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9197A - 미디어파일재생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미디어파일재생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9197A
KR20090089197A KR1020080014613A KR20080014613A KR20090089197A KR 20090089197 A KR20090089197 A KR 20090089197A KR 1020080014613 A KR1020080014613 A KR 1020080014613A KR 20080014613 A KR20080014613 A KR 20080014613A KR 20090089197 A KR20090089197 A KR 200900891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torage medium
media file
loading
load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4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수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146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89197A/ko
Priority to US12/234,289 priority patent/US20090150697A1/en
Publication of KR200900891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91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디어파일재생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저장매체에 저장된 미디어파일 재생 중에 저장매체구동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전원소모를 감소시키는 미디어파일재생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저장매체로부터 미디어파일을 로딩단위로 나누어 독출하는 저장매체구동부(10)와; 상기 저장매체구동부(10)에서 독출된 데이터가 임시로 저장되는 메모리부(20)와; 상기 저장매체구동부(1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40); 그리고 상기 저장매체구동부(10)에서 로딩단위로 독출한 미디어파일을 상기 메모리부(20)에 적재하고, 상기 메모리부(20)의 메모리영역에 접근하여 미디어파일을 재생하는 제어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30)는, 미디어파일의 로딩단위를 상기 메모리부(20)에 적재완료한 때로부터 차순위 로딩단위에 대한 독출명령시까지, 상기 저장매체구동부(10)로의 전원공급이 감소 또는 중단되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저장매체로부터 독출된 미디어파일을 재생하는 동안에 저장매체구동장치로의 전원공급을 중단하여 전력소모를 줄임으로써 모바일 환경에서 미디어파일을 재생하는 경우 배터리의 사용 시간을 연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램, 광디스크, 저장매체

Description

미디어파일재생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laying a media file}
본 발명은 미디어파일재생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저장매체에 저장된 미디어파일 재생 중에 저장매체구동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전원소모를 감소시키는 미디어파일재생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다양한 휴대 저장매체가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휴대 저장매체와 호환되는 각종 전자기기에는 휴대 저장매체에서 데이터를 독출하거나, 저장매체로 데이터를 기입하기 위하여 저장매체 종류별 저장매체구동장치가 구비된다.
예를 들어, CD나 DVD 등의 광 디스크 타입의 저장매체의 재생을 위하여 컴퓨터에 광 디스크 드라이브(ODD, optical disc drive)가 구비되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이와 같은 저장매체구동장치는 지속적으로 전원을 소비한다. 특히 저장매체에 저장된 미디어파일을 재생하는 경우, 미디어파일의 재생 시간 동안 저장매체에 주기적으로 접근하여 데이터를 읽어오기 때문에, 미디어파일의 재생이 종료될 때까지 저장매체구동장치에 전원공급이 지속된다.
특히 위에 예시한 광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의 경우, 내부에 스핀들 모터나 픽업용 모터 등에서 소모하는 전원량이 상당함에도 불구하고, 미디어파일의 재생이 완료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저장매체에 저장된 미디어파일의 재생이 완료될 때까지 저장매체구동장치에 전원공급을 지속하는 경우, 불필요한 전력이 낭비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노트북 컴퓨터와 같이 배터리의 용량에 민감한 모바일 환경에서 미디어파일을 재생하는 경우, 저장매체구동장치에 전원이 계속 공급되어 배터리의 사용 시간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저장매체에 저장된 미디어파일을 재생하는 경우, 저장매체로부터 미디어파일을 옮겨와 램에서 재생함으로써 저장매체구동장치로의 전원공급을 중단할 수 있는 미디어파일재생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노트북 컴퓨터와 같은 모바일 환경에서 동영상을 재생하는 경우, 저장매체구동장치에의 전원공급을 제어함으로써 배터리의 사용 시간을 연장할 수 있는 미디어파일재생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저장매체로부터 미디어파일을 로딩단위로 나누어 독출하는 저장매체구동부와; 상기 저장매체구동부에서 독출된 데이터가 임시로 저장되는 메모리부와; 상기 저장매체구동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그리고 상기 저장매체구동부에서 로딩단위로 독출한 미디어파일을 상기 메모리부에 적재하고, 상기 메모리부의 메모리영역에 접근하여 미디어파일을 재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매체구동부에 의하여 해당 미디어파일의 로딩단위를 독출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적재함이 완료된 때로부터 차순위 로딩단위에 대한 독출명령시까지, 상기 저장매체구동부로의 전원공급이 감소 또는 중단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에 명령한다.
