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8200B1 - 치과용 리트랙터 - Google Patents

치과용 리트랙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8200B1
KR101208200B1 KR1020110035098A KR20110035098A KR101208200B1 KR 101208200 B1 KR101208200 B1 KR 101208200B1 KR 1020110035098 A KR1020110035098 A KR 1020110035098A KR 20110035098 A KR20110035098 A KR 20110035098A KR 101208200 B1 KR101208200 B1 KR 1012082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retractor
dental retractor
shape
de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5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5979A (ko
Inventor
이인환
Original Assignee
비엔엘바이오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엔엘바이오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비엔엘바이오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US13/641,690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30101959A1/en
Priority to EP11769135A priority patent/EP2559385A2/en
Priority to PCT/KR2011/002748 priority patent/WO2011129669A2/ko
Publication of KR201101159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59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82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82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mouth, i.e. stomatoscopes, e.g. with tongue depressors; Instruments for opening or keeping open the mou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33Gingival retraction appli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02Inorganic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2201/00Material properties
    • A61C2201/007Material properties using shape memory effec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굽힘 변형이 용이하고 일정 조건하에 원래의 형상으로 돌아오도록 형상기억특성을 갖는 재질을 포함하는 치과용 리트랙터가 개시된다. 치과용 리트랙터는, 니티놀 및 니티놀을 포함하는 합금 재질로 형성되어 굽힘 변형이 가능하고 형상기억특성을 제공하며, 치아에 지지되어 잇몸 조직을 들어올리는 견인부, 상기 견인부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견인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와 결합된 손잡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들에 따르면, 치과용 리트랙터는 수술 시 필요에 따라 쉽게 구부러지고 형상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어서 수술의 편의성이 증대되고, 수술이 끝나면 일정한 조건하에 다시 원래의 형태로 돌아오므로 편의성이 증대된다.

Description

치과용 리트랙터{DENTAL RETRACTOR}
본 발명은 치과용 리트랙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필요에 따라 굽힘 변형이 용이하고, 일정조건하에 원래의 형상으로 돌아오도록 형상기억특성의 재질을 포함하고 넓은 면적의 조직을 효과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치과용 리트랙터에 관한 것이다.
임플란트 또는 기타 치과의 외과적인 시술 시 시야를 충분히 확보하기 위해 상악 또는 하악의 입술을 젖혀 환자의 입을 크게 벌리게 한 상태에서 진료를 실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이, 환자의 입을 벌리고 진료를 하는 과정에서 치아의 뿌리 등을 치료하기 위하여 이를 덮고 있는 잇몸 조직을 절개했을 때, 그 잇몸 조직을 제대로 잡아주지 않는 경우 진료에 상당한 지장을 초래하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다양한 치과 진료 또는 수술 시, 환자의 구강 내의 시야를 확보하고 원활한 작업 수행을 위해 치아를 덮는 잇몸 조직을 고정할 수 있도록 리트랙터(retractor)를 사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리트랙터는, 소정의 두께를 가진 금속 와이어가 프레임의 형태를 이루고 있는 구조체로서, 예를 들어, 손잡이부와 잇몸 조직을 잡아주는 역할을 하는 견인부로 형성된다.
