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8485A - 치과용 리트랙터 - Google Patents

치과용 리트랙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8485A
KR20090088485A KR1020080013772A KR20080013772A KR20090088485A KR 20090088485 A KR20090088485 A KR 20090088485A KR 1020080013772 A KR1020080013772 A KR 1020080013772A KR 20080013772 A KR20080013772 A KR 20080013772A KR 20090088485 A KR20090088485 A KR 200900884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opening
dental
retractor
dental retra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3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태현
Original Assignee
강태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태현 filed Critical 강태현
Priority to KR10200800137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88485A/ko
Publication of KR200900884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84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or modified breeds of animals
    • A01K67/033Rearing or breeding invertebrates; New breeds of invertebrat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36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zoolog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227/00Animals characterised by species
    • A01K2227/70Invertebrates
    • A01K2227/706Insects, e.g. Drosophila melanogaster, medfl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lgebr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과 치료를 위해 구강을 개방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치과용 리트랙터(Retractor)로서, 적어도 하나의 손가락을 삽입한 상태에서 손으로 잡고 힘을 가할 수 있도록, 중앙부위에 손가락 삽입용 관통구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 및 상악 또는 하악의 입술을 젖힐 수 있도록 상악 또는 하악에 대응하는 개구 형상으로 상기 본체의 일측 단부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있는 전단 개구부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본체와 전단 개구부가 일체형의 판상형 부재로 이루어진 치과용 리트랙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치과용 리트랙터 {Retractor for Dental Work}
본 발명은 치과용 리트랙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치과 치료를 위해 구강을 개방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치과용 리트랙터(Retractor)로서, 중앙부위에 손가락 삽입용 관통구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 및 상악 또는 하악에 대응하는 개구 형상으로 상기 본체의 일측 단부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있는 전단 개구부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본체와 전단 개구부가 일체형의 판상형 부재로 이루어진 치과용 리트랙터에 관한 것이다.
임플란트 또는 기타 치과의 외과적인 시술시 시야를 충분히 확보하기 위해 상악 또는 하악의 입술을 젖혀 환자의 입을 크게 벌리게 한 상태에서 진료를 실시한다.
이와 같이, 환자의 입을 벌리고 진료를 하는 과정에서 환자가 무의식적으로 입 또는 혀를 오므리거나 움직일 경우, 진료에 상당한 지장을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다양한 치과 진료 시, 환자의 구강 내의 시야를 확보하고 원활한 작 업 수행을 위해 환자가 입을 벌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리트랙터(Retractor)를 사용하고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리트랙터는, 소정의 두께를 가진 금속 와이어가 연속적으로 절곡되어 프레임 형태를 이루고 있는 구조체로서, 예를 들어, 손잡이부와 반 타원형의 전단부로 이루어진 리트랙터, 일반적인 판상형의 손잡이부와 반타원형의 전단부로 이루어진 리트랙터 등이 있다.
그러나, 상기 리트랙터들은 손잡이부가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서, 환자가 입을 벌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시술자가 손으로 계속 잡고 있기 불편하고, 진료 중 환자가 입을 벌린 상태에서 혀를 움직이는 것이 가능하여 구강 내의 시야를 확보하고 원활한 시술작업의 수행을 방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보철 치료시 인상을 채득하는 경우, 입술을 젖히면서 치아에 침이 붙지 않게 하면서 시술을 하여야 한다. 이 경우, 기존에는 여러 개의 미러를 사용하여 입술을 젖혀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보철 치료 등과 같은 치과 진료시 환자의 구강 내부의 적절한 시야 확보를 가능하게 하고 진료를 원활하게 함으로써, 환자의 불편함을 최소화하고 효과적으로 진료를 수행할 수 있는 치과용 리트랙터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치과 진료시 환자의 구강을 개방된 상태로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진료를 원활하게 함과 동시에, 환자의 불편함을 최소화하고 시술자 또한 편안하게 진료를 수행할 수 있게 하는 치과용 리트랙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리트랙터는, 치과 치료를 위해 구강을 개방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치과용 리트랙터(Retractor)로서,
적어도 하나의 손가락을 삽입한 상태에서 손으로 잡고 힘을 가할 수 있도록 중앙부위에 손가락 삽입용 관통구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 및 상악 또는 하악의 입술을 젖힐 수 있도록 상악 또는 하악에 대응하는 개구 형상으로 상기 본체의 일측 단부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있는 전단 개구부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본체와 전단 개구부가 일체형의 판상형 부재를 이루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리트랙터는 중앙부위에 손가락 삽입용 관통구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 및 상악 또는 하악에 대응하는 개구 형상으로 이루어진 전단 개구부를 포함하고 있어서, 치과 치료시, 시술자는 본체를 손으로 잡고 관통구에 손가락을 삽입하여 안정적으로 힘을 가할 수 있고, 전단 개구부로 용이하게 환자의 입술을 젖혀서 안정적으로 구강을 개방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진료를 원 활하게 함과 동시에, 시술자와 환자의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리트랙터는 수술 시의 용도뿐만 아니라, 전악의 보철 인상 채득시 입술을 젖혀 정확한 인상을 채득할 수 있게 도와준다.