상기 로딩단위는, 상기 제어부에 기설정된 데이터 용량 단위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부가 차순위 로딩단위에 대한 독출을 명령할 때마다, 상기 메모리부의 가용용량을 감지하여 상기 가용용량에 따라 상기 로딩단위가 되는 데이터 용량을 계산하여 상기 로딩단위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로딩단위가 되는 데이터 용량을 상기 가용용량 이하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미디어파일재생장치가 ACPI(Advanced Configuration and Power Interface) 전원관리 규격을 지원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부가 해당 미디어파일의 하나의 로딩단위를 상기 메모리부에 적재한 후, 차순위 로딩단위를 독출하도록 명령하기 전까지 상기 저장매체구동부의 전원모드를 D3상태로 유지하고, 상기 제어부가 차순위 로딩단위를 독출하도록 명령하면 상기 저장매체구동부의 전원모드를 D0상태로 진입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저장매체구동부는, ODD(Optical Disk Drive)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상기 저장매체구동부에 공급되는 전원을 감소시키거나 차단하는 경우, 상기 저장매체구동부에 대한 장치드라이버 및 상기 저장매체구동부와 관련하여 운영체제가 지원하는 각종 서비스의 실행을 중단하고; 상기 전원공급부가 상기 저장매체구동부에 전원 공급을 재개하는 경우, 상기 저장매체구동부에 대한 장치드라이버 및 상기 저장매체구동부와 관련하여 운영체제가 지원하는 각종 서비스의 실행을 재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부에 적재된 미디어파일에 대한 현재의 재생위치를 나타내는 파일포인터의 위치를 파악하고, 현재 재생 중인 로딩단위의 잔여재생용량 또는 잔여재생시간을 계산하여, 상기 잔여재생용량 또는 잔여재생시간이 설정값 이하로 감지되면 미디어파일의 차순위 로딩단위를 독출하도록 명령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디어파일재생장치는, 상기 저장매체구동부로 선택적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스위칭소자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미디어파일재생방법은 (A) 저장매체구동부를 통하여 저장매체에 저장된 미디어파일을 로딩단위로 나누어 독출하고, 이를 메모리부에 적재하는 단계와; (B) 상기 (A)단계의 수행이 완료되면, 상기 저장매체구동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감소시키거나 차단하는 단계와; (C) 상기 (A)단계에서 상기 메모리부로 적재된 로딩단위의 미디어파일 데이터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로딩단위는, 기설정된 데이터 용량 단위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딩단위는, 상기 (A)단계 수행 시의 상기 메모리부의 가용용량 이하로 결정되는 데이터 용량 단위가 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미디어파일재생방법은, (D) 상기 (C)단계의 수행 중, 차순위 로딩단위에 대한 독출을 명령하는 단계와; (E) 차순위 로딩단위에 대한 독출 명령이 감지되면, 상기 저장매체구동부로의 구동전원 공급을 재개하는 단계; 그리고 (F) 상기 (A)단계 내지 (E)단계가 반복적으로 수행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B)단계는, 상기 저장매체구동부에 대한 ACPI전원관리등급을 D3 state로 변경함으로써 수행되고, 상기 (E)단계는, 상기 저장매체구동부에 대한 ACPI전원관리등급을 D0 state로 변경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D)단계는, (D1) 현재 재생 중인 로딩단위의 잔여재생시간 또는 잔여재생용량을 계산하는 단계와; (D2) 상기 잔여재생시간 또는 상기 잔여재생용량이 설정값 이하이면 차순위 로딩단위에 대한 독출을 명령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디어파일재생방법은, (B') 상기 (B)단계에서, 상기 저장매체구동부로의 전원 공급이 감소되거나 차단되면, 상기 저장매체구동부에 대한 장치드라이버 및 상기 저장매체구동부와 관련하여 운영체제가 지원하는 각종 서비스의 실행을 중단하는 단계와; (E') 상기 (E)단계에서, 상기 저장매체구동부로의 구동전원 공급이 재개되면, 상기 저장매체구동부에 대한 장치드라이버 및 상기 저장매체구동부와 관련하여 운영체제가 지원하는 각종 서비스의 실행이 재개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미디어파일재생방법은, (G) 상기 미디어파일의 최종 로딩단위에 대한 재생이 완료되면, 상기 저장매체구동부로의 구동전원공급을 재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상기 저장매체구동부는, ODD(Optical Disk Drive)가 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미디어파일재생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즉, 저장매체로부터 독출된 미디어파일을 재생하는 동안에 저장매체구동장치로의 전원공급을 중단함으로써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노트북 컴퓨터와 같은 모바일 환경에서 미디어파일을 재생하는 경우 배터리의 사용 시간을 연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미디어파일재생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파일재생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미디어파일재생장치에는 저장매체구동부(10)가 구비된다.
상기 저장매체구동부(10)는 상기 미디어파일재생장치에 연결되는 저장매체로부터 데이터를 독출한다. 또한 상기 저장매체로 데이터를 기입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저장매체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각종 저장수단으로서, CD(compact disc), DVD(digital versatile[video] disk), VCD(video compact disc), 플로피디스크(floppy disc), 플래쉬메모리(flash memory) 등 어떠한 휴대용 저장수단이라도 될 수 있다. 상기 저장매체에는 다양한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고, 따라서 동영상파일, 이미지파일, 음향파일 등의 각종 미디어파일이 저장될 수도 있 다.