이러한 일반적인 리트랙터는, 일반적인 금속 재료로 이루어져 있어 형태의 변형이 용이하지 않아, 환자의 입을 벌린 상태에서 한번 장착되면 리트랙터의 이동이 용이하지 않아 수술시 공간적인 제약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인 리트랙터는 전단부의 크기가 한정되어 보통 하나의 치아를 덮는 정도의 크기의 잇몸 조직만을 고정시킬 수 있어, 복수의 치아를 덮는 넓은 면적의 잇몸조직을 고정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그 사용에 제한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복수개의 치아 또는 그 잇몸을 수술하는 경우에 넓은 면적의 잇몸 조직을 한꺼번에 지탱할 수 있으면서, 수술 시 시야를 충분히 확보하며 공간적인 제약을 최대한 줄일 수 있도록 쉽게 구부러지는 특성을 가지는 리트랙터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쉽게 구부러 지면서도 일정한 조건 하에서 원래의 형상으로 돌아오는 형상기억재질로 리트랙터를 형성하여 치과 수술 시에 공간적인 제약을 최대한 줄이고 시야가 충분히 확보되어 수술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는 치과용 리트랙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치아와 잇몸조직의 형태 또는 치아와 치아간의 접촉관계에 따른 잇몸조직의 형태 등에 따라 수술 시 다양하게 채용될 수 있는 치과용 리트랙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복수개의 치아 또는 그 잇몸을 수술하는 경우 넓은 면적의 잇몸 조직을 한꺼번에 지탱할 수 있는 리트랙터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치과용 리트랙터는, 니티놀 및 니티놀을 포함하는 합금 재질로 형성되어 굽힘 변형이 가능하고 형상기억특성을 제공하며, 치아에 지지되어 잇몸 조직을 들어올리는 견인부, 상기 견인부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견인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와 결합된 손잡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견인부는, 양측이 돌출 형성된 윙부 및 전방 부분이 돌출되고 그 단부에는 복수의 톱니로 이루어진 톱니부가 형성된 지지파트를 포함하고, 전체적인 형상이 십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윙부는 돌출된 길이가 서로 같거나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윙부의 단부는 둥글게 형성된 라운딩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윙부에서 전방 부분의 적어도 일부에는 보조 톱니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파트는 상기 톱니부가 형성된 단부가 상기 견인부에서 평행하게 돌출되거나, 비스듬하게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톱니부는 삼각형 및 다각형 중 어느 하나 또는 2가지 이상의 형상이 혼합된 형상을 갖는 복수의 톱니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견인부는 스테인리스 스틸강(SUS)를 포함하는 굽힘이 용이한 재질과 니티놀의 합금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지지부는 시술시 사람의 입술에 닿는 측면이 곡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지지부와 상기 견인부가 연결된 부분에 결합되어 상기 견인부 및 상기 지지부의 체적을 확장시키는 확장부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확장부는 실리콘을 포함하는 부드럽고 탄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지지부와 상기 손잡이부는 별도의 개체로 형성되어 체결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의 단부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와 상기 손잡이부가 나사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리트랙터가 형상기억재질로 이루어져 수술 시 필요에 따라 쉽게 구부러지고 수술이 끝나면 일정한 조건하에 다시 원래의 형태로 돌아온다. 따라서, 리트랙터를 필요에 따라 그 모양을 자유자재로 구부릴 수 있는바 공간적인 제약이 줄어들고, 시야가 충분히 확보되어 수술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치아와 잇몸조직의 형태 또는 치아와 치아간의 접촉관계에 따른 잇몸조직의 형태 등에 따라 리트랙터의 구부려 가면서 다양한 각도와 모양으로 리트랙터를 채용할 수 있는바 리트랙터의 활용도가 높아지고 수술의 효율성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치아 또는 그 잇몸을 수술하는 경우에는 복수개의 치아를 덮는 넓은 면적의 잇몸조직을 한꺼번에 들어올려 지탱할 수 있어 수술의 진행이 용이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치과용 리트랙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치과용 리트랙터의 두께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지지파트의 뼈구조와 접촉하는 일 측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제 2 굽힘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치과용 리트랙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치과용 리트랙터에서 요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리트랙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5의 치과용 리트랙터에서 견인부의 동작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9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들에 따른 견인부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리트랙터(1)는 치과에서 주로 외과 수술시에 사용하는 외과용 견인기로 예시하며, 수술 시 필요한 부분에 위치하여 조직을 잡아주는 역할을 하는 기구이다. 이러한 조직은 주로 잇몸조직일 것이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상기 치과용 리트랙터(1)는 치과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수술에서 조직을 고정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 다양하게 채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리트랙터(1)는 손잡이부(100) 및 견인부(200)를 포함한다. 보다 자세한 설명을 위해 도 1을 제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치과용 리트랙터(1)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손잡이부(100)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수술시에 손으로 치과용 리트랙터(1)를 지탱하는 손잡이 부분에 해당한다. 이러한 손잡이부(100)의 일단에는 수술 시 절개한 피부 조직을 고정시켜주는 견인부(200)가 형성된다. 한편, 손잡이부(100)의 타단에는 연결구멍(110)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연결구멍(110)을 통하여 별도의 손잡이 부분이나 기타 다른 요소들이 채결될 수 있다.