상기 전단 개구부가 환자의 잇몸과 입술 사이에 삽입되는 경우, 환자의 불편함을 최소화하는 구조가 추가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전단 개구부가 구강에 삽입된 상태에서 입술소대에 대응하는 위치의 중앙 하단에는, 상기 입술소대에 대응하는 만입홈이 상측 방향으로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참고로, 입술소대는 잇몸과 입술의 중간 부위에서, 이들을 연결하면서 돌출되어 있는 표피조직을 의미한다.
상기 관통구는 시술자의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면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며, 예를 들어, 수평면상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 중에서 선택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손가락을 관통구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손가락을 상부로부터 관통구에 삽입하는 경우, 삽입된 손가락이 얇은 내측면에 의해 상처를 입거나 힘을 가하는데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상기 관통구의 내측면은 하향 테이퍼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하향 테이퍼 구조는 본체를 이루는 판상형 부재의 두께보다 큰 폭으로 관통구에 소정의 두께를 부여함으로써, 시술자가 관통구에 손가락을 삽입한 상태에서 더욱 용이하게 본체에 힘을 가하는 것을 도와준다.
한편, 상기 전단 개구부는 본체를 기준으로 하향 수직 절곡되어 있고, 본체와의 연결부위를 기준으로 단부로 갈수록 폭이 작아지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전단 개구부가 단부로 갈수록 폭이 작아지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서, 전단 개구부를 환자의 잇몸과 입술 사이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고, 전단 개구부를 하향 수직 절곡된 방향으로 환자의 잇몸과 입술 사이에 삽입하여 입술을 하향 또는 상향으로 젖혀, 환자의 불편함을 최소화하면서 구강 내부를 안정적으로 개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치과 치료를 위해 구강을 개방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치과용 리트랙터로서,
손으로 잡고 힘을 가할 수 있는 본체, 및 혀를 상악 또는 하악 방향으로 젖힐 수 있도록 혀에 대응하는 개구 형상으로 상기 본체의 일측 단부로부터 상향 연장되어 있는 전단 개구부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본체는 전단 개구부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절곡된 상태로 전단 개구부와 일체형인 판상형 부재로 이루어진 치과용 리트랙터를 제공한다.
즉, 상기 리트랙터는 혀를 상악 또는 하악 방향으로 젖힐 수 있도록 전단 개구부가 본체의 일측 단부로부터 하향 연장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서, 치과 치료 시, 개방된 구강 내에서 혀의 위치를 시술자가 소망하는 방향으로 고정하여 진료를 원활히 할 수 있고, 전단 개구부가 혀에 대응하는 개구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환자의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체가 전단 개구부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있어서, 시술자가 다양한 각도와 방향에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시술자가 환자의 머리를 뒤로 젖힌 상태로 환자의 등 방향에 서 왼손으로 본 발명의 리트랙터를 잡고 오른손으로는 치아의 인상을 채득할 수 있다.