그리고 상기 저장매체구동부는 설명한 바와 같은 상기 저장매체가 연결되는 인터페이스와, 상기 저장매체에 데이터를 읽고/쓰기 위한 수단 및 이를 제어할 수 있는 수단 등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저장매체가 CD, DVD 등 광디스크 저장매체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저장매체구동부는 ODD(optical disc drive)가 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미디어파일재생장치에는 메모리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메모리부(20)는 상기 저장매체구동부(10)에 의하여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데이터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데이터를 상기 저장매체로부터 독출하여 임시로 저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메모리부(20)는 주기억장치로서, 예컨대 램(RAM:Random Access Memory)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각종 데이터 중 하나의 미디어파일을 선택하여 재생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저장매체구동부(10)를 이용하여 해당 미디어파일을 독출하고 이를 램으로 옮겨온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미디어파일재생장치는 제어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저장매체구동부(10)에 의해 상기 저장매체로부터 독출된 데이터를 가져와 상기 메모리부(20)에 적재하고, 상기 데이터가 적재된 메모리영역에의 접근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30)는 사용자가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미디어파일의 재생명령을 입력하면 해당 미디어파일을 읽어와 상기 메모리부(20)에 적재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30)는 미디어파일의 재생이 가능한 각종 전자제품의 메인 컨트롤러가 될 수 있고, 특히 상기 미디어파일재생장치가 컴퓨터인 경우, CPU(Central Processing Unit)이 될 수 있다.
상기 저장매체로부터 독출된 미디어파일을 상기 메모리부(20)에 적재함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미디어파일의 용량을 고려한다. 사용자의 재생 명령이 입력된 미디어파일의 용량이 비교적 작아, 상기 메모리부(20)의 가용용량 내에서 미디어파일 전체에 대한 상기 메모리부(20)로의 적재가 가능한 경우,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미디어파일을 파일단위로 상기 메모리부(20)에 적재한다. 그리고 상기 메모리부(20)에 액세스하여 미디어를 재생한다.
그러나 사용자의 재생 명령이 입력된 미디어파일의 용량이 상기 메모리부(20)의 가용용량을 넘어서는 경우, 상기 제어부(30)는 미디어파일을 복수의 로딩(loading)단위로 나누어 상기 메모리부(20)에 순차적으로 적재하고 재생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여기서 상기 메모리부(20)의 가용용량은, 상기 메모리부(20)의 전체용량에서 현재 적재된 데이터의 양을 제외한 나머지 용량으로서, 현재 적재된 데이터를 삭제하지 않고도 사용가능한 메모리영역의 크기를 의미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30)는 재생 명령이 입력된 미디어파일을 상기 메모리부(20)에 적재함에 있어서, 파일단위로 적재하거나 또는 복수의 로딩단위로 나누어 적재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로딩단위는 상기 제어부(30)가 상기 저장매체로부터 상기 메모리부(20)로 한번에 적재하는 미디어파일의 데이터 용 량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1GB(Gigabyte) 용량의 미디어파일을 상기 메모리부(20)에 적재하는 경우, 이를 한번에 독출하여 로딩하지 않고 500MB(Megabyte) 2개로 나누어 2회에 걸쳐서 로딩할 수 있다. 여기서 500MB가 로딩단위가 된다. 즉, 로딩단위를 200MB로 하는 경우, 1GB 용량의 미디어파일은 총 5회에 걸쳐 로딩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로딩단위는 미리 설정된 고정값이 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20)의 전체용량과 시스템의 평균적인 부하량을 고려하여, 상기 메모리부(20)의 평균적인 가용용량을 추측하고, 그에 따라 상기 제어부(30)에 상기 로딩단위를 미리 정해진 일정한 하나의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로딩단위가 되는 데이터의 용량을 시스템 상황에 따라 가변적으로 결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제어부(30)는 미디어파일을 로딩단위로 나누어 독출하고자 할 때, 상기 메모리부(20)의 가용용량을 미리 확인하여 로딩단위가 될 데이터 용량을 결정한다. 그리고 결정된 바에 따른 용량의 데이터를 독출하여 상기 메모리부(20)에 적재한다. 이때 상기 메모리부(20)의 가용용량이 일정하지 않으므로, 미디어파일의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부(20)로 독출하여 적재할 때마다 상기 메모리부(20)의 가용용량을 확인하여 상기 로딩단위를 결정한다.
즉, 상기 로딩단위가 상기 가용용량보다 적거나 적어도 같아야만 상기 메모리부(20)로의 적재가 가능하므로, 상기 로딩단위를 상기 가용용량보다 적거나 같게 결정한다. 또는 시스템의 원활한 동작을 위하여 상기 로딩단위를 상기 가용용량에 비하여 일정량 이상 적게 결정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30)는 위와 같이 미리 설정된 일정한 로딩단위, 또는 시스템 상황에 따라 가변적인 로딩단위에 따라 미디어파일을 나누어 상기 메모리부(20)로 적재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저장매체구동부(10)에 상기 로딩단위 정보를 제공하여, 그에 따라 상기 저장매체구동부(10)가 상기 로딩단위가 되는 데이터 용량으로 미디어파일을 나누어 순차적으로 독출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미디어파일재생장치에는 전원공급부(40)가 포함된다. 상기 전원공급부(40)는 상기 저장매체구동부(10)로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전원공급부(40)는 상기 저장매체구동부(10)가 정상적인 동작을 수행하도록, 즉 상기 저장매체에 데이터를 읽고/쓰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동전원을 공급한다.
그러나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미디어파일의 재생 명령이 입력됨에 따라, 상기 저장매체구동부(10)가 최선순위의 로딩단위를 독출하고, 상기 제어부(30)가 이를 상기 메모리부(20)에 적재하는 동작이 완료되면, 상기 전원공급부(40)는 상기 저장매체구동부(1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거나, 감소시킨다.
즉, 구동전원이 공급되던 상태에서 대기전원만 공급되는 상태 또는 전원 오프된 상태로 상기 저장매체구동부(10)의 전원모드를 변경한다.
