disposed at the front side of the door frame 11.

이러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개폐도어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The opening and closing door for a vehic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as follows.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가 개폐상태에서 도어를 개방시키게 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프레임(11)은 회전레버(40)에 의하여 회전하게 된다. 이와 함께 도어 프레임(11)의 일측은 결합형 힌지링크(90)가 힌지핀(80)에 의하여 안내되면서 수평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First, as shown in FIG. 1, when the door is opened in an open / closed state, as shown in FIG. 2, the door frame 11 is rotated by the rotation lever 40. In addition, one side of the door frame 11 is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hile the coupling hinge link 90 is guided by the hinge pin (80).

즉, 도어 프레임(11)의 일측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도어 프레임(11)의 타측은 회전레버(40)에 의하여 2절 링크 운동을 하게 된다. 이때, 구동레버(50) 및 매개레버(60)는 도어 프레임(11)의 운동에는 별도의 영향을 미치지 않고 다만 구동레버(50) 및 매개레버(60)는 소정의 회전운동을 하게 된다. 한편, 이때 구동레버(50)의 일측에 배치된 걸림턱(71)인 돌기는 소정의 이동경로를 따라서 이동하는 데 상기 돌기는 도어 프레임(11)의 표면과 접촉하면서 위치이동하게 되고,That is, one side of the door frame 11 is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other side of the door frame 11 is a two-section link movement by the rotary lever 40. At this time, the driving lever 50 and the intermediate lever 60 does not affect the movement of the door frame 11 separately, but the driving lever 50 and the intermediate lever 60 perform a predetermined rotational movement. On the other hand, at this time, the projection which is the locking jaw 71 disposed on one side of the driving lever 50 moves along a predetermined movement path, and the projection moves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door frame 11.

한편, 도 2에서는 걸림턱(71)인 돌기가 상기 걸림부(72)인 홈에 삽입되어 상기 도어 프레임(11)이 전체적으로 4절 링크운동을 시작할 수 있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in Figure 2 the projection of the locking jaw 71 is inserted into the groove of the locking portion 72 so that the door frame 11 can start the four-section link movement as a whole.

도어가 더 개방되면, 도어 프레임(11)의 일측인 결합형 힌지링크(90)는 힌지핀(80)으로부터 이탈되고 더 이상 도어 프레임(11)의 일측이 힌지핀(80)에 의하여 수평방향 이동하는 것을 해제시킨다. 이와 함께 상기 도어 프레임(11)은 전체적으로 4절 링크운동을 시작하게 된다.When the door is further opened, the combined hinge link 90, which is one side of the door frame 11, is separated from the hinge pin 80, and one side of the door frame 11 is further moved horizontally by the hinge pin 80. Release what you do. In addition, the door frame 11 starts a four-section link movement as a whole.

예를 들어, 도어 프레임(11)은 회전레버(40)에 의한 회전 및 구동레버(50)를 통한 회전을 동시에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회전레버(40)는 슬라이드 캐리지(30) 및 도어 프레임(11)과의 힌지결합에 의한 회전운동을 유도하고, 상기 구동레버(50)는 슬라이드 캐리지(30) 및 도어 프레임(11)과의 힌지결합에 의한 회전운동을 유도한다.For example, the door frame 11 is to perform the rotation by the rotation lever 40 and the rotation through the drive lever 50 at the same time. Specifically, the rotary lever 40 induces a rotational movement by the hinge coupling with the slide carriage 30 and the door frame 11, the drive lever 50 is the slide carriage 30 and the door frame 11 Induces rotational movement by hinge coupling with).

이때 상기 구동레버(50)와 도어 프레임(11)은 걸림턱(71)인 돌기를 회전중심으로 하여 힌지운동을 가능하게 한다.At this time, the driving lever 50 and the door frame 11 can be hinged by the rotation center of the projection which is the locking step 71.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4절 링크운동이 마무리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캐리지(30)가 가이드 레일(20)을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상기 도어 프레임(11)을 수평방향으로 이동하게 한다. 슬라이드 캐리지(30)를 수평방향으로 적절하게 이동시키면 도어의 개방은 완료되는 것이다.Meanwhile, as shown in FIG. 5, when the four-section link movement is completed, as shown in FIG. 6, the slide carriage 30 slides along the guide rail 20 to move the door frame 11 in the horizontal direction. Let's do it. When the slide carriage 30 is properly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opening of the door is completed.