견인부(200)는 그 일측이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 연결되고 타측이 치아에 지지된다. 이러한 견인부(200)는 수술 시 피부조직을 견인하는 역할을 한다.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견인부(200)의 끝단은 치아와 같은 뼈구조 지지되고, 치아를 감싸고 있는 조직을 절개한 경우 견인부(200)는 절개된 조직이 다시 치아를 덮지 않도록 조직을 잡아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또한, 견인부(200)는 손잡이부(100)와 고정되게 연결된 것이 아니고, 견인부(200)와 손잡이부(100)는 서로 상대적인 움직임이 가능하다. 즉 굽힘변형이 가능하고 이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한편, 손잡이부(100)와 견인부(200)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손잡이부(100)와 견인부(200)의 재질은 인력으로 쉽게 구부러지며 아울러, 형상기억특성을 제공하는 니티놀(nitinol)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형상기억특성을 제공하는 다양한 재질이 변형 채용될 수 있다. 니티놀은 니켈과 티타늄을 약 절반씩 섞어서 만들어진 비자성 합금으로서, 굽히거나 찌그리는 등 외력에 의하여 변형되어도 일정한 온도 이상으로 가열하거나 물에 담그면 원래의 모습으로 돌아가는 형상기억특성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니티놀은 50℃ 이상의 온도에서 원래의 형태로 돌아오는 형상기억합금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손잡이부(100)와 견인부(200)가 형상기억합금인 니티놀로 이루어지는바, 수술 시 필요에 따라 의사는 치과용 리트랙터(1)를 사용함에 있어서 견인부(200)만을 구부려 사용하거나 손잡이부(100)만을 구부려 사용하거나 손잡이부(100)와 견인부(200)를 적절히 구부려 사용할 수 있어 공간확보, 시야확보 등으로 인한 수술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수술이 끝난 후에는 일정 온도 조건하에 리트랙터(1)가 다시 본래의 형상으로 되돌아 오는바 신속하게 재사용이 가능하다.
견인부(200)는 지지파트(210)를 포함한다. 이때, 지지파트(210)는 견인부(200)의 끝단에 돌출하여 형성된다. 지지파트(210)는 수술 시에 치아 등의 뼈구조에 접촉하여 치과용 리트랙터(1)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뼈구조에는 지지파트(210)가 접촉 삽입될 수 있도록 일정한 홈을 형성할 수 있으며, 그렇지 않고 뼈구조의 겉표면에 지지파트(210)가 바로 접촉할 수도 있다.
이때, 견인부(200)는 지지파트(210)가 돌출 형성된 부분과 손잡이부(100)가 연결된 부분을 제외한 양 측이 (bar)의 형상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즉, 손잡이부(100)와 같은 평면상에서 손잡이부(100)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게 형성되는 것이다. 견인부(200)의 이러한 형상으로 인하여 치과용 리트렉터(1)는 그 형상이 십자형이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하여, 복수개의 치아 또는 그 잇몸을 수술하는 경우에, 견인부(200)의 길게 연장 형성된 부분이 넓은 면적의 잇몸 조직 또는 피부 조직을 한꺼번에 지탱할 수 있다.
다만, 조직의 넓은 면적을 지탱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견인부(200)가 니티놀로 이루어진 특성상, 견인부(200)의 길게 연장 형성된 부분을 구부려 사용하면 된다. 따라서 다양한 면적의 조직을 지탱할 수 있다.