그리고 상기 메모리부(20)에 적재된 최선순위의 로딩단위에 해당하는 미디어 데이터가 재생되는 동안에, 상기 제어부(30)가 차순위의 로딩단위를 독출하도록 명령하면 상기 전원공급부(40)는 상기 저장매체구동부(10)로의 전원공급을 재개한다.
그리고 상기 저장매체구동부(10)는 상기 제어부(30)의 명령에 따라 차순위 로딩단위의 데이터를 독출하고, 독출된 데이터가 상기 메모리부(20)에 적재됨이 완 료되면, 상기 전원공급부(40)는 다시 상기 저장매체구동부(10)로 공급되는 전원을 감소시키거나 차단한다.
이때 상기 전원공급부(40)가 상기 저장매체구동부(10)로 공급하던 전원을 차단하는 방법의 하나로, ACPI(Advanced Configuration and Power Interface) 전원관리 규격에 따른 전원모드를 변경하는 방법이 있다.
즉, 상기 저장매체로부터 데이터를 독출하는 동안에는 상기 저장매체구동부(10)에 대한 전원모드를 D0 state(정상동작상태)로 유지하고, 상기 저장매체구동부(1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고자 할 때 그에 대한 전원모드를 D3 state(전원오프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D1 또는 D2 state를 정의하여 대기전원만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미디어파일재생장치의 커널모드(kernel mode) 내의 필터드라이버(filter driver)를 이용하여 위와 같은 전원모드 변경을 위한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위와 같은 전원모드 변경과 더불어, 상기 저장매체구동부(10)로 공급되는 전원을 하드웨어적으로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전원공급부(40)에는 스위칭소자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칭소자는 상기 전원공급부(40)의 신호에 따라 온/오프 됨으로써 상기 저장매체구동부(10)로 공급되는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위칭소자는 FET(field effect transistor)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최후순위의 로딩단위가 상기 메모리부(20)에 적재되어 재생될 때까 지 상기 저장매체구동부(10)로 공급되는 전원모드가 지속적으로 변경되는 동작이 반복된다. 상기 저장매체구동부(10)에 의해 독출된 미디어 데이터가 재생되는 동안에는 상기 저장매체구동부(10)로 공급되는 전원을 절약하고, 미디어 데이터를 독출하는 동안에만 상기 저장매체구동부(10)로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소비전력을 감소시키기 위함이다.
즉, 기존에는 저장매체에 저장된 미디어파일 재생 시, 지속적으로 상기 저장매체에 액세스함에 따라 저장매체구동부에서의 전원소모가 컸으나,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부에 적재하여 상기 메모리부에서 재생하므로, 상기 저장매체구동부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노트북 컴퓨터와 같은 모바일 환경에서의 배터리 수명 연장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제어부(30)는 적절한 순간에 상기 저장매체구동부(10)로의 전원공급을 재개하여 차순위 로딩단위의 데이터를 미리 상기 메모리부(20)에 적재하여야 한다. 즉, 미디어파일을 복수의 단위로 나누어 적재하지만, 이를 재생하는 동안 사용자는 하나의 미디어파일이 연속적으로 재생되는 서비스를 제공받아야하므로, 선순위 로딩단위의 데이터에 대한 재생이 완료되기 전에 후순위 로딩단위의 적재가 시작되어야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메모리부(20)에는 적재된 미디어파일에 대하여 현재 재생 중인 위치를 표시하는 파일포인터가 존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파일포인터의 위치를 지속적으로 감시하여, 현재 재생중인 로딩단위의 잔여재생용량 또는 잔여재생시간을 파악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0)에는 상기 잔여재생용량 또는 잔여재생시간과 비교할 기준용량 또는 기준시간 등이 미리 설정된다.
즉, 상기 잔여재생용량이 상기 기준용량 이하가 되면,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전원공급부(40)에 명령하여 상기 저장매체구동부(10)로의 구동전원공급을 재개하고, 상기 저장매체구동부(10)에 차순위 로딩단위의 독출을 명령한다.
이는 상기 잔여재생시간이 상기 기준시간 이하가 된 경우에도 같다.
이때 상기 기준용량 또는 기준시간은 미디어파일의 재생 속도, 미디어파일의 독출 및 적재 속도 등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저장매체구동부(10)는 선순위 로딩단위에 대한 재생이 종료하기 전에 후순위 로딩단위의 데이터를 독출하여 상기 메모리부(20)에 적재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30)는 선순위 로딩단위의 재생이 완료됨과 동시에 후순위 로딩단위의 재생을 시작하는데, 이미 재생이 완료된 데이터는 상기 메모리부(20)에서 삭제되도록 하면서 재생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메모리부(20)의 가용용량을 확보한다.
한편, 상기 저장매체구동부(10)에 전원공급이 차단되는 경우, 상기 저장매체구동부(10)에 대한 장치드라이버 또는 상기 저장매체구동부(10)와 관련하여 운영체제가 지원하는 각종 서비스의 실행이 중단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저장매체구동부(10)에 전원공급이 차단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그와 관련된 소프트웨어가 실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저장매체구동부(10)로 다시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저장매체구동부(10)에 대한 장치드라이버 또는 상기 저장매체구동부(10)와 관련하여 운영체제가 지원하는 각종 서비스의 실행을 재개한다.