한편, 도어의 폐쇄는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도 1 내지 6와는 역순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도 6의 상태에서 도 5의 상태로 도어 프레임(11)이 슬라이드 이동하다가, 도 4의 상태와 같이 4절 링크 운동을 하면서 도어 프레임(11)이 회전운동을 수행하면서 도 3의 상태로 유지된다. 이후에 걸림부(72)와 걸림턱(71)은 서로 이탈되면서 즉, 돌기가 홈으로부터 이탈되면서 구동레버(50)와 회전레버(40)에 의한 4절 링크운동이 회전레버(40)에 의한 2절 링크운동으로 변환되면서 도 2의 상태로 복귀되고, 이와 함께 상기 결합형 힌지링크(90)는 힌지핀(80)에 걸리게 된다. 이후에는 상기 회전레버(40)에 의한 2절 링크운동이 시작되면서 도어 프레임(11)은 일측은 힌지핀(80) 및 결합형 힌지링크(90)에 의하여 수평방향으로의 슬라이드 이동이 시작되면서 도어의 폐쇄를 마무리하게 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closing of the door is not shown separately, but in the reverse order to Figures 1 to 6. First, the door frame 11 slides from the state of FIG. 6 to the state of FIG. 5, while the door frame 11 performs the four-section link movement as shown in FIG. maintain. Thereafter, the locking portion 72 and the locking jaw 71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at is, the four-way link motion by the driving lever 50 and the rotating lever 40 is moved by the rotary lever 40 as the protrusion is separated from the groove. It is returned to the state of FIG. 2 while being converted to a two-section link motion, and the coupled hinge link 90 is caught by the hinge pin 80. Thereafter, the two-section link movement is started by the rotary lever 40, and the door frame 11 has one side of the door by the hinge pin 80 and the coupled hinge link 90. Will close the closure.

이러한 본 발명의 자동차용 개폐도어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The opening and closing door for a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먼저, 본 발명의 자동차용 개폐도어는, 후방도어에 사용되었을 때에도 도어의 개폐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즉, 앞자석 측에 배치된 전방도어에 비하여 뒷자석 측에 배치된 후방도어는, 전방도어의 후방 측이 일부구간을 덮고 있어서 그 도어 프레임의 전방이 바로 회전운동을 시작하기 어렵다. 이에 따라서 도어 프레임의 전방은 힌지핀 및 결합형 힌지링크에 의하여 수평방향으로 이동을 유도하여 일정구간에서는 도어 프레임을 뒤로 밀리게 함으로서 전방도어 측에 걸리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도어 프레임의 후방측은 회전레버에 의하여 회전함으로서 도어 프레임이 회전을 하기 위한 위치를 마련한다.First,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for a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facilitat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even when used in the rear door. That is, compared to the front door disposed on the front magnet side, the rear door disposed on the rear magnet side has a rear side of the front door covering some sections, so that the front of the door frame does not immediately start the rotational movement. Accordingly, the front of the door frame is guid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y the hinge pin and the engaging hinge link to prevent the door frame from being caught on the front door side by pushing the door frame backward in a certain section, and the rear side of the door frame is rotated. Rotation by the lever provides a position for the door frame to rotate.

또한, 전방도어에 의한 간섭이 없어진 경우에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핀과 결합형 힌지링크가 서로 이탈되면서 수평방향의 이동은 제거하고 이와 함께 도어를 4절 링크구조로서 도어의 개방각도를 감소시킨다. 즉, 만일 계속적으로 회전레버에 의한 2절링크구조만이 이용된다면 도어의 회전각도가 커지게 되거나, 도어 프레임의 전방이 외측으로 돌출되게 되어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에 반해서 4절 링크 구조로서 회전운동을 수행하게 하여 도어 프레임이 완만한 커브를 그리면서 오픈될 수 있도록 하였다.In addition, when the interference by the front door is eliminated, as shown in Figure 4, the hinge pin and the coupled hinge link is separated from each other to remove the horizontal movement and the door opening angle of the door as a four-section link structure with this Decreases. That is, if only the two-link structure by the rotary lever is used continuously, the rotation angle of the door is increased, or the front of the door frame is not preferable because it protrudes outward. On the contrary, it is possible to open the door frame while drawing a gentle curve by performing a rotational movement as a four-section link structure.

이에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개폐도어는 좁은 구간에서도 쉽게 도어가 개방될 수 있게 하며, 특히 전방도어에 의하여 일부구간이 중첩된 후방도어에 적용되는 경우에도 용이하게 도어의 개방을 가능하게 한다는 장점이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llows the door to be easily opened even in a narrow section, and in particular, the door can be easily opened even when applied to the rear door in which some sections are overlapped by the front door. The advantage is that.