한편, 견인부(200)와 손잡이부(100)가 연결되는 부분의 양측에는 내측으로 파여지게 제 1 굽힘홈(220)이 형성된다. 제 1 굽힘홈(220)의 형상은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며, 이러한 제 1 굽힘홈(220)의 형성으로 인하여 견인부(200)가 손잡이부(100)로부터 좀더 잘 구부러질 수 있다. 따라서, 의사는 환자가 입을 벌린 상태에서 입 밖으로 일직선으로 뻗어 나온 치과용 리트랙터(1)의 손잡이부(100)를 위 또는 아래 방향으로 굽힘으로써, 수술을 위한 공간확보 또는 시야확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2의 도시와 같이 견인부(200)와 손잡이부(100)가 연결되는 부분, 즉 견인부(200)와 손잡이부(100)가 연결되는 부분의 두께는 손잡이부(100)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견인부(200)가 손잡이부(100)로부터 좀더 잘 구부러질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도 2의 (a)의 도시와 같이, 견인부(200)와 손잡이부(100)가 연결되는 부분부터 두께가 얇아져 견인부(200)의 전체적인 두께가 손잡이부(100)보다 얇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2의 (b)의 도시와 같이, 견인부(200)와 연결되지 않은 손잡이부(100)의 다른 일측으로부터 지지파트(210)로 갈수록 그 두께가 점진적으로 얇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결국 뼈구조에 지지되면서 절개된 조직을 잡아주는 견인부(200)가 손잡이부(100)로부터 쉽게 구부러지는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수술의 편의성, 효율성이 증대된다.
한편, 지지파트(210)의 치아와 만나는 일측은 복수개의 톱니부(21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톱니부(211)는 치아 등의 뼈구조에 접촉될 때 지지파트(210)가 뼈구조에 좀더 확실히 지지될 수 있도록 도와준다. 톱니부(211)의 형상은 삼각형 형상으로 예시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돌기로 형성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지지파트(210)의 형상은 뼈구조와 접촉하는 부분이 필요에 따라 바뀔 수 있는데 보다 자세한 설명을 위해 도 3을 제시한다. 도 3은 지지파트(210)의 뼈구조와 접촉하는 일측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의 (a) 또는 (b)의 도시와 같이 지지파트(210)는 견인부(200)로부터 돌출된 길이가 일정하지 않게 비스듬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뼈구조의 형상에 따라 그에 맞는 지지파트(210)의 형상을 사용하여 수술시 공간확보, 시야확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는, 도 3의 (c)의 도시와 같이 지지파트(210)의 형상이 M자 형상이 되도록 중앙보다 양 끝단이 더 돌출되도록 지지파트(21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다양한 형상의 지지파트(210)는 견인부(200)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다양한 형상을 필요에 따라 탈 부착하는 방식 또한 가능할 것이다.
실시예에 따르면, 도 4의 도시와 같이, 지지파트(210)가 견인부(200)로부터 돌출이 시작되는 부분의 양 측에는 내측으로 파여지게 제 2 굽힘홈(23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하여 견인부(200)가 지지파트(210)로부터 좀더 쉽게 구부러질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치과용 리트랙터(1)는 손잡이부(100)와 견인부(200)가 일체로 형성되는데, 니티놀을 사용하여 굽힘이 자유롭도록 하는 것은 견인부에만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견인부와 손잡이부를 별도로 제작하여 결합시키며, 견인부는 굽힘이 자유롭고 사용 수 원래의 형태로 복원될 수 있도록 니티놀 재질로 형성되고, 손잡이부는 사용에 편리하도록 강도가 높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견인부가 별도로 제작되어 결합되는 형태의 치과용 리트랙터(3)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상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치과용 리트랙터(1)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명칭을 사용한다.
치과용 리트랙터(3)는 견인부(300)와 지지부(330) 및 손잡이부(130)로 형성된다.
견인부(300)는 사람의 힘으로도 쉽게 굽힘 변형이 가능하고, 일정 조건을 가하면(예를 들어, 가열하면)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는 형상기억특성을 제공하는 니티놀(nitinol)을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된다. 또한, 견인부(300)는 쉽게 변형시킬 수 있도록 니티놀에 스테인리스스틸강(SUS) 재질이 혼합된 합금이 사용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견인부(300)는 자유롭게 굽힘이 가능하며, 시술하고자 하는 대상이 되는 치아 형상에 맞게 견인부(300)를 변형시켜서 사용할 수 있다.
지지부(330)는 상기 견인부(300)를 지지하고, 소정의 강도를 갖는 금속이나 합금, 수지 등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견인부(300)와 지지부(330)는 결합되어 일체로 형성된다.