한편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미디어파일재생장치에는 저장부(50)가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50)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저장부(50)는 각종 데이터들이 저장되는 공간으로 보조기억장치에 해당한다. 이때 상기 저장부(50)는 하드디스크드라이브(HDD:Hard Disk Drive)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30)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미디어파일을 재생하는 동안에 상기 저장매체구동부(10)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므로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데이터에의 접근을 수행할 수 없으나, 상기 저장부(50)에 저장된 데이터에는 액세스할 수 있으므로, 미디어파일의 재생과 동시에 다른 작업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미디어파일재생장치에 대하여 예를 들어 설명하면, 상기 저장매체가 DVD이고, 상기 저장매체구동부(10)가 노트북컴퓨터에 구비된 ODD인 경우, 우선 상기 DVD에 저장된 미디어파일에 대하여 사용자가 재생명령을 입력하게 된다.
DVD의 경우, 하나의 동영상 재생을 위하여 다수의 파일이 필요한데, 실제 영상 파일을 이루는 하나 이상의 VOB파일과, 재생정보가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IFO파일, 그리고 IFO파일의 백업파일인 하나 이상의 BUP파일이 모두 갖추어져야 DVD에 저장된 동영상을 정상적으로 재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저장매체구동부(10)는 VOB파일과 IFO파일, BUP파일을 모두 독출 하여 상기 메모리부(20)에 로드하여야 한다.
이때 DVD파일의 경우 그 용량이 비교적 크므로, 상기 메모리부(20)의 전체용량 또는 가용용량 등을 고려하여 DVD파일을 나누어 순차적으로 로드한다.
여기서 상기 IFO파일과 BUP파일에 저장된 영상, 챕터, 자막 등의 위치정보가 없으면 정상적인 재생 동작을 수행할 수 없고, 이와 같은 파일들은 비교적 그 용량이 적으므로, 상기 저장매체구동부(10)는 IFO파일과 BUP파일을 우선적으로 로드한다.
그리고 로드된 IFO파일과 BUP파일은 사용자가 재생 명령을 입력한 DVD 미디어파일의 재생이 모두 완료될 때까지 상기 메모리부(20)에 상주하면서 정상적인 재생 동작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VOB파일은 그 용량이 크므로 상기 메모리부(20)의 가용용량에 따라 복수 개의 로딩단위로 나뉘어 상기 메모리부(20)로 적재된다.
상기 VOB파일은 일반적으로 수 개의 파일로 나뉘어 있으므로, 용량 단위로 나누지 않고, 파일단위로 나누어 적재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VOB파일이 10개의 파일로 구성된 경우, 하나의 로딩단위를 VOB파일 2개로 설정할 수도 있다.
이때 하나의 로딩단위가 될 파일의 수는, 각각의 VOB파일의 용량의 평균과 상기 메모리부(20)의 전체용량 또는 가용용량 등을 고려하여 미리 설정되거나, 상기 제어부(30)가 시스템 상황에 따라 연산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DVD파일을 이루는 VOB 파일은 로딩단위로 나뉘어 상기 메모리부(20)에 적재되고, 따라서 하나의 로딩단위 적재 후, 그에 대한 차순위 로딩단위 적재 전까지 상기 ODD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전원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미디어파일재생장치가 노트북컴퓨터인 경우, 미디어파일의 재생 중에 상기 ODD에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절약함으로써 배터리의 지속시간을 연장할 수 있게 된다.
이때, DVD의 재생을 위하여 상기 미디어파일재생장치에는 DVD 소스필터(source filter), 변환필터, 렌더필터 등이 존재하는데, 상기 소스필터는 DVD파일을 로딩하여 변환필터에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소스필터가 파일을 로딩함에 있어서, 상기 ODD로부터가 아닌 상기 메모리부(20)로부터 파일을 로딩하도록 미리 설정한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미디어파일재생방법의 구체적인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파일재생방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파일재생방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미디어파일재생방법은 미디어파일재생장치에 저장매체가 연결되고, 연결된 저장매체 내에 저장된 미디어파일에 대한 재생명령이 감지되는 단계로부터 시작된다(S100).
그리고 재생명령이 감지된 미디어파일을 상기 메모리부(20)로 적재하는데, 이때 상기 저장매체와 상기 메모리부(20)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파일재생장치에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다.
이때 재생 명령이 입력된 미디어파일을 상기 메모리부(20)에 적재함에 있어서, 파일단위로 적재하거나, 또는 로딩단위로 적재할 수 있다.(S200) 상기 로딩단위보다 미디어파일의 용량이 적은 경우라면, 해당 미디어파일을 상기 메모리부(20)에 파일단위로 적재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미디어파일의 용량이 상기 로딩단위 보다 큰 경우, 미디어파일은 복수 개의 로딩단위로 나뉘어 독출된다.
이때 상기 로딩단위는 상기 메모리부(20)의 전체용량과, 평균적인 부하량 등을 고려하여 미리 설정된 데이터 용량이 된다.
여기서 상기 저장매체구동부(10)는 상기 제어부(30)의 명령에 따라 미디어파일을 로딩단위로 나누어, 재생될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상기 메모리부(20)에 적재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메모리부(20)로 미디어파일에 대한 하나의 로딩단위의 적재가 완료되면, 상기 저장매체구동부(10)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된다(S300).