또한, 특히 RV 차량이 아닌 일반 승용차에 적용되는 경우에도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서 스윙반경을 줄이면서 도어를 개방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게 된다.In addition, in particular, even when applied to a general passenger vehicle other than an RV vehicle, a relatively simple structure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open the door while reducing the swing radius.

이러한 본 발명의 자동차용 개폐도어는 다음과 같이 변형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opening and closing door for a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as follows.

본 발명의 자동차용 개폐도어에는 걸림턱이 걸림부에 걸린 후에 그 걸림턱을 걸림부로부터 이탈시키기 용이한 해제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즉, 걸림턱이 걸림부에 걸린 상태에서 걸림턱으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도록 상기 걸림턱을 밀어주는 해제수단이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해제수단은, 스윙의 각도에 따라서 반응하여 예컨데, 도 2에서 도 1로 도어 프레임이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걸림턱을 걸림부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도록 상기 걸림턱을 밀어주는 구성이 될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이 기계적인 수단이외에도 별도의 전자적인 수단을 사용하여 적절한 타이밍에서 상기 걸림턱과 걸림부의 해제를 유도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opening and closing door for a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release means for easily detaching the locking step from the locking part after the locking step is caught in the locking part. That is, a release means for pushing the locking jaw may be provided so that the locking jaw can escape from the locking jaw in the state caught in the locking portion. Such a release means may be configured to push the locking step in response to the swing angle, for example, in order to exit the locking step from the locking part while the door frame moves from FIG. 2 to FIG. 1. However, in addition to the mechanical means, it is also possible to induce the release of the locking step and the locking portion at an appropriate timing by using a separate electronic means.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걸림부를 홈으로 설명하고, 걸림턱을 돌기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걸림부를 요철로 하고 걸림턱을 상기 요철에 걸릴 수 있는 돌기로 한정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외에 걸림부를 돌기로 하고 상기 걸림턱은 홈으로 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외에 다양한 착탈식 걸림수단을 걸림부재로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locking portion is described as a groove, and the locking jaw is described as turning.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turn the locking portion and the locking jaw to be a groove. 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use a variety of removable locking means as a locking member.

이상에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 및 변형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by way of example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and modifications, and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implemented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0...개폐도어 11...도어 프레임
12...차체 20...가이드 레일
21...중앙판넬 22...상측절곡부
23...하측절곡부 30...슬라이드 캐리지
31...상측바퀴 32...하측바퀴
40...회전레버 50...구동레버
60...매개레버 70...걸림부재
71...걸림턱 72...걸림부
73...핀부재 74...탄성부재
80...힌지핀 90...결합형 힌지링크
10 ... opening and closing door 11 ... door frame
12 ... body 20 ... guide rail
21 Center panel 22 Upper bend
23 Lower bend 30 Slide carriage
31 ... upper wheel 32 ... lower wheel
40.Rotating lever 50 ... Drive lever
60 ... intermediate lever 70 ... locking member
71 ... Jalk Jaw 72 ...
73 ... pin member 74 ... elastic member
80 ... Hinge Pins 90 ... Minged Hinge Links

Claims (6)