지지부(330)는 치과용 리트랙터(3)가 시술 대상이 되는 사람의 입 안에 장착되었을 때, 지지부(330)의 측면이 입술에 닿게 된다. 입술에 닿았을 때, 상처가 발생하거나 불편하지 않도록 지지부(330)의 측면은 둥글게 처리된 곡면 형상을 갖는다. 예를 들어, 지지부(330)는 대략 반원형 단면을 갖는 막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지지부(330)는 시술의 편리함을 위해서 적어도 1부분 이상의 위치에 벤딩부(332, 333)가 형성된다. 벤딩부(332, 333)의 위치와 개수 및 벤딩된 각도는 실질적으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치과용 리트랙터(3)는 다양한 형상을 갖는 견인부(300)를 사용할 수 있도록 지지부(330)에서 견인부(300)가 결합되지 않은 단부에 손잡이부(130)가 체결될 수 있는 체결부(335)가 형성된다. 예를 들어, 지지부(330)와 손잡이부(130)는 나사 결합이 가능하도록 지지부(330)의 단부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손잡이부(130)에 삽입되어 나사 결합된다. 그러나 본 발명이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지지부(330)와 손잡이부(130)의 체결 형태는 실질적으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손잡이부(130)는 시술자가 시술 시 잡기 편한 형태를 가지며, 일반적인 손잡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손잡이부(130)의 재질은 금속이나 수지 등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하나의 손잡이부(130)에 다양한 형태의 견인부(300)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보관 및 사용이 편리하다.
한편, 치과용 리트랙터(3)는 지지부(330)와 견인부(300)의 연결 부분에 확장부(340)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확장부(340)는 견인부(300) 및 지지부(330)의 체적을 크게 하여 입 안에서 공간을 확보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확장부(340)는 지지부(330)와 견인부(300)가 연결된 연결부(331)의 양쪽에서 둘러싸서 결합되는 대략 'ㄷ'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입안에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므로, 확장부(340)는 견인부(300) 및 지지부(330)의 두께보다 두꺼운 두께를 갖는다. 여기서, 확장부(340)는 입안에서 접촉되는 부분이 불편하거나 상처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실리콘 등과 같이 부드럽고 탄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된다.
견인부(300)의 구성을 살펴보면, 선단부에 복수의 톱니로 이루어진 톱니부(311)가 형성된 지지파트(310)가 전방 부분에서 돌출 형성되고 양측에서 윙부(320)가 돌출 형성되어서 전체적으로 대략 십자 형태를 갖는다.
지지파트(310)는 치아에 접촉되는 전방 부분에 마찰을 위한 톱니부(311)가 형성되며, 톱니부(311)는 견인부(300)에서 평행한 직선 형태로 돌출될 수 있다. 또는, 톱니부(311)는 견인부(300)에 대해서 비스듬하게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술한 실시예와 같이, 톱니부(311)는 중앙보다 양 단부가 더 돌출되어 'M'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서는 톱니부(311)의 형상을 삼각형 톱니로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톱니의 형상은 실질적으로 다양한 형상을 갖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톱니부(311)는 한가지 형상의 톱니로 이루어지거나, 다양한 형상의 톱니가 혼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톱니부(311)의 크기와 형상을 과장하여 도시한 것으로, 톱니부(311)는 치아에 대해 치과용 리트랙터(3)가 미끌어지지 않고 마찰을 줄 수 있는 정도면 미세한 크기로 형성된다.
윙부(320)는 견인부(300)에서 양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입안에 닿은 부분이 불편하거나 상처가 나지 않도록 단부가 둥글게 라운딩 처리된다. 또한, 윙부(320)는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라운딩 처리된 부분의 적어도 일부에는 복수의 미세 톱니로 이루어진 보조 톱니부(321)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윙부(320)에서 전방 라운딩부분의 일부에 보조 톱니부(321)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보조 톱니부(321)의 크기와 위치 및 톱니의 수 등은 실질적으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보조 톱니부(321)가 생략되는 것도 가능하다.
윙부(320)는 좌우에서 돌출된 길이가 서로 동일하거나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 미설명 도면부호 323은 윙부(320)의 선단부(323)이다.
이와 같이 상세한 견인부의 형상에 대해서는 도 9 내지 도 16에 도시하였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견인부는 형상을 제외하고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변형된 형상에 대해서만 간략하게 설명한다.