이때 상기 제300단계는, 상기 저장매체구동부(10)로 공급되는 전원을 모두 차단함으로써 수행될 수도 있으나, 상기 저장매체구동부(10)로 구동전원이 공급되는 상태에서 대기전원이 공급되는 상태로 모드 전환함으로써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ACPI 전원관리 규격에 정의된, 시스템에 구비된 각 장치(device)에 대한 전원관리모드에서, D0 state이었던 상기 저장매체구동부(10)의 전원모드를 D3 state로 변경함으로써 상기 제300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매체구동부(10)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라인에 구비되는 스 위칭 소자를 오프함으로써 상기 저장매체구동부(1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스위칭 소자는 FET가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00단계와 상기 제300단계에서, 하나의 로딩단위의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부(20)에 적재하고, 상기 저장매체구동부(1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한 후에는, 제어부(30)가 상기 메모리부(20)에 액세스하여 상기 제200단계에서 로드된 로딩단위의 데이터를 재생한다(S400).
이때, 상기 제200단계에서 후순위의 로딩단위를 독출하여 상기 메모리부(20)에 적재하는 동안에 선순위 로딩단위가 재생중이었다면, 선순위 로딩단위의 재생이 완료됨과 동시에 후순위 로딩단위의 재생을 시작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30)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미디어파일재생장치에서 도 1을 참조하여 이미 설명한 바와 같다.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메모리부(20)에 로드된 로딩단위의 재생 중에 해당 로딩단위에 대한 잔여재생시간을 지속적으로 확인한다. 또는 해당 로딩단위에 대한 잔여재생용량을 지속적으로 확인한다.
그리고 상기 잔여재생시간 또는 상기 잔여재생용량을 미리 설정된 기준시간 또는 기준용량과 비교한다(S500).
여기서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메모리부(20)의 메모리영역에 저장된 데이터의 현재 재생 위치를 표시하는 파일포인터의 위치를 파악함으로써 상기 제500단계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 잔여재생시간 또는 상기 잔여재생용량이 상기 기준시간 또는 상기 기준 용량과 같거나 작다면, 현재 재생중인 로딩단위의 재생이 곧 완료될 것이므로, 현재 재생 중인 로딩단위가 최후순위의 로딩단위가 아닌 한 재생 중인 로딩단위에 대한 차순위 로딩단위를 독출하여 상기 메모리부(20)에 적재하는 것이 요구된다.
따라서, 현재 로드되어 재생 중인 로딩단위가 마지막 로딩단위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S600), 최후순위의 로딩단위이면, 현재 로드되어 재생 중인 로딩단위에 대한 재생이 완료함과 동시에 미디어파일의 재생이 완료된다.
그러나, 상기 제600단계에서, 현재 재생중인 로딩단위가 최후순위의 로딩단위가 아닌 것으로 판단된 경우, 차순위 로딩단위를 독출하여 상기 메모리부(20)에 적재하기 위하여 상기 저장매체구동부(10)로의 전원공급을 재개한다(S800).
상기 제800단계는, 예를 들어, ACPI 전원관리 규격에 정의된, 시스템에 구비된 각 장치(device)에 대한 전원관리모드에서, D3 state이었던 상기 저장매체구동부(10)의 전원모드를 D0 state로 변경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매체구동부(10)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라인에 구비되는 스위칭 소자를 온(on)함으로써 상기 저장매체구동부(10)로의 전원 공급을 재개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스위칭 소자는 FET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800단계에서, 상기 저장매체구동부(10)로의 전원공급을 지속하면, 상기 저장매체구동부(10)는 차순위의 로딩단위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독출하고, 상기 제어부(30)는 이를 상기 메모리부(20)에 적재하는 상기 제200단계로부터의 동작이 반복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파일 재생방법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와 같이, 미디어파일재생장치에 저장매체가 연결되고, 연결된 저장매체 내에 저장된 미디어파일에 대한 재생명령이 감지되는 단계로부터 시작된다(S100).
그리고 상기 메모리부(20)의 현재의 가용용량을 확인한다(S110). 상기 가용용량은 상기 메모리부(20)에서 데이터가 적재되지 않은 메모리영역의 크기를 의미한다.
상기 제110단계에서 상기 가용용량을 확인하면,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가용용량의 값을 이용하여 로딩단위를 결정한다(S130).
즉, 하나의 미디어파일을 복수 개의 로딩단위로 나누어 적재하기 위하여, 상기 메모리부(20)의 가용용량을 먼저 확인한 후, 상기 가용용량보다 적거나, 적어도 같은 데이터 용량을 로딩단위로 결정한다.
여기서 여유를 두어 상기 가용용량보다 상기 로딩단위를 일정량 이상 적게 결정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매체구동부(10)는 상기 제110단계 및 상기 제130단계에서 상기 제어부(30)가 결정한 로딩단위의 크기 만큼의 데이터를 미디어파일로부터 독출하여 상기 메모리부(20)에 적재한다(S200). 이때 미디어파일을 독출함에 있어서, 재생 순서를 고려하여 순차적으로 독출한다.
그 후 상기 저장매체구동부(1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상기 제300단계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와 동일하게 진행된다.