더욱이, 이러한 리트랙터는 종래에는 없는 용도의 리트랙터로서, 환자의 혀의 이동을 막아 시술시 정확성을 높이며, 특히 하악 및 전악의 인상 채득시 환자의 혀를 차단하여 정확한 인상을 용이하게 채득할 수 있게 도와 준다.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본체는 시술자의 손에서 미끄러지지 않고 잡기 편한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상기 본체 하부의 중앙 부위에는 하향으로 만입된 만입홈이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만입홈은 판상형 부재로 이루어진 본체를 손으로 잡았을 때 손바닥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할 수 있으므로, 시술자는 본체를 안정적으로 잡고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전단 개구부는 바람직하게는 구강에 삽입된 상태에서 혀소대에 대응하는 위치의 중앙 하단에, 상기 혀소대에 대응하는 만입홈이 상측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참고로, 혀소대는 하악과 혀의 중간 부위에서, 이들을 연결하는 얇은 표피조직을 의미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전단 개구부는 본체를 기준으로 상향 수직 절곡되어 있고, 본체와의 연결부위를 기준으로 단부까지의 폭이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전단 개구부가 본체를 기준으로 상향 수직 절곡되어 있으므로, 전단 개구부를 환자의 구강에 삽입하여 환자의 혀 상면을 전단 개구부로 누름으로써, 혀 를 하악 방향으로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전단 개구부가 본체와의 연결부위를 기준으로 단부까지의 폭이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본체를 손으로 잡고 가한 힘이 단부까지 동일하게 전달될 수 있고, 혀의 상면을 눌러 고정할 경우, 환자가 느낄 수 있는 압력이나 통증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이는 본 발명의 더욱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리트랙터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그러한 리트랙터의 실제 평면 사진이 개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리트랙터(100)는 손으로 잡고 힘을 가하는 본체(110) 및 상악 또는 하악에 대응하는 개구 형상으로 본체(110)의 일측 단부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있는 전단 개구부(120)로 구성되어 있고, 본체(110)와 전단 개구부(120)는 일체형의 판상형 부재로 이루어져 있다.
본체(110)는 중앙부위에 수평면상 직사각형 모양의 손가락 삽입용 관통구(111)가 형성되어 있고, 관통구(111)의 내면(112)은 하향 테이퍼 구조로 형성되어 있어서 손가락을 상부로부터 관통구(111)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전단 개구부(120)는 본체(110)를 기준으로 하향 수직 절곡되어 있고, 본 체(110)와의 연결 부위(121)를 기준으로 단부(123)로 갈수록 폭(W)이 작아지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만입홈(122)은 구강에 삽입된 상태에서 입술소대에 대응하는 위치의 중앙 하단에 상측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리트랙터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리트랙터(200)는 손으로 잡고 힘을 가하는 본체(210) 및 혀에 대응하는 개구 형상으로 본체(210)의 일측 단부로부터 상향 연장되어 있는 전단 개구부(220)로 구성되어 있고, 본체(210)는 전단 개구부(220)와 80도의 각도(a)를 가지고 좌측 방향으로 절곡된 상태로 전단 개구부(220)와 일체형인 판상형 부재로 이루어져 있다.
본체(210)에는 하향으로 만입된 만입홈(211)이 하부의 중앙 부위에 본체(21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어서, 손으로 잡고 힘을 용이하게 인가할 수 있다.
전단 개구부(220)는 본체(210)를 기준으로 상향 수직 절곡되어 있고, 본체(210)와의 연결부위(221)의 폭(H)과 단부(223)의 폭(h)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혀소대에 대응하는 만입홈(222)은 구강에 삽입된 상태에서 혀소대에 대응하는 위치의 중앙 하단에 형성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리트랙터는 손으로 잡고 힘을 가하 는 본체 및 본체의 일측 단부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있는 전단 개구부를 포함하는 특정구조로 이루어져 있어서, 환자의 구강을 개방된 상태로 용이하게 유지하여, 치과 진료를 원활하게 함과 동시에, 환자의 불편함을 최소화하고 시술자 또한 편안하게 진료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리트랙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그러한 리트랙터의 평면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리트랙터의 평면도이다.