치과용 리트랙터(3)는 다양한 형상의 견인부를 가질 수 있으며, 견인부는 지지파트와 윙부의 형상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도 9와 도 10에 도시한 치과용 리트랙터는, 견인부(410, 420)가 지지파트(411, 421)까지 동일한 두께로 연장 형성되고, 견인부(410, 420)에서 상단의 지지파트(411, 421)에 가까운 부분에서 좌우 양측으로 윙부(413, 423)이 연장 형성되어 대략 십자 형태로 형성된다. 여기서, 지지파트(411, 421)는 톱니부(412, 422)가 직선 형태로 형성된다. 다만, 도 9에 도시한 견인부(410)는 우측 윙부(4133)가 좌측 윙부(4131)에 비해 더 길게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도 10에 도시한 견인부(420)는 좌측 윙부(4231)가 우측 윙부(4233)에 비해 길게 돌출 형성된다.
한편,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견인부(430)는 전체 몸통 부분에 비해 지지파트(431)가 좁게 형성되고, 톱니부(432)가 평행하게 돌출 형성된다. 또한, 윙부(433)는 좌우 양측 윙부(4331, 4333)의 길이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윙부(433)의 전단부 일부에는 보조 톱니부(4332, 4334)가 형성된다.
그리고 도 12와 도 13은 도 11에 도시한 견인부(430)와 유사하게, 전체 몸통부분보다 좁은 너비를 갖는 지지파트(441, 451)가 돌출 형성되고, 그 단부에 평행하게 톱니부(442, 452)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윙부(440, 450)의 전단부 일부에는 보조 톱니부(4432, 4434, 4532, 4534)가 형성된다. 다만, 도 11 기재의 실시예와는 달리, 도 12와 도 13 기재의 실시예에 따른 견인부(440, 450)는 좌우 양측 윙부(443, 453)의 길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된다. 도 12에 따른 견인부(440)는 우측 윙부(4433)가 좌측 윙부(4431)에 비해 더 길게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도 10에 도시한 견인부(450)는 좌측 윙부(4531)가 우측 윙부(4533)에 비해 길게 돌출 형성된다.
도 14 내지 도 16에 따른 견인부(460, 470, 480)는 대략 십자 형태를 갖고, 도 1 내지 도 2에 따른 견인부(410, 420)에 비해 윙부(463, 473, 483)가 길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도 14에 따른 견인부(460)는 지지파트(461)이 평행하게 형성되고, 도 15에 따른 견인부(470)의 지지파트(471)는 도면 상에서 우측을 향해 하향 경사진 형태를 갖고, 도 16에 따른 견인부(480)의 지지파트(481)는 좌측을 향해 하향 경사진 형태를 갖는다.
도 14 내지 도 16에서 미설명 도면부호 463, 4631, 4633, 473, 4731, 4733, 483, 4831, 4833는 각 견인부(460, 470, 480)에서 좌우 윙부이고, 미설명 도면부호 4632, 4634, 4732, 4734, 4832, 4834는 보조 톱니부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리트랙터(1, 3)의 작동을 설명한다.
치과에서 여러 가지 수술을 하는 경우에 환자는 입을 벌리고, 그 상태에서 수술의 대상이 되는 치아 또는 잇몸 부위의 조직을 절개한다. 이렇게 절개된 조직은 수술을 하는 동안에 젖혀진 상태에서 고정되어 있어야 수술이 용이하고 의사의 시야가 확보된다.
따라서, 조직을 절개한 후 조직을 들어올린 또는 내린 상태에서 치아로 예시되는 뼈구조에 톱니부가 형성된 지지파트의 일측을 접촉시킨다. 그리고 손잡이부를 손으로 잡고 들어올리면, 그 재질이 니티놀, 또는 니티놀과 SUS의 합금 재질로 형성된 치과용 리트랙터(1, 3)는 지지파트가 치아에 고정된 상태에서 위로 또는 아래로 구부러지고 그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견인부에 의해 젖혀진 조직이 고정된다. 치과용 리트랙터(1, 3)의 구부러짐은 견인부와 윙부 등의 다양한 형상과 두께의 차이에 의해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고,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가 모두 변형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치과용 리트랙터(1, 3)의 형상을 자유롭게 변형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수술시 시야확보와 공간확보를 용이하게 하여 수술의 편의성이 증진된다.