한편, 상기 제300단계에서 상기 저장매체구동부(1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 한 경우, 상기 저장매체구동부(10)에 대한 장치드라이버 및 그와 관련하여 운영체제에서 지원하는 서비스의 실행을 함께 종료한다(S310).
그리고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메모리부(20)에 액세스하여, 상기 제200단계에서 상기 메모리부(20)에 적재된 로딩단위의 데이터의 재생을 시작한다(S400).
이때 선순위 로딩단위에 대한 데이터의 재생이 진행 중이었다면, 선순위 로딩단위에 대한 재생이 종료됨과 동시에 상기 제200단계에서 적재된 후순위 로딩단위의 재생을 시작한다.
이와 같이 미디어파일의 재생이 진행 중인 동안에 상기 제어부(30)는 현재 재생 중인 로딩단위의 잔여재생시간 또는 잔여재생용량을 확인한다(S500). 이는 상기 메모리부(20)의 파일포인터의 위치를 파악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잔여재생시간 또는 잔여재생용량을 미리 설정된 기준시간 또는 기준용량과 비교하여, 상기 잔여재생시간 또는 잔여재생용량이 기준시간 또는 기준용량 이하이면, 현재 로드되어 재생 중인 로딩단위가 최후순위의 로딩단위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600).
그리고 최후순위의 로딩단위에 해당하면, 현재 로드된 로딩단위의 재생이 종료됨과 동시에(S700), 상기 저장매체구동부로의 전원공급을 재개하고(S710), 그와 관련된 장치드라이버 및 운영체제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의 실행 또한 재개함으로써(S730),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다른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현재 로드되어 재생 중인 로딩단위가 최후순위의 로딩단위가 아닌 경우, 차순위의 로딩단위를 상기 메모리부(20)에 로드하기 위하여 상기 저장매체구동 부로의 전원공급을 재개하고(S800), 상기 저장매체구동부와 관련된 장치드라이버 및 운영체제에서 제공하는 각종 서비스의 실행을 재개한다(S810).
그리고, 상기 제110단계에서 상기 메모리부(20)의 가용용량을 확인하는 것으로부터 차순위 로딩단위를 독출하여 상기 메모리부(20)에 적재하고, 상기 저장매체구동부(10)로의 전원공급을 다시 차단하며, 선순위 로딩단위의 재생 완료와 동시에 차순위 로딩단위를 재생하는 등의 상기 제810단계까지의 모든 일련의 과정을 반복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미디어파일을 복수의 로딩단위로 나누어 적재하고, 차순위 로딩단위를 적재하기 전까지 상기 저장매체구동부(1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거나 감소시키는 동작을 반복하면서 미디어파일을 재생하는 것은 사용자의 설정 또는 시스템 설정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파일재생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파일재생방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파일재생방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저장매체구동부 20: 메모리부
30: 제어부 40: 전원공급부
50: 저장부

Claims (18)

  1. 저장매체로부터 미디어파일을 로딩단위로 나누어 독출하는 저장매체구동부와;
    상기 저장매체구동부에서 독출된 데이터가 임시로 저장되는 메모리부와;
    상기 저장매체구동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그리고
    상기 저장매체구동부에서 로딩단위로 독출한 미디어파일을 상기 메모리부에 적재하고, 상기 메모리부의 메모리영역에 접근하여 미디어파일을 재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매체구동부에 의하여 해당 미디어파일의 로딩단위를 독출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적재함이 완료된 때로부터 차순위 로딩단위에 대한 독출명령시까지, 상기 저장매체구동부로의 전원공급이 감소 또는 중단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에 명령함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파일재생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딩단위는,
    상기 제어부에 기설정된 데이터 용량 단위임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파일재생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부가 차순위 로딩단위에 대한 독출을 명령할 때마다, 상기 메모리부의 가용용량을 감지하여 상기 가용용량에 따라 상기 로딩단위가 되는 데이터 용량을 계산하여 상기 로딩단위를 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파일재생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로딩단위가 되는 데이터 용량을 상기 가용용량 이하로 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파일재생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파일재생장치가 ACPI(Advanced Configuration and Power Interface) 전원관리 규격을 지원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부가 해당 미디어파일의 하나의 로딩단위를 상기 메모리부에 적재한 후, 차순위 로딩단위를 독출하도록 명령하기 전까지 상기 저장매체구동부의 전원모드를 D3상태로 유지하고, 상기 제어부가 차순위 로딩단위를 독출하도록 명령하면 상기 저장매체구동부의 전원모드를 D0상태로 진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파일재생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매체구동부는,
    ODD(Optical Disk Drive)임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파일재생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상기 저장매체구동부에 공급되는 전원을 감소시키거나 차단하는 경우, 상기 저장매체구동부에 대한 장치드라이버 및 상기 저장매체구동부와 관련하여 운영체제가 지원하는 각종 서비스의 실행을 중단하고;
    상기 전원공급부가 상기 저장매체구동부에 전원 공급을 재개하는 경우, 상기 저장매체구동부에 대한 장치드라이버 및 상기 저장매체구동부와 관련하여 운영체제가 지원하는 각종 서비스의 실행을 재개함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파일재생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부에 적재된 미디어파일에 대한 현재의 재생위치를 나타내는 파일포인터의 위치를 파악하고, 현재 재생 중인 로딩단위의 잔여재생용량 또는 잔여재생시간을 계산하여, 상기 잔여재생용량 또는 잔여재생시간이 설정값 이하로 감지되면 미디어파일의 차순위 로딩단위를 독출하도록 명령함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파일재생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파일재생장치는,
    상기 저장매체구동부로 선택적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스위칭소자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파일재생장치.