Claims (9)

  1. 치과 치료를 위해 구강을 개방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치과용 리트랙터(Retractor)로서,
    적어도 하나의 손가락을 삽입한 상태에서 손으로 잡고 힘을 가할 수 있도록 중앙부위에 손가락 삽입용 관통구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 및 상악 또는 하악의 입술을 젖힐 수 있도록 상악 또는 하악에 대응하는 개구 형상으로 상기 본체의 일측 단부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있는 전단 개구부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본체와 전단 개구부가 일체형의 판상형 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리트랙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 개구부가 구강에 삽입된 상태에서 입술소대에 대응하는 위치의 중앙 하단에는, 상기 입술소대에 대응하는 만입홈이 상측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리트랙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는 수평면상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 중에서 선택된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리트랙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의 내측면은 하향 테이퍼 구조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리트랙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 개구부는 본체를 기준으로 하향 수직 절곡되어 있고, 본체와의 연결부위를 기준으로 단부로 갈수록 폭이 작아지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리트랙터.
  6. 치과 치료를 위해 구강을 개방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치과용 리트랙터로서,
    손으로 잡고 힘을 가할 수 있는 본체, 및 혀를 상악 또는 하악 방향으로 젖힐 수 있도록 혀에 대응하는 개구 형상으로 상기 본체의 일측 단부로부터 상향 연장되어 있는 전단 개구부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본체는 전단 개구부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절곡된 상태로 전단 개구부와 일체형인 판상형 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리트랙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하부의 중앙 부위에는 하향으로 만입된 만입홈이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리트랙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 개구부가 구강에 삽입된 상태에서 혀소대에 대응하는 위치의 중앙 하단에는, 상기 혀소대에 대응하는 만입홈이 상측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리트랙터.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 개구부는 본체를 기준으로 상향 수직 절곡되어 있고, 본체와의 연결부위를 기준으로 단부까지의 폭이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리트랙터.
KR1020080013772A 2008-02-15 2008-02-15 치과용 리트랙터 KR200900884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3772A KR20090088485A (ko) 2008-02-15 2008-02-15 치과용 리트랙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3772A KR20090088485A (ko) 2008-02-15 2008-02-15 치과용 리트랙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8485A true KR20090088485A (ko) 2009-08-20

Family

ID=41207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3772A KR20090088485A (ko) 2008-02-15 2008-02-15 치과용 리트랙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8848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74683A1 (ko) * 2016-10-20 2018-04-26 주식회사 디오 치과용 견인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74683A1 (ko) * 2016-10-20 2018-04-26 주식회사 디오 치과용 견인장치
JP2018533984A (ja) * 2016-10-20 2018-11-22 ディオ コーポレーションDio Corporation 歯科用牽引装置
EP3530231A4 (en) * 2016-10-20 2020-09-23 DIO Corporation DENTAL RETRAC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725463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bruxism and occlusal forces
US6102701A (en) Retractor apparatus
US20070087310A1 (en) Dental matrices and clamps therefor
US20180271260A1 (en) Facial Lift
US8784101B1 (en) Retractor apparatus
US10772493B2 (en) Dental retractor
KR101208200B1 (ko) 치과용 리트랙터
US20110250563A1 (en) Interdental device
US10945816B1 (en) Orthodontic bracket positioning instrument
KR20090088485A (ko) 치과용 리트랙터
CN213346116U (zh) 牙科器具
BR202012002849Y1 (pt) Bráquete autoligável interativo
KR20180043869A (ko) 치과용 견인장치
CN211723483U (zh) 一种具有菱柱附件的矫治器
KR101751430B1 (ko) 구강 리트랙터
AU2021245262B2 (en) Endodontic file holder
CN211723484U (zh) 可与电动牙刷互换配合的口腔正畸牙移动加速工作头
CN220695393U (zh) 一种用于口腔治疗的数字化个性挡舌装置
CN113648026B (zh) 一种上颌Le Fort I型骨切开术专用把持钳及其使用方法
EP3824842A1 (en) Labiolingual retractor
KR200447220Y1 (ko) 치과용 교합지 홀더
CN206910317U (zh) 便于上前牙舌面检查操作的参照镜
JP2545239Y2 (ja) 歯ブラシ
JP2018192068A (ja) 口腔内ケア器具
KR101924582B1 (ko) 치과용 견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