그리고 수술이 끝나면 치과용 리트랙터(1, 3)는 치아에서 제거되고 조직은 다시 원래의 자리로 돌아오며 꿰매진다. 이때 치과용 리트랙터(1, 3)는 니티놀이나 니티놀과 SUS와 같이 굽힘성이 우수한 재질의 합금 재질로 이루어져 있는바 일정한 온도 조건하에서 다시 원래의 형태로 돌아온다. 따라서 다시 다음 수술에 사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상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3: 치과용 리트랙터
100, 130: 손잡이부
200: 견인부
210: 지지파트
220: 제 1 굽힘홈
230: 제 2 굽힘홈
300: 견인부
310: 지지파트
311: 톱니부
320: 윙부
321: 보조 톱니부
323: 선단부
330: 지지부
331: 연결부
332, 333: 벤딩부
335: 체결부
340: 확장부

Claims (12)

  1. 니티놀 및 니티놀을 포함하는 합금 재질로 형성되어 굽힘 변형이 가능하고 형상기억특성을 제공하며, 치아에 지지되어 잇몸 조직을 들어올리는 견인부;
    상기 견인부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견인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와 결합된 손잡이부;
    를 포함하는 치과용 리트랙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부는
    양측이 돌출 형성된 윙부; 및
    전방 부분이 돌출되고 그 단부에는 복수의 톱니로 이루어진 톱니부가 형성된 지지파트;
    를 포함하고, 전체적인 형상이 십자 형태를 갖는 치과용 리트랙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윙부는 돌출된 길이가 서로 같거나 서로 다르게 형성된 치과용 리트랙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윙부의 단부는 둥글게 형성된 라운딩부가 형성된 치과용 리트랙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윙부에서 전방 부분의 적어도 일부에는 보조 톱니부가 형성된 치과용 리트랙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파트는 상기 톱니부가 형성된 단부가 상기 견인부에서 평행하게 돌출되거나, 비스듬하게 돌출 형성된 치과용 리트랙터.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톱니부는 삼각형 및 다각형 중 어느 하나 또는 2가지 이상의 형상이 혼합된 형상을 갖는 복수의 톱니를 포함하는 치과용 리트랙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부는 스테인리스 스틸강(SUS)를 포함하는 굽힘이 용이한 재질과 니티놀의 합금 재질로 형성된 치과용 리트랙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시술시 사람의 입술에 닿는 측면이 곡면 형상을 갖는 치과용 리트랙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와 상기 견인부가 연결된 부분에 결합되어 상기 견인부 및 상기 지지부의 체적을 확장시키는 확장부가 구비된 치과용 리트랙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는 실리콘을 포함하는 부드럽고 탄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된 치과용 리트랙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와 상기 손잡이부는 별도의 개체로 형성되어 체결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의 단부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와 상기 손잡이부가 나사 결합되는 치과용 리트랙터.
KR1020110035098A 2010-04-16 2011-04-15 치과용 리트랙터 KR1012082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641,690 US20130101959A1 (en) 2010-04-16 2011-04-18 Retractor for dental treatment
EP11769135A EP2559385A2 (en) 2010-04-16 2011-04-18 Retractor for dental treatment
PCT/KR2011/002748 WO2011129669A2 (ko) 2010-04-16 2011-04-18 치과용 리트랙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35071 2010-04-16
KR1020100035071 2010-04-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5979A KR20110115979A (ko) 2011-10-24
KR101208200B1 true KR101208200B1 (ko) 2012-12-04

Family

ID=44798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5098A KR101208200B1 (ko) 2010-04-16 2011-04-15 치과용 리트랙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30101959A1 (ko)
EP (1) EP2559385A2 (ko)
KR (1) KR101208200B1 (ko)
WO (1) WO201112950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2041U (ko) * 2020-03-05 2021-09-15 김병철 수동식 의료용 견인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14243B1 (en) 2015-04-06 2016-04-19 King Saud University Gingival graft stabilizer
US11432906B2 (en) * 2018-06-18 2022-09-06 Hu-Friedy Mfg. Co., Llc Dental instrument with a flexible tip end and method of manufacture
CN109431441B (zh) * 2018-12-12 2024-05-17 南通市第二人民医院 一种便于调节的口腔科口唇撑开装置