  10. (A) 저장매체구동부를 통하여 저장매체에 저장된 미디어파일을 로딩단위로 나누어 독출하고, 이를 메모리부에 적재하는 단계와;
    (B) 상기 (A)단계의 수행이 완료되면, 상기 저장매체구동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감소시키거나 차단하는 단계와;
    (C) 상기 (A)단계에서 상기 메모리부로 적재된 로딩단위의 미디어파일 데이터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파일재생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로딩단위는,
    기설정된 데이터 용량 단위임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파일재생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로딩단위는,
    상기 (A)단계 수행 시의 상기 메모리부의 가용용량 이하로 결정되는 데이터 용량 단위임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파일재생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파일재생방법은,
    (D) 상기 (C)단계의 수행 중, 차순위 로딩단위에 대한 독출을 명령하는 단계와;
    (E) 차순위 로딩단위에 대한 독출 명령이 감지되면, 상기 저장매체구동부로의 구동전원 공급을 재개하는 단계; 그리고
    (F) 상기 (A)단계 내지 (E)단계가 반복적으로 수행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파일재생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상기 저장매체구동부에 대한 ACPI전원관리등급을 D3 state로 변경함으로써 수행되고,
    상기 (E)단계는,
    상기 저장매체구동부에 대한 ACPI전원관리등급을 D0 state로 변경함으로써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파일재생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는,
    (D1) 현재 재생 중인 로딩단위의 잔여재생시간 또는 잔여재생용량을 계산하는 단계와;
    (D2) 상기 잔여재생시간 또는 상기 잔여재생용량이 설정값 이하이면 차순위 로딩단위에 대한 독출을 명령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파일재생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파일재생방법은,
    (B') 상기 (B)단계에서, 상기 저장매체구동부로의 전원 공급이 감소되거나 차단되면, 상기 저장매체구동부에 대한 장치드라이버 및 상기 저장매체구동부와 관련하여 운영체제가 지원하는 각종 서비스의 실행을 중단하는 단계와;
    (E') 상기 (E)단계에서, 상기 저장매체구동부로의 구동전원 공급이 재개되면, 상기 저장매체구동부에 대한 장치드라이버 및 상기 저장매체구동부와 관련하여 운영체제가 지원하는 각종 서비스의 실행이 재개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파일재생방법.
  17. 제13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파일재생방법은,
    (G) 상기 미디어파일의 최종 로딩단위에 대한 재생이 완료되면, 상기 저장매체구동부로의 구동전원공급을 재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파일재생방법.
  18. 제10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매체구동부는,
    ODD(Optical Disk Drive)임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파일재생방법.
KR1020080014613A 2007-12-06 2008-02-18 미디어파일재생장치 및 방법 KR2009008919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4613A KR20090089197A (ko) 2008-02-18 2008-02-18 미디어파일재생장치 및 방법
US12/234,289 US20090150697A1 (en) 2007-12-06 2008-09-19 Media file reproduction apparatus and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4613A KR20090089197A (ko) 2008-02-18 2008-02-18 미디어파일재생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9197A true KR20090089197A (ko) 2009-08-21

Family

ID=41207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4613A KR20090089197A (ko) 2007-12-06 2008-02-18 미디어파일재생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8919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150697A1 (en) Media file reproduction apparatus and method
JP2006525598A (ja) 携帯電子機器のためのコントローラ
KR20000058017A (ko) 압축된 오디오 데이터를 플레이하는 저전력 시스템 및 방법
JPH07334950A (ja) ディスク装置
US8363523B2 (en) Playing data from an optical media drive
US7535666B2 (en) Disk-type storage medium driving apparatus and disk-type storage medium rotation speed control method
US7433140B2 (en) Recording and playback apparatus, recording controll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KR101521907B1 (ko) 미디어파일재생장치 및 방법
KR20090089197A (ko) 미디어파일재생장치 및 방법
KR100519611B1 (ko) 저전력 데이터 재생 방법 및 장치
JP5180077B2 (ja) 複数ドライブ装置の遅延対策と省電力制御を行う記録再生装置
WO2005045827A1 (ja) 情報記録装置と情報記録方法と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H08102132A (ja) 情報記録装置
JP2002260332A (ja) 再生装置、再生方法、及び記憶媒体
JP2007184026A (ja) 情報処理装置、撮像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050092163A (ko) 휴대용 컴퓨터에서의 미디어 플레이어 실행장치 및 방법
JP3771538B2 (ja) ディスク装置における動作モードの変更方法
KR100904431B1 (ko) 기록매체의 데이터 재생장치 및 재생방법
JP2002117616A (ja) ディスク装置
JP4006274B2 (ja) 記録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情報処理装置、情報記録装置、並びに情報記録システム
JP4570603B2 (ja) データ再生装置、データ再生方法、及び半導体装置
CN100468545C (zh) 旋转记录介质驱动设备的驱动方法及带该设备的电子设备
JP2000163848A (ja) ディスク再生装置
US20090003154A1 (en) Information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JPH06231527A (ja)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