자동차용 개폐도어에 있어서,
슬라이드 캐리지;
일측은 도어 프레임에 힌지식으로 결합되며, 타측은 상기 슬라이드 캐리지에 힌지식으로 결합되는 회전레버;
타측은 상기 슬라이드 캐리지에 힌지식으로 결합되는 구동레버;
일측은 상기 도어 프레임에 힌지식으로 결합되며 타측은 상기 구동레버의 일측에 힌지식으로 결합될 수 있는 매개레버; 및
상기 구동레버의 일측이 이동하는 이동경로 중 일정구간에서 상기 구동레버의 일측이 착탈식으로 상기 도어 프레임에 피벗식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걸림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개폐도어.
In the car opening and closing door,
Slide carriage;
One side is hingedly coupled to the door frame, the other side is a rotary lever hingedly coupled to the slide carriage;
The other side is a drive lever hingedly coupled to the slide carriage;
One side is hingedly coupled to the door frame and the other side is an intermediate lever that can be hinged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drive lever; And
And a locking member which allows one side of the driving lever to be detachably pivotally coupled to the door frame in a predetermined section of the movement path in which one side of the driving lever is mov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는,
구동레버의 일측이 이동하는 이동경로 상에 마련되며 상기 도어 프레임에 배치되는 걸림부; 및
상기 구동레버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걸림부에 착탈식으로 걸어맞춰 결합될 수 있는 걸림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개폐도어.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A catching part disposed on the moving path, wherein one side of the driving lever is moved; And
And a latching jaw disposed at one side of the driving lever, the locking jaw being able to be coupled to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locking por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소정의 내경을 가지는 홈이며,
상기 걸림턱은 상기 걸림부 내에 삽입되어 결합되거나 걸림부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으며 탄성부재에 의하여 탄력지지되는 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개폐도어.
The method of claim 2,
The locking portion is a groove having a predetermined inner diameter,
The locking jaw is an opening and closing door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portion can be coupled or escape from the locking portion and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elastic member.
제1항에 있어서,
차체에 배치된 힌지핀; 및
도어가 열릴 때 상기 힌지핀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며 일정구간 이후부터는 상기 힌지핀으로부터 이탈되며,
도어가 닫힐 때 상기 힌지핀에 결합되어 도어 프레임의 일측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결합형 힌지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개폐도어.
The method of claim 1,
Hinge pins disposed on the vehicle body; And
When the door is opened, it moves horizontally along the hinge pin and is separated from the hinge pin after a certain period.
When the door is closed,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oor for a vehicle comprising a hinge hinge link coupled to the hinge pin to guide one side of the door frame to mov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핀은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차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개폐도어.
5. The method of claim 4,
The hinge pin is a vehicle opening and closing door,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the vehicle body to be slidab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캐리지가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드 캐리지를 수평방향으로 이동하게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개폐도어.
The method of claim 1,
The slide carriage is coupled to the vehicle doo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guide rail for guiding the slide carriage to mov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KR1020110060233A 2011-06-21 2011-06-21 Opening and closing door for car KR10125699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0233A KR101256991B1 (en) 2011-06-21 2011-06-21 Opening and closing door for ca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0233A KR101256991B1 (en) 2011-06-21 2011-06-21 Opening and closing door for ca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40477A KR20120140477A (en) 2012-12-31
KR101256991B1 true KR101256991B1 (en) 2013-04-26

Family

ID=47906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0233A KR101256991B1 (en) 2011-06-21 2011-06-21 Opening and closing door for ca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6991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5244A (en) 1999-05-31 2000-12-05 Psg:Kk Passenger vehicle
KR20090043127A (en) * 2007-10-29 2009-05-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of tail gate for vehicle
KR100999734B1 (en) 2008-02-18 2010-12-08 가부시끼가이샤 안세이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of swing slide do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5244A (en) 1999-05-31 2000-12-05 Psg:Kk Passenger vehicle
KR20090043127A (en) * 2007-10-29 2009-05-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of tail gate for vehicle
KR100999734B1 (en) 2008-02-18 2010-12-08 가부시끼가이샤 안세이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of swing slide do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40477A (en) 2012-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4607B1 (en) Coach door of vehicle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regardless of order
JP5118820B2 (en) Automotive sliding door
US7334833B2 (en) Tailgate assembly
KR101673339B1 (en) Swing locking device for vehicle sliding door
US8807626B2 (en) Linear type center rail link structure of sliding door for vehicle
US20150033503A1 (en) Vehicle door opening/closing device
US9695614B2 (en) Door outside handle
US20140237901A1 (en) Linear center rail link structure of sliding door for vehicle
JP2008190199A (en) Vehicle door opening/closing structure
KR100828820B1 (en) Hold open Lock structure of sliding door
CN105216704A (en) Armrest lock
JP2016527131A (en) Automotive window closing device having a sliding panel having a handle and a gear movable in parallel with a sliding shaft and corresponding vehicle
JP2008094323A (en) Door opening/closing structure for vehicle
KR101256991B1 (en) Opening and closing door for car
JP4658694B2 (en) Vehicle door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JP2005104173A (en) Arm rest device
JP2008162382A (en) Slide door device
JP2008266938A (en) Sliding door driving device for vehicle
CN210768332U (en) Sliding door and vehicle
KR101362897B1 (en) A open/closing apparatus with dual sliding mechanism for automobile sunroof
KR101926878B1 (en) Door edge protector
RU93343U1 (en) CAR REAR DOOR
JP6479610B2 (en) vehicle
WO2015188863A1 (en) A drive mechanism for a sunroof of a vehicle and a sunroof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6534092B2 (en) Charging port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