KR102336883B1 (ko) 2019-05-09 2021-12-09 주식회사 아이오바이오 후드형 리트랙터
US20210045625A1 (en) * 2019-08-14 2021-02-18 B&L Biotech USA, Inc. Dental retractor with micro mirro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19216A1 (en) 2004-07-20 2006-01-26 Biomedical Modeling, Inc. Dental retractor and method of use to produce anatomically accurate jaw models and dental prostheses
US20090081611A1 (en) 2007-09-26 2009-03-26 Indentiv, Llc Methods, devices, systems, assemblies, and kits for tissue retraction in an oral cavity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90907A (en) * 1991-08-19 1992-02-25 Hewitt Fred G Dental curette with finger pad
US5514076A (en) * 1994-01-27 1996-05-07 Flexmedics Corporation Surgical retractor
US6024564A (en) * 1999-06-21 2000-02-15 Kesling; Peter C. Rotating periodontal probe
US6705865B1 (en) * 2002-02-26 2004-03-16 Dennis W. Szymaitis Dental hand instrument
US20040038176A1 (en) * 2002-08-07 2004-02-26 Hallows Dean Leighton Taylor Dental instrument
US20070259307A1 (en) * 2006-05-03 2007-11-08 Discus Dental Impressions, Inc. Instruments having anti-microbial coating
KR20090077945A (ko) * 2006-10-10 2009-07-16 오름코 코포레이션 치열교정용 리트랙션 아치 및 스프링
KR100830918B1 (ko) * 2006-10-24 2008-05-22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치과용 진료용 입술 및 혀 리트랙터
KR100879798B1 (ko) * 2007-06-07 2009-01-22 주식회사 이상테크 치과용 리트랙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19216A1 (en) 2004-07-20 2006-01-26 Biomedical Modeling, Inc. Dental retractor and method of use to produce anatomically accurate jaw models and dental prostheses
US20090081611A1 (en) 2007-09-26 2009-03-26 Indentiv, Llc Methods, devices, systems, assemblies, and kits for tissue retraction in an oral cavit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2041U (ko) * 2020-03-05 2021-09-15 김병철 수동식 의료용 견인기
KR200495180Y1 (ko) 2020-03-05 2022-03-23 김병철 수동식 의료용 견인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59385A2 (en) 2013-02-20
US20130101959A1 (en) 2013-04-25
WO2011129504A1 (ko) 2011-10-20
KR20110115979A (ko) 2011-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8200B1 (ko) 치과용 리트랙터
US5730597A (en) Lip and cheek retractor
ES2550758T3 (es) Dispositivo de fijación intermaxilar y método para usar el mismo
EP1844728A1 (en) Cheek and lip retractor for dentistry
US8297972B2 (en) Combination tongue and flap retractor
US10307228B2 (en) Retractor for periodontal surgery
US20070161867A1 (en) Retractor blade and bridge system
EP3096709B1 (en) Orthodontic apparatus
US20100240008A1 (en) Forceps for molar extraction
CN108472107A (zh) 牙科牵开器
KR20160025583A (ko) 인체공학적 치과용 툴
KR102358076B1 (ko) 마이크로 미러를 구비하는 치과용 리트렉터
US4875856A (en) Orthodontic appliance for closing spaces and correcting malocclusion
JP6274685B1 (ja) 上顎牽引装置
WO2011129669A2 (ko) 치과용 리트랙터
WO2003022136A1 (en) Dentists' tools set
US20210205119A1 (en) Jaw displacement syste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a system for the treatment of sleep apnoea and/or snoring
CN113143502A (zh) 一种基于牙齿外突的正畸装置
KR101129136B1 (ko) 치열 교정용 와이어 및 이를 갖는 치열교정장치
JP4815582B2 (ja) 顎間固定ブラケット
CN212755747U (zh) 一种应用在颧骨手术中的拉钩
KR20140142907A (ko) 치과용 리트랙터 및 이에 사용되는 치과용 리트랙터 윙
CN108523828A (zh) 一种儿童使用挡舌口镜
KR20090111446A (ko) 치석 제거용 잇몸 견인기 및 거울 결합체
CN215079987U (zh) 一种基于牙齿外突的正畸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4

Year of fee payment